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91604B1 - 지폐 취급 장치 - Google Patents

지폐 취급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91604B1
KR100691604B1 KR1020040085639A KR20040085639A KR100691604B1 KR 100691604 B1 KR100691604 B1 KR 100691604B1 KR 1020040085639 A KR1020040085639 A KR 1020040085639A KR 20040085639 A KR20040085639 A KR 20040085639A KR 100691604 B1 KR100691604 B1 KR 1006916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nknote
withdrawal
unit
conveyance path
bi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856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40736A (ko
Inventor
이치카와히로시
카토우리이치
카이이미즈키
Original Assignee
히타치 오므론 터미널 솔루션즈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히타치 오므론 터미널 솔루션즈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히타치 오므론 터미널 솔루션즈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500407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407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916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916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9/00Complete banking systems; Coded card-freed arrangements adapted for dispensing or receiving monies or the like and posting such transactions to existing accounts, e.g. automatic teller machin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10Payment architectur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nic funds transfer [EFT]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ome banking systems
    • G06Q20/102Bill distribution or pay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10Payment architectur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nic funds transfer [EFT]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ome banking system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11/00Devices accepting coins; Devices accepting, dispensing, sorting or counting valuable papers
    • G07D11/20Controlling or monitoring the operation of devices; Data handling
    • G07D11/22Means for sensing or detection
    • G07D11/235Means for sensing or detection for monitoring or indicating operating conditions; for detecting malfunctions
    • G07D11/237Means for sensing or detection for monitoring or indicating operating conditions; for detecting malfunctions for detecting transport malfunctions, e.g. jams or misfeed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11/00Devices accepting coins; Devices accepting, dispensing, sorting or counting valuable papers
    • G07D11/20Controlling or monitoring the operation of devices; Data handling
    • G07D11/24Managing the stock of valuable paper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9/00Counting coins; Handling of coins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ntrolling Sheets Or Webs (AREA)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폐취급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지폐의 반송 기구등으로 잼이 발생한 후도, 지폐의 출금 거래를 계속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본 기술의 개요는 이용자로부터 입금 또는 이용자에게 출금되는 지폐를 일부 세트 하는 입출금구와 입출금구로부터 또는 그곳에 지폐를 반송하는 제 1의 반송로와 지폐의 판별을 실시하는 판별부를 적어도 가지는 상부 기구와 입금 또는 출금되는 지폐를 수납하는 리사이클고와 리사이클고 및 제 1의 반송로와 연결하고, 지폐를 반송하는 제 2의 반송로를 적어도 가지는 하부기구와 상부 기구 및 하부기구에 배치된 지폐의 이상 상태를 검지하기 위한 검지기와 하부기구의 제 2의 반송로에 연결되어 이용자를 위해서 지폐를 배출하는 출금기구부와 검지기로부터의 신호를 받아 이상 상태를 판단하는 제어부를 갖고, 제어부가 상부 기구에 있어서의 이상이라고 판단했을 경우, 상부 기구의 기능을 정지하고, 제 2의 반송로 및 출금기구부를 동작시켜, 리사이클고로부터 지폐를 연속하여 내보내, 출금기구부에 반송하여 배출하는 기술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지폐 취급 장치{Bill Handling Apparatus}
도 1은 본 기술의 하나의 실시예에 의한 ATM의 외관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일실시예에 의한 ATM의 제어 블럭도이다.
도 3은 일실시예에 있어서의 지폐 입출금기(10)의 구성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4는 일실시예에 의한 지폐 입출금기의 제어를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5는 일실시예에 의한 지폐 입출금기에 있어서의 지폐의 전용 출금부(21)의 기구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6은 지폐 입출금기의 출금 거래시에 있어서의 지폐 반송의 모식도이다.
도 7은 지폐 입출금기의 이상이 발생했을 경우의 출금처리의 모식도이다.
도 8은 지폐 입출금기의 이상이 발생했을 경우 출금 리젝트처리의 모식도이다.
도 9는 지폐 입출금기의 입금 거래시에 있어서의 지폐 반송의 모식도이다.
도 10은 ATM에 있어서의 잼 발생시의 출금 거래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차트도이다.
도 11은 다른 실시예에 의한 지폐 입출금기에 있어서의 지폐의 전용 출금부(21)의 기구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본기술은, 지폐 취급 장치와 관련되어, 특히 현금 자동 거래 장치(ATM:Automated TellerMachines)에 있어서의 지폐의 거래시에 지폐의 잼이 발생했을 경우의 지폐의 출금 취급에 관한 것이다.
금융기관에서 사용되는 ATM은 입금 및 출금용 지폐를 수납하는 리사이클고를 갖춘다. 입금시에 이용자가 입출금구에 지폐를 투입하면 그 지폐는 판별부에 반송되어 감별되고 적합한 지폐만이 리사이클고에 수납된다. 한편, 출금시에는 이용자에 의해 지정된 금액의 지폐가 리사이클고로부터 계속 반출되어 판별부에서 감별된 후, 입출금구에 일시 세트되어 이용자에게 지불된다.
그런데 ATM에 있어서, 입금된 지폐 또는 리사이클고로부터 계속 반출된 지폐에 반송로상에서 잼이 발생하는 일이 있다. 입출금 지폐에 잼이 발생하면 보수원에 의해 잼이 배제되어 장치가 복구할 때까지의 사이, 지폐의 입출금 거래를 정지 하지 않을 수 없다. 이 때문에, 이용자의 편리성이 손상되어 ATM의 가동률도 저하한다.
지폐의 자동 지불 장치에 있어서의 지폐의 잼 발생에 대처하는 기술로서 예를 들면, 일본국 특개평5-81507호 공보에 개시되고 있는 것이 있다. 이 기술은, 출금 전용기이고 여러가지 금종(金種)별로 지폐를 수납하는 금고에 대응해 각각 지폐 집적부를 가지는 지폐 방출구를 마련해 잼 발생에 의해 있는 금종의 금고에서 지폐의 지불 동작이 불가능하게 되었을 경우, 그 금종의 지폐에 대신해 다른 금고에서 지폐의 지불 동작을 실시한다.
상기 특허 문헌에 개시되고 있는 기술에 의하면, 각 금종의 금고 마다 지폐의 방출구를 마련하므로, 지폐의 반송로, 리젝트고, 지폐의 센서등이 금고에 따른 수만큼 필요하게 되어, 전체적으로 장치가 대형화한다. 또, 평상시, 복수의 방출구로부터 각각 독립하여 지폐가 방출되면 이용자는 각 방출구로부터 지폐를 수취하지 않으면 안되어 귀찮고 더구나 지폐를 수취하는 것을 잊어버리기도 쉽다.
또, 특허 문헌에 명시된 기술은, 어느 금종의 금고에서 잼이 발생하는 것을 전제로서 그 금고를 축소시키는 것이고, 지불 장치의 다른 기구부, 예를 들면 지폐의 감별부나 입출금구 부근에서 잼이 발생했을 경우의 출금 및 그 제어에 대해서는 개시되어 있지 않다.
본 기술의 목적은, 지폐의 잼 발생 후도,지폐의 출금 거래를 계속할 수가 있는 지폐 취급 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기술의 다른 목적은, 지폐를 취급하는 반송로 또는 유니트로 잼이 발생했을 경우 전용 출금구로부터 지폐의 출금을 실시하는 지폐 입출금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기술은, 이용자로부터 입금 또는 이용자에게 출금되는 지폐를 일시 세트 하는 입출금구와 상기 입출금구로부터 또는 그곳에 지폐를 반송하는 제 1의 반송로와 지폐의 판별을 실시하는 판별부를 적어도 가지는 상부 기구와 입금 또는 출금되는 지폐를 수납하는 리사이클고와 리사이클고 및 제 1의 반송로와 연결해, 지폐를 반송하는 제 2의 반송로를 적어도 가지는 하부기구와 상부 기구 및 하부기구에 배치된, 지폐의 이상 상태를 검지하기 위한 검지기와 하부기구의 제 2의 반송로에 연결되어 이용자를 위해서 지폐를 배출하는 출금기구부와 검지기로부터의 신호를 받아 이상 상태를 판단하는 제어부를 갖고, 제어부가 상부 기구에 있어서의 이상이라고 판단했을 경우, 상부 기구의 기능을 정지하고, 제 2의 반송로 및 출금기구부를 동작시켜 리사이클고로부터 지폐를 계속 내보내, 출금기구부로 반송해 배출하도록 구성한다.
바람직한 예로는 상기 검지기는 광학적인 센서를 포함하고, 제어부는 센서로부터의 신호를 받아 지폐의 잼이 발생한 것을 판단한다.
상기 출금기구부는 바람직하게는 제 1의 반송로와 제 2의 반송로의 합류점보다 제 2의 반송로측으로서, 장치의 전면에 배치된다.
또, 출금기구부는 지폐를 반송하는 반송 수단과 동시에 복수매의 지폐가 반송된 것(중복 이송)를 검지하는 중복 이송 검지 기구를 적어도 갖춘다.
또, 출금기구부는 반송 수단을 반송되는 지폐를 검지하는 광학적인 센서를 갖추고 제어부는 이 센서로부터의 신호를 받아 출금기구부로부터 배출되는 지폐의 금종 및 매수를 관리한다.
또, 상기 하부기구에는, 또 리젝트된 지폐를 수납하는 리젝트고가 설치되어 입금 처리에 있어서 리젝트된 지폐를 제 1의 반송로 및 제 2의 반송로를 개입시켜 반송해 리젝트고에 수납하고 또는 중복 이송 검지 기구로 중복 이송이 검지되었을 경우, 그 지폐를 제 2의 반송로를 개입시켜 반송해 리젝트고에 수납한다.
또한, ATM으로서 구성되는 장치에서는 지폐의 입출금 거래를 제어하는 본체 제어부와 이용자의 거래를 위해서 가이던스를 표시하는 표시기와 입력을 실시하는 입력기를 포함한 고객 조작부를 갖고 본체 제어부는, 상기 제어부로부터 이상 상태의 보고를 받았을 경우 고객 조작부의 표시기에 출금처가 출금기구부로 변경된 취지를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본 기술은, 또 ATM에 있어서의 지폐의 취급 방법으로서 파악 될 수 있다. 즉, ATM에 있어서의 지폐의 취급 방법에 있어서, 평상시의 거래시에 사용하는 지폐의 입출금구를 이용해 이용자에게 출금용의 지폐를 지불하는 제 1의 출금 모드와 적어도 상기 입출금구, 지폐의 판별을 실시하는 판별부 및 이들의 사이에 지폐의 반송을 실시하는 반송로를 포함한 기구부에서 발생하는 이상을 검출하는 스텝과 이상이 검출되었을 경우, 전용의 출금기구부로부터 출금을 실시하는 제 2의 출금 모드를 가진다.
또, 바람직한 예로는, 이상이 검출되었을 경우, 고객 조작부에 출금처가 입출금구로부터 상기 전용의 출금기구부로 변경되는 취지를 표시하는 스텝을 가진다.
이하, 도면을 참조해 본 기술의 일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하나의 실시예에 의한 ATM의 외관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ATM의 개체의 상부 정면판(15)에는, 이용자의 카드를 삽입하기 위한 카드 슬롯(16)이 설치된다. 이 슬롯(16)과 연통해 이용자의 카드를 처리해 거래 명세표를 인자해 방출하는 카드·명세표 처리 기구(102, 도 2), 및 이용자에 대해서 거래의 내용을 표시 및 입력하는 고객 조작부(105)가 설치된다. 또, ATM 아래 쪽의 내부에는, 지폐를 처리하는 지폐 입출금기(10, 또는 지폐 취급 장치라고도 말한다)가 실장되어 ATM 개체 전면에는, 지폐 입출금기(10)의 입출금구(20)용의 지폐 슬롯(201)및 출금 전용 슬롯(211)이 배치된다. 이 ATM은, 카드나 통장을 매체로서 이용자에 의해 지폐가 예입되고 지불, 입금등의 거래 처리를 한다.
도 2는, 하나의 실시예에 의한 ATM의 제어 블럭도이다.
ATM에 실장된 카드·명세표 처리 기구(102), 지폐 입출금기(10) 및 고객 조작부(105)는, 버스(103)를 개입시켜 본체 제어부(107)에 접속되어 본체 제어부(107)의 제어 아래에서 필요한 동작을 실시한다. 카드·명세표 처리 기구(102)는, 거래를 위해서 이용자의 자기카드를 받아들여 처리 함과 동시에, 거래 명세표를 인자해 발행한다. 고객 조작부(105)는 이용자의 거래를 위해서 가이던스를 표시하는 액정 표시와 같은 표시기와 거래를 위해서 여러 가지의 입력을 실시하는 터치 패널식의 입력기를 가진다.
본체 제어부(107)에는 또, 버스(103)를 개입시켜 인터페이스부(104), 계원 조작부(106), 외부 기억장치(108)가 접속되어 이들의 사이에 거래할 때 필요한 데이터의 전송을 실시한다. 또 인터페이스부(104)를 개입시켜 호스트와 결합되어 거래 데이터의 송수신을 실시한다. 호스트에서는 이용자의 정당성의 체크 및 계좌 잔고의 관리를 실시한다. 덧붙여 각 기구부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부(109)가 설치된다.
도 3은, ATM의 지폐 입출금기(10)의 구성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지폐 입출금기(10)는, 지폐의 반송상에서 상부 기구(11)와 하부기구(12)로 나눌 수 있다. 상부 기구(11)는 지폐의 입출금금을 위한 처리 기구이고, 주로 입출금구(20) 및 지폐 판별부(30)등의 유니트를 가진다. 이것에 대해, 하부기구(12)는 지폐를 수납하기 위한 리사이클고(80) 및 리젝트고(60)등의 유니트를 가진다.
상부 기구(11)에 있어서, 입출금구(20)는 이용자에 의한 입금용 지폐의 투입, 및 출금용 지폐의 취득을 실시할 때에 지폐를 일시 세트 해 보관 유지한다. 지폐의 입출금구(20)와 연결한 반송로(50)상에는, 지폐의 진위, 금종 등의 판별을 실시하는 지폐 판별부(30)가 배치된다. 반송로(50)에 연결한 일시 보관부(40)에는, 입출금구(20)에 입금되어 지폐 판별부(30)로 판별된 지폐를, 거래가 성립까지의 사이 일시 수납해 보관 유지한다. 화살표(5a~5i)는 반송로(50) 상의 지폐의 반송 방향을 나타낸다.
반송로(50)에 배치된 절환 게이트(502, 503)를 절환함에 따라, 거래가 성립하여 일시 보관부(40)에 보관 유지된 지폐를 반송로(50)로부터 반송로(90)을 통과허여 하부기구(12)의 리사이클 금고(80)로 반송한다. 특히 절환 게이트(503)는 3 방향으로 완전히 절환할 수 있어 입출금구(20)에서 투입된 지폐중 입금으로서 부적당한 지폐를 반환할 때, 입금 거래에 있어서 이용자로부터 취소의 선택이 있었을 때, 입출금구(20)으로부터 일시 보관부(40)에 반송할 때, 의 3개의 형태에 의해 게이트가 변환 제어된다.
또, 입출금구(20), 지폐 판별부(30), 일시 보관부(40) 각 유니트의 출입구에도 광학 센서가 배치되어 각 유니트를 통과 또는 그곳에 수납되는 지폐가 센서로 검지되어 제어부(70)으로 그 수납 매수, 통과 매수를 카운트 해 관리된다. 또한, 지폐 판별부(30)에 배치되는 센서는 지폐의 금종이나 진위를 판정, 감별 하는 센서에 가세해 지폐의 2매 전송을 검지하는 센서 및 지폐의 길이를 검지하는 센서를 포함하고 지폐의 경사이행, 대소, 2매 전송도 검지한다.
반송로(50)상의 각처에는, 광학 센서가 설치되어 지폐의 반송 상태를 광학적으로 검지한다. 반송로(50)상에서 지폐의 잼이 발생하면 이들의 센서에 의해 잼 발생을 검지한다.
하부기구(12)에는, 복수의 금종에 대응해 지폐를 수납하는 복수의 리사이클고(80)가 배치된다. 각 리사이클고(80)에는, 일시 보관부(40)에 일시 보관된 지폐 으로서, 입금 거래가 성립한 지폐가 반송되어 출금용으로 수납된다. 입금된 지폐중 출금에 적합하지 않는 지폐는 리젝트고(60)에 수납된다.
각 리사이클고(80)및 리젝트고(60)의 상부 출입구에는 롤러 기구 및 절환 게이트(905,906)가 설치되어 이들을 구동함으로써 지폐의 수납 및 투입이 행해진다. 이들의 각 리사이클고(80)및 리젝트고(60)에는, 반송로(90)가 연결되어 지폐를 화살표(9a~9h)로 반송한다. 또, 반송로(90)는 반송로(50)와 연결되어, 상부 기구(11)와의 사이에 지폐를 반송한다. 반송로(90)에는 광학 센서(도시하지 않음)가 배치되어 지폐의 반송 상태를 검지한다.
또, 각 리사이클고(80)의 출입구에는, 센서(81)가 배치되어 지폐의 통과를 검지한다. 이 검지 결과를 제어부(70)로 카운트 해 리사이클고(80)로부터의 투입 매수, 수납 매수를 관리한다. 또한 제어부(70)는 지폐의 반출과 센서의 통과의 타 이밍을 감시해 지폐의 반출에 대해서 센서가 지폐를 검지하지 않는 경우를 잼 발생이라고 판단한다.
하부기구(12)의 전면에는 본 실시예에 특징적인 지폐의 전용 출금부(21)가 설치된다. 상부 기구(11)로 지폐의 잼등의 이상 사태가 발생했을 때에 리사이클고(80)로부터 지폐가 계속 내보내져 절환 게이트(904)로 절환된 반송로(90)상을 반송해, 이 출금구(21)로부터 외부에 방출된다. 이 전용 출금부(21)의 기구 및 이상시의 출금 제어 동작에 대해서는 더욱 자세하게 기술한다.
도 5는, 지폐의 전용 출금부(21)의 측면도를 나타낸다.
전용 출금부(21)에는 출금 슬롯(211)으로 향하는 반송로(90)상에, 반송 롤러 (95)가 배치되는 외에, 각각의 목적에 따른 센서 및 검지 기구가 배치된다. 즉, 광학적 센서로서 반송 방향(9a)의 지폐의 길이를 검지하기 위한 길이 검지 센서(91)가, 지폐의 길이 방향의 지폐 입구에 가까운 곳 옆에 복수 배치된다.
또, 2매 이상의 지폐의 반송(중복 이송)을 검지하기 위해서 중복 이송 검지 기구(92)가 설치된다. 중복 이송 검지 기구(92)는, 지폐에 압접하는 롤러(921), 및 이 압접 롤러(921)를 축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링크(922) 및 회동하는 링크(922)의 후단부를 광학적으로 검지하는 센서(923)로부터 구성된다. 센서(923)를 후단부가 지나가는 정도에 따라, 지폐의 중복 이송을 검지한다.
더욱이, 반송로(90)에는 지폐의 선단을 검지하기 위한 선단 검지 센서(93), 및 출금용의 지폐를 반출, 끼워서 보관 유지하기 위한 출구 롤러(94)가 배치된다. 출구에는 이용자가 지폐를 받는 출금 슬롯(211)이 설치된다. 출구 롤러(94)의 근방 에는 광축이 롤러 협지점을 통과하도록 센서(941)가 배치되고 있어 지폐가 출구 롤러(94)의 사이에 존재하는지 아닌지를 검지한다.
다음에, 도 4의 블럭도를 참조해, 지폐 입출금기의 제어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4에 있어서, 제어부(70)는 버스(103)를 개입시켜 장치의 본체 제어부(107)와 접속되어 본체 제어부(107)로부터의 지령 및 지폐 입출금기(10)내의 센서의 상태검출에 따라 관련하는 유니트의 제어를 실시한다. 또, 필요에 따라서 각 유니트의 상태를 버스(103)를 개입시켜 본체 제어부(107)에 보낸다.
지폐 입출금기(1) 안에는, 입출금구(20), 지폐 판별부(30), 일시 보관부(40), 반송로(50, 90), 리젝트고(60), 리사이클고(80), 전용 출금구(21)등의 유니트의 구동 모터나 전자 솔레노이드, 센서와 접속되고 거래에 따라 센서로 상태를 감시하면서 액츄에이터를 구동하여 관계하는 유니트를 제어해, 지폐의 반송, 보관 유지, 보관등을 실시한다.
다음에, 도 6 이후의 도면을 참조해 지폐 입출금기에 있어서의 지폐의 입출금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기술의 실시 예의 특징은 주로 지폐의 출금에 있지만, 입금 거래시에 이상이 발생했을 경우에 출금 거래에 영향이 미치는 경우도 있다. 예를 들면 입금 거래를 축소하고, 출금 거래만의 운용으로 이행하는 경우에 있어서의, 입금 지폐의 잔처리등이 있다. 그 때문에도 입금 거래에 대해서 이해를 해 두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도 9에 나타내는 입금 거래의 모식도에 있어서, 이용자에 의해 입출금구(20) 에 투입된 지폐는, 한 장씩 분리되어 화살표(5a, 5b)로 반송되어 지폐 판별부(30)로 지폐의 금종, 진위가 판정된다. 판정이 끝난 지폐는, 절환 게이트(503)가 503a의 상태로 절환되어 화살표(5c, 5d, 5e)의 방향으로 반송되어 일시 보관부(40)에 일단 보관 유지된다. 지폐 판별부(30)로, 판별할 수 없었던 지폐나 기울기가 있는 지폐 및 지폐 동지의 간격의 이상을 가진 지폐는 입금 리젝트 지폐로서 취급되기 때문에, 일시 보관부(40)에는 반송되지 않고, 절환 게이트(503)가 503b의 상태로 절환할됨으로써, 화살표(5f)로 반송되어 입출금구(20)에 되돌려져 이용자에게 반환된다.
입금 수납에 있어서, 일시 보관부(40)에 수납되고 있던 지폐는, 화살표(5e, 5d, 5c, 5b)와는 역의 방향으로 반송된다. 지폐 판별부(30)를 통과한 후, 절환 게이트(502)가 502b의 상태에, 절환 게이트(904)가 904a의 상태로 절환할 수 있어, 화살표(5i, 9a, 9b, 9c)방향으로 반송된다. 그리고 제어부(70)의 제어에 의해 수납해야할 금종에 대응한 리사이클 금고(80)의 절환 게이트(905)중 한쪽이 절환된다. 예를 들면 도시와 같이 절환 게이트(905)가 905b의 상태로 절환할 수 있어, 지정된 리사이클고(80)또는 리젝트고(60)에 수납된다.
덧붙여 일시 보관부(40)로부터 리사이클고(80) 또는 리젝트고(60)로의 지폐의 반송의 한중간에 지폐 판별부(30)로 다시 지폐의 금종, 진위등을 판정 해, 금고를 지정하도록 해도 괜찮다. 입금 계수시에 일시 보관부(40)에 수납할 때의 전지폐의 판별 결과를 ATM내의 메모리에 기억해 두어, 지폐의 수납시에, 메모리에 기억된 내용에 따라서, 지폐를 수납해야 할 리사이클고를 지정하도록 해도 괜찮다.
또 입금 지폐의 취소 반환시에는, 절환 게이트(503)를 503c의 상태로 절환해, 지폐는 일시 보관부(40)로부터 계속 내보내져 화살표(5e, 5g, 5h)의 역의 방향으로 반송되어, 입출금구(20)에 되돌려진다.
다음에 도 6~도 8을 참조해, 출금 거래시에 있어서의 지폐의 반송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6에 있어서, 이용자의 지정된 지불금액에 따라 제어부(70)의 제어에 의해 금종에 따른 리사이클고(80)가 지정된다. 리사이클고(80)의 출구에 있는 절환 게이트가 절환되고 또 롤러 기구가 구동되어, 리사이클고(80)로부터는 지정된 매수의 지폐가 계속하여 반출한다.
그 후 지폐는 화살표(9c, 9b, 9a, 5i)의 방향으로 반송되어, 지폐 판별부(30)를 통과한다. 거기서 지폐의 2매 이상 중복(중복 이송)의 유무 및 지폐의 위치, 금종, 진위가 판별된다. 판별부(30)로 정상으로 판정된 지폐는, 그 후 절환 게이트(503b)로 분기되어, 화살표(5h) 방향에 반송되어 입출금구(20)에 세트되어 이용자에게 지불된다.
한편, 지폐 판별부(30)로 정상적인 지폐가 아닌(이상지폐)것으로 판단 되어 리젝트가 발생했을 경우에는 그 이상지폐는, 절환 게이트(503)가 503a의 상태로 절환할 수 있어, 화살표(5d) 방향으로부터 일시 보관부(40)에 반송되어 입금 계수시와 동일하게 그곳에서 일단 보관 유지된다. 리젝트시의 부족 분의 지폐는 대응하는 리사이클고(80)로부터 추가해 계속하여 반출한다.
리젝트 발생시에 일시 보관부(40)에 보관 유지된 지폐는, 리젝트고(60)에 수납하기 위한 반송 동작을 한다. 즉 리젝트 지폐는, 일시 보관부(40)로부터 도시와 같이 화살표(5e, 5d)의 역방향으로 내보내져 화살표(5c, 5b)의 역방향으로 반송되어 지폐 판별부(30)를 통과한다. 거기서 재차 금종 및 진위가 판별되어 그 결과 판별 가능한 지폐는, 화살표(5i, 9a, 9b, 9c)의 역방향으로 반송되어, 금종에 대응하는 리사이클고(80)에 수납된다.
이것에 대해서, 지폐 판별부(30)로 판별 불가능이 된 지폐는 동일하게 화살표(5i, 9a, 9b, 9c)의 역방향으로 반송되어, 리젝트고(60)에 수납된다. 이것에 의해, 리젝트 지폐의 매수를 저감 할 수 있어 자금 효율의 향상을 알 수 있다.
다음에, 도 7을 참조해, 지폐의 잼이 발생했을 경우의 출금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상부 기구(11)로 잼등의 이상이 발생했을 때에, 제어부(70)의 제어에 의해 상부 기구(11)의 반송로(50)가 정지되고 하부기구(12)만의 기구로 출금 동작이 행해진다.
제어부(70)에 의해 지정된 금종의 리사이클고(80)로부터 금종 마다 지정된 매수의 지폐가 한 장씩 계속하여 반출한다. 계속 내보내진 지폐는 화살표(9c, 9b, 9a)방향으로 반송되고 또 롤러(95)에 반송되어 904b의 상태로 절환된 절환 게이트(904)를 통하여 반송로(903)에 보내진다. 그리고 전용 출금부(21)의 선단으로부터 출구 슬롯(211)에 방출된다. 이 동작은 지정된 지폐의 매수까지 반복된다.
여기서, 도 5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전용 출금부(21)에 계속하여 반출되는 지폐는, 우선 길이 검지 센서(91)로 지폐 길이가 측정된다. 이어서, 중복 이송 검지 기구(92)에 의해 지폐가 중복 이송되어 있지 않은가가 검출된다. 중복 이송 검지 기구(92)를 통과한 지폐는, 선단 검지 센서(93)로 그 선단의 위치가 검지되어 출구 롤러(94)에 계속하여 반출된다. 이 때, 지폐가 완전하게 출구 롤러(94)로부터 계속 반출되지 않게 선단의 위치와 지폐 길이로부터 지폐의 반출량을 산출해 소정량 반송해 출구 롤러(94)에 지폐를 끼워 두어 보관 유지한 상태로 정지시킨다.
이용자는, 출금 슬롯(211)으로부터 출구 롤러(94)에 끼워진 지폐를 뽑아 내면 센서(941)에 의해 지폐가 빠진 것이 검출되어 다음 지폐를 리사이클 갯수 80으로부터 계속 반출하는 동작을 한다.
이와 같이 전용 출금부(21)를 통해 지폐 1매씩의 출금 동작이 반복된다. 그리고 지정된 금액의 매수에 이르면 출금 동작을 종료한다.
다음에, 도 8을 참조해 출금 이상시의 리젝트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전용 출금부(21)에 설치된 중복 이송 측량 기구(92), 2매 이상의 지폐가 반송되고 있는 취지를 검지했을 때(출금 이상시)에, 선단 검지 센서(93)가 지폐의 선단을 검지한 단계에서, 롤러(95)및 출구 롤러(94)의 회전을 정지해, 지폐의 반송을 멈춘다. 이것에 의해 지폐는 이용자에게 빼지지 않은 위치에서 정지한다.
그 후, 이상시 출금 리젝트 동작(도 8)으로 옮긴다. 이 때, 지폐는 전용 출금부(21)로부터 도시와 같이 화살표(903a, 9a~9d, 9h)와 반송되어 리젝트고(60)에 수납된다. 그 후, 리젝트된 지폐에 대응하는 리사이클고(80)로부터 다시 지폐가 계속하여 반출한다. 이후의 출금 동작은 도 7에 나타내는 대로이다.
또한, 전용 출금부(21)를 사용한 출금 동작은, 아직도 상부 기구(11)의 잼은 복구하고 있지 않는 동안에 계속되지만, 만약 상부 기구(11)가 복구하면, 상부 기구(11)를 사용한 평상시의 출금 동작으로 돌아간다.
다음에, 도 10의 플로차트를 참조해 ATM에 있어서의 잼 발생에 수반하는 출금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지폐 입출금기의 제어부(70)는, 상부 기구(11) 및 하부기구(12)의 반송로 (50,90) 및 각 유니트(20, 30, 40, 60, 80)에 배치된 센서로부터의 검지 신호를 검출 처리하고 있다. 반송로 또는 이들 유니트의 어느쪽이든, 지폐 잼이 발생해 지폐의 정상적인 반송이 곤란하게 되었을 경우에는 제어부(70)는 잼 발생 장소로 특정한다(P200). 즉 각 유니트에 설치된 센서로부터의 신호에 의해 각 유니트에 있어서의 지폐의 수납 매수 및 투입을 검출한다. 또, 반송로상의 센서로부터의 신호에 의해 각 반송로상의 지폐의 통과 상태를 검지한다. 이들 센서의 신호로부터 판단해 잼 발생 지점을 특정한다. 그리고 잼 발생의 장소가 하부기구(12)인지를 판정 한다(P201). 그 장소가 하부기구(12)의 경우에는, 버스(103)를 개입시켜 본체 제어부(107)에 대해서 지폐의 취급 불가의 지령을 통지한다. 전체 제어부(107)는 ATM에서의 입출금 거래 불가로 판단해, 「거래 계속 불가」를 나타내는 가이던스를 고객 조작부(105)에 표시해(P213), 거래를 휴지한다.
한편, 상기 판정(P201)의 결과, 잼 발생 장소가 상부 기구(11)로 판정되었을 경우에는, 각 거래에 따라, 이하에 나타내는 동작을 실시한다.
우선 입금 계수시(입출금구(20)→지폐 판별부(30)→일시 보관고(40))에 상부 기구(11)로 잼이 발생했을 경우는(P202), 계수 도중이기 때문에 입금한 금액을 판단할 수 없지만 입금한 지폐를 반환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이 예에서는 하부기구(12)로 잼이 발생했을 경우와 같이 거래를 휴지시킨다(P202Y). 그러나, 입금 계수 동작은, 상부 기구(11)의 지폐 판별부(30), 일시 보관부(40) 및 반송로(50)등을 중심으로 한 부분에서 행해지는 제어 동작이므로, 하부기구(12)에는 지폐는 잔류하고 있지 않다. 이 때문에, 하부기구(12)를 가동시켜 출금 거래를 실시하는 것은 가능하다.
입금의 취소 반환시(일시 보관고(40)→입출금구(20))에 상부 기구(11)로 잼이 발생했을 경우에는(P203), 일시 보관부(40)로부터 입출금구(20)에 지폐의 반출은 불가능하다. 이 경우, 본체 제어부(107)는 지폐를 받는 장소가 입출금구(20)으로부터 전용 출금부(21)로 변경이 되는 취지를 전하는 가이던스를 고객 조작부(105)에 표시한다. 하부기구(12)는 도 7 및 도 5의 동작을 실시하도록 제어되어 전용 출금부(21)로부터 입금 계수시에 계수 한 금액과 동액의 지폐가 이용자에게 반환된다(P204). 지폐를 반환해 거래가 종료한 후(P210), 본체 제어부(107)는 「출금 거래만 가능」을 나타내는 가이던스를 고객 조작부(105)에 표시한다(P211). 이후, 관계자가 그 ATM에 도착할 때까지 이상시 출금 동작의 운용으로 이행해, 거래를 계속한다.
입금 수납시(일시 보관고(40)→지폐 판별부(30)→리사이클고(80)), 출금시(리사이클고(80)→지폐 판별부(30)→입출금구(20)), 혹은 출금 리젝트 동작시(리사이클고(80)→지폐 판별부(30)+일시 보관고(40))에 상부 기구(11)로 잼이 발생했을 경우에는, 우선 하부기구(12)에 반송 도중의 지폐가 존재할지 어떨지를, 각 유니트 및 반송로에 설치된 센서로부터의 신호에 의해 검출한다. 하부기구(12)의 지폐의 통과 상태를 검지하는 센서로부터의 신호를 확인해(P205), 지폐가 반송로(90)에 존 재한다고 판단되었을 경우에는, 수납 도중의 지폐를 리젝트고(60) 혹은 리사이클고(80)에 수납한다(P206).
다음에, 본체 제어부(107)는 지폐의 동작이 입금 동작인지 아닌지를 확인한다(P207). 만약 입금 수납의 경우에는(P207Y) 거래 종료가 된다(P210). 그 후, 본체 제어부(107)는 「출금 거래만 가능」을 나타내는 가이던스를 고객 조작부(105)에 표시한다(P211). 이후, 관계자가 도착할 때까지 이상시 출금 동작의 운용에 의한 거래를 계속한다.
다음에, 본체 제어부(107)는 지폐의 동작이 출금 동작인지 아닌지를 확인한다(P208). 출금 동작의 경우는(P208) 지폐의 수취구가 입출금구(20)로부터 전용 출금부(21)로 변경 되는 취지를 전하는 가이던스를 고객 조작부(105)에 표시한다(P209). 이 경우, 제어부(705)는 도 7, 도 5에 나타내는 지폐의 출금 제어를 실시해, 이용자가 지정한 금액의 지폐를 1매씩 전용 출금부(21)로부터 방출한다(P209). ATM의 잼이 발생했을 때의 해당 이용자에 대해서는, 이 출금 동작으로 거래가 종료한다. 또한 이 경우, 본체 제어부(107)로부터 인터페이스부(104)를 개입시켜 보내지는 지령에 의해, 호스트로 관리되는 해당 이용자의 계좌 잔고는 갱신된다.
그 후, 본체 제어부(107)는 전용 출금부(21)를 사용한 출금 거래만의 운용으로 절환하기 위해서, 「출금 거래만 가능」또는 「출금 거래 전용」의 지령의 가이던스를 고객 조작부(105)에 표시한다(P211). 이후, 관계자가 도착할 때까지의 사이, 이상시 출금 동작이 계속한다.
또한 상기의 출금 판정(P208)에 있어서 출금 리젝트라고 판단했을 경우에는 지폐의 입금 수납때와 동일한 동작을 실시해, 그 후 이상시 출금의 운용으로 이행한다.
이상 설명한 일실시예에 의하면, 상부 기구(11)에 있어서의 잼 발생등의 이상시에 하부기구(12)의 리사이클고(80), 지폐 반송로(90), 전용 출금부(21)를 이용해, 지폐를 출금을 계속해 실시할 수가 있다.
또, 리사이클고(80)로부터 지폐 판별부(30)에 이르는 반송로(50)의 입금 지폐의 경로(5a)와 출금 지폐의 경로(5i)의 합류점보다 전측, 즉 리사이클고(80)측의 반송로(90)의 끝에, 전용 출금부(21)를 설치하도록 했으므로, 리사이클고(80)와 전용 출금부(21)의 반송로(90)를 짧게 할 수가 있다. 이 때문에, 지폐 반송 기구의 구조를 간략하게 할 수 있꼬, 또 지폐의 반송 시간도 짧아져 거래 시간을 절약할 수가 있다.
또한, 전용 출금부(21)와 리사이클고(80)의 사이에 지폐의 중복 이송을 측량하는 중복 이송 검지 기구(92)를 마련했으므로 복수매의 지폐를 동시에 계속하여 반출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또, 전용 출금부(21)의 직전에 중복 이송 검지 기구(92)를 마련했으므로, 복수의 어느 리사이클고(80)로부터 지폐가 반출되었을 경우에서도, 1 곳의 검지 기구(92)로 전용 출금부(21)를 이용하는 출금 지폐 모두의 판별을 실시할 수가 있다.
덧붙여 본기술은 상기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고, 여러 가지 변형해 실시 할 수 있다.
도 11은, 전용 출금부(21)에 관한 변형예를 나타낸다.
상기 도 5를 참조한 예에서는, 출구 슬롯(211)보다 1매씩 지폐를 방출하고 있다. 이것에 대해서 도 11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전용 출금부(21)의 출구에 출금 지폐를 일시 수납하는 지폐 수납부(96) 및 리젝트 지폐를 일시 수납하는 출금 리젝트고(97)를 갖춘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 예에 의하면, 지폐의 반송 동작의 전체 단계 부분은 도 5와 변함없지만 반송로로부터 방출된 지폐의 상태 및 리젝트 지폐의 취급이 다르다.
지폐 수납부(96)의 전면에는 하부에 가동하는 수취구 셔터(961)가 장착되고 또 그 하부에는 횡방향(도 11의 지면에 수직인 방향)으로 가동하는 리젝트 셔터 (962)가 장착되고 있다. 출금 리젝트고(97)의 입구에는 지폐의 충만상태를 검지하는 센서(971)가 장착되고 있다.
출금 동작에 대해서는 연속적으로 반송되는 지폐는 지폐 수납부(96)에 방출되어 그곳에 일시 수납된다. 그 상태로 수취구 셔터(961)가 하부로 이동해 수납부(96)의 전면이 열리고 이용자에게 지폐가 지불된다. 중복 이송 검지 기구(92)로 지폐의 중복 이송이 검지되면 리젝트 셔터(962)가 열려, 수납부(96)내의 모든 지폐는 바로 아래의 출금 리젝트고(97)에 낙하해, 그곳에 수납된다. 그 후 다시, 해당 이용자를 위한 출금 동작이 최초부터 행해진다.
이 예에 의하면, 이용자는 지폐를 일괄해 받을 수가 있으므로, 이용자에게는 편리하다.
또 다른 예에 의하면, 전용 출금부(21)를 이용한 출금 거래시에는, 고객 조작부(105)에 그 취지의 가이던스를 표시할 뿐만 아니라, 예를 들면 도 5에 나타내 는 전용 출금부(21)의 출금 슬롯(211), 또는 도 11의 셔터(961)의 적당한 장소에 램프나 발광소자 등을 마련해 두어 출금시에 그것들을 점등함으로써 이용자에 대해서 출금구의 변경을 재촉할 수가 있다.
도 4의 입출금기의 제어부(70)를, 도 2에 나타내는 본체 제어부(107)에 겸용시켜 본체 제어부(107)로 모든 유니트의 제어를 실시하도록 해도 좋다.
또한, 이상 사태에는 지폐의 잼에 한정하지 않고 센서의 고장, 센서에의 이물의 부착, 센서로 감시하고 있는 대상 기구부의 이상이 포함된다. 이것의 이상을 제어부(70)으로 검지해 상술과 같은 출금 동작을 실시할 수 있다.
본기술에 의하면, 지폐 취급 장치에 있어서, 지폐의 입출금금 처리를 실시하는 유니트부를 포함한 기구로 잼이 발생했을 경우에서도 전용의 출금처를 이용해 지폐의 출금 동작을 계속해 실시할 수가 있다.

Claims (16)

  1. 이용자로부터 입금 또는 출금되는 지폐를 일시 세트 하는 입출금구와 상기 입출금구로부터 또는 그곳에 지폐를 반송하는 제 1의 반송로와 상기 제 1의 반송로에 배치된 지폐의 판별을 실시하는 판별부를 가지는 상부 기구와,
    입금 또는 출금되는 지폐를 수납하는 리사이클고와 상기 리사이클고 및 상기 제 1의 반송로와 연결해 지폐를 반송하는 제 2의 반송로를 가지는 하부기구와,
    상기 상부 기구 및 하부기구에 배치된 지폐의 이상 상태를 검지하기 위한 검지기와,
    상기 하부기구의 제 2의 반송로에 연결되어 지폐를 배출하는 출금기구부와 상기 검지기로부터의 신호를 받아 이상 상태를 판단하는 제어부를 갖고,
    상기 제어부가 상기 상부 기구에 있어서의 이상이라고 판단했을 경우, 상기 상부 기구의 기능을 정지해, 상기 제 2의 반송로 및 상기 출금기구부를 동작시켜, 상기 리사이클고로부터 지폐를 계속하여 반출하고, 상기 출금기구부에 반송해 배출하는 것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 취급 장치.
  2. 청구항 1 에 있어서,
    상기 검지기는 광학적인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로부터 신호를 받아, 지폐의 잼이 발생한 것을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취급장치.
  3. 청구항 1 에 있어서,
    상기 출금기구부는, 상기 제 1의 반송로와 상기 제 2의 반송로의 합류점보다 제 2의 반송로측으로서 장치의 전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취급장치.
  4. 청구항 1 에 있어서,
    상기 하부기구는 복수매의 지폐가 겹쳐 반송되는 것을 검지하는 중복 이송 검지 기구를 갖추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취급장치.
  5. 청구항 4 에 있어서,
    상기 하부기구는 리젝트된 지폐를 수납하는 리젝트고를 갖고,
    상기 중복 이송 검지 기구가 중복 이송 지폐를 검지했을 때, 상기 제어부는 그 중복 이송지폐를 상기 제 2의 반송로를 개입시켜 반송해, 상기 리젝트고에 수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취급장치.
  6. 청구항 1 에 있어서,
    상기 출금기구부는 지폐를 일시 수납하는 지폐 수납부와 출금에는 적합하지 않는 리젝트 지폐를 수납하는 출금 리젝트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취급장치.
  7. 청구항 1 에 있어서,
    상기 출금기구부는 상기 제 2의 반송로에서 반송되는 지폐를 검지하는 광학적인 센서를 갖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로부터의 신호를 받아 상기 출금기구부로부터 배출되는 지폐의 금종 및 매수를 관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취급장치.
  8. 이용자의 거래를 위해서 가이던스를 표시하는 표시 기능과 입력을 실시하는 입력 기능을 가지는 고객 조작부와,
    지폐를 취급하는 지폐 취급 장치와 본체 제어부를 갖고,
    상기 지폐 취급 장치는,
    입금 또는 출금 하는 입출금구와 지폐를 판별하는 판별부를 가지는 상부 기구와,
    지폐를 금종별로 수납하는 복수의 리사이클고와 지폐의 출금 전용에 설치된 전용 출금부를 가지는 하부기구를 갖고,
    상기 상부기구 또는 상기 하부기구 가운데, 상기 상부기구의 이상을 검지했을 때, 상기 본체 제어부는 상기 고객 조작부에 지폐의 출금처가 상기 전용 출금부로 변경된 지령을 표시하는 것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금을 자동적으로 거래하는 현금 자동 거래 장치.
  9. 청구항 8 에 있어서,
    입금 취소 반환 때 상기 이상이 발생했을 때, 상기 지폐 취급 장치는 상기 판별부에서 판별한 금액과 동액의 지폐를 상기 리사이클고에서 반송해 상기 전용 출금부로부터 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금자동거래장치.
  10. 청구항 8 에 있어서,
    출금 때 상기 이상이 발생했을 때, 상기 지폐 취급 장치는 상기 리사이클고에서 지폐를 반송해 상기 전용 출금부로부터 배출하고,
    상기 본체 제어부는, 상기 고객 조작부에 출금 거래 전용이라는 지령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금거래장치.
  11. 평상시의 거래시에 이용되는 입출금구를 사용해, 이용자로부터의 입금용 또는 출금용의 지폐를 입출금구에 일시 세트 하는 스텝과,
    판별부에서 지폐의 판별을 실시하기 위해서 상기 입출금구에 있는 지폐를 제 1의 반송로를 통해 반송하는 스텝과,
    상기 입출금구, 상기 판별부 및 상기 제 1의 반송로를 포함한 기구부에서 발생하는 이상을 검출하는 스텝과,
    상기 이상이 검출되었을 경우 상기 기구부를 사용한 지폐의 출금 동작을 정지 함과 동시에 전용의 출금기구부로부터 출금을 실시하는 스텝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취급처리방법.
  12. 청구항 11 에 있어서,
    상기 이상시는, 지폐를 수납하는 리사이클고로부터 계속하여 반출된 지폐를 상기 제 2의 반송로를 통해 상기 출금기구부에 반송하는 스텝과,
    상기 평상시는, 상기 리사이클고로부터 계속하여 반출된 지폐를 상기 제 2의 반송로 및 상기 제 1의 반송로를 통해 상기 입출금구로 반송하는 스텝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취급처리방법.
  13. 청구항 11 에 있어서,
    상기 출금기구부에 구비된 센서에 의해 상기 출금기구부에 있어서의 지폐의 반송의 이상을 검출하는 스텝과,
    상기 출금기구부에서의 상기 이상이 검출되었을 경우, 이상된 지폐를 제 2의 반송로를 개입시켜 리젝트고에 반송하는 스텝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취급처리방법.
  14. 지폐를 입출금 하는 ATM에 의해 처리하는 지폐취급처리방법에 있어서,
    평상시의 거래시에 사용하는 지폐의 입출금구를 이용해, 이용자에게 출금용의 지폐를 지불하는 제 1의 출금 스텝과,
    상기 입출금구, 지폐의 판별을 실시하는 판별부 및 이들의 사이에 지폐의 반송을 실시하는 반송로를 포함한 기구부에서 발생하는 이상을 검출하는 스텝과,
    상기 이상이 검출되었을 경우, 전용의 출금기구부로부터 출금을 실시하는 제 2의 출금 스텝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는 지폐 취급 처리 방법.
  15. 청구항 14 에 있어서,
    상기 이상이 검출되었을 경우, 고객 조작부에 출금처가 상기 입출금구로부터 상기 전용의 출금기구부로 변경되는 지령을 표시하는 스텝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취급처리방법.
  16. 청구항 14 에 있어서,
    상기 이상검출 스텝은 지폐의 잼을 검출하는 스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취급처리방법.
KR1020040085639A 2003-10-28 2004-10-26 지폐 취급 장치 KR10069160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3367169A JP4418207B2 (ja) 2003-10-28 2003-10-28 紙幣取扱装置
JPJP-P-2003-00367169 2003-10-2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40736A KR20050040736A (ko) 2005-05-03
KR100691604B1 true KR100691604B1 (ko) 2007-03-09

Family

ID=345102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85639A KR100691604B1 (ko) 2003-10-28 2004-10-26 지폐 취급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050091159A1 (ko)
JP (1) JP4418207B2 (ko)
KR (1) KR100691604B1 (ko)
CN (1) CN100517401C (ko)
TW (1) TWI274299B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1576B1 (ko) 2007-12-12 2010-06-04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종이매체 공급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0973872B1 (ko) 2008-02-26 2010-08-03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매체입금장치의 경로전환구조
KR100974462B1 (ko) 2007-07-23 2010-08-10 오끼 덴끼 고오교 가부시끼가이샤 자동거래장치
KR101011873B1 (ko) 2008-06-09 2011-01-31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현금자동입출금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217005A1 (en) * 1996-11-27 2003-11-20 Diebold Self Service Systems, Division Of Diebold, Incorporated Automated banking machine system and method
KR100721659B1 (ko) * 2005-09-12 2007-05-23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환류보충겸용박스가 구비된 금융자동화기기 및 그 운용방법
JP4951251B2 (ja) * 2006-02-27 2012-06-13 日立オムロンターミナル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現金自動取引装置
JP5042559B2 (ja) 2006-08-10 2012-10-03 日立オムロンターミナル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紙葉類取扱装置
JP5087957B2 (ja) * 2007-03-05 2012-12-05 沖電気工業株式会社 自動取引装置
JP4788788B2 (ja) * 2009-02-19 2011-10-05 沖電気工業株式会社 紙幣取引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自動取引装置
JP5463748B2 (ja) * 2009-06-16 2014-04-09 沖電気工業株式会社 媒体処理装置
JP5556390B2 (ja) * 2010-06-02 2014-07-23 沖電気工業株式会社 紙幣処理装置
WO2012056789A1 (ja) * 2010-10-27 2012-05-03 日立オムロンターミナル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紙葉類取扱装置及び現金自動取引装置
KR101244390B1 (ko) * 2011-04-22 2013-03-18 주식회사 푸른기술 매체방출장치
JP5732367B2 (ja) * 2011-10-14 2015-06-10 日立オムロンターミナル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紙幣取扱装置
JP5821585B2 (ja) * 2011-12-05 2015-11-24 沖電気工業株式会社 紙幣処理装置
JP5786694B2 (ja) * 2011-12-05 2015-09-30 沖電気工業株式会社 紙幣処理装置
JP5795990B2 (ja) * 2012-05-14 2015-10-14 日立オムロンターミナル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紙葉類取扱装置及び自動取引装置
CN102831729A (zh) * 2012-08-21 2012-12-19 珠海市新域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纸币输送通道及可配备多钱箱的自助终端
CN103136852B (zh) * 2013-01-22 2015-04-15 广州广电运通金融电子股份有限公司 一种自助终端出钞质量检控方法及其装置
EP3007142A1 (en) * 2013-06-03 2016-04-13 Hitachi-Omron Terminal Solutions, Corp. Paper money handling apparatus
US9443268B1 (en) 2013-08-16 2016-09-13 Consumerinfo.Com, Inc. Bill payment and reporting
JP6136766B2 (ja) * 2013-08-28 2017-05-31 沖電気工業株式会社 現金処理装置
US10325314B1 (en) 2013-11-15 2019-06-18 Consumerinfo.Com, Inc. Payment reporting systems
JP6208032B2 (ja) * 2014-01-31 2017-10-04 日立オムロンターミナル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自動取引装置、状態管理方法及び管理システム
CN103914910A (zh) * 2014-03-31 2014-07-09 上海古鳌电子科技股份有限公司 纸币收纳机构
EP2940662B1 (de) * 2014-04-30 2019-10-30 Wincor Nixdorf International GmbH Verfahren zum Betreiben eines Geldautomaten bei Mehrfachabzügen
JP6323201B2 (ja) * 2014-06-20 2018-05-16 沖電気工業株式会社 紙幣取引装置
CN104123786B (zh) * 2014-07-16 2017-02-15 广州广电运通金融电子股份有限公司 纸币卡钞判断系统及方法
JP2016199380A (ja) * 2015-04-13 2016-12-01 沖電気工業株式会社 媒体処理装置
KR101750394B1 (ko) * 2015-06-24 2017-06-23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계원용 금융자동화기기 제어방법
CN105741413B (zh) * 2015-08-05 2019-04-26 深圳怡化电脑股份有限公司 存取款设备及其动态校正传感器,以及校正方法和装置
CN105118150A (zh) * 2015-08-21 2015-12-02 深圳怡化电脑股份有限公司 存取款方法及系统
JPWO2018025308A1 (ja) * 2016-08-01 2019-04-25 日立オムロンターミナル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紙幣取扱装置
TWI602158B (zh) * 2016-08-05 2017-10-11 鴻發國際科技股份有限公司 紙幣處理裝置及銜接模組
CN106875552A (zh) * 2017-01-20 2017-06-20 深圳怡化电脑股份有限公司 一种金融自助交易设备及其模块到位的检测方法与装置
CN108428281B (zh) * 2017-02-15 2020-05-22 山东新北洋信息技术股份有限公司 存取款机及纸币处理方法
CN106875561B (zh) * 2017-03-01 2020-04-28 深圳怡化电脑股份有限公司 自助设备中纸币回收信息的确定方法及装置
JP6979288B2 (ja) * 2017-06-13 2021-12-08 日立チャネル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送電器、受電器、送受電システム、自動取引装置および送受電方法
CN108109285A (zh) * 2017-12-14 2018-06-01 深圳怡化电脑股份有限公司 存款业务卡钞处理方法、金融终端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JP7132737B2 (ja) * 2018-04-04 2022-09-07 日立チャネル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紙幣取扱装置
US11265324B2 (en) 2018-09-05 2022-03-01 Consumerinfo.Com, Inc. User permissions for access to secure data at third-party
CN109816514A (zh) * 2018-12-21 2019-05-28 东方通信股份有限公司 一种智能银行及其运行方法
EP3736782A1 (de) * 2019-05-10 2020-11-11 Wincor Nixdorf International GmbH Vorrichtung zur handhabung von wertschein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91494A (ja) * 1995-09-26 1997-04-04 Hitachi Ltd 紙幣入出金機
KR20000047974A (ko) * 1998-12-08 2000-07-25 가나이 쓰토무 지폐입출금기
KR100293173B1 (ko) 1996-09-18 2001-06-15 다케시 이케베 지폐 입금 및 출금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91494A (ja) * 1995-09-26 1997-04-04 Hitachi Ltd 紙幣入出金機
KR100293173B1 (ko) 1996-09-18 2001-06-15 다케시 이케베 지폐 입금 및 출금장치
KR20000047974A (ko) * 1998-12-08 2000-07-25 가나이 쓰토무 지폐입출금기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4462B1 (ko) 2007-07-23 2010-08-10 오끼 덴끼 고오교 가부시끼가이샤 자동거래장치
KR100961576B1 (ko) 2007-12-12 2010-06-04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종이매체 공급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0973872B1 (ko) 2008-02-26 2010-08-03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매체입금장치의 경로전환구조
KR101011873B1 (ko) 2008-06-09 2011-01-31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현금자동입출금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4418207B2 (ja) 2010-02-17
TWI274299B (en) 2007-02-21
CN1612173A (zh) 2005-05-04
US20050091159A1 (en) 2005-04-28
KR20050040736A (ko) 2005-05-03
JP2005134963A (ja) 2005-05-26
TW200515313A (en) 2005-05-01
CN100517401C (zh) 2009-07-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91604B1 (ko) 지폐 취급 장치
KR100308610B1 (ko) 지폐류취급장치
JPH0922476A (ja) 自動取引装置および自動取引装置におけるリジェクト貨幣の取扱い方法
KR920007906B1 (ko) 자동거래장치
KR101121905B1 (ko) 지엽 취급 장치
JP2532671B2 (ja) 現金入出金処理装置
JPS6024690A (ja) 貨幣管理方法及びその装置
JPH0437476B2 (ko)
JPH0323953B2 (ko)
JP2864481B2 (ja) 現金管理システム
JP3383135B2 (ja) 窓口システムにおける電源オフ制御装置
JPH09198544A (ja) 紙幣取扱装置
JP2774162B2 (ja) 現金入出金処理装置
JPH01118986A (ja) 自動取引装置
JP2592862B2 (ja) 自動取引装置
JP6584630B2 (ja) 紙葉類取扱装置
JPH0357094A (ja) 現金入出金装置
JP2615197B2 (ja) 現金入出金装置
JP2002329230A (ja) 自動取引装置
JPH0778836B2 (ja) 自動取引装置
JP2001307182A (ja) 紙幣入出金装置
JPH07325955A (ja) 取引装置
JPH0342795A (ja) 紙幣入出金装置
JPH0313453A (ja) 紙幣入出金装置
JPH1049724A (ja) 自動取引装置および自動取引装置に用いられる検査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