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17658B1 - 휠체어 부착형 자전거 - Google Patents

휠체어 부착형 자전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17658B1
KR101217658B1 KR1020100090793A KR20100090793A KR101217658B1 KR 101217658 B1 KR101217658 B1 KR 101217658B1 KR 1020100090793 A KR1020100090793 A KR 1020100090793A KR 20100090793 A KR20100090793 A KR 20100090793A KR 101217658 B1 KR101217658 B1 KR 1012176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wheelchair
steering
steering frame
whe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907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28768A (ko
Inventor
김동우
배재원
Original Assignee
모터웰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모터웰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모터웰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907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17658B1/ko
Publication of KR201200287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287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176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176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5/00Cycles with handlebars, equipped with three or more main road wheels
    • B62K5/003Cycles with four or more wheels, specially adapted for disabled riders, e.g. personal mobility type vehicles with four wheels
    • B62K5/007Cycles with four or more wheels, specially adapted for disabled riders, e.g. personal mobility type vehicles with four wheels power-drive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19/00Cycle frames
    • B62K19/18Joints between frame members
    • B62K19/28Means for strengthening joi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21/00Steering devices
    • B62K21/10Mechanisms for restoring steering device to straight-ahead pos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MRIDER PROPULSION OF WHEELED VEHICLES OR SLEDGES; POWERED PROPULSION OF SLEDGES OR SINGLE-TRACK CYCLES; TRANSMISSIONS SPECIALLY ADAPTED FOR SUCH VEHICLES
    • B62M1/00Rider propulsion of wheeled vehicles
    • B62M1/14Rider propulsion of wheeled vehicles operated exclusively by hand pow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Handcar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시트백과 시트쿠션을 결합 지지하는 의자프레임과, 의자프레임의 전후단부에 상호 대향되게 한 쌍씩 장착되는 전위바퀴 및 후위바퀴와, 전위바퀴를 상방으로 접힘가능하게 의자프레임에 장착 결합되게 하며, 일 측부에는 부착체결홈이 형성된 한 쌍의 폴딩지지부를 구비하는 휠체어부, 하 단부에 종동스프로킷이 부착된 구동바퀴가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포크가 마련된 조향프레임, 조향프레임의 상 단부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며, 종동스프로킷과 체인으로 연결되는 구동스프로킷, 구동스프로킷의 양 측부에 구비되며, 상하방향으로 왕복 구동함과 더불어 진행방향을 조절하는 한 쌍의 페달핸들, 일 단부는 조향프레임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며, 타 단부는 각 부착체결홈에 삽입 걸림되어, 조향프레임과 의자프레임을 연결되게 하는 한 쌍의 연결프레임을 포함하는 휠체어 부착형 자전거를 제공한다.
이와 같은, 휠체어 부착형 자전거는, 구동바퀴가 장착된 조향프레임 상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각각의 연결프레임 단부를 휠체어부에 형성된 부착체결홈에 삽입 걸림시키면서 휠체어부 및 조향프레임을 용이하게 연결 설치할 수 있다. 이후, 사용자는 페달핸들을 통해 구동스프로킷이 회전되면서 전진 또는 후진되도록 구동할 수 있는 바, 휠체어부에 앉은 상태로 이동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Description

휠체어 부착형 자전거{Bike for wheelchair}
본 발명은 휠체어 부착형 자전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장애인들이 휠체어를 사용시 휠체어의 구륜과 구륜방향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한 휠체어 부착형 자전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선천적 장애자, 교통사고, 질병 등의 여러 가지 원인에 의하여 다리힘이 약화되어 걸음을 잘 걸을 수 없는 장애인들은 휠체어(Wheel chair)에 의지하여 이동하게 된다. 여기서, 휠체어의 구동방식은 통상적으로 휠체어 바퀴 옆에 구비된 핸들링을 이용하여 바퀴를 구륜 시키거나 방향을 조절하도록 된 수동식 휠체어와, 또는 휠체어 저면에 엔진과 배터리를 장착하고 일측에 전기 컨트롤박스를 설치하여 휠체어를 구동시킬 수 있도록 된 전동식 휠체어 등이 있다.
그러나, 종래의 수동식 휠체어의 경우 양측바퀴를 장애자 본인이 바퀴 옆에 형성된 핸들링을 조작하여 휠체어의 이동과 방향을 조절하기 위해서는 상당한 기간에 걸쳐 운전능력이 숙련되어야만 휠체어를 자유자재로 이용할 수 있게 된다. 즉 초보자의 경우 갑자기 장애자가 되어 심리적인 상심과 삶에 대한 의용이 상실된 상태에서 수동식 휠체어를 자유자재로 운전하기에는 많은 어려움이 발생된다.
또한, 전동식 휠체어의 경우 운전이 편리한 점은 있으나 가격이 고가일 뿐만 아니라 설치가 용이하지 못하고, 소모품 관리비용이 상당히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초보자의 경우에도 용이하게 설치 운전할 수 있도록 하는 휠체어 부착형 자전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시트백과 시트쿠션을 결합 지지하는 의자프레임과, 상기 의자프레임의 전후단부에 상호 대향되게 한 쌍씩 장착되는 전위바퀴 및 후위바퀴와, 상기 전위바퀴를 상방으로 접힘가능하게 상기 의자프레임에 장착 결합되게 하며, 일 측부에는 부착체결홈이 형성된 한 쌍의 폴딩지지부를 구비하는 휠체어부와, 하 단부에 종동스프로킷이 부착된 구동바퀴가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포크가 마련된 조향프레임과, 상기 조향프레임의 상 단부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종동스프로킷과 체인으로 연결되는 구동스프로킷과, 상기 구동스프로킷의 양 측부에 구비되며, 상하방향으로 왕복 구동함과 더불어 진행방향을 조절하는 한 쌍의 페달핸들과, 일 단부는 상기 조향프레임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며, 타 단부는 각 상기 부착체결홈에 삽입 걸림되어, 상기 조향프레임과 상기 의자프레임을 연결되게 하는 한 쌍의 연결프레임을 포함하는 휠체어 부착형 자전거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폴딩지지부는, 상기 의자프레임에 고정 결합되며, 일 측부에는 상하방향으로 상기 부착체결홈이 형성된 고정부와, 일 측부가 상기 고정부를 중심으로 회전되도록 상기 고정부의 하 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핀 결합되며, 회전공이 관통 형성된 폴딩연결부와, 상 단부가 상기 회전공에 축 회전 가능하게 삽입 설치되며, 하 단부에 상기 전위바퀴가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전위브라켓과, 일 단부가 상기 고정부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핀 결합되는 조절바 및, 길이방향 양 단부가 각각 상기 폴딩연결부의 상 단부 및 상기 조절바의 일 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핀 결합되어, 상기 조절바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 이동시, 상기 폴딩연결부가 상기 고정부의 하 단부를 중심으로 회동하면서 상기 전위브라켓이 상방으로 접힘 이동되게 하여, 상기 전위바퀴가 상방으로 상승되게 하는 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향프레임의 일 측부에는 연결브라켓이 결합 구비되며, 상기 연결프레임의 일 단부에는 상기 연결브라켓에 회동 가능하도록 핀 결합되는 힌지부가 마련되고, 타 단부에는 상기 부착체결홈에 삽입된 상태에서 걸림 고정되도록 하부의 직경이 상부의 직경보다 작은 단차를 가지는 삽입부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일 단부가 상기 조향프레임에 결합된 상태로 타 단부는 상기 연결프레임에 연결되는 탄성부재를 더 구비하여, 사용자가 조향을 위해 상기 페달핸들로 상기 조향프레임에 힘을 가해 회동시킨 상태에서 조향을 위한 힘을 가하지 않을 경우, 상기 조향프레임이 최초 상태로 복원되도록 탄성 복원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휠체어 부착형 자전거는, 구동바퀴가 장착된 조향프레임 상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각각의 연결프레임 단부를 휠체어부에 형성된 부착체결홈에 삽입 걸림시키면서 휠체어부 및 조향프레임을 용이하게 연결 설치할 수 있다. 이후, 사용자는 페달핸들을 통해 구동스프로킷이 회전되면서 전진 또는 후진되도록 구동할 수 있는 바, 휠체어부에 앉은 상태로 이동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휠체어 부착형 자전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측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부분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폴딩지지부의 확대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측단면도이다.
도 6 및 도 7은 도 5의 작동상태도이다.
도 8은 도 7에 따른 연결프레임의 걸림상태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3에 나타낸 연결프레임의 접철상태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휠체어 부착형 자전거의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의 측단면도이고, 도 3은 도 1의 부분 분해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휠체어 부착형 자전거는, 휠체어부(100), 조향프레임(200), 구동스프로킷(300), 페달핸들(400), 연결프레임(500), 탄성부재(600)를 구비한다.
상기 휠체어부(100)는 신체의 이동이 불편한 사용자가 않게 되는 부분이다. 이러한, 상기 휠체어부(100)는 의자프레임(110), 전위바퀴(120), 후위바퀴(130), 폴딩지지부(140)를 포함한다. 즉,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휠체어부(100)의 의자프레임(110), 전위바퀴(120), 후위바퀴(130)는 일반적인 공지의 휠체어 구조와 동일하며, 다만 상기 전위바퀴(120)가 상기 폴딩지지부(140)에 의해 상방으로 접힘 가능하게 되는 구조만이 다르다. 여기서, 상기 의자프레임(110)은 상기 사용자의 등 부분을 지지하는 시트백(도면미도시)과, 상기 사용자가 착석하는 시트쿠션(도면미도시)을 결합 지지하게 된다. 즉, 상기 의자프레임(110)은 상기 사용자가 착석한 상태에서, 상기 사용자의 하중에 의한 상기 시트백 및 상기 시트쿠션의 변형에 따른 파손을 방지하게 된다. 여기서, 더불어, 상기 시트백과 상기 시트쿠션은 상기 사용자에게 안락함을 줄 수 있도록 공지의 발포수지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직물원단을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 의자프레임(110)의 전 단부에는 상기 사용자의 다리를 지지할 수 있도록 발판지지대(111)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전위바퀴(120) 및 후위바퀴(130)는 상기 의자프레임(110) 상부에 상기 사용자가 위치한 상태에서 지면 상을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의자프레임(110)을 지지한다. 이러한, 상기 전위바퀴(120) 및 후위바퀴(130)는 각각 상기 의자프레임(110)의 하부 전 단부 및 후 단부에 각각 한 쌍이 상호 대향되게 배치된 상태로 회전가능하게 장착된다. 상기 폴딩지지부(140)는 각각의 상기 전위바퀴(120)를 상방으로 접힘 가능하게 지지한 상태로 상기 의자프레임(110)에 연결 설치되게 함과 더불어 이후 설명될 상기 연결프레임(500)의 단부가 삽입 걸림되게 한다. 여기서, 상기 폴딩지지부(140)는 상기 의자프레임(110)의 전 단부에 상호 대향되게 한 쌍이 결합된 상태로 상기 전위바퀴(120)가 각각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즉, 상기 폴딩지지부(140)는 상기 전위바퀴(120)에 의한 조향 및 이동이 필요없는 상태, 즉 상기 휠체어부(100)의 의자프레임(110)이 이후 설명될 상기 조향프레임(200)에 연결 결합될 경우, 상기 전위바퀴(120)가 지면에 닿지 않도록 상방으로 이동할 수 있게 회전 가능한 상태로 지지한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폴딩지지부(140)는 고정부(141), 폴딩연결부(143), 전위브라켓(145), 조절바(146), 연결부(147)를 포함한다.
상기 고정부(141)는 상기 전위바퀴(120)를 상기 의자프레임(110)에 연결 설치되게 함과 더불어 이후 설명될 상기 연결프레임(500)의 일 단을 착탈 가능한 상태로 걸림 고정되게 한다. 즉, 상기 고정부(141)의 일 단부는 상기 의자프레임(110)의 전 단부 일 측에 고정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부(141)의 일 측부에는 상하방향으로 이후 설명될 상기 연결프레임(500)의 일 단을 삽입할 수 있도록 부착체결홈(142)이 관통 형성된다. 이러한, 상기 고정부(141)의 타 단부에는 상기 폴딩연결부(143)를 연결 설치한다.
상기 폴딩연결부(143)는 상기 전위바퀴(120)를 상방으로 이동될 수 있게 하는 연결 부재이다. 이러한, 상기 폴딩연결부(143)의 일 측부는 상기 고정부(141)를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상기 고정부(141)의 하 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핀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폴딩연결부(143)의 일 측부에는 이후 설명될 상기 전위브라켓(145)을 회전 가능한 상태로 삽입 장착할 수 있게 상하 방향으로 회전공(144)이 관통 형성된다.
상기 전위브라켓(145)은 상기 전위바퀴(120)를 회전 가능하게 장착 지지하는 부분이다. 이러한, 상기 전위브라켓(145)의 하 단부에는 상기 전위바퀴(120)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 단부는 상기 폴딩연결부(143)의 회전공(144)에 축회전 가능하게 삽입 장착된다. 이같이, 상기 전위바퀴(120)를 장착한 상태로 상기 전위브라켓(145)이 상기 폴딩연결부(143)에 축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바, 상기 휠체어부(100)의 후위바퀴(130)를 사용자가 회전시키면서 이동시, 상기 전위바퀴(120)가 용이하게 축회전하면서 방향전환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상기 조절바(146)는 상기 사용자에 의해 파지된 상태로 회전하면서 상기 폴딩연결부(143)의 회전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부재이다. 즉, 상기 조절바(146)의 일 단부는 상기 고정부(141)를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상기 고정부(141)의 일 측부에 회전 가능하게 핀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조절바(146)의 일 측부에는 이후 설명될 상기 연결부(147)의 일 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핀 결합된다. 이같이, 상기 조절바(146)는 상기 고정부(141)를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상기 고정부(141)에 설치된 상태로 상기 연결부(147)와 연결되어, 상기 사용자에 의한 회전에 따라 상기 연결부(147)를 동작시키게 된다.
상기 연결부(147)는 상기 사용자에 의한 상기 조절바(146)의 회전에 따라, 상기 폴딩연결부(143)가 회전되도록 상기 조절바(146)와 상기 폴딩연결부(143)를 연결하는 부재이다. 이러한, 상기 연결부(147)의 길이 방향 일 단부는 상기 조절바(146)의 일 단부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핀 결합되며, 타 단부는 상기 폴딩연결부(143)의 상 단부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핀 결합된다.
도 6 및 도 7를 참조하면, 상기 폴딩지지부(140)의 상기 조절바(146)가 상기 사용자에 의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 이동하게 되면, 상기 조절바(146)가 상기 고정부(141)의 상 단부를 중심으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연결부(147)를 상방으로 당기며 상기 폴딩연결부(143)가 상기 고정부(141)의 하 단부를 중심으로 회동되게 한다. 그러면, 상기 전위브라켓(145)은 상기 폴딩연결부(143)에 대응되게 회동하며 상방으로 접힘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휠체어부(100)의 의자프레임(110)에 이후 설명될 상기 조향프레임(200)이 상기 연결프레임(500)을 통해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전위바퀴(120)가 지면에 닿지 않게 되는 바, 상기 조향프레임(200)에 의한 상기 휠체어부(100)의 방향전환을 용이하게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조절바(146)의 회전에 따라 상기 연결부(147)가 당김 상태가 되면, 상기 고정부(141)의 부착체결홈(142) 상으로 삽입된 상기 연결프레임(500)에 상기 연결부(147)가 접촉되면서 상기 연결프레임(500) 하 단부의 걸림 고정상태를 더욱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게 한다.
상기 조향프레임(200)은 체인(310)에 의해 연결되는 종동스프로킷(230)과 구동스프로킷(300) 및 구동바퀴(220)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프레임이다. 즉, 상기 조향프레임(200)의 하 단부에는 상기 종동스프로킷(230)이 부착된 구동바퀴(220)를 회전 가능하게 장착 결합시키는 포크(210)가 마련된다. 그리고, 상기 조향프레임(200)의 일 측부,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구동스프로킷(300)과 상기 종동스프로킷(230)의 사이의 상기 조향프레임(200) 부분에는 이후 설명될 상기 연결프레임(500)을 연결 설치할 수 있도록 연결브라켓(240)을 결합 구비한다.
또한, 상기 조향프레임(200)에는 상기 구동바퀴(220)와 접촉되며 마찰력을 발생시키면서 회전력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브레이크장치(도면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브레이크장치는 일반적인 공지의 브레이크장치로서, 이후 설명될 상기 페달핸들(400) 상에 브레이크레버(도면미도시)가 설치되고, 케이블(도면미도시)에 의해 연결된 상태로 상기 구동바퀴(220)에 인접하게 브레이크슈(도면미도시)가 배치된다. 따라서, 상기 브레이크레버의 동작에 따라 상기 구동바퀴(220)에 상기 브레이크슈가 접하면서 상기 구동바퀴(220)의 회전력을 감소시키게 된다.
상기 구동스프로킷(300)은 상기 종동스프로킷(230)과 연결된 상태로 이후 설명될 페달핸들(400)에 의해 회전하면서, 상기 종동스프로킷(230)을 회전되게 하면서 상기 구동바퀴(220)에 의한 이동력을 발생시키게 한다. 이러한, 상기 구동스프로킷(300)은 상기 조향프레임(200)의 상 단부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된다. 여기서, 상기 구동스프로킷(300)과 상기 종동스프로킷(230)은 체인(310)에 의해 상호 연결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상기 페달핸들(400)은 상기 구동스프로킷(300)을 사용자가 용이하게 회전시킬 수 있도록 파지하는 부분이다. 더불어, 상기 페달핸들(400)은 상기 조향프레임(200)의 진행방향을 사용자가 조절할 수 있게 한다. 이러한, 상기 페달핸들(400)은 상기 구동스프로킷(300)의 양 측부에 결합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페달핸들(400)이 상기 사용자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왕복 구동됨에 따라 상기 구동스프로킷(300)을 회전시키게 된다. 더불어, 상기 조향프레임(200)이 상기 휠체어부(100)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페달핸들(400)을 통해 상기 조향프레임(200)을 회전시키면서 진행방향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연결프레임(500)은 상기 조향프레임(200)과 상기 휠체어부(100)의 의자프레임(110)을 연결시키는 한 쌍의 프레임이다. 이러한, 상기 연결프레임(500)의 일 단부는 상기 조향프레임(200)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며, 타 단부는 상기 부착체결홈(142)에 삽입 걸림된다. 여기서, 상기 연결프레임(500)의 일 단부에는 상기 조향프레임(200)의 연결브라켓(240)에 회동 가능하게 핀 결합되는 힌지부(510)가 마련된다. 그리고, 상기 연결프레임(500)의 타 단부에는 상기 휠체어부(100)의 부착체결홈(142)에 삽입된 상태에서 걸림 고정되도록 하부의 직경이 상부의 직경보다 작은 단차를 가지는 삽입부(520)를 가진다. 여기서,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연결프레임(500)은 일 단부에 각각 앞서 설명한 상기 힌지부(510) 및 상기 삽입부(520)가 마련된 한 쌍의 봉 부재(501)(502)를 브라켓(530)으로 연결 결합 형성한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상기 브라켓(530)이 필요없이 하 나의 봉 부재로 이루어진 상태로 양 단부에 각각 상기 힌지부(510) 및 상기 삽입부(520)를 마련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렇게, 상기 연결프레임(500)이 브라켓(530)에 의해 연결되는 한 쌍의 봉 부재(501)(502)로 이루어질 경우, 상기 봉 부재(501)(502)의 상호 연결되는 부분에서의 연결각도를 조절할 수 있어, 상기 조향프레임(200)과 상기 휠체어부(100)의 연결 형태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더불어, 상기 연결프레임(500)의 분해 보관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프레임(500)은 한 쌍으로 마련된 상태로 상기 조향프레임(200)과 상기 휠체어부(100)에 연결되지 않고, 하나의 프레임으로 일체 형성된 상태로 상기 조향프레임(200)과 상기 휠체어부(100)를 연결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연결프레임(500)이 한 쌍으로 마련할 경우에는, 도 9와 같이 상기 조향프레임(200)과 상기 휠체어부(100)의 연결상태를 해제한 상태에서 각각의 상기 연결프레임(500)을 상기 조향프레임(200) 방향으로 접철할 수 있어 보관이 용이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 연결프레임(500)을 하나의 프레임으로 일체 형성할 경우 접철이 용이하지 못한 바, 보관시 공간을 많이 차지하게 된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휠체어 부착형 자전거에는, 사용자에 의해 상기 페달핸들(400)이 상기 조향프레임(200)을 회동시키면서 진행방향을 변경한 상태에서, 이후 상기 페달핸들(400)에 의한 상기 조향프레임(200)의 회동힘이 없어질 경우, 상기 조향프레임(200)이 최초 상태로 복원되게 하는 탄성부재(600)를 구비할 수 있다. 즉, 상기 사용자가 조향을 위해 상기 페달핸들(400)로 상기 조향프레임(200)에 힘을 가해 회동시킨 상태에서 조향을 위한 힘을 가하지 않게 되면, 상기 탄성부재(600)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상기 조향프레임(200)이 회동하면서 최초 위치로 복원된다. 이러한, 상기 탄성부재(600)의 일 단부는 상기 조향프레임(200)의 연결브라켓(240) 일 측부에 결합되며, 타 단부는 상기 연결프레임(500)의 힌지부(510)에 연결 결합된다. 여기서, 탄성부재(600)는 연성을 가지는 고무나 합성수지, 스프링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탄성 복원력을 가지는 공지의 구성을 선택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휠체어 부착형 자전거의 설치 및 동작을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각각의 상기 휠체어부(100)와 상기 조향프레임(200)이 분리된 상태에서, 상기 휠체어부(100)의 의자프레임(110)에 상기 조향프레임(200)을 연결 설치한다. 즉, 각각의 상기 연결프레임(500) 타 단부에 마련된 상기 삽입부(520)를 상기 휠체어부(100)에 마련된 상기 폴딩지지부(140)의 부착체결홈(142)에 삽입 걸림시킨다. 이같이, 상기 휠체어부(100)와 상기 조향프레임(200)의 연결은 상기 조향프레임(200)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 상기 연결프레임(500)의 단부가 상기 휠체어부(100)의 부착체결홈(142)에 삽입 걸림되는 바, 몸이 불편한 사용자도 용이하게 결합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이후, 상기 폴딩지지부(140)의 상기 조절바(146)를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 이동시킨다. 그러면, 상기 조절바(146)가 상기 고정부(141)의 상 단부를 중심으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연결부(147)를 상방으로 당기게 된다. 이후, 상기 폴딩연결부(143)가 상기 고정부(141)의 하 단부를 중심으로 회동하게 된다. 그러면, 상기 전위브라켓(145)은 상기 폴딩연결부(143)에 대응되게 회동하며 상방으로 접힘 이동하며, 상기 연결부(147)가 상기 연결프레임(500)의 타 단부에 걸림되면서 상기 연결프레임(500)에 의한 상기 휠체어부(100)와 상기 조향프레임(200)의 연결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하게 된다. 더불어, 상기 폴딩지지부(140)에 장착된 상기 전위바퀴(120)가 상방으로 이동한 상태가 되면서, 상기 휠체어부(100)의 후위바퀴(130) 및 상기 조향프레임(200)의 구동바퀴(220)가 지면에 닿은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렇게, 상기 조향프레임(200)과 상기 휠체어부(100)가 상기 연결프레임(500)에 의해 상호 연결된 상태로 상기 후위바퀴(130) 및 상기 구동바퀴(220)가 지면에 닿은 상태에서 사용자가 상기 페달핸들(400)을 통해 상기 구동스프로킷(300)을 회전시킨다. 그러면, 상기 체인(310)에 의해 상기 종동스프로킷(230)으로 구동력이 전달되면서 회전하게 되고, 상기 종동스프로킷(230)의 회전방향에 따라 상기 구동바퀴(220)가 대응되게 회전하면서 상기 휠체어부(100)를 전진 또는 후진되게 한다.
이때, 상기 구동바퀴(220)의 회전에 의해 상기 휠체어부(100) 및 상기 조향프레임(200)이 이동시, 방향으로 바꾸고자 할 경우 상기 페달핸들(400)을 통해 상기 조향프레임(200)을 회전시키면서 진행방향을 변경하게 된다. 이렇게, 사용자가 상기 페달핸들(400)을 통해 상기 조향프레임(200)이 회전되게 하면서 진행방향을 바꾼 상태에서, 상기 페달핸들(400)을 통한 상기 조향프레임(200)의 회전힘을 해제시키면, 상기 탄성부재(600)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상기 조향프레임(200)이 최초 위치로 복귀하면서 직진상태를 용이하게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이후, 상기 휠체어부(100)에서 상기 조향프레임(200)을 해체하고자 할 경우에는, 상기 폴딩지지부(140)의 조절바(146)를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켜, 상기 연결부(147)와 상기 연결프레임(500)의 접촉상태를 해제시킨다. 그리고, 각각의 상기 연결프레임(500) 타 단부를 상기 휠체어부(100)의 부착체결홈(142)에 삽입된 상태에서 이탈시킨다. 그러면, 상기 휠체어부(100)의 전위바퀴(120)는 다시 하방으로 이동하면서 지면에 닿는 상태가 되어, 상기 후위바퀴(130)와 함께 상기 휠체어부(100)를 지지하게 된다.
이렇게, 상기 휠체어부(100)로부터 해체된 상기 조향프레임(200)은 각각의 상기 연결프레임(500)을 전방으로 배치되도록 회동 절첩시킨 상태로 차량이나 실내에 보관하게 된다.
이와 같이, 일실시예의 상기 휠체어 부착형 자전거는, 상기 구동바퀴(220)가 장착된 상기 조향프레임(200) 상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각각의 상기 연결프레임(500) 단부를 상기 휠체어부(100)에 형성된 상기 부착체결홈(142)에 삽입 걸림시키면서 상기 휠체어부(100) 및 상기 조향프레임(200)을 용이하게 연결 설치한다. 이후, 사용자는 상기 페달핸들(400)을 통해 상기 구동스프로킷(300)이 회전되게 하면서 전진 또는 후진되도록 구동할 수 있는 바, 상기 휠체어부(100)에 앉은 상태로 이동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휠체어부(100)와 상기 조향프레임(200)을 상기 연결프레임(500)으로 상호 연결 결합시, 상기 연결프레임(500)의 단부를 상기 휠체어부(100)의 부착체결홈(142)에 삽입 걸림시킨 후, 상기 폴딩지지부(140)를 통해 상기 전위바퀴(120)가 상방으로 이동되게 하면 더욱 안정적인 결합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조향프레임(200)과 상기 연결프레임(500)이 상기 탄성부재(600)에 의해 상호 연결되어, 사용자가 조향을 위해 상기 조향프레임(200)을 회전시키더라도 상기 탄성부재(600)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상기 조향프레임(200)이 최초 위치로 용이하게 복귀되는 바, 신체가 불편한 사용자도 용이하게 진행방향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휠체어부 110: 의자프레임
120: 전위바퀴 130: 후위바퀴
140: 폴딩지지부 141: 고정부
142: 부착체결홈 143: 폴딩연결부
144: 회전공 145: 전위브라켓
146: 조절바 147: 연결부
200: 조향프레임 210: 포크
220: 구동바퀴 230: 종동스프로킷
240: 연결브라켓 300: 구동스프로킷
310: 체인 400: 페달핸들
500: 연결프레임 510: 힌지부
520: 삽입부 600: 탄성부재

Claims (4)

  1. 시트백과 시트쿠션을 결합 지지하는 의자프레임과, 상기 의자프레임의 전후단부에 상호 대향되게 한 쌍씩 장착되는 전위바퀴 및 후위바퀴와, 상기 전위바퀴를 상방으로 접힘가능하게 상기 의자프레임에 장착 결합되게 하며, 일 측부에는 부착체결홈이 형성된 한 쌍의 폴딩지지부를 구비하는 휠체어부와;
    하 단부에 종동스프로킷이 부착된 구동바퀴가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포크가 마련된 조향프레임과;
    상기 조향프레임의 상 단부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종동스프로킷과 체인으로 연결되는 구동스프로킷과;
    상기 구동스프로킷의 양 측부에 구비되며, 상하방향으로 왕복 구동함과 더불어 진행방향을 조절하는 한 쌍의 페달핸들; 및,
    일 단부는 상기 조향프레임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며, 타 단부는 각 상기 부착체결홈에 삽입 걸림되어, 상기 조향프레임과 상기 의자프레임을 연결되게 하는 한 쌍의 연결프레임을 포함하는 휠체어 부착형 자전거에 있어서,
    상기 폴딩지지부는,
    상기 의자프레임에 고정 결합되며, 일 측부에는 상하방향으로 상기 부착체결홈이 형성된 고정부와,
    일 측부가 상기 고정부를 중심으로 회전되도록 상기 고정부의 하 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핀 결합되며, 회전공이 관통 형성된 폴딩연결부와,
    상 단부가 상기 회전공에 축 회전 가능하게 삽입 설치되며, 하 단부에 상기 전위바퀴가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전위브라켓과,
    일 단부가 상기 고정부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핀 결합되는 조절바 및,
    길이방향 양 단부가 각각 상기 폴딩연결부의 상 단부 및 상기 조절바의 일 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핀 결합되어, 상기 조절바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 이동시, 상기 폴딩연결부가 상기 고정부의 하 단부를 중심으로 회동하면서 상기 전위브라켓이 상방으로 접힘 이동되게 하여, 상기 전위바퀴가 상방으로 상승되게 하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휠체어 부착형 자전거.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조향프레임의 일 측부에는 연결브라켓이 결합 구비되며,
    상기 연결프레임의 일 단부에는 상기 연결브라켓에 회동 가능하도록 핀 결합되는 힌지부가 마련되고, 타 단부에는 상기 부착체결홈에 삽입된 상태에서 걸림 고정되도록 하부의 직경이 상부의 직경보다 작은 단차를 가지는 삽입부를 가지는 휠체어 부착형 자전거.
  4.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3에 있어서,
    일 단부가 상기 조향프레임에 결합된 상태로 타 단부는 상기 연결프레임에 연결되는 탄성부재를 더 구비하여, 사용자가 조향을 위해 상기 페달핸들로 상기 조향프레임에 힘을 가해 회동시킨 상태에서 조향을 위한 힘을 가하지 않을 경우, 상기 조향프레임이 최초 상태로 복원되도록 탄성 복원력을 발생시키는 휠체어 부착형 자전거.
KR1020100090793A 2010-09-15 2010-09-15 휠체어 부착형 자전거 KR1012176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0793A KR101217658B1 (ko) 2010-09-15 2010-09-15 휠체어 부착형 자전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0793A KR101217658B1 (ko) 2010-09-15 2010-09-15 휠체어 부착형 자전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28768A KR20120028768A (ko) 2012-03-23
KR101217658B1 true KR101217658B1 (ko) 2013-01-02

Family

ID=461335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90793A KR101217658B1 (ko) 2010-09-15 2010-09-15 휠체어 부착형 자전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1765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00075A (ko) * 2014-06-23 2016-01-04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장착프레임 유닛의 분리가 가능한 휠체어용 주행보조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9077B1 (ko) * 2013-03-08 2013-12-09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자전거-휠체어 도킹 장치
KR200486835Y1 (ko) * 2016-11-30 2018-07-05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손 페달이 구비된 휠체어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71972A (en) * 1982-04-20 1984-09-18 Young Raymond L Propulsion and safety device for a conventional wheelchair
US5431614A (en) * 1993-06-14 1995-07-11 Jeranson; Richard C. Exercise device and auxiliary power unit for use with bicycle
KR20080049585A (ko) * 2006-11-30 2008-06-04 최진만 휠체어용 손자전거키트
KR20100016942A (ko) * 2008-08-05 2010-02-16 김자경 자전거의 핸들 프레임 회동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71972A (en) * 1982-04-20 1984-09-18 Young Raymond L Propulsion and safety device for a conventional wheelchair
US5431614A (en) * 1993-06-14 1995-07-11 Jeranson; Richard C. Exercise device and auxiliary power unit for use with bicycle
KR20080049585A (ko) * 2006-11-30 2008-06-04 최진만 휠체어용 손자전거키트
KR20100016942A (ko) * 2008-08-05 2010-02-16 김자경 자전거의 핸들 프레임 회동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00075A (ko) * 2014-06-23 2016-01-04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장착프레임 유닛의 분리가 가능한 휠체어용 주행보조장치
KR101598481B1 (ko) 2014-06-23 2016-03-02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장착프레임 유닛의 분리가 가능한 휠체어용 주행보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28768A (ko) 2012-03-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844208B1 (en) Sitting assembly
CA2318028C (en) Combination walker and transport chair
KR100954491B1 (ko) 자전거 안장 각도조절장치
US9561143B2 (en) Power driven vehicle having a take-apart frame
US9033356B2 (en) Shilly-car
KR101206502B1 (ko) 배터리 및 페달 구동용 접이식 자전거
TWM496465U (zh) 雙驅動輪椅
JP3644926B2 (ja) 歩行補助車
KR101217658B1 (ko) 휠체어 부착형 자전거
WO2020060422A1 (en) An attachment for a rollator or walking frame and a method of its use
KR101564833B1 (ko) 재활훈련이 가능한 휠체어 결합 자전거
KR102443017B1 (ko) 보조이송유닛이 설치되는 휠체어
KR20160049779A (ko) 래치형 휠체어 전동 바이크
US11559446B2 (en) Anti-rollback braking system for wheelchairs
JP3122503U (ja) リハビリテーション用車椅子
TWI731621B (zh) 助行器
CN210822589U (zh) 电动车车架及电动车
KR101994187B1 (ko) 무동력 차체용 구동수단을 구비한 탑승장치
JP6362287B1 (ja) 車輪付きベンチ
CN217744847U (zh) 一种带手推轮助力购物车
JP2001286509A (ja) 車椅子
JP3124218U (ja) 歩行器
JP6764633B2 (ja) 歩行機
JP2003093452A (ja) 手押車
JP3952199B2 (ja) 歩行補助車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18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