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77581B1 - 시트 트랙 슬라이드 장치에 있어서의 록 기구 - Google Patents

시트 트랙 슬라이드 장치에 있어서의 록 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77581B1
KR101477581B1 KR1020137004290A KR20137004290A KR101477581B1 KR 101477581 B1 KR101477581 B1 KR 101477581B1 KR 1020137004290 A KR1020137004290 A KR 1020137004290A KR 20137004290 A KR20137004290 A KR 20137004290A KR 101477581 B1 KR101477581 B1 KR 1014775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ck
upper rail
lock member
handle
stop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042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79335A (ko
Inventor
모토히사 나카무라
타카유키 오가사와라
마사시 코미야마
Original Assignee
기후 샤타이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기후 샤타이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기후 샤타이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400793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793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775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775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0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slidable
    • B60N2/07Slide construction
    • B60N2/0702Slide construction characterised by its cross-section
    • B60N2/0705Slide construction characterised by its cross-section omega-shap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0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slidable
    • B60N2/08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slidable characterised by the locking devi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0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slidable
    • B60N2/07Slide construction
    • B60N2/0702Slide construction characterised by its cross-section
    • B60N2/0715C or U-shap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0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slidable
    • B60N2/08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slidable characterised by the locking device
    • B60N2/0812Location of the latch
    • B60N2/0818Location of the latch inside the rai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0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slidable
    • B60N2/08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slidable characterised by the locking device
    • B60N2/0831Movement of the latch
    • B60N2/0837Movement of the latch pivoting
    • B60N2/085Movement of the latch pivoting about a transversal axi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0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slidable
    • B60N2/08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slidable characterised by the locking device
    • B60N2/0881Activation of the latches by the control mechanism

Abstract

하부 레일(4)과 상부 레일(6)과 록 레버(22)와 핸들(31)을 구비한 각 시트 트랙들(3)은, 핸들(31)의 조작에 따라 록 레버(22)를 하부 레일(4)의 록 홈(12)에 탈착시켜서 록 레버(22)를 록 상태 또는 록 해제 상태로 할 수 있다. 상부 레일(6)의 양 측판의 지지 홀과 록 레버(22)의 양쪽 암 플레이트부들(23)의 볼록부(24)를 서로 맞춰 끼운 회동 지지부에 의해 상부 레일(6)에 대하여 록 레버(22)가 회전 운동이 가능하도록 지지되어 있다. 핸들(31)과 록 레버(22)를 서로 연동시키는 비틀림 코일 스프링(33)에는 록 레버(22)의 양쪽 암 플레이트부들(23)에 마련된 제1 스토퍼들(28)에 계합되는 제2 스토퍼(36a)가 설치되어 있다.

Description

시트 트랙 슬라이드 장치에 있어서의 록 기구{LOCK MECHANISM FOR SEAT TRACK SLIDE DEVICE}
본 발명은, 차량의 시트 트랙 슬라이드 장치에 있어서, 하부 레일에 대한 상부 레일의 이동을 저지하는 록 상태와 이동을 허용하는 록 해제 상태를 채용할 수 있는 록 기구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시트 트랙 슬라이드 장치의 록 기구에 있어서는, 예를 들면, 하기 특허 문헌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부 레일 내에 수용된 록 레버가 지축에 의해 상부 레일 내에서 회전 운동이 가능하도록 지지되고, 상부 레일의 전단부에서 상부 레일 내로 삽입된 핸들의 기단부(基端部)와 록 레버의 전단부가 상부 레일 내에서 연동 지지부에 의해 서로 연결되며, 록 레버는 핸들과 연동되어, 하부 레일의 록 홈에 대하여 탈착이 가능하다. 이러한 종래의 록 기구에 있어서는, 상부 레일의 양 측판 사이에 지지된 지축에 의해 록 레버가 상부 레일에 대하여 회전운동이 가능하도록 지지되어 있기 때문에, 상부 레일과 록 레버와 지축의 장착 작업이 번거로워진다.
여기서, 예를 들면, 하기 특허 문헌 2 및 특허 문헌 3에 기재된 장치에 있어서, 록 레버는 상부 레일 내에 삽입되어, 상부 레일 내에서 오목부와 볼록부를 서로 맞춰 끼우는 것으로 회동 지지부에 의해 상부 레일에 대해 회전운동이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또한, 회동 지지부의 오목부와 볼록부의 삽입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스토퍼가 마련되어 있다. 즉, 상기 상부 레일은 상부 레일의 이동 방향에 대해 교차하는 방향으로 서로 간격을 두고 나란한 한 쌍의 측판과, 이러한 양 측판의 상단부를 서로 잇는 상판을 가진다. 상기 록 레버는 상부 레일의 양 측판 사이에 있어서 상부 레일의 이동 방향에 대해 교차하는 방향으로 서로 간격을 두고 나란한 한 쌍의 암(arm) 플레이트부들을 가진다. 상기 회동 지지부의 오목부와 볼록부 중에서 오목부는 상부 레일의 측판에 마련되며, 볼록부는 록 부재의 암 플레이트부에 마련된다. 상기 상부 레일의 상판에는 상기 록 레버의 양쪽 암 플레이트부에 마련된 제1 스토퍼 사이에 끼워진 제2 스토퍼가 마련된다. 이들 제1 및 제2 스토퍼의 계합(係合)에 의해, 회동 지지부에 있어서 볼록부와 오목부가 서로 맞춰 끼워지는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볼록부와 오목부가 서로 이탈되는 것을 저지하여, 회동 지지부의 오목부와 볼록부의 삽입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선행 기술 문헌
[특허 문헌]
특허 문헌 1:일본 특허 공개 공보 제2005-225386호
특허 문헌 2:일본 특허 공개 공보 제2012-111379호
특허 문헌 3:일본 특허 공개 공보 제2012-111378호
상기 특허 문헌 2 및 특허 문헌 3에 기재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상부 레일의 상판에서 컷 아웃 홀들에 의해 캔틸레버 형상으로 형성된 제2 스토퍼를 하방으로 절곡하여, 상부 레일의 양 측판 사이로 집어넣어 상기 록 레버의 양쪽 암 플레이트부의 제1 스토퍼 사이에 끼운다. 이로 인하여, 상부 레일의 상판에 컷 아웃 홀들에 의해 캔틸레버 형상의 제2 스토퍼를 형성하여 하방으로 절곡시킬 필요가 있기 때문에, 제2 스토퍼의 형성 작업이나 록 부재의 양쪽 암 플레이트부의 제1 스토퍼 사이로 제2 스토퍼 플레이트를 삽입하는 작업이 번거로워진다.
또한, 비틀림 코일 스프링은 코일부와 그 코일부에서 연장되는 한 쌍의 암부들을 가진다. 상기 비틀림 코일 스프링에 있어서, 이러한 한 쌍의 암부들 중에서 한쪽의 암부가 핸들에 지지되고, 다른 한쪽의 암부가 상부 레일 상판의 걸림 홀에 지지되어 있으므로, 상부 레일의 상판에 걸림 홀을 형성할 필요가 있다. 이로 인하여, 걸림 홀의 형성 작업이 번거로워질 뿐 아니라, 비틀림 코일 스프링의 암부가 걸림 홀에서 상부 레일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거치적거리게 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부 레일에 대한 록 부재의 회동 지지부에 있어서 상부 레일과 록 부재의 장착을 간단히 하면서 동시에, 그 회동 지지부에 있어서 상부 레일과 록 부재의 장착 상태를 기존의 부품을 이용한 간단한 구조로 유지할 수 있는 시트 트랙 슬라이드 장치에 있어서의 록 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후술할 실시 형태의 도면(도 1a 내지 도 6b)의 부호를 인용하여 본 발명을 설명한다.
청구항 제1항의 발명에 따른 시트 트랙 슬라이드 장치의 록 기구는 다음과 같이 구성되어 있다.
시트 트랙 슬라이드 장치(1)는, 플로어(2)에 고정되도록 구성된 하부 레일(4)과, 시트(5)에 고정되도록 구성되어 하부 레일(4)에 대하여 이동이 가능하도록 지지된 상부 레일(6)과, 하부 레일(4)에 마련되어 상부 레일(6)의 이동 방향(X)을 따라 병설된 복수의 록 부(12)와, 상부 레일(6)에 설치된 록 부재(22)와, 상부 레일(6)에 설치된 록 부재(22)에서 연장된 핸들(31)을 구비한다. 상기 록 부재(22)는, 상부 레일(6) 내에 삽입되어 상부 레일(6)의 이동 방향(X)에 대하여 교차하는 방향에서 서로 간격을 두고 나란한 양쪽 암 플레이트부들(23)을 가지며, 상부 레일(6)과 록 부재(22)의 암 플레이트부들(23) 중에서 한쪽에 마련된 오목부(20)와 다른 한쪽에 마련된 볼록부(24)가 서로 맞춰 끼워지는 것에 의한 회동 지지부(29)에 의해 상부 레일(6)에 대하여 회전 운동이 가능하도록 지지된다. 상기 핸들(31)과 상부 레일(6)에 설치된 록 부재(22) 사이에 지지된 스프링(33)의 탄성력으로 록 부재(22)를 핸들(31)과 연동시켜, 핸들(31)의 조작에 따라 록 부재(22)를 하부 레일(4)의 록 부(12)에 대해 탈착시켜서 록 부재(22)를 록 상태 또는 록 해제 상태로 할 수 있다.
록 부재(22)의 양쪽 암 플레이트부들(23)에는 제1 스토퍼들(28)이 각기 마련되며, 상기 스프링(33)에는 해당 제1 스토퍼(28)에 계합되는 제2 스토퍼(36a)가 마련된다. 이들 제1 및 제2 스토퍼들(28, 36a)의 계합에 의하여, 회동 지지부(29)에 있어서 볼록부(24)와 오목부(20)가 서로 맞춰 끼워지는 방향(YF)과 반대 방향(YB)으로 볼록부(24)와 오목부(20)가 서로 이탈되는 것을 저지하여, 회동 지지부(29)의 오목부(20)와 볼록부(24)의 삽입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록 부재(22)의 양쪽 암 플레이트부들(23)은 서로 근접하도록 구부렸을 때에 서로 이간되는 탄성을 가지고 있다. 또한, 이러한 오목부(20)는 바닥부를 갖는 홀뿐만 아니라, 관통 홀도 포함하는 개념이다.
청구항 제1항의 발명에 있어서, 상부 레일(6) 내에 삽입된 록 부재(22)를 상부 레일(6)에 대하여 회전 운동이 가능하도록 지지할 때, 오목부(20)와 볼록부(24)를 서로 맞춰 끼우는 것만으로 충분하기 때문에, 회전 운동 중심축을 필요로 하지 않고 장착이 간단한 회동 지지부(29)로 할 수 있다. 또한, 제1 및 제2 스토퍼들(28, 36a)에 의해 오목부(20)와 볼록부(24)의 삽입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록 부재(22)의 양쪽 암 플레이트부들(23)을 서로 근접하도록 탄성에 저항하여 구부려서 회동 지지부(29)의 볼록부(24)와 오목부(20)를 서로 맞춰 끼울 수 있기 때문에, 상부 레일(6) 내에 삽입된 록 부재(22)를 상부 레일(6)에 대하여 간단하게 장착할 수 있다. 또한, 록 부재(22)를 상부 레일(6)에 장착한 후에, 스프링(33)에 마련된 제2 스토퍼(36a)를 록 부재(22)의 양쪽 암 플레이트부들(23)의 제1 스토퍼들(28) 사이에 끼워 넣을 수 있으므로, 회동 지지부(29)에 있어서 볼록부(24)와 오목부(20)와의 이탈을 저지할 수 있다. 더욱이, 상부 레일(6) 부근에서 핸들(31)과 록 부재(22)를 서로 연동시키는 기존의 스프링(33)에 제2 스토퍼(36a)가 마련되어 있다. 이에 따라, 회동 지지부(29)에 있어서 상부 레일(6)과 록 부재(22)의 장착 상태를 기존의 부품을 이용하는 간단한 구조로 유지할 수 있다.
청구항 제1항의 발명을 전제로 하는 청구항 제2항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 록 부재(22)는 하단 레일(4)에 설치된 록 부재(12)에 대하여 탈착되는 록 부(27)를 가지며, 오목부(20)와 볼록부(24)를 서로 맞춰 끼우는 것에 의한 상기 회동 지지부(29)는 상기 록 부재(22)의 록 부(27)와 핸들(31) 사이에서, 상부 레일(6)과 록 부재(22)의 양쪽 암 플레이트부들(23)에 마련되어 있다. 청구항 제2항의 발명에서는, 핸들(31)의 조작에 따라 록 부재(22)의 록 부(27)는 하부 레일(4)의 록 부(12)에 대하여 탈착하기 쉽다.
청구항 제2항의 발명을 전제로 하는 청구항 제3항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33)의 제2 스토퍼(36a)와 록 부재(22)의 양쪽 암 플레이트부들(23)의 제1 스토퍼들(28)은 상기 회동 지지부(29)와 핸들(31) 사이에 마련되어 있다. 청구항 제3항의 발명에서는, 록 부재(22)에 있어서 록 부(27) 근처 부분의 강성(剛性)을 높이는 형상으로 하더라도, 핸들(31) 부분에서는 스프링(33)의 제2 스토퍼(36a)를 록 부재(22)의 양쪽 암 플레이트부들(23)의 제1 스토퍼들(28) 사이에 끼워 넣기 쉬운 형상으로 할 수 있다.
청구항 제3항의 발명을 전제로 하는 청구항 제4항의 발명에 따른 록 부재(22)에 있어서, 제1 스토퍼들(28)을 갖는 양쪽 암 플레이트부들(23) 중에서 적어도 한쪽의 암 플레이트부(23)에서 연장되는 지지 플레이트(26)에 상기 핸들(31)이 연결되어 있다. 청구항 제4항의 발명에 있어서, 스프링(33)의 제2 스토퍼(36a)를 록 부재(22)의 양쪽 암 플레이트부들(23)의 제1 스토퍼들(28) 사이에 끼워 넣기 쉽도록 하기 위해 서로 간격을 두고 나란한 한 쌍의 암 플레이트부들(23)에 대하여 핸들(31)을 연결할 수 있다.
청구항 제4항의 발명을 전제로 하는 청구항 제5항의 발명에 따른 록 부재(22)에 있어서, 양쪽 암 플레이트부들(23) 중에서 지지 플레이트(26)가 연장된 한쪽 암 플레이트부(23)에는 회동 지지부(29)와 지지 플레이트(26) 사이에서 지지 플레이트(26)에 연속되는 제1 스토퍼(28)가 회동 지지부(29)에 인접하여 형성되며, 다른 한쪽의 암 플레이트부(23)에는 한쪽 암 플레이트부(23)의 제1 스토퍼(28)와 서로 대향하는 제1 스토퍼(28)가 회동 지지부(29)에 인접하여 캔틸레버 형상으로 연장되어 있다. 청구항 제5항의 발명에서는, 다른 한쪽 암 플레이트부(23)에 있어서, 한쪽 암 플레이트부(23)의 제1 스토퍼(28)와 서로 대향하는 제1 스토퍼(28)가 캔틸레버 형상으로 연장되어 플레이트 스프링으로서 기능하므로, 캔틸레버 형상의 제1 스토퍼(28)는 휘어지기 쉬워지며, 스프링(33)의 제2 스토퍼(36a)를 록 부재(22)의 양쪽 암 플레이트부들(23)의 제1 스토퍼들(28) 사이에 끼워 넣기 쉽다. 또한, 이들 제1 및 제2 스토퍼들(36a, 28)은 회동 지지부(29)에 인접하고 있으므로, 회동 지지부(29)에 있어서 볼록부(24)와 오목부(20)와의 이탈 저지 기능을 한층 더 향상시킬 수 있다.
청구항 제1항 내지 제5항 중에서 어느 한 항의 발명을 전제로 하는 청구항 제6항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33)은 코일부(34)와 그 코일부(34)에서 연장되는 2개의 암부들(35, 36)을 갖는 비틀림 코일 스프링으로, 이러한 2개의 암 부들(35, 36) 중에서 한쪽 암부(35)가 핸들(31)에 지지되며, 다른 한쪽의 암부(36)에 상기 제2 스토퍼(36a)가 설치되어 있다. 청구항 제6항의 발명에 있어서, 록 부재(22)를 핸들(31)과 연동시키기 위한 비틀림 코일 스프링(33)에서 연장되는 암부(36)를 제2 스토퍼(36a)로서 겸용하고 있으므로, 부품 수를 줄여서 간단한 구조로 할 수 있다.
청구항 제1항 내지 제6항 중에서 어느 한 항의 발명을 전제로 하는 청구항 제7항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 회동 지지부(29)에 있어서 볼록부(24)는 오목부(20)에 유격(裕隔)을 가지면서 결합되어 스프링(33)의 탄성력에 의해 가압 접촉되어 있다. 청구항 제7항의 발명에서는, 오목부(20)에 대한 볼록부(24)의 래틀(rattle)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 청구항들 이외의 기술적 사상에 대하여 실시 형태의 도면 부호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청구항 제1항 내지 제7항 중에서 어느 한 항의 발명을 전제로 하는 제8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 록 부재(22)의 단부와 핸들(31)의 단부 사이에 설치된 연동 지지부들(30, 32) 전부 또는 일부를 상부 레일(6)의 단부(6a)에 대한 외측 스페이스(S)에 노출시켜 상부 레일(6)의 단부(6a)에 대하여 상부 레일(6)의 이동 방향(X)으로 배열하고, 상부 레일(6)의 단부(6a)에 대한 외측 스페이스(S)에서 록 부재(22)의 연동 지지부(30)에 마련된 지축부(fulcrum portion)(30f)를 중심으로 핸들(31)의 연동 지지부(32)가 록 부재(22)의 록 상태인 채로 상기 스프링(33)의 탄성력에 대항하여 록 부재(22)에 대하여 상대 회전 운동이 가능하다. 이러한 제8의 발명에서는, 록 부재(22)를 록 해제시키는 힘이 시트 트랙 슬라이드 장치(1)에 주어지더라도, 핸들(31)의 연동 지지부(32)와 록 부재(22)의 연동 지지부(30)가 스프링(33)의 탄성력에 대항하여 상대 회전 운동하여 록 부재(22)의 록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록 부재(22)의 연동 지지부(30)에 설치된 지축부(30f)가 상부 레일(6)의 단부(6a)에 대한 외측 스페이스(S)에 마련되어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상대 회전 운동이 상부 레일(6)의 단부(6a)에 대한 외측 스페이스(S)에서 실시되며, 핸들(31)과 상부 레일(6)과의 맞닿음을 없애고 핸들(31)과 록 부재(22)와의 상대 회전 운동 범위를 넓혀 록 상태 유지 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술한 제8의 발명을 전제로 하는 제9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 록 부재(22)의 연동 지지부(30)는 상부 레일(6)의 단부(6a)에서 상부 레일(6) 단부(6a)의 외측 스페이스(S)로 돌출되어 있다. 상기 제9의 발명에서는, 록 부재(22)를 상부 레일(6) 내에 삽입하여 시트 트랙(3)을 소형화한 경우에도, 록 부재(22)의 연동 지지부(30)를 상부 레일(6) 단부(6a)의 외측 스페이스(S)로 돌출시키기 때문에, 록 부재(22)의 상대 회전 운동 범위를 넓혀 록 상태 유지 기능을 높일 수 있다.
청구항 제6항의 발명을 전제로 하는 제10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 비틀림 코일 스프링(33)의 코일부(34)의 전부 또는 일부가 록 부재(22)의 연동 지지부(30)와 상부 레일(6)의 단부(6a) 사이에서 상부 레일(6) 내에 수용되어 있다. 상기 제10의 발명에서는, 비틀림 코일 스프링(33)의 코일부(34)를 상부 레일(6) 내에 수용하여 시트 트랙(3)을 소형화한 경우에도, 비틀림 코일 스프링(33)의 한쪽 암부(35)를 상부 레일(6) 단부(6a)의 외측 스페이스(S)로 돌출시키고 있으므로, 핸들(31)의 연동 지지부(32)에 탄성력을 부여할 수 있다.
상술한 제10의 발명을 전제로 하는 제11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 코일부(34)에서 연장되는 2개의 암부들(35, 36) 중에서 한쪽 암부(35)는 상부 레일(6)의 단부(6a)와 록 부재(22)의 연동 지지부(30)의 지축부(30f) 사이에서 핸들(31)의 연동 지지부(32)에 지지되어 있다. 상기 제11의 발명에서는, 록 부재(22)의 연동 지지부(30)의 지축부(30f)를 사이에 두는 양측 중에서 한쪽 측에 핸들(31)의 연동 지지부(32)가 배치되어 있으므로, 다른 한쪽 측에서 핸들(31)을 조작하면 핸들(31)의 연동 지지부(32)가 록 부재(22)의 연동 지지부(30)의 지축부(30f)를 중심으로 상대 회전 운동하여 핸들(31)과 록 부재(22)와의 상대 회전 운동 범위를 넓힐 수 있다.
청구항 제1항 내지 제7항 중에서 어느 한 항의 발명, 또는 상술한 제8의 발명 내지 제11의 발명 중에서 어느 하나의 발명을 전제로 하는 제12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33)은 핸들(31)과 록 부재(22)를 서로 지지하며 연동시키는 연동 스프링이나, 핸들(31)과 록 부재(22)와의 상대 회전 운동의 저항이 되는 리트랙션 스프링(retraction spring) 이외에도, 록 부재(22)의 록 상태를 유지하는 록 스프링도 겸하고 있다. 상기 제12의 발명에서는, 스프링의 부품 수를 줄여서 소형화할 수 있다.
청구항 제1항 내지 제7항 중에서 어느 한 항의 발명, 또는 상술한 제8의 발명 내지 제12의 발명 중에서 어느 하나의 발명을 전제로 하는 제13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 하부 레일(4)과 상부 레일(6)과 록 부재(22)와 핸들(31)을 구비한 시트 트랙들(3)은 상부 레일(6)의 이동 방향(X)에 대해 교차하는 방향(Y)의 양측에 각각 배치되며, 각 시트 트랙들(3)의 핸들(31)은 서로 연동될 수 있다. 상술한 제13의 발명에서는, 각 시트 트랙(3)의 핸들(31)이 서로 연동하는 시트 트랙 슬라이드 장치(1)에 있어서, 청구항 제1항 내지 제7항 중에서 어느 한 항의 발명, 또는 상술한 제8의 발명 내지 제12의 발명 중에서 어느 하나의 발명의 효과를 특히 구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부 레일(6)에 대한 록 부재(22)의 회동 지지부(29)에 있어서, 오목부(20)와 볼록부(24)를 서로 맞춰 끼우는 것만으로도 충분하기 때문에 상부 레일(6)과 록 부재(22)와의 장착을 간단하게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1 및 제2 스토퍼들(28, 36a)에 의해 오목부(20)와 볼록부(24)의 삽입 상태를 유지하여 상부 레일(6)과 록 부재(22)와의 장착 상태를 기존의 스프링(33)을 이용하여 부품 수를 줄인 간단한 구조로 유지할 수 있다.
도 1a는 차량에 있어서 시트를 플로어 상에 시트 트랙 슬라이드 장치를 개재하여 설치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부분 측면도이며, 도 1b는 상기 시트 트랙 슬라이드 장치의 전체를 측면에서 바라본 단면도이다.
도 2는 상기 시트 트랙 슬라이드 장치의 전체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상기 시트 트랙 슬라이드 장치 중에서 한쪽 시트 트랙을 분해하여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a는 상기 시트 트랙 슬라이드 장치를 측면에서 바라본 부분 단면도이며, 도 4b는 상기 시트 트랙 슬라이드 장치를 평면에서 바라본 부분 단면도이다.
도 5a는 도 1b의 A-A 선을 따라 자른 개략적인 부분 단면도이고, 도 5b는 도 1b의 B-B 선을 따라 자른 개략적인 부분 단면도이며, 도 5c는 도 1b의 C-C 선을 따라 자른 개략적인 부분 단면도이고, 도 5d는 도 1b의 D-D 선을 따라 자른 개략적인 부분 단면도이며, 도 5e는 상부 레일의 지지 홀(오목부)과 록 레버의 볼록부에 의한 회동 지지부를 나타내는 부분 측면도이다.
도 6a는 상기 시트 트랙 슬라이드 장치의 정상 상태를 측면에서 바라본 부분 단면도이며, 도 6b는 상기 시트 트랙 슬라이드 장치의 이상 상태를 측면에서 바라본 부분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시트 트랙 슬라이드 장치에 있어서의 록 기구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a에서 개략적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시트 트랙 슬라이드 장치(1)로서 차체의 플로어(2)에는 전후 방향(X)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의 좌우 양측에서 각각 시트 트랙(3)이 설치된다. 시트 트랙들(3) 각각에 있어서는, 플로어(2)에 하부 레일(4)이 고정되도록 구성되며, 시트(5)의 좌우 양측에 고정되도록 구성된 상부 레일(6)이 하부 레일(4)에 삽입되어 전후 방향(X)으로 이동이 가능하도록 지지되어 있다.
도 2에 도시한 시트 트랙 슬라이드 장치(1)에 있어서, 도 3 및 도 5a 내지 5d에 도시한 각 시트 트랙(3)의 하부 레일(4)은, 전단부(4a)와 후단부(4b) 사이에서 전후 방향(X)으로 연장되어 마련되며, 바닥판(7)과, 바닥판(7)의 좌우 양쪽 단부에서 상방으로 골곡된 측판(8)과, 좌우 양쪽 측판(8)의 상단부에서 좌우 방향(Y)(상부 레일(6)의 이동 방향인 전후 방향(X)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의 내측으로 서로 대향하며 굴곡된 상판(9)과, 좌우 양쪽 상판(9)에서 하방으로 굴곡된 엔드 플레이트(10)를 가진다. 바닥판(7)과 좌우 양쪽 측판(8)과 좌우 양쪽 상판(9)과 좌우 양쪽 엔드 플레이트(10)로 둘러싸인 수용 챔버(11)는, 좌우 양쪽 엔드 플레이트(10) 사이에 형성되어 전후 방향(X)으로 연장되는 개구(11a)와, 측판(8)과 엔드 플레이트(10) 사이에 형성되어 전후 방향(X)으로 연장되는 홈(11b)을 가진다. 또한, 수용 챔버(11)는 개구(11a)에서 상방으로 개방되어 있으면서 동시에, 전단부(4a)와 후단부(4b)에서 전후 방향(X)으로 개방되어 있다. 좌우 양쪽 엔드 플레이트(10)에는 하단 가장 자리에서 상방으로 노치 형성된 복수의 록 홈(12)(록 부)이 전단부(4a)에 가깝게 소정의 범위에서 전후 방향(X)으로 병설되어 있다.
도 2에 도시한 시트 트랙 슬라이드 장치(1)에 있어서, 도 3 및 도 5a 내지 5d에 도시한 상부 레일(6)은 전단부(6a)와 후단부(6b) 사이에서 전후 방향(X)으로 연장되어 마련되며, 상판(13)과, 상판(13)의 좌우 양쪽 단부에서 하방으로 굴곡되어 좌우 방향(Y)으로 서로 간격을 두고 나란한 측판(14)과, 좌우 양쪽 측판(14)의 하단부에서 좌우 방향(Y)의 외측 상방으로 굴곡된 안내판(15)을 가진다. 상판(13)과 좌우 양쪽 측판(14)으로 둘러싸인 수용 챔버(16)는 하방으로 개방되어 있으면서 동시에, 전단부(6a)와 후단부(6b)에서 전후 방향(X)으로 개방되어 있다. 측판(14)과 안내판(15) 사이에 형성된 홈(17)은 상방으로 개방되어 있으면서 동시에, 전단부(6a)와 후단부(6b)에서 전후 방향(X)으로 개방되어 있다. 측판(14) 및 안내판(15)에 있어서, 전후 방향(X)의 거의 중앙부에는 하단부에서 상방으로 노치 형성된 복수의 개방 홀(18)들이 전후 방향(X)으로 병설되어 있다. 좌우 양쪽 측판(14)에 있어서, 전단부(6a) 부근에는 지지 홀(20)(오목부)이 형성되어 있다.
도 1b, 도 4a, 도 4b 및 도 5a 내지 5d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 레일(6)은 하부 레일(4)의 수용 챔버(11)에 삽입되어 있다. 상부 레일(6)의 상판(13) 및 좌우 양쪽 측판(14)이 수용 챔버(11)의 개구(11a)에서 상방으로 돌출되어 측판(14)이 하부 레일(4)의 엔드 플레이트(10)에 면한다. 상부 레일(6)의 안내판(15)이 하부 레일(4)의 홈(11b)에 맞물리게 걸려있으면서 동시에, 엔드 플레이트(10)가 상부 레일(6)의 홈(17)에 맞물리게 걸려있다. 이 경우, 하부 레일(4)의 좌우 양쪽 측판(8)과 상부 레일(6)의 좌우 양쪽 안내판(15) 사이에는 전측과 후측에서 각각의 가이드(21)가 끼워져 있다. 가이드(21)는 하부 레일(4)에 대하여 상부 레일(6)을 전후 방향(X)으로 이동이 가능하도록 지지되어 있다.
도 2에 도시한 시트 트랙 슬라이드 장치(1)의 록 레버(22)(록 부재)에 있어서는, 도 3 및 도 5a 내지 5d에 도시한 바와 같이, 양쪽 암 플레이트부들(23)이 좌우 방향(Y)으로 서로 간격을 두고 나란하게 상부 레일(6)의 측판(14)에 인접하면서 전후 방향(X)으로 연장되어 마련된다. 좌우 양쪽 암 플레이트부들(23)에는 각각 볼록부(24)가 외측을 향하여 형성되어 있다. 볼록부(24)보다 전방에 지지 플레이트(26)가 상부 레일(6)의 측판(14)에 인접하면서 한쪽 암 플레이트부(23)에서 연장되어 있다. 좌우 양쪽 암 플레이트부들(23)의 후단부 부근에는 볼록부(24)보다 후방에 좌우 양쪽 암 플레이트부들(23)을 서로 연결한 탈착부(25)가 마련된다. 탈착부(25)의 좌우 양측에는 전후 방향(X)으로 나란한 복수의 록 클로(27)(록 부)가 형성되어 있다. 좌우 양쪽 암 플레이트부들(23) 중에서 지지 플레이트(26)가 연장되어 마련된 한쪽 암 플레이트(23)에는 볼록부(24)보다 전방에 지지 플레이트(26)에 연속되는 제1 스토퍼판(28)(제1 스토퍼)이 볼록부(24)에 인접하여 형성되어 있다. 다른 한쪽 암 플레이트부(23)에는 한쪽 암 플레이트부(23)의 제1 스토퍼판(28)고 서로 대향하는 제1 스토퍼판(28)(제1 스토퍼)이 볼록부(24)에 인접하여 볼록부(24)보다 전방으로 캔틸레버 형상으로 연장되어 마련된다.
도 1b, 도 4a, 도 4b 및 도 5a 내지 5d에 도시한 바와 같이, 록 레버(22)를 상부 레일의 수용 챔버(16)에 삽입하고, 상부 레일(6)의 좌우 양쪽 측판(14)에 대하여 좌우 방향(Y)으로 나란한 록 레버(22)의 좌우 양쪽 암 플레이트부들(23)을 서로 근접하도록 구부림으로써, 좌우 양쪽 측판(14)의 지지 홀(20)에 록 레버(22)의 볼록부(24)를 서로 맞춰 끼울 수 있다. 록 레버(22)의 각 록 클로들(27)은 록 레버(22)의 회전 운동에 따라 상부 레일(6)의 각 개방홀들(18)에서 하부 레일(4)의 각 록 홈들(12)에 대해 탈착된다.
록 레버(22)의 지지 플레이트(26)의 전단부에 마련된 연동 지지부(30)는 상부 레일(6)의 전단부(6a)에서 전단부(6a)보다도 전방의 외측 스페이스(S)로 돌출된다. 또한, 연동 지지부(30)는 바닥판(30a)과 좌우 양쪽 측판들(30b, 30c)과 상판(30d)에 의해 둘러싸인 지지 챔버(30e)를 가진다. 또한, 바(bar) 형상의 좌우 양 핸들들(31)은 연결부(31a)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연동한다. 상부 레일(6)의 전단부(6a)에 대한 외측 스페이스(S)에서 좌우 양 핸들들(31)의 기단부에 연동 지지부(32)가 마련되어 있다. 연동 지지부(32)는 록 레버(22)의 연동 지지부(30)의 지지 챔버(30e)에 삽입되며, 바닥판(30a)과 좌우 양쪽 측판들(30b, 30c)과 상판(30d)에 의해 지지된다. 핸들(31)의 연동 지지부(32)의 외주(外周)에는 걸림 홈(32a)이 형성되어 있다.
비틀림 코일 스프링(33)은 코일부(34)와 그 코일부(34)에서 연장된 양쪽 암부들(35, 36)을 가지며, 상부 레일(6)의 전단부(6a)에서 수용 챔버(16)에 삽입되어 있다. 비틀림 코일 스프링(33)의 코일부(34)는 상부 레일(6)의 전단부(6a) 부근에서 수용 챔버(16)에 수용되며, 록 레버(22)의 연동 지지부(30)와 좌우 양쪽 암 플레이트부들(23)의 제1 스토퍼 플레이트(28) 사이에서 록 레버(22)의 지지 플레이트(26)와 상부 레일(6)의 측판(14) 사이에 이러한 지지 플레이트(26) 및 측판(14)과의 틈을 가능한 한 없앤 상태에서 끼워져 있다. 코일부(34)에 의해 록 레버(22)의 좌우 방향(Y)으로의 이동이 규제되어 록 레버(22)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비틀림 코일 스프링(33)의 양쪽 암부(35, 36) 중에서 한 쪽 암부(35)는 상부 레일(6)의 전단부(6a)에서 전단부(6a)의 외측 스페이스(S)로 돌출되고, 외측 스페이스(S)에서 연동 지지부(30)의 지지 챔버(30e)에 삽입되어 핸들(31)의 연동 지지부(32)의 걸림 홈(32a)에 지지되어 있다. 한쪽의 암부(36)는 지지 플레이트(26)의 베이스부(26a) 상에 지지되며, 다른 한쪽의 암부(36)의 선단 부근에 형성된 제2 스토퍼(36a)가 좌우 양쪽 암 플레이트부들(23)의 제1 스토퍼판들(28) 사이에 삽입되어 있다. 이에 따라, 지지 홀(20)에 볼록부(24)가 회전 운동이 가능하도록 서로 맞춰 끼워진 회동 지지부(29)에 있어서, 제2 스토퍼(36a)와 제1 스토퍼판들(28)의 계합에 의해 볼록부(24)와 지지 홀(20)이 서로 맞춰 끼워지는 방향(YF)과 반대 방향(YB)으로 서로 이탈되는 것을 저지하여 지지 홀(20)과 볼록부(24)와의 삽입 상태를 유지한다. 이러한 양쪽 암부들(35, 36)의 위치 결정에 의해 비틀림 코일 스프링(33)의 전후 방향(X)으로의 이동이 저지된다. 이 때, 코일부(34)가 상부 레일(6)의 상판(13) 부근에서 축부(13a)에 지지되어 양쪽 암부들(35, 36)에 탄성력이 생긴다. 도 5e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볼록부(24)는 지지 홀(20)에 유격을 가지며 결합되며, 양쪽 암부들(35, 36)의 탄성력에 의해 좌우 양쪽 암부들(23)을 통해 지지 홀(20)에 가압 접촉되어 있다. 상세하게는, 지지 홀(20)은 그 폭이 하방을 향하여 작아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볼록부(24)의 직경은 지지 홀(20)의 가장 좁은 폭보다도 큰 사이즈로 설정되어 있다. 이 때문에, 볼록부(24)는 지지 홀(20)의 양쪽 측벽과 접한 상태로 안정적으로 지지된다.
이하, 상기 시트 트랙 슬라이드 장치(1)의 작용에 대해 설명한다.
도 1b, 도 2, 도 4a 및 도 4b에 도시한 핸들(31)의 록 위치(P)에서는, 비틀림 코일 스프링(33)의 탄성력에 의하여, 핸들(31)의 연동 지지부(32)가 록 레버(22)의 연동 지지부(30)의 지지 챔버(30e)에서 상판(30d)의 전단 가장자리인 지축부(30f)를 중심으로 하방으로 회전 운동하여 바닥판(30a)에 맞닿는다. 이에 따라, 록 레버(22)의 연동 지지부(30)가 회동 지지부(29)의 회전 운동 중심선(29a)을 중심으로 하방으로 회전 운동하면서 동시에, 록 레버(22)의 탈착부(25)가 회동 지지부(29)의 회전 운동 중심선(29a)을 중심으로 상방으로 회전 운동하여 록 상태가 되며, 탈착부(25)의 각 록 클로들(27)이 하부 레일(4)의 각 록 홈들(12)에 걸려서 삽입된다. 또한, 핸들(31)을 비틀림 코일 스프링(33)의 탄성력에 대항하여 록 위치(P)에서 들어올려 록 해제 위치로 하면, 록 레버(22)의 연동 지지부(30)가 핸들(31)의 연동 지지부(32)와 연동하여 회동 지지부(29)의 회전 운동 중심선(29a)을 중심으로 상방으로 회전 운동한다. 이 때문에 록 레버(22)의 탈착부(25)가 회동 지지부(29)의 회전 운동 중심선(29a)을 중심으로 하여 하방으로 회전 운동하여 록 해제 상태가 되며, 탈착부(25)의 각 록 클로들(27)이 하부 레일(4)의 각 록 홈들(12)에서 이탈된다.
차량 충돌 시에 좌우 양쪽 시트 트랙들(3)의 하부 레일(4) 및 상부 레일(6)이 서로 뒤틀리면, 서로 연동하는 좌우 양쪽 핸들들(31) 중에서 적어도 한쪽의 핸들(31)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록 위치(P)에서 충돌 비틀림 상태(R)가 된다. 이에 따라, 핸들(31)의 연동 지지부(32)가 록 레버(22)의 연동 지지부(30)의 지지 챔버(30e)에서 상판(30d)의 전단 가장자리인 지축부(30f)를 중심으로 비틀림 코일 스프링(33)의 탄성력에 대항하여 상방으로 회전 운동하여 바닥판(30a)에서 이탈된다. 이 경우, 핸들(31)의 회전 운동이 록 레버(22)의 회전 운동으로서 전달되지 않기 때문에 록 레버(22)의 록 상태는 유지된다.
본 실시 형태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진다.
(1) 상부 레일(6) 내에 록 레버(22)를 삽입할 때, 록 레버(22)의 양쪽 암 플레이트부들(23)을 서로 근접시키도록 탄성에 대항하여 구부려서, 회동 지지부(29)에 있어서 상부 레일(6)의 양쪽 측판들(14)의 지지 홀(20)에 록 레버(22)의 양쪽 암 플레이트부들(23)의 볼록부(24)를 삽입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록 레버(22)를 상부 레일(6)에 대하여 간단하게 장착할 수 있다.
(2) 록 레버(22)를 상부 레일(6)에 장착한 후에, 비틀림 코일 스프링(33)의 암부(36)의 제2 스토퍼(36a)를 록 레버(22)의 양쪽 암 플레이트부들(23)의 제1 스토퍼판들(28) 사이에 끼워서 삽입할 수 있으므로, 회동 지지부(29)에 있어서 볼록부(24)와 지지 홀(20)과의 이탈을 저지할 수 있다.
(3) 상부 레일(6) 부근에서 핸들(31)과 록 레버(22)를 서로 연동시키는 기존의 비틀림 코일 스프링(33)에 제2 스토퍼(36a)가 마련되어 있으므로, 회동 지지부(29)에 있어서 상부 레일(6)과 록 레버(22)와의 장착 상태를 기존의 부품을 이용한 간단한 구조로 유지할 수 있다.
(4) 회동 지지부(29)가 록 레버(22)의 록 클로들(27)과 핸들 사이에 마련되어 있다. 이로 인하여, 록 레버(22)에 있어서, 핸들(31) 부근 부분이 비틀림 코일 스프링(33)의 탄성력에 의해 하방으로 회전 운동하면, 록 클로들(27) 부근 부분이 상방으로 회전 운동하여 하부 레일(4)의 록 홈들(12)에 걸려 삽입되며, 핸들(31) 부근 부분을 비틀림 코일 스프링(33)의 탄성력에 대항하여 상방으로 회전 운동시키면, 록 클로들(27) 부근 부분이 하방으로 회전 운동하여 하부 레일(4)의 록 홈들(12)에 대하여 이탈된다. 따라서 핸들(31)의 조작에 따라 록 레버(22)의 록 클로들(27)을 하부 레일(4)의 록 홈들(12)에 대하여 탈착시키기 쉽다.
(5) 록 레버(22)에 있어서, 록 클로들(27) 부근 부분에서는 강성(剛性)을 높이는 형상으로 할 필요가 있으나, 비틀림 코일 스프링(33)의 암부(36)의 제2 스토퍼(36a)와 록 레버(22)의 양쪽 암 플레이트부들(23)의 제1 스토퍼판들(28)이 회동 지지부(29)와 핸들(31) 사이에 마련되어 있다. 이에 따라, 핸들(31) 부근 부분에서는 암부(36)의 제2 스토퍼(36a)를 양쪽 암 플레이트부들(23)의 제1 스토퍼판들(28) 사이에 끼워 넣기 쉬운 형상으로 할 수 있다.
(6) 록 레버(22)에 있어서, 지지 플레이트(26)가 연장된 한쪽 암 플레이트부(23)의 제1 스토퍼들(28)과 서로 대향하는 다른 한쪽의 암 플레이트부(23)의 제1 스토퍼판(28)이 캔틸레버 형상으로 연장되어 플레이트 스프링으로서 기능한다. 이로 인하여, 캔틸레버 형상의 제1 스토퍼판(28)은 휘기 쉬워지며, 비틀림 코일 스프링(33)의 암부(36)의 제2 스토퍼(36a)를 록 레버(22)의 양쪽 암 플레이트부들(23)의 제1 스토퍼판들(28) 사이에 끼워 넣기 쉽다. 또한, 이들 제2 스토퍼(36a) 및 제1 스토퍼판들(28)은 회동 지지부(29)에 인접하고 있으므로, 회동 지지부(29)에 있어서 볼록부(24)와 지지 홀(20)과의 이탈 저지 기능을 한층 더 실현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 형태 외에도, 예를 들면, 하기와 같이 구성되어도 좋다.
ㆍ상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상부 레일(6) 부근에서 핸들(31)과 록 레버(22)를 서로 연동시키는 비틀림 코일 스프링(33)의 암부(36)에 제2 스토퍼(36a)를 마련하였으나, 그 외의 스프링, 예를 들면, 플레이트 스프링에 제2 스토퍼를 마련해도 좋다.
ㆍ상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회동 지지부(29)에 있어서 상부 레일(6)의 측판(14)에 지지 홀(20)을 관통시켜서 설치하면서 그와 함께 록 레버(22)에 볼록부(24)를 구비하였으나, 상부 레일(6)의 측판(14)에 볼록부를 설치하면서 그와 함께 록 레버(22)에 지지 홀을 관통시켜서 설치해도 좋다. 또한, 지지 홀 대신 관통되지 않은 홀을 볼록부로서 설치해도 좋다.
ㆍ상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비틀림 코일 스프링(33)의 암부(36)의 제2 스토퍼(36a)와 록 레버(22)의 양쪽 암 플레이트부들(23)의 제1 스토퍼판들(28)을 회동 지지부(29)와 핸들(31) 사이에서 회동 지지부(29)에 인접시켜서 마련하였으나, 이들 제2 스토퍼(36a) 및 제1 스토퍼판들(28)을 회동 지지부(29)와 록 레버(22)의 록 클로들(27)과의 사이에서 회동 지지부(29)에 인접하게 설치해도 좋다.
ㆍ상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록 레버(22)의 양쪽 암 플레이트부들(23) 중에서 한쪽 암 플레이트부(23)에서 연장되는 지지 플레이트(26)에 연동 지지부(30)를 마련하여 연동 지지부(30)에 핸들(31)의 연동 지지부(32)를 연결시켰으나, 양쪽 암 플레이트부들에서 연장되는 지지 플레이트에 연동 지지부를 설치하여 그 연동 지지부에 핸들의 연동 지지부를 연결해도 좋다.
ㆍ상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각 시트 트랙(3)의 핸들(31)이 서로 연동하는 시트 트랙 슬라이드 장치(1)를 예시하였으나, 한쪽 시트 트랙에만 록 기구를 마련한 시트 트랙 슬라이드 장치에 본 발명을 채용해도 좋다.
1:시트 트랙 슬라이드 장치 2:플로어
4:하부 레일 5:시트
6:상부 레일 12:하부 레일의 록 홈(록 부)
13:상부 레일의 상판 14:상부 레일의 측판
20:상부 레일의 지지 홀(오목부) 22:록 레버(록 부재)
23:록 레버의 암 플레이트부 24:록 레버의 볼록부
26:록 레버의 지지 플레이트 27:록 클로(록 부)
28:제1 스토퍼판(제1 스토퍼) 29:회동 지지부
31:핸들 33:비틀림 코일 스프링
34:코일부 35, 36:암부
36a:제2 스토퍼

Claims (7)

  1. 플로어에 고정되도록 구성된 하부 레일과, 시트에 고정되도록 구성되어 상기 하부 레일에 대하여 이동이 가능하도록 지지된 상부 레일과, 상기 하부 레일에 마련되어 상기 상부 레일의 이동 방향을 따라 병설된 복수의 록 부와, 상기 상부 레일에 장착된 록 부재와, 상기 록 부재에서 연장된 핸들을 구비하며,
    상기 록 부재는, 상부 레일 내에 삽입되어 상기 상부 레일의 이동 방향에 대하여 교차하는 방향으로 서로 간격을 두고 나란한 양쪽 암 플레이트부들을 가지며, 상기 상부 레일과 상기 록 부재의 암 플레이트부들 중에서, 한쪽에 설치된 오목부와 다른 한쪽에 마련된 볼록부가 서로 맞춰서 끼워지는 것으로 회동 지지부에 의해 상기 상부 레일에 대하여 회전 운동이 가능하도록 지지되며,
    상기 핸들과 상기 록 부재 사이에 지지된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록 부재를 상기 핸들과 연동시켜, 상기 핸들의 조작에 따라 상기 록 부재를 상기 하부 레일의 록 부에 대해 탈착시켜서 상기 록 부재를 록 상태 또는 록 해제 상태로 할 수 있는 시트 트랙 슬라이드 장치에 있어서,
    상기 록 부재의 양쪽 암 플레이트부들에는 제1 스토퍼가 각각 마련되고, 상기 스프링에는 상기 제1 스토퍼에 계합되는 제2 스토퍼가 마련되며. 상기 제1 및 제2 스토퍼들의 계합에 의해, 상기 회동 지지부에 있어서 볼록부와 오목부가 서로 맞춰 끼워지는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볼록부와 오목부가 서로 이탈되는 것을 저지하여, 상기 회동 지지부의 오목부와 볼록부의 삽입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트랙 슬라이드 장치에 있어서의 록 기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록 부재는 상기 하부 레일의 상기 복수의 록 부에 대하여 탈착되는 록 부를 가지며, 상기 오목부와 볼록부의 서로 맞춰 끼워짐에 의한 상기 회동 지지부는, 상기 록 부재의 록 부와 상기 핸들 사이에서, 상기 상부 레일과 록 부재의 양쪽 암 플레이트부들에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트랙 슬라이드 장치에 있어서의 록 기구.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의 제2 스토퍼와 상기 록 부재의 양쪽 암 플레이트부들의 제1 스토퍼들은, 상기 회동 지지부와 상기 핸들과의 사이에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트랙 슬라이드 장치에 있어서의 록 기구.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록 부재에 있어서 상기 제1 스토퍼를 갖는 양쪽 암 플레이트부들 중에서 적어도 한쪽 암 플레이트부에서 연장되는 지지 플레이트에 상기 핸들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트랙 슬라이드 장치에 있어서의 록 기구.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록 부재에 있어서, 상기 양쪽 암 플레이트부들 중에서, 상기 지지 플레이트가 연장된 한쪽 암 플레이트부에는 회동 지지부와 상기 지지 플레이트 사이에서 지지 플레이트에 연속되는 제1 스토퍼가 회동 지지부에 인접하여 형성되며, 다른 한쪽의 암 플레이트부에는 한쪽 암 플레이트부의 제1 스토퍼와 서로 대향하는 제1 스토퍼가 회동 지지부에 인접하여 캔틸레버 형상으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트랙 슬라이드 장치에 있어서의 록 기구.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은, 코일부와 그 코일부에서 연장되는 양쪽 암부들을 갖는 비틀림 코일 스프링으로서, 상기 암부들 중에서 한쪽 암부가 상기 핸들에 지지되며, 다른 한쪽의 암부에 상기 제2 스토퍼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트랙 슬라이드 장치에 있어서의 록 기구.
  7.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 지지부에 있어서 상기 볼록부는 오목부에 유격을 가지며 결합되어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가압 접촉되는 특징으로 하는 시트 트랙 슬라이드 장치에 있어서의 록 기구.
KR1020137004290A 2012-10-10 2012-10-10 시트 트랙 슬라이드 장치에 있어서의 록 기구 KR10147758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12/076252 WO2014057554A1 (ja) 2012-10-10 2012-10-10 シートトラックスライド装置におけるロック機構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79335A KR20140079335A (ko) 2014-06-26
KR101477581B1 true KR101477581B1 (ko) 2014-12-30

Family

ID=504319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04290A KR101477581B1 (ko) 2012-10-10 2012-10-10 시트 트랙 슬라이드 장치에 있어서의 록 기구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371013B2 (ko)
EP (1) EP2738037B1 (ko)
JP (1) JP5475185B1 (ko)
KR (1) KR101477581B1 (ko)
CN (1) CN103874603B (ko)
WO (1) WO201405755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214119B2 (en) 2013-09-20 2019-02-26 Lear Corporation Track adjuster
EP3061644A4 (en) * 2013-10-25 2016-11-09 Aisin Seiki seat slide
JP6236655B2 (ja) * 2014-04-25 2017-11-29 トヨタ紡織株式会社 乗物用シート
FR3033742B1 (fr) * 2015-03-20 2018-07-06 Faurecia Sieges D'automobile Glissiere pour siege de vehicule et siege de vehicule comportant une telle glissiere
JP6561667B2 (ja) * 2015-08-06 2019-08-21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車両用シートスライド装置
DE102016219886B4 (de) * 2016-07-25 2018-02-22 Adient Luxembourg Holding S.à.r.l. Federbaugruppe für einen Entriegelungsmechanismus einer Längsverstellung eines Fahrzeugsitzes und Verfahren zur Montage einer Federbaugruppe
JP6861491B2 (ja) * 2016-09-16 2021-04-21 シロキ工業株式会社 シートトラック
DE102017204884A1 (de) * 2017-03-23 2018-09-27 Lear Corporation Schieneneinstellvorrichtung
IT201800005731A1 (it) 2018-05-25 2019-11-25 Dispositivo di scorrimento per un sedile di veicolo
JP7104971B2 (ja) * 2018-08-08 2022-07-22 デルタ工業株式会社 スライド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245956A (ja) * 2010-05-26 2011-12-08 Imasen Electric Ind Co Ltd シートスライド装置
JP2012111378A (ja) * 2010-11-25 2012-06-14 Gifu Auto Body Industry Co Ltd シートトラックスライド装置におけるロック機構
JP2012111379A (ja) * 2010-11-25 2012-06-14 Gifu Auto Body Industry Co Ltd シートトラックスライド装置におけるロック機構

Family Cites Families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542254B2 (ja) * 2000-11-21 2010-09-08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車両用シートスライド装置
KR100442746B1 (ko) * 2001-11-08 2004-08-02 주식회사다스 자동차용 시트레일의 로킹시스템
JP4013591B2 (ja) * 2002-02-28 2007-11-28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シートスライド装置
JP2005225262A (ja) * 2004-02-10 2005-08-25 Toyota Boshoku Corp シートスライド装置
JP2005225386A (ja) 2004-02-13 2005-08-25 Delta Kogyo Co Ltd シートのスライドロック構造
US7314204B2 (en) * 2005-09-27 2008-01-01 Kabushikigaisha Imasen Denki Seisakusho Sliding rail system
JP2008074380A (ja) * 2006-08-25 2008-04-03 Aisin Seiki Co Ltd 車両用シートスライド装置
JP4355963B2 (ja) * 2007-01-30 2009-11-04 株式会社今仙電機製作所 スライドレール装置
JP5130066B2 (ja) 2008-01-30 2013-01-30 富士機工株式会社 シートスライド装置
JP5461797B2 (ja) * 2008-07-08 2014-04-02 シロキ工業株式会社 シートトラック装置
JP2010100077A (ja) * 2008-10-21 2010-05-06 Imasen Electric Ind Co Ltd スライドレール装置
DE102009033892B4 (de) * 2009-07-20 2017-03-30 Lear Corporation Sitzschienenanordnung mit Sitzverriegelung und Memoryelement für Fahrzeugsitz
JP5545835B2 (ja) * 2010-04-28 2014-07-09 シロキ工業株式会社 車両用スライドレール装置
JP5545834B2 (ja) * 2010-04-28 2014-07-09 シロキ工業株式会社 車両用スライドレール装置
JP5616116B2 (ja) * 2010-04-28 2014-10-29 シロキ工業株式会社 車両用スライドレール装置
JP5662070B2 (ja) * 2010-07-22 2015-01-28 シロキ工業株式会社 車両用スライドレール装置
JP5830954B2 (ja) * 2011-06-20 2015-12-09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車両用シートスライド装置
JP5659974B2 (ja) * 2011-07-12 2015-01-28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車両用シートスライド装置
JP5621724B2 (ja) * 2011-07-12 2014-11-12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車両用シートスライド装置
JP5927970B2 (ja) * 2012-02-15 2016-06-01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車両用シートスライド装置
JP5845962B2 (ja) * 2012-02-21 2016-01-20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車両用シートスライド装置
US9855868B2 (en) * 2012-06-04 2018-01-02 Lear Corporation Seat adjuster assembly
JP5962250B2 (ja) * 2012-06-21 2016-08-03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車両用シートスライド装置
JP5949282B2 (ja) * 2012-07-30 2016-07-06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車両用シートスライド装置
JP2014037173A (ja) * 2012-08-13 2014-02-27 Shiroki Corp 車両用スライドレール装置
JP5983295B2 (ja) * 2012-10-19 2016-08-31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車両用シートスライド装置
US9038981B2 (en) * 2012-10-19 2015-05-26 Aisin Seiki Kabushiki Kaisha Seat apparatus for vehicle
JP6032062B2 (ja) * 2013-02-28 2016-11-24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車両用シートスライド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245956A (ja) * 2010-05-26 2011-12-08 Imasen Electric Ind Co Ltd シートスライド装置
JP2012111378A (ja) * 2010-11-25 2012-06-14 Gifu Auto Body Industry Co Ltd シートトラックスライド装置におけるロック機構
JP2012111379A (ja) * 2010-11-25 2012-06-14 Gifu Auto Body Industry Co Ltd シートトラックスライド装置におけるロック機構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40097317A1 (en) 2014-04-10
EP2738037A4 (en) 2015-02-25
JP5475185B1 (ja) 2014-04-16
JPWO2014057554A1 (ja) 2016-08-25
US9371013B2 (en) 2016-06-21
KR20140079335A (ko) 2014-06-26
EP2738037A1 (en) 2014-06-04
CN103874603B (zh) 2016-04-13
WO2014057554A1 (ja) 2014-04-17
CN103874603A (zh) 2014-06-18
EP2738037B1 (en) 2016-03-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77581B1 (ko) 시트 트랙 슬라이드 장치에 있어서의 록 기구
US8469328B2 (en) Lock mechanism for seat track slide device
US8770534B2 (en) Lock mechanism for seat track slide device
JP6328228B2 (ja) チャイルドシート
KR101685927B1 (ko) 수동형 시트쿠션 익스텐션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용 시트
US11180054B2 (en) Sliding device
EP2901894A1 (en) Head rest
US11192472B2 (en) Sliding device
US10850642B2 (en) Seat slide device
JP5728281B2 (ja) ロック装置
JP7048453B2 (ja) シートスライド装置
JP6689663B2 (ja) ロック解除機構
US20150159409A1 (en) Affixation device for vehicle door
JP2018052401A (ja) シートスライド装置
JP6679410B2 (ja) シートスライド装置
KR101991344B1 (ko) 차량 시트용 롱레일의 로킹 시스템
CN112074435B (zh) 座椅锁定装置
JP5634239B2 (ja) 引上げ開放式窓のロック装置
KR102586269B1 (ko) 차량용 시트레일의 로킹구조
JP2016188060A (ja) 車両用シートスライド装置
KR102212756B1 (ko) 유동억제구조를 포함하는 시트 트랙용 록킹장치
JP6125374B2 (ja) グローブボックス用操作装置
JP2018052398A (ja) シートスライド装置
JP7023148B2 (ja) シートスライド装置
JP2007182093A (ja) ロック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