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06401B1 - 숄더부 일체형 플립톱 캡을 구비하는 블리스터 포장용기 - Google Patents

숄더부 일체형 플립톱 캡을 구비하는 블리스터 포장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06401B1
KR102206401B1 KR1020190051218A KR20190051218A KR102206401B1 KR 102206401 B1 KR102206401 B1 KR 102206401B1 KR 1020190051218 A KR1020190051218 A KR 1020190051218A KR 20190051218 A KR20190051218 A KR 20190051218A KR 102206401 B1 KR102206401 B1 KR 1022064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p
flip
discharge port
container
shoul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512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27321A (ko
Inventor
안종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블리스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블리스팩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블리스팩
Priority to KR10201900512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06401B1/ko
Priority to JP2021562305A priority patent/JP7465568B2/ja
Priority to US17/607,237 priority patent/US20220242624A1/en
Priority to EP20798404.8A priority patent/EP3964450A4/en
Priority to CN202080030821.3A priority patent/CN113727916B/zh
Priority to PCT/KR2020/005467 priority patent/WO2020222467A1/ko
Publication of KR202001273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273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064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64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06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 B65D47/08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having articulated or hinged clos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06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 B65D47/08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having articulated or hinged closures
    • B65D47/08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having articulated or hinged closures integrally formed with the base element provided with the spout or discharge passage
    • B65D47/0833Hinges without elastic bias
    • B65D47/0838Hinges without elastic bias located at an edge of the base el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5/00Packages comprising articles or materials partially or wholly enclosed in strips, sheets, blanks, tubes, or webs of flexible sheet material, e.g. in folded wrappers
    • B65D75/28Articles or materials wholly enclosed in composite wrappers, i.e. wrappers formed by associating or interconnecting two or more sheets or blanks
    • B65D75/30Articles or materials enclosed between two opposed sheets or blanks having their margins united, e.g. by pressure-sensitive adhesive, crimping, heat-sealing, or welding
    • B65D75/32Articles or materials enclosed between two opposed sheets or blanks having their margins united, e.g. by pressure-sensitive adhesive, crimping, heat-sealing, or welding one or both sheets or blanks being recessed to accommodate contents
    • B65D75/36Articles or materials enclosed between two opposed sheets or blanks having their margins united, e.g. by pressure-sensitive adhesive, crimping, heat-sealing, or welding one or both sheets or blanks being recessed to accommodate contents one sheet or blank being recessed and the other formed of relatively stiff flat sheet material, e.g. blister packages, the recess or recesses being preformed
    • B65D75/366Articles or materials enclosed between two opposed sheets or blanks having their margins united, e.g. by pressure-sensitive adhesive, crimping, heat-sealing, or welding one or both sheets or blanks being recessed to accommodate contents one sheet or blank being recessed and the other formed of relatively stiff flat sheet material, e.g. blister packages, the recess or recesses being preformed and forming one compart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5/00Packages comprising articles or materials partially or wholly enclosed in strips, sheets, blanks, tubes, or webs of flexible sheet material, e.g. in folded wrappers
    • B65D75/52Details
    • B65D75/58Opening or contents-removing devices added or incorporated during package manufacture
    • B65D75/5805Opening or contents-removing devices added or incorporated during package manufacture for tearing a side strip parallel and next to the edge, e.g. by means of a line of weakn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5/00Packages comprising articles or materials partially or wholly enclosed in strips, sheets, blanks, tubes, or webs of flexible sheet material, e.g. in folded wrappers
    • B65D75/52Details
    • B65D75/58Opening or contents-removing devices added or incorporated during package manufacture
    • B65D75/5827Tear-lines provided in a wall por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5/00Packages comprising articles or materials partially or wholly enclosed in strips, sheets, blanks, tubes, or webs of flexible sheet material, e.g. in folded wrappers
    • B65D75/52Details
    • B65D75/58Opening or contents-removing devices added or incorporated during package manufacture
    • B65D75/5861Spouts
    • B65D75/5872Non-integral spouts
    • B65D75/5883Non-integral spouts connected to the package at the sealed junction of two package wal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80Packaging reuse or recycling, e.g. of multilayer packag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posite Materials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 Packages (AREA)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용물이 수용되는 용기부(100); 상기 용기부(100)의 입구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숄더부(200); 및 상기 숄더부(200)에 일체로 연결되며 상기 내용물이 배출되는 토출구(311)가 형성되는 캡몸체(310)와, 상기 캡몸체(310)에 캡힌지(320)를 통해 절첩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토출구(311)에 삽입되어 밀폐하는 개폐돌기(331)가 형성되는 캡덮개(330)를 포함하는 플립톱 캡(300);을 포함하는 숄더부 일체형 플립톱 캡을 구비하는 블리스터 포장용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숄더부 일체형 플립톱 캡을 구비하는 블리스터 포장용기{THE BLISTER PACKAGE WITH SHOULDER PART INTEGRAL FLIP TOP CAP}
본 발명은 플라스틱 필름 또는 시트를 열 성형시켜 일정한 공간의 용기부를 만들고 그 공간 안에 약품이나 기타제품을 충입시키고 용기부의 입구에는 밀폐기능을 갖도록 커버지를 부착시켜 구성되는 블리스터 포장용기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블리스터 포장용기는 열가소성 시트를 가열하여 가소화 시키는 공정과, 열가소성 시트를 금형 위에 위치시키는 공정과, 열가소성 시트를 압공 또는 진공 성형해 용기부를 성형하는 공정과, 용기부에 내용물을 넣은 뒤 종이나 플라스틱 라미네이트 필름으로 구성되는 덮개 필름으로 용기체의 평평한 플랜지 부분만을 히트 실(heat seal), 고주파, 초음파 등으로 접착하는 공정으로 제조되며, 식품, 일용품, 잡화, 공산품, 정제약품, 액상의 화장품 등의 포장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또한, 블리스터 포장용기는 내용물을 수용하는 용기부와, 용기부의 일단에 형성되는 토출구와, 토출구를 밀봉하는 덮개 필름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용기부에 수용된 내용물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토출구를 꺾어서 개봉하거나, 토출구에 접착된 덮개 필름을 벗겨서 개봉하는 경우가 가장 일반적이나, 토출구의 개봉이 1번 이루어진 후에는 토출구의 재밀봉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한국공개특허 제10-2011-0059974호의 임의 형상을 갖는 융출된 용기부의 상측 단부에 단관 형태의 토출구를 두며, 용기부의 플랜지에 부착되는 커버지에는 플랜지와 접착되어 밀봉기능을 접착부와 커버지의 분리 제거 시 파지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미접착 상태로 구성되는 미접착부 및 용기부의 토출구와 연통하는 상태로 구성되는 일정 면적의 토출용 미접착부가 구비되는 공지의 구조에 있어서, 상기 토출구 상단에 근접되게 플랜지에 횡으로 요입 구성되며 후술하는 절첩 실링편의 절첩시 꺽임 라인의 설정과 저항을 감소시켜주기 위한 절첩 유도홈과; 상기 절첩 유도홈의 상측으로 구성되는 절첩 실링편과; 상기 절첩 실링편의 양단에 돌출 구성되며 내측 상단에 걸림돌부를 구비하는 한 조의 걸편과; 상기 절첩 유도홈 양단 하측에 위치되는 상태로 플랜지의 연부에 구성되며 상기 걸림돌부가 선택적으로 걸려 지지되기 위한 한 조의 걸림변부와; 상기 걸편)의 하측 변부에서 절첩 실링편의 내측으로 절결 구성되며 걸편에 휨에 대한 탄성적인 변형력을 부여시키기 위한 절결부와; 상기 절첩 실링편의 상부에 일체로 연장 구성되며 걸림공을 가진 고리편을 각각 포함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재밀봉이 가능한 블리스터 포장용기가 공개된 적이 있었다.
종래기술은 토출구의 개봉이 이루어진 후, 토출구를 재밀봉할때, 토출구에 연결된 절첩 실링편을 절첩시켜서 토출구의 개봉공간을 압착하되, 절첩 실링편의 고정은 절첩 실린편의 양단에 구성된 한 쌍의 걸편이 토출구의 테두리에 형성된 연부에 걸려서 지지되었다.
이에 따라, 종래기술은 걸편에 외력이 가해지면, 걸편이 연부에서 이탈되면서 절첩 실링편의 토출구에 대한 압착이 해제됨에 따라, 접첩 실링편과 토출구 사이에 빈틈이 발생하여 용기부의 내용물이 누설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1-0059974호(2011.06.08)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개봉과 밀봉이 다수번 이루어질 수 있으며, 재밀봉시 빈틈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여 밀폐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숄더부 일체형 플립톱 캡을 구비하는 블리스터 포장용기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숄더부 일체형 플립톱 캡을 구비하는 블리스터 포장용기는 내용물이 수용되는 용기부(100); 상기 용기부(100)의 입구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숄더부(200); 및 상기 숄더부(200)에 일체로 연결되며 상기 내용물이 배출되는 토출구(311)가 형성되는 캡몸체(310)와, 상기 캡몸체(310)에 캡힌지(320)를 통해 절첩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토출구(311)에 삽입되어 밀폐하는 개폐돌기(331)가 형성되는 캡덮개(330)를 포함하는 플립톱 캡(300);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토출구(311)의 내면에 돌출되어 상기 개폐돌기(331)를 압착 고정할 수 있는 걸림부(311a)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개폐돌기(331)가 삽입되는 상기 토출구(311)의 일단 직경이 상기 내용물의 배출방향으로 갈수록 넓어지는 형상으로 안내부(311b)가 형성되며, 상기 개폐돌기(331)는 상기 토출구(311)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개폐돌기(331)의 직경이 상기 내용물의 배출방향으로 갈수록 넓어지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개폐돌기(331)의 최대 직경 부위인 최대직경부(331a)의 직경이 상기 안내부(311b)의 최대 직경 부위보다 작게 형성되고 상기 안내부(311b)의 최소 직경 부위보다 크게 형성된다.
또힌, 상기 토출구(311)가 형성된 상기 캡몸체(310)의 일면 테두리에 단차진 형상으로 단차부(312)가 형성되며, 상기 캡덮개(330)의 내면에 함몰된 함몰부(332)가 형성되며, 상기 캡몸체(310)의 단차부(312)가 상기 캡덮개(330)의 함몰부(332)에 삽입되어 끼워진다.
또한, 상기 용기부(100)의 입구에서 연장 형성되어 상기 플립톱 캡(300)을 수용하여 밀폐하는 포장부(400); 및 상기 용기부(100)와 상기 포장부(400)의 연결부위에 형성되는 절취라인(500);을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포장부(400)는 상기 캡힌지(320)가 수납되는 수납부(410)가 형성되며, 상기 수납부(410)는 상기 포장부(400)의 소정 부분이 외부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캡힌지(320)는 상기 캡몸체(310)와 연결되는 제1연결부(321), 상기 캡덮개(330)와 연결되는 제2연결부(322) 및 상기 제1연결부(321)와 제2연결부(322)를 서로 연결하는 절첩부(323)를 포함하며, 상기 제1연결부(321)와 상기 제2연결부(322)는 상기 절첩부(323)를 기준으로 상호 절첩이 이루어지며, 상기 제1연결부(321)와 상기 제2연결부(322)는 상기 절첩부(323)에 가까워질수록 좁아지는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1연결부(321)의 내면과 상기 제2연결부(322)의 내면이 서로 접촉된 상태에서 상기 제1연결부(321)의 내면과 상기 제2연결부(322)의 내면이 서로 평행하게 형성되며, 상기 제1연결부(321)의 외면이 상기 제1연결부(321)의 내면과 어긋나게 형성된 제1경사면(321a)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2연결부(322)의 외면이 상기 제2연결부(322)의 내면과 어긋나게 형성된 제2경사면(322a)으로 형성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숄더부 일체형 플립톱 캡을 구비하는 블리스터 포장용기는 용기부의 개봉과 밀봉이 캡몸체의 토출구를 개폐하는 캡덮개의 개폐돌기에 의해 다수번 이루어질 수 있으며, 재밀봉시에도 빈틈이 발생하는 것이 방지되어 밀폐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숄더부 일체형 플립톱 캡을 구비하는 블리스터 포장용기를 나타낸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플립톱 캡을 나타낸 평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플립톱 캡을 나타낸 배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플립톱 캡이 개봉된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플립톱 캡이 개봉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플립톱 캡이 밀봉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숄더부 일체형 플립톱 캡을 구비하는 블리스터 포장용기에 포장부를 적용한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숄더부 일체형 플립톱 캡을 구비하는 블리스터 포장용기에 포장부를 적용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숄더부 일체형 플립톱 캡을 구비하는 블리스터 포장용기에 포장부를 분리한 상태를 나타낸 분해도.
도 10는 본 발명에 따른 숄더부와 플립톱 캡의 일 예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이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첨부된 도면을 사용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일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첨부된 도면의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숄더부 일체형 플립톱 캡을 구비하는 블리스터 포장용기를 나타낸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플립톱 캡을 나타낸 평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플립톱 캡을 나타낸 배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플립톱 캡이 개봉된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플립톱 캡이 개봉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플립톱 캡이 밀봉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숄더부 일체형 플립톱 캡을 구비하는 블리스터 포장용기는 용기부(100), 숄더부(200) 및 플립톱 캡(300)을 포함한다.
용기부(100)는 시트를 가열한 후, 시트를 금형에 삽입하여 수용공간을 성형한 후, 시트의 수용공간에 내용물을 충전한 후, 시트에 필름을 접착한 후, 미리 설정된 형상으로 절단하여 제조된 것이다.
이 때, 시트는 플라스틱 라미네이트 소재로 이루어지며, 시트에 필름을 접착할때 열, 고주파 또는 초음파 롤을 이용하여 접착할 수 있다.
숄더부(200)는 용기부(100)의 입구에 삽입되어 고정되며, 내부가 중공되며, 내부에 용기부(100)에서 이송된 내용물이 통과된다.
한편, 숄더부(200)의 외면에는 용기부(100)의 내면과의 밀봉성을 강화하기 위하여 숄더요철(201)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숄더부(200)의 외면과 맞닿은 용기부(100)의 내면에도 밀봉성을 강화하기 위한 용기요철(101)이 형성될 수 있다.
플립톱 캡(300)은 내용물의 배출량 조절 기능을 가지는 것으로, 캡몸체(310) 및 캡덮개(330)를 포함한다.
캡몸체(310)는 플립톱 캡(300)의 기본 몸체로서, 숄더부(200)에 일체로 연결되며 내용물이 배출되는 토출구(311)가 형성된다.
이 때, 토출구(311)는 원뿔형으로 형성됨에 따라, 내용물이 배출되는 속도를 저하시키는 역할을 하게 된다.
캡덮개(330)는 토출구(311)를 개폐하는 것으로서, 캡몸체(310)에 캡힌지(320)를 통해 절첩가능하게 연결되며 토출구(311)에 삽입되어 밀폐하는 개폐돌기(331)가 형성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숄더부 일체형 플립톱 캡을 구비하는 블리스터 포장용기는 용기부(100)의 개봉과 밀봉이 캡몸체(310)의 토출구(311)를 개폐하는 캡덮개(330)의 개폐돌기(331)에 의해 다수번 이루어질 수 있으며, 재밀봉시에도 빈틈이 발생하는 것이 방지되어 밀폐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5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립톱 캡(300)에 있어서, 토출구(311)의 내면에 돌출되어 개폐돌기(331)를 압착 고정할 수 있는 걸림부(311a)가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해, 걸림부(311a)는 토출구(311)의 내부에서 최소 직경으로 형성된 부위로서, 단차진 형상으로 형성된다.
한편, 토출구(311)에 개폐돌기(331)가 삽입된 상태에서 토출구(311)의 걸림부(311a)가 개폐돌기(331)를 압착하여 고정하게 되는데, 걸림부(311a)가 개폐돌기(331)를 내측으로 압착함에 따라 개폐돌기(331)가 외측으로 벌어져서 걸림부(311a)에 밀착되면서 개폐돌기(331)와 걸림부(311a)의 밀봉성이 강화된다. 이 때, 개폐돌기(331)와 걸림부(311a)의 밀봉성이 더욱 강화되도록 개폐돌기(331)가 탄성있는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플립톱 캡(300)에 있어서, 개폐돌기(331)가 삽입되는 토출구(311)의 일단 직경이 내용물의 배출방향으로 갈수록 넓어지는 형상으로 안내부(311b)가 형성되며, 개폐돌기(331)는 토출구(311)에 삽입된 상태에서 개폐돌기(331)의 직경이 내용물의 배출방향으로 갈수록 넓어지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안내부(311b)는 원뿔 형상으로 형성되며, 개폐돌기(331)도 원뿔 형상으로 형성된다.
또한, 안내부(311b)는 토출구(311)로 삽입되는 개폐돌기(331)를 토출구(311)의 내측으로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플립톱 캡(300)에 있어서, 개폐돌기(331)의 최대 직경 부위인 최대직경부(331a)의 직경이 안내부(311b)의 최대 직경 부위보다 작게 형성되고 안내부(311b)의 최소 직경 부위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즉, 개폐돌기(331)의 최대직경부(331a) 직경이 안내부(311b)의 최대 직경 부위와 최소 직경 부위 사이로 형성됨에 따라, 개폐돌기(331)가 토출구(311)의 안내부(311b)에 삽입될 경우, 개폐돌기(331)의 최대직경부(331a)가 안내부(311b)를 통과하지 못하게 되며, 개폐돌기(331)의 최대직경부(331a)나 개폐돌기(331)의 최대직경부(331a)보다 직경이 낮은 특정 부위가 안내부(311b)에 얹어지게 된다.
또한, 플립톱 캡(300)에 있어서, 토출구(311)가 형성된 캡몸체(310)의 일면 테두리에 단차진 형상으로 단차부(312)가 형성되며, 캡덮개(330)의 내면에 함몰된 함몰부(332)가 형성되며, 캡몸체(310)의 단차부(312)가 캡덮개(330)의 함몰부(332)에 삽입되어 끼워질 수 있다.
다시 말해, 함몰부(332)는 캡덮개(330)의 개폐돌기(331)가 캡몸체(310)의 토출구(311)에 삽입된 상태에서 캡몸체(310)에 대향하는 캡덮개(330)의 내면이 함몰되어 형성된다.
이에 따라, 플립톱 캡(300)은 캡덮개(330)의 함몰부(332)와 캡몸체(310)의 단차부(312)의 끼움 결합에 의한 1차 밀폐와, 캡덮개(330)의 개폐돌기(331)와 캡몸체(310) 토출구(311)의 걸림부(311a)의 압착 고정에 의한 2차 밀폐가 이루어짐에 따라, 밀봉성이 더욱 강화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숄더부 일체형 플립톱 캡을 구비하는 블리스터 포장용기에 포장부를 적용한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숄더부 일체형 플립톱 캡을 구비하는 블리스터 포장용기에 포장부를 적용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숄더부 일체형 플립톱 캡을 구비하는 블리스터 포장용기에 포장부를 분리한 상태를 나타낸 분해도이다.
도 7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숄더부 일체형 플립톱 캡을 구비하는 블리스터 포장용기는 포장부(400) 및 절취라인(5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포장부(400)는 용기부(100)의 입구에서 연장 형성되어 플립톱 캡(300)을 수용하여 밀폐한다.
즉, 포장부(400)는 플립톱 캡(300)을 포장하는 역할을 하며, 사용자가 용기부(100)의 내용물을 최초로 사용할때, 절취라인(500)의 절취에 의해 분리되어 제거된다.
또한, 포장부(400)는 용기부(100)와 동일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절취라인(500)은 용기부(100)와 포장부(400)의 연결부위에 형성되며, 절취라인(500)의 단면적이 포장부(400)의 단면적보다 좁아진 형태로 형성됨에 따라 절취 저항이 감소될 수 있다.
도 7 내지 도 8을 다시 참조하면, 포장부(400)는 캡힌지(320)가 수납되는 공간인 수납부(410)가 형성되며, 수납부(410)는 포장부(400)의 소정 부분이 외부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이 때, 수납부(410)는 포장부(400)의 소정 부분이 일정 곡률을 가지고 곡률진 곡면으로 형성되며, 단면이 원호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5 내지 도 8을 다시 참조하면, 캡힌지(320)는 캡몸체(310)와 연결되는 제1연결부(321), 캡덮개(330)와 연결되는 제2연결부(322) 및 제1연결부(321)와 제2연결부(322)를 서로 연결하는 절첩부(323)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1연결부(321)와 상기 제2연결부(322)는 절첩부(323)를 기준으로 상호 절첩이 이루어지며, 절첩부(323)는 판 형상으로 형성된다.
또한, 제1연결부(321)와 상기 제2연결부(322)는 절첩부(323)에 가까워질수록 좁아지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또한, 제1연결부(321)와 제2연결부(322)의 절첩이 이루어져서 제1연결부(321)의 내면과 제2연결부(322)의 내면이 서로 접촉된 상태에서, 제1연결부(321)의 내면과 제2연결부(322)의 내면이 서로 평행하게 형성된다.
또한, 제1연결부(321)와 제2연결부(322)의 절첩이 이루어져서 제1연결부(321)의 내면과 제2연결부(322)의 내면이 서로 접촉된 상태에서, 제1연결부(321)의 외면이 제1연결부(321)의 내면과 어긋나게 형성된 제1경사면(321a)으로 형성되며, 제2연결부(322)의 외면이 상기 제2연결부(322)의 내면과 어긋나게 형성된 제2경사면(322a)으로 형성된다.
도 5 내지 도 8을 다시 참조하면, 캡힌지(320)에 있어서, 제1연결부(321)와 제2연결부(322)의 절첩이 이루어져서 제1연결부(321)의 내면과 제2연결부(322)의 내면이 서로 접촉된 상태에서, 절첩부(323)는 일정 곡률을 가지고 곡률진 형상으로 형성되고, 제1경사면(321a)과 제2경사면(322a)은 외측으로 돌출되지 않은 형상으로 형성됨에 따라, 캡힌지(320)를 포장부(400)에 포장할때, 캡힌지(320)에 의해 포장부(400)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도 2 내지 도 3을 다시 참조하면, 캡몸체(310)는 수평방향 일면이 곡면으로 형성되며, 수평방향 타면이 평면으로 형성되며, 캡몸체(310)의 평면에 캡힌지(320)가 수평하게 연결됨으로써, 캡몸체(310)와 캡덮개(330)의 상호 절첩이 이루어지는 동안 캡몸체(310)와 캡덮개(330) 사이에 구성된 캡힌지(320)에 가해지는 압력이 균일하게 분산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숄더부와 플립톱 캡의 일 예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숄더부(200)와 플립톱 캡(300)은 서로 분리되며, 숄더부(200) 및 플립톱 캡(300)의 캡몸체(310)에 각각 숄더나사산(202) 및 캡나사산(313)이 형성되며, 숄더나사산(202) 및 캡나사산(313)의 나사 결합에 의해 상호 나사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적용이 가능한 분야로는 식품, 화장품, 의약품, 생활용품 및 공산품이며, 이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적용범위가 다양함은 물론이고,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100 : 용기부
101 : 용기요철
200 : 숄더부
201 : 숄더요철
202 : 숄더나사산
300 : 플립톱 캡
310 : 캡몸체
311 : 토출구
311a : 걸림부
311b : 안내부
312 : 단차부
313 : 캡나사산
320 : 캡힌지
321 : 제1연결부
321a : 제1경사면
322 : 제2연결부
322a : 제2경사면
323 : 절첩부
330 : 캡덮개
331 : 개폐돌기
331a : 최대직경부
332 : 함몰부
400 : 포장부
410 : 수납부
500 : 절취라인

Claims (8)

  1. 내용물이 수용되는 용기부(100);
    상기 용기부(100)의 입구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숄더부(200); 및
    상기 숄더부(200)에 일체로 연결되며 상기 내용물이 배출되는 토출구(311)가 형성되는 캡몸체(310)와, 상기 캡몸체(310)에 캡힌지(320)를 통해 절첩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토출구(311)에 삽입되어 밀폐하는 개폐돌기(331)가 형성되는 캡덮개(330)를 포함하는 플립톱 캡(300);을 포함하고,
    상기 토출구(311)가 형성된 상기 캡몸체(310)의 일면 테두리에 단차진 형상으로 단차부(312)가 폐루프로 형성되며,
    상기 캡덮개(330)의 내면에 함몰된 함몰부(332)가 폐루프로 형성되며,
    상기 캡몸체(310)의 단차부(312)가 상기 캡덮개(330)의 함몰부(332)에 삽입되어 끼워지고,
    상기 용기부(100)의 입구에서 연장 형성되어 상기 플립톱 캡(300)을 수용하여 밀폐하는 포장부(400); 및
    상기 용기부(100)와 상기 포장부(400)의 연결부위에 형성되는 절취라인(500);을 더 포함하며,
    상기 포장부(400)에는 상기 캡몸체(310)와 상기 캡덮개(330)로부터 돌출된 상기 캡힌지(320)가 수납되는 수납부(410)가 형성되며,
    상기 수납부(410)는 상기 포장부(400)의 소정 부분이 외부로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소정 부분은 일정 곡률을 가진 곡면으로 형성되고,
    상기 캡몸체(310)와 상기 캡덮개(330)는 수평방향 일면이 곡면으로 형성되고, 수평방향 타면이 평면으로 형성되며, 상기 캡몸체(310)와 상기 캡덮개(330)는 수평방향 타면에서 상기 캡힌지(320)로 연결되는 숄더부 일체형 플립톱 캡을 구비하는 블리스터 포장용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구(311)의 내면에 돌출되어 상기 개폐돌기(331)를 압착 고정할 수 있는 걸림부(311a)가 형성되는 숄더부 일체형 플립톱 캡을 구비하는 블리스터 포장용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돌기(331)가 삽입되는 상기 토출구(311)의 일단 직경이 상기 내용물의 배출방향으로 갈수록 넓어지는 형상으로 안내부(311b)가 형성되며,
    상기 개폐돌기(331)는 상기 토출구(311)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개폐돌기(331)의 직경이 상기 내용물의 배출방향으로 갈수록 넓어지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숄더부 일체형 플립톱 캡을 구비하는 블리스터 포장용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돌기(331)의 최대 직경 부위인 최대직경부(331a)의 직경이 상기 안내부(311b)의 최대 직경 부위보다 작게 형성되고 상기 안내부(311b)의 최소 직경 부위보다 크게 형성되는 숄더부 일체형 플립톱 캡을 구비하는 블리스터 포장용기.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캡힌지(320)는 상기 캡몸체(310)와 연결되는 제1연결부(321), 상기 캡덮개(330)와 연결되는 제2연결부(322) 및 상기 제1연결부(321)와 제2연결부(322)를 서로 연결하는 절첩부(323)를 포함하며,
    상기 제1연결부(321)와 상기 제2연결부(322)는 상기 절첩부(323)를 기준으로 상호 절첩이 이루어지며,
    상기 제1연결부(321)와 상기 제2연결부(322)는 상기 절첩부(323)에 가까워질수록 좁아지는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1연결부(321)의 내면과 상기 제2연결부(322)의 내면이 서로 접촉된 상태에서 상기 제1연결부(321)의 내면과 상기 제2연결부(322)의 내면이 서로 평행하게 형성되며,
    상기 제1연결부(321)의 외면이 상기 제1연결부(321)의 내면과 어긋나게 형성된 제1경사면(321a)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2연결부(322)의 외면이 상기 제2연결부(322)의 내면과 어긋나게 형성된 제2경사면(322a)으로 형성되는 숄더부 일체형 플립톱 캡을 구비하는 블리스터 포장용기.
KR1020190051218A 2019-05-02 2019-05-02 숄더부 일체형 플립톱 캡을 구비하는 블리스터 포장용기 KR1022064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1218A KR102206401B1 (ko) 2019-05-02 2019-05-02 숄더부 일체형 플립톱 캡을 구비하는 블리스터 포장용기
JP2021562305A JP7465568B2 (ja) 2019-05-02 2020-04-24 ショルダー部一体型フリップトップキャップ付きブリスター包装容器
US17/607,237 US20220242624A1 (en) 2019-05-02 2020-04-24 Blister packaging container having shoulder part-integrated fliptop cap
EP20798404.8A EP3964450A4 (en) 2019-05-02 2020-04-24 BLISTER CONTAINER HAVING A TOP CAP INTEGRATED AT A SHOULDER PART
CN202080030821.3A CN113727916B (zh) 2019-05-02 2020-04-24 具有肩部一体型折叠顶盖的泡罩包装容器
PCT/KR2020/005467 WO2020222467A1 (ko) 2019-05-02 2020-04-24 숄더부 일체형 플립톱 캡을 구비하는 블리스터 포장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1218A KR102206401B1 (ko) 2019-05-02 2019-05-02 숄더부 일체형 플립톱 캡을 구비하는 블리스터 포장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7321A KR20200127321A (ko) 2020-11-11
KR102206401B1 true KR102206401B1 (ko) 2021-01-22

Family

ID=730288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51218A KR102206401B1 (ko) 2019-05-02 2019-05-02 숄더부 일체형 플립톱 캡을 구비하는 블리스터 포장용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20242624A1 (ko)
EP (1) EP3964450A4 (ko)
JP (1) JP7465568B2 (ko)
KR (1) KR102206401B1 (ko)
CN (1) CN113727916B (ko)
WO (1) WO202022246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21113115A1 (de) * 2021-05-20 2022-11-24 Georg Menshen Gmbh & Co. Kg Ausgießer für Folienbeutel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45286B2 (ja) 1993-12-09 2002-01-07 株式会社吉野工業所 キャップ
US20080073348A1 (en) 2006-09-27 2008-03-27 Daniel PRITIKIN Container closure assembly
KR101181302B1 (ko) * 2011-05-04 2012-09-10 주식회사 블리스팩 재밀봉이 가능한 안구용 액제 포장용 블리스터 용기
JP2019043575A (ja) * 2017-08-31 2019-03-22 株式会社吉野工業所 ヒンジキャップ

Family Cites Families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57645U (ja) * 1984-03-29 1985-10-21 株式会社吉野工業所 蓋付き容器
JPH1149218A (ja) * 1997-08-08 1999-02-23 Kao Corp 容 器
JP4373523B2 (ja) * 1999-03-19 2009-11-25 三笠産業株式会社 容器用キャップ
JP4294242B2 (ja) * 2001-10-31 2009-07-08 株式会社吉野工業所 蓋部を開いた状態に固定可能にした液体注出容器
KR20060054365A (ko) * 2003-07-28 2006-05-22 에스아이지 테크놀로지 리미티드 포일 물질로 밀봉된 콤비팩이나 용기를 위한 관통 엣지설비가 구비된 주입 마개
JP4925165B2 (ja) * 2006-01-31 2012-04-25 株式会社吉野工業所 蓋付き高気密容器
JP4889098B2 (ja) * 2006-05-15 2012-02-29 ファーマパック株式会社 液体収納容器
JP4869993B2 (ja) 2007-03-16 2012-02-08 テイカ製薬株式会社 流動物押出用容器
JP5364324B2 (ja) * 2008-09-24 2013-12-11 コニシ株式会社 ブリスターパックの収納構造
JP2011105336A (ja) * 2009-11-16 2011-06-02 Hanshin Kasei Kogyo Kk 液体収納容器のキャップ
KR101064206B1 (ko) 2009-11-30 2011-09-14 주식회사 블리스팩 재 밀봉이 가능한 블리스터 포장용기
JP5757560B2 (ja) * 2011-02-28 2015-07-29 日本クロージャー株式会社 スパウト収納型容器
CN203392175U (zh) * 2011-04-15 2014-01-15 韩国普利斯包装有限公司 可重复封口的泡罩包装容器
FR2981337B1 (fr) * 2011-10-18 2015-01-02 Valois Sas Distributeur de produit fluide.
US9334097B2 (en) 2013-03-15 2016-05-10 Westrock Slatersville, Llc Dispensing closure
CA2844886C (en) * 2014-03-06 2020-09-01 Nova Chemicals Corporation Radiation crosslinked polyethylene hinge
JP5965039B1 (ja) * 2015-07-30 2016-08-03 株式会社ファンケル 開封防止機能付き容器及び開封防止部材
JP6598655B2 (ja) * 2015-09-30 2019-10-30 株式会社吉野工業所 ヒンジキャップ
US10221000B2 (en) * 2015-12-09 2019-03-05 Sonoco Development, Inc. Fold open face seal package
JP6669632B2 (ja) 2016-10-28 2020-03-18 株式会社吉野工業所 封緘機能を有する吐出容器
RU2019117960A (ru) * 2016-11-22 2020-12-24 Маккормик Энд Компани, Инкорпорейтед Выдачная упаковка с откидной или поворотной крышкой и способ ее изготовления
KR101956823B1 (ko) * 2016-12-20 2019-03-12 주식회사 블리스팩 어플리케이터 내재 블리스터 용기
JP6888991B2 (ja) * 2017-03-16 2021-06-18 日本クロージャー株式会社 吐出キャップ
JP7179465B2 (ja) 2018-01-16 2022-11-29 藤森工業株式会社 点眼液容器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45286B2 (ja) 1993-12-09 2002-01-07 株式会社吉野工業所 キャップ
US20080073348A1 (en) 2006-09-27 2008-03-27 Daniel PRITIKIN Container closure assembly
KR101181302B1 (ko) * 2011-05-04 2012-09-10 주식회사 블리스팩 재밀봉이 가능한 안구용 액제 포장용 블리스터 용기
JP2019043575A (ja) * 2017-08-31 2019-03-22 株式会社吉野工業所 ヒンジキャップ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964450A4 (en) 2023-02-08
KR20200127321A (ko) 2020-11-11
CN113727916B (zh) 2023-05-23
JP2022530374A (ja) 2022-06-29
CN113727916A (zh) 2021-11-30
US20220242624A1 (en) 2022-08-04
EP3964450A1 (en) 2022-03-09
WO2020222467A1 (ko) 2020-11-05
JP7465568B2 (ja) 2024-04-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851127B1 (en) Closure system with improved sealing of lid
JP2938784B2 (ja) プラスチックチャック
KR100558236B1 (ko) 단일편으로 성형된 플립형 캡 덮개
CN201362419Y (zh) 具有盖体保护的封闭物
MXPA03011426A (es) Cierre que hace evidente la manipulacion indebida y accesorio de surtidor para una bolsa.
US5819984A (en) Package with storage and plug retention features
US20060144875A1 (en) Flexible container containing a liquid product, and a process for making a liquid-filled, flexible container
CN106458352B (zh) 用于柔性容器的配件
US10518945B2 (en) Closure for a container
JP2012524700A (ja) 食品供給用容器への適用を特に意図したディスペンサ蓋体
WO2015045025A1 (ja) レフィル容器およびそれを用いたレフィル容器製品、並びにそれを用いた二重容器製品
KR102206401B1 (ko) 숄더부 일체형 플립톱 캡을 구비하는 블리스터 포장용기
JP6044048B2 (ja) 再密封が可能なブリスター包装容器
JP5827174B2 (ja) レフィル容器およびそれを用いたレフィル容器製品、並びにそれを用いた二重容器製品。
JP2006111335A (ja) 二重構造スクイズ容器
JP4061158B2 (ja) 注出口組立体
JPH10194308A (ja) 押出し容器
EP3290351B1 (en) Liquid container sealing device
US20180327150A1 (en) Reclosable container for dipping and squeezing
KR19990013387A (ko) 포장용기의 입구부 조합
KR102355466B1 (ko) 미용패치용 화장품 용기
MX2011010313A (es) Tapa de una sola pieza para envases de carton.
JPH07172451A (ja) 密閉形蓋付容器
JP2017001697A (ja) 包装袋
KR200276349Y1 (ko) 지퍼가 형성된 비닐봉지의 제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