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39004B1 - 단차부를 구비한 점안 용기 - Google Patents

단차부를 구비한 점안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39004B1
KR100939004B1 KR1020047006456A KR20047006456A KR100939004B1 KR 100939004 B1 KR100939004 B1 KR 100939004B1 KR 1020047006456 A KR1020047006456 A KR 1020047006456A KR 20047006456 A KR20047006456 A KR 20047006456A KR 100939004 B1 KR100939004 B1 KR 1009390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tip
cap
liquid injection
container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70064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39718A (ko
Inventor
구스유키오
야마다히로시
Original Assignee
산텐 세이야꾸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산텐 세이야꾸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산텐 세이야꾸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500397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397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390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390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06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 B65D47/18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for discharging drops; Dropp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9/00Methods or devices for treatment of the eyes; Devices for putting-in contact lenses; Devices to correct squinting; Apparatus to guide the blind; Protective devices for the eyes, carried on the body or in the hand
    • A61F9/0008Introducing ophthalmic products into the ocular cavity or retaining products there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02Bottles or similar containers with necks or like restricted apertures, designed for pouring contents
    • B65D1/08Bottles or similar containers with necks or like restricted apertures, designed for pouring contents adapted to discharge dro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al Preparation Storing Or Oral Administration Devices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열가소성 재료로 제조된 용기 본체(A) 및 상기 용기 본체에 나사 결합으로 장착 가능한 캡(B)을 구비하고, 상기 용기 본체의 선단부에 구비된 액체주입통부(6)에 선단측으로 내경이 커지며 바닥이 있는 원추형의 오목부(6b)가 움푹 들어간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오목부의 저부에 액체주입 구멍(6c)이 형성 또는 형성될 수 있도록 되어 있고, 상기 캡(B)은, 상기 용기 본체에 상기 캡을 장착한 상태에서, 용기 본체(A)의 오목부(6b)를 밀봉하는 제1 밀봉 볼록부(15)를 구비한 점안 용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본체 용기에 캡이 나사 결합으로 장착된 상태에 있어 양자간의 밀봉성을 더욱 향상시키는 동시에, 점안 시에 일회 점안량을 적절하게 설정할 수 있는 점안 용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점안 용기는 액체주입통부(6)의 외주 부위에, 용기 본체(A)의 선단(T)을 향함에 따라 외경이 급감하는 단차부(8a)를 구비하는 동시에, 이 단차부(8a)로부터 선단측으로, 선단쪽으로 가까워질수록 외경이 실질적으로 감소하거나 또는 변화하지 않는 선단 돌출부(8b)를 구비하고, 상기 캡(B)은, 상기 용기 본체에 캡을 장착한 상태에서, 선단 돌출부(8b) 및 단차부(8a)에 밀착되는 제2 밀봉 볼록부(16)를 구비한다.
점안 용기, 나사 결합, 단차부, 선단 돌출부, 밀봉 볼록부, 안내 볼록부

Description

단차부를 구비한 점안 용기 {INSTILLATION CONTAINER WITH LEVEL-DIFFERENCE PORTION}
본 발명은 열가소성 재료로 제조된 용기 본체 및 상기 용기 본체에 나사 결합으로 장착 가능한 캡을 구비하고, 상기 용기 본체의 선단부(先端部)에 구비된 액체주입통부에 선단측으로 내경이 커지며 바닥이 있는 원추형 오목부가 움푹 들어간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오목부의 저부(底部)에 액체주입 구멍이 형성 또는 형성될 수 있도록 되어 있고, 상기 용기 본체에 상기 캡을 장착한 상태에서, 상기 캡에 상기 용기 본체의 오목부를 밀봉하는 제1 밀봉 볼록부를 구비한 점안 용기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종류의 점안 용기로는 최근에 본원 출원인에 의해 제안된 것으로(일본 특개 2001-120639호 명세서 참조), 미리 액체주입 구멍이 관통 성형되어 있는 것, 또는 액체주입 구멍을 점안 용기 사용 직전에 형성하여 사용하는 것이 있다. 상기 점안 용기에서는 사용자의 점안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몸통부에 오목부(recess)가 설치된다.
이들 선행 기술은 용기 본체의 선단부에 오목부가 움푹 들어간 형태로 형성되어 있으며, 이 오목부의 저부에 액체주입 구멍이 형성되는 것 또는 형성되어 있 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명세서에 기재되어 있는 바에 따르면, 상기 구조에서는 오목부 선단인 액체주입구(液體注入口)의 구경, 나아가 액체주입 구멍의 구경을 적절히 조정하는 것 등에 의해, 용기 본체로부터 압출되는 액적량(液滴量)을 설정량에 부합되게 적절히 조정·제어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점안 용기에서는 전술한 소정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지만, 상기 용기 본체 내부에 밀봉되는 약액(藥液)에 대한 밀봉 성능, 그리고 액체주입통부 외주 부위로의 액 흐름 방지에 있어서는 개량의 여지가 있음이 밝혀졌다.
또한, 이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액체주입 구멍이 미리 관통 형성되어 있는 점안 용기에서는 용기 본체에 설치된 상기 오목부에 대하여 캡측에 제1 밀봉 볼록부를 설치하는 것만으로는 밀봉성이 저하될 우려가 있어, 예를 들면, 캡을 과도한 힘으로 반복하여 닫는 경우, 또한, 이러한 순간에 과도한 진동 등을 받는 경우에는 밀봉성이 저하될 수 있다.
한편, 액체주입 구멍이 미리 관통 형성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액체주입 구멍을 사용 시에 관통 형성하는 경우에는 액체주입통부 외주 부위로 약액이 전달되어 소위, 액 흐름이 생길 우려가 있어 전술한 과제를 해결해야 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실상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본체 용기에 캡이 나사 결합으로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용기와 캡 사이의 밀봉성을 더욱 향상시키는 동시에, 점안 시에 액체주입통부 외주 부위로의 액 흐름을 방지할 수 있는 점안 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점안 용기는, 상기 액체주입통부의 외주 부위에 상기 용기 본체의 선단측의 외경(外徑)을 작게 한 단차부를 구비하는 동시에, 상기 단차부로부터 선단측으로, 선단쪽으로 가까워질수록 외경이 실질적으로 감소하거나 또는 변화하지 않는 선단 돌출부를 구비하고, 상기 캡은, 상기 용기 본체에 상기 캡을 장착한 상태에서, 상기 선단 돌출부 및 상기 단차부에 밀착되는 제2 밀봉 볼록부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명세서에서 말하는 「외경이 실질적으로 감소하거나 또는 변화하지 않는다」란, 선단 돌출부가 단차부에 대하여 수직 또는 거의 수직인 상태를 의미한다.
전술한 특징적인 구성에 따르면, 용기 본체측 선단에 위치하는 액체주입통부에는 그 외주 부위에 단차부가 설치되고, 상기 부위로부터 선단측이 선단 돌출부가 된다.
그리고, 상기 용기 본체에 상기 캡을 장착한 상태에서, 상기 단차부 및 선단 돌출부에 상기 제2 밀봉 볼록부가 밀착되는 동시에, 액체주입통부에 설치되는 오목부에는 제1 밀봉 볼록부가 삽입되어 밀봉된다. 따라서, 상기 구성에서는 선단 돌출부가 그 두께 방향 양측(도 2 및 도 3에서의 좌우 방향)으로부터 협지(挾持)되는 구조가 되기 때문에 기밀성(氣密性)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단차부를 설치한 경우에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점안 용기를 경사지게 하여 점안할 때, 이 단차부가 액의 양을 조절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아울러, 외경이 실질적으로 감소하거나 또는 변화하지 않는 선단 돌출부를 설치함으로써, 액체주입통부 외주 부위로의 액 흐름을 적절하게 방지할 수 있다.
상기 특징적인 구성에 추가하여, 상기 제2 밀봉 볼록부에 대하여 그 외경측 부위에 이격되어, 상기 용기 본체에 상기 캡을 장착한 상태에서, 상기 용기 본체측으로 연장되는 제3 안내 볼록부가 설치되고, 상기 제3 안내 볼록부가 상기 캡의 장착 시에 상기 캡을 안내하는 구성이면, 하기의 점에서 유리하다.
즉, 이러한 제3 안내 볼록부를 설치함으로써 용기 본체와 캡의 축을 합쳐서 양자를 나사 결합으로 일체화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용기 본체의 선단으로부터 상기 단차부까지의 거리는 0.2∼1.2 ㎜의 범위이고, 상기 단차부가 0.2∼0.4 ㎜ 범위의 단차를 갖는 것이 적절하다.
단차가 큰 경우에는, 선단 돌출부가 길고 뾰족한 형상이 되어 사용자가 점안 시에 공포감을 느낄 수 있다. 또한, 선단 돌출부가 길고 뾰족한 형상이 되면, 강도가 약해져 캡과 나사 결합할 때 파손될 우려가 있고, 충분한 강도로 나사 결합할 수 없어 기밀성이 유지되지 않을 우려도 있다.
또한, 점안액에서의 1방울은 통상적으로 25∼50 ㎕ 정도이다. 이러한 취지에서 본 발명자들이 상기 치수 관계를 검토한 결과, 전술한 범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밝혀졌다.
즉, 상기 용기 본체의 선단과 단차부 사이의 거리를 전술한 범위보다 작게 하는 경우에는, 단차부를 설치하지 않은 경우와 동일한 결과가 초래된다. 한편, 상기 용기 본체의 선단과 단차부 사이의 거리를 전술한 범위보다 크게 하는 경우에 는, 원하는 목적을 달성할 수 없다.
이는 상기 단차의 경우에 있어서도 거의 동일하며, 상기 단차를 전술한 범위보다 작게 하는 경우에는 단차를 설치하지 않은 경우와 동일한 결과가 초래된다. 한편, 상기 단차를 전술한 범위보다 크게 하는 경우에는 원하는 목적을 달성할 수 없다.
또한, 상기 용기 본체는 성형과 동시에, 밀봉 상태로 액체가 충전되어 있는 것이 적절하다.
전술한 본 발명의 특징적인 구성에 따르면 용기 본체를 성형과 동시에 밀봉함으로써, 특히 제조 비용을 저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오목부의 깊이는 2∼7 ㎜의 범위인 것이 적절하다.
상기 오목부의 깊이가 전술한 적절한 값보다 작은 경우에는, 오목부 주위에 형성되는 용기 내 환형의 공간(액이 고임)에 표면 장력에 의해서 고인 액에 의해 상기 오목부의 선단부, 즉, 액체주입구가 덮히므로, 용기를 손으로 잡으면 이 때 발생한 압력으로 인해 상기한 바와 같이 고여 있는 액이 액체주입구를 통해 튀어나오는 문제가 발생한다.
또한, 상기 오목부 깊이가 적절한 값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오목부를 형성하는 공정 시에 오목부에 균열이 생겨 불량이 되기 쉽다. 이러한 상반되는 조건을 충족시키는 오목부 깊이의 최적치는 6 ㎜이다.
그러나, 표면 장력이 작은 약액의 경우에는 액이 고이는 양이 적어, 오목부의 깊이가 전술한 정도로 필요하지는 않으므로, 오목부의 깊이를 얕게 설계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오목부의 선단측 구경은 2∼4 ㎜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본 발명의 특징적인 구성에 따르면, 점안액 1방울을 일정하게(목적에 맞게 1방울 당 25∼50 ㎕ 범위로 조정) 하기 위해, 표면 장력이 큰 액의 경우에는 상기 오목부의 선단측 구경을 작게 하고, 표면 장력이 작은 액의 경우에는 상기 오목부의 선단측 구경을 크게 한다.
또한, 상기 용기 본체의 중공 원통형 몸통부에는 서로 대향하는 리세스(recess)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적절하다.
전술한 본 발명의 특징적인 구성에 따르면, 용기 내의 약액을 투여 시에는 용기의 몸통부에 형성된 리세스부를 두 손가락 끝으로 잡으므로, 손끝으로 잡는 위치가 안정하게 된다. 또한, 용기의 몸통부를 가압 조작할 때, 그 손끝에 접촉한 몸통부의 일부가 이미 움푹 들어간 형태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원통형 몸통부의 일부를 탄성복원력에 저항하여 요부 변형시키는 경우에 비해 그 가압 조작력을 경감시킬 수 있다.
따라서, 중공 원통형의 몸통부에 리세스부를 형성하는 것만으로 간단하게, 또한 저렴하게 제조할 수 있고, 종래의 점안 용기에 비해 잡기 쉬우며, 가압 조작력을 경감시킴으로써 압출(squeeze)성을 개선할 수 있기 때문에, 용기 내의 약액을 정확하고도 용이하게 투여할 수 있으며, 사용하기 편리한 리세스부가 형성된 점안 용기를 제공할 수 있었다.
또한, 상기 열가소성 재료가 가소성을 가진 상태에서 상기 캡이 상기 용기 본체에 나사 결합되고, 상기 제2 밀봉 볼록부에 의해서 상기 단차부가 형성되는 동시에, 상기 선단 돌출부 및 단차부와 상기 제2 밀봉 볼록부의 밀착 상태가 확보되어 있으면, 하기의 점에서 유리하다.
전술한 본 발명의 특징적인 구성에 따라, 용기 본체와 캡의 나사 결합 시에 선단 돌출부와 단차부의 형상을 결정하면, 캡의 제2 밀봉 볼록부가 이들 부위에 확실히 밀착되므로 확실한 기밀 상태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기타 특징 구성 및 그 구성으로부터 나타나는 유리한 작용 효과는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이하의 실시예를 통해 명백하게 이해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점안 용기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캡과 용기 본체가 분리된 상태에서 용기 본체의 선단 근방의 정면 단면도.
도 3은 용기 본체에 캡이 나사 결합된 상태에서 용기 본체의 선단 근방의 정면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점안 용기 본체의 전체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점안 용기를 이용하여 점안액을 적하 투여하는 경우의 사용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액체주입 구멍을 관통 형성할 수 있도록 구성된, 본 발명의 용기 본체의 측단면도.
도 7은 중간 마개를 구비한 용기 본체를 갖는 점안 용기를 도시한 도면.
도 8은 용기 본체의 블로우(blow) 성형 또는 진공 성형에 따른 성형 공정도.
도 9는 제1 방식에 따른 제조 방법을 나타내는 공정 설명도.
도 10은 제2 방식에 따른 제조 방법을 나타내는 공정 설명도.
도 11은 제3 방식에 의한 제조 방법을 나타내는 공정 설명도.
도 12는 최초로 캡을 용기 본체에 나사 결합 조작하는 공정 설명도.
〔제1 실시예〕
도 1 내지 도 5는 주로 의료용으로 이용되는 본 발명의 점안 용기를 도시한 것이고, 상기 점안 용기는, 블로우 성형 또는 진공 성형과 동시에 소정량의 약액(藥液)을 충전하고 가요성이 있는 열가소성 재료로 제조된 용기 본체(A) 및 상기 용기 본체(A)의 나사 통부(5)에 형성된 수나사(5a)에 착탈 가능하게 나사 결합되는 캡(B)으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에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점안 용기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캡과 용기 본체가 분리된 상태에서 용기 본체의 선단 근방의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용기 본체와 캡이 나사 결합으로 일체화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용기 본체의 전체 측면도이며,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점안 용기를 이용하여 점안액을 적하 투여시의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용기 본체(A)는 내측으로 만곡한 원형의 저부(底部)(1), 상기 저부 주위 에지에 연속한 중공 원통형의 몸통부(2), 상기 몸통부(2)의 어깨 부분(2a)에 연 속한 원통형의 목부(3), 상기 목부(3)의 위쪽 위치로부터 직경 방향 외측으로 팽출(膨出)한 원환형 단부(4), 상기 원환형 단부 위쪽에 연속하며 수나사(5a)를 구비한 나사 통부(5), 및 상기 나사 통부의 위쪽에 연속한 액체주입구(6a)를 구비한 액체주입통부(6)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용기 본체(A)를 구성하는 재료인 열가소성 재료로는 폴리에틸렌, 폴리에틸렌-폴리프로필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카보네이트 등이 있고, 성형된 용기 본체(A) 전체가 탄성 변형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용기 본체(A)의 액체주입통부(6)에는 액체주입구(6a)측(선단측)으로 내경이 커지며 바닥이 있는 원추형의 오목부(6b)가 움푹 들어간 형태로 형성되고, 오목부(6b)의 저부에는 소직경의 액체주입 구멍(6c)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오목부(6b)의 깊이는 2∼7 ㎜의 범위, 바람직하게는 5∼7 ㎜의 범위, 가장 바람직하게는 6 ㎜로 구성하는 동시에, 상기 액체주입구(6a)의 구경은 약액의 액성에 맞게 φ 2 ㎜∼φ 4 ㎜의 범위에서 조정한다.
점안액 1방울의 양을 일정하게(목적에 맞게 1방울 당 25∼50 ㎕의 범위로 조정)하기 위해, 표면 장력이 큰 액의 경우에는 액체주입구(6a)의 구경을 작게 하고, 표면 장력이 작은 액의 경우에는 액체주입구(6a)의 구경을 크게 한다.
또한, 상기 액체주입 구멍(6c)은 직경이 φ 0.1 ㎜∼ φ 0.8 ㎜ 범위인 바늘을 이용하여 형성한다. 상기 바늘의 직경은 작은 쪽이 바람직하고, φ 0.2 ㎜ 정도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지만, 매우 작은 직경을 형성하는 것이 기술적으로 어렵기 때문에, 실제로는 φ 0.4 ㎜∼φ 0.6 ㎜ 범위의 바늘을 이용한다.
따라서, 상기 액체주입구(6a)의 구경, 상기 오목부(6b)의 깊이, 그리고 상기 액체주입 구멍(6c)의 구경을 적절하게 설정함으로써, 상기 몸통부(2)를 손가락으로 가압 조작하여 용기 본체(A)로부터 압출되는 액적량을 설정량에 맞게 제어할 수 있다.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용기 본체(A)의 선단부에 있는 액체주입통부(6)의 외주 부위에 상기 용기 본체(A)의 선단을 향해 외경이 급감하는 단차부(8a)가 구비되는 동시에, 상기 단차부(8a)로부터 선단측으로, 선단을 향해서 단차부(8a)에 대하여 거의 수직인 외주면을 구비한 선단 돌출부(8b)가 구비되어 있다. 단, 상기 외주면이 초기에 캡나사를 조일 때 형성되기 때문에, 약간의 기울기 오차가 발생할 경우가 있다.
여기에서, 상기 용기 본체(A)의 선단(T)에서 단차부(8a)까지의 거리(L)는 0.2∼1.2 ㎜의 범위이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0.7 ㎜이며, 이 단차부(8a)에서 그 단차(s)는 0.2∼0.4 ㎜의 범위이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0.3 ㎜이다. 또한, 상기 오목부(6b)의 구경(d1)은 φ 2 ㎜∼φ 4 ㎜이고, 상기 선단 돌출부(8b)의 두께(도 2에서, 수평 방향의 두께, t)가 0.2∼0.4 ㎜의 범위이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0.3 ㎜이다.
도 1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용기 본체(A)의 몸통부(2)에는 두 손가락 끝으로 잡을 수 있는 리세스부(7)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리세스부(7)는 몸통부(2) 원주 방향의 2개 부분에, 용기 축선(X)을 사이에 끼고 서로 대향하는 부위 의 각각에 움푹 들어간 형태로 형성된 편평한 또는 거의 편평한 한 쌍의 협지면(7a)으로 구성되어 있다.
각 협지면(7a)은 용기 축선(X) 방향에서 볼 때는 몸통부(2) 중 다른 부위의 곡률보다 작은 곡률로 완만하게 만곡 형성되어 있는 동시에, 용기 축선(X) 방향과 직행하는 직경 방향으로 볼 때(정면에서 볼 때)에서는 그 용기 축선(X) 방향의 양단 부분을 제외한 중간 부분이 용기 축선(X)과 평행한 직선형으로 구성되어 있다. 물론, 이 협지면 전체를 만곡 형성할 수도 있다.
캡(B)에는, 캡이 용기 본체(A)의 수나사(5a)에 나사 결합했을 때 용기 본체(A)의 오목부(6b)에 내측 결합되어 밀봉하는 제1 밀봉 볼록부(15)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제1 밀봉 볼록부(15)의 돌출 높이는 0.6∼1.0 ㎜ 정도이다.
또한,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캡을(B) 용기 본체(A)에 장착한 상태에서, 상기 캡에는 용기 본체(A)에 구비된 상기 선단 돌출부(8b) 및 상기 단차부(8a)에 밀착되는 제2 밀봉 볼록부(16)가 구비되어 있다. 제2 밀봉 볼록부(16)의 돌출 높이는 0.2∼1.2 ㎜ 정도이고, 그 두께는 0.2∼0.4 ㎜ 정도이며 상기 단차부(8a)의 두께에 해당한다.
또한, 상기 제2 밀봉 볼록부(16)에 대해 그 외경측 부위에 이격되어, 용기 본체와 캡을 장착한 상태에서, 상기 용기 본체측으로 연장되는 제3 안내 볼록부(17)가 설치되어 있다. 이 제3 안내 볼록부(17)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용기 본체에 캡(B)을 장착하는 경우, 캡(B)을 용기 본체(A)에 대하여 안내하는(형태를 양호하게 유지함) 역할을 한다. 따라서, 제3 안내 볼록부(17)를 구비함으로써, 용기 본체(A)에 캡(B)을 처음 장착하는 경우, 용기 본체(A)의 축선과 캡(B)의 축선을 상기 용기 축선(X)에 적절하게 합칠 수 있어, 선단 돌출부(8b) 및 단차부(8a)를 양호하게 형성할 수 있다.
여기에서, 이 제3 안내 볼록부(17)의 돌출 높이는 2.5∼5.5 ㎜ 정도이고, 그 두께는 0.5∼1.2 ㎜ 정도이다.
캡(B)의 재료는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등이다.
전술한 구성을 구비함으로써, 캡(B)을 용기 본체(A)에 양호하게 나사 결합시켜 일체화할 수 있다.
이하,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예, 제3 실시예에 관해서 용기 본체(A)측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제2 실시예는 용기 본체(A)에 액체주입 구멍(6c)을 관통 성형하는 예이며, 제3 실시예는 중간 마개 부재(11)를 구비한 예이다.
〔제2 실시예〕
전술한 각 실시예에서는 블로우 성형 또는 진공 성형된 용기 본체(A)의 액체주입통부(6)에, 액체주입구(6a)측으로 내경이 커지며 바닥이 있는 원추형의 오목부(6b) 및 몸통부(2)를 손끝으로 가압 조작하여 용기 본체(A)에서 압출되는 액적량을 설정량에 맞게 제어할 수 있는 소직경의 액체주입 구멍(6c)이 미리 형성된 점안 용기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전술한 점안 용기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블로우 성형 또는 진공 성형과 동시에 소정량의 약액이 충전·밀봉되어 있으며 가요성이 있는 열가소성 재료로 제조된 용기 본체(A)에서의 수나사(5a)에, 용기 본체(A)의 선단부에 액체주입 구멍을 관통 형성하기 위한 침상(針狀) 돌기(9)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캡(B)을 탈착 가능하게 나사 결합시켜, 상기 통상적인 캡(B)의 폐지 위치보다도 한층 깊은 나사 조임측으로의 나사 결합 조작에 의해, 캡(B)의 침상 돌기(9)로 용기 본체(A)의 선단부에 액체주입 구멍(6c)을 형성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기타 구성은 제1 실시예에서 설명한 구성과 동일하기 때문에, 동일한 구성 부분은 제1 실시예와 동일한 번호를 부여하고 그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3 실시예〕
전술한 제1 실시예 및 제2 실시예에서는 상기 용기 본체(A)로서, 블로우 성형 또는 진공 성형에 의해서 중간 마개 기능을 구비한 상태로 성형된 점안 용기를 예시했으나, 본 발명은 이러한 구성의 점안 용기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용기 본체(A)의 원통형 개구부(10)에 사출 성형된 중간 마개 부재(11)와 결합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기타 구성은 제1 실시예에서 설명한 구성과 동일하기 때문에, 동일한 구성 부분에는 제1 실시예와 동일한 번호를 부여하고 그것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점안 용기의 제조 방법]
이하, 본 발명의 점안 용기 제조 방법에 대해서, 용기 본체의 제조, 캡과의 일체화의 순으로 설명한다.
I. 용기 본체의 제조
상기 오목부(6b) 및 액체주입 구멍(6c)을 형성하고, 또한 단차부(8a) 및 선단 돌출부(8c)를 형성하기 전의 용기 본체(A)의 제조 방법에 관해서는 상기 기술 분야에서 주지하였기 때문에, 도 8을 참조하여 간단히 설명한다. 본 설명에서 용기 본체(A)의 형상은 상기 제1 실시예의 것으로 예시한다.
도 8(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용기 본체(A)의 원환형 단부(段部)(4)로부터 저부(1)까지의 부분을 성형하기 위한 제1 캐비티(cavity)(20)를 구비한 한 쌍의 주성형(主成形) 금형(21), 용기 본체(A)의 나사 통부(5) 및 액체주입통부(6)를 성형하기 위한 제2 캐비티(22)를 구비한 한 쌍의 부성형 금형(23)을 열어 작동시킨 상태에서 이들의 상부에 배치한 압출기 헤드(24)로부터 양 금형(21,23)사이를 통해서 수직 방향을 따라 가늘고 길게 중공 튜브형의 반용융 열가소성 재료인 소정 길이의 파리손(parison)(25)을 밀어낸다.
이어서, 도 8(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주성형 금형(21)을 닫아 작동시키는 동시에, 압축 공기의 흡입 작용 또는 진공 작용을 통해 주성형 금형(21)의 성형면(21a)을 따라 파리손(25)을 팽창시키면서 성형한다. 이 상태에서 도 8(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약제 공급관(26)으로부터 소정량의 액체(약액)를 충전한다.
이러한 액체 충전 공정이 종료되면, 도 8(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부성형 금형(23)을 닫아 작동시키는 동시에, 압축 공기의 흡입 작용 또는 진공 작용을 통해 부성형 금형(23)의 성형면(23a)을 따라 파리손(25)을 팽창시키면서 성형하고, 충전된 액체를 성형과 동시에 밀봉(봉입)한다. 그리고, 도 8(d)의 공정에서 작업 을 완료한다.
이어서, 전술한 바와 같이 블로우 성형 또는 진공 성형된 용기 본체(A)의 선단부인 액체주입통부(6)에, 바닥이 있는 원추형의 오목부(6b) 및 소직경의 액체주입 구멍(6c)을 형성하는 세 가지 제조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첫 번째 제조 방법]
도 9(a)∼도 9(d)에 도시한 첫 번 째 제조 방법에서는, 상기 바닥이 있는 원추형의 오목부(6b)를 성형하는 금속제 볼록형 성형 몰드(30), 상기 액체주입 구멍(6c)을 형성하는 금속제 침상 성형 몰드(31)를 이용한다.
상기 볼록형 성형 몰드(30)는 장착 축(30A)의 선단부에, 바닥이 있는 원추형의 오목부(6b)를 성형하는 원추형 성형 돌기(30B), 용기 본체(A)의 액체주입통부(6)의 외주면을 성형하는 주발형(椀狀)(종 모양)의 성형면(30C)이 형성되어 있고, 또한, 상기 침상 성형 몰드(31)는 장착 축(31A)의 선단부에, 소직경의 액체주입 구멍을 형성하는 침상 성형 돌기(31B)가 형성되어 있다.
이 첫 번째 제조 방법에서는 도 9(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용기 본체(A)의 선단부인 액체주입통부(6)의 일부를 온풍 또는 할로겐 램프, 레이저 광선 등과 같은 제1 가열 수단(C)을 이용하여 실온 또는 70℃∼150℃로 가열한다. 이 때, 가열 온도는 용기 본체(A)의 재질, 형상에도 따르지만, 용기 본체(A)의 선단이 약간 연화되는 온도가 바람직하다.
용기 본체(A)의 열가소성 재료가 폴리에틸렌과 같이 부드러운 수지 재료인 경우에는, 가열하지 않으면 선단부가 좌굴(座屈)하기 때문에, 성형 전에 상기 볼록 형 성형 몰드(30)로 성형되는 부위를 적어도 제1 가열 수단(C)에서 휘지 않는 온도로 가열해야 한다. 그러나, 용기 본체(A)의 열가소성 재료가 좌굴에 견딜 수 있는 수지 재료나 형상인 경우, 즉, 볼록형 성형 몰드(30)의 용기 축선(X) 방향에서의 가압에 견딜 수 있는 경우에는 실온에서도 성형이 가능하다.
이어서, 도 9(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가열 수단(C)에서 가열된 용기 본체(A)의 액체주입통부(6) 중 일부가 냉각되기 전에, 상기 볼록형 성형 몰드(30)를 용기 축선(X) 방향에서 가압하여, 용기 본체(A)의 액체주입통부(6)에 액체주입 구멍(6a)측으로 내경이 커지며 바닥이 있는 원추형의 오목부(6b)를 성형한다.
이 때, 상기 볼록형 성형 몰드(30)의 주발형 성형면(30C)에 의해, 용기 본체(A)의 액체주입통부(6)의 외주면에 돌출되어 있는, 블로우 성형 시의 팰릿을 제거할 수 있다.
상기 볼록형 성형 몰드(30) 그 자체의 온도는 성형되는 용기 본체(A)의 액체주입통부(6)의 형상과 두께에 맞춰, 실온부터 150℃의 범위에서 제어된다. 가열 온도는 액체주입통부(6) 선단의 냉각, 고화를 고려하여 될 수 있는 한 낮은 온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볼록형 성형 몰드(30)는 충전되는 액체의 액성에 따라 간단히 교환할 수 있도록 한다.
이어서, 도 9(c) 및 도 9 (d)에 도시한 바와 같이, 침상 성형 몰드(31)를 상기 용기 본체(A)의 액체주입통부(6)에 형성된 오목부(6b)의 저부 중앙 위치에 대하여 용기 축선(X) 방향에서 가압하여, 몸통부(2)를 손끝으로 가압 조작함으로써 용 기 본체(A)에서 압출되는 액적량을 설정량에 맞게 제어할 수 있는 소직경의 액체주입 구멍(6c)을 형성한다.
이 침상 성형 몰드(31)의 침상 돌기(31B)에 의한 액체주입 구멍(6c) 형성 공정에서, 침상 돌기(31B)를 실온에서 그대로 작업하는 방법과 침상 돌기(31B)를 가열한 후 작업하는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형성할 액체주입 구멍(6c)의 형상이나 오목부(6b)의 형상, 나아가 용기의 기타 형상이나 재질, 제조 비용 등의 조건에 따라서, 전술한 방법 중에서 이용할 방법을 선택한다. 가열이 필요한 경우의 가열 온도는 적어도 침상 성형 몰드(31)의 침상 돌기(31B)를 용기 재질의 수지가 용융하는 온도, 130℃∼180℃의 범위인 것이 적절하다.
침상 성형 몰드(31)의 가열은 고주파 유도 가열, 할로겐 램프, 온풍 등의 제2 가열 수단(D)을 이용하여 수행하고, 침상 성형 몰드(31)의 연결부인 장착 축(31A)은 워터 재킷(water jacket), 압축 공기 등의 냉각 수단(E)에 의해 냉각되도록 구성한다.
그리고, 상기 침상 성형 몰드(31)가 소정의 온도로 냉각된 시점에서, 소정의 형상으로 성형된 용기 본체(A)의 액체주입통부(6)로부터 용기 축선(X) 방향을 따라 상기 침상 성형 몰드(31)를 빼낸다.
상기 침상 성형 몰드(31)는 수지의 박리성, 이형성(離型性)을 양호하게 하기 위해, 표면에 도금 또는 테플론 코팅, 특수 도금 등과 같은 표면 처리를 실시할 수 있다. 이런 표면 처리는 고온에 견딜 수 있고, 아울러, 쉽게 박리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두 번째 제조 방법]
도 10(a)∼도 10(d)에 도시한 두 번째 제조 방법에서는, 첫 번째 방법에서와 같이, 바닥이 있는 원추형의 오목부(6b)를 성형하는 금속제의 볼록형 성형 몰드(30)와 액체주입 구멍(6c)을 형성하는 금속제의 침상 성형 몰드(31)를 이용한다.
상기 볼록형 성형 몰드(30)는 장착 축(30A)의 선단부에, 바닥이 있는 원추형의 오목부(6b)를 성형하는 원추형 성형 돌기(30B)만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침상 성형 몰드(31)는 장착 축(31A)의 선단부에, 소직경의 액체주입 구멍을 형성하기 위한 침상 성형 돌기(31B) 및 용기 본체(A)의 액체주입통부(6)의 외주면을 성형하는 주발형(종 모양)의 성형면(31C)이 형성되어 있고, 또한, 상기 침상 성형 돌기(31B)의 돌기 고정부(31b)는 상기 원추형 성형 돌기(30B)에서 형성된 오목부(6b)에 따르는 원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첫 번째 방법에서는 도 9(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볼록형 성형 몰드(30)를 이용한 성형 시에, 용기 본체(A)의 액체주입통부(6)의 외주면에 돌출되어 있는, 블로우 성형 시의 펠릿을 제거하도록 구성했지만, 두 번째 방법에서는 도 10(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침상 성형 몰드(31)를 이용한 성형 시에, 용기 본체(A)의 액체주입통부(6)의 외주면에 돌출되어 있는, 블로우 성형 시의 펠릿을 제거하도록 구성한 것이고, 그 이외의 구성은 첫 번째 방법에서와 동일하다.
[세 번째 제조 방법]
도 11(a)∼도 11(d)에 도시한 세 번째 제조 방법에서는, 바닥이 있는 원추형 의 오목부(6b)를 성형하는 볼록형 성형 몰드와 액체주입 구멍(6c)을 형성하기 위한 침상 성형 몰드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금속제의 단일 성형 몰드(32)를 이용한다. 이 단일 성형 몰드(32)는 장착 축(32A)의 선단부에, 바닥이 있는 원추형의 오목부(6b)를 성형하는 원추형 성형 돌기(32B), 용기 본체(A)의 액체주입통부(6)의 외주면을 성형하는 주발형(종 모양)의 성형면(32D)이 형성되는 동시에, 상기 원추형 성형 돌기(32B)의 선단에는 소직경의 액체주입 구멍(6c)을 형성하기 위한 침상 성형 돌기(32C)가 동심 상태에서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이 세 번째 제조 방법에서는, 도 11(a) 및 도 11(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용기 본체(A)의 액체주입통부(6)의 선단측을 가열하지 않고, 성형된 온도(70℃∼80℃) 그대로 할 수 있고 실온으로 냉각된 후에도 할 수 있고, 오목부(6b)를 형성하기 전까지 소직경의 액체주입 구멍(6c)을 형성하기 위한 침상 성형 돌기(32C)를 용기 본체(A)의 액체주입통부(6) 선단에 대하여 찌른다.
용기 본체(A)의 액체주입통부(6)의 선단에 꽂힐 수 있었던 침상 성형 돌기(32C)는 도 11(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가열 수단(D)의 일례인 고주파 유도 가열 수단에 의해 가열된다. 이 때의 가열 온도는 용기 재료가 용융되는 온도 부근인 것이 바람직하고, 통상 120℃∼200℃의 범위, 바람직하게는 160℃ 부근에서 제어된다.
침상 성형 돌기(32C) 및 원추형 성형 돌기(32B)를 구비한 단일 성형 몰드(32)는 도 11(d)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열되면서 2 ㎜ 내지 8 ㎜ 압입되고, 용기 본체(A)의 액체주입통부(6)의 선단측을 용기 축선(X) 방향에서 압축하도록 가 압하면서 바닥이 있는 원추형의 오목부(6b)를 성형한다.
단일 성형 몰드(32)의 원추형 성형 돌기(32B)의 프레스는 깊은 것이 바람직하지만, 기술적 문제로 인해 5∼7 ㎜의 범위로 한다. 이 때, 용융된 용기 본체(A)의 액체주입통부(6)의 선단부에 기포가 들어가지 않도록, 단일 성형 몰드(32)에 가스제거 구멍을 설치할 수도 있다(선단부의 수지를 완전히 용융하기 위해, 가스 제거가 필요함).
단일 성형 몰드(32)의 연결부인 장착 축(32A)은 워터 재킷, 압축 공기 등의 냉각 수단에 의해 냉각되도록 구성한다.
그리고, 상기 단일 성형 몰드(32)가 소정의 온도까지 냉각된 시점에서, 소정의 형상으로 성형된 용기 본체(A)의 액체주입통부(6)로부터 용기 축선(X) 방향을 따라 상기 단일 성형 몰드(32)를 빼낸다.
상기 단일 성형 몰드(32)는 수지의 박리성, 이형성을 양호하게 하기 위해, 표면에 도금 또는 테플론 코팅, 특수 도금 등과 같은 표면 처리를 실시할 수 있다. 이 표면 처리는 280℃ 이상 견딜 수 있을 수 있고, 쉽게 박리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첫 번째부터 세 번째 방법 중 어떠한 제조 방법으로 성형된 용기 본체(A) 선단부측의 바닥이 있는 원추형 오목부(6b) 및 소직경의 액체주입 구멍(6c)은 중간 마개로서의 기능을 갖는다. 이 중간 마개는 안정하게 적하되는 한 방울의 액적 내에 기포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고, 아울러 기포가 양호하게 빠질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갖는다.
또한, 상술한 두 번째 방법과 세 번째 방법에 있어서도, 침상 돌기(31B 또는 32C)를 이용한 액체주입 구멍(6c) 형성 공정에서, 침상 돌기(31B 또는 32C)를 제2 가열 수단(D)에 의해서 가열한 후 작업하였으나, 전술한 바와 같이, 경우에 따라서는 이 같은 가열을 수행하지 않고, 실온 상태의 침상 돌기(31B 또는 32C)를 이용하여 액체주입 구멍(6c)을 형성할 수도 있다.
Ⅱ. 캡(B)과의 일체화
상기와 같이 수행하여 용기 본체(A)를 얻을 수 있지만, 다른 한편으로는 본 발명에 사용되는 캡(B)을 지금까지 설명한 바와 같은 소정의 형상으로 미리 성형하여 얻는다.
그런데, 상기와 같이 하여 용기 본체(A)의 제조를 종료한 후, 용기 본체(A)에 대하여 캡을 최초로 장착하는 초기 장착 시에는 상기 용기 본체(A)의 열가소성 재료가 그 가소성을 유지한 상태에서, 아울러, 캡(B)에 나사 결합을 행하더라도 용기 본체(A) 외형의 개략적인 형상이 붕괴되지 않는 정도의 가소성을 갖는 상태에서,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캡(B)을 용기 본체(A)에 나사 결합시킨다.
이 때, 캡(B)측에는 상기 제1 밀봉 볼록부(15), 제2 밀봉 볼록부(16) 및 제3 안내 볼록부(17)이 구비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제1 밀봉 볼록부(15)가 오목부(6b)에 밀착되고, 상기 제2 밀봉 볼록부(16)가 상기 선단 돌출부(8b) 및 단차부(8a)에 밀착되는 상태가 된다. 또한, 실제로 선단 돌출부(8b) 및 단차부(8a)는 제1, 제2 밀봉 볼록부(15, 16)에 의해서 형상이 결정되어, 그 기밀 상태를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3 안내 볼록부(17)는 상기한 바와 같이, 나사 결합 시에 용기 본체(A)와 캡(B)의 축선을 양호하게 합치시킨다.
이상의 구성을 채용함으로써, 밀봉성이 우수하고 사용하기 편한 점안 용기를 얻을 수 있었다.
〔기타 실시예〕
(1) 상기 용기 본체(A)로는 적어도 몸통부(2)가 가요성이 있는 중공 원통형으로 구성된 구조의 것이라면 용기 본체(A)로서 이용할 수도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점안 용기는 본체 용기에 캡이 나사 결합 장착된 상태에서, 양자간의 밀봉성을 더욱 향상시키는 동시에, 점안 시에 액체주입통부 외주 부위로의 액 흐름을 방지하는 데 적합하다.

Claims (8)

  1. 주발형의 성형면을 가지는 액체주입통부 및 나사통부를 선단부에 연속하여 구비한 열가소성 재료로 제조된 용기 본체(A)와, 상기 나사통부에 나사 결합으로 장착할 수 있는 캡(B)을 구비하고,
    상기 액체주입통부(6)에 선단측으로 내경이 커지며 바닥이 있는 원추형의 오목부(6b)가 형성되어, 상기 오목부의 저부에 액체주입 구멍(6c)이 형성 또는 형성될 수 있도록 되어 있고,
    상기 캡(B)에 장착 상태에서 상기 용기 본체(A)의 상기 오목부(6b)를 밀봉하는 제1 밀봉 볼록부(15)와, 상기 나사통부에 나사 결합하는 부위를 구비한 점안 용기로서,
    상기 액체주입통부(6)의 선단부의 외경이 급감된 단차부(8a)를 구비하는 동시에, 상기 단차부(8a)로부터 선단측으로, 선단쪽으로 가까워질수록 외경이 감소하거나 또는 변화하지 않는 선단 돌출부(8b)를 구비하고,
    상기 캡(B)에, 상기 장착 상태에서, 상기 선단 돌출부(8b) 및 상기 단차부(8a)에 밀착되는 제2 밀봉 볼록부(16) 및, 상기 제2 밀봉 볼록부(16)에 대하여 그 외경측 부위로 이격되어, 상기 액체주입통부 측으로 연장되는 제3 안내 볼록부(17)가 설치되고, 상기 캡의 장착시에 상기 제3 안내 볼록부(17)가 상기 캡(B)을 안내하는,
    점안 용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 본체(A)의 선단(T)부터 상기 단차부(8a)까지의 거리(L)가 0.2∼1.2 ㎜ 범위이고, 상기 단차부(8a)가 0.2∼0.4 ㎜ 범위의 단차를 갖는,
    점안 용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 본체(A)가 성형과 동시에, 밀봉 상태로 액체가 충전되어 있는, 점안 용기.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6b)의 깊이가 2∼7 ㎜ 범위인, 점안 용기.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6b)의 선단측 구경(d1)이 2∼4 ㎜ 범위인, 점안 용기.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 본체(A)의 중공 원통형 몸통부(2)에, 서로 대향하는 리세스부(7,7)가 형성되어 있는, 점안 용기.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열가소성 재료가 가소성을 가진 상태에서 상기 캡(B)이 상기 용기 본체(A)에 나사 결합되고, 상기 제2 밀봉 볼록부(16)에 의해서 상기 단차부(8a)가 형성되는 동시에, 상기 선단 돌출부(8b) 및 단차부(8a)와 상기 제2 밀봉 볼록부(16)의 밀착 상태가 확보되어 있는, 점안 용기.
  8. 삭제
KR1020047006456A 2001-10-31 2002-10-23 단차부를 구비한 점안 용기 KR10093900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1-00334347 2001-10-31
JP2001334347A JP3922910B2 (ja) 2001-10-31 2001-10-31 段差部を備えた点眼容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39718A KR20050039718A (ko) 2005-04-29
KR100939004B1 true KR100939004B1 (ko) 2010-01-28

Family

ID=191494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7006456A KR100939004B1 (ko) 2001-10-31 2002-10-23 단차부를 구비한 점안 용기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7503909B2 (ko)
EP (1) EP1449508B1 (ko)
JP (1) JP3922910B2 (ko)
KR (1) KR100939004B1 (ko)
CN (1) CN1310633C (ko)
AT (1) ATE483441T1 (ko)
CA (1) CA2464482C (ko)
DE (1) DE60237914D1 (ko)
ES (1) ES2354040T3 (ko)
TW (1) TW590770B (ko)
WO (1) WO2003037245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00210U (ko) 2020-07-16 2022-01-25 주식회사 다우기업 동물의 약물 도포용 튜브 용기
KR20220002084U (ko) 2021-02-18 2022-08-25 주식회사 다우기업 애완동물용 도포용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178703B2 (en) * 2004-11-23 2007-02-20 Allergan, Inc. Autoclaveable small-volume dropper bottle
AR058030A1 (es) * 2005-08-31 2008-01-23 Novartis Ag Producto para el cuidado de lentes de contacto
US7563256B2 (en) * 2006-03-30 2009-07-21 Isaac Hearne Cannula tip eye drop dispenser
US7758553B2 (en) * 2006-04-03 2010-07-20 Insight Vision Incorporated Drop dispenser for the delivery of uniform droplets of viscous liquids
JP4913499B2 (ja) * 2006-08-09 2012-04-11 伸晃化学株式会社 薬液容器の中栓
FR2916429B1 (fr) * 2007-05-22 2012-10-05 Valois Sas Capot de protection pour tete de distribution de produit fluide.
FR2935690B1 (fr) * 2008-09-11 2012-08-17 Coradin Sas Ensemble de recipients
WO2011133736A2 (en) 2010-04-21 2011-10-27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Michigan Fluoroscopy-independent, endovascular aortic occlusion system
CN103054722A (zh) * 2011-10-20 2013-04-24 苏州市锦新医用塑料容器厂 一种滴眼剂瓶的瓶塞
WO2014109376A1 (ja) * 2013-01-11 2014-07-17 参天製薬株式会社 中栓とその中栓を備えた液体収容容器、及びノズルの先端構造とその構造を備えた液体収容容器
US9474882B2 (en) 2013-02-26 2016-10-25 Prytime Medical Devices, Inc. Fluoroscopy-independent balloon guided occlusion catheter and methods
JP6343009B2 (ja) 2013-09-09 2018-06-13 プリタイム・メディカル・デバイシーズ・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Prytime Medical Devices,Inc. 低輪郭閉塞カテーテル
US10232142B2 (en) 2014-06-10 2019-03-19 Prytime Medical Devices, Inc. Conduit guiding tip
AU2016232781B2 (en) 2015-03-19 2017-11-02 Prytime Medical Devices, Inc. System for low-profile occlusion balloon catheter
EP4302815A3 (en) 2016-06-02 2024-03-27 Prytime Medical Devices, Inc. System and method for low-profile occlusion ballon catheter
CN106189166B (zh) * 2016-07-20 2018-03-27 王玲 一种led灯及其制备方法
CA3049539C (en) 2017-01-12 2022-09-20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Endovascular perfusion augmentation for critical care
WO2018195507A1 (en) 2017-04-21 2018-10-25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Aortic flow meter and pump for partial-aortic occlusion
KR101927756B1 (ko) * 2017-06-12 2018-12-11 (주)휴온스 점안액 용기
FR3080843B1 (fr) * 2018-05-07 2020-05-29 Horus Pharma Dispositif de conditionnement et distribution d'un produit ayant un embout doseur a extremite exterieurement propre
US11679026B2 (en) * 2019-12-10 2023-06-20 Obbjectives, Llc Systems and devices, and methods for replacing an eye dropper tip on an eyedropper bottle with a replacement eyedropper tip
WO2021188602A2 (en) 2020-03-16 2021-09-23 Certus Critical Care, Inc. Blood flow control devices, systems, and methods and error detection thereof
FR3110898B1 (fr) * 2020-05-27 2024-03-15 Coradin Sas Ensemble compose d’un recipient pour un fluide et d’un emballage distributeur
CN112168477B (zh) * 2020-09-21 2022-11-18 汕头日绵医疗科技有限公司 洗眼液容器
US11772851B2 (en) * 2021-06-21 2023-10-03 Medmix Switzerland Ag Liquid applicator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86341U (ja) 1983-11-22 1985-06-14 千寿製薬株式会社 点眼容器
JPH0252758U (ko) * 1988-10-05 1990-04-16
JPH10329855A (ja) 1997-05-30 1998-12-15 Lion Corp 滴下容器
JP2001120638A (ja) * 1999-08-17 2001-05-08 Santen Pharmaceut Co Ltd 窪み部形成点眼容器

Family Cites Families (3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249832A (en) * 1937-05-07 1941-07-22 Hubschman Jacob Dispensing device
US3945381A (en) * 1974-10-18 1976-03-23 Silver Industries, Inc. Eye drop dispenser and cup
DE2906818A1 (de) * 1978-05-03 1979-11-08 Jenapharm Veb Verschlusskombination
US4723687A (en) * 1981-03-16 1988-02-09 Franz Kutterer Tube with screw cap
US4605398A (en) * 1984-04-20 1986-08-12 Herrick Robert S Dispensing device for container having fluid to be controllably dispensed into an eye
DE3735909A1 (de) 1987-10-23 1989-05-03 Hansen Bernd Tropferflasche und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JPH0252758A (ja) 1988-08-16 1990-02-22 Nec Corp サーマルヘッド保護装置
EP0362911A1 (en) * 1988-09-01 1990-04-11 Merck & Co. Inc. Bottle for controllably dispensing a liquid by drops
EP0416694B1 (en) 1989-09-08 1994-07-13 Merck & Co. Inc. Liquid drop dispensing tip
FR2653752A1 (fr) 1989-10-26 1991-05-03 Merck Sharp & Dohme Ensemble de conditionnement sterile permettant de distribuer un liquide par gouttage, et procede de fabrication d'un tel ensemble.
CA2043521A1 (en) * 1990-05-31 1991-12-01 Vlado I. Matkovich Contamination-resistant dispensing and metering device
JPH04117636A (ja) 1990-09-06 1992-04-17 Canon Inc 光学的情報記録再生装置
HU206453B (en) 1990-09-18 1992-11-30 Jehoshua Menchel Eye-drop feeder and eye-dropper
US5226042A (en) 1992-02-07 1993-07-06 At&T Bell Laboratories Method for establishing wideband communications through a time division switching system
US5261572A (en) * 1992-06-09 1993-11-16 Plato Products, Inc. Dropper bottle
CN2149201Y (zh) * 1993-02-10 1993-12-15 赵辉 方便涂药液瓶盖
JPH0741022A (ja) 1993-07-23 1995-02-10 Taoka Chem Co Ltd ノズルキャップ付容器
JPH07275322A (ja) 1994-04-12 1995-10-24 Rohto Pharmaceut Co Ltd 目薬容器等の注ぎ口構造
US5464122A (en) 1994-06-24 1995-11-07 Merck & Co., Inc. Non-streaming ophthalmic tip and delivery device
JP3210573B2 (ja) 1996-04-26 2001-09-17 扶桑薬品工業株式会社 輸液用合成樹脂製容器の口部薄膜成形方法
US5718334A (en) * 1996-09-11 1998-02-17 Allergan Container closure for flexible containers
JP3688423B2 (ja) 1997-02-26 2005-08-31 株式会社吉野工業所 化粧液等収納容器
FR2770495B1 (fr) 1997-11-04 1999-12-24 Transphyto Sa Dispositif de conditionnement pour liquide a distribuer goutte a goutte
US6076709A (en) * 1998-05-04 2000-06-20 Dentsply Detrey G.M.B.H. Dental adhesive container dropping system
US5954233A (en) * 1998-07-28 1999-09-21 Santen Pharmaceutical Co., Ltd. Sealed container
US6129248A (en) * 1998-09-18 2000-10-10 Hagele; James Precision release tip for medicinal liquid dropper
JP3371364B2 (ja) 1998-12-28 2003-01-27 東亞合成株式会社 液体容器
US6168581B1 (en) * 1999-02-09 2001-01-02 Comar, Inc. Drop dispensers
JP3694446B2 (ja) 1999-08-17 2005-09-14 参天製薬株式会社 開口点眼容器及びそれの製造方法
CN2401178Y (zh) * 1999-11-15 2000-10-18 裘立 自滴眼药瓶
US6334557B1 (en) * 2000-11-13 2002-01-01 Kuo-Chen Yang Capped container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86341U (ja) 1983-11-22 1985-06-14 千寿製薬株式会社 点眼容器
JPH0252758U (ko) * 1988-10-05 1990-04-16
JPH10329855A (ja) 1997-05-30 1998-12-15 Lion Corp 滴下容器
JP2001120638A (ja) * 1999-08-17 2001-05-08 Santen Pharmaceut Co Ltd 窪み部形成点眼容器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00210U (ko) 2020-07-16 2022-01-25 주식회사 다우기업 동물의 약물 도포용 튜브 용기
KR20220002084U (ko) 2021-02-18 2022-08-25 주식회사 다우기업 애완동물용 도포용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578652A (zh) 2005-02-09
TW590770B (en) 2004-06-11
DE60237914D1 (ko) 2010-11-18
CA2464482C (en) 2011-01-18
JP2003135561A (ja) 2003-05-13
EP1449508A1 (en) 2004-08-25
ES2354040T3 (es) 2011-03-09
EP1449508B1 (en) 2010-10-06
CA2464482A1 (en) 2003-05-08
JP3922910B2 (ja) 2007-05-30
US20040210203A1 (en) 2004-10-21
EP1449508A4 (en) 2008-09-24
US7503909B2 (en) 2009-03-17
WO2003037245A1 (fr) 2003-05-08
ATE483441T1 (de) 2010-10-15
KR20050039718A (ko) 2005-04-29
CN1310633C (zh) 2007-04-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39004B1 (ko) 단차부를 구비한 점안 용기
US7438704B1 (en) Open instillation containe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container
US7997285B2 (en) Effect packaging for a cosmetic, in particular a mascara unit
CN101553406A (zh) 用于施加微升量的液滴形式的液体的可计量的滴瓶
CA2389983A1 (en) Flow nozzle for injection molding
JP4754948B2 (ja) シリンジ用外筒の射出成形用金型、シリンジ用外筒の製造方法、シリンジ用外筒およびシリンジ
EP0924051B1 (en) One-step flashing bevel process
KR101014638B1 (ko) 고온 멸균이 가능한 점안 용기
US6589484B2 (en) One-piece pipette/dropper assembly and the method of making same
EP1407866A1 (en) Forming mold for contact len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contact lens by using the forming mold
JP2002263187A (ja) ガスケットおよびシリンジ
JP3694446B2 (ja) 開口点眼容器及びそれの製造方法
JP4085660B2 (ja) プラスチック製微量点滴芯および点滴芯を装着した点滴筒
JP4268311B2 (ja) キャップ一体型ブローチューブ容器
JP3796594B2 (ja) 合成樹脂製壜体の成形方法
WO2006046647A1 (ja) 液体収容容器および液体収容容器の製造方法
JPH08511999A (ja) 絞り出し式容器
JP2006151514A (ja) 液体収容容器および液体収容容器の製造方法
JP3363094B2 (ja) プレフィルドシリンジ
JPH0524102A (ja) ブロー成形方法
JP2000072124A (ja) 成形充填容器および当該成形充填容器の製造方法
JPH10167357A (ja) 合成樹脂製壜体およびその成形方法
JPH0374171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0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0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1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26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7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