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54827B1 - 급지장치 - Google Patents

급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54827B1
KR100654827B1 KR1020050027943A KR20050027943A KR100654827B1 KR 100654827 B1 KR100654827 B1 KR 100654827B1 KR 1020050027943 A KR1020050027943 A KR 1020050027943A KR 20050027943 A KR20050027943 A KR 20050027943A KR 100654827 B1 KR100654827 B1 KR 1006548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nock
plate
gear
lift
paper fe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279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훈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279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54827B1/ko
Priority to US11/354,937 priority patent/US7744083B2/en
Priority to CN200610008575A priority patent/CN100581953C/zh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548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548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1/00Supports or magazines for piles from which articles are to be separated
    • B65H1/08Supports or magazines for piles from which articles are to be separated with means for advancing the articles to present the articles to the separating device
    • B65H1/18Supports or magazines for piles from which articles are to be separated with means for advancing the articles to present the articles to the separating device controlled by height of pil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4Cooking-vessels for cooking food in steam; Devices for extracting fruit juice by means of steam ; Vacuum cooking vessels
    • A47J27/05Tier steam-cookers, i.e. with steam-tight joints between cooking-vessels stacked while in us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4Cooking-vessels for cooking food in steam; Devices for extracting fruit juice by means of steam ; Vacuum cooking vessels
    • A47J2027/043Cooking-vessels for cooking food in steam; Devices for extracting fruit juice by means of steam ; Vacuum cooking vessels for cooking food in steam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02Construction of cooking-vessels; Methods or processes of manufacturing specially adapted for cooking-vesse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20/00Receptacles
    • Y10S220/912Cookware, i.e. pots and p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Sheets, Magazines, And Separation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구동모터를 구동원으로 하여 녹업플레이트와 급지롤러어셈블리를 작동시키는 급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단속수단의 작동을 매개로 하여 상기 구동모터로부터 단속적으로 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녹업플레이트를 상승회동시키는 리프트기어유닛과; 상기 녹업플레이트 상에 적재된 용지가 상기 급지롤러어셈블리로의 급지를 위한 적정 높이에 도달하였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위치센서와; 상기 위치센서로부터 감지된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단속수단의 작동을 온/오프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르면, 단일의 구동모터를 이용하여 용지의 급지 및 녹업플레이트의 구동을 동시에 수행함으로써 제조단가를 낮추고, 내부의 공간효율을 높일 수 있다.
화상형성장치, 급지, 리프트구동

Description

급지장치{Paper Feeding Apparatus}
도 1은 종래의 복합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정면도,
도 2는 도 1의 복합기에 사용되는 급지장치의 구동관계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급지장치의 구동관계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 4는 도 3의 작동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확대도,
도 5는 도 4의 작동상태를 구현하기 위한 블록구성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복합기 101: 하우징
110: 화상형성부 111: 감광드럼
112: 전사롤러 113: 정착롤러
114: 배출구 120: 화상독취부
130, 300: 급지장치 131, 320: 녹업플레이트
140: 급지카세트 210: 주구동모터
201, 336: 픽업롤러 202, 333: 급지롤러
203, 331: 급지기어 204, 334: 역전롤러
205, 332: 역전기어 212, 302: 픽업클러치
220: 리프트모터 221: 리프트기어
222, 341: 파셜기어 223, 342: 리프트바
304: 리프트클러치 305: 원웨이기어
306: 구동측기어 307: 종동측기어
308: 리프트기어 310: 구동모터
311: 분배기어 330: 급지롤러어셈블리
335: 전달기어 337: 픽업브래킷
338: 연장부 340: 리프트기어유닛
350: 위치센서 360: 제어부
본 발명은 급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동일한 구동원에 의해 녹업플레이트와 급지롤러어셈블리를 동시에 구동할 수 있는 급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급지장치는 프린터, 팩스, 복사기, 복합기와 같은 화상형성장치의 일 구성요소를 이루고 있다. 예를 들면, 종래의 복합기(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지에 화상을 형성하는 화상형성부(110), 화상형성부(110)의 상부에 결합된 화상독취부(120) 및 화상형성부(110)의 하부에 마련되어 화상형성부(110)로 용지를 공급하기 위한 급지장치(130)를 포함한다. 급지장치(130)의 녹업플레이트(131)에 적재된 용지(1)는 픽업롤러(201)에 의해 픽업되어 급지롤러(202)에 공급된 다. 한편, 급지과정에서 용지가 중복하여 이송되는 경우에는 급지롤러(202)와 서로 대응하여 회전하는 역전롤러(204)에 의해 낱장으로 공급될 수 있도록 한다. 급지롤러(202)를 통과한 용지(1)는 화상형성장치(110)의 감광드럼(111) 및 전사롤러(112)에 의해 지면에 화상이 전사(transfer)되고 정착롤러(113)에 의해 전사된 화상이 고착(fusing)된 후, 배출구(114)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화상형성부(110)는 하우징(101) 내부에 수용지지되어 있다.
도 2는 도 1에 적용된 급지장치(130)의 구성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급지장치(130)의 구동원으로는, 픽업롤러(201), 급지롤러(202) 및 역전롤러(204)를 구동하기 위한 주구동모터(210)와, 녹업플레이트(131)를 상승회동시키기 위한 리프트모터(220)가 있다. 주구동모터(210)는 복수의 기어(211) 및 픽업클러치(212)를 통해 급지롤러(202)와 역전롤러(204)를 구동시키고, 다시 전달기어(206)를 통해 픽업롤러(201)를 구동시킨다. 또한, 리프트모터(220)는 리프트기어(221)를 통해 파셜기어(222)를 회동시키고, 파셜기어(222)는 이와 동축으로 고정된 리프트바(223)를 회동시킴으로써 녹업플레이트(131)를 상승회동시키게 된다.
급지장치(도 1의 130)의 구성 중에서 녹업플레이트(131), 픽업롤러(132), 파셜기어(222) 및 리프트바(223)는 급지카세트(140)에 장착되어 있다. 도면에서 203 및 205는 각각 급지롤러(202) 및 역전롤러(204)와 같은 축상에 고정된 급지기어(203)와 역전기어(205)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급지장치(130)의 구동방식에 의하면, 용지의 급지를 위해 픽업롤러(201), 급지롤러(202) 및 역전롤러(204)를 구동하는 구동원인 주 구동모터(210)와 녹업플레이트(131)를 구동하는 구동원인 리프트모터(220)가 각각 별개로 존재함에 따라 제조단가가 상승할 뿐 아니라, 모터의 중복설치로 인해 공간효율이 떨어진다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하나의 구동모터를 이용하여 용지의 급지 및 녹업플레이트의 구동을 동시에 수행함으로써 제조단가를 낮추고, 내부공간 효율을 높인 급지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화상형성장치의 급지장치(Paper Feeding Apparatus)에 있어서, 상하로 회동하며 인쇄매개물을 지지하는 녹업플레이트와; 상기 녹업플레이트에 적재된 인쇄매개물을 낱장으로 인출하는 급지롤러어셈블리와; 상기 급지롤러어셈블리가 상기 녹업플레이트에 적재된 인쇄매개물을 낱장으로 인출할 수 있도록 상기 녹업플레이트를 상승시키는 리프트기어유닛과; 상기 급지롤러어셈블리와 상기 리프트기어유닛 모두를 구동하는 하나의 구동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지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녹업플레이트의 위치를 감지하여 상기 녹업플레이트의 위치를 지시하는 신호를 발생하는 위치센서와; 상기 급지롤러어셈블리와 상기 리프트기어유닛을 연결 또는 연결해제하는 리프트클러치와; 상기 위치센서로부터 감지된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리프트클러치의 작동을 ON/OFF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하나의 구동원은 구동모터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급지롤러어셈블리는 상기 녹업플레이트로부터 인쇄매개물을 픽업하는 픽업롤러와, 상기 픽업롤러에 의해 픽업된 인쇄매개물을 낱장으로 급지하도록 마련된 급지롤러 및 역전롤러를 포함하며, 상기 픽업롤러 및 상기 급지롤러 및 상기 역전롤러는 모두 상기 구동모터에 의해 구동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급지장치의 외관을 형성하며 상기 화상형성장치에 착탈가능하게 마련되는 급지카세트를 더 포함하며, 상기 급지롤러어셈블리는 상기 녹업플레이트와 함께 상기 급지카세트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리프트기어유닛은, 상기 녹업플레이트의 아래에 위치하여 상기 녹업플레이트를 상승시키는 리프트바와; 상기 리프트바와 동심축에 고정되며 상기 녹업플레이트가 상승하도록 상기 리프트바를 회전시키는 파셜기어와; 상기 파셜기어와 치합되며 상기 녹업플레이트가 상승하도록 상기 파셜기어를 회전시키는 리프트기어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구동모터로부터 구동력을 받아서 상기 구동력을 상기 리프트기어유닛으로 전달하여 상기 녹업플레이트를 상승 회동시키며, 상기 녹업플레이트의 하향 회동을 저지하는 원웨이기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원웨이기어에 맞물려 회전하는 구동측 기어와, 상기 리프트기어유닛이 녹업플레이트를 상승 회동시킬 수 있도록 상기 구동측 기어와 연결되는 종동측 기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구동측 기어는 일측에 제1클러치부가 형성되며, 상기 종동측 기어는 상기 제1클러치부에 대응되게 결합되는 제2클러치부가 형성되고 상기 리프트기어유닛에 맞물려 회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동모터, 상기 원웨이기어 및 상기 구동측 기어를 수용 지지하는 하우징과; 상기 종동측 기어, 상기 리프트기어유닛 및 상기 녹업플레이트를 수용지지하고, 상기 구동측 기어의 제1클러치부와 상기 종동측 기어의 제2클러치부가 서로 결합 및 분리되도록 상기 하우징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급지카세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급지장치(3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모터(310), 구동모터(310)로부터 전달받은 동력으로 녹업플레이트(320) 상의 용지를 낱장으로 인출하는 급지롤러어셈블리(330), 구동모터(310)로부터 전달받은 동력으로 녹업플레이트(320)를 승강구동하는 리프트기어유닛(340)을 포함하고 있다.
구동모터(310)는 분배기어(311)와 연결되어 있으며, 구동모터(310)의 동력은 분배기어(311)를 매개로 하여 급지롤러어셈블리(330)와 리프트기어유닛(340)으로 동시에 전달된다.
분배기어(311)는 복수의 기어(301)를 통해 픽업클러치(302)와 연결되어 있으 며, 픽업클러치(302)의 단속에 따라 급지롤러어셈블리(330)의 급지기어(331)와 역전기어(332)를 구동시킴으로써 각각 동축상에 고정된 급지롤러(333) 및 역전롤러(334)를 회전시킨다. 이와 같은 기어결합에 의하면, 급지롤러(333)와 역전롤러(334)는 같은 방향으로 회전한다. 따라서, 복수의 용지가 겹쳐져서 중복이송되는 경우에는 역전롤러(334)의 마찰력에 의해 최하단의 용지부터 차례로 역방향으로 이송되므로 용지의 중송을 방지할 수 있다.
급지기어(331)는 전달기어(335)를 구동하여 이와 맞물려 회전하는 픽업롤러(336)를 구동한다. 따라서, 픽업롤러(336)는 급지롤러(333)와 같은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며, 녹업플레이트(320)에 적재되어 있는 최상단의 용지를 픽업하여 급지롤러(333) 및 역전롤러(334)로 이송하게 된다. 픽업롤러(336)로부터 이송된 용지는 급지롤러(333)를 통해 화상형성부(400)로 이송된다.
한편, 제어부(도면 미도시)의 제어에 의해 픽업클러치(302)가 작동 및 해제되도록 함으로써 급지롤러어셈블리(330)로의 구동을 조절할 수 있고, 이에 따라 화상형성부(400)로의 용지이송이 단속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분배기어(311)는 급지롤러어셈블리(330)로 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기어(301)와는 별개로 리프트기어유닛(340)으로 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기어(303)에 맞물린다. 복수의 기어(303)를 통해 전달된 동력은 리프트클러치(304)의 단속에 따라 원웨이기어(305)로 전달된다. 원웨이기어(305)는 한쪽 방향으로만 회전가능하도록 구성된 기어로서, 본 발명에서는 녹업플레이트(320)를 상승회동시키는 방향으로만 회동하는데 사용된다. 원웨이기어(305)는 구동측기어(306)와 맞물려 회전하며, 구동 측기어(306)는 종동측기어(307)와 클러치결합되어 서로 같은 축 상에서 회전한다. 상기 클러치결합에 의해 구동측기어(306)와 종동측기어(307)는 서로 분리 및 결합이 가능하며, 이러한 결합구조에 의해, 종동측기어(307) 이하 리프트기어유닛(340)까지에 해당하는 부분을 급지카세트(도 1의 140 참조)에 설치되도록 할 수 있다. 즉, 급지카세트는 녹업플레이트(320), 리프트기어유닛(340), 리프트기어(308) 및 종동측기어(307)를 수용지지하는 구조를 가지며, 상기 급지카세트가 본체 하우징(도 1의 101 참조)에 장착되는 경우에는 급지카세트 측의 종동측기어(307)가 본체 하우징 측의 구동측기어(306)와 맞물리도록 할 수도 있다.
종동측기어(307)는 이와 결합된 리프트기어(308)를 회전시키고, 리프트기어(308)는 리프트기어유닛(340)의 파셜기어(341)와 맞물려 회전한다. 따라서, 파셜기어(341)와 같은 축 상에서 회전하는 리프트바(342)가 회동하게 되고, 이에 의해 녹업플레이트(320)가 상승회동하게 된다. 상승된 녹업플레이트(320)는 원웨이기어(305)에 의해 하강회동이 저지된다. 한편, 녹업플레이트(320)의 하강회동은 이를 수용지지하는 급지카세트(도 1의 140 참조)를 본체 하우징(도 1의 101 참조)으로부터 이탈시킴으로써 달성된다. 즉, 원웨이기어(305)에 의해 녹업플레이트(320)의 하강회동이 저지된 상태에서 급지카세트를 본체 하우징으로부터 이탈시키는 순간 구동측기어(306)와 종동측기어(307)의 클러치결합이 해제되므로, 녹업플레이트(320)는 자중에 의해 자동으로 하강회동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급지장치(300)는 녹업플레이트(320)의 상부에 위치센서(350)를 위치시켜 녹업플레이트(320)의 상승을 감지한다. 예를 들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녹업플레이트(320)에 접촉되는 -엄밀히 말하면 녹업플레이트(320)상에 적재된 최상단의 용지에 접촉된다- 급지롤러어셈블리(330)의 픽업롤러(336)가 녹업플레이트(320)의 상승과 함께 급지롤러(333)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동되도록 한다. 이 때, 픽업롤러(336)와 급지롤러(333)의 회동을 지지하는 픽업브래킷(337)의 일측에 연장부(338)를 형성하고, 픽업롤러(336)가 용지를 픽업하기에 적당하도록 위치하는 경우 상기 연장부(338)를 감지할 수 있는 위치에 위치센서(350)를 고정시킨다. 따라서, 녹업플레이트(320)가 리프트바(342)의 회전에 의해 상승되어 픽업롤러(336)를 상방향으로 밀어올리는 경우에는 픽업브래킷(337)의 연장부(338)가 위치센서(350)에 감지되어, 리프트바(342)의 구동이 중단된다. 도 5는 이에 대응하는 제어관계를 블록도로 도시한 것이다. 녹업플레이트(도 4의 320)의 상승회동에 의해 픽업롤러(336)가 일정높이에 도달하면 위치센서(350)에 의해 감지되고, 제어부(360)는 감지된 신호에 기초하여 리프트클러치(도 3의 304)의 동작을 오프(off)시킨다. 리프트클러치(304)가 오프된 경우에는 구동모터(310)로부터의 동력이 리프트기어유닛(340)으로 전달되지 않으므로 리프트바(342)가 구동하지 않는다. 이 경우, 녹업플레이트(320)의 중력에 의해 리프트바(342)에 하방향으로 가해지는 힘은 리프트기어(308), 종동측기어(307) 및 구동측기어(306)를 통해 원웨이기어(305)에 의해 지지되므로, 동력전달이 차단된 경우에도 녹업플레이트(320)는 정지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급지과정에서 녹업플레이트(320) 상에 적재된 용지가 일정 매수 이상 줄어든 경우에는 녹업플레이트(320) 방향으로 탄성가압되어 있는 픽업롤러(336)가 하강하게 되고, 이에 따라 연장부(338)가 위치센서(350)를 벗어나게 되고, 제어부(360)는 다시 리프트클러치(304)의 작동을 온(on)시켜 녹업플레이트(320)를 적정높이까지 상승시키게 된다.
또한, 동력전달을 위한 기어(301 또는 303)의 개수는 구동모터(310)와 녹업플레이트(320) 및 급지롤러어셈블리(330) 간의 위치관계에 따라 달리 설정할 수도 있다.
상기 실시예에서의 동력전달방식은 모두 기어결합에 의해 이루어졌으나, 전체 또는 일부의 동력전달과정은 벨트-풀리결합에 의할 수도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급지장치에 의하면, 하나의 구동모터를 이용하여 용지의 급지 및 녹업플레이트의 구동을 동시에 수행함으로써 제조단가를 낮출 수 있을 뿐 아니라, 급지장치의 내부공간효율을 높일 수 있다.

Claims (10)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화상형성장치의 급지장치(Paper Feeding Apparatus)에 있어서,
    상하로 회동하며 인쇄매개물을 지지하는 녹업플레이트와;
    상기 녹업플레이트로부터 인쇄매개물을 픽업하는 픽업롤러와, 상기 픽업롤러에 의해 픽업된 인쇄매개물을 낱장으로 급지하도록 마련된 급지롤러 및 역전롤러를 포함하는 급지롤러어셈블리와;
    상기 급지롤러어셈블리가 상기 녹업플레이트에 적재된 인쇄매개물을 낱장으로 인출할 수 있도록 상기 녹업플레이트를 상승시키는 리프트기어유닛과;
    상기 픽업롤러, 상기 급지롤러, 상기 역전롤러 및 상기 리프트기어유닛 모두를 구동하는 하나의 구동모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지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급지장치의 외관을 형성하며 상기 화상형성장치에 착탈가능하게 마련되는 급지카세트를 더 포함하며,
    상기 급지롤러어셈블리는 상기 녹업플레이트와 함께 상기 급지카세트 내부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지장치.
  6. 화상형성장치의 급지장치(Paper Feeding Apparatus)에 있어서,
    상하로 회동하며 인쇄매개물을 지지하는 녹업플레이트와;
    상기 녹업플레이트에 적재된 인쇄매개물을 낱장으로 인출하는 급지롤러어셈블리와;
    상기 급지롤러어셈블리가 상기 녹업플레이트에 적재된 인쇄매개물을 낱장으로 인출할 수 있도록 상기 녹업플레이트를 상승시키는 리프트기어유닛과;
    상기 급지롤러어셈블리와 상기 리프트기어유닛 모두를 구동하는 하나의 구동원을 포함하며,
    상기 하나의 구동원은 구동모터이며,
    상기 리프트기어유닛은, 상기 녹업플레이트의 아래에 위치하여 상기 녹업플레이트를 상승시키는 리프트바와, 상기 리프트바와 동심축에 고정되며 상기 녹업플레이트가 상승하도록 상기 리프트바를 회전시키는 파셜기어와, 상기 파셜기어와 치합되며 상기 녹업플레이트가 상승하도록 상기 파셜기어를 회전시키는 리프트기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지장치.
  7. 삭제
  8. 화상형성장치의 급지장치(Paper Feeding Apparatus)에 있어서,
    상하로 회동하며 인쇄매개물을 지지하는 녹업플레이트와;
    상기 녹업플레이트에 적재된 인쇄매개물을 낱장으로 인출하는 급지롤러어셈블리와;
    상기 급지롤러어셈블리가 상기 녹업플레이트에 적재된 인쇄매개물을 낱장으로 인출할 수 있도록 상기 녹업플레이트를 상승시키는 리프트기어유닛과;
    상기 급지롤러어셈블리와 상기 리프트기어유닛 모두를 구동하는 하나의 구동원을 포함하며,
    상기 하나의 구동원은 구동모터이며,
    상기 구동모터로부터 구동력을 받아서 상기 구동력을 상기 리프트기어유닛으로 전달하여 상기 녹업플레이트를 상승 회동시키며, 상기 녹업플레이트의 하향 회동을 저지하는 원웨이기어를 더 포함하며,
    상기 원웨이기어에 맞물려 회전하는 구동측 기어와, 상기 리프트기어유닛이 녹업플레이트를 상승 회동시킬 수 있도록 상기 구동측 기어와 연결되는 종동측 기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지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측 기어는 일측에 제1클러치부가 형성되며,
    상기 종동측 기어는 상기 제1클러치부에 대응되게 결합되는 제2클러치부가 형성되고 상기 리프트기어유닛에 맞물려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지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모터, 상기 원웨이기어 및 상기 구동측 기어를 수용 지지하는 하우징과;
    상기 종동측 기어, 상기 리프트기어유닛 및 상기 녹업플레이트를 수용지지하고, 상기 구동측 기어의 제1클러치부와 상기 종동측 기어의 제2클러치부가 서로 결합 및 분리되도록 상기 하우징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급지카세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지장치.
KR1020050027943A 2005-04-04 2005-04-04 급지장치 KR1006548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27943A KR100654827B1 (ko) 2005-04-04 2005-04-04 급지장치
US11/354,937 US7744083B2 (en) 2005-04-04 2006-02-16 Paper feeding apparatus
CN200610008575A CN100581953C (zh) 2005-04-04 2006-02-17 纸张送进装置及成像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27943A KR100654827B1 (ko) 2005-04-04 2005-04-04 급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54827B1 true KR100654827B1 (ko) 2006-12-08

Family

ID=370693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27943A KR100654827B1 (ko) 2005-04-04 2005-04-04 급지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7744083B2 (ko)
KR (1) KR100654827B1 (ko)
CN (1) CN100581953C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5177B1 (ko) 2008-10-16 2013-07-12 삼성전자주식회사 원고공급장치와 이를 가지는 화상독취장치 및 화상형성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256762B2 (en) * 2010-10-29 2012-09-04 Lexmark International, Inc. Raisable lift plate system for positioning and feeding media in an image forming device
US8123212B1 (en) * 2010-10-29 2012-02-28 Lexmark International,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adjusting media positioning and indexing using an encoder in an image forming device
JP2015048165A (ja) * 2013-08-30 2015-03-16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6249747B2 (ja) * 2013-12-04 2017-12-20 キヤノン株式会社 シート給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5993892B2 (ja) * 2014-04-18 2016-09-14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6555634B2 (ja) * 2015-04-03 2019-08-07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及び供給装置
CN106315314B (zh) * 2015-07-03 2018-07-06 山东新北洋信息技术股份有限公司 一种分纸机构及使用该分纸机构的薄片类介质处理装置
KR20200011809A (ko) 2018-07-25 2020-02-04 휴렛-팩커드 디벨롭먼트 컴퍼니, 엘.피. 녹업플레이트를 이동시키는 구동력에 의해 회전하는 픽업 롤러
CN110182629A (zh) * 2019-05-24 2019-08-30 安徽胜利精密制造科技有限公司 一种蜡纸定位分料治具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48501A (ko) * 2002-12-03 2004-06-10 삼성전자주식회사 화상형성장치의 픽업구동장치
KR20050019416A (ko) * 2003-08-19 2005-03-03 삼성전자주식회사 인쇄기기의 급지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107339A (en) * 1980-12-25 1982-07-03 Usac Electronics Ind Co Ltd Automatic paper sheet feeding cassette
JPS62211228A (ja) * 1986-03-12 1987-09-17 Fujitsu Ltd 給紙装置
NL8601261A (nl) * 1986-05-20 1987-12-16 Oce Nederland Bv Inrichting voor het afvoeren van vellen vanaf de bovenkant van een stapel.
JPH0480159A (ja) * 1990-07-23 1992-03-13 Toshiba Corp 給紙装置
TW204366B (ko) 1991-01-19 1993-04-21 Hoechst Ag
JP2634972B2 (ja) * 1991-07-24 1997-07-30 三田工業株式会社 給紙装置
JP2626740B2 (ja) * 1991-08-14 1997-07-02 三田工業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の給紙カセット
JPH061472A (ja) * 1991-09-13 1994-01-11 Nikon Corp 給紙機構
JPH06127709A (ja) * 1992-10-15 1994-05-10 Fujitsu Ltd 給紙装置
JP3285973B2 (ja) * 1992-12-03 2002-05-27 株式会社リコー 給紙装置
JP2846572B2 (ja) 1994-03-07 1999-01-13 株式会社ピーエフユー 自動給紙装置
US5678814A (en) * 1994-10-20 1997-10-21 Minolta Co., Ltd. Sheet feeding apparatus having a feeding tray and paper feeding method
JP3131122B2 (ja) * 1995-05-22 2001-01-31 キヤノン株式会社 シート給送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3723632B2 (ja) * 1996-05-09 2005-12-07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シート材給送装置
KR100524061B1 (ko) * 1999-01-26 2005-10-26 삼성전자주식회사 용지 잔량 감지방법
US6257569B1 (en) * 1999-02-24 2001-07-10 Hewlett-Packard Company Apparatus and method for delivery of sheet media to a printer
JP2003002459A (ja) 2001-06-19 2003-01-08 Canon Inc シート給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US6991226B2 (en) * 2001-10-15 2006-01-31 Fuji Xerox Co., Ltd. Sheet discharge device with sheet size reference members
JP3856116B2 (ja) * 2001-12-20 2006-12-13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シート供給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画像形成装置
JP3782760B2 (ja) * 2002-07-12 2006-06-07 キヤノン株式会社 シート給送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US7029006B2 (en) * 2002-08-29 2006-04-18 Canon Kabushiki Kaisha Sheet feed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3880503B2 (ja) * 2002-10-16 2007-02-14 日立オムロンターミナル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紙葉類集積繰出装置
JP4305250B2 (ja) * 2004-03-31 2009-07-29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3849798B2 (ja) * 2004-09-09 2006-11-22 船井電機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4340972B2 (ja) * 2004-11-30 2009-10-07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シート材供給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4297042B2 (ja) * 2004-11-30 2009-07-15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シート材収納カセット及びそれを備える画像形成装置
JP3992039B2 (ja) * 2004-12-27 2007-10-17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シート材供給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WO2007040043A1 (ja) * 2005-10-03 2007-04-12 Konica Minolta Medical & Graphic, Inc. 感光材料搬送システム及び画像形成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48501A (ko) * 2002-12-03 2004-06-10 삼성전자주식회사 화상형성장치의 픽업구동장치
KR20050019416A (ko) * 2003-08-19 2005-03-03 삼성전자주식회사 인쇄기기의 급지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5177B1 (ko) 2008-10-16 2013-07-12 삼성전자주식회사 원고공급장치와 이를 가지는 화상독취장치 및 화상형성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60220301A1 (en) 2006-10-05
CN100581953C (zh) 2010-01-20
US7744083B2 (en) 2010-06-29
CN1847121A (zh) 2006-10-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54827B1 (ko) 급지장치
CN101324765B (zh) 打印设备中的供纸装置
US20060208418A1 (en) Pickup error-sensing apparatus of image forming apparatus and method therefor
KR20100041292A (ko) 화상형성장치
JP5538248B2 (ja) 媒体供給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KR101369315B1 (ko) 화상형성장치
JPH02295827A (ja) 給紙装置
US7441767B2 (en) Sheet feeder with stacking member lifted by planetary gear system
US8456719B2 (en) Automatic document feeder, image reading device having the sam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JP2011253122A (ja) 画像形成装置
US10394178B2 (en) Sheet feed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2008156057A (ja) 給紙装置
KR20170022126A (ko) 화상형성장치
JP3619937B2 (ja) 大容量シート供給装置を接続する方法、および、画像形成装置
KR100476961B1 (ko) 사무기기의 급지장치
KR20190093021A (ko) 하나의 모터를 이용한 원고이송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화상독취장치
JP2000191154A (ja) 用紙供給装置
JP2007254133A (ja) 給紙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CN109661313B (zh) 利用单向离合器和扭矩限制器的拾取臂升高
JPH07267385A (ja) 画像形成装置の給紙装置
KR20070079710A (ko) 화상형성장치
KR20040043937A (ko) 화상형성장치의 용지공급장치
JP2000238916A (ja) 給紙装置
KR100590865B1 (ko) 화상형성장치 및 이 화상형성장치의 용지걸림 제거방법
JP3740249B2 (ja) シート材給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3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8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25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18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