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90852B1 - 시트 벨트 장치 - Google Patents

시트 벨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90852B1
KR100890852B1 KR1020067009675A KR20067009675A KR100890852B1 KR 100890852 B1 KR100890852 B1 KR 100890852B1 KR 1020067009675 A KR1020067009675 A KR 1020067009675A KR 20067009675 A KR20067009675 A KR 20067009675A KR 100890852 B1 KR100890852 B1 KR 1008908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t belt
sensor
seat
angle
ra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096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93729A (ko
Inventor
간타 히바타
미츠히데 고바리
Original Assignee
오토리브 디벨로프먼트 에이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토리브 디벨로프먼트 에이비 filed Critical 오토리브 디벨로프먼트 에이비
Publication of KR200600937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937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908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908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34Belt retractors, e.g. reels
    • B60R22/36Belt retractors, e.g. reels self-locking in an emergency
    • B60R22/40Belt retractors, e.g. reels self-locking in an emergency responsive only to vehicle mov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34Belt retractors, e.g. re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34Belt retractors, e.g. reels
    • B60R22/36Belt retractors, e.g. reels self-locking in an emergency
    • B60R22/40Belt retractors, e.g. reels self-locking in an emergency responsive only to vehicle movement
    • B60R2022/401Belt retractors, e.g. reels self-locking in an emergency responsive only to vehicle movement with adjustable sensor
    • B60R2022/402Belt retractors, e.g. reels self-locking in an emergency responsive only to vehicle movement with adjustable sensor automatically adjustable to keep a vertical position, e.g. irrespective of seat or vehicle tilting
    • B60R2022/403Belt retractors, e.g. reels self-locking in an emergency responsive only to vehicle movement with adjustable sensor automatically adjustable to keep a vertical position, e.g. irrespective of seat or vehicle tilting using externally controlled means, e.g. linked with seat back hin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otive Seat Belt Assembly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 Devices For Conveying Motion By Means Of Endless Flexible Member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생산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시트 벨트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시트 벨트 장치는, 시트 벨트 리트랙터(R)의 인출을 로크하는 로크 기구와, 상기 로크 기구를 작동시키는 센서 웨이트식 가속도 센서와, 상기 센서 웨이트식 가속도 센서의 센서 웨이트의 자세를 제어하는 자세 제어 기구(F)와, 등받이부(S2)의 회동 각도를 검출하는 각도 검출 기구(K)와, 각도 검출 기구(K)와 자세 제어 기구(F)를 회동시키는 연동 부재(11)를 갖는다. 각도 검출 기구(K)는, 제1 검출 부재(4)와, 제2 검출 부재(1, 8)와, 제1 링크 부재(4)와, 제2 링크 부재(2, 6)와, 제1 회전 대우(41)와, 제2 회전 대우(42)와, 제3 회전 대우(43)와, 제4 회전 대우(44)를 갖는 링크 기구로서, 등받이부(S2)의 회동 각도에 따라 연동 부재(11)를 회전시킨다. 연동 부재(11)의 회전에 의해, 자세 제어 기구(F)가, 탑승자의 시트 벨트를 착용한 범위 A에서는, 상기 센서 웨이트식 가속도 센서를 수평으로 유지하도록, 탑승자의 시트 벨트를 착용하지 않은 범위 B, C에서는, 각도 검출 기구(K)와 연동하지 않도록 제어된다.

Description

시트 벨트 장치{SEAT BELT DEVICE}
본 발명은, 차량의 탑승자를 보호하기 위한 시트 벨트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시트 벨트 리트랙터를 등받이부에 조립하도록 한 시트 벨트 장치에 관한 것이다.
시트 벨트 장치는, 리트랙터로부터 인출된 웨이빙에 의해 차량 시트에 대하여 탑승자를 구속시켜 차량 충돌 시 등에 탑승자를 보호하기 위한 것이다. 이 시트 벨트 장치에서는, 수평 방향으로 소정 값보다 큰 가속도가 작용하면 로크 기구가 작동하여, 릴의 회전이 저지된다.
이 가속도를 검출하는 가속도 센서로서, 수평 방향의 가속도 및 차량의 기울기에 의해 전도(轉倒) 방향으로 회동하는 센서 웨이트를 가진 것이 있다. 또, 각종 전기적 내지 전자적인 센서도 있다.
이러한 시트 벨트 리트랙터를 등받이부에 조립하면, 등받이부의 리클라이닝 각도의 여하에 상관없이 벨트의 착탈이 가능하다.
그러나, 센서 웨이트식의 가속도 센서를 가진 시트 벨트 리트랙터를 등받이부에 조립한 경우, 등받이부를 리클라이닝 방향으로 젖히면, 센서 웨이트도 기울어져 로크 기구가 로크 작동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그 때문에, 웨이빙이 인출될 수 없다.
그래서, 종래, 등받이부 내에 장착된 리트랙터에 있어서, 리트랙터 내의 센서 웨이트식 가속도 센서와 등받이부의 경사를 연동(連動)시켜 센서 웨이트를 항상 수평으로 유지하는 기구가 여러 가지 제안되어 있다. 예를 들면, 다음에 나타내는 시트 벨트 장치가 있다.
특허문헌 1: 일본국 특개평10-226312호 공보
특허문헌 2: 국제 공개 번호 WO 00/07027
특허문헌 3: 일본국 특개 2OO0-79867호 공보
그러나, 종래의 시트 벨트 장치는, 등받이부의 리클라이닝 각도에 관하여 광범위한 작동 각도를 실현시키기 위해, 부품 점수가 많아지고, 또한, 부품의 위치 결정 등 조립 공정이 복잡하게 되어, 생산비용이 많이 들게 된다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에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그 목적으로 하는 것은, 생산비용을 적게 하는 것이 가능한 시트 벨트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제1의 관점에서는, 본 발명의 시트 벨트 장치는, 인출, 권취 가능하게 구성되고, 차량 내의 탑승자를 좌석에 대하여 구속하는 시트 벨트와, 필요에 따라 상기 시트 벨트의 인출 동작을 로크하는 로크 기구와, 차량의 가속도를 검출하여 상기 로크 기구를 기동하는(작동시키는) 가속도 센서와, 상기 좌석의 등받이부의 리클라이닝 각도를 검출하는 각도 검출 기구와, 가속도 센서 제어 기구를 구비한다.
상기 센서 제어 기구는, 상기 센서를 연직 방향으로 지향시키기 위한 자세 제어 기구와, 상기 자세 제어 기구와 상기 각도 검출 기구를 연동시키는 연동 부재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연동 부재는 플렉시블 케이블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센서 제어 기구는, 탑승자가 시트 벨트를 착용하지 않은 범위의 벨트의 감는 양을 검지하여, 상기 가속도 센서를 비작동하게 하는 센서 비작동 기구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등받이부는, 연직 방향을 약 0°로 하여, 예를 들면, 전후 방향으로 90°경사 가능하고, 상기 연직 방향에서 소정 각도 기울어진 위치를 초기 위치로 하고 있다. 상기 시트 벨트를 착용하지 않은 범위란, 상기 등받이부의 전방 경사 각도가 상기 소정의 초기 위치에서 약 10°이상 전방으로 경사진 범위이고, 상기 시트 벨트를 착용한 범위란, 그 이외의 범위이다.
또, 상기 좌석의 등받이부는 탑승자가 착석하는 착석부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가속도 센서는 상기 좌석의 등받이부에 설치된 센서 웨이트식 가속도 센서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각도 검출 기구는, 상기 좌석의 등받이부와 착석부의 연결부에 설치되어 상기 등받이부의 회동 각도를 검출하여, 상기 회동 각도에 따라 상기 센서 제어 기구의 연동 부재를 회전시키는 링크 기구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센서 제어 기구에 따르면, 상기 각도 검출 기구의 검출 결과에 근거하여, 상기 탑승자가 시트 벨트를 착용한 범위에서는, 상기 연동 부재의 회전에 의해, 상기 자세 제어 기구가, 상기 가속도 센서를 수평으로 유지하도록 하여 상기 가속도 센서를 작동 가능한 상태로 제어한다.
그리고, 상기 탑승자가 시트 벨트를 착용하지 않은 범위에서는, 상기 자세 제어 기구와 상기 각도 검출 기구가 연동하지 않으며, 상기 센서 비작동 기구에 의해 상기 가속도 센서가 작동 불능인 상태로 한다.
상기 구성의 시트 벨트 장치에 따르면, 상기 각도 검출 기구로서 링크 기구를 이용하기 때문에, 부품 점수를 줄일 수 있다. 또한, 복잡한 조립 공정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그 결과, 생산비용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센서 비작동 기구에 따르면, 등받이부의 최전방 경사 위치 등의 탑승자가 시트 벨트를 착용하지 않은 범위로부터, 등받이부의 초기 위치 등의 탑승자가 시트 벨트를 착용한 범위로, 등받이부를 일으키고자 할 때에, 가속도 센서가 작동하여 시트 벨트의 인출이 불가능한 상태에서 로크되어 버리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
또, 상기 각도 검출 기구는, 제1 검출 부재와, 제2 검출 부재와, 제1 링크 부재와, 제2 링크 부재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검출 부재는, 등받이부의 회동 각도를 검출하기 위해 좌석의 착석부에 고정된다. 상기 제2 검출 부재는, 상기 등받이부의 회동 각도를 검출하기 위해 상기 등받이부에 고정되어 상기 제1 검출 부재와 제1 회전 대우(對偶)에 의해 연결된다. 상기 제1 링크 부재는, 일단부가 상기 제1 검출 부재에 제2 회전 대우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상기 제2 링크 부재는, 일단(一端)부가 상기 제1 링크 부재의 타단부와 제3 회전 대우에 의해 연결되어 타단부가 상기 제2 각도 검출 부재에 제4 회전 대우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제4 회전 대우의 제2 링크 부재의 회전이 상기 연동 부재에 의해 상기 자세 제어 기구에 전동(轉動)된다. 상기 연동 부재로서, 플렉시블 케이블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각도 검출 기구가, 수납 케이스를 겸한 상기 제2 검출 부재 속에 수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구성의 시트 벨트 장치에 따르면, 부품 점수를 더욱 적게 할 수 있다. 또한, 복잡한 조립 공정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그 결과, 생산비용을 더욱 저감할 수 있다.
또, 상기 자세 제어 기구가, 센서 웨이트용 케이스와, 캠 홈과, 자세 제어 레버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센서 웨이트용 케이스는, 센서 웨이트를 수납하여 등받이부에 요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상기 캠 홈은, 상기 센서 웨이트용 케이스에 설치되어 있다. 상기 자세 제어 레버는, 상기 연동 부재에 의해 상기 캠 홈을 미끄럼 이동한다.
그리고, 탑승자가 시트 벨트를 착용한 범위에서는, 센서 웨이트용 케이스를 수평으로 유지하는 방향으로 상기 자세 제어 레버가 상기 캠 홈을 미끄럼 이동하여 상기 센서 웨이트용 케이스를 수평으로 유지한다.
탑승자가 시트 벨트를 착용하지 않은 범위에서는, 상기 자세 제어 기구는, 상기 각도 검출 기구와 연동하지 않으며, 센서 웨이트용 케이스를 수평으로 유지하지 않는다.
제2의 관점에서, 본 발명의 시트 벨트 장치는, 차량 내의 탑승자를 좌석에 대하여 구속하는 시트 벨트와, 상기 시트 벨트를 인출, 권취 가능하게 하는 리트랙터를 구비한다. 상기 리트랙터는, 필요에 따라 상기 시트 벨트의 인출 동작을 로크하는 로크 기구와, 차량의 가속도를 검출하여 상기 로크 기구를 작동시키는(기동하는) 가속도 센서와, 상기 가속도 센서의 자세를 제어하는 자세 제어 기구를 구비하고 있다. 또, 상기 좌석의 등받이부의 회동 각도를 검출하는 각도 검출 기구와, 상기 자세 제어 기구와 상기 각도 검출 기구를 연동시키는 연동 부재를 구비한다.
여기서, 상기 좌석의 등받이부는, 연직 방향으로부터 소정 각도 해당 차량 후방으로 기울어진 위치를 초기 위치로 하여, 초기 위치에서 약 10°이상 전방으로 경사진 범위에서는 상기 연동 부재가 연동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좌석의 등받이부는 탑승자가 착석하는 착석부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고, 상기 가속도 센서가 좌석의 등받이부에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각도 검출 기구는, 상기 좌석의 등받이부와 착석부와 연결부에 설치되어 상기 등받이부의 회동 각도를 검출하고, 상기 회동 각도에 따라 상기 연동 부재를 회전시키는 링크 기구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탑승자의 시트 벨트를 착용한 범위에서는, 상기 연동 부재의 회전에 의해, 상기 자세 제어 기구가, 상기 가속도 센서를 수평으로 유지하도록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탑승자의 시트 벨트를 착용하지 않은 범위에서는, 상기 자세 제어 기구와 상기 각도 검출 기구가 연동하지 않도록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리트랙터는, 탑승자가 시트 벨트를 착용하지 않은 범위의 감는 양을 검지하여, 상기 가속도 센서를 비작동 상태로 하는 센서 비작동 기구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구성의 시트 벨트 장치에 따르면, 상기 각도 검출 기구로서 링크 기구를 이용하기 때문에, 부품 점수를 줄일 수 있다. 또한, 복잡한 조립 공정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그 결과, 생산비용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센서 비작동 기구에 따르면, 등받이부의 최전방 경사 위치 등의 탑승자가 시트 벨트를 착용하지 않은 범위로부터, 등받이부의 초기 위치 등의 탑승자가 시트 벨트를 착용한 범위로, 등받이부를 일으키고자 할 때에, 가속도 센서가 작동하여 시트 벨트의 인출이 불가능한 상태에서 로크되어 버리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
또, 상기 가속도 센서는, 센서 웨이트식의 가속도 센서이고, 상기 리트랙터는, 해당 가속도 센서의 센서 웨이트를 수납하여 해당 리트랙터에 요동 가능하게 장착된 센서 웨이트용 케이스와, 상기 연동 부재에 의해 작동하는 자세 제어 레버를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센서 웨이트용 케이스에는, 상기 자세 제어 레버가 미끄럼 이동하는 캠 홈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탑승자가 시트 벨트를 착용한 범위에서는, 상기 자세 제어 레버가 상기 캠 홈을 미끄럼 이동하여 상기 센서 웨이트용 케이스를 수평으로 유지한다.
도 1은 본 실시 형태의 주요부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2는 각도 검출 기구의 작동을 설명하는 도면,
도 3은 등받이부의 경사 각도(회동 각도)에 대한 링크의 회전 각도(케이블 회전 각도)의 그래프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도 1의 E-E선 단면도,
도 5a는 자세 제어 기구의 작동을 도시한 도면,
도 5b는 자세 제어 기구의 작동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실시 형태의 주요부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되는 시트 벨트 리트랙터(R)는 좌석의 등받이부에 설치된다. 도 1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시트 벨트 리트랙터(R)는, 제1, 제2 프레임 사이드(33a, 33b) 및 이들 제1, 제2 프레임 사이드(33a, 33b)를 연결하는 프레임 백(33c)을 구비한 ㄷ자 형상의 리트랙터 프레임(33)을 갖는다. 상기 제1, 제2 프레임 사이드(33a, 33b) 사이에, 시트 벨트를 구성하는 웨이빙(도시 생략)을 권취하기 위한 스핀들(37)이 가설(架設)된다. 제1 프레임 사이드(33a)의 외측에는, 이 스핀들(37)을 웨이빙 권취 방향으로 스프링 지지하는 리트랙터 스프링(39) 및 상기 리트랙터 스프링(39)을 수용하는 스프링용 하부 커버(38)와 스프링용 상부 커버(40)가 장착된다. 상기 시트 벨트 리트랙터(R)는, 차량 내의 탑승자를 좌석에 대하여 구속하는 시트 벨트를 인출, 권취 가능하게 한다.
제2 프레임 사이드(33b)의 외측에는, 스핀들(37)의 상기 웨이빙을 인출 방향으로의 회전을 로크시키기 위한 로크 기구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로크 기구는, 필요에 따라 상기 시트 벨트의 인출 동작을 로크한다.
이 로크 기구는, 가속도 센서와, 이 가속도 센서의 래칫 레버(19)와 걸어맞춤 되는 스티어링 휠(32)과, 이 스티어링 휠(32) 내에 배치된 관성체(29)와, 상기스티어링 휠(32)과 상기 관성체(29) 사이에 설치되는 제1 스프링(31)과 폴(26d, Pawl)과, 스티어링 휠(32)과 파울(26d)을 연동시키기 위한 조립체(26)와, 상기 스티어링 휠(32)과 관성체(29)와 제1 스프링(31)과 파울(26d)과 조립체(26)를 수납하는 베어링 판(24)과, 로크편(36)과, 제2 스프링(35)과, 안전판(34) 등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조립체(26)는, 기어(25, 26a, 26b), 에어 레버(26c) 등을 갖고 있다.
상기 가속도 센서는, 상기 로크 기구를 기동시키기 위한 센서 웨이트식 가속도 센서이다. 상기 가속도 센서는, 구(球) 형상의 센서 웨이트(16)를 수용한 센서 웨이트용 케이스(14)와, 이 센서 웨이트용 케이스(14)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센서 레버(17)와, 이 센서 레버(17)와 겹쳐져 있으며, 센서 홀더(18a, 18b)에 대하여 축(20)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유지된 상기 래칫 레버(19) 등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센서 홀더(18a, 18b)는, 베어링 판(24)을 개재하여 리트랙터 프레임(33)의 제2 프레임 사이드(33b)에 장착된다. 이에 따라, 상기 가속도 센서는, 상기 리트랙터 프레임(33)에 지지되어 등받이부에 배치된다.
센서 웨이트(16)는 센서 웨이트용 케이스(14) 내에 전도(轉倒) 방향으로 기울어질 수 있도록 유지되어 있으며, 센서 웨이트(16)가 기울어지면 센서 레버(17)가 상방으로 회동하고, 계속해서 래칫 레버(19)가 상방으로 회동하며, 이에 따라 래칫 레버(19)의 선단의 클로우(19a)가 스티어링 휠(32)의 외측 둘레의 치(齒)에 대해 걸어맞춤 된다. 또한, 센서 레버(17)는, 센서 웨이트용 케이스(14)로부터 세워진 한 쌍의 센서 레버 유지부(14a)에 축(15)에 의해 피봇 지지되어 있다.
또한, 상기 가속도 센서를 연직 방향으로 지향시키기 위한 자세 제어 기구(F)를 갖고 있다. 상기 자세 제어 기구(F)는, 센서 웨이트용 케이스(14)와, 센서 웨이트용 케이스(14)에 설치된 캠 홈(14c)(도 5a, 도 5b 참조)과, 자세 제어 레버(13)를 포함한다.
상기 센서 웨이트용 케이스(14)는, 수평 방향의 동축인 한 쌍의 볼록축(14b)을 갖고 있다. 상기 볼록축(14b)이 상기 센서 홀더(18a, 18b)에 설치된 유지 구멍(28a, 28b)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센서 웨이트용 케이스(14)는, 상기 센서 홀더(18a, 18b)에 대하여 상기 수평 방향의 볼록축(14b)을 중심으로 하여 요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상기 센서 웨이트용 케이스(14)는, 상기 센서 홀더(18a, 18b)를 개재하여 등받이부에 요동 가능하게 배치된다.
상기 센서 웨이트용 케이스(14)를 등받이부의 경사 각도에 대응하여 수평으로 유지하기 위한 자세 제어 레버(13)의 일단부가 상기 센서 웨이트용 케이스(14)의 캠 홈(14c)에 연결된다. 상기 자세 제어 레버(13)의 타단부에 플렉시블 케이블(11)의 일단부가 접속된다. 상기 자세 제어 레버(13)는 어댑터(12) 내에 수납된다.
또한, 탑승자가 시트 벨트를 착용하지 않은 범위의 벨트의 감는 양을 검지하여, 상기 가속도 센서를 비작동 상태로 하는 센서 비작동 기구(N)가 설치되어 있다. 이 기구는, 제1 기어(21), 스위치 레버(22), 제2 기어(23), 상기 제3 기어 (25)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상기 제3 기어(25)는 상기 조립체(26)의 일부를 구성한다.
상술한 상기 제2 프레임 사이드(33b) 측의 각 부재는, 메커니즘 커버(27) 내에 모두 수납되어, 상기 리트랙터 프레임의 제2 프레임 사이드(33b)에 장착된다.
상기 플렉시블 케이블(11)은, 상기 자세 제어 기구(F)와 등받이부의 회동 각도를 검출하는 각도 검출 기구(K)를 연동시키는 연동 부재로서, 슬리브에 의해 보호되어 있다.
상기 각도 검출 기구(K)는, 제1 검출 부재(4)와, 제2 검출 부재(1, 8)와, 제1 링크 부재(3)와, 제2 링크 부재(2, 6)와, 토션 스프링(5)을 갖고, 상기 좌석의 등받이부의 리클라이닝 각도를 검출한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좌석의 등받이부는 착석부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연결부에 상기 각도 검출 기구(K)가 설치되어 상기 등받이부의 회동 각도를 검출한다.
상기 각도 검출 기구(K)는, 상기 등받이부의 회동 각도에 따라 상기 연동 부재인 플렉시블 케이블(11)을 회전시키는 링크 기구이다. 상기 연동 부재의 회전에 의해, 상기 자세 제어 기구(F)는, 탑승자가 시트 벨트를 착용한 범위에서는, 상기 센서 웨이트식 속도 센서를 수평으로 유지하도록, 탑승자가 시트 벨트를 착용하지 않은 범위에서는, 상기 각도 검출 기구(K)와 연동하지 않도록 제어된다.
상기 제1 검출 부재(4)는, 좌석의 착석부로의 장착부(4a)와, 구멍(4b)과, 축(4c)을 갖는 보상 레버이다.
상기 구멍(4b)은, 제2 검출 부재(1, 8)의 축(1a)과 함께 제1 회전 대우(41) 를 구성한다. 상기 축(4c)은 제1 링크 부재(3)의 긴 구멍(3a)과 함께 제2 회전 대우(42)를 구성한다. 상기 제1 검출 부재(4)는, 장착부(4a)를 개재하여, 등받이부의 리클라이닝 각도, 즉, 등받이부의 회동 각도를 검출하기 위해, 좌석의 착석부에 고정된다.
상기 제2 검출 부재(1, 8)는, 트랜스미션 하우징(8)과, 상기 트랜스미션 하우징(8)의 개구를 덮고 트랜스미션 커버(1)를 갖는다. 상기 트랜스미션 커버(1)와 상기 트랜스미션 하우징(8)은, 서로 끼워맞춤 되고, 그 내부에, 상기 제1 검출 부재(4), 제1 링크 부재(3), 제2 링크 부재(2, 6), 토션 스프링(5) 등의 상기 각도 검출 기구(K)를 수납한다.
상기 트랜스미션 하우징(8)은, 등받이부로의 장착부(8a)를 갖는다. 트랜스미션 커버(1)는, 내측으로 돌출하는 축(1a)과 구멍(1b)을 갖는다. 상기 트랜스미션 하우징(8)은, 상기 트렌스미션 커버(1)의 구멍(1b)에 대응하는 위치에 구멍(8b)을, 상기 트렌스미션 커버(1)의 축(1a)에 대응하는 위치에 상기 축(1a)과 끼워맞춤 되는 구멍(8c)을 갖는다.
상기 구멍(1b, 8b)은, 상기 제2 링크 부재(2, 6)의 축(6b)과 함께 제4 회전 대우(44)를 구성한다. 상기 축(1a)은 상기 제1 검출 부재(4)의 구멍(4b)에 삽입되어 상기 트랜스미션 하우징(8)의 구멍(8c)과 끼워맞춤 된다. 상기 제1 검출 부재(4)는, 상기 트렌스미션 커버(1)와 상기 트랜스미션 하우징(8) 사이에서 구멍(4b)을 중심으로 하여 회동 가능하게 유지된다.
상기 제2 검출 부재(1, 8)는, 부착부(8a)를 개재하여, 등받이부의 리클라이 닝 각도, 즉, 등받이부의 회동 각도를 검출하기 위해, 좌석의 등받이부에 고정된다.
상기 제1 링크 부재(3)는, 타원형의 긴 구멍(3a)과 표리에 돌출하는 한 쌍의 축(3b)을 갖는 약간 만곡된 바(4, bar)이다. 상기 제1 검출 부재(4)의 축(4c)이 상기 긴 구멍(3a)에 삽입되어 제2 회전 대우(42)를 구성한다.
제2 링크 부재(2, 6)는, 서로 끼워맞춤 되는 레버(2)와 플렉시블 샤프트 레버(6)로 구성된다. 양자는 일단부의 서로 대응하는 위치에 구멍(2a, 6a)을 갖는다. 상기 구멍(2a, 6a)에 각각 상기 제1 링크 부재의 표리에 설치된 축(3b)이 삽입 통과되어, 제3 회전 대우(43)를 형성한다.
상기 레버(2)의 타단부에 구멍(2b)이, 플렉시블 샤프트 레버(6)의 타단부에 있어서 상기 레버(2)의 구멍(2b)에 대응하는 위치에, 표리에 돌출하는 축(6b, 6c)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레버(2)의 구멍(2b)과 상기 플렉시블 샤프트 레버(6)의 축(6c)이 토션 스프링(5)을 사이에 두고 끼워맞춤 된다. 축(6b)은 제2 검출 부재(8)의 구멍(8b)에 가이드 부시(guide bush, 7)를 개재하여 삽입되고, 제4 회전 대우(44)를 형성한다.
또한, 상기 축(6b)은, 부시(9) 및 프레스 마운트 부시(10)를 개재하여 연동 부재인 플렉시블 케이블(11)의 타단부에 접속된다. 상기 제4 회전 대우(44)에서의 상기 제2 링크 부재(2, 6)의 회전은, 상기 플렉시블 샤프트 레버(6)의 축(6b)을 통하여 연동 부재인 플렉시블 케이블(11)을 전동하고, 그리고, 상기 자세 제어 기구(F)를 전동한다.
또, 상기 자세 제어 기구(F)와 상기 연동 부재(11)와 상기 센서 비작동 기구 (N)는, 센서 제어 기구를 구성하고 있다.
상기 센서 제어 기구는, 상기 각도 검출 기구(K)의 검출 결과에 근거하여, 상기 탑승자가 시트 벨트를 착용한 범위에서는, 상기 연동 부재(11)의 회전에 의해, 상기 자세 제어 기구(F)가, 상기 센서 웨이트식 가속도 센서의 센서 웨이트용 케이스(14)를 수평으로 유지하도록 하여 상기 가속도 센서가 정상으로 작동 가능한 상태로 한다.
상기 탑승자가 시트 벨트를 착용하지 않은 범위에서는, 상기 각도 검출 기구(K)와 상기 자세 제어 기구(F)가 연동하지 않도록 하여, 상기 센서 비작동 기구(N)에 의해 상기 가속도 센서가 작동 불능인 상태로 한다.
다음에, 도 2를 이용하여 상기 각도 검출 기구(K)의 상세한 작동을 설명한다. 도 2의 하단은 도 1의 상기 각도 검출 기구(K)의 D-D선 단면도이다. 상기 좌석은 탑승자가 착석하는 착석부(S1)와, 상기 착석부(S1)에 대하여 경사 가능한 등받이부(S2)를 갖고 있다. 상기 좌석의 등받이부(S2)는 탑승자가 착석하는 착석부(S1)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도 2의 상단은, 하단의 각도 검출 기구(K)가 검출하고 있는 좌석의 착석부(S1)와 등받이부(S2)의 회동 각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2에서, 부호 41, 42, 43, 44는 각각 제1, 제2, 제3, 제4 회전 대우를 나타내고 있다. 부호 I는 등받이부(S2)의 초기 위치를 나타내고 있다. 도 2(c)의 A는, 탑승자가 시트 벨트를 착용한 범위, 즉, 가속도 센서의 작동이 필요한 구간을 나타내고, 도 2(a), (b)의 B, C는, 좌석이 앞으로 젖혀져 있어 탑승자가 착석하고 있지 않으며, 시트 벨트를 착용하지 않은 범위, 즉, 가속도 센서의 작동이 불필요한 구간을 나타내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등받이부(S2)는, 연직 방향을 약 0°로 하여 전후 방향으로 약 90°경사 가능하다. 상기 연직 방향에서 후방으로 약 15°기울어진 위치를 초기 위치로 한다. 상기 시트 벨트를 착용하지 않은 범위란, 상기 등받이부의 전방 경사 각도가 상기 소정의 초기 위치(I)에서 약 10° 이상 전방으로 경사진 범위이고, 상기 시트 벨트를 착용한 범위란, 그 이외의 범위이다.
제2 검출 부재(1, 2)는, 상기 각도 검출 기구(K)의 수납 케이스를 겸하고 있다. 그래서, 제2 검출 부재(1, 2)의 링크로서의 작용이 이해하기 쉽도록, 도 2에 서, 제1 회전 대우(41)와 제4 회전 대우(44)를 일점 쇄선으로 연결하고 있다.
또, 상기 제4 대우(44)는, 등받이부의 초기 위치(I)에서, 제1 링크 부재(3)에 대하여 가속도 센서의 작동이 필요한 구간 A 측에 위치하고 있다.
제2 검출 부재를 구성하는 트랜스미션 하우징(8)의 내측에는, 제4 회전 대우(44)를 중심으로 하는 원호 형상의 홈(8d)이 설치되어 있다. 제1 검출 부재(4)에 대하여 제2 검출 부재(1, 8)가 제1 회전 대우(41)에 의해 회동할 때, 이 홈(8d) 내부를 제1 링크 부재(4)의 축(4c)이 미끄럼 이동한다. 이 홈(8d)은 제1 검출 부재(4)에 대하여 제2 검출 부재(1, 8)가 필요 이상으로 회전하지 않도록 설치되어 있다. 토션 스프링(5)은 제2 링크 부재(2, 6)가 제1 링크 부재(3)의 긴 구멍(3a)의 영향으로 예기치 않은 방향으로 회전하지 않도록 탄성 지지하고 있다.
좌석의 착석부(S1)와 등받이부(S2)의 각도가 변화하면, 제1 검출 부재(4)와 제2 검출 부재(1, 8) 사이의 각도가 변화한다. 그리고, 제2 링크 부재(2, 6)가 회전한다.
도 2(c)의 가속도 센서의 작동이 필요한 구간 A에서, 제2 링크 부재(2, 6)가 회전한다. 그에 따라 플렉시블 케이블(11)이 자세 제어 기구(F)를 작동시키는 방향으로 회전하여, 자세 제어 기구(F)를 작동시킨다. 그리고, 자세 제어 기구(F)는 센서 웨이트용 케이스(14)를 수평으로 유지한다. 그 결과, 가속도 센서의 작동이 필요한 구간 A, 즉, 탑승자가 시트 벨트를 착용한 범위 내에서는 가속도 센서를 항상 수평으로 유지하여, 가속도 센서가 정상으로 작동하는 상태를 유지한다.
도 2(b)의 가속도 센서의 작동이 불필요한 구간 B에서, 제2 링크 부재(2, 6)는 회전하지 않고, 플렉시블 케이블(11)도 회전하지 않는다. 그리고, 자세 제어 기구(F)와 각도 검출 기구(K)는 연동하지 않는다. 상기 가속도 센서를 수평으로 유지하지 않으며, 자세 제어 기구(F)는 기능하지 않는다.
도 2(a)의 가속도 센서의 작동이 불필요한 구간 C에서, 제2 링크 부재(2, 6)는 회전한다. 그에 따라 플렉시블 케이블(11)이 회전하지만, 회전이 자세 제어 기구(F)와 각도 검출 기구(K)를 연동시키는 방향이 아니라, 자세 제어 기구(F)와 각도 검출 기구(K)는 연동하지 않는다. 가속도 센서를 수평으로 유지하지 않으며, 자세 제어 기구(F)는 기능하지 않는다.
상기 가속도 센서의 작동이 불필요한 구간 B, C에서, 자세 제어 기구(F)는 연동하지 않기 때문에, 등받이부(S2)의 회동에 의해, 가속도 센서가 리트랙터(R)를 로크 상태로 만들어 버린다. 그래서, 상기 가속도 센서의 작동이 불필요한 구간 B, C, 즉, 탑승자가 시트 벨트를 착용하지 않은 범위의 벨트의 감는 양을 검지하여, 상기 센서 웨이트식 가속도 센서를 비작동으로 하는 센서 비작동 기구(N)를 갖는다. 등받이부(S2)를 최전방 경사 위치에서 초기 위치(I)로 되돌릴 때에 리트랙터(R)의 로크 상태를 해제할 수 있어, 시트 벨트를 인출할 수 있다.
참고로, 도 3에 등받이부의 경사 각도(회동 각도)에 대한 링크의 회전 각도(케이블 회전 각도)의 그래프를 도시한다.
다음에, 자세 제어 기구(F)에 대해, 도 4 및 도 5a, 도 5b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4는 도 1의 E-E선 단면도이다. 도 5a, 도 5b는 자세 제어 기구(F)의 작동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a, 도 5b에서, 좌측의 도면은 센서 웨이트용 케이스(14)를 화살표 H에서 본 사시도이다.
상기 자세 제어 기구(F)는, 도 5a, 도 5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센서 웨이트용 케이스(14)와, 캠 홈(14c)과, 자세 제어 레버(13)를 포함한다.
상기 센서 웨이트용 케이스(14)는, 볼록축(14b)을 중심으로 하여 요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센서 웨이트(16)를 수납하기 위한 센서 웨이트용 케이스(14)의 저면과 측면에 걸쳐 V자형으로 연장되는 캠 홈(14c)이 설치되어 있다.
자세 제어 레버(13)는, 대략 원기둥 형상의 본체부(13a)와, 상기 본체부(13a)에서 직경 방향으로 돌출하는 볼록부(13b)와, 상기 볼록부(13b)의 상단에 설치된 구(球) 형상부(13c)와, 상기 본체부(13a)의 저면에서 돌출되는 통 형상부(13d)를 갖는다.
자세 제어 레버(13)의 구 형상부(13c)가, 상기 센서 웨이트용 케이스(14)의 캠 홈(14c) 내에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끼워 넣어짐으로써, 자세 제어 레버(13)의 일단부가 상기 센서 웨이트용 케이스(14)에 연결된다. 자세 제어 레버(13)의 통 형상부(13d) 내에 플렉시블 케이블(11)의 일단부가 삽입되어 접속된다.
상기 센서 웨이트식 가속도 센서의 작동이 필요한 구간 A에서, 도 5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등받이부의 초기 위치(I)에서, 상기 구 형상부(13d)는, 캠 홈(14c) 내부에 있어서 상기 센서 웨이트용 케이스(14)의 저면측에 위치한다. 플렉시블 케이블(11)의 회전에 의해, 센서 웨이트용 케이스(14)를 수평으로 유지하는 방향으로, 상기 구 형상부(13c)가 상기 캠 홈(14c)을 미끄럼 이동하여, 센서 웨이트용 케이스(14)의 측면측으로 이동한다. 그리고, 센서 웨이트용 케이스(14)는, 상기 볼록축(14b)을 중심으로 요동하여 수평을 유지한다. 상기 플렉시블 케이블(11)의 회전은 상기 각도 검출 기구(K)로부터 전달된 등받이부(S2)의 경사 각도에 대응한 회전이다. 따라서, 센서 웨이트식 가속도 센서의 작동이 필요한 구간 A, 즉, 탑승자가 시트 벨트를 착용한 범위에서는, 상기 센서 웨이트용 케이스(14)는 등받이부(S2)의 경사 각도에 대응하여 수평을 유지한다. 도 5b는, 초기 위치(I)에서 등받이부(S2)가 80도 회전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이 상태에서, 상기 구 형상부(13d)는, 캠 홈(4c) 내부에 있어서 상기 센서 웨이트용 케이스(14)의 측면측에 위치한다.
센서 웨이트식 가속도 센서의 작동이 불필요한 구간 B, C에서, 플렉시블 케이블(11)의 회전에 의해, 상기 구형상부(13d), 센서 웨이트용 케이스(14)를 수평으로 유지하는 방향(G)으로, 상기 캠 홈(14c)을 미끄럼 이동할 수 없다. 그 때문에, 자세 제어 기구(F)는, 센서 웨이트식 가속도 센서의 작동이 불필요한 구간 B, C, 즉, 탑승자가 시트 벨트를 착용하지 않은 범위에서는 상기 각도 검출 기구(K)와 연동하지 않으며, 기능하지 않는다.
다음에, 상기 가속도 센서의 작동이 불필요한 구간 B, C, 즉, 탑승자가 시트 벨트를 착용하지 않은 범위의 벨트의 감는 양을 검지하여, 상기 센서 웨이트식의 가속도 센서를 비작동으로 하는 센서 비작동 기구(N)에 대해, 도 4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이 기구는, 제1 기어(21), 스위치 레버(22), 제2 기어(23), 제3 기어(25)를 구비하고 있다.
제1 기어(21)는, 스위치 레버(22)에 장착되어 있다. 스위치 레버(22)는, 지축(22a)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베어링 판(24)에 장착되어 있다. 제2 기어(23)는, 베어링 판(24)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상기 제3 기어(25)는, 스핀들(37)의 축의 연장상에 장착되어 있다. 제1 기어(21) 및 제2 기어(23), 및 제3 기어(25)는, 각각 돌기부(21a, 23a, 25a)를 갖고 있다.
제1 기어(21) 및 제2 기어(23)는 서로 맞물려 있다. 제1 기어(21)는, 제3 기어(25)와 맞물려 있다. 상기 제3 기어(25)는, 스핀들(37)의 회전을 제1 기어(21)에 전달한다. 제1 기어(21)는, 제2 기어(23)를 회전시킨다.
그리고, 상기 제2 기어(23) 및 상기 제3 기어(25)의 회전수가, 미리 설정된 회전 수, 즉, 탑승자가 벨트를 장착하지 않는 범위의 권취량이 되었을 때, 상기 제2 기어(23)의 돌기부(23a)는, 제1 기어(21)의 돌기부(21a)를 누른다. 그에 따라, 상기 제1 기어(21)의 돌기부(21a)에 가압되어 제1 기어(21)를 축 지지하고 있는 스위치 레버(22)는, 지지축(22a)을 중심으로 화살표 J방향으로 회동한다. 그러면, 스위치 레버(22)의 하단부(22b)가 래칫 레버(19)를 센서 웨이트용 케이스(14) 측으로 가압한다. 래칫 레버(19)의 선단의 클로우(19a)가 스티어링 휠(32)의 외측 둘레의 이에 대해 걸어맞춤 될 수 없게 되어, 가속도 센서는 비작동 상태가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기재되어 있지만, 본 발명은 그것만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에서 이탈하지 않는 여러 가지 실시 형태예가 그 외에도 이루어질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하기 바란다.
본 발명은, 차량의 탑승자를 보호하기 위한 시트 벨트 장치로서 최적이다.

Claims (15)

  1. 인출, 권취 가능하게 구성되고, 차량 내의 탑승자를 좌석에 대하여 구속하는 시트 벨트와,
    필요에 따라 상기 시트 벨트의 인출 동작을 로크하는 로크 기구와,
    차량의 가속도를 검출하여 상기 로크 기구를 기동하는 가속도 센서와,
    상기 좌석의 등받이부의 회동 각도를 검출하는 각도 검출 기구와,
    상기 각도 검출 기구의 검출 결과에 근거하여, 상기 탑승자가 시트 벨트를 착용한 범위와 착용하지 않은 범위를 구분하고, 상기 탑승자가 시트 벨트를 착용한 범위에서는, 상기 가속도 센서를 작동 가능한 상태로 함과 동시에, 상기 탑승자가 시트 벨트를 착용하지 않은 범위에서는, 상기 가속도 센서를 작동 불능인 상태로 하는 센서 제어 기구를 구비하고,
    상기 좌석의 등받이부는 탑승자가 착석하는 착석부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고,
    상기 가속도 센서가 좌석의 등받이부에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센서 제어 기구는,
    상기 가속도 센서를 연직 방향으로 지향시키기 위한 자세 제어 기구와,
    상기 자세 제어 기구와 상기 각도 검출 기구를 연동시키는 연동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각도 검출 기구는, 상기 좌석의 등받이부와 착석부의 연결부에 설치되어 상기 등받이부의 회동 각도를 검출하고, 상기 회동 각도에 따라 상기 센서 제어 기구의 연동 부재를 회전시키는 링크 기구이며,
    탑승자가 시트 벨트를 착용한 범위에서는, 상기 센서 제어 기구의 연동 부재의 회전에 의해, 상기 센서 제어 기구의 자세 제어 기구가, 상기 가속도 센서를 수평 유지하도록 제어하고, 탑승자의 시트 벨트를 착용하지 않은 범위에서는, 상기 센서 제어 기구의 자세 제어 기구와 상기 각도 검출 기구가 연동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벨트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등받이부는, 연직 방향으로부터 소정 각도 기울어진 위치를 초기 위치로 하며, 상기 시트 벨트를 착용하지 않은 범위란, 상기 등받이부의 전방 경사 각도가 상기 소정의 초기 위치로부터 약 10°이상 전방으로 경사진 범위이고, 상기 시트 벨트를 착용한 범위란, 그 이외의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벨트 장치.
  3. 삭제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각도 검출 기구는,
    등받이부의 회동 각도를 검출하기 위해 좌석의 착석부에 고정되는 제1 검출 부재와,
    상기 등받이부의 회동 각도를 검출하기 위해 상기 등받이부에 고정되어 상기 제1 검출 부재와 제1 회전 대우에 의해 연결된 제2 검출 부재와,
    일단부가 상기 제1 검출 부재에 제2 회전 대우에 의해 연결되어 있는 제1 링크 부재와,
    일단부가 상기 제1 링크 부재의 타단부와 제3 회전 대우에 의해 연결되어 타단부가 상기 제2 각도 검출 부재에 제4 회전 대우에 의해 연결되어 있는 제2 링크 부재를 갖고,
    상기 제4 회전 대우의 제2 링크 부재의 회전이 상기 연동 부재에 의해 상기 자세 제어 기구에 전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벨트 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각도 검출 기구는, 수납 케이스를 겸한 상기 제2 검출 부재 내에 수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벨트 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속도 센서는, 센서 웨이트식의 가속도 센서이고,
    상기 자세 제어 기구는, 센서 웨이트를 수납하여 요동 가능하게 상기 등받이부에 장착된 센서 웨이트용 케이스와, 상기 센서 웨이트용 케이스에 설치된 캠 홈과, 상기 연동 부재에 의해 상기 캠 홈을 미끄럼 이동하는 자세 제어 레버를 갖고,
    탑승자가 시트 벨트를 착용한 범위에서는, 센서 웨이트용 케이스를 수평으로 유지하는 방향으로 상기 자세 제어 레버가 상기 캠 홈을 미끄럼 이동하여 상기 센서 웨이트용 케이스를 수평으로 유지하고, 탑승자가 시트 벨트를 착용하지 않은 범위에서는, 상기 각도 검출 기구와 연동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벨트 장치.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연동 부재가 플렉시블 케이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벨트 장치.
  9. 차량 내의 탑승자를 좌석에 대하여 구속하는 시트 벨트와, 상기 시트 벨트를 인출, 권취 가능하게 하는 리트랙터를 구비한 시트 벨트 장치에 있어서,
    상기 리트랙터는, 필요에 따라 상기 시트 벨트의 인출 동작을 로크하는 로크 기구와, 차량의 가속도를 검출하여 상기 로크 기구를 작동시키는 가속도 센서와, 상기 가속도 센서의 자세를 제어하는 자세 제어 기구를 갖고,
    상기 좌석의 등받이부의 회동 각도를 검출하는 각도 검출 기구와,
    상기 각도 검출 기구의 검출결과에 의거하여, 상기 탑승자가 시트 벨트를 착용한 범위에서는 상기 자세 제어 기구와 상기 각도 검출 기구를 연동시킴과 함께, 상기 탑승자가 시트 벨트를 착용하지 않은 범위에서는 상기 자세 제어 기구와 상기 각도 검출 기구를 연동시키지 않는 연동부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벨트 장치.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좌석의 등받이부는, 연직 방향으로부터 소정 각도 해당 차량 후방으로 기울어진 위치를 초기 위치로 하여, 초기 위치로부터 약 10°이상 전방으로 경사진 범위에서는 상기 연동 부재가 연동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벨트 장치.
  11. 청구항 9 또는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좌석의 등받이부는 탑승자가 착석하는 착석부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고,
    상기 가속도 센서가 좌석의 등받이부에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각도 검출 기구는, 상기 좌석의 등받이부와 착석부의 연결부에 설치되어 상기 등받이부의 회동 각도를 검출하고, 상기 회동 각도에 따라 상기 연동 부재를 회전시키는 링크 기구로서,
    탑승자가 시트 벨트를 착용한 범위에서는, 상기 연동 부재의 회전에 의해, 상기 자세 제어 기구가, 상기 가속도 센서를 수평으로 유지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벨트 장치.
  12. 청구항 9 또는 청구항 10에 있어서,
    탑승자가 시트 벨트를 착용하지 않은 범위에서는, 상기 자세 제어 기구와 상기 각도 검출 기구가 연동하지 않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벨트 장치.
  13. 청구항 9 또는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리트랙터는, 탑승자가 시트 벨트를 착용하지 않은 범위의 감는 양을 검지하여, 상기 가속도 센서를 비작동 상태로 하는 센서 비작동 기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벨트 장치.
  14. 청구항 9 또는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가속도 센서는, 센서 웨이트식의 가속도 센서이고,
    상기 리트랙터는, 해당 가속도 센서의 센서 웨이트를 수납하여 해당 리트랙터에 요동 가능하게 장착된 센서 웨이트용 케이스와, 상기 연동 부재에 의해 작동하는 자세 제어 레버를 더 구비하고,
    상기 센서 웨이트용 케이스에는, 상기 자세 제어 레버가 미끄럼 이동하는 캠 홈이 설치되어 있으며,
    탑승자가 시트 벨트를 착용한 범위에서는, 상기 자세 제어 레버가 상기 캠 홈을 미끄럼 이동하여 상기 센서 웨이트용 케이스를 수평으로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벨트 장치.
  15. 삭제
KR1020067009675A 2003-10-24 2004-10-22 시트 벨트 장치 KR10089085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3364489 2003-10-24
JPJP-P-2003-00364489 2003-10-24
PCT/JP2004/015730 WO2005039941A1 (ja) 2003-10-24 2004-10-22 シートベルト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93729A KR20060093729A (ko) 2006-08-25
KR100890852B1 true KR100890852B1 (ko) 2009-03-27

Family

ID=345101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09675A KR100890852B1 (ko) 2003-10-24 2004-10-22 시트 벨트 장치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7828391B2 (ko)
EP (1) EP1690756B1 (ko)
JP (2) JP4369426B2 (ko)
KR (1) KR100890852B1 (ko)
CN (2) CN101474984B (ko)
AT (1) ATE453550T1 (ko)
DE (1) DE602004024923D1 (ko)
ES (1) ES2339116T3 (ko)
WO (1) WO2005039941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40482A (ko) 2022-09-21 2024-03-2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시트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68820A (ja) * 2006-09-15 2008-03-27 Tokai Rika Co Ltd ウエビング巻取装置
CN101193350A (zh) 2006-11-24 2008-06-04 大唐移动通信设备有限公司 集群系统中的寻呼方法和装置
JP5603684B2 (ja) * 2010-07-08 2014-10-08 タカタ株式会社 シートベルト係止装置およびこれを備えたシートベルト装置
DE102011015862B4 (de) * 2011-04-01 2020-07-23 Autoliv Development Ab Sicherheitsgurtaufroller mit einem Trägheitssensor mit einem verschwenkbaren Sensorgehäuse
JP5950931B2 (ja) * 2011-11-14 2016-07-13 オートリブ ディベロップメント エービー シートベルト装置
JP5778025B2 (ja) * 2011-12-27 2015-09-16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ウェビング巻取装置
CN104039606B (zh) * 2012-01-13 2016-02-03 奥托立夫开发公司 安全带卷收器
JP5784557B2 (ja) * 2012-07-20 2015-09-24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ウェビング巻取装置
JP5770698B2 (ja) * 2012-09-25 2015-08-26 オートリブ ディベロップメント エービー シートベルト装置
US11037423B2 (en) * 2015-09-23 2021-06-15 Ali Kord Posture monitor
CN111801251B (zh) * 2018-02-02 2022-06-24 奥托立夫开发公司 安全带装置
CN109774649B (zh) * 2019-01-25 2023-03-28 南京航空航天大学 基于安全带监督控制的客车座椅及其控制方法
CN111688632A (zh) * 2020-07-16 2020-09-22 延锋汽车智能安全系统有限责任公司 用于车辆座椅的安全带卷收器和成套设备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89412A (ja) * 1993-09-21 1995-04-04 Nippon Seiko Kk シートベルト用リトラクター
JPH10226312A (ja) 1997-02-18 1998-08-25 Takata Kk シートベルト装置
JPH11107606A (ja) 1997-10-03 1999-04-20 Nissan Shatai Co Ltd スライドドアの全開ロック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78087A (en) 1987-11-10 1990-12-18 Britax-Kolb Gmbh & Co. Acceleration sensor for vehicle-sensitive systems
JP2765965B2 (ja) 1989-07-12 1998-06-18 沖電気工業株式会社 半導体集積回路装置の製造方法
DE4022571A1 (de) * 1989-07-28 1991-02-07 Autoflug Gmbh Sicherheitsgurtsystem mit am gurtaufroller lageveraenderlichem fahrzeugsensor
JPH0344060U (ko) 1989-09-11 1991-04-24
ATE180716T1 (de) 1995-11-04 1999-06-15 Tetra Laval Holdings & Finance Papierähnliche und thermoverformbare mehrschichtenbarrierefolien
DE19645952C2 (de) 1996-11-07 1998-09-03 Siemens Ag Steueranordnung für ein Rückhaltemittel in einem Kraftfahrzeug
JPH11165569A (ja) 1997-12-02 1999-06-22 Nippon Seiko Kk リクライニング式シート
JPH11291865A (ja) * 1998-04-10 1999-10-26 Nippon Seiko Kk シートベルト用リトラクター
JP2000079867A (ja) 1998-06-22 2000-03-21 Takata Kk シートベルト装置
JP4163291B2 (ja) 1998-07-28 2008-10-08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加速度センサ
US6169479B1 (en) 1998-10-23 2001-01-02 Visteon Global Technologies, Inc. Vehicular deformation sensor system
CN2474411Y (zh) * 2001-03-22 2002-01-30 李少品 一种必须系好安全带才可行驶的安全控制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89412A (ja) * 1993-09-21 1995-04-04 Nippon Seiko Kk シートベルト用リトラクター
JPH10226312A (ja) 1997-02-18 1998-08-25 Takata Kk シートベルト装置
JPH11107606A (ja) 1997-10-03 1999-04-20 Nissan Shatai Co Ltd スライドドアの全開ロック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40482A (ko) 2022-09-21 2024-03-2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시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TE453550T1 (de) 2010-01-15
CN101474984A (zh) 2009-07-08
WO2005039941A1 (ja) 2005-05-06
EP1690756A1 (en) 2006-08-16
DE602004024923D1 (de) 2010-02-11
JP4880658B2 (ja) 2012-02-22
KR20060093729A (ko) 2006-08-25
US20080203806A1 (en) 2008-08-28
EP1690756B1 (en) 2009-12-30
JPWO2005039941A1 (ja) 2007-03-01
JP2009018812A (ja) 2009-01-29
US7828391B2 (en) 2010-11-09
JP4369426B2 (ja) 2009-11-18
EP1690756A4 (en) 2008-02-06
CN1926014A (zh) 2007-03-07
CN101474984B (zh) 2012-11-14
ES2339116T3 (es) 2010-05-17
CN1926014B (zh) 2010-06-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880658B2 (ja) シートベルト装置
JP3465519B2 (ja) シートベルト装置
KR101766844B1 (ko) 차량센서를 갖는 안전벨트 리트랙터
US9358951B2 (en) Seatbelt retractor
CN111688632A (zh) 用于车辆座椅的安全带卷收器和成套设备
JP5309358B2 (ja) シートベルトリトラクタ
JPS6253270A (ja) シ−トベルトのリトラクタ−リ−ル
JPS59149841A (ja) シ−トベルトの装着補助装置
JP2003048508A (ja) シートベルトリトラクタ
JP4786655B2 (ja) シートベルト装置
JP3929577B2 (ja) シートベルト用車体加速度センサー
JPS60151142A (ja) 可倒式アウタミラ−のバイザ駆動装置
KR102225406B1 (ko) 차량 센서를 갖는 시트벨트 리트랙터
JP4322220B2 (ja) シートベルト装置
US6213420B1 (en) Safety belt apparatus with an acceleration sensor
JP3768657B2 (ja) シートベルト用車体加速度センサー
CN212332593U (zh) 用于车辆座椅的安全带卷收器和成套设备
EP3984836B1 (en) A vehicle-sensitive sensor and self-locking belt-retractor
JP2921111B2 (ja) 車両用ベルト一体シート
JP5501321B2 (ja) シートベルト装置
JPH11129866A (ja) シートベルト用車体加速度センサー
JP4624296B2 (ja) シートベルト装置
JPH10250530A (ja) シートベルト用リトラクター
JP5594783B2 (ja) シートベルト装置
JP4890526B2 (ja) シートベルト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31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0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