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31650A - 급지장치 및 그 제어방법, 이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 - Google Patents

급지장치 및 그 제어방법, 이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31650A
KR20120031650A KR1020100093148A KR20100093148A KR20120031650A KR 20120031650 A KR20120031650 A KR 20120031650A KR 1020100093148 A KR1020100093148 A KR 1020100093148A KR 20100093148 A KR20100093148 A KR 20100093148A KR 20120031650 A KR20120031650 A KR 201200316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per
moving member
unit
moving
siz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931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49568B1 (ko
Inventor
채석헌
김민기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931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49568B1/ko
Priority to US13/137,858 priority patent/US8398069B2/en
Publication of KR201200316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31650A/ko
Priority to US13/770,473 priority patent/US8777209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495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495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1/00Supports or magazines for piles from which articles are to be separated
    • B65H1/26Supports or magazines for piles from which articles are to be separated with auxiliary supports to facilitate introduction or renewal of the pile
    • B65H1/266Support fully or partially removable from the handling machine, e.g. cassette, draw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00Separating articles from piles
    • B65H3/44Simultaneously, alternately, or selectively separating articles from two or more pi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1/00Supports or magazines for piles from which articles are to be separated
    • B65H1/28Supports or magazines for piles from which articles are to be separated compartmented to receive piles side-by-sid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1/00Pile recei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7/00Controlling article feeding, separating, pile-advancing, or associated apparatus, to take account of incorrect feeding, absence of articles, or presence of faulty articles
    • B65H7/02Controlling article feeding, separating, pile-advancing, or associated apparatus, to take account of incorrect feeding, absence of articles, or presence of faulty articles by feelers or detec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1/00Handling processes for sheets or webs
    • B65H2301/40Type of handling process
    • B65H2301/42Piling, depiling, handling piles
    • B65H2301/422Handling piles, sets or stacks of articles
    • B65H2301/4226Delivering, advancing piles
    • B65H2301/42264Delivering, advancing piles by moving the surface supporting the lowermost article of the pile, e.g. conveyor, carri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4/00Parts for transporting or guiding the handled material
    • B65H2404/20Belts
    • B65H2404/23Belts with auxiliary handling means
    • B65H2404/232Blade, plate, fing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5/00Parts for holding the handled material
    • B65H2405/30Other features of supports for sheets
    • B65H2405/33Compartmented support
    • B65H2405/331Juxtaposed compartments
    • B65H2405/3311Juxtaposed compartments for storing articles horizontally or slightly inclin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511/00Dimensions; Position; Numbers; Identification; Occurrences
    • B65H2511/10Size; Dimens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511/00Dimensions; Position; Numbers; Identification; Occurrences
    • B65H2511/20Location in space
    • B65H2511/22Distan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513/00Dynamic entities; Timing aspects
    • B65H2513/50Timing
    • B65H2513/52Age; Duration; Life time or chronology of ev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801/00Application field
    • B65H2801/03Image reproduction devices
    • B65H2801/06Office-type machines, e.g. photocopiers

Abstract

용지가 적재된 용지적재부에 있는 용지를 이동부재로 밀어서 급지로 인해 용지가 소진된 다른 용지적재부로 이동시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용지 크기에 따라 이동부재를 서로 다른 시점에 정지시킴으로써 용지 크기별로 이동부재의 정지지점이 자동으로 가변되게 할 수 있어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급지장치 및 그 제어방법, 이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를 개시한다.

Description

급지장치 및 그 제어방법, 이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PAPER SUPPLY UNIT AND CONTROL METHOD THEREOF AND IMAGE FORMING APPARATUS FOR THE SAME}
본 발명은 급지장치 및 그 제어방법, 이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다량의 용지를 넣을 수 있어 용지 교체의 번거로움을 줄일 수 있는 급지장치 및 그 제어방법, 이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에 관한 것이다.
화상형성장치는 입력된 신호에 따라 용지에 화상을 형성하는 장치로서, 프린터, 복사기, 팩스 및 이들의 기능을 통합하여 구현한 복합기 등이 이에 해당한다.
화상형성장치는 소정 전위로 대전된 감광체에 광을 주사하여 감광체의 표면에 정전잠상을 형성하고, 이 정전잠상에 현상제를 공급하는 현상기를 이용하여 현상제화상을 형성한다. 감광체에 형성된 현상제화상은 용지에 바로 전사되거나 중간전사유닛을 거쳐 용지에 전사되고, 용지로 전사된 화상은 정착과정을 통해 용지에 고정된다.
이러한 화상형성장치는 화상을 형성하기 때문에 여러 장의 용지를 적재하고 급지하는 급지 카세트가 마련되어 있다.
최근에는 고객으로부터의 대량의 인쇄주문에 부응하기 위해 급지 카세트와는 별개로 대량의 용지를 연속해서 화상형성장치에 급지하는 대용량 급지장치(High Capacity Feeder ; HCF)가 설치되어 있다.
대용량 급지장치는 화상형성장치에 급지되는 용지를 적재하는 제1 용지적재부와, 이 제1 용지적재부에 공급되는 용지를 적재하는 제2 용지적재부와, 이 제2 용지적재부에 적재된 용지를 밀어서 제1 용지적재부로 이동시키는 이동부재 및 이 이동부재의 정지시점을 판단할 수 있도록 이동부재가 기준위치에 도달하는 것을 감지하는 감지부를 포함한다.
상기한 구성을 가진 대용량 급지장치는 제1 용지적재부의 용지가 모두 소진되면 제2 용지적재부에 적재된 용지가 제1 용지적재부로 이동하도록 이동부재를 움직이고, 감지부에서 이동부재가 기준위치에 도달하는 것이 감지되면 이동부재를 멈춘다.
대용량 급지장치는 용지의 크기를 알 수 없기 때문에 용지의 크기에 따라 이동부의 정지시점을 다르게 제어할 수 없다.
따라서 기존의 대용량 급지장치는 이동부재가 용지 크기에 상관없이 항상 동일한 지점에 정지하도록 제어할 수 밖에 없다. 이로 인해, 대용량 급지장치를 사용하기 전에 대용량 급지장치에서 사용할 용지 크기에 맞게 감지부의 위치를 조정해서 조립해야 불편함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용지 크기에 따라 용지가 적재된 용지적재부의 용지를 용지가 소진된 용지적재부로 이동시키는 이동부재의 정지시점을 가변시키는 급지장치 및 그 제어방법, 이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를 제공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급지장치는 화상형성장치에 마련된 급지장치 하우징과, 상기 급지장치 하우징 내에 상기 화상형성장치에 급지되는 용지를 적재하도록 형성된 제1 용지적재부와, 상기 급지장치 하우징 내에 상기 제1 용지적재부에 공급될 용지를 적재하도록 형성된 제2 용지적재부와, 상기 제2 용지적재부에 적재된 용지를 상기 제1 용지적재부로 이동시키는 이동부재를 가진 이동부와, 상기 제1 용지적재부에 적재된 용지가 소진되면 상기 제2 용지적재부에 적재된 용지를 상기 제1 용지적재부로 이동시키기 위해 상기 이동부재가 이동하도록 상기 이동부를 제어하고, 상기 이동부재의 이동시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용지 크기에 따라 상기 이동부재의 정지시점이 가변되도록 상기 이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동부재가 기준위치에 도달하는 시점을 기준으로 상기 용지의 크기별로 상기 이동부재의 정지시점을 서로 다르게 가변시키는 것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이동부재가 상기 기준위치에 도달하는 것을 감지하는 감지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동부재가 이동을 시작한 시점을 기준으로 상기 용지의 크기별로 상기 이동부재의 정지시점을 서로 다르게 가변시키는 것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용지 크기를 상기 화상형성장치로부터 수신하는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급지장치의 제어방법은 화상형성장치에 마련된 급지장치 하우징 내에 상기 화상형성장치에 급지되는 용지를 적재하도록 형성된 제1 용지적재부와, 상기 급지장치 하우징 내에 상기 제1 용지적재부에 공급될 용지를 적재하도록 형성된 제2 용지적재부와, 상기 제2 용지적재부에 적재된 용지를 상기 제1 용지적재부로 이동시키는 이동부재를 포함하는 급지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용지의 크기를 수신하고, 상기 제1 용지적재부에 적재된 용지가 소진되면 상기 제2 용지적재부에 적재된 용지가 상기 제1 용지적재부로 이동되도록 상기 이동부재를 이동시키되, 상기 이동부재의 이동시 상기 수신된 용지 크기별로 서로 다르게 설정된 정지시점에 상기 이동부재의 이동을 정지시키는 것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이동부재의 이동시 상기 이동부재가 기준위치에 도달하는 것을 감지부를 통해 감지하고, 상기 이동부재가 상기 기준위치에 도달하는 시점을 기준으로 상기 수신된 용지의 크기별로 상기 이동부재의 정지시점을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정지시점에 상기 이동부재를 정지시키는 것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수신된 용지 크기가 클수록 상기 이동부재의 정지시점이 짧고 상기 수신된 용지 크기가 작을수록 상기 이동부재의 정지시점이 길도록 미리 설정된 것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이동부재의 이동시 상기 이동부재가 이동을 시작한 시점을 기준으로 상기 용지의 크기별로 상기 이동부재의 정지시점을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정지시점에 상기 이동부재를 정지시키는 것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이동부재의 정지시점을 상기 수신된 용지 크기가 클수록 짧고 상기 수신된 용지 크기가 작을수록 길도록 산출하는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는 급지장치 하우징과, 상기 급지장치 하우징 내에 화상형성유닛에 급지되는 용지를 적재하도록 형성된 제1 용지적재부와, 상기 급지장치 하우징 내에 상기 제1 용지적재부에 공급될 용지를 적재하도록 형성된 제2 용지적재부와, 상기 제2 용지적재부에 적재된 용지를 상기 제1 용지적재부로 이동시키는 이동부재를 가진 이동부와, 사용자로부터 용지 크기를 입력받기 위한 입력부와, 상기 화상형성유닛의 전반적인 제어를 수행하고 상기 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용지 크기를 전송하는 화상형성제어부와, 상기 제1 용지적재부에 적재된 용지가 소진되면 상기 제2 용지적재부에 적재된 용지를 상기 제1 용지적재부로 이동시키기 위해 상기 이동부재가 이동하도록 상기 이동부를 제어하고, 상기 이동부재의 이동시 상기 화상형성제어부로부터 수신한 용지 크기에 따라 상기 이동부재의 정지시점이 가변되도록 상기 이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이동부재가 기준위치에 도달하는 것을 감지하는 감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부를 통해 상기 이동부재가 상기 기준위치에 도달하는 시점을 기준으로 상기 수신된 용지 크기별로 상기 이동부재의 정지시점을 서로 다르게 가변시키는 것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동부재가 이동을 시작한 시점을 기준으로 상기 수신된 용지 크기별로 상기 이동부재의 정지시점을 서로 다르게 가변시키는 것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동부재의 정지시점을 상기 화상형성제어부로부터 수신된 용지 크기가 클수록 짧고 상기 수신된 용지 크기가 작을수록 길도록 가변시키는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른 급지장치는 용지를 적재하는 제1 용지적재부 및 제2 용지적재부와, 상기 제2용지적재부에 적재된 용지를 상기 제1 용지적재부로 이동시키는 이동부재를 가진 이동부재와, 상기 제1 용지적재부에 적재된 용지가 소진되면 상기 제2 용지적재부에 적재된 용지가 상기 제1 용지적재부로 이동되도록 상기 이동부재를 이동시키고, 상기 이동부재의 이동시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용지 크기에 따라 상기 이동부재의 이동거리를 가변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동부재의 이동거리를 상기 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용지 크기가 클수록 짧고 상기 수신된 용지 크기가 작을수록 길도록 가변시키는 것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이동부재가 기준위치에 도달하는 것을 감지하는 감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부를 통해 상기 이동부재가 상기 기준위치에 도달하는 시점을 기준으로 상기 용지의 크기별로 상기 이동부재의 이동거리를 서로 다르게 가변시키는 것을 포함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용지가 적재된 용지적재부에 있는 용지를 이동부재로 밀어서 급지에 의해 용지가 소진된 다른 용지적재부로 이동시킬 때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용지 크기에 따라 이동부재를 서로 다른 시점에 정지시킴으로써 용지 크기별로 이동부의 정지지점이 자동으로 가변되게 할 수 있어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이동부재의 정지시점이 용지 크기별로 자동으로 달라지기 때문에 용지 크기가 달라지더라도 이동부재에 의한 용지 이동을 감지하는 감지부의 위치를 조정할 필요가 없어 감지부의 위치 재조정으로 인한 사용자의 불편함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용지 크기를 각각 감지하기 위한 센서들을 구비하지 않고서도 용지 크기에 맞게 이동부재의 정지시점을 가변시킬 수 있어 제조비용을 줄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급지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급지장치의 수직이동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급지장치의 수평이동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급지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급지장치의 개략적인 제어블록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급지장치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에서 사용자로부터 용지 크기를 입력받기 위한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a 내지 도 8d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급지장치의 제2 용지적재부에 A4 크기의 용지가 적재된 경우 제2 용지적재부에 적재된 A4 용지를 제1 용지적재부로 이동시키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급지장치의 제2 용지적재부에 Letter 크기의 용지가 적재된 경우 제2 용지적재부에 적재된 Letter 용지를 제1 용지적재부로 이동시키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급지장치의 제2 용지적재부에 A5 크기의 용지가 적재된 경우 제2 용지적재부에 적재된 A5 용지를 제1 용지적재부로 이동시키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급지장치의 제어방법을 나타낸 제어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상형성장치는 원고에 기록된 화상을 판독하는 화상판독유닛(1)과, 화상을 형성하여 용지에 인쇄하는 화상형성유닛(2)과, 용지 교체의 번거로움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다량의 용지를 적재하여 급지하는 급지장치(3)를 포함한다.
화상형성유닛(2)은 화상판독유닛(1)에서 입력되는 신호나 호스트컴퓨터 등과 같은 외부 기기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에 따라 화상을 형성하고 형성된 화상을 용지에 인쇄한다.
이를 위해 화상형성유닛(2)은 급지유닛(4), 광 주사유닛(5), 현상유닛(6), 전사유닛(7), 정착유닛(8) 및 배지유닛(9)을 포함한다.
광 주사유닛(5)은 화상 정보에 상응하는 광을 감광체들(K, C, M, Y)에 조사하여 감광체들(K, C, M, Y)의 표면에 정전잠상을 형성한다.
현상유닛(6)은 감광체들(K, C, M, Y)에 형성된 정전잠상에 현상제를 공급하여 현상제화상을 형성한다. 현상유닛(6)은 서로 다른 색상의 현상제, 예를 들면 블랙(K), 시안(C), 마젠타(M), 옐로우(Y) 색상의 현상제가 각각 수용되는 4개의 현상기(6K, 6C, 6M, 6Y)로 구성될 수 있다.
전사유닛(7)은 중간전사벨트(7a), 제1전사롤러(7b)들 및 제2전사롤러(7c)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감광체들(K, C, M, Y)에 형성된 현상제화상은 제1전사롤러(7b)들에 의해 중간전사벨트(7a)로 전사되고, 중간전사벨트(7a)의 화상은 급지유닛(4)으로부터 공급되어 제2전사롤러(7c)와 중간전사벨트(7a) 사이를 통과하는 용지에 전사된다.
전사유닛(7)을 통과한 용지는 정착유닛(8)으로 진입한다. 정착유닛(8)은 가열롤러(8a)와 가압롤러(8b)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화상이 전사되어 있는 용지는 가열롤러(8a)와 가압롤러(8b)의 사이를 통과하고, 이 때 열과 압력에 의해 화상이 용지에 고정된다.
정착유닛(8)을 통과한 용지는 배지유닛(9)으로 안내되고, 배지롤러(9a)에 의해 화상형성유닛 하우징(10)의 외부로 배출된다.
급지장치(3)는 예를 들면, 대용량 급지장치(High Capacity Feeder ; HCF)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급지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급지장치의 수직이동부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급지장치의 수평이동부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급지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급지장치(3)은 급지장치 하우징(20), 수직이동부(30) 및 수평이동부(50)를 포함한다.
급지장치 하우징(20)는 화상형성유닛 하우징(10)에 형성된 개구(13)에 입출가능하도록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급지장치(3)는 화상형성유닛 하우징(10)에 마련되지만, 화상형성유닛 하우징(10)과 별도로 제작되거나 일체로 제작될 수도 있다.
급지장치 하우징(20)은 화상형성유닛 하우징(10)의 개구(13)를 통해 화상형성유닛 하우징(10)에 선택적으로 착탈된다.
급지장치 하우징(20)은 화상형성장치로 급지되는 용지가 적재되도록 제1 용지적재공간에 형성된 제1 용지적재부(21) 및 이 제1 용지적재부(21)에 공급할 용지를 적재하도록 제1 용지적재공간과 떨어진 제2 용지적재공간에 형성된 제2 용지적재부(25)를 포함한다.
제1 용지적재부(21)에 적재되는 용지들은 전, 후 방향(급지장치 하우징(20)의 입출방향)(b)으로 가이드플레이트(22,23)들에 의해 지지되고, 일측으로 가이드플레이트(24)에 의해 지지된다. 그리고, 제2 용지적재부(25)에 적재되는 용지들은 전, 후 방향으로 가이드플레이트(26,27)에 의해 지지되고, 일측으로 이동부재(51)에 의해 지지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급지장치에서는 제1 용지적재부(21)에 적재된 용지가 모두 소진되면 제2 용지적재부(25)에 적재된 용지가 수평이동부(50)에 의해 제1 용지적재부(21) 측으로 이동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이동부(30)는 제1 용지적재부(21)의 바닥에 마련되어 제1 용지적재부(21)에 적재된 용지를 지지하는 승강플레이트(31)와, 제1 용지적재부(21)의 양측에 설치되어 승강플레이트(31)를 승/하강시키는 수직이동구동부(32)를 포함한다.
수직이동구동부(32)는 제1 구동부(33) 및 제2 구동부(37)를 포함한다.
제1 구동부(33) 및 제2 구동부(37)는 각각 구동풀리(34,38) 및 종동풀리(35, 39)를 포함한다. 각 구동풀리(34,38)와 종동풀리(35, 39)는 타이밍벨트(36,40)에 의해 서로 연결되며, 각 타이밍벨트(36,40)의 일단에는 승강플레이트(31)의 양 측단이 고정부재(43)에 의해 고정된다.
또한, 제1 구동부(33)의 구동풀리(34)와 제2 구동부(37)의 구동풀리(38)는 제1 샤프트(41)에 의해 서로 연결되고, 제1 샤프트(41)의 일단부에는 승강용구동모터로부터 발생된 구동력을 제1 샤프트(41)로 전달하는 구동기어(42)가 마련된다. 이때, 승강용구동모터는 화상형성유닛 하우징(10)에 설치될 수 있다.
승강용 구동모터에서 발생된 구동력은 제1 샤프트(41)를 통해 제1 구동부(33)의 구동풀리(34) 및 제2 구동부(37)의 구동풀리(38)로 전달되고, 각 구동풀리(34, 38)로 전달된 구동력에 의해 양측 타이밍벨트(36, 40)가 동일한 선속도로 회전하게 되어 승강플레이트(31)의 승강동작이 이루어진다.
미설명 부호 45, 46은 승강플레이트(31)의 양측에 마련되어 승강플레이트(31)의 승하강을 가이드하며 풀리 등의 부재가 회전가능 하도록 결합되는 구동부 플레이트를 나타낸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이동부(50)는 제2 용지적재부(25)의 일측에 마련되어 제2 용지적재부(25)의 바닥판(28)에 적재된 용지를 제1 용지적재부(21)로 밀어 이동시키도록 이동하는 이동부재(51)와, 이 이동부재(51)를 구동시키는 수평이동구동부(52)를 포함한다.
수평이동구동부(52)는 구동풀리(53)와, 종동풀리(54)와, 일측이 구동풀리(53)에 지지되고 타측은 종동풀리(54)에 지지되는 타이밍벨트(55)와, 이 타이밍벨트(55)와 이동부재(51)를 결합시키는 고정부재(56)와, 구동풀리(53)를 정회전과 역회전시키는 구동모터(57)과, 일측이 구동모터(57)에 연결되고 타측이 구동풀리(53)에 연결되는 샤프트(58)를 포함한다.
이동부재(51)의 밑면 일측에는 후술하는 위치감지부(도 5의 80 참조)에 의해 감지되는 센서바(59)가 마련되어 있다.
수평이동구동부(52)의 구동모터(58)로부터 발생된 구동력은 구동풀리(53)에 전달되고, 구동풀리(53)에 전달된 구동력에 의해 수평이동부(50)의 타이밍벨트(55)가 회전된다. 이에 따라 수평이동부(50)의 타이밍벨트(55)의 일측에 고정 결합된 이동부재(51)의 진퇴동작이 이루어진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급지장치는 제1 용지적재부(21)에 적재된 용지의 소진을 감지하는 제1 용지감지센서(60)과 제1 용지적재부(21)로 이동하기 위해 제2 용지적재부에 적재되는 용지의 유무를 감지하는 제2 용지감지센서(70)을 포함한다.
제1 용지감지센서(60)는 제1 용지적재부(21)에 적재된 용지의 소진을 감지할 수 있도록 제1 용지적재부(21)에 적재할 수 있는 용지의 최대높이 부근에 마련될 수 있다.
제2 용지감지센서(70)는 제2 용지적재부(25)에 적재된 용지가 있는지 없는지를 감지할 수 있도록 수평이동부(50)의 바닥판(28) 부근에 마련될 수 있다.
또한, 급지장치는 수평이동부(50)의 이동부재(51)가 미리 설정된 위치에 도달하였음을 감지하는 위치감지센서(80)을 포함한다.
위치감지센서(80)는 수평이동부(50)의 이동부재(51)의 이동을 감지할 수 있도록 제1 용지적재부(21)과 제2 용지적재부(25) 사이에 설치된다.
위치감지센서(80)는 제2 용지적재부(25)에 적재된 용지를 제1 용지적재부(21)로 이동시키기 위해 이동부재(51)가 제2 용지적재부(25)로부터 제1 용지적재부(21)측으로 이동될 때 이동부재(51)에 마련된 센서바(59)를 감지하는 것에 의해 이동부재(51)가 미리 설정된 위치에 도달하였음을 감지한다.
이 위치감지센서(80)는 수평이동부(50)의 이동부재(51)를 밀어서 제2 용지적재부(25)에 적재된 용지를 제1 용지적재부(21)로 이동시킬 때 이동부재(51)의 정지시점 혹은 정지지점을 판단하는 데 사용된다.
상기한 구성을 가진 급지장치(3)는 제1 용지감지센서(60)를 통해 제1 용지적재부(21)에 적재된 용지의 소진이 감지되고 제2 용지감지센서(70)를 통해 제2 용지적재부(25)에 용지가 있는 것이 감지되면, 승강플레이트(31)를 아래로 내린 후 수평이동부(50)의 이동부재(51)를 밀어 제2 용지적재부(25)에 있는 용지를 제1 용지적재부(21)로 이동시킨다.
이동부재(51)가 이동하는 중에 위치감지센서(80)를 통해 이동부재(51)의 센서바(59)가 감지되면, 용지가 용지 크기에 알맞은 위치로 이동되도록 이 감지시점을 기준으로 제2 용지적재부(25)에 적재된 용지의 크기에 해당하는 정지시점에 이동부재(51)를 정지시킨다. 이때, 정지시점은 제2 용지적재부(25)에 적재된 용지의 크기별로 서로 다르게 미리 설정되어 있다.
이에 따라, 제2 용지적재부(25)에 적재된 용지가 승강플레이트(31)의 적절한 위치로 옮겨져 제2 용지적재부(25)로부터 제2 용지적재부(21)로의 용지 이동이 완료된다.
용지 이동이 완료되면, 이동부재(51)를 원래의 홈 위치로 다시 복귀시킴과 함께 제1 용지적재부(21)로부터 화상형성장치에 급지 가능하도록 승강플레이트(31)를 상승시킨다. 이때, 승강플레이트(31)에 의해 상승된 제1 용지적재부(21)의 용지들 중 최상측의 용지는 픽업롤러(11)에 의해 픽업되어 화상형성유닛(2) 즉, 현상유닛(6), 전사유닛(7), 정착유닛(8)이 위치하는 상측으로 이동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급지장치의 개략적인 제어블록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급지장치는 수직이동부(30), 수평이동부(50), 제1 용지감지부(60), 제2 용지감지부(70), 위치감지부(80) 및 제어부(90)를 포함한다.
수직이동부(30)는 제1 용지적재부(21)에 적재된 용지를 지지하는 승강플레이트(31)를 포함하며, 용지 소진시 용지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승강플레이트(31)를 아래로 내리고, 제1 용지적재부(21)에 용지를 제공할 경우 제1 용지적재부(21)에 적재된 용지를 화상형성장치에 급지 가능한 위치로 올릴 수 있도록 승강플레이트(31)를 상승시킨다.
수평이동부(50)는 제2 용지적재부(25)에 적재된 용지를 제1 용지적재부(21)로 밀어 이동시키도록 이동하는 이동부재(51)를 포함하며, 용지 이동시 제1 용지적재부(21)에 적재된 용지가 제2 용지적재부(25)에 이동될 수 있도록 이동부재(51)를 전진시키고, 용지를 제2 용지적재부(25)에 이동한 후에는 제자리로 돌아가도록 이동부재(51)를 원래의 위치로 복귀시킨다.
제1 용지감지부(60)는 제1 용지적재부(21)에 적재된 용지의 소진을 감지한다.
제2 용지감지부(70)는 제1 용지적재부(21)로 이동하기 위해 제2 용지적재부에 적재되는 용지의 유무를 감지한다.
위치감지부(80)는 수평이동부(50)의 이동부재(51)가 제2 용지적재부(25)로부터 제1 용지적재부(21)로 이동할 때 이동부재(51)에 마련된 센서바(59)를 감지하는 것에 의해 이동부재(51)가 미리 설정된 위치에 도달하였는지를 감지한다.
제어부(90)는 제1 용지감지부(60)를 통해 제1 용지적재부(21)에 적재된 용지의 소진을 감지하고, 제2 용지감지부(70)를 통해 제2 용지적재부(25)에 용지가 있는지 없는지를 감지한다.
또한, 제어부(90)는 용지 소진시 제2 용지적재부(25)에 적재된 용지를 제1 용지적재부(21)에 공급받을 수 있게 하기 위해 승강플레이트(31)가 하강하도록 수직이동부(30)를 제어하고, 제2 용지적재부(21)로부터 제1 용지적재부(25)로의 용지 이동이 완료하면 제1 용지적재부(21)에 적재된 용지를 화상형성장치에 급지 가능한 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해 승강플레이트를 상승시키도록 수직이동부(30)를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90)는 용지 이동시 제2 용지적재부(25)에 적재된 용지를 제1 용지적재부(21)에 이동하기 위해 이동부재(51)가 전진하도록 수평이동부(50)를 제어하고, 용지 이동이 완료되면 이동부재(51)가 원래의 위치로 복귀하도록 수평이동부(50)를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90)는 위치감지부(80)를 통해 이동부재(51)가 초기위치에서 전진하여 미리 설정된 위치에 도달하였는지를 감지한다.
또한, 제어부(90)는 용지 이동시 위치감지부(80)를 통해 이동부재(51)가 미리 설정된 위치에 도달하는 것이 감지되면,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용지 크기에 따라 서로 다른 정지시점에 이동부재(51)를 정지시킨다. 이때, 제어부(90)는 화상형성장치의 전반적인 제어를 수행하는 화상형성제어부(100)로부터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용지 크기를 미리 제공받은 상태이다.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용지 크기는 제2 용지적재부(25)에 적재된 용지의 크기이다. 또한, 각각의 정지시점은 제2 용지적재부(25)에 적재된 용지의 크기별로 서로 다르게 미리 설정되어 있다. 즉 제2 용지적재부(25)에 적재된 용지 크기가 클수록 이동부재(51)의 정지시점이 짧고 용지 크기가 작을수록 이동부재(51)의 정지시점이 길도록 미리 설정되어 있다.
이에 따라, 제2 용지적재부(25)에 적재된 용지를 제1 용지적재부(21)로 이동시 제2 용지적재부(25)에 적재된 용지의 크기별로 이동부재(51)의 정지지점이 자동으로 가변되게 할 수 있어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제2 용지적재부(25)에 적재된 용지의 크기가 달라지더라도 위치감지부(80)의 위치를 조정할 필요가 없어 사용자의 불편함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2 용지적재부(25)에 적재된 용지의 크기를 각각 감지하기 위한 센서들을 설치하지 않고서도 용지 크기에 맞게 이동부재의 정지시점을 가변시킬 수 있어 제조비용을 줄일 수 있다.
또한, 제어부(90)는 용지 이동 완료시 이동부재(51)를 원래의 홈 위치로 다시 복귀하도록 수평이동부(50)를 제어함과 함께 제1 용지적재부(21)에서 화상형성장치에 급지 가능하도록 승강플레이트(31)를 상승시키도록 수직이동부(30)를 제어한다. 이에 따라, 제2 용지적재부(21)에 적재된 용지들 중 최상측의 용지가 픽업롤러(11)에 의해 픽업되어 화상형성유닛(2)으로 이동된다.
한편, 제어부(90)는 화상형성장치의 전반적인 제어를 수행하는 화상형성제어부(100)와 통신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화상형성제어부(100)는 입력부(110), 표시부(120) 및 저장부(130)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입력부(110)는 사용자의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도록 화상형성장치에서 지원되는 기능을 선택 및 설정할 수 있는 복수의 키가 마련되어 있다. 특히 입력부는 사용자로부터 제2 용지적재부(25)에 적재된 용지의 크기를 입력받는다.
표시부(120)는 화상형성제어부(100)의 제어에 따라 화상형성장치의 동작상태를 표시한다. 특히 표시부(120)는 사용자로부터 제2 용지적재부(25)에 적재된 용지의 크기를 입력받기 위한 화면(도 7 참조)을 표시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지 크기를 입력받기 위한 화면은 A4, Letter, A5 등을 선택할 수 있는 화면일 수 있다.
저장부(130)는 화상형성장치의 작동과 관련된 정보 및 사용자로부터 제2 용지적재부(25)에 적재된 용지의 크기를 입력받는 작동과 관련된 정보가 저장되어 있다.
화상형성제어부(100)는 화상형성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전반적인 제어를 수행함과 함께 입력부(110)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용지 크기(예를 들면, A4, Letter, A5 등)를 급지장치(3)의 제어부(90)에 전송한다.
또한, 화상형성제어부(100)는 화상형성장치의 전반적인 제어를 위해 화상 처리부와 엔진 제어부를 포함한다.
화상 처리부는 화상 처리부를 구동하기 위한 제어프로그램 및 각종 응용프로그램이 저장된 롬(ROM), 호스트 컴퓨터로부터 입력되는 데이터 및 각종 데이터를 임시 저장하는 램(RAM), 엔진 제어부와 신호를 인터페이싱하는 엔진 인터페이스부 및 호스트 컴퓨터와 신호를 인터페이싱하는 컴퓨터 인터페이스부와, 롬(ROM)에 저장된 제어프로그램에 따라 화상 처리부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프로세서인 CPU를 포함한다.
화상 처리부의 CPU는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호스트 컴퓨터로부터 전송되는 인쇄데이터를 이미지데이터로 생성하기 위해 디스플레이 리스트를 생성하고, YMCK 컬러 형태로 컬러 보정하여 램(RAM)에 저장한다. 그리고 화상처리부의 CPU는 램(RAM)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를 컬러별로 비트맵 형태의 이미지데이터로 생성하고, 생성된 이미지데이터를 엔진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엔진 제어부로 전송한다.
또한, 엔진 제어부는 화상 처리부의 제어에 따라 화상형성유닛(2) 또는 급지장치(3)의 구동을 제어하는 프로세서인 CPU와, 각종 제어프로그램이 저장된 롬(ROM), 프로그램 수행에 따른 데이터를 임시 저장하는 램(RAM)과, 엔진 인터페이스부와 엔진 제어부의 CPU 사이에 연결되어 입출력신호를 인터페이싱하는 엔진 인터페이스부를 포함한다.
엔진 제어부의 CPU는 엔진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화상 처리부로부터 인쇄 시작을 알리는 명령이 수신되면, 화상형성유닛(2)의 급지유닛(4) 또는 급지장치(3)를 제어하여 용지를 픽업시킨 후 화상 처리부로부터 비트맵 데이터가 수신되면, 수신된 비트맵 데이터에 대한 인쇄 작업을 수행하도록 화상형성유닛(2)을 제어한다.
도 8a 내지 도 8d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급지장치의 제2 용지적재부에 A4 크기의 용지가 적재된 경우 제2 용지적재부에 적재된 A4 용지를 제1 용지적재부로 이동시키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제어부(90)는 화상형성제어부(100)로부터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용지 크기(예를 들면, A4)를 수신하여 인식한다. 그리고 제어부(90)는 제1 용지감지부(60)를 통해 제1 용지적재부(21)에 적재된 용지의 소진이 감지되고 제2 용지감지부(70)를 통해 제2 용지적재부(25)에 용지가 있는 것으로 감지되면, 제2 용지적재부(25)에 적재된 용지를 제1 용지적재부(21)에 공급받을 수 있게 하기 위해 승강플레이트(31)를 미리 설정된 위치로 하강시킨다.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90)는 제2 용지적재부(25)에 적재된 A4 용지를 제1 용지적재부(21)에 이동하기 위해 이동부재(51)를 위치감지부(80)에 이동부재(51)의 센서바(59)가 감지될 때까지 화살표 방향으로 전진시킨다.
도 8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90)는 이동부재(51)의 이동시 위치감지부(80)를 통해 이동부재(51)의 센서바(59)가 감지되면, 제2 용지적재부(25)에 적재된 용지가 A4 용지이므로 센서바(59)가 위치감지부(80)로부터 A4 용지에 대응하도록 미리 설정된 거리(L1)만큼 더 이동한 시점 또는 그 지점에서 이동부재(51)를 정지시킨다. 이에 따라, 제2 용지적재부(25)에 적재된 A4 용지가 제1 용지적재부(21)의 적절한 위치에 정확히 이동된다.
도 8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90)는 용지 이동이 완료되면, 이동부재(51)를 화살표 방향과 같이 원래의 위치로 복귀시킨다. 이와 함께 제1 용지적재부(21)에서 화상형성장치에 급지 가능하도록 승강플레이트(31)를 상승시킨다. 이에 따라, 제2 용지적재부(21)에 적재된 A4 용지들 중 최상측의 A4 용지가 픽업롤러(11)에 의해 픽업되어 화상형성유닛(2)으로 이동된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급지장치의 제2 용지적재부에 Letter 크기의 용지가 적재된 경우 제2 용지적재부에 적재된 Letter 용지를 제1 용지적재부로 이동시키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90)는 제2 용지적재부(25)에 적재된 용지 크기가 Letter 크기의 용지인 것으로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경우, 제2 용지적재부(25)에 적재된 Letter 용지를 제1 용지적재부(21)에 이동하기 위해 이동부재(51)를 위치감지부(80)에 이동부재(51)의 센서바(59)가 감지될 때까지 화살표 방향으로 전진시키고, 센서바(59)가 위치감지부(80)에 감지되면 이동부재(51)를 정지시킨다. 이때, Letter 용지는 A4 용지보다 용지 크기가 크므로, A4 용지보다 전단에서 이동부재(51)가 정지되게 한다. 이에 따라, 제2 용지적재부(25)에 적재된 Letter 용지가 제1 용지적재부(21)의 적절한 위치에 정확히 이동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급지장치의 제2 용지적재부에 A5 크기의 용지가 적재된 경우 제2 용지적재부에 적재된 A5 용지를 제1 용지적재부로 이동시키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90)는 제2 용지적재부(25)에 적재된 용지 크기가 A5 크기의 용지인 것으로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경우, 제2 용지적재부(25)에 적재된 A5 용지를 제1 용지적재부(21)에 이동하기 위해 이동부재(51)를 위치감지부(80)에 이동부재(51)의 센서바(59)가 감지될 때까지 화살표 방향으로 전진시키고, 센서바(59)가 위치감지부(80)에 감지되면 센서바(59)가 위치감지부(80)로부터 A5 용지에 대응하도록 미리 설정된 거리(L2)만큼 더 이동한 시점 또는 그 지점에서 이동부재(51)를 정지시킨다. 이때, A5 용지는 A4 용지보다 용지 크기가 작으므로 A4 용지보다 후단에서 이동부재(51)가 정지되게 한다. 이에 따라, 제2 용지적재부(25)에 적재된 A5 용지가 제1 용지적재부(21)의 적절한 위치에 정확히 이동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급지장치의 제어방법에 대한 제어흐름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을 살펴보면, 제어부(90)는 화상형성제어부(100)으로부터 제2 용지적재부(25)에 적재된 용지의 크기를 수신한다(200).
제2 용지적재부(25)에 적재된 용지의 크기를 수신 후 제어부(90)는 제1 용지감지부(60)를 통해 제1 용지적재부(21)에 용지가 소진되었는지를 판단한다(202).
제1 용지적재부(21)에 적재된 용지가 소진되면 제어부(90)는 제2 용지감지부(70)를 통해 제2 용지적재부(25)에 용지가 존재하는지를 판단한다(204).
만약, 작동모드 204의 판단결과 제2 용지적재부(25)에 용지가 있으면, 제2 용지적재부(25)로부터 제1 용지적재부(21)에 용지를 공급받을 수 있도록 제어부(90)는 승강플레이트(31)를 하강시킨다(206).
승강플레이트(31)를 하강시킨 후 제어부(90)는 제2 용지적재부(25)에 적재된 용지를 제1 용지적재부(21)로 이동시키도록 이동부재(51)를 이동시킨다(208). 이에 따라, 제2 용지적재부(25)에 적재된 용지가 이동부재(51)에 의해 밀려 제1 용지적재부(21)로 이동된다.
이동부재(51)를 이동시킨 후 제어부(90)는 위치감지부(80)를 통해 이동부재(51)가 기준위치에 도달하는지를 판단한다(210). 이동부재(51)이 기준위치에 도달한 것은 이동부재(51)에 마련된 센서바(59)가 위치감지부(80)에 감지되면 이동부재(51)가 기준위치에 도달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작동모드 210의 판단결과 이동부재(51)가 기준위치에 도달한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90)는 작동모드 200에서 수신된 용지 크기에 따라 정지시점을 산출한다(212). 이때, 제어부(90)는 용지 크기별로 서로 다른 정지시점을 산출한다.
예를 들면, 용지 크기가 Letter 용지 크기인 경우, 제어부(90)는 이동부재(90)의 정지시점을 이동부재(51)의 센서바(59)가 위치감지부(80)에 의해 감지된 시점으로 산출한다.
또한, 용지 크기가 A4 용지 크기인 경우, 제어부(90)는 이동부재(51)의 정지시점을 이동부재(51)의 센서바(59)가 위치감지부(80)에 감지된 후 미리 설정된 거리(L1)만큼 더 이동한 시점으로 산출한다.
또한, 용지 크기가 A5 용지 크기인 경우, 제어부(90)는 이동부재(51)의 정지시점을 이동부재(51)의 센서바(59)가 위치감지부(80)에 감지된 후 A4 용지일 때의 미리 설정된 거리(L1)보다 길게 설정된 미리 설정된 거리(L2)만큼 더 이동한 시점으로 산출한다.
용지 크기에 따라 정지시점을 산출한 후 제어부(90)는 현재시점이 산출된 정지시점인지를 판단한다(214).
작동모드 214의 판단결과 현지시점이 산출된 정지시점인 경우 제어부(90)는 이동부재(51)를 정지시킨다(216). 이에 따라, 제2 용지적재부(25)에 적재된 용지의 크기가 달라지더라도 제1 용지적재부(21)의 각기 정확한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동부재(51)를 정지시킨 후 이동부재(51)를 원래의 위치로 복귀시킨다(218).
이동부재(51)를 원래의 위치로 복귀시킨 후 제어부(90)는 제1 용지적재부(21)에 적재된 용지가 올바른 급지 높이로 도달하도록 승강플레이트(31)를 상승시킨다(220).
한편, 작동모드 204의 판단결과 제2 용지적재부(25)에 용지가 없으면, 제어부(90)는 화상형성제어부(100)로 하여금 표시부(130)을 통해 용지 없음을 경고하게 한다(222).
상술한 일실시예에서는 용지 이동을 위한 이동부재(51)의 이동시 이동부재(51)의 센서바(59)가 위치감지부(80)에 감지되는 시점을 기준으로 용지 크기별로 이동부재(51)의 정지시점 혹은 이동거리를 서로 다르게 가변시키는 것에 대해서 설명하고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다른 실시예로 위치감지부(80)를 설치하지 않고, 이동부재(51)가 이동을 시작한 시점을 기준으로 용지 크기별로 이동부재(51)의 정지시점 혹은 이동거리를 서로 다르게 가변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30 : 수직이동부 31 : 승강플레이트
50 : 수평이동부 51 : 이동부재
60 : 제1 용지감지부 70 : 제2 용지감지부
80 : 위치감지부 90 : 제어부

Claims (17)

  1. 화상형성장치에 마련된 급지장치 하우징;
    상기 급지장치 하우징 내에 상기 화상형성장치에 급지되는 용지를 적재하도록 형성된 제1 용지적재부;
    상기 급지장치 하우징 내에 상기 제1 용지적재부에 공급될 용지를 적재하도록 형성된 제2 용지적재부;
    상기 제2 용지적재부에 적재된 용지를 상기 제1 용지적재부로 이동시키는 이동부재를 가진 이동부;
    상기 제1 용지적재부에 적재된 용지가 소진되면 상기 제2 용지적재부에 적재된 용지를 상기 제1 용지적재부로 이동시키기 위해 상기 이동부재가 이동하도록 상기 이동부를 제어하고, 상기 이동부재의 이동시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용지 크기에 따라 상기 이동부재의 정지시점이 가변되도록 상기 이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급지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동부재가 기준위치에 도달하는 시점을 기준으로 상기 용지의 크기별로 상기 이동부재의 정지시점을 서로 다르게 가변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급지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재가 상기 기준위치에 도달하는 것을 감지하는 감지부를 포함하는 급지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동부재가 이동을 시작한 시점을 기준으로 상기 용지의 크기별로 상기 이동부재의 정지시점을 서로 다르게 가변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급지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용지 크기를 상기 화상형성장치로부터 수신하는 것을 포함하는 급지장치.
  6. 화상형성장치에 마련된 급지장치 하우징 내에 상기 화상형성장치에 급지되는 용지를 적재하도록 형성된 제1 용지적재부와, 상기 급지장치 하우징 내에 상기 제1 용지적재부에 공급될 용지를 적재하도록 형성된 제2 용지적재부와, 상기 제2 용지적재부에 적재된 용지를 상기 제1 용지적재부로 이동시키는 이동부재를 포함하는 급지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용지의 크기를 수신하고;
    상기 제1 용지적재부에 적재된 용지가 소진되면 상기 제2 용지적재부에 적재된 용지가 상기 제1 용지적재부로 이동되도록 상기 이동부재를 이동시키되,
    상기 이동부재의 이동시 상기 수신된 용지 크기별로 서로 다르게 설정된 정지시점에 상기 이동부재의 이동을 정지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급지장치의 제어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재의 이동시 상기 이동부재가 기준위치에 도달하는 것을 감지부를 통해 감지하고, 상기 이동부재가 상기 기준위치에 도달하는 시점을 기준으로 상기 수신된 용지의 크기별로 상기 이동부재의 정지시점을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정지시점에 상기 이동부재를 정지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급지장치의 제어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된 용지 크기가 클수록 상기 이동부재의 정지시점이 짧고 상기 수신된 용지 크기가 작을수록 상기 이동부재의 정지시점이 길도록 미리 설정된 것을 포함하는 급지장치의 제어방법.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재의 이동시 상기 이동부재가 이동을 시작한 시점을 기준으로 상기 용지의 크기별로 상기 이동부재의 정지시점을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정지시점에 상기 이동부재를 정지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급지장치의 제어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재의 정지시점을 상기 수신된 용지 크기가 클수록 짧고 상기 수신된 용지 크기가 작을수록 길도록 산출하는 것을 포함하는 급지장치의 제어방법.
  11. 급지장치 하우징;
    상기 급지장치 하우징 내에 화상형성유닛에 급지되는 용지를 적재하도록 형성된 제1 용지적재부;
    상기 급지장치 하우징 내에 상기 제1 용지적재부에 공급될 용지를 적재하도록 형성된 제2 용지적재부;
    상기 제2 용지적재부에 적재된 용지를 상기 제1 용지적재부로 이동시키는 이동부재를 가진 이동부;
    사용자로부터 용지 크기를 입력받기 위한 입력부;
    상기 화상형성유닛의 전반적인 제어를 수행하고 상기 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용지 크기를 전송하는 화상형성제어부;
    상기 제1 용지적재부에 적재된 용지가 소진되면 상기 제2 용지적재부에 적재된 용지를 상기 제1 용지적재부로 이동시키기 위해 상기 이동부재가 이동하도록 상기 이동부를 제어하고, 상기 이동부재의 이동시 상기 화상형성제어부로부터 수신한 용지 크기에 따라 상기 이동부재의 정지시점이 가변되도록 상기 이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재가 기준위치에 도달하는 것을 감지하는 감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부를 통해 상기 이동부재가 상기 기준위치에 도달하는 시점을 기준으로 상기 수신된 용지 크기별로 상기 이동부재의 정지시점을 서로 다르게 가변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동부재가 이동을 시작한 시점을 기준으로 상기 수신된 용지 크기별로 상기 이동부재의 정지시점을 서로 다르게 가변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
  14. 제12항 또는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동부재의 정지시점을 상기 화상형성제어부로부터 수신된 용지 크기가 클수록 짧고 상기 수신된 용지 크기가 작을수록 길도록 가변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
  15. 용지를 적재하는 제1 용지적재부 및 제2 용지적재부;
    상기 제2용지적재부에 적재된 용지를 상기 제1 용지적재부로 이동시키는 이동부재를 가진 이동부재;
    상기 제1 용지적재부에 적재된 용지가 소진되면 상기 제2 용지적재부에 적재된 용지가 상기 제1 용지적재부로 이동되도록 상기 이동부재를 이동시키고, 상기 이동부재의 이동시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용지 크기에 따라 상기 이동부재의 이동거리를 가변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급지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동부재의 이동거리를 상기 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용지 크기가 클수록 짧고 상기 수신된 용지 크기가 작을수록 길도록 가변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급지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재가 기준위치에 도달하는 것을 감지하는 감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부를 통해 상기 이동부재가 상기 기준위치에 도달하는 시점을 기준으로 상기 용지의 크기별로 상기 이동부재의 이동거리를 서로 다르게 가변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급지장치.
KR1020100093148A 2010-09-27 2010-09-27 급지장치 및 그 제어방법, 이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 KR1017495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3148A KR101749568B1 (ko) 2010-09-27 2010-09-27 급지장치 및 그 제어방법, 이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
US13/137,858 US8398069B2 (en) 2010-09-27 2011-09-19 Paper feeder with first and second paper loaders
US13/770,473 US8777209B2 (en) 2010-09-27 2013-02-19 Paper feeder, control method thereof and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3148A KR101749568B1 (ko) 2010-09-27 2010-09-27 급지장치 및 그 제어방법, 이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31650A true KR20120031650A (ko) 2012-04-04
KR101749568B1 KR101749568B1 (ko) 2017-07-03

Family

ID=458698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93148A KR101749568B1 (ko) 2010-09-27 2010-09-27 급지장치 및 그 제어방법, 이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2) US8398069B2 (ko)
KR (1) KR10174956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49568B1 (ko) * 2010-09-27 2017-07-03 에스프린팅솔루션 주식회사 급지장치 및 그 제어방법, 이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
US8585037B1 (en) * 2012-11-08 2013-11-19 Xerox Corporation Tandem media tray using mid-tray sensor
JP5784057B2 (ja) * 2013-03-19 2015-09-24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シート搬送装置、およびこれを備えたシート処理装置
EP2832671B1 (en) * 2013-07-30 2016-07-13 Hewlett-Packard Industrial Printing Ltd. Printing apparatus and methods
JP6700766B2 (ja) * 2015-02-25 2020-05-27 キヤノン株式会社 シート給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US10315868B2 (en) 2015-03-05 2019-06-11 Canon Kabushiki Kaisha Sheet feed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6460892B2 (ja) 2015-04-06 2019-01-30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US9902578B2 (en) * 2015-05-11 2018-02-27 Ricoh Company, Ltd. Sheet containing device, sheet feeder incorporating the sheet contain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incorporating the sheet containing device
JP6600200B2 (ja) * 2015-09-08 2019-10-30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2017068043A (ja) * 2015-09-30 2017-04-06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891724B2 (ja) * 1989-10-24 1999-05-17 株式会社リコー 給紙装置
JP2938583B2 (ja) 1989-12-22 1999-08-23 株式会社リコー 給紙装置
JPH0445022A (ja) * 1990-06-08 1992-02-14 Hitachi Koki Co Ltd 印刷装置の給紙機構
JP2001240260A (ja) * 1991-09-10 2001-09-04 Ricoh Co Ltd 給紙装置
JPH06156762A (ja) * 1992-11-27 1994-06-03 Xerox Corp 大容量二重トレイ可変シートサイズのシート供給装置
JP3314329B2 (ja) * 1996-04-25 2002-08-12 ミノルタ株式会社 自動給紙装置
JP3883386B2 (ja) * 2001-01-09 2007-02-21 株式会社リコー 給紙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KR101749568B1 (ko) * 2010-09-27 2017-07-03 에스프린팅솔루션 주식회사 급지장치 및 그 제어방법, 이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8777209B2 (en) 2014-07-15
US20120074640A1 (en) 2012-03-29
US20130154179A1 (en) 2013-06-20
KR101749568B1 (ko) 2017-07-03
US8398069B2 (en) 2013-03-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49568B1 (ko) 급지장치 및 그 제어방법, 이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
US9927753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CN101846916B (zh) 图像形成装置和记录介质堆叠装置
KR101760361B1 (ko) 시트 적재장치, 시트 적재장치의 제어 방법, 및 기억매체
US7891661B2 (en) Sheet stack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9278820B2 (en) Sheet stacking device, sheet convey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5951573B2 (ja) シート供給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US20100320679A1 (en) Sheet stacking apparatus
JP7331492B2 (ja) 画像読取装置
JP2007062921A (ja) シート積載装置とシート処理装置、及びそれら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JP6369422B2 (ja) 給紙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015067396A (ja) シート供給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EP2863265B1 (en) Image forming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JP7222208B2 (ja) 画像形成装置、給紙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2017165532A (ja) 給紙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JP2010041453A (ja) 画像形成装置
JP5771654B2 (ja) シート処理装置
JP5758526B2 (ja) シート供給装置および画像処理装置
JP2013123093A (ja) 画像読取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KR100419218B1 (ko) 인쇄기의 배출용지 적재장치
CN115963714A (zh) 一种成像装置的搓纸控制方法、成像装置及存储介质
JP6775918B2 (ja) 画像形成装置
JP2006021867A (ja) 画像形成装置および該画像形成装置のシート材給紙制御方法
JP5744284B2 (ja) シート供給装置および画像処理装置
US20090317101A1 (en) Image forming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