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46788B1 - 자전거 안장각도 조절장치 - Google Patents
자전거 안장각도 조절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946788B1 KR101946788B1 KR1020170160743A KR20170160743A KR101946788B1 KR 101946788 B1 KR101946788 B1 KR 101946788B1 KR 1020170160743 A KR1020170160743 A KR 1020170160743A KR 20170160743 A KR20170160743 A KR 20170160743A KR 101946788 B1 KR101946788 B1 KR 10194678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addle
- bicycle
- fixed
- elastic
- knob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J—CYCLE SADDLES OR SEATS;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O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RTICLE CARRIERS OR CYCLE PROTECTORS
- B62J1/00—Saddles or other seats for cycles; Arrangement thereof; Component parts
- B62J1/02—Saddles resiliently mounted on the frame; Equipment therefor, e.g. springs
- B62J1/04—Saddles capable of swinging about a horizontal pivo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eering Devices For Bicycles And Motorcycles (AREA)
Abstract
자전거 안장각도 조절장치는 고정부, 회전부 및 탄성부를 포함한다. 고정부는 자전거의 몸체에 결합되어 고정된다. 회전부는 자전거의 안장과 일체로 결합되고 고정부와 힌지 결합되어서, 안장이 자전거의 몸체에 고정된 고정부에 대해 회전 가능하도록 형성된다. 탄성부는 외력의 인가 및 제거에 의해 소정의 변형방향으로 변형 및 복원되며, 고정부에 대해 변형방향으로 고정된 제1 단부 및 제1 단부의 반대편에 위치하며 안장에 인가되는 외력의 변화에 따라 변형방향으로 변형되는 제2 단부를 가지며, 안장 위에 탑승한 사용자의 무게중심의 이동에 따라 제2 단부가 변형방향으로 변형되어서 안장각도가 변화된 상태에서 평형을 유지시킨다. 이에 따라, 사용자의 편의성 및 승차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자전거 안장각도 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자전거의 안장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안장각도 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전거는 2륜차의 일종인 교통수단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특히, 최근에는 교통수단 이외에도 운동기구, 여가활동의 수단으로서 이용되고 있고, 환경 친화적이라는 장점도 가진다.
위와 같은 자전거는 전형적으로, 지면에 접촉하여 회전하는 앞바퀴 및 뒷바퀴, 상기 앞바퀴 및 상기 뒷바퀴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며 상기 앞바퀴의 조향을 수행하는 핸들, 상기 핸들과 결합된 프레임 몸체, 상기 뒷바퀴와 체인으로 연결되어 상기 뒷바퀴를 회전시키는 페달 및 상기 프레임 몸체에 결합되어 사용자가 탑승할 수 있는 안장을 포함한다.
이러한 종래의 자전거는, 상기 안장이 상기 프레임에 고정되므로, 사용자의 체형 및 운전 자세에 따라 상기 안장의 각도를 조절하기 어렵고, 따라서 사용자가 자전거를 타고 경사진 지형에서 주행하는 경우 고정된 안장으로 인하여 사용자의 자세가 불편하고 사고 위험이 증가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자전거 안장의 각도를 조절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자전거 안장각도 조절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른 자전거 안장각도 조절장치는, 고정부, 회전부 및 탄성부를 포함한다. 상기 고정부는 자전거의 몸체에 결합되어 고정된다. 상기 회전부는 상기 자전거의 안장과 일체로 결합되고 상기 고정부와 힌지(hinge) 결합되어서, 상기 안장이 상기 자전거의 몸체에 고정된 상기 고정부에 대해 회전 가능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탄성부는 외력의 인가 및 제거에 의해 소정의 변형방향으로 변형 및 복원되며, 상기 고정부에 대해 상기 변형방향으로 고정된 제1 단부 및 상기 제1 단부의 반대편에 위치하며 상기 안장에 인가되는 외력의 변화에 따라 상기 변형방향으로 변형되는 제2 단부를 가지며, 상기 안장 위에 탑승한 사용자의 무게중심의 이동에 따라 상기 제2 단부가 상기 변형방향으로 변형되어서 안장각도가 변화된 상태에서 평형을 유지시킨다.
일 실시예로, 상기 자전거 안장각도 조절장치는 상기 탄성부를 상기 변형방향과 수직인 수직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탄성위치조절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상기 고정부는 고정결합부, 힌지결합부 및 지지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결합부는 상기 자전거의 몸체에 형성된 시트포스트(seat post)와 고정 결합된다. 상기 힌지결합부는 상기 고정결합부의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회전부와 힌지 결합된다. 상기 지지체는 상기 고정결합부의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탄성부를 지지한다.
일 실시예로, 상기 회전부는 하우징(housing) 및 하우징결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은 상기 탄성부를 수용한다. 상기 하우징결합부는 상기 하우징의 외측에서 상기 안장과 고정 결합되며, 상기 고정부와 힌지 결합된다.
상기 탄성부는 제1 노브(knob) 및 제2 노브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고정부의 지지체에는 제1 개구부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회전부의 하우징에는 제2 개구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노브는 상기 제1 단부에 대응하여 형성되고, 상기 제2 노브는 상기 제2 단부에 대응하여 형성된다. 상기 제1 개구부는 상기 지지체의 적어도 일측에 상기 제1 노브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위치한다. 상기 제2 개구부는 상기 하우징의 적어도 일측에 상기 제2 노브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위치한다. 상기 제2 단부는 상기 안장이 전방으로 경사짐에 따라 외부로 노출된 상기 제2 노브에 인가되는 외력에 의해 변형된다.
예를 들면, 상기 탄성부는 상기 제1 및 제2 노브들에 의해 상기 변형방향과 수직인 수직방향으로 이동 가능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상기 탄성부의 제2 단부는 상기 안장이 전방으로 경사짐에 따라 상기 회전부에 접촉하여 인가되는 외력에 의해 변형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의 무게중심의 이동에 따라 탄성부의 일 단부가 변형방향으로 변형되어서 안장각도가 변화된 상태에서 평형을 유지시키므로, 오르막 혹은 내리막에서 사용자가 균형을 잡기 위해 상체를 앞으로 숙이는 동작만으로 안장각도가 설정된 크기만큼 하방으로 증가하게 되므로, 사용자가 용이하게 안장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탄성위치조절부를 더 구비하는 경우, 보다 다양한 각도로 안장각도를 조절할 수 있으며, 여러 사용자가 서로 체형이 다르더라도 각 사용자에게 최적화된 안장각도로 변화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오르막 혹은 내리막이 아니더라도 지형의 특성에 따라 사용자의 무게중심이 이동하는 경우, 균형을 유지하도록 실시간으로 안장각도가 변화되므로, 사용자의 편의성 및 승차감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자전거 안장각도 조절장치를 나타낸 분해 측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자전거 안장각도 조절장치의 내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자전거 안장각도 조절장치의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2는 도 1의 자전거 안장각도 조절장치의 내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자전거 안장각도 조절장치의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 요소는 제2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 요소도 제1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자전거 안장각도 조절장치를 나타낸 분해 측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자전거 안장각도 조절장치의 내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른 자전거 안장각도 조절장치(100)는, 고정부(110), 회전부(120) 및 탄성부(130)를 포함한다.
상기 고정부(110)는 자전거의 몸체(BD)에 결합되어 고정된다. 예를 들면, 상기 고정부(110)는 상기 자전거의 몸체(BD)에 형성된 시트포스트(seat post)(SP)와 결합된다. 일반적으로, 상기 시트포스트(SP)는 안장(SD)과 직접 결합되지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전거 안장각도 조절장치(100)는 상기 시트포스트(SP) 및 상기 안장(SD)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시트포스트(SP) 및 상기 안장(SD)과 결합된다.
일 실시예로, 상기 고정부(110)는 고정결합부(112), 힌지(hinge)결합부(114) 및 지지체(116)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결합부(112)는 상기 자전거의 몸체(BD)에 형성된 시트포스트(SP)와 고정 결합된다. 예를 들면, 상기 고정결합부(112)는 하단부에서 상기 시트포스트(SP)와 나사 결합 등의 방식으로 고정되어 결합될 수 있고, 상단부는 플랫(flat)한 평면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힌지결합부(114)는 상기 고정결합부(112)의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회전부(120)와 힌지 결합된다. 예를 들면, 상기 힌지결합부(114)는 상기 고정결합부(112)의 상단부로부터 돌출되어 상부로 연장될 수 있고, 상기 회전부(120)와 힌지 결합되어서 상기 고정부(110)가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는 동안 상기 고정부(110)에 상대적으로 상기 회전부(120)가 회전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지지체(116)은 상기 고정결합부(112)의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탄성부(130)를 지지할 수 있다.
상기 회전부(120)는 상기 자전거의 안장(SD)과 일체로 결합되고 상기 고정부(110)와 힌지 결합되어서, 상기 안장(SD)이 상기 자전거의 몸체(BD)에 고정된 상기 고정부(110)에 대해 회전 가능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회전부(120)는 상기 자전거의 안장(SD)과 일체로 결합되어서 상기 안장(SD)이 회전할 때 함께 회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전부(120)는 상기 고정부(110)와 힌지 결합되어서 상기 고정부(110)가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는 동안 상기 고정부(110)에 상대적으로 상기 안장(SD)이 회전할 수 있도록 한다.
일 실시예로, 상기 회전부(120)는 하우징(housing)(122) 및 하우징결합부(12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122)은 상기 탄성부(130)를 수용한다. 또한, 상기 하우징(122)은 상기 고정부(110)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122)은 상기 고정부(110)의 힌지결합부(114)의 적어도 일부 및 상기 고정부(110)의 지지체(116)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결합부(124)는 상기 하우징(122)의 외측에서 상기 안장(SD)과 고정 결합되며, 상기 고정부(110)와 힌지 결합된다. 예를 들면, 상기 하우징결합부(124)는 상기 하우징(122)의 양측에 복수로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안장(SD)의 안장시트(seat)(SDa) 하부에 형성된 안장바(bar)(SDb)가 관통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결합부(124)는 상기 안장(SD)과는 고정 결합되어서 상기 회전부(120)가 상기 안장(SD)의 회전과 일체로 회전될 수 있고, 상기 고정부(110)와 힌지 결합되어서 상기 고정부(110)가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는 동안 상기 고정부(110)에 상대적으로 상기 안장(SD) 및 상기 회전부(120)가 회전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탄성부(130)는 외력의 인가 및 제거에 의해 소정의 변형방향(D1)으로 변형 및 복원된다. 즉, 상기 탄성부(130)는 소정의 탄성계수를 갖는 탄성체(136)를 포함하여, 외력에 따라 변형될 수 있다. 도 2에서, 상기 탄성부(130)는 코일 스프링을 일 예로 도시하지만, 탄성계수를 갖는 다른 구성으로 대체가 가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판 스프링과 같은 다른 형태의 스프링이나, 고무와 같은 고분자 화합물로 이루어진 탄성체도 가능할 수 있다.
상기 탄성부(130)는 상기 고정부(110)에 대해 상기 변형방향(D1)으로 고정된 제1 단부(132) 및 상기 제1 단부(132)의 반대편에 위치하며 상기 안장(SD)에 인가되는 외력의 변화에 따라 상기 변형방향(D1)으로 변형되는 제2 단부(134)를 갖는다. 즉, 상기 탄성부(130)의 상기 제1 단부(132)에서는 상기 고정부(110)에 의해 상기 변형방향(D1)에 대해 이동이 없는 반면, 상기 탄성부(130)의 상기 제2 단부(134)에서는 외력에 의해 상기 변형방향(D1)에 대해 이동이 발생한다.
상기 탄성부(130)는 상기 안장(SD) 위에 탑승한 사용자의 무게중심의 이동에 따라 상기 제2 단부(134)가 상기 변형방향(D1)으로 변형되어서 안장각도가 변화된 상태에서 평형을 유지시킨다.
도 3은 도 1의 자전거 안장각도 조절장치의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로, 점 O는 상기 고정부(110) 및 상기 회전부(120)가 결합된 힌지 결합의 회전중심이고, 선 S1 및 S2는 각각 상기 안장(SD)의 최초 수평라인 및 무게중심의 이동에 따른 회전 후 수평라인이다. 상기 점 A는 사용자가 전방으로 무게중심을 이동시킬 때 이동된 무게중심이 작용하는 무게중심 작용점으로 사용자의 무게 W가 작용하며(수학식 1), 상기 점 B1은 상기 탄성부(130)의 제2 단부(134)에 대응되는 복원력 F의 작용점인데(수학식 2), l은 상기 힌지 결합의 회전중심(O)으로부터 상기 점 B1(복원력 작용점)까지의 작용거리이다. 이때, θ가 충분히 작은 경우에는 B2에서 작용하는 것으로 고려하여도 무방하다. 변위량 x는 점 O를 중심으로 상기 안장(SD)이 회전함으로써 압축된 상기 탄성부(130)의 제2 단부(134)의 변위량이다. 이때, θ는 상기 안장(SD)이 회전된 안장각도에 해당하며, 상기 안장각도는 대략 0도 내지 10도의 범위에서 형성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 대략 4도 내지 6도의 범위에서 형성될 수 있다.
(M은 사용자의 질량, g는 중력가속도)
(k는 탄성체의 탄성계수)
도 3에 나타난 자유물체도(free-body-diagram)로부터 힘과 모멘트에 관한 평형방정식은 아래 수학식 3(x축에 대한 힘) 및 수학식 4(점 O에서의 모멘트)와 같이 정리할 수 있으며, 상기 안장각도(θ)가 상기한 범위와 같이 충분히 작은 경우, sinθ≒tanθ≒θ로 근사화할 수도 있다.
수학식 3 및 4를 정리하여, 평형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상기 탄성부(130)가 위치할 상기 작용거리(l)을 산출하면 수학식 5와 같다.
수학식 5를 이용하면, 사용자의 체중(M), 무게중심의 이동거리(L), 원하는 안장각도(θ) 등을 알면 상기 사용자에게 최적화된 상기 탄성부(130)의 탄성계수(k) 및 상기 작용거리(l)를 설계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상기 자전거 안장각도 조절장치(100)는 상기 탄성부(130)를 상기 변형방향(D1)과 수직인 수직방향(D2)으로 이동시키는 탄성위치조절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파라미터들(M, L, θ)을 일반적인 사용자에 적용하여 그 범위를 산출하고 상기 탄성계수(k)를 적절히 설정하면, 상기 작용거리(l)의 범위를 구할 수 있고, 상기 작용거리(l)의 범위에 따라 적어도 2단계 이상의 조절 단계를 갖는 상기 탄성위치조절부를 설계할 수 있다.
상기 탄성위치조절부는 상기 고정부(110), 상기 회전부(120) 및 상기 탄성부(130) 중 적어도 하나에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상기 탄성부(130)는 제1 노브(knob)(132a) 및 제2 노브(134a)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고정부(110)의 지지체(116)에는 제1 개구부(116a)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회전부(120)의 하우징(122)에는 제2 개구부(122a)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노브(132a)는 상기 제1 단부(132)에 대응하여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제2 노브(134a)는 상기 제2 단부(134)에 대응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개구부(116a)는 상기 지지체(116)의 적어도 일측에 상기 제1 노브(132a)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위치할 수 있으며, 상기 제2 개구부(122a)는 상기 하우징(122)의 적어도 일측에 상기 제2 노브(134a)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위치할 수 있다.
도 2에서, 상기 제1 노브(132a)는 상기 제1 단부(132)의 양측에 형성되고, 상기 제1 개구부(116a)는 상기 지지체(116)의 양측에 형성되는데, 도면 상에서는 정면에서 보이는 제1 개구부(116a) 및 제1 노브(132a)만 도시되어 있다. 또한, 도 2에서, 상기 제2 노브(134a)는 상기 제2 단부(134)의 양측에 형성되고, 상기 제2 개구부(122a)는 상기 하우징(122)의 양측에 형성되는데, 도면 상에서는 상기 하우징(122)을 절개하여 나타난 배면 측의 제2 개구부(122a) 및 정면에서 보이는 제2 노브(134a)만 도시되어 있다.
상기 탄성부(130)는 상기 제1 및 제2 노브들(132a, 134a)에 의해 상기 변형방향(D1)과 수직인 수직방향(D2)으로 이동 가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2 단부(134)는 상기 안장(SD)이 전방으로 경사짐에 따라 외부로 노출된 상기 제2 노브(134a)에 인가되는 외력에 의해 변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가 오르막 혹은 내리막에서 무게중심을 전방으로 이동시킬 때,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안장각도(θ)에서 힘의 평형이 이루어지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안장(SD)이 전방으로 경사진다.
이때, 상기 고정부(110)는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회전부(120)가 회전하게 되고, 상기 회전부(120)의 회전에도 불구하고 상기 탄성부(130)의 상기 제1 단부(132)는 고정되어 있다. 반면, 상기 탄성부(130)의 상기 제2 단부(134)는 상기 제2 노브(134a)에서 상기 변형방향(D1)의 반대방향(-D1 방향)으로 외력을 받게 되고, 이에 상응하는 변위량(x)만큼 압축되어 복원력(F)이 상기 변형방향(D1)으로 작용한다.
상기 복원력(F)이 작용하는 크기는 상기 변위량(x)에 비례하므로, 앞선 수학식 3 및 4를 충족시키는 변위량(x)에 도달할 때 힘의 평형이 이루어지며 상기 안장각도(θ)에서 힘의 평형이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상기 탄성부(130)의 제2 단부(134)는 상기 안장(SD)이 전방으로 경사짐에 따라 상기 회전부(120)에 접촉하여 인가되는 외력에 의해 변형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에서, 상기 제2 단부(134)가 상기 회전부(120)에 접촉하는 구성은 상기 제2 노브(122b)가 담당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접촉 구성을 통해 본 발명의 원리를 구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접촉 구성은 상기 제2 단부(134)의 상면일 수 있고, 상기 상면이 상기 하우징(122)의 상부와 접촉함에 의해 본 발명의 원리를 구현할 수도 있다.
한편 도 2에서, 상기 제1 및 제2 노브들(132a, 134a)은 원통형 형상을 갖지만, 다른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1 및 제2 노브들(132a, 134a)에 작용하는 힘에 대한 내구성을 증가시키기 위한 납작한 형상을 가질 수도 있으며, 볼트 체결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자전거 안장각도 조절장치에 따르면, 사용자의 무게중심의 이동에 따라 탄성부의 일 단부가 변형방향으로 변형되어서 안장각도가 변화된 상태에서 평형을 유지시키므로, 오르막 혹은 내리막에서 사용자가 균형을 잡기 위해 상체를 앞으로 숙이는 동작만으로 안장각도가 설정된 크기만큼 하방으로 증가하게 되므로, 사용자가 용이하게 안장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탄성위치조절부를 더 구비하는 경우, 보다 다양한 각도로 안장각도를 조절할 수 있으며, 여러 사용자가 서로 체형이 다르더라도 각 사용자에게 최적화된 안장각도로 변화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오르막 혹은 내리막이 아니더라도 지형의 특성에 따라 사용자의 무게중심이 이동하는 경우, 균형을 유지하도록 실시간으로 안장각도가 변화되므로, 사용자의 편의성 및 승차감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전술한 설명 및 아래의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한정하는 것이 아닌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자전거 안장각도 조절장치 110 : 고정부
120 : 회전부 130 : 탄성부
120 : 회전부 130 : 탄성부
Claims (7)
- 자전거의 몸체에 결합되어 고정되는 고정부;
상기 자전거의 안장과 일체로 결합되고 상기 고정부와 힌지(hinge) 결합되어서, 상기 안장이 상기 자전거의 몸체에 고정된 상기 고정부에 대해 회전 가능하도록 형성된 회전부; 및
외력의 인가 및 제거에 의해 소정의 변형방향으로 변형 및 복원되며, 상기 고정부에 대해 상기 변형방향으로 고정된 제1 단부 및 상기 제1 단부의 반대편에 위치하며 상기 안장에 인가되는 외력의 변화에 따라 상기 변형방향으로 변형되는 제2 단부를 가지며, 상기 안장 위에 탑승한 사용자의 무게중심의 이동에 따라 상기 제2 단부가 상기 변형방향으로 변형되어서 안장각도가 변화된 상태에서 평형을 유지시키는 탄성부;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는,
상기 자전거의 몸체에 형성된 시트포스트(seat post)와 고정 결합되는 고정결합부;
상기 고정결합부의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회전부와 힌지 결합되는 힌지결합부; 및
상기 고정결합부의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탄성부를 지지하는 지지체;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부는,
상기 탄성부를 수용하는 하우징(housing); 및
상기 하우징의 외측에서 상기 안장과 고정 결합되며, 상기 고정부와 힌지 결합되는 하우징결합부;를 포함하며,
상기 탄성부는,
상기 제1 단부에 대응하여 형성된 제1 노브(knob); 및
상기 제2 단부에 대응하여 형성된 제2 노브;를 더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의 지지체에는,
적어도 일측에 상기 제1 노브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위치한 제1 개구부가 형성되고,
상기 회전부의 하우징에는,
적어도 일측에 상기 제2 노브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위치한 제2 개구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2 단부는 상기 안장이 전방으로 경사짐에 따라 외부로 노출된 상기 제2 노브에 인가되는 외력에 의해 변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 안장각도 조절장치. - 자전거의 몸체에 결합되어 고정되는 고정부;
상기 자전거의 안장과 일체로 결합되고 상기 고정부와 힌지(hinge) 결합되어서, 상기 안장이 상기 자전거의 몸체에 고정된 상기 고정부에 대해 회전 가능하도록 형성된 회전부; 및
외력의 인가 및 제거에 의해 소정의 변형방향으로 변형 및 복원되며, 상기 고정부에 대해 상기 변형방향으로 고정된 제1 단부 및 상기 제1 단부의 반대편에 위치하며 상기 안장에 인가되는 외력의 변화에 따라 상기 변형방향으로 변형되는 제2 단부를 가지며, 상기 안장 위에 탑승한 사용자의 무게중심의 이동에 따라 상기 제2 단부가 상기 변형방향으로 변형되어서 안장각도가 변화된 상태에서 평형을 유지시키는 탄성부;를 포함하고,
상기 탄성부를 상기 변형방향과 수직인 수직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탄성위치조절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탄성위치조절부는,
상기 탄성부의 제1 단부에 대응하여 형성된 제1 노브; 및
상기 탄성부의 제2 단부에 대응하여 형성된 제2 노브;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에는 상기 제1 노브가 노출되도록 제1 개구부가 형성되고, 상기 회전부에는 상기 제2 노브가 노출되도록 제2 개구부가 형성되며,
상기 탄성부는 상기 제1 및 제2 노브들에 의해 상기 수직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며,
상기 제2 단부는 상기 안장이 전방으로 경사짐에 따라 외부로 노출된 상기 제2 노브에 인가되는 외력에 의해 상기 변형방향으로 변형되어서 상기 안장각도가 변화된 상태에서 평형이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 안장각도 조절장치.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자전거의 몸체에 형성된 시트포스트(seat post)와 고정 결합되는 고정결합부;
상기 고정결합부의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회전부와 힌지 결합되는 힌지결합부; 및
상기 고정결합부의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탄성부를 지지하는 지지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 안장각도 조절장치.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는,
상기 탄성부를 수용하는 하우징(housing); 및
상기 하우징의 외측에서 상기 안장과 고정 결합되며, 상기 고정부와 힌지 결합되는 하우징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 안장각도 조절장치.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는, 상기 제1 및 제2 노브들에 의해 상기 변형방향과 수직인 수직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 안장각도 조절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의 제2 단부는 상기 안장이 전방으로 경사짐에 따라 상기 회전부에 접촉하여 인가되는 외력에 의해 변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 안장각도 조절장치.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PCT/KR2017/013718 WO2019107582A1 (ko) | 2017-11-28 | 2017-11-28 | 자전거 안장각도 조절장치 |
KR1020170160743A KR101946788B1 (ko) | 2017-11-28 | 2017-11-28 | 자전거 안장각도 조절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160743A KR101946788B1 (ko) | 2017-11-28 | 2017-11-28 | 자전거 안장각도 조절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946788B1 true KR101946788B1 (ko) | 2019-02-12 |
Family
ID=653691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160743A KR101946788B1 (ko) | 2017-11-28 | 2017-11-28 | 자전거 안장각도 조절장치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KR (1) | KR101946788B1 (ko) |
WO (1) | WO2019107582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172857B1 (ko) | 2019-02-01 | 2020-11-02 | 주식회사 크리벤 | 자전거 안장각도 조절장치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954491B1 (ko) * | 2009-11-30 | 2010-04-22 | 김춘추 | 자전거 안장 각도조절장치 |
KR20110030915A (ko) * | 2009-09-18 | 2011-03-24 | 송정현 | 자전거용 안장 조립체 |
KR101044998B1 (ko) * | 2009-08-07 | 2011-06-29 | 이호형 | 자전거안장 |
KR20150084508A (ko) * | 2014-01-14 | 2015-07-22 | 정운섭 | 자전거 안장 |
KR101554112B1 (ko) * | 2014-11-24 | 2015-09-17 | (주)지우이노베이션 | 자전거 안장 및 이를 포함하는 자전거 |
Family Cites Familie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EP2995537A1 (en) * | 2014-09-04 | 2016-03-16 | FAP S.r.l. | Device for supporting and anchoring the seat to the frame of bicycles and light two-wheel vehicles |
-
2017
- 2017-11-28 KR KR1020170160743A patent/KR101946788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7-11-28 WO PCT/KR2017/013718 patent/WO2019107582A1/ko active Application Filing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044998B1 (ko) * | 2009-08-07 | 2011-06-29 | 이호형 | 자전거안장 |
KR20110030915A (ko) * | 2009-09-18 | 2011-03-24 | 송정현 | 자전거용 안장 조립체 |
KR100954491B1 (ko) * | 2009-11-30 | 2010-04-22 | 김춘추 | 자전거 안장 각도조절장치 |
KR20150084508A (ko) * | 2014-01-14 | 2015-07-22 | 정운섭 | 자전거 안장 |
KR101554112B1 (ko) * | 2014-11-24 | 2015-09-17 | (주)지우이노베이션 | 자전거 안장 및 이를 포함하는 자전거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WO2019107582A1 (ko) | 2019-06-0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1511825B2 (en) | Suspension handlebar assembly and stem for bicycle | |
US20100327561A1 (en) | Stroller and support-frame adjusting device | |
US20050045794A1 (en) | Support console with pivotable support plate | |
JP4551901B2 (ja) | 補助輪取付部材およびサスペンション取付部材 | |
US20060166792A1 (en) | Elevational adjusting device of exercise bicycle | |
US6565105B2 (en) | Frame for an electric scooter | |
TW200911613A (en) | Reach adjustment for a handlebar-mounted lever assembly | |
KR101946788B1 (ko) | 자전거 안장각도 조절장치 | |
US6981710B2 (en) | Wheel assembly for skateboard | |
US5140867A (en) | Vibration suppressor for handlebars | |
US10870459B2 (en) | Learning aid for central wheel structure auto-balancing device and auto-balancing device having same | |
KR20210104561A (ko) | 측면 이동 자유도를 갖는 실내 바이크 거치대 | |
US20020121757A1 (en) | Transformable twist scooter | |
US9586607B2 (en) | Stroller with a dual spring rear suspension | |
CN112334113B (zh) | 转向机构以及具备其的轮椅 | |
US20140327224A1 (en) | Unicycle with inner leg supports | |
US20060130606A1 (en) | Handlebar shock absorbing system for bicycles | |
CN209738973U (zh) | 一种车载摄像头的抗震支架 | |
US20060061022A1 (en) | Shock-absorbing device for wheeled vehicle | |
US9409616B2 (en) | Riding vehicle with self-correcting steering | |
JPH09109972A (ja) | 自転車用サスペンション装置 | |
EP0668209A1 (en) | Bicycle frame of adjustable geometry | |
KR101902284B1 (ko) | 여러 단계로 각도 조절이 가능한 자전거 핸들 | |
CN209757377U (zh) | 骑行组件及组合车 | |
KR101954879B1 (ko) | 가변형 자전거 핸들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