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18329B1 - 캐빈을 갖는 주행 차량 - Google Patents

캐빈을 갖는 주행 차량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18329B1
KR100918329B1 KR1020070088128A KR20070088128A KR100918329B1 KR 100918329 B1 KR100918329 B1 KR 100918329B1 KR 1020070088128 A KR1020070088128 A KR 1020070088128A KR 20070088128 A KR20070088128 A KR 20070088128A KR 100918329 B1 KR100918329 B1 KR 1009183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in
bracket
traveling vehicle
rigidity
rigid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881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52302A (ko
Inventor
겐이찌 아오야마
마꼬또 시노하라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filed Critical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Publication of KR200800523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523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183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183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49/00Trac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33/00Superstructures for load-carrying vehicles
    • B62D33/06Drivers' cabs
    • B62D33/0617Drivers' cabs for tractors or off-the-road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33/00Superstructures for load-carrying vehicles
    • B62D33/06Drivers' cab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33/00Superstructures for load-carrying vehicles
    • B62D33/06Drivers' cabs
    • B62D33/0604Cabs insulated against vibrations or noise, e.g. with elastic suspens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49/00Tractors
    • B62D49/06Tractors adapted for multi-purpose u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 Component Parts Of Construction Machinery (AREA)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 Vibration Prevention Devices (AREA)

Abstract

캐빈실 내의 공기의 공명 주파수와, 캐빈 브래킷 및 방진 부재를 개재하여 캐빈으로 전달되는 진동의 진동수가 일치하기 어렵게 구성하는 것을 용이하게 할 수 있어, 캐빈 내에서 공명 등이 일어나 갇힌 소리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캐빈을 갖는 주행 차량을 실현한다.
주행 차체(3)에 캐빈 브래킷(30)을 구비하고, 캐빈 브래킷(30)의 상면측에 탄성 부재(36)를 개재하여 캐빈(8)이 지지되어 있는 캐빈을 갖는 주행 차량에 있어서, 캐빈 브래킷(30)을, 주행 차체(3)와의 고정 부재(31)와, 고정 부재(31)로부터 외방측으로 연장된 고강성 부분 A와, 고강성 부분 A의 외방측의 단부로부터 외방측으로 연장되어 고강성 부분 A보다도 상하 방향의 강성이 낮은 저강성 부분 B를 구비하여 구성하는 동시에, 캐빈 브래킷(30)의 외방측의 단부에 방진 웨이트(40)를 구비한다.
Figure R1020070088128
캐빈 브래킷, 고정 부재, 방진 웨이트, 주행 차체, 진동수

Description

캐빈을 갖는 주행 차량 {VEHICLE WITH CABIN}
본 발명은, 캐빈 브래킷의 상면측에 탄성 부재를 개재하여 캐빈이 지지되어 있는 캐빈을 갖는 주행 차량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기술로서는, 예를 들어 JP2000-233688호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전동 케이스로부터 좌우 양측방으로 연장된 캐빈 브래킷의 상면측에, 방진 부재를 개재하여 캐빈이 지지되어 있는 캐빈을 갖는 주행 차량이나, JP2001-163267호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클러치 하우징으로부터 좌우 양측방으로 연장된 캐빈 브래킷의 상면측에, 방진 부재를 개재하여 캐빈이 지지되어 있는 캐빈을 갖는 주행 차량이 알려져 있다.
JP2000-233688호에 개시되어 있는 종래의 캐빈을 갖는 주행 차량에 있어서는, 제진 매스(mass)를 설치하고, 캐빈 실내의 공기의 공명 주파수와, 캐빈 브래킷 및 방진 부재를 개재하여 캐빈으로 전달된 진동의 진동수가 일치하기 어렵게 구성함으로써, 캐빈 내에서 공명(resonance) 등이 일어나 갇힌 소리(muffled noise)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또한, JP2001-163267호에 개시되어 있는 종래의 캐빈을 갖는 주행 차량에 있어서는, 방진용의 추를 설치하고, 캐빈실 내의 공기의 공명 주파수와, 캐빈 브래킷 및 방진 부재를 개재하여 캐빈으로 전달되는 진동의 진동수가 일치하기 어렵게 구성함으로써, 캐빈 내에서 공명 등이 일어나 갇힌 소리가 발생 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문헌에 개시되어 있는 종래의 캐빈을 갖는 주행 차량에 있어서는, 캐빈 브래킷의 고정 부재로부터 캐빈 브래킷의 선단부에 걸쳐 대략 일률적인 높은 강성으로 되도록 캐빈 브래킷이 구성되어 있으며, 캐빈 브래킷의 고유 진동수가 고정 부재로부터 선단부에 걸쳐 대략 일률적으로 높은 값으로 되었다. 그 때문에 제진 매스나 방진용의 추를 설치해도, 캐빈 브래킷 자체의 고유 진동수가 변화되지 않는다. 따라서, 캐빈실 내의 공기의 공명 주파수와, 캐빈 브래킷 및 방진 부재를 개재하여 캐빈으로 전달되는 진동의 진동수가 일치하기 어렵게 구성하는 것이 곤란하다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캐빈실 내의 공기의 공명 주파수와, 캐빈 브래킷 및 방진 부재를 개재하여 캐빈으로 전달되는 진동의 진동수가 일치하기 어렵게 구성하는 것을 용이하게 할 수 있어, 캐빈 내에서 공명 등이 일어나서 갇힌 소리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캐빈을 갖는 주행 차량을 실현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1 특징은, 주행 차체에 캐빈 브래킷을 구비하고, 상기 캐빈 브래킷의 상면측에 탄성 부재를 개재하여 캐빈이 지지되어 있는 캐빈을 갖는 주행 차 량에 있어서,
상기 캐빈 브래킷을, 상기 주행 차체에 대하여 고정된 고정 부재와, 상기 고정 부재로부터 상기 차체의 외방측으로 연장된 고강성 부분과, 상기 고강성 부분의 외방측의 단부로부터 외방측으로 연장되고 방진 고무에 의해 지지되는, 상기 고강성 부분보다도 상하 방향의 강성이 낮은 저강성 부분을 구비하여 구성하는 동시에, 상기 캐빈 브래킷의 외방측의 단부에 방진 웨이트(weight)가 구비되어 있는 점이다.
본 발명의 제1 특징에 의하면, 상기 구성으로부터, 고강성 부분에 의해 캐빈 브래킷의 강도를 확보하면서, 엔진이나 주행에 의한 진동을, 강성이 낮고 고유 진동수가 낮은 저강성 부분을 통하여 캐빈으로 전달할 수 있어, 캐빈 브래킷의 고유 진동수를 낮게 억제할 수 있다고 생각된다. 또한, 방진 웨이트에 의해 캐빈 브래킷의 고유 진동수를 조절할 수 있다고 생각된다. 그 결과, 캐빈 브래킷 및 방진 부재를 개재하여 캐빈으로 전달되는 진동의 진동수를 낮은 값으로 조절할 수 있다고 생각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예를 들어 도6 및 도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캐빈 내의 운전자 등에 있어서 귀에 거슬리는 주파수 영역(공명 주파수 영역)에 있어서의 진동 전달율의 제1 피크값(I)을, 캐빈 내의 운전자 등에 있어서 귀에 거슬리지 않는 주파수가 낮은 영역(I-A, I-B)으로 조절할 수 있다고 생각된다. 그 결과, 캐빈 브래킷 및 방진 부재를 개재하여 캐빈으로 전달되는 진동의 진동수(주파수)를 낮은 값으로 조절할 수 있다고 생각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1 특징에 의하면, 캐빈 브래킷 및 방진 부재를 개재하 여 캐빈으로 전달되는 진동의 진동수를 낮은 값으로 조절할 수 있다고 생각되기 때문에, 캐빈실 내의 공기의 공명 주파수와, 캐빈 브래킷 및 방진 부재를 개재하여 캐빈으로 전달되는 진동의 진동수가 일치하기 어렵게 구성하는 것을 용이하게 할 수 있어, 캐빈 내에서 공명 등이 일어나 갇힌 소리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특징은, 상기 저강성 부분의 외방측의 단부로부터 외방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저강성 부분보다도 상하 방향의 강성이 높은 보조 고강성 부분이, 상기 캐빈 브래킷에 구비되어 있는 점이다.
본 발명의 제2 특징에 의하면, 상기 구성에 의해, 고강성 부분과, 저강성 부분과, 저강성 부분의 외방측의 단부로부터 연장된 강성이 저강성 부분보다 높고 고유 진동수가 큰 보조 고강성 부분에 의해, 캐빈 브래킷의 고유 진동수에 강약강의 3개의 강약을 형성할 수 있어, 보조 고강성 부분에 의해 캐빈 브래킷의 고유 진동수를 부분적으로 변경할 수 있다고 생각된다. 그 결과, 캐빈 브래킷 및 방진 부재를 개재하여 캐빈으로 전달되는 진동의 진동수를 부분적으로 변경할 수 있다고 생각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예를 들어 도6 및 도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캐빈 내의 운전자 등에 있어서 귀에 거슬리지 않는 주파수가 낮은 영역에 있어서의 진동 전달율의 제1 피크값(I-A, I-B)을 이동시키지 않고, 캐빈 내의 운전자 등에 있어서 귀에 거슬리는 주파수 영역(공명 주파수 영역)에 있어서의 진동 전달율의 제2 피크값(Ⅱ-A)을, 캐빈 내의 운전자 등에 있어서 귀에 거슬리지 않는 주파수의 높은 영 역(Ⅱ-B)으로 이동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캐빈 브래킷 및 방진 부재를 개재하여 캐빈으로 전달되는 진동의 진동수(주파수)를 부분적으로 변경할 수 있다고 생각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2 특징에 의하면, 캐빈 브래킷 및 방진 부재를 개재하여 캐빈으로 전달되는 진동의 진동수를 부분적으로 변경할 수 있다고 생각되기 때문에, 캐빈 브래킷 및 방진 부재를 개재하여 캐빈으로 전달되는 진동의 진동수를 정밀도 높게 조절할 수 있어, 캐빈 내에서 공명 등이 일어나서 갇힌 소리가 발생하는 것을 더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 특징은, 상기 고강성 부분은, 상기 고정 부재에 대하여 고정된 지지 부재와 상기 지지 부재에 대하여 접촉하여 상기 지지 부재를 하방으로부터 지지하는 보강 부재를 포함하는 점이다. 또한, 제5 특징 구성과 같이 상기 보강 부재를 판 형상체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용이하게 고강성 부분을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4 특징은, 상기 보조 고강성 부분은, 상기 고정 부재에 대하여 고정된 지지 부재와 상기 지지 부재에 대하여 접촉하여 상기 지지 부재를 하방으로부터 지지하는 조절 부재를 포함하는 점이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용이하게 보조 고강성 부분을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6 특징과 같이, 상기 저강성 부분에는, 상기 탄성 부재를 부착하기 위한 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캐빈실 내의 공기의 공명 주파수와, 캐빈 브래킷 및 방진 부재를 개재하여 캐빈으로 전달되는 진동의 진동수가 일치하기 어렵게 구성하는 것을 용이하게 할 수 있어, 캐빈 내에서 공명 등이 일어나서 갇힌 소리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캐빈을 갖는 주행 차량을 실현할 수 있다.
〔트랙터의 전체 구성〕
도1 내지 도3에 기초하여, 본 발명에 관한 캐빈 브래킷(30)을 구비한 주행 차량의 일례인 트랙터의 전체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에 관한 캐빈 브래킷(30) 및 방진 웨이트(40)를 구비한 트랙터의 전체 측면도를 도시하고, 도2 및 도3은, 캐빈(8)의 구조 및 캐빈(8)의 탑재 구조를 나타내는 주요부의 횡단 평면도 및 측면도를 각각 도시한다.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 트랙터는, 좌우 한 쌍의 조향 조작 및 구동 가능한 전륜(1)과, 좌우 한 쌍의 구동 가능한 후륜(2)을 주행 차체(3)에 구비한 사륜 구동 사양으로 구성되어 있다. 주행 차체(3)의 전방부에, 엔진(4) 등이 내장된 본네트부(5)를 구비하고, 주행 차체(3)의 후방부에, 스티어링 핸들(6), 운전 좌석(7) 등이 내장된 캐빈(8)을 구비한다.
엔진(4)의 하부로부터 전방으로 전방부 프레임(10)이 연장되어 있으며, 이 전방부 프레임(10)에 전륜(1)을 장착하는 차축 케이스 등(도시하지 않음)이 지지되어 있다. 또한, 엔진(4)으로부터 후방으로 클러치 하우징(11)이 연장되어 있으며, 이 클러치 하우징(11)에 운전 좌석(7)의 하방에 위치하는 미션 케이스(12)가 연결 되어, 엔진(4)으로부터의 동력이 후륜(2)으로 전달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주행 차체(3)의 후방부에, 좌우 한 쌍의 리프트 암에 의하여 구성된 링크 기구(13) 및 동력 취출축(14)을 구비하고, 링크 기구(13)에 로터리 경운 장치 등(도시하지 않음)을 승강 조작 가능하게 연결하고, 동력 취출축(14)에 로터리 경운 장치 등을 연동 연결함으로써 로터리 경운 장치 등의 승강 조작 및 구동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1 내지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캐빈(8)은, 캐빈 프레임(20)과, 캐빈 프레임(20)의 전방면을 덮는 프론트 글래스(16)와, 캐빈 프레임(20)의 양측면의 승강구에 설치된 요동 개폐 가능한 도어(17)와, 이 도어(17)의 후방부에 설치된 사이드 글래스(18)와, 캐빈 프레임(20)의 후면을 덮는 리어 글래스(19) 등을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캐빈 프레임(20)은, 캐빈(8)을 지지하는 지지 프레임(21)과, 이 지지 프레임(21)에 연결된 하부 프레임(22) 등을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하부 프레임(22)의 전단부, 후방부 및 후단부로부터 좌우 한 쌍의 전방 세로 프레임(23), 좌우 한 쌍의 중간 세로 프레임(24) 및 좌우 한 쌍의 후방 세로 프레임(25)이 각각 상방으로 연장되어 있으며, 이 전방 세로 프레임(23), 중간 세로 프레임(24) 및 후방 세로 프레임(25)이, 각각 상부 프레임(26)에 연결되어 있다. 캐빈 프레임(20)을 구성하는 각종 프레임류는 파이프재 등을 용접 성형함으로써 구성되어 있다.
캐빈 프레임(20)의 상부는, 수지로 만든 블로 성형에 의해 중공 형상으로 구성된 루프 패널(27)에 의해 상방으로부터 덮혀 있으며, 이 루프 패널(27)은, 시일 부재(도시하지 않음)를 개재하여 상부 프레임(26)에 고정되어 있다. 캐빈 프레임(20)의 하면측에는, 캐빈(8)의 바닥을 형성하는 플로어 패널(28)이 연결되어 있고, 캐빈 프레임(20) 후방 하부의 양측부에는, 후륜 펜더(29)가 연결되어 있다. 캐빈 프레임(20)의 전방부에는, 스티어링 핸들(6) 등이 연결되어 있으며, 캐빈 프레임(20)의 후방부에는, 운전 좌석(7)이 지지되어 있다.
캐빈 프레임(20)을 구성하는 좌우 전방 세로 프레임(23)에 걸쳐, 프론트 글래스(16)가 고정되어 있고, 캐빈 프레임(20)의 전방면이 이 프론트 글래스(16)로 덮혀 있다. 캐빈 프레임(20)을 구성하는 좌우의 후방 세로 프레임(25)에 걸쳐 리어 글래스(19)가 부착되어 있으며, 캐빈 프레임(20)의 후면이 이 리어 글래스(19)로 덮혀 있다.
전방 세로 프레임(23)과 중간 세로 프레임(24)에 걸쳐 형성된 캐빈 프레임(20) 양측면의 승강구에, 도어(17)가 그 후단부의 축심 주위로 요동 개폐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으며, 중간 세로 프레임(24)과 후방 세로 프레임(25)에 걸쳐서 사이드 글래스(18)가 요동 개폐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도2 및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캐빈(8)은, 그 전방부의 좌우 양측부가 탄성 부재의 일례인 방진 고무(36)를 개재하여 클러치 하우징(11)으로부터 좌우 양측방으로 연장된 캐빈 브래킷(30)에 지지되어 있으며, 그 후부의 좌우 양측부에 위치하는 지지 프레임(21)의 하단부에 고정된 지지 브래킷(44)이, 방진 고무(46)를 개재하여 후차축 케이스(47)로부터 연장된 후방부 캐빈 브래킷(45)에 지지되어 있다.
〔캐빈 브래킷 및 방진 웨이트의 상세 구조〕
도4 및 도5에 기초하여, 본 발명에 따른 캐빈 브래킷(30) 및 방진 웨이트(40)의 상세 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4는, 캐빈 브래킷(30) 부근의 종단 배면도를 도시하고, 도5는, 캐빈 브래킷(30) 부근의 저면도를 도시한다. 또한, 도4 및 도5에 있어서는, 캐빈(8)의 좌측 전부의 캐빈 브래킷(30) 등을 예로 도시하지만, 캐빈(8)의 우측 전방부의 캐빈 브래킷(30) 등에 관해서도 좌우의 모양이 상이한 것 이외의 다른 구성은 마찬가지이다.
도4 및 도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캐빈 브래킷(30)은, 클러치 하우징(11)에 고정하는 고정 부재(31)와, 방진 고무(36)를 개재하여 캐빈(8)을 지지하는 지지 부재(32)와, 캐빈 브래킷(30)의 근원부에 설치된 보강 부재(33)와, 캐빈 브래킷(30)의 선단부에 설치된 조절 부재(34)를 용접으로 일체로 형성함으로써 구성되어 있다.
고정 부재(31)에는, 클러치 하우징(11)에 부착된 너트부(11a)에 캐빈 브래킷(30)을 체결하여 고정하기 위한 부착 구멍(31a)이 가공되어 있으며, 고정 부재(31)를 캐빈 브래킷(30)에 접촉시켜 볼트(35)를 체결함으로써 캐빈 브래킷(30)을 클러치 하우징(11)에 고정할 수 있다.
지지 부재(32)에는, 방진 고무(36)를 부착하기 위한 고무 삽입 구멍(32a)과, 방진 고무(36)를 캐빈 브래킷(30)에 체결하여 고정하기 위한 너트부(32b)와, 위치 결정 핀 부착 구멍(32c)과, 방진 웨이트 부착 구멍(32d)이 가공되어 있다.
방진 고무(36)는, 연결 볼트(38)를 삽입하는 통 형상 부재(36a)와, 고무로 만든 방진 본체(36b)와, 부착 구멍이 가공된 링 형상의 부착 금속 부재(36c)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으며, 원통 형상으로 형성된 방진 본체(36b)의 하부를 지지 부재(32)의 고무 삽입 구멍(32a)에 삽입하고, 부착 금속 부재(36c)를 지지 부재(32)의 상면에 접촉시켜 지지 부재(32)의 너트부(32b)에 볼트(39)를 비틀어 넣어 체졀하여 고정함으로써 방진 고무(36)를 캐빈 브래킷(30)에 고정할 수 있다.
방진 웨이트(40)는, 재질이 비중이 무거운 납이고, 부착 구멍(40a)을 형성한 평판 형상으로 성형되어 있다. 방진 웨이트(40)를 하방으로부터 지지 부재(32)에 접촉시켜, 볼트(41)로 체결하여 고정함으로써 방진 웨이트(40)를 캐빈 브래킷(30)에 고정할 수 있게 구성되어 있다.
또한, 방진 웨이트(40)는, 그 매수를 변경함으로써, 캐빈 브래킷(30)의 선단부의 중량을 변경 조절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그 때문에, 예를 들어 캐빈(8)이나 엔진(4) 등의 사양에 의해 진동 특성이 상이한 트랙터이어도, 방진 웨이트(40)의 매수를 변경함으로써 진동 특성을 변경 및 미조절할 수 있다.
보강 부재(33)는, 평판 형상으로 형성되고, 고정 부재(31)와 지지 부재(32)에 걸쳐 전후 2개소에 고착되어 있다. 보강 부재(33)의 형상이나 고정 부재(31)로부터 외방측으로 연장된 길이는, 캐빈 브래킷(30)에 의해 지지하는 캐빈(8)이나 운전자 등의 중량, 즉 캐빈 브래킷(30)이 지지하는 하중이나 방진 고무(36)의 방진 특성 등에 대하여 설정되어 있다.
조절 부재(34)는, 평판 형상으로 형성되고, 지지 부재(32)의 하면측의 전후 2 개소에 고착되어 있다. 조절 부재(34)의 좌우 방향의 길이나 부착 위치는, 캐빈 브래킷(30)에 의해 지지하는 캐빈(8)이나 운전자 등의 중량, 및 엔진(4) 등으로부터 클러치 하우징(11)으로 전달되는 진동 특성 등에 기초하여 설정되어 있으며, 조절 부재(34)의 형상이나 길이를 변경함으로써, 예를 들어 캐빈(8)이나 엔진(4)의 사양이 상이한 트랙터이어도, 상이한 진동 특성에 따른 적합한 캐빈 지지 구조를 실현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지지 부재(32)에 보강 부재(33) 및 조절 부재(34)를 고착함으로써, 고강성 부분 A, 저강성 부분 B 및 보조 고강성 부분 C를 형성하게 된다(도4 및 도5 참조). 즉, 지지 부재(32)에 보강 부재(33)가 고착되어 고강성 부분 A를 형성하고, 지지 부재(32)에 조절 부재(34)가 고착되어 보조 고강성 부분 C를 형성하며, 방진 부재(36)를 지지하며 보강 부재(33) 및 조절 부재(34)가 고착되지 않는 부분이 저강성 부분 B로 된다. 부연하면, 캐빈 브래킷(30)의 고정 부재(31)로부터 외방측으로 연장되는 보강 부재(33)가 지지 부재(32)에 고착되어 지지 부재(32)의 고강성 부분 A를 구성하며, 고강성 부분 A의 외방측 단부로부터 외방측으로 연장되어 방진 고무(36)를 지지하는 부분이 지지 부재(32)의 저강성 부분 B를 구성한다. 또한, 저강성 부분 B의 외방측 단부로부터 외방측으로 연장되는 조절 부재(34)가 지지 부재(32)에 고착되어 지지 부재(32)의 보조 고강성 부분 C를 구성하며, 보조 고강성 부분 C의 외방측의 단부면에 간극을 두지 않고 방진 웨이트(40)가 부착되어 있다. 지지 부재(32)나 보강 부재(33)나 조절 부재(34)는 적합하게는 강철 등의 금속으로 만든 판 형상체이다. 보강 부재(33)나 조절 부재(34)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으며, 각각의 측면이 상기 지지 부재(32)에 접촉함으로써, 지지 부재(32)를 상하 방향에 있어서 지지하고 있다.
도4 및 도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캐빈 프레임(20)의 하단면을 형성하는 플로어 패널(28)의 하면측에는, 접시 형상의 연계 부재(37)가 고정되어 있으며, 이 연계 부재(37)를 방진 고무(36)의 상면에 접촉시켜 방진 고무(36)의 통 형상 부재(36a)에 연결 볼트(38)를 삽입해 체결하여 고정함으로써 캐빈(8)과 방진 고 무(36)를 연결할 수 있고, 캐빈(8)을, 방진 고무(36)를 개재하여 캐빈 브래킷(30)에 지지할 수 있게 구성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캐빈 브래킷(30)을 구성해 캐빈(8)을 지지함으로써, 캐빈 브래킷(30)의 보강 부재(33)에 의해, 캐빈(8)을 지지함에 따른 캐빈 브래킷(30)에 작용하는 휨 모멘트에 대한 캐빈 브래킷(30)의 상하 방향의 휨 강도를 확보하면서, 상하 방향의 강성이 낮은 저강성 부분 B를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지지 부재(32)의 위치 결정 핀 부착 구멍(32c)에 위치 결정 핀(42)을 고정한 상태에서, 플로어 패널(28)에 형성한 위치 결정 구멍(28a)을 위치 결정 핀(42)의 선단부에 맞게 캐빈(8)을 캐빈 브래킷(30)에 탑재함으로써, 캐빈 브래킷(30)에 대한 캐빈(8)의 전후좌우 방향의 위치 결정을 간이하고 신속하게 행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진동 전달 상황〕
도6 및 도7에 기초하여, 본 발명에 관한 캐빈 브래킷(30)을 장착한 트랙터의 주파수마다의 진동 전달율의 일례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한, 후술하는 주파수, 진동 전달율, 공명 주파수 영역 등의 수치는 캐빈(8)의 구조나 방진 고무(36)의 진동 특성 등에 의해 상이한 것이며, 그 일례로서 나타내는 것이다.
도6의 횡축은, 주파수의 크기(㎐)를 나타내고, 도6의 종축은, 클러치 하우징(11)부터 방진 고무(36)까지의 사이의 캐빈 브래킷(30)의 진동 전달율(무차원의 값), 즉, 방진 고무(36)로의 입력 진동[캐빈 브래킷(30)으로부터 방진 고무(36)의 부착 금속 부재(36c)로 전달되는 진동]을 클러치 하우징(11)의 출력 진동[엔진(4) 등으로부터 클러치 하우징(11)을 개재하여 캐빈 브래킷(30)의 고정 부재(31)로 전달되는 진동]으로 나눈 값을 나타낸다. 또한, 입력 진동 및 출력 진동의 단위는, 가속도 또는 힘의 크기를 나타낸다.
예를 들어, 진동 전달율=1에서는, 클러치 하우징(11)의 출력 진동이 방진되지 않고 방진 고무(36)로 전달된다. 즉, 동일한 주파수에서 비교한 경우, 진동 전달율이 낮을수록, 방진 고무(36)로 전달되는 진동이 작아지고, 방진 고무(36)를 개재하여 캐빈(8)으로 전달되는 엔진(4) 등으로부터의 진동이 작아진다.
또한, 도7의 횡축은, 주파수의 크기(㎐)를 나타내고, 도7의 종축은, 클러치 하우징(11)부터 연계 부재(37)까지의 사이의 캐빈 브래킷(30)의 진동 전달율, 즉, 연계 부재(37)로의 입력 진동[캐빈 브래킷(30)으로부터 방진 고무(36)를 개재하여 연계 부재(37)로 전달되는 진동]을 클러치 하우징(11)의 출력 진동[엔진(4) 등으로부터 클러치 하우징(11)을 개재하여 캐빈 브래킷(30)의 고정 부재(31)로 전달되는 진동]으로 나눈 값을 나타낸다. 또한, 도7에 있어서는, 도6과 달리 고유 진동수가 더 낮은 방진 고무(36)를 개재한 진동 전달율을 나타내기 위해, 도7에 비교하여 진동 전달율의 값은 작은 값으로 되어 있다.
도6 및 도7에 도시하는 굵은 선은, 상술한 캐빈 브래킷(30)을 채용한 트랙터에 있어서의 주파수마다의 진동 전달율을 측정한 값을 플롯한 곡선을 나타내고, 도6 및 도7에 도시하는 가는 선은, 종래의 캐빈 브래킷(50)(도10 참조)을 채용한 트랙터에 있어서의 주파수마다의 진동 전달율을 측정한 값을 플롯한 곡선을 나타내고, 도6 및 도7에 도시하는 점선은, 조절 부재(34)를 부착하지 않은 캐빈 브래 킷(30)(도8 및 도9 참조)을 채용한 트랙터에 있어서의 주파수마다의 진동 전달율을 측정한 값을 플롯한 곡선을 나타낸다.
도6 및 도7의 가는 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종래의 캐빈 브래킷(50)에 있어서는, 캐빈 브래킷(50)의 강성이 높고 고유 진동수가 컸기 때문에, 주파수가 상승하는데 수반하여 진동 전달율이 상승하여, 주파수가 250㎐ 부근에서 제1 피크값(I)에 도달하고, 주파수가 1000㎐ 부근에서 제2 피크값(Ⅱ)에 도달하는 특성을 나타내었다.
도6 및 도7의 굵은 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관한 캐빈 브래킷(30)을 채용하면, 캐빈 브래킷(30)의 강성이 낮게 억제되고 있기 때문에 캐빈 브래킷(30)의 고유 진동수가 작다. 그 때문에, 주파수가 상승하는데 수반하여 진동 전달율이 상승하여, 주파수가 90㎐ 부근에서 제1 피크값(I-B)에 도달하고, 그 후 진동 전달율이 작아지고나서 서서히 상승하여, 주파수가 600㎐ 부근에서 제2 피크값(Ⅱ-B)에 도달한다.
즉, 캐빈 브래킷(30)의 강성을 낮게 억제하여 방진 웨이트(40)를 부착함으로써, 종래의 캐빈 브래킷(50)에 있어서의 진동 전달율의 제1 피크값(I) 및 제2 피크값(Ⅱ)을, 주파수가 낮은 제1 피크값(I-B) 및 제2 피크값(Ⅱ-B)으로 이동할 수 있다.
도6 및 도7의 점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조절 부재(34)를 부착하지 않은 캐빈 브래킷(30)을 채용하면, 캐빈 브래킷(30)의 강성이 낮게 억제되기 때문에 캐빈 브래킷(30)의 고유 진동수가 작다. 그 때문에 주파수가 90㎐ 부근에서 진동 전달 율이 제1 피크값(I-A)에 도달하고, 그 후 진동 전달율이 작아져 서서히 상승하여, 주파수가 350㎐ 부근에서 진동 전달율이 제2 피크값(Ⅱ-A)에 도달한다.
즉, 조절 부재(34)가 부착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도6 및 도7의 굵은 선으로 나타내는 캐빈 브래킷(30)에 비하여, 주파수가 낮은 영역(100㎐ 내지 400㎐ 부근)에서 진동 전달율이 커서, 주파수가 350㎐ 부근에서 제2 피크값(Ⅱ-A)에 도달하고 있다. 즉, 조절 부재(34)를 설치함으로써, 제1 피크값(I-A, I-B)을 이동시키지 않고, 제2 피크값을 Ⅱ-A로부터 Ⅱ-B로 이동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트랙터에 있어서는, 엔진(4) 등으로부터 캐빈 브래킷(30)을 개재하여 캐빈(8)으로 전달되는 진동 중, 주파수가 100 내지 500㎐의 범위 내의 진동(이하 공명 주파수 영역으로 정의함)이 캐빈 공간의 공명 주파수와 공명하기 쉬워, 캐빈 내의 운전자 등에 있어서 귀에 거슬리는 주파수에서, 운전 환경을 악화시키는 원인으로 되기 쉬운 실험 데이터가 얻어진다(도시하지 않음). 그 때문에 강성을 낮게 억제한 캐빈 브래킷(30) 및 방진 웨이트(40)에 의해 제1 피크값(I)을 100㎐ 이하(I-B)로 이동하고, 조절 부재(34)에 의해 제2 피크값(Ⅱ)을 500㎐ 이상(Ⅱ-B)으로 이동시킬 수 있어, 캐빈 내의 운전자 등에 있어서 귀에 거슬리는 공명 주파수 영역에 진동 전달율의 제1 및 제2 피크값이 들어가지 않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관한 캐빈 브래킷(30)을 채용함으로써, 도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의 캐빈 브래킷(50)의 제1 피크값(I)이나 조절 부재(34)가 부착되어 있지 않은 캐빈 브래킷(30)의 제2 피크값(Ⅱ-A)과 같이 진동 전달율이 높은 주파수의 영역이, 캐빈 내의 운전자 등에 있어서 귀에 거슬리는 공명 주파수 영역의 범위 내에 있어서 적어져, 이 범위 내에 있어서의 진동 전달율을 낮은 주파수로 평균화할 수 있다. 그 결과, 캐빈실 내의 공기의 공명 주파수와, 캐빈 브래킷(30) 및 방진 고무(36)를 개재하여 캐빈(8)으로 전달되는 고유 진동수가 일치하기 어렵게 구성할 수 있다.
〔종래의 캐빈 브래킷의 구조〕
도10은, 종래의 캐빈 브래킷(50)의 구조를 도시한 개략도이며, 도10의 (A)는 캐빈 브래킷(50) 부근의 배면도를 나타내고, 도10의 (B)는 캐빈 브래킷(50) 부근의 측면도를 나타낸다.
도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의 캐빈 브래킷(50)은, 단면 형상이 하향의 ㄷ자형으로 성형되고, 클러치 하우징(11)과의 고정 부분으로부터 캐빈 브래킷(50)의 선단부에 걸쳐, 강성이 높은 구조가 채용되었다. 또한, 도10에 도시하는 종래의 캐빈 브래킷(50)의 구조가, 본 발명의 설명에 있어서 비교를 위하여 도시한 도6 및 도7의 그래프에 있어서의 종래의 캐빈 브래킷(50)의 구조이다.
[발명의 실시의 제1 다른 형태]
전술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캐빈 브래킷(30)에, 고정 부재(31), 지지 부재(32), 보강 부재(33) 및 조절 부재(34)를 구비하여 구성한 예를 설명했지만, 도8 및 도9에 도시한 바와 같은 캐빈 브래킷(30)을 채용하여도 된다. 또한, 후술하는 이외의 다른 구성은, 전술하는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이다.
도8은, 캐빈 브래킷(30) 부근의 종단 배면도를 도시하고, 도9는, 캐빈 브래킷(30) 부근의 저면도를 도시한다. 또한, 도8 및 도9에 있어서는, 캐빈(8)의 좌측 전방부의 캐빈 브래킷(30) 등을 예로 나타내지만, 캐빈(8)의 우측 전방부의 캐빈 브래킷(30) 등에 관해서도 좌우의 모양이 상이한 것 이외의 다른 구성은 마찬가지이다.
도8 및 도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캐빈 브래킷(30)은, 클러치 하우징(11)에 고정하는 고정 부재(31)와, 방진 고무(36)를 개재하여 캐빈(8)을 지지하는 지지 부재(32)와, 캐빈 브래킷(30)의 근원부에 설치된 보강 부재(33)를 용접으로 일체 형성함으로써 구성되어 있다.
보강 부재(33)는, 세로 평판 형상의 대판(帶板)을 く자 형상으로 굴곡시킨 형상으로 성형되고, 고정 부재(31)로부터 지지 부재(32)의 고무 삽입 구멍(32a)의 중심선의 부근으로 연장되어, 고정 부재(31) 및 지지 부재(32)의 전후 2개소에 고착되어 있다.
방진 웨이트 부착 구멍(32d)은, 좌우 방향으로 긴, 긴 구멍으로 가공되어 있으며, 방진 웨이트(40)의 좌우 방향의 위치를 변경 조절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이렇게 구성함으로써, 예를 들어 캐빈(8)이나 엔진(4) 등의 사양에 의해 진동 특성이 상이한 트랙터이어도, 방진 웨이트(40)의 위치를 변경함으로써 진동 특성을 미조절하여 주행 차체(3)측으로부터 캐빈(8)으로 전달되는 진동을 억제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캐빈 브래킷(30)의 고정 부재(31)로부터 외방측으로 연장된 보강 부재(33) 및 이 보강 부재(33)를 설치한 위치에 있어서의 지지 부재(32)에 의해 고강성 부분 A가 구성되어 있으며, 고강성 부분 A의 외방측의 단부로부터 외방측으로 연장된 지지 부재(32)에 의해 저강성 부분 B가 구성되어 있다.
예를 들어, 공명 주파수 영역이 낮은 캐빈을 갖는 주행 차량에 있어서 조절 부재(34)를 설치하지 않은 캐빈 브래킷(30)을 채용함으로써, 공명 주파수 영역의 범위 내에 있어서의 주파수를 낮은 주파수로 평균화하면서, 캐빈 브래킷(30)의 구조를 간소화할 수 있어, 제조 코스트 삭감을 꾀할 수 있다.
[발명의 실시의 제2 다른 형태]
전술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캐빈 브래킷(30)을 엔진(4)으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된 클러치 하우징(11)에 지지한 예를 설명했지만, 캐빈 브래킷(30)을 주행 차체(3)에 지지하는 부재는 상이한 부재이어도 되고, 예를 들어 엔진(4)으로부터 후방으로 차체 프레임(도시하지 않음)을 연장하고 있는 주행 차량에 있어서는, 차체 프레임에 캐빈 브래킷(30)을 지지하는 구성을 채용하여도 된다.
전술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캐빈(8)의 전방부의 좌우 양측부를 캐빈 브래킷(30)에 의해 지지한 예를 설명했지만, 캐빈(8)의 전후 중앙부 또는 후방부의 양측부를 지지하는 경우에도, 상술한 캐빈 브래킷(30)의 구조를 채용할 수 있다.
전술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 설명한 캐빈 브래킷(30) 등의 구조는 일례로서 설명한 것이며, 마찬가지의 기능을 완수하는 것이면 상이한 구조를 채용해도 되며, 예를 들어 탄성 부재의 일례로서 설명한 방진 고무(36)의 구조 및 부착 구조, 캐빈 브래킷(30)을 구성하는 고정 부재(31), 지지 부재(32), 보강 부재(33) 및 조절 부재(34)의 형상 및 부착 위치, 캐빈 브래킷(30)에 대한 방진 고무(36)의 부착 위치, 방진 웨이트(40)의 형상 및 부착 방법 등은 상이한 형상 등이어도 된다.
[발명의 실시의 제3 다른 형태]
전술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주행 차량의 일례로서 트랙터에 캐빈 브래킷(30) 및 방진 웨이트(40)를 구비한 예를 설명했지만, 캐빈을 갖는 주행 차량이면 상이한 주행 차량이어도 마찬가지로 적용할 수 있고, 예를 들어 콤바인 등의 농작업차, 토목용 작업차, 건설용 작업차 등의 캐빈을 갖는 주행 차량에 있어서도 마찬가지로 적용할 수 있다.
도1은 트랙터의 전체 좌측면도.
도2는 캐빈의 지지 구조를 도시하는 횡단 평면도.
도3은 캐빈의 지지 구조를 도시하는 좌측면도.
도4는 캐빈 브래킷 부근의 종단 배면도.
도5는 캐빈 브래킷 부근의 저면도.
도6은 주파수와 진동 전달율의 관계의 일례를 도시하는 그래프.
도7은 주파수와 진동 전달율의 관계의 일례를 도시하는 그래프.
도8은 발명의 실시의 제1 다른 형태에 있어서의 캐빈 브래킷 부근의 종단 배면도.
도9는 발명의 실시의 제1 다른 형태에 있어서의 캐빈 브래킷 부근의 저면도.
도10은 종래의 캐빈 브래킷의 구조를 도시한 개략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 : 주행 차체
8 : 캐빈
30 : 캐빈 브래킷
31 : 고정 부재
36 : 방진 고무(탄성 부재)
40 : 방진 웨이트
A : 고강성 부분
B : 저강성 부분
C : 보조 고강성 부분

Claims (8)

  1. 주행 차체에 캐빈 브래킷을 구비하고, 상기 캐빈 브래킷의 상면측에 탄성 부재를 개재하여 캐빈이 지지되어 있는 캐빈을 갖는 주행 차량에 있어서,
    상기 캐빈 브래킷을, 상기 주행 차체에 대하여 고정된 고정 부재와, 상기 고정 부재로부터 상기 차체의 외방측으로 연장된 고강성 부분과, 상기 고강성 부분의 외방측의 단부로부터 외방측으로 연장되고 방진 고무에 의해 지지되는, 상기 고강성 부분보다도 상하 방향의 강성이 낮은 저강성 부분을 구비하여 구성하는 동시에, 상기 캐빈 브래킷의 외방측의 단부에 방진 웨이트가 구비되어 있는 캐빈을 갖는 주행 차량.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강성 부분의 외방측의 단부로부터 외방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저강성 부분보다도 상하 방향의 강성이 높은 보조 고강성 부분이, 상기 캐빈 브래킷에 구비되어 있는 캐빈을 갖는 주행 차량.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고강성 부분은, 상기 고정 부재에 대하여 고정된 지지 부재와 상기 지지 부재에 대하여 접촉하여 상기 지지 부재를 하방으로부터 지지하는 보강 부재를 포함하는 캐빈을 갖는 주행 차량.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고강성 부분은, 상기 고정 부재에 대해 고정된 지지 부재와 상기 지지 부재에 대하여 접촉하여 상기 지지 부재를 하방으로부터 지 지하는 조절 부재를 포함하는 캐빈을 갖는 주행 차량.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 부재는 판 형상체인 캐빈을 갖는 주행 차량.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저강성 부분에는, 상기 탄성 부재를 부착하기 위한 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캐빈을 갖는 주행 차량.
  7. 주행 차체에 캐빈 브래킷을 구비하고, 상기 캐빈 브래킷의 상면측에 탄성 부재를 개재하여 캐빈이 지지되어 있는 캐빈을 갖는 주행 차량에 있어서,
    상기 주행 차체에 대하여 고정된 고정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캐빈 브래킷에는 상기 고정 부재로부터 상기 차체의 외방측으로 연장된 고강성 부분과 상기 고강성 부분의 외방측의 단부로부터 외방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고강성 부분보다도 상하 방향의 강성이 낮은 저강성 부분이, 상기 캐빈 브래킷의 고강성 부분의 이면에 판 형상의 보강 부재를 설치하여 상기 고강성 부분의 상하 방향의 강성을 상기 저강성 부분의 상하 방향의 강성보다도 높게 되도록, 구비되는 동시에,
    상기 캐빈 브래킷의 외방측의 단부에 방진 웨이트를 구비하고 있는 캐빈을 갖는 주행 차량.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강성 부분의 외방측의 단부로부터 외방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저강성 부분보다도 상하 방향의 강성이 높은 보조 고강성 부분이, 상기 캐빈 브래킷의 보조 고강성 부분의 이면에 판 형상의 조절 부재를 설치하여 상기 보조 고강성 부분의 상하 방향의 강성을 상기 저강성 부분의 상하 방향의 강성보다도 높게 되도록, 상기 캐빈 브래킷에 구비되어 있는 캐빈을 갖는 주행 차량.
KR1020070088128A 2006-12-06 2007-08-31 캐빈을 갖는 주행 차량 KR10091832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6329393A JP4851921B2 (ja) 2006-12-06 2006-12-06 キャビン付き作業車
JPJP-P-2006-00329393 2006-12-0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52302A KR20080052302A (ko) 2008-06-11
KR100918329B1 true KR100918329B1 (ko) 2009-09-22

Family

ID=394326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88128A KR100918329B1 (ko) 2006-12-06 2007-08-31 캐빈을 갖는 주행 차량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7677627B2 (ko)
JP (1) JP4851921B2 (ko)
KR (1) KR100918329B1 (ko)
CN (1) CN101195389B (ko)
FR (1) FR290963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92838A (ko) * 2007-04-12 2008-10-16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캐빈을 구비한 주행 차량
KR101449016B1 (ko) * 2007-12-27 2014-10-13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건설장비 캐빈 마운팅구조
CN102069848B (zh) * 2009-11-19 2013-04-24 本田技研工业株式会社 副车架的安装结构和该副车架安装用弹性组件的制造方法
JP5472025B2 (ja) * 2010-10-14 2014-04-16 マツダ株式会社 車両の締結構造
US8443923B2 (en) * 2011-03-17 2013-05-21 Cnh America Llc Vibration isolator device
EP3127790B1 (en) 2015-08-07 2018-07-18 Kubota Corporation Work vehicle
JP6541614B2 (ja) 2015-08-07 2019-07-10 株式会社クボタ 作業車
US11345410B2 (en) * 2017-10-23 2022-05-31 Kubota Corporation Work vehicle
JP7242381B2 (ja) * 2019-03-29 2023-03-20 株式会社クボタ 作業機
WO2020202677A1 (ja) * 2019-03-29 2020-10-08 株式会社クボタ 作業機
JP7236942B2 (ja) * 2019-06-19 2023-03-10 株式会社小松製作所 作業車両
US11486460B2 (en) 2019-08-27 2022-11-01 Deere & Company Work vehicle with tuned mass dampers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71501U (ja) * 1992-03-06 1993-09-28 ヤンマーディーゼル株式会社 農用トラクタ等の防振体
JPH0616152A (ja) * 1992-07-03 1994-01-25 Kubota Corp 作業車のキャビン取付構造
JPH06263061A (ja) * 1993-03-15 1994-09-20 Kubota Corp 車輌用キャビンの支持構造
JPH0939832A (ja) * 1995-08-03 1997-02-10 Iseki & Co Ltd 移動農機の調節式キャビン防振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43585A (en) * 1975-03-26 1977-08-23 Mitsubishi Jidosha Kogyo Kabushiki Kaisha Buffer for vehicle
JPH0245225A (ja) * 1988-08-05 1990-02-15 Nissan Motor Co Ltd エンジンマウントのブラケット構造
JPH0699849A (ja) * 1992-09-18 1994-04-12 Nissan Motor Co Ltd 自動車のボデーマウント構造
JP3301666B2 (ja) * 1993-12-20 2002-07-15 日立建機株式会社 油圧ショベルの運転室防振支持装置
JPH07267131A (ja) * 1994-03-31 1995-10-17 Mazda Motor Corp シャーシフレームを備えた車体の振動低減構造
US5984036A (en) * 1996-06-04 1999-11-16 Hitachi Construction Machinery Co. Ltd. Work machine with operator's cabin
JP2000053031A (ja) 1998-08-13 2000-02-22 Kubota Corp 走行車両のキャビン構造
JP3509606B2 (ja) 1999-02-18 2004-03-22 株式会社クボタ キャビン付き走行車両
JP2001158378A (ja) * 1999-11-30 2001-06-12 Kubota Corp 振動吸収体およびこれを用いたトラクタの振動吸収装置
JP3527446B2 (ja) 1999-12-06 2004-05-17 株式会社クボタ キャビン付き走行車両
JP3536000B2 (ja) 1999-12-14 2004-06-07 株式会社クボタ キャビン付車両
JP2004028126A (ja) * 2002-06-21 2004-01-29 Tokai Rubber Ind Ltd ダイナミックダンパ
KR100678649B1 (ko) * 2004-10-06 2007-02-06 볼보 컨스트럭션 이키프먼트 홀딩 스웨덴 에이비 중장비 운전실의 하중지지장치 및 그 제작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71501U (ja) * 1992-03-06 1993-09-28 ヤンマーディーゼル株式会社 農用トラクタ等の防振体
JPH0616152A (ja) * 1992-07-03 1994-01-25 Kubota Corp 作業車のキャビン取付構造
JPH06263061A (ja) * 1993-03-15 1994-09-20 Kubota Corp 車輌用キャビンの支持構造
JPH0939832A (ja) * 1995-08-03 1997-02-10 Iseki & Co Ltd 移動農機の調節式キャビン防振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4851921B2 (ja) 2012-01-11
CN101195389B (zh) 2010-06-02
KR20080052302A (ko) 2008-06-11
FR2909633B1 (fr) 2011-06-03
JP2008143209A (ja) 2008-06-26
FR2909633A1 (fr) 2008-06-13
US20080136207A1 (en) 2008-06-12
US7677627B2 (en) 2010-03-16
CN101195389A (zh) 2008-06-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18329B1 (ko) 캐빈을 갖는 주행 차량
US8342599B2 (en) Steering support member structure
WO2017065086A1 (ja) 車両の側部車体構造
US5549350A (en) Rear underbody structure
US20070290525A1 (en) Body Reinforcement Device for a Vehicle
JP6511885B2 (ja) 自動車の前部構造
JP2017036032A (ja) 作業車
JP5022089B2 (ja) キャビン付き走行車両
JP2012051431A (ja) パワートレインの支持装置
KR100527784B1 (ko) 자동차의 엔진 마운팅 시스템
KR100643961B1 (ko) 차량의 쇽업소버 장착브라켓의 보강구조
US10882386B2 (en) Powertrain mount structure of vehicle
JP3628620B2 (ja) トーションビーム式サスペンション
JP2007290414A (ja) エンジン支持構造
KR102237071B1 (ko) 서브프레임 부시
CN219257464U (zh) 转向管柱的安装总成和车辆
JP5237896B2 (ja) キャビン付き作業車
CN113247098B (zh) 车体
KR20130067418A (ko) 스테빌라이저바가 장착되는 리어 서브프레임의 구조
KR100992815B1 (ko) 차량용 트레일링 암 마운팅 유닛
KR100581124B1 (ko) 트랜스 미션 마운팅부 구조
JP4244373B2 (ja) 車両のパワートレイン支持構造
KR20090107792A (ko) 서브 프레임 마운팅 장치
KR100362078B1 (ko) 차량의 리어 서브 프레임 결합구조
KR100369126B1 (ko) 차량의 프론트 로워암 장착 어셈블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2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1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1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16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