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12756B1 - 유동억제구조를 포함하는 시트 트랙용 록킹장치 - Google Patents

유동억제구조를 포함하는 시트 트랙용 록킹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12756B1
KR102212756B1 KR1020190126621A KR20190126621A KR102212756B1 KR 102212756 B1 KR102212756 B1 KR 102212756B1 KR 1020190126621 A KR1020190126621 A KR 1020190126621A KR 20190126621 A KR20190126621 A KR 20190126621A KR 102212756 B1 KR102212756 B1 KR 1022127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ck plate
reaction force
track
guide bracket
su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266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순현
조동우
강유준
Original Assignee
대원강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원강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원강업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266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1275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127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127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0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slidable
    • B60N2/08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slidable characterised by the locking devi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0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slidable
    • B60N2/07Slide constru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5Reducing production costs, e.g. by redesig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7Facilitating assembling or moun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동억제구조를 포함하는 시트 트랙용 록킹장치에 관한 것으로, 그 목적은 록크플레이트의 원활한 동작이 가능하며, 시트의 록킹 시 록크플레이트가 유동없이 완전히 고정되어 시트를 보다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한 유동억제구조를 포함하는 시트 트랙용 록킹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은 고정트랙과 이동트랙을 결속하는 록크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시트트랙용 록킹장치에 있어서, 상기 록크플레이트의 전면 및 후면에 마주하는 2개의 내측면을 포함하여 록크플레이트의 이동을 지지하는 가이드 브라켓; 상기 록크플레이트의 하부 배치되고 2개의 내측면 중 어느 한 내측면과 마주하는 대응면을 포함하는 서브캠; 상기 록크플레이트가 록킹위치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서브캠 제1방향으로 움직이면서 대응면이 내측면에 밀착되게 하고, 록크플레이트가 제1방향과 반대되는 제2방향으로 가압되면서 나머지 한 내측면에 밀착되게 유도하는 유동억제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유동억제수단은, 상기 록크플레이트를 상하로 관통하는 구조로 형성된 반력유도공간에 형성된 제1쐐기면; 및 상기 서브캠으로부터 돌출되어 반력유도공간에 삽입되고 반력유도공간 내에서 이동 가능하도록 반력유도공간 보다 작은 크기로 형성된 반력유도블록에 형성된 제2쐐기면;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동억제구조를 포함하는 시트 트랙용 록킹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유동억제구조를 포함하는 시트 트랙용 록킹장치{Locking device for seat track}
본 발명은 차량 시트의 전후 위치조절을 위한 시트 트랙에 적용되는 록킹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록크플레이트에 의해 고정트랙과 이동트랙이 결속되어 이동트랙의 이동이 구속될 때 록크플레이트와 서브캠이 연동하여 작동하면서 구속되어 록크플레이트의 유동을 억제하도록 이루어진 유동억제구조를 포함하는 시트 트랙용 록킹장치에 관한 것이다.
차량용 시트에는 탑승자의 체형에 적합하도록 하거나 차량 내 공간 활용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하여 시트의 위치나 자세를 임의로 조정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다양한 편의 기능들이 포함되며, 이러한 편의 기능 중에는 시트의 위치를 차량의 전후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이 포함된다.
이처럼 시트를 차량의 전후로 이동시키면서 시트의 위치를 변화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시트는 시트 트랙을 매개로 차체에 결합된다.
상기 시트 트랙은 차량의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구조를 갖도록 차체 고정되게 설치되는 고정트랙과, 시트의 하부에 고정되게 설치되고 고정트랙에 결합되어 고정트랙을 따라 이동하는 이동트랙과, 상기 이동트랙에 설치되며 고정트랙에 선택적으로 결속되어 이동트랙을 고정트랙에 고정시킴으로써 시트의 이동을 구속하는 록킹장치로 구성된다.
한편, 상기 록킹장치는 이동트랙으로부터 돌출되거나 이동트랙의 내부에 수납된 상태를 유지하는 록크플레이트를 포함하며, 시트의 위치 고정 시 록크플레이트에 형성된 다수의 록킹후크가 이동트랙으로부터 돌출되어 고정트랙에 형성된 록킹홀에 삽입됨으로써 이동트랙과 고정트랙의 결속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와 같은 구조에 있어서, 록킹장치의 제작이 용이하고, 록크플레이트의 원활한 이동이 가능하며, 록크플레이트의 록킹후크가 고정트랙에 형성된 록킹홀에 원활하게 삽입되거나 빠져나올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부품 간에 충분한 공차가 확보되어야 함에 따라 록크플레이트에 어느 정도의 유격이 발생할 수밖에 없다.
예컨대, 상기 록크플레이트가 유격없이 이동하도록 구성된 경우, 주변 부품과의 마찰로 인하여 록크플레이트의 이동이 원활하지 못할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시트의 위치를 조절하는 과정에서 록킹후크가 록킹홀에 원활하게 삽입되지 못하게 되므로 사용상의 불편을 초래하는 것은 물론이고, 고정트랙과 이동트랙 및 록킹장치를 제작하는 과정에서 높은 아주 높은 정밀도가 요구됨에 따라 실제 적용은 불가능하다.
따라서, 종래에는 록크플레이트가 이동하면서 록킹후크가 록킹홀에 삽입되는 방식의 시트 트랙용 록킹장치를 구성함에 있어서, 록크플레이트와 주변 부품 간에 충분한 공차를 두어 록크플레이트가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하며, 사용자가 시트의 위치를 대략적으로 조절한 상태에서도 록크플레이트의 록킹후크가 고정트랙의 록킹홀에 삽입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위와 같은 경우, 록크플레이트와 주변 부품의 사이에 유격이 형성됨에 따라 시트가 완전히 고정되지 못하고 전후방향으로 조금씩 움직이게 되므로, 시간의 경과와 더불어 소음 발생의 가능성이 높고, 사고 발생 시 유격으로 인하여 시트가 움직이면서 록크플레이트에 가해지는 충격이 가중되어 더욱 위험한 상황을 초래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등록특허공보 제10-1851601호(2018.04.24.공고)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록크플레이트의 원활한 동작이 가능하며, 시트의 록킹 시 록크플레이트가 유동없이 완전히 고정되어 시트를 보다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한 유동억제구조를 포함하는 시트 트랙용 록킹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단순한 구조로 제작 및 유지보수가 용이하며, 작동의 신뢰성이 보장된 유동억제구조를 포함하는 시트 트랙용 록킹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고 종래의 결점을 제거하기 위한 과제를 수행하는 본 발명은 차체에 고정되게 설치된 고정트랙을 따라 시트와 함께 이동하도록 이루어진 이동트랙에 설치되고, 이동트랙의 내부에 수납된 록킹해제위치와 이동트랙의 외부로 일부가 돌출되어 고정트랙에 결속되는 록킹위치의 사이에서 레버 조작 및 스프링의 탄성에 의해 이동하는 록크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루어진 시트트랙용 록킹장치에 있어서, 상기 록크플레이트의 일부를 감싸 록크플레이트의 이동을 지지하도록 이동트랙에 고정되게 설치되며, 록크플레이트의 전면 및 후면에 마주하는 2개의 내측면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루어진 가이드 브라켓; 상기 가이드 브라켓의 내부에서 록크플레이트의 하부에 위치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2개의 내측면 중 어느 한 내측면에 마주하는 대응면을 포함하는 서브캠; 및 상기 록크플레이트가 록킹위치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서브캠이 록크플레이트와 연동하여 록크플레이트의 이동방향과 직교하는 제1방향으로 움직이면서 대응면이 내측면에 밀착되게 하고, 이와 함께 록크플레이트가 제1방향과 반대되는 제2방향으로 가압되면서 전면 또는 후면이 나머지 한 내측면에 밀착되게 유도하여 록크플레이트의 유동을 억제하는 유동억제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유동억제수단은, 상기 록크플레이트를 상하로 관통하는 구조로 형성된 반력유도공간의 한 쪽 면을 록크플레이트의 좌우방향으로 경사지게 하여 형성된 제1쐐기면; 및 상기 서브캠으로부터 돌출되어 반력유도공간에 삽입되고 반력유도공간 내에서 이동 가능하도록 반력유도공간 보다 작은 크기로 형성된 반력유도블록에 형성되되, 제1쐐기면과 마주하는 위치에서 제1쐐기면에 대응하여 경사진 구조로 형성되어 록크플레이트가 록킹해제위치에서 록킹위치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서브캠은 제1방향으로 움직이고 록크플레이트는 제2방향으로 움직이도록 유도하는 반력을 제1쐐기면과 함께 발생시키는 제2쐐기면;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동억제구조를 포함하는 시트 트랙용 록킹장치를 제공한다.
삭제
삭제
한편 상기 유동억제구조를 포함하는 시트 트랙용 록킹장치에 있어서, 상기 반력유도블록으로부터 가이드 브라켓을 관통하여 가이드 브라켓의 상부로 돌출되게 형성 또는 설치되며, 레버와 연결되어 록크플레이트를 록킹위치에서 록킹해제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한 레버의 조작력을 서브캠으로 전달하는 돌출핀; 상기 가이드 브라켓 또는 이동트랙에 설치되며 돌출핀과 연결되어 레버의 조작력과 반대방향으로 돌출핀을 탄성 지지하면서 제2쐐기면을 제1쐐기면에 밀착시키는 제1스프링; 상기 록크플레이트로부터 가이드 브라켓을 관통하여 가이드 브라켓의 상부로 돌출되게 형성 또는 설치된 돌출편; 및 상기 가이드 브라켓 또는 이동트랙에 설치되며 돌출편과 연결되어 록크플레이트를 록킹해제위치에서 록킹위치로 이동시키도록 돌출편을 탄성 지지하는 제2스프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유동억제구조를 포함하는 시트 트랙용 록킹장치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브라켓과 록크플레이트의 접촉면적 감소를 통해 마찰 저항을 감소시키는 돌기 또는 홈이 가이드 브라켓 또는 록크플레이트에 형성되고, 상기 록크플레이트와 서브캠의 접촉면적 감소를 통해 마찰 저항을 감소시키는 돌기 또는 홈이 록크플레이트 또는 서브캠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특징을 갖는 본 발명에 의하면, 록크플레이트와 연동하여 움직이는 서브캠을 이용하여 록크플레이트를 록킹위치에서 구속하여 록크플레이트의 유동을 억제함으로써, 시트의 안정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단순한 구조로 제조 및 유지관리 용이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록킹장치가 적용된 시트트랙의 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록킹장치가 이동트랙에 설치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3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록킹장치가 이동트랙에 설치된 상태를 보인 측면도,
도 4 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 브라켓과 록크플레이트 및 서브캠의 결합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5 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 브라켓과 록크플레이트 및 서브캠의 결합관계를 보인 분해 사시도,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록크플레이트와 서브캠이 결합된 상태를 보인 평면도,
도 7 은 록크플레이트가 록킹위치로 이동된 상태를 보인 예시도,
도 8 은 록크플레이트가 록킹위치에서 록킹해제위치로 이동하는 상태를 보인 예시도,
도 9 는 록크플레이트가 록킹해제위치로 이동된 상태를 보인 예시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과 연계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록킹장치가 적용된 시트트랙의 사시도를,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록킹장치가 이동트랙에 설치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를,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록킹장치가 이동트랙에 설치된 상태를 보인 측면도를,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 브라켓과 록크플레이트 및 서브캠의 결합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를,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 브라켓과 록크플레이트 및 서브캠의 결합관계를 보인 분해 사시도를,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록크플레이트와 서브캠이 결합된 상태를 보인 평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유격방지 기능을 갖는 시트트랙용 록킹장치는 차체에 고정되게 설치된 고정트랙(10)을 따라 시트와 함께 이동하도록 이루어진 이동트랙(20)에 설치되고, 이동트랙(20)의 내부에 수납된 록킹해제위치(P2:도 9에 표시됨)와 이동트랙(20)의 외부로 일부가 돌출되어 고정트랙(10)에 결속되는 록킹위치(P1:도 7에 표시됨)의 사이에서 레버 조작 및 스프링의 탄성에 의해 록크플레이트(140)가 이동하면서 이동트랙(20)을 고정트랙(10)에 선택적으로 고정시키도록 이루어진 것으로, 구동레버(110), 구동축(120), 피동레버(130), 록크플레이트(140), 가이드 브라켓(150), 서브캠(160), 유동억제수단(170)으로 구성된다.
상기 구동레버(110)는 사용자의 조작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것으로, 이동트랙(20)의 상부에 노출되며, 구동축(120)의 상단부에 고정되게 설치되어 사용자가 시트에 마련된 미도시된 조작레버의 조작 시 구동축(120)과 함께 회전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구동레버(110)는 제3스프링(183)에 의해 탄성 지지되며, 제3스프링(183)은 비틀림 스프링으로 구성되어 구동레버(110)를 한 쪽 방향 즉, 록크플레이트(140)를 록킹위치(P1)로 이동시키는 방향으로 구동레버(110)를 회전시키도록 설치된다.
이처럼 제3스프링(183)에 의해 탄성 지지된 구동레버(110)가 정해진 위치에서 정지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스토퍼(21)가 이동트랙(20)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되게 형성된다.
상기 구동축(120)은 구동레버(110)와 피동레버(130)를 연결하는 것으로, 수직한 자세로써 이동트랙(20)의 상단부로부터 이동트랙(20)의 내부로 연장되는 구조로 설치되어 구동레버(110)와 피동레버(130)를 연결하도록 이루어지며, 이동트랙(20)에 회전 가능한 구조로 지지되어 구동레버(110)의 회전 조작 시 피동레버(130)를 회전시키도록 구성된다.
상기 피동레버(130)는 구동축(120)의 하단부에 고정되게 설치되어 구동축(120)과 회전하도록 이루어지며, 구동축(120)의 회전 시 후술될 돌출핀(162)을 통해 서브캠(160)으로 사용자의 조작력을 전달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록크플레이트(140)는 수평한 자세의 판재로 이루어지며, 한 쪽 측면부에는 고정트랙(10)에 형성된 록킹홀(11)에 삽입되어 이동트랙(20)을 고정트랙(10)에 결속시키는 다수의 록킹후크(141)가 형성되고, 전면(140a)은 가이드 브라켓(150)의 내측면(151a)과 마주하여 밀착되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록크플레이트(140)에는 록크플레이트(140)를 상하로 관통하는 반력유도공간(142)이 형성되며, 상기 반력유도공간(142)은 대략 4각형의 형태로 이루어지되, 한 쪽 면이 유동억제수단(170)을 구성하는 제1쐐기면(171)을 형성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록크플레이트(140)에는 가이드 브라켓(150)을 관통하여 가이드 브라켓(150)의 상부로 돌출되며, 제2스프링(182)과 연결되는 돌출편(143)이 형성된다.
한편, 상기 제2스프링(182)은 비틀림 스프링으로 구성되고, 가이드 브라켓(150) 또는 이동트랙(20)에 고정되게 설치되되, 록크플레이트(140)를 록킹위치(P1) 방향으로 밀어내도록 돌출편(143)과 연결되게 설치된다.
따라서, 록크플레이트(140)는 돌출편(143)을 통해 제2스프링(182)의 탄성을 전달받아 록킹해제위치(P2)에서 록킹위치(P1)로 이동하도록 구성되며, 아무런 외력이 가해지지 않는 상황에서 제2스프링(182)의 탄성에 의해 록킹위치(P1)에서 머무르면서 시트의 록킹상태를 유지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록크플레이트(140)는 좌우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이동트랙(20)의 내부에 수납된 록킹해제위치(P2)와 록킹후크(141)가 이동트랙(20)의 외부로 돌출되어 고정트랙(10)에 결속되는 록킹위치(P1)로 이동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가이드 브라켓(150)은 록크플레이트(140)의 일부를 감싸 록크플레이트(140)의 이동을 지지하고, 록크플레이트(140) 및 서브캠(160)과 반응하여 록크플레이트(140)의 유동억제구조를 형성하는 것으로, 이동트랙(20)의 내측 바닥에 고정되게 설치되고, 록크플레이트(140)와 서브캠(160)을 수용하는 공간을 형성하도록 구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가이드 브라켓(150)은 록크플레이트(140)와 서브캠(160)을 내부에 수용하며 록크플레이트(140)의 전면(140a) 및 후면(140b)에 마주하는 2개의 내측면(151a,151b)을 포함하도록 하부가 개방된 ㄷ자의 형태로 절곡되어 형성된 수용부(151)와, 상기 수용부(151)의 양측 하단부로부터 수평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어 볼트나 리벳 등에 의해 이동트랙(20)의 바닥에 고정되는 고정부(152)로 구성된다.
한편, 상기 2개의 내측면(151a,151b)을 서로 이격된 채로 마주하며 평행한 구조를 갖도록 형성되어 어느 한 내측면(151a)은 록크플레이트(140)의 전면(140a)과 마주하면서 밀착되고, 나머지 한 내측면(151b)은 서브캠(160)의 대응면(160a)과 마주하면서 밀착되도록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구성된 수용부(151)의 상면에는 돌출핀(162)과 돌출편(143)이 관통하는 제1,2관통홀(153,154)이 각각 형성되며, 상기 제1,2관통홀(153,154)은 돌출핀(162)과 돌출편(143)의 이동이 가능하도록 돌출핀(162)과 돌출편(143)의 이동궤적을 따라 연장되게 형성된다.
상기 서브캠(160)은 록크플레이트(140)의 록킹위치(P1)에서 록크플레이트(140)와의 사이에 형성되는 반력에 의해 가이드 브라켓(150)의 내측면(151b)에 밀착되면서 록크플레이트(140)의 유동을 억제하는 것으로, 가이드 브라켓(150)의 내부에서 록크플레이트(140)의 하부에 위치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2개의 내측면(151a,151b) 중 어느 한 내측면(151b)에 마주하는 대응면(160a)을 포함하는 것으로 구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서브캠(160)은 가이드 브라켓(150)을 구성하는 수용부(151)의 내측에서 록크플레이트(140)의 하부에 위치할 수 있도록 평판형의 판재로 이루어지며, 가이드 브라켓(150)에 형성된 2개의 내측면(151a,151b) 중 하나의 내측면(151b)과 마주하는 대응면(160a)이 한 쪽 측면에 형성된 것으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서브캠(160)의 상면에는 반력유도블록(161)이 돌출된 구조로 형성되며, 상기 반력유도블록(161)은 록크플레이트(140)의 반력유도공간(142)으로 삽입되는 구조를 갖되, 반력유도공간(142)의 내부에서 움직일 수 있도록 반력유도공간(142) 보다 작은 크기를 가지며, 반력유도공간(142)에 형성된 제1쐐기면(171)과 마주하는 위치에서 제1쐐기면(171)에 대응하여 경사진 구조로 형성되어 제1쐐기면(171)에 밀착되는 제2쐐기면(172)이 형성된 것으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서브캠(160)에는 돌출핀(162)이 결합되며, 상기 돌출핀(162)은 반력유도블록(161)으로부터 반력유도공간(142) 및 가이드 브라켓(150)을 관통하여 가이드 브라켓(150)의 상부로 돌출되어 피동레버(130) 및 제1스프링(181)과 연결되게 설치된다.
한편, 상기 제1스프링(181)은 비틀림 스프링으로 구성되고, 가이드 브라켓(150) 또는 이동트랙(20)에 고정되게 설치되되, 제2쐐기면(172)을 제1쐐기면(171)에 밀착시키는 방향으로 서브캠(160)을 밀어내도록 돌출핀(162)과 연결되게 설치된다.
상기 유동억제수단(170)은 록크플레이트(140)의 유동을 억제하는 것으로, 록크플레이트(140)가 록킹위치(P1)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서브캠(160)이 록크플레이트(140)와 연동하여 록크플레이트(140)의 이동방향과 직교하는 제1방향(D1)으로 움직이면서 대응면(160a)이 내측면(151b)에 밀착되게 하고, 이와 함께 록크플레이트(140)가 제1방향(D1)과 반대되는 제2방향(D2)으로 가압되면서 록크플레이트(140)의 전면(140a)이 나머지 한 내측면(151a)에 밀착되게 유도하도록 이루어지며, 이를 위한 유동억제수단(170)은 제1쐐기면(171)과 제2쐐기면(172)으로 구성된다.
상기 제1쐐기면(171)은 이미 설명된 바와 같이 반력유도공간(142)에 형성되며, 록크플레이트(140)의 좌우방향으로 경사지되, 록크플레이트(140)의 록킹 이동방향을 따라 반력유도공간(142)의 안쪽으로 돌출되는 구조를 갖도록 경사지게 형성된다.
상기 제2쐐기면(172)은 이미 설명된 바와 같이 반력유도블록(161)에 형성되며, 제1쐐기면(171)에 대응하여 경사진 구조로 형성되어 록크플레이트(140)가 록킹해제위치(P2)에서 록킹위치(P1)로 이동하는 과정 및 록크플레이트(140)가 록킹위치(P1)에서 머무르는 과정에서 제1쐐기면(171)에 밀착되면서 반력을 발생시키도록 구성된다.
이처럼 제1쐐기면(171)과 제2쐐기면(172)의 밀착으로 인해 발생되는 반력에 의하여 서브캠(160)이 제1방향(D1)으로 이동하면서 서브캠(160)의 대응면(160a)이 가이드 브라켓(150)의 후방 측 내측면(151b)에 밀착되고, 록크플레이트(140)가 제1방향(D1)과 반대되는 제2방향(D2)으로 가압되면서 록크플레이트(140)의 전면(140a)이 가이드 브라켓(150)의 전방 측 내측면(151a)에 밀착되며, 이로써 록크플레이트(140)의 유동은 억제된다.
또한, 상기 가이드 브라켓(150)과 록크플레이트(140) 및 서브캠(160) 중 적어도 한 곳에는 록크플레이트(140)와 서브캠(160)의 이동 시 마찰저항을 감소시키기 위한 돌기(155,163) 또는 홈(164)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록크플레이트(140)의 상면과 마주하는 가이드 브라켓(150)의 천장면에 좌우방향으로 연장되는 막대 형태의 돌기(155)가 형성되어 가이드 브라켓(150)과 록크플레이트(140)의 마찰 저항을 감소시키도록 구성되고, 또 록크플레이트(140)의 저면과 마주하는 서브캠(160)의 상면에 좌우방향으로 연장되는 막대 형태의 또 다른 돌기(163)가 형성되어 록크플레이트(140)와 서브캠(160)의 마찰 저항을 감소시키도록 구성되며, 또 서브캠(160)의 저면에는 좌우방향으로 연장되는 홈(164)이 형성되어 서브캠(160)과 이동트랙(20)의 마찰 저항을 감소시키도록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유동억제구조를 포함하는 시트 트랙용 록킹장치의 록크플레이트(140)가 록킹위치(P1)로 이동하고, 록킹위치(P1)로 이동된 록크플레이트(140)의 유동을 억제하는 과정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 7은 록크플레이트가 록킹위치로 이동된 상태를 보인 예시도를, 도 8은 록크플레이트가 록킹위치에서 록킹해제위치로 이동하는 상태를 보인 예시도를, 도 9는 록크플레이트가 록킹해제위치로 이동된 상태를 보인 예시도를 도시하고 있으며, 도 7 내지 9에서 (a)로 표시된 도면은 평면도를 기준으로 록크플레이트의 작동구조를 도시한 것이고, (b)로 표시된 도면은 측면도를 기준으로 록크플레이트와 서브캠의 위치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록킹장치는 평상 시(구동레버(110)에 조작력이 전달되지 않는 상황) 록크플레이트(140)가 제2스프링(182)의 탄성에 의해 밀려나 록킹위치(P1)에 머무르는 상태를 유지하게 되며, 이때 록크플레이트(140)의 록킹후크(141)가 이동트랙(20)을 관통하여 고정트랙(10)에 형성된 록킹홀(11)에 삽입된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이동트랙(20) 및 시트의 이동은 구속된다.
한편,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서브캠(160)은 제1스프링(181)의 탄성에 의해 록크플레이트(140)의 록킹방향과 평행한 방행으로 밀려나게 되며, 이때 서브캠(160)의 반력유도블록(161)에 형성된 제2쐐기면(172)이 록크플레이트(140)의 반력유도공간(142)에 형성된 제1쐐기면(171)에 밀착되면서 가압되며, 이로 인하여 제1쐐기면(171)과 제2쐐기면(172)의 사이에 반력이 발생된다.
이처럼 제1,2쐐기면(171,172)의 사이에 발생된 반력은 서브캠(160)을 제1방향(D1)으로 밀어내어 서브캠(160)에 형성된 대응면(160a)을 가이드 브라켓(150)의 후방 측 내측면(151b)에 밀착시키고, 이와 동시에 록크플레이트(140)를 제2방향(D2)으로 밀어내어 록크플레이트(140)의 전면(140a)을 가이드 브라켓(150)의 전방 측 내측면(151a)에 밀착시키게 되며, 이처럼 서브캠(160)과 록크플레이트(140)가 서로 다른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벌어져 가이드 브라켓(150)의 두 내측면(151a,151b) 사이에 끼워지는 형태로 구속됨에 따라 록크플레이트(140)의 유동은 억제되고, 이동트랙(20) 및 시트는 안정적인 구조로 고정된다.
한편, 시트의 위치조절을 위하여 사용자가 미도시된 조작레버를 움직일 경우, 조작레버의 움직임이 구동레버(110)로 전달되어 구동레버(110)가 회전하고, 구동레버(110)의 회전이 구동축(120)을 통해 피동레버(130)로 전달되어 피동레버(130)가 회전하게 되며, 피동레버(130)의 회전에 의해 돌출핀(162)이 밀려나면서 서브캠(160)을 이동트랙(20)의 내측 방향으로 당기게 된다.
이처럼 서브캠(160)이 이동트랙(20)의 내측 방향으로 당겨짐에 따라 서브캠(160)은 제1쐐기면(171)을 따라 후퇴하게 되며, 이러한 과정에서 서브캠(160)의 대응면(160a)은 가이드 브라켓(150)의 내측면(151b)으로부터 이격되고, 제1,2쐐기면(171,172)에 작용하는 반력이 사라지게 되며, 록크플레이트(140)는 서브캠(160)과 함께 후퇴하여 이동트랙(20)의 내부로 삽입되면서 록킹해제위치(P2)로 이동하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록킹장치는 록크플레이트(140)의 록킹위치(P1)에서 서브캠(160)과 록크플레이트(140)의 사이에 쐐기구조에 기인한 반력을 발생시키고, 이 반력에 의해 록크플레이트(140)와 서브캠(160)이 가이드 브라켓(150)에 끼이는 형태로 고정되도록 구성되어 구조가 단순하고, 작동의 신뢰성이 보장되어 록크플레이트(140)의 유동을 안정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고정트랙 20: 이동트랙
110: 구동레버 120: 구동축
130: 피동레버 140: 록크플레이트
142: 반력유도공간 143: 돌출편
150: 가이드 브라켓 151a, 151b: 내측면
155: 돌기 160: 서브캠
160a: 대응면 161: 반력유도블록
162: 돌출핀 163: 돌기
164: 홈 170: 유동억제수단
171: 제1쐐기면 172: 제2쐐기면
181: 제1스프링 182: 제2스프링

Claims (5)

  1. 차체에 고정되게 설치된 고정트랙(10)을 따라 시트와 함께 이동하도록 이루어진 이동트랙(20)에 설치되고, 이동트랙(20)의 내부에 수납된 록킹해제위치(P2)와 이동트랙(20)의 외부로 일부가 돌출되어 고정트랙(10)에 결속되는 록킹위치(P1)의 사이에서 레버 조작 및 스프링의 탄성에 의해 이동하는 록크플레이트(140)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루어진 시트트랙용 록킹장치에 있어서,
    상기 록크플레이트(140)의 일부를 감싸 록크플레이트(140)의 이동을 지지하도록 이동트랙(20)에 고정되게 설치되며, 록크플레이트(140)의 전면 및 후면에 마주하는 2개의 내측면(151a,151b)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루어진 가이드 브라켓(150);
    상기 가이드 브라켓(150)의 내부에서 록크플레이트(140)의 하부에 위치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2개의 내측면(151a,151b) 중 어느 한 내측면(151b)에 마주하는 대응면(160a)을 포함하는 서브캠(160); 및
    상기 록크플레이트(140)가 록킹위치(P1)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서브캠(160)이 록크플레이트(140)와 연동하여 록크플레이트(140)의 이동방향과 직교하는 제1방향(D1)으로 움직이면서 대응면(160a)이 내측면(151b)에 밀착되게 하고, 이와 함께 록크플레이트(140)가 제1방향(D1)과 반대되는 제2방향(D2)으로 가압되면서 전면 또는 후면이 나머지 한 내측면(151a)에 밀착되게 유도하여 록크플레이트(140)의 유동을 억제하는 유동억제수단(170);을 포함하되,
    상기 유동억제수단(170)은,
    상기 록크플레이트(140)를 상하로 관통하는 구조로 형성된 반력유도공간(142)의 한 쪽 면을 록크플레이트(140)의 좌우방향으로 경사지게 하여 형성된 제1쐐기면(171); 및
    상기 서브캠(160)으로부터 돌출되어 반력유도공간(142)에 삽입되고 반력유도공간(142) 내에서 이동 가능하도록 반력유도공간(142) 보다 작은 크기로 형성된 반력유도블록(161)에 형성되되, 제1쐐기면(171)과 마주하는 위치에서 제1쐐기면(171)에 대응하여 경사진 구조로 형성되어 록크플레이트(140)가 록킹해제위치(P2)에서 록킹위치(P1)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서브캠(160)은 제1방향(D1)으로 움직이고 록크플레이트(140)는 제2방향(D2)으로 움직이도록 유도하는 반력을 제1쐐기면(171)과 함께 발생시키는 제2쐐기면(172);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동억제구조를 포함하는 시트 트랙용 록킹장치.
  2. 삭제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반력유도블록(161)으로부터 가이드 브라켓(150)을 관통하여 가이드 브라켓(150)의 상부로 돌출되게 형성 또는 설치되며, 레버와 연결되어 록크플레이트(140)를 록킹위치(P1)에서 록킹해제위치(P2)로 이동시키기 위한 레버의 조작력을 서브캠(160)으로 전달하는 돌출핀(162);
    상기 가이드 브라켓(150) 또는 이동트랙(20)에 설치되며 돌출핀(162)과 연결되어 레버의 조작력과 반대방향으로 돌출핀(162)을 탄성 지지하면서 제2쐐기면(172)을 제1쐐기면(171)에 밀착시키는 제1스프링(181);
    상기 록크플레이트(140)로부터 가이드 브라켓(150)을 관통하여 가이드 브라켓(150)의 상부로 돌출되게 형성 또는 설치된 돌출편(143); 및
    상기 가이드 브라켓(150) 또는 이동트랙(20)에 설치되며 돌출편(143)과 연결되어 록크플레이트(140)를 록킹해제위치(P2)에서 록킹위치(P1)로 이동시키도록 돌출편(143)을 탄성 지지하는 제2스프링(182);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동억제구조를 포함하는 시트 트랙용 록킹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브라켓(150)과 록크플레이트(140)의 접촉면적 감소를 통해 마찰 저항을 감소시키는 돌기 또는 홈이 가이드 브라켓(150) 또는 록크플레이트(140)에 형성되고,
    상기 록크플레이트(140)와 서브캠(160)의 접촉면적 감소를 통해 마찰 저항을 감소시키는 돌기 또는 홈이 록크플레이트(140) 또는 서브캠(160)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동억제구조를 포함하는 시트 트랙용 록킹장치.
KR1020190126621A 2019-10-14 2019-10-14 유동억제구조를 포함하는 시트 트랙용 록킹장치 KR1022127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6621A KR102212756B1 (ko) 2019-10-14 2019-10-14 유동억제구조를 포함하는 시트 트랙용 록킹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6621A KR102212756B1 (ko) 2019-10-14 2019-10-14 유동억제구조를 포함하는 시트 트랙용 록킹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12756B1 true KR102212756B1 (ko) 2021-02-05

Family

ID=745590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26621A KR102212756B1 (ko) 2019-10-14 2019-10-14 유동억제구조를 포함하는 시트 트랙용 록킹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12756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25678A (ja) * 2000-02-17 2001-08-21 Johnson Controls Automotive Systems Corp シートスライド装置
JP2016037065A (ja) * 2014-08-05 2016-03-22 テイ・エス テック株式会社 スライドレール装置
KR101851601B1 (ko) 2016-10-27 2018-04-24 대원정밀공업(주) 시트트랙 록킹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25678A (ja) * 2000-02-17 2001-08-21 Johnson Controls Automotive Systems Corp シートスライド装置
JP2016037065A (ja) * 2014-08-05 2016-03-22 テイ・エス テック株式会社 スライドレール装置
KR101851601B1 (ko) 2016-10-27 2018-04-24 대원정밀공업(주) 시트트랙 록킹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616116B2 (ja) 車両用スライドレール装置
JP5647507B2 (ja) 車両用スライドレール装置
WO2012081353A1 (ja) 車両用スライドレール装置
JP5734890B2 (ja) 車両用スライドレール装置
US20150258915A1 (en) Vehicle seat rail locking device
KR101685927B1 (ko) 수동형 시트쿠션 익스텐션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용 시트
WO2011136050A1 (ja) 車両用スライドレール装置
JP6351362B2 (ja) シートスライド装置
WO2012011315A1 (ja) 車両用スライドレール装置
KR101477581B1 (ko) 시트 트랙 슬라이드 장치에 있어서의 록 기구
JP2008087691A (ja) 車両用シート装置
JP2005029151A (ja) 第1の要素を第2の要素にロックする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このロックシステムを備えたシート
JP2011245956A (ja) シートスライド装置
JP4946039B2 (ja) チャイルドシート
JP5170104B2 (ja) 乗物用シート
KR102212756B1 (ko) 유동억제구조를 포함하는 시트 트랙용 록킹장치
KR20150090289A (ko) 차량용 암레스트 록킹장치
JP6744288B2 (ja) シートベルト用ショルダアジャスタ装置
JP2018002048A (ja) 車両用スライドレール装置
WO2016009495A1 (ja) シートスライド装置
JP6950974B2 (ja) チャイルドシート及びチャイルドシート用の固定ユニット
JP7456609B2 (ja) スライド装置
JP6541488B2 (ja) シートスライド装置
JP2007230333A (ja) シートスライド装置
JP2018052398A (ja) シートスライド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