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66905B1 - 좌부의 높이 조절 장치 - Google Patents

좌부의 높이 조절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66905B1
KR101366905B1 KR1020130127803A KR20130127803A KR101366905B1 KR 101366905 B1 KR101366905 B1 KR 101366905B1 KR 1020130127803 A KR1020130127803 A KR 1020130127803A KR 20130127803 A KR20130127803 A KR 20130127803A KR 101366905 B1 KR101366905 B1 KR 1013669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ver
locking
piece
piston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278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명아
Original Assignee
이명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명아 filed Critical 이명아
Priority to KR10201301278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6690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669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669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00Chair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Chairs or stools with rotatable or vertically-adjustable seats
    • A47C3/20Chairs or stools with vertically-adjustable seats
    • A47C3/30Chairs or stools with vertically-adjustable seats with vertically-acting fluid cylind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JCYCLE SADDLES OR SEATS;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O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RTICLE CARRIERS OR CYCLE PROTECTORS
    • B62J1/00Saddles or other seats for cycles; Arrangement thereof; Component parts
    • B62J1/02Saddles resiliently mounted on the frame; Equipment therefor, e.g. sp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JCYCLE SADDLES OR SEATS;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O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RTICLE CARRIERS OR CYCLE PROTECTORS
    • B62J1/00Saddles or other seats for cycles; Arrangement thereof; Component parts
    • B62J1/08Frames for saddles; Connections between saddle frames and seat pillars; Seat pilla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19/00Cycle frames
    • B62K19/30Frame parts shaped to receive other cycle parts or accessories
    • B62K19/36Frame parts shaped to receive other cycle parts or accessories for attaching saddle pillars, e.g. adjustable during rid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JCYCLE SADDLES OR SEATS;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O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RTICLE CARRIERS OR CYCLE PROTECTORS
    • B62J1/00Saddles or other seats for cycles; Arrangement thereof; Component parts
    • B62J1/08Frames for saddles; Connections between saddle frames and seat pillars; Seat pillars
    • B62J2001/085Seat pillars having mechanisms to vary seat height, independently of the cycle fram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pecial Chai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누름버튼(120)의 누름 또는 해제에 따라 잠금키에 의한 잠금과 해제 작동을 통하여 원하는 만큼 길이의 신축과 고정이 자유롭게 조절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으로, 크게 헤드(100), 메인폴대(200), 1차 신장폴대(300) 및 2차 신장폴대(400)를 포함한 높낮이 조절 장치(S)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잠금키에 의한 잠금과 해제를 통하여 원하는 만큼의 길이 신축과 고정이 자유롭게 조절될 수 있고, 잠금버튼의 설치로 보관시 또는 사용 중 누름버튼이 임의대로 눌러지는 것을 방지하고 그 조절 상태를 계속 유지할 수 있으며, 압축스프링, 쇽업스프링 및 복귀스프링 등의 다양한 스프링을 설치하여 길이 조절이 원활하고 부드럽고 유연하게 작동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좌부의 높이 조절 장치{APPARATUS FOR ADJUSTING THE HEIGHT OF SEAT}
본 발명은 좌부의 높이 조절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자전거 안장이나 의자 좌석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하여 길이의 신축과 고정이 자유롭게 조절될 수 있어 편리한 좌부의 높이 조절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전거에 있어서, 안장과 페달의 간격은 주행시와 달리 정차시 혹은 승·하차시에 사용자의 발바닥을 지면에 완전히 착지시키기에는 다소 높은 위치이기 때문에 불안정할 수 있다.
따라서, 주행시에는 최대한의 추진력을 발휘할 수 있지만, 정차시와 승·하차시에는 발바닥을 지면에 온전히 착지시키기가 용이하지 못하여 균형을 바로잡지 못하고 자전거와 함께 넘어지는 등 안전사고의 유발 원인으로 지적되고 있다.
한편, 책상 앞에 앉아 사무를 처리하는 현 직장인들 대다수가 앉는 사무용 의자의 경우, 책상 높이에 대응하거나 사용자 신체구조상 좌판에 착석한 후 양발이 실내 바닥면에 완전히 닿아야만 안정적이고 편안한 자세를 취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종래 기술로서,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98219에 "자전거 안장, 탁자, 의자 시트 등의 높이 조절 장치"에 관한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이 종래의 유압식 또는 공압식 높이 조절 장치는 구성이 복잡하고, 높이 조절시 많은 힘이 필요하며, 높이를 사용자가 원하는 만큼 신축시키고 고정하는 것이 불편하여 사용성과 편의성이 떨어지고, 작동이 부정확함은 물론, 내충격성이 약하여 외부의 충격에 실린더 장치가 파손되는 일이 자주 발생하였고, 높이 조절시 안장이나 좌석이 제일 높게 설정되었을 때 온도차에 의한 진공 상태 또는 유증기 발생으로 인하여 밸브가 눌러지지 않는 밸브의 오작동이 문제되고 있다.
나아가, 사용자가 자전거 안장이나 의자 좌석을 잡고 당겨서 자전거나 의자를 들어 운반할 때에 그 하중을 지탱하지 못하고 안장이나 좌석과 연결된 높이 조절 장치의 실린더가 당겨지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술된 문제들을 모두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레버의 회동 조작만으로 압축스프링의 힘을 이용하여 장치의 길이를 용이하게 가변시킬 수 있고, 장치를 원하는 만큼만 신축시킨 후 잠금키로 쉽게 고정하여 편리하므로 여러 가지 사용환경 속에서 신속히 대응해서 조작할 수 있어 우수한 사용성 및 편의성을 갖는 좌부의 높이 조절 장치의 제공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잠금키를 잠금 또는 오픈시켜 원하는 만큼의 길이 신축과 고정이 자유롭게 조절될 수 있고, 압축스프링, 복귀스프링, 가이드스프링 등을 설치하여 길이 조절이 원활하고 부드럽고 유연하게 작동할 수 있고, 적은 힘으로 압착이 가능하여 조작도 편리한 좌부의 높이 조절 장치의 제공에 그 목적이 있다.
더불어, 연결 부위에 실링캡을 설치하여 이물질이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고, 파이프나 스프링의 연결 지점에 회전방지편이나 회전방지핀을 설치하여 스프링 압축시나 피스톤관이 상하 이동시 회전을 방지하여, 높이 조절이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좌부의 높이 조절 장치의 제공에도 그 목적이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연결선에 의해 헤드부와 연결되고, 소정의 각도만큼 레버를 회동 또는 복귀시켜 상기 연결선을 통해 연결된 승강편이 승강되도록 조작하는 조작부; 몸체 내부의 수용공간에 이동파이프의 상단이 수용되고, 상기 이동파이프의 상단에 승강편이 결합되며, 상기 승강편에 상기 연결선이 관통 체결된 헤드부; 상기 헤드부의 하측에 연결되어 하우징부의 내·외로 상하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되, 외관을 구성하는 피스톤관, 상기 피스톤관의 내측에 형성되서 상기 승강편과 결합되어 승강 이동하고 상단에 장공이 형성되며 하단에 잠금키가 연결 형성된 이동파이프, 상단에 형성된 단공에 고정핀이 결합되어 상기 장공의 하부에 고정 결합되고 하단에 볼이 장착된 잠금척이 연결 설치된 고정파이프, 상기 이동파이프의 외주면에 설치된 길이 조절용 압축스프링을 포함하며, 상기 볼이 걸림홈에 걸림되어 고정샤프트에 고정되고 상기 레버의 회동 조작에 따라 상기 승강편과 함께 상기 이동파이프가 승강 이동하여 상기 잠금키의 잠금과 해제가 발생하는 피스톤부; 및 상기 피스톤부를 내부에 수용 가능하도록 하측에 설치하되, 외관을 구성하는 외부 파이프, 상기 외부 파이프의 내측에 설치되어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 개의 걸림홈이 형성된 고정샤프트를 포함하는 하우징부;를 포함하는 좌부의 높이 조절 장치를 제공한다.
게다가, 상기 조작부는, 레버바디와, 상기 레버바디에 소정의 각도만큼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된 레버와, 일단은 상기 레버와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승강편에 체결된 연결선을 포함하는 것에도 그 특징이 있다.
이때, 상기 레버바디는 일측에 라운드진 형상을 갖는 단속홈이 형성되고, 상기 레버는 상기 단속홈 보다 작은 크기를 갖는 라운드진 형상을 갖는 돌출편이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며, 상기 돌출편이 축핀을 통해 상기 단속홈에 연결되어 상기 레버가 회동 또는 단속되는 것에도 그 특징이 있다.
더불어, 상기 레버는 상부에 연결홈이 형성되고, 상기 연결홈에는 가이드스프링이 게재된 채 상기 연결선의 일단이 고정 연결된 것에도 그 특징이 있다.
또한, 상기 헤드부는,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상측과 중간에 고정편과 지지편이 각각 외측으로 돌출 형성된 몸체와, 일측에 수직홀이 형성되고, 선단에 상기 수직홀과 연통되도록 수평홀이 형성되며, 상기 수직홀에 상기 연결선이 관통 체결되어 상기 레버의 회동 또는 복귀에 따라 상기 고정편과 지지편의 사이에서 승강 이동하는 승강편과, 외측으로부터 상기 수평홀에 체결되어 상기 연결선을 고정하는 단속볼트를 포함하는 것에도 그 특징이 있다.
그리고, 상기 피스톤부는, 상기 잠금척의 하부에 상기 레버를 복귀시키는 복귀스프링이 상기 잠금키의 하단과 연결되도록 설치되어 있는 것에도 그 특징이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피스톤부는, 상기 피스톤관의 하부 외주면에 길이 방향으로 핀홈이 형성되고, 상기 핀홈에 상기 피스톤부의 회전을 방지하는 회전방지핀이 설치되어 있는 것에도 그 특징이 있다.
나아가, 상기 피스톤부는, 상기 압축스프링의 하측에 회전방지편를 설치하여 상기 압축스프링의 신축에 따른 회전을 방지하는 것에도 그 특징이 있다.
이와 함께, 상기 하우징부는, 상기 외부 파이프의 내측에 형성된 내부파이프, 상기 외부파이프의 하단에 설치된 하부홀더, 상기 하부홀더를 관통한 상기 고정샤프트의 하단을 고정하는 고정너트, 상기 외부파이프의 상단 외측에 결합되어 이물질의 내부 유입을 방지하는 실링캡을 포함하는 것에도 그 특징이 있다.
아울러, 상기 하우징부는, 상기 고정샤프트의 상단에 상기 피스톤부의 상승 이탈을 방지하는 걸림턱이 형성되어 있는 것에도 그 특징이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레버의 회동 조작만으로 압축스프링의 힘을 이용하여 장치의 길이를 용이하게 가변시킬 수 있고, 장치를 원하는 만큼만 신축시킨 후 잠금키로 쉽게 고정하여 편리하므로 여러 가지 사용환경 속에서 신속히 대응해서 조작할 수 있어 우수한 사용성 및 편의성을 갖는 효과가 있다.
또한, 잠금키를 잠금 또는 오픈시켜 원하는 만큼의 길이 신축과 고정이 자유롭게 조절될 수 있고, 압축스프링, 복귀스프링, 가이드스프링 등을 설치하여 길이 조절이 원활하고 부드럽고 유연하게 작동할 수 있으며, 적은 힘으로 압착이 가능하여 조작도 편리한 효과가 있다.
더불어, 연결 부위에 실링캡을 설치하여 이물질이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고, 파이프나 스프링의 연결 지점에 회전방지편이나 회전방지핀을 설치하여 스프링 압축시나 피스톤관이 상하 이동시 회전을 방지하여, 높이 조절이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작부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헤드부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3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피스톤부의 구성을 나타낸 분리 도면.
도 3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피스톤부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4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부의 구성을 나타낸 분리 도면.
도 4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부의 구성을 나타낸 분리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좌부의 높이 조절 장치가 접혀졌을 때의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좌부의 높이 조절 장치의 레버 회동시 높이가 상승하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좌부의 높이 조절 장치가 신장되었을 때의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적용한 예시도로서, (a)는 자전거에 적용한 예시도, (b)는 의자에 적용한 예시도.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실시예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좌부의 높이 조절 장치(S)는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작부(100)의 레버(120)의 회동 조작에 따라 잠금키의 잠금과 헤제가 발생하여 원하는 만큼 높이의 가변과 고정이 자유롭게 조절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으로, 크게 조작부(100), 헤드부(200), 피스톤부(300) 및 하우징부(4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도 1(a) 및 도 1(b)를 참고하면, 상기 조작부(100)는 연결선(130)에 의해 헤드부(200)와 연결되고, 레버(120)를 소정의 각도만큼 회동 또는 복귀시켜 레버(120)와 연결선(130)을 통해 연결된 승강편(220)이 승강되도록 조작한다.
이때, 상기 조작부(100)는 레버바디(110), 레버(120), 연결선(130), 접속구(140), 연결볼트(150), 및 축핀(16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레버바디(110)는 반쪽 링형상을 갖는 제1바디(111)와 제2바디(112)가 양측에 각각 연결볼트(150)와 축핀(160)을 통해 체결되어 1개의 링형상을 갖도록 이루어지고, 상기 축핀(160)이 체결된 일측에 라운드진 형상을 갖는 단속홈(113)이 형성된다.
상기 레버(120)는 상기 레버바디(110)에 소정의 각도만큼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되고, 돌출편(121)이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며, 상기 돌출편(121)이 상기 축핀(160)을 통해 상기 단속홈(113)에 연결된다.
이때, 상기 단속홈(113)에 연결된 상기 돌출편(121)은 라운드진 형상을 갖고, 상기 단속홈(113)보다 작은 면적을 갖도록 형성되어 상기 돌출편(121)과 상기 단속홈(113)의 내측 벽면 사이에 소정의 이격된 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돌출편(121)이 상기 단속홈(113) 내에서 회동하다가 그 라운드진 면의 일부가 단속홈(113)의 내측 벽면에 접촉하면서 상기 레버(120)의 회동이 단속된다.
상기 연결선(130)은 일단이 상기 레버(120)와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승강편(220)에 체결됨으로써, 상기 조작부(100)와 헤드부(200)가 서로 연결되도록 하고, 상기 승강편(220)은 상기 고정편(212)과 지지편(213)의 사이에서 승강 이동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연결선(130)의 외주면에는 커버(131)가 피복되어 상기 연결선(130)이 손상되는 것을 보호하고, 다만 상기 연결선(130)의 양단은 타 구성부재와의 결합을 위해 커버(131)가 피복되어 있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불어, 상기 제1바디(111)는 일측으로 요입 형성된 접속홈(111a)이 구비되고, 상기 접속홈(111a)에는 접속공이 형성된 접속구(140)가 삽입 결합되며, 상기 접속공에는 상기 커버(131)의 일단이 삽입되어 접속된다.
또한, 상기 접속홈(111a)의 일측에는 관통홀(111b)이 연통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관통홀(111b)에는 상기 연결선(130)의 일단이 관통된다.
그리고, 상기 레버(120)는 상부에 연결홈(122)이 형성되고, 상기 연결홈(122)에는 가이드스프링(123)이 게재된 채 상기 연결선(130)의 일단이 상기 레버(120)에 고정 연결된다.
도 2(a) 및 도 2(b)를 참고하면, 상기 헤드부(200)는 몸체(210) 내부의 수용공간(211)에 이동파이프(320)의 상단이 수용되고, 상기 이동파이프(320)의 상단에 승강편(220)이 결합되며, 상기 승강편(220)에 상기 연결선(130)이 수직 방향으로 관통 체결된다.
상기 헤드부(200)는 몸체(210), 승강편(220), 단속볼트(2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몸체(210)는 내부에 수용공간(211)이 형성되고, 상측에 고정편(212)과, 중간에 지지편(213)이 각각 외측으로 돌출 형성된다.
상기 고정편(212)에는 좌부의 체결을 위한 볼트가 세로 방향으로 결합되는 볼트공(212a)이 형성되고, 상기 볼트공(212a)은 일측에 2개, 타측에 1개, 총 3개가 형성되어 안장 체결의 견고함을 증가시킬 수 있다.
상기 지지편(213)에는 지지공(213a)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공(213a)에는 상기 커버(131)의 타단이 접속되어 고정 결합된다.
상기 승강편(220)은 일측에 수직 방향으로 수직홀(221)이 형성되어 상기 커버(131)의 타단을 통과하여 노출된 연결선(130)이 통과하고, 상기 승강편(220)의 선단에는 상기 수직홀(221)과 연통되도록 수평 방향으로 수평홀(222)이 형성되어 상기 단속볼트(230)가 상기 수평홀(222)에 체결되어 상기 연결선(130)을 가압 고정한다.
상기 단속볼트(230)는 외측으로부터 상기 수평홀(222)에 체결되어 상기 연결선(130)을 고정한다.
도 3a 및 도 3b를 참고하면, 상기 피스톤부(300)는 상기 헤드부(200)의 하측에 연결되어 하우징부(400)의 내·외로 상하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상기 피스톤부(300)는 피스톤관(310), 이동파이프(320), 고정파이프(330), 압축스프링(340), 고정핀(350), 회전방지핀(360), 및 지지홀더(37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피스톤관(310)은 상기 피스톤부(300)의 외관을 구성하도록 수직 방향으로 형성되고, 하부 외주면에 길이 방향으로 핀홈(311)이 형성되며, 상기 핀홈(311)에 상기 피스톤부(300)의 회전을 방지하기 위한 회전방지핀(360)이 설치된다.
또한, 상기 이동파이프(320)는 상기 피스톤관(310)의 내측에 형성되서 상기 승강편(220)과 결합되어 승강 이동하고, 상단에 장공(321)이 형성되며, 하단에 잠금키(322)가 연결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잠금키(322)는 두께가 상부는 얇고, 하부는 내측으로 좀 더 돌출되도록 이루어져 상부보다 두껍게 형성되며, 이로 인하여 잠금키(322)의 하부가 잠금척(332)가 맞물리는 경우 볼(333)이 가압되어 잠금척(332)의 잠금홀(332a)에 걸쳐짐과 동시에 고정샤프트(430)의 걸림홈(431)에 걸림되어 장치가 고정되는 것이고, 잠금키(322)의 상부가 하측으로 이동하여 잠금척(332)에 이르는 경우 잠금키(322)의 하부에 의해 가압되었던 볼(333)이 걸림홈(431)에서 빠져나와 잠금척(332)의 잠금홀(332a)에 걸쳐짐과 동시에 잠금키(322) 쪽으로 이동된 상태가 되어 장치가 오픈되는 것이다.
더불어, 상기 고정파이프(330)는 상단에 단공(331)이 형성되고, 상기 단공(331)에 고정핀(350)이 결합되어 상기 장공(321)의 하부에 고정 결합되며, 하단에 볼(333)이 장착된 잠금척(332)이 연결 설치되고, 여기서 상기 잠금척(332)에는 상기 볼(333)이 유동될 수 있도록 잠금홀(332a)이 관통 형성된다.
이와 함께, 상기 잠금척(332)의 하부에는 상기 레버(120)를 복귀시키는 복귀스프링(334)이 상기 잠금키(322)의 하단과 연결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압축스프링(340)은 상기 이동파이프(320)의 외주면에 설치되어 압축 또는 신장되면서 좌부의 높이 조절 장치(S)의 길이를 조절하고, 이때, 상기 압축스프링(340)의 하측에는 회전방지편(341)이 설치되어 상기 압축스프링(340)의 신축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회전을 방지하는 기능을 한다.
아울러, 상기 지지홀더(370)는 이동파이프(320)의 상단을 상기 헤드부(200)의 몸체(210) 내에서 지지하고, 상기 승강편(220)의 하강을 단속하는 기능을 한다.
이로써, 상기 볼(333)이 걸림홈(431)에 걸림되어 고정샤프트(430)에 고정되고, 상기 레버(120)의 회동 조작에 따라 상기 승강편(220)과 함께 상기 이동파이프(320)가 승강 이동하여 상기 잠금키(322)의 잠금척(332)에 대한 잠금과 해제가 발생하게 되는 것이다.
도 4a 및 도 4b를 참고하면, 상기 하우징부(400)는 상기 피스톤부(300)를 내부에 수용 가능하도록 하측에 설치된다.
상기 하우징부(400)는 외부파이프(410), 내부파이프(420), 고정샤프트(430), 하부홀더(440), 고정너트(450), 및 실링캡(46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외부파이프(410)는 상기 하우징부(400)의 외관을 구성하도록 수직 방향으로 설치된다.
상기 내부파이프(420)는 상기 외부파이프(410)의 내측에 설치된다.
상기 고정샤프트(430)는 상기 내부파이프(420)의 내측에 설치되어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 개의 걸림홈(431)이 형성되고, 상기 잠금키(322)의 가압에 의해 볼(333)이 잠금척(332)의 잠금홀(332a)을 통하여 상기 걸림홈(431)에 걸림되어 좌부의 높이 조절 장치(S)의 높이 조절이 고정된 상태가 된다.
여기서, 상기 고정샤프트(430)의 상단에는 상기 피스톤부(300)의 상승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걸림턱(432)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하부홀더(440)는 상기 외부파이프(410)의 하단에 설치되고, 상기 고정너트(450)는 상기 하부홀더(440)를 관통한 상기 고정샤프트(430)의 하단을 고정한다.
나아가, 상기 실링캡(460)은 상기 외부파이프(410)의 상단 외측에 결합되어 이물질의 내부 유입을 방지하고, 상기 실링캡(460)의 내측 상단에는 패킹(461)이 내설되어 피스톤부(300)의 피스톤관(310)이 더욱 밀착될 수 있도록 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좌부의 높이 조절 장치(S)의 작동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예컨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좌부의 높이 조절 장치(S)가 접혀져 보관 중인 상태에서, 도 6과 같이 먼저 조작부(100)의 레버(120)를 회동시키면 연결선(130)을 통해 연결된 헤드부(200)의 승강편(220)이 하강하게 되고, 이에 따라 상단이 승강편(220)과 결합된 이동파이프(320)가 장공(321)의 길이 범위에서 하강하게 되며, 이동파이프(320)의 하단에 설치된 잠금키(322)도 하측으로 밀리게 되면서 잠금키(322)의 상부가 잠금척(332)에 이르게 된다.
이때, 볼(333)이 잠금키(322)의 하부에 의해 가압되어 고정샤프트(430)에 형성된 임의의 걸림홈(431)에 걸림되어 고정되어 있다가, 잠금키(322)가 아래로 밀리면서 볼(333)에 대한 가압이 해제되어 볼(333)이 잠금홀(332a) 상에서 외측으로 밀려나와 볼(333)과 걸림홈(431)의 잠금 결합이 해제되어 장치가 오픈 상태가 되어 피스톤부(300)가 하측으로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게 되고, 압축스프링(340)도 함께 신장되며, 이로 인하여 좌부의 높이 조절 장치(S)의 높이가 부드럽고 유연하게 신장될 수 있다.
이때, 회전방지편(341)과 회전방지핀(360)의 작용에 의하여 각각 압축스프링(340)과 피스톤관(310)의 회전이 방지되며, 외부파이프(410)의 상단에 설치된 실링캡(460)에 의하여 이물질의 유입도 함께 방지된다.
여기서, 좌부의 높이 조절 장치(S)가 사용자 자신이 편하게 사용할 수 있는 높이로 조절되었다고 판단될 경우,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레버(120)를 누르던 힘을 해제하면 레버(120)가 가이드스프링(123)의 도움을 받아 원래의 위치로 복귀하게 되고, 레버(120)와 연결선(130)을 통해 연결된 승강편(220)이 상측으로 이동함에 따라 이동파이프(320)도 상측으로 이동하게 되며, 이에 따라 잠금키(322)도 복귀스프링(334)의 도움을 받아 상측으로 이동하여 잠금키(322)와 잠금척(332)이 맞물리게 되어 잠금키(322)의 볼(333)에 대한 가압이 다시 이루어져 볼(333)이 고정샤프트(430)의 걸림홈(431)에 삽입 고정됨으로써, 피스톤부(300)를 잡아 당기거나 힘을 가해도 더 이상 당겨지거나 신장되지 않고 잠금 고정되는 것이다.
물론, 좌부의 높이 조절 장치(S)의 높이를 낮추는 경우에도 상술된 바와 같이 동일한 방법으로 조절할 수 있다.
결국, 본 발명에 의하면, 레버의 회동 조작만으로 압축스프링의 힘을 이용하여 장치의 길이를 용이하게 가변시킬 수 있고, 장치를 원하는 만큼만 신축시킨 후 잠금키로 쉽게 고정하여 편리하므로 여러 가지 사용환경 속에서 신속히 대응해서 조작할 수 있어 우수한 사용성 및 편의성을 갖는 효과가 있으며, 도 8a 및 도 8b와 같이 자전거 안장이나 의자 좌석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하여 적용되어 높이의 신축과 고정이 자유롭게 조절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상기 실시 형태는 하나의 예시로서 본 발명이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적 사상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을 갖고 동일한 작용효과를 이루는 것은 어떠한 것이라도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포함된다.
S. 좌부의 높이 조절 장치.
100. 조작부 110. 레버바디
111. 제1바디 111a. 접속홈
111b. 관통홀 112. 제2바디
113. 단속홈 120. 레버
121. 돌출편 122. 연결홈
123. 가이드스프링 130. 연결선
131. 커버 140. 접속구
150. 연결볼트 160. 축핀
200. 헤드부 210. 몸체
211. 수용공간 212. 고정편
212a. 볼트공 213. 지지편
213a. 지지공 220. 승강편
221. 수직홀 222. 수평홀
230. 단속볼트 300. 피스톤부
310. 피스톤관 311. 핀홈
320. 이동파이프 321. 장공
322. 잠금키 330. 고정파이프
331. 단공 332. 잠금척
332a. 잠금홀 333. 볼
334. 복귀스프링 340. 압축스프링
341. 회전방지편 350. 고정핀
360. 회전방지핀 370. 지지홀더
400. 하우징부 410. 외부파이프
420. 내부파이프 430. 고정샤프트
431. 걸림홈 432. 걸림턱
440. 하부홀더 450. 고정너트
460. 실링캡 461. 패킹

Claims (10)

  1. 연결선에 의해 헤드부와 연결되고, 소정의 각도만큼 레버를 회동 또는 복귀시켜 상기 연결선을 통해 연결된 승강편이 승강되도록 조작하는 조작부;
    몸체 내부의 수용공간에 이동파이프의 상단이 수용되고, 상기 이동파이프의 상단에 승강편이 결합되며, 상기 승강편에 상기 연결선이 관통 체결된 헤드부;
    상기 헤드부의 하측에 연결되어 하우징부의 내·외로 상하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되, 외관을 구성하는 피스톤관, 상기 피스톤관의 내측에 형성되서 상기 승강편과 결합되어 승강 이동하고 상단에 장공이 형성되며 하단에 잠금키가 연결 형성된 이동파이프, 상단에 형성된 단공에 고정핀이 결합되어 상기 장공의 하부에 고정 결합되고 하단에 볼이 장착된 잠금척이 연결 설치된 고정파이프, 상기 이동파이프의 외주면에 설치된 길이 조절용 압축스프링을 포함하며, 상기 볼이 걸림홈에 걸림되어 고정샤프트에 고정되고 상기 레버의 회동 조작에 따라 상기 승강편과 함께 상기 이동파이프가 승강 이동하여 상기 잠금키의 잠금과 해제가 발생하는 피스톤부; 및
    상기 피스톤부를 내부에 수용 가능하도록 하측에 설치하되, 외관을 구성하는 외부 파이프, 상기 외부 파이프의 내측에 설치되어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 개의 걸림홈이 형성된 고정샤프트를 포함하는 하우징부;를 포함하는 좌부의 높이 조절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는, 레버바디와,
    상기 레버바디에 소정의 각도만큼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된 레버와,
    일단은 상기 레버와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승강편에 체결된 연결선을 포함하는 좌부의 높이 조절 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바디는 일측에 라운드진 형상을 갖는 단속홈이 형성되고, 상기 레버는 상기 단속홈 보다 작은 크기를 갖는 라운드진 형상을 갖는 돌출편이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며, 상기 돌출편이 축핀을 통해 상기 단속홈에 연결되어 상기 레버가 회동 또는 단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부의 높이 조절 장치.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는 상부에 연결홈이 형성되고, 상기 연결홈에는 가이드스프링이 게재된 채 상기 연결선의 일단이 고정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부의 높이 조절 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부는,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상측과 중간에 고정편과 지지편이 각각 외측으로 돌출 형성된 몸체와,
    일측에 수직홀이 형성되고, 선단에 상기 수직홀과 연통되도록 수평홀이 형성되며, 상기 수직홀에 상기 연결선이 관통 체결되어 상기 레버의 회동 또는 복귀에 따라 상기 고정편과 지지편의 사이에서 승강 이동하는 승강편과,
    외측으로부터 상기 수평홀에 체결되어 상기 연결선을 고정하는 단속볼트를 포함하는 좌부의 높이 조절 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부는, 상기 잠금척의 하부에 상기 레버를 복귀시키는 복귀스프링이 상기 잠금키의 하단과 연결되도록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부의 높이 조절 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부는, 상기 피스톤관의 하부 외주면에 길이 방향으로 핀홈이 형성되고, 상기 핀홈에 상기 피스톤부의 회전을 방지하는 회전방지핀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부의 높이 조절 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부는, 상기 압축스프링의 하측에 회전방지편를 설치하여 상기 압축스프링의 신축에 따른 회전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부의 높이 조절 장치.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부는, 상기 외부 파이프의 내측에 형성된 내부파이프, 상기 외부파이프의 하단에 설치된 하부홀더, 상기 하부홀더를 관통한 상기 고정샤프트의 하단을 고정하는 고정너트, 상기 외부파이프의 상단 외측에 결합되어 이물질의 내부 유입을 방지하는 실링캡을 포함하는 좌부의 높이 조절 장치.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부는, 상기 고정샤프트의 상단에 상기 피스톤부의 상승 이탈을 방지하는 걸림턱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부의 높이 조절 장치.
KR1020130127803A 2013-10-25 2013-10-25 좌부의 높이 조절 장치 KR1013669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27803A KR101366905B1 (ko) 2013-10-25 2013-10-25 좌부의 높이 조절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27803A KR101366905B1 (ko) 2013-10-25 2013-10-25 좌부의 높이 조절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66905B1 true KR101366905B1 (ko) 2014-02-25

Family

ID=502718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27803A KR101366905B1 (ko) 2013-10-25 2013-10-25 좌부의 높이 조절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6690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44599B1 (ko) 2016-10-17 2017-06-08 이명아 가변 싯포스트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4491B1 (ko) 2009-11-30 2010-04-22 김춘추 자전거 안장 각도조절장치
KR20130111717A (ko) * 2012-04-02 2013-10-11 이명아 좌부의 높이 조절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4491B1 (ko) 2009-11-30 2010-04-22 김춘추 자전거 안장 각도조절장치
KR20130111717A (ko) * 2012-04-02 2013-10-11 이명아 좌부의 높이 조절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44599B1 (ko) 2016-10-17 2017-06-08 이명아 가변 싯포스트
WO2018074730A1 (ko) * 2016-10-17 2018-04-26 이명아 가변 싯포스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60839B1 (en) Apparatus for adjusting an armrest of an office chair
JP6593971B2 (ja) テーブル付きフィットネスバイク
JP6315872B2 (ja) キャスター及びキャスター付きホワイトボード
CN105476333B (zh) 一种便于调节的儿童餐椅
ITMI20070719A1 (it) Dispositivo di inclinazione per un sedile reclinabile.
ITMI20070348A1 (it) Seggiolino da tavolo con seduta rotante
KR102308370B1 (ko) 이동식 사다리
JP2024026561A (ja) 椅子
KR101366905B1 (ko) 좌부의 높이 조절 장치
US20160037925A1 (en) Seat for training legs
KR20180098479A (ko) 진공청소기 신축파이프
JP4335282B2 (ja) 高低調節可能なテーブル
CN109965473A (zh) 老年人用拐杖
KR102178475B1 (ko) 하중에 의한 자동 잠금기능을 갖는 의자용 캐스터
CN105221063B (zh) 一种组合梯的新型锁定装置
TWM502614U (zh) 自行車用主動式高低可調座管
KR200472055Y1 (ko) 낚시용 의자의 다리구조
KR200215227Y1 (ko) 이동이 가능한 의자 지지발
KR101744599B1 (ko) 가변 싯포스트
JP3209233U (ja) ベッドガード
JP2020058625A (ja) 携帯用歩行補助器
JP3111212U (ja) 物干台およびハンガーラック
WO2021248312A1 (zh) 工作梯的侧向稳定装置
KR102270058B1 (ko) 개선된 작동구조를 갖는 높낮이 조절 테이블
KR102022348B1 (ko) 강의용 책상 다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0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8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