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09208B1 - 시트 높이 조절 장치 - Google Patents

시트 높이 조절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09208B1
KR100809208B1 KR1020050128626A KR20050128626A KR100809208B1 KR 100809208 B1 KR100809208 B1 KR 100809208B1 KR 1020050128626 A KR1020050128626 A KR 1020050128626A KR 20050128626 A KR20050128626 A KR 20050128626A KR 100809208 B1 KR100809208 B1 KR 1008092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t
handle
arm
spur gear
ge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286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80118A (ko
Inventor
유타카 사카모토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데루타 쓰링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데루타 쓰링구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데루타 쓰링구
Publication of KR200600801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801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092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092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1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height-adjust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1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height-adjustable
    • B60N2/1605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height-adjustable characterised by the cinematic
    • B60N2/161Ro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1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height-adjustable
    • B60N2/1635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height-adjustable characterised by the drive mechanism
    • B60N2/165Gear wheel driven mechanis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1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height-adjustable
    • B60N2/1635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height-adjustable characterised by the drive mechanism
    • B60N2/166Worm and worm gear articul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1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height-adjustable
    • B60N2/18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height-adjustable the front or the rear portion of the seat being adjustable, e.g. independently of each oth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시트 높이 조절 장치는 시트의 전단부(前端部) 및 후단부(後端部)의 적어도 한쪽에 부착되어 있다. 시트 높이 조절 장치는, 서로 사이가 떨어진 제1 및 제2브래킷과, 그 제1 및 제2브래킷 사이에 일단(一端)이 회전 운동이 자유롭게 부착되고 타단(他端)이 시트 서포트(seat support)에 회전 운동이 자유롭게 부착된 암(arm)과, 그 암을 회전 구동하는 평 기어(spur gear)와, 그 평 기어와 맞물리는 제1 및 제2래치(first and second latch)와, 상기 제1 및 제2브래킷의 한쪽에 요동이 자유롭게 부착된 핸들을 포함한다. 제1 및 제2브래킷의 한쪽은 시트 프레임(seat frame)에 접합되어 있다. 시트의 높이를 높게 할 경우에는, 상기 핸들을 조작해서 상기 제1래치를 상기 평 기어에 간헐적(間歇的)으로 맞물리게 함으로써 상기 평 기어를 제1방향으로 회전시켜서 상기 암을 구동한다. 다른 한편, 시트의 높이를 낮게 할 경우에는, 상기 핸들을 조작해서 상기 제2래치를 상기 평 기어에 간헐적으로 맞물리게 함으로써 상기 평 기어를 상기 제1방향과는 반대인 제2방향으로 회전시켜서 상기 암을 구동한다.

Description

시트 높이 조절 장치{SEAT HEIGHT ADJUSTING DEVICE}
도 1은 본 발명에 관련한 시트 높이 조절 장치를 구비한 시트 프레임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관련한 시트 높이 조절 장치의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시트 높이 조절 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도 2의 시트 높이 조절 장치의 정면도.
도 5는 도 2의 시트 높이 조절 장치의 평면도.
도 6은 도 2의 시트 높이 조절 장치의 측면도.
도 7은 도 4의 선 A-A를 따른 단면도.
도 8은 도 4의 선 B-B를 따른 단면도.
도 9는 도 4의 선 C-C를 따른 단면도.
도 10은 시트의 후단부가 최하단(最下端) 위치에 있을 경우의 도 2의 시트 높이 조절 장치의 정면도.
도 11은 시트의 후단부의 높이를 높게 할 경우의 동작을 나타내는 도 2의 시트 높이 조절 장치의 정면도.
도 12는 시트의 후단부가 최상단(最上端) 위치에 있을 경우의 도 2의 시트 높이 조절 장치의 정면도.
도 13은 시트의 후단부의 높이를 낮게 할 경우의 동작을 나타내는 도 2의 시트 높이 조절 장치의 정면도.
도 14는 시트의 후단부의 높이를 낮게 할 경우의 더욱 다른 동작을 나타내는 도 2의 시트 높이 조절 장치의 정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제1브래킷(first bracket)
4: 제2브래킷(second bracket)
6: 제1핀(first pin)
6a: 대직경부(大直徑部)
6b: 소직경부(小直徑部)
8: 제2핀
10: 제3핀
12: 암(arm)
12a, 12b: 원형 구멍
14: 제1헬리컬 기어(first helical gear)
14a: 중심 구멍
14b: 핀 삽입 구멍
16: 핀
18: 웜(worm)
18a: 노치(notch)
20: 볼(ball)
22: 웜 서포트(worm support)
24: 록 부재(lock member)
24a: 록부(lock portion)
24b: 돌출 설치부
24c: 스프링 걸림 조각
26: 제3브래킷
26a: 스프링 걸림 조각
26b: 걸림 계단부
28: 핀
28a: 링 형상 홈
30: 제2헬리컬 기어
32: 평(平) 기어
34: 핸들 홀더(handle holder)
34a: 링 형상 보스(ring type boss)
34b: 스프링 걸림 조각
34c: 핸들 부착부
34d: 걸림 볼록부
34e: 핀
36: 래치
38: 스프링
40: 스프링
42: 스프링 핀
44: 핸들
44a: 걸림 돌기(突起)
44b: 그립(grip)
44c: 오목부
46: 킥 플레이트(kick plate)
48: 핀
50: 핀
52: 릴리스(release)
52a: 제1안내 구멍
52b: 제2안내 구멍
M: 시트 높이 조절 장치
S: 시트 프레임
본 발명은, 차량용 시트 등의 시트의 높이를 적절히 조절하는 시트 높이 조절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차량용 시트 높이 조절 장치는, 시트 슬라이드 장치(seat sliding apparatus)를 구성하는 상부 레일(upper rail)과 시트 쿠션(seat cushion)과의 사이에 설치되어, 조작 축에 소직경(小直徑)의 피니언(pinion)을 부착하는 동시에, 이 피니언에 맞물리는 대직경(大直徑)의 섹터 기어(sector gear)에 조작 레버(operating lever)를 부착하고, 조작 레버를 상하로 조작함으로써, 섹터 기어를 통해서 피니언을 회전시켜서 시트의 높이를 조절하도록 하고 있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1 참조).
이 차량용 시트 높이 조절 장치는, 리프트 기구(lifting mechanism)의 상하 운동을 저지하는 브레이크 드럼(brake drum)을 구비하고 있어, 조작 레버를 조작하면 브레이크는 걸리지 않지만, 시트 쿠션 측에서 하중(荷重)이 가해지면 브레이크 드럼에 의해 제동이 걸리는 구성이다.
(특허 문헌 1)
일본국 특개평10-35332호 공보(도 1)
그러나, 특허 문헌 1에 기재한 차량용 시트 높이 조절 장치는, 브레이크 드럼에 의한 마찰식 록(friction type lock)이기 때문에, 조작감(操作感)의 점에서 아직 개선의 여지가 있을 뿐만 아니라, 시트 강성(剛性)도 그다지 높은 것이 아니었다.
본 발명은, 종래 기술이 갖는 이러한 문제점을 감안해서 이루어진 것이며, 기계식 록(mechanical lock)을 채용함으로써 시트 강성을 높이는 동시에, 조작감이 향상된 미세 조절을 가능하게 하는 시트 높이 조절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 중에서 청구항 1에 기재한 발명은, 시트 프레임을 구비하고 시트 서포트(seat support)로써 지지되는 시트(seat)에 대해, 상기 시트 전단부(前端部) 및 후단부(後端部)의 적어도 한쪽에 부착되는 시트 높이 조절 장치로서, 서로 사이가 떨어진 제1 및 제2브래킷(bracket)과, 그 제1 및 제2브래킷 사이에 일단(一端)이 회전 운동이 자유롭게 부착된 암(arm)과, 그 암을 회전 구동하는 평 기어와, 그 평 기어와 맞물리는 상부 및 하부 래치와, 상기 제1 및 제2브래킷의 한쪽에 요동이 자유롭게 부착된 핸들을 구비하고, 상기 암의 타단(他端)을 상기 시트 서포트에 회전 가능하게 부착함과 더불어, 상기 제1 및 제2브래킷의 한쪽을 시트 프레임에 접합하고, 시트의 높이를 높게 할 경우에는, 상기 핸들을 조작해서 상기 상부 래치를 상기 평 기어에 간헐적으로 맞물리게 함으로써 상기 평 기어를 제1방향(A 방향)으로 회전시켜서 상기 암을 구동하는 한편, 시트의 높이를 낮게 할 경우에는, 상기 핸들을 조작해서 상기 하부 래치를 상기 평 기어에 간헐적으로 맞물리게 함으로써 상기 평 기어를 상기 제1방향과는 반대인 제2방향(I 방향)으로 회전시켜서 상기 암을 구동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청구항 2에 기재한 발명은, 상기 제1 및 제2브래킷 사이에 웜을 회전 운동이 자유롭게 부착하고, 그 웜과 맞물리는 제1헬리컬 기어(first helical gear)를 상기 암에 일체적으로 부착함과 더불어, 상기 평 기어에 접합한 제2헬리컬 기어를 상기 제1헬리컬 기어와 맞물리게 하고, 상기 평 기어를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제1 및 제2헬리컬 기어를 통해서 상기 암을 구동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청구항 3에 기재한 발명은, 상기 웜과 상기 제1헬리컬 기어의 리드각(lead angle)을 마찰각(摩擦角) 이상으로 설정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청구항 4에 기재한 발명은, 상기 웜의 일부에 다수의 노치(notch)를 형성함과 더불어, 그 노치와 맞물리는 록 부재를 설치하고, 그 록 부재에 의해 상기 웜의 록(lock) 및 록 해제를 실행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청구항 5에 기재한 발명은, 상기 제1 및 제2브래킷의 한쪽에 상기 상부 및 하부 래치와 걸리는 걸림부를 설치하고, 그 걸림부에 상기 상부 및 하부 래치를 적절히 걸리게 해서, 상기 평 기어가 상기 제1방향으로 회전할 때에는, 상기 하부 래치와 상기 평 기어와의 맞물림을 해제하는 한편, 상기 평 기어가 상기 제2방향으로 회전할 때에는, 상기 상부 래치와 상기 평 기어와의 맞물림을 해제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청구항 6에 기재한 발명은, 상기 핸들이 요동이 자유롭게 부착된 핸들 홀더(handle holder)에 상기 상부 및 하부 래치를 부착함과 더불어, 상기 핸들을 조작함으로써 상기 핸들 홀더를 소정의 각도 범위로 회전 운동시켜서 상기 상부 및 하부 래치를 상기 평 기어에 간헐적으로 맞물리게 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청구항 7에 기재한 발명은, 상기 핸들 홀더에 킥 플레이트(kick plate)를 요동이 자유롭게 부착하고, 상기 핸들을 조작함으로써 상기 킥 플레이트를 통해서 상기 록 부재를 회전 운동시켜서 상기 웜의 록 및 록 해제를 실행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련한 시트 높이 조절 장치(M)를 구비한 시트 프레임(S)을 나타내고 있으며, 높이 조절 장치(M)는 시트 프레임(S)의 후단부의 한쪽(도 1에서는 오른쪽)에 부착되어 있다.
도 2 내지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높이 조절 장치(M)는, 서로 사이가 떨어진 제1 및 제2브래킷(2, 4)을 갖추고, 제1 및 제2브래킷(2, 4)은 제1, 제2 및 제3핀(6, 8, 10)에 의해 일체적으로 유지되어 있다. 제1핀(6)은 대직경부(6a)와 소직경부(6b)를 갖추고 있으며, 대직경부(6a)에는 암(12)의 일단이 회전 운동이 자유롭게 부착되고, 소직경부(6b)에는 제1헬리컬 기어(first helical gear)(14)가 회전 운동이 자유롭게 부착되어 있다. 또한, 암(12)의 일단에는, 제1핀(6)의 대직경부(6a)가 여유롭게 삽입되는 원형 구멍(12a)의 주위에 복수(예를 들면, 4개)의 핀(16)이 소정의 간격으로 제1헬리컬 기어(14)를 향해서 세워 설치되어 있으며, 이것들의 핀(16)이, 제1핀(6)의 소직경부(6b)가 여유롭게 삽입되는 제1헬리컬 기어(14)의 중심 구멍(14a) 주위에 소정의 간격으로 형성된 복수의 핀 삽입 구멍(14b)에 삽입됨으로써, 암(12)과 제1헬리컬 기어(14)는, 일체적으로 회전 운동이 자유롭게 부착되어 있다.
제1헬리컬 기어(14)는 웜(worm)(18)과 맞물리고 있으며, 웜(18)은, 2개의 브래킷(2, 4)에 유지된 볼(20)을 내장하는 1쌍의 웜 서포트(22)에 회전 운동이 자유롭게 부착되어 있다. 또한, 웜(18)의 일단부(一端部)에는 다수의 노치(notch)(18a)가 소정의 간격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노치(18a)는, 제3핀(10)에 요동이 자유롭게 부착된 록 부재(lock member)(24)의 록부(24a)와 대향하고 있다. 또한, 2개의 브래킷(2, 4)에는 대략 구형(矩形)의 웜 삽입 구멍(2a, 4a)이 뚫려 설치되어 있으며, 이 웜 삽입 구멍(2a, 4a)에 웜(18)의 일부가 여유롭게 삽입됨으로써, 2개의 브래킷(2, 4)의 사이가 떨어진 거리를 짧게 설정하고 있다.
또한, 서로 맞물리는 제1헬리컬 기어(14)와 웜(18)의 리드각은 마찰각 이상으로 설정되어 있으며, 제1헬리컬 기어(14)가 회전하면, 제1헬리컬 기어(14)의 회전에 연동해서 웜(18)도 회전하는 구성이다.
또한, 제1브래킷(2)에는 제3브래킷(26)이 부착되어 있으며, 제3브래킷(26)에는 핀(28)이 제2브래킷(4) 측을 향해서 돌출하도록 세워 설치되어 있다. 핀(28)에는, 제1헬리컬 기어(14)와 맞물리는, 제1헬리컬 기어(14)보다 소직경의 제2헬리컬 기어(30)와 평 기어(32)가 회전 운동이 자유롭게 부착되고, 제2헬리컬 기어(30)와 평 기어(32)는 일체적으로 접합되어 있다. 핀(28)에는 또한, 핸들 홀더(handle holder)(34)가 회전 운동이 자유롭게 부착되어 있으며, 핸들 홀더(34)의 일단부에는 1쌍의 래치(36)가 요동이 자유롭게 부착되어 있다. 또한, 래치(36)의 일단에는 평 기어(32)와 맞물리는 래치 클로(latch claw)(36c)가 형성되어 있으며, 래치 클로(36c)의 근방에는, 제3브래킷(26)에 있어서 스프링 걸림 조각(26a)의 반대 측에 형성된 걸림 계단부(26b)의 바깥쪽 가장자리부에 맞닿는 핀(37)이 심어 설치되어 있다. 또한, 1쌍의 래치(36)의 타단에는, 대략 U자 형상으로 절곡된 스프링(38)의 양단이 걸려 있으며, 스프링(38)의 탄성력에 의해 1쌍의 래치(36)는, 그 래치 클로(36c)가 평 기어(32)와 맞물리는 방향에 상시 힘이 가해져 있다.
핸들 홀더(34)에는, 또한, 핀(28)이 여유롭게 삽입되는 원형 구멍의 주위에 링 형상 보스(34a)가 돌출되게 설치되어 있으며, 이 링 형상 보스(34a)에 감겨진 스프링(40)의 양단은, 제3브래킷(26)에 일체적으로 형성된 스프링 걸림 조각(26a)과, 핸들 홀더(34)에 일체적으로 형성된 스프링 걸림 조각(34b)의 양측 가장자리부에 맞닿고, 스프링(40)의 탄성력에 의해 핸들 홀더(34)를 제3브래킷(26)에 대하여 위치 결정하고 있다. 또한, 스프링 핀(42)이 핀(28)의 축 방향에 직교하도록 핀(28)에 부착되어 있으며, 스프링 핀(42)의 자유단(自由端)을 링 형상 보스(34a)의 바로 위에 배치함으로써, 스프링(40)이 링 형상 보스(34a)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핸들 홀더(34)에는, 또한, 서로 반대 측에 위치하는 래치 부착부와 스프링 걸림 조각(34b) 사이의 측부(側部)에 핸들 부착부(34c)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핸들 부착부(34c)에 핸들(44)이 요동이 자유롭게 부착되어 있다. 핸들 부착부(34c)에는, 링 형상 보스(34a)로부터 이격해 떨어지는 방향에 돌출하는 걸림 볼록부(34d)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핸들(44)의 요동 중심의 근방에 형성된 2개의 걸림 돌기(44a)는 걸림 볼록부(34d)의 양측에 각각 1개 배치되어 있다.
핸들 홀더(34)에는, 또한, 핀(34e)이 링 형상 보스(34a)와 핸들 부착부(34c)와의 사이에 설치되어 있으며, 킥 플레이트(kick plate)(46)가 핀(34e)에 요동이 자유롭게 부착되어 있다. 킥 플레이트(46)의 양단에는 핀(48, 50)이 각각 심어 설치되어 있으며, 2개의 핀(48, 50)은 역방향으로 돌출하고 있다. 또한, 핸들(44)의 요동 중심의 근방에 있어서의 그립(44b)의 반대 측에는 오목부(44c)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오목부(44c)에 핀(48)이 끼워 넣기가 자유롭게 구성되어 있다.
킥 플레이트(46)의 외측에는 릴리스(release)(52)가 부착되고, 릴리스(52)의 일단부에는, 원호 형상의 제1안내 구멍(52a)과, 제1안내 구멍(52a)의 안쪽 가장자리로부터 릴리스(52)의 타단부를 향해서 연장하는 제2안내 구멍(52b)이 뚫려 설치되어 있다. 제1안내 구멍(52a)에는, 그 바깥쪽 가장자리와 미끄럼 접촉이 자유롭게 핀(50)이 수용되는 동시에, 제2안내 구멍(52b)에는, 제3브래킷(26)에 세워 설치된 핀(28)의 선단부(先端部)가 여유롭게 삽입되어 있다. 또한, 핀(50)은 제1안내 구멍(52a)의 바깥쪽 가장자리를 따라 미끄럼 접촉하기 때문에, 핀(50)의 미끄럼 접촉부에는 링(54)이 부착되어 있다. 핀(28)의 선단부에는 링 형상의 홈(28a)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링 형상 홈(28a)에 제2안내 구멍(52b)의 측 가장자리가 끼워 넣어짐으로써, 릴리스(52)의 일단부는 핀(28)에 대하여 미끄럼 운동이 자유롭게 유지되어 있다. 또한, 릴리스(52)는 그 일단부로부터 타단부를 향해서 내부 쪽으로 절곡되어 있으며, 그 타단부는, 록 부재(24)에 형성된 돌출 설치부(24b)에 회전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록 부재(24)에는, 또한, 스프링 걸림 조각(24c)이 형성되어 있으며, 스프링 걸림 조각(24c)에 일단이 걸려진 스프링(도시하지 않음)의 타단을 2개의 브래킷(2, 4)의 어느 하나에 걸리게 함으로써, 록 부재(24)의 록부(24a)를 웜(18)의 노치(18a)에 맞물리는 방향으로 상시 힘을 가하고 있다.
상술한 구성의 본 발명에 관련한 시트 높이 조절 장치(M)를 차량용 시트에 채용했을 경우, 높이 조절 장치(M)는, 시트가 전후 방향으로 미끄럼 운동이 자유롭게 부착되는 좌우 1쌍의 시트 슬라이드 장치(도시하지 않음)의 한쪽에 부착된다. 1쌍의 시트 슬라이드 장치의 각각은, 차체 플로어(floor)에 고정되는 하부 레일(lower rail)과, 하부 레일에 미끄럼 운동이 자유롭게 부착되는 상부 레일(upper rail)[시트 서포트(seat support)]에 의해 구성되며, 일단부에 원형 구멍(12a)이 뚫려 설치된 암(12)의 타단부가 한쪽의 상부 레일에 접합된 브래킷(도시하지 않음)에 회전 가능하게 부착되는 동시에, 2개의 브래킷(2, 4)의 어느 한쪽이 시트 쿠션 프레임에 접합된다. 또한, 다른 쪽의 상부 레일에는 브래킷을 통해서 암(12)만이 부착되며, 이 암(12)에 시트 쿠션 프레임이 회전 가능하게 부착됨으로써, 시트 후단부의 높이 조절이 가능하게 된다.
이어서, 본 발명에 관련한 시트 높이 조절 장치(M)의 작용을 도 10 내지 도 14를 참조해서 설명한다.
도 10은 시트의 후단부가 최하단 위치에 있을 경우를 나타내고 있으며, 이 상태에서는,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록 부재(24)의 록부(24a)가 웜(18)의 노치(18a)와 맞물려 있고, 또한, 1쌍의 래치(36a, 36b)는 그 래치 클로(36c)가 평 기어(32)와 맞물려 있기 때문에, 시트의 후단부는 그 높이에 유지되어 있다.
시트의 후단부를 높게 하고 싶을 경우에는, 핸들(44)의 그립(grip)(44b)을 도 11에 나타내는 위치까지 인상하면, 킥 플레이트(46)가 화살표 A의 방향으로 요동하고, 릴리스(52)의 제1안내 구멍(52a)에 수용된 핀(50)에 의해 릴리스(52)가 화살표 B의 방향으로 이동한다. 그 결과, 록 부재(24)가 화살표 C의 방향으로 회전하므로, 록 부재(24)의 록부(24a)와 웜(18)의 노치(18a)와의 맞물림이 해제된다.
이 상태에서는, 핸들(44)의 그립(44b) 측의 걸림 돌기(44a)가 핸들 홀더(34)의 걸림 볼록부(34d)의 측 가장자리와 맞닿고 있으며, 이 상태로부터 핸들(44)을 더욱 인상하면, 핸들 홀더(34)가 핸들(44)에 연동해서 소정의 각도 범위로 회전한다. 따라서, 1쌍의 래치(36a, 36b)도 핸들 홀더(34)와 함께 화살표 D의 방향으로 회전하고, 아래쪽에 위치하는 래치(이하, 하부 래치(36b)라고 한다)에 심어 설치된 핀(37)이 제3브래킷(26)의 걸림 계단부(26b)의 바깥쪽 가장자리부를 따라 미끄럼 운동해서 화살표 E의 방향으로 요동한다. 그 결과, 하부 래치(36b)와 평 기어(32)와의 맞물림은 해제되지만, 위쪽에 위치하는 래치(이하, 상부 래치(36a)라고 한다)는 여전히 평 기어(32)와 맞물려 있으므로, 평 기어(32)도 마찬가지로 화살표 A의 방향으로 회전한다. 따라서, 서로 맞물리는 제1 및 제2헬리컬 기어(14, 30)를 통해서 암(12)이 화살표 F의 방향으로 소정의 각도만큼 회전 구동되므로, 그 각도에 대응하는 소정의 높이만큼 시트의 후단부가 높아진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서로 맞물리는 제1헬리컬 기어(14)와 웜(18)의 리드각은 마찰각보다도 크게 설정되어 있으므로, 제1헬리컬 기어(14)의 회전에 따라 웜(18)도 회전한다.
이 상태에서, 핸들(44)로부터 손을 놓으면, 스프링(40)의 탄성력에 의해 핸들 홀더(34)는, 그 스프링 걸림 조각(34b)이 제3브래킷(26)의 스프링 걸림 조각(26a)과 겹치는 위치(이하, 중립 위치라고 한다)까지 복귀하는 동시에, 록 부재(24)는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그 록부(24a)가 웜(18)의 노치(18a)와 다시 맞물려서 웜(18)을 잠근다.
또한, 상부 래치(36a)의 래치 클로(36c)는, 평 기어(32)와 맞물려서 평 기어(32)의 톱니 면을 화살표 A의 방향으로 누를 경우에는 맞물림이 유지되고, 그 반대의 경우에는 스프링(40)의 탄성력에 저항해서 평 기어(32)와의 맞물림이 해제되도록 형상 설정이 되어 있다.
따라서, 핸들(44)이, 도 10에 나타나는 원래의 위치(이하, 중간 위치라고 한다)까지 복귀하면, 평 기어(32)는 소정의 각도에 회전한 상태를 유지한 채, 1쌍의 래치(36a, 36b)와 다시 맞물리게 되므로, 핸들(44)을 다시 인상함으로써, 시트의 후단부를 추가로 소정의 높이만큼 높게 할 수 있다.
즉, 핸들(44)을 중간 위치와 최상단 위치와의 사이에서 상하 이동시킴으로써 록 부재(24)와 웜(18)이 적절히 끼워지고 이탈하는 동시에, 상부 래치(36a)와 평 기어(32)와를 간헐적으로 맞물리게 함으로써, 시트의 후단부를 임의의 높이까지 높게 할 수 있다.
또한, 도 12는 시트의 후단부가 최상단 위치에 있을 경우를 나타내고 있으며, 이 상태는 도 10의 상태와 마찬가지로,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록 부재(24)의 록부(24a)가 웜(18)의 노치(18a)와 맞물려 있으며, 또한, 1쌍의 래치(36a, 36b)는 그 래치 클로(36c)가 평 기어(32)와 맞물려 있기 때문에, 시트의 후단부는 그 높이에 유지되어 있다.
시트의 후단부를 낮게 하고 싶을 경우에는, 핸들(44)의 그립(44b)을 도 13에 나타내는 위치까지 내리면, 킥 플레이트(46)가 화살표 A의 방향으로 요동하고, 릴리스(52)의 제1안내 구멍(52a)에 수용된 핀(50)에 의해 릴리스(52)가 화살표 B의 방향으로 이동한다. 그 결과, 록 부재(24)가 화살표 C의 방향으로 회전하므로, 록 부재(24)의 록부(24a)와 웜(18)의 노치(18a)와의 맞물림이 해제된다.
이 상태에서는, 핸들(44)의 그립(44b)과 반대 측의 걸림 돌기(44a)가 핸들 홀더(34)의 걸림 볼록부(34d)의 측 가장자리와 맞닿고 있으며, 이 상태로부터 핸들(44)을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더욱 내리면, 핸들 홀더(34)가 핸들(44)에 연동해서 소정의 각도 범위로 회전한다. 따라서, 1쌍의 래치(36a, 36b)도 핸들 홀더(34)와 함께 화살표 G의 방향(화살표 D의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고, 상부 래치(36a)에 심어 설치된 핀(37)이 제3브래킷(26)의 걸림 계단부(26b)의 바깥쪽 가장자리부를 따라 미끄럼 운동해서 화살표 H의 방향으로 요동한다. 그 결과, 상부 래치(36a)와 평 기어(32)와의 맞물림은 해제되지만, 하부 래치(36b)는 여전히 평 기어(32)와 맞물려 있으므로, 평 기어(32)도 마찬가지로 화살표 I의 방향(화살표 A의 반대 방향)으로 회전한다. 따라서, 서로 맞물리는 제1 및 제2헬리컬 기어(14, 30)를 통해서 암(12)이 화살표 J의 방향(화살표 F의 반대 방향)으로 소정의 각도만큼 회전 구동되므로, 그 각도에 대응하는 소정의 높이만큼 시트의 후단부가 낮아진다.
이 상태에서, 핸들(44)로부터 손을 놓으면, 스프링(40)의 탄성력에 의해 핸들 홀더(34)는, 중립 위치까지 복귀하는 동시에, 록 부재(24)는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그 록부(24a)가 웜(18)의 노치(18a)와 다시 맞물려서 웜(18)을 잠근다.
또한, 하부 래치(36b)는 상부 래치(36a)에 대하여 상하 대칭의 형상을 나타내고 있으며, 하부 래치(36b)의 래치 클로(36c)는, 평 기어(32)와 맞물려서 평 기어(32)의 톱니 면을 화살표 I의 방향으로 누를 경우에는 맞물림이 유지되고, 그 반대의 경우에는 스프링(40)의 탄성력에 저항해서 평 기어(32)와의 맞물림이 해제되도록 형상 설정이 되어 있다.
따라서, 핸들(44)이, 중간 위치까지 복귀하면, 평 기어(32)는 소정의 각도로 회전한 상태를 유지한 채, 1쌍의 래치(36a, 36b)와 다시 맞물리게 되므로, 핸들(44)을 다시 내림으로써, 시트의 후단부를 추가로 소정의 높이만큼 낮게 할 수 있다.
즉, 핸들(44)을 중간 위치와 최하단 위치와의 사이에서 상하 이동시킴으로써, 록 부재(24)와 웜(18)이 적절히 끼워지고 이탈하는 동시에, 하부 래치(36b)와 평 기어(32)를 간헐적으로 맞물리게 함으로써, 시트의 후단부를 임의의 높이까지 낮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는, 본 발명에 관련한 높이 조절 장치(M)를 시트 프레임(S)의 후단부의 한쪽에 부착하고, 시트 후단부의 높이를 조절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했지만, 본 발명에 관련한 높이 조절 장치(M)를 시트 프레임(S) 전단부 및 후단부에 각각 1개씩 부착하고, 시트 전단부 및 후단부의 높이를 임의로 조절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시트 자리 면의 각도를 적절히 변경할 수 있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본 발명에 의하면, 시트 높이 조절 장치를, 서로 사이가 떨어진 1쌍의 브래킷과, 1쌍의 브래킷 사이에 일단이 회전 운동이 자유롭게 부착된 암과, 이 암을 회전 구동하는 평 기어와, 평 기어와 맞물리는 1쌍의 래치와, 1쌍의 브래킷의 한쪽에 요동이 자유롭게 부착된 핸들에 의해 구성하고, 암의 타단을 소정의 부위에 회전 가능하게 부착하는 동시에, 1쌍의 브래킷의 한쪽을 시트 프레임에 접합했다. 또한, 시트의 높이를 높게 할 경우에는 1쌍의 래치의 한쪽을 평 기어에 맞물리게 한 상태 에서, 핸들을 조작함으로써 다른 쪽의 래치를 평 기어에 간헐적으로 맞물리게 해서 평 기어를 소정의 방향으로 회전시켜, 암을 구동해서 시트의 높이를 높게 하는 한편, 시트의 높이를 낮게 할 경우에는 상기 다른 쪽의 래치를 평 기어에 맞물리게 한 상태에서, 핸들을 조작함으로써 상기 한쪽의 래치를 평 기어에 간헐적으로 맞물리게 해서 평 기어를 상기 소정의 방향의 역방향으로 회전시켜, 암을 구동해서 시트의 높이를 낮게 하도록 했으므로, 시트 높이 조절 장치를 기계적으로 잠글 수 있고, 시트 강성을 높일 수 있는 동시에 조작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1쌍의 브래킷 사이에 웜을 회전 운동이 자유롭게 부착하고, 웜과 맞물리는 제1헬리컬 기어를 암에 일체적으로 부착하는 동시에, 평 기어에 접합한 제2헬리컬 기어를 제1헬리컬 기어와 맞물리게 하여, 평 기어를 회전시킴으로써 제1 및 제2헬리컬 기어를 통해서 암을 구동하도록 했으므로, 거의 무단계로 시트의 높이를 미세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련한 시트 높이 조절 장치는, 마찰식 록을 채용하는 일 없이 기계식 록을 채용했으므로 시트 강성이 높아지는 동시에, 조작감이 향상되므로 차량용 시트 높이 조절 장치로서 유용하다.

Claims (7)

  1. 시트 프레임(S)을 구비하고 시트 서포트(seat support)로써 지지되는 시트(seat)에 대해, 상기 시트의 전단부(前端部) 및 후단부(後端部)의 적어도 한쪽에 부착되는 시트 높이 조절 장치(M)에 있어서,
    서로 사이가 떨어진 제1 및 제2브래킷(2, 4)과, 상기 제1 및 제2브래킷(2, 4) 사이에 일단(一端)이 회전 운동이 자유롭게 부착된 암(12)과, 상기 암(12)을 회전 구동하는 평 기어(32)와, 상기 평 기어(32)와 맞물리는 상부 래치(36a) 및 하부 래치(36b)와, 상기 제1 및 제2브래킷(2, 4)의 한쪽에 요동이 자유롭게 부착된 핸들(44)을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암(12)의 타단(他端)을 상기 시트 서포트에 회전 가능하게 부착함과 더불어, 상기 제1 및 제2브래킷(2, 4)의 한쪽을 시트 프레임(S)에 접합하고, 시트의 높이를 높게 할 경우에는, 상기 핸들(44)을 조작해서 상기 상부 래치(36a)를 상기 평 기어(32)에 간헐적으로 맞물리게 함으로써 상기 평 기어(32)를 제1방향(A 방향)으로 회전시켜서 상기 암(12)을 구동하는 한편, 시트의 높이를 낮게 할 경우에는, 상기 핸들(44)을 조작해서 상기 하부 래치(36b)를 상기 평 기어(32)에 간헐적으로 맞물리게 함으로써 상기 평 기어(32)를 상기 제1방향과는 반대인 제2방향(I 방향)으로 회전시켜서 상기 암(12)을 구동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높이 조절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브래킷(2, 4) 사이에 웜(18)을 회전 운동이 자유롭게 부착하고, 상기 웜(18)과 맞물리는 제1헬리컬 기어(14)를 상기 암(12)에 일체적으로 부착함과 더불어, 상기 평 기어(32)에 접합한 제2헬리컬 기어(30)를 상기 제1헬리컬 기어(14)와 맞물리게 하고, 상기 평 기어(32)를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제1 및 제2헬리컬 기어(14, 30)를 통해서 상기 암(12)을 구동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높이 조절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웜(18)과 상기 제1헬리컬 기어(14)의 리드각(lead angle)을 마찰각 이상으로 설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높이 조절 장치.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웜(18)의 일부에 다수의 노치(18a)를 형성함과 더불어, 상기 노치(18a)와 맞물리는 록 부재(24)를 설치하고, 상기 록 부재(24)에 의해 상기 웜(18)의 록(lock) 및 록 해제를 실행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높이 조절 장치.
  5. 제1항 내지 제3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브래킷(2, 4)의 한쪽에 상기 상부 및 하부 래치(36a, 36b)와 걸리는 걸림부(26b)를 설치하고, 상기 걸림부(26b)에 상기 상부 및 하부 래치(36a, 36b)를 적절히 걸리게 해서, 상기 평 기어(32)가 상기 제1방향으로 회전할 때에는, 상기 하부 래치(36b)와 상기 평 기어(32)와의 맞물림을 해제하는 한편, 상기 평 기어(32)가 상기 제2방향으로 회전할 때에는, 상기 상부 래치(36a)와 상기 평 기어(32)와의 맞물림을 해제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높이 조절 장치.
  6. 제1항 내지 제3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44)이 요동이 자유롭게 부착된 핸들 홀더(34)에 상기 상부 및 하부 래치(36a, 36b)를 부착함과 더불어, 상기 핸들(44)을 조작함으로써 상기 핸들 홀더(34)를 소정의 각도 범위로 회전 운동시켜서 상기 상부 및 하부 래치(36a, 36b)를 상기 평 기어(32)에 간헐적으로 맞물리게 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높이 조절 장치.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 홀더(34)에 킥 플레이트(46)를 요동이 자유롭게 부착하고, 상기 핸들(44)을 조작함으로써 상기 킥 플레이트(46)를 통해서 상기 록 부재(24)를 회전 운동시켜서 상기 웜(18)의 록 및 록 해제를 실행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높이 조절 장치.
KR1020050128626A 2005-01-04 2005-12-23 시트 높이 조절 장치 KR10080920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5-00000034 2005-01-04
JP2005000034A JP4471847B2 (ja) 2005-01-04 2005-01-04 シートの高さ調節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80118A KR20060080118A (ko) 2006-07-07
KR100809208B1 true KR100809208B1 (ko) 2008-02-29

Family

ID=362155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28626A KR100809208B1 (ko) 2005-01-04 2005-12-23 시트 높이 조절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7380763B2 (ko)
EP (1) EP1676740B1 (ko)
JP (1) JP4471847B2 (ko)
KR (1) KR100809208B1 (ko)
CN (1) CN100540355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998867B2 (ja) * 2005-01-27 2012-08-15 株式会社デルタツーリング リクライニングアジャスタ
KR100821099B1 (ko) * 2006-09-26 2008-04-08 주식회사다스 자동차의 시트쿠션용 펌핑디바이스
FR2920358B1 (fr) * 2007-08-28 2011-03-25 Peugeot Citroen Automobiles Sa Structure de siege de vehicule automobile reglable en hauteur
CN101407187B (zh) * 2007-10-12 2012-11-21 湖北中航精机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双向驱动装置
CN101342876B (zh) * 2008-08-19 2012-04-11 上海延锋江森座椅有限公司 汽车座椅升降调节装置
DE102008061109B4 (de) * 2008-12-09 2019-05-09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n. d. Ges. d. Staates Delaware) Betätigungshebel für eine Längsverstellvorrichtung eines Kraftfahrzeugsitzes
JP4985744B2 (ja) * 2009-10-28 2012-07-25 株式会社今仙電機製作所 シート装置
JP5576214B2 (ja) * 2010-08-30 2014-08-20 シロキ工業株式会社 有段リフタ装置
KR101491884B1 (ko) * 2012-11-29 2015-02-11 주식회사다스 차량용 시트의 펌핑디바이스
JPWO2015156138A1 (ja) * 2014-04-07 2017-04-13 デルタ工業株式会社 シートリフターおよびギア機構
CN104015635B (zh) * 2014-06-12 2016-07-06 上海延锋江森座椅有限公司 座椅电动升降调节装置
CN108146300A (zh) * 2017-12-29 2018-06-12 爱驰汽车有限公司 汽车座椅高度调节装置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39929A (en) 1980-06-23 1981-04-15 Aisin Seiki Co Ltd Device for adjusting height of automotive seat
JPS56128236A (en) 1980-03-14 1981-10-07 Nhk Spring Co Ltd Adjusting apparatus for height of seat surface
DE4446741A1 (de) 1994-12-24 1996-06-27 Opel Adam Ag Betätigungseinrichtung
KR960008037Y1 (ko) * 1990-07-31 1996-09-23 Tachi S Co 자동차 시트의 현가장치
JPH1035332A (ja) 1996-07-25 1998-02-10 Delta Kogyo Co Ltd 自動車用シートのリフター装置
JP2001246968A (ja) 2000-03-06 2001-09-11 Nhk Spring Co Ltd レバー装置
US6290198B1 (en) 1998-09-16 2001-09-18 Aisin Seiki Kabushiki Kaisha Seat lifter device for a vehicle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07611A (en) * 1990-01-04 1991-04-16 Tachi-S Co. Ltd. Operation mechanism of lifter for automotive seat
US5322341A (en) * 1991-10-07 1994-06-21 Findlay Industries Articulated seat assembly
US5975634A (en) * 1997-10-24 1999-11-02 Steelcase Development Inc. Chair including novel back construction
US6719372B2 (en) * 2000-10-06 2004-04-13 Robert E. Glaspie Cone recliner/clutch mechanism
JP2005000034A (ja) 2003-06-10 2005-01-06 Asahi Kasei Corp 全能性幹細胞培養用フィーダー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128236A (en) 1980-03-14 1981-10-07 Nhk Spring Co Ltd Adjusting apparatus for height of seat surface
JPS5639929A (en) 1980-06-23 1981-04-15 Aisin Seiki Co Ltd Device for adjusting height of automotive seat
KR960008037Y1 (ko) * 1990-07-31 1996-09-23 Tachi S Co 자동차 시트의 현가장치
DE4446741A1 (de) 1994-12-24 1996-06-27 Opel Adam Ag Betätigungseinrichtung
JPH1035332A (ja) 1996-07-25 1998-02-10 Delta Kogyo Co Ltd 自動車用シートのリフター装置
US6290198B1 (en) 1998-09-16 2001-09-18 Aisin Seiki Kabushiki Kaisha Seat lifter device for a vehicle
JP2001246968A (ja) 2000-03-06 2001-09-11 Nhk Spring Co Ltd レバー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4471847B2 (ja) 2010-06-02
US20060145521A1 (en) 2006-07-06
EP1676740A2 (en) 2006-07-05
EP1676740A3 (en) 2007-03-21
JP2006188113A (ja) 2006-07-20
EP1676740B1 (en) 2008-07-09
CN1799899A (zh) 2006-07-12
KR20060080118A (ko) 2006-07-07
CN100540355C (zh) 2009-09-16
US7380763B2 (en) 2008-06-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09208B1 (ko) 시트 높이 조절 장치
JP3432484B2 (ja) ピボット機構を備えた乗物用シート
JP5035243B2 (ja) 車両用シートスライド装置
JP2009227259A (ja) シートスライド装置
JP2009292435A (ja) シート
JP2006233456A (ja) ドアロック装置
JP2012504715A (ja) 車両用ドアハンドル
JP2010149645A (ja) 扉開閉構造及び扉開閉装置
JP6385170B2 (ja) スライドロック遠隔操作構造
KR100355784B1 (ko) 스트레처 제진대의 고정 기구
JP2004050868A (ja) ウォークインシート
KR20090013062A (ko) 차량용 시트
WO2009139348A1 (ja) シートスライド装置
JP5734750B2 (ja) 有段リフタ装置
JP2007120076A (ja) ロック装置
JP2009102856A (ja) 施錠装置
KR102273356B1 (ko) 지지 스프링이 구비된 차량용 도어래치
JP6091966B2 (ja) コンソールドア用操作装置
KR102212756B1 (ko) 유동억제구조를 포함하는 시트 트랙용 록킹장치
JP4527498B2 (ja) シート
KR100534257B1 (ko) 자동차용 보관형시트 홀더
JPH0627297U (ja) ウォ−クイン機能を有するシ−ト装置
JP3430721B2 (ja) 車両用シートスライド装置
KR101517025B1 (ko) 자동차용 도어 잠금장치
JP2022051163A (ja) シフトレバ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0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0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8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