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74462B1 - 자동거래장치 - Google Patents

자동거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74462B1
KR100974462B1 KR1020080052466A KR20080052466A KR100974462B1 KR 100974462 B1 KR100974462 B1 KR 100974462B1 KR 1020080052466 A KR1020080052466 A KR 1020080052466A KR 20080052466 A KR20080052466 A KR 20080052466A KR 100974462 B1 KR100974462 B1 KR 1009744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nkbook
factor
return
data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524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10879A (ko
Inventor
이사오 나카지마
Original Assignee
오끼 덴끼 고오교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끼 덴끼 고오교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오끼 덴끼 고오교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900108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108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744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744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9/00Complete banking systems; Coded card-freed arrangements adapted for dispensing or receiving monies or the like and posting such transactions to existing accounts, e.g. automatic teller machines
    • G07F19/20Automatic teller machines [ATMs]
    • G07F19/204Loading of a stored value token using an ATM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Abstract

통장을 정상적으로 처리할 수 없어 거래 불가가 되고, 통장의 반환이 행해진 경우라도, 바로 장치를 복구시킬 수 있는 자동거래장치를 제공한다. 통장을 받아들여, 소정의 처리를 행하고, 장치 밖으로 배출하여 반환하는 자동거래장치에 있어서, 정상적으로 처리할 수 없어 통장이 반환되었을 경우에, 이 반환의 요인을 기억하는 장해요인 기억부와, 반환의 요인에 따른 대처방법을 기억하는 대처방법 기억부와, 반환의 요인과 대처방법을 표시하는 표시부를 설치한다.
자동거래장치, 장해요인 기억부, 대처방법 기억부, 표시부

Description

자동거래장치{AUTOMATIC TELLER MACHINE}
본 발명은, 통장을 받아들여, 소정의 처리를 행하고, 장치 밖으로 배출하여 반환하는 자동거래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금융기관 등에 설치되어 있는 자동거래장치에 있어서는, 통장을 취급하는 통장 기장기를 구비하고 있으며, 고객이 통장을 통장 삽입구로부터 장치 내부에 삽입하면, 기장을 행하여, 장치 외부로 배출하고, 고객에게 반환하고 있다.
그러나, 고객이 통장을 장치 내부에 삽입해도 통장 기장기가 기장을 행하지 않고, 즉 통장을 정상적으로 처리할 수 없어 거래 불가가 되어 통장을 반환하는 경우가 있다. 이와 같이 기장을 행하지 않는 이유로서는, 예를 들면 통장에 설치되어 있는 자기 스트라이프에 기록되어 있는, 자기 스트라이프 데이터를 판독할 수 없는 경우, 자기 스트라이프 데이터를 판독할 수 있어도, 데이터포맷이 자동거래장치가 설치되어 있는 은행의 포맷과 합치하지 않을 경우, 또는 미기장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등을 생각할 수 있다. 이러한 이유로 통장 기장기는 기장을 행하지 않고 고객에게 통장을 반환하지만, 통장 기장기로부터 자동거래장치에 대하여 반환 요인 이 통지되지 않으므로, 통장이 반환된 이유가 고객 조작부의 LCD화면에 표시되지 않는다. 따라서, 고객은 왜 통장이 반환되었는 지 이유를 알 수 없었다. 그 때문에 고객은 은행원에게 안내를 받았지만, 은행원도 왜 반환되었는 지 이유를 알 수 없는 경우가 있어, 그 경우에는 외부로부터 보수원을 불러 안내를 받고 있었다.
또한 통장이나 자기카드의 거래 매체에 판독 에러나 기록 에러나 인자 에러가 일어나 반환할 경우에, 반환 요인이나 대응 방법을 표시 패널에 제시하여, 고객에게 통장이나 자기 카드의 취급을 유도하는 자동거래장치가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참조.).
[특허문헌 1] 특원 2007-048786호
상기 종래의 자동거래장치에 있어서는, 통장을 정상적으로 처리할 수 없어 거래 불가가 되어, 통장이 반환될 경우, 은행원은 반환된 이유를 모르기 때문에, 은행원은 통장매체에 반환 요인이 있는지, 혹은 장치에 요인이 있는지 분간할 수 없어 보수원을 부르게 된다. 보수원도 현장에 가고나서 처치를 판단하므로, 보수 시간이 오래 걸리는 동시에, 은행원이 자동거래장치에 대하여 불신감이나 불안감을 느끼는 경우가 있었다.
이러한 통장의 반환 요인으로서, 통장매체에 반환의 요인이 있을 경우, 통장의 삽입 방향의 오류, 자기 스트라이프 데이터의 소실, 이것은, 정상적인 통장을 이용한 거래 후, 고객이 무의식적으로 자기매체와 통장을 접촉시키고 있는 경우 등을 생각할 수 있다. 타행 통장의 삽입, 통장 지면에 있는 메모 등의 기록, 통장 지면에 메모지가 붙어있거나, 또한 페이지 마크가 접힌 상태로 장치 내부로의 삽입 등을 생각할 수 있다.
또한 장치측의 요인으로서는, 자기 데이터 판독부의 판독 헤드의 더러워짐, 페이지행 판독부의 판독 헤드의 더러워짐, 장치의 제조 불량, 장치의 부품파손 등을 생각할 수 있다.
통장매체 혹은 장치 각각에 복수의 요인을 생각할 수 있지만, 통장매체에 반환의 요인이 있는 경우에는 은행원이라도 대응할 수 있고, 장치에 반환의 요인이 있는 경우라도, 자기 데이터 판독부의 판독 헤드의 더러워짐, 혹은 페이지행 판독부의 판독 헤드의 더러워짐 등은 청소를 하면 정상적으로 동작하므로, 은행원이 대응할 수 있다. 따라서, 보수원에 의한 작업을 필요로 하는 경우는, 장치불량에 반환의 요인이 있는 경우의 일부로만 되어 있다.
이와 같이, 보수원을 필요로 하는 장치불량은 적고, 대부분은, 은행원이 통장의 반환 요인을 파악할 수 있어 대처방법을 알면 바로 처치를 행하여, 고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나, 반환의 요인 및 대처방법을 모르기 때문에, 보수원이 와서 보수가 끝날 때까지 자동거래장치를 정지시키게 된다. 그 결과, 금융기관은 서비스의 저하를 초래하고, 또 보수원도 업무부하가 많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 설치한 해결 수단은, 통장을 받아들여, 소정의 처리를 행하고, 장치 밖으로 배출하여 반환하는 자동거래장치에 있어서, 정상적으로 처리할 수 없어 통장이 반환되었을 경우에, 상기 반환의 요인을 기억하는 장해요인 기억부와, 상기 반환의 요인에 따른 대처방법을 기억하는 대처방법 기억부와, 상기 반환의 요인과 상기 대처방법을 표시하는 표시부와,
상기 장해요인 기억부와 상기 대처방법 기억부와 상기 표시부에 접속되어 장치전체를 제어하는 주제어부를 설치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통장을 정상적으로 처리할 수 없어 거래 불가가 되어, 통장이 반환된 경우라도, 정상적으로 처리되지 않고 통장이 반환되었을 경우의 요인과, 그것에 따른 대처방법이 표시부에 표시되므로, 은행원 및 보수원은 신속하게 처치를 행할 수 있다. 또한 표시부에 표시된 정보를 보면, 은행원이 대응가능한 처치로 자동거래장치를 복구시킬 수 있는 것인지, 혹은 보수원을 부를 필요가 있는 지 바로 알 수 있기 때문에, 은행원으로 대응가능한 처치이면, 대처방법을 보고 바로 자동거래장치를 복구시킬 수 있다. 또한 보수원을 부를 때도 은행원이 1차 해석을 행할 수 있기 때문에, 보수원의 보수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은행원 및 보수원은 장해에 대한 대응을 시작하고나서 단시간에 자동거래장치를 복구시킬 수 있게 된다. 그 결과, 금융기관은 서비스를 저하시키지 않고, 또 보수원에게 많은 업무 부담을 주지 않고 자동거래장치를 복구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에 따라 설명한다. 또한, 각 도면에 공통되는 요소에는 동일 부호를 붙인다.
[실시예 1]
도 2는 실시예 1의 자동거래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다.
도 2에 있어서, 금융기관 등에 설치되어 있는 자동거래장치(1)에는, 장치전체를 제어하는 주제어부(2)와, 상기 주제어부(2)에 접속된 상태에서, 카드 리더 프린터(3)와, 통장 기장기(4)와, 현금 입출금기(5)와, 고객 조작부(6)와, 담당자 조작부(7)와, 접근 검지기(8)가 설치되어 있다.
카드 리더 프린터(3)는, 고객이 소유하는 ID카드가 삽입되었을 경우에, ID카드에 기억되어 있는 고객의 계좌번호나 성명 등의 고객정보, 금융기관의 코드를 읽어내는 기능과, ID카드에 대하여 정보를 기록하는 기능과, 거래 명세의 인자를 행하여 고객에 대하여 거래 명세표의 발행 처리를 행하는 기능을 가진다. 카 드 리더 프린터(3)의 앞면측에는 카드삽입 배출구 및 레시트 배출구가 설치되어 있으며, 카드 삽입 배출구로부터 ID카드의 삽입 및 배출이 행해지고, 레시트 배출구로부터 거래 명세서가 배출된다.
통장 기장부(4)는, 통장삽입 배출구로부터 삽입되는 고객의 통장에 거래 내용을 목시 데이터로서 인자하는 인자헤드를 구비한 인자부(9)와, 통장에 설치된 자기 스트라이프로부터 데이터를 판독하는 판독 헤드를 구비한 자기 데이터 판독부(10)와, 통장에 설치된 자기 스트라이프에 대하여 갱신 데이터를 기록하는 기록 판독 헤드를 구비한 자기 데이터 기록부(11)와, 통장의 페이지 마크의 값이나, 인자 완료행을 판독하는 판독 헤드를 구비한 페이지행 판독부(12)와, 복수의 롤러와 벨트로 구성되어, 통장을 반송하는 통장 주행부(13)와, 정상적으로 처리할 수 없어 통장의 반환이 이루어졌을 경우에, 이 반환의 요인을 장해요인 데이터로서 기억하는 장해요인 기억부(14)와, 통장의 반환 요인에 따른 대처방법을 기억하는 대처방법 기억부(25)와, 상기 인자부(9)와, 자기 데이터 판독부(10)와, 자기 데이터 기록부(11)와, 페이지행 판독부(12)와, 통장 주행부(13)와, 장해요인 기억부(14)와, 대처방법 기억부(25)와 접속되어, 통장 기장기(4) 전체를 제어하는 통장 제어부(15)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통장삽입 배출구로부터 장치 뒤쪽을 향해, 통장 주행부(13)가 배치되고, 상기 통장 주행부(13)를 따라, 자기 데이터 판독부(10)와, 자기 데이터 기록부(11)와, 페이지행 판독부(12)와, 인자부(9)가 배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장해요인 기억부(14)에 기억되는 반환의 요인으로서는 「자기 없 음」, 「스트라이프 이상」, 「페이지 에러」, 「행 에러」, 「미기장 데이터 없음」등이 있다. 또한 대처방법 기억부(25)에는, 작업자별로 대처방법이 기억되고 있으며, 담당자(은행원)용의 처치 데이터를 기억하는 도시하지 않은 담당자용 대처방법 기억영역과, 보수원용의 처치 데이터를 기억하는 도시하지 않은 보수원용 대처방법 기억영역이 형성되어 있다.
현금 입출금기(5)는, 지폐 입출금부와 동전 입출금부로 구성된다. 지폐 입출금부는, 입금 거래시에 고객으로부터 입금되는 지폐를 진위감별, 계수하고, 반송하여 도시하지 않은 금고에 금종별로 수납하는 동시에, 출금 거래시에 고객에게 지불되는 지폐를 금고로부터 내보내는 것이다. 또 지폐 입출금부는, 고객이 지폐를 투입하거나, 또는 고객에게 지불되는 지폐가 보내지는 지폐 입출금구와 도시하지 않은 지폐 반송로에 의해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지폐 입출금구의 상부에는 개폐가능한 셔터가 설치되어 있고, 지폐 입출금구의 내부에는, 지폐가 고객에 의해 꺼내졌음을 검출하는 도시하지 않은 검출 센서가 설치된다.
동전 입출금부는, 입금 거래시에 고객으로부터 입금되는 동전을 진위감별, 계수하고, 반송하여 도시하지 않은 금고에 금종별로 수납하는 동시에, 출금 거래시에 고객에게 지불되는 동전을 금고로부터 내보내는 것이다. 또 동전 입출금부는, 고객이 동전을 투입하거나, 또는 고객에게 지불되는 동전이 보내지는 동전 입출금구와 도시하지 않은 동전 반송로에 의해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동전 입출금구의 상부에는 개폐가능한 셔터가 설치되어 있고, 동전 입출금구의 내부에는, 동전이 고객에 의해 꺼내졌음을 검출하는 도시하지 않은 검출 센서가 설치된다.
고객 조작부(6)는, 고객이 조작하는 것으로, 자동거래장치(1)의 앞부에 설치되어 있으며, 고객에게 알리는 조작 유도 등의 정보를 표시하는 LCD화면과, 거래 과목이나 금액 등의 정보를 화면에 접촉하는 것으로 자동거래장치(1)에 대하여 입력 할 수 있는 터치패널 기능을 구비한 터치 패널부로 구성된다. 따라서, LCD화면에는 거래 과목인 「입금」,「출금」, 「계좌이체」, 「잔고조회」, 「통장기장」등이 표시되어, 터치 패널부에 의해, 고객은 원하는 표시 부분에 가볍게 닿는 것으로 거래 과목을 선택할 수 있고, 또 비밀번호나, 금액의 입력을 행할 수 있다.
담당자 조작부(7)는, 은행원이나 보수원이 조작하는 것으로, 자동거래장치(1)의 뒤쪽에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고객 조작부(6)와 마찬가지로, 은행원이나 보수원에 대하여 알리는 장치의 운용 상태, 은행원 조작의 키, 보수원 조작의 키 등의 정보를 표시하는 LCD화면과, 소정의 정보를 화면에 접촉하는 것으로 자동거래장치(1)에 대하여 입력할 수 있는 터치패널 기능을 구비한 터치 패널부로 구성된다.
접근 검지기(8)는 자동거래장치(1)의 앞부에 설치되어, 고객이 자동거래장치(1)에 접근했음을 검지하여, 주제어부(2)에 고객을 검지했음을 나타내는 정보를 송신한다.
상기 구성의 자동거래장치(1)는 정보센터(16)와 회선(17)을 통해 접속되고 있으며, 정보센터(16)는 계좌번호마다, 고객명, 그 고객이 계좌를 개설한 영업점명, 거래 이력 등을 기억하는 도시하지 않은 기억부를 가지고 있다.
다음에 상기 구성에 있어서의 자동거래장치(1)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여기에서는 고객이 통장을 이용하여 입금 거래를 행할 경우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에 있어서, 고객이 자동거래장치(1)에 접근해 오면 접근 검지기(8)에 의해 그 접근이 검지되어, 주제어부(2)에 고객의 접근을 알리는 것을 나타내는 신호가 송신된다. 주제어부(2)는 이 신호를 받아 고객 조작부(6)의 LCD화면에 고객유도 화면을 표시한다.
여기에서 고객이 「입금」을 선택하여, 고객 조작부(6)의 「입금」에 접촉하면, 주제어부(2)는 고객 조작부(6)의 LCD화면에 통장의 삽입 안내와 ID카드의 삽입 안내를 표시하고, 통장, 혹은 ID카드가 삽입되는 것을 기다린다. 고객이 삽입 안내에 따라 통장을 통장 삽입 배출구에 삽입하면, 통장 주행부(13)가 통장 기장기(4) 내부에 통장을 받아들이고, 또 주제어부(2)는 지폐를 받아들이기 위해 지폐 입출금구의 셔터를 열린 상태로 하는 동시에, 고객 조작부(6)의 LCD화면에 지폐를 투입할 것을 요구하는 화면을 표시한다. 그리고 지폐가 지폐 입출금구에 투입되면, 현금 입출금기(5)는 셔터를 닫힌 상태로 하여, 주제어부(2)로부터 지시를 받을 때까지 지폐 입출금구에 지폐를 유지한 상태로 대기한다.
통장을 받아들인 통장 기장기(4)는 통장 주행부(13)에 의해 자기 데이터 판독부(10)까지 반송하고, 판독 헤드에 의해 자기 스트라이프로부터 소정의 자기 데이터를 판독하여, 통장제어부(15)로 송신한다. 또한, 자기 스트라이프에는 계좌번호, 은행명, 영업점명, 성명, 잔고, 최종 인자 페이지, 최종 인자행이 자기 데이터로서 기록되어 있다. 통장 제어부(15)는 자기 데이터 판독부(10)로부터 상기 자기 데이터를 수신하면, 상기 자기 데이터를 주제어부(2)에 송신한다. 그리고 주제어부(2)는 수신한 자기 데이터를 도시하지 않은 기억부에 기억한다.
계속해서 통장 제어부(15)는 통장 주행부(13)에 의해 통장을 페이지행 판독부(12)까지 반송하고, 페이지행 판독부(12)의 판독 헤드에 의해 통장의 페이지 마크의 값과, 최종인자 완료행을 읽어내어, 주제어부(2)에 송신한다. 그러면 주제어부(2)는, 통장의 자기 스트라이프로부터 읽어낸 최종인자 페이지와, 페이지행 판독부(12)로 읽어낸 현재 펼쳐져 있는 페이지를 비교하는 동시에, 통장의 자기 스트라이프로부터 읽어낸 최종 인자행과, 페이지행 판독부(12)로 읽어낸 현재 펼쳐져 있는 페이지의 최종 인자행을 비교한다. 여기에서, 각각의 값이 일치하면, 주제어부(2)는 맞는 삽입 페이지가 삽입되었다고 판단한다.
주제어부(2)는 맞는 삽입 페이지가 삽입되었다고 판단하면 기억부에 기억해 둔 자기 데이터(계좌번호, 은행명, 영업점명, 성명, 잔고, 최종 인자 페이지, 최종 인자행)를, 입금 거래를 행하는 것을 나타내는 정보와 함께 회선(17)을 통해 정보센터(16)에 송신한다. 정보센터(16)는 수신한 계좌번호를 기초로, 수신한 자기 데이터를 기억부에 기억되어 있는 정보와 대조하여, 계좌를 특정할 수 있으면, 회선(17)을 통해 주제어부(2)에 대하여 입금 거래가 가능함을 나타내는 정보를 송신한다.
주제어부(2)는 정보센터(16)로부터 「입금 거래 가능」을 나타내는 정보를 수신하면, 현금 입출금기(5)의 지폐 입출금기에 대하여 입금 처리의 지시를 송신한다. 지폐 입출금기는 이 지시를 수신하면, 지폐를 장치 내부로 입력하여, 지폐를 진위감별, 계수하고, 반송하여 도시하지 않은 금고에 금종별로 수납한다.
지폐 입출금부는 지폐의 계수를 완료하면 주제어부(2)에 계수결과를 송신하고, 주제어부(2)는 상기 수신한 계수결과를 계좌번호와 함께 회선(17)을 통해 정보센터(16)에 송신한다. 정보 센터(16)는 계수결과를 수신하면, 상기 계수결과에 의거하여 기억부에 기억되어 있는 이 계좌의 잔고 등의 정보를 갱신하는 동시에, 소정의 갱신 정보를 회선(17)을 통해 주제어부(2)에 송신한다. 또한, 기억부에 미기장 데이터로서 정보가 기억되어 있을 경우에는, 상기 미기장 데이터도 모두 주제어부(2)에 송신된다.
주제어부(2)는 정보센터(16)로부터 상기 갱신 정보와 미기장 데이터를 수신하면 통장 기장기(4)의 통장 제어부(15)에 대하여, 미기장 데이터 및 이번의 거래 내용, 거래 금액, 잔고 등, 수신한 상기 갱신 정보에 근거하는 소정의 인자 정보 및 자기 정보를 송신한다. 통장 제어부(15)는 소정의 인자 정보 및 자기 정보를 수신하면, 미기장 데이터 및 거래일, 거래 내용, 거래 금액, 잔고 등, 이번의 거래 내용의 통장으로의 인자 및 자기 스트라이프로의 자기 데이터의 갱신을 행한다. 그 때문에, 통장 주행부(13)에 의해 인자부(9)까지 통장을 반송하고, 인자 헤드에 의해 목시 데이터로서 미기장 데이터 및 이번의 거래 내용을 인자한다. 인자가 종료하면, 통장 주행부(13)에 의해 자기 데이터 기록부(11)까지 통장을 반송하고, 기록 헤드에 의해 자기 스트라이프에 대하여 잔고, 최종 인자 페이지 및 최종 인자 행의 정보를 포함하는 소정의 자기 데이터를 기록한다. 그리고 통장 주행부(13)에 의해 통장을 통장삽입 배출구까지 반송하고, 고객에게 반환한다.
한편, 통장을 사용한 거래에 있어서, 통장이 통장 기장기(4) 내부에 삽입되어도, 기장을 행하지 않고, 정상적으로 처리할 수 없어 거래 불가가 되어, 통장의 반환이 행해지는 경우가 있다. 이하, 이와 같이 거래 불가가 되어 통장이 반환되었을 때의 자동거래장치(1)의 대응에 대하여 설명한다.
통장을 사용한 거래에서는 자기 스트라이프에 기록되어 있는 자기 데이터에 의거하여 거래 대상의 계좌를 특정하고 있다. 그 때문에 통장의 자기 스트라이프에 자석을 댄 것이 원인으로 자기 스트라이프에 기록되어 있는 자기 데이터가 소자(消磁)되어 버렸을 경우에는 자기 데이터 판독부(10)의 판독 헤드로 자기 데이터를 판독할 수 없게 되어, 거래 불가가 되고, 통장은 반환된다.
또한 자기 스트라이프로부터 자기 데이터를 판독할 수 있고, 거래 대상의 계좌를 특정할 수 있는 경우라도, 주제어부(2)가, 통장의 자기 스트라이프로부터 읽어낸 최종 인자 페이지와, 페이지행 판독부(12)로 읽어낸 현재 펼쳐져 있는 페이지를 비교하는 동시에, 통장의 자기 스트라이프로부터 읽어낸 최종 인자 행과, 페이지행 판독부(12)로 읽어낸 현재 펼쳐져 있는 페이지의 최종 인자 행을 비교했을 때, 각각의 값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나, 검출된 페이지 마크가 이 과목의 거래에 있어서 특정한 범위 내가 아닐 경우에는, 펼쳐진 페이지가 자기 스트라이프에 기록되어 있는 자기 데이터와 다르다고 판단하여, 거래 불가가 되고, 통장은 반환된다.
또한, 미기장 데이터의 기장을 위해 통장이 통장 기장기(4)에 삽입된 경우라도, 정보센터(16)에 미기장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에는, 거래 불가가 되어, 통장은 반환된다.
이와 같이, 통장이 통장 기장기(4) 내부에 삽입되어도, 정상적으로 처리할 수 없어 거래 불가가 되고, 통장이 반환되는 장해가 발생하면, 통장 제어부(15)는 반환의 요인을, 장해요인 기억부(14)에 1건 마다 장해요인 데이터로서 기억한다. 즉, 1건 마다, 통장 반환의 일련 번호를 부여하여, 날짜, 시간, 반환의 요인, 판독 페이지의 값 및 행의 값을 장해요인 데이터로서 기억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장해요인 기억부(14)에 100건분 기억된다.
다음에 상기 구성의 자동거래장치(1)에 있어서의 통장의 반환에 대한 보수 작업시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도 1, 도 3, 도 4, 도 5는 실시예 1의 담당자 조작부의 표시 화면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보수 작업시의 담당자 조작부(7)의 LCD화면에는, 장해 대응키의 하나로서 도시하지 않은 통장 반환 요인 키가 표시된다. 여기에서 통장 반환 요인 키가 눌러지면, 주제어부(2)는 담당자 조작부(7)로부터 통장 반환 요인 키가 선택되었음을 나타내는 정보를 수신한다. 그러면 주제어부(2)는 통장 제어부(15)에 대하여 장해요인 데이터의 송신을 지시하고, 통장 제어부(15)는 장해요인 기억부(14)로부터 장해요인 데이터를 판독한다. 그리고 주제어부(2)에 송신하고, 주제어부(2)로부터 또한 담당자 조작부(7)에 장해요인 데이터가 송신된다.
담당자 조작부(7)가 장해요인 데이터를 수신하면,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담당자 조작부(7)의 LCD화면(7a)에는, 통장 반환의 일련 번호, 날짜, 시간, 통장이 반환된 요인, 판독한 페이지의 값 및 행의 값이 여러건(본 실시예에서는10건분)표시되는 동시에, 종료 키(20), 앞 화면 키(21), 다음 화면 키(22), 인자 키(23), 처치 키(24)가 표시된다.
이 화면에서 다음 화면 키(22)가 눌리면, 다음 10건분의 장해정보가 마찬가지로 표시된다. 이와 같이 다음 화면 키(22)가 눌릴 때마다, 10건분씩 전부 100건분의 장해 정보가 표시된다. 또한, 은행원이 고객으로부터 통장 반환의 신고를 받고나서 바로 자동거래장치(1)를 멈추지 않고, 업무 종료 후에 장해요인을 확인하는 경우도 있기 때문에, 과거 100건분의 장해의 정보를 표시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앞 화면 키(21)가 눌러지면, 현재 표시되고 있는 화면의 앞에 표시되어 있는 화면으로 되돌아온다. 또한, 동시에 표시하는 장해정보의 건수와, 기억해 둔 장해정보의 수는 변경 가능하다.
또한 인자 키(23)가 눌리면, 현재의 표시 화면을 레시트에 인자하고, 배출한다. 또한 이 화면에서 종료 키(20)가 눌러지면, 초기 화면으로 되돌아온다.
다음에 처치 키(24)가 눌러졌을 경우의 자동거래장치(1)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처치 키(24)가 눌러지면, 담당자 조작부(7)의 LCD화면(7a)에는, 도 3에 나타내는 화면이 표시된다. 처치는 담당자용과 보수원용으로 다르기 때문에, 작업자에 따라 담당자용 키(18)와 보수원용 키(19)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된다. 여기에서 주제어부(2)가 담당자 조작부(7)로부터 통장 반환 요인의 담당자용 키(18)가 눌러졌음을 나타내는 정보를 수신하면, 통장 제어부(15)에 대하여 담당자용의 처치 데이터의 송신을 지시한다. 이것을 받아 통장 제어부(15)는 대처방법 기억부(25)의 담당자용 대처방법 기억영역에 기억되어 있는, 담당자용의 처치 데이터를 판독하 여, 주제어부(2)에 송신하고, 또한 담당자 조작부(7)에 담당자용의 처치 데이터가 송신된다. 그리고 LCD화면(7a)에 도 4에 나타내는 표시가 행해진다. 또한, 담당자용은 청소 등 금방 실시할 수 있는 간단한 작업의 방법이 표시된다.
한편, 주제어부(2)가 담당자 조작부(7)로부터 통장 반환 요인의 보수원용 키(19)가 선택되었음을 나타내는 정보를 수신하면, 통장 제어부(15)에 대하여 보수원용의 처치 데이터의 송신을 지시한다. 이것을 받아 통장 제어부(15)는 대처방법 기억부(25)의 보수원용 대처방법 기억영역에 기억되어 있는 보수원용의 처치 데이터를 판독하여, 주제어부(2)에 송신하고, 또한 담당자 조작부(7)에 보수원용의 처치 데이터가 송신된다. 그리고 LCD화면(7a)에 도 5에 나타내는 표시가 행해진다. 또한, 보수원용은 조정 등의 보다 복잡한 작업의 방법이 표시된다.
또한, 화면 위에 청소 방법을 도해(圖解) 표시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있어서는, 정상적으로 처리할 수 없어 통장이 반환되었을 경우에, 이 반환의 요인을 기억하는 장해요인 기억부(14)와, 반환의 요인에 따른 대처방법을 기억하는 대처방법 기억부(25)를 설치하고, 반환의 요인과 대처방법을 담당자 조작부(7)의 LCD화면(7a)에 표시함으로써, 통장을 정상적으로 처리할 수 없어 거래 불가가 되고, 통장이 반환되는 경우라도, 은행원 및 보수원은 신속하게 처치를 행할 수 있다. 또한 담당자 조작부(7)의 LCD화면(7a)에 표시된 정보를 보면, 은행원이 대응가능한 처치로 자동거래장치(1)를 복구시킬 수 있는지 혹은 보수원을 부를 필요가 있는지 바로 알 수 있기 때문에, 은행원으로 대응가능한 처치이면, 대처방법을 보고 바로 자동거래장(1)를 복구시킬 수 있다. 또한 보수 원을 부를 때도 은행원이 1차 해석을 행할 수 있기 때문에, 보수원의 보수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은행원 및 보수원은 장해에 대한 대응을 시작하고나서 단시간에 자동거래장치(1)를 복구시킬 수 있게 된다. 그 결과, 금융기관은 서비스를 저하시키지 않고, 또 보수원에게 많은 업무 부담을 주지 않고 자동거래장치(1)를 복구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실시예 2]
다음에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6은 실시예 2의 자동거래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7은 실시예 2의 통장 반환 요인 기억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다.
도 6,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예 2의 자동거래장치(31)에 있어서 실시예 1의 자동거래장치(1)와 다른 점은, 주제어부(38)에 통장 반환 요인 기억부(32)가 설치되어 있는 점이다. 통장 반환 요인 기억부(32)는, 제1 기억영역(32a)과 제2 기억영역(32b)을 구비하고 있으며, 통장 기장기(4)로부터 수신한 장해요인 데이터를 제1 기억영역(32a)에 기억하고, 또한 상기 장해요인 데이터를 요인별로 나누어 집계를 행하여 제2 기억영역(32b)에 기억한다.
또한, 상기 요인의 항목으로서는 「자기 없음」, 「스트라이프 이상」, 「취급 불가과목」,「페이지 에러」, 「행 에러」, 「타행 통장」, 「미기장 데이터 없음」, 「기타」가 있으며, 통장 반환 요인 기억부(32)는 장해요인 데이터를 상기 요인별로 나누어, 해당하는 요인의 항목을 카운트 업하여 제2 기억영역(32b)에 기 억한다. 이와 같이 하여 1일마다 장해의 요인별 합계값이 집계되는 동시에, 또한 1주일마다 요인별 합계값도 또한 집계된다. 즉, 통장 반환 요인 기억부(32)는, 소정기간 내 정상적으로 처리할 수 없어 통장이 반환된 건수를, 반환의 요인별로 나누어 집계하는 기능을 구비하고 있다.
통장이 통장 기장기(4) 내부에 삽입되어도, 정상적으로 처리할 수 없어 거래 불가가 되어, 통장이 반환되는 장해가 발생하면, 통장 제어부(15)는 반환의 요인을 장해요인 기억부(14)에 1건 마다 장해요인 데이터로서 기억한다. 즉, 1건 마다, 통장 반환의 일련 번호를 부여하고, 날짜, 시간, 반환의 요인, 판독한 페이지의 값 및 행의 값을 기억한다.
그리고 1일의 업무가 종료하면 통장 제어부(15)는 장해요인 기억부(14)에 기억되어 있는 장해요인 데이터를 주제어부(38)에 송신한다. 또한, 장해요인 기억부(14)로부터 주제어부(38)에 장해요인 데이터를 송신하는 타이밍은 상기에 한정되지 않고, 장해요인 기억부(14)에 소정 건수의 장해요인 데이터가 격납된 시점이거나, 소정의 시간마다 해도 된다.
주제어부(38)가 통장 기장기(4)로부터 장해요인 기억부(14)에 격납되어 있는 장해요인 데이터를 수신하면, 통장 반환 요인 기억부(32)가 상기 장해요인 데이터를 제1 기억영역(32a)에 기억한다. 또한 통장 반환 요인 기억부(32)는, 장해요인 데이터를 요인의 항목별로 나누어, 해당하는 요인의 항목 카운트 값을 수신한 장해의 수만큼 업시켜서 제2 기억영역(32b)에 기억한다. 그리고 또한 1주일 마다 요인별 합계값을 계수하고, 제2 기억영역(32b)에 기억한다. 이에 따라 매일 어떤 종류 의 장해가 몇 건 발생할 지가 집계되는 동시에, 1주일에 어떤 종류의 장해가 몇 건 발생하는 지도 또한 집계된다.
다음에 상기 구성에 있어서의 자동거래장치(31)에 있어서의 통장의 반환에 대한 보수 작업시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8, 도 9는 실시예 2의 담당자 조작부의 표시 화면을 나타내는 설명도다.
담당자 조작부(7)의 LCD화면(7a)에는, 장해 대응키의 하나로서 도시하지 않은 통장 반환 요인 키가 표시된다. 여기에서 통장 반환 요인 키가 눌러지면, 주제어부(38)는 담당자 조작부(7)로부터 통장 반환 요인 키가 선택되었음을 나타내는 정보를 수신한다. 그러면 주제어부(38)는 통장 반환 요인 기억부(32)의 제1 기억영역(32a)에 기억되어 있는 장해요인 데이터를 판독하고, 담당자 조작부(7)에 장해요인 데이터를 송신한다.
담당자 조작부(7)가 장해요인 데이터를 수신하면,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담당자 조작부(7)의 LCD화면(7a)에는, 통장 반환의 일련 번호, 날짜, 시간, 통장이 반환된 요인, 판독한 페이지의 값 및 행의 값이 여러건(본 실시예에서는 10건분) 표시되는 동시에, 종료 키(20), 앞 화면 키(21), 다음 화면 키(22), 인자 키(23), 처치 키(24), 집계 키(33)가 표시된다.
여기에서, 종료 키(20), 앞 화면 키(21), 다음 화면 키(22), 인자 키(23), 처치 키(24)가 눌러졌을 경우에는, 자동거래장치(31)는 실시예 1과 같은 동작을 행한다.
다음에 집계 키(33)가 눌러졌을 경우의 자동거래장치(31)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집계 키(33)가 눌러지면, 주제어부(38)는 통장 반환 요인 기억부(32)의 제2 기억 영역(32b)으로부터 요인별로 나누어 집계된 장해요인 데이터를 고객 조작부(7)에 송신한다. 이에 따라 담당자 조작부(7)의 LCD화면(7a)에는, 도 9에 나타내는 화면이 표시된다. 도 9에 있어서는, 1월 14일부터 1월 20일까지의 1주일분의 장해 건수가 1일마다 요인별로 표시되고 있으며 동시에, 요인별로 1주일분의 합계값이 표시되고 있다. 즉, 1월14일에는, 장해로서 「자기 없음」이 1건, 「미기장 데이터 없음」이 2건 발생하고 있고, 「자기 없음」과 「미기장 데이터 없음」의 항목의 카운트 값이 각각 「1」과 「2」가 되고 있다. 또한 아울러 요인별의 1주일분의 합계값이 계수되어, 예를 들면 1주일분의 「자기 없음」의 장해의 건수를 나타내는 카운트 값은 「8」이 되고 있다.
또한 LCD화면(7a)에는 종료 키(34), 일람 표시 키(35), 인자 키(36), 처치 키(37)가 표시된다.
이 화면에서 일람 표시 키(35)가 눌러지면, 다음 1주일분의 장해 요인별 합계값이 마찬가지로 표시된다. 이와 같이 일람 표시 키(35)가 눌러질 때마다, 1주일분씩 전부 10주일분 장해 요인별 합계값이 표시된다.
또한 인자 키(36)가 눌러지면, 현재의 표시 화면을 레시트에 인자하고, 배출한다. 또한 이 화면에서 종료 키(34)가 눌러지면, 초기 화면으로 되돌아온다.
또한, 처치 키(37)가 눌러지면,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담당자용과 보수원용 각각의 처치 방법이 표시된다. 즉, 처치 키(37)가 눌러지면, 담당자 조작부(7)의 LCD화면(7a)에는, 도 3에 나타내는 화면이 표시된다. 또한, 담당자용 키(18) 혹은 보수원용 키(19)가 눌러졌을 경우의 자동거래장치(31)의 동작은, 실시예 1과 동일하므로 설명은 생략한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있어서는, 소정 기간 내 정상적으로 처리할 수 없어 통장이 반환된 건수를, 반환 요인별로 나누어 집계하고, 담당자 조작부(7)의 LCD화면(7a)에 표시함으로써, 은행원과 보수원은 통장의 반환 요인의 경향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은행원은 자동거래장치(31)의 불량 양태를 정량적으로 알 수 있으므로, 다음 장해가 발생하기 전에, 장해가 발생하기 쉬운 개소에 대응한 처치를 미리 행할 수 있다. 그 결과, 장해가 잘 일어나지 않는 장치로 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 1 및 실시예 2에 있어서는 통장 기장기(4)의 통장의 반환시의 대처방법에 대해 설명하고 있지만, 카드 리더 프린터(3)의 카드의 반환시의 대처방법, 현금 입출금기(5)의 지폐 및 동전의 반환시에 있어서의 대처방법에도 적용할 수 있다.
도 1은 실시예 1의 담당자 조작부의 표시 화면을 나타내는 설명도다.
도 2는 실시예 1의 자동거래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다.
도 3은 실시예 1의 담당자 조작부의 표시 화면을 나타내는 설명도다.
도 4는 실시예 1의 담당자 조작부의 표시 화면을 나타내는 설명도다.
도 5는 실시예 1의 담당자 조작부의 표시 화면을 나타내는 설명도다.
도 6은 실시예 2의 자동거래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다.
도 7은 실시예 2의 통장 반환 요인 기억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다.
도 8은 실시예 2의 담당자 조작부의 표시 화면을 나타내는 설명도다.
도 9는 실시예 2의 담당자 조작부의 표시 화면을 나타내는 설명도다.
[부호의 설명]
1 : 자동거래장치 2 : 주제어부
4 : 통장 기장기 7 : 담당자 조작부
14 : 장해요인 기억부 15 : 통장 제어부
25 : 대처방법 기억부 31 : 자동거래장치
32 : 통장 반환 요인 기억부 38 : 주제어부

Claims (3)

  1. 통장을 받아들여, 소정의 처리를 행하고, 장치 밖으로 배출하여 반환하는 자동거래장치에 있어서,
    정상적으로 처리할 수 없어 통장이 반환되었을 경우에, 상기 반환의 요인을 기억하는 장해요인 기억부와,
    상기 반환의 요인에 따른 대처방법을 기억하는 대처방법 기억부와,
    상기 반환의 요인과 상기 대처방법을 표시하는 표시부와,
    상기 장해요인 기억부와 상기 대처방법 기억부와 상기 표시부에 접속되어 장치전체를 제어하는 주제어부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거래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대처방법 기억부는, 상기 대처방법을 작업자별로 기억하고, 선택된 작업자에 따른 상기 대처방법을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거래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주제어부는, 소정 기간 내에 정상적으로 처리할 수 없어 통장이 반환된 건수를, 반환의 요인별로 나누어 집계하는 통장반환요인 기억부를 구비하고,
    상기 집계한 반환의 요인별 건수를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거래장치.
KR1020080052466A 2007-07-23 2008-06-04 자동거래장치 KR10097446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7-00190826 2007-07-23
JP2007190826A JP2009026193A (ja) 2007-07-23 2007-07-23 自動取引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0879A KR20090010879A (ko) 2009-01-30
KR100974462B1 true KR100974462B1 (ko) 2010-08-10

Family

ID=403979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52466A KR100974462B1 (ko) 2007-07-23 2008-06-04 자동거래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2009026193A (ko)
KR (1) KR10097446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136766B2 (ja) * 2013-08-28 2017-05-31 沖電気工業株式会社 現金処理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38228B1 (ko) 1996-03-28 2002-10-04 가부시끼가이샤 오끼 펌웨어 시스템즈 자동거래장치
US20070000821A1 (en) 2005-06-15 2007-01-04 Akihiro Nagura Bill handling machine
KR100691604B1 (ko) 2003-10-28 2007-03-09 히타치 오므론 터미널 솔루션즈 가부시키가이샤 지폐 취급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753320B2 (ja) * 1989-03-27 1998-05-20 豊田工機株式会社 数値制御装置
JPH0887647A (ja) * 1994-09-19 1996-04-02 Toshiba Corp 自動取引装置の障害管理システム
JPH09128458A (ja) * 1995-10-26 1997-05-16 Hitachi Electron Service Co Ltd 自動取引装置の障害回復誘導方法およびシステム
JP2001331848A (ja) * 2000-05-22 2001-11-30 Oki Electric Ind Co Ltd 自動取引システム
JP2002056438A (ja) * 2000-08-11 2002-02-22 Omron Corp 取引処理装置
JP2002260069A (ja) * 2001-03-02 2002-09-13 Hitachi Ltd 自動機の稼動情報ロギング方法
JP4443091B2 (ja) * 2002-03-20 2010-03-31 日立オムロンターミナル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保守サーバおよび取引処理装置
JP2004005226A (ja) * 2002-05-31 2004-01-08 Fujitsu Ltd 自動取引装置
JP4408360B2 (ja) * 2003-09-25 2010-02-03 日立オムロンターミナル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自動取引装置及び取引システム
JP2006011530A (ja) * 2004-06-22 2006-01-12 Nippon Conlux Co Ltd 自動販売機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38228B1 (ko) 1996-03-28 2002-10-04 가부시끼가이샤 오끼 펌웨어 시스템즈 자동거래장치
KR100691604B1 (ko) 2003-10-28 2007-03-09 히타치 오므론 터미널 솔루션즈 가부시키가이샤 지폐 취급 장치
US20070000821A1 (en) 2005-06-15 2007-01-04 Akihiro Nagura Bill handling machin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0879A (ko) 2009-01-30
JP2009026193A (ja) 2009-0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214049B2 (en) Valuable-medium processing apparatus and valuable-medium processing method
EP2226768A1 (en) Automatic transaction device and method
JP2003308556A (ja) 金融営業店における貨幣処理システム
JP5178012B2 (ja) 自動取引装置
JP2015092308A (ja) 自動取引装置及び自動取引システム
KR100901681B1 (ko) 현금 처리 장치
KR100974462B1 (ko) 자동거래장치
KR100991654B1 (ko) 현금 처리 장치 및 그 출력 방법
JP7441542B2 (ja) 商品販売データ処理装置、商品販売データ処理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JP6436622B2 (ja) 現金処理装置
JP2000099803A (ja) 自動取引装置
JP2006350582A (ja) 自動取引装置
JP6979310B2 (ja) 貨幣処理装置、貨幣処理システム及び貨幣処理方法
WO2020031512A1 (ja) 取引装置
JP5165433B2 (ja) 貨幣取引処理装置
JP6576687B2 (ja) 貨幣処理システム及び貨幣処理方法
JP4706420B2 (ja) 自動取引装置
JP6022238B2 (ja) 貨幣処理機および貨幣処理システム
JP2018073058A (ja) 貨幣処理システムおよび貨幣処理装置
JP2000057416A (ja) 自動取引装置
JP3561402B2 (ja) 紙幣取扱装置および模擬紙幣
JP2550433B2 (ja) 現金自動取引機
JPH0324688A (ja) 自動取引装置
JP2542743B2 (ja) 現金自動取扱装置
JP2019133708A (ja) 商品登録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2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16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