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90289A - 차량용 암레스트 록킹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암레스트 록킹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90289A
KR20150090289A KR1020130166291A KR20130166291A KR20150090289A KR 20150090289 A KR20150090289 A KR 20150090289A KR 1020130166291 A KR1020130166291 A KR 1020130166291A KR 20130166291 A KR20130166291 A KR 20130166291A KR 20150090289 A KR20150090289 A KR 201500902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mrest
locking
pivot link
pin
mov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662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49969B1 (ko
Inventor
안성철
서진호
박찬욱
김명섭
김윤호
김동환
Original Assignee
현대다이모스(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다이모스(주) filed Critical 현대다이모스(주)
Priority to KR10201301662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49969B1/ko
Publication of KR201500902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902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499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499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0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slidable
    • B60N2/08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slidable characterised by the locking devi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75Arm-rests

Abstract

본 발명은, 암레스트의 단부에 마련되며, 외측단이 암레스트의 측방으로 돌출 가능하도록 직선변위로 이동되어 암레스트를 록킹 및 록킹 해제시키는 록킹핀; 중단부가 상기 암레스트의 내면에 힌지 결합되며, 일단부가 록킹핀의 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회전시 상기 록킹핀을 좌우 직선변위로 이동시키는 피봇링크; 및 단부에 작동레버가 연결되어 작동레버의 조작에 따라 직선변위로 이동되며, 중단에 상기 피봇링크 타단부의 회전경로를 따라 호 형상의 가이드홀이 형성되어 상기 피봇링크의 타단부가 상기 가이드홀에 삽입되어 가이드 이동되고, 상기 가이드홀의 단부에 암레스트의 록킹 해제를 위해 이동되는 방향으로 스토핑홀이 절곡 형성된 슬라이더;를 포함하는 차량용 암레스트 록킹장치가 소개된다.

Description

차량용 암레스트 록킹장치{APPARATUS FOR LOCKING ARM REST IN VEHICLE}
본 발명은 암레스트의 록킹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작동레버의 비작동시, 록킹핀의 이동작동을 기구적으로 차단하여 암레스트의 록킹 해제가 불가능하도록 한 차량용 암레스트 록킹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실내에는 전석에 운전자 및 전방 탑승자가 착석하기 위한 2개의 전열시트가 설치되며, 후석에 여러 탑승자가 함께 착석할 수 있는 후열시트가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후열시트의 중앙에는 탑승자의 팔을 안정적으로 올려놓기 위한 암레스트가 설치된다.
이러한, 상기 암레스트는 시트쿠션의 중앙부로부터 힌지브라켓에 의해 시트백의 중심쪽으로 회동 가능하게 장착된다. 즉, 암레스트의 비사용시, 상기 암레스트가 시트백의 중앙에 형성된 수용홈에 수납되고, 암레스트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시트백의 수용홈으로부터 전방으로 인출되어 암레스트를 사용하게 되는 것이다.
더불어,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암레스트에는 차량의 충돌시, 암레스트(1)가 급격하게 전방으로 돌출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탑승자의 암레스트(1) 사용 의지시에만 암레스트(1)의 사용이 가능하도록 록킹장치(2)가 설치될 수 있으며, 상기 암레스트(2)의 전면에는 상기 록킹장치(2)의 록킹 해제 조작을 위한 작동레버(3)가 설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작동레버(3)를 록킹 해제 조작하면, 상기 암레스트(1) 하단에 결합된 록킹핀(4)이 암레스트의 측방에 설치된 힌지브라켓(5)으로부터 이탈되면서, 상기 암레스트의 록킹이 해제되는 것이다.
그런데, 상기한 종래의 록킹장치는 차량의 충돌시, 그 충격력이 록킹핀에 전달되면서, 록킹핀이 힌지브라켓으로부터 의도하지 않게 이탈되어 암레스트가 전방으로 돌출되는 문제가 있다.
한편, 종래에 한국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제10-2001-0061864호의 "후방 암레스트 잠금장치"가 소개된바 있다.
그러나, 이같은 방식은 단지 암레스트의 인출상태에서 암레스트의 위치를 고정하는 것으로, 차량의 충돌에 의한 충격력에 의해 암레스트가 록킹 해제되는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할 수 없다.
상기의 배경기술로서 설명된 사항들은 본 고안의 배경에 대한 이해 증진을 위한 것일 뿐,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에 해당함을 인정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서는 안 될 것이다.
KR 10-2001-0061864 A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작동레버의 비작동시, 록킹핀의 이동작동을 기구적으로 차단하여 암레스트의 록킹 해제가 불가능하도록 한 차량용 암레스트 록킹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은, 암레스트의 단부에 마련되며, 외측단이 암레스트의 측방으로 돌출 가능하도록 직선변위로 이동되어 암레스트를 록킹 및 록킹 해제시키는 록킹핀; 중단부가 상기 암레스트의 내면에 힌지 결합되며, 일단부가 록킹핀의 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회전시 상기 록킹핀을 좌우 직선변위로 이동시키는 피봇링크; 및 단부에 작동레버가 연결되어 작동레버의 조작에 따라 직선변위로 이동되며, 중단에 상기 피봇링크 타단부의 회전경로를 따라 호 형상의 가이드홀이 형성되어 상기 피봇링크의 타단부가 상기 가이드홀에 삽입되어 가이드 이동되고, 상기 가이드홀의 단부에 암레스트의 록킹 해제를 위해 이동되는 방향으로 스토핑홀이 절곡 형성된 슬라이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스토핑홀은 상기 가이드홀의 상단에 상부를 향해 절곡 형성되어, 상기 록킹핀에 의한 암레스트의 록킹시 상기 피봇링크의 상단부가 상기 스토핑홀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피봇링크의 내측면에는 슬라이더를 향해 스토퍼가 돌출 형성되어, 상기 록킹핀에 의한 암레스트의 록킹시 상기 스토퍼가 상기 슬라이더의 하단 부분에 마주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록킹핀은, 암레스트의 타단부 측면을 관통하여 구비되며, 내측단이 상기 피봇링크의 타단부와 결합되고, 외측단이 암레스트의 측방으로 돌출되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록킹핀의 중단 외주면에는 암레스트의 내측면에 걸려지도록 걸림턱이 형성되며; 상기 걸림턱과 피봇링크 사이에는 상기 록킹핀이 이동되는 직선변위에 대해 탄성력을 제공하도록 록킹스프링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한 과제 해결수단을 통해 본 발명은, 차량의 충돌시, 가이드홀을 따라 이동되는 가이드핀이 스토핑홀 내측면에 걸려져 가이드핀의 측방향 움직임이 근본적으로 제한됨으로써, 록킹핀에 가해진 충격력이 피봇링크에 전달되더라도 피봇링크가 회전되지 않게 되고, 결국 록킹핀의 이동이 불가능하여 암레스트의 록킹이 해제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암레스트 록킹장치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암레스트 록킹장치의 내부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암레스트 록킹장치의 구성 및 작동원리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암레스트 록킹장치의 록킹 해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암레스트 록킹장치의 내부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암레스트 록킹장치의 구성 및 작동원리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암레스트 록킹장치의 록킹 해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차량용 암레스트 록킹장치는 크게, 케이블(30)과, 피봇링크(50) 및 슬라이더(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암레스트(10)의 단부에 마련되며, 외측단이 암레스트(10)의 측방으로 돌출 가능하도록 직선변위로 이동되어 암레스트(10)를 록킹 및 록킹 해제시키는 록킹핀(60); 중단부가 상기 암레스트(10)의 내면에 힌지 결합되며, 일단부가 록킹핀(60)의 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회전시 상기 록킹핀(60)을 좌우 직선변위로 이동시키는 피봇링크(50); 및 단부에 작동레버(20)가 연결되어 작동레버(20)의 조작에 따라 직선변위로 이동되며, 중단에 상기 피봇링크(50) 타단부의 회전경로를 따라 호 형상의 가이드홀(42)이 형성되어 상기 피봇링크(50)의 타단부가 상기 가이드홀(42)에 삽입되어 가이드 이동되고, 상기 가이드홀(42)의 단부에 암레스트(10)의 록킹 해제를 위해 이동되는 방향으로 스토핑홀(44)이 절곡 형성된 슬라이더(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암레스트(10)는 후석측 시트 중앙에 설치될 수 있는 것으로, 후방으로 회동시 시트백에 형성된 수용홈 내에 수용될 수 있고, 전방으로 회동시 시트쿠션의 상면에 안착되는 상태로 인출될 수 있다.
또한, 도 2와 같이 상기 암레스트(10)의 하단부 측면에는 상기 암레스트(10)를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기 위한 힌지브라켓(14)이 설치될 수 있으며, 상기 록킹핀(60)이 측방으로 돌출되도록 이동되어 상기 힌지브라켓(14)에 록킹 및 록킹 해제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작동레버(20)는 상기 암레스트(10)의 상단에 설치된 레버하우징(12) 내에 상단부가 수용된 상태로 전면이 외부로 노출되게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작동레버(20)의 하단부에 케이블(30)의 상단이 연결되며, 상기 케이블(30)의 하단에는 슬라이더(40)의 상단이 연결됨으로써, 상기 작동레버(20)의 조작에 따라 상기 케이블(30) 및 슬라이더(40)가 함께 상하 직선변위로 이동된다.
여기서, 상기 슬라이더(40)의 양측에는 상기 슬라이더(40)의 상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46)가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피봇링크(50)는 상기 슬라이더(40)의 양측에 각각 마련될 수 있는 것으로, 상기 가이드홀(42)은 상기 슬라이더(40)의 양측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기 피봇링크(50)는 그 중단이 회전축(52)에 의해 상기 암레스트(10)의 내부면에 힌지 결합될 수 있으며, 상기 피봇링크(50)의 상단부에는 가이드핀(54)이 고정됨으로써, 상기 피봇링크(50)의 회전시 상기 가이드핀(54)이 상기 가이드홀(42) 내에 삽입된 상태에서 가이드홀(42)을 따라 이동될 수 있다.
또한, 도 2는 록킹핀(60)의 외측단이 힌지브라켓(14)에 삽입되어 암레스트(10)가 록킹되어 있는 상태로서, 이때에는 상기 록킹핀(60)이 가이드홀(42) 상단에 형성된 스토핑홀(44) 내에 위치하게 된다.
이 같은 구성에 따라, 차량의 충돌시, 록킹핀(60)을 암레스트(10) 내부로 밀어내는 충격력이 상기 록킹핀(60)에 전달되는 경우, 이때에는 작동레버(20)가 비작동 상태이므로 가이드핀(54)이 상기 스토핑홀(44)에 인입된 상태에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가이드핀(54)이 상기 스토핑홀(44) 내측면에 걸려져 가이드핀(54)의 측방향 움직임이 근본적으로 제한됨으로써, 상기 록킹핀(60)에 가해진 힘이 피봇링크(50)에 전달되더라도 상기 피봇링크(50)가 회전되지 않게 되고, 결국 록킹핀(60)의 이동이 불가능하여 암레스트(10)의 록킹이 해제되지 않는 것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서, 상기 스토핑홀(44)은 상기 가이드홀(42)의 상단에 상부를 향해 절곡 형성되어, 상기 록킹핀(60)에 의한 암레스트(10)의 록킹시 상기 피봇링크(50)의 상단부가 상기 스토핑홀(44)에 위치될 수 있다.
즉, 작동레버(20)의 비작동 상태에서는, 상기 가이드핀(54)이 상기 가이드홀(42) 단부의 상측에 형성된 스토핑홀(44) 내에 위치하게 됨으로써, 상기 피봇링크(50) 및 록킹핀(60)의 작동이 제한되는 것이다.
다만, 도 4와 같이 상기 작동레버(20)를 정상적으로 작동하는 경우에는, 케이블(30)과 함께 슬라이더(40)가 상부로 이동됨으로써, 스토핑홀(44) 내에 위치한 가이드핀(54)이 상기 스토핑홀(44) 하측의 가이드홀(42) 내에 진입되면서, 상기 가이드홀(42)을 따라 이동되고, 이에 피봇링크(50)가 회전 작동되면서, 록킹핀(60)이 연동하여 직선 이동된다.
즉, 상기 록킹핀(60)이 암레스트(10)의 내부로 이동되는바, 상기 록킹핀(60)의 외측단이 힌지브라켓(14)으로부터 이탈되어 암레스트(10)의 록킹이 해제되는 것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서, 상기 피봇링크(50)의 내측면에는 슬라이더(40)를 향해 스토퍼(58)가 돌출 형성되어, 상기 록킹핀(60)에 의한 암레스트(10)의 록킹시 상기 스토퍼(58)가 상기 슬라이더(40)의 하단 부분에 마주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스토퍼(58)와 마주하는 부분은 상기 슬라이더(40)의 최하단일 수 있으며, 상기 최하단에 홈 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다.
즉, 상기 작동레버(20)의 비작동 상태에서, 록킹핀(60)에 충격력이 가해지면, 상기 스토핑홀(44) 및 가이드핀(54)의 걸림 구조와 함께 상기 스토퍼(58)가 슬라이더(40)의 하단 측면 부분에 걸려지게 됨으로써, 상기 피봇링크(50) 및 록킹핀(60)이 작동되는 것을 더욱 확실하게 제한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록킹핀(60)은, 암레스트(10)의 타단부 측면을 관통하여 구비되며, 내측단이 상기 피봇링크(50)의 타단부와 결합되고, 외측단이 암레스트(10)의 측방으로 돌출되어 구비될 수 있다.
즉, 케이블(30)이 상부로 이동되면, 피봇링크(50)의 회전 동작에 의해 록킹핀(60)이 암레스트(10) 내부를 향해 직선 이동됨으로써, 상기 록킹핀(60) 외측단이 상기 힌지브라켓(14)으로부터 이탈되면서, 암레스트(10)의 록킹을 해제시킬 수 있는 것이다.
아울러, 상기 피봇링크(50)는 중단의 회전축(52)을 중심으로 일단부와 타단부가 소정 각도를 이루며 절곡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피봇링크(50)의 타단에는 상기 록킹핀(60)의 내측단이 축 결합되도록 결합홀(56)이 형성되되, 상기 결합홀(56)은 상기 피봇링크(50) 타단부의 상하 길이방향을 따라 장공 형상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케이블(30) 및 슬라이더(40)의 상방 이동과 함께 상기 피봇링크(50)가 회전됨으로써, 상기 록킹핀(60)의 내측단이 상하 요동없이 부드럽게 측방으로 직선 이동되기 위해서는 상기 록킹핀(60) 내측단에 구비된 핀부재의 가이드 이동이 필요하게 된다.
이에, 상기 케이블(30)이 상부로 당겨져 이동시, 상기 록킹핀(60)의 내측단에 구비된 핀부재가 상기 결합홀(56)의 길이방향을 따라 가이드 이동됨으로써, 상기 록킹핀(60)이 암레스트(10)의 내부를 향해 부드럽게 이동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록킹핀(60)의 중단 외주면에는 암레스트(10)의 내측면에 걸려지도록 걸림턱(62)이 형성되며; 상기 걸림턱(62)과 피봇링크(50) 사이에는 상기 록킹핀(60)이 이동되는 직선변위에 대해 탄성력을 제공하도록 록킹스프링(70)이 설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록킹스프링(70)은 상기 록킹핀(60)에 삽입 구비되는 압축스프링일 수 있으며, 상기 록킹스프링(70)의 일단은 걸림턱(62)에 지지되고, 상기 록킹스프링(70)의 타단은 상기 걸림턱(62)과 피봇링크(50) 사이에 마련된 스프링지지부(64)에 지지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스프링지지부(64)는, 상기 록킹핀(60)의 상단 및 하단 위치에 마련되어 상기 록킹핀(60)의 측방 이동을 가이드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즉, 상기 피봇링크(50)가 회전되어 록킹핀(60)이 암레스트(10)의 내측으로 이동되면, 상기 록킹스프링(70)이 압축되면서 텐션이 증대되고, 이 상태를 유지하면서 상기 록킹핀(60)이 힌지브라켓(14)으로부터 이탈되어 록킹이 해제된다.
이어서, 상기 작동레버(20)에 가해지는 조작력을 해제하면, 상기 록킹스프링(70)의 신장에 따른 탄성복원력에 의해 걸림턱(62)을 밀게 되어 록킹핀(60)이 힌지브라켓(14) 측으로 이동되어 암레스트(10)가 록킹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한 구체적인 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10 : 암레스트 14 : 힌지브라켓
20 : 작동레버 30 : 케이블
40 : 슬라이더 42 : 가이드홀
44 : 스토핑홀 50 : 피봇링크
52 : 회전축 54 : 가이드핀
56 : 결합홀 58 : 스토퍼
60 : 록킹핀 62 : 걸림턱
64 : 스프링지지부 70 : 록킹스프링

Claims (5)

  1. 암레스트의 단부에 마련되며, 외측단이 암레스트의 측방으로 돌출 가능하도록 직선변위로 이동되어 암레스트를 록킹 및 록킹 해제시키는 록킹핀;
    중단부가 상기 암레스트의 내면에 힌지 결합되며, 일단부가 록킹핀의 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회전시 상기 록킹핀을 좌우 직선변위로 이동시키는 피봇링크; 및
    단부에 작동레버가 연결되어 작동레버의 조작에 따라 직선변위로 이동되며, 중단에 상기 피봇링크 타단부의 회전경로를 따라 호 형상의 가이드홀이 형성되어 상기 피봇링크의 타단부가 상기 가이드홀에 삽입되어 가이드 이동되고, 상기 가이드홀의 단부에 암레스트의 록킹 해제를 위해 이동되는 방향으로 스토핑홀이 절곡 형성된 슬라이더;를 포함하는 차량용 암레스트 록킹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스토핑홀은 상기 가이드홀의 상단에 상부를 향해 절곡 형성되어, 상기 록킹핀에 의한 암레스트의 록킹시 상기 피봇링크의 상단부가 상기 스토핑홀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암레스트 록킹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피봇링크의 내측면에는 슬라이더를 향해 스토퍼가 돌출 형성되어, 상기 록킹핀에 의한 암레스트의 록킹시 상기 스토퍼가 상기 슬라이더의 하단 부분에 마주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암레스트 록킹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록킹핀은,
    암레스트의 타단부 측면을 관통하여 구비되며, 내측단이 상기 피봇링크의 타단부와 결합되고, 외측단이 암레스트의 측방으로 돌출되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암레스트 록킹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록킹핀의 중단 외주면에는 암레스트의 내측면에 걸려지도록 걸림턱이 형성되며;
    상기 걸림턱과 피봇링크 사이에는 상기 록킹핀이 이동되는 직선변위에 대해 탄성력을 제공하도록 록킹스프링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암레스트 록킹장치.
KR1020130166291A 2013-12-29 2013-12-29 차량용 암레스트 록킹장치 KR1015499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66291A KR101549969B1 (ko) 2013-12-29 2013-12-29 차량용 암레스트 록킹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66291A KR101549969B1 (ko) 2013-12-29 2013-12-29 차량용 암레스트 록킹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90289A true KR20150090289A (ko) 2015-08-06
KR101549969B1 KR101549969B1 (ko) 2015-09-04

Family

ID=538850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66291A KR101549969B1 (ko) 2013-12-29 2013-12-29 차량용 암레스트 록킹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49969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5440Y1 (ko) * 2016-10-17 2018-01-10 현대다이모스(주) 차량용 암레스트 록킹장치
CN111016754A (zh) * 2018-10-09 2020-04-17 上海汽车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用于预防鞭打的自动滑移座椅、座椅控制方法及汽车
KR102224398B1 (ko) * 2019-10-30 2021-03-08 주식회사 서연이화 암레스트의 락킹 구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6012322B4 (de) 2016-10-15 2021-03-11 Audi Ag Mittelarmlehne einer Fahrzeug-Sitzanlage mit einem Verriegelungsmechanismus sowie Fahrzeug-Sitzanlage mit einer solchen Mittelarmlehne
KR101865585B1 (ko) * 2016-11-29 2018-06-08 주식회사 서연이화 시트 암레스트 록킹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7910B1 (ko) 2012-11-08 2013-12-09 기아자동차주식회사 후석 암레스트 락킹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5440Y1 (ko) * 2016-10-17 2018-01-10 현대다이모스(주) 차량용 암레스트 록킹장치
CN111016754A (zh) * 2018-10-09 2020-04-17 上海汽车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用于预防鞭打的自动滑移座椅、座椅控制方法及汽车
KR102224398B1 (ko) * 2019-10-30 2021-03-08 주식회사 서연이화 암레스트의 락킹 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49969B1 (ko) 2015-09-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88892B2 (en) Child safety seat
KR101549969B1 (ko) 차량용 암레스트 록킹장치
US10549655B2 (en) Seat slide mechanism
US8573674B2 (en) Vehicle seat
US7484808B2 (en) Vision improving system for a head restraint
US8408630B2 (en) Vehicle seat reclining apparatus
US20120133187A1 (en) Vehicle seat
WO2012081354A1 (ja) 車両用スライドレール装置
KR101518644B1 (ko) 차량용 암레스트 록킹장치
JP5613743B2 (ja) 車両用スライドレール装置
KR101391858B1 (ko) 잠금 푸시 버튼을 갖는 충돌 반응성 머리 받침
JP4946039B2 (ja) チャイルドシート
JP7362201B2 (ja) 座席支持装置
JP2015524767A (ja) 車両シート用ロック解除ユニット及び車両シート
US10081271B2 (en) Vehicle slide rail device
JP2005007982A (ja) 車両のシートスライド装置
JP2007230333A (ja) シートスライド装置
JP4260570B2 (ja) 車両用シート装置
KR101621207B1 (ko) 시트용 워크인장치
JP2020203637A (ja) 乗物用シートロック装置
US20210387554A1 (en) Headrest assembly configured to resist vibration
JP4946038B2 (ja) チャイルドシート
JP2001001809A (ja) シートスライド装置のロック機構
KR101850730B1 (ko) 차량용 헤드레스트
CN117621948A (zh) 交通工具用座椅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8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