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54596Y1 - 턱오름용 기어가 장착된 휠체어 - Google Patents

턱오름용 기어가 장착된 휠체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54596Y1
KR200354596Y1 KR20-2004-0007897U KR20040007897U KR200354596Y1 KR 200354596 Y1 KR200354596 Y1 KR 200354596Y1 KR 20040007897 U KR20040007897 U KR 20040007897U KR 200354596 Y1 KR200354596 Y1 KR 20035459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heelchair
gear
rear wheel
jaw
steering whe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0789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옥상호
Original Assignee
옥상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옥상호 filed Critical 옥상호
Priority to KR20-2004-000789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5459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5459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54596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06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with obstacle mounting facilities, e.g. for climbing stairs, kerbs or steps
    • A61G5/061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with obstacle mounting facilities, e.g. for climbing stairs, kerbs or steps for climbing stai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1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A61G5/1089Anti-tip devic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Handcar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양측 프레임에 의해 고정되게 설치된 시트 및 등받이와, 상기 시트 및 등받이의 양측상단에 형성된 팔걸이부와, 후방에 형성된 손잡이부와, 시트 하단의 양측에 각각 장착된 발판과, 360도로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된 작은 크기의 조향바퀴와, 그 후방에 손으로 구동시킬 수 있는 핸드림이 장착된 후방바퀴를 포함하는 휠체어에 있어서, 상기 후방바퀴를 연결하는 축의 중심부에는 후방바퀴의 회전에 의해 동일방향으로 구동되는 구동 스프라켓이 설치되고, 상기 구동 스프라켓과 체인에 의해 연결된 연동 스프라켓이 장착된 턱오름 기어가 조향바퀴보다 적어도 높은 위치에 장착되도록 하여, 후방바퀴의 힘을 그대로 전달할 수 있는 턱오름 기어에 의해 소정의 높이를 갖는 턱을 사용자가 적은 힘으로 용이하게 오를 수 있으며, 휠체어의 앞부분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프레임 내부에 승하강용 유압장치를 장착하여 비탈진 오르막길을 오를 때 사용자의 무게중심을 조절할 수 있어 뒤로 넘어지는 것을 방지함에 따라 안전사고의 유발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턱오름용 기어가 장착된 휠체어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턱오름용 기어가 장착된 휠체어{A wheelchair to having a gear for rising}
본 고안은 턱오름용 기어가 장착된 휠체어에 관한 것으로, 좀 더 상세하게는 소정의 높이를 갖는 턱을 사용자가 적은 힘으로 용이하게 넘을 수 있으며, 오르막길을 오를 때 사용자의 무게중심이 뒤로 쏠리지 않도록 하여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턱오름용 기어가 장착된 휠체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휠체어라 함은 거동이 불편한 장애자나 환자들이 이동하기 위한 것으로, 그 종류로는 바퀴를 따라 형성된 핸드림을 팔힘으로 회전시켜 이동하는 수동식 휠체어와 전동모터에 의해 이동하는 전동식 휠체어가 있으며, 그 중 본 고안은 수동식 휠체어에 관한 것이므로 이에 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종래 사용되고 있는 수동식 휠체어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상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수동식 휠체어는 양측 프레임에 의해 고정되게 설치된 시트(1) 및 등받이(2)와, 상기 시트(1) 및 등받이(2)의 양측상단에 형성된 팔걸이부(3)와, 후방에 형성된 손잡이부(4)와, 시트(1) 하단의 양측에 각각 장착된 발판(5)과, 360도로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된 작은 크기의 조향바퀴(6)와, 그 후방에 손으로 구동시킬 수 있는 핸드림(7)이 장착된 후방바퀴(8)로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수동식 휠체어의 구동방법을 보면, 사용자가 시트에 앉은 상태에서 양측단에 구비된 핸드림을 구르면, 그 힘에 의해 후방바퀴가 구르면서 그 구르는 방향으로 휠체어는 전진 또는 후진을 하며, 조향바퀴에 의해 방향전환이 이루어지게 된다.
그러나, 상기한 휠체어는 평지에선 비교적 원활하게 구동될 수 있으나, 사용자의 힘을 받아 구동되는 후방바퀴가 도로의 바닥면과 접촉된 상태로 구동되기 때문에 비교적 낮은 턱에서는 혼자 힘으로 올라가기가 매우 힘들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한 휠체어는 오르막길을 올라갈 경우 사용자의 무게중심이 뒤로 쏠리게 되어 휠체어가 뒤로 넘어지게 되는 경우가 종종 발생되며, 이러한 경우는 곧장 안전사고로 이어지기 때문에 매우 위험한 상황을 연출하게 된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이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구성된 것으로, 소정의 높이를 갖는 턱을 사용자가 적은 힘으로 용이하게 넘을 수 있으며, 오르막길을 오를 때 사용자의 무게중심이 뒤로 쏠리지 않도록 하여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턱오름용 기어가 장착된 휠체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종래 사용되고 있는 수동식 휠체어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휠체어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도 2의 휠체어를 절단하여 나타낸 단면도
도 4a 내지 4b는 본 고안의 휠체어에 대한 작동관계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고안의 휠체어에 대한 사용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면의 주요부호에 대한 상세한 설명>
10 : 시트 20 : 등받이
30 : 팔걸이부 40 : 손잡이부
50 : 발판 60 : 조향바퀴
70 : 핸드림 80 : 후방바퀴
81 : 구동 스프라켓 90 : 턱오름 기어
90a : 절곡부 91 : 연동 스프라켓
92 : 체인 93 : 전면 프레임
94 : 승하강 유압장치 95 : 조절레바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양측 프레임에 의해 고정되게 설치된 시트 및 등받이와, 상기 시트 및 등받이의 양측상단에 형성된 팔걸이부와, 후방에 형성된 손잡이부와, 시트 하단의 양측에 각각 장착된 발판과, 360도로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된 작은 크기의 조향바퀴와, 그 후방에 손으로 구동시킬 수 있는 핸드림이 장착된 후방바퀴를 포함하는 휠체어에 있어서,
상기 후방바퀴를 연결하는 축의 중심부에는 후방바퀴의 회전에 의해 동일방향으로 구동되는 구동 스프라켓이 설치되고, 상기 구동 스프라켓과 체인에 의해 연결된 연동 스프라켓이 장착된 턱오름 기어가 조향바퀴보다 적어도 높은 위치에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턱오름용 기어가 장착된 휠체어를 제공함으로서 달성된다.
이하 본 고안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통하여 좀 더 상세하게 살펴보기는 하나, 이는 본 고안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제시된 것일 뿐, 본 고안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2는 본 고안의 휠체어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휠체어를 절단하여 나타낸 단면도이다.
상기 도 2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휠체어는 양측 프레임에 의해 고정되게 설치된 시트(10) 및 등받이(20)가 구비되고, 상기 시트(10) 및 등받이(20)의 양측 상단에는 팔걸이부(30)가 형성되며, 후방에는 보호자가 뒤에서 밀 수 있도록 손잡이부(40)가 설치되고, 시트(10) 하단의 양측에는 각각 발판(50)이 구비되며, 하단에는 360도로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된 작은 크기의 조향바퀴(60)와, 손으로 구동시킬 수 있는 핸드림(70)이 장착된 후방바퀴(80)가 각각 장착되어 있다.
또한, 상기 후방바퀴(80)를 연결하는 축의 중심부에는 상기 후방바퀴(80)의 회전에 의해 동일방향으로 구동되는 구동 스프라켓(81)이 설치되고, 상기 구동 스프라켓(81)과 체인(92)에 의해 연결된 연동 스프라켓(91)이 장착된 턱오름 기어(90)가 조향바퀴(70)보다 적어도 높은 위치에 장착되어 있다.
상기한 턱오름 기어(90)에 있어서, 오르고자 하는 턱과 직접적으로 접촉되는 말단부를 내각을 갖는 절곡부(90a)를 형성하게 되면 좀 더 바람직한 효과를 가져오게 되는데, 이는 상기 턱오름 기어(90)의 절곡부(90a)를 통하여 기어의 회전이 용이하게 일어날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휠체어의 무게를 못 이겨 턱오름 기어가 반대 방향으로 공회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은 조향바퀴(60)를 지지하는 전면 프레임(93)의 내부에 상기 전면 프레임(93)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유압장치(94)가 장착되며, 상기 유압장치(94)의 유압량을 조절할 수 있는 조절레바(95)가 그 상단에 구비되어 사용자가 임의적으로 휠체어의 앞부분을 승하강할 수 있도록 이루어져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휠체어는 사용자가 핸드림(70)을 통해 후방바퀴(80)를 전.후 방향으로 구동시키게 되면, 상기 후방바퀴(80)의 축에 장착된 구동 스프라켓(81) 또한 동일한 방향으로 구동되어 체인(92)을 통해 연동 스프라켓(91)을 연동시켜 턱오름 기어(90)를 작동시키도록 되어 있다.
도 4a 내지 4b는 본 고안의 휠체어에 대한 작동관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 도 4a 내지 4b에서는 본 고안의 휠체어가 소정의 턱을 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평상시와 같이 사용자가 핸드림(70)을 회전시켜 후방바퀴(80)를 전진 방향으로 구동시키게 되면, 그 구동되는 방향으로 조향바퀴(80)도 함께 구동되어 이동이 이루어진다.
이 때 상기 후방바퀴(80)의 축에 장착된 구동 스프라켓(81) 또한 동일한 방향으로 구동되며, 이 구동된 동력은 체인(92)과 연결된 연동 스프라켓(91)에 전달시켜 연동시킴에 따라 턱오름 기어(90)가 작동되게 되는데, 상기한 턱오름 기어(90)는 위치상으로 조향바퀴(60) 보다 소정의 턱에 먼저 접촉되어 구동이 된다.
이러한 턱오름 기어(90)는 소정의 높이를 갖는 턱을 오르고자 할 때 구동 스프라켓(81)과 연동 스프라켓(91)을 통하여 사용자의 힘이 직접적으로 전달되기 때문에 종래보다 더 적은 힘으로 쉽게 오를 수 있다는 것이다.
즉, 본 고안은 종래의 휠체어를 이용하여 턱을 오르고자 할 때에는 먼저 조향바퀴가 접촉된 상태에서 후방바퀴를 통해 힘을 주기 때문에 사용자의 힘이 조향바퀴에 직접적으로 전달되지 못하여 많은 힘이 들며, 과도한 힘을 사용하다 조향바퀴가 헛돌게 되는 현상이 발생되어 쉽게 오르지 못했던 점을 개선한 것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휠체어에 대한 사용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휠체어의 조향바퀴(60)를 전면 프레임(93) 내부에 장착된 유압장치(94)를 사용자가 그 상단에 구비된 조절레바(95)를 이용하여 휠체어의 앞부분을 하강시킨 상태에서 구동시켜 오르막길을 오르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이와 같이 휠체어의 앞부분을 하강시킨 상태에서 비탈진 오르막길을 오르게 됨에 따라, 종래 오르막길에서 사용자의 무게중심이 뒤로 쏠리게 되어 휠체어가 뒤로 넘어지는 것을 막을 수 있으며, 이로 인한 안전사고의 유발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턱오름용 기어가 장착된 휠체어는 구동 및 연동 스프라켓과 체인을 통해 후방바퀴의 힘을 그대로 전달할 수 있는 턱오름 기어를 구비하여 소정의 높이를 갖는 턱을 사용자가 적은 힘으로 용이하게 오를 수 있으며, 휠체어의 앞부분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프레임 내부에 승하강용 유압장치를 장착하여 비탈진 오르막길을 오를 때 사용자의 무게중심을 조절할 수 있어 뒤로 넘어지는 것을 방지함에 따라 안전사고의 유발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는 효과를 가져오는 것이다.

Claims (3)

  1. 양측 프레임에 의해 고정되게 설치된 시트 및 등받이와, 상기 시트 및 등받이의 양측상단에 형성된 팔걸이부와, 후방에 형성된 손잡이부와, 시트 하단의 양측에 각각 장착된 발판과, 360도로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된 작은 크기의 조향바퀴와, 그 후방에 손으로 구동시킬 수 있는 핸드림이 장착된 후방바퀴를 포함하는 휠체어에 있어서,
    상기 후방바퀴를 연결하는 축의 중심부에는 후방바퀴의 회전에 의해 동일방향으로 구동되는 구동 스프라켓이 설치되고, 상기 구동 스프라켓과 체인에 의해 연결된 연동 스프라켓이 장착된 턱오름 기어가 조향바퀴보다 적어도 높은 위치에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턱오름용 기어가 장착된 휠체어.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턱오름 기어의 말단부에 내각을 갖는 절곡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턱오름용 기어가 장착된 휠체어.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전면 프레임의 내부에 상기 전면 프레임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유압장치가 장착되며, 상기 유압장치의 유압량을 조절할 수 있는 조절레바가 그 상단에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턱오름용 기어가 장착된 휠체어.
KR20-2004-0007897U 2004-03-22 2004-03-22 턱오름용 기어가 장착된 휠체어 KR20035459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07897U KR200354596Y1 (ko) 2004-03-22 2004-03-22 턱오름용 기어가 장착된 휠체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07897U KR200354596Y1 (ko) 2004-03-22 2004-03-22 턱오름용 기어가 장착된 휠체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54596Y1 true KR200354596Y1 (ko) 2004-06-29

Family

ID=493475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07897U KR200354596Y1 (ko) 2004-03-22 2004-03-22 턱오름용 기어가 장착된 휠체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54596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59627A (ko) * 2020-11-03 2022-05-10 한남대학교 산학협력단 보조이송유닛이 설치되는 휠체어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59627A (ko) * 2020-11-03 2022-05-10 한남대학교 산학협력단 보조이송유닛이 설치되는 휠체어
KR102443017B1 (ko) * 2020-11-03 2022-09-13 한남대학교 산학협력단 보조이송유닛이 설치되는 휠체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432425A (en) Wheel chair
KR20020067456A (ko) 무한궤도 전륜형 수동/전동 겸용 휠체어
JP3207779U (ja) 手動階段昇降車椅子
KR200410914Y1 (ko) 휠체어
US8113305B1 (en) Powered patient transport vehicle
EP3494943B1 (en) Manual wheel-attached movable body
EP1951180B1 (en) Wheelchair
KR200354596Y1 (ko) 턱오름용 기어가 장착된 휠체어
JP4214506B2 (ja) 車椅子の転倒防止機構
CN213311003U (zh) 一种轮椅
KR101339780B1 (ko) 장애물을 승월할 수 있는 이동 기구
KR20130015279A (ko) 지체장애인용 자전거
KR101026760B1 (ko) 경사면 및 계단의 주행이 용이한 휠체어
CN209757397U (zh) 一种爬楼装置
KR200403848Y1 (ko) 승하강용 기어가 구비된 휠체어
KR101269960B1 (ko) 어시스트-풋을 이용하여 장애물을 승월할 수 있는 이동 기구
JPH10174700A (ja) 階段クライミング車椅子
KR100698384B1 (ko) 변속 수동구동장치가 장착된 휠체어
KR101353529B1 (ko) 어시스트-풋을 이용하여 장애물을 승월할 수 있는 이동 기구
JP4617718B2 (ja) 電動車椅子
JP3544071B2 (ja) 起立姿勢で運転可能な電動走行車
JP2015037439A (ja) 前傾する車椅子
KR200293419Y1 (ko) 전동 휠체어
KR200395132Y1 (ko) 변속 수동구동장치가 장착된 휠체어
JP4633453B2 (ja) 電動式立ち上がり補助機能付リラックス車イ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726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