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49585A - 휠체어용 손자전거키트 - Google Patents

휠체어용 손자전거키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49585A
KR20080049585A KR1020070036356A KR20070036356A KR20080049585A KR 20080049585 A KR20080049585 A KR 20080049585A KR 1020070036356 A KR1020070036356 A KR 1020070036356A KR 20070036356 A KR20070036356 A KR 20070036356A KR 20080049585 A KR20080049585 A KR 200800495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heelchair
angle adjusting
angle
clamp
connect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363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86325B1 (ko
Inventor
최진만
Original Assignee
최진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진만 filed Critical 최진만
Priority to KR10200700363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86325B1/ko
Publication of KR200800495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495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863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863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02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propelled by the patient or disabled person
    • A61G5/027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propelled by the patient or disabled person by using auxiliary detachable mechanis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MRIDER PROPULSION OF WHEELED VEHICLES OR SLEDGES; POWERED PROPULSION OF SLEDGES OR SINGLE-TRACK CYCLES; TRANSMISSIONS SPECIALLY ADAPTED FOR SUCH VEHICLES
    • B62M1/00Rider propulsion of wheeled vehicles
    • B62M1/14Rider propulsion of wheeled vehicles operated exclusively by hand pow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utual Connection Of Rods And Tubes (AREA)
  • Steering Devices For Bicycles And Motorcy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휠체어용 손자전거키트에 관한 것으로서,기존의 휠체어에 손자전거키트를 손쉽게 탈부착하여 야외활동에 편리한 손자전거로 변형할 수 있도록 하기위하여 크램프지지바 연결부재의 양측단 내부에 공지의 크램프와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한 키트지지용 다리가 부착된 한쌍의 크램프지지바를 각각 삽입하여 기존의 휠체어 발판지지바 넓이에 맞추어 고정할 수 있도록하고 크램프지지바 연결부재의 중앙에 직각으로 알맞은 각도로 구부러져 양쪽으로 갈라진 제 1연결부재를 용접등으로 연결하고 제 1연결부재의 구부러진 부위에 제 1,제 2연결부재 체결볼트로 제 2연결부재와 흰지 체결하며,제 2연결부재의 전단에는 헤드튜브를 설치하여 공지의 손자전거 앞바퀴부분을 회전가능하게 설치하고 몸체는 양측으로 갈라져 알맞은 각도로 위로 구부러지게 구성하며, 일단에 걸고리가있는 각도조절나사의 각도조절나사 걸고리는 제 1연결부재의 각도조절나사 걸고리볼트에 걸고 타단에서 스프링을 삽입하고 제 2연결부재에 삽입하여 한쌍의 각도조절나사받침 체결볼트로 흰지체결된 각도조절나사 받침의 중심을 관통하여 각도조절나사 손잡이를 체결하고 각도조절나사 손잡이를 돌려 제 1연결부재와 제 2연결부재의 각도를 조절할수 있도록하여, 기존의 휠체어발판 지지바 양측에 각각 크램프로 고정하고 각도조절나사 손잡이를 돌려주면 휠체어의 앞바퀴가 알맞게 들릴수 있도록하여 기존의 다양한 휠체어에 적용하여 탈부착이 용이하고 휠체어 앞바퀴를 주행에 용이하도록 쉽게 들어올릴 수 있도록하는 특징을 가진다.
휠체어,자전거, 제 1연결부재, 제 2연결부재,크램프.

Description

휠체어용 손자전거키트{WHEELCHAIR HANDCYCLE KIT}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휠체어용 손자전거키트를 도시한 사시도 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휠체어용 손자전거키트의 각도조절 나사를 도시한 사시도 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휠체어용 손자전거키트의 각도조절나사 받침을 도시한 사시도 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휠체어용 손자전거키트를 휠체어에 부착방법을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휠체어용 손자전거키트의 각도조절장치를 확대 도시한 사시도 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휠체어용 손자전거키트의 각도조절장치를 확대 도시한 사시도 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1; 크램프 지지바 102,202,302; 제 1 연결부재
103,203,303; 제 2 연결부재 104; 각도조절나사 걸고리볼트 105; 연결부재 체결볼트 106; 각도조절나사 받침 체결볼트 107; 각도조절나사 받침 108; 각도조절나사 손잡이
109,209; 스프링 110; 각도조절 나사
110a; 각도조절나사 걸고리 111; 크램프지지바 연결부재
112; 크램프 113; 키트 지지용 다리 114; 키트지지용다리조절 손잡이나사 115; 크램프간격조절 손잡이나사 116; 크램프간격 고정너트 117; 휠체어발판 지지바
118; 헤드튜브 119; 앞바퀴
120; 프리기어 121; 앞바퀴 체결볼트
122; 체인 123; 포크
124; 크랭크 기어 125; 포크 체결너트
126; 핸들스템 127; 핸들스템 고정나사
128; 핸들크랭크브라켓 129; 핸들크랭크
130; 핸들 207; 각도조절래칫기어 받침
210; 각도조절래칫 기어 231; 각도조절래칫기어 멈치 232; 멈치 스프링 333; 각도조절 제 1링크 334; 각도조절 제 2링크 335; 각도조절 손잡이
본 발명은 휠체어용 손자전거키트에 관한 것으로서,보다 상세하게는 기존의 일반적인 휠체어에 손자전거키트를 손쉽게 탈부착하여 야외활동등에서 보다 빠른 이동수단으로 전환할 수 있도록 하여 장애인들의 이동을 도와줄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서,기존의 손자전거키트는 소정의 장치를 미리 휠체어에 부착한 전용휠체어에만 적용가능하므로 일반적인 휠체어에 적용이 불가능한 단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것으로서,본 발명의 목적은
일반적인 기존휠체어에 다른장치 없이 본 휠체어용 손자전거키트만으로 손쉽게 야외에서는 삼륜손자전거로 실내에서는 휠체어로 변환하도록하는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와같은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은 크램프지지바 연결부재의 양측단 내부에 공지의 크램프와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한 키트지지용 다리가 부착된 한쌍의 크램프지지바를 각각 삽입하여 기존의 휠체어 발판지지바 넓이에 맞추어 고정할 수 있도록하고 크램프지지바 연결부재의 중앙에 직각으로 알맞은 각도로 구부러져 양쪽으로 갈라진 제 1연결부재를 용접등으로 연결하고 제 1연결부재의 구부러진 부위에 제 1,제 2연결부재 체결볼트로 제 2연결부재와 흰지 체결하며,제 2연결부재의 전단에는 헤드튜브를 설치하여 공지의 손자전거 앞바퀴부분을 회전가능하게 설치하고 몸체는 양측으로 갈라져 알맞은 각도로 위로 구부러지게 구성하며, 일단에 걸고리가있는 각도조절나사의 각도조절나사 걸고리는 제 1연결부재의 각도조절나사 걸고리볼트에 걸고 타단에서 스프링을 삽입하고 제 2연결부재에 삽입하여 한쌍의 각도조절나사받침 체결볼트로 흰지체결된 각도조절나사 받침의 중심을 관통하여 각 도조절나사 손잡이를 체결하고 각도조절나사 손잡이를 돌려 제 1연결부재와 제 2연결부재의 각도를 조절할수 있도록하여, 기존의 휠체어발판 지지바 양측에 각각 크램프로 고정하고 각도조절나사 손잡이를 돌려주면 휠체어의 앞바퀴가 알맞게 들릴수 있도록하여 기존의 다양한 휠체어에 적용하여 탈부착이 용이하고 휠체어 앞바퀴를 주행에 용이하도록 쉽게 들어올릴 수 있도록하는 특징을 가진다.
각도조절래칫기어와 멈치스프링으로 탄지되는 각도조절래칫기어 멈치를 포함하는 각도조절래칫기어 받침을 사용하여 제 1연결부재와 제 2연결부재의 각도를 조절할수 있도록하는 특징을 가진다.
각도조절 제 1링크와 각도조절 제 2링크및 각도조절 손잡이로 연결하여 제 1연결부재와 제 2연결부재의 각도를 조절할수 있도록하는 특징을 가진다.
이하,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더욱 상세히 설명 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휠체어용 손자전거키트를 도시한 사시도 이고,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휠체어용 손자전거키트의 각도조절 나사를 도시한 사시도 이고,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휠체어용 손자전거키트의 각도조절나사 받침을 도시한 사시도 이고,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휠체어용 손자전거키트를 휠체어에 부착방법을 도시한 측면도이고,도 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휠체어용 손자전거키트의 각도조절장치를 확대 도시 한 사시도 이고,도 6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휠체어용 손자전거키트의 각도조절장치를 확대 도시한 사시도 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제 1 실시예는 도 1 에서 나타낸 바와같이 크게는 크램프부분(101,111,112,113,114,115,116),각도조절장치(102,103,104,105,106,107,108,109,110,111),앞바퀴부분(118,119,120,121,122,123,124,125,126,127,128,129,130)으로 이루어진다.
크램프 (101,111,112,113,114,115,116)부분은 한쌍의 크램프 지지바(101),크램프지지바 연결부재(111),한쌍의 크램프(112),한쌍의 키트지지용 다리(113),한쌍의 키트지지용다리 손잡이나사(114),한쌍의 크램프간격조절 손잡이나사(115),한쌍의 크램프간격 고정너트(116)을 포함하며,
한쌍의 크램프 지지바(101)는 "ㄱ"자 형상으로 구성하며 구부러진 부위에 각각 키트지지용다리 조절손잡이나사(114)등 공지의 방법으로 길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한 키트지지용 다리(113)를 아래쪽 방향으로 부착하고 일단에는 각각 손잡이를 열어 기존의 휠체어발판 지지바(117)에 걸고 손잡이를 닫아 휠체어발판 지지바(117)에 고정할 수 있도록한 공지의 크램프(112)를 고정하며,타단은 크램프 지지바 연결부재(111)의 양단에 각각 삽입할 수 있도록 한다.
크램프지지바 연결부재(111)는 각형파이프로 구성하는것이 바람직하며,양단 상부에 각각 크램프간격 고정너트(116)를 용접하고 내부에 각각 크램프 지지바(101)를 삽입하여 알맞은 간격으로 크램프간격조절 손잡이나사(115)로 고정할 수 있도록하며,중앙에서 직각되게 전방쪽으로 제 1 연결부재를 용접등으로 고정한다.
한쌍의 크램프(112)는 손잡이를 사용하여 휠체어발판 지지바(117)에 휠체어용 손자전거키트를 용이하게 탈 부착할 수 있는 공지의 각종 파이프 크램프를 사용한다.
한쌍의 키트지지용다리 손잡이나사(114)및 한쌍의 크램프간격조절 손잡이나사(115)는 공지의 손잡이달린 볼트를 사용한다.
한쌍의 크램프간격 고정너트(116)는 공지의 너트를 사용한다.
한쌍의 키트지지용 다리(113)는 키트지지용다리 조절손잡이나사(114)를 돌려 고정하는등 공지의 방법으로 길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한다.
각도조절장치(102,103,104,105,106,107,108,109,110)는 제 1 연결부재(102),제 2 연결부재(103),각도조절나사 걸고리볼트(104),연결부재 체결볼트(105),한쌍의 각도조절나사받침 체결볼트(106),각도조절나사 받침(107),각도조절나사 손잡이(108),스프링(109),각도조절나사(110)를 포함하며,
제 1 연결부재(102)는 크램프지지바 연결부재(111) 중앙에서 전방쪽으로 직각되게 용접등으로 구성되며 일정부위에서 상측으로 비스듬하게 일정각도로 구부러져 양측으로 분할되게 구성하며 구부러진 부위에 연결부재 체결볼트(105)로 제 1, 제 2연결부재(102,103)를 흰지 결합 할 수 있도록 하며 전방에는 각도조절나사 걸고리볼트(104)에 각도조절 나사(110)의 각도조절나사 걸고리(110a)를 걸수 있도록 한다.
제 2 연결부재(103)는 전단에 헤드튜브(118)를 상하로 용접하여 구성하며 후방측은 일정부위에서 양측으로 분할하여 상측으로 비스듬하게 일정각도로 구부러지 게 구성하며 구부러진 부위에 연결부재 체결볼트(105)로 제 1, 제 2연결부재(102,103)를 흰지 결합 할 수 있도록 하며 후방에는 한쌍의 각도조절나사받침 체결볼트(106)를 양측에서 삽입하여 각도조절나사 받침(107)을 흰지 결합할 수 있도록 한다.
각도조절나사 받침(107)은 도 3에 나타낸 바와같이 원통형으로 구성하며 중앙부를 관통하여 너트부를 형성하고 너트부에 직각되게 각도조절나사 삽입공을 형성한다.
각도조절나사 걸고리볼트(104),연결부재 체결볼트(105),한쌍의 각도조절나사받침 체결볼트(106)는 공지의 볼트를 사용하거나 공지의 핀으로 대체할 수 있다.
각도조절나사 손잡이(108)는 너트를 용이하게 돌려줄 수 있도록 구성한 공지의 핸들부착형 너트를 사용한다.
스프링(109)은 공지의 원형스프링을 사용한다.
각도조절나사(110)는 도 2 에서 나타낸 바와같이 공지의 볼트 일단에 각도조절나사 걸고리(110a)를 형성하여 구성한다.
앞바퀴부분(118,119,120,121,122,123,124,125,126,127,128,129,130)은 도 1에 나타난 바와같이 헤드튜브(118)에 회전 가능하게 베어링으로 조립되며 핸들(130)을 돌려 체인(122)등을 이용하여 앞바퀴(119)를 구동하며 변속장치및 브레이크를 이용하여 전진및 정지를하는 공지의 모든 손자전거 앞바퀴부분을 사용가능하므로 자세한 내용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제 1 실시예에 의한 휠체어용 손자전거키트의 사용방법은 도 4 에서 나타낸 바와같이 휠체어에 탄 사용자는 휠체어발판지지바(117)의 넓이에 맞추어 양측의 크램프 지지바(101)를 크램프지지바 연결부재(111)에서 크램프간격조절 손잡이나사(115)를 사용하여 고정시키고 크램프(112)를 벌려 휠체어발판 지지바(117)에 끼우고 고정한후에 각도조절나사 손잡이(108)를 돌려주면 서로 엇갈려 결합된 제 1, 제 2 연결부재(102,103)의 각도가 변환하여 휠체어의 앞바퀴가 지상에서 들어올려지도록 한후에 핸들(130)을 돌려 전진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제 2 실시예는 도 5 에서 나타낸 바와같이 제 1 연결부재(202)와 제 2 연결부재(203)의 각도조절장치(202,203,207,210,231,232)에 관한 것으로서, 제 1 실시예의 각도조절 나사(110)대신에 각도조절 래칫기어(210)로 대체하고 각도조절래칫기어 받침(207)에 멈치스프링(232)으로 탄지되는 각도조절래칫기어 멈치(231)를 더 포함한다.
각도조절 래칫기어(210)는 몸통 아래쪽에 머리쪽을 향하여 경사지게 다수개의 홈을 형성한다.
각도조절래칫기어 받침(207)은 각도조절래칫 기어(210)삽입공 아래쪽으로 직각되게 각도조절래칫기어 멈치(231)홈을 형성하여 멈치 스프링(232)에 의하여 상측으로 탄지되도록 구성한다.
각도조절래칫기어 멈치(231)는 상측이 전방으로 경사지게 형성한다.
멈치스프링(232)은 공지의 압축스프링을 사용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제 2 실시예에 의한 휠체어용 손자전거키트의 사용방법은 제 1 실시예의 사용방법과 마찬가지로 양측 크램프를 휠체어 발판지지바에 고정하고 양손으로 핸들을 전방으로 밀면 각도조절래칫 기어(210)가 후방으로 밀려나오며 이때 멈치 스프링(232)으로 탄지되는 각도조절래칫기어 멈치(231)가 각도조절 래칫기어(210)에 형성된 다수개의 경사진 홈중에 적당한 위치에 삽입되어 고정되도록하면 휠체어의 앞바퀴가 들어올려져 고정되도록 하여 핸들을 돌려 전진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제 3 실시예는 도 6 에서 나타낸 바와같이 제 1 연결부재(302)와 제 2 연결부재(303)의 각도조절장치(302,303,333,334,335)에 관한 것으로서,각도조절 제 1링크(333)와, 각도조절 제 2링크(334),각도조절 손잡이(335)를 더 포함한다.
각도조절 제 1링크(333)는 하부에 아래쪽으로 다수개의 걸고리홈으로 형성하고 상측은 각도조절 손잡이(335)와 리벳연결한다.
각도조절 제 2링크(334)는 상측을 제 1 연결부재(302)와 리벳연결하고 하측은 각도조절 손잡이(335)와 리벳연결한다.
각도조절 손잡이(335)는 각도조절 제 1링크(333)와 각도조절 제 2링크(334)를 리벳연결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제 3 실시예에 의한 휠체어용 손자전거키트의 사용방법은 제 1 실시예의 사용방법과 마찬가지로 양측 크램프를 휠체어 발판지지바에 고정하고 각도조절 제 1링크(333)의 하부에 아래쪽으로 형성된 다수개의 걸고리홈중 알맞은 위치의 걸고리홈을 제 2 연결부재(303)의 하부에 걸고 각도조절 손잡이(335)를 밀어올리면 제 1 연결부재(302)와 제 2 연결부재(303)의 연결각도가 변화되어 휠체어의 앞바퀴가 들어올려져 고정되도록 하여 핸들을 돌려 전진한다.
상술한 바와같이 본 발명에 따른 휠체어용 손자전거키트는 기존의 일반적인 휠체어에 손자전거키트를 손쉽게 탈부착하여 실내에서는 휠체어로 사용하다가 야외활동등에서 보다 빠른 손자전거로 전환할 수 있도록 하여 장애인들의 이동을 도와주는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따른 휠체어용 손자전거키트를 실시하기 위한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하지 않고,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Claims (3)

  1. 크램프부분,각도조절장치,앞바퀴부분으로 이루어지며,
    한쌍의 크램프 지지바(101)와;
    크램프지지바 연결부재(111)와;
    한쌍의 공지의 크램프(112)와;
    한쌍의 키트지지용다리 손잡이나사(114)와;
    한쌍의 크램프간격조절 손잡이나사(115)와;
    한쌍의 크램프간격 고정너트(116)와;
    한쌍의 키트지지용 다리(113)와;
    제 1 연결부재(102)와;
    제 2 연결부재(103)와;
    각도조절나사 받침(107)과;
    각도조절나사 걸고리볼트(104)와;
    연결부재 체결볼트(105)와;
    한쌍의 각도조절나사받침 체결볼트(106)와;
    각도조절나사 손잡이(108)와;
    스프링(109)과;
    각도조절나사(110)와;
    공지의 앞바퀴부분(118,119,120,121,122,123,124,125,126,127,128,129,130) 을 포함하여; 휠체어발판지지바(117)의 넓이에 맞추어 양측의 크램프 지지바(101)를 크램프지지바 연결부재(111)에서 크램프간격조절 손잡이나사(115)를 사용하여 고정시키고 크램프(112)를 벌려 휠체어발판 지지바(117)에 끼우고 고정한후에 각도조절나사 손잡이(108)를 돌려주면 서로 엇갈려 결합된 제 1, 제 2 연결부재(102,103)의 각도가 변환하여 휠체어의 앞바퀴가 지상에서 들어올려지도록 한후에 핸들(130)을 돌려 전진 하는것을 특징으로하는 휠체어용 손자전거 키트.
  2. 제1 항의 상기 각도조절장치에 있어서,
    각도조절 래칫기어(210)와;
    각도조절래칫기어 받침(207)과;
    멈치스프링(232)과;
    각도조절래칫기어 멈치(231)를 더 포함하며,양측 크램프를 휠체어 발판지지바에 고정하고 양손으로 핸들을 전방으로 밀면 각도조절래칫 기어(210)가 후방으로 밀려나오며 이때 멈치 스프링(232)으로 탄지되는 각도조절래칫기어 멈치(231)가 각도조절 래칫기어(210)에 형성된 다수개의 경사진 홈중에 적당한 위치에 삽입되어 고정되도록하면 휠체어의 앞바퀴가 들어올려져 고정되도록 하여 핸들을 돌려 전진 하는것을 특징으로하는 휠체어용 손자전거 키트.
  3. 제1 항의 상기 각도조절장치에 있어서,
    각도조절 제 1링크(333)와;
    각도조절 제 2링크(334)와;
    각도조절 손잡이(335)를 더 포함하며,각도조절 제 1링크(333)의 하부에 아래쪽으로 형성된 다수개의 걸고리홈중 알맞은 위치의 걸고리홈을 제 2 연결부재(303)의 하부에 걸고 각도조절 손잡이(335)를 밀어올리면 제 1 연결부재(302)와 제 2 연결부재(303)의 연결각도가 변화되어 휠체어의 앞바퀴가 들어올려져 고정되도록 하여 핸들을 돌려 전진 하는것을 특징으로하는 휠체어용 손자전거 키트.
KR1020070036356A 2006-11-30 2007-04-13 휠체어용 손자전거키트 KR1008863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36356A KR100886325B1 (ko) 2006-11-30 2007-04-13 휠체어용 손자전거키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60119431 2006-11-30
KR1020060119431 2006-11-30
KR1020070036356A KR100886325B1 (ko) 2006-11-30 2007-04-13 휠체어용 손자전거키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49585A true KR20080049585A (ko) 2008-06-04
KR100886325B1 KR100886325B1 (ko) 2009-02-27

Family

ID=398053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36356A KR100886325B1 (ko) 2006-11-30 2007-04-13 휠체어용 손자전거키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86325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17658B1 (ko) * 2010-09-15 2013-01-02 모터웰 주식회사 휠체어 부착형 자전거
KR101531259B1 (ko) * 2013-12-06 2015-06-26 대한민국 경수 손상 장애인을 위한 실내용 핸드 바이크 시스템
US20220280361A1 (en) * 2021-03-04 2022-09-08 Tom Stenson Wheelchair accessory device for increased mobility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67724B1 (ko) 2014-08-19 2015-11-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다용도 홀딩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16616A (en) 1980-02-25 1982-02-23 Bernard Boivin Self-propelling and steering attachment for a wheel-chair
US4471972A (en) 1982-04-20 1984-09-18 Young Raymond L Propulsion and safety device for a conventional wheelchair
US4720117A (en) 1986-04-14 1988-01-19 Hay Carl M Hand-pedalling attachment for wheel-chairs
US5501480A (en) 1993-06-04 1996-03-26 Ordelman; Hendrik J. Auxiliary frame for a wheelchair and wheelchair for use with an auxiliary frame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17658B1 (ko) * 2010-09-15 2013-01-02 모터웰 주식회사 휠체어 부착형 자전거
KR101531259B1 (ko) * 2013-12-06 2015-06-26 대한민국 경수 손상 장애인을 위한 실내용 핸드 바이크 시스템
US20220280361A1 (en) * 2021-03-04 2022-09-08 Tom Stenson Wheelchair accessory device for increased mobility
US11766370B2 (en) * 2021-03-04 2023-09-26 Tom Stenson Wheelchair accessory device for increased mobilit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86325B1 (ko) 2009-0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86325B1 (ko) 휠체어용 손자전거키트
US4417361A (en) Grab bar
US8007145B2 (en) Worklight with a hands-free mounting system
US20100059638A1 (en) Accessory connection device for bicycles
CA2118656A1 (en) Bicycle repair stand
US20090001689A1 (en) Wheel chair handle
KR101170036B1 (ko) 공구용 어댑터
CN114072325B (zh) 自行车用踏板拆装单元及自行车
JPH0313110Y2 (ko)
EP1609736A3 (de) Schauverpackung für Fahrradgriffe
KR20090113924A (ko) 규격 조절범위를 넓힌 가변형 스패너
JPH1142022A (ja) ビニールハウス用フレームの立込み撤去装置
CN216232712U (zh) 一种发光车杆装置及一种电动滑板车
KR200366213Y1 (ko) 화환 받침대
TWI810001B (zh) 裝設於自行車管體之自行車工具
EP1672229A1 (fr) Vis à tête piton pour le montage des plafonds suspendus ou outres
JP3066686U (ja) スノ―ボ―ド用工具
JPH08284404A (ja) ハングクランプ
JP3030373U (ja) 分離式自転車
DE60124007D1 (de) Demontierbares fahrrad mit lenker und pedalen, die einen eingeschränkten spielraum aufweisen
JPS598076Y2 (ja) 楽器用スタンドの脚先構造
JP3094223B2 (ja) 仮設建築物における屋根フレーム取付具
ES1063212U (es) Kit de mangos ergonomicos para herramientas manuales.
JP2007085426A (ja) パイプの長さ調節機構
CN1279144A (zh) 多档连转式管钳活扳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