KR100954491B1 - 자전거 안장 각도조절장치 - Google Patents

자전거 안장 각도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54491B1
KR100954491B1 KR1020090116809A KR20090116809A KR100954491B1 KR 100954491 B1 KR100954491 B1 KR 100954491B1 KR 1020090116809 A KR1020090116809 A KR 1020090116809A KR 20090116809 A KR20090116809 A KR 20090116809A KR 100954491 B1 KR100954491 B1 KR 1009544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addle
frame
angle
locking
bicy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168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춘추
Original Assignee
김춘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춘추 filed Critical 김춘추
Priority to KR10200901168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5449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544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54491B1/ko
Priority to CN2010101894338A priority patent/CN102079344B/zh
Priority to US12/881,168 priority patent/US8668262B2/en
Priority to JP2010209376A priority patent/JP5722580B2/ja
Priority to EP10182582A priority patent/EP232761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JCYCLE SADDLES OR SEATS;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O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RTICLE CARRIERS OR CYCLE PROTECTORS
    • B62J1/00Saddles or other seats for cycles; Arrangement thereof; Component parts
    • B62J1/10Internal adjustment of sadd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19/00Cycle frames
    • B62K19/30Frame parts shaped to receive other cycle parts or accessories
    • B62K19/36Frame parts shaped to receive other cycle parts or accessories for attaching saddle pillars, e.g. adjustable during rid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JCYCLE SADDLES OR SEATS;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O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RTICLE CARRIERS OR CYCLE PROTECTORS
    • B62J1/00Saddles or other seats for cycles; Arrangement thereof; Component parts
    • B62J1/02Saddles resiliently mounted on the frame; Equipment therefor, e.g. sp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JCYCLE SADDLES OR SEATS;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O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RTICLE CARRIERS OR CYCLE PROTECTORS
    • B62J1/00Saddles or other seats for cycles; Arrangement thereof; Component parts
    • B62J1/08Frames for saddles; Connections between saddle frames and seat pillars; Seat pilla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JCYCLE SADDLES OR SEATS;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O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RTICLE CARRIERS OR CYCLE PROTECTORS
    • B62J1/00Saddles or other seats for cycles; Arrangement thereof; Component parts
    • B62J1/18Covers for saddles or other seats; Padd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Control Devices (AREA)
  • Motorcycle And Bicycle Frame (AREA)
  • Automatic Cycles, And Cycle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전거의 프레임과 안장 사이에 설치되는 자전거 안장 각도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프레임에 결합되는 프레임 결합부와; 상기 안장을 지지하며, 상기 프레임 결합부의 상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프레임 결합부를 향하는 하단부에 걸림돌기가 형성된 안장 결합부와; 상기 프레임 결합부와 상기 안장 결합부 사이에 마련되며, 상기 걸림돌기가 선택적으로 맞물리도록 복수의 걸림턱이 형성되어 상기 안장 결합부의 회전 각도를 제어하는 각도 조절부와; 상기 프레임에 마련되며, 상기 각도 조절부의 작동을 조작하는 조작레버와; 상기 각도 조절부와 상기 조작레버를 상호 연결하며, 상기 조작레버의 조작에 의해 상기 각도 조절부를 왕복 이동시키는 와이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본 발명에 따른 자전거 안장 각도조절장치는 사용자의 체형에 맞추어 안장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어 편안한 자세로 자전거를 이용할 수 있고, 경사진 장소를 오르거나 내릴 경우 그에 적합하도록 안장의 각도를 조정함으로써 사용자의 몸이 한쪽으로 쏠리지 않도록 하여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으며, 특히 자전거의 주행중에 사용자가 조작레버를 조작함에 따라 안장의 각도 및 안장의 높이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어 사용자에게 편의를 제공한다.
자전거, 각도조절, 높이조절, 조작레버, 와이어

Description

자전거 안장 각도조절장치{Angle adjusting device for bicycle saddle}
본 발명은 자전거 안장 각도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자전거의 주행중에 안장의 각도 조절 및 안장의 높이 조절을 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안정된 자세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자전거 안장 각도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전거는 사람이 타고 앉아 두 다리의 힘으로 바퀴를 돌려서 가게 된 탈것으로서, 안장에 올라앉아 두 손으로 핸들을 잡고 두 발로 페달을 교대로 밟아 체인으로 바퀴를 돌리게 되어 있다. 바퀴는 흔히 두 개이며 한 개짜리나 세 개짜리도 있다. 이러한 자전거는 인력을 이용한 대표적인 교통수단의 하나로서 널리 사용되어 왔고, 특히 최근에는 운동기구로서의 건강증진효과와 함께 레크레이션 수단으로서의 다양한 응용이 가능한 한편, 환경친화적인 특성에 의해 수요가 점차 확산 되고 있다.
종래의 자전거의 구조는, 지면에 접촉하여 회전함으로써 자전거를 이동시키는 앞바퀴 및 뒷바퀴와, 이 앞바퀴와 뒷바퀴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며 전방 상부에 앞바퀴를 조향하는 핸들을 갖는 프레임과, 뒷바퀴와 체인으로 연결되어 뒷바퀴 를 회전시키는 패달과, 프레임의 후방 상부에 결합되어 사용자가 착석하는 안장부를 포함한다.
또한, 종래의 자전거 중에는 사용자의 신체조건에 맞추어 안장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높이조절장치가 설치된 것도 있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자전거는 안장이 자전거의 프레임에 대하여 수직으로 고정되어 있어 사용자의 체형 및 운전자세에 맞추어 안장 각도를 조절할 수 없었다. 즉, 안장의 각도가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다양한 체형의 사용자들을 모두 수용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으며, 또한, 사용자가 자전거를 타고 경사진 언덕을 오르거나 내려올 때, 사용자의 자세가 자전거의 전방이나 후방을 향하게 되는데, 안장의 각도가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자의 자세에 불편을 초래하게 되어 사고 위험이 증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출원인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장 각도조절 장치를 출원한 바 있으며, 이러한 안장 각도조절 장치는 한국공개특허 2009-0085900의 "자전거 안장 각도조절 장치"에 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기술은 사용자가 안장의 하부에 위치한 안장 각도조절 장치의 힌지부분을 직접 조작하여 안장의 각도를 조절해야 했으며, 따라서 자전거의 주행중에는 안장의 각도를 조절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사용자의 다양한 체형에 맞추어 안장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어 사용자가 안정된 자세로 자전거를 주행할 수 있으며, 자전거의 주행중에도 조작레버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주행조건에 맞도록 안장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어 사용자의 자세 보정이 용이한 자전거 안장 각도조절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자전거의 주행중에 사용자의 주행조건에 맞추어 안장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자전거 안장 각도조절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자전거의 프레임과 안장 사이에 설치되는 자전거 안장 각도조절장치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에 결합되는 프레임 결합부와; 상기 안장을 지지하며, 상기 프레임 결합부의 상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프레임 결합부를 향하는 하단부에 걸림돌기가 형성된 안장 결합부와; 상기 프레임 결합부와 상기 안장 결합부 사이에 마련되며, 상기 걸림돌기가 선택적으로 맞물리도록 복수의 걸림턱이 형성되어 상기 안장 결합부의 회전 각도를 제어하는 각도 조절부와; 상기 프레임에 마련되며, 상기 각도 조절부의 작동을 조작하는 조작레버와; 상기 각도 조절부와 상기 조작레버를 상호 연결하며, 상기 조작레버의 조작에 의해 상기 각도 조절부를 왕복 이동시키는 와이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각도 조절부의 복수의 걸림턱은 경사지게 단차를 갖는 계단형상을 가지며, 상기 각도 조절부의 왕복 이동에 따라 상기 복수의 걸림턱에 상기 안장 결합부의 걸림돌기가 선택적으로 맞물려 상기 안장 결합부의 회전 각도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이, 상기 프레임 결합부와 각도 조절부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각도 조절부가 상기 복수의 걸림턱 중 어느 하나에 맞물리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안장을 지지하고, 상기 안장 결합부에 왕복이동 가능하게 마련되며, 축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의 걸림홈이 형성된 안장 지지축과; 상기 안장이 상기 안장 결합부로부터 이격하도록 상기 안장 지지축을 탄성 지지하는 지지 스프링과; 상기 복수의 걸림홈에 선택적으로 걸림되어 안장 조절축의 높이를 제어하는 걸림편과; 상기 프레임에 마련되며, 상기 걸림편의 작동을 조작하는 보조 조작레버와; 상기 걸림편과 상기 보조 조작레버를 상호 연결하며, 상기 보조 조작레버의 조작에 의해 상기 걸림편을 작동시키는 보조 와이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이, 상기 안장 결합부와 걸림편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걸림편이 상기 복수의 걸림홈 중 어느 하나에 걸림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보조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프레임 결합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상기 프레임에 수용되는 복수의 걸림홈과; 상기 프레임 결합부가 상기 프레임으로부터 이 격하도록 상기 프레임 결합부를 탄성 지지하는 지지 스프링과; 상기 복수의 걸림홈에 선택적으로 걸림되어 프레임에 대한 프레임 결합부의 높이를 제어하는 걸림편과; 상기 프레임에 마련되며, 상기 걸림편의 작동을 조작하는 보조 조작레버와; 상기 걸림편과 상기 보조 조작레버를 상호 연결하며, 상기 보조 조작레버의 조작에 의해 상기 걸림편을 작동시키는 보조 와이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이, 상기 프레임과 걸림편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걸림편이 상기 복수의 걸림홈 중 어느 하나에 걸림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보조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자전거 안장 각도조절장치는 사용자의 체형에 맞추어 안장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어 편안한 자세로 자전거를 이용할 수 있고, 경사진 장소를 오르거나 내릴 경우 그에 적합하도록 안장의 각도를 조정함으로써 사용자의 몸이 한쪽으로 쏠리지 않도록 하여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으며, 특히 자전거의 주행중에 사용자가 조작레버를 조작함에 따라 안장의 각도 및 안장의 높이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어 사용자에게 편의를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그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한 이하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자전거 안장 각도조절장치가 적용된 자전거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자전거 안장 각도조절장치의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자전거 안장 각도조절장치의 구조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자전거 안장 각도조절장치가 적용된 자전거는, 지면에 접촉하여 회전함으로써 자전거를 이동시키는 앞바퀴(310) 및 뒷바퀴(320)와, 이 앞바퀴(310)와 뒷바퀴(320)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며 전방 상부에 앞바퀴(310)를 조향하는 핸들(331)을 갖는 프레임(330)과, 뒷바퀴(320)와 체인(341)으로 연결되어 뒷바퀴(320)를 회전시키는 패달(340)과, 프레임(330)의 후방 상부에 결합되어 사용자가 착석하는 안장(350)과, 프레임(330)과 안장(350) 사이에 설치되며 프레임(330)에 마련된 조작레버(40)를 통해 안장(350)의 각도를 조절하는 안장 각도조절장치(100)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1 실시 예에 따른 자전거 안장 각도조절장치(100)는, 프레임(330)에 결합되는 프레임 결합부(10)와, 프레임 결합부(10)의 상단부에 결합되어 안장(350)을 지지하는 안장 결합부(20)와, 안장 결합부(20)의 회전각도를 제어하는 각도 조절부(30)와, 각도 조절부(30)의 작동을 조작하는 조작레버(40)와, 각도 조절부(30)와 조작레버(40)를 상호 연결하는 와이어(50)를 포함한다.
프레임 결합부(10)는 안장(350)의 하부에 마련된 자전거의 프레임(330)에 결합되며, 상단부에 안장 결합부(20)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안장 결합부(20)와 힌지 구조를 갖는다.
즉, 프레임 결합부(10)의 상단부에는 안장 결합부(20)의 하단부를 감싸는 하우징(11)이 형성되며, 하우징(11)의 양측부에는 각각 제1 관통공(13)이 형성되어 있어 힌지축(17)이 결합되고, 이 힌지축(17)에 안장 결합부(20)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그리고, 하우징(11)의 내측에는 각도 조절부(30)를 수용하는 수용부(15)가 형성되어 있다.
안장 결합부(20)는 안장(350)의 하측에서 안장(350)을 지지하며, 프레임 결합부(10)의 상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프레임 결합부(10)를 향하는 하단부에 걸림돌기(23)를 형성한다.
즉, 안장 결합부(20)의 하부에는 프레임 결합부(10)의 하우징(11)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힌지축(17)에 결합되는 제2 관통공(21)이 형성되어 있고, 하부면에 각도 조절부(30)와 접촉되는 걸림돌기(23)가 형성된다.
각도 조절부(30)는 안장 결합부(20)와 접촉되도록 프레임 결합부(10)의 수용부(15)에 수용된다. 각도 조절부(30)의 상면에는 안장 결합부(20)의 걸림돌기(23)와 선택적으로 맞물리는 복수의 걸림턱(31)이 형성되어 있어 안장 결합부(20)의 회전각도를 제어한다.
여기서, 복수의 걸림턱(31)은 경사를 갖는 계단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어, 안장 결합부(20)의 걸림돌기(23)가 단계적으로 맞물리게 형성되며, 각도 조절부(30)에서 복수의 걸림턱(31)이 시작되는 부분에는 제1 스톱퍼(33a)가 형성되고 복수의 걸림턱(31)이 끝나는 부분에는 제2 스톱퍼(33b)가 형성되어 안장 결합부(20)가 일정 각도이상 회전되지 않도록 걸림돌기(23)를 지지한다.
이러한 구성으로, 각도 조절부(30)는 자전거의 프레임(330)에 마련된 조작레 버(40)와 와이어(50)로 연결되어 조작레버(40)의 조작에 따라 왕복 이동함으로써, 복수의 걸림턱(31)에 안장 결합부(20)의 걸림돌기(23)가 선택적으로 맞물리게 되어 안장 결합부(20)의 회전 각도를 제어한다.
더욱이, 프레임 결합부(10)의 수용부(15)와 각도 조절부(30) 사이에는 탄성부재(35)가 설치되어 있어, 안장 결합부(20)의 걸림돌기(23)가 각도 조절부(30)의 복수의 걸림턱(31) 중 어느 하나에 맞물리도록 탄성력을 제공한다.
조작레버(40)는 자전거의 프레임(330)에 마련되어 각도 조절부(30)의 작동을 조작한다. 즉, 조작레버(40)의 조작에 따라 각도 조절부(30)를 왕복 이동시켜 복수의 걸림턱(31)에 안장 결합부(20)의 걸림돌기(23)가 선택적으로 맞물림 되도록 작동을 조작하게 된다. 여기서, 조작레버(40)는 사용자의 조작 편의를 위해 자전거 프레임(330) 상의 핸들(331)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와이어(50)는 각도 조절부(30)와 조작레버(40)를 상호 연결하며, 사용자의 조작레버(40) 조작에 따라 각도 조절부(30)를 프레임 결합부(10)의 수용부(15) 내에서 왕복 이동시킨다.
한편, 본 발명의 제1 실시예 따른 자전거 안장 각도조절장치(100)는 안장(35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높이 조절부(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높이 조절부(60)는, 자전거의 안장(350)을 지지하고 안장 결합부(20)에 왕복이동 가능하게 마련되며 축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의 걸림홈(63)이 형성된 안장 지지축(61)과, 자전거의 안장(350)이 안장 결합부(20)로부터 이격하도록 안장 지지축(61)을 탄성 지지하는 지지 스프링(69)과, 안장 지지축(61)의 복수의 걸림 홈(63)에 선택적으로 걸림되어 안장 지지축(61)의 높이를 제어하는 걸림편(71)과, 자전거의 프레임(330)에 마련되며 걸림편(71)의 작동을 조작하는 보조 조작레버(73)와, 상기 걸림편(71)과 보조 조작레버(73)를 상호 연결하며 보조 조작레버(73)의 조작에 의해 걸림편(71)을 작동시키는 보조 와이어(75)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안장 결합부(20)의 상단부에는 걸림편(71)을 수용하는 수용 케이스(77)가 마련되며, 수용 케이스(77)의 상부에 형성된 관통공(79)을 통하여 안장 지지축(61)이 돌출된다.
또한, 안장 지지축(61)이 수용되는 안장 결합부(20)의 내측에는 수직방향으로 가이드 레일(67)이 형성되고, 안장 지지축(61)에도 가이드 레일(67)에 대응하는 레일홈(65)이 형성되어 있어 상호 결합된다. 즉, 안장 지지축(61)은 레일홈(65)에 결합된 안장 결합부(20)의 가이드 레일(67)을 따라 고정된 방향으로 승강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구성으로, 안장 결합부(20)에 수용된 지지 스프링(69)이 안장(350)을 지지하는 안장 지지축(61)을 탄성 지지하며, 수용 케이스(77) 내측에 마련된 걸림편(71)이 안장 지지축(61)의 걸림홈(63)에 걸림되어 있어 안장 지지축(61)의 높이를 고정한다. 이때, 보조 조작레버(73)를 조작하여 보조 와이어(75)와 연결된 걸림편(71)을 전진 또는 후진시켜 안장 지지축(61)의 복수의 걸림홈(63)에 선택적으로 걸림편(71)이 걸림되게 함으로써 안장 지지축(61)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더욱이, 안장 결합부(20)의 수용 케이스(77)와 걸림편(71) 사이에에는 보조 탄성부재(72)가 설치되어 있어, 걸림편(71)이 안장 지지축(61)의 복수의 걸림 홈(63) 중 어느 하나에 걸림되도록 탄성력을 제공한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자전거 안장 각도조절장치의 작동상태를 설명한다.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자전거 안장 각도조절장치의 각도조절 작동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조작레버(40)를 조작하지 않은 상태에서는 각도 조절부(30)의 복수의 걸림턱(31) 중 상측에 위치한 걸림턱(31)에 안장 결합부(20)의 걸림돌기(23)가 맞물려 있다.
이때, 안장 결합부(20)가 회전되지 않도록 걸림돌기(23)는 제1 스톱퍼(33a)에 지지되고 안장 결합부(20)의 하부면은 제2 스톱퍼(33b)에 지지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안장(350)의 각도를 조절하기 위해 조작레버(40)를 조작하면 조작레버(40)와 연결된 와이어(50)가 당겨지면서 각도 조절부(40)가 수용부(15) 내에서 후진하게 되어 각도 조절부(30)의 복수의 걸림홈(31)과 안장 결합부(20)의 걸림돌기(23)가 맞물림 해제된다.
이때, 사용자가 안장(350)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으며, 안장(350)에 착석한 상태에서도 각도조절이 가능하여 자전거 주행중에도 안장(350)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다음,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장(350) 각도조절이 완료되면 조작레버(40)를 반대로 조작하여 와이어(50)를 밀고 와이어(50)에 연결된 각도 조절 부(30)를 전진 복귀시켜 각도 조절부(30)의 복수의 걸림턱(31) 중 어느 하나에 각도 조절된 안장 결합부(20)의 걸림돌기(23)를 맞물리도록 함으로써 프레임 결합부(10)에 대하여 안장 결합부(20)의 각도를 고정한다.
이때, 안장 결합부(20)가 회전되지 않도록 걸림돌기(23)는 걸림턱(31)에 지지되고 안장 결합부(20)의 하부면은 제2 스톱퍼(33b)에 지지된다.
도 7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자전거 안장 각도조절장치의 높이조절 작동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보조 조작레버(73)를 조작하지 않은 상태에서는 안장 지지축(61)의 복수의 걸림홈(63) 중 상측에 위치한 걸림홈(63)에 걸림편(71)이 걸림되어 있어 안장(350)의 높이를 고정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안장(350)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해 보조 조작레버(73)를 조작하면 보조 조작레버(73)와 연결된 보조 와이어(75)가 당겨지면서 안장(350)을 지지하는 안장 지지축(61)의 걸림홈(63)에서 걸림편(71)이 이탈하게 되고, 지지 스프링(69)이 안장 지지축(61)을 상승시킨다.
이때, 사용자가 안장(35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으며, 안장(350)에 착석한 상태에서도 높이조절이 가능하여 자전거 주행중에도 안장(350)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다음,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장(350) 높이조절이 완료되면 보조 조작레버(73)를 반대로 조작하여 보조 와이어(75)를 밀고 보조 와이어(75)에 연결된 걸림편(71)을 안장 지지축(61)의 복수의 걸림홈(63) 중 어느 하나에 걸림되도록 함으 로써 안장(350)의 높이를 고정한다.
다음에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자전거 안장 각도조절장치의 구성 및 작동상태에 대해 설명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자전거 안장 각도조절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자전거 안장 각도조절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자전거 안장각도 조절장치(200)는, 프레임 결합부(210), 안장 결합부(220), 각도 조절부(30), 조작레버(40) 및 와이어(50)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의 자전거 안장각도 조절장치(100)와 동일한 구성 및 작동을 갖지만, 높이 조절부(240)가 자전거의 프레임(330) 및 프레임 결합부(210)에 마련된다.
프레임 결합부(210)는 몸체의 하단부가 자전거의 프레임(330)에 수용되고, 프레임(330) 내에 마련된 지지 스프링(233)에 탄성 지지되며 높이 조절부(230)에 의해 왕복 이동하여 높이가 조절된다.
안장 결합부(220)는 프레임 결합부(210)에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어 안장(350)을 지지하며 각도 조절부(30)의 작동에 따라 회전각도가 조절된다. 즉, 사용자가 조작레버(40)를 조작하여 와이어(50)가 당겨지면 와이어(50)에 연결된 각도 조절부(30)가 작동하여 안장 결합부(220)의 회전각도를 조절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높이 조절부(230)는 프레임 결합부(210)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자전거 의 프레임(330)에 수용되는 복수의 걸림홈(231)과, 프레임 결합부(210)가 자전거의 프레임(330)으로부터 이격하도록 프레임 결합부(210)를 탄성 지지하는 지지 스프링(233)과, 프레임(330)의 복수의 걸림홈(231)에 선택적으로 걸림되어 자전거의 프레임(330)에 대한 프레임 결합부(210)의 높이를 제어하는 걸림편(239)과, 자전거의 프레임(330)에 마련되며 걸림편(239)의 작동을 조작하는 보조 조작레버(245)와, 상기 걸림편(239)과 보조 조작레버(245)를 상호 연결하며 보조 조작레버(245)의 조작에 의해 걸림편(239)을 작동시키는 보조 와이어(247)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프레임(330)의 상단부에는 걸림편(239)을 수용하는 수용 케이스(241)가 마련되며, 수용 케이스(241)의 상부에 형성된 관통공(243)을 통하여 프레임 결합부(210)가 삽입된다.
여기서, 프레임 결합부(210)가 수용되는 프레임(330)의 내측에는 수직방향으로 가이드 레일(237)이 형성되고, 프레임 결합부(210)에도 가이드 레일(237)에 대응하는 레일홈(235)이 형성되어 있어 상호 결합된다. 즉, 프레임 결합부(210)는 레일홈(235)에 결합된 프레임(330)의 가이드 레일(237)을 따라 고정된 방향으로 승강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구성으로, 프레임 결합부(210)가 결합되는 자전거의 프레임(330)에 지지 스프링(233)이 수용되어 있어 프레임 결합부(210)를 탄성지지하며, 수용 케이스(241) 내측에 마련된 걸림편(239)이 프레임 결합부(210)의 걸림홈(231)에 걸림되어 있어 프레임 결합부(210)의 높이를 고정한다. 이때, 보조 조작레버(245)를 조작하여 보조 와이어(247)와 연결된 걸림홈(239)을 전진 또는 후진 시킴으로써 프레임 결합부(210)의 복수의 걸림홈(231)에 선택적으로 걸림편(239)이 걸림되게 함으로써 자전거 프레임(330)에 대한 프레임 결합부(21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더욱이, 프레임 결합부(210)의 수용 케이스(241)와 걸림편(239) 사이에에는 보조 탄성부재(238)가 설치되어 있어, 걸림편(239)이 프레임 결합부(210)의 복수의 걸림홈(231) 중 어느 하나에 걸림되도록 탄성력을 제공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자전거 안장 각도조절장치는 사용자의 체형에 맞추어 안장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어 편안한 자세로 자전거를 이용할 수 있고, 경사진 장소를 오르거나 내릴 경우 그에 적합하도록 안장의 각도를 조정함으로써 사용자의 몸이 한쪽으로 쏠리지 않도록 하여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으며, 특히 자전거의 주행중에 사용자가 조작레버를 조작함에 따라 안장의 각도 및 안장의 높이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어 사용자에게 편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본 발명에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자전거 안장 각도조절장치가 적용된 자전거를 보여주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자전거 안장 각도조절장치의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자전거 안장 각도조절장치의 구조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자전거 안장 각도조절장치의 각도조절 작동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도 7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자전거 안장 각도조절장치의 높이조절 작동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자전거 안장 각도조절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자전거 안장 각도조절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210: 프레임 결합부 20,220: 안장 결합부
23: 걸림돌기 30: 각도 조절부
31: 걸림턱 35: 탄성부재
40: 조작레버 50: 와이어
60,230: 높이 조절부 61: 안장 지지축
63,231: 걸림홈 69,233: 지지 스프링
71,239: 걸림편 72,238: 보조 탄성부재
73,245: 보조 조작레버 75,247: 보조 와이어

Claims (7)

  1. 자전거의 프레임과 안장 사이에 설치되는 자전거 안장 각도조절장치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에 결합되는 프레임 결합부와;
    상기 안장을 지지하며, 상기 프레임 결합부의 상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프레임 결합부를 향하는 하단부에 걸림돌기가 형성된 안장 결합부와;
    상기 프레임 결합부와 상기 안장 결합부 사이에 마련되며, 상기 걸림돌기가 선택적으로 맞물리도록 복수의 걸림턱이 형성되어 상기 안장 결합부의 회전 각도를 제어하는 각도 조절부와;
    상기 프레임에 마련되며, 상기 각도 조절부의 작동을 조작하는 조작레버와;
    상기 각도 조절부와 상기 조작레버를 상호 연결하며, 상기 조작레버의 조작에 의해 상기 각도 조절부를 왕복 이동시키는 와이어와;
    상기 프레임 결합부와 각도 조절부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각도 조절부가 상기 복수의 걸림턱 중 어느 하나에 맞물리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 안장 각도조절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각도 조절부의 복수의 걸림턱은 경사지게 단차를 갖는 계단형상을 가지며, 상기 각도 조절부의 왕복 이동에 따라 상기 복수의 걸림턱에 상기 안장 결합부의 걸림돌기가 선택적으로 맞물려 상기 안장 결합부의 회전 각도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 안장 각도조절장치.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안장을 지지하고, 상기 안장 결합부에 왕복이동 가능하게 마련되며, 축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의 걸림홈이 형성된 안장 지지축과;
    상기 안장이 상기 안장 결합부로부터 이격하도록 상기 안장 지지축을 탄성 지지하는 지지 스프링과;
    상기 복수의 걸림홈에 선택적으로 걸림되어 안장 조절축의 높이를 제어하는 걸림편과;
    상기 프레임에 마련되며, 상기 걸림편의 작동을 조작하는 보조 조작레버와;
    상기 걸림편과 상기 보조 조작레버를 상호 연결하며, 상기 보조 조작레버의 조작에 의해 상기 걸림편을 작동시키는 보조 와이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 안장 각도조절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안장 결합부와 걸림편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걸림편이 상기 복수의 걸 림홈 중 어느 하나에 걸림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보조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 안장 각도조절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결합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상기 프레임에 수용되는 복수의 걸림홈과;
    상기 프레임 결합부가 상기 프레임으로부터 이격하도록 상기 프레임 결합부를 탄성 지지하는 지지 스프링과;
    상기 복수의 걸림홈에 선택적으로 걸림되어 프레임에 대한 프레임 결합부의 높이를 제어하는 걸림편과;
    상기 프레임에 마련되며, 상기 걸림편의 작동을 조작하는 보조 조작레버와;
    상기 걸림편과 상기 보조 조작레버를 상호 연결하며, 상기 보조 조작레버의 조작에 의해 상기 걸림편을 작동시키는 보조 와이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 안장 각도조절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과 걸림편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걸림편이 상기 복수의 걸림홈 중 어느 하나에 걸림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보조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 안장 각도조절장치.
KR1020090116809A 2009-11-30 2009-11-30 자전거 안장 각도조절장치 KR1009544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6809A KR100954491B1 (ko) 2009-11-30 2009-11-30 자전거 안장 각도조절장치
CN2010101894338A CN102079344B (zh) 2009-11-30 2010-06-02 自行车的车座角度调整装置
US12/881,168 US8668262B2 (en) 2009-11-30 2010-09-13 Angle adjuster for bicycle seat
JP2010209376A JP5722580B2 (ja) 2009-11-30 2010-09-17 自転車のサドル角度調節装置
EP10182582A EP2327616B1 (en) 2009-11-30 2010-09-29 Angle adjusting device for bicycle sadd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6809A KR100954491B1 (ko) 2009-11-30 2009-11-30 자전거 안장 각도조절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54491B1 true KR100954491B1 (ko) 2010-04-22

Family

ID=422202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16809A KR100954491B1 (ko) 2009-11-30 2009-11-30 자전거 안장 각도조절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8668262B2 (ko)
EP (1) EP2327616B1 (ko)
JP (1) JP5722580B2 (ko)
KR (1) KR100954491B1 (ko)
CN (1) CN102079344B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7253B1 (ko) 2010-11-19 2011-04-06 이우진 자전거 안장축 스프링 장치
KR101213826B1 (ko) 2012-03-28 2012-12-18 김춘추 와이어의 힘 조절장치 및 그를 구비하는 자전거
KR101366905B1 (ko) 2013-10-25 2014-02-25 이명아 좌부의 높이 조절 장치
WO2014148721A1 (ko) * 2013-03-19 2014-09-25 Kim Choon Choo 주행중 앉은 자세로 자전거의 안장 각도를 조절하는 장치
KR101471102B1 (ko) * 2013-03-19 2014-12-09 (주)킴스여행사 자전거
KR20160126927A (ko) 2015-04-24 2016-11-02 김춘추 자전거 안장의 각도조절장치
KR20180092516A (ko) 2017-02-09 2018-08-20 한창희 자전거 안장의 각도 조절장치
KR101946788B1 (ko) * 2017-11-28 2019-02-12 주식회사 크리벤 자전거 안장각도 조절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12012000284U1 (de) * 2012-08-30 2015-05-26 Quest Composite Technology Corporation Fahrradsattel mit Dämpfungsfunktion
US9481420B2 (en) 2013-08-01 2016-11-01 Specialized Bicycle Components, Inc. Saddle adjustment system
TWM479885U (zh) * 2013-12-02 2014-06-11 Cionlli Ind Co Ltd 座墊結合裝置
US9616954B2 (en) 2014-12-18 2017-04-11 Specialized Bicycle Components, Inc. Saddle adjustment system
WO2016100572A2 (en) 2014-12-18 2016-06-23 Specialized Bicycle Components, Inc. Saddle adjustment system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30387A (ko) * 1998-12-21 1999-04-26 유기호 자전거의 안장 자동높이조절장치
JPH11301542A (ja) * 1998-04-22 1999-11-0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サドル姿勢調節機構、サドルロック機構、及びこれらの機構を用いた自転車
KR200222176Y1 (ko) 2000-10-11 2001-05-02 김중신 자전거 안장용 각도조절장치
KR20090085900A (ko) * 2008-02-05 2009-08-10 김춘추 자전거 안장 각도조절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4476A (ja) * 1983-06-22 1985-01-10 株式会社加島サドル製作所 角度調節型サドル
JPS6222184U (ko) * 1985-07-24 1987-02-10
US4920285A (en) 1988-11-21 1990-04-24 Motorola, Inc. Gallium arsenide antenna switch
JPH03109180A (ja) * 1989-09-25 1991-05-09 Kiyoshi Obata 走行しながら、上げ下げする自転車のサドル
US5048891A (en) * 1989-10-30 1991-09-17 Yach Thomas L Seat position changing apparatus for a bicycle or cycle-type machine
FR2683499A1 (fr) * 1991-11-12 1993-05-14 Fauvet Jean Francois Tige de selle de velo.
DE4416196C2 (de) * 1993-05-08 1997-05-28 Walter Sobolewski Federungsanordnung für den Sattel von Motor- oder Fahrrädern
US5979978A (en) * 1995-09-08 1999-11-09 Advanced Composites, Inc. Adjustable seat post clamp assembly for human-powered vehicles
CN2340667Y (zh) * 1998-06-30 1999-09-29 信隆车料(深圳)有限公司 自行车避震座管
JP2001171573A (ja) * 1999-12-13 2001-06-26 Yoshiichi Sano 自転車の座席昇降装置
FR2832688A1 (fr) * 2001-11-23 2003-05-30 Hurrycat Sa Dispositif pour fixer une selle et la positionner de maniere a la rendre mobile par rapport au cadre d'une bicyclette, tige de selle, potence et bicyclette equipees d'un tel dispositif
JP2006056285A (ja) * 2004-08-17 2006-03-02 Fujiwara Wheel:Kk 自転車のサドル昇降装置
CN100429115C (zh) * 2005-12-05 2008-10-29 极点股份有限公司 可调整尺寸的自行车座垫
CN2900319Y (zh) * 2006-04-10 2007-05-16 尚殷股份有限公司 具有后座伸缩调整装置的自行车
JP4084400B2 (ja) * 2006-06-02 2008-04-30 有限会社藤原ホイル 自転車のサドル昇降装置
US20080303320A1 (en) * 2007-06-06 2008-12-11 Paul Steven Schranz Adjustable seat support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301542A (ja) * 1998-04-22 1999-11-0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サドル姿勢調節機構、サドルロック機構、及びこれらの機構を用いた自転車
KR19990030387A (ko) * 1998-12-21 1999-04-26 유기호 자전거의 안장 자동높이조절장치
KR200222176Y1 (ko) 2000-10-11 2001-05-02 김중신 자전거 안장용 각도조절장치
KR20090085900A (ko) * 2008-02-05 2009-08-10 김춘추 자전거 안장 각도조절 장치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7253B1 (ko) 2010-11-19 2011-04-06 이우진 자전거 안장축 스프링 장치
KR101213826B1 (ko) 2012-03-28 2012-12-18 김춘추 와이어의 힘 조절장치 및 그를 구비하는 자전거
WO2014148721A1 (ko) * 2013-03-19 2014-09-25 Kim Choon Choo 주행중 앉은 자세로 자전거의 안장 각도를 조절하는 장치
KR101471102B1 (ko) * 2013-03-19 2014-12-09 (주)킴스여행사 자전거
US9783252B2 (en) 2013-03-19 2017-10-10 Creven Co., Ltd Apparatus for adjusting bicycle saddle angle in seated position while driving
KR101366905B1 (ko) 2013-10-25 2014-02-25 이명아 좌부의 높이 조절 장치
KR20160126927A (ko) 2015-04-24 2016-11-02 김춘추 자전거 안장의 각도조절장치
KR20180092516A (ko) 2017-02-09 2018-08-20 한창희 자전거 안장의 각도 조절장치
KR101946788B1 (ko) * 2017-11-28 2019-02-12 주식회사 크리벤 자전거 안장각도 조절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327616A1 (en) 2011-06-01
CN102079344A (zh) 2011-06-01
US20110127813A1 (en) 2011-06-02
CN102079344B (zh) 2013-06-05
EP2327616B1 (en) 2012-12-12
US8668262B2 (en) 2014-03-11
JP5722580B2 (ja) 2015-05-20
JP2011116351A (ja) 2011-06-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54491B1 (ko) 자전거 안장 각도조절장치
KR100954490B1 (ko) 자전거 안장 각도조절장치
US6334838B1 (en) Exercising cart structure
KR101635719B1 (ko) 자전거의 안장 경사각 조절장치
US9033356B2 (en) Shilly-car
KR20160061882A (ko) 다기능 운동기구
JP2008132933A (ja) 三輪車
TW200415066A (en) Bicycle by hand
US9044639B2 (en) Support frame for exercise apparatus
US20220119072A1 (en) Scooter
KR20100121417A (ko) 서서 타기식 자전거의 구조
KR100936837B1 (ko) 복합조향 핸드 런 자전거
KR101885468B1 (ko) 팔과 다리의 근력으로 움직이는 자전거
KR101217658B1 (ko) 휠체어 부착형 자전거
KR20100134340A (ko) 구동 유닛을 갖는 삼륜차
KR101228803B1 (ko) 자전거의 구동장치
KR101527293B1 (ko) 장애인의 신체특성을 고려한 네발자전거
US10752314B2 (en) Convertible child cycle
KR101213826B1 (ko) 와이어의 힘 조절장치 및 그를 구비하는 자전거
KR101782780B1 (ko) 전기 자전거의 스탠드
JP4501032B2 (ja) 走行具
CN212267725U (zh) 方向把可前后调节式电动自行车
CN219848011U (zh) 踏步机
CN213831981U (zh) 一种弹跳滑板车
KR101742015B1 (ko) 일반 및 레저 겸용 자전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1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1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1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6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