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67374B1 - 이방전도성 접속부재용 고분자 수지 미립자, 전도성 미립자 및 이를 포함한 이방 전도성 접속재료 - Google Patents

이방전도성 접속부재용 고분자 수지 미립자, 전도성 미립자 및 이를 포함한 이방 전도성 접속재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67374B1
KR100667374B1 KR1020040107329A KR20040107329A KR100667374B1 KR 100667374 B1 KR100667374 B1 KR 100667374B1 KR 1020040107329 A KR1020040107329 A KR 1020040107329A KR 20040107329 A KR20040107329 A KR 20040107329A KR 100667374 B1 KR100667374 B1 KR 1006673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ne particles
meth
acrylate
conductive
polymer res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1073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68599A (ko
Inventor
전정배
박진규
이재호
배태섭
Original Assignee
제일모직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일모직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제일모직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1073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67374B1/ko
Priority to PCT/KR2005/002005 priority patent/WO2006065009A1/en
Priority to JP2007542878A priority patent/JP2008521963A/ja
Priority to CN2005800401415A priority patent/CN101065421B/zh
Priority to TW094122120A priority patent/TWI351701B/zh
Publication of KR200600685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685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673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67374B1/ko
Priority to US11/763,521 priority patent/US8129023B2/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3/00Processes of treating or compound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3/12Powdering or granulating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3/0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 H05K3/30Assembling printed circuits with electric components, e.g. with resistor
    • H05K3/32Assembling printed circuits with electric components, e.g. with resistor electrically connecting electric components or wires to printed circuits
    • H05K3/321Assembling printed circuits with electric components, e.g. with resistor electrically connecting electric components or wires to printed circuits by conductive adhesives
    • H05K3/323Assembling printed circuits with electric components, e.g. with resistor electrically connecting electric components or wires to printed circuits by conductive adhesives by applying an anisotropic conductive adhesive layer over an array of pa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0/00Homopolymers and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a salt, anhydride, ester, amide, imide or nitrile thereof
    • C08F20/02Monocarboxylic acids having less than ten carbon atoms, Derivatives thereof
    • C08F20/04Acids, Metal salts or ammonium salts thereof
    • C08F20/06Acrylic acid; Methacrylic acid; Metal salts or ammonium salts thereof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1/00
    • H05K2201/02Fillers; Particles; Fibers; Reinforcement materials
    • H05K2201/0203Fillers and particles
    • H05K2201/0206Materials
    • H05K2201/0221Insulating particles having an electrically conductive coating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1/00
    • H05K2201/02Fillers; Particles; Fibers; Reinforcement materials
    • H05K2201/0203Fillers and particles
    • H05K2201/0206Materials
    • H05K2201/0233Deformable part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9Coated or structually defined flake, particle, cell, strand, strand portion, rod, filament, macroscopic fiber or mass thereof
    • Y10T428/2982Particulate matter [e.g., sphere, flake, etc.]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9Coated or structually defined flake, particle, cell, strand, strand portion, rod, filament, macroscopic fiber or mass thereof
    • Y10T428/2982Particulate matter [e.g., sphere, flake, etc.]
    • Y10T428/2991Coate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9Coated or structually defined flake, particle, cell, strand, strand portion, rod, filament, macroscopic fiber or mass thereof
    • Y10T428/2982Particulate matter [e.g., sphere, flake, etc.]
    • Y10T428/2991Coated
    • Y10T428/2998Coated including synthetic resin or polymer

Abstract

본 발명은 회로 기판의 실장분야에서 사용되고 있는 이방 전도성 접착 필름에 포함되어 있는 이방전도성 접속부재용 이방 전도성 미립자에 관한 것으로서, 형상이 균일하고 입경분포가 좁고, 또한 적당한 압축 변형성 및 변형 회복성을 가지고 접속 기판간에 개재되어 압축되는 때에 접촉면적의 향상을 위해 쉽게 파괴되지 않는 우수한 도전성능을 가지는 전도성 미립자 및 이에 사용되는 고분자 수지 기재 미립자를 제공한다.
고분자 수지 미립자, 전도성 미립자, 이방 전도성 필름, K값, 압축 회복률, 압축 파괴 변형

Description

이방전도성 접속부재용 고분자 수지 미립자, 전도성 미립자 및 이를 포함한 이방 전도성 접속재료{Polymer Particles for Anisotropic Conductive Packaging Materials, Conductive Particles and an Anisotropic Conductive Packaging Materials Containing the Same}
도 1은 본 발명의 이방전도성 접속부재용 전도성 미립자를 이용한 이방 전도성 필름의 전기 접속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호에 대한 간단한 설명 *
1: 전도성 미립자 2: 회로 기판
3: 이방 전도성 접착 필름 4: LCD 기판
11: 고분자 수지 미립자 12: 금속층
21: 범프 전극 31: 절연성 접착 수지
41: 배선 패턴
본 발명은 회로 기판 실장용 전도성 접착제, 이방 전도성 접착 필름, 전도성 접속 구조체 등에 사용되는 전도성 미립자 및 전도성 미립자에 사용되는 고분자 미립자에 관한 것으로서, 입자 직경의 10%가 변형한 때의 10% K값이 250 kgf/㎟ 이상 600 kgf/㎟ 이하이고, 20% 및 30% 압축변형 시의 K값이 상기 10% K값의 70% 이하이고, 압축 회복률이 30% 이하, 압축 파괴 변형이 30%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방전도성 접속부재용 고분자 수지 미립자 및 전도성 미립자에 사용되는 고분자 수지 미립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IC 회로 기판의 접속 전극과 LCD(Liquid Crystal Display) 패널과 같이 회로 기판에 탑재하는 기판의 단자를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위해서는 이방 전도성 접속이 이루어져야 한다. 상기 이방 전도성 접속 재료로는 금속 코팅된 수지 미립자 또는 금속 입자 등의 전도성 미립자를 에폭시, 우레탄, 아크릴 등의 절연성 수지에 분산시킨 필름상의 접착제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방 전도성 접속 재료는 접속하고자 하는 전극과 단자 사이에 위치시키고 가열 및 압착하여 접착시키면 전극과 단자 사이에 전도성 미립자가 끼워지는 방식으로, 가압하는 방향으로 전기적 통전이 발생하게 되고 가압 방향의 수직방향으로는 절연성 접착제의 절연 성분에 의해 절연 상태가 유지된다.
이러한 이방 전도성 접속이 요구되는 LCD 패키징에 있어서는, LCD 기술의 발전에 따라 접속 피치(pitch)의 미세화, IC bump의 미소화 및 기판 위에 인쇄된 리드(lead) 수의 증가 추세와 더불어 전기적인 접속 신뢰성의 향상도 꾸준히 요구되고 있다. 이러한 기술적 요구에 따라 이방 전도성 필름 중에 함유되는 전도성 미립 자는 균일 입경화, 소입경화 하는 필요가 크게 증가하였고, 또한 적당한 압축 변형성 및 변형 회복성을 가지고 접속 기판간에 개재되어 압축되는 때에 접촉면적의 향상을 위해 쉽게 파괴되지 않는 도전성능도 매우 중요하게 요구되고 있다. 이러한 전도성 미립자로는 니켈, 금, 은 등의 금속 입자와 기재 미립자에 금속 코팅된 입자가 사용될 수 있으나, 금속 입자는 형상이 불균일하고 접착 수지에 분산시켜 사용하는 경우에 수지에 비하여 비중이 너무 크기 때문에 분산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었다.
이로 인해 미세 전극의 접속 및 높은 접속 신뢰성을 요구하는 실장 분야에 있어서는 형상이 균일하고 입경분포가 비교적 좁으며 도전성능이 우수한, 수지 미립자 기재에 도금층이 형성된 전도성 미립자가 널리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실제로 지금까지 수지 미립자에 도금한 형태의 전도성 미립자에 관한 많은 연구가 있었고, 특별히 압축 변형 시의 미립자 특성에 대해서 전극과의 접촉 및 접속신뢰성 향상의 측면에서 상당한 연구가 이루어져 왔다.
일본 특허 특개소63-107188호에는 압축강도가 500 kg/㎠ 이상이고 압축탄성률이 80×103 kg/㎠ 인 고강도, 고탄성의 전도성 미립자를 사용하는 것이 개시되어 있다. 그리고 PCT 특허 WO 92/06402호에는 LCD용 스페이서로 사용되는 단분산 수지 미립자를 기재로 한 스페이서 및 전도성 미립자를 개시하고 있는데, 전도성 미립자를 이용하여 서로 마주보는 전극간을 압축하여 접속하는 때에 전극간의 갭 제어가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수지 미립자의 10% 압축변형 시의 압축경도(10% K값)은 250 kgf/㎟ 이상 700 kgf/㎟ 이하가 바람직하고, 압축 후에 전극에 대한 전도성 미립자의 접촉 면적을 넓게 하기위해서 수지 미립자의 압축 변형후의 회복률은 30% 이상 80% 이하가 바람직하다고 개시하고 있다.
또한, 일본 특허 특개평7-256231호는 전극간의 온도 변화, 접힘, 기계적 충격 등에 대한 도전불량을 해소하기 위해 10% 압축변형 시의 K값이 700 kgf/㎟ 이상 1000 kgf/㎟ 이하이고 20℃에서의 변형 회복률이 65% 이상 95% 이하인 전도성 미립자를 개시하고 있다.
뿐만 아니라, 일본 특허 특개평11-125953호 및 특개2003-313304호 등은 접속신뢰성의 향상을 위해 10% 압축변형 시의 K값이 250 kgf/㎟ 이하이고 압축 변형 회복률이 30% 이상인 전도성 미립자를 개시하고 있다.
상기의 특허들에서는 전도성 미립자가 다양한 경도 영역에서 대부분 압축 변형후의 회복률이 높을수록 전극과의 접촉 면적의 향상 등 우수한 도전성능을 발현한다고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전도성 미립자가 경화형 접착 바인더 수지에 분산되어 열압착에 의하여 전극간을 접속할 때, 경화하는 바인더 수지의 접착력 및 미립자의 전극에 대한 접촉이 충분하지 못하게 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게 된다. 더욱이 최근에는 이방 전도성 접착 필름을 저온에서 단시간에 속경화하는 공정이 점차 늘어나고 있는데, 이러한 짧은 접속 조건으로 인해 바인더 수지가 빠르게 경화되는데 반해 전도성 미립자는 충분히 전극에 접촉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또한, COG(Chip on Glass) 용도의 접속 필름과 같이 전도성 미립자의 함량이 수십 %로 크게 증가된 이방 전도성 재료에 있어서는, 다량의 고탄력성 전도성 미립자가 전극간에 개재됨으로써 접속 필름의 접착을 국소적 또는 전반적으로 저하시키거나 이로 인하여 장기적으로는 접속신뢰성을 저하시키는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그리고 전극 패턴의 미소화, 피치의 미세화와 더불어 ITO 전극과 같이 상대적으로 강도가 약한 배선 패턴을 접속하는 경우에는, 배선 패턴에 영향을 주지 않기 위해서 보다 낮은 압력에서 접속하는 공정이 필요로 하게 되고 이러한 저압 접속조건에서 고탄성의 전도성 미립자는 접착 및 접속신뢰성을 더 크게 저하시킨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형상이 균일하고 입경분포가 좁고, 또한 적당한 압축 변형성 및 변형 회복성을 가지고 접속 기판간에 개재되어 압축되는 때에 접촉면적의 향상을 위해 쉽게 파괴되지 않는 우수한 도전성능을 가지는 이방전도성 접속부재용 전도성 미립자 및 이에 사용되는 고분자 수지 미립자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전기적 접속신뢰성이 우수한 특성을 지닌 전도성 미립자 및 이를 이용한 이방 전도성 접속재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입자 직경의 10%가 변형한 때의 10% K값이 250 kgf/㎟ 이상 600 kgf/㎟ 이하이고, 20% 및 30% 압축변형 시의 K값이 상기 10% K값의 70% 이하이고, 압축 회복률이 30% 이하, 압축 파괴 변형이 30%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방전도성 접속부재용 고분자 수지 미립자를 제공한다.
상기 고분자 수지 미립자의 10% K값이 350∼550 kgf/㎟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상기 고분자 수지 미립자는 평균입경이 0.1∼200 ㎛ 이고, 종횡비가 1.5 미만, CV값이 20%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분자 수지 미립자는 디비닐벤젠, 1,4-부탄디올 디(메타)아크릴레이트, 1,6-헥산디올 디(메타)아크릴레이트, 1,9-노난디올 디(메타)아크릴레이트, 알릴 (메타)아크릴레이트, 디비닐술폰, 디알릴 프탈레이트, 디알릴아크릴아미드, 트리알릴 (이소)시아누레이트, 트리알리 트리멜리테이트 등의 알릴 화합물과, (폴리)에틸렌 글리콜 디(메타)아크릴레이트, (폴리)프로필렌 글리콜 디(메타)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릴트리톨 테트라(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의 (폴리)알킬렌 글리콜 디(메타)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릴트리톨 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릴트리톨 디(메타)아크릴레이트, 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디트리메톡시프로판 테트라(메타)아크릴레이트, 테트라메틸올프로판 테트라(메타)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릴트리톨 헥사(메타)아크릴레이트, 이펜타에릴트리톨 펜타(메타)아크릴레이트, 글리세롤 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가교중합성 단량체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분자 수지 미립자는 스티렌, 에틸 비닐 벤젠, α-메틸 스티렌, m-클 로로메틸 스티렌, 등의 스티렌계 단량체와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프로필(메타)아크릴레이트, n-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t-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메타)아크릴레이트, n-옥틸(메타)아크릴레이트, 라우릴(메타)아크릴레이트, 스테아릴(메타)아크릴레이트, 에틸렌글리콜 (메타)아크릴레이트, 글리시딜 (메타)아크릴레이트, 염화비닐, 아크릴산 에스테르, 아크릴로니트릴, 비닐 아세테이트, 비닐 프로피오네이트, 비닐 부티레이트, 비닐 에테르, 알릴 부틸 에테르, 부타디엔, 이소프렌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중합성 불포화 단량체를 공중합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분자 수지 미립자는 시드 중합법에 의해 제조된 것으로서, 고분자 시드 입자의 분자량은 1,000∼30,000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시드 중합법에 있어, 중합성 단량체의 전체 함량은 상기 고분자 시드 입자 1중량부에 대하여 10∼300 중량부로 팽윤시킨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고분자 수지 미립자를 기재로 하고, 그 기재 미립자의 표면에 금속 도전층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방전도성 접속부재용 전도성 미립자를 제공한다.
상기 전도성 미립자의 도전층은 니켈(Ni), 금(Au), 은(Ag), 동(Cu), 백금(Pt), 팔라듐(Pd), 코발트(Co), 주석(Sn), 인듐(In), 인듐 틴 옥사이드(Indiun Tin Oxide, ITO)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금속으로 이루어져 있고, 금속 도전층의 두께는 0.01∼5 ㎛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전도성 미립자의 금속 도전층은 니켈/금, 니켈/백금, 니켈/은으로 이루 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이상의 이중 금속층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전도성 미립자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방 전도성 접속재료를 제공한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내용을 하기에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이방전도성 접속부재용 전도성 미립자는 고분자 수지 기재 미립자와 상기 기재 미립자의 표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금속층이 코팅되어 이루어져 있고, 이러한 전도성 미립자는 회로기판의 실장분야에 있어 미세 전극간을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구조체, 이방 전도성 접착 필름 등에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회로기판 실장용 이방 전도성 접착제, 이방전도성 접착필름등을 통칭하여 이방전도성 접속부재라 하며, 이는 필름형태일수도 있고, 접착제 형태일 수도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전도성 미립자에 사용되는 고분자 수지 미립자는 상기에서 언급한 전기적 접속재료에 사용되는 때에 우수한 도전성능을 나타내기 위해서 적정한 범위의 K값과 압축변형 회복률 및 압축 파괴 변형을 가지게 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K값은 미소 압축 시험기(일본 시마즈 제작소의 MCT-W 시리즈)를 이용하여 측정한 값으로, 직경 50 ㎛의 평활한 상부 가압 압자와 하부 가압판 사이에 단일 미립자를 고정시키고 압축속도 0.2275 gf/sec, 최대 시험 하중 5 gf에서 압축하여 얻은 하중치 및 압축 변위를 이용하여 아래의 수학식1로 계산되는 값이다.
Figure 112004059480251-pat00001
여기서, F 는 압축변형 x%에 있어서의 하중치(kg), S x% 압축변형에 있어서의 압축변위(mm)이고 R 은 미립자의 반경(mm)이다.
본 발명의 고분자 수지 미립자에 있어서, 앞서 기술한 바와 같이 미립자의 10% 압축변형 시의 K값은 250 kgf/㎟ 이상 600 kgf/㎟ 이하의 범위이다. 상기 범위의 미립자를 사용한 경우, 서로 마주보는 전극을 접속하는 때에 미립자에 의한 전극의 손상이 없고 전극간에 개재되어 균일한 갭 크기로 접속하는 것이 가능하다. 보다 바람직한 전도성 미립자의 10% K값은 350 kgf/㎟ 이상 550 kgf/㎟ 이하의 범위이다. 10% K값이 600 kgf/㎟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전극간에 개재된 전도성 미립자가 용이하게 변형하기가 어렵고, 이에 따라 전극 표면과 전도성 미립자와의 접촉면적이 충분히 넓어지지 않음으로써 접속저항을 저하시키는 것이 어렵게 된다. 또한 이 영역의 고분자 수지 미립자는 너무 경질이어서 접속저항을 낮추기 위해 압착력을 증가시키는 경우에 전극의 표면을 손상시킬 우려가 높아지게 된다. 반면, 미립자의 10% K값이 250 kgf/㎟ 미만인 경우에는 인가된 압력에 의하여 종종 과도한 변형이 일어나게 되기 쉽고, 그 결과 미립자로부터 도전층이 박리하거나 과도한 편평화에 의해 상하 전극간 거리가 충분히 확보되지 못함으로써 접착력 및 접속 신뢰성에 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
일반적으로 10% K값은 미립자의 경도를 보편적 또는 정량적으로 표현한 것이지만, 단순히 10% K값만을 가지고 압축에 대한 미립자의 변형성을 정확하게 평가할 수는 없다. 따라서 20% 및 30%의 압축변형에 있어서의 K값을 동시에 고려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전도성 미립자(1)가 이방 전도성 필름(3) 내에 분산되어, 회로 기판(2)과 유리 기판(4)의 전극 사이에 개재된 전기접속 구조체의 단면도이다.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도성 미립자(1)가 충분히, 그러나 전극간 갭을 균일하게 유지하면서 변형함으로써 전극과의 접촉면적을 안정적으로 극대화시키기 위해서는, 압축 초기에는 미립자가 어느 정도 경질성을 가져야 하고 이후 압축에 따라서 지속적으로 변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고분자 수지 미립자(11)의 20% K값 및 30% K값은 압축에 따른 초기 경질성에 대한 대표값인 10% K값의 70% 이하의 수준으로 유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60% 이하의 수준으로 유지되는 것이 압축에 따른 충분한 변형성을 부여하는데에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압축 회복률이란 상기의 미소 압축 시험기에서 정점 하중 1.0 gf까지 압축한 뒤 다시 원점의 0.1 gf까지 하중을 제거함으로써, 하중을 가하고 줄이는 때의 하중과 압축 변위와의 관계를 측정하여 얻는 값으로, 부하 시 정점 하중까지의 변위(L1)에 대한 정점 하중에서부터 원점 하중까지의 변위(L2)를 L2/L1 % 비율로 나타낸 것이다. 상기 부하 및 제하 시의 압축속도는 0.1517 gf/sec 이었다.
본 발명에 있어서, 고분자 수지 미립자(11)의 압축 회복률은 접착 안정화, 전극과의 접촉면적의 극대화 및 접속신뢰성의 향상을 위해 30% 이하로 제한된다. 바람직한 것은 압축 회복률이 5% 이상, 30% 이하인 영역으로, 회복률이 거의 0%에 미치는 미립자는 온도에 따라서 접착 수지와의 탄성 차이가 지나치게 커지게 되어 그 도전성능이 조금은 저하될 우려가 있다. 이러한 미립자의 변형 회복성에 대한 한정은 아주 일반적인 것은 아니지만, 본 발명에 있어서 나타나는 미립자의 압축에 대한 변형성을 같이 고려하는 경우에는 그 의미가 매우 크다고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압축 파괴 변형도 마찬가지로 동일한 압축 시험기로 측정하여 얻는 값으로, 미립자가 파괴한 시점에서의 변위량(Ld)을 미립자의 직경에 대한 비율 Ld/D %로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 압축 시 전도성 미립자(1)가 충분히 변형하여 접속저항을 낮추기 위해서는 압축에 따라서 쉽게 파괴되지 않아야 하므로 압축 파괴 변형을 30% 이상으로 한정한다. 압축 파괴 변형이 40%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고분자 수지 미립자(11)의 입경은 0.1∼200 ㎛인 것이 바람직하고, 1∼20 ㎛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미립자의 입경이 0.1 ㎛ 미만이면 미립자의 응집이 크게 발생하는 문제가 생기고, 입경이 200 ㎛를 초과하는 기재 미립자를 사용한 전도성 미립자는 최근의 미세 실장용 재료에 사용할 실익이 적다.
상기 고분자 수지 미립자(11)는 구상의 미립자로서 접속신뢰성을 저하시키지 않기 위해서 종횡비가 1.5 미만이고 입경의 변동계수인 CV값이 2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종횡비는 단일 미립자의 최장축 직경 대 최단축 직경의 비율이고, CV값이란 입경의 표준편차를 평균 입경으로 나눈 것에 대한 % 값이다. 미립자의 종횡비가 1.3 미만이고 CV값이 10%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전도성 미립자(1)는 고분자 수지 미립자(11) 기재의 표면에 금속층(12)이 코팅되어 있는 형태로, 상기에서 나타낸 전도성 미립자(1)의 압축에 대한 변형성 및 회복성 등에 대한 특성은 실제로 그 기재가 되는 고분자 수지 미립자(11)에 크게 의존하고 있다.
상기와 같은 고분자 수지 기재 미립자(11)는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 염화 비닐, 폴리스티렌, 폴리테트라플루오로 에틸렌,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아미드, 폴리이미드, 폴리술폰, 폴리페닐렌 옥사이드, 폴리아세탈, 우레탄 수지,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 (메타)아크릴레이트 수지, 스티렌계 수지, 부타디엔 수지, 에폭시 수지, 페놀 수지, 멜라민 수지 등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중에서 스티렌계 수지 또는 (메타)아크릴레이트 수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가교중합성 단량체를 포함하는 중합체 수지를 사용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가교중합성 단량체는 디비닐벤젠, 1,4-부탄디올 디(메타)아크릴레이트, 1,6-헥산디올 디(메타)아크릴레이트, 1,9-노난디올 디(메타)아크릴레이트, 알릴 (메타)아크릴레이트, 디비닐술폰, 디알릴 프탈레이트, 디알릴아크릴아미드, 트리알릴 (이소)시아누레이트, 트리알리 트리멜리테이트 등의 알릴 화합물과, (폴리)에틸렌 글리콜 디(메타)아크릴레이트, (폴리)프로필렌 글리콜 디(메타)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릴트리톨 테트라(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의 (폴리)알킬렌 글리콜 디(메타)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릴트리톨 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릴트리톨 디(메타)아크릴레이트, 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테트라메틸올메탄 테트라(메타)아크릴레이트, 테트라메틸올프로판 테트라(메타)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릴트리톨 헥사(메타)아크릴레이트, 이펜타에릴트리톨 펜타(메타)아크릴레이트, 글리세롤 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등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가교중합성 단량체와 병용되는 단량체는 상기 가교중합성 단량체와 공중합 가능한 중합성 불포화 단량체로서 스티렌, 에틸 비닐 벤젠, α-메틸 스티렌, m-클로로메틸 스티렌, 등의 스티렌계 단량체와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프로필(메타)아크릴레이트, n-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t-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메타)아크릴레이트, n-옥틸(메타)아크릴레이트, 라우릴(메타)아크릴레이트, 스테아릴(메타)아크릴레이트, 에틸렌글리콜 (메타)아크릴레이트, 글리시딜 (메타)아크릴레이트, 염화비닐, 아크릴산 에스테르, 아크릴로니트릴, 비닐 아세테이트, 비닐 프로피오네이 트, 비닐 부티레이트, 비닐 에테르, 알릴 부틸 에테르, 부타디엔, 이소프렌 등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사용되는 중합체 수지 미립자는 현탁중합법(suspension polymerization), 분산중합법(dispersion polymerization), 시드 중합법(seeded polymerization), 무유화 중합법(soap-free emulsion polymerization) 등을 사용하여 제조 할 수 있다. 발명에서는 시드(seeded) 중합법을 사용하여 입경분포가 균일한 고분자 수지 미립자를 제조하였다.
상기 시드(seeded) 중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우선 입경이 균일한 고분자 시드 입자가 분산된 수상에 유용성 개시제가 녹아 있는 (가교)중합성 불포화 단량체의 수성 에멀젼(emulsion)을 첨가하여 시드 입자 내부로 상기 (가교)중합성 불포화 단량체를 흡수시킨 후, (가교)중합성 불포화 단량체를 중합시키는 것에 의해 고분자 수지 미립자를 얻을 수 있다. 상기 고분자 시드 입자의 분자량은, 시드 중합법에 의해 최종 형성되는 중합체 수지 미립자의 상분리 및 기계적 물성의 크게 영향을 미치므로 1,000∼30,000 범위에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3,000∼20,000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가교)중합성 불포화 단량체의 전체 함량은 고분자 시드 입자 1중량부에 대하여 10∼300 중량부 흡수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분자 수지 미립자에 제조에 사용되는 사용되는 개시제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유용성 라디칼 개시제로서, 구체적으로는 벤조일 퍼옥시드, 라우릴 퍼옥 시드, o-클로로벤조일 퍼옥시드, o-메톡시벤조일 퍼옥시드, t-부틸퍼옥시-2-에틸헥사노에이트, t-부틸 퍼옥시이소부티레이트, 1,1,3-3-테트라메틸부틸퍼옥시-2-에틸헥사노에이트, 디옥타노일 퍼옥시드, 디데카노일 퍼옥시드 등과 같은 퍼옥시드계의 화합물과 2,2'-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 2,2'-아조비스(2-메틸부티로니트릴), 2,2'-아조비스(2,4-디메틸발레로니트릴) 등과 같은 아조 화합물을 포함하고, 그 사용량은 통상 단량체에 대하여 0.1∼20 중량 %가 바람직하다.
상기 고분자 수지 미립자를 중합하는 과정에 있어서, 라텍스의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필요에 따라서 계면활성제 및 분산안정제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계면활성제로 사용되는 것은, 예를 들어 음이온계, 양이온계, 비이온계 등의 통상의 계면활성제가 가능하다.
또한 상기 분산안정제로는 중합 매체에 녹거나 분산될 수 있는 물질로서, 구체적으로는 젤라틴, 스타치, 메틸셀룰로오즈, 에틸셀룰로오즈, 히드록시에틸셀룰로오즈,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즈, 폴리비닐피롤리돈, 폴리비닐 알킬 에테르, 폴리비닐 알콜, 폴리아크릴산, 폴리아크릴아미드, 폴리에틸렌 옥사이드, 폴리메타크릴산 나트륨 등의 수용성 고분자와 황산 바륨, 유산 칼슘, 탄산 칼슘, 인산 칼슘, 유산 알루미늄, 탈크, 점토, 규조토, 금속 산화물 분말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1 종 또는 2 종 이상을 병행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분산안정제의 함량은 중합 과정에서 생성된 고분자 미립자가 중력에 의한 침적이나 입자간 응집을 억제할 수 있을 정도의 양으로 사용되며, 전체 반응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약 0.01∼15 중량부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전도성 미립자(1)는 고분자 수지 미립자(11) 표면에 금속층(12)을 코팅함으로써 제조할 수 있고, 상기 금속층(12)에 사용되는 금속으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니켈(Ni), 금(Au), 은(Ag), 동(Cu), 백금(Pt), 팔라듐(Pd), 코발트(Co), 주석(Sn), 인듐(In), 인듐 틴 옥사이드(Indiun Tin Oxide, ITO) 및 이들을 주성분으로 다층복합 금속 등을 사용 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전도성 미립자(1)는 고분자 수지 미립자(11)의 표면에 니켈 도금한 후 금을 도금한 2중 구조의 금속층(12)을 가지는데, 상기 금을 대신하여 백금(Pt)이나 은(Ag) 등의 다른 전도성 금속을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기재 미립자에 금속층을 코팅하는 방법으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무전해 도금법에 의한 코팅, 금속 분체를 이용한 코팅, 진공 증착, 이온 도금법, 이온 스퍼터링법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무전해 도금법에 의한 전도성 미립자의 제조는, 구체적으로 기재 미립자의 표면에 탈지, 에칭(etching), 감수화 처리(sensitizing), 촉매화 처리 (catalyzing), 환원제 처리 등의 제 1단계 전처리 과정 후, 무전해 니켈(Ni) 도금 및 수세(washing)의 제 2단계, 그리고 마지막으로 금(Au) 치환 도금의 3단계를 거쳐 이루어진다.
상기의 무전해 도금 공정을 좀 더 상세히 기술하자면, 고분자 수지 미립자를 적당한 농도의 계면활성제 용액에 침지하여 표면 세척 및 탈지 처리를 실시한다. 이 후, 크롬산과 황산의 혼합용액을 이용, etching 처리하여, 모재 미립자 표면에 anchor를 형성한다. 이후, 이 표면 처리된 수지 기재 미립자를 염화주석 및 염화팔 라듐 용액에 침지하여 표면에 촉매화 처리 및 활성화 처리를 하면, 기재 미립자의 표면에 팔라듐 촉매의 미세 핵이 형성되는데, 차아인산 나트륨, 수소화 붕소나트륨, 디메틸 아민 보란, 히드라진 등으로 계속 환원 반응을 시키면, 수지 미립자 상에 균일한 팔라듐의 핵이 형성되는 것이다. 이렇게 팔라듐의 핵이 형성된 기재 미립자를 무전해 니켈 도금액에 분산시킨 후 차아인산 나트륨 등으로 니켈염을 환원하여 니켈 도금층을 형성시킨다. 이후, 상기 니켈 도금된 미립자를 일정 농도의 무전해 금 도금액에 투입하여 금의 치환 도금 반응을 유도하면 최외각 층에 금이 석출된 도금 피막층이 형성된다.
본 발명의 전도성 미립자(1)에 있어서, 전도성 금속층(12)의 두께는 0.01∼5 ㎛이 바람직하다. 상기 금속층의 두께가 0.01 ㎛ 미만이면 원하는 도전성을 얻기가 힘들고, 반대로 금속층의 두께가 5 ㎛를 초과하면 두꺼운 금속층에 의하여 미립자의 변형성 및 유연성, 회복성이 제대로 발현되지 않고, 또한 전극 접속용 재료에 사용하는 때에 입자간의 응집이 쉽게 발생하여 우수한 도전성능을 가지기가 어렵기 때문이다.
본 발명은 하기의 실시예에 의하여 보다 더 잘 이해될 수 있으며,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예시 목적을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의 보호범위를 한정하거나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1) 시드(seed) 입자의 합성
스티렌 단량체 30 중량부, 개시제로 2,2'-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 6 중량부, 분산안정제로 폴리비닐피롤리돈(분자량 40,000) 18.7 중량부, 반응 매체로 메탄올 190 중량부와 초순수 15 중량부를 혼합한 용액을 정량하여 반응기 내에 투입하고, 이어서 70℃, 질소 분위기 하에서 24시간 중합반응을 행하여 시드 입자를 제조하였다. 제조된 폴리스티렌 시드 입자는 초순수와 메탄올로 수 회 세척한 후, 진공 동결건조기에서 건조시켜 분말 형태로 얻었다. 제조된 시드 입자의 평균 입경은 1.15 ㎛, CV값은 4.1%, 분자량은 15,500으로 각각 측정되었다.
(2) 고분자 수지 기재 미립자의 합성
상기 제조된 시드 입자 2 중량부를 0.2 중량% 소듐 라우릴 설페이트 (SLS) 수용액 450 중량부에 균일하게 분산시킨다. 이어서 0.2 중량% SLS 수용액 300 중량부에 벤조일 퍼옥시드 개시제 1 중량부가 녹아 있는 스티렌 90 중량부와 디비닐벤젠 10 중량부의 혼합 단량체를 호모게나이저로 10분간 유화시키고 시드 입자 분산액에 첨가하여 상온에서 팽윤시켰다. 단량체 팽윤이 종료됨을 확인한 후, 검화도 88% 내외의 폴리비닐알코올 5 중량% 수용액 500 중량부를 첨가하고, 반응기의 온도를 80℃로 높이고 중합하였다. 상기로부터 제조된 스티렌-디비닐벤젠 공중합체 수지 미립자는 초순수와 에탄올을 이용하여 수 회 세척한 후 상온에서 진공 건조하였다.
(3) 전도성 미립자의 제조 및 평가
상기 제조된 고분자 수지 미립자를 수산화나트륨염 용액에서 에칭하고, 염화 팔라듐 용액에 침지, 환원처리에 의하여 팔라듐의 미세 핵을 표면에 형성시키고, 무전해 니켈 도금을 행한 후 금 치환도금에 의하여 니켈/금 도금층이 형성된 전도성 미립자를 얻었다. 이어서, 제조된 전도성 미립자의 K값 및 압축 회복률을 측정하고 그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4) 이방 전도성 접속구조체의 제조 및 평가
에폭시당량 6000의 비스페놀 A형 에폭시수지 15 중량부 및 경화제인 2-메틸이미다졸 7 중량부를 톨루엔 및 메틸에틸케톤의 혼합용매에 용해시킨 후, 상기 제조한 전도성 미립자를 10 중량%의 함량으로 실란계 커플링제와 함께 잘 분산시킨 다음 이형 PET 필름 위에 코팅하고 건조시켜 두께 25 ㎛의 필름을 제조하였다.
이렇게 제조된 이방 전도성 접착 필름을 범프(bump) 높이 40 ㎛, IC 칩 크기 6 ㎜×㎜, 구리 및 금 도금으로 8 ㎛ 두께의 배선패턴을 형성한 BT수지 0.7 ㎜ 두께의 기판, 피치(pitch) 100 ㎛로 하고, IC 칩과 기판 사이에 본 발명에 따른 이방 전도성 필름을 기재시킨 상태에서, 온도 180 ℃, 압력 3 MPa 하에서 10초간 가열 및 가압하여 압착시킴으로써 전기적 접속 구조체를 제조하였다.
이어서 상기 접속 샘플의 상하 전극간의 전기저항을 측정하는 경우, 20개의 각각의 인접하는 상하 전극간 전기저항을 측정하고 그 평균치를 계산하여 접속저항으로 나타내고, 그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또한 이 접속 샘플을 85℃, 상대습 도 85%RH, 1,000시간 동안 에이징(aging)한 후, 저항상승치로 접속 신뢰성을 평가하였다. ◎:저항상승치 0.1Ω 이하, △: 저항 상승치 0.1Ω 초과 0.3Ω이하, ×:저항상승치 0.3Ω 초과.
<실시예 2>
고분자 수지 미립자의 합성에 있어서, 스티렌 90 중량부와 디비닐벤젠 10 중량부 대신에 스티렌 80 중량부와 1,4-부탄디올 디아크릴레이트 20 중량부를 이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고분자 수지 미립자 및 전도성 미립자를 얻고, 얻어진 전도성 미립자 및 이를 이용한 접속구조체에 대하여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평가하여 그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3>
고분자 수지 미립자의 합성에 있어서, 스티렌 90 중량부와 디비닐벤젠 10 중량부 대신에 스티렌 80 중량부와 1,6-헥산디올 디메타크릴레이트 20 중량부를 이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고분자 수지 미립자 및 전도성 미립자를 얻고, 얻어진 전도성 미립자 및 이를 이용한 접속구조체에 대하여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평가하여 그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4>
고분자 수지 미립자의 합성에 있어서, 스티렌 90 중량부와 디비닐벤젠 10 중 량부 대신에 스티렌 80 중량부와 에틸렌글리콜 디메타크릴레이트 20 중량부를 이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고분자 수지 미립자 및 전도성 미립자를 얻고, 얻어진 전도성 미립자 및 이를 이용한 접속구조체에 대하여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평가하여 그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비교실시예 1>
고분자 수지 미립자의 합성에 있어서, 스티렌 90 중량부와 디비닐벤젠 10 중량부 대신에 디비닐벤젠 100 중량부를 이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고분자 수지 미립자 및 전도성 미립자를 얻고, 얻어진 전도성 미립자 및 이를 이용한 접속구조체에 대하여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평가하여 그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비교실시예 2>
고분자 수지 미립자의 합성에 있어서, 스티렌 90 중량부와 디비닐벤젠 10 중량부 대신에 테트라메틸올프로판 테트라아크릴레이트 80 중량부와 아크릴로니트릴 20 중량부를 이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고분자 수지 미립자 및 전도성 미립자를 얻고, 얻어진 전도성 미립자 및 이를 이용한 접속구조체에 대하여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평가하여 그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Figure 112004059480251-pat00002
상기 실시예 1∼4 및 비교실시예 1∼2의 실험결과로부터, 본 발명에 따른 변형성 및 회복성이 적절한 전도성 미립자 및 이를 함유한 이방 전도성 접착 필름은 변형성이 비교적 낮고 회복성이 높은 전도성 미립자 및 이를 함유한 이방 전도성 접착 필름과 비교할 때 훨씬 우수한 접속저항 및 접속신뢰성을 나타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발명의 전도성 미립자는, 입자 직경의 10%가 변형한 때의 10% K값이 250∼700 kgf/㎟이고, 20% 및 30% 압축변형 시의 K값(20% K값 및 30% K값)이 상기 10% K값의 70% 이하, 압축 회복률이 30% 이하, 압축 파괴 변형이 30% 이상인 고분자 수지 미립자를 그 기재로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적당한 압축 변형성 및 회복성을 가지고, 회로 기판 등의 전극간에 개재되는 때에 일정한 갭 크기를 유지하면서 접촉면적의 향상을 도모함으로써 우수한 접속저항 및 접속신뢰성을 나타낸다.

Claims (14)

  1. 입자 직경의 10%가 변형한 때의 10% K값이 250 kgf/㎟ 이상 600 kgf/㎟ 이하이고, 20% 및 30% 압축변형 시의 K값이 상기 10% K값의 70% 이하이고, 압축 회복률이 30% 이하, 압축 파괴 변형이 30%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방전도성 접속부재용 고분자 수지 미립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분자 수지 미립자의 10% K값이 350∼550 kgf/㎟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방전도성 접속부재용 고분자 수지 미립자.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분자 수지 미립자는 평균입경이 0.1∼200 ㎛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방전도성 접속부재용 고분자 수지 미립자.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분자 수지 미립자는 종횡비가 1.5 미만, CV값이 20%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방전도성 접속부재용 고분자 수지 미립자.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분자 수지 미립자는 디비닐벤젠, 1,4-부탄디올 디(메타)아크릴레이트, 1,6-헥산디올 디(메타)아크릴레이트, 1,9-노난디올 디(메타)아크릴레이트, 알릴 (메타)아크릴레이트, 디비닐술폰, 디알릴 프탈레이트, 디알릴아크릴아미드, 트리알릴 (이소)시아누레이트, 트리알리 트리멜리테이트 등의 알릴 화합물과, (폴리)에틸렌 글리콜 디(메타)아크릴레이트, (폴리)프로필렌 글리콜 디(메타)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릴트리톨 테트라(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의 (폴리)알킬렌 글리콜 디(메타)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릴트리톨 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릴트리톨 디(메타)아크릴레이트, 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디트리메톡시프로판 테트라(메타)아크릴레이트, 테트라메틸올프로판 테트라(메타)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릴트리톨 헥사(메타)아크릴레이트, 이펜타에릴트리톨 펜타(메타)아크릴레이트, 글리세롤 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가교중합성 단량체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방전도성 접속부재용 고분자 수지 미립자.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분자 수지 미립자는 스티렌, 에틸 비닐 벤젠, α-메틸 스티렌, m-클로로메틸 스티렌, 등의 스티렌계 단량체와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프로필(메타)아크릴레이트, n-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t-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메타)아크릴레이트, n-옥틸(메타)아크릴레이트, 라우릴(메타)아크릴레이트, 스테아릴(메타)아크릴레이트, 에틸렌글리콜 (메타)아크릴레이트, 글리시딜 (메타)아크릴레이트, 염화비닐, 아크릴산 에스테르, 아크릴로니트릴, 비닐 아세테이트, 비닐 프로피오네이트, 비닐 부티레이트, 비닐 에테르, 알릴 부틸 에테르, 부타디엔, 이소프렌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중합성 불포화 단량체를 공중합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방전도성 접속부재용 고분자 수지 미립자.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분자 수지 미립자는 시드 중합법에 의해 제조된 것으로서, 고분자 시드 입자의 분자량은 1,000∼30,00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방전도성 접속부재용 고분자 수지 미립자.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시드 중합법에 사용되는 중합성 단량체의 전체 함량은 상기 고분자 시드 입자 1 중량부에 대하여 10∼300 중량부로 팽윤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방전도성 접속부재용 고분자 수지 미립자.
  10. 제1항 내지 제2항, 제4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의 이방전도성 접속부재용 고분자 수지 미립자를 기재로 하고, 그 기재 미립자의 표면에 금속 도전층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방전도성 접속부재용 전도성 미립자.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전도성 미립자의 도전층은 니켈(Ni), 금(Au), 은(Ag), 동(Cu), 백금(Pt), 팔라듐(Pd), 코발트(Co), 주석(Sn), 인듐(In), 인듐 틴 옥사이드(Indiun Tin Oxide, ITO)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금속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방전도성 접속부재용 전도성 미립자.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전도성 미립자의 금속 도전층은 니켈/금, 니켈/백금, 니켈/은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이상의 이중 금속층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방전도성 접속부재용 전도성 미립자.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전도성 미립자의 금속 도전층의 두께는 0.01∼5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방전도성 접속부재용 전도성 미립자.
  14. 제10항의 전도성 미립자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방 전도성 접속재료.
KR1020040107329A 2004-12-16 2004-12-16 이방전도성 접속부재용 고분자 수지 미립자, 전도성 미립자 및 이를 포함한 이방 전도성 접속재료 KR1006673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07329A KR100667374B1 (ko) 2004-12-16 2004-12-16 이방전도성 접속부재용 고분자 수지 미립자, 전도성 미립자 및 이를 포함한 이방 전도성 접속재료
PCT/KR2005/002005 WO2006065009A1 (en) 2004-12-16 2005-06-27 Polymer particles, conductive particles, and an anisotropic conductive packaging materials containing the same
JP2007542878A JP2008521963A (ja) 2004-12-16 2005-06-27 高分子樹脂微粒子、導電性微粒子及びこれを含んだ異方導電性接続材料
CN2005800401415A CN101065421B (zh) 2004-12-16 2005-06-27 聚合物颗粒、导电颗粒以及含有该导电颗粒的各向异性导电封装材料
TW094122120A TWI351701B (en) 2004-12-16 2005-06-30 Polymer particles, conductive particles and an ani
US11/763,521 US8129023B2 (en) 2004-12-16 2007-06-15 Polymer particles, conductive particles, and an anisotropic conductive packaging materials contain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07329A KR100667374B1 (ko) 2004-12-16 2004-12-16 이방전도성 접속부재용 고분자 수지 미립자, 전도성 미립자 및 이를 포함한 이방 전도성 접속재료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68599A KR20060068599A (ko) 2006-06-21
KR100667374B1 true KR100667374B1 (ko) 2007-01-10

Family

ID=365880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107329A KR100667374B1 (ko) 2004-12-16 2004-12-16 이방전도성 접속부재용 고분자 수지 미립자, 전도성 미립자 및 이를 포함한 이방 전도성 접속재료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8129023B2 (ko)
JP (1) JP2008521963A (ko)
KR (1) KR100667374B1 (ko)
CN (1) CN101065421B (ko)
TW (1) TWI351701B (ko)
WO (1) WO200606500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518304B1 (en) 2003-03-31 2013-08-27 The Research Foundation Of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Nano-structure enhancements for anisotropic conductive material and thermal interposers
KR100784902B1 (ko) * 2004-12-30 2007-12-11 주식회사 동부하이텍 플라스틱 전도성 미립자의 제조방법
KR100792663B1 (ko) * 2006-12-01 2008-01-09 주식회사 동부하이텍 다층구조의 금속층으로 적층된 전자패키지용 플라스틱솔더볼의 제조방법 및 그로부터 제조된 플라스틱 솔더볼
KR100845046B1 (ko) * 2006-12-27 2008-07-08 제일모직주식회사 표면실장용 전기적 접촉단자
JP5200213B2 (ja) * 2008-02-05 2013-06-05 国立大学法人北海道大学 高分子ゲル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1612564B1 (ko) 2008-03-27 2016-04-14 세키스이가가쿠 고교가부시키가이샤 중합체 입자, 도전성 입자, 이방성 도전 재료 및 접속 구조체
TWI382067B (zh) * 2008-11-05 2013-01-11 Ind Tech Res Inst 紅外線低放射率塗料及其形成方法
JP5185839B2 (ja) * 2009-01-07 2013-04-17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導電性粒子、異方性導電材料及び接続構造体
DE102009053255A1 (de) * 2009-11-06 2011-05-12 Technische Universität Berlin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r Anordnung
US10366836B2 (en) * 2010-05-26 2019-07-30 Kemet Electronics Corporation Electronic component structures with reduced microphonic noise
KR101469004B1 (ko) * 2010-08-11 2014-12-04 가부시기가이샤 닛뽕쇼꾸바이 중합체 미립자, 도전성 미립자 및 이방성 도전재료
JP6209313B2 (ja) * 2012-02-20 2017-10-04 デクセリアルズ株式会社 異方性導電フィルム、接続構造体、接続構造体の製造方法及び接続方法
JP5998018B2 (ja) * 2012-11-12 2016-09-28 株式会社日本触媒 導電性微粒子及びそれを用いた異方性導電材料
JP5998032B2 (ja) * 2012-12-06 2016-09-28 株式会社日本触媒 導電性微粒子及びそれを用いた異方性導電材料
JP2014192051A (ja) * 2013-03-27 2014-10-06 Nippon Shokubai Co Ltd 導電性微粒子及びそれを用いた異方性導電材料
TWI561542B (en) * 2013-09-25 2016-12-11 Eternal Materials Co Ltd Polymer particles and the manufacturing process and uses thereof
TWI506068B (zh) * 2013-09-27 2015-11-01 Univ Nat Chiao Tung 異向性高分子體的製備方法
JP6737566B2 (ja) * 2014-01-14 2020-08-12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基材粒子、導電性粒子、導電材料及び接続構造体
JP6737572B2 (ja) * 2014-08-14 2020-08-12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基材粒子、導電性粒子、導電材料及び接続構造体
KR102326117B1 (ko) * 2014-10-28 2021-11-15 데쿠세리아루즈 가부시키가이샤 이방성 도전 필름, 그 제조 방법, 및 접속 구조체
JP6959004B2 (ja) * 2015-11-20 2021-11-02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接続材料及び接続構造体
US11020825B2 (en) * 2015-11-20 2021-06-01 Sekisui Chemical Co., Ltd. Connecting material and connection structure
EP3378917A4 (en) * 2015-11-20 2019-07-03 Sekisui Chemical Co., Ltd. PARTICLES, CONNECTION MATERIALS AND CONNECTION STRUCTURE
WO2018230470A1 (ja) * 2017-06-12 2018-12-20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樹脂粒子、導電性粒子、導電材料、接着剤、接続構造体及び液晶表示素子
JP6397552B2 (ja) * 2017-09-29 2018-09-26 株式会社日本触媒 導電性微粒子及びそれを用いた異方性導電材料
CN111095093A (zh) * 2018-01-17 2020-05-01 积水化学工业株式会社 调光叠层体和调光叠层体用树脂间隔物
JP7046351B2 (ja) 2018-01-31 2022-04-04 三国電子有限会社 接続構造体の作製方法
JP7185252B2 (ja) 2018-01-31 2022-12-07 三国電子有限会社 接続構造体の作製方法
JP7160302B2 (ja) * 2018-01-31 2022-10-25 三国電子有限会社 接続構造体および接続構造体の作製方法
JPWO2019155924A1 (ja) * 2018-02-06 2020-12-03 三菱マテリアル株式会社 銀被覆樹脂粒子
JP2019179647A (ja) * 2018-03-30 2019-10-17 デクセリアルズ株式会社 導電材料、及び接続体の製造方法
WO2020230842A1 (ja) * 2019-05-14 2020-11-19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樹脂粒子、導電性粒子、導電材料及び接続構造体
JP7226621B1 (ja) 2022-03-29 2023-02-21 東洋インキSc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導電性組成物、導電性シート、金属補強板、金属補強板つき配線板、および電子機器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73324B1 (ko) * 1990-09-29 1999-03-20 가즈오 사이우찌 미세구체, 액정표시소자용 구상 스페이서 및 이것을 사용한 액정표시소자

Family Cites Families (3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3349B2 (ja) 1986-01-30 1994-03-30 富士高分子工業株式会社 異方導電性接着剤
GB2186243B (en) 1986-02-12 1989-11-15 Honda Motor Co Ltd Steering system for motor vehicle
JPS63107188A (ja) 1986-10-24 1988-05-12 古河電気工業株式会社 導電性フイラ−
JP2507381B2 (ja) 1987-01-30 1996-06-12 積水フアインケミカル株式会社 導電性微球体
JP2692182B2 (ja) * 1988-10-28 1997-12-17 三菱マテリアル株式会社 銀被覆球状樹脂の製造方法
JPH04333025A (ja) * 1991-05-08 1992-11-20 Hitachi Ltd 液晶表示素子
JPH07118866A (ja) 1993-10-21 1995-05-09 Nippon Chem Ind Co Ltd 分散性に優れた球状無電解めっき粉末、導電性材料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H07118617A (ja) 1993-10-22 1995-05-09 Three Bond Co Ltd ファインピッチ用異方導電性接着剤
JP3293310B2 (ja) 1994-03-18 2002-06-17 株式会社日立製作所 金属の選別回収方法とその装置
JPH08325543A (ja) 1995-06-05 1996-12-10 Soken Chem & Eng Co Ltd 異方導電性接着剤
US5580838A (en) * 1995-06-05 1996-12-03 Patterson; James A. Uniformly plated microsphere catalyst
JP3241276B2 (ja) * 1995-10-30 2001-12-25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導電性微球体及び液晶表示素子
US20010046021A1 (en) 1997-08-28 2001-11-29 Takeshi Kozuka A conductive particle to conductively bond conductive members to each other, an anisotropic adhesive containing the conductive particle,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using the anisotropic conductive adhesive, a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JPH11125953A (ja) 1997-10-23 1999-05-11 Canon Chemicals Inc 帯電部材、該帯電部材の製造方法、及び該帯電部材を有する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装置
JP3296306B2 (ja) * 1997-10-28 2002-06-24 ソニーケミカル株式会社 異方導電性接着剤および接着用膜
JPH11329059A (ja) * 1998-05-12 1999-11-30 Sekisui Finechem Co Ltd プローブ用導電性微粒子、その製造方法及び導電検査用プローブ
JP3379456B2 (ja) 1998-12-25 2003-02-24 ソニーケミカル株式会社 異方導電性接着フィルム
JP3696429B2 (ja) 1999-02-22 2005-09-21 日本化学工業株式会社 導電性無電解めっき粉体とその製造方法並びに該めっき粉体からなる導電性材料
JP3739232B2 (ja) * 1999-05-06 2006-01-25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重合体微粒子及びその製造方法、液晶表示素子用スペーサ、導電性微粒子
JP5060692B2 (ja) 2001-07-13 2012-10-31 株式会社日本触媒 異方導電性材料
TW557237B (en) * 2001-09-14 2003-10-11 Sekisui Chemical Co Ltd Coated conductive particle, coated conductive particle manufacturing method, anisotropic conductive material, and conductive connection structure
JP4052832B2 (ja) 2001-12-26 2008-02-27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導電性微粒子、導電性微粒子の製造方法及び異方性導電材料
JP2003257247A (ja) 2002-02-28 2003-09-12 Hitachi Chem Co Ltd 回路接続用異方導電性接着剤組成物、それを用いた回路端子の接続方法及び回路端子の接続構造
JP4265140B2 (ja) 2002-02-28 2009-05-20 日立化成工業株式会社 異方導電性接着剤組成物、それを用いた回路端子の接続方法及び接続構造体
JP2003313304A (ja) * 2002-04-22 2003-11-06 Sekisui Chem Co Ltd 導電性微粒子、導電性微粒子の製造方法及び電子部品の接合材料
CN100413890C (zh) 2002-06-06 2008-08-27 索尼化学株式会社 树脂粒子、导电粒子及由其构成的各向异性导电粘合剂
JP4113403B2 (ja) * 2002-09-17 2008-07-09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導電性微粒子、異方性導電材料及び導電性微粒子の製造方法
JP4088137B2 (ja) * 2002-11-13 2008-05-21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導電性微粒子および異方導電材料
JP2004342764A (ja) * 2003-05-14 2004-12-02 Sekisui Chem Co Ltd 導電接続フィルム及び導電接続構造体
JP2004346247A (ja) * 2003-05-23 2004-12-09 Sekisui Chem Co Ltd 接着性エポキシ樹脂シート及び導電接続シート
KR100621463B1 (ko) 2003-11-06 2006-09-13 제일모직주식회사 절연 전도성 미립자 및 이를 함유하는 이방 전도성 필름
KR100650284B1 (ko) 2005-02-22 2006-11-27 제일모직주식회사 도전성능이 우수한 고분자 수지 미립자, 전도성 미립자 및이를 포함한 이방 전도성 접속재료
KR100719802B1 (ko) 2005-12-28 2007-05-18 제일모직주식회사 이방 전도 접속용 고신뢰성 전도성 미립자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73324B1 (ko) * 1990-09-29 1999-03-20 가즈오 사이우찌 미세구체, 액정표시소자용 구상 스페이서 및 이것을 사용한 액정표시소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70252112A1 (en) 2007-11-01
CN101065421A (zh) 2007-10-31
CN101065421B (zh) 2011-08-31
KR20060068599A (ko) 2006-06-21
US8129023B2 (en) 2012-03-06
TW200623151A (en) 2006-07-01
WO2006065009A1 (en) 2006-06-22
JP2008521963A (ja) 2008-06-26
TWI351701B (en) 2011-11-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67374B1 (ko) 이방전도성 접속부재용 고분자 수지 미립자, 전도성 미립자 및 이를 포함한 이방 전도성 접속재료
KR100650284B1 (ko) 도전성능이 우수한 고분자 수지 미립자, 전도성 미립자 및이를 포함한 이방 전도성 접속재료
KR100719802B1 (ko) 이방 전도 접속용 고신뢰성 전도성 미립자
KR100722493B1 (ko) 절연 전도성 미립자 및 이를 이용한 이방 전도성 접착필름
KR100597391B1 (ko) 절연 전도성 미립자 및 이를 함유하는 이방 전도성 접착필름
JP2000319309A (ja) 重合体微粒子及びその製造方法、液晶表示素子用スペーサ、導電性微粒子
JP4902853B2 (ja) 樹脂微粒子及び導電性微粒子
JP2003313304A (ja) 導電性微粒子、導電性微粒子の製造方法及び電子部品の接合材料
JP2001216841A (ja) 導電性微粒子及び導電接続構造体
JP4088137B2 (ja) 導電性微粒子および異方導電材料
KR100667376B1 (ko) 이방전도성 접속부재용 고분자 수지 미립자, 전도성 미립자 및 이를 포함한 이방 전도성 접속재료
JP4642286B2 (ja) 合成樹脂微粒子、導電性微粒子及び異方導電性材料組成物
KR100667375B1 (ko) 이방전도성 접속부재용 고분자 수지 미립자, 전도성 미립자 및 이를 포함한 이방 전도성 접속재료
KR100722152B1 (ko) 이방 전도 접속용 단분산성 고분자 수지 미립자 및 전도성미립자
KR100651177B1 (ko) 돌기형 도전성 미립자 및 이를 포함하는 이방 도전성 필름
KR101534841B1 (ko) 돌기형 도전성 미립자 및 이를 포함하는 이방 도전성 필름
JP2000309715A (ja) 重合体微粒子及び導電性微粒子
JP2001216840A (ja) 導電性微粒子及び導電接続構造体
JP4203301B2 (ja) 異方導電性フィルム
KR100815471B1 (ko) 고분자 수지 기재 입자 및 이를 함유한 이방 도전성 접속용도전 입자
JPH0922620A (ja) 導電性微粒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0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1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2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1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3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9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20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3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