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00679B1 - 수액 제품 포장용 파우치 - Google Patents

수액 제품 포장용 파우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00679B1
KR101100679B1 KR1020090050454A KR20090050454A KR101100679B1 KR 101100679 B1 KR101100679 B1 KR 101100679B1 KR 1020090050454 A KR1020090050454 A KR 1020090050454A KR 20090050454 A KR20090050454 A KR 20090050454A KR 101100679 B1 KR101100679 B1 KR 1011006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uch
opening
pair
zipper
ti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504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31721A (ko
Inventor
김창일
최연석
김혜경
Original Assignee
제이더블유생명과학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이더블유생명과학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제이더블유생명과학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504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00679B1/ko
Publication of KR201001317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317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006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006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0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 A61J1/14Details; Accessories therefor
    • A61J1/16Holders for contain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0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 A61J1/05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for collecting, storing or administering blood, plasma or medical fluids ; Infusion or perfusion containers
    • A61J1/10Bag-type contain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0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 A61J1/14Details; Accessories therefor
    • A61J1/1462Containers with provisions for hanging, e.g. integral adaptations of the conta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5/00Packages comprising articles or materials partially or wholly enclosed in strips, sheets, blanks, tubes, or webs of flexible sheet material, e.g. in folded wrappers
    • B65D75/52Details
    • B65D75/58Opening or contents-removing devices added or incorporated during package manufacture
    • B65D75/5816Opening or contents-removing devices added or incorporated during package manufacture for tearing a corner or other small portion next to the edge, e.g. a U-shaped por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Hemat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ck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액 제품 포장용 파우치를 제공한다. 상기 수액 제품 포장용 파우치는 일단에 수액을 토출하기 위한 팁이 마련되는 수액 제품이 저장되는 공간을 갖고 일단부에 걸림공이 형성되는 파우치 몸체; 및 상기 팁이 위치되는 상기 파우치 몸체의 타단부에 돌출되도록 마련되며, 상기 팁을 선택적으로 노출하는 개구부를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수액 제품을 파우치의 내부에 수용한 상태에서 수액 제품의 팁 근방을 선택적으로 노출시킬 수 있도록 파우치의 일부만을 개방할 수 있다.

Description

수액 제품 포장용 파우치{POUCH FOR PACKING MEDICINE BOTTLE PRODUCTS}
본 발명은 수액 제품 포장용 파우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수액 제품을 파우치의 내부에 수용한 상태에서 수액 제품의 팁 근방을 선택적으로 노출시킬 수 있도록 파우치의 일부만을 개방할 수 있는 수액 제품 포장용 파우치에 관한 것이다.
전형적으로, 수액 제품은 그 내부에 일정의 치료 목적으로 사용되는 약액이 저장된다. 그리고, 이와 같은 수액 제품은 병원등과 같은 의료 기관에서 주로 사용된다.
종래에는 상기와 같은 수액 제품이 일정의 용기에 약액이 일정량 저장된 상태로 생산된다. 그리고, 의료 기관에서는 상기 수액 제품에 형성되는 팁에 스파이크 세트를 사용하여 환자의 인체에 투여한다.
여기서, 종래에는 상기 수액 제품 자체에 마련되는 걸림 고리를 의료용 행거의 고리에 걸어 사용하였다.
이러한 경우에, 파우치를 벗겨내고 수액 제품을 행거에 걸어둘 경우 비타민제 등과 같이 빛의 노출 등에 영향을 미치는 약제가 포함된 제품일 경우 수액 제품 자체가 변색이 될 문제가 있다.
또한, 종래에는 수액 제품의 용기 외면에 수액의 의료 용도를 외부로 나타내는 스티커등의 표시물을 부착하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경우에, 외부의 습기등의 상승되거나 이러한 상태에서 외부의 다른 물체와 접촉되는 경우에 찢어지는 문제점을 갖는다. 이에 따라, 손상된 표시물로 인하여 수액 제품의 의료 용도를 정확하게 파악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수액 제품을 파우치의 내부에 수용한 상태에서 수액 제품의 팁 근방을 선택적으로 노출시킬 수 있도록 파우치의 일부만을 개방할 수 있는 수액 제품 포장용 파우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수액 제품을 파우치의 내부에 수용한 상태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수액 제품을 외부이 환경으로부터 차단하고 이에 따라 수액 제품 내의 약액의 안정성을 유지할 수 있는 수액 제품 포장용 파우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수액 제품을 외부로부터 보호함과 아울러, 수액 제품의 의료 용도를 외부에서 쉽게 식별할 수 있고 외부 환경으로부터 쉽게 손상되지 않으며 사용되는 수액 제품의 양을 육안으로 정확하게 확인할 수 있는 수액 제품 포장용 파우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수액 제품 포장용 파우치를 제공한다.
상기 수액 제품 포장용 파우치는 일단에 수액을 토출하기 위한 팁이 마련되는 수액 제품이 저장되는 공간을 갖고 일단부에 걸림공이 형성되는 파우치 몸체; 및 상기 팁이 위치되는 상기 파우치 몸체의 타단부에 돌출되도록 마련되며, 상기 팁을 선택적으로 노출하는 개구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개구부는, 상기 파우치 몸체의 타단부에서 상기 타단부의 폭보다 일정 폭 작은 폭을 갖도록 돌출되는 개구부 몸체와, 상기 개구부 몸체의 양측면부에 서로 동일선 상에 위치되도록 상기 개구부 몸체의 내측으로 모서리가 형성되도록 커팅된 홈이 형성되는 트임 안내 수단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개구부 몸체의 폭은 상기 팁의 단면 폭 보다 일정 폭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개구부 몸체에는 상기 트임 안내 수단과 이격되며 서로 밀착 배치되는 일정의 탄성을 갖는 한 쌍의 와이어가 더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개구부 몸체에는 상기 트임 안내 수단과 이격되며 상기 개구부 몸체의 내부 공간을 외부로 선택적으로 노출시키는 지퍼락 수단을 더 구비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지퍼락 수단은 탄성 재질로 형성되며 상기 개구부 몸체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일측으로 돌출되는 한 쌍의 걸림 돌기를 갖는 제 1지퍼 몸체와, 탄성 재질로 형성되며 상기 개구부 몸체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한 쌍의 걸림 돌기가 끼워지는 한 쌍의 걸림홈을 갖는 제 2지퍼 몸체를 갖고, 상기 한 쌍의 걸림 돌기는 상기 걸림홈에 끼워지는 돌기 몸체와, 상기 돌기 몸체의 외주에 엠보싱 형상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걸림홈의 내벽에 밀착되는 다수의 밀착 돌기 몸체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개구부 몸체의 양측면부에는 상기 제 1지퍼 몸체와 상기 제 2지퍼 몸체로 외압을 제공하여 서로 밀착됨을 유지할 수 있는 한 쌍의 그립 수단이 더 배치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한 쌍의 그립 수단은 상기 제 1지퍼 몸체와 상기 제 2지퍼 몸체의 외측부가 유입되는 유입홀을 갖고 일단이 서로 연결되는 한 쌍의 그립 몸체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한 쌍의 그립 수단은 상기 파우치 몸체의 모서리부에 형성되는 고정홀에 일단이 고정되는 일정 길이의 탄성 재질의 끈의 타단에 연결되어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파우치 몸체의 내부 공간은 상기 파우치 몸체의 일단부에 형성되는 열융착부에 의하여 밀봉되고, 상기 파우치 몸체의 일단부 양측면부에는 상기 파우치 몸체의 내부 공간을 선택적으로 개방하는 보조 트임 안내 수단이 형성되는 것이 좋다.
여기서, 상기 보조 트임 안내 수단은 상기 걸림공과 일정 거리 이격되며 서로 동일선 상에 위치되도록 상기 파우치 몸체의 내측으로 모서리가 형성되도록 커 팅된 홈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파우치 몸체의 일측면은 투명 재질의 윈도우가 형성되며, 상기 윈도우와 마주보는 상기 파우치 몸체의 타측면은 불투명하게 처리되되, 상기 윈도우를 제외한 상기 파우치 몸체의 내측면은 알루미늄 코팅층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개구부는, 상기 팁의 외주를 에워싸고 상기 팁의 단부를 외부로 노출시키는 노출홀을 갖는 개구부 몸체와, 상기 노출홀을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 있도록 상기 개구부 몸체의 단부에 체결되는 캡을 구비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수액 제품을 파우치의 내부에 수용한 상태에서 수액 제품의 팁 근방을 선택적으로 노출시킬 수 있도록 파우치의 일부만을 개방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수액 제품을 파우치의 내부에 수용한 상태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수액 제품을 외부의 환경으로부터 차단하고 이에 따라 수액 제품 내의 약액의 안정성을 유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수액 제품을 외부로부터 보호함과 아울러, 수액 제품의 의료 용도를 외부에서 쉽게 식별할 수 있고 외부 환경으로부터 쉽게 손상되지 않으며 사용되는 수액 제품의 양을 육안으로 정확하게 확인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수액 제품 포장용 파우치를 설명하 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수액 제품 포장용 파우치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수액 제품 포장용 파우치를 보여주는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개구부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개구부에 와이어가 삽입 설치된 것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2의 파우치 몸체에 지퍼락 수단 및 그립 수단이 마련된 것을 보여주는 부분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선 Ⅰ-Ⅰ'를 따르는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 표시 부호 A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5의 그립 수단에 의하여 지퍼락 수단이 그립된 것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 하면, 본 발명의 수액 제품 포장용 파우치는 내부에 일정 공간(101)이 형성되는 파우치 몸체(100)와, 상기 파우치 몸체(100)의 하단부에 마련되는 개구부(200)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파우치 몸체(100)의 내부 공간(101)에는 팁(51)을 구비한 수액 제품(50)이 수용된다. 여기서, 상기 팁(51)은 복수개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파우치 몸체(100)의 상단부에는 걸림공(110)이 형성된다. 상기 걸림공(110)은 의료용으로 사용되는 행거의 고리(미도시)에 걸칠 수 있는 홀이다.
그리고, 상기 걸림공(110) 하측에 위치되도록 파우치 몸체(110)의 상단부에는 파우치 몸체(100)의 내부 공간(101)을 밀봉할 수 있는 열 융착부(120)가 형성된다. 상기 열 융착부(120)는 외부로부터 열을 제공받아 비닐과 같은 연질의 재질로 이루어지는 파우치 몸체(100)가 서로 밀착되어 밀봉된 부분이다. 즉, 본 발명의 파우치를 생산하는 경우에, 상단부가 개방된 파우치 몸체(100)의 내부 공간(101)에 수액 제품(50)을 수용하고, 상기 개방된 상단부를 밀봉하기 위하여 상기 열 융착부(120)를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열 융착부(120)의 하측에 위치되도록 파우치 몸체(100)에는 보조 트임 안내 수단(130)이 형성된다. 상기 보조 트임 안내 수단(130)은 티어(tear)와 같은 방식으로 파우치 몸체(100)의 상단부 양측면부 내측으로 모서리가 형성되도록 커팅된 홈들(131)을 갖는다. 따라서, 사용자가 상기 파우치 몸체(100)의 상단부 일측을 잡고 타측을 따라 일정 힘을 가하면, 상기 파우치 몸체(100)의 상단부 일측에서 타측을 따라 찢어지고, 이에 따라 파우치 몸체(100)의 상단부는 홈들(131) 중 힘을 받는 측의 홈의 모서리부터 찢어지게 된다.
이에 더하여, 상기 파우치 몸체(100)의 일측면에는 투명 재질의 윈도우(140)가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파우치 몸체(100)의 내부에 수용되는 수액 제품(50)의 상태, 예컨대 수액 제품 내부의 약액의 저장량 상태 및 부유물이 있는 지의 상태를 외부에서 육안으로 용이하게 관찰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윈도우(140)와 마주보는 상기 파우치 몸체(100)의 타측면은 불투명하게 처리된다. 이 타측면의 외면에는 수액 제품(50)의 종류 및 용도와 같은 스펙이 인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윈도우(140)를 제외한 상기 파우치 몸체(100)의 내측면은 알루미늄 코팅층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수액 제품(50)은 파우치 몸체(100) 내부 공간에서 외부로부터 이물질에 의하여 오염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파우치 몸체(100)의 하단부에는 상기 팁(51)이 위치되는 상기 파우치 몸체(100)의 타단부에 돌출되도록 마련되며 상기 팁(51)을 선택적으로 노출하는 개구부(200)가 마련된다.
상기 개구부(200)는 상기 파우치 몸체(100)의 타단부에서 상기 타단부의 폭보다 일정 폭 작은 폭을 갖도록 돌출되는 개구부 몸체(210)와, 상기 개구부 몸체(210)의 양측면부에 서로 동일선 상에 위치되도록 상기 개구부 몸체(210)의 내측으로 모서리가 형성되도록 커팅된 홈(221)이 형성되는 트임 안내 수단(220)을 갖는다. 여기서, 상기 트임 안내 수단(220)은 상기에 언급된 티어와 같은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티어는 통상 이지 티어(easy tear)라 한다.
여기서, 상기 개구부 몸체(210)의 폭은 상기 팁(51)의 단면 폭 보다 일정 폭 크게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팁(51)이 복수로 구성되는 경우에 상기 개구부 몸체(210)의 폭은 상기 복수의 팁을 포함할 수 있는 폭으로 형성되는 것이 좋다.
상기 개구부 몸체(210)의 폭은 적어도 상기 팁(51)이 외부로 인출될 수 있을 정도와 상기 수액 제품(50)이 외부로 인출되지 않을 정도의 폭인 것이 좋다. 따라서, 상기 수액 제품(50)의 팁(51) 주변부는 파우치 몸체(100)의 내부 공간(101)에서 개구부(200) 측부에 위치되는 내측벽에 지지된다.
한편, 도 4를 참조 하면, 상기 개구부 몸체(210)에는 상기 트임 안내 수단(220)과 이격되며 서로 밀착 배치되는 일정의 탄성을 갖는 한 쌍의 와이어(230)가 더 설치된다.
상기 한 쌍의 와이어(230)는 트임 안내 수단(220)에 의하여 개구부 몸체(210)의 내부가 외부로 개방되는 경우에 서로 벌어지도록 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와이어들(230)은 유연성을 갖고 상기 벌어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철사와 같은 와이어 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벌어져 위치될 수 있는 한 쌍의 와이어(230)에 의하여 팁(51) 주변부의 수액 제품(50)의 외면이 지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한 쌍의 와이어(230)가 벌어질 수 있음에 따라 개방되는 개구부 몸체(210)의 벌어짐 상태는 용이하게 유지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도 5 및 도 6을 참조 하면, 상기 개구부 몸체(210)에는 상기 트임 안내 수단(200)과 이격되며 상기 개구부 몸체(210)의 내부 공간을 외부로 선택적으로 노출시키는 지퍼락 수단(240)을 더 구비할 수도 있다.
상기 지퍼락 수단(240)은 탄성 재질로 형성되며 상기 개구부 몸체(2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일측으로 돌출되는 한 쌍의 걸림 돌기(241a)를 갖는 제 1지퍼 몸체(241)와, 탄성 재질로 형성되며 상기 개구부 몸체(2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한 쌍의 걸림 돌기(241a)가 끼워지는 한 쌍의 걸림홈(242a)을 갖는 제 2지퍼 몸체(242)를 갖는다.
상기 한 쌍의 걸림 돌기(241a)는 상기 걸림홈(242a)에 끼워지는 돌기 몸체(241b)와, 상기 돌기 몸체(241b)의 외주에 엠보싱 형상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걸림홈(242a)의 내벽에 밀착되는 다수의 밀착 돌기 몸체(241c)를 갖는다.
따라서, 상기 지퍼락 수단(240)이 더 설치되는 경우에, 상기 제 1지퍼 몸체(241)와 상기 제 2지퍼 몸체(242)는 외력의 작용에 의하여 서로 결합되거나 이격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 1지퍼 몸체(241)와 상기 제 2지퍼 몸체(242)가 서로 결합되는 경우에 트임 안내 수단(220)에 의하여 찢어져 개방된 개구부 몸체(210)의 내부는 다시 밀봉될 수 있다.
이때, 제 1지퍼 몸체(241)의 한 쌍의 걸림 돌기(241a)는 제 2지퍼 몸체(242)의 한 쌍의 걸림홈(242a)에 끼워질 수 있고, 상기 걸림 돌기들(241a)의 돌기 몸체(241b)는 그 끝단이 구 형상으로 형성되어 구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 2지퍼 몸체(242)의 걸림홈(242a)에 끼워지고, 이와 아울러, 다수의 밀착 돌기 몸체(241c)는 걸림홈(242a)의 내주면에 밀착된다.
따라서, 개구부 몸체(210)의 내부 공간, 즉 파우치 몸체(100)의 내부 공간(101)과 연통되는 공간은 외부로부터 용이하게 밀봉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개구부 몸체(210)를 다시 개방하는 경우에, 외력을 가하여 상기 제 1지퍼 몸체(241)와 상기 제 2지퍼 몸체(242) 간의 결합 상태를 해제 하면 된다.
또 한편, 도 6 및 도 8을 참조 하면, 상기 개구부 몸체(210)의 양측면부에는 상기 제 1지퍼 몸체(241)와 상기 제 2지퍼 몸체(242)로 외압을 제공하여 서로 밀착됨을 유지할 수 있는 한 쌍의 그립 수단(300)이 더 배치된다.
상기 한 쌍의 그립 수단(300)은 상기 제 1지퍼 몸체(241)와 상기 제 2지퍼 몸체(242)의 외측부가 유입되는 유입홀(311)을 갖고 일단이 서로 연결되는 한 쌍의 그립 몸체(310)로 이루어진다.
상기 한 쌍의 그립 몸체(310)는 개구부 몸체(210)의 양측부로부터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되고, 이와 같은 상태에서 한 쌍의 그립 몸체(310)의 서로 마주보는 방 향을 따라 개구부 몸체(210)의 외면을 그립하도록 이동될 있다.
이때, 도 8을 참조 하면, 한 쌍의 그립 몸체(310)의 유입홀(311)에는 제 1,2지퍼 몸체(241,242)가 위치되는 개구부 몸체(210)의 외면이 끼워진다. 이때, 제 1,2지퍼 몸체(241,242)는 서로 밀착되면서 결합된다.
따라서, 한 쌍의 그립 몸체들(310)이 개구부 몸체(210)의 양측면부를 그립하는 길이에 따라 개방되는 개구부 몸체(210)의 개방되는 폭이 선택적으로 결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파우치 몸체(100)의 내부 공간(101)에 수용되는 수액 제품(50)의 팁(51)의 크기에 따라 개구부 몸체(210)의 개방 폭을 선택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한 쌍의 그립 수단(300)은 상기 파우치 몸체(100)의 모서리부에 형성되는 고정홀(100a)에 일단이 고정되는 일정 길이의 탄성 재질의 끈(320)의 타단에 연결되어 고정된다.
따라서, 상기 한 쌍의 그립 몸체(300)는 파우치 몸체(100)에 끈(320)으로 연결되어 분실의 위험성을 줄일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르는 개구부의 다른 예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또 한편, 도 9를 참조 하면, 개구부(201)는 상기 팁(51)의 외주를 에워싸고 상기 팁(51)의 단부를 외부로 노출시키는 노출홀(211a)을 갖는 개구부 몸체(211)와, 상기 노출홀(211a)을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 있도록 상기 개구부 몸체(211)의 단부에 체결되는 캡(221)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노출홀(211a)과 캡(221)은 서로 스크루 결합되는 것이 좋다.
이러한 경우에, 캡(221)을 노출홀(211a)로부터 제거한 이후에 원통 형상의 팁(51)을 갖는 수액 제품(50)인 경우에 파우치 몸체(100)의 내부에서 팁(51)만을 외부로 노출시키어, 사용할 수 있는 상태를 이룰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 가능함은 물론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권리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 청구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 청구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수액 제품 포장용 파우치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수액 제품 포장용 파우치를 보여주는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개구부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개구부에 와이어가 삽입 설치된 것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2의 파우치 몸체에 지퍼락 수단 및 그립 수단이 마련된 것을 보여주는 부분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선 Ⅰ-Ⅰ'를 따르는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 표시 부호 A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5의 그립 수단에 의하여 지퍼락 수단이 그립된 것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르는 개구부의 다른 예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주요부분에 대한 도면 설명
100 : 파우치 몸체
110 : 걸림공
120 : 열 융착부
130 : 보조 트임 안내 수단
200 : 개구부
210 : 개구부 몸체
220 : 트임 안내 수단
230 : 와이어
240 : 지퍼락 수단
300 : 그립 수단

Claims (9)

  1. 일단에 수액을 토출하기 위한 팁이 마련되는 수액 제품이 저장되는 공간을 갖고 일단부에 걸림공이 형성되는 파우치 몸체; 및
    상기 팁이 위치되는 상기 파우치 몸체의 타단부에 돌출되도록 마련되며, 상기 팁을 선택적으로 노출하는 개구부를 포함하는 수액 제품 포장용 파우치로서,
    상기 개구부는, 상기 파우치 몸체의 타단부에서 상기 타단부의 폭보다 일정 폭 작은 폭을 갖도록 돌출되는 개구부 몸체를 포함하며,
    상기 파우치 몸체의 일측면은 투명 재질의 윈도우가 형성되며, 상기 윈도우와 마주보는 상기 파우치 몸체의 타측면은 불투명하게 처리되되,
    상기 윈도우를 제외한 상기 파우치 몸체의 내측면은 알루미늄 코팅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액 제품 포장용 파우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는,
    상기 개구부 몸체의 양측면부에 서로 동일선 상에 위치되도록 상기 개구부 몸체의 내측으로 모서리가 형성되도록 커팅된 홈이 형성되는 트임 안내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액 제품 포장용 파우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 몸체의 폭은 상기 팁의 단면 폭 보다 일정 폭 크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액 제품 포장용 파우치.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 몸체에는 상기 트임 안내 수단과 이격되며 서로 밀착 배치되는 일정의 탄성을 갖는 한 쌍의 와이어가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액 제품 포장용 파우치.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 몸체에는 상기 트임 안내 수단과 이격되며 상기 개구부 몸체의 내부 공간을 외부로 선택적으로 노출시키는 지퍼락 수단을 더 구비하되,
    상기 지퍼락 수단은 탄성 재질로 형성되며 상기 개구부 몸체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일측으로 돌출되는 한 쌍의 걸림 돌기를 갖는 제 1지퍼 몸체와, 탄성 재질로 형성되며 상기 개구부 몸체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한 쌍의 걸림 돌기가 끼워지는 한 쌍의 걸림홈을 갖는 제 2지퍼 몸체를 갖고,
    상기 한 쌍의 걸림 돌기는 상기 걸림홈에 끼워지는 돌기 몸체와, 상기 돌기 몸체의 외주에 엠보싱 형상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걸림홈의 내벽에 밀착되는 다수의 밀착 돌기 몸체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액 제품 포장용 파우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 몸체의 양측면부에는 상기 제 1지퍼 몸체와 상기 제 2지퍼 몸체로 외압을 제공하여 서로 밀착됨을 유지할 수 있는 한 쌍의 그립 수단이 더 배치되되,
    상기 한 쌍의 그립 수단은 상기 제 1지퍼 몸체와 상기 제 2지퍼 몸체의 외측 부가 유입되는 유입홀을 갖고 일단이 서로 연결되는 한 쌍의 그립 몸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한 쌍의 그립 수단은 상기 파우치 몸체의 모서리부에 형성되는 고정홀에 일단이 고정되는 일정 길이의 탄성 재질의 끈의 타단에 연결되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액 제품 포장용 파우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파우치 몸체의 내부 공간은 상기 파우치 몸체의 일단부에 형성되는 열융착부에 의하여 밀봉되고,
    상기 파우치 몸체의 일단부 양측면부에는 상기 파우치 몸체의 내부 공간을 선택적으로 개방하는 보조 트임 안내 수단이 형성되되,
    상기 보조 트임 안내 수단은 상기 걸림공과 일정 거리 이격되며 서로 동일선 상에 위치되도록 상기 파우치 몸체의 내측으로 모서리가 형성되도록 커팅된 홈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액 제품 포장용 파우치.
  8. 삭제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는,
    상기 팁의 외주를 에워싸고 상기 팁의 단부를 외부로 노출시키는 노출홀을 갖는 개구부 몸체와, 상기 노출홀을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 있도록 상기 개구부 몸체의 단부에 체결되는 캡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액 제품 포장용 파우치.
KR1020090050454A 2009-06-08 2009-06-08 수액 제품 포장용 파우치 KR1011006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0454A KR101100679B1 (ko) 2009-06-08 2009-06-08 수액 제품 포장용 파우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0454A KR101100679B1 (ko) 2009-06-08 2009-06-08 수액 제품 포장용 파우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31721A KR20100131721A (ko) 2010-12-16
KR101100679B1 true KR101100679B1 (ko) 2012-01-03

Family

ID=435076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50454A KR101100679B1 (ko) 2009-06-08 2009-06-08 수액 제품 포장용 파우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0067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1558Y1 (ko) * 2012-05-03 2014-03-04 (주)메디파마플랜 수액백 오버파우치용 이중필름
KR102309864B1 (ko) * 2021-04-26 2021-10-06 조민훈 다각형 개봉부를 가진 액상 수용 파우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627566A2 (en) * 2004-07-27 2006-02-22 Haemopharm Industry Ag Safety pouch for cryo-preservation of staminal cells or similar blood components
JP2007045466A (ja) * 2005-08-10 2007-02-22 Dainippon Printing Co Ltd 複数の収納部と複数の注出具を有する包装用袋
KR100847115B1 (ko) 2007-10-16 2008-07-18 센트럴메디컬서비스(주) 수액제 이중포장용기
KR100855300B1 (ko) 2007-03-07 2008-08-29 정우협 액체 포장용 파우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627566A2 (en) * 2004-07-27 2006-02-22 Haemopharm Industry Ag Safety pouch for cryo-preservation of staminal cells or similar blood components
JP2007045466A (ja) * 2005-08-10 2007-02-22 Dainippon Printing Co Ltd 複数の収納部と複数の注出具を有する包装用袋
KR100855300B1 (ko) 2007-03-07 2008-08-29 정우협 액체 포장용 파우치
KR100847115B1 (ko) 2007-10-16 2008-07-18 센트럴메디컬서비스(주) 수액제 이중포장용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31721A (ko) 2010-1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21518182A (ja) 医療用コネクタのための消毒キャップ
JPH07178119A (ja) 細長い医療機器用のパッケージ
JP2010017569A (ja) 縫合糸保持パッケージ
CN105636633A (zh) 具有集成用法说明的导管插入托盘
JPS58216064A (ja) 薬品容器の口を再密封するたわみ性の密封カバ−及びその組立て方法
JPS6055379B2 (ja) プラスチック製静脈注入溶液袋の入口部材を再密封する方法及びたわみ性プラスチック多層カバ−
CN102143895A (zh) 注出口部件以及使用该注出口部件的包装袋
BRPI0618536A2 (pt) dispositivo de embalagem tipo bolha, e, método para ejetar uma dosagem de unidade a partir de uma embalagem tipo bolha
KR20130058725A (ko) 소독용 기구 어셈블리
PT1843950E (pt) Embalagem para produtos farmacêuticos, médicos ou semelhantes, particularmente pesticidas ou produtos para protecção de plantas
AU2023201335A1 (en) Respiratory equipment packaging and a packaging insert for respiratory equipment
KR101100679B1 (ko) 수액 제품 포장용 파우치
JP5751825B2 (ja) 薬剤充填済み容器体を収容した包装体
ES2305621T3 (es) Conjuntos de aguja medica con protector de aguja giratorio.
ITRM20120592A1 (it) Kit di sicurezza per il trattamento di materiale biologico.
WO2021262021A1 (pt) Embalagem dispensadora flowpack para luvas de uso descartável, método de preparação e dispositivo para acondicionamento e utilização associados
US5222950A (en) Quick release tamper evident closure device
ITRM20120553A1 (it) Dispositivo di protezione di cateteri vascolari.
KR101181302B1 (ko) 재밀봉이 가능한 안구용 액제 포장용 블리스터 용기
JP2018089171A (ja) 医療・介護用架台およびその使用方法
JP6205192B2 (ja) 薬液充填済み容器体を収容した包装体
US20200094024A1 (en) Adhesive encased protective caps for needle devices and related methods
JP5772267B2 (ja) 薬液用包装袋
JP2020503914A (ja) 2つの区画を有し、タブを備えた医療用バッグ
JP2017186079A (ja) チャック付き包装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13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