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22126A - 화상형성장치 - Google Patents

화상형성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22126A
KR20170022126A KR1020150116724A KR20150116724A KR20170022126A KR 20170022126 A KR20170022126 A KR 20170022126A KR 1020150116724 A KR1020150116724 A KR 1020150116724A KR 20150116724 A KR20150116724 A KR 20150116724A KR 20170022126 A KR20170022126 A KR 201700221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ft
gear
roller
print medium
driving for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167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아오키에이지
이진수
Original Assignee
에스프린팅솔루션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프린팅솔루션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프린팅솔루션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167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22126A/ko
Priority to US15/240,492 priority patent/US9746808B2/en
Publication of KR201700221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2212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65Apparatus which relate to the handling of copy material
    • G03G15/6502Supplying of sheet copy material; Cassettes therefor
    • G03G15/6511Feeding devices for picking up or separation of copy sheet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65Apparatus which relate to the handling of copy material
    • G03G15/6517Apparatus for continuous web copy material of plain paper, e.g. supply rolls; Roll holder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1/00Supports or magazines for piles from which articles are to be separated
    • B65H1/04Supports or magazines for piles from which articles are to be separated adapted to support articles substantially horizontally, e.g. for separation from top of pi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1/00Supports or magazines for piles from which articles are to be separated
    • B65H1/08Supports or magazines for piles from which articles are to be separated with means for advancing the articles to present the articles to the separating device
    • B65H1/12Supports or magazines for piles from which articles are to be separated with means for advancing the articles to present the articles to the separating device comprising sp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00Separating articles from piles
    • B65H3/02Separating articles from piles using friction forces between articles and separator
    • B65H3/06Rollers or like rotary separators
    • B65H3/0669Driving device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00Separating articles from piles
    • B65H3/02Separating articles from piles using friction forces between articles and separator
    • B65H3/06Rollers or like rotary separators
    • B65H3/0684Rollers or like rotary separators on moving support, e.g. pivoting, for bringing the roller or like rotary separator into contact with the pi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5/00Feeding articles separated from piles; Feeding articles to machines
    • B65H5/06Feeding articles separated from piles; Feeding articles to machines by rollers or balls, e.g. between rollers
    • B65H5/062Feeding articles separated from piles; Feeding articles to machines by rollers or balls, e.g. between rollers between rollers or ba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7/00Controlling article feeding, separating, pile-advancing, or associated apparatus, to take account of incorrect feeding, absence of articles, or presence of faulty articles
    • B65H7/02Controlling article feeding, separating, pile-advancing, or associated apparatus, to take account of incorrect feeding, absence of articles, or presence of faulty articles by feelers or detector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65Apparatus which relate to the handling of copy material
    • G03G15/6502Supplying of sheet copy material; Cassettes therefo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65Apparatus which relate to the handling of copy material
    • G03G15/6555Handling of sheet copy material taking place in a specific part of the copy material feeding pat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220/00Function indicators
    • B65H2220/01Function indicators indicating an entity as a function of which control, adjustment or change is performed, i.e. inpu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220/00Function indicators
    • B65H2220/02Function indicators indicating an entity which is controlled, adjusted or changed by a control process, i.e. outpu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3/00Power transmission; Driving means
    • B65H2403/70Clutches; Couplings
    • B65H2403/72Clutches, brakes, e.g. one-way clutch +F204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511/00Dimensions; Position; Numbers; Identification; Occurrences
    • B65H2511/20Location in space
    • B65H2511/21Angle
    • B65H2511/214Inclin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511/00Dimensions; Position; Numbers; Identification; Occurrences
    • B65H2511/50Occurence
    • B65H2511/51Presen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801/00Application field
    • B65H2801/03Image reproduction devices
    • B65H2801/06Office-type machines, e.g. photocopier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00362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relating to the copy medium handling
    • G03G2215/00367The feeding path segment where particular handling of the copy medium occurs, segments being adjacent and non-overlapping. Each segment is identified by the most downstream point in the segment, so that for instance the segment labelled "Fixing device" is referring to the path between the "Transfer device" and the "Fixing device"
    • G03G2215/00396Pick-up device

Abstract

인쇄매체의 중송이 이루어지지 않고 안정적으로 급지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인쇄매체의 품질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화상형성장치는, 인쇄매체를 픽업하는 픽업롤러 및 상기 픽업롤러에 구동력을 전달하는 구동원을 포함하고, 상기 인쇄매체의 픽업시, 상기 픽업롤러는 상승했다가 원위치로 복귀하는 동작을 하도록 구비된다.

Description

화상형성장치{Image forming apparatus}
본 발명은 안정된 급지동작을 수행하는 화상형성장치에 관한 것이다.
화상형성장치는 인쇄매체에 화상을 인쇄하는 장치로, 프린터, 복사기, 팩스 및 이들의 기능을 통합하여 구현한 복합기 등이 이에 해당한다.
전자사진방식을 채택한 화상형성장치는 소정 전위로 대전된 감광체에 광을 주사하여 감광체의 표면에 정전잠상을 형성한 후, 이 정전잠상에 토너를 공급하여 가시화상을 형성한다. 감광체에 형성된 가시화상은 인쇄매체에 바로 전사되거나 중간전사체를 거쳐 인쇄매체로 전사되고, 인쇄매체에 전사된 가시화상은 정착장치를 지나면서 인쇄매체에 고정된다.
화상형성장치에는 카세트 또는 트레이에 적재된 용지를 1매씩 픽업(pick up) 시켜주는 용지픽업장치, 픽업된 용지를 화상형성장치의 내부에 마련된 용지이송경로로 이송시켜주는 용지공급장치가 구비될 수 있다. 용지픽업장치에 의해 용지이송경로로 이송되는 용지는 종종 용지의 마찰력 등으로 인해 2매 이상의 용지가 한꺼번에 픽업되어 용지이송경로의 내측으로 이송되기도 한다. 화상형성장치 내부에서는 상기와 같은 용지의 중송(重送)으로 인해 잼(jam)이 발생하는 등 여러 가지 장애가 발생할 수 있다.
최근에는 용지의 중송을 방지하기 위해 토크리미터(torque limiter) 및 토크리미터에 연결되어 토크리미터를 따라 정역회전되는 리타드 롤러(retard roller)가 사용되는 리타드 방식의 픽업 구조가 구현되고 있다. 토크 리미터는 일정 임계토크값을 갖고 용지이송 마찰력이 임계토크값보다 크면 정회전하고, 용지이송 마찰력이 임계토크값보다 작으면 역회전한다. 리타드 롤러는 용지가 이송되는 용지이송경로 상의 하측에 설치되어 용지의 중송을 방지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중송을 방지하고 인쇄매체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화상형성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는, 인쇄매체가 저장되는 카세트; 상기 카세트에 저장된 인쇄매체를 픽업하는 픽업롤러; 상기 픽업롤러의 전방에 위치되고, 상기 픽업롤러에 의해 픽업된 인쇄매체를 이송하는 피드롤러; 구동원과 연결되고, 상기 피드롤러가 장착되는 제1샤프트; 상기 제1샤프트와 연결되어 구동력을 전달받고, 상기 픽업롤러가 장착되는 제2샤프트; 및 상기 제1샤프트 및 상기 제2샤프트가 장착되고, 상기 제1샤프트를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스윙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스윙부재에는 제3샤프트가 더 구비되고, 상기 제3샤프트는 상기 제1샤프트와 연결되어 구동력을 전달받는다.
상기 제1샤프트에는 제1기어가 구비되고, 제3샤프트에는 제1기어와 치합되는 제2기어가 구비된다.
상기 제2기어가 상기 제1기어를 중심으로 공전함으로써, 상기 스윙부재의 일측이 상기 제1샤프트를 중심으로 회전한다.
상기 스윙부재의 일측이 상기 제1샤프트를 중심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 상기 픽업롤러가 상승하고, 상기 스윙부재의 일측이 제1샤프트를 중심으로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 상기 픽업롤러가 하강한다.
상기 제2샤프트에 구동력이 선택적으로 전달되도록 피드클러치가 구비된다.
상기 피드클러치가 온 상태일 때, 상기 제2샤프트에 구동력이 전달되어 상기 픽업롤러에 의해 인쇄매체의 픽업 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3샤프트에 구동력이 선택적으로 전달되도록 로드클러치가 구비된다.
상기 로드클러치가 온 상태일 때, 상기 제3샤프트에 구동력이 전달되어 상기 스윙부재의 일측이 상기 제1샤프트를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구비된다.
상기 픽업롤러가 상기 인쇄매체를 가압할 수 있도록, 상기 스윙부재를 가압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는, 인쇄매체의 중송이 이루어지지 않고 안정적으로 급지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인쇄매체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급지장치의 모습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급지장치를 상부에서 바라본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급지장치의 일부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급지장치의 동작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급지장치에 센서가 구비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센서가 구비된 급지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른 급지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급지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급지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이간 모드시 급지장치의 동작을 도시한 도표이다.
도 13은 이간 모드시 급지장치의 픽업 롤러의 동작에 대한 도표이다.
도 14는 감압 모드시 급지장치의 동작을 도시한 도표이다.
도 15는 감압 모드시 급지장치의 픽업 롤러의 동작에 대한 도표이다.
이하에서는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에 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화상형성장치(1)는, 본체(10), 인쇄매체(S)의 저장 및 급송을 위한 급지장치(20), 급지장치(20)를 통해 공급된 인쇄매체(S)에 화상을 형성하는 현상장치(30), 현상장치(30)에 토너를 공급하는 토너장치(40), 현상장치(30)의 감광체(32)에 정전잠상을 형성하는 광주사장치(50), 인쇄매체(S)에 전사된 토너 화상을 인쇄매체(S)에 정착시키는 정착장치(60) 및 화상형성이 완료된 인쇄매체(S)를 본체(10)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장치(70)를 포함한다.
급지장치(20)는 인쇄매체(S)의 저장 및 급송을 위한 것이다. 급지장치(20)는 본체(10)의 하부에 마련되어 현상장치(30) 쪽으로 인쇄매체(S)를 공급한다.
급지장치(20)는, 인쇄매체(S)를 저장하고 본체(10)에 개폐 가능하게 결합되는 카세트(21)와 카세트(21)에 저장된 인쇄매체(S)를 한장씩 픽업하여 현상장치(30) 쪽으로 이송하는 이송부재(80)를 포함할 수 있다.
카세트(21) 내에는 적재된 인쇄매체(S)를 이송부재(25) 쪽으로 안내하도록 일단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은 가압스프링(22)에 지지되는 녹업플레이트(23)가 마련될 수 있다.
이송부재(25)는, 녹업플레이트(23)에 적재된 인쇄매체(S)를 한 장씩 픽업하는 픽업롤러(27) 및 픽업롤러(27)에 의해 픽업된 인쇄매체(S)를 현상장치(30) 쪽으로 이송시키는 피드롤러(28)를 포함할 수 있다.
현상장치(30)는, 외관을 형성하는 하우징(31), 하우징(31)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정전잠상을 형성하는 감광체(32), 토너장치(40)로부터 공급된 토너를 교반하는 교반스크류들(33a, 33b)과, 교반스크류들(33a, 33b)에 의해 교반된 토너를 감광체(32)로 공급하는 현상롤러(34) 및 감광체(32)를 대전시키는 대전부재(35)를 포함한다.
토너장치(40)로부터 공급된 토너는 하우징(31)의 내부로 유입되어 교반스크류들(33a, 33b)에 의해 하우징(31)의 일측으로 교반, 이송되며, 교반되어 이송된 토너는 현상롤러(34)에 의해 감광체(32)로 공급되어 가시화상을 형성한다.
감광체(32)에 공급되어 가시화상을 형성한 토너가 인쇄매체(S)에 전사되도록 감광체(32)는 전사롤러(14)와 접촉하여 전사 닙(N1:Nip)을 형성한다. 전사롤러(14)는 본체(10)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된다.
토너장치(40)는 현상장치(30)와 결합된다. 토너장치(40)는 인쇄매체(S)에 화상을 형성하기 위한 토너를 수용, 보관하고, 화상형성동작이 진행될 때 토너를 현상장치(30)로 공급한다.
광주사장치(50)는 화상정보가 포함된 광을 감광체(32)에 주사하여 감광체(32)에 정전잠상을 형성한다.
정착장치(60)는 하우징(62)과, 하우징(62)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는 가열부재(64) 및 가압부재(6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토너화상이 전사되어 있는 인쇄매체(S)는 가열부재(64)와 가압부재(66) 사이를 통과하는데, 이 때 열과 압력에 의해 토너화상이 인쇄매체(S)에 고정된다.
가열부재(64)는 가압부재(66)에 맞물려서 회전하며 가압부재(66)와 함께 정착 닙(N2)을 형성하고, 열원(68)에 의해 가열되어 정착 닙(N2)을 지나는 인쇄매체(S)에 열을 전달한다. 가열부재(64)는 구동원(미도시)으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가열롤러로 구성될 수 있다. 가열부재(64)의 내측에는 토너가 전사된 인쇄매체(S)에 열을 가해주기 위한 열원(68)이 배치된다. 열원(68)으로는 할로겐 램프가 사용될 수 있으나, 이외에 전열선 또는 인덕션 히터 등으로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다.
가압부재(66)는 가열부재(64)의 외주면에 접하도록 배치되어 가열부재(64)와의 사이에 정착 닙(N2)을 형성한다. 가열부재(64)는 구동원(미도시)으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가압롤러로 구성될 수 있다.
배출장치(70)는 서로 맞물리는 제1배출롤러(71)와 제2배출롤러(72)를 포함하여 정착장치(60)를 통과한 인쇄매체(S)를 본체(10)의 외부로 배출한다.
하우징(10)의 상부에는 원고(S1)를 스캔하는 화상독취장치(11)가 위치될 수 있다. 화상독취장치(11)는, 스캔할 원고(S1)가 적재되는 원고 공급 트레이(111), 원고 공급 트레이(111)에 적재된 원고(S1)를 픽업하여 원고가 이송 경로(12)로 진입하게 하는 픽업롤러(112) 및 픽업된 원고(S1)를 이송하는 피드롤러(113)를 포함한다. 피드롤러(113)에 의해 이송된 원고는 스캐너 모듈(110)에 의해 스캔된 후 원고 공급 트레이(111)의 하측에 위치한 배출부(미도시) 측으로 안내될 수 있다.
하우징(10)의 내부에 구비되는 카세트(21)에는 인쇄매체(S)가 적재되고 픽업롤러(27)에 의해 한장씩 픽업되어 이송된다. 또한, 화상독취장치(11) 측에 구비되는 원고 공급 트레이(111)에 적재된 원고(S1)도 또한 픽업롤러(112)에 의해 한장씩 픽업되어 이송될 수 있다. 카세트(21)에 적재된 인쇄매체(S) 및 원고 공급 트레이(111)에 적재된 원고(S1)는 픽업 롤러(27,112)에 의해 한장씩 픽업되어 공급되는데, 픽업 롤러(27,112)가 인쇄매체(S) 또는 원고(S1)에 가하는 압력 또는 픽업 롤러(27,112)와 인쇄매체(S) 또는 원고(S1) 간의 마찰력에 의해 중송이 이루어지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급지장치(20) 또는 화상독취장치(11) 측에는 인쇄매체(S) 또는 원고(S1)의 중송을 방지할 수 있는 구조가 구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인쇄매체(S)의 중송을 방지할 수 있는 급지장치(20)의 구조에 관하여 설명한다. 화상독취장치(11) 측에 위치하는 픽업롤러(112) 측에도 카세트(21) 측에 구비되는 중송방지 구조가 유사하게 적용될 수 있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급지장치의 모습을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급지장치를 상부에서 바라본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급지장치(20)는 인쇄매체(S)를 한장씩 픽업하는 픽업롤러(27), 픽업롤러(27)에 의해 픽업된 인쇄매체(S)를 현상장치(30:도2 참조) 측으로 이동시키는 피드롤러(28), 픽업롤러(27)와 피드롤러(28)에 구동력을 전달하는 구동원(800)을 포함할 수 있다. 구동원(800)의 구동력은 구동력 전달부(801)를 통해 픽업롤러(27) 및 피드롤러(28) 측으로 전달될 수 있다. 구동력 전달부(801)는 기어 연결 방식, 풀리와 벨트를 이용한 방식 등에 의해 다양한 구조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구동력 전달부(801)가 기어 방식으로 구현되는 구조에 관하여 설명한다.
피드롤러(28)는, 구동원(800)으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제1샤프트(810)에 장착될 수 있다. 제1샤프트(810)는 기어 연결에 의해 구동원(800)으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할 수 있다.
픽업롤러(27)는 피드롤러(28)와 이격되어 위치될 수 있다. 픽업롤러(27)는, 제1샤프트(810)와 소정 간격 이격된 제2샤프트(270)에 장착될 수 있다. 픽업롤러(28)는 피드롤러(28) 측과 연결되어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할 수 있다.
제1샤프트(810)에는 제1기어(281)이 구비되고, 제2샤프트(270)에는 제2기어(271)가 구비될 수 있다. 제1기어(281)와 제2기어(271)는 제3기어(291)와 치합될 수 있다. 제1샤프트(810)가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면, 제1기어(281), 제3기어(291)를 통해 제2기어(271)로 구동력이 전달될 수 있다. 제2기어(271)로 구동력이 전달되면 제2샤프트(270)가 회전하고, 제2샤프트(270)에 장착된 픽업롤러(27)도 제2샤프트(270)와 함께 회전할 수 있다.
제1샤프트(810)에는 일방향 클러치(282)가 장착될 수 있다. 픽업롤러(27)가 인쇄용지(S)를 픽업할 때 회전하는 방향을 시계 방향(B)의 회전이라 하면, 제1기어(281)가 시계 방향(B)으로 회전할 때 픽업롤러(27)는 시계 방향(B)으로 회전할 수 있다.
일방향 클러치(282)는 제1샤프트(810)가 일방향으로 회전할 때에만 제1기어(281)가 제1샤프트(810)와 함께 일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할 수 있다. 일방향 클러치(282)에 의해, 제1샤프트(810)가 시계 방향(B)으로 회전할 때에는 제1기어(281)에 회전력이 전달되지 않는다. 따라서 픽업롤러(27)는, 인쇄용지(S)를 픽업하여, 인쇄용지(S)를 피드롤러(28) 측으로 이송시킬 수 있게 회전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때 인쇄용지(S)의 이송 방향을 P라 할 수 있다.
제1샤프트(810)와 제2샤프트(270)는 스윙부재(81)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스윙부재(81)의 일측에는 제3샤프트(811)가 장착될 수 있다. 스윙부재(81)는 제3샤프트(811)와 함께 이동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제3샤프트(811)는 제1샤프트(810)와 연결되어 구동력을 전달받아 후술할 제1샤프트(810)에 장착된 제8기어(88)를 중심으로 공전할 수 있다. 일례로 제3샤프트(811)는 제1샤프트(810)와 기어 연결될 수 있다. 제3샤프트(811)와 제1샤프트(810)가 연결되는 방식은 기어 연결 방식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1샤프트(810)를 중심으로 스윙부재(81)의 일측에 제3샤프트(811)가 구비되고 타측에 제2샤프트(270)가 구비될 수 있다. 제3샤프트(811)는 제8기어(88)를 중심으로 시계 방향(B)으로 공전하면 스윙부재(81)의 타측이 하강하고, 제3샤프트(811)가 반시계 방향(A)으로 공전하면 스윙부재(81)의 타측이 상승할 수 있다.
스윙부재(81)의 타측이 상승하면, 스윙부재(81)의 타측에 장착된 픽업롤러(27)가 상승할 수 있다. 픽업롤러(27)가 상승하면, 인쇄매체(S)로부터 이격되거나 인쇄매체(S)의 픽업시 인쇄매체(S)를 가압하는 힘이 감소할 수 있다.
인쇄매체(S)의 픽업이 이루어진 후, 제3샤프트(811)는 시계 방향(B)으로 공전하여 스윙부재(81)의 타측이 하강하고, 픽업롤러(27)는 원위치로 복귀할 수 있다. 스윙부재(81)의 동작에 따른 인쇄매체(S)의 픽업 동작에 관해서는 후술한다.
인쇄매체(S)는 가압스프링(22)에 의해 지지되는 녹업플레이트(23)에 적재되어 있다. 가압스프링(22)에 의해 녹업플레이트(23)가 탄성지지됨으로써, 녹업플레이트(23)에 적재된 인쇄매체(S)가 사용됨에 따라, 녹업플레이트(23)가 상승하여 최상부에 위치한 인쇄매체(St)가 픽업롤러(27)에 의해 픽업될 수 있는 위치에 있을 수 있다.
스윙부재(81)에는 탄성부재(802)가 장착될 수 있다. 탄성부재(802)는 픽업롤러(27)가 인쇄매체(S) 측으로 접근하도록 스윙부재(81)에 탄성력을 전달할 수 있다. 탄성부재(802)의 탄성력과 녹업플레이트(23)를 지지하는 가압스프링(22)의 탄성력에 의해 픽업롤러(27)가 인쇄매체(S)를 적절한 압력으로 가압하여 한장씩 픽업할 수 있다.
제1샤프트(810)는 구동력 전달부(801)에 의해 구동원(800)과 연결될 수 있다. 구동력 전달부(801)는 기어 연결에 의해 제1샤프트(810)와 연결될 수 있다. 제1샤프트(810)에는 구동력 전달부(801)에 마련되는 기어부(801a)와 치합되는 제4기어(83)가 마련될 수 있다.
제1샤프트(810)에는 피드 클러치(82)가 구비될 수 있다. 피드 클러치(82)는 제4기어(83)에 전달된 구동력이 제1샤프트(810)에 선택적으로 전달될 수 있도록 한다.
피드 클러치(82)가 온(on) 상태이면, 구동원(800)의 구동력은 구동력 전달부(801), 제4기어(83)를 통해 제1샤프트(810)로 전달될 수 있다. 구동력에 의해 제1샤프트(810)가 시계 방향(B)으로 회전하는 경우, 구동력은 제1기어(281), 제3기어(291), 제2기어(271)를 통해 제2샤프트(270) 측으로 전달되어 픽업롤러(27)가 시계 방향(B)으로 회전할 수 있다.
피드 클러치(82)가 오프(off) 상태이면, 제4기어(83)로 구동원(800)의 구동력이 전달되지 않는다. 따라서 피드 클러치(82)가 오프(off) 상태이면 제1샤프트(810)가 회전하지 않고, 픽업롤러(27)에도 구동력이 전달되지 않아 회전하지 않는다.
제1샤프트(810)에 전달된 구동력은 기어 연결을 통해 제3샤프트(811)로 전달될 수 있다. 제1샤프트(810)에는 제5기어(85)가 구비되고, 제3샤프트(811)에는 제5기어(85)와 치합되는 제6기어(86)가 구비될 수 있다. 제1샤프트(810)가 회전하면 제5기어(85), 제6기어(86)를 통해 구동력이 전달될 수 있다.
제3샤프트(811)에는 제7기어(87)가 더 구비되고, 제1샤프트(810)에는 제7기어(87)와 치합되는 제8기어(88)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제8기어(88)는 제1샤프트(810)가 회전하더라도 움직이지 않도록 구비될 수 있다. 제1샤프트(810)가 회전하면 그 회전력은 제5기어(85), 제6기어(86)를 통해 제7기어(87)로 전달될 수 있다. 제7기어(87)는 회전력을 전달받아 제8기어(88)를 중심으로 공전할 수 있다. 제7기어(87)가 제8기어(88)를 중심으로 공전하면 제3샤프트(811)에 장착된 스윙부재(81)는 제3샤프트(811)와 함께 이동할 수 있다.
일례로 제1샤프트(810)가 시계 방향(B)으로 회전하면, 제3샤프트(811)는 제8기어(88)를 중심으로 반시계 방향(A)으로 공전할 수 있다. 제3샤프트(811)가 반시계 방향(A)으로 공전하면, 스윙부재(81)는 일측이 상승하고 타측이 하강할 수 있다. 스윙부재(81)의 타측이 하강하면 픽업롤러(27)가 하강하여 인쇄매체(S) 측으로 접근할 수 있다.
반대로, 제1샤프트(810)가 반시계 방향(A)으로 회전하면, 제3샤프트(811)는 시계 방향(B)으로 회전할 수 있다. 제3샤프트(811)가 시계 방향(B)으로 회전하면, 스윙부재(81)의 타측이 상승하여 픽업 롤러(27)가 인쇄매체(S)로부터 이격되거나 픽업롤러(27)가 인쇄매체(S)에 가하는 힘이 감소할 수 있다.
제1샤프트(810)에는 로드 클러치(84)가 구비될 수 있다. 로드 클러치(84)에 의해 제1샤프트(810)의 구동력이 제3샤프트(811)로 선택적으로 전달될 수 있다.
로드 클러치(84)가 온(on) 상태이면, 구동원(800)의 구동력은 제1샤프트(810)의 제5기어(85), 제6기어(86)를 통해 제3샤프트(811)로 전달될 수 있다. 로드 클러치(84)가 오프(off) 상태이면, 제1샤프트(810)가 회전하더라도 제1샤프트(810)의 회전력이 제3샤프트(811) 측으로 전달되지 않는다. 따라서 제3샤프트(811)는 회전하지 않고, 스윙부재(81) 및 픽업롤러(27)도 움직이지 않는다.
제3샤프트(811)에는 토크리미터(89)가 구비될 수 있다. 토크리미터(89)는 스토퍼의 역할을 할 수 있다. 토크리미터(89)는 제7기어(87)로 입력되는 구동력이 일정 크기 이상이 되면 제3샤프트(811)에 구동력이 전달되지 못하게 할 수 있다.
제1샤프트(810)의 회전에 따라 제7기어(87)가 제8기어(88)를 따라 적절한 힘과 적절한 속도로 공전할 수 있도록, 제5기어(85), 제6기어(86), 제7기어(87) 및 제8기어(88)의 기어비는 적절하게 설정될 수 있다. 일례로, 제6기어(86)는 제5기어(85)보다 더 큰 치수를 갖도록 구비되고, 제7기어(87)는 제6기어(86)보다 더 작은 치수를 갖도록 구비되고, 제8기어(88)는 제7기어(87)보다 더 큰 치수를 갖도록 구비될 수 있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급지장치의 일부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급지장치의 동작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픽업롤러(27)는, 인쇄매체(S)의 픽업 동작 전인 준비단계에서, 인쇄매체(S)와 접촉되어 있을 수 있다. 제어부(미도시)에 의해 인쇄매체(S)의 픽업 동작 명령이 있는 경우, 구동원(800)으로부터 전달되는 구동력에 의해 시계 방향(B)으로 회전하여 인쇄매체(S)를 한장씩 픽업할 수 있다. 이때 구동원(800)의 구동력은 피드 클러치(82)가 온(ON) 된 경우, 구동력 전달부(801), 제1샤프트(810), 제1기어(281), 제3기어(291), 제2기어(271)를 통해 전달될 수 있다.
픽업롤러(27)와 인쇄매체(S) 사이의 마찰력이 적절한 경우, 인쇄매체(S)는 픽업롤러(27)에 의해 한장씩 픽업될 수 있다. 픽업롤러(27)에 의해 인쇄매체(S)가 한장씩 픽업할 수 있을 때 픽업롤러(27)와 인쇄매체(S) 간의 마찰력을 기준치라고 할 때, 픽업롤러(27)와 인쇄매체(S) 사이의 마찰력이 기준치보다 큰 경우, 인쇄매체(S)의 중송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표면에 특수 코팅층 또는 요철이 있는 특수한 인쇄매체(S)의 경우, 픽업롤러(27)가 인쇄매체(S)를 가압하는 힘에 의해 인쇄매체(S)의 손상이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경우, 인쇄매체(S)의 픽업시, 소정의 시간동안 픽업롤러(27)를 상승시켜 픽업롤러(27)가 인쇄매체(S)로부터 이격되거나 픽업롤러(27)가 인쇄매체(S)를 가압하는 힘을 감소시킬 수 있다. 구동원(800)의 구동력에 의해 제7기어(87)는 제8기어(88)를 따라 반시계 방향(A)으로 공전할 수 있다. 제7기어(87)가 제8기어(88)를 따라 반시계 방향(A)으로 공전하면, 픽업롤러(27)가 위치한 스윙부재(81) 타측은 상승할 수 있다. 스윙부재(81)의 타측이 상승하면, 픽업롤러(27)는 인쇄매체(S)로부터 이격되거나, 픽업롤러(27)가 인쇄매체(S)를 가압하는 힘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픽업롤러(27)를 소정 시간동안 상승시킴으로써 의해 인쇄매체(S)가 중송되거나 특수한 인쇄매체(S)의 표면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구동원(800)의 구동력에 의해 제7기어(87)가 제8기어(88)를 따라 시계 방향(B)으로 공전하면, 스윙부재(81)의 타측은 하강하고, 픽업롤러(27)는 인쇄매체(S) 측으로 접근하여 원위치로 되돌아올 수 있다. 소정의 시간이 경과하면, 픽업롤러(27)는 인쇄매체(S)를 픽업할 수 있는 원위치로 되돌아올 수 있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급지장치에 센서가 구비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8은 센서가 구비된 급지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급지장치(20)에는 인쇄매체(S)를 감지할 수 있는 센서(201,202)가 구비될 수 있다. 센서(201,202)는 인쇄매체(S)를 감지하고, 감지된 결과를 제어부로 전송할 수 있다. 제어부는 감지된 결과를 이용하여 픽업롤러(27)를 상승 또는 하강시킬 수 있다.
인쇄매체(S)가 픽업롤러(27)에 의해 픽업되어 이동하는 방향을 전방이라고 할 때, 픽업롤러(27)의 전방에는 피드롤러(28)가 위치된다. 피드롤러(28)는 제1피드롤러(28a) 및 제1피드롤러(28a)와 이격되어 제1피드롤러(28a)의 전방에 위치하는 제2피드롤러(28b)를 포함할 수 있다.
피드롤러(28)의 하방에는 리타드 롤러(29)가 구비될 수 있다. 리타드 롤러(29)는 피드롤러(28)의 회전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구비되거나, 회전하지 않는 아이들 롤러로 구비될 수도 있다. 리타드 롤러(29)에 의해 피드롤러(28)를 통과하는 인쇄매체(S)의 중송이 방지될 수 있다. 제1피드롤러(28a)의 하방에는 제1리타드 롤러(29a)가 구비되고, 제2피드롤러(28b)의 하방에는 제2리타드 롤러(29b)가 구비될 수 있다.
센서(201,202)는 단일하게 구비되거나 복수 개가 구비될 수도 있다. 일례로 센서(201,202)는 제1센서(201) 및 제2센서(20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센서(201)는 제1피드롤러(28a)와 제2피드롤러(28b)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제2센서(202)는 제2피드롤러(28b)의 전방에 위치될 수 있다. 센서(201,202)의 위치 및 개수는 상기 기재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어부는 센서(201,202)에 의해 감지된 결과를 이용하여 픽업롤러(27)가 상승 또는 하강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일례로 픽업롤러(27)에 의해 인쇄매체(S)가 픽업되어 제1피드롤러(28a) 측으로 이송되고, 제1센서(201)에 의해 인쇄매체(S)가 감지되면, 제어부는 픽업롤러(27)가 상승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인쇄매체(S)가 제1피드롤러(28a)에 의해 제2피드롤러(28b) 측으로 이송되고, 제2센서(202)에 의해 인쇄매체(S)가 감지되면, 제어부는 픽업롤러(27)가 하강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픽업롤러(27)는 하강하여 원위치로 되돌아올 수 있다.
도 9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급지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급지장치(20a)에 구비되는 토크리미터(89a)는 제1샤프트(810)에 장착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토크리미터(89)와 유사하게, 다른 실시예에 따른 토크리미터(89a)는 스토퍼의 역할을 할 수 있다.
제1샤프트(810)에는 제5기어(85), 제8기어(88)가 구비되고, 제3샤프트(811)에는 제5기어(85)와 치합되는 제6기어(6), 제8기어(88)와 치합되는 제7기어(87)가 구비된다. 구동력 전달부(801)를 통해 제1샤프트(810)로 전달되는 구동력은 제5기어(85), 제6기어(86), 제7기어(87)를 통해 제8기어(88)로 전달될 수 있다.
토크리미터(89a)는 제1샤프트(810)에 장착되어, 제7기어(87)로부터 제8기어(88)로 전달되는 구동력의 크기가 일정 크기 이상이 되면 제7기어(87)가 제8기어(88)를 중심으로 공전하는 것이 방해될 수 있다.
로드 클러치(84)가 온(ON) 상태이고 제7기어(87)로 전달되는 구동력의 크기가 일정 크기 이하이면, 제7기어(87)는 제8기어(88)를 중심으로 공전하여 스윙부재(81)를 움직일 수 있다. 제7기어(87)가 공전하는 방향에 따라 픽업롤러(27)는 상승하거나 하강할 수 있다.
도 10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급지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급지장치(20b)는 로드클러치(84a)가 제1샤프트(810)에 구비되지 않을 수 있다. 급지장치(20b)는 제1샤프트(810)와 이격되어 위치된 제4샤프트(81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4샤프트(812)에는 로드 클러치(84a)가 구비될 수 있다. 제4샤프트(812)는 구동력 전달부(801)와 연결되어 구동원(800)으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을 수 있다.
제4샤프트(812)에는 제1샤프트(810)에 구비되는 제5기어(85)와 선택적으로 치합될 수 있는 제9기어(812a)가 구비될 수 있다. 제9기어(812a)는 제4샤프트(812)를 따라 이동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제4샤프트(812)에는 제1샤프트(810)에 구비되는 제4기어(83)와 치합되는 제10기어(812b)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제10기어(812b)는 제4기어(83)와 구동력 전달부(801)를 연결할 수 있다. 구동원(800)의 구동력은 구동력 전달부(801), 제10기어(812b), 제4기어(83)를 통해 제1샤프트(810)로 전달될 수 있다. 제1샤프트(810)는 제10기어(812b)를 통해 전달받은 구동력에 의해 회전할 수 있다. 제1샤프트(810)로 전달된 구동력은 제1기어(281), 제3기어(291), 제2기어(271)를 통해 픽업롤러(27)로 전달될 수 있다. 구동력을 전달받은 픽업롤러(27)를 회전하고 인쇄매체(S)를 픽업할 수 있다.
스윙부재(81)는 로드 클러치(84a)가 온(on) 상태에 있는 경우에 구동력을 전달받아 움직일 수 있다. 로드 클러치(84a)가 온(on) 상태인 경우, 제9기어(812a)는 제5기어(85)와 치합될 수 있다. 제9기어(812a)가 제5기어(85)와 치합되면 구동원(800)의 구동력이 제5기어(85) 측으로 전달될 수 있다. 제5기어(85)로 전달된 구동력은, 제6기어(86)를 통해 제3샤프트(811) 측으로 전달될 수 있다. 제3샤프트(811)로 전달된 구동력에 의해 제7기어(87)는 제8기어(88)를 중심으로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스윙부재(81)를 움직일 수 있다. 이로써 픽업롤러(27)가 상승 또는 하강될 수 있다.
로드 클러치(84a)가 오프(off) 상태에 있는 경우, 제9기어(812a)는 제4샤프트(812)를 따라 이동하여 제5기어(85)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제9기어(812a)와 제5기어(85)가 치합되지 않으므로, 구동력은 제5기어(85)에 전달되지 못하고 제3샤프트(811)에 구동력이 전달되지 못하는 상태에 놓인다. 로드 클러치(84a)가 오프 상태인 경우, 픽업롤러(27)의 상승 또는 하강 동작이 이루어지지 않는다.
도 11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급지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급지장치(20c)는 토크 리미터(89a)가 제3샤프트(811)에 구비되지 않을 수 있다. 급지장치(20c)는 제3샤프트(811)와 이격되어 위치된 제5샤프트(813)를 포함할 수 있다. 토크 리미터(89a)는 제5샤프트(813)에 장착될 수 있다.
제5샤프트(813)에는, 구동력을 전달받는 제6기어(86), 제6기어(86)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아 제8기어(88)를 중심으로 공전가능하게 구비되는 제7기어(87)가 구비될 수 있다. 토크리미터(89a)는 제5샤프트(813)에 구비되어 스토퍼의 기능을 할 수 있다. 토크리미터(89a)에 의해 제6기어(86)로 입력되는 구동력이 일정 크기 이상인 경우, 제5샤프트(813)로 구동력이 전달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제3샤프트(811)에는 제5기어(85) 및 제6기어(86)와 치합되는 연결기어(90)가 구비될 수 있다. 제5기어(85), 연결기어(90)를 통해 제6기어(86)로 입력되는 구동력의 크기가 일정 크기 이하이면, 제7기어(87)를 통해 제8기어(88)로 구동력이 전달될 수 있다. 제8기어(88)에 구동력이 전달되면 제3샤프트(811)는 회전할 수 있다.
제3샤프트(811)에는 제1캠(91)이 구비될 수 있다. 스윙부재(81)에는 제1캠(91)에 의해 가압될 수 있는 제2캠(92)이 구비될 수 있다. 제3샤프트(811)의 회전에 의해 제1캠(91)이 제2캠(92)을 가압함으로써 스윙부재(81)의 타측이 하강 또는 상승될 수 있다. 이로써 스윙부재(81)의 타측에 위치하는 픽업롤러(27)가 하강 또는 상승될 수 있다.
토크리미터, 로드클러치 등의 위치는 상기 기재된 바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구조로 구현될 수 있다.
도 12는 이간 모드시 급지장치의 동작을 도시한 도표이고, 도 13은 이간 모드시 급지장치의 픽업롤러의 동작에 대한 도표이다.
도 12 및 도 13을 참조하면, 픽업롤러(27)가 인쇄매체(S)를 픽업할 때, 스윙부재(81)에 의해 픽업롤러(27)가 인쇄매체(S)로부터 이격되는 실시예에 관한 도표이다.
도 12a는 시간의 흐름에 따른 구동원(800)의 온,오프 동작에 관한 도표이다. 도 12b는 시간의 흐름에 따른 피드클러치(82)의 온,오프 동작에 관한 도표이다. 도 12c는 시간의 흐름에 따른 로드클러치(84)의 온,오프 동작에 관한 도표이다. 도 12d는 시간의 흐름에 따른 제1센서(201)에 의해 인쇄매체(S)가 감지되는지 여부에 관한 도표이다. 도 12e는 시간의 흐름에 따른 제2센서(202)에 의해 인쇄매체(S)가 감지되는지 여부에 관한 도표이다.
도 13a는 피드클러치(82)가 온 되었을 때, 픽업롤러(27)가 인쇄매체(S)에 가하는 힘의 크기를 도시한 도표이다. 도 13b는 스윙부재(81)에 의해 픽업롤러(27)가 상승하는 힘의 크기를 도시한 도표이다. 도 13c는 픽업롤러(27)에서의 힘의 총합을 도시한 도표이다.
구동원(800)이 온 상태가 되면, 구동원 전달부(801)에 의해 구동력이 제1샤프트(810) 측으로 전달될 수 있다. 구동원(800)이 온 상태가 된 후, 제어부는 피드클러치(82)를 온 상태로 할 수 있다. 피드 클러치(82)가 온 상태가 될 때를 t1 이라 할 수 있다. 피드클러치(82)가 온 상태가 되면, 제1샤프트(810)로 전달된 구동력에 의해 픽업롤러(27)가 회전할 수 있다. 픽업롤러(27)는 회전하면서 인쇄매체(S)를 픽업할 수 있다.
이때 픽업롤러(27)가 인쇄매체(S)를 가압하는 힘은 +F1일 수 있다.
픽업롤러(27)에 의해 인쇄매체(S)는 픽업되어 제1피드롤러(28a) 측으로 이송될 수 있다. 제1센서(201)에 의해 인쇄매체(S)가 감지되면 제어부는 로드 클러치(84)를 온 상태로 할 수 있다. 제1센서(201)에 의해 인쇄매체(S)가 감지되기 시작할 때를 t2라 할 수 있다. 로드클러치(84)는 제1센서(201)에 의해 인쇄매체(S)가 감지됨과 동시에 온 상태가 될 수 있다. 따라서 로드 클러치(84)가 온 상태로 될 때를 t2라 할 수 있다.
로드클러치(84)가 온 상태가 되면, 스윙부재(81)에 구동력이 전달되어 픽업롤러(27)는 상승할 수 있다. 이때 픽업롤러(27)가 상승하는 힘은 -F2이다. -F2에서 -는 픽업롤러(27)가 인쇄매체(S)를 가압할 때의 힘의 방향과 반대 방향의 힘이라는 의미이다.
로드클러치(84)가 온 상태일 때, 픽업롤러(27)에서의 힘의 총합은 -F3일 수 있다. -F3는 +F1과 -F2의 합이다. 픽업롤러(27)는 인쇄매체(S)를 가압하는 힘보다 픽업롤러(27)가 상승하는 힘이 더 크기 때문에 픽업롤러(27)에서의 힘의 총합은 -F3가 된다. 픽업롤러(27)에서의 힘의 총합이 - 값을 갖으므로, 픽업롤러(27)는 인쇄매체(S)로부터 이격된 상태에 있게 된다.
인쇄매체(S)는 제1피드롤러(28a), 제2피드롤러(28b)에 의해 이송되고, 인쇄매체(S)가 제2센서(202)에 의해 감지되기 시작할 때를 t3라 할 수 있다. 제센서(202)에 의해 인쇄매체(S)가 감지된 후, 로드클러치(82)는 오프될 수 있다. 로드클러치(82)가 오프되면 탄성부재(802)의 탄성력에 의해 스윙부재(81)는 원위치로 되돌아갈 수 있다. 스윙부재(81)와 함께 픽업롤러(27)는 하강하여 인쇄매체(S)와 접촉될 수 있다. 로드클러치(82)가 오프될 때를 t4라 할 수 있다.
이때 픽업롤러(27)를 상승시키는 힘은 0이 되고, 픽업롤러(27)가 인쇄매체(S)를 가압하는 힘은 다시 +F1이 될 수 있다. 픽업롤러(27)는 t4-t1의 시간동안 상승되어 인쇄매체(S)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제2센서(202)에 의해 인쇄매체(S)가 더이상 감지되지 않으면, 제어부는 구동원(800)을 오프시킬 수 있다. 제2센서(202)에 의해 인쇄매체(S)가 마지막으로 감지될 때를 t5라 하고, 구동원(800)이 오프될 때를 t6라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픽업롤러(27)에 의해 인쇄매체(S)가 픽업된 후, 인쇄매체(S) 전체가 픽업롤러(27)를 통과하기 전에 소정의 시간(t4-t1)동안 픽업롤러(27)가 인쇄매체(S)로부터 이격됨으로써 인쇄매체(S)의 중송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도 14는 감압 모드시 급지장치의 동작을 도시한 도표이고, 도 15는 감압 모드시 급지장치의 픽업 롤러의 동작에 대한 도표이다.
도 14 및 도 15를 참조하면, 픽업롤러(27)가 인쇄매체(S)를 픽업할 때, 픽업롤러(27)가 인쇄매체(S)에 가하는 힘의 크기가 감소되는 경우에 관한 도표이다.
도 14a는 시간의 흐름에 따른구동원(800)의 온,오프 동작에 관한 도표이다. 도 14b는 시간의 흐름에 따른 피드클러치(82)의 온,오프 동작에 관한 도표이다. 도 14c는 시간의 흐름에 따른 로드클러치(84)의 온,오프 동작에 관한 도표이다. 도 14d는 시간의 흐름에 따른 제1센서(201)에 의해 인쇄매체(S)가 감지되는지 여부에 관한 도표이다. 도 14e는 시간의 흐름에 따른 제2센서(202)에 의해 인쇄매체(S)가 감지되는지 여부에 관한 도표이다.
도 15a는 피드클러치(82)가 온 되었을 때, 픽업롤러(27)가 인쇄매체(S)에 가하는 힘의 크기를 도시한 도표이다. 도 15b는 스윙부재(81)에 의해 픽업롤러(27)가 상승하는 힘의 크기를 도시한 도표이다. 도 15c는 픽업롤러(27)에서의 힘의 총합을 도시한 도표이다.
구동원(800)이 온 상태가 되면, 구동원 전달부(801)에 의해 구동력이 제1샤프트(810) 측으로 전달될 수 있다. 구동원(800)이 온 상태가 된 후, 제어부는 피드클러치(82)를 온 상태로 할 수 있다. 피드클러치(82)가 온 상태가 될 때를 t1이라 할 수 있다. 피드클러치(82)가 온 상태가 되면, 픽업롤러(27)에 의해 인쇄매체(S)가 픽업되고, 픽업롤러(27)가 인쇄매체(S)를 가압하는 힘은 +F1일 수 있다.
피드 클러치(82)가 온 상태가 될 때, 로드 클러치(84)도 온 상태가 될 수 있다. 로드 클러치(84)는 피드 클러치(82)와 동시에 온 상태가 되거나, 피드 클러치(82)보다 먼저 온 상태가 될 수도 있다. 로드 클러치(84)가 온 상태가 되면, 픽업롤러(27)가 상승하는 힘은 -F4이다. F4는 F1보다 작은 값을 갖을 수 있다. 따라서 픽업롤러(27)에서의 힘의 총합은 +F5가 될 수 있다. +F5에서 +는 픽업롤러(27)에 의해 인쇄매체(S)가 F5의 크기로 가압되고 있다는 의미이다.
이와 같이, 인쇄매체(S)는 픽업롤러(27)에 의해 F1보다 작은 값을 갖는 F5의 크기로 가압되어 픽업될 수 있다.
제1센서(201)에 의해 인쇄매체(S)가 감지되면, 로드클러치(84)는 오프될 수 있다. 로드클러치(84)가 오프될 때를 t3라 할 수 있다. 로드클러치(84)가 오프되면 탄성부재(802)의 탄성력에 의해 픽업롤러(27)는 하강하여 인쇄매체(S)를 +F1의 힘으로 가압하면서 픽업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로드클러치(84)가 인쇄매체(S)가 제1센서(201)에 의해 감지될 때(t3) 오프되는 경우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로드클러치(84)가 오프되는 때는 t3보다 더 늦을 수도 있다.
이와 같이, 픽업롤러(27)가 인쇄매체(S)를 픽업할 때, 인쇄매체(S)에 가해지는 힘이 감소함으로써, 코팅이 되거나 요철부가 형성되는 등 특수한 인쇄매체(S)의 픽업시, 인쇄매체(S)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2 내지 도 15에서의 급지장치의 제어방법은 예시에 불과하고, 본 발명의 급지장치의 제어는 다양한 방식으로 제어될 수 있다.
1: 화상형성장치 10: 본체
20: 급지장치 21: 카세트
22: 가압스프링 23: 녹업플레이트
25: 이송부재 27: 픽업롤러
28: 피드롤러 30: 현상장치
40: 토너장치 50: 광주사장치
60: 정착장치 70: 배출장치
80: 이송부재 81: 스윙부재
82: 피드클러치 83: 제4기어
84: 로드클러치 85: 제5기어
86: 제6기어 87: 제7기어
88: 제8기어 270: 제2샤프트
271: 제2기어 281: 제1기어
291: 제3기어 800: 구동원
801: 구동력 전달부 802: 탄성부재
810: 제1샤프트 811: 제3샤프트
812: 제4샤프트 812a: 제9기어
812b: 제10기어 813: 제5샤프트

Claims (10)

  1. 인쇄매체가 저장되는 카세트;
    상기 카세트에 저장된 인쇄매체를 픽업하는 픽업롤러;
    상기 픽업롤러의 전방에 위치되고, 상기 픽업롤러에 의해 픽업된 인쇄매체를 이송하는 피드롤러;
    구동원과 연결되고, 상기 피드롤러가 장착되는 제1샤프트;
    상기 제1샤프트와 연결되어 구동력을 전달받고, 상기 픽업롤러가 장착되는 제2샤프트; 및
    상기 제1샤프트 및 상기 제2샤프트가 장착되고, 상기 제1샤프트를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스윙부재;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윙부재에는 제3샤프트가 더 구비되고, 상기 제3샤프트는 상기 제1샤프트와 연결되어 구동력을 전달받는 화상형성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샤프트에는 제1기어가 구비되고, 제3샤프트에는 제1기어와 치합되는 제2기어가 구비되는 화상형성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기어가 상기 제1기어를 중심으로 공전함으로써, 상기 스윙부재의 일측이 상기 제1샤프트를 중심으로 회전하는 화상형성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윙부재의 일측이 상기 제1샤프트를 중심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 상기 픽업롤러가 상승하고, 상기 스윙부재의 일측이 제1샤프트를 중심으로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 상기 픽업롤러가 하강하는 화상형성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샤프트에 구동력이 선택적으로 전달되도록 피드클러치가 구비되는 화상형성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피드클러치가 온 상태일 때, 상기 제2샤프트에 구동력이 전달되어 상기 픽업롤러에 의해 인쇄매체의 픽업 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는 화상형성장치.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3샤프트에 구동력이 선택적으로 전달되도록 로드클러치가 구비되는 화상형성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로드클러치가 온 상태일 때, 상기 제3샤프트에 구동력이 전달되어 상기 스윙부재의 일측이 상기 제1샤프트를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화상형성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픽업롤러가 상기 인쇄매체를 가압하도록, 상기 스윙부재를 가압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
KR1020150116724A 2015-08-19 2015-08-19 화상형성장치 KR20170022126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6724A KR20170022126A (ko) 2015-08-19 2015-08-19 화상형성장치
US15/240,492 US9746808B2 (en) 2015-08-19 2016-08-18 Image forming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6724A KR20170022126A (ko) 2015-08-19 2015-08-19 화상형성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22126A true KR20170022126A (ko) 2017-03-02

Family

ID=581580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16724A KR20170022126A (ko) 2015-08-19 2015-08-19 화상형성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9746808B2 (ko)
KR (1) KR20170022126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023409B2 (en) 2016-05-11 2018-07-17 S-Printing Solution Co., Ltd. Paper feeder and medium processing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271322B2 (ja) * 2019-06-07 2023-05-11 キヤノン株式会社 シート給送装置
JP2022026579A (ja) * 2020-07-31 2022-02-10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シート供給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47635A (ja) * 1989-10-31 1991-06-24 Victor Co Of Japan Ltd 自動給紙装置
JP2003201031A (ja) * 2002-01-09 2003-07-15 Konica Corp 給紙装置及び給紙装置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US7963519B2 (en) * 2006-11-27 2011-06-21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Media pick system and method
JP6397329B2 (ja) * 2014-12-26 2018-09-26 株式会社沖データ ローラユニットおよび画像形成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023409B2 (en) 2016-05-11 2018-07-17 S-Printing Solution Co., Ltd. Paper feeder and medium processing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US10538400B2 (en) 2016-05-11 2020-01-21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Paper feeder and medium processing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9746808B2 (en) 2017-08-29
US20170052495A1 (en) 2017-02-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517373B2 (en) Sheet feeder with pickup roller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7530562B2 (en) Sheet feed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CN105388720B (zh) 手动供给装置以及包括该手动供给装置的图像形成装置
US8136808B2 (en) Paper feed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with curl correction
US9873576B2 (en) Sheet feed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2010064805A (ja) 給紙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KR101330736B1 (ko) 화상형성장치
KR101285177B1 (ko) 원고공급장치와 이를 가지는 화상독취장치 및 화상형성장치
US9746808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US8849174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KR20030027617A (ko) 인쇄기의 용지 이송장치 및 이송방법
US10358306B2 (en) Sheet feed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JP2021011382A (ja) シート給送装置、画像読取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US11554928B2 (en) Sheet feeding apparatus, image read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6669989B2 (ja) 給紙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008100824A (ja) 給紙機構及びそ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US9487368B1 (en) Image forming apparatus with rotatable paper conveyance assembly
KR20190123063A (ko) 이미지 형성 장치의 반송롤러 제어를 통한 오송방지
JP2014009082A (ja) シート給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6645122B2 (ja) 画像形成装置
JP2008169024A (ja) シート給送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並びにファクシミリ装置
JP6460031B2 (ja) シート搬送装置、及びシート搬送装置を備える画像形成装置
JP6518495B2 (ja) 給紙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る画像形成装置
JP2020179951A (ja) シート給送装置、画像読取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014101193A (ja) 給紙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