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43017B1 - 보조이송유닛이 설치되는 휠체어 - Google Patents

보조이송유닛이 설치되는 휠체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43017B1
KR102443017B1 KR1020200145019A KR20200145019A KR102443017B1 KR 102443017 B1 KR102443017 B1 KR 102443017B1 KR 1020200145019 A KR1020200145019 A KR 1020200145019A KR 20200145019 A KR20200145019 A KR 20200145019A KR 102443017 B1 KR102443017 B1 KR 1024430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ar
auxiliary
transfer unit
wheelchair
auxiliary transf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450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59627A (ko
Inventor
소요환
이도경
김민재
강승은
박소윤
박수형
김민식
전시현
배재희
Original Assignee
한남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남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한남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001450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43017B1/ko
Publication of KR202200596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596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430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430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06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with obstacle mounting facilities, e.g. for climbing stairs, kerbs or ste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06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with obstacle mounting facilities, e.g. for climbing stairs, kerbs or steps
    • A61G5/063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with obstacle mounting facilities, e.g. for climbing stairs, kerbs or steps with eccentrically mounted wheels
    • A61G5/065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with obstacle mounting facilities, e.g. for climbing stairs, kerbs or steps with eccentrically mounted wheels with three or more wheels mounted on a rotary cross member, e.g. spiders or spoked wheels with small wheels at the end of the spok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1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2200/00Information related to the kind of patient or his position
    • A61G2200/30Specific positions of the patient
    • A61G2200/34Specific positions of the patient sitt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2203/0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 A61G2203/7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with special adaptations, e.g. for safety or comfor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80/00Land vehicles
    • Y10S280/10Stair climbing chai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97/00Chairs and seats
    • Y10S297/04Wheelchai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 Other Liquid Machine Or Engine Such As Wave Power Use (AREA)
  • Handcar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보조이송유닛이 설치되는 휠체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시트가 구비되는 메인프레임의 하부에 각각 설치되는 메인바퀴; 상기 메인프레임의 하부 양측으로 연장되는 보조프레임과, 상기 보조프레임의 일측에 각각 설치되고 상기 메인바퀴와 일정간격 이격되어 설치되는 보조바퀴; 상기 보조바퀴의 상부에 설치되는 보조이송유닛; 을 포함하되, 상기 메인바퀴의 중앙에 제1기어가 설치되고, 상기 보조이송유닛의 중앙에 내측에 제2기어가 설치되며, 상기 제1기어와 상기 제2기어는 상호 체인을 매개로 연결되어 상기 메인바퀴의 구동력으로 상기 보조이송유닛이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보조이송유닛이 설치되는 휠체어{Wheelchair with auxiliary transfer unit}
본 발명은 보조이송유닛이 설치되는 휠체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메인바퀴의 구동력에 의해 동작하는 보조이송유닛이 설치됨으로서 도로에 위치된 장애물이나 턱을 손쉽게 오르고 내리기 위한 보조이송유닛이 설치되는 휠체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종래의 휠체어 장치는 의자 형상의 의자 프레임이 구성되며, 그 후단에는 등받이가 구성되어져 있고, 장애우나 환자의 엉덩이가 맞닿는 부분에는 좌석이 천이나 합성수지로 구성되어져 있으며, 상기 의자 프레임의 전단 하부에는 발을 지지하기 위한 휠체어 파이프가 구성되어져 있고, 그 선단은 일정각도 절곡되어 발판이 부착되어져 있다.
또한, 상기 휠체어 파이프의 하부에는 로드를 통해 휠체어 장치의 전방 바퀴를 이루는 케스터가 장착되어져 있으며, 상기 의자 프레임의 직하부에는 주바퀴가 축결합되어져 있고, 그 주바퀴의 외부 소정부에는 그 주바퀴를 수동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핸들이 장착되어져 있다.
따라서, 이러한 종래의 휠체어 장치는 장애우나 환자가 상기 의자 프레임에 구성된 좌석 및 등받이로 이루어진 공간내부에 앉은 상태에서, 상기 케스터와 주바퀴로 인해 수평이 유지되는 상태에서, 전방 및 후방, 또는 다양한 방향으로 진행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져 있다.
이때, 상기 주바퀴는 상기 의자 프레임에 대해 전후방으로만 회전 가능하게 고정된 상태이지만, 상기 케스터의 경우에는 방향의 전환을 행할 수 있어야 하므로 360도 회전각도로 방향을 전환할 수 있게 장착되어져 있다.
따라서, 장애우나 환자 등이 혼자서도 상기 주바퀴의 측면에 부착된 핸들을 회전시켜 휠체어 장치를 이동시킬 수 있게 구성되어져 있다. 그러나, 종래의 휠체어 장치는 상기 좌석이 수평상태로 유지되게 하기 위해 상기 케스터와 주바퀴가 동일하게 지면에 밀착되어져 있으나, 이 경우 상기 케스터는 매우 작은 직경의 바퀴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쉽게 지면에 형성된 홈에 빠질 수 있으며, 지면의 상방으로 돌출된 다양한 턱을 넘을 수 없어서 장애우나 환자들의 이동성에 많은 제약이 되고 있었다.
즉, 이러한 문제로 인해, 장애우나 환자들은 쉽게 집밖으로 홀로 나가기 어려웠고, 그러한 이유로 인해 장애우나 환자들은 대인기피증과 우울증 등의 또 다른 질환으로 발전할 가능성이 매우 높다는 문제점이 대두되고 있는 실정이다.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07-0001163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메인바퀴의 구동력에 의해 동작하는 보조이송유닛이 설치됨으로서 도로에 위치된 장애물이나 턱을 손쉽게 오르고 내리기 위한 보조이송유닛이 설치되는 휠체어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기존의 수동휠체어에 구조변경이 간편한 상기 보조이송유닛을 추가적으로 설치함으로서 경제적인 효과를 제공하기 위한 보조이송유닛이 설치되는 휠체어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시트가 구비되는 메인프레임의 하부에 각각 설치되는 메인바퀴;
상기 메인프레임의 하부 양측으로 연장되는 보조프레임과, 상기 보조프레임의 일측에 각각 설치되고 상기 메인바퀴와 일정간격 이격되어 설치되는 보조바퀴;
상기 보조바퀴의 상부에 설치되는 보조이송유닛;
을 포함하되,
상기 메인바퀴의 중앙에 제1기어가 설치되고, 상기 보조이송유닛의 중앙에 내측에 제2기어가 설치되며, 상기 제1기어와 상기 제2기어는 상호 체인을 매개로 연결되어 상기 메인바퀴의 구동력으로 상기 보조이송유닛이 회전하는 보조이송유닛이 설치되는 휠체어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보조이송유닛은,
상기 보조프레임의 일측에 설치되고, 하부에 상기 보조바퀴가 설치되는 브라켓;
상기 브라켓의 양측에 각각 설치되되, 상기 제2기어의 양측과 축결합되어 상기 제2기어의 회전에 의해 회전되는 복수의 구동기어;
상기 구동기어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설치되고, 상기 구동기어의 외주면에 복수개 형성되는 기어이와 맞물려 상기 구동기어의 회전과 동시에 회전되는 구동벨트;
를 더 포함하는 보조이송유닛이 설치되는 휠체어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구동기어는,
상기 제2기어와 축결합되는 중심기어;
상기 중심기어의 외주면과 맞물려 회전하는 복수의 이송기어;
를 포함하는 보조이송유닛이 설치되는 휠체어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이송기어는, 상기 중심기어를 중심으로 상하/좌우방향에 각각 설치되어 지면과 일정각을 이루도록 설치되는 보조이송유닛이 설치되는 휠체어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보조이송유닛은, 상기 보조바퀴 보다 상부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설치되는 보조이송유닛이 설치되는 휠체어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보조이송유닛이 설치되는 휠체어에 따르면, 메인바퀴의 구동력에 의해 동작하는 보조이송유닛이 설치됨으로서 도로에 위치된 장애물이나 턱을 손쉽게 오르고 내리는 효과가 있다.
또한, 기존의 수동휠체어에 구조변경이 간편한 상기 보조이송유닛을 추가적으로 설치함으로서 경제적인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조이송유닛이 설치되는 휠체어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조이송유닛이 설치되는 휠체어를 도시한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조이송유닛이 설치되는 휠체어를 도시한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조이송유닛이 설치되는 휠체어를 도시한 부분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조이송유닛이 설치되는 휠체어를 도시한 부분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조이송유닛을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조이송유닛을 도시한 정면도이다.
이하의 본 발명의 목적들, 다른 목적들, 특징들 및 이점들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된 이하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통해서 쉽게 이해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여기에 설명되고 예시되는 실시예들은 그것의 상보적인 실시예들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아래의 특정 실시예들을 기술하는데 있어서, 여러가지의 특정적인 내용들은 발명을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고 이해를 돕기 위해 작성되었다. 하지만 본 발명을 이해할 수 있을 정도로 이 분야의 지식을 갖고 있는 자는 이러한 여러 가지의 특정적인 내용들이 없어도 사용될수 있다는 것을 인지할 수 있다. 어떤 경우에는, 발명을 기술하는 데 있어서 흔히 알려졌으면서 발명과 크게 관련없는 부분들은 본 발명을 설명하는 데 있어 혼돈을 막기 위해 기술하지 않음을 미리 언급해 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조이송유닛이 설치되는 휠체어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조이송유닛이 설치되는 휠체어를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조이송유닛이 설치되는 휠체어를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조이송유닛이 설치되는 휠체어를 도시한 부분 측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조이송유닛이 설치되는 휠체어를 도시한 부분 정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조이송유닛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조이송유닛을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인 보조이송유닛이 설치되는 휠체어는 크게, 메인바퀴(100)와, 보조바퀴(200) 및 보조이송유닛(300)을 포함하는 구성이다.
먼저, 상기 메인바퀴(100)는 시트(S)가 구비되는 메인프레임(110)의 하부에 각각 설치되는 구성이다.
이러한, 상기 메인바퀴(100)는 상기 메인프레임(110)의 하부 양측으로 연장되어 설치되는데, 이하 설명될 보조바퀴(200)의 지름보다 더 크게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메인바퀴(100)의 일측에는 사용자가 상기 시트(S)에 앉아 상기 메인바퀴(100)를 회전하기 위하여 이동손잡이(130)가 더 설치된다.
이를 통해, 사용자가 상기 이동손잡이(130)를 파지한 후 상기 메인바퀴(100)를 회전시킴으로서 휠체어(10)의 전진과 후진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시트(S)는 상기 메인프레임(110)의 중앙에 설치되고, 측면이 "ㄴ"형상으로 구비되어 사용자가 앉아 이동과 휴식을 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인프레임(110)의 양측에는 팔걸이(140)가 더 설치되어 사용자가 상기 시트(S)에 착석 시 상기 팔걸이(140)에 팔을 안착시켜 편안한 휴식을 제공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메인프레임(110)의 하부로 연장되어 발받침대(150)가 더 설치되어 사용자가 상기 시트(S)에 착석 시 상기 발받침대(150)에 발을 안착시켜 편안한 휴식을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발받침대(150)는 상기 메인프레임(110)의 하부와 연장되되, 상호 힌지결합되어 상하방향으로 회동될 수 있고, 상기 메인프레임(110)의 하부 길이방향으로 설치위치를 가변할 수 있음을 밝혀둔다.
또한, 상기 메인프레임(110)의 후방 상부 양측에는 핸들(160)이 더 설치되어 보호자가 상기 핸들(160)을 파지하여 휠체어(10)의 방향을 자유롭게 제어함으로서 이동이 가능하다.
한편, 상기 메인프레임(110)의 중앙에는 보강대(170)가 더 설치되되, 상기 보강대(170)는 상호 직교되도록 설치되어 사용자가 착석하여도 사용자의 하중을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다.
상기 보조바퀴(200)는, 상기 메인프레임(110)의 하부 양측으로 연장되는 보조프레임(210)과, 상기 보조프레임(210)의 일측에 각각 설치되고 상기 메인바퀴(100)와 일정간격 이격되어 설치되는 구성이다.
이러한, 상기 보조바퀴(200)는 상기 메인바퀴(100)와 더불어 휠체어(10)의 하중을 지지할 수 있고 사용자가 원하는 방향으로 이동을 도모하게 된다.
더욱 상세하게는, 상기 보조바퀴(200)는 이하 설명될 브라켓(310)의 하부 중앙에 설치되는데, 상기 보조바퀴(220)는 상기 브라켓(310)과 힌지로 상호 결합되거나 베어링으로 상호 결합되어 360°회전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보조프레임(210)은 강성이 강한 철 또는 알루미늄 재질로 구비되어 상기 보조프레임(210)의 자체 강성을 보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보조프레임(210)은 상기 메인프레임(110)의 하부 양측으로 연장되어 설치되는데, 상기 보조프레임(210)은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되어 상기 메인프레임(110)과 이하 설명될 보조이송유닛(300) 간에 보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상기 보조프레임(210)은 제1프레임(212)과 제2프레임(213)으로 구분되는데, 상기 제1프레임(212)과 상기 제2프레임(213)은 상호 중첩되어 길이방향으로 길이조절이 가능하다.
이때, 상기 제1프레임(212)과 상기 제2프레임(213)이 중첩되는 위치에 별도의 스토퍼(미도시)를 구비하여 상기 제1프레임(212)과 상기 제2프레임(213) 간의 길이조절 후, 상기 스토퍼(미도시)를 상기 제1프레임(212)과 상기 제2프레임(213)이 중첩되는 위치에 직교하여 삽입함으로서 상호 고정시킬 수 있다.
상기 보조이송유닛(300)은, 상기 보조바퀴(200)의 상부에 설치되는 구성이다.
이때, 상기 보조이송유닛(300)은, 상기 보조바퀴(200)의 위치 보다 상부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보조바퀴(200)는 지면과 밀착되어 이동하는 용도로 활용되는 것이고, 상기 보조이송유닛(300)은 상기 보조바퀴(200)의 위치보다 상대적으로 상부방향으로 이격되어 설치되어 있으므로 도로에 위치된 장애물이나 턱을 손쉽게 오르고 내리는 용도로 활용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메인바퀴(100)의 중앙에 제1기어(120)가 설치되고, 상기 보조이송유닛(300)의 중앙에 내측에 제2기어(220)가 설치되며, 상기 제1기어(120)와 상기 제2기어(220)는 상호 체인(C)을 매개로 연결되어 상기 메인바퀴(100)의 구동력으로 상기 보조이송유닛(300)이 회전하게 된다.
이때, 상기 체인(C)은 상기 제1기어(120)의 외주면과 상기 제2기어(220)의 외주면을 감싸는 형태 즉, 자전거 체인과 같이 상기 제1기어(120)에서 발생되는 회전력을 상기 제2기어(220)로 전달하게 되어 상기 보조이송유닛(300)을 회전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기어(120)와 상기 제2기어(220)의 기어비는 상호 상이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상기 제1기어(120)의 지름이 작고 상기 제2기어(220)의 지름이 크도록 제작됨으로서 상기 제2기어(220)의 토크를 향상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상기 보조이송유닛(300)은 상기 보조프레임(210)의 일측에 설치되고, 하부에 상기 보조바퀴(200)가 설치되는 브라켓(310)과, 상기 브라켓(310)의 양측에 각각 설치되되, 상기 제2기어(220)의 양측과 축결합되어 상기 제2기어(220)의 회전에 의해 회전되는 복수의 구동기어(320)와, 상기 구동기어(320)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설치되고, 상기 구동기어(320)의 외주면에 복수개 형성되는 기어이(321)와 맞물려 상기 구동기어(320)의 회전과 동시에 회전되는 구동벨트(330)를 더 포함하는 구성이다.
여기서, 상기 구동기어(320)는, 상기 제2기어(220)와 축결합되는 중심기어(322)와, 상기 중심기어(322)의 외주면과 맞물려 회전하는 복수의 이송기어(323)를 포함하는 구성이다.
한편, 상기 이송기어(323)는, 상기 중심기어(322)를 중심으로 상하/좌우방향에 각각 설치되어 지면과 일정각을 이루도록 설치된다.
더욱 상세하게는, 상기 중심기어(322)가 중심에 설치되고, 상기 중심기어(322)의 상하/좌우방향으로 상기 이송기어(323)가 설치되는데, 상기 이송기어(323)는 예를 들어, 상기 중심기어(322)의 상하/좌우방향으로 설치되어 있으므로 상기 중심기어(322)와 대략 45 ~ 90°간격으로 설치되는데, 복수의 상기 구동기어(320)는 마름모 형상으로 구비되므로 상기 구동기어(320)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설치되는 상기 구동벨트(330)의 각 변은 지면과 일정각을 이루게 되는 것이다.
즉, 도로에 위치된 장애물이나 턱의 상부면은 지면으로 부터 일정거리 이격되어 형성되어 있으므로 마름모 형상으로 구비되는 상기 구동기어(320)는 도로에 위치된 장애물이나 턱의 상부면과 접촉된 후 상기 보조이송유닛(300)의 작동에 의해 장애물을 넘을 수 있는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조이송유닛이 설치되는 휠체어의 작동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사용자가 휠체어(10)의 시트(S)에 착석하게 된다.
사용자가 상기 이동손잡이(130)를 파지한 후 상기 메인바퀴(100)를 회전시킴으로서 휠체어(10)의 전진과 후진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보조바퀴(200)는 상기 메인바퀴(100)의 회전에 따라 이동방향을 가이드하게 되고, 상기 메인바퀴(100)의 회전력에 의해 가압되어 회전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시트(S)에 착석한 사용자는 상기 팔걸이(140)에 팔을 안착시켜 편안한 휴식을 취할 수 있고, 상기 발받침대(150)에 발을 안착시켜 편안한 휴식을 취할 수 있다.
또한, 보호자가 상기 핸들(160)을 파지하여 휠체어(10)의 방향을 자유롭게 제어하며 이동할 수 있다.
상기 메인바퀴(100)와 상기 보조바퀴(200)는 지면과 밀착되어 이동되는데, 도로에 위치된 장애물이나 턱을 지나가야할 경우, 상기 보조이송유닛(300)을 통해 통과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보조이송유닛(300)의 작동방법을 설명하면, 상기 메인바퀴(100)가 회전하게 되면, 상기 제1기어(120)가 동시에 회전하게 되고, 상기 제1기어(120)와 상기 체인(C)으로 연결된 상기 제2기어(220)가 회전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2기어(220)의 양측과 축결합되어 상기 제2기어(220)의 회전에 의해 회전되는 복수의 구동기어(320)가 회전하게 되고, 상기 구동기어(320)의 외주면에 복수개 형성되는 기어이(321)와 맞물려 상기 구동기어(320)의 회전과 동시에 상기 구동벨트(330)가 회전하게 된다.
더욱 상세하게는, 상기 제2기어(220)가 회전하게 되면, 상기 중심기어(322)가 회전하게 되고, 상기 중심기어(322)와 맞물려 설치되는 상기 이송기어(323)가 회전과 동시에 상기 구동벨트(330)가 회전하게 되는데, 상기 구동벨트(330)의 외주면 각 변은 지면과 일정각을 이루게 되어 있으므로, 도로에 위치된 장애물이나 턱의 상부면과 접촉하게 되고, 이를 통해 장애물을 넘을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조이송유닛이 설치되는 휠체어에 따르면, 메인바퀴의 구동력에 의해 동작하는 보조이송유닛이 설치됨으로서 도로에 위치된 장애물이나 턱을 손쉽게 오르고 내리는 효과가 있다.
또한, 기존의 수동휠체어에 구조변경이 간편한 상기 보조이송유닛을 추가적으로 설치함으로서 경제적인 효과가 있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10 : 휠체어 100 : 메인바퀴
110 : 메인프레임 120 : 제1기어
130 : 손잡이 140 : 팔걸이
150 : 발받침대 160 : 핸들
170 : 보강대 200 : 보조바퀴
210 : 보조프레임 211 : 중첩부
212 : 제1프레임 213 : 제2프레임
220 : 제2기어 300 : 보조이송유닛
310 : 브라켓 320 : 구동기어
321 : 기어이 322 : 중심기어
323 : 이송기어 330 : 구동벨트

Claims (5)

  1. 시트가 구비되는 메인프레임의 하부에 각각 설치되는 메인바퀴;
    상기 메인프레임의 하부 양측으로 연장되는 보조프레임과, 상기 보조프레임의 일측에 각각 설치되고 상기 메인바퀴와 일정간격 이격되어 설치되는 보조바퀴;
    상기 보조바퀴의 상부에 설치되는 보조이송유닛;
    을 포함하되,
    상기 메인바퀴의 중앙에 제1기어가 설치되고, 상기 보조이송유닛의 중앙에 내측에 제2기어가 설치되며, 상기 제1기어와 상기 제2기어는 상호 체인을 매개로 연결되어 상기 메인바퀴의 구동력으로 상기 보조이송유닛이 회전하고,
    상기 보조이송유닛은,
    상기 보조프레임의 일측에 설치되고, 하부에 상기 보조바퀴가 설치되는 브라켓;
    상기 브라켓의 양측에 각각 설치되되, 상기 제2기어의 양측과 축결합되어 상기 제2기어의 회전에 의해 회전되는 복수의 구동기어;
    상기 구동기어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설치되고, 상기 구동기어의 외주면에 복수개 형성되는 기어이와 맞물려 상기 구동기어의 회전과 동시에 회전되는 구동벨트;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이송유닛이 설치되는 휠체어.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구동기어는,
    상기 제2기어와 축결합되는 중심기어;
    상기 중심기어의 외주면과 맞물려 회전하는 복수의 이송기어;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이송유닛이 설치되는 휠체어.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이송기어는, 상기 중심기어를 중심으로 상하/좌우방향에 각각 설치되어 지면과 일정각을 이루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이송유닛이 설치되는 휠체어.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보조이송유닛은, 상기 보조바퀴 보다 상부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이송유닛이 설치되는 휠체어.
KR1020200145019A 2020-11-03 2020-11-03 보조이송유닛이 설치되는 휠체어 KR1024430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5019A KR102443017B1 (ko) 2020-11-03 2020-11-03 보조이송유닛이 설치되는 휠체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5019A KR102443017B1 (ko) 2020-11-03 2020-11-03 보조이송유닛이 설치되는 휠체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59627A KR20220059627A (ko) 2022-05-10
KR102443017B1 true KR102443017B1 (ko) 2022-09-13

Family

ID=815920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45019A KR102443017B1 (ko) 2020-11-03 2020-11-03 보조이송유닛이 설치되는 휠체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4301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33505A (ko) 2022-09-05 2024-03-12 김하영 레버 작동 구조의 휠체어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32858Y1 (ko) 2000-08-19 2001-09-25 최동선 휠체어 전륜의 고무밸트바퀴 장치
KR200277361Y1 (ko) 2002-02-27 2002-06-01 피쉬앙 머시너리 엠에프지 컴퍼니 리미티드 기적의 턱오르기 장치
KR200354596Y1 (ko) * 2004-03-22 2004-06-29 옥상호 턱오름용 기어가 장착된 휠체어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67456A (ko) * 2002-07-13 2002-08-22 임락복 무한궤도 전륜형 수동/전동 겸용 휠체어
KR20070001163U (ko) 2007-10-09 2007-11-05 윤주선 무한궤도 바퀴 어셈블리가 장착된 개량형 휠체어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32858Y1 (ko) 2000-08-19 2001-09-25 최동선 휠체어 전륜의 고무밸트바퀴 장치
KR200277361Y1 (ko) 2002-02-27 2002-06-01 피쉬앙 머시너리 엠에프지 컴퍼니 리미티드 기적의 턱오르기 장치
KR200354596Y1 (ko) * 2004-03-22 2004-06-29 옥상호 턱오름용 기어가 장착된 휠체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59627A (ko) 2022-05-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844207B1 (en) Walker device with sitting assembly
JP2003521952A (ja) 好気性付属装置を有する車椅子
JP2014079364A (ja) 歩行訓練補助器
US6220620B1 (en) Wheeled height-adjustable rehabilitation chair
KR102443017B1 (ko) 보조이송유닛이 설치되는 휠체어
JP5464642B2 (ja) 三輪型足漕ぎ式車椅子
JP2001321404A (ja) 歩行器兼用車椅子
KR101536932B1 (ko) 기립형 이동기기
JP5459889B1 (ja) 歩行機具
US20150217828A1 (en) Rehabilitation device
KR20160055427A (ko) 전동 꺼꾸리 운동기구
JP3122503U (ja) リハビリテーション用車椅子
JP2002085498A (ja) 歩行器
JP2004073509A (ja) 車椅子
KR101814900B1 (ko) 방향성 캐스터를 이용한 자전거
WO2016019624A1 (zh) 一种腿部康复护理移动椅
CN113303982B (zh) 一种手动站立轮椅
JP2016116823A (ja) 三輪の車椅子
CN218685159U (zh) 一种轮式助行器
KR101814901B1 (ko) 방향성 캐스터를 이용한 자전거
JP2004222879A (ja) 歩行器
JPH07241317A (ja) 車椅子付き介護用ベッド
JP2005198926A (ja) 車椅子
RU2237458C1 (ru) Инвалидная коляска а.г. дворянидова
EP0506964A1 (en) Traveling vehicle for the physically handicappe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