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77361Y1 - 기적의 턱오르기 장치 - Google Patents

기적의 턱오르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77361Y1
KR200277361Y1 KR2020020005870U KR20020005870U KR200277361Y1 KR 200277361 Y1 KR200277361 Y1 KR 200277361Y1 KR 2020020005870 U KR2020020005870 U KR 2020020005870U KR 20020005870 U KR20020005870 U KR 20020005870U KR 200277361 Y1 KR200277361 Y1 KR 20027736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heel
front guide
miracle
casing
walk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0587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도날드피에이치우
Original Assignee
피쉬앙 머시너리 엠에프지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피쉬앙 머시너리 엠에프지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피쉬앙 머시너리 엠에프지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to KR202002000587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7736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7736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77361Y1/ko

Links

Landscapes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고안의 기적의 턱오르기 장치는 손수레, 휠체어, 전기휠체어, 휘일구동체어 등의 보행기의 전방 또는 후방액슬에 나사결합되는 상부 연결볼트를 갖는 케이싱과, 상기 케이시의 전방 및 후방단부에 각각 장착되는 적어도 하나의 전방안내휘일과 적어도 하나의 메인착지휘일과, 상기 전방안내휘일과 상기 메인착지휘일 사이의 케이싱에 장착되는 적어도 하나의 중계휘일을 구비한다. 전방안내휘일과 중계휘일은 메인착지휘일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며 메인착지휘일의 전방에 공중에 매달림으로써, 보행기의 격렬한 진동이나 흔들림 없이 메인착지휘일이 연석이나 문턱 등의 장애물을 작은 상승각으로 원활하게 올라갈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기적의 턱오르기 장치 {MIracle Curb Climber}
본 고안은 기적의 턱오르기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보행기가 작은 상승각으로 높은 장애물을 안정하게 오르고 넘어갈 수 있게 하도록 손수레, 휠체어, 전기휠체어, 휠구동체어 등의 보행기의 전방액슬이나 후방액슬에 나사 고정되는 기적의 턱오르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손수레, 휠체어, 전기휠체어 및 휠구동체어는 어린이, 환자 및 노인들이 걷는 것을 도와주는 보행기로서 널리 이용된다. 보행기의 공통적인 특징은 모두 수동이나 전기적으로 구동되어 전진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들 보행기가 원활하게 회전하기 위해서는 보행기에 후방휘일보다 작은 전방휘일을 제공하는 것이 일반적인 방법이다. 그러나, 작은 전방휘일은 보행기가 연석이나 문턱 등의 높은 장애물을 쉽게 올라가서 넘어가는 것을 방해한다. 도 37은 안내휘일(A1)을 갖는 전형적인 휠체어(A)를 나타내며 도 38은 휠체어(A)가 높은 장애물(B)을 넘어가려는 것을 나타낸다. 휠체어(A)의 전방안내휘일(A1)이 먼저 장애물(B)과 만난다. 전방안내휘일(A1)은 보통 작은 직경을 갖기 때문에 각 전방안내휘일(A1)의 휘일축(A2)과 지면 사이의 거리는 짧다. 장애물(B)이 전방안내휘일(A1)의 반경보다 큰 높이를 갖는 경우, 전방안내휘일은 장애물(B)에 고착되어 장애물(B)을 올라가서 넘어가는 것이 어렵게 된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보통 전체 휠체어(A)의 전방부를 들어올리기 위해 지지점으로서 휠체어(A)의 후방휘일(F)을 이용하여 전방안내휘일(A1)의 바닥면을 장애물(B)의 상면과 접촉시킬 필요가 있다. 그러나, 이렇게 하는 것은 힘들고 불편하다. 그리고 장애물(B)이 전방안내휘일(A1)의 반경보다 약간 작은 높이를 갖는 경우, 휠체어(A)는 보통 장애물(B)쪽으로 잠시 가속되어 전방안내휘일(A1)이 추진력하에서 장애물(B)의 위로 올라갈 수 있게 한다. 도 39를 참조한다. 전방안내휘일(A1)의 전방엣지가 처음에 장애물(B)과 접촉하는 제 1 지점과 전방안내휘일(A1)이 지면과 접촉하는 제 2 지점을 통과하는 선이 지면과 함께 각(Z), 즉 상승각이라고 하는 각을 형성한다. 상승각(Z)이 커질수록 전방안내휘일(A1)이 장애물(B)을 올라가서 넘어가게 하기가 어려워진다. 상승각(Z)이 클 때 전방안내휘일(A1)이 장애물(B)을 올라가게 하는데는 상당히 큰 추진력이 필요하다. 이 큰 추진력은 휠체어(A)의 비임이 변형되거나 심지어는 파손되게 한다. 또한, 이런 추진력은 전체휠체어(A)를 격렬하게 진동시키거나 흔들거리게 하여 사용자의 안전을 위태롭게 한다.
종래의 휠체어(A)가 장애물(B)을 쉽게 넘어가게 하기 위해 휠체어(A)의 전방안내휘일(A1)에 보조동력을 제공하려고 하였다. 그러나, 휠체어(A)는 그 구조가 복잡해지고 변형비용이 증가될 필요가 있다. 예를 들어, 회전 중에 휠체어(A)가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두 개의 전방안내휘일(A1) 사이에 차동장치를 장착할 수도 있다. 그러나 차동장치는 휠체어(A)가 동작하기 더 어렵게 만든다.
도 40은 높은 장애물(B)을 휠체어(A)가 넘어가게 하기 위한 다른 방법을 나타낸다. 도 40에 도시한 휠체어(A)는 전륜으로 구동되며 두 개의 대직경 전방안내휘일(A1)을 갖는다. 큰 전방안내휘일(A1)을 갖는 경우라도 전방안내휘일(A1)이 장애물(B)을 통과하게 하기 위해서는 휠체어(A)가 가속되어야 하고 후방휘일(F)을 당겨서 장애물(B)을 올라갈 수 있게 하여야 한다. 이 경우, 휠체어(A)는 두 번 충격을 받으며 차를 후진시키는 것과 유사한 방식으로 이동한다. 따라서 전륜구동 휠체어(A)는 조향하기 어려워서 소비자 사이에서 널리 받아들일 수 없다.
도 41은 휠체어의 하측전방에 장착된 턱상승기(G)를 갖는 종래의 후륜구동 휠체어(A)를 나타낸다. 턱상승기(G)의 바닥이 먼저 장애물과 접촉하고 이어서 지레처럼 작용하여 이동 중의 휠체어(A)의 전방부를 들어올려서 휠체어가 장애물을 넘어갈 수 있게 한다. 그러나, 턱상승기(G)는 휠체어(A)의 사용자가 턱상승기를 장애물에 조준할 수 없으면 소용이 없다. 휠체어사용자가 턱상승기(G)를 장애물에 조준하기가 매우 어렵기 때문에 턱상승기(G)를 갖는 휠체어(A)는 사용하기가 실용적이지 못하여 널리 받아들이지 못한다.
Pride Health Care Inc. 미국회사는 두 개의 전방기울어짐방지휘일(H)을 갖는 개량된 휠체어(A)를 개발하였다. 도 42 내지 도 46을 참조하라. 휠체어(A)는 메인구동휠로서 작용하는 두 개의 큰 중간휘일과 두 개의 후방종동휘일(F)을 갖는 전륜구동차량이다. 두 개의 기울어짐방지 휘일(H)의 각각은 크랭크(L)의 전방단부에 고정된다. 크랭크(L)의 중간부는 휠체어(A)의 모터(M)에 피봇상태로 연결되며 그 후방단부는 모터(M)의 후방단부에 견고히 결속된다. 전방기울어짐방지휘일(H)과 모터(M)는 각각 스프링(S1, S2)으로 휠체어(A)의 뼈대에 연결된다. 이들 스프링(S1, S2)을 제공하면 이동 중의 휠체어(A)가 흔들의자처럼 흔들리게 된다. 휠체어(A)가 출발하고 정지할 때마다 극히 불안정한 상태에서 전후로 흔들려서 사용자가 휠체어를 원활하게 조향할 수 없게 한다. 또한 휠체어(A)가 거친 길에서 이동하고 전방기울어짐방지휘일(H)이 높은 장애물을 넘어가려할 때, 사용자는 미리 휠체어(A)를 가속시켜서 추진력하에서 기울어짐방지휘일(H)이 탄성적으로 상승하여 장애물을 넘어갈 수 있게 하여야 한다. 장애물이 전방기울어짐방지휘일(H)의 반경보다 높은 경우 휘일(H)은 전혀 소용이 없게 될 것이다. 또한 휠체어(A)가 경사면아래로 이동할 때 전방기울어짐방지휘일(H)이 스프링(S1)에 의해 초기에 하방으로 가압되어 경사면과 접촉하여 휠체어(A)를 안정한 상태로 유지할 수 있게 한다. 그러나, 메인구동휘일(A1)이 경사면 위로 이동할 때 모터(M)에 견고히 고정된 후방단부를 갖는 크랭크(L)는 도 45 및 도 46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갑자기 기울어져서 종동휘일(F)이 공중에 매달리게 될 것이다. 종동휘일(F)이 아주 짧은 시간동안 매달린다고 해도 이런 순간적인 매달림은 휠체어(A)의 사용자를 당황하게 할 것이다. 또한 사용자가 전방발판(P)을 약간 밟고 휠체어(A)를 타거나 내릴 때 휠체어(A)는 순간적으로 전방으로 기울어져 사용자를 위험하게 한다.
Pride Health Care Inc.,는 또한 도 47 내지 도 5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술한 휠체어(A)의 단순화된 개조물을 개발하였다. 이 단순화된 개조물에서 크랭크(L)는 후방단부가 휠체어(A)의 하측전방지지부에 고정된다. 기울어짐방지휘일(H)은 또한 완충스프링(S1)을 통해 휠체어(A)의 뼈대에 연결된다. 그러나, 이 단순화된 구조는 상술한 결점들을 제거할 수 없다.
도 51 및 도 52는 두 개의 발판(P) 사이에 휠체어(A)의 하측전방에 움직일수 있게 연결된 의족같이 보이는 T형의 보조다리(T)를 구비하는 또 다른 종래의 휠체어(A)를 나타낸다. 휠체어(A)에 연결된 보조다리(T)의 상단부에는 스프링이 장착되어 보조다리(T)가 지면과 접촉하지 않고 정상상태에서 매달린 위치에 유지되어 휠체어(A)의 이동을 방해하게 된다. 휠체어(A)가 장애물을 만날 때 T형 보조다리(T)의 하단부가 먼저 장애물(B)과 접촉하여 휠체어(A)에 연결된 상단부를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회전할 것이다. 휠체어(A)가 전진하고 있을 때, 보조다리(T)는 수직상태로 이동하여 휠체어(A)의 두 개의 전방휘일(A1)을 상승시켜 공중에 매달리게 하여 전방휘일(A1)이 장애물을 넘어가게 한다. 후방휘일(F)이 전진하고 있을 때, 보조다리(T)는 후방으로 피봇상태로 회전하게 된다. 휠체어(A)가 장애물(B)을 완전히 넘어간 후에 보조다리(T)는 상단부의 스프링에 의해 정위치로 탄발된다.
도 53 내지 도 55는 하측전방에 연결된 탄성적으로 이동 가능한 3륜 보조다리(W)를 갖는 다른 휠체어(A)를 나타낸다. 다시 3륜 보조다리(W)는 휠체어(A)의 이동을 방해하지 않도록 정상시에 지면과 접촉하지 않는다. 휠체어(A)가 장애물을 만날 때 보조다리(W)의 3개의 휘일 중의 하나가 먼저 장애물(B)과 접촉할 것이다. 그 후 보조다리(W)가 그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다른 휘일이 연속적으로 장애물(B)로 올라갈 수 있게 한다. 보조다리(W)가 장애물(B)로 올라갈 때 보조다리는 전방휘일(A1)을 들어올려 장애물(B)을 넘어갈 수 있게 한다. 전방휘일(A1)이 장애물로 완전히 올라가서 다시 착지할 때 3륜의 보조다리(W)는 휠체어(A)의 전방에 매달린 상태로 복귀한다. 두 개의 보조다리(T) 및 (W)의 공통적인 결점은 후방휘일(F)과 함께 3개만의 지면접촉지점을 제공하여 전체휠체어(A)가 불안정한 상태를 받게 한다. 또한, 이런 보조다리(T) 또는 (W)는 성공적으로 작용하기 위해서는 장애물에 조준되어야 한다. 따라서 이런 보조다리(T) 또는 (W)를 갖는 휠체어는 쉽게 제어할 수 없으며 시장에 널리 거래되지 않는다.
따라서 본 고안의 주목적은 손수레, 휠체어, 전기휠체어, 휠구동체어 등의 보행기의 전방 또는 후방축에 연결하기 위해 연속적으로 배열되고 점차 커지는 전방안내휘일, 중계휘일, 및 메인착지휘일로 구성되어, 보행기가 작은 상승각으로 연석이나 문턱 등의 높은 장애물을 원활하기 올라갈 수 있도록 안정하게 다루어질 수 있게 하는 기적의 턱오르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연속적으로 배열되어 점차 커지는 전방안내휘일, 중계휘일 및 메인착지휘일로 구성되는 기적의 턱오르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전방안내휘일과 중계휘일은 메인착지휘일 앞에서 매달림으로써 전체휠체어의 격렬한 진동이나 흔들림 없이 기적의 턱오르기 장치 전체가 장애물을 올라가게 할 수 있도록 작은 상승각을 형성한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손수레, 휠체어, 전기휠체어, 휠구동체어 등의 보행기의 전방액슬 또는 후방액슬에 자유롭게 연결하도록 된 연결볼트 및 케이싱을 갖는 기적의 턱오르기 장치를 저렴한 개조비로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기적의 턱오르기 장치의 조립사시도.
도 2는 도 1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도 1의 저면도.
도 4는 도 1의 기적의 턱오르기 장치의 전방안내휘일, 중계휘일 및 후방안내휘일과 장애물에 의해 형성된 상승각을 나타내는 측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기적의 턱오르기 장치의 후방안내휘일과 장애물에 의해 형성된 다른 상승각을 나타내는 측면도.
도 6은 전기휠체어 형태의 보행기에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기적의 턱오르기 장치를 장착하는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7은 도 6의 전기휠체어에 장착된 본 고안의 기적의 턱오르기 장치가 장애물을 올라가려고 하는 것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8은 도 7의 전기휠체어에 장착된 본 고안의 기적의 턱오르기 장치의 전방안내휘일이 장애물의 상부와 접촉하고 있는 것을 나타내는 측면도.
도 9는 도 8의 전방안내휘일이 장애물의 상부에 올라간 것을 나타내는 측면도.
도 10은 본 고안의 기적의 턱오르기 장치의 중계휘일이 장애물의 상부에 올라간 것을 나타내는 측면도.
도 11은 본 고안의 기적의 턱오르기 장치의 후방안내휘일이 장애물의 상부에 올라간 것을 나타내는 측면도.
도 12는 본 고안의 기적의 턱오르기 장치 전제가 장애물을 완전히 올라간 것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13은 휠체어 형태의 보행기에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기적의 턱오르기 장치를 장착하는 제 1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4는 휠체어에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기적의 턱오르기 장치를 장착하는 다른 예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15는 본 고안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기적의 턱오르기 장치의 조립사시도.
도 16은 도 15의 분해사시도.
도 17은 보행기에 본 고안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기적의 턱오르기 장치를 장착하는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8은 본 고안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기적의 턱오르기 장치의 측면도.
도 19는 도 18의 저면도.
도 20은 보행기에 본 고안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기적의 턱오르기 장치를 장착하는 예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21은 본 고안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기적의 턱오르기 장치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22는 보행기에 본 고안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기적의 턱오르기 장치를 장착하는 예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23은 본 고안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기적의 턱오르기 장치의 저면도.
도 24는 도 23의 기적의 턱오르기 장치의 측면도.
도 25는 본 고안의 제 6 실시예에 따른 기적의 턱오르기 장치의 측면도.
도 26은 도 25의 기적의 턱오르기 장치의 저면도.
도 27은 본 고안의 제 7 실시예에 따른 기적의 턱오르기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8은 도 27의 분해사시도.
도 29는 후방안내휘일의 환형홈 내의 도 27의 벨트의 위치를 나타내는 부분확대입면도.
도 30은 보행기에 본 고안의 제 7 실시예에 따른 기적의 턱오르기 장치를 장착하는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1은 본 고안의 제 8 실시예에 따른 기적의 턱오르기 장치의 측면도.
도 32는 본 고안의 제 9 실시예에 따른 기적의 턱오르기 장치의 사시도.
도 33은 도 32의 분해사시도.
도 34는 후방안태위일의 환형홈 내의 도 33의 기어벨트의 위치를 나타내는 부분확대입면도.
도 35는 보행기에 본 고안의 제 9 실시예에 따른 기적의 턱오르기 장치를 장착하는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6은 본 고안의 제 10 실시예에 따른 기적의 턱오르기 장치의 측면도.
도 37은 종래의 휠체어의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8은 도 37의 종래의 휠체어가 장애물을 올라가려고 하는 것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39는 도 37의 종래의 휠체어의 전방안내휘일이 장애물과 만나는 것을 나타내는 부분확대측면도.
도 40은 종래의 전륜구동 휠체어의 구조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41은 턱오르기 기구를 구비한 종래의 휠체어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42는 전방기울어짐방지휘일을 갖는 종래의 휠체어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43은 전방기울어짐방지휘일을 휠체어에 연결하는 것을 더 잘 나타내기 위해 메인구동휘일이 제거된 상태의 도 42와 유사한 측면도.
도 44는 도 42의 휠체어가 장애물을 올라가는 것을 나타내는 측면도.
도 45는 도 42의 휠체어의 전방기울어짐방지휘일이 경사면의 아래로 내려가는 것을 나타내는 측면도.
도 46은 후방휘일이 공중에 매달린 상태에서 도 45의 휠체어가 경사면의 아래로 내려가는 것을 나타내는 측면도.
도 47은 전방기울어짐방지휘일을 구비하는 다른 종래의 휠체어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48은 도 47의 휠체어가 장애물을 올라가는 것을 나타내는 측면도.
도 49는 도 47의 휠체어의 전방기울어짐방지휘일이 경사면의 아래로 내려가는 것을 나타내는 측면도.
도 50은 후방휘일이 공중에 매달린 상태에서 도 49의 휠체어가 경사면의 아래로 내려가는 것을 나타내는 측면도.
도 51은 T형의 보조다리가 하측전방에 장착된 종래의 휠체어의 사시도.
도 52는 T형 보조다리에 의해 도 51의 휠체어가 장애물을 올라가는 것을 나타내는 측면도.
도 53은 가동 3륜 보조다리가 하측전방에 장착된 다른 종래의 휠체어의 사시도.
도 54는 3륜 보조다리에 의해 도 53의 휠체어가 장애물을 올라가려고 하는 것을 나타내는 측면도.
도 55는 3륜 보조다리에 의해 도 54의 휠체어가 장애물을 올라간 것을 나타내는 측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케이싱 11 연결시트
12 연결볼트 13 장착공
14 장착공간 20 전방안내휘일
21, 31 환형홈 30 메인착지휘일
40 중계휘일 50 벨트
60 벨트 61 치부
70 하측롤러 100 기적의 턱오르기 장치
200 보행기 220 후방휘일
C 지지볼트 D 너트
상기 목적 및 그 외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의 기적의 턱오르기 장치는 주로 손수레, 휠체어, 전기휠체어, 휘일구동체어 등의 보행기의 전방 또는 후방액슬에 나사결합되는 상부연결볼트를 갖는 케이싱과, 상기 케이싱의 전방 및 후방단부에 장착되는 적어도 하나의 전방안내휘일 및 적어도 하나의 메인착지휘일과, 상기 전방안내휘일과 상기 메인착지휘일 사이의 케이싱에 장착되는 적어도 하나의 중계휘일을 구비한다. 상기 전방안내휘일과 중계휘일은 메인착지휘일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고 메인착지휘일의 전방에 공중에 매달려서 메인착지휘일과 지면사이에 작은 상승각이 형성됨으로써, 메인착지휘일이 보행기의 격렬한 진동이나 흔들림 없이 연석이나 문턱 등의 장애물을 원활하게 올라가게 된다.
상기 및 그 외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이 채용한 구조 및 기술적 수단은 이후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과 첨부도면을 참조하면 가장 잘 이해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기적의 턱오르기 장치(100)의 조립사시도, 분해사시도 및 저면도인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라. 도시한 바와 같이, 기적의 턱오르기 장치(100)는 주로 보행기(200)(도 6 참조)의 전방축(210)의 단부에 나사결합되는 상부로 돌출한 연결볼트(12)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연결시트(11)가 상면에 제공된 케이싱(10)과, 적어도 한 쌍의 전방안내휘일(20) 및 메인착지휘일(30)과, 적어도 한 쌍의 중계휘일(40)을 구비한다. 케이싱(10)은 양측벽에 다수 쌍의 장착공(13)이 대칭적으로 형성되며 내부의 휘일장착공간(14)을 형성한다. 전방안내휘일(20)과 메인착지휘일(30)은 전방 및 후방의 장착공(13)을 통하여 연장되어 너트(D)와 결합되는 지지볼트(C)에 의해 휘일장착공간(14)의 전방단부 및 후방단부에 위치하도록 케이싱(10) 내에 장착된다. 지지볼트(C)와 대응너트(D)는 함께 지지휘일액슬부를 제공한다. 적어도 한 쌍의 중계휘일(40)도 대응하는 장착공(13)을 통해 연장되는 지지볼트(C) 및 너트(D)에 의해 메인착지휘일(30)과 전방안내휘일(20) 사이에 위치하도록 케이싱(10) 내에 장착된다. 도 1의 기적의 턱오르기 장치(100)의 저면도인 도 3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한 쌍의 중계휘일(40)은 종방향으로 각각 전방안내휘일(20)의 후방엣지와 메인착지휘일(30)의 전방엣지와 겹치도록 전방안내휘일(20)과 메인착지휘일(30) 사이에 종방향으로 위치하고 그 양측에 횡으로 위치한다. 이런 배열로 인해 전방안내휘일(20)과 메인착지휘일(30) 사이의 축거가 효과적으로 짧아져서 기적의 턱오르기 장치(100)가 차지하는 공간을 적절히 줄일 수 있게 된다.
도 1의 기적의 턱오르기 장치(100)의 전방안내휘일(20), 중계휘일(40) 및 메인착지휘일(30)은 소정의 비율로 커진 직경을 갖는다. 이들 휘일이 케이싱(10)의 휘일장착공간(14) 내에 장착된 후, 메인착지휘일(30)은 항시 지면과 접촉하고 있는 반면 전방안내휘일(20) 및 중계휘일(40)은 공중에 매달려 있다. 도 4를 참조한다. 기적의 턱오르기 장치(100)가 장애물(E)의 전방에 위치할 때, 전방안내휘일(20)이 처음에 장애물(E)과 접촉하는 지점과 메인착지휘일(30)이 지면과 접촉하는 지점을 통과하는 선(X)과 지면(Y)은 함께 상승각 α를 형성한다. 이 상승각 α는 전방안내휘일(20), 중계휘일(40) 및 메인착지휘일(30)의 직경을 조정하거나 케이싱(10)의 장착공(13)의 높이를 조정함으로써 변화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한다. 메인착지휘일(30)이 지면(Y)과 접촉하는 지점과 메인착지휘일(30)이 장애물(E)과 직접 접촉하는 지점을 통과하는 선(X')은 지면(Y)과 함께 다른 상승각(Z)을 형성한다. 상승각 α는 상승각 Z보다 작은 것을 발견할 수 있다. 상승각이 작아지면 확실히 장애물을 올라가기 쉽게 된다. 이런 사실을 염두에 두고 본 고안의 기적의 턱오르기 장치(100)는 상승각 α을 가능한 많이 줄일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
도 6은 휠체어의 두 개의 전방안내휘일로서 작용하도록 전기휠체어의 형태의 보행기(200)에 도 1의 기적의 턱오르기 장치(100)를 장착하는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그러나, 보행기(200)는 반드시 전기휠체어만은 아니며 전기휠체어와 기능적으로 동등한 손수레, 휠체어 또는 휠구동체어가 될 수 있다.
도 7 내지 도 12는 전방안내휘일로서 도 1의 기적의 턱오르기 장치를 사용하여 도 6의 보행기(200)가 장애물(E)을 올라가는 과정을 나타낸다. 도 7 및 도 8은 도 1의 기적의 턱오르기 장치(100)가 높은 장애물(E)을 올라가려 하는 것을 나타내는 사시도 및 측면도이다. 보행기(200)의 메인착지휘일(30) 및 두 개의 후방휘일(220)이 동시에 지면(Y)과 접촉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기적의 턱오르기 장치(100)는 작은 상승각 α을 가질 수 있도록 설계되었고 그 전방안내휘일은 높은 장애물(E)에 비하여 높은 위치에 있으며, 따라서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방안내휘일(20)이 높은 장애물(E)의 상부를 용이하게 오를 수 있게 된다. 전기휠체어(200)의 후방휘일로부터 밀어짐에 따라서 도 9 및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적의 턱오르기 장치(100)의 전방안내휘일(20)과 중계휘일(40)이 연속적으로 전진하여 장애물(E)의 상부위로 올라갈 수 있게 된다. 그 후, 도 11 및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메인착지휘일(30)도후방휘일(220)에 의해 전방으로 이동하여 높은 장애물(E) 위로 올라갈 수 있게 된다. 작은 상승각 α와 상승과정에서 기적의 턱오르기 장치(100)의 휘일(20, 30, 40)과 높은 장애물(E)의 구름마찰관계로 인해 보행기(200)는 사용자의 안전을 위험하게 할 수 있는 격렬한 진동 및 흔들림 없이 높은 장애물(E)을 원활하게 통과할 수 있게 된다.
도 13은 종래의 휠체어형태의 보행기(200')에 도 1의 기적의 턱오르기 장치(100)를 장착하는 예를 나타낸다. 이 예에서는 휠체어(200')는 후륜이 구동되며 도 1의 두 개의 기적의 턱오르기 장치(100)는 휠체어를 개조하는데 많은 노동력과 시간비용을 들이지 않고 직접 종래의 휠체어(200')의 전륜지지부에 나사결합된다. 휠체어(200')의 사용자나 수행원은 도 7 내지 도 12에 도시한 동일한 방식으로 편안하게 휠체어(200')를 조작하여 기적의 턱오르기 장치(100)가 높은 장애물(E)을 올라갈 수 있게 할 수 있다.
도 14는 종래의 휠체어(200')에 도 1의 기적의 턱오르기 장치(100)를 장착하는 다른 예를 나타낸다. 이 예에서, 휠체어(200')는 전륜구동되며, 도 1의 두 개의 기적의 턱오르기 장치(100)가 종래의 휠체어(200')의 두 개의 후방휘일지지부에 직접 나사결합된다. 이전의 실시예에서처럼, 전륜구동 휠체어(200')의 사용자나 수행원은 도 7 내지 도 12에 도시한 동일한 방식으로 평안하게 휠체어(200')를 조작하여 기적의 턱오르기 장치(100)가 높은 장애물(E)을 올라가게 할 수 있다.
도 15 및 도 16은 본 고안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기적의 턱오르기 장치(100)의 조립상태의 사시도 및 분해사시도이며, 도 17은 보조기(200)에 제 2 실시예의기적의 턱오르기 장치(100)를 장착하는 예를 나타낸다. 제 2 실시예의 기적의 턱오르기 장치(100)는 그 케이싱(10)이 두 쌍 이상의 장착공(13)을 구비하며 중계휘일(40)의 수가 2 개에서 5개로 증가된 점이 도 1 내지 도 6에 도시한 제 1 실시예와 다르다. 보다 구체적으로 5개의 중계휘일(40) 중의 두 개가 전방안내휘일(20)의 뒤에 양측에 위치하며 5개의 중개휘일(40) 중의 다른 두 개는 메인착지휘일의 전방에 양측에 위치하며, 5개의 중계휘일(40) 중의 마지막 하나는 상술한 2 쌍의 중계휘일(40) 사이에 종방향으로 횡으로 위치한다. 이 배열로 인해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 비하여 상승각 α이 작아지고 심지어 전방안내휘일(20)이 높아지며, 따라서 문턱같은 가파른 장애물(E)을 올라가기 더욱 적합하다. 제 2 실시예의 기적의 턱오르기 장치(100)는 보행기(200)가 보다 안정한 방식으로 조향할 수 있게 한다.
도 18 및 도 19는 본 고안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기적의 턱오르기 장치(100)의 측면도 및 저면도이며, 도 20은 보행기(200)에 제 3 실시예의 기적의 턱오르기 장치를 장착하는 예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제 3 실시예의 기적의 턱오르기 장치(100)는 그 케이싱(10)이 한 쌍의 전방안내휘일(20)과 두 개의 전방안내휘일(20) 사이에 위치하는 메인착지휘일(30)을 장착하기 위한 두 쌍의 장착공(13)을 구비하며, 중계휘일(40)은 생략한 점이 도 1 내지 도 6에 도시한 제 1 실시예와 다르다. 두 개의 전방안내휘일(20)의 후방엣지는 메인착지휘일(30)의 전방엣지와 겹쳐져서 기적의 턱오르기 장치(100)가 차지하는 공간을 줄일 수 있게 된다. 제 3 실시예의 기적의 턱오르기 장치(100)도 상승각 α이 작아지게 하며, 덜가파른 장해물(E)을 올라가기에 더욱 적합하여 보행기(200)의 안정한 조향을 보장할 수 있다.
도 21은 본 고안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기적의 턱오르기 장치(100)의 측면도이며, 도 22는 보행기(200)에 제 4 실시예의 기적의 턱오르기 장치(100)를 장착하는 예를 나타낸다. 제 4 실시예의 기적의 턱오르기 장치(100)는 한 쌍의 중계휘일(40)의 대신에 하나의 중계휘일(40)만을 구비하며, 이 하나의 중계휘일(40)은 전방안내휘일(20)과 메인착지휘일(30) 사이에 위치하여 3개의 휘일(20, 40, 30)이 연속적으로 일직선상에 배열되는 점이 도 1 내지 도 6에 도시한 제 1 실시예와 다르다. 제 4 실시예의 기적의 턱오르기 장치(100)도 상승각 α을 작게 하고 제 1 실시예와 동일한 방식으로 동작한다.
도 23은 본 고안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기적의 턱오르기 장치(100)의 저면도이고, 도 24는 도 23의 측면도이다. 제 5 실시예의 기적의 턱오르기 장치(100)는 한 쌍의 전방안내휘일(20), 하나의 중계휘일(40) 및 한 쌍의 메인착지휘일(30)을 구비하며 중계휘일(40)이 한 쌍의 전방안내휘일(30)과 메인착지휘일(40)의 사이에 종방향으로 횡으로 위치하여 전방 및 후방엣지가 전방안내휘일(20)의 후방엣지와 메인착지휘일(30)의 전방엣지와 각각 겹치게 되는 점이 도 1 내지 도 6에 도시한 제 1 실시예와 다르다.
도 25는 본 고안의 제 6 실시예에 따른 기적의 턱오르기 장치(100)의 측면도이고, 도 26은 도 25의 저면도이다. 제 6 실시예의 기적의 턱오르기 장치(100)는 하나의 전방안내휘일(20)과 한 쌍의 메인착지휘일(30)을 구비하는 한편 중계휘일이생략된 점이 도 23 및 도 24에 도시한 제 5 실시예와 다르다. 제 5 실시예와 제 6 실시예는 모두 상승각이 줄어들고 기적의 턱오르기 장치(100)의 안정한 조향을 가능하게 하여 가파른 장애물을 올라가게 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제 7 실시예는 도 27 내지 도 30에 도시되어있다. 제 7 실시예는 도 28 및 도 2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중계휘일(40)이 생략되고 전방안내휘일(20)과 메인착지휘일(30)의 접지면을 따라서 적어도 하나의 환형홈(21, 31)이 각각 제공되어 벨트(50)가 그 홈내에 위치하여 전방안내휘일(20)과 메인착지휘일(30)의 주위로 팽팽하게 감기게 되는 점이 제 1 실시예와 다르다. 이렇게 전방안내휘일(20)과 메인착지휘일(30)이 동시에 회전하게 된다. 본 고안의 제 7 실시예도 상승각 α을 줄여서 전방안내휘일(20)이 높은 장애물(E)의 상부 위로 쉽게 올라갈 수 있게 한다. 벨트(50)는 또한 장애물(E)을 올라가는 과정에서 메인착지휘일(30)의 안정성을 증대시킨다.
도 31은 본 고안의 제 8 실시예에 따른 기적의 턱오르기 장치(100)의 측면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제 8 실시예는 중계휘일(40) 없이 전방안내휘일(20)과 메인착지휘일(30)을 구비한다. 그러나, 이 실시예는 그 케이싱의 내부에 상측열 및 하측열의 지지롤러(70)가 제공됨으로써, 벨트(50)가 높은 장애물(E)과 접촉하고 있을 때 전방안내휘일(20)과 메인착지휘일(30) 사이의 벨트부(50)가 처지지 않고 상측 및 하측열의 롤러(70)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지지된다. 다시 말해서, 지지롤러(70)는 벨트(50)의 장력을 증대시켜 장애물(E)을 넘어가는 보행기(200)가 길에서 미끄러지거나 장애물(E)에서 고착되는 것을 방지한다.
도 32 및 도 33은 본 고안의 제 9 실시예에 따른 기적의 턱오르기 장치(100)의 조립사시도 및 분해사시도이다. 제 9 실시예는 전방안내휘일(20)과 메인착지휘일(30)의 주위로 기어벨트(60)가 감기는 점이 제 7 실시예와 다르다. 도 3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벨트(60)는 내측면을 따라서 다수의 치부(61)가 제공되어 전방안내위일(20)과 메인착지휘일(30)의 접지면의 환형홈(21, 31)에서의 파지력을 증대시켜서, 두 개의 휘일(20) 및 (30)이 동시에 회전하여 보행기(200)가 높은 장애물(E)을 보다 빠르고 안정하게 올라가게 할 수 있다. 도 35는 보행기(200)에 제 9 실시예의 기적의 턱오르기 장치(100)를 장착하는 예를 나타낸다.
도 36은 본 고안의 제 10 실시예에 따른 기적의 턱오르기 장치(100)의 측면도이다. 제 10 실시예는 그 케이싱(10)의 내부에 상측열 및 하측열의 지지롤러(70)가 제공됨으로써, 기어벨트(60)가 높은 장애물(E)과 접촉할 때 전방안내휘일(20)과 메인착지휘일(30) 사이의 기어벨트(60)의 부분이 처지지 않고 상측 및 하측롤러(70)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지지되는 점이 제 9 실시예와 다르다. 또한, 지지롤러(70)의 원주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환형홈(71)이 제공되는데, 각 환형홈 속으로는 벨트(60)의 치부(61)가 결합된다. 다시 말해서, 전방안내휘일(20)의 환형홈(21), 지지롤러(70)의 환형홈(71) 및 메인착지휘일(30)의 환형홈(31)의 주위로 팽팽하게 감기는 기어벨트(60)가 많은 개소에서 지지되어 큰 장력을 가지므로 장애물(E)을 이동시키거나 넘어가는 보행기(200)가 길에서 미끄러지거나 장애물(E)에 고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고안의 기적의 턱오르기 장치는 저렴하게 제조할 수 있는 단순한 구조를 가지며, 손수레, 휠체어, 전기휠체어 및 전동보행기체어 등의 종래의 보행기에 상당히 작은 노동력 및 시간비용으로 편리하게 연결되어 사용자의 부담을 크게 줄일 수 있다. 본 고안의 기적의 턱오르기 장치는 상승각을 줄여서 본 고안이 구비된 전체 보행기가 여러 높이의 장애물을 성공적으로 넘어갈 수 있게 하며 따라서 인체공학에 맞는 설계이다.
이상 본 고안을 그 바람직한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는데, 전술한 실시예의 많은 변형예 및 수정예가 첨부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해서만 한정되는 본 고안의 범위와 참 뜻으로부터 벗어남 없이 실시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27)

  1. 내부장착공간을 형성하며 상면에는 보행기의 액슬에 나사결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연결볼트가 제공되는 케이싱과,
    상기 케이싱 내에 형성된 상기 내부장착공간의 전방단부에 장착되는 적어도 하나의 전방안내휘일과,
    상기 케이싱에 형성된 상기 내부장착공간의 후방단부에 장착되는 적어도 하나의 메인착지휘일과,
    상기 전방안내휘일과 상기 메인착지휘일 사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케이싱 내에 장착되는 적어도 하나의 중계휘일로 구성되는데,
    상기 전방안내휘일과 상기 중계휘일은 상기 메인착지휘일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며 높은 장애물에 접근하는 상기 메인착지휘일이 상기 장애물을 쉽게 올라가서 넘어갈 수 있도록 상승각을 줄이기 위해 공중에 매달려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적의 턱오르기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의 상부에는 연결시트가 제공되는데, 이 연결시트로부터 상기 연결볼트가 상방으로 돌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적의 턱오르기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의 양측벽에는 다수 쌍의 장착공이 제공되며,상기 전방안내휘일, 상기 중계휘일 및 상기 메인착지휘일은 상기 다수 쌍의 장착공을 통하여 연장되는 지지샤프트에 의해 상기 케이싱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적의 턱오르기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중계휘일의 수는 두 개이며, 상기 두 개의 중계휘일은 상기 전방안내휘일과 상기 메인착지휘일의 양측에 횡으로 위치하고, 상기 중계휘일의 전방엣지와 후방엣지는 각각 상기 전방안내휘일의 후방엣지와 상기 메인착지휘일의 전방엣지와 겹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적의 턱오르기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중계휘일의 수는 5개이고, 상기 5개의 중계휘일은 상기 전방안내휘일의 후방의 양측에 제공되는 제 1 휘일 쌍과, 상기 메인착지휘일의 양측의 전방의 양측에 제공되는 제 2 휘일 쌍과, 상기 제 1 휘일 쌍과 상기 제 2 휘일 쌍 사이에 위치하는 최종휘일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적의 턱오르기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안내휘일, 상기 중계휘일 및 상기 메인착지휘일은 일직선상에 연속적으로 정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적의 턱오르기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안내휘일과 상기 메인착지휘일의 수는 두 개이며, 상기 중계휘일의 수는 하나이며, 상기 하나의 중계휘일은 그 전방엣지와 후방엣지가 각각 상기 전방안내휘일의 후방엣지와 상기 메인착지휘일의 전방엣지와 겹치도록 상기 두 개의 전방안내휘일과 상기 두 개의 메인착지휘일 사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적의 턱오르기 장치.
  8. 내부장착공간을 형성하며 상면에 보행기의 액슬에 나사결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연결볼트가 제공되는 케이싱과,
    상기 케이싱 내에 형성된 상기 내부장착공간의 전방단부에 장착되는 적어도 하나의 전방안내휘일과,
    전방엣지가 상기 전방안내휘일의 후방엣지와 겹치도록 상기 케이싱에 형성된 상기 내부장착공간의 후방단부에 장착되는 적어도 하나의 메인착지휘일로 구성되는데,
    상기 전방안내휘일은 상기 메인착지휘일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며, 높은 장애물에 접근하는 상기 메인착지휘일이 상기 장애물을 쉽게 올라가서 넘을 수 있도록 상승각을 줄이기 위해 공중에 매달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적의 턱오르기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안내휘일의 수는 두 개이며, 상기 메인착지휘일의 수는 하나이며, 상기 두 개의 전방안내휘일은 상기 하나의 메인착지휘일의 양측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적의 턱오르기 장치.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안내휘일의 수는 하나이며, 상기 메인착지휘일의 수는 두 개이며, 상기 두 개의 메인착지휘일은 상기 하나의 전방안내휘일의 양측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적의 턱오르기 장치.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적의 턱오르기 장치의 상기 케이싱은 상기 보행기의 전방액슬에 연결되며, 상기 보행기는 후륜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적의 턱오르기 장치.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적의 턱오르기 장치의 상기 케이싱은 상기 보행기의 후방액슬에 연결되고, 상기 보행기는 전륜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적의 턱오르기 장치.
  13.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기적의 턱오르기 장치의 상기 케이싱은 상기 보행기의 전방액슬에 연결되며 상기 보행기는 후륜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적의 턱오르기 장치.
  14.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기적의 턱오르기 장치의 상기 케이싱은 상기 보행기의 후방액슬에 연결되며 상기 보행기는 전륜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적의 턱오르기 장치.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행기는 휠체어, 전기휠체어, 손수레 및 보행에 도움이 되도록 된 그 외의 장치로 구성되는 그룹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적의 턱오르기 장치.
  16.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보행기는 휠체어, 전기휠체어, 손수레 및 보행에 도움이 되도록 된 그 외의 장치로 구성되는 그룹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적의 턱오르기 장치.
  17. 내부장착공간을 형성하며 상면에는 보행기의 액슬에 나사결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연결볼트가 제공되는 케이싱과,
    상기 케이싱 내에 형성된 상기 내부장착공간의 전방단부에 장착되며 그 접지면을 따라서 적어도 하나의 환형홈이 제공되는 적어도 하나의 전방안내휘일과,
    상기 케이싱 내에 형성된 상기 내부장착공간의 후방단부에 장착되며 그 접지면을 따라서 적어도 하나의 환형홈이 제공되는 적어도 하나의 메인착지휘일과,
    상기 전방안내휘일과 상기 메인착지휘일의 주위에 감기도록 상기 전방안내휘일과 상기 메인착지휘일의 상기 환형홈에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벨트로 구성되는데,
    상기 전방안내휘일은 상기 메인착지휘일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며, 높은 장애물에 접근하는 상기 착지휘일이 상기 장애물을 쉽게 올라가서 넘어가도록 상승각을 줄이기 위해 공중에 매달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적의 턱오르기 장치.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의 상면에는 연결시트가 제공되며, 이 연결시트로부터 상기 연결볼트가 상방으로 돌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적의 턱오르기 장치.
  19.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의 내부에는 상기 전방안내휘일과 상기 메인착지휘일 사이에 다수의 상측 및 하측지지롤러가 제공되어 상기 벨트를 슬라이드 가능하게 지지하며 따라서 상기 벨트의 장력을 증대시켜 상기 벨트가 상기 장애물과 접촉할 때 상기 벨트가 쉽게 처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적의 턱오르기 장치.
  20.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벨트는 기어벨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적의 턱오르기 장치.
  21.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벨트는 기어벨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적의 턱오르기 장치.
  22.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기어벨트는 내측면을 따라서 다수의 치부가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적의 턱오르기 장치.
  23.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기어벨트는 내측면을 따라서 다수의 치부가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적의 턱오르기 장치.
  24.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롤러는 각 원주면을 따라서 환형홈이 제공되며, 상기 기어벨트가 상기 장애물과 접촉할 때 상기 기어벨트가 쉽게 처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홈에 상기 기어벨트가 위치하여 장력이 증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적의 턱오르기 장치.
  25.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기적의 턱오르기 장치의 상기 케이싱은 상기 보행기의 전방액슬에 연결되며, 상기 보행기는 후륜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적의 턱오르기 장치.
  26.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기적의 턱오르기 장치의 상기 케이싱은 상기 보행기의 후방액슬에 연결되며, 상기 보행기는 전륜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적의 턱오르기 장치.
  27.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보행기는 휠체어, 전기휠체어, 손수레, 및 보행에 도움이 되는 그 외의 장치로 구성되는 그룹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적의 턱오르기 장치.
KR2020020005870U 2002-02-27 2002-02-27 기적의 턱오르기 장치 KR20027736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5870U KR200277361Y1 (ko) 2002-02-27 2002-02-27 기적의 턱오르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5870U KR200277361Y1 (ko) 2002-02-27 2002-02-27 기적의 턱오르기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77361Y1 true KR200277361Y1 (ko) 2002-06-01

Family

ID=731184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05870U KR200277361Y1 (ko) 2002-02-27 2002-02-27 기적의 턱오르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77361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59627A (ko) * 2020-11-03 2022-05-10 한남대학교 산학협력단 보조이송유닛이 설치되는 휠체어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59627A (ko) * 2020-11-03 2022-05-10 한남대학교 산학협력단 보조이송유닛이 설치되는 휠체어
KR102443017B1 (ko) 2020-11-03 2022-09-13 한남대학교 산학협력단 보조이송유닛이 설치되는 휠체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43180B1 (ko) 주행기구 및 그 주행기구가 장착되는 전기차와 장난감
EP1323401A1 (en) Curb climber
CN107529434B (zh) 履带式移动机构
JP3697638B2 (ja) 身体障害者の運搬用あるいは移動補助用の車椅子
US4432425A (en) Wheel chair
US4566707A (en) Wheel chair
KR101215285B1 (ko) 턱이 있는 보도에서도 주행이 가능한 전동 휠체어
KR20090103357A (ko) 계단 주행이 가능한 휠체어 및 그 바퀴
WO2009069144A2 (en) Methods and systems for ascending and descending stairs
US20180028380A1 (en) Step-climbing attachment for a wheeled chair
KR20190066280A (ko) 계단승강이 가능한 전동 휠체어
CN112773621A (zh) 支撑结构、底盘结构、智能爬楼轮椅及上下台阶方法
JP6894158B2 (ja) 障害物を越えるための搬送車
KR200277361Y1 (ko) 기적의 턱오르기 장치
JP2002037147A (ja) 病弱者用階段等自走車
CN209757397U (zh) 一种爬楼装置
CN214858397U (zh) 支撑结构、底盘结构、双履带行走爬楼车及智能爬楼轮椅
KR102373539B1 (ko) 계단 및 단차 지형의 휠체어 주행을 위한 전동 어시스트 모듈
KR102381643B1 (ko) 휠체어용 계단 승강 보조 장치
RU2217119C1 (ru) Трансформируемое транспортное средство
KR100698384B1 (ko) 변속 수동구동장치가 장착된 휠체어
US3215446A (en) Stair-climbing wheel chair
KR20160127413A (ko) 가변 휠베이스를 포함하는 휠체어 장치
CN214713092U (zh) 履带组件、行走轮伸缩切换结构及爬楼车体
CN214729184U (zh) 履带组件、行走轮转动切换结构及爬楼车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715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