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42015B1 - 일반 및 레저 겸용 자전거 - Google Patents

일반 및 레저 겸용 자전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42015B1
KR101742015B1 KR1020150042332A KR20150042332A KR101742015B1 KR 101742015 B1 KR101742015 B1 KR 101742015B1 KR 1020150042332 A KR1020150042332 A KR 1020150042332A KR 20150042332 A KR20150042332 A KR 20150042332A KR 101742015 B1 KR101742015 B1 KR 1017420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post
handle post
movement
leis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423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15174A (ko
Inventor
정성길
Original Assignee
정성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성길 filed Critical 정성길
Priority to KR10201500423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42015B1/ko
Publication of KR201601151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151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420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420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19/00Cycle fram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19/00Cycle frames
    • B62K19/30Frame parts shaped to receive other cycle parts or accesso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eering Devices For Bicycles And Motorcy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어 크랭크와 패달이 하부에 장착된 안장포스트와 연결된 프레임 전방의 높낮이를 조절함으로써 바이커가 안장에 앉을 때 자세가 변형되게 하고 패달을 밟은 자세를 변화시켜서 주행용으로 또는 레저용으로 겸용하여 사용할 수 있게 하는 일반 및 레저 겸용 자전거에 관한 것으로, 상기 프레임과 핸들포스트를 결합시키되 상기 프레임의 전방에 승하강부재를 구비하여 상기 핸들포스트와 결합되게 함으로써 상기 프레임의 전방이 상기 핸들포스트의 상하방향으로 승하강하도록 결합되게 한다.

Description

일반 및 레저 겸용 자전거{Bicycle for both general and leisure}
본 발명은 일반 및 레저 겸용 자전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안장포스트와 연결된 프레임의 전방의 높낮이를 조절함으로써 일반용으로 또는 레저용으로 겸용하여 사용할 수 있게 하는 일반 및 레저 겸용 자전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전거는 도로를 보다 편리하고 빠르게 이동하기 위한 교통수단의 하나이며, 이는 최근 건강 등의 목적으로 운동 또는 취미용으로 이용되고 있다.
즉, 자전거는 일반적으로 가까운 거리로 이동하기 위해 타고 다니는 형태 이외에 산악용, 주행용, 묘기용 등의 레이저용으로 다양한 형태들이 출시되고 있다.
그리고, 상기 자전거의 프레임은, 일반적인 이동용의 형태에 있어서, 종래에는, 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29019호 및 제20-0436243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상단에 조향 핸들 연결체가 연결되고 하단에 앞바퀴 회전연결체가 연결된 핸들포스트와, 상단에 안장연결체가 연결되고 하단에 패달이 구비된 체인구동체가 연결된 안장포스트와, 상기 핸들포스트와 안장포스트를 연결하여 지지하게 되는 프레임과, 뒷바퀴 회전연결체와 안장포스트를 연결하여 지지하게 되는 시트스테이 및 체인스테이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여기서, 상기의 종래 자전거에 있어서는 프레임이 안장포스트에는 견고하게 장착되어 있고 핸들포스트에는 핸들의 조향을 위해서 좌우로 회동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프레임이 장착되는 형태에 따라서 그리고 바이커가 패달을 밟을 때 가해지는 힘의 정도에 따라서, 일반적으로 타고 다니는 형태나 산악, 주행, 묘기 등의 레저용 형태로 구분될 수 있으며, 이때에는 각 형태에 따라서 그에 맞는 자전거가 이용되고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즉, 일반적인 이동용으로만 이용되는 자전거를 타고 다니는 바이커가 그를 산악용으로 이용하고자 할 경우에는 산악 등반을 할 수 있을 만큼 패달에 가해지는 힘이 부족하기 때문에, 그 자전거로는 불가능하고, 별도로 산악용 자전거를 구입해야 하며, 이때는 다수 대의 자전거를 구입해야 하기 때문에 그에 따른 비용 측면에서나 보관 공간 측면에서 상당히 불리한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그리고, 종래의 자전거에는 핸들포스트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게 함으로써 바이커의 신체 상황에 대응하여 핸들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게 하고 있지만, 이는 단지 신체의 크기에 따라 변화시켜 사용하는 것일 뿐, 패달에 가해지는 힘을 달리함으로써 하나의 자전거를 통해서 일반용이든 레저용이든 다양한 형태로 이용하기에는 한계가 있었다.
[선행기술문헌]
1. 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29019호(2006년 10월 11일)
2. 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36243호(2007년 07월 03일)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기어 크랭크와 패달이 하부에 장착된 안장포스트와 연결된 프레임의 전방의 높낮이를 조절함으로써 바이커가 안장에 앉을 때 자세가 변형되게 하고 패달을 밟은 자세를 변화시켜서 일반용으로 또는 레저용으로 겸용하여 사용할 수 있게 하는 일반 및 레저 겸용 자전거에 관한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성취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장포스트와 연결된 프레임 전방의 높낮이를 조절함으로써 바이커가 안장에 앉을 때 자세가 변형되게 하고 페달을 밟은 자세를 변화시켜서 일반용으로 또는 레저용으로 겸용하여 사용할 수 있게 하는 일반 및 레저 겸용 자전거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과 핸들포스트를 결합시키되 상기 프레임의 전방에 승하강부재를 구비하여 상기 핸들포스트와 결합되게 함으로써 상기 프레임의 전방이 상기 핸들포스트의 상하방향으로 승하강하도록 결합되게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승하강부재는, 상기 핸들포스트에 대응되는 이동유도공을 구비하여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장착되되, 죔작용을 통해서 이동이 제어되도록 양단부에 이동제어틈과 이동제어핀을 구비하고 있는 이동편과, 상기 이동편의 후방에 장착되어서 상기 프레임이 탈착가능하게 장착되게 하는 연결편과, 상기 프레임의 전방에 장착되어서 볼트를 통해 상기 연결편과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부재와, 상기 결합부재의 후방으로 돌출형성된 받침판의 상부에 고정설치된 스템과, 상기 프레임의 전방에 장착되어서 상기 스템이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되게 하는 헤드튜브로 이루어져서, 바이커에 의한 핸들의 조작 방향에 따라서 자전거가 이동될 수 있도록 하는 조향장치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승하강부재의 상하 이동은 상기 핸들포스트의 상부 및 하부 각각에 구비된 이동저지편을 통해서 저지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핸들포스트의 상부에 구비된 이동저지편은, 이동편의 이동유도공과 대응되는 삽입공을 구비하고 상기 삽입공으로 상기 핸들포스트의 상단부가 삽입되게 하고, 상기 이동저지편과 상기 핸들포스트에 형성된 결합공으로 고정핀이 삽입되게 함으로써 결합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핸들포스트에는, 앞바퀴에서 발생된 충격이 핸들 및 상기 프레임으로 전달되지 않도록 완화시켜주는 쇽업쇼바가 구비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일반 및 레저 겸용 자전거를 이용하게 되면,
안장포스트와 연결된 프레임 전방의 높낮이를 조절함으로써 그리고 바이커가 안장에 앉을 때 자세가 변형되게 하고 패달을 밟은 자세를 변화시킬 수 있게 하여, 일반용으로 또는 레저용으로 겸용하여 사용할 수 있게 함으로써,
각 용도에 맞게 여러 대의 자전거를 구입할 필요없이 단지 한 대의 자전거만을 이용하여 일반용 또는 레저용으로 이용할 수 있어 경제적인 측면에서 비용을 절약할 수 있게 하며, 자전거 보관을 위한 공간적인 측면에서는 넓은 공간을 필요치 않으므로 공간의 큰 제약을 받지 않게 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일반 및 레저 겸용 자전거를 보인 결합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일반 및 레저 겸용 자전거를 보인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일반 및 레저 겸용 자전거를 보인 결합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일반 및 레저 겸용 자전거에서 핸들의 조향상태를 보인 평면도.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일반 및 레저 겸용 자전거의 실시상태를 보인 도면.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일반 및 레저 겸용 자전거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 또는 부품들은 가능한 동일한 참조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일반 및 레저 겸용 자전거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어 크랭크(8)와 패달(7)이 하부에 장착된 안장포스트(5)와 연결된 프레임(1)의 전방의 높낮이를 조절함으로써 바이커가 안장(6)에 앉을 때 자세가 변형되게 하고 패달(7)을 밟은 자세를 변화시켜서 일반용으로 또는 레저용으로 겸용하여 사용할 수 있게 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자전거에 있어서는, 프레임(1)과 핸들포스트(2)를 결합시키되,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1)의 전방에 승하강부재(100)를 구비하여 핸들포스트(2)와 결합되게 함으로써 프레임(1)의 전방이 핸들포스트(2)의 상하방향으로 승하강하도록 결합되게 하였다.
따라서,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승하강부재(100)를 승하강시킴으로서 프레임(1)의 전방을 승하강되게 하여 자건거를 일반용 또는 레저용으로 상황에 맞게 적절하게 변형하여 사용할 수 있게 하는 일을 가능하게 하였으며,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상기 승하강부재(100)는, 상술된 바와 같이 프레임(1)의 전방을 핸들포스트(2)를 따라 상하부로 승하강될 수 있게 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이동편(10), 연결편(20), 결합부재(30) 및 조향장치(40)로 구성된다.
상기 이동편(10)은 핸들포스트(2)에 대응되는 이동유도공(11)을 구비하여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장착되되, 죔작용을 통해서 이동이 제어되도록 양단부에 이동제어틈(12)과 이동제어핀(13)을 구비하고 있다.
따라서, 상기 이동편(10)이 핸들포스트(2)의 상부로 이동시키고자 할 경우에는 이동제어핀(13)을 풀고 이동제어틈(12)이 벌어지게 하여 이동유도공(11)을 헐거워지게 함으로써 이루어지게 한 후, 이동제어핀(13)을 다시 잠궈서 이동유도공(11)이 핸들포스트(2)의 측면에 밀착결합되게 하면된다.
비록 본 발명에서는, 상기 이동편(10)의 이동유도공(11)이 두 개로 구성된 핸들포스트(2)에 대응하여 두 개로 구성하고 있지만, 제조자와 바이커의 의도에 따라 다수 개로 구성되게 하는 일이 가능하다.
상기 연결편(20)은 이동편(10)의 후방에 장착되어서 다음의 결합부재(30)와 결합하여 프레임(1)이 탈착가능하게 장착되게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결합부재(30)는 프레임(1)의 전방에 장착되어서 볼트(31)를 통해 상술한 바와 같이 연결편(20)과 탈착가능하게 결합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연결편(20)이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부재(30)의 수용홈(33)에 수용되어서 볼트(31)를 통해 결합되는 것으로 하였으나, 연결편(20)과 결합부재(30)가 결합되는 다양한 형태가 실시가능한 것으로 이해되어져야 할 것이다.
상기 조향장치(4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이커에 의한 핸들(3)의 조작 방향에 따라서 자전거가 이동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결합부재(30)의 후방으로 돌출형성된 받침판(32)의 상부에 고정설치된 스템(42)과, 프레임(1)의 전방에 장착되어서 상기 스템(42)이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되게 하는 헤드튜브(44)로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은 조향장치(40)는 자전거나 오토바이에서 일반적으로 행해지고 있는 것과 유사한 것으로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상기 승하강부재(100)의 상하 이동이 핸들포스트(2)의 상부 및 하부 각각에 구비된 이동저지편(50)을 통해서 저지되게 함으로써, 적정 거리에서 이동이 제한되게 하였다.
그리고, 상기 핸들포스트(2)의 상부에 구비된 이동저지편(50)은, 이동편(10)의 이동유도공(11)과 대응되는 삽입공(51)을 구비하고 상기 삽입공(51)으로 핸들포스트(2)의 상단부가 삽입되게 하고, 상기 이동저지편(50)과 핸들포스트(2)에 형성된 결합공(52)으로 고정핀(53)이 삽입되게 함으로써 결합되게 하였다.
한편, 상기 핸들포스트(2)에는, 앞바퀴(4)에서 발생된 충격이 핸들 및 상기 프레임(1)으로 전달되지 않도록 완화시켜주는 쇽업쇼바(60)가 구비되게 하였다.
본 발명에서는 쇽업쇼바(60)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간단하게 스프링으로 이루어지게 하였지만, 유압실린더와 같은 다양한 형태가 이루어지게 하는 일이 가능하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일반 및 레저 겸용 자전거에 대한 실시상태를 도 5 및 도 6을 통해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바이커는 자전거를 평상시에 일반용으로 사용하고자 할 경우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하강부재(100)를 통해 프레임(1)의 전방부를 높여서 패달(7)이 안장(6)보다 전방으로 이동되게 하여 안정감 있고 편안하게 패달(7)을 밟을 수 있게 하였다.
이렇게 자전거를 일반용으로 이용하다가 레저용, 즉 산악 자전거 등으로 이용하고자 할 경우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하강부재(100)를 통해 프레임(1)의 전방부를 적정 높이로 낮추고서, 패달(7)이 후방으로 이동되게 하여 바이커가 패달(7)을 밟을 때 무게중심이 안정적이면서 역동적으로 수직 힘이 가해질 수 있게 하였다.
상술 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들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 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할 것이다.
1: 프레임 2: 핸들포스트
3: 핸들 4: 앞바퀴
5: 안장포스트 6: 안장
7: 패달 8: 기어 크랭크
10: 이동편 11: 이동유도공
12: 이동제어틈 13: 이동제어핀
20: 연결편
30: 결합부재 31: 볼트
32: 받침판 33: 수용홈
40: 조향장치 42: 스템
44: 헤드튜브
50: 이동저지편 51: 삽입공
52: 결합공 53: 고정핀
60: 쇽업쇼바
100: 승하강부재

Claims (5)

  1. 삭제
  2. 프레임(1)과 핸들포스트(2)를 결합시키되 상기 프레임(1)의 전방에 승하강부재(100)를 구비하여 상기 핸들포스트(2)와 결합되게 함으로써 상기 프레임(1)의 전방이 상기 핸들포스트(2)의 상하방향으로 승하강하도록 결합되되 안장포스트(5)와 연결된 프레임(1) 전방의 높낮이를 조절함으로써 바이커가 안장(6)에 앉을 때 자세가 변형되게 하고 페달(7)을 밟은 자세를 변화시켜서 주행용으로 또는 레저용으로 겸용하여 사용할 수 있게 하는 일반 및 레저 겸용 자전거에 있어서,
    상기 승하강부재(100)는,
    상기 핸들포스트(2)에 대응되는 이동유도공(11)을 구비하여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장착되되, 죔작용을 통해서 이동이 제어되도록 양단부에 이동제어틈(12)과 이동제어핀(13)을 구비하고 있는 이동편(10)과,
    상기 이동편(10)의 후방에 장착되어서 상기 프레임(1)이 탈착가능하게 장착되게 하는 연결편(20)과,
    상기 프레임(1)의 전방에 장착되어서 볼트(31)를 통해 상기 연결편(20)과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부재(30)와,
    상기 결합부재(30)의 후방으로 돌출형성된 받침판(32)의 상부에 고정설치된 스템(42)과, 상기 프레임(1)의 전방에 장착되어서 상기 스템(42)이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되게 하는 헤드튜브(44)로 이루어져서, 바이커에 의한 핸들(3)의 조작 방향에 따라서 자전거가 이동될 수 있도록 하는 조향장치(4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반 및 레저 겸용 자전거.
  3. 삭제
  4. 프레임(1)과 핸들포스트(2)를 결합시키되 상기 프레임(1)의 전방에 승하강부재(100)를 구비하여 상기 핸들포스트(2)와 결합되게 함으로써 상기 프레임(1)의 전방이 상기 핸들포스트(2)의 상하방향으로 승하강하도록 결합되되 안장포스트(5)와 연결된 프레임(1) 전방의 높낮이를 조절함으로써 바이커가 안장(6)에 앉을 때 자세가 변형되게 하고 페달(7)을 밟은 자세를 변화시켜서 주행용으로 또는 레저용으로 겸용하여 사용할 수 있게 하는 일반 및 레저 겸용 자전거에 있어서,
    상기 승하강부재(100)의 상하 이동은 상기 핸들포스트(2)의 상부 및 하부 각각에 구비된 이동저지편(50)을 통해서 저지되도록 하되, 상기 핸들포스트(2)의 상부에 구비된 이동저지편(50)은,
    이동편(10)의 이동유도공(11)과 대응되는 삽입공(51)을 구비하고 상기 삽입공(51)으로 상기 핸들포스트(2)의 상단부가 삽입되게 하고, 상기 이동저지편(50)과 상기 핸들포스트(2)에 형성된 결합공(52)으로 고정핀(53)이 삽입되게 함으로써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반 및 레저 겸용 자전거.
  5. 삭제
KR1020150042332A 2015-03-26 2015-03-26 일반 및 레저 겸용 자전거 KR1017420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2332A KR101742015B1 (ko) 2015-03-26 2015-03-26 일반 및 레저 겸용 자전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2332A KR101742015B1 (ko) 2015-03-26 2015-03-26 일반 및 레저 겸용 자전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15174A KR20160115174A (ko) 2016-10-06
KR101742015B1 true KR101742015B1 (ko) 2017-05-31

Family

ID=571644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42332A KR101742015B1 (ko) 2015-03-26 2015-03-26 일반 및 레저 겸용 자전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42015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3408B1 (ko) 2011-10-25 2012-02-29 이영자 핸들바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는 자전거 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3408B1 (ko) 2011-10-25 2012-02-29 이영자 핸들바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는 자전거 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15174A (ko) 2016-10-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20167709A1 (en) Length adjustable bicycle crank
US6467781B2 (en) Tricycle
KR100954491B1 (ko) 자전거 안장 각도조절장치
US7614631B2 (en) Fork release mechanism of bicycle
EP2891595A1 (en) Bicycle frame structure capable of adjusting frame length and angle
US9481427B2 (en) Bicycle kickstand
US6871380B2 (en) Wheel device for stroller
US20080164675A1 (en) Foldable bicycle
US20130193668A1 (en) Adult tricycle
KR102474342B1 (ko) 휠 높이 조절구조를 갖는 자전거
US7976043B2 (en) Movable step for motorcycle
US7243931B2 (en) Turning device for a wheel set
US8056917B2 (en) Bicycle
US20160355234A1 (en) Bicycle frame with front derailleur mounting structure
KR101742015B1 (ko) 일반 및 레저 겸용 자전거
ATE531611T1 (de) Grätschsitz-fahrzeug
JP2010064631A (ja) 自動二輪車のフートレスト
TW202035222A (zh) 用於人力車輛的鏈條導引裝置
CN108657351B (zh) 可调式自行车
US20030236142A1 (en) Protective device for a bicycle rear derailleur
US10752314B2 (en) Convertible child cycle
EP2786926B1 (en) Folding balance bike
CN107878667B (zh) 自行车拨链器
US20190359273A1 (en) Cable-controlled adjusting apparatus of bicycle handlebar end
CN209904964U (zh) 单车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