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81302B1 - 재밀봉이 가능한 안구용 액제 포장용 블리스터 용기 - Google Patents

재밀봉이 가능한 안구용 액제 포장용 블리스터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81302B1
KR101181302B1 KR1020110042285A KR20110042285A KR101181302B1 KR 101181302 B1 KR101181302 B1 KR 101181302B1 KR 1020110042285 A KR1020110042285 A KR 1020110042285A KR 20110042285 A KR20110042285 A KR 20110042285A KR 101181302 B1 KR101181302 B1 KR 1011813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discharge
eye
discharge port
blis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422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종원
김형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블리스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블리스팩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블리스팩
Priority to KR10201100422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8130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813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813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9/00Methods or devices for treatment of the eyes; Devices for putting-in contact lenses; Devices to correct squinting; Apparatus to guide the blind; Protective devices for the eyes, carried on the body or in the hand
    • A61F9/0008Introducing ophthalmic products into the ocular cavity or retaining products there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9/00Methods or devices for treatment of the eyes; Devices for putting-in contact lenses; Devices to correct squinting; Apparatus to guide the blind; Protective devices for the eyes, carried on the body or in the hand
    • A61F9/0008Introducing ophthalmic products into the ocular cavity or retaining products therein
    • A61F9/0026Ophthalmic product dispenser attachments to facilitate positioning near the ey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0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 A61J1/05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for collecting, storing or administering blood, plasma or medical fluids ; Infusion or perfusion containers
    • A61J1/06Ampoules or carpules
    • A61J1/067Flexible ampoules, the contents of which are expelled by squeez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0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 A61J1/14Details; Accessories therefor
    • A61J1/20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or mixing fluids, e.g. from vial to syringe
    • A61J1/2003Accessories used in combination with means for transfer or mixing of fluids, e.g. for activating fluid flow, separating fluids, filtering fluid or venting
    • A61J1/2068Venting means
    • A61J1/2075Venting means for external vent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Fluid Mechan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matology (AREA)
  • Medical Preparation Storing Or Oral Administrat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안구 건조증 치유제인 인공 누액이나 점안제 등과 같은 안구용 액제의 소용량 포장에 적용되는 재밀봉이 가능한 포장용 블리스터 용기에 관한 것으로, 좀 더 구체적으로는 플라스틱 필름 또는 시트를 열 성형하여, 일정한 공간의 용기부를 만들고 그 공간 안에 약품이나 기타 제품을 충입(衝入)시키고 용기부의 플랜지에는 밀폐기능을 갖도록 커버지를 부착시켜 구성되는 블리스터 패키지(Blister package)에 있어서,
상기 용기부에 수용된 안구용 액제를 토출 안내시킬 수 있도록 용기부의 입구를 밀봉시키는 상태로 부착되는 토출구 전체를 블리스터 패키지의 내부에 밀봉 상태로 장입될 수 있도록 용기부에 일체로 커버부를 추가 구성하여 인위적으로 포장지를 개봉하기 전에는 외부에서 토출구와 접촉할 수 없도록 함으로써 토출구의 오염이나 안구용 액제의 무단 인출을 방지할 수 있어 제품의 안전성과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으며, 토출구의 출구 연부에 돌출되는 상태의 안구 보호용 리브를 두어 사용 시 토출구의 단부가 안구에 직접 접촉될 수 있는 개연성을 차단할 수 있도록 하여 안구손상의 위험성을 배제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재밀봉이 가능한 안구용 액제 포장용 블리스터 용기{RESEALABLE BLISTER PACKAGE}
본 발명은 안구 건조증 치유제인 인공 누액이나 점안제 등과 같은 안구용 액제의 소용량 포장에 적용되는 재밀봉이 가능한 포장용 블리스터 용기에 관한 것으로, 좀 더 구체적으로는 플라스틱 필름 또는 시트를 열 성형하여, 일정한 공간의 용기부를 만들고 그 공간 안에 약품이나 기타 제품을 충입(衝入)시키고 용기부의 플랜지에는 밀폐기능을 갖도록 커버지를 부착시켜 구성되는 블리스터 패키지(Blister package)에 있어서,
상기 용기부에 수용된 안구용 액제를 토출 안내시킬 수 있도록 용기부의 입구를 밀봉시키는 상태로 부착되는 토출구 전체를 블리스터 패키지의 내부에 밀봉 상태로 장입될 수 있도록 용기부에 일체로 커버부를 추가 구성하여 인위적으로 포장지를 개봉하기 전에는 외부에서 토출구와 접촉할 수 없도록 함으로써 토출구의 오염이나 안구용 액제의 무단 인출을 방지할 수 있어 제품의 안전성과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으며, 토출구의 출구 연부에 돌출되는 상태의 안구 보호용 리브를 두어 사용 시 토출구의 단부가 안구에 직접 접촉될 수 있는 개연성을 차단할 수 있도록 하여 안구손상의 위험성을 배제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눈을 혹사하는 컴퓨터, TV 및 각종 시각 매체의 범람, 모바일 매체의 등장, 외모 중시에 의한 렌즈의 착용, 악화되는 주변대기 환경, 각종 약물의 남용, 그리고 스트레스 등으로 인한 악조건으로 인해 안구 건조증이 기하급수적으로 증대되고 또한 Well-Being 시대의 도래에 의하여 외적인 미 가 부각됨에 따라서 눈의 각막에 직접 자극을 주지 않는 안경의 착용 보다는 각막에 직접 자극을 많이 주는 렌즈의 착용이 증가함에 따라서 인공누액이나 점안제 등의 안구용 액제의 사용자는 기하급수적으로 확장일로에 있다.
상기와 같은 안구용 액제를 포장하기 위해 기존에 알려지고 있는 용기는 압공 또는 진공 성형한 플라스틱 필름 또는 시트의 부푼 부분에 내용물 또는 제품을 넣은 뒤, 성형된 필름 또는 시트의 평평한 부분(플랜지 부분)만을 히트 실(heat seal)또는 접착하는 방법인 통상적인 블리스터 패키지(Blister package)를 이용하거나 단순한 병 모양의 용기에 마개가 나사 결합되는 일반적인 일회용 사출 포장용기가 보편적으로 사용되어 왔던 것이다.
하지만 상기와 같은 기존의 안구용 액제 용기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으로 인해 개선의 여지가 있어 왔던 것이다.
안구용 액제를 수용하는 전자의 블리스터 패키지의 경우,
별도의 토출부재가 장입되는 구조가 아니라 패키지의 일부 절단과 동시에 개방되는 구멍이 토출구가 되는 구조로서, 안구용 액제의 인출 시 누액이 외부로 노출되었던 구멍의 연부와 접촉될 경우가 많아 패키지 표면에 붙었던 이물질이나 세균 등의 침투여지가 있어 위생에 완벽을 기하기 어려웠으며, 토출구멍이 패키지 몸체에서 돌출되는 구조가 아니라 토출구멍을 눈에 정확히 조준하기 어려워 취급이 불편하였으며,
후자의 일반적인 일회용 사출 포장용기의 경우,
마개부가 외부로 노출되는 것이어서 토출구의 무단 개방이 용이하여 오염 가능성이 높아지게 되는 폐단이 있으며,
또한 안구용 액제의 투여 시 별도의 안전구조가 없어 주의하지 않으면 토출구가 안구에 접촉될 우려가 많아 구조상 취급 안전성이 미흡하게 되는 문제가 있었던 것이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포장지를 개봉하기 전에는 외부에서 토출구와 접촉할 수 없도록 함으로써 토출구의 오염이나 내용물의 무단 인출을 방지할 수 있어 제품의 안전성과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 재밀봉이 가능한 안구용 액제 포장용 블리스터 용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안구용 액제의 투여 시 토출구의 단부가 안구에 직접 접촉될 수 있는 개연성을 차단할 수 있도록 하여 안구손상의 위험성을 배제할 수 있는 재밀봉이 가능한 안구용 액제 포장용 블리스터 용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상기 용기부에 수용된 안구용 액제를 토출 안내시키기 위한 토출구를 용기부의 입구를 밀봉시키는 상태로 부착되도록 함과 동시에 토출구 전체가 블리스터 패키지의 내부에 밀봉 상태로 장입되도록 구성함을 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토출구의 출구 연부에 토출구보다 상대적으로 더 돌출되는 상태의 안구 보호용 리브를 두도록 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토출구 전체가 블리스터 패키지의 내부에 밀봉 상태로 장입되도록 구성하게 됨으로써 포장지를 개봉하기 전에는 외부에서 토출구와 접촉할 수 없게 되어 토출구의 오염이나 내용물의 무단 인출을 방지할 수 있어 제품의 안전성과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안구용 액제의 투여 시 토출구의 연부에 구비되는 안구 보호용 리브가 눈 주위에 접촉하게 됨으로써 토출구의 단부는 안구에서 일정 간격 이격되는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되어 안구와 접촉될 수 있는 개연성을 미연에 차단하게 됨으로써 안구손상의 위험성을 배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용기의 포장 해제 전의 일 구성 예를 보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용기에 적용되는 토출구의 일 구성 예를 보이는 사시도,
도 3은 도 1의 종단면 예시도.
도 4는 포장 해제한 후 토출본체에서 마개부를 분리시킨 상태를 보이는 단면 예시도.
도 5는 안구용 액제의 적정량 사용 후 마개부를 통해 재밀봉시킨 상태를 보이는 단면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토출구의 측면 예시도.
도 7은 도 6의 토출구가 커버부 제거를 위한 블리스터의 꺽음 시 절곡되는 상태를 보이는 도면.
도 8은 토출구의 노출을 위해 블리스터를 꺽어주는 상태를 보이는 사시도.
도 9는 꺽임을 통한 절취가 완료되어 커버부가 용기부에서 이탈되고 토출구가 노출된 상태를 보이는 사시도,
도 10은 도 5의 상태를 보이는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안구보호용 리브의 작용을 보이는 예시도.
이하, 첨부되는 도면에 의거 본 발명의 구성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안구용 액제를 수용하는 용기부(1)와,
상기 용기부(1)내에 수용된 안구용 액제의 토출을 안내할 수 있도록 용기부(1)의 입구에 밀봉상태로 부착 고정되며,
토출공(2A2)이 관통 구성되는 토출관(2A1)과 이 토출관(2A1)의 하단에 일체로 연결 구성되어 용기부(1)의 내면에 실링 상태로 고정 접착되는 고정부(2A3)로 구성되는 토출 본체(2A) 및 절취요홈(2C)을 사이에 두고 상기 토출 본체(2A)와 일체로 연결 구성되며 중앙에 밀봉돌부(2B1)를 갖는 마개부(2B)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토출구(2)를 구비하는 공지의 블리스터 용기 구조에 있어서,
상기 용기부(1)의 상연부에 일체로 연결 구성되어 상기 토출구(2)를 외부로부터 밀폐상태로 보호 커버하기 위한 커버부(10)와;
상기 용기부(1)와 커버부(10)의 사이에 횡으로 요입 구성되며 커버부(10)의 제거를 위한 꺽음 시 절취 라인의 설정과 꺽임 저항을 감소시켜주기 위한 절취 유도선(20)과;
상기 토출관(2A1)의 양 측연부에 상호 이격 상태로 대향되게 돌출 구성되며 선단부가 토출관(2A1)의 선단부보다 상대적으로 더 돌출되도록 구성되며 피부와 접촉되는 접촉면에는 라운딩부(31)를 구비하도록 한 한 조의 안구보호용 리브(30)와;
상기 토출관(2A1)의 양 측연부에 대향되게 돌출 구성되며 꺽임 방향으로 반원형 요홈부(41)를 구비하는 절곡유도용 리브(40)를 각각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작용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이 적용되는 용기는 사용 전에는 도 1 및 도 3에서와 같이 용기부(1)와 커버부(10)가 일체로 연결되는 상태이며,
토출구(2)의 고정부(2A3)는 용기부(1)의 내면에 밀봉상태로 부착 고정되며 토출 본체(2A)와 마개부(2B)는 커버부(10)내에 밀폐상태로 수납되어 토출구(2) 전체가 외부로 부터의 접촉이 완전히 차단되어 있는 상태로서, 이물질이나 무단으로 마개부(2B)를 개방할 수 없게 되어 제품의 안전성과 신뢰성이 확보되는 상태이다.
또한 마개부(2B)는 절취요홈(2C)을 사이에 두고 상기 토출관(2A1)와 일체로 연결 되는 상태로서 안구용 액제의 토출통로가 막혀있는 상태로서 마개부(2B)를 인위적으로 절취하기 전 까지 안구용 액제의 누출 우려가 없는 상태이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안구용 액제를 투여하기 위해서는 먼저 도 8에서와 같이 한 손으로 용기부(1)를 잡은 상태에서 다른 손으로 커버부(10)를 잡고 화살표 방향으로 꺽어 제쳐주면 토출구(2)의 토출관(2A1)과 절곡유도용 리브(40)가 도 7에서와 같이 휘어지면서 의도적인 취약 부분인 절취 유도선(20)이 절결되기 시작하고 완전히 절결되면 도 9에서와 같이 커버부(10)를 떼어내어 분리하여 토출구(2)를 노출시킨다.
상기에서 토출관(2A1)이 휘어질 때 절곡유도용 리브(40)는 같이 휘어지면서 절곡방향이 불규칙하지 않고 항상 일정한 방향을 유지하도록 하는 기능을 하며 절곡 후 외력이 해제되면 신속하게 원형으로 펴지도록 하여 취급에 불편이 없도록 하는 기능을 한다.
이와 같이 커버부(10)를 제거한 상태에서 도 4에서와 같이 마개부(2B)를 잡고 비틀어 주면 역시 의도적인 취약부분인 절취요홈(2C)이 절결되면서 마개부(2B)가 토출관(2A1)에서 떨어져 분리되며 안구용 액제가 인출될 통로가 개방되는 것이다.
이 상태에서 도 11에서와 같이 안구용 액제를 안구에 투여하게 되는 것이며 이때 토출관(2A1)의 선단보다 상대적으로 더 돌출되도록 구성되는 안구보호용 리브(30)가 눈 주위에 접촉하게 됨으로써 안구용 액제가 나오는 되는 토출관(2A1)의 선단부가 직접 안구와 접촉할 개연성이 배제되어 보다 취급에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안구보호용 리브(30)의 라운딩부(31)로 인해 안구보호용 리브(30)의 피부 접촉 시 압박감이나 이물감을 최대한 배제하여 부드러운 감촉으로 투여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적정량의 안구용 액제가 투여되면 남은 안구용 액제의 재사용을 위해 토출공(2A2)을 재밀봉하게 되는 것으로, 도 5 및 도 10에서와 같이 분리시킨 마개부(2B)의 밀봉돌부(2B1)가 토출공(2A2)에 끼워지도록 하여 토출공(2A2)의 통로를 폐쇄시키도록 하면 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변경 및 변형한 것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함은 당연하다.
1:용기부 2:토출구
2A:토출본체 2A1:토출관
2A2:토출공 2A3:고정부
2B:마개부 2B1:밀봉돌부
2C:절취요홈 10:커버부
20:절취 유도선 30:안구보호용 리브
31:라운딩부 40:절곡유도용 리브(40)
41:반원형 요홈부

Claims (3)

  1. 안구용 액제를 수용하는 용기부(1)와,
    상기 용기부(1)내에 수용된 안구용 액제의 토출을 안내할 수 있도록 용기부(1)의 입구에 밀봉상태로 부착 고정되며,
    토출공(2A2)이 관통 구성되는 토출관(2A1)과 이 토출관(2A1)의 하단에 일체로 연결 구성되어 용기부(1)의 내면에 실링 상태로 고정 접착되는 고정부(2A3)로 구성되는 토출 본체(2A) 및 절취요홈(2C)을 사이에 두고 상기 토출 본체(2A)와 일체로 연결 구성되며 중앙에 밀봉돌부(2B1)를 갖는 마개부(2B)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토출구(2)를 구비하는 공지의 블리스터 용기 구조에 있어서,
    상기 용기부(1)의 상연부에 일체로 연결 구성되어 상기 토출구(2)를 외부로부터 밀폐상태로 보호 커버하기 위한 커버부(10)와;
    상기 용기부(1)와 커버부(10)의 사이에 횡으로 요입 구성되며 커버부(10)의 제거를 위한 꺽음 시 절취 라인의 설정과 꺽임 저항을 감소시켜주기 위한 절취 유도선(20)과;
    상기 토출관(2A1)의 양 측연부에 상호 이격 상태로 대향되게 돌출 구성되며 선단부는 토출관(2A1)의 선단부보다 상대적으로 더 돌출되도록 하는 한 조의 안구보호용 리브(30)를 각각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재밀봉이 가능한 안구용 액제 포장용 블리스터 용기.
  2. 제 1항에 있어서, 피부와 접촉되는 상기 안구보호용 리브(30)의 선단부에는 라운딩부(31)를 구비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재밀봉이 가능한 안구용 액제 포장용 블리스터 용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관(2A1)의 양 측연부에는 꺽임 방향으로 반원형 요홈부(41)를 구비하는 절곡유도용 리브(40)를 대향되게 돌출 구성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재밀봉이 가능한 안구용 액제 포장용 블리스터 용기.
KR1020110042285A 2011-05-04 2011-05-04 재밀봉이 가능한 안구용 액제 포장용 블리스터 용기 KR1011813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42285A KR101181302B1 (ko) 2011-05-04 2011-05-04 재밀봉이 가능한 안구용 액제 포장용 블리스터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42285A KR101181302B1 (ko) 2011-05-04 2011-05-04 재밀봉이 가능한 안구용 액제 포장용 블리스터 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81302B1 true KR101181302B1 (ko) 2012-09-10

Family

ID=470740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42285A KR101181302B1 (ko) 2011-05-04 2011-05-04 재밀봉이 가능한 안구용 액제 포장용 블리스터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8130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222467A1 (ko) * 2019-05-02 2020-11-05 주식회사 블리스팩 숄더부 일체형 플립톱 캡을 구비하는 블리스터 포장용기
EP3833631A4 (en) * 2018-08-10 2022-04-20 Azura Ophthalmics Ltd DISPENSER FOR ACCURATE EXTRACTION OF A SEMI-SOLID PRODUC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20319B1 (ko) 2005-09-07 2006-09-13 주식회사 디에이치피코리아 약제 용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20319B1 (ko) 2005-09-07 2006-09-13 주식회사 디에이치피코리아 약제 용기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833631A4 (en) * 2018-08-10 2022-04-20 Azura Ophthalmics Ltd DISPENSER FOR ACCURATE EXTRACTION OF A SEMI-SOLID PRODUCT
WO2020222467A1 (ko) * 2019-05-02 2020-11-05 주식회사 블리스팩 숄더부 일체형 플립톱 캡을 구비하는 블리스터 포장용기
KR20200127321A (ko) * 2019-05-02 2020-11-11 주식회사 블리스팩 숄더부 일체형 플립톱 캡을 구비하는 블리스터 포장용기
KR102206401B1 (ko) * 2019-05-02 2021-01-22 주식회사 블리스팩 숄더부 일체형 플립톱 캡을 구비하는 블리스터 포장용기
CN113727916A (zh) * 2019-05-02 2021-11-30 布丽思培有限公司 具有肩部一体型折叠顶盖的泡罩包装容器
JP2022530374A (ja) * 2019-05-02 2022-06-29 ブリスパック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ショルダー部一体型フリップトップキャップ付きブリスター包装容器
JP7465568B2 (ja) 2019-05-02 2024-04-11 ブリスパック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ショルダー部一体型フリップトップキャップ付きブリスター包装容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376371B2 (en) Pen needle packaging
AU2011372810B2 (en) Portable ampoule with a specialized tip and sealer
KR20090018820A (ko) 액체 또는 반고체 재료용 전달 장치
CN114173843A (zh) 显窃启闭合件
EP2768739B1 (en) Eyewash container
KR101181302B1 (ko) 재밀봉이 가능한 안구용 액제 포장용 블리스터 용기
CN111741907B (zh) 包装体
KR20160062637A (ko) 투입이 용이한 안약 용기
HUT73097A (en) Stopper for medication container
KR101675989B1 (ko) 점안액 용기 및 이의 조립방법
KR200392852Y1 (ko) 약제 용기
CN213263713U (zh) 包装体
US3818909A (en) Eye treatment application devices
JP6748633B2 (ja) 液体を滴下投与する装置および方法
KR100620319B1 (ko) 약제 용기
KR101100679B1 (ko) 수액 제품 포장용 파우치
KR20160123947A (ko) 물티슈 포장용기용 접착 커버
KR102323991B1 (ko) 화장품 용기
JP6205192B2 (ja) 薬液充填済み容器体を収容した包装体
CN217397332U (zh) 一种皮下输液器的无菌包装盒及无菌包装体
JPH10151172A (ja) 点滴注射用輸液容器
JP2020503914A (ja) 2つの区画を有し、タブを備えた医療用バッグ
KR101950926B1 (ko) 휴대용 점안액 포장용기
JP2008074488A (ja) 綿棒包装容器
JPH02152652A (ja) 薬液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2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19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