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27756B1 - 점안액 용기 - Google Patents

점안액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27756B1
KR101927756B1 KR1020170073019A KR20170073019A KR101927756B1 KR 101927756 B1 KR101927756 B1 KR 101927756B1 KR 1020170073019 A KR1020170073019 A KR 1020170073019A KR 20170073019 A KR20170073019 A KR 20170073019A KR 101927756 B1 KR101927756 B1 KR 1019277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ye drop
container
eye
storage space
container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730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재민
고대웅
김배영
오준교
Original Assignee
(주)휴온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휴온스 filed Critical (주)휴온스
Priority to KR10201700730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27756B1/ko
Priority to CN201810579913.1A priority patent/CN109091291A/zh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277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277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9/00Methods or devices for treatment of the eyes; Devices for putting-in contact lenses; Devices to correct squinting; Apparatus to guide the blind; Protective devices for the eyes, carried on the body or in the hand
    • A61F9/0008Introducing ophthalmic products into the ocular cavity or retaining products there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0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 A61J1/14Details; Accessories therefor
    • A61J1/1475Inlet or outlet po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02Bottles or similar containers with necks or like restricted apertures, designed for pouring contents
    • B65D1/08Bottles or similar containers with necks or like restricted apertures, designed for pouring contents adapted to discharge dro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06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 B65D47/18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for discharging drops; Dropp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ublic Health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Medical Preparation Storing Or Oral Administrat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점안액 용기는 점안액 저장공간이 형성된 용기 몸체와, 상기 용기 몸체에서 연장되고 점안액 배출구로 연결되는 점안액 이동통로가 형성된 점안액 배출부와, 상기 점안액 배출부에 연결된 밀봉부를 포함하고, 상기 용기 몸체를 휨 변형시켜 점안액 저장공간의 점안액을 배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점안액 용기{Instillation container}
본 발명은 점안액 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점안액의 몸체 변형을 용이하게 하여 외부로 배출되는 점안액의 양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는 점안액 용기에 관한 것이다.
점안액은 생리 식염수가 포함된 점적약으로서 안구충혈, 안구건조증과 같은 안과 질환의 치료나 증상 완화에 널리 이용된다. 점안액은 일반적으로 밀봉된 용기에 저장되어 판매 및 유통되고, 낱개로 포장된 형태의 용기를 절취, 주입하는 방식으로 사용된다.
점안액 용기는 일반적으로 블로잉-주입-밀봉(Blowing-filling-sealing) 방법에 의하여 제조되는데, 블로잉-주입-밀봉 방법은 금형의 내부로 형성재료를 주입하고 기체를 불어넣어 소정의 형상으로 가공하고, 성형물의 내부 공간에 액체를 주입하고, 액체가 주입된 입구 부분에 열을 가하여 밀봉을 하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점안액 용기는 절취 후에 한번 사용하는 방식과 절취 후에 여러 번 사용할 수 있는 방식으로 구분되고, 후자의 경우는 전자에 비하여 경제적이지만 재사용 시에 오염물질이 유입되거나 공기 중 세균에 의한 감염의 우려가 있어서 사용 방식에 주의가 요구된다.
점안액 용기에서 점안액을 배출시키는 방법으로 가장 널리 이용되는 것을 점안액 용기의 점안액 저장공간을 손가락 끝으로 눌러 점안액을 배출시키는 방식이다. 이러한 방식은 가장 간단하지만 손끝의 힘을 잘못 조절하면 한꺼번에 너무 많은 양의 점안액이 배출되는 문제를 가지고 있고, 어린이나 노약자의 경우는 힘 조절이 어려워 조작에 어려움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점안액 용기에 관한 선행문헌으로는 일본등록특허 제4371773호가 있다. 상기 선행문헌에 개시된 점안액 용기는 용기 몸체에 주름진 형태의 자바라형 저장공간을 형성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구조에서도 자바라형 저장공간을 가압할 수 있는 거리가 짧아서 손가락의 힘 조절을 실패하면 과도한 양의 점안액이 배출되는 문제점을 여전히 가지고 있다.
따라서, 점안액의 배출을 위한 조작이 쉽고 점안액의 배출량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는 점안액 용기의 개발 필요성이 매우 크다.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첫 번째 과제는 점안액 배출을 위한 용기의 변형 조작이 간단하고, 용기의 변형 정도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는 점안액 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두 번째 과제는 점안액의 배출을 위한 용기 변형에 따라 점안액 저장공간의 부피가 효과적으로 감소할 수 있는 점안액 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 첫 번째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점안액 저장공간이 형성된 용기 몸체와, 상기 용기 몸체에서 연장되고 점안액 배출구로 연결되는 점안액 이동통로가 형성된 점안액 배출부와, 상기 점안액 배출부에 연결된 밀봉부를 포함하고, 상기 용기 몸체를 휨 변형시켜 점안액 저장공간의 점안액을 배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안액 용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용기 몸체는 점안액 저장공간에서 상기 점안액 배출부 방향으로 연장된 몸체 제2연장부와 반대방향으로 연장된 몸체 제1연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용기 몸체의 점안액 저장공간에 근접한 영역에는 상기 용기 몸체의 휨 변형이 용이하도록 절곡부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용기 몸체는 상기 휨 변형 과정에서 힘을 받는 방향을 마주하며 형성된 후면부와, 상기 후면부에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형성된 전면부를 가지고, 상기 전면부는 점안액 저장공간이 확보되도록 돌출된 전면 돌출부 및 상기 전면 돌출부의 일부 영역에 형성된 전면 오목부를 포함하고, 상기 후면부는 점안액 저장공간의 영역에서 일정 길이로 연장된 후면 수평부 및 상기 후면 수평부의 양 끝 영역에 형성된 절곡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밀봉부는 회전 절취 또는 신장 절취 방식으로 상기 점안액 배출부로부터 분리 가능하고, 상기 밀봉부는 상기 점안액 배출부에 재밀봉이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두 번째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용기 몸체, 상기 용기 몸체에서 일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점안액 배출부 및 상기 점안액 배출부를 밀봉하는 밀봉부를 포함하는 점안액 용기로서, 상기 용기 몸체에는 점안액 저장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용기 몸체의 소정의 영역에는 용기 몸체의 휨 변형이 용이하도록 절곡부가 형성되며, 상기 절곡부를 따라 용기 몸체의 휨 변형이 일어나면 상기 점안액 저장공간의 부피가 줄어들면서 점안액이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안액 용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점안액 용기는 아래의 효과를 가진다.
1. 점안액 배출을 위한 점안액 용기 변형이 점안액 저장공간의 양면을 누르는 방식이 아니고, 점안액 용기의 몸체를 휨 변형시키는 방식으로 이루어지므로, 용기 변형에 필요한 힘의 세기를 감소시켜 노약자나 어린이도 쉽게 작동시킬 수 있다.
2. 점안액 용기의 휨 변형 정도에 따라 점안액의 배출량을 조절할 수 있으므로, 점안액의 급격한 배출을 방지하여 효과적으로 안구에 점안액을 주입할 수 있다.
3. 점안액 저장공간 부피를 감소시키기 위한 가압부의 전면부에 오목부가 형성되고 후면부에는 절곡부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용기 몸체의 휨 변형에 따라 점안액 저장공간의 부피를 효과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점안액 용기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점안액 용기에서 점안액 저장공간을 포함하는 가압부에 관한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점안액 용기에서 가압부의 변형에 따라 변화하는 점안액 저장공간의 형상을 순차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점안액 용기에서 밀봉부를 제거하는 과정을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점안액 용기를 조작하여 점안액을 배출시키는 과정을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점안액 용기에서 분리된 밀봉부를 이용하여 재밀봉하는 과정을 나타낸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점안액 용기는 점안액 저장공간이 형성된 용기 몸체와, 상기 용기 몸체에서 연장되고 점안액 배출구로 연결되는 점안액 이동통로가 형성된 점안액 배출부와, 상기 점안액 배출부에 연결된 밀봉부를 포함하고, 상기 용기 몸체를 휨 변형시켜 점안액 저장공간의 점안액을 배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반적인 점안액 용기는 점안액 저장공간의 양측을 손가락 끝으로 누르는 방식으로 점안액을 배출시킨다. 그러나 본 발명의 점안액 용기는 용기 몸체의 일부 영역을 휨 변형시켜 점안액을 배출시키는 것이 특징이다. 본 발명의 점안액 용기는 이를 위한 구성으로 용기 몸체의 특정 영역에서 휨 변형이 용이하게 일어날 수 있도록 한 구성과, 용기 몸체의 휨 변형 시에 점안액 저장공간의 부피가 효과적으로 감소하도록 한 구성을 포함하고 있다. 본 발명의 점안액 용기가 가지는 효과는 점안액 배출을 위한 용기 형상 변형에 필요한 힘을 분산시켜 조절할 수 있다는 것이다. 종래의 점안액 용기에서는 점안액 저장공간을 직접 가압하는 방식으로 점안액을 배출시키므로 손가락 끝의 미세한 위치변화에도 상대적으로 많은 양의 점안액이 배출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점안액 용기는 용기 몸체의 일부를 휨 변형하여 점안액 저장공간의 부피를 간접적으로 감소시키는 구성을 가지고 있으므로, 손가락의 위치변화에 대한 점안액의 배출량이 상대적으로 적고, 따라서 점안액 배출량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아래에서 도면을 이용하여 본 발명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점안액 용기를 나타낸 것이다. 도 1의 (가)는 점안액 용기의 외부 형상을 나타낸 것이고, 도 1의 (나)는 점안액 용기의 두께 방향 단면을 나타낸 것이다(X-X' 방향 단면 구조가 아님). 도 1을 참조하면, 점안액 용기(100)는 용기 몸체(110), 점안액 배출부(120) 및 밀봉부(130)를 포함한다. 용기 몸체(110)는 점안액 저장공간이 형성된 영역으로서 점안액 저장공간 영역에 가압부(140)가 형성되어 있고, 용기 몸체(110)의 휨 변형이 일어나면 가압부(140)의 형상이 변화되면서 점안액 저장공간의 부피가 함께 변화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점안액 배출부(120)는 용기 몸체(110)의 상부에서 연장되며 점안액 이동통로(121)가 형성되어 외부로 점안액이 배출되는 부분이다. 밀봉부(130)는 점안액 배출부(120)의 끝 부분에 결합되어 점안액을 밀봉시키며, 밀봉부가 점안액 배출부로부터 분리되면 점안액 이동통로를 따라 점안액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점안액 용기에서 점안액 저장공간을 포함하는 가압부에 관한 구조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 1의 (가)에서 X-X' 방향 단면을 나타낸 것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점안액 용기는 용기 몸체의 상부에 점안액 배출부(120)가 연장되어 결합되고, 점안액 배출부(120)의 끝에는 점안액을 밀봉하는 밀봉부(130)가 결합되어 있다. 용기 몸체는 점안액 저장공간 영역에 형성된 가압부(140)와, 가압부(140)에서 점안액 배출부(120) 방향으로 연장되어 점안액 배출부와 연결되는 몸체 제2연장부(112)와, 가압부(140)에서 점안액 배출부(120)의 반대방향으로 연장된 몸체 제1연장부(111)를 포함한다. 가압부(140)는 점안액을 저장하여 밀폐하는 후면부와 전면부를 포함한다. 후면부는 점안액 저장공간 영역의 후면에 소정의 두께를 가지고 형성된 후면 평탄부(141)와 상기 후면 평탄부(141)의 위와 아래쪽에 각각 형성된 2개의 절곡부(141a, 141b)를 포함한다. 전면부는 점안액 저장공간을 확보할 수 있도록 전면으로 돌출된 전면 돌출부(142b, 142c)와 상기 전면 돌출부를 연결하며 점안액 저장공간 방향으로 오목한 면을 가지는 전면 오목부(142a)를 포함한다. 몸체 제1연장부(111)는 용기 몸체에 휨 변형을 주기 위하여 일방향으로 힘을 가하는 영역이며 도면에는 내부에 점안액 저장공간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몸체 제1연장부에 점안액 저장공간이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몸체 제1연장부(111)와 몸체 제2연장부(112)에는 절곡부가 형성되어 있지 않으므로 몸체의 휨 변형 시에 휨 변형이 상대적으로 일어나기 어렵다. 몸체의 휨 변형 시에 주로 변형이 일어나는 부분은 절곡부(141a, 141b)와 전면 오목부(142a)이다. 절곡부는 휨 변형에 대한 힘이 주어지는 방향과 대응하도록 절곡되어 있어 몸체 제1연장부, 몸체 제2연장부, 후면 평탄부에 비하여 후면부에서 상대적으로 변형이 쉽도록 구성되어 있고, 용기 몸체의 휨 변형 시에 몸체 제1연장부, 몸체 제2연장부 및 후면 평탄부는 절곡부에 비하여 휨 변형이 적게 일어난다. 또한, 전면 오목부도 휨 변형에 대한 힘이 주어지는 방향과 대응하도록 오목한 영역을 포함하여 전면 오목부 영역에서의 변형이 상대적으로 쉽게 일어날 수 있다. 이러한 휨 변형에 대한 집중적인 변형 영역을 구성한 것은 휨 변형 시에 점안액 저장공간의 부피 감소가 효과적으로 일어나도록 유도하기 위함이다. 이는 도 3에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점안액 용기에서 가압부의 변형에 따라 변화하는 점안액 저장공간의 형상을 순차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3의 (가), (나), (다)는 용기 몸체에 휨 변형이 일어나는 과정에서 가압부의 형태 변화와 점안액 저장공간의 부피 변화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외부에서 힘이 주어지지 않은 (가) 상태에서, (나)와 같이 용기 몸체에 힘이 주어지게 되면 가압부에 휨 변형이 일어나기 시작하한다. 구체적으로 후면부에서는 절곡부(141a, 141b)에서 주로 변형이 일어나면서 몸체 제1연장부(111)와 몸체 제2연장부(112)가 일방향으로 기울어지고, 전면부에서는 전면 돌출부(142b, 142c)가 일방향으로 기울어지면서 전면 오목부(142a)의 오목한 각도가 커지게 되면서 (나) 상태로 변형된다. 이어서 가압부에 가해지는 힘이 커지면 몸체 제1연장부(111)와 몸체 제2연장부(112) 및 전면 돌출부(142b, 142c)의 기울기가 더욱 커지면서 전면 오목부(142a)의 오목한 각도가 함께 증가한다. 이때 점안액 저장공간의 부피 변화는 150a → 150b → 150c로 가면서 점점 감소되는데, 이에 의하여 점안액 저장공간의 점안액이 점안액 이동통로를 따라 외부로 배출된다.
본 발명의 점안액 용기를 사용하는 과정은 밀봉부를 제거하는 단계와, 밀봉부가 제거된 점안액 용기를 거꾸로 뒤집어 안구방향으로 점안액을 주입하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각 단계를 각각 도 4와 도 5에서 설명한다.
도 4의 (가)와 (나)는 본 발명의 점안액 용기에서 밀봉부를 제거하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밀봉부(130)를 비틀거나 찢는 방향으로 힘을 주면 밀봉부(130)와 점안액 배출부(120) 사이의 연결부위가 분리되면서 점안액 이동통로의 끝이 외부로 개방된 구조를 가진다.
도 5는 본 발명의 점안액 용기를 조작하여 점안액을 배출시키는 과정을 나타낸 것이다. 도 5의 (가)를 참조하면, 먼저 밀봉부가 제거된 점안액 용기를 거꾸로 들어 점안액 배출부가 안구의 위쪽에 위치하도록 한다. 이어서 도 5의 (나)와 (다)를 참조하면, 용기 몸체의 몸체 제1연장부(111)를 일방향으로 밀어서 가압부에 변형을 유도한다. 이 과정에서 점안액이 점안액 이동통로의 끝 부분인 점안액 배출구(122)를 통하여 안구 쪽으로 떨어진다. 가압부의 변형과 점안액 저장공간의 부피 감소는 도 3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하다.
도 6은 본 발명의 점안액 용기에서 분리된 밀봉부를 이용하여 재밀봉하는 과정을 나타낸 것이다. 도 6의 (가)를 참조하면, 약액 주입장치의 사용 전에 점안액 배출부(120)와 밀봉부(130)가 결합된 상태에서 밀봉부를 회전 또는 찢는 방식으로 점안액 배출부(120)와 분리시킬 수 있다. 용이한 개봉을 위하여 밀봉부와 점안액 배출부의 연결부위에는 상대적으로 물리적 강도가 약한 절취부가 형성될 수 있다. 도 6의 (나)를 참조하면, 분리된 밀봉부(130)를 다시 점안액 배출부(120)의 입구로 밀어 넣으면 밀봉부가 점안액 배출부를 재밀봉시킬 수 있고, 이때 재밀봉의 효과를 높이기 위하여 밀봉부와 점안액 배출부에는 대응하는 형상의 돌기와 홈을 구비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일 구현 예를 이용하여 설명한 것으로써,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설명된 구현 예는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런 구현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점안액 용기 110 : 용기 몸체
111 : 몸체 제1연장부 112 : 몸체 제2연장부
120 : 점안액 배출부 121 : 점안액 이동통로
130 : 밀봉부 131 : 재밀봉 삽입부
140 : 가압부 141 : 후면 평탄부
141a, 141b : 절곡부 142a : 전면 오목부
142b, 142c : 전면 돌출부 150 : 점안액 저장공간

Claims (5)

  1. 점안액 저장공간이 형성된 용기 몸체;
    상기 용기 몸체에서 연장되고 점안액 배출구로 연결되는 점안액 이동통로가 형성된 점안액 배출부; 및
    상기 점안액 배출부에 연결된 밀봉부;를 포함하고,
    상기 용기 몸체를 휨 변형시켜 점안액 저장공간의 점안액을 배출시키되,
    상기 용기 몸체는 상기 휨 변형 과정에서 힘을 받는 방향을 마주하며 형성된 후면부와, 상기 후면부에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형성된 전면부를 가지고, 상기 전면부는 점안액 저장공간이 확보되도록 돌출된 전면 돌출부 및 상기 전면 돌출부의 일부 영역에 형성된 전면 오목부를 포함하고,
    상기 후면부는 점안액 저장공간의 영역에서 일정 길이로 연장된 후면 수평부와, 상기 후면 수평부의 양 끝 영역에 형성된 절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안액 용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용기 몸체는 점안액 저장공간에서 상기 점안액 배출부 방향으로 연장된 몸체 제2연장부와 반대방향으로 연장된 몸체 제1연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안액 용기.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밀봉부는 회전 절취 또는 신장 절취 방식으로 상기 점안액 배출부로부터 분리 가능하고,
    상기 밀봉부는 상기 점안액 배출부에 재밀봉이 가능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안액 용기.
  5. 삭제
KR1020170073019A 2017-06-12 2017-06-12 점안액 용기 KR1019277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3019A KR101927756B1 (ko) 2017-06-12 2017-06-12 점안액 용기
CN201810579913.1A CN109091291A (zh) 2017-06-12 2018-06-07 眼药水容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3019A KR101927756B1 (ko) 2017-06-12 2017-06-12 점안액 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27756B1 true KR101927756B1 (ko) 2018-12-11

Family

ID=646718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73019A KR101927756B1 (ko) 2017-06-12 2017-06-12 점안액 용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927756B1 (ko)
CN (1) CN109091291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35561A (ja) * 2001-10-31 2003-05-13 Santen Pharmaceut Co Ltd 段差部を備えた点眼容器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45055U (ja) * 1993-12-28 1995-12-19 大成化工株式会社 単発使い切り点腔容器
JP4171529B2 (ja) * 1995-06-26 2008-10-22 大正製薬株式会社 点眼剤の充填容器
WO2004039305A1 (ja) * 2002-10-31 2004-05-13 Santen Pharmaceutical Co., Ltd. 汚染防止キャップ
JP4956818B2 (ja) * 2006-08-04 2012-06-20 実治 田中 目薬容器
NL1036024C (nl) * 2008-10-07 2010-04-08 Hubertus Eduard Hilbrink Inrichting en werkwijze voor het in druppels toedienen van een vloeistof uit een verpakking.
CN201840661U (zh) * 2010-11-09 2011-05-25 李国兴 带按压囊的眼药水瓶
CN203017381U (zh) * 2012-12-28 2013-06-26 黄山学院 一种便于滴入药水的眼药水瓶
US9486356B2 (en) * 2014-05-05 2016-11-08 Wellspring Oculus Llc Eye dropper
CN204246502U (zh) * 2014-11-28 2015-04-08 河北天成药业股份有限公司 一种单剂量药用低密度聚乙烯便携式滴眼剂瓶
CN104606048B (zh) * 2015-02-02 2015-11-11 黄文佳 一种眼药水包装瓶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35561A (ja) * 2001-10-31 2003-05-13 Santen Pharmaceut Co Ltd 段差部を備えた点眼容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9091291A (zh) 2018-1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89759B1 (ko) 일회용 가요성 컨테이너
US4248227A (en) Fluid unit dispensing device
RU2448025C2 (ru) Запечатан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выдачи изделия с разрывающей помпой
US20190092533A1 (en) Deformable Container
JP5267826B2 (ja) おしゃぶり
EP1762213A1 (en) Medicine containing sealed body
EP2305577A1 (en) Container with squeeze nozzle and lever
KR101927756B1 (ko) 점안액 용기
US20080228162A1 (en) Single-use ampoule
KR101882795B1 (ko) 정량주입이 가능한 점안액 주입장치
CN212490758U (zh) 一种具有易撕点的双重防护型聚丙烯输液袋
WO2022022359A1 (zh) 一种具有缓冲空腔的抗压型输液袋
KR101181302B1 (ko) 재밀봉이 가능한 안구용 액제 포장용 블리스터 용기
WO2022022358A1 (zh) 一种具有复合型弱焊条的防漏液型聚丙烯输液袋
KR20180000248U (ko) 안약용기
JP3944304B2 (ja) 範囲限定噴射用のエアゾール装置
EP2679204B1 (en) Drainage device
CN217091427U (zh) 压合式的塑性容器
EP3738557B1 (en) Device for single-dose containers
KR101957834B1 (ko) 나노패턴을 이용한 점안액의 응집력이 향상된 배출부를 갖는 점안액 용기
JPH0544134U (ja) 目薬容器
JP2001335071A (ja) 分配包装体
JP4458595B2 (ja) 分配包装体
JPH08310550A (ja) 蓋付き包装容器
JP2002102311A (ja) 口部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