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50272B1 - 자기기록매체 - Google Patents

자기기록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50272B1
KR100750272B1 KR1020010002796A KR20010002796A KR100750272B1 KR 100750272 B1 KR100750272 B1 KR 100750272B1 KR 1020010002796 A KR1020010002796 A KR 1020010002796A KR 20010002796 A KR20010002796 A KR 20010002796A KR 100750272 B1 KR100750272 B1 KR 1007502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cording medium
magnetic
magnetic recording
film
magnetic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027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76326A (ko
Inventor
수에오카마사노리
츠쿠다아키미츠
이토노부아키
Original Assignee
도레이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레이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도레이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100763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763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502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50272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5/00Recording by magnetisation or demagnetisation of a record carrier; Reproducing by magnetic mean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5/62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 G11B5/73Base layers, i.e. all non-magnetic layers lying under a lowermost magnetic recording layer, e.g. including any non-magnetic layer in between a first magnetic recording layer and either an underlying substrate or a soft magnetic underlayer
    • G11B5/739Magnetic recording media substrates
    • G11B5/73923Organic polymer substrate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5/00Recording by magnetisation or demagnetisation of a record carrier; Reproducing by magnetic mean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5/62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 G11B5/68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comprising one or more layers of magnetisable material homogeneously mixed with a bonding agent
    • G11B5/70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comprising one or more layers of magnetisable material homogeneously mixed with a bonding agent on a base layer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5/00Recording by magnetisation or demagnetisation of a record carrier; Reproducing by magnetic mean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5/62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 G11B5/73Base layers, i.e. all non-magnetic layers lying under a lowermost magnetic recording layer, e.g. including any non-magnetic layer in between a first magnetic recording layer and either an underlying substrate or a soft magnetic underlayer
    • G11B5/733Base layers, i.e. all non-magnetic layers lying under a lowermost magnetic recording layer, e.g. including any non-magnetic layer in between a first magnetic recording layer and either an underlying substrate or a soft magnetic underlayer characterised by the addition of non-magnetic particle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5/00Recording by magnetisation or demagnetisation of a record carrier; Reproducing by magnetic mean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5/62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 G11B5/73Base layers, i.e. all non-magnetic layers lying under a lowermost magnetic recording layer, e.g. including any non-magnetic layer in between a first magnetic recording layer and either an underlying substrate or a soft magnetic underlayer
    • G11B5/735Base layers, i.e. all non-magnetic layers lying under a lowermost magnetic recording layer, e.g. including any non-magnetic layer in between a first magnetic recording layer and either an underlying substrate or a soft magnetic underlayer characterised by the back layer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5/00Recording by magnetisation or demagnetisation of a record carrier; Reproducing by magnetic mean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5/62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 G11B5/73Base layers, i.e. all non-magnetic layers lying under a lowermost magnetic recording layer, e.g. including any non-magnetic layer in between a first magnetic recording layer and either an underlying substrate or a soft magnetic underlayer
    • G11B5/735Base layers, i.e. all non-magnetic layers lying under a lowermost magnetic recording layer, e.g. including any non-magnetic layer in between a first magnetic recording layer and either an underlying substrate or a soft magnetic underlayer characterised by the back layer
    • G11B5/7356Base layers, i.e. all non-magnetic layers lying under a lowermost magnetic recording layer, e.g. including any non-magnetic layer in between a first magnetic recording layer and either an underlying substrate or a soft magnetic underlayer characterised by the back layer comprising non-magnetic particles in the back layer, e.g. particles of TiO2, ZnO or SiO2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5/00Recording by magnetisation or demagnetisation of a record carrier; Reproducing by magnetic mean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5/62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 G11B5/73Base layers, i.e. all non-magnetic layers lying under a lowermost magnetic recording layer, e.g. including any non-magnetic layer in between a first magnetic recording layer and either an underlying substrate or a soft magnetic underlayer
    • G11B5/739Magnetic recording media substrates
    • G11B5/73923Organic polymer substrates
    • G11B5/73937Substrates having an organic polymer comprising a ring structure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5/00Recording by magnetisation or demagnetisation of a record carrier; Reproducing by magnetic mean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5/84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record carriers
    • G11B5/85Coating a support with a magnetic layer by vapour deposi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S428/90Magnetic featur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4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 Y10T428/24355Continuous and nonuniform or irregular surface on layer or component [e.g., roofing, etc.]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4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 Y10T428/24942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including components having same physical characteristic in differing degree
    • Y10T428/2495Thickness [relative or absolute]
    • Y10T428/24967Absolute thicknesses specified
    • Y10T428/24975No layer or component greater than 5 mils thick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31504Composite [nonstructural laminate]
    • Y10T428/31725Of polyamide

Landscapes

  • Magnetic Record Carrier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방향족 폴리아미드를 주성분으로 하는 베이스 필름의 적어도 일면 상에 자성층이 직접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자기기록매체로서, 자성층 표면상에 있어서의 높이 10nm 이상의 돌기 개수 Na(10)(개/mm2), 높이 50nm 이상의 돌기 개수 Na(50)(개/mm2), 베이스 필름의 자성층 형성측의 동일 표면상에 있어서의 높이 10nm 이상의 돌기 개수 Na(10)'(개/mm2)가 다음 식을 동시에 만족한다.
2 ×104 ≤Na(10) ≤2 ×107
0 ≤Na(50) ≤5 ×104
-0.9 ≤(Na(10) - Na(10)')/Na(10)' ≤0
본 발명의 자기기록매체는 비자성 지지체로서 강성이 높은 방향족 폴리아미드 필름을 사용하고, 자성층 표면 및 베이스 필름 표면의 표면성이 특정 범위 내로 제어되어 있으므로, 전체 두께를 얇게 하고 또한 높은 기록용량의 제품으로 하여도 우수한 주행 내구성 및 데이터의 기록ㆍ판독에 대한 높은 신뢰성을 보유하여, 컴퓨터 데이터 기록용으로 바람직하다.

Description

자기기록매체{MAGNETIC RECORDING MEDIUM}
본 발명은 컴퓨터 데이터를 기록하기 위한 외부 기록매체로서 바람직한 자기기록 매체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퍼스널 컴퓨터 등의 보급에 수반하여, 외부 기억매체로서 컴퓨터 데이터를 기록하기 위한 자기기록매체의 연구개발이 활발하게 실시되고 있다. 이와 같은 용도의 자기기록매체의 실용화를 즈음해서, 특히 컴퓨터의 소형화, 정보처리 능력의 증대와 아울러 기록용량의 향상이 강하게 요구되고 있다. 또한 자기기록매체의 사용환경의 확대에 의한 폭넓은 환경조건 하(특히, 변동이 심한 온ㆍ습도 조건하 등)에서의 사용, 데이터 보존에 대한 신뢰성, 더욱 고속으로 반복 사용 시에도 데이터의 안정된 기록, 판독 등의 신뢰성에 대해서도 종래 보다 더욱 요구된다.
일반적으로, 자기기록매체는 합성수지 등의 비자성 지지체상에 자성층이 형성되어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큰 기록용량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자성 분말의 입자크기를 작게 하여 그 분산성을 향상시키거나, 혹은 자성층을 더욱 박막화하는 등의 방법에 의하여 자성층 자체의 기록 밀도를 높임과 아울러, 자기기록매체의 전체 두께를 얇게 하는 것이 유효한 방법이라고 생각되고 있다. 또한, 양호한 감도(특히 고주파 영역에서의 출력)를 유지시키기 위해서는 자성층은 평활한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 평활화에 의한 흐트러진 감기, 주행성의 저하를 방지하기 위하여, 지지체 표면에 요철을 형성하거나, 지지체의 자성층과는 반대측의 면에 백코트층이 형성된 것이 많다. 그리고 특히 전체 두께를 얇게 한 경우에는 자기기록매체의 자기(自己) 지지성과 강도가 저하되므로, 지지체의 강도와 자기기록매체의 표면성을 반복사용에 대한 양호한 주행 내구성을 유지시키기 위해서도 중요하게 된다.
자기기록매체의 전체 두께를 비교적 얇게 한 예로서, 예컨대 일본특허공개 평6-215350호 공보에 자기 테이프가 개시되어 있다. 그리고, 이 공보에 기재되어 있는 자기 테이프의 구체적인 예로서는, 자기 테이프의 전체 두께를 9.5㎛로 한 것이 있다. 또, 이 자기 테이프에 사용되는 비자성 지지체의 재료로는 폴리에스테르, 특히 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PEN)가 바람직하다고 되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자 등이 자기기록매체의 전체 두께를 극히 얇게 억제한 자기기록매체의 컴퓨터 데이터 기록용의 외부 기록매체로서의 이용에 대하여 검토한 결과, 상기 일본특허공개 평6-215350호 공보에 기재된 박형의 자기 테이프라도 컴퓨터 데이터 기록용으로는 아직 충분한 기록용량이 달성 될 수 없다는 것이 판명되었다. 즉, 상기 공보에 기재된 자기 테이프의 두께(전체두께)로서는 필요한 양의 테이프를 소정의 카트리지에 수납할 수 없고, 따라서 컴퓨터 데이터 기록용에 적합한 큰 기록용량을 얻는데는 더욱 테이프 두께를 얇게 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판명되었다.
이것에 대하여, 종래부터 자기 테이프의 비자성 지지체로서 사용되고 있는 폴리에스테르 필름 대신에 보다 강성이 높은 방향족 폴리아미드 필름을 사용하면, 지지체 두께를 얇게 하여도 강성을 유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변동이 심한 온습도 조건하에서도 치수 변화가 작고, 데이터 보존에 대한 신뢰성도 높은 것을 알게 되었다.
한편, 방향족 폴리아미드를 비자성 지지체에 사용한 경우에도 자기 테이프의 전체 두께를 더욱 얇게 하면, 상술하듯이, 그것에 따라서 테이프 자체의 강도가 부족하여, 주행을 반복하는 동안에 충분한 주행 내구성이 유지할 수 없어 주행성이 악화되거나, 더욱이 출력 등에서의 악영향도 쉽게 발생되므로, 비자성 지지체 표면의 개량도 필요하게 되었다. 특히, 자성 분말을 입자지름을 작게 하고, 또한 자성층의 두께를 얇게 하기 위하여, 자성층의 형성 방법을 종래의 도포법으로부터 진공증착, 이온 플레이팅, 스퍼터링, 클러스터 이온 빔 등으로 Fe, Co, Ni, Cr 등의 자성 금속을 단독, 혹은 합금으로 지지체 상에 직접 형성하는 방법으로 되자, 비자성 지지체 및 자기기록매체의 표면성에 대한 요구는 더욱 엄격해 졌다.
방향족 폴리아미드 필름을 비자성 지지체로서 사용한 예로서, 예컨대 일본특허공개소 60-127523호 공보, 미국특허 제5853907호 공보, 미국특허 제5993938호 공보에는 지지체 표면상의 돌기 높이 및 개수를 규정한 자기기록매체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들은 비교적 높은 돌기가 다수 존재하여 표면이 거칠기 때문에, 자성층이 얇아지면 재생 출력이 저하된다는 문제가 있었다.
일본특허공개 평10-222837호 공보에는, 표면 조도를 규정한 방향족 폴리아미드 필름을 비자성 지지체로서 사용한 자기기록매체가 개시되어 있다. 표면조도(SRa)가 0.1∼3nm로 비교적 평활한 필름을 사용하였지만, 표면 조도와 돌기 밀도 사이에 엄밀한 상관 관계가 없어, 자성층이 얇아지면 표면의 제어가 불충분하여 충분한 재생 출력을 얻지 못하는 경우가 있었다. 그외에 마찬가지의 예로서, 일본특허공개 평4-209313호 공보, 특허공개평 10-114038호 공보, 특허공개평 10-139895호 공보 등이 있지만 모두 마찬가지이다.
일본특허공개 평11-25446호 공보, WO98/008892호 공보에는 지지체 표면상에 미세 돌기를 형성한 자기기록매체가 개시되어 있다. 이들은 돌기의 높이는 낮게 억제되어 있지만, 돌기 밀도의 제어가 자성층이 얇은 경우에는 충분하다고는 말할 수 없어, 충분한 재생 출력을 얻지 못하는 경우가 있었다. 더욱이, 자성층의 표면에 관한 규정이 없어, 자성층의 형성 방법에 따라 표면 형태가 크게 변화하는 문제가 있었다.
일본특허공개 평12-285432호 공보에는, 지지체인 방향족 폴리아미드 필름의 한쪽 면에 미세입자를 함유하는 층을 보유하는 자기기록매체가 개시되어 있지만 비교적 높은 돌기가 다수 존재하기 때문에 자성층이 얇아지면 재생 출력이 저하할 염려가 있었다. 더욱이 자성층과 지지체 사이에 별도의 층이 있기 때문에, 전체 두께를 얇게 하는 것이 곤란하였다.
일본특허공개 평11-191213호 공보에는, 지지체인 필름과 자기기록매체의 표면 조도의 비를 규정한 자기기록매체가 개시되어 있지만, 자기기록매체의 표면 쪽이 거칠기 때문에 재생 출력이 저하되어 자성층이 박리되기 쉽다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종래에 사용된 폴리에스테르 보다 강성이 높은 방향족 폴리아미드를 주성분으로 하는 베이스 필름을 비자성 지지체로서 사용하며, 이 베이스 필름과 자성층이 직접 접촉한 상태에서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자기기록매체에 있어서, 자기기록매체의 자성층의 표면 특성과 비자성 지지체의 표면 특성을 특정 범위 내로 제어함으로써, 높은 기록 용량을 유지하고 또한 우수한 주행 내구성과 데이터 기록에 대한 높은 신뢰성을 보유할 수 있는 컴퓨터 데이터 기록용으로서 바람직한 자기기록매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즉, 본 발명은 방향족 폴리아미드를 주성분으로 하는 베이스 필름의 적어도 일면 상에 자성층이 직접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자기기록매체로서, 자성층의 표면상에 있어서의 높이 10nm 이상의 돌기 개수 Na(10)(개/mm2), 높이 50nm 이상의 돌기 개수 Na(50)(개/mm2) 및 베이스 필름의 자성층 형성측의 동일 표면상에 있어서의 높이 10nm 이상의 돌기 개수 Na(10)'(개/mm2)가 다음 식을 동시에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2 ×104 ≤Na(10) ≤2 ×107
0 ≤Na(50) ≤5 ×104
-0.9 ≤(Na(10) - Na(10)')/Na(10)' ≤0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의 자기기록매체는 방향족 폴리아미드를 주성분으로 하는 베이스 필름의 적어도 일면 상에 자성층이 직접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자기기록매체로서, 자성층 형성면의 표면상에 있어서의 높이 10nm 이상의 돌기 개수 Na(10), 높이 50nm 이상의 돌기 개수 Na(50) 및 베이스 필름의 자성층 형성측의 동일 표면상에 있어서의 높이 10nm 이상의 돌기 개수 Na(10)'은
2 ×104 ≤Na(10) ≤2 ×107
0 ≤Na(50) ≤5 ×104
-0.9 ≤(Na(10) - Na(10)')/Na(10)' ≤0
을 동시에 만족시킬 필요가 있다.
Na(10), Na(50) 및 Na(10)'이 상기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자기기록매체의 주행성과 재생출력의 밸런스가 대단히 좋다. 특히 자성층이 얇고 또한 기록 밀도가 높은 경우에 그 효과가 크다. Na(10)이 2 ×104 미만인 경우, 표면이 지나치게 평활하여 주행성이 악화되는 경우가 있다. 또한, Na(10)이 2 ×107 을 초과하는 경우, 표면이 지나치게 거칠어져서 S/N이 악화되는 경우가 있다. 주행성과 자기특성의 밸런스가 보다 좋아지는 것으로부터, Na(10) 2 ×104 ≤Na(10) ≤5 ×106을 만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106 ≤Na(10) ≤5 ×106을 만족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Na(50)이 5 ×104를 초과하면 드롭 아웃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자기 특성이 더욱 좋아지는 것으로부터, Na(50)은 0 ≤Na(50) ≤2 ×104을 만족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Na(10) 및 Na(10)'가 상기 관계식을 만족하지 않는 경우, 자성층이 베이스 필름 상에 직접 형성 된 자기기록매체에서는 자성층을 얇게 하면 반복 주행할 때에 자성층이 박리되는 등의 내구성의 악화가 보여지는 경우가 있다. 내구성이 보다 향상하는 것으로부터 -0.7 ≤(Na(10) - Na(10)')/Na(10)' ≤-0 인 것 보다 바람직하고, -0.7 ≤(Na(10) - Na(10)')/Na(10)' ≤-0.2 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방향족 폴리아미드로 이루어지는 베이스 필름과 자성층이 직접 접촉한 상태로 형성된 자기기록매체란 베이스 필름과 자성층의 사이에 접착층 등의 바자성층을 함유하지 않는 것을 말한다. 단, 적층필름의 경우는 모든 층을 일체로 간주하여 취급하며, 돌기를 형성하기 위하여 베이스 필름 표층에 코팅 또는 극히 얇은 적층이 되어 있는 경우도 이들을 필름 측에 함유시킨다.
본 발명의 자기기록매체는, 상기 베이스 필름의 자성층 형성측과는 반대측의 면상에 백코트층이 형성되며, 백코트층 표면상에 있어서의 높이 50nm 이상의 돌기 개수 Nb(50) 2 ×104 ≤Nb(50) ≤5 ×106이면 표면이 지나치게 평활하지 않고, 자기 테이프로 했을 때, 가이드 핀 등의 마찰이 저하되므로 바람직하다. 더욱이, 높은 돌기가 저밀도로 존재하면 주행성이 보다 양호하게 되므로, 높이 100nm 이상의 돌기 개수 Nb(100) 0 ≤Nb(100) ≤5 ×104이면 바람직하다. Nb(50)이 2 ×104 미만인 경우, 표면이 지나치게 평활하여 주행성이 악화되는 경우가 있어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Nb(50)이 ≤5 ×106을 초과하는 경우나 Nb(100) 이 5 ×104 을 초과하는 경우, 백코트 층상의 돌기가 자성면에 전사하여 자기 특성이 악화되는 경우가 있으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삭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자기기록매체의 베이스 필름은 방향족 폴리아미드를 주성분으로 하며, 이와 같은 베이스 필름은 인장 강도 등의 물성에 있어서 우수하며, 테이프의 전체 두께가 대단히 얇은 경우에도 충분히 견딜 수 있는 강도를 보유하고 있다.
본 발명의 방향족 폴리아미드란 다음식(1) 및/또는 식(11)으로 나타내는 반복 단위를 보유하는 폴리아미드이다.
Figure 112001001209951-pat00001
등이 열거되며, X, Y는
- O -, - CH2 -, - CO -, - CO2 -, - S -, - SO2 -, - C(CH3) 2 -
등에서 선택된다. 더욱이, 이들의 방향환상의 수소원자의 일부가 불소, 브롬, 염소 등의 할로겐기(특히 염소), 니트로기, 메틸, 에틸, 프로필 등의 알킬기(특히 메틸기), 메톡시, 에톡시, 프로폭시 등의 알콕시기 등의 치환기로 치환되어 있는 것을 사용하면, 흡습율이 저하하여 습도 변화에 의한 치수 변화가 작아지므로 바람직하다. 또 중합체를 구성하는 아미드 결합 중의 수소가 다른 치환기에 의해서 치환되어 있어도 좋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방향족 폴리아미드는, 상기 방향환이 파라(para) 배향성을 보유하고 있는 것이 전체 방향환의 80%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90% 이상을 차지하고 있으면 필름의 영률 및 열수축률이 좋아지므로 바람직하다. 여기서 말하는 파라 배향성이란 방향환상 주쇄를 구성하는 2가의 결합수가 서로 동축 또는 평행하게 있는 상태를 말한다.
본 발명의 베이스 필름은 베이스 필름 및 자기기록매체의 자성면 상에 돌기를 형성하기 위하여 입자 등을 함유한다.
입자로서는 무기입자나 유기입자가 있지만 본 발명에서 사용할 수 있는 무기 입자로는 예컨대 산화티타늄, 산화알루미늄, 산화지르코늄, 산화칼슘, 콜로이드 실리카, 카본블랙, 제올라이트 그 외의 금속 미분말 등이 열거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할 수 있는 유기입자로서는 예컨대, 가교 폴리비닐벤젠, 가교 아크릴, 가교 폴리스티렌, 폴리에스테르, 폴리이미드, 폴리아미드, 불소수지 등의 유기 고분자로 이루어진 입자 혹은 표면에 상기 유기 고분자로 피복 등의 처리를 실시한 무기입자 또는 유기입자가 열거된다.
상기 입자의 평균 입자지름이 10nm∼500nm의 범위에서, 또한 상기 입자의 함유량이 방향족 폴리아미드에 대하여 0.01 중량% 이상 10 중량% 이하인 것이 베이스 필름 및 자기기록매체의 자성면이 본 발명에서의 특정 요건을 만족하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더욱이, 입자를 첨가하는 이외의 방법으로, 예컨대 주성분인 방향족 폴리아미드 이외의 폴리머를 알로이 폴리머로 하고, 알로이 폴리머를 상분리시킴으로써 돌기를 형성해도 좋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베이스 필름은 적어도 한쪽 방향의 일장 영률이 9.8 GPa 이상이면, 강성이 높게 박막화된 경우도 자기 지지성이 높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자기 지지성이 보다 높아지고, 자기기록매체의 두께를 얇게 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영률은 어느 방향으로도 9.8 GPa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필름의 신도는 10%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20%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30% 이상이면 테이프가 알맞은 정도의 유연성을 유지하므로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필름의 흡습율은 5%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3%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2% 이하이면 습도변화에 따른 치수 변화를 억제할 수 있어, 양호한 전자변환 특성을 유지하므로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필름의 200℃, 10분간에서 열수축률은 0.5% 이하가 바람직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0.3% 이하이면 온도 변화에 의한 테이프의 치수 변화가 작아 양호한 전자변환 특성을 유지하므로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필름은 예컨대,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제조할 수 있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우선 방향족 폴리아미드이지만, 방향족 이산클로라이드와 방향족 디아민으로부터 얻은 경우에는, N-메틸-2-피롤리돈, 디메틸아세트아미드, 디메틸포름아미드 등의 비양성자성 유기 극성용매 중에서 용액 중합으로 합성된다.
이때, 저분자량물의 생성을 억제하기 위하여, 반응을 저해하는 물, 기타의 물질의 혼입은 회피해야 하여, 효율적인 교반 수단을 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용해조제로서 염화칼슘, 염화마그네슘, 염화리튬, 브롬화리튬, 질산리튬 등을 첨가해도 좋다.
단량체로서 방향족 이산클로라이드와 방향족 디아민을 사용하면 염화수소가 부수적으로 생성되지만 이것을 중화하는 경우에는 주기율표 Ⅰ족 또는 Ⅱ족의 양이온과 수산화 이온, 탄산 이온 등의 음이온으로 이루어진 염으로 대표되는 무기 중화제, 또 에틸렌옥사이드, 프로필렌옥사이드, 암모니아, 트리에틸아민, 트리에탄올아민, 디에탄올아민 등의 유기 중화제가 사용된다. 또, 기재 필름의 습도 특성을 개선하는 목적에서 염화벤조일, 무수 프탈산, 초산 클로라이드, 아닐린 등을 중합이 완료된 계에 첨가하여 폴리머의 말단기를 봉쇄해도 좋다.
본 발명의 필름을 얻기 위해서는 폴리머의 고유 점도(폴리머 0.5g을 황산 중에서 100ml의 용액으로 하여 30℃에서 측정한 값)는 0.5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제막 원액으로는, 중화후의 폴리머 용액을 그대로 사용해도 일단, 폴리머를 단리한 후, 유기용매에 재차 용해된 것을 사용해도 좋다. 제막 원액 중의 폴리머 농도는 2∼40 중량% 정도가 바람직하다.
또, 입자의 첨가는 입자를 균일한 분산으로 하기 위하여 첨가 전에 바람직하게 10포이즈, 보다 바람직하게는 1포이즈 이하의 용매에 분산시켜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입자를 그대로 제막용 폴리머 용액에 첨가한 경우 평균 입자지름이 커지고, 또 입자지름 분포도 커지기 때문에 표면이 거칠게 되어 바람직하지 않다. 사용하는 용매로서는 제막 원액과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지만, 제막성에 특히 악영향을 부여하지 않는 다면 다른 용매를 사용해도 무관하다. 분산 방법으로서는 상기 용매에 입자를 넣고, 교반식 분산기, 볼밀, 샌드밀, 초음파 분산기 등으로 분산한다. 이와 같이 분산된 입자는 폴리머 용액 중에 첨가 혼합되지만, 중합 전의 용매 중에 첨가 또는 폴리머 용액의 조제공정에서 첨가해도 좋다. 또한 캐스트 직전에 첨가해도 좋다.
삭제
상기와 같이 조제된 제막 원액은 건식법, 건습식법, 습식법, 반건반습식법 등에 의하여 필름화가 실시되지만, 표면 형태를 제어하기 쉬운 점에서 건습식법이 바람직하며, 아래에서 건습식법을 예로서 설명한다.
제막 원액을 구금에서 드럼, 이음매 없는 벨트 등의 지지체 상에 압축하여 박막으로 하고, 계속하여 이러한 박막층으로부터 용매를 비산시켜, 박막을 건조한다. 건조온도는 100∼210℃가 바람직하며, 120∼180℃가 보다 바람직하다. 건조 온도가 100℃ 미만의 경우는 건조 시간이 길어져서 생산성이 현저하게 저하되고, 210℃를 초과하면 필름의 표면이 거칠어지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또 건조시간은 4∼12분이 바람직하고, 5∼10분이 보다 바람직하다. 계속하여, 건식공정을 마친 필름은 지지체에서 박리되어서, 습식공정에 도입되어 탈염, 탈용매 등이 실시된다. 이 습식공정을 통하지 않고 그대로 박리된 겔 필름에 연신 및 열처리를 실시하면, 표면이 크게 거칠어지거나, 컬(curl)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으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이후에 연신, 건조, 열처리가 실시되어서 필름으로 된다. 연신 조건으로는 방향족 폴리아미드의 유리전이온도를 Tg(℃)로 했을 때, 열풍 온도를 (Tg-50)℃ 이상 (Tg+50)℃ 이하의 범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연신 배율은 면배율로 1.2∼3.5(면배율이란 연신 후의 필름면적을 연신 전의 필름면적으로 나눈 값으로 정의한다. 1이하는 이완을 의미한다.)의 범위내, 보다 바람직하게는 1.2∼3.0의 범위내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필름의 연신 중 혹은 연신 후에 열처리가 실시되지만, 열처리 온도는 200∼350℃의 범위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열처리 온도가 200℃ 이하에서는 영률이 저하되고, 350℃를 초과하는 경우는 신도가 저하된 부서지기 쉬운 필름으로 되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본 발명의 필름은 적층필름이라도 무관하다. 적층필름의 경우는 2종류 이상의 제막 원액을 공지된 방법, 예컨대 일본특허공개 소56-162617호 공보 기재와 같이 합류관에서 적층하거나, 구금 내에서 적층하여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어느 일종의 제막 원액으로 필름을 형성하여 두고, 그 위에 다른 제막 원액을 유연하고 탈용매를 실시하여 적층필름으로 할 수도 있다.
삭제
본 발명의 자기기록매체는 베이스 필름의 두께가 1∼5㎛ 이면, 테이프 카트리지 1개 당 수납할 수 있는 테이프의 용량이 증가하여, 큰 체적 기록용량을 얻어지므로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자기기록매체에서는 자성층이 직접 베이스 필름 상에 형성되므로, 자성층은 베이스 필름에 직접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자기기록매체의 제조 방법으로서는, 증착, 이온 플레이팅, 스퍼터링, 클러스터 이온빔 등이 열거되지만, 특히 증착법을 사용하면 본 발명의 효과를 충분히 발휘할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다.
증착법은 예컨대, 경사 증착 또는 수직 증착법에 의해서 형성되고, Co, Ni, Fe 등을 주체로 하는 금속 박막 또는 그들의 합금을 주체로 하는 금속 박막이 사용 가능하다. 예시하면, Co, Ni, Fe 등의 강자성 금속이나 Fe-Co, Co-Ni, Fe-Co-Ni, Fe-Cu, Co-Au, Co-Pt, Mn-Bi, Mn-Al, Fe-Cr, Co-Cr, Ni-Cr, Fe-Co-Cr, Co-Ni-Cr, Fe-Co-Ni-Cr 등의 강자성 합금이 열거된다. 이들은 단층막이라도 다층막이라도 좋다.
또 증착의 방법으로는 진공하에서 강자성 재료를 가열 증발시켜, 필름 상에 퇴적하는 진공 증착법이 바람직하지만, 강자성 재료의 증발을 방전 중에서 실시하는 이온 플레이팅 법, 아르곤을 주성분으로 하는 분위기 중에서 글로우(glow) 방전을 일으켜서, 발생된 아르곤 이온으로 타겟표면의 원자를 두드려내는 스퍼터링법 등, 소위 PVD 기술을 사용해도 좋다. 자성 박막형성 후에는 컬에 대한 대책으로서, 150∼250℃의 열처리가 바람직하게 실시된다. 또 금속자성 박막으로 이루어진 자성층의 표면에 자기기록매체의 내구성이나 내후성을 높일 목적에서, 스퍼터링법이나 CVD법에 의하여 경질 탄소막을 필요에 따라 형성해도 좋고, 더욱이 윤활층을 형성함으로써 자성 재료의 입자형상 돌기의 형상에 기인하여 주행성을 더욱 높일 수도 있다. 윤활제로서는 예컨대, 지방산 및 지방산 에스테르를 열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자기기록매체의 자성층의 두께는 0.02∼0.5㎛이면, 자기기록매체로서 바람직한 자기특성과 주행성을 유지하면서 큰 기록용량이 얻어지므로 바람직하다. 기억용량이 보다 크게 되는 것으로부터, 자성층의 두께는 0.03∼0.2㎛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0.03∼0.08㎛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 자성층과 자성층상에 형성되는 보호층이나 윤활층을 합계한 두께는 베이스 필름의 자성층 형성측의 동일 표면상에 있어서의 중심면 평균 조도(예컨대, 나라지로 저 「표면조도의 측정, 평가법」(종합기술센터, 1983)에 표시되어 있는 것)의 10∼100배의 범위 내이면 본 발명의 요건을 만족하는 점에서 특히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자기기록매체의 베이스 필름의 다른 쪽의 측에는 백코트층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백코트층은 기본적으로 비자성 분말과 결합재로 구성되며, 비자성 분말로서 카본블랙이 함유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이, 무기질 분말로서 탄산칼슘 및 모스경도 5∼9인 무기질 분말이 함유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백코트층에서는 카본블랙은 평균 입자크기가 다른 2종류의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에 그 평균 입자크기는 10∼20mμ의 미립자 형상 카본블랙과 평균 입자크기가 230∼300mμ의 조립자 형상 카본블랙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반적으로, 상기와 같은 미립자 형상의 카본블랙의 첨가에 의하여 백코트층의 표면 전기저항을 낮게 설정할 수 있고, 또한 광 투과율도 낮게 설정 할 수 있다. 자기기록장치에 따라서는 테이프의 광 투과율을 이용하여, 동작 신호로 사용하고 있는 것이 많으므로 이와 같은 경우에는 특히 미립자 형상의 카본블랙의 첨가는 유효하게 된다. 또, 미립자 형상의 카본블랙은 일반적으로 윤활제의 유지력이 우수하고, 윤활제 병용시 마찰계수의 저감화에 기여한다. 한편, 입자크기가 230∼300mμ의 조립자 형상의 카본블랙은 고체 윤활제로서의 기능을 보유하고 있고, 또 이면층의 표면에 미소돌기를 형성하여, 접촉 면적을 저감화하여 마찰계수의 저감화에 기여한다. 그러나, 조립자 형상의 카본블랙은 가혹한 주행계에서는 테이프 슬라이딩에 의하여 백코트층으로부터의 탈락이 발생하기 쉽게 되어, 에러 비율의 증대와 관련된 결점을 보유하고 있으므로 다량으로 사용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사용할 수 있는 미립자 형상의 카본블랙의 구체적인 상품으로서는 아래의 것을 열거할 수 있다. RAVEN 2000B (18mμ), RAVEN 1500B (17mμ) (이상, 콜럼비아 카본사제), BP 800 (17mμ)(캐봇사 제), PRINTEX 90 (14mμ), PRINTEX 95 (15mμ), PRINTEX 85 (16mμ), PRINTEX 75 (17mμ)(이상, 덱사사 제), #3950 (16mμ)(미쓰비시 카세이코교(주) 제), 또 조립자 카본블랙의 구체적인 상품의 예로서는 써멀블랙 (270mμ)(칸카브사 제), RAVEN MTP (275mμ)(콜롬비아 카본사 제)를 열거할 수 있다.
백코트층에 있어서, 평균 입자크기가 다른 2종류의 것을 사용하는 경우, 10∼20mμ의 미립자 형상의 카본블랙과 230∼300mμ의 조립자 형상의 카본블랙의 함유비율(중량비)은, 전자 : 후자 = 98 : 2 ∼ 75 : 25의 범위가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95 : 5 ∼ 85 : 15이다. 또한 백코트층에 있어서의 카본블랙(미립자 형상과 조립자 형상을 가한 경우에 있어서는 그 전체량)의 함유량은 후술하는 결합제 100 중량부에 대하여 보통 30∼80 중량부의 범위이고, 바람직하게는 45∼65 중량부의 범위이다.
일반적으로, 컴퓨터 데이터 기록용으로 바람직한 자기기록매체는, 비디오 테이프, 오디오 테이프와 비교하여, 반복 주행성이 강하게 요구된다. 컴퓨터 데이터 기록용의 자기기록매체에 있어서는 탄산칼슘의 첨가는 반복주행의 마찰계수의 안정화에 기여하고, 게다가 슬라이딩 가이드 포올(pole)을 닳게하는 일도 없다. 백코트층에 함유시킬 수 있는 탄산칼슘은 평균 입자크기가 30∼50mμ인 것이 바람직하다. 평균 입자크기가 50mμ를 초과하는 것은 테이프의 반복 슬라이딩에 의하여 백코트층 표면으로부터의 입자의 탈락이 발생하여 드롭 아웃의 원인이 된다. 또 백코트층의 표면이 조면으로 되고, 감겨진 상태에서 테이프의 자성층의 표면으로 전사되어, 출력저하로 연결되기 쉽다. 더욱이 테이프를 감은 상태에서 고온 다습한 환경 하에 보존한 경우, 백코트층과 자성층이 접촉한 상태에서 자성층에 함유되어 있는 윤활제와의 반응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 한편 평균 입자크기가 30mμ에 만족하지 않는 경우에는, 백코트층의 표면에 존재하는 탄산칼슘이 적어져서 충분한 효과가 달성되지 않게 된다. 백코트층내의 탄산칼슘의 함유량은 카본블랙 100 중량부에 대하여 10∼140 중량부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35∼100 중량부이다.
삭제
모스 경도(Mohs Hardness)가 5∼9인 무기질 분말은 테이프에 반복주행 내구성을 부여하고, 백코트층을 강화할 목적으로 사용된다. 이들 무기질 분말을 상기 카본블랙이나 탄산칼슘과 함께 사용하면, 그 필터효과에 의하여 백코트층이 반복 슬라이딩에 대해서도 열화가 적어 강한 백코트층으로 된다. 또 백코트층에서 사용하는 무기질 분말을 모스경도가 5∼9로 비교적 높은 것으로 하면, 적당한 정도의 연마력이 발생하여, 테이프 가이드 포올 등으로 부착이 저감된다. 특히 탄산칼슘과 병용하면 표면이 거친 가이드 포올에 대한 슬라이딩 특성이 향상되어, 백코트층의 마찰계수의 안정화도 도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모스 경도 5∼9인 무기질 분말은 그 평균 입자크기가 80∼250mμ 범위의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00∼210mμ 범위의 것이다.
백코트층에 도입할 수 있는 모스 경도가 5∼9인 무기질 분말로는 예컨대, α-산화철, α-알루미나 및 산화크롬(Cr2O3)을 열거할 수 있다. 이들 분말은 각각 단독으로 사용해도 좋고 혹은 병용해도 좋다. 이들 중에서는 α-산화철 또는 α-알루미나가 바람직하다. 모스경도가 5∼9인 무기질 분말의 함유량은 카본블랙 100 중량부에 대하여 보통 3∼30 중량부이고, 바람직하게는 3∼20 중량부이다. 특히 본 발명의 백코트층에는 상기 평균 입자크기가 다른 2종류의 카본블랙과 상기 입자크기의 탄산칼슘 및 상기 특정의 모스경도를 보유한 무기질 분말을 함유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백코트층에는 윤활제를 함유시킬 수 있다. 이 윤활제로서는 예컨대, 지방산, 혹은 지방산 에스테르를 열거할 수 있다. 지방산으로서는 예컨대, 초산, 프로피온산, 옥탄산, 2-에틸헥산산, 라우린산, 미리스틴산, 스테아린산, 팔르미틴산, 베헨산, 아라킨산, 올레인산, 리놀산, 리놀렌산, 엘라이딘산 및 팔미톨레인산 등의 지방족 카르복실산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열거할 수 있다.
또한 지방산 에스테르로서는 예컨대, 부틸 스테아레이트, sec-부틸 스테아레이트, 이소프로필 스테아레이트, 부틸 올레이트, 아밀 스테아레이트, 3-메틸부틸 스테아레이트, 2-에틸헥실 스테아레이트, 2-헥실데실 스테아레이트, 부틸 팔미테이트, 2-에틸헥실 미리스테이트, 부틸 스테아레이트와 부틸 팔미테이트의 혼합물, 올레일 올레이트, 부톡시에틸 스테아레이트, 2-부톡시-1-프로필 스테아레이트, 디프로필렌 글루콜 모노부틸 에테르를 스테아린산으로 아실화한것, 디에틸렌 글리콜 디팔미테이트, 헥사메틸렌디올을 미리스틴산으로 아실화하여 디올로 한 것, 그리고 글리세린의 올레이트 등의 여러 가지의 에스테르 화합물을 열거할 수 있다. 이것들은 단독으로 혹은 조합해서 사용할 수 있다.
이들 중에서 적당히 선택된 윤활제는 백코트층에 사용되는 결합제 100 중량부에 대하여 보통 1∼5 중량부 범위에서 첨가된다.
백코트층의 구성 성분으로서 사용되는 결합제로는 예컨대, 열가소성 수지, 열경화성 수지, 반응형 수지나 이들의 혼합물을 열거할 수 있다. 열가소성 수지의 예로는 염화비닐, 초산비닐, 비닐알콜, 말레인산, 아크릴산, 아크릴산 에스테르, 염화비닐리덴, 아크릴로니트릴, 메타크릴산, 메타크릴산 에스테르, 스티렌, 부타디엔, 에틸렌, 비닐 부티랄, 비닐 아세탈 및 비닐에테르를 구성 단위로서 함유하는 중합체 혹은 공중합체를 열거할 수 있다. 공중합체로서는 예컨대, 염화비닐-초산비닐 공중합체, 염화비닐-염화비닐리덴 공중합체, 염화비닐-아크릴니트릴 공중합체, 아크릴산 에테르-아크릴로니트릴 공중합체, 아크릴산 에스테르-염화비닐리덴 공중합체, 아크릴산 에스테르-스티렌 공중합체,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아크릴니트릴 공중합체,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염화비닐리덴 공중합체,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스티렌 공중합체, 염화비닐리덴-아크릴로니트릴 공중합체, 부타디엔-아크릴로니트릴 공중합체, 스티렌-부타디엔 공중합체, 클로로비닐에테르-아크릴산 에스테르 공중합체를 열거할 수 있다. 상기 외에 폴리아미드 수지, 섬유소계 수지(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부틸레이트, 셀룰로오스 디아세테이트, 셀룰로오스 프로피오네이트, 니트로 셀룰로오스 등), 폴리불소화비닐, 폴리에스테르 수지, 폴리우레탄 수지, 각종 고무계 수지 등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열경화성 수지 및 반응형 수지로서는 예컨대, 페놀 수지, 에폭시 수지, 폴리우레탄 경화형 수지, 요소 수지, 멜라민 수지, 알키드 수지, 아크릴계 반응수지, 포름알데히드 수지, 실리콘 수지, 에폭시-폴리아미드 수지, 폴리에스테르 수지와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프리폴리머의 혼합물, 폴리에스테르 폴리올과 폴리이소시아네이트의 혼합물, 폴리우레탄과 폴리이소시아네이트의 혼합물을 열거할 수 있다.
이들 결합제는 백코트층의 비자성 분말 100 중량부에 대하여 보통 5∼100 중량부(바람직하게는 10∼80중량부)의 범위에서 사용된다.
본 발명의 자기기록매체는 비자성 지지체로서 강성이 높은 방향족 폴리아미드 필름을 사용하여 자성층 표면 및 베이스 필름 표면의 표면성이 특정 범위 내로 제어되어 있으므로 전체 두께를 얇게 하고 또한 높은 기록용량의 제품으로 하여도 우수한 주행 내구성 및 데이터 기록ㆍ판독에 대한 높은 신뢰성을 보유하여, 컴퓨터 데이터 기록용으로 바람직하다.
아래에서 실시예 및 비교예를 기재하여, 본 발명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또한 아래에 표시하는 「부」는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중량부」를 나타낸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물성의 측정방법, 효과의 평가 방법은 다음의 방법에 따라서 실시하였다.
(1) 인장 영률
로봇 텐시론 RTA (오리엔테크사 제)를 사용하여 20℃, 상대습도 60%에서 측정하였다. 시험편은 10mm 폭이고 50mm 길이, 인장속도는 300mm/분이다. 단, 시험을 개시한 후 가중이 0.1Kgf를 통과한 점을 신장의 원점으로 하였다.
(2) 표면상의 돌기의 높이, 개수 및 중심면 평균조도
원자간력현미경(AFM)을 사용하여 아래의 조건으로 10개소 측정하고, 평균치를 산출하였다.
장치 : NanoScope Ⅲ AFM (Digital Instruments사 제)
캔틸레버 : 실리콘 단결정
주사 모드 : 탭핑 모드
주사 범위 : 30㎛ ×30㎛
주사 속도 : 0.5 Hz
측정 환경 : 25℃, 상대 습도 65%
또한, 베이스 필름의 표면을 측정하는 경우는, 본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는 자성층을 형성하기 전의 필름 표면을 측정했지만, 자기기록매체의 자성층을 염산 등의 강산, N-메틸-2-피롤리돈 등의 유기 극성용매 등으로 제거하여 측정할 수도 있다.
(3) 자기기록매체로서의 평가
얻어진 각 자기테이프(샘플)의 특성을 아래의 평가 방법으로 평가하였다.
a. 재생 출력의 측정
소니 가부시키가이샤 제 AIT 드라이브 SDX-S300C를 사용하여, 기록의 상대속도 10.04m/초, 최단기록파장 0.35㎛로 기록되어 평가하였다. 또한 평가 결과는 실시예 1의 결과를 100으로 한 상대평가로 표시하였다.
b. 주행 내구성
AIT 2 드라이브를 사용한 ECMA 규격 규정의 TM1에 의해서 10000P (패스)의 평가를 실시하였다. 에러 비율 상승에 의한 주행 스톱이 발생한 패스 회수로 평가하였다. 5000P 이상이 실용 범위이다.
실시예 1
[베이스 필름의 제조]
탈수된 N-메틸-2-피롤리돈(이하 NMP로 약기)중에 1차 입자지름이 80nm인 콜로이드 실리카를 20 중량% 첨가하고, 초음파 분산기에서 10시간 분산 후 여과하였다. 이 용액을 90 몰%에 상당하는 2-클로로파라페닐렌디아민과 10 몰%에 상당하는 4,4'-디아미노 디페닐에테르를 용해시킨 NMP 용액에, 콜로이드 실리카가 방향족 폴리아미드에 대하여 0.05 중량%가 되도록 첨가하였다. 이 용액에 98.5 몰%에 상당하는 2-클로로텔레프탈산 클로라이드를 더 적하하고, 2시간 동안 교반에 의해 중합한 후, 탄산 리튬으로 중화를 실시하여, 폴리머 농도가 11 중량%인 방향족 폴리아미드의 용액을 얻었다.
이 폴리머 용액을 표면이 거울면 형상인 스테인레스제 벨트 상에 유연하고, 최초 160℃, 계속하여 180℃의 열풍에서 각각 1분씩 가열하여 용매를 증발시킨 다음에 수조 안으로 필름을 2분간 통과시켜 잔존 용매와 중화로 발생된 무기염을 물로 추출하였다. 이 사이에 필름의 길이방향으로 1.2배 연신을 실시하였다. 이후에, 텐터 중에서 온도 250℃, 풍속 5m/초의 열풍 하에서 필름의 폭방향으로 1.3배 연신을 실시한 후, 240℃에서 1.5분간 열처리를 실시하였다. 이렇게 하여, 총두께 4.4㎛의 방향족 폴리아미드 필름을 얻었다.
[자기기록매체(자기테이프)의 제조]
연속 권취식의 증착 장치를 그 내부가 10 ×10-3 Pa 정도의 진공 상태가 되도록 배기하고, 베이스 필름을 세트하였다. 미량의 산소 분위기 중에서 연속 진공경사 증착법에 의하여, 베이스 필름의 표면상에 Co의 강자성 금속 박막으로 이루어진 자성층을 형성하였다. 증착의 조건은 경사증착의 입사각이 베이스 필름의 법선방향에서 80°∼ 45°의 각도이고, 필름의 송달 속도는 50m/분으로 하고, 증착하는 두께가 0.2㎛가 되도록 전자빔의 강도를 조절한다. 다음에, 미그네트론 스퍼터링 장치를 내부가 10 ×10-4 Pa 정도가 될 때까지 감압한 후, 아르곤 가스를 주입하여 0.8 Pa 정도로 하였다. 그리고 이 마그네트론 스퍼터링 장치에 강자성 금속박막으로 이루어진 자성층이 형성된 필름을 세트하고, -40℃로 냉각된 냉각 캔 상을 5m/분의 송달 속도로 주행시켜서 자성층상에 카본 보호막을 형성하였다. 다음에, 베이스 필름의 자성층이 형성된 면과는 반대측 면에 아래의 조성으로 이루어진 백코트층을 건조 후의 두께가 0.5㎛가 되도록 도포하였다.
<백코트층 형성용 성분>
미립자 형상 카본블랙 분발------------100부
(캐봇사 제, BP-800, 평균 입자크기:17mμ)
조립자 형상 카본블랙 분말-------------10부
(칸카브사 제, 써멀블랙, 평균 입자크기:270mμ)
탄산칼슘------------------------------80부
(시라이시 코교(주) 제, 하쿠엔카-O, 평균 입자크기:40mμ)
α-알루미나----------------------------5부
(스미토모 화학공업(주)제, HIT 55, 평균 입자크기:200mμ, 모스경도:8.5)
니트로 셀룰로오스 수지---------------140부
폴리우레탄 수지-----------------------15부
폴리이소시아네이트 수지---------------40부
폴리에스테르 수지----------------------5부
분산제 : 올레인산구리------------------5부
구리프탈로시아닌--------------5부
황산바륨----------------------5부
메틸에틸케톤------------------------2200부
초산부틸-----------------------------300부
톨루엔-------------------------------600부
상기한 백코트층을 형성하는 각 성분을 연속 니더로 혼련한 후, 샌드밀을 사용하여 분산시켰다. 얻어진 분산액을 1㎛의 평균 구멍지름을 보유하는 필터를 사용하여 여과하여, 백코트층 형성용 도포액을 조제하여 사용하였다.
더욱이 카본 보호막 상에 퍼플루오로 폴리에테르로 이루어진 윤활제의 탑 코트층을 형성하여 자기기록매체를 형성하였다. 그리고, 이 자기기록매체를 8mm폭으로 재단하여 카세트 본체에 조립하여 카세트 테이프로 하였다.
베이스 필름의 표면 특성을 표1에, 자기기록매체의 표면 특성을 표2에, 자기기록매체로서의 평가를 표3에 한데 모았다(아래의 실시예, 비교예도 마찬가지).
자기기록매체로서의 평가는 전부 우수한 것이었다.
실시예 2 및 실시예 3
실시예 1에 있어서, 자성층의 두께를 표2에 표시하듯이 변화된 것 이외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본 발명에 따르는 자기기록매체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4
실시예 1에 있어서, 필름용 폴리머 중합 시에 NMP 에 첨가하는 콜리이드 실리카의 1차 입자지름을 120nm로, 첨가량을 방향족 폴리아미드에 대하여 0.02 중량%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본 발명에 따르는 자기기록매체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5
실시예 1에 있어서, 필름용 폴리머 중합 시의 2-클로로파라페닐렌디아민을 60 몰%로, 4,4'-디아미노디페닐에테르를 40 몰%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본 발명에 따르는 자기기록매체를 제조하였다. 사용된 베이스 필름이 충분한 강도를 보유하지 않았으므로 출력, 주행 내구성 모두가 약간 악화되었다.
실시예 6
실시예 1에 있어서, 백코트층 형성용 도포액 중에 있어서 미입자 형상 카본블랙 분말의 첨가량을 20 중량부로 변경한 것 이외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자기기록매체를 제조하였다. 얻어진 백코트층의 표면에 있어서의 Nb(50)이 작고, 약간 지나치게 평활하였으므로, 주행 내구성이 약간 악화되었다.
실시예 7
실시예 1에 있어서, 콜로이드 실리카 대신에 폴리에테르술폰 7300P (스미토모 카가쿠사 제)를 방향족 폴리아미드에 대하여 10 중량% 첨가하고, 자성층의 두께를 0.1㎛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자기기록매체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8
실시예 1에 있어서, 콜로이드 실리카 대신에 폴리에테르술폰 7300P (스미토모 카가쿠사 제)를 방향족 폴리아미드에 대하여 10 중량% 첨가하고, 자성층의 두께를 0.4㎛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자기기록매체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9
실시예 1 에 있어서, 콜로이드 실리카 대신에 폴리에테르술폰 7300P (스미토모 카가쿠사 제)를 방향족 폴리아미드에 대하여 15 중량% 첨가하고, 자성층의 두께를 0.1㎛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자기기록매체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10
실시예 1에 있어서, 콜로이드 실리카 대신에 폴리에테르술폰 7300P (스미토모 카가쿠사 제)를 방향족 폴리아미드에 대하여 15 중량% 첨가하고, 자성층의 두께를 0.4㎛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자기기록매체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1 및 비교예 2
실시예 1에 있어서, 자성층의 층두께를 아래의 표 2에 표시하듯이 변경한 것 이외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비교용의 자기기록매체를 제조하였다. 얻어진 자기기록매체 모두 재생출력이 저하되었다. 비교예 1은 주행 내구성도 저하되었다.
비교예 3 및 비교예 4
실시예 1에 있어서, 필름용 폴리머 중합 시에 NMP에 첨가하는 콜로이드 실리카가 방향족 폴리아미드에 대하여 1.0 중량% 및 0.002 중량%가 되도록 참가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각각 비교용의 자기기록매체를 제조하였다. 얻어진 자기기록매체는, 비교예 3은 재생 출력이, 비교예 4는 주행 내구성이 저하되었다.
Figure 112006000997162-pat00005
Figure 112001001209951-pat00003
Figure 112001001209951-pat00004
본 발명은 종래에 사용된 폴리에스테르보다 강성이 높은 방향족 폴리아미드를 주성분으로 하는 베이스 필름을 비자성 지지체로서 사용하며, 이 베이스 필름과 자성층이 직접 접촉한 상태에서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자기기록매체로서, 자기기록매체의 자성층의 표면 특성과 비자성 지지체의 표면 특성을 특정 범위 내로 제어함으로써 높은 기록 용량을 유지하고, 또한 우수한 주행 내구성과 데이터 기록에 대한 높은 신뢰성을 보유할 수 있는 컴퓨터 데이터 기록용으로서 바람직한 자기기록매체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8)

  1. 방향족 폴리아미드를 주성분으로 하는 베이스 필름의 적어도 일면 상에 자성층이 직접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자기기록매체로서,
    자성층의 표면상에 있어서의 높이 10nm 이상의 돌기 개수 Na(10)(개/mm2), 높이 50nm 이상의 돌기 개수 Na(50)(개/mm2) 및 베이스 필름의 자성층 형성측의 동일 표면상에 있어서의 높이 10nm 이상의 돌기 개수 Na(10)'(개/mm2)가,
    2 ×104 ≤Na(10) ≤5 ×106
    0 ≤Na(50) ≤5 ×104
    -0.9 ≤(Na(10) - Na(10)')/Na(10)' ≤0
    을 동시에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기록매체.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Na(10) 및 Na(10)'가,
    106 ≤Na(10) ≤5 ×106
    -0.7 ≤(Na(10) - Na(10)')/Na(10)' ≤0
    을 동시에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기록매체.
  4. 제1항에 있어서,
    베이스 필름의 자성층 형성면과는 반대측의 표면상에 백코트층이 형성되고,
    백코트층 표면상에 있어서의 높이 50nm 이상의 돌기 개수 Nb(50)(개/mm2) 및 높이 100nm 이상의 돌기 개수 Nb(100)(개/mm2)가,
    2 ×104 ≤Nb(50) ≤5 ×106
    0 ≤Nb(100) ≤5 ×104
    을 동시에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기록매체.
  5. 제1항에 있어서, 베이스 필름의 적어도 한 방향의 영률이 9.8GPa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기록매체.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필름의 두께가 1∼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기록매체.
  7. 제1항에 있어서, 자성층의 두께가 0.02∼0.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기록매체.
  8. 제1항에 있어서, 자성층이 증착법에 의하여 형성된 층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기록매체.
KR1020010002796A 2000-01-18 2001-01-18 자기기록매체 KR10075027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0-8698 2000-01-18
JP2000008698A JP2001202614A (ja) 2000-01-18 2000-01-18 磁気記録媒体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76326A KR20010076326A (ko) 2001-08-11
KR100750272B1 true KR100750272B1 (ko) 2007-08-17

Family

ID=185369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02796A KR100750272B1 (ko) 2000-01-18 2001-01-18 자기기록매체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6468628B2 (ko)
EP (1) EP1118980B1 (ko)
JP (1) JP2001202614A (ko)
KR (1) KR100750272B1 (ko)
CN (1) CN1197056C (ko)
DE (1) DE60133150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0509354C (zh) * 2003-11-14 2009-07-08 东丽株式会社 薄膜和使用该薄膜的磁记录介质
JP2005216445A (ja) * 2004-01-30 2005-08-11 Fuji Photo Film Co Ltd 磁気記録テープ
JP4162094B2 (ja) * 2006-05-30 2008-10-08 三菱重工業株式会社 常温接合によるデバイス、デバイス製造方法ならびに常温接合装置
JP2009087468A (ja) * 2007-09-28 2009-04-23 Fujifilm Corp 磁気記録媒体、磁気信号再生方法および磁気信号再生システム
JP4539723B2 (ja) * 2008-01-21 2010-09-08 Dic株式会社 熱転写用積層体およびこれを用いた磁気記録媒体の製造方法
US10580447B2 (en) * 2015-05-18 2020-03-03 Sony Corporation Magnetic recording medium with controlled surface characteristics
US11443767B2 (en) * 2018-02-16 2022-09-13 Sony Corporation Magnetic recording tape having magnetic layer indentations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nd magnetic recording tape cartridge
JP7091270B2 (ja) * 2019-02-28 2022-06-27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磁気テープ、磁気テープカートリッジおよび磁気記録再生装置
JP6788069B2 (ja) * 2019-05-15 2020-11-18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磁気記録媒体および磁気記録再生装置
JP6778787B1 (ja) * 2019-05-15 2020-11-04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磁気記録媒体および磁気記録再生装置
JP7394718B2 (ja) * 2020-07-21 2023-12-08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磁気テープカートリッジおよび磁気テープ装置
JP7394719B2 (ja) * 2020-07-21 2023-12-08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磁気テープカートリッジおよび磁気テープ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882759A1 (en) * 1996-08-29 1998-12-09 Toray Industries, Inc. Aromatic polyamide resin molding, process for preparing the same, and magnetic recording media prepared using the same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43018B2 (ja) * 1983-05-04 1996-10-16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磁気記録媒体
JPS60127523A (ja) * 1983-12-14 1985-07-08 Toray Ind Inc 高密度記録媒体用ベ−スフイルム
JPS6150211A (ja) * 1984-08-20 1986-03-12 Res Dev Corp Of Japan 垂直磁気記録媒体およびその製法
JP2615542B2 (ja) * 1985-04-23 1997-05-28 東レ株式会社 高密度記録媒体用ベースフイルム
DE69527148T2 (de) * 1994-08-19 2003-02-20 Asahi Chemical Ind Aromatische polyamidfolie,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und daraus hergestellte magnetische aufzeichnungsmittel und solarzelle
DE69728354T2 (de) * 1996-04-19 2005-02-17 Toray Industries, Inc. Aromatische polyamidfolie,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und aus diesem film hergestelltes magnetisches aufzeichnungsmittel
JP3728892B2 (ja) * 1996-08-23 2005-12-21 東レ株式会社 芳香族ポリアミドフィルム、その製造方法およびそれを用いた磁気記録媒体
DE69839873D1 (de) * 1997-10-22 2008-09-25 Toray Industries Aromatischer polyamidfilm und daraus hergestellter magnetischer aufzeichnungsträger
DE69812534T2 (de) * 1997-10-27 2004-01-15 Teijin Ltd Biaxial orientierte Folie und magnetisches Aufzeichnungsmedium das diese als Basisfolie enthält
JP3724160B2 (ja) * 1997-11-19 2005-12-07 東レ株式会社 芳香族ポリアミドフィルムおよびそれを用いた磁気記録媒体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882759A1 (en) * 1996-08-29 1998-12-09 Toray Industries, Inc. Aromatic polyamide resin molding, process for preparing the same, and magnetic recording media prepared us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118980A1 (en) 2001-07-25
KR20010076326A (ko) 2001-08-11
US6468628B2 (en) 2002-10-22
CN1197056C (zh) 2005-04-13
DE60133150D1 (de) 2008-04-24
EP1118980B1 (en) 2008-03-12
JP2001202614A (ja) 2001-07-27
DE60133150T2 (de) 2008-06-12
CN1308318A (zh) 2001-08-15
US20010008714A1 (en) 2001-07-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047471B2 (ja) 芳香族ポリアミドフィルム、その製造方法及びそれを用いた磁気記録媒体
KR100750272B1 (ko) 자기기록매체
JP2004030809A (ja) 磁気記録媒体用支持体及び磁気記録媒体
JP4161378B2 (ja) 高寸法安定性高分子フィルムおよびそれを用いた磁気記録媒体
EP0947315B1 (en) Aromatic polyamide film and magnetic recoding media made by using the same
JP3728892B2 (ja) 芳香族ポリアミドフィルム、その製造方法およびそれを用いた磁気記録媒体
JP2000315301A (ja) 磁気記録媒体および磁気記録再生方法
JP2956641B2 (ja) 芳香族ポリアミドフィルムおよび磁気記録媒体
JP4082560B2 (ja) 芳香族ポリアミドフィルム及び磁気記録媒体
JP2000326465A (ja) 芳香族ポリアミドフィルムあるいは芳香族ポリイミドフィルム、およびそれを用いた磁気記録媒体
JP2002146058A (ja) 芳香族ポリアミドフィルムおよび磁気記録媒体
JP4045947B2 (ja) 二軸配向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2001049007A (ja) 芳香族ポリアミドフィルムおよびそれを用いた磁気記録媒体
JP2004130594A (ja) 二軸配向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H10134337A (ja) コンピュータデータ記録用磁気テープ
JP2001273623A (ja) 磁気記録媒体
JP2000105915A (ja) 磁気記録媒体
JP2000242918A (ja) 磁気記録媒体
JP2003030817A (ja) 磁気記録媒体
JP2009064511A (ja) 強磁性金属薄膜型磁気記録媒体用支持体および強磁性金属薄膜型磁気記録媒体
JP2000339662A (ja) 磁気記録媒体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1011215A (ja) 芳香族ポリアミドフィルムおよびそれを用いた磁気記録媒体
JP2000339667A (ja) 磁気記録媒体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0182234A (ja) 磁気記録媒体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0011351A (ja) 磁気記録媒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1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2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1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0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19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22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