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41292A - 화상형성장치 - Google Patents

화상형성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41292A
KR20100041292A KR1020080100409A KR20080100409A KR20100041292A KR 20100041292 A KR20100041292 A KR 20100041292A KR 1020080100409 A KR1020080100409 A KR 1020080100409A KR 20080100409 A KR20080100409 A KR 20080100409A KR 20100041292 A KR20100041292 A KR 201000412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nsor
sensing
actuator
arm
casset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004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제환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1004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41292A/ko
Priority to US12/508,181 priority patent/US8042801B2/en
Publication of KR201000412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4129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7/00Controlling article feeding, separating, pile-advancing, or associated apparatus, to take account of incorrect feeding, absence of articles, or presence of faulty articles
    • B65H7/02Controlling article feeding, separating, pile-advancing, or associated apparatus, to take account of incorrect feeding, absence of articles, or presence of faulty articles by feelers or detec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3/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ort lengths, e.g. sheets
    • B41J13/10Sheet holders, retainers, movable guides, or stationary guides
    • B41J13/103Sheet holders, retainers, movable guides, or stationary guides for the sheet feeding s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1/00Supports or magazines for piles from which articles are to be separated
    • B65H1/26Supports or magazines for piles from which articles are to be separated with auxiliary supports to facilitate introduction or renewal of the pile
    • B65H1/266Support fully or partially removable from the handling machine, e.g. cassette, drawe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65Apparatus which relate to the handling of copy material
    • G03G15/6502Supplying of sheet copy material; Cassettes therefo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65Apparatus which relate to the handling of copy material
    • G03G15/6502Supplying of sheet copy material; Cassettes therefor
    • G03G15/6508Automatic supply devices interacting with the rest of the apparatus, e.g. selection of a specific cassett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220/00Function indicators
    • B65H2220/09Function indicators indicating that several of an entity are pres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511/00Dimensions; Position; Numbers; Identification; Occurrences
    • B65H2511/20Location in spa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511/00Dimensions; Position; Numbers; Identification; Occurrences
    • B65H2511/50Occurence
    • B65H2511/51Presen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511/00Dimensions; Position; Numbers; Identification; Occurrences
    • B65H2511/50Occurence
    • B65H2511/515Absen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553/00Sensing or detecting means
    • B65H2553/40Sensing or detecting means using optical, e.g. photographic, elements
    • B65H2553/41Photoelectric detectors
    • B65H2553/412Photoelectric detectors in barrier arrangements, i.e. emitter facing a receptor el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553/00Sensing or detecting means
    • B65H2553/60Details of intermediate means between the sensing means and the element to be sensed
    • B65H2553/61Mechanical means, e.g. contact ar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801/00Application field
    • B65H2801/03Image reproduction devices
    • B65H2801/06Office-type machines, e.g. photocopi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heets, Magazines, And Separation Thereof (AREA)
  • Controlling Sheets Or Web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상형성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는 본체와, 상기 본체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고, 인쇄매체가 적재되는 카세트와, 상기 카세트의 장착 여부와, 상기 인쇄매체의 적재 여부와, 상기 인쇄매체의 위치를 함께 감지하는 감지유닛을 포함한다.

Description

화상형성장치{IMAGE FORMING APPARATUS}
본 발명은 화상형성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카세트의 장착여부와 인쇄매체의 적재여부와 인쇄매체의 위치를 감지하는 감지유닛에 관한 것이다.
화상형성장치는 입력된 화상 신호에 따라 인쇄매체에 화상을 인쇄하는 장치로서, 프린터, 복사기, 팩스 및 이들의 기능을 하나로 통합한 복합기 등이 이에 해당한다.
화상형성장치는 인쇄매체에 화상을 형성하는 본체와, 본체에 인쇄매체(이하에서는 편의상 '용지'라 칭하나, 인쇄매체가 용지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를 공급하기 위한 카세트를 가진다.
화상형성장치는 제1감지유닛을 구비하는데, 제1감지유닛은 카세트가 본체에 장착되었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화상형성장치는 제2감지유닛과 제3감지유닛을 구비하는데, 제2감지유닛은 카세트에 용지가 적재되어 있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역할을 수행하고, 제3감지유닛은 카세트에 용지의 적절하게 위치하고 있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여기서 카세트는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용지 적재판을 구비하여 용지의 위치를 변화시킬 수 있다.
이들 제1감지유닛, 제2감지유닛, 제3감지유닛은 각각 센서를 구비하는데, 각각의 센서는 장치 내의 공간을 많이 차지한다. 뿐만 아니라 각각 센서가 연계되어 동작하지 못하는 경우 오작동의 가능성이 증가할 수 있다.
이에 센서의 개수를 최소로 하여 장치 내에 센서가 차지하는 공간을 최소화하고 오작동을 최소화하는 방안이 요구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하나의 감지유닛을 이용하여 카세트의 장착여부와 인쇄매체의 적재여부와 인쇄매체의 위치를 감지하는 화상형성장치에 대해서 개시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하나의 감지유닛은 두 개의 센서와 세 개의 액추에이터를 이용하는 화상형성장치에 대해서 개시한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는 본체;와, 상기 본체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고, 인쇄매체가 적재되는 카세트;와, 상기 카세트의 장착 여부와, 상기 인쇄매체의 적재 여부와, 상기 인쇄매체의 위치를 함께 감지하는 감지유닛;을 구비한다.
이때 상기 감지유닛은 상기 카세트의 장착 여부를 감지하는 제1액추에이터와, 상기 인쇄매체의 적재 여부를 감지하는 제2액추에이터와, 상기 인쇄매체의 위치를 감지하는 제3액추에이터와, 상기 제1액추에이터와 상기 제3액추에이터의 동작을 감지하는 제1감지부를 가지는 제1센서와, 상기 제2액추에이터의 동작을 감지하는 제2감지부를 가지는 제2센서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액추에이터와 상기 제2액추에이터와 상기 제3액추에이터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액추에이터는 상기 카세트에 간섭될 수 있는 위치로 연장되는 제1작동아암과, 상기 제1센서에 의해서 센싱되는 제1센싱아암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액추에이터는 상기 인쇄매체를 향해 연장되는 제2작동아암과, 상기 제2센서에 의해 센싱되는 제2센싱아암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3액추에이터는 상기 제2작동아암과, 상기 제1센서에 의해 센싱되는 제3센싱아암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액추에이터에 외력이 작용하지 않을 때 상기 제1센싱아암과 상기 제2센싱아암과 상기 제3센싱아암 각각은 상기 제1센서 또는 상기 제2센서에 감지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카세트의 장착 시 상기 제1작동아암이 상기 카세트와 간섭함에 따라 상기 제1액추에이터는 회동하고, 상기 제1센싱아암은 상기 제1센서에 감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카세트는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용지적재판과, 상기 용지적재판을 승강시키는 리프팅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카세트가 상기 본체에 장착되어 상기 제1센싱아암이 상기 제1센서에 감지되고 상기 제2센싱아암이 상기 제2센서에 감지되지 않은 경우 상기 리프팅 부재가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리프팅 부재가 동작하는 동안 상기 용지적재판이 상승하여 상기 제2작동아암이 상기 인쇄매체와 간섭함에 따라 상기 제1액추에이터와 상기 제2액추에이터는 회동하고, 상기 제1센싱아암이 상기 제1센서에 감지되지 않고 상기 제2센싱아암이 상기 제2센서에 감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작동아암이 상기 인쇄매체와 간섭함에 따라 상기 제1액추에이터와 상기 제2액추에이터와 상기 제3액추에이터는 회동하고, 상기 제1센싱아암이 상기 제1센서에 감지되지 않고, 상기 제2센싱아암이 상기 제2센서에 감지되고, 상기 제3센싱아암이 상기 제1센서에 감지되는 경우 상기 리프팅 부재는 정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센싱아암과 상기 제3센싱아암은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되, 상기 제1센싱아암이 상기 제3센싱아암의 상부에 위치하고, 상기 제2센싱아암은 상기 제1센싱아암과 상기 제3센싱아암 사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센시아암은 상기 제1센시아암의 일부분과 겹치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3센싱아암과 겹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카세트는 작동공을 가지는 용지적재판, 상기 용지적재판을 승강시키는 리프팅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인쇄매체가 적재되지 않고서 상기 리프팅 부재에 의해서 상기 용지적재판이 소정 위치로 상승하는 경우 상기 제2작동아암의 일부분은 상기 작동공에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작동아암의 일부분이 상기 작동공에 수용되는 경우 상기 제1센싱아암은 상기 제1센서에 감지되고, 상기 제2센싱아암은 상기 제2센서의 감지되지 않고, 상기 제3센싱아암은 상기 제1센서에 감지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는 본체;와 인쇄매체가 적재되며, 상기 본체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카세트;와 상기 카세트의 장착 여부를 감지하는 제1액추에이터와, 상기 인쇄매체의 적재 여부를 감지하는 제2액추에이터와, 상기 인쇄매체의 위치를 감지하는 제3액추에이터;와 상기 제1액추에이터와 상기 제 3액추에이터의 동작을 감지하는 상기 제1센서와, 상기 제2액추에이터의 동작을 감지하는 제2센서;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액추에이터와 상기 제2액추에이터와 상기 제3액추에이터는 동일한 회동축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액추에이터는 상기 카세트와 간섭될 수 있는 위치로 연장되는 제1작동아암과, 상기 제1센서에 의해 센싱되는 제1센싱아암을 구비하고, 상기 제2액추에이터는 상기 인쇄매체와 간섭될 수 있는 위치로 연장되는 제2작동아암과, 상기 제2센서의 의해 센싱되는 제1센싱아암을 구비하고, 상기 제3액추에이터는 상기 제2작동아암과, 상기 제1센서에 의해 센싱되는 제3센싱아암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카세트는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용지적재판과, 상기 용지적재판을 승강시키는 리프팅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제1센서 또는 상기 제2센서의 감지 여부에 따라서 상기 리프팅부재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센서가 감지상태이고 상기 제2센서가 비감지상태인 경우이거나 상기 제1센서가 비감지상태이고 상기 제2센서가 감지상태인 경우 상기 리프팅부재를 동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센서가 감지상태이고 상기 제2센서가 감지상태인 경우 상기 리프팅부재를 정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센서가 감지상태이고 상기 제2센서가 비감지상태가 소정 시간 일정하게 유지되는 경우 상기 리프트부재를 정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는 센서의 수량을 저감시켜 센서가 차지하는 공간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두 개의 센서를 이용하여 네 개의 상태를 감지할 수 있으므로 재료비 절감에 기여하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에 대하여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전체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는 본체(10), 급지장치(20), 광주사장치(30), 현상장치(40), 전사장치(50), 정착장치(60) 및 배지장치(7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광주사장치(30), 현상장치(40), 전사장치(50) 및 정착장치(60)는 용지에 화상을 형성하는 화상형성부로서, 본체(10)의 내부에 설치된다.
본체(10)는 화상형성장치의 전체적인 외관을 형성하는 한편, 내부에 설치되는 각종 부품들을 지지한다.
급지장치(20)는 내부에 용지(P)가 보관되는 카세트(100)와, 카세트(100)에 보관된 용지를 한 장씩 픽업하기 위한 픽업롤러(21)와, 픽업된 용지를 현상장 치(40) 쪽으로 이송하는 이송롤러(2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카세트(100)는 본체(10)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데, 본체(10)의 전면 하단부에는 카세트(100)가 장착될 수 있도록 개구부(11)가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화상형성장치를 소형화함에 따라 카세트(100)의 길이 방향으로 본체(10)의 크기가 카세트(100)보다 작게 형성된다. 따라서 카세트(100)의 전면(100a)이 본체(10)의 전면(10a)보다 돌출된다. 본체(10)의 개구부(11)는 돌출된 카세트(100)의 상부를 덮을 수 있도록 본체(10)의 전면(10a)보다 돌출된다.
급지장치(20)는 본체(10)에 카세트(100)가 제대로 장착되었는지의 여부 및 카세트(100)에 용지가 적재되어 있는지의 여부 및 카세트(100)에 용지의 위치가 어디인지를 감지하는 감지유닛(200)을 구비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감지유닛(200)은 두 개의 센서를 이용하여 카세트 장착 여부 및 용지 적재 여부 및 용지 적정 위치를 감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에 관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현상장치(40)는 서로 다른 색상의 토너, 예를 들면 옐로우(Y), 마젠타(M), 시안(C), 블랙(K) 색상의 토너가 각각 수용되는 4개의 현상기(40Y, 40M, 40C, 40K)를 가진다. 각각의 현상기(40Y, 40M, 40C, 40K)에는 광주사장치(30)에 의해 표면에 정전잠상이 형성되는 감광체(41)가 구비된다. 각각의 광주사장치(30)는 옐로우(Y), 마젠타(M), 시안(C), 블랙(K) 색상의 화상 정보에 대응하는 광을 인쇄 신호에 따라 각 현상기의 감광체(41)에 조사한다.
각각의 현상기(40Y, 40M, 40C, 40K)는 감광체(41)를 대전시키는 대전롤러(42), 각 감광체(41)에 형성된 정전잠상에 토너를 공급하여 가시화상으로 현상하 는 현상롤러(43) 및 현상롤러(43)에 토너를 공급하는 공급롤러(44)를 가진다.
전사장치(50)는 감광체(41)에 현상된 토너 화상을 용지로 전사시킨다. 전사장치(50)는 각 감광체(41)에 접촉되어 순환 주행하는 전사벨트(51)와, 전사벨트(51)를 구동시키는 전사벨트 구동롤러(52)와, 일정한 장력을 유지할 수 있도록 전사벨트(51)를 지지하는 텐션롤러(53)와, 감광체(41)에 현상되어 있는 토너 화상을 용지로 전사시키는 4개의 전사롤러(5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정착장치(60)는 전사장치(50)에 의해 용지로 전사된 토너 화상을 용지에 고정시킨다. 정착장치(60)는 열원을 가지는 가열롤러(61)와, 가열롤러(61)에 압착되는 가압롤러(62)를 포함한다. 용지가 가열롤러(61)와 가압롤러(62) 사이를 통과할 때, 가열롤러(61)로부터 전달되는 열과 가열롤러(61)와 가압롤러(62) 사이에서 작용하는 압력에 의해 토너 화상이 용지에 고정된다.
한편 배지장치(70)는 인쇄를 마친 용지를 화상형성장치의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것으로서, 배지롤러(71)와, 이 배지롤러(71)에 대향하여 설치되는 배지백업롤러(7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세트와 감지유닛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세트(100)는 카세트본체(110)와, 카세트본체(110)의 내부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적재판(120)과, 적재판(120)을 승강시키는 승강장치(130)와, 승강장치(130)를 구동시키는 구동장치(140)를 구비한다.
적재판(120)의 일측은 카세트본체(110)에 힌지 결합됨으로서 타측이 소정 각도 회동하며 업/다운 운동할 수 있다.
승강장치(130)는 리프팅 샤프트(131)에 결합되어 리프팅 샤프트(131)와 함께 회동하는 리프팅 부재(132)와, 동력을 전달받아 리프팅 샤프트(131)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카세트본체(110)의 후면 일측에 설치되는 리프팅 기어(133)와, 리프팅 기어(133)에 맞물리도록 카세트본체(110)에 설치되는 커플링 기어(134)를 가진다. 커플링 기어(134)는 후술할 구동장치(140)의 구동기어(142)에 결합되어 동력을 전달받는다.
구동장치(140)는 구동모터(141)와, 구동모터(141)에 결합되어 회동하는 구동기어(142)를 가진다. 특히 구동기어(142)는 카세트(100)가 본체(10)에 장착될 때 커플링 기어(134)와 결합하여 리프팅 기어(133)로 동력을 전달한다.
도 3 내지 도 8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에서 감지유닛의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감지유닛(200)은 제1액추에이터(210), 제2액추에이터(220), 제3액추에이터(230), 제1센서(241), 제2센서(242) 및 작동공(25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2는 제1액추에이터(210), 제2액추에이터(220), 제3액추에이터(230)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제1센서(241)는 제1액추에이터(210)와 제3액추에이터(230)를 감지하고, 제2센서(242)는 제2액추에이터(220)를 감지하여 그 결과를 화상형성장치의 제어부로 전달한다. 제어부는 제1센서(241)에 제1액추에이터(210) 또는 제3액추에이터(230)가 감지되는 여부 및 제2센서(242)에 제2액추에이터(220)가 감지되는 여부를 조합 하여 화상형성장치를 제어한다. 예를 들면 제1센서(241)에 제3액추에이터(230)가 감지되고 제2센서(242)에 제2액추에이터(220)가 감지되면, 제어부는 정상적인 인쇄가 가능한 상태로 인식하여 인쇄동작을 시작한다.
센서(241)(242)는 발광부(243)와 수광부(244)를 가지는 광센서로 구성될 수 있다. 센서(241)(242)는 일정한 공간을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하여 위치되는 두 지지체(234)를 가지고, 발광부(243)와 수광부(244)는 두 지지체(245)에 각각 설치된다. 발광부(243)와 수광부(244) 사이의 공간에는 제1센서(241)에서 제1감지부(246)가 정의되고 제2센서(242)에서 제2감지부(247)가 정의된다. 도 3 내지 도 8에서는 제1감지부(246)와 제2감지부(247)를 개념적으로 도시하였다.
본 실시예에서는 센서(230)로서 광센서가 사용된 예에 관해 설명하나, 제1액추에이터(210)와 제2액추에이터(220)의 위치를 감지할 수 있는 것이라면 다른 종류의 센서도 사용할 수 있다.
제1액추에이터(210)는 카세트(100)가 본체(10)에 제대로 장착되었는지를 감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제1액추에이터(210)는 본체(10)의 내부에 마련되는 프레임(미도시)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제1액추에이터(210)는 회동축(211)과, 회동축(211)의 일측으로부터 카세트(100)를 향해 아래쪽으로 연장되는 제1작동아암(212)과, 회동축(211)의 타측으로부터 제1센서(230)를 향해 연장되는 제1센싱아암(213)을 구비한다. 제1작동아암(212)과 제1센싱아암(213)은 자중에 의해서 아래쪽으로 회동하려는 힘을 받는다. 제1작동아암(212)에 아무런 외력이 작용하지 않은 경우 제1작동아암(212)과 제1센싱아암(213)은 모두 아래로 회동한다.(도 6참조)
제1작동아암(212)의 단부는 본체(10)에 장착되는 카세트(100)에 간섭될 수 있는 곳에 위치된다. 카세트본체(110)의 선단부에는 제1작동아암(212)과 간섭하는 간섭부(112)가 마련된다. 제1작동아암(212)이 카세트(100)와 간섭하여 위쪽으로 회동하면, 제1센싱아암(213)도 위로 회동하고, 이에 따라 제1센싱아암(213)이 제1센서(241)의 제1감지부(246)를 가리게 된다.(도 3참조)
제2액추에이터(220)는 카세트(100)에 용지가 적재되어 있는지를 감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제2액추에이터(220)는 본체(10) 내부에 마련되는 프레임(미도시)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데, 제1액추에이터(210)와 함께 회동축(211)을 공유한다. 제2액추에이터(220)는 회동축(211)과, 회동축(211)의 일측으로부터 카세트(100)에 적재된 용지(P)를 향해 연장되는 제2작동아암(222)과, 회동축(211)의 타측으로부터 제2센서(242)를 향해 연장되는 제2센싱아암(223)을 구비한다.
제2작동아암(222)은 그 단부에 인쇄매체 접촉부(222a)를 가진다. 리프팅 부재(132)가 상승함에 따라 인쇄매체 접촉부(222a)가 적재판(120)에 적재된 용지(P)와 접촉하면 제2작동아암(222)이 위쪽 방향으로 회동하고, 이에 따라 제2센싱아암(223)도 위쪽 방향으로 회동하여 제2센서(242)의 제2감지부(247)를 가리게 된다.(도 4 참조)
한편 카세트본체(110)의 선단부에는 카세트(100)가 본체(10)에 착탈될 때 카세트본체(110)가 제2액추에이터(220)와 간섭되는 것을 피할 수 있도록 개구부(111)가 마련된다.
제3액추에이터(230)는 카세트(100)에 적재되는 용지(P)의 위치를 감지 역할을 수행한다. 용지(P)는 적재판(120)이 승강함에 따라 그 위치가 변하게 되는데, 제3액추에이터(230)는 용지(P)가 인쇄 동작이 가능한 상태에 위치하고 있는 지를 감지한다. 제3액추에이터(230)는 제1액추에이터(210) 및 제2액추에이터(220)와 함께 회동축(211)을 공유하여, 본체(10) 내부에 마련되는 프레임(미도시)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제3액추에이터(230)는 회동축(211)과, 회동축(211)의 일측으로부터 카세트(100)에 적재된 용지(P)를 향해 연장되는 제2작동아암(222)과, 회동축(211)의 타측으로부터 제1센서(241)를 향해 연장되는 제3센싱아암(233)을 구비한다. 여기서 제3액추에이터(230)는 제2액추에이터(220)와 함께 제2작동아암(222)을 공유한다.
리프팅 부재(132)가 상승함에 따라 인쇄매체 접촉부(222a)가 적재판(120)에 적재된 용지(P)와 접촉하면 제2작동아암(222)이 위쪽 방향으로 회동하고, 이에 따라 제3센싱아암(233)도 위쪽 방향으로 회동하여 제1센서(241)의 제1감지부(246)를 가리게 된다.(도 5 참조)
제1센싱아암(213)과 제3센싱아암(233)은 회동축(211)의 동일한 지점에 설치되어 제1센서(241)에 의해서 감지된다. 이때 제1센싱아암(213)은 제3센싱아암(233)의 상부에 위치된다.
제2센싱아암(223)은 제1센싱아암(213) 및 제3센싱아암(233)으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되어 배치되며 제2센서(242)에 감지된다.
다만 도 3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제2센싱아암(223)은 제1센싱아 암(213)과 제3센싱아암(233) 사이에 위치된다. 이때 제2센싱아암(223)의 일부분은 제1센싱아암(213)의 일부분 겹치게 마련되는데, 제1센싱아암(213)이 제1센서(241)의 제1감지부(246)에서 벗어날 때 제2센싱아암(223)이 제2센서(242)의 제2감지부(247)를 가리게 된다.(도 4참조)
뿐만 아니라 제2센싱아암(223)의 일부분은 제3센싱아암(233)과 겹치게 마련되는데, 제3센싱아암(233)이 제1센서(241)의 제1감지부(246)를 가리는 동안 제2센싱아암(223)도 제2센서(242)의 제2감지부(247)를 가리게 된다.(도 5 참조)
한편 도 1 내지 도 8에서 도면 부호 '12'로 표시된 것은 본체(10)에 설치되는 급지가이드이다. 급지가이드(12)는 인쇄 과정에서 픽업롤러(21)에 의해 픽업된 용지를 현상장치(40) 쪽으로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이하에서는 도 2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감지유닛의 동작을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에서 카세트(100)가 본체(10)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카세트(100)가 본체(10)에 장착된 상태에서 감지유닛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 및 도 5는 제2작동아암(222)이 용지(P)에 접촉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카세트(100)가 본체(10)에 장착되지 않은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7은 인쇄 동작 중 용지(P)가 감소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8은 카세트(100)에 용지(P)가 적재되어 있지 않은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먼저 도 6과 같이, 카세트(100)가 본체(10)에 장착되지 않은 상태에서 제1액 추에이터(210), 제2액추에이터(220), 제3액추에이터(230)는 그 자중에 의해서 아래로 회동된 상태에 있다. 이때 제1센싱아암(213), 제2센싱아암(223), 제3센싱아암(233)도 아래로 회동된 상태에 있게 된다. 제1센싱아암(213), 제2센싱아암(223), 제3센싱아암(233)은 제1센서(241)의 제1감지부(246)와 제2센서(242)의 제2감지부(247)를 모두 벗어나 위치하게 된다. 이와 같이 카세트(100)가 본체(10)에 장착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제1센서(241)와 제2센서(242)는 모두 비감지상태(L)에 있게 되고, 이에 따라 화상형성장치의 제어부는 현 상태가 인쇄를 정상적으로 진행할 수 있는 상태가 아니라는 것을 인식하게 된다.
도 3과 같이, 카세트(100)가 본체(10)에 장착되면, 제1작동아암(212)의 단부는 카세트본체(110)의 선단부와 간섭하고, 이에 따라 제1작동아암(212)은 위쪽 방향으로 회동한다. 그러면 제1센싱아암(213)도 위쪽 방향으로 회동하여 제1센서(241)의 제1감지부(246)를 가리게 된다. 이때 제2센싱아암(223)도 위쪽 방향으로 회동하지만 제2센서(242)의 제2감지부(247)를 가리지는 못하고, 제3센싱아암(233)도 위쪽 방향으로 회동하지만 제1센서(241)의 제1감지부(246)를 가리지 못한다.
이처럼 제1센서(241)가 감지상태(H)에 있고 제2센서(242)가 비감지상태(L)에 있는 경우 제어부는 리프팅 부재(132)를 동작시켜 적재판(120)을 상승시킨다.
적재판(120)이 상승함에 따라 도 4와 같이, 인쇄매체 접촉부(222a)는 용지(P)와 접촉한다. 이로 인해 제2작동아암(222)은 위쪽 방향으로 회동하고, 제2센싱아암(223)도 위쪽 방향으로 위쪽 방향으로 회동하여 제2센서(242)의 제2감지부(247)를 가리게 된다. 이때 제1센싱아암(213)도 위쪽 방향으로 회동하여 제1센 서(241)의 제1감지부(246)를 벗어나게 되고, 제3센싱아암(233)도 위쪽 방향으로 회동하지만 제1센서(241)의 제1감지부(246)를 가리지는 못한다.
이처럼 제1센서(241)가 비감지상태(L)에 있고 제2센서(242)가 감지상태(H)에 있는 경우 제어부는 리프팅 부재(132)를 동작시켜 적재판(120)을 상승시킨다.
적재판(120)이 계속 상승함에 따라 도 5와 같이, 제2작동아암(222)이 계속 위쪽 방향으로 회동하게 되면, 제3센싱아암(233)도 위쪽 방향으로 회동하여 제1센서(241)의 제1감지부(246)를 가리게 된다. 이때 제1센싱아암(213)은 위쪽 방향으로 회동하여 제1센서(241)의 제1감지부(246)에서 더욱 벗어나게 되고, 제2센싱아암(223)은 위쪽 방향으로 회동하더라도 제2센서(242)의 제2감지부(247)를 가리고 있게 된다.
이처럼 제1센서(241)가 감지상태(H)에 있고 제2센서(242)가 감지상태(H)에 있는 경우 제어부는 리프팅 부재(132)를 정지시키고 적재판(120)의 상승을 정지시킨다. 이때 제어부는 카세트(100) 장착 상태와 용지(P)의 적재 상태가 정상이고, 용지(P)의 위치가 정상이라고 인식하여 사용자의 인쇄 명령에 따라 인쇄 동작을 시작한다.
인쇄가 시작되면 카세트(100)에 적재된 용지(P)의 양이 감소하게 된다. 용지(P)가 일정량 감소하게 되면 도 7과 같이, 용지(P)와 간섭하고 있는 제2작동아암(222)은 자중에 의해서 아래쪽 방향으로 회동하고, 제3센싱아암(233)도 아래쪽 방향으로 회동하여 제1센서(241)의 제1감지부(246)를 벗어나게 된다. 이때 제1센싱아암(213)도 아래쪽 방향으로 회동하지만 제1센서(241)의 제1감지부(246)에서 벗어 난 상태로 존재하고, 제2센싱아암(223)도 아래쪽 방향으로 회동하지만 제2센서(242)의 제2감지부(247)를 가리고 있는 상태로 존재한다.
이처럼 카세트(100)에 적재된 용지(P)가 감소함에 따라 제1센서(241)가 비감지상태(L)에 있고 제2센서(242)가 감지상태(H)에 있게 된다. 이는 도 4에서 나타낸 제1센서(241)와 제2센서(242)의 감지상태와 동일하다. 따라서 제어부는 리프팅 부재(132)를 동작시켜 적재판(120)을 상승시킨다.
이후 적재판(120)이 상승하면 도 5와 같이, 제3센싱아암(233)은 위쪽 방향으로 회동하여 제1센서(241)의 제1감지부(246)를 가리게 되고, 제1센싱아암(213)은 위쪽 방향으로 회동하여 제1센서(241)의 제1감지부(246)에서 벗어난 상태로 존재하고, 제2센싱아암(223)은 위쪽 방향으로 회동하더라도 제2센서(242)의 제2감지부(247)를 가리는 상태로 존재한다.
이처럼 제1센서(241)가 감지상태(H)에 있고 제2센서(242)가 감지상태(H)에 있는 경우 제어부는 리프팅 부재(132)를 정지시키고 적재판(120)의 상승을 정지시킨다. 이때 제어부는 카세트(100) 장착 상태와 용지(P)의 적재 상태가 정상이고, 용지(P)의 위치가 정상이라고 인식하여 인쇄 동작을 계속 진행한다. 제어부는 도 7, 도 4, 도 5, 도 7에 나타난 제1센서(241)와 제2센서(242)의 감지상태를 반복하면서 인쇄 동작을 계속 진행한다.
인쇄 과정에서 용지가 모두 소모되어 도 8과 같이 카세트(100)에 용지가 적재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인쇄매체 접촉부(222a)는 적재판(120)의 작동공(250)에 삽입된다. 그러면 제2작동아암(222)은 자중에 의해 아래로 회동하고, 제1작동아 암(212)도 아래로 회동하여 카세트본체(110)와 간섭한다. 이때 제1센싱아암(213)은 아래로 회동하여 제1센서(241)의 제1감지부(246)를 가리게 되고, 제2센싱아암(223)은 아래로 회동하여 제2센서(242)의 제2감지부(247)를 벗어나게 되고, 제3센싱아암(233)도 아래로 회동하여 제1센서(241)의 제1감지부(246)를 벗어나게 된다. 따라서 화상형성장치의 제어부는 현 상태가 인쇄를 정상적으로 진행할 수 있는 상태가 아니라는 것을 인식하게 된다.
한편, 사용자가 용지가 비어있는 카세트(100)를 본체(10)에 장착하는 경우 도 3과 같이 제1센싱아암(213)이 제1센서(241)의 제1감지부(246)를 가리게 되고, 제2센싱아암(223)은 제2센서(242)의 제2감지부(247)를 벗어나 있게 되고 제3센싱아암(233)도 제1센서(241)의 제1감지부(246)를 벗어나 있게 된다.
이처럼 제1센서(241)가 감지상태(H)에 있고 제2센서(242)가 비감지상태(L)에 있는 경우 제어부는 리프팅 부재(132)를 동작시켜 적재판(120)을 상승시킨다.
적재판(120)이 일정 시간 동안 계속 상승함에도 불구하고 카세트(100)에는 용지가 없기 때문에 도 8과 같이 인쇄매체 접촉부(222a)는 적재판(120)의 작동공(250)에 삽입되어 제2작동아암(222)이 위로 회동하지 못하게 된다. 따라서 제1센서(241)와 제2센서(242)의 감지상태가 일정 시간 동안 변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제어부는 도 3과 같은 제1센서(241)와 제2센서(242)의 감지 상태가 일정 시간 유지되는 경우 현 상태가 인쇄를 정상적으로 진행할 수 있는 상태가 아니라는 것을 인식하고 리프팅 부재(132)의 동작을 정시시켜 적재판(120)의 상승을 정지시킨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전체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세트와 감지유닛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카세트가 본체에 장착된 상태에서 감지유닛을 나타낸 단면도.
도 4 및 도 5는 제2작동아암이 용지에 접촉된 상태를 나타낸 것.
도 6은 카세트가 본체에 장착되지 않은 상태를 나타낸 것.
도 7은 인쇄 동작 중 용지가 감소된 상태를 나타낸 것.
도 8은 카세트에 용지가 적재되어 있지 않은 상태를 나타낸 것.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0: 본체 100: 카세트
200: 감지유닛 210: 제1액추에이터
211: 회동축 212: 제1작동아암
213: 제1센싱아암 220: 제2액추에이터
222: 제2작동아암 223: 제2센싱아암
230: 제3액추에이터 233: 제3센싱아암
241: 제1센서 242: 제2센서
246: 제1감지부 247: 제2감지부

Claims (20)

  1. 본체;와
    상기 본체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고, 인쇄매체가 적재되는 카세트;와
    상기 카세트의 장착 여부와, 상기 인쇄매체의 적재 여부와, 상기 인쇄매체의 위치를 함께 감지하는 감지유닛;을 구비하고,
    상기 감지유닛은
    상기 카세트의 장착 여부를 감지하는 제1액추에이터와, 상기 인쇄매체의 적재 여부를 감지하는 제2액추에이터와, 상기 인쇄매체의 위치를 감지하는 제3액추에이터와,
    상기 제1액추에이터와 상기 제3액추에이터의 동작을 감지하는 제1감지부를 가지는 제1센서와, 상기 제2액추에이터의 동작을 감지하는 제2감지부를 가지는 제2센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액추에이터와 상기 제2액추에이터와 상기 제3액추에이터는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액추에이터는 상기 카세트에 간섭될 수 있는 위치로 연장되는 제1작동아암과, 상기 제1센서에 의해서 센싱되는 제1센싱아암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액추에이터는 상기 인쇄매체를 향해 연장되는 제2작동아암과, 상기 제2센서에 의해 센싱되는 제2센싱아암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3액추에이터는 상기 제2작동아암과, 상기 제1센서에 의해 센싱되는 제3센싱아암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액추에이터에 외력이 작용하지 않을 때 상기 제1센싱아암과 상기 제2센싱아암과 상기 제3센싱아암 각각은 상기 제1센서 또는 상기 제2센서에 감지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카세트의 장착 시 상기 제1작동아암이 상기 카세트와 간섭함에 따라 상 기 제1액추에이터는 회동하고, 상기 제1센싱아암은 상기 제1센서에 감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카세트는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용지적재판과, 상기 용지적재판을 승강시키는 리프팅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카세트가 상기 본체에 장착되어 상기 제1센싱아암이 상기 제1센서에 감지되고 상기 제2센싱아암이 상기 제2센서에 감지되지 않은 경우 상기 리프팅 부재가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리프팅 부재가 동작하는 동안 상기 용지적재판이 상승하여 상기 제2작동아암이 상기 인쇄매체와 간섭함에 따라 상기 제1액추에이터와 상기 제2액추에이터는 회동하고, 상기 제1센싱아암이 상기 제1센서에 감지되지 않고 상기 제2센싱아암이 상기 제2센서에 감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작동아암이 상기 인쇄매체와 간섭함에 따라 상기 제1액추에이터와 상기 제2액추에이터와 상기 제3액추에이터는 회동하고, 상기 제1센싱아암이 상기 제1센서에 감지되지 않고, 상기 제2센싱아암이 상기 제2센서에 감지되고, 상기 제3 센싱아암이 상기 제1센서에 감지되는 경우 상기 리프팅 부재는 정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1.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센싱아암과 상기 제3센싱아암은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되, 상기 제1센싱아암이 상기 제3센싱아암의 상부에 위치하고,
    상기 제2센싱아암은 상기 제1센싱아암과 상기 제3센싱아암 사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센싱아암은 상기 제1센싱아암의 일부분과 겹치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3센싱아암과 겹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3.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카세트는 작동공을 가지는 용지적재판, 상기 용지적재판을 승강시키는 리프팅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인쇄매체가 적재되지 않고서 상기 리프팅 부재에 의해서 상기 용지적재판이 소정 위치로 상승하는 경우 상기 제2작동아암의 일부분은 상기 작동공에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2작동아암의 일부분이 상기 작동공에 수용되는 경우 상기 제1센싱아암은 상기 제1센서에 감지되고, 상기 제2센싱아암은 상기 제2센서의 감지되지 않고, 상기 제3센싱아암은 상기 제1센서에 감지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5. 본체;와
    인쇄매체가 적재되며, 상기 본체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카세트;와
    상기 카세트의 장착 여부를 감지하는 제1액추에이터와, 상기 인쇄매체의 적재 여부를 감지하는 제2액추에이터와, 상기 인쇄매체의 위치를 감지하는 제3액추에이터;와
    상기 제1액추에이터와 상기 제3액추에이터의 동작을 감지하는 상기 제1센서와, 상기 제2액추에이터의 동작을 감지하는 제2센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상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1액추에이터와 상기 제2액추에이터와 상기 제3액추에이터는 동일한 회동축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1액추에이터는 상기 카세트와 간섭될 수 있는 위치로 연장되는 제1작동아암과, 상기 제1센서에 의해 센싱되는 제1센싱아암을 구비하고,
    상기 제2액추에이터는 상기 인쇄매체와 간섭될 수 있는 위치로 연장되는 제2작동아암과, 상기 제2센서의 의해 센싱되는 제1센싱아암을 구비하고,
    상기 제3액추에이터는 상기 제2작동아암과, 상기 제1센서에 의해 센싱되는 제3센싱아암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8.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카세트는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용지적재판과, 상기 용지적재판을 승강시키는 리프팅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제1센서 또는 상기 제2센서의 감지 여부에 따라서 상기 리프팅부재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센서가 감지상태이고 상기 제2센서가 비감지상태인 경우이거나 상기 제1센서가 비감지상태이고 상기 제2센서가 감지상태인 경우 상기 리프팅부재를 동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센서가 감지상태이고 상기 제2센서가 감지상태인 경우 상기 리프팅부재를 정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20.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센서가 감지상태이고 상기 제2센서가 비감지상태가 소정 시간 일정하게 유지되는 경우 상기 리프트부재를 정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KR1020080100409A 2008-10-14 2008-10-14 화상형성장치 KR20100041292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00409A KR20100041292A (ko) 2008-10-14 2008-10-14 화상형성장치
US12/508,181 US8042801B2 (en) 2008-10-14 2009-07-23 Image forming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00409A KR20100041292A (ko) 2008-10-14 2008-10-14 화상형성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41292A true KR20100041292A (ko) 2010-04-22

Family

ID=420981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00409A KR20100041292A (ko) 2008-10-14 2008-10-14 화상형성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8042801B2 (ko)
KR (1) KR20100041292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85559B1 (ko) * 2007-11-20 2012-09-24 삼성전자주식회사 화상형성장치와 그 급지장치
KR101725093B1 (ko) * 2009-12-24 2017-04-10 에스프린팅솔루션 주식회사 화상형성장치
CN102190160A (zh) * 2010-03-03 2011-09-21 株式会社东芝 图像形成装置
JP5453349B2 (ja) * 2011-06-21 2014-03-26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シート材給送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EP2731797A4 (en) * 2011-07-14 2015-04-08 Datamax O Neil Corp AUTOMATIC ADJUSTMENT OF PRINT PARAMETERS BY MEDIA IDENTIFICATION
JP2014231419A (ja) * 2013-05-29 2014-12-11 株式会社沖データ 媒体供給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5972254B2 (ja) * 2013-12-27 2016-08-17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給紙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6093690B2 (ja) * 2013-12-27 2017-03-08 株式会社沖データ 媒体搬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EP2927005B1 (en) 2014-03-27 2019-08-28 Datamax-O'Neil Corporation Systems and methods for automatic printer configuration
JP6264279B2 (ja) * 2014-12-26 2018-01-24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給紙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US9821973B2 (en) * 2015-11-27 2017-11-21 Kyocera Document Solutions Inc. Image forming apparatus comprising a sheet feed unit removably mounted
JP6604302B2 (ja) * 2016-10-18 2019-11-13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6884586B2 (ja) * 2017-02-07 2021-06-09 キヤノン株式会社 シート支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019001595A (ja) * 2017-06-15 2019-01-10 株式会社沖データ 媒体検出機構及び画像形成装置
JP2022143100A (ja) * 2021-03-17 2022-10-03 株式会社リコー 給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2315A (en) * 1975-06-24 1977-01-10 Ricoh Co Ltd Mode changing method and unit for facsimile telegraphy
DE3338594C2 (de) * 1982-10-25 1994-08-11 Canon Kk Papierzuführgerät
US4697803A (en) * 1984-05-15 1987-10-06 Sanyo Electric Co., Ltd. Sheet member feeding cassette
JP3030722B2 (ja) * 1991-01-09 2000-04-10 株式会社リコー 給紙カセット装置
US6152631A (en) * 1996-05-18 2000-11-28 Samsung Electronics Co., Ltd. Automatic paper sensing technique for an ink jet printer
JPH10157857A (ja) * 1996-11-27 1998-06-16 Konica Corp ユニバーサルカセットを有する画像形成装置
KR100205595B1 (ko) * 1997-04-24 1999-07-01 윤종용 급지카세트의 용지유무 감지장치
JP3332893B2 (ja) * 1998-10-07 2002-10-07 キヤノン株式会社 シート材給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US6292636B1 (en) * 2000-05-18 2001-09-18 Samsung Electronics Co., Ltd. Paper detecting apparatus of electrophotographic processor
KR100594968B1 (ko) * 2003-12-27 2006-06-30 삼성전자주식회사 급지카세트의 용지검출장치 및 이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
KR20050074218A (ko) 2004-01-13 2005-07-18 삼성전자주식회사 화상형성장치의 자동양면급지유닛
KR100605171B1 (ko) * 2004-04-27 2006-07-31 삼성전자주식회사 화상형성장치의 급지장치 및 그 제어방법
WO2007016091A2 (en) * 2005-07-27 2007-02-08 Mei, Inc. Cassette for storing bills and the like
US7731183B2 (en) * 2007-09-10 2010-06-08 Kabushiki Kaisha Toshiba Paper feeding apparatus with paper size detectors
KR101185559B1 (ko) * 2007-11-20 2012-09-24 삼성전자주식회사 화상형성장치와 그 급지장치
JP5228745B2 (ja) * 2008-09-25 2013-07-03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用紙残量検出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00090394A1 (en) 2010-04-15
US8042801B2 (en) 2011-10-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00041292A (ko) 화상형성장치
KR101185559B1 (ko) 화상형성장치와 그 급지장치
US20070040324A1 (en)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automatic paper feeding cassette installing device
KR101342539B1 (ko) 정착압력 조절장치 및 이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
US20080001342A1 (en) Sheet feeder and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said sheet feeder
US9128440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with paper presence and paper width sensor
JP5129285B2 (ja) 給紙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KR20120031650A (ko) 급지장치 및 그 제어방법, 이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
US7909318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KR20090027501A (ko) 매체공급유닛 및 이를 가지는 화상형성장치
US20080136080A1 (en) Image forming apparatus
KR20110020678A (ko) 화상형성장치
CN110077887B (zh) 片材输送装置和图像形成装置
US8626052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including a reversing feeding unit
JP3450707B2 (ja) シート処理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4299840B2 (ja) 給紙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CN107015456A (zh) 片材供给装置和具备该片材供给装置的图像形成装置
JP2023076028A (ja) シート給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018177477A (ja) シート給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KR20060094676A (ko) 프린팅기기의 급지장치 제어 방법
KR20070006121A (ko) 화상형성장치
KR20100071193A (ko) 화상형성장치
KR20010053758A (ko) 인쇄기의 용지잔량 검출장치
KR20150085870A (ko) 인쇄매체공급장치 및 이를 갖는 화상형성장치
JP2016050049A (ja) 給紙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