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37817B1 - 키이 내에 평형기가 맞물려 설치된 키이를 갖는 건반 악기및 키이에 평형기를 고정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키이 내에 평형기가 맞물려 설치된 키이를 갖는 건반 악기및 키이에 평형기를 고정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37817B1
KR100637817B1 KR1020050021605A KR20050021605A KR100637817B1 KR 100637817 B1 KR100637817 B1 KR 100637817B1 KR 1020050021605 A KR1020050021605 A KR 1020050021605A KR 20050021605 A KR20050021605 A KR 20050021605A KR 100637817 B1 KR100637817 B1 KR 1006378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lancer
bar
balancers
keys
musical instru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216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43666A (ko
Inventor
히또시 이즈따니
노보루 야마시따
사또시 이노우에
Original Assignee
야마하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4075631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5266034A/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4124142A external-priority patent/JP4599879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4147278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5331544A/ja
Application filed by 야마하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야마하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0436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436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378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378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CPIANOS, HARPSICHORDS, SPINETS OR SIMILAR STRINGED MUSICAL INSTRUMENTS WITH ONE OR MORE KEYBOARDS
    • G10C3/00Details or accessories
    • G10C3/12Keyboards; Key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CPIANOS, HARPSICHORDS, SPINETS OR SIMILAR STRINGED MUSICAL INSTRUMENTS WITH ONE OR MORE KEYBOARDS
    • G10C3/00Details or accessories
    • G10C3/16Actions
    • G10C3/18Hamm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AREA)
  • Stringed Musical Instruments (AREA)
  • Joining Of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 (AREA)

Abstract

어쿠스틱 피아노의 키이(4, 10)는 동작 유닛 및 해머(5, 6)의 자중을 상쇄하기 위한 평형기(12)를 필요로 하지만, 평형기(12)는 노화된 목재 바아(11)로부터 이탈되기 쉽다. 막대의 노화에도 불구하고 평형기(12)를 키이(4, 10) 내에서 안정적으로 유지하기 위해, 평형기(12)는 목재 바아(11) 내에 맞물리도록 소성 변형되며, 극침(15A)이 형성된 평형기(12)는 목재 바아(11) 내에 극침(15A)이 맞물리도록 회전된다. 평형기(12)는 목재(11G)의 조직에 평행한 방향으로 내면 상에 탄성력을 가하도록 구멍(11a, 11b)과 다른 구성으로 형성되거나 평형기(13D)는 내면 상에 탄성력을 강하게 가하도록 수축 구멍(11a') 내로 삽입됨으로써 키이로부터 이탈되는 것이 방지된다.
건반 악기, 키이, 평형기, 목재 바아, 덮개 판, 압착부, 디스크부

Description

키이 내에 평형기가 맞물려 설치된 키이를 갖는 건반 악기 및 키이에 평형기를 고정하는 방법{KEYBOARD MUSICAL INSTRUMENT HAVING KEYS EQUIPPED WITH BALANCERS BITING INTO KEYS AND METHOD FOR SECURING BALANCERS TO KEYS}
도1은 본 발명에 따르는 그랜드 피아노의 구조를 도시한 측면도.
도2는 제1 실시예를 구현하는 그랜드 피아노에 합체된 키이를 도시한 사시도.
도3은 키이의 전방부에 형성된 구멍을 도시한 사시도.
도4는 키이 내로 삽입하기 전 평형기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5a는 평형기의 정면도.
도5b는 평형기의 측면도.
도6은 일점 쇄선(5)을 따라 취한 평형기의 압착부를 도시한 단면도.
도7a 및 도7b는 키이와 평형기를 조립하는 방법을 도시한 측면도.
도8은 제1 실시예에 합체된 평형기의 제1 변형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9는 제2 실시예에 합체된 평형기의 제2 변형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10은 제3 실시예에 합체된 평형기의 제3 변형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11a 및 도11b는 힘이 평형기에 작용하기 전과 후의 평형기의 제4 변형예를 도시한 측면도.
도12a 및 도12b는 힘이 평형기에 작용하기 전과 후의 평형기의 제5 변형예를 도시한 측면도.
도13은 제5 변형예에서 디스크부에 대한 압착부의 관련부를 도시한 단면도.
도14a 및 도14b는 힘이 평형기에 작용하기 전과 후의 평형기의 제6 변형예를 도시한 측면도.
도15는 제2 실시예를 구현하는 목재 바아의 다른 종류의 평형기를 도시한 사시도.
도16은 평형기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17a는 목재 바아에 평형기를 고정하는 방법의 제1 단계에서 목재 바아 내로 삽입된 평형기를 도시한 측면도.
도17b는 목재 바아 내로 삽입된 평형기를 도시하는 도17a의 선 4A-4A를 따라 취한 단면도.
도17c는 본 방법의 제2 단계에서 목재 바아 내에서 회전하는 평형기를 도시한 측면도.
도17d는 목재 바아 내의 평형기를 도시하는 도17c의 선 6A-6A를 따라 취한 단면도.
도18은 본 방법의 제1 변형예를 통해 목재 바아에 고정되는 평형기를 도시한 사시도.
도19a는 본 방법의 제1 변형예의 제1 단계에서 목재 바아 내로 삽입된 평형기를 도시한 측면도.
도19b는 목재 바아 내로 삽입된 평형기를 도시하는 도19a의 선 9B-9B를 따라 취한 단면도.
도19c는 본 방법의 제1 변형예의 제2 단계에서 목재 바아 내에서 회전하는 평형기를 도시한 측면도.
도19d는 목재 바아 내의 평형기를 도시하는 도19c의 선 9B-9B를 따라 취한 단면도.
도20은 본 방법의 제2 변형예를 통해 목재 바아에 고정되는 평형기를 도시한 사시도.
도21a는 본 방법의 제2 변형예의 제1 단계에서 목재 바아 내로 삽입된 평형기를 도시한 측면도.
도21b는 목재 바아 내로 삽입된 평형기를 도시하는 도21a의 선 14B-14B를 따라 취한 단면도.
도21c는 본 방법의 제2 변형예의 제2 단계에서 목재 바아 내에서 회전하는 평형기를 도시한 측면도.
도21d는 목재 바아 내의 평형기를 도시하는 도21c의 선 16B-16B를 따라 취한 단면도.
도22는 본 방법의 제2 변형예의 경사 단계에서 목재 바아 내의 다른 평형기를 도시한 단면도.
도23는 제3 실시예를 구현하는 목재 바아 내의 다른 종류의 평형기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24는 평형기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25a 및 도25b는 목재 바아에 평형기를 고정하는 방법을 도시한 측면도.
도26은 평형기의 제1 변형예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27a 및 도27b는 목재 바아에 제1 변형예를 고정하는 방법을 도시한 측면도.
도28은 제4 실시예를 구현하는 목재 바아 내의 다른 종류의 평형기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29는 목재 바아에 형성된 수축 구멍을 도시한 단면도.
도30은 수축 구멍이 형성된 목재 바아의 일부를 도시한 부분 절개 사시도.
도31은 평형기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32a 및 도32b는 목재 바아에 평형기를 고정하는 방법을 도시한 단면도.
도33은 다른 수축 구멍 내로 삽입되는 평형기의 제1 변형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34는 다른 수축 구멍 내로 삽입되는 평형기의 제2 변형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35는 다른 수축 구멍 내로 삽입되는 평형기의 제3 변형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36은 제5 실시예를 구현하는 다른 종류의 평형기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건반
2: 음조 생성 시스템
3: 피아노 캐비넷
4: 흑색 키이
5: 동작 유닛
6: 해머
7: 댐퍼
8: 스트링
10: 백색 키이
11: 목재 바아
11a, 11b: 구멍
12: 평형기
12a: 덮개 판
14: 압착부
15a, 15b: 디스크부
본 발명은 건반 악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평형기가 설치된 키이를 갖는 건반 악기 및 키이와 평형기를 조립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어쿠스틱 피아노는 건반 악기의 한 종류이다. 연주자는 연주 동안에 건반을 통해 생성될 음조를 지정한다. 즉, 건반은 연주자에게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건반은 공지된 패턴으로 놓여 있는 복수 개의 키이를 포함한다. 작동 유닛은 키이의 후방부에 각각 접촉하여 유지되며 해당 스트링에 대향하는 해머가 작동 유닛에 각각 연결된다. 따라서, 작동 유닛과 해머의 전체 중량이 각 키이의 후방부에 가해진다.
연주자가 해당 작동 유닛과 해머의 전체 중량을 받으며 키이의 전방부를 압박하면, 압박된 키이는 작동 유닛을 회전시키고 작동 유닛은 해머를 회전시킨다. 연주자는 키이의 움직임에 대한 하중으로서 손가락에 가해지는 작동 유닛과 해머의 전체 중량을 느낀다. 작동 유닛의 일부를 형성하는 잭이 조절 버튼과 접촉하면 잭은 해머로부터 빠져나오고 해머는 해당 스트링쪽으로 자유롭게 회전하기 시작한다. 그러면, 연주자는 압박된 키이가 이전보다 가벼움을 느낀다. 키이의 움직임에 대한 저항 변화는 피아노 특유의 것이며, 소위 "피아노 키이 터치(piano key touch)"로 지칭된다.
피아노 키이 터치는 작동 유닛과 해머로 인한 가변 하중에 기원한다. 작동 유닛과 해머의 전체 중량은 키이들 간에 동일하지 않다. 또한, 연주자는 저음조부에서 고음조부쪽으로 하중이 감소하는 키이에 익숙해 있다. 이런 상황에서, 제작자는 납으로 제조된 평형기를 이용하여 경사진 하중에 키이를 조절하곤 한다. 납은 무거우며 키이에 끼워진다. 그러나, 납은 해롭다. 무연 재료로 제조되는 다양한 평형기가 제시되어 왔다.
종래의 평형기 중 하나가 일본 특허 출원 공개 공보 제2002-265793호에 개시 되어 있다. 일본 특허 출원 공개 공보에 개시된 종래의 평형기는 텅스텐 분말을 함유한 합성 수지로 제조되고 기둥형으로 형성된다. 원주면은 평활하며 원주면에는 어떤 돌기도 돌출되어 있지 않다. 원통형 구멍 또는 원통형 구멍들이 목재로 제조된 키이의 전방부에 형성되며 목재 키이의 양 측면 상에서 외측으로 개방된다. 원통형 구멍들은 종래의 기둥형 평형기보다 직경이 조금 작다. 종래의 평형기는 구멍에 적합하게 수용되도록 구멍 내로 가압된다. 종래의 기둥형 평형기가 원통형 구멍 내로 진행하는 동안, 원통형 구멍은 종래의 기둥형 평형기로 확장됨으로써 종래의 평형기가 키이에 끼워진다.
비록 종래의 기둥형 평형기는 삽입 후 목재 키이의 원통형 구멍들 내에서 안정적이지만, 목재 키이는 오랜 기간 사용을 하다보면 탄성을 소실하게 되고 종래의 기둥형 평형기가 그로부터 이탈되기 쉽다. 이는 종래의 기둥형 평형기에 고유한 첫번째 문제이다. 피아노가 다습한 환경에 놓일 경우, 목재 키이는 팽창되어서 종래의 기둥형 평형기를 단단히 유지할 수 없다. 종래의 기둥형 평형기에 고유한 다른 문제는 목재 키이가 균열되기 쉽다는 점이다. 목재 조직은 일반적으로 목재 키이의 종방향에 평행하게 연장되며 목재는 조직에 수직한 방향이 아닌 조직에 평행한 방향으로 큰 기계적 강도를 갖는다. 작업자가 원통형 구멍 내로 종래의 기둥형 평형기를 가압하면 종래의 기둥형 평형기는 합성 수지 성분으로 인해 조금 수축되고 원통형 구멍을 한정하는 내면 상에 탄성력을 등방적으로 가한다. 비록 목재 키이는 목재 조직에 평행한 방향의 탄성력을 잘 지탱하지만, 목재 키이는 조직에 수직한 방향으로 작용하는 탄성력으로 인해 목재 조직에 평행한 방향으로 균열된다. 이하, 일본 특허 출원 공개 공보에 개시된 기둥형 평형기를 제1 종래 기술 평형기로 지칭하기로 한다.
다른 종래 기술 평형기가 일본 특허 출원 공개 공보 제2003-162279호에 개시되어 있다. 이하, 여기에 개시된 종래의 평형기를 "제2 종래 기술 평형기"로 지칭하기로 한다. 제2 종래 기술 평형기는 한 쌍의 중량편과 볼트로 구성된다. 중량편은 모자와 같은 구성을 갖는다. 즉, 테두리가 크라운의 주연으로부터 돌출되어 있으며 관통 구멍이 중량편에 형성된다. 중량편들 중 하나에는 관통 구멍을 따라 암형 나사가 형성된다. 원통형 구멍 또는 구멍들이 키이의 전방부에 형성되며 그 직경은 크라운의 직경과 대략적으로 동일하다. 그러나, 테두리는 직경이 원통형 구멍의 직경보다 크다. 각각의 중량편은 테두리가 키이의 측면과 접촉될 때까지 키이의 양측에서 원통형 구멍 내로 삽입된다. 볼트는 중량편들 중 하나의 관통 구멍 내로 삽입되어서 암형 나사와 맞물림 결합된다. 중량편들은 원통형 구멍 내에서 볼트에 의해 서로 연결된다.
테두리는 중량편이 원통형 구멍을 관통하지 못하도록 하며 볼트는 중량편들을 연결한다. 이로써, 제2 종래 기술 평형기는 키이로부터 이탈되지 않는다. 또한, 제2 종래 기술 평형기는 키이 상에 어떠한 탄성력도 가하지 않음으로써, 키이에는 균열이 발생하지 않는다. 그러나, 제2 종래 기술 평형기는 조립 작업에 많은 시간과 노동이 소모된다는 다른 문제에 직면하고 있다. 이는 제2 종래 기술 평형기가 물리적으로 독립된 세 부분으로 구성된다는 사실에 기인한다.
다른 종래 기술의 평형기가 일본 특허 출원 공개 공보 제2003-150148호에 개 시되어 있으며, 이하 이를 제3 종래 기술 평형기로 지칭하기로 한다. 제3 종래 기술 평형기는 한 조각의 대나무와 같은 구성을 갖는다. 제3 종래 기술 평형기는 대나무 연결부와 같은 여러 개의 마디를 갖는다. 마디들은 줄기로부터 돌출되며 관통 구멍을 한정하는 목재 키이의 내면부에 맞물린다. 작업자가 제3 종래 기술 평형기와 목재 키이를 조립할 때, 작업자는 제3 종래 기술 평형기와 관통 구멍을 대략적으로 정렬해서 관통 구멍 내로 제3 종래 기술 평형기를 가압한다. 제3 종래 기술 평형기가 관통 구멍 내로 진행하는 동안, 마디는 목재를 파고 지나가 관통 구멍을 통과한다. 이로써, 단지 선두 마디만이 목재 키이와 강하게 결합하고 다른 마다들은 목재 키이와 부드럽게 결합된다. 제3 종래 기술 평형기의 단부면이 목재 키이의 측면과 동일 평면이 될 때, 작업자는 결코 제3 종래 기술 평형기에 힘을 가하지 않는다. 따라서, 조립 작업이 제2 종래 기술 평형기에서 보다 용이하다. 또한, 제3 종래 기술 평형기는 목재 키이를 균열시키지 않는다.
그러나, 제3 종래 기술 평형기는 제1 종래 기술 평형기와 마찬가지로 목재 키이 내에서 불안정적이다. 비록 노드들은 제3 종래 기술 평형기가 구멍을 통과하지 못하도록 하지만, 노드들은 관통 구멍의 입구쪽으로의 후방 움직임에 대해 효과적이지 않다. 키이가 반복해서 압박되고 해제되는 경우, 선두 노드는 큰 구멍과 작은 구멍 사이의 단차부에서 분리되는 경향이 있다. 그 결과, 제3 종래 기술 평형기는 관통 구멍 내에서 덜컥거리기 쉽고, 결국 목재 키이로부터 이탈된다.
이와 같이, 조립 작업의 용이성과 키이 내측의 종래 기술의 평형기의 안정성 사이에는 교환 관계가 성립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중요한 목적은 조립 작업의 용이성을 희생시키지 않고도 평형기가 키이 내에서 안정적인 건반 악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중요한 목적은 건반 악기에 사용되는 키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중요한 목적은 키이와 평형기를 조립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태양에 따르면, 음조를 생성하고 자중을 갖는 음조 생성기와 복수개의 키이를 포함하며, 복수개의 키이에서 각각의 막대의 일 단부는 자중이 음조 생성기에 작용되도록 음조 생성기에 연결되고 타 단부는 각각의 막대의 받침대에 대해 일 단부의 대향 측에 위치되고 자중의 일부를 상쇄하기 위해 평형기가 적재되어 있고 음조의 피치를 특정하기 위해 연주자에 의해 선택적으로 압박되며, 각각의 평형기는 상술한 각각의 평형기를 해당 막대 내에 결합시키는 소성 변형부를 갖는 건반 악기가 마련된다.
본 발명의 다른 태양에 따르면, 음조를 생성하고 자중을 갖는 음조 생성기와 복수개의 키이를 포함하며, 복수개의 키이에서 각각의 바아의 일 단부는 자중이 음조 생성기에 작용되도록 음조 생성기에 연결되고 타 단부는 각각의 바아의 받침대에 대해 일 단부의 대향 측에 위치되고 자중의 일부를 상쇄하기 위해 탄성 변형된 평형기가 적재되어 있고 음조의 피치를 특정하기 위해 연주자에 의해 선택적으로 압박되며, 각각의 키이에는 탄성 변형된 평형기들 중 해당 평형기가 바아들 중 해 당 바아의 종방향에 평행한 방향으로 적어도 하나의 구멍을 한정하는 내면의 부분에 탄성력을 가하도록 탄성 변형된 평형기들 중 해당 평형기의 단면적과 다른 단면적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구멍이 형성된 건반 악기가 마련된다.
본 발명의 다른 태양에 따르면, 음조를 생성하고 자중을 갖는 음조 생성기와 복수개의 키이를 포함하며, 복수개의 키이에서 각각의 바아의 일 단부는 자중이 음조 생성기에 작용되도록 음조 생성기에 연결되고 타 단부는 각각의 바아의 받침대에 대해 일 단부의 대향 측에 위치되고 자중의 일부를 상쇄하기 위해 탄성 변형된 평형기가 적재되어 있고 음조의 피치를 특정하기 위해 연주자에 의해 선택적으로 압박되며, 각각의 키이에는 탄성 변형된 평형기들 중 해당 평형기가 수축 구멍의 수축된 부분을 한정하는 내면의 부분에 탄성력을 가하도록 상기 탄성 변형된 평형기들 중 해당 평형기가 수용되는 적어도 하나의 수축 구멍이 형성된 건반 악기가 마련된다.
본 발명의 다른 태양에 따르면, 건반 악기에 합체된 키이의 바아에 평형기를 고정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적어도 하나의 고정부를 갖는 평형기와 구멍이 형성된 바아를 제공하는 단계와, b) 구멍 내에 평형기를 삽입하는 단계와, c) 적어도 하나의 고정부를 바아에 고정하도록 구멍 내에서 평형기를 이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이 마련된다.
건반 악기, 키이 및 방법의 특징과 장점은 첨부 도면과 함께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더욱 명백하게 될 것이다.
다음의 설명에서, "전방"이란 연주를 위해 앉은 연주자에 대해 "후방"으로 묘사되는 위치보다 가까운 위치를 지시한다. 전방부 및 이에 대응하는 후방 지점 사이에 그려진 선은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고 측방은 전후 방향을 직각으로 교차한다.
이하, 우선 도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그랜드 피아노를 설명하기로 한다. 그랜드 피아노는 건반(1)과 음조 생성 시스템(2)과 피아노 캐비넷(3)을 포함한다. 건반(1)은 피아노 캐비넷(3)의 전방부 상에 장착되고 연주자에게 노출된다. 음조 생성 시스템(2)은 피아노 캐비넷(3)에 내장되고 건반(1)과 연결된다. 연주자가 건반(1) 상에서 연주하는 동안, 건반(1)이 음조 생성 시스템(2)에게 생성될 음조의 피치를 알리면 음조가 음조 생성 시스템(2)을 거쳐 생성된다.
건반(1)은 건반대(3a) 상에 장착되고 흑색 키이(4)와 백색 키이(10)를 포함한다. 흑색 키이(4)와 백색 키이(10)는 공지된 패턴으로 측방으로 놓이며 화살표 AR1에 의해 지시된 바와 같이 균형 핀(3b)들을 중심으로 독립적으로 회전 가능하다. 음조 생성 시스템(2)은 복수 개의 동작 유닛(5)과 해머(6)와 댐퍼(7)와 스트링(8)과 페달 시스템(9)을 포함한다. 흑색 및 백색 키이(4, 10)는 각각 캡스턴 나사(12b)에서 동작 유닛(5)과 연결되고 후방 단부에서 댐퍼(7)와 연결된다. 따라서, 흑색 및 백색 키이(4, 10)는 각각의 안착 위치로부터 각각의 단부 위치로 해당 동작 유닛(5)과 해당 댐퍼(7)를 작동시킨다. 해머(6)는 각각의 잭(5a)에서 동작 유닛(5)에 각각 연결되고 스트링(8)은 해당 해머(6)를 넘어 신장된다. 댐퍼(7)는 스트링(8)의 진동을 억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며 페달 시스템(9)은 음조에 공지된 인위적 표현을 가한다.
댐퍼(7)는 스트링(8)이 진동하도록 단부 위치 쪽으로 해당 스트링(8)으로부터 이격된다. 잭(5a)은 해머(6)를 자유 회전시키도록 단부 위치에 가깝게 해머(6)로부터 이탈되며 해당 스트링(8)은 자유 회전 끝에 해머(6)와 충돌한다. 그러면, 스트링(8)은 흑색 및 백색 키이(4, 10)를 통해 지시된 피치로 음조를 생성하도록 진동하기 시작한다. 연주자가 압박된 키이(4, 10)를 해제할 때, 흑색 및 백색 키이(4, 10)는 각각의 단부 위치로 복귀하기 시작한다. 댐퍼(7)는 안착 위치쪽에 가까운 진동하는 스트링(8)과 접촉되어서 진동을 감쇠시킨다. 따라서, 동작 유닛(5), 해머(6), 댐퍼(7), 스트링(8) 및 페달 시스템(9)은 표준형 그랜드 피아노와 유사하게 동작하며, 이에 대한 추가적인 설명은 편의를 위해 생략하기로 한다.
목재 바아(11), 평형기(12) 및 덮개 판(12a)은 각각의 백색 키이(10)를 형성하고 흑색 키이(4)도 유사하게 형성된다. 목재 바아(11)는 전후방으로 길게 연장되어서 균형 레일(12c) 상에 안착된다. 한 쌍의 평형기(12)가 흑색 또는 백색 키이(4 또는 10)의 전방부에 내장되며, 흑색 또는 백색 키이(4 또는 10)의 상면 및 전방 단부면은 덮개 판(12a)으로 장식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흑색 및 백색 키이(4, 10)는 캡스턴 나사(12b)를 거쳐 동작 유닛(5)에 연결되고, 동작 유닛(5)들은 각각 잭(5a)의 헤드부에서 해머(6)에 연결된다. 이로 인해, 해머(6)와 동작 유닛(5)은 캡스턴 나사(12b)를 거쳐 그 중량을 해당 키이(4 또는 10)의 후방부에 가한다. 연주자가 흑색 또는 백색 키이(4 또는 10)를 압박하면, 연주자는 동작 유닛(5) 및 해머(6)의 전체 중량을 받으며 키이 (4 또는 10)의 전방부 상에 힘을 가해야만 한다. 평형기(12)가 흑색 또는 백색 키이(4 또는 10)에 내장되어 있지 않다면, 연주자는 흑색 또는 백색 키이(4 또는 10)가 너무 무겁다고 느낄 것이다. 평형기(12)는 부분적으로 흑색 및 백색 키이(4, 10) 상의 하중을 상쇄한다. 이로써, 연주자는 흑색 및 백색 키이(4, 10)를 용이하게 누를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르는 여러 종류의 평형기(12)가 흑색 및 백색 키이(4, 10)에 이용 가능하다. 이하, 여러 종류의 평형기(12)를 중점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제1 실시예
도2를 참조하면, 제1 유형의 평형기(12c)가 목재 바아(11)에 내장된다. 목재 바아(11)는 일반적인 직육면체 형상을 가지며 덮개 판(12a)은 전방부의 상면으로부터 전방 단부까지 연장된다. 목재(11G)의 조직은 목재 바아의 종방향에 평행하게 연장된다.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목재 바아(11)의 전방부에는 구멍(11a, 11b)이 형성되고 목재 바아(11)의 종방향으로 서로 이격된다. 구멍(11a, 11b)은 원통형이고 구멍(11a, 11b)의 중심축은 각각 "a" 및 "b"로 지시되어 있다. 중심축(a, b)은 목재 바아(11)의 종방향과 직각으로 교차한다. 구멍(11a)은 다른 구멍(11b)과 대략 동일한 치수이고 구멍(11a, 11b)은 직경 변화없이 목재 바아(11)의 측방으로 직선으로 연장된다. 구멍(11a, 11b)은 구멍(11a, 11b)의 길이가 목재 바아(11)의 폭과 동일하도록 목재 바아(11)의 양 측면 상에서 외측으로 개방된다. 평형기(12c)는 구멍(11a, 11b) 내에서 안정적으로 유지되며, 도2에 도시된 바와 같 이 목재 바아(11)의 측면 표면으로부터 약간 수축된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평형기(12c)들의 양 단부는 그 직경이 구멍(11a, 11b)의 직경과 대략적으로 동일하지만, 평형기(12c)들은 그 중간부에서 부분적으로 팽창되어 있으며, 중간부는 구멍(11a, 11b)을 한정하는 내면에 대해 가압된다.
도4, 도5A 및 도5B는 구멍(11a 또는 11b) 내로 삽입하기 전 평형기(12c)를 도시한다. 평형기(12c) 구리로 제조된다. 그러나, 합금, 소결 금속 또는 금속과 합성 수지 사이의 복합재가 평형기(12c)로 이용 가능하다. 비록 중금속이 바람직하지만, 환경 오염의 관점에서 납은 회피되어야 한다. 평형기(12c)는 철, 구리, 황동 또는 텅스텐으로 제조될 수 있다.
평형기(12c)는 디스크부(15a, 15b)와 디스크부(15a, 15b) 사이의 압착부(14)로 구분된다. 이 경우, 디스크부(15a, 15b)와 압착부(14)는 단일체이며, 따라서 상술한 유형의 재료 중 하나의 재료로 제조된다. 디스크부(15a, 15b)는 그 직경이 구멍(11a, 11b)과 대략적으로 동일하거나 구멍(11a, 11b)의 직경보다 조금 작다. 압착부(14)는 디스크부(15a, 15b)가 압착부(14)에 의해 서로 이격되도록 디스크부(15a, 15b)의 직경보다 작은 폭을 갖는다. 디스크부(15a, 15b)는 각각 좌측 내면(13a) 및 우측 내면(13b)을 가지며, 디스크부(15a)의 좌측 및 우측 내면(13a, 13b)은 중공 공간(14a, 14b)를 거쳐 디스크부(15b)의 좌측 및 우측 내면(13a, 13b)에 대해 각각 대향된다. 각 디스크부(15a 또는 15b)의 중심축은 도5A에서 "C1"으로 지시되고 중심축(C1)과 수직하게 교차하는 압착부(14)의 중심축은 이 도면에서 "C2"로 지시된다. 중공 공간(14a)은 중공 공간(14b)과 대칭적이다.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착부(14)는 곡단부면을 가지며, 곡단부면은 디스크부(15a, 15b)의 원주면까지 평활하게 연장된다.
평형기(12c)들은 다음과 같이 목재 바아(11)에 고정된다. 우선, 조립 작업자는 평형기(12c)들의 중심축(C1)에 구멍(11a, 11b)의 중심축(a, b)을 정렬해서, 중심축(C2)이 목재 바아(11)의 종방향에 평행하게 연장되도록 구멍(11a, 11b) 내로 도4내지 도6에 도시된 평형기(12c)들을 각각 삽입한다. 이어서, 조립 작업자는 도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형기(12c)들의 양 단부면 상에 힘(F1/F2)을 가한다. 조립 작업자는 펀치, 다이 및 해머를 이용할 수 있다. 조립 작업자는 다이 상에 목재 바아(11)를 놓고 구멍(11a, 11b) 내로 평형기(12c)들을 삽입한다. 이어서, 평형기(12c)의 단부면은 다이의 표면과 접촉하게 된다. 뒤이어, 조립 작업자는 펀치를 평형기(12c)의 타 단부면 상으로 가져가서 해머로 펀치를 가격한다.
그 후, 압착부(14)가 도7B의 14c에 의해 지시된 바와 같이 팽창하도록 소성 변형되거나 압착된다. 중공 공간(14a, 14b)은 우측 내면들(13a) 사이와 좌측 내면(13b)들 사이에 남아 있을 수 있다. 그러나, 내면(13a, 13b)들 사이의 간격은 감소된다. 팽창부(14c)는 디스크부(15a, 15b)의 주연면에서 방사상으로 돌출해서 목재 바아(11)의 내면부 내에 맞물린다. 그 결과, 평형기(12c)는 목재 바아(11)에 고정된다. 팽창부(14c)는 목재 바아(11)의 내면부를 영구 변형시키기 때문에 평형기(12c)는 구멍(11a, 11b)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는다.
목재 바아(11)와 함께 설명된 바와 같이, 조직(11G)은 목재 바아(11)의 종방향에 평행하게 연장되고 중간부(14c)는 목재(11G)의 조직이 연장되는 방향으로 돌 출한다. 이로써, 목재 바아(11)는 균열되지 않는다.
단일체 평형기(12c)는 경제적으로 대량 생산됨으로써 흑색 및 백색 키이(4, 10)의 생산비는 크게 절감된다. 또한, 조립 작업자는 평형기(12c)의 양 단부면 상에 단지 힘(F1/F2)만을 가하게 됨으로써 조립 작업은 단순하다. 이는 또한 흑색 및 백색 키이(4, 10)의 생산비를 절감한다.
제1 실시예의 변형예
도8은 평형기(12c)의 제1 변형예(12d)의 단면도이다. 본 단면도는 도6에 도시된 단면도와 동일한 방향으로 도시된다. 평형기(12d)도 한 쌍의 디스크부(17)와 압착부(18)로 구분된다. 한 쌍의 디스크부(17)는 도4에 도시된 것과 유사하며, 압착부(18)는 중공 공간(16)이 압착부(18)의 양 측면 상에 발생하도록 수축된다. 압착부(18)는 호형으로 만곡된 측면(18a)을 갖는다.
평형기(12d)는 평형기(12c)와 유사한 방식으로 목재 바아(11)에 고정된다. 조립 작업자가 디스크부(17)에 힘(F1/F2)을 가하면 압착부(18)는 외측으로 돌출해서 목재 바아(11) 내로 맞물린다.
도9는 평형기(12c)의 제2 변형예(12e)의 단면도이다. 본 단면도는 도6 및 도8에 도시된 단면도와 동일한 방향으로 도시된다. 평형기(12e)도 한 쌍의 디스크부(17a)와 압착부(18a)로 구분된다. 압착부(18a)는 네 구역의 중공 공간(16a)이 발생하도록 십자형 단면을 갖는다.
평형기(12e)는 평형기(12c, 12d)와 유사한 방식으로 목재 바아(11)에 고정된다. 조립 작업자가 디스크부(17a)에 힘(F1/F2)을 가하면 압착부(18a)는 네 단부로 부터 외측으로 돌출해서 목재 바아(11) 내에 맞물린다.
도10은 평형기(12c)의 제3 변형예(12f)의 단면도이다. 평형기(12f)는 한 쌍의 디스크(17b)와 한 쌍의 압착부(18b)로 구분된다. 압착부(18b)는 중공 공간(16b)이 그 사이에서 발생하도록 서로 이격된다. 즉, 압착부(18b)는 중공 공간(14a, 14b)을 채우며 중공 공간(16b)은 압착부(14)에 할당된 영역에서 발생한다. 그러나, 중공 공간(16b)은 압착부(14)보다 폭이 넓다.
평형기(12f)는 평형기(12c)와 유사한 방식으로 목재 바아(11)에 고정된다. 힘(F1/F2)이 디스크(17b)에 작용될 때, 만곡면이 외향으로 돌출해서 목재 바아(11) 내로 맞물린다.
도11A 및 도11B는 평형기(12c)의 제4 변형예(22)의 단면도이다. 평형기(22)는 한 쌍의 디스크부(25a, 25b)와 압착부(24)로 구분된다. 압착부(24)와 디스크부(25a) 사이의 경계는 디스크부(25a)의 중심 영역에서 평형기(22)의 일 측으로 벗어나 있으며 압착부(24)와 디스크부(25b) 사이의 경계는 디스크부(25b)의 중심 영영에서 평형기(22)의 타 측으로 벗어나 있다. 그러나, 도6에서와 동일한 선을 따라 평형기(22)를 절단하는 경우, 평형기(22)의 단면도는 평형기(12c)의 단면도와 동일하다.
목재 바아(11) 내로 삽입하기 전에, 디스크부(25a)의 중심축은 일점 쇄선(d)에 의해 지시된 바와 같이 다른 디스크부(25b)의 중심축과 일치하며, 따라서 디스크부(25a)의 주연면은 도1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어떠한 단차도 형성하지 않고 다른 디스크부(25b)의 주연면과 인접한다.
조립 작업자가 디스크부(25a, 25b) 상에 힘(F1/F2)을 가하면, 압착부(24)는 압착되어서 도11B에 도시된 평형기의 우측쪽으로 더욱 경사진다. 즉, 디스크부(25a, 25b)는 압착부(24)로부터 측방으로 미끄러지고 디스크부(25a)의 중심축(d1)은 다른 디스크부(25b)의 중심축(d2)에서 벗어나 있다. 따라서, 디스크부(25a)는 d3에 의해 압착부(24)로부터 우측으로 돌출하고 다른 디스크부(25b)는 d3에 의해 압착부(24)로부터 좌측으로 돌출한다. 디스크부(25a, 25b)는 목재 바아(11)의 내면부에서 소성 변형되어서 목재 바아(11) 내에 맞물린다.
도12A 및 도12B는 평형기(12c)의 제5 변형예(32)의 단면도이다. 평형기(32)도 한 쌍의 디스크부(35a, 35b)와 압착부(34)로 구분된다. 디스크부(35a, 35b)와 압착부(34)는 그 구성이 디스크부(15a, 15b) 및 압착부(14)와 각각 유사하다. 그러나, 중심축(C2)과 수직하게 교차하는 수직선(e0)은 도12A 및 도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크부(35a, 35b)의 중심축(e)으로부터 오프셋되어 있다. 즉, 디스크부(35a, 35b)는 우측부가 좌측부보다 크다.
조립 작업자가 디스크부(35a, 35b)에 힘(F1/F2)을 가하면, 압착부(34)는 디스크부(35a, 35b)를 경사지게 하고 디스크부(35a, 35b)의 중심축(e1, e2)은 도1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교차하게 된다. 그 결과, 외단부면의 원주의 부분(36a, 37b)와 내단부면의 원주의 부분(36b, 37a)이 압착 전에 원주에서 돌출해서 목재 바아(11)의 내면 부분을 소성 변형시킨다. 이로써, 부분( 36a, 36b, 37a, 37b)은 목재 바아(11) 내로 맞물리고 평형기(32)는 목재 바아(11)에서 안정적으로 유지된다.
도14A 및 도14B는 평형기(12c)의 제6 변형예(42)의 단면도이다. 평형기(42) 는 한 쌍의 디스크부(45a, 45b)와, 압착 디스크부(44)와, 예컨대 접착제 화합물(49)과 같은 충진제로 구분된다. 이 경우, 압착 디스크부는 디스크부(45a, 45b)와 동심을 이룬다. 압착 디스크부(44)는 압착 디스크부(44) 둘레에 링과 같은 중공 공간이 발생하도록 디스크부(45a, 45b)보다 직경이 작다. 중공 공간은 도1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착 화합물(49)로 충진된다.
조립 작업자가 디스크부(45a, 45b)에 힘(F1/F2)을 가하면 압착 디스크부(44)는 링 공간의 체적을 감소시키도록 압착된다. 그 후, 접착 화합물은 도1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링 공간으로부터 밀려 나와서 목재 바아(11)의 내면과 평형기(42) 사이의 경계 위로 확장된다. 접착 화합물은 경화되고 평형기(42)는 목재 바아(11)에 접착된다.
상술한 설명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평형기(12c, 12d, 12e, 12f, 22, 32, 42)는 각각의 압착부(14, 18, 18a, 18b, 24, 34, 44)를 가지며, 디스크부(15a/15b, 17, 17a, 17b, 25a/25b, 35a/35b, 45a/45b) 상에 힘(F1/F2)을 가하면 압착부(14, 18, 18a, 18b, 24, 34)는 목재 바아(11)에 형성된 구멍(11a, 11b) 내에서 소성 변형된다. 압착부(14, 18, 18a, 18b, 24, 34)는 목재 바아(11)를 소성 변형시켜서 목재 바아 내에 맞물린다. 다르게는, 압착부(44)는 공간으로부터 평형기(42)와 목재 바아(11)의 내면 사이의 경계 내로 접착제 화합물을 배출한다. 그 결과, 평형기(12c, 12d, 12e, 12f, 22, 32, 42)는 목재 바아(11) 내에서 안정적으로 유지되고 목재 바아(11)가 노화되더라도 거의 이탈되지 않는다.
제2 실시예
도15를 참조하면, 평형기(12A)들이 백색 키이(10)의 전방부에 형성된 구멍(11a, 11b) 내로 삽입된다. 평형기(12A)들은 목재 바아(11)의 종방향으로 서로 이격된다.
평형기(12A)는 단일체이다. 그러나, 평형기(12A)는 스템부(13A), 헤드부(14A) 및 극침(15A)으로 구분된다. 이 경우, 평형기(12A)는 구리로 제조된다. 그러나, 철, 황동, 텅스텐, 소결 금속 또는 금속 분말 및 합성 수지 간의 복합재가 평형기(12A)로 이용 가능하다. 비록 중금속이 바람직하지만, 환경 오염 때문에 납은 회피되어야 한다.
스템부(13A)는 기둥형으로 형성되며, 원뿔의 받침대 형상의 헤드부(14A)는 스템부(13A)의 일 단부 상에 형성된다. 스템부(13A)는 그 직경이 구멍(11a, 11b)의 직경과 대략적으로 동일하다. 헤드부(14A)의 좁은 단부는 그 직경이 스템부(13A)의 직경과 동일하지만 헤드부의 넓은 단부는 그 직경이 스템부(13A)의 직경보다 크다. 이로써, 헤드부(14A)는 스템부(13A)에서 방사상 돌출하며 육각 소켓(16A)이 헤드부(14A)의 넓은 단부면(14Aa) 상에서 외측으로 개방된다. 네 쌍의 극침(15A)이 스템부(13A)의 주연면으로부터 돌출한다. 이들 극침(15A) 쌍들은 인접한 두 쌍의 극침(15A)으로부터 90도만큼 이격되어 있으며, 각 쌍의 극침(15a)들은 평형기(12A)의 중심축(CL1)에 평행한 방향으로 이격된다.
각각의 극침(15A)은 작은 피라미드 형상으로 형성되며, 넓은 단부면(14Aa)에 사실상 평행한 후방면(15a)과 날카로운 리지를 형성하는 나머지 두 표면(15b, 15c)을 갖는다. 날카로운 리지는 평형기(12A)가 화살표(AR1)에 의해 지시된 방향으로 진행하는 동안 극침(15A)이 목재 바아(11) 내로 진입하도록 타 단부면(13Aa)으로 지시된다.
평형기(12A)는 다음과 같이 목재 바아(11)에 고정된다. 우선, 조립 작업자는 중심축(CL1)과 중심축(a, b)을 정렬해서, 구멍(11a 또는 11b) 내로 평형기(12A)를 삽입한다. 조립 작업자는 펀치와 해머를 사용할 수 있다. 조립 작업자는 펀치의 칩을 헤드부(14A)와 접촉시키고 해머를 이용하여 펀치를 가격한다. 그러면, 평형기(12A)는 구멍(11a 또는 11b) 내로 진행하고, 극침(15A)은 목재 바아(11)를 절개해서 그 내부로 진입한다. 그 결과, 네 개의 홈(17A)이 도17A 및 도1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목재 바아(11)에 남게 되고, 헤드부(14A)는 18A에 의해 지시된 바와 같이 구멍(11a 또는 11b) 위로 구멍을 뚫는다.
그 후, 조립 작업자는 육각 소켓(16A) 내로 육각 렌치를 삽입해서 중심축(CL1)을 중심으로 평형기(12A)를 45도로 회전시킨다. 극침(15A)이 목재 바아(11)를 절개하며 그 내부로 더욱 진입해 나가며 호형의 홈(17a)이 도17C 및 도17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템부(13A)의 주연면에 평행하게 형성된다. 표면(15a)은 호형의 홈(17a)을 한정하는 내면과 접촉된 상태로 유지된다. 이 경우, 힘이 평형기(12A) 상에 후방 작용되더라도, 극침(15A)은 목재에 의해 포획되고 평형기(12A)는 구멍(11a 또는 11b)에서 거의 이탈되지 않는다. 한편, 힘이 평형기(12A) 상에 전방으로 작용하더라도 그 힘이 삽입 동안 작용되는 힘보다 동일하거나 크기만 하다면 평형기(12A)는 전진하지 않는다. 그 결과, 평형기(12A)는 목재 바아(11)에서 안정적으로 유지되고 이로부터 거의 이탈되지 않는다.
전술한 설명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평형기(12A)는 극침(15A)이 홈(17A)으로부터 벗어나도록 구멍(11a, 11b) 내로 삽입된 후 회전된다. 호형의 홈(17a)을 한정하는 내면은 극침(15A)과 밀접 접촉해서 극침(15A)이 후방 이동하지 않도록 한다. 목재 바아(11)와 평형기(12A)를 조립하는 방법은 조립 작업자가 단지 평형기(12A)를 회전시킨다는 점에서 종래 방법과 다르다. 본 방법은 조립 작업을 간단하고 용이하게 만듦으로써 흑색 키이 및 백색 키이(4, 10)의 생산비는 크게 절감된다. 평형기(12A)는 단일체이기 때문에, 평형기(12A)를 대량 생산하는 것이 가능하고 다른 추가적인 부품이 요구되지 않는다. 이는 비용 절감에 도움이 된다.
제2 실시예의 변형예
도18은 흑색 및 백색 키이(4 또는 10)에 사용되는 평형기(22B)를 도시한다. 평형기(22B)는 구리로 제조되며 복수개의 육각 디스크부(23B)와 기둥부(24B)로 구분된다. 각각의 육각 디스크부(23B)는 여섯 개의 모서리(25B)를 갖는다. 기둥부(24B)는 육각 디스크부(23B)의 대각선(l)보다 작은 외경을 가지며 육각 디스크부(23B) 사이에 삽입된다. 비록 대각선(l)은 목재 바아(11)에 형성된 구멍(11a, 11b)의 직경보다 길지만, 구멍(11a, 11b) 내로 평형기(22B)를 가압하는 것이 가능하다. 육각 구멍(26B)이 평형기(22B)에 형성되고 평형기(22B)의 양 단부면 상에서 외측으로 개방된다.
평형기(22B)는 다음과 같이 목재 바아(11)에 고정된다. 우선, 조립 작업자는 평형기(22B)의 중심축과 구멍(11a)의 중심축(a)을 정렬하고, 육각 디스크부(23B)에 펀치를 접촉시킨다. 조립 작업자는 해머를 이용하여 펀치를 가격한다. 모서리(25B)는 평형기(22B)가 도19A 및 도1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멍(11a) 내로 가압되도록 목재 바아(11)를 절개하며 그 내부로 진입해 들어간다. 여섯 개의 직선형 홈이 목재 바아(11) 내에 남는다.
그 후, 조립 작업자는 육각 구멍(26B) 내로 육각 렌치를 삽입해서 도19C 및 도19D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멍(11a) 내의 평형기(22B)를 30도로 회전시킨다. 모서리(25B)는 직선형 홈으로부터 벗어나고 호형의 홈이 목재 바아(11)에 남는다. 모서리(25B)가 인접한 직선형 홈에 도달하면, 모서리(25B)는 인접한 직선형 홈 내에서 후방 이동 가능하게 된다. 평형기(22B)가 바람직하지 않은 상태로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평형기(22B)의 회전은 60도보다 작아야 한다. 힘이 삽입 방향에 대향하는 방향으로 평형기(22B) 상에 작용되더라도, 호형의 홈들을 서로 분리하는 목재(21b)가 힘에 저항하기 때문에 평형기(22B)는 구멍(11a)에서 거의 이탈되지 않는다.
도20은 목재 바아(11)에 고정되는 다른 평형기(32B)를 도시한다. 평형기(32B)는 구리로 제조되며 스템부(33A) 및 여러 쌍의 블레이드(35B)들로 구분된다. 블레이드(35B)의 쌍들은 스템부(33B)의 주연면에서 돌출해서 서로 평행하게 공간상으로 연장된다. 각 쌍의 블레이드(35B)들은 180도만큼 서로 이격된다. 따라서, 블레이드(35B) 쌍들은 부분 절개된 나사의 회전부와 같다.
각각의 블레이드(35B)는 그 폭이 시계 방향으로 증가한다. 육각 구멍(36B)이 스템부(33A)에 형성되고 스템부(33A)의 양 단부면 상에서 외측으로 개방된다.
평형기는 다음과 같이 흑색 키이 또는 백색 키이(4 또는 10)에 고정된다. 비록 흑색 및 백색 키이(4, 10)는 도15에 도시된 것들과 유사하게 목재 바아(11) 및 덮개 판(12a)을 포함하지만, 목재 바아(11)에는 원형의 구멍(11a, 11b) 대신 타원형 구멍(31a)이 형성된다.
타원형 구멍(31a)의 장축은 블레이드(35B)의 선단부(35Ba) 사이의 거리보다 조금 짧으며 단축은 스템부(33B)의 직경과 거의 동일하다.
작업자는 다음과 같이 목재 바아(11)에 평형기(32B)를 고정시킨다. 우선, 작업자는 타원형 구멍(31a)과 평형기(32B)를 정렬해서 스템부(33B)의 단부면에 펀치를 접촉시킨다. 작업자는 해머를 이용하여 펀치를 가격한다. 블레이드(35B)는 목재 바아(11)를 절개하며 그 내부로 진입하고 평형기(32B)는 도21A 및 도2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타원형 구멍(31a) 내로 가압된다.
다음으로, 작업자는 육각 구멍(36B) 내로 육각 렌치를 삽입해서 육각 렌치로 평형기(32B)를 회전시킨다. 블레이드(35B)는 목재 바아(11)를 절개하며 그 내부로 진입해서 타원형 구멍(31a)으로부터 벗어난다. 호형의 홈(37B)이 도21C 및 도21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목재 바아에 남게 되고 블레이드(35B)는 호형의 홈(37B)을 한정하는 목재 바아(11)의 내벽 부분들 사이에 개재된다.
힘이 삽입 방향에 대향하는 방향으로 평형기(32B) 상에 작용되더라도, 내벽 부분은 평형기(32B)가 후방으로 이동하지 않도록 한다. 따라서, 평형기(32B)는 목재 바아(11) 내에서 안정적으로 유지된다.
도22는 본 방법의 제2 변형예에 의해 평형기(42B)가 목재 바아(11)에 고정된 것을 도시한다. 평형기(42B)는 기둥체(43B)를 가지며 기둥체(43B)는 목재 바아 (11)에 형성되는 구멍(11a)보다 직경이 조금 작다. 원통형의 관통 구멍(46B)이 기둥체(43B)에 형성되고 기둥체(43B)의 양 단부면 상에서 외측으로 개방된다.
평형기(42B)는 다음과 같이 목재 바아(11)에 고정된다. 우선, 작업자는 구멍(11a)과 평형기(42B)를 정렬해서 구멍(11a) 내로 평형기(42B)를 가압한다. 다음으로, 작업자는 원통형 관통 구멍(46B) 내로 바아(47B)를 삽입해서 바아(47B)를 양 측으로 경사지게 한다. 그러면, 평형기(42B)도 구멍(11a) 내에서 경사지게 되고, 도시된 바와 같이 단부면의 원주의 부분(45a, 45b)에서 목재 바아(11) 내에 맞물린다. 즉, 평형기(42B)가 경사질 때, 평형기(42B)는 목재 바아(11)의 내면 부분에 덴트(47a, 47b)를 형성하고 원주의 부분(45a, 45b)은 덴트(47a, 47b)에 적합하게 수납된다.
힘이 삽입 방향 또는 대향 방향으로 평형기(42B) 상에 작용되더라도, 덴트(47a, 47b)는 평형기(42B)가 이동하지 않도록 한다. 그 결과, 평형기(42B)는 구멍(11a)에서 거의 이탈되지 않는다.
또한, 기둥체(42B)는 다른 평형기(22B, 32B)에 비해 훨씬 간단하고, 조립 작업은 평형기(22B, 32B) 상에서의 조립 작업과 마찬가지로 용이하다. 따라서, 제2 변형예도 생산비의 추가 절감에 도움이 된다.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평형기(12A, 22B, 32B, 42B)는 본 발명의 방법에서 목재 바아(11) 내로의 접근로에서 단지 벗어나게 제조된다. 그 결과, 평형기(12A, 22B, 32B, 42B)는 목재 바아(11) 내에 맞물리고, 목재 바아(11)는 평형기(12A, 22B, 32B, 42B) 상에 바람직하지 않게 작용되는 힘을 지탱한다. 그 결과, 평형기 (12A, 22B, 32B, 42B)는 목재 바아(11)가 노화되더라도 목재 바아(11) 내에서 안정적으로 유지된다. 본 방법은 흑색 및 백색 키이(4, 10)의 생산비가 크게 절감될 정도로 간단하다.
제3 실시예
도23은 백색 키이(10)에 합체된 다른 유형의 평형기(12C)를 도시한다. 목재 바아(11)에서 목재(11G)의 조직은 목재 바아(11)의 종방향으로 연장된다. 즉, 목재(11G)의 조직은 목재 바아(11)의 폭 방향으로 적층된다. 구멍(11a, 11b)은 목재 바아(11)의 전방부에 형성되고 원통형이다.
평형기(12C)는, 예컨대 텅스텐 분말을 함유한 합성 수지와 같은 복합재로 제조되고 탄성 변형 가능하다. 이 경우, 텅스텐 분말은 나일론에 분산된다. 텅스텐 분말의 양은 텅스텐 분말을 함유한 나일론이 비교적 큰 비중을 가질 정도로 크다. 비중이 14까지 증가되더라도 텅스텐 분말을 함유하는 나일론은 탄성을 잃지 않는다.
평형기(12C)는 도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타원 원통형으로 형성된다. 장축과 단축은 각각 "al" 및 "b1"으로 지시되며, 구멍(11a, 11b)의 직경은 장축(a1)보다 크고 단축(b1)보다 작다.
평형기(12C)는 다음과 같이 목재 바아(11)에 고정된다. 작업자는 구멍(11a)에 가깝게 평형기(12C)를 가져가서 도2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축(a1)이 목재 바아(11)의 종방향에 평행하도록 평형기(12C)를 배향시킨다. 작업자는 평형기(12C)를 장축(a1) 방향으로 수축시키도록 장축(a1)의 양 단부에서 양 단부(12a1, 12b1) 상에 힘을 가한다.
다음으로, 작업자는 구멍(11a)과 수축된 평형기(12C)를 정렬해서 해머로 평형기(12C)를 가격함으로써 구멍(11a) 내로 수축된 평형기(12C)를 가압한다. 목재 바아(11)의 내면 상에는 도2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목재 바아(11)의 종방향에 평행한 방향(X)으로 탄성력이 작용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목재(11G)의 조직은 목재 바아(11)가 방향(X) 및 대향하는 방향으로의 힘을 잘 지탱할 수 있도록 목재 바아(11)의 종방향에 평행하게 연장된다. 단축(b1)이 구멍(11a)의 직경보다 짧기 때문에 평형기(12C)는 목재 바아(11)의 내면 상에서 방향(Y) 및 그 대향 방향으로 어떠한 힘도 작용하지 않거나 단지 무시할만한 양의 힘만을 작용한다. 이런 상황에서, 목재 바아(11)는 평형기(12C)에 의해 거의 균열되지 않는다.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평형기(12C)는 목재 바아(11)의 내면 상에서 종방향에 평행한 방향(X)으로만 힘을 가하며 Y 방향으로의 힘은 무시할만 하다. 목재는 조직(11G)에 평행한 힘을 잘 지탱하기 때문에 백색 키이(10)는 어떤 큰 균열이 없이 내구성을 지닌다.
제3 실시예의 변형예
도26은 평형기(12C)의 제1 변형예(22C)를 도시한다. 평형기(22C)는 복합재로 제조되고 일반적으로 단축의 양 단부에 신월 무늬부(crescent portions)가 없는 타원 원통형으로 형성된다. 즉, 평형기(22C)는 장축(c1)에 형행하게 곡면(22a, 22b) 사이에서 연장되는 편평면(23a, 23b)을 갖는다.
평형기(22C)는 다음과 같이 목재 바아(11)에 고정된다. 우선, 작업자는 도 2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축이 목재 바아(11)의 종방향에 평행하도록 평형기(22C)를 배향시키고 곡면(22a, 22b) 상에 힘을 가한다. 그러면, 평형기(22C)는 장축(c1)의 방향으로 수축된다.
작업자는 구멍(11a)에 수축된 평형기(22C)를 정렬하고 도2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멍(11a) 내로 수축된 평형기(22C)를 가압한다. 수축된 평형기(22C)는 목재 바아(11)의 종방향에 평행한 양 방향으로 목재 바아(11)의 내면 상에 탄성력을 가한다. 편평면(23a, 23b)은 수직 방향(Y)의 힘이 무시 가능할 정도로 목재 바아(11)의 내면으로부터 이격된다. 따라서, 백색 키이(10)는 균열없이 내구성을 지닌다.
제4 실시예
도28은 백색 키이(10)의 목재 바아(11)에 고정된 다른 유형의 평형기(13D)를 도시한다. 목재 바아는 목재 바아(11)의 종방향에 평행하게 연장되는 목재(11G)의 조직을 갖는다. 구멍(11a', 11b')은 목재 바아(11)의 전방부에 형성되고 목재 바아(11)의 종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서로 평행하게 연장되는 중심축을 갖는다. 구멍(11a', 11b')은 원형 단면을 가지며 원형 단면은 중심축 방향으로 면적이 달라진다. 즉, 목재 바아(11)에 제1 및 내지 제3 실시예와 유사한 구멍(11a', 11b')이 형성되지만, 구멍(11a', 11b')은 그 구성이 구멍(11a, 11b)과 다르다.
도29 및 도3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멍(11a', 11b')은 중간부가 수축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내면(14a', 14b')에 의해 한정되는 구멍(11a, 11b)의 입구는 내벽(16D)에 의해 한정되는 중심 영역보다 넓다. 입구는 경사(15a', 15b')에 의해 한정되는 중심 영역을 거쳐 중심 영역에 연결된다. 입구와 중심 영역은 중심 역역에 대해 서로 대칭되게 배열된다. 따라서, 구멍(11a, 11b)의 내경은 입구에서 중심 영역쪽으로 점차 저감된다.
도31에는 평형기(13D)가 도시되어 있다. 평형기(13D)는 비중이 비교적 큰 복합 탄성재로 제조된다. 이 경우, 복합 탄성재는 텅스텐 분말을 함유한 나일론이다. 즉, 텅스텐 분말이 나일론에 분산된다. 평형기(13D)는 일반적인 기둥 형상을 갖는다. 제작자는 텅스텐 분말의 양을 변경시킴으로써 평형기(13D)의 중량을 최적화할 수 있다. 사실상, 비중이 14로 증가되더라도 복합 탄성재는 탄성을 갖는다.
대부분의 원주면이 그 중심축에 평행하게 연장되지만, 양 단부는 13a'에 의해 지시된 바와 같이 테이퍼된다. 이하, 테이퍼 면을 가이드부(13a')로 지칭하기로 한다. 도3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형기(13D)는 외경(d)을 가지며 입구 및 중심 영역은 각각 내경(D1, D2)를 갖는다. 외경(d)은 내경(D1) 이하이고 내경(D2)보다 크다. 복합 탄성재의 탄성은 평형기(13D)의 외경이 d에서 D2로 수축될 수 있게 한다.
평형기(13D)는 다음과 같이 목재 바아(11)에 고정된다. 우선, 작업자는 구멍(11a')에 평형기(13D)를 정렬하고 입구 내로 가이드부(13a')를 삽입한다. 작업자는 어느 한 입구(14a' 또는 14b') 내로 평형기(13D)를 삽입할 수 있다. 가이드부(13a')가 경사부(15a')에 도달하면 작업자는 삽입에 대항하는 저항력을 느낀다. 그 후, 작업자는 구멍(11a') 내로 평형기(13D)를 가압한다. 작업자는 해머로 평형기(13D)의 단부면을 가격할 수 있다. 평형기(13D)는 탄성 변형되며 그 중심 영역 내로 이동된다.
작업자는 구멍(11a') 내로 평형기(13D)를 더욱 가압한다. 평형기(13D)는 중심 영역을 통과한 후 초기 형상으로 복귀된다. 단부가 다른 입구(14b' 또는 14a')에 도달할 때, 작업자는 평형기(13D) 상에 힘을 가하는 것을 중단한다. 평형기(13D)는 경사부(15a', 15b) 및 내면(16D) 상에 탄성력을 가하며, 탄성은 평형기(13D)를 구멍(11a') 내에서 거의 이동시키지 않도록 유지한다. 따라서, 평형기(13D)는 목재 바아(11)에 고정된다.
구멍(11a, 11b)이 노화로 인해 확장되더라도, 적어도 중심 영역은 계속해서 평형기(13D)의 외경(d)보다 작은 내경(D2)을 가지며 평형기(13D)는 적어도 내면(16D) 상에 계속해서 탄성력을 가한다. 이로써, 평형기가 구멍(11a', 11b')에서 덜컥거리거나 구멍(11a', 11b')에서 이탈되지 않게 된다.
전술한 설명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수축 구멍(11a', 11b')은 평형기(13D)를 부분적으로 수축시키고 복합 탄성재의 탄성은 목재 바아(11)가 노화되더라도 평형기(13D)를 수축 구멍(11a', 11b') 내에서 안정적으로 유지한다.
또한, 작업자는 삽입을 위해 수축된 구멍(11a', 11b')의 중심축 방향으로 평형기(13D) 상에 힘을 가할 것으로 예측된다. 따라서, 조립 작업은 간단하고, 간단한 조립 작업은 흑색 키이 및 백색 키이(4, 10)의 생산 비용을 절감한다.
제4 실시예의 변형예
도33은 수축 구멍(11a' 또는 11b')의 제1 변형예(21a')를 도시한다. 평형기(13D)는 구멍(21a') 내로 삽입되고 수축 구멍(21a')과 일치되게 탄성 변형된다.
수축 구멍(21a')은 목재 바아(11)의 측면 상에서 외측으로 개방되는 입구(24a', 24b')을 갖는다. 입구(24a', 24b')는 입구(14a', 14b')와 직경이 동일하고 길이가 길다. 한 쌍의 경사부(25a', 25b')가 입구(24a', 24b') 사이에 형성되고 경사부(25a', 25b')는 서로 대칭이다. 경사부(25a')는 구멍(21a')의 입구(24a')로부터 중간부(26D)까지 구멍(21a')의 직경을 이루고 경사부(25b')는 다른 입구(24b')로부터 중간부(26D)까지 구멍(21b')의 직경을 이룬다. 이로써, 직경은 구멍(21a')의 중간부(26D)에서 최소화된다. 경사부(25a', 25b')는 경사부(15a', 15b')보다 짧고 중간부(26D)는 중심 영역의 내경과 동일하다. 이로써, 경사부(25a', 25b')는 경사부(15a', 15b')보다 가파롭게 경사진다.
평형기(13D)는 제4 실시예에서와 같이 목재 바아(11)에 고정되며, 따라서 이에 대한 추가 설명은 편의상 생략하기로 한다. 제1 변경예는 수축 구멍(21a') 내에서 평형기(13D)를 안정적으로 유지시킨다. 또한, 경사부(25a', 25b')는 목재 바아(11)가 평형기(13D)를 강하게 파지할 정도로 가파르다.
도24는 수축 구멍(11a' 또는 11b')의 제2 변형예(31a')를 도시한다. 수축 구멍(31a')은 입구(24a', 24b')와 직경과 길이가 동일한 입구(34a', 34b')를 가지며, 중심 영역(35D)이 입구(34a', 34b') 사이에 개재된다. 중심 영역은 입구(34a', 34b') 중 어느 한 입구에서 중심 영역(35D)의 중간부까지 직경이 감소되고 중간부로부터 입구(34a', 34b') 중 다른 입구까지 직경이 증가된다. 이로써, 중심 영역(35D)의 주연부는 종방향 단부면 상에서 쌍곡선으로 지시된다. 중심 영역(35D)의 중간부는 중심 영역의 중간부(26D)과 직경이 동일하다.
평형기(13D)는 제4 실시예에서와 같이 목재 바아(11)에 고정되며 모든 장점을 달성한다. 또한, 완만하게 만곡된 중심 영역(35D)은 작업자가 수축 구멍(31a') 내로 평형기(13D)를 원활하게 삽입할 수 있도록 한다.
도35는 수축 구멍(11a', 11b')의 제3 변형예(41a')를 도시한다. 수축 구멍(41a')은 입구(24a', 24b')와 직경과 길이가 동일한 양단부(44a', 44b')를 갖는다. 중심 영역은 단부(44a', 44b') 사이에 단지 하나의 경사부(45')에 의해 형성된다. 경사부(45a')는 중심 영역의 직경을 단부(44b')로부터 타 단부(44a')까지 감소시킨다. 이로써, 직경은 중심 영역 또는 경사부(45')와 단부(44a') 사이의 경계에서 갑자기 증가된다. 즉, 스토퍼 벽(44b')이 경사부(45a')와 단부(44a') 사이의 경계에 형성된다. 따라서, 수축 구멍(41a')은 중심 영역과 단부(44a') 사이의 경계에서 최소 직경을 갖는다. 최소 직경은 중심 영역의 중간부(26D)와 동일하다.
직경은 중심 영역 또는 경사부(45')와 단부(44a') 사이의 경계에서 갑자기 증가되기 때문에, 작업자는 단부(44b')로부터 화살표(ar11)에 의해 지시된 바와 같이 평형기(13D)를 삽입해야 한다. 스토퍼 벽(46')은 평형기(13D)가 화살표(ar11)에 대향된 방향으로 이동하지 않도록 한다. 따라서, 경사부(45')는 화살표(ar11)에 의해 지시된 바와 같이 평형기(13D)를 단부(44a') 내로 원활하게 진입시키고 역방향으로 이동하지 않도록 한다.
전술한 설명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제4 실시예와 그 변형예들은 조립시 어떤 복잡한 작업을 하지 않고도 목재 바아(11)가 노화되더라도 수축 구멍(11a'/11b', 21a', 31a', 41a') 내에 평형기(13D)를 안정적으로 유지시킨다.
제5 실시예
도36은 흑색 키이 및 백색 키이(4, 10)에 고정되는 다른 유형의 평형기(52E)를 도시한다. 평형기(52E)는 구리로 제조되며, 스템부(13E), 헤드부(14E) 및 극침(15E)으로 구분된다. 평형기(52E)는 육각 구멍(16A)을 제외하고 평형기(12A)와 구성이 유사하다. 즉, 평형기(52E)에는 구멍이나 리세스가 형성되어 있지 않다. 헤드부(14E)는 직경이 구멍(11a, 11b)보다 크고, 스템부(13E)는 그 직경이 구멍(11a, 11b)의 직경 이하이다.
평형기(52E)는 다음과 같이 목재 바아(11)에 고정된다. 우선, 조립 작업자는 구멍(11a 또는 11b)에 평형기(52E)를 정렬해서 구멍(11a 또는 11b) 내로 평형기(52E)를 가압한다. 펀치와 해머가 삽입을 위해 이용 가능하다. 극침(15E)은 평형기(12A)와 마찬가지로 삽입 동안에 홈을 형성한다.
이어서, 작업자는 적절한 공구 또는 지그를 사용해서 목재 바아의 측면 상의 양 개구를 통해 외측으로 노출되는 양 단부면을 잡고 구멍(11a 또는 11b) 내에서 평형기(52E)를 회전시킨다. 극침(15E)은 홈을 벗어나서 목재 바아(11) 내에 맞물린다.
목재 바아(11)는 평형기(52E)의 역방향 운동에 대항하는 저항력을 제공한다. 따라서, 목재 바아(11) 내에 맞물린 극침(15E)은 평형기(52E)가 목재 바아(11)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평형기(52E)를 구멍(11a 또는 11b) 내에서 회전시킬 수 있는 한 임의의 공구 또는 지그가 평형기(52E)에 이용 가능하다. 양 단부와 접촉되어 유지되는 한 쌍의 탄성 바아 또는 진공 핀셋이 공구로서 이용될 수 있다.
제5 실시예의 변형예
제5 실시예의 제1 내지 제3 변형예는 육각 구멍(26B, 36B, 46B)을 제외하고 변형예(22B, 32B, 42B)와 유사하다. 즉, 제5 실시예의 제1 내지 제3 변형예에는 어떠한 구멍도 형성되어 있지 않다. 작업자가 모서리(25B), 블레이드(35B) 또는 주연부의 일부를 홈에서 벗어나게 할 때, 작업자는 공구 또는 지그를 사용해서 제1, 제2 또는 제3 변형예를 잡아서 그 평형기를 회전시킨다.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가 도시되고 설명되었지만, 기술 분야의 당업자는 다양한 개조 및 변형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이루어질 수 있음을 명백히 알 것이다.
그랜드 피아노는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를 결코 제한하지 않는다. 본 발명은 직립형 피아노 또는 평형기가 설치된 키이를 갖는 모든 건반 악기에 적용 가능하다.
예컨대, 소음식 피아노(mute piano)가 건반 악기의 일 예이다. 해머 스토퍼와 전자식 음조 생성 시스템이 피아노에 설치된다. 해머 스토퍼는 해머의 궤적 내외로 이동되고, 전자식 음조 생성 시스템은 전자식으로 생성될 음조를 표현하는 여러 개의 음악 데이터를 생성하기 위해 키이를 점검한다. 사용자가 어쿠스틱 피아노 음조가 전혀 없이 운지 연습을 하고자 할 때, 사용자는 해머가 스트링을 가격하기 전에 해머 스토퍼 상에서 되튀도록 해머의 궤적 내로 해머 스토퍼를 이동시킨다. 사용자는 어쿠스틱 피아노 음조가 아닌 전자 음조를 듣게 된다.
다른 예는 자동 연주 시스템이 내장된 자동 연주 피아노이다. 자동 연주 시스템은 키이 하부에 솔레노이드 작동식 키이 가동기를 가지며 운지하지 않고도 솔레노이드 작동식 키이 가동기가 키이를 이동시키도록 만든다. 따라서, 자동 연주 시스템은 건반 상에서의 운지없이도 한 편의 음악을 재생한다.
다른 예는 연습용 건반이다. 사용자가 건반 상에서 운지하는 동안 사용자가 어떤 음조없이도 운지 연습을 하도록 흡음재가 해머 또는 의사-해머로 가격된다.
단일체 평형기(12a)는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를 결코 제한하지 않는다. 압착부(14, 18, 18a, 18b, 24, 34, 44)는 디스크부(15a/15b, 17, 17a, 17b, 25a/25b, 35a/35b, 45a/45b)에 연결될 수 있다. 본 변형예는 "복합형 평형기"로 지칭되기도 한다. 이 경우, 디스크부(15a, 15b)용 재료보다 더 압착 가능한 임의의 재료로 압착부(14)를 제조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디스크부(15a, 15b)는 압착부(14)보다 비중이 클 수 있다. 이 경우, 압착부(14)는 용이한 조작을 위해 디스크부(15a, 15b)와 조립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복합형 평형기는 압착부가 넓게 돌출되고 디스크부가 구멍 내로 용이하게 끼워지도록 설계된다는 점에서 유리하다.
원통형 구멍(11a, 11b)과 일반적으로 기둥 형상의 평형기(12c, 12d, 12e, 12f, 22, 32, 42)는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를 결코 제한하지 않는다. 구멍(11a, 11b)은 삼각형 단면, 직사각형 단면, 다각형 단면 또는 타원형 단면을 가질 수 있으며, 따라서 균형기는 구멍에 대응하는 단면을 가질 수 있다.
압착 가능한 동심형 디스크부(44)는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를 결코 제한하지 않는다. 평형기(42)의 압착부는 다른 평형기(12c, 12d, 12e, 12f, 22, 32)들 중 어느 하나와 동일한 구성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압착 가능한 디스크부는 디스크부(45a, 45b)로부터 오프셋된다.
접착 화합물(49)은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를 결코 제한하지 않는다. 충진재는 합성 수지, 고무 또는 연성 금속일 수 있다.
목재 바아(11)는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를 결코 제한하지 않는다. 흑색 키이 및 백색 키이(4, 10)는 목재 바아(11) 대신 합성 바아에 기초해서 제조될 수 있다. 이 경우, 제작자는 조직(11G)의 방향을 고려하지 않는다. 압착부는 어느 방향으로든 돌출된다.
평형기(12A, 22B, 32B)를 직선형 홈에서 벗어나게 만들기 위해, 작업자는 구멍(11a) 내에서 평형기(12A, 22B, 32B)를 회전시킨다. 그러나, 작업자는 평형기(12A, 22B, 32B)를 활주시킬 수 있다. 그러면, 일부 극침(15A), 일부 모서리(25B) 및 일부 블레이드(35B)가 목재 바아(11) 내에 맞물린다.
극침 또는 클로부(claw)는 기둥체(43B)의 단부면 상에 형성될 수 있다. 다르게는, 원주부는 그 일부가 역으로 감겨질 수 있다. 육각 디스크부(23B)는 삼각 디스크부, 직사각형 디스크부 또는 다각형 디스크부로 교체될 수 있다.
제3 실시예 및 그 변형예에서는 타원 원통형 평형기(12C) 및 일반적으로 타원 원통형의 평형기(22C)가 원형의 구멍(11a) 내로 가압된다. 그러나, 평형기와 구멍의 다른 조합이 흑색 키이 및 백색 키이(4, 10)에 이용 가능하다. 구멍과 평형기는 타원 원통 또는 원형 기둥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르게는, 입방형 평형기가 직육면체 구멍 내로 가압될 수 있다. 키이에는 구멍(11a, 11b) 대신 리세스가 형성될 수 있다.
텅스텐 분말 및 나일론은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를 결코 제한하지 않는다. 복합재는 다른 유형의 중금속 분말과 다른 유형의 합성 수지로 제조될 수 있다. 다르게는, 한 조각의 고형 금속이 합성 수지로 덮어싸일 수 있다. 그러나, 납을 사용해서는 않된다. 예컨대, 중금속으로 제조된 기둥이 합성 수지를 함유한 금속 분말 시트로 덮히며, 평형기(12C, 22C)는 이런 유형의 평형기로 대체될 수 있다.
복합 탄성재는, 예컨대 철 또는 구리와 같은 다른 유형의 중금속과 다른 유형의 합성 수지로 제조될 수 있다. 복합재가 탄성을 갖고 큰 비중을 갖는 한 임의의 조합이 평형기에 이용 가능하다.
비록 평형기(13D)는 단일체지만 단일체는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를 결코 제한하지 않는다. 평형기(13D)의 변형예는 중금속으로 제조되는 중심부와, 예컨대 합성 수지 또는 고무로 제조되는 외층으로 구성될 수 있다. 그러나, 환경 오염의 관점에서 납을 사용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외층은 그 두께가 수축 구멍의 최대 직경 및 그 최소 직경 사이의 차이보다 커야만 한다. 중심부는 그 직경이 수축 구멍의 최소 직경보다 작다.
수축 구멍은 타원형 단면, 삼각형 단면 또는 직사각형 단면을 가질 수 있다. 타원형 단면이 목재 바아에 형성된 때, 타원 원통은 목재(11G)의 조직에 평행하게 연장되는 장축을 갖는다.
원형 단면을 갖는 평형기(13D)는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를 결코 제한하지 않는다. 평형기는 상기에서 설명한 수축 구멍에 대응하는 단면을 가질 수 있다. 또 한, 링-형상의 홈이 중심 영역을 한정하는 내벽부를 수용하도록 기둥형 평형기(13D)의 중심부에 형성될 수 있다. 복합재가 평형기를 넓게 변형시킬 수 있기만 하다면, 본 발명의 흑색 키이 및 백색 키이(4, 10)에 이용 가능한 평형기는 입구의 직경보다 조금 큰 직경을 가질 수 있다.
입구(14a'/14b', 24a'/24b', 34a'/34b')는 제4 실시예 및 그 변형예에서 직경과 길이가 서로 동일하다. 그러나, 이런 특징은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를 결코 제한하지 않는다. 다른 변형예에서, 입구들은 직경 및/또는 길이가 서로 다르다.
극침(15E)이 구멍(11a 또는 11b)보다 큰 곡률 반경을 갖는 한 스템부(13E)는 구멍(11a 또는 11b)의 직경보다 작을 수 있다.
평형기(52E)가 직선형 홈에서 벗어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작업자는 평형기(52E)를 활주시킬 수 있다. 제2 실시예의 변경예도 제5 실시예에 적용 가능하다.
청구항의 용어들은 다음의 실시예 및 변형예의 구성 부분와 상호 관련된다. 동작 유닛(5), 해머(6) 및 스트링(8)은 전체적으로 "음조 생성기"를 구성한다. 흑색 키이 및 백색 키이(4, 10)는 복수개의 키이로서 작용하며, 전방부 및 후방부는 각각 "일 단부" 및 "타 단부"에 대응한다. 목재 바아(11)는 "바아"에 대응하고, 균형 핀(3b)은 키이에 "받침대"를 제공한다.
팽창부(14c) 및 압착부(24, 34, 44)는 "소성 변형부"에 대응하며, 평형기(12c, 12d, 12e, 22, 32, 42)를 팽창부(14a), 디스크부(25a)의 일부, 원주(36a/36b, 37a/37b)의 일부 및 접착 화합물(49)의 일부에서 목재 바아(11) 내에 맞물리게 만든다. 구멍(11a, 11b)은 "중공 공간"으로서 작용하며, 쌍을 이루는 디스 크부(15a/15b, 17, 17a, 17b, 25a/25b, 35a/35b 또는 45a/45b)는 "끼움부(snug portion)"에 대응한다.
평형기(12C, 22C)는 "탄성 변형된 평형기"로서 작용하며, 평형기(12C, 22C)는 장축의 양 단부(12a/12b, 22a/22b)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구멍을 한정하는 내면의 일부" 상에 탄성력을 가한다. 방향(X)은 "바아들 중 해당하는 바아의 종방향에 평행한 방향"에 대응한다.
수축 구멍(11a'/11b', 21a'/31a')은 "적어도 하나의 수축 구멍"으로서 작용하며, 평형기(13D)는 "탄성 변형 평형기들 중 해당 평형기"에 대응한다. 내면(16D, 26D, 35D, 46')은 상기 수축 구멍의 수축된 부분을 한정하는 "내면"으로서 작용한다.
극침(15A/15E), 모서리(25B), 블레이드(35B) 및 원주의 일부(45a/45b)는 "적어도 하나의 고정부"로서 작용하며, "적어도 하나의 돌기"에 대응한다. 스템부 및 헤드부(13A, 14A)와, 모서리(25B)를 제외한 기둥부(24B) 및 육각 디스크부(23B)와, 스템부(33B) 또는 기둥체(43B)는 "본체"에 대응한다. 육각 디스크부(23B)는 "다각형 부분"으로서 작용한다.
상술한 내용에서 명백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건반 악기는 조립 작업의 용이성을 희생시키지 않고도 평형기가 키이 내에서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Claims (31)

  1. 음조를 생성하고 자중을 갖는 음조 생성기(5, 6, 8)와 복수개의 키이(4, 10)를 포함하며, 복수개의 키이에서 각각의 바아(11)의 일 단부는 상기 자중이 음조 생성기에 작용되도록 상기 음조 생성기(5, 6, 8)에 연결되고 타 단부는 상기 바아(11)의 각각의 받침대(3b)에 대해 상기 일 단부의 대향 측에 위치되고 상기 자중의 일부를 상쇄하기 위해 평형기(12)가 적재되어 있고 음조의 피치를 특정하기 위해 연주자에 의해 선택적으로 압박되는 건반 악기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평형기(12c; 12d; 12e; 12f; 22; 32; 42)는 상기 각각의 평형기(12c; 12d; 12e; 12f; 22; 32; 42)를 상기 바아들 중 해당 바아와 결합시키는 소성 변형부(14, 14c; 18; 18a; 18b; 24; 34; 44)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반 악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평형기(12c; 12d; 12e; 12f)는 상기 바아(11)들 중 상기 해당 바아의 타 단부에 형성된 중공 공간(11a, 11b)에 적합하게 수용되는 끼움부(15a, 15b; 17; 17a; 17b)를 추가로 가지며, 상기 소성 변형부(14, 14c; 18; 18a; 18b)는 상기 바아(11)들 중 해당 바아 내로 맞물리도록 상기 끼움부(15a, 15b; 17; 17a; 17b)의 주연부로부터 돌출되는 건반 악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끼움부는 한 쌍의 중량부(15a, 15b; 17; 17a; 17b)에 의해 구현되고, 상기 소성 변형부(14, 14c; 18; 18a; 18b)는 상기 한 쌍의 중량부(15a, 15b; 17; 17a; 17b) 사이에서 연결되는 건반 악기.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소성 변형부(14, 14c; 18; 18a; 18b)와 상기 한 쌍의 중량부(15a, 15b; 17; 17a; 17b)는 단일체인 건반 악기.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소성 변형부(14, 14c; 18; 18a; 18b)는 상기 바아(11)들 중 상기 해당 바아 내에 맞물리도록 상기 끼움부(15a, 15b; 17; 17a; 17b)의 주연부의 일부로부터 돌출되는 건반 악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소성 변형부(14, 14c; 18; 18a; 18b)는 목재의 상기 바아(11)들 중 상기 해당 바아의 종방향에 사실상 평행한 방향으로 돌출하고 상기 주연부의 잔여부로부터 함몰되는 건반 악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평형기(22)는 상기 바아(11)들 중 상기 해당 바아의 상기 타 단부에 형성된 중공 공간(11a, 11b)에 적합하게 수용되는 끼움부(25a, 25b)를 추가로 가지며, 상기 소성 변형부(24)는 상기 끼움부의 일부(25a)가 상기 바아(11)들 중 해당 바아 내에 맞물리도록 상기 끼움부의 상기 부분(25a)을 상기 끼움부의 나머지부(25b)로부터 이탈시키는 건반 악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평형기(32)는 상기 바아(11)들 중 상기 해당 바아의 상기 타 단부에 형성된 중공 공간(11a, 11b)에 적합하게 수용되는 끼움부(35a, 35b)를 추가로 가지며, 상기 소성 변형부(34)는 상기 끼움부(35a, 35b)가 그 주연부의 일부에서 상기 바아(11)들 중 해당 바아 내에 맞물리도록 경사지는 건반 악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평형기(42)는 상기 바아(11)들 중 상기 해당 바아에 형성된 중공 공간(11a, 11b)에 적합하게 수용되는 끼움부(45a, 45b)와, 상기 각각의 평형기(42)가 상기 중공 공간(11a, 11b) 내에서 이동되지 않도록 상기 끼움부(45a, 45b)와 상기 중공 공간(11a, 11b)을 한정하는 내벽 사이의 경계 내로 압입되는 일 편의 충진재(49)를 추가로 갖는 건반 악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충진재(49)는 접착제 화합물인 건반 악기.
  11. 음조를 생성하고 자중을 갖는 음조 생성기(5, 6, 8)와 복수개의 키이(4, 10)를 포함하며, 복수개의 키이에서 각각의 바아(11)의 일 단부는 상기 자중이 음조 생성기에 작용되도록 상기 음조 생성기(5, 6, 8)에 연결되고 타 단부는 상기 바아(11)의 각각의 받침대(3b)에 대해 상기 일 단부의 대향 측에 위치되고 상기 자중의 일부를 상쇄하기 위해 탄성 변형된 평형기(12)가 적재되어 있고 음조의 피치를 특정하기 위해 연주자에 의해 선택적으로 압박되는 건반 악기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키이(4, 10)에는 탄성 변형된 평형기(12C; 22C)들 중 해당 평형기가 상기 바아(11)들 중 해당 바아의 종방향에 평행한 방향(X)으로 적어도 하나의 구멍(11a, 11b)을 한정하는 내면의 일부에 탄성력을 가하도록 상기 탄성 변형된 평형기(12C; 22C)들 중 해당 평형기의 단면적과 다른 단면적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구멍(11a)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반 악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구멍(11a, 11b)과 상기 탄성 변형된 평형기(12C)들 중 상기 해당 평형기는 각각 원형 단면 및 타원형 단면을 가지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구멍(11a, 11b)은 상기 타원형 기둥의 장축(b1)보다 크고 상기 타원형 기둥의 단축(a1)보다 작은 내경을 갖는 건반 악기.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장축(a1)은 목재의 상기 바아(11)들 중 상기 해당 바아의 종방향에 사실상 평행하고, 상기 목재는 상기 종방향에 평행하게 연장되는 조직(11G)을 갖는 건반 악기.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구멍(11a, 11b)과 상기 탄성 변형된 평형기(22C)들 중 상기 해당 평형기는 장축(c1)에 평행하게 단축의 양 단부에서 부분 절개된 타원 원통과 동일한 기둥 형상과 원형 단면을 가지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구멍(11a, 11b)은 상기 단축보다 크고 상기 장축(c1)보다 작은 내경을 갖는 건반 악기.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변형된 평형기(12C; 22C)들 중 상기 해당 평형기는 금속 분말 함유 합성 수지로 제조되는 적어도 주연부를 갖는 건반 악기.
  16. 음조를 생성하고 자중을 갖는 음조 생성기(5, 6, 8)와 복수개의 키이(4, 10)를 포함하며, 복수개의 키이에서 각각의 바아(11)의 일 단부는 상기 자중이 음조 생성기에 작용되도록 상기 음조 생성기에 연결되고 타 단부는 상기 바아(11)의 각각의 받침대(3b)에 대해 상기 일 단부의 대향 측에 위치되고 상기 자중의 일부를 상쇄하기 위해 탄성 변형된 평형기(12)가 적재되어 있고 음조의 피치를 특정하기 위해 연주자에 의해 선택적으로 압박되는 건반 악기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키이(4, 10)에는 탄성 변형된 평형기(13D)들 중 해당 평형기가 수축 구멍(11a', 11b'; 21a', 31a', 41a')의 수축 부분(16D; 26D; 35D; 46')을 한정하는 내면에 탄성력을 가하도록 상기 탄성 변형된 평형기(13D)들 중 해당 평형기가 수용되는 적어도 하나의 수축 구멍(11a', 11b'; 21a', 31a', 41a')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반 악기.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수축 구멍(11a', 11b'; 21a'; 31a'; 41a')은 각각의 상기 키이의 바아(11)의 표면 상에서 외측으로 개방되고 상기 수축 부분(16D; 26D; 35D; 46')보다 단면이 넓은 입구(14b'; 24b'; 44b')와, 상기 수축 부분(16D; 26D; 35D; 46')에 상기 입구(14b'; 24b'; 45')를 연결하도록 단면이 변 경되는 중간부(15b'; 25b'; 45')를 갖는 건반 악기.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부(15b'; 25b'; 45')는 경사에 의해 한정되는 건반 악기.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부는 만곡된 내면에 의해 한정되는 건반 악기.
  20.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수축 구멍(11a', 11b'; 21a'; 31a')은 상기 수축 부분(16D; 26D; 35D)에 대해 대칭되도록 위치되는 다른 입구(14a'; 24a'; 34a')와 다른 중간부(15a'; 25a')를 추가로 갖는 건반 악기.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수축 부분(26D)은 상기 중간부(25a')와 상기 다른 중간부(25b') 사이의 경계인 건반 악기.
  22.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수축 구멍(41a')은 상기 바아(11)의 다른 표면 상에서 상기 외측으로 개방되고 상기 수축 부분(46')보다 단면이 넓은 입구(44a')를 추가로 가지며, 상기 중간부(45')와 상기 다른 입구(44a') 사이의 가파른 경계는 상기 수축 부분(46')으로서 작용하는 건반 악기.
  23. 건반 악기에 합체된 키이(4; 10)의 바아(11)에 평형기(12A; 22B; 32B; 42B; 52E)를 고정하는 방법이며,
    a) 적어도 하나의 고정부(15A; 25B; 35B; 45a, 45b; 15E)를 갖는 평형기(12A; 22B; 32B; 42B; 52E)와 구멍(11a, 11b; 31a)이 형성된 바아(11)를 제공하는 단계와,
    b) 상기 구멍(11a, 11b; 31a) 내에 상기 평형기(12A; 22B; 32B; 42B; 52E)를 삽입하는 단계와,
    c)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고정부(15A; 25B; 35B; 45a, 45b; 15E)를 상기 바아(11)에 고정시키도록 상기 구멍(11a, 11b; 31a) 내에서 상기 평형기(12A; 22B; 32B; 42B; 52E)를 이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평형기 고정 방법.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평형기(12A; 22B; 32B; 52E)는 몸체(13A, 14A; 23B, 24B; 33B; 13E, 14E)와 상기 몸체(13A, 14A; 23B, 24B; 33B; 13E, 14E)의 주연부로부터 돌출한 돌기(15A; 25B; 35B; 15E)들을 포함함으로써 상기 돌기(15A; 25B; 35B; 15E)들이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고정부로서 상기 바아(11)에 고정되는 평형기 고정 방법.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들은 극침(15A; 15E)에 의해 구현되며, 상기 극침(15A; 15E)은 상기 바아(11) 내에 맞물리도록 상기 단계 c)에서의 움직임을 통해 상기 구멍(11a, 11b)으로부터 벗어나는 평형기 고정 방법.
  26.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복수개의 다각형 부분(23B)을 가지며, 상기 복수개의 다각형 부분(23B)은 상기 돌기로서 작용하는 모서리(25B)들을 갖는 평형기 고정 방법.
  27.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들은 블레이드(35B)에 의해 구현되며, 상기 블레이드(35B)는 상기 바아(11) 내로 맞물리도록 상기 단계 c)에서의 움직임을 통해 상기 구멍(31a)으로부터 벗어나는 평형기 고정 방법.
  28.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평형기(42B)는 기둥 형상을 가지며, 상기 기둥 형상의 단부면의 원주의 부분(45a, 45b)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고정부로서 작용하는 평형기 고정 방법.
  29.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고정부(15A; 25B; 35B; 45a, 45b; 15E)는 회전 운동, 활주 운동 및 경사로 구성되는 그룹에서 선택되는 상기 평형기의 움직임을 통해서 상기 바아(11)에 고정되는 평형기 고정 방법.
  30.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평형기(12A; 22B; 32B; 42B)에는 다각형 중공 공간(16A; 26B; 36B; 46B)이 형성되고, 단계 c)에서 상기 평형기를 이동시키기 위해 공구가 상기 다각형 중공 공간 내로 삽입되는 평형기 고정 방법.
  31.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평형기(52E)는 상기 단계 c)에서 상기 평형기를 이동시키기 위한 공구를 이용하여 파지되는 평형기 고정 방법.
KR1020050021605A 2004-03-17 2005-03-16 키이 내에 평형기가 맞물려 설치된 키이를 갖는 건반 악기및 키이에 평형기를 고정하는 방법 KR10063781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0)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4-00075631 2004-03-17
JP2004075631A JP2005266034A (ja) 2004-03-17 2004-03-17 鍵盤
JP2004083158 2004-03-22
JPJP-P-2004-00083158 2004-03-22
JPJP-P-2004-00124142 2004-04-20
JP2004124142A JP4599879B2 (ja) 2004-04-20 2004-04-20 鍵盤
JP2004147278A JP2005331544A (ja) 2004-05-18 2004-05-18 鍵盤
JPJP-P-2004-00147278 2004-05-18
JP2004267804 2004-09-15
JPJP-P-2004-00267804 2004-09-1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43666A KR20060043666A (ko) 2006-05-15
KR100637817B1 true KR100637817B1 (ko) 2006-10-25

Family

ID=349165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21605A KR100637817B1 (ko) 2004-03-17 2005-03-16 키이 내에 평형기가 맞물려 설치된 키이를 갖는 건반 악기및 키이에 평형기를 고정하는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2) US7345235B2 (ko)
EP (1) EP1585105A3 (ko)
KR (1) KR100637817B1 (ko)
CN (1) CN1670812B (ko)
TW (1) TWI278828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4481B1 (ko) * 2000-06-24 2004-03-22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지털 방송 부가서비스 정보의 기록 재생장치 및 방법과그에 따른 기록매체
JP4333509B2 (ja) * 2003-09-12 2009-09-16 ヤマハ株式会社 鍵構造体
WO2009108437A1 (en) * 2008-02-27 2009-09-03 Steinway Musical Instruments, Inc. Pianos playable in acoustic and silent modes
US7633002B2 (en) * 2008-03-06 2009-12-15 Asami Inouye Piano key assembly
US20090282962A1 (en) * 2008-05-13 2009-11-19 Steinway Musical Instruments, Inc. Piano With Key Movement Detection System
US8148620B2 (en) * 2009-04-24 2012-04-03 Steinway Musical Instruments, Inc. Hammer stoppers and use thereof in pianos playable in acoustic and silent modes
US8541673B2 (en) 2009-04-24 2013-09-24 Steinway Musical Instruments, Inc. Hammer stoppers for pianos having acoustic and silent modes
WO2012072890A1 (fr) * 2010-11-29 2012-06-07 Claude Annie Perrichon Optimisation des resonnances acoustiques des pianos
JP5962048B2 (ja) * 2012-02-15 2016-08-03 ヤマハ株式会社 電子楽器の鍵盤装置
US9177535B2 (en) * 2013-10-31 2015-11-03 Kabushiki Kaisha Kawai Gakki Seisakusho Hammer device for keyboard instrument
JP6339356B2 (ja) * 2013-12-13 2018-06-06 株式会社河合楽器製作所 鍵盤用錘
JP2015125419A (ja) * 2013-12-27 2015-07-06 ローランド株式会社 楽器用ペダル装置
JP6822240B2 (ja) * 2017-03-16 2021-01-27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鍵盤装置および鍵盤楽器
JP6857327B2 (ja) * 2017-03-17 2021-04-14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鍵盤装置および鍵盤楽器
WO2018173219A1 (ja) * 2017-03-23 2018-09-27 ヤマハ株式会社 鍵盤錘、鍵ユニット、鍵ユニットの製造方法
JP6780768B2 (ja) * 2017-03-24 2020-11-04 ヤマハ株式会社 鍵盤装置
JP6930258B2 (ja) * 2017-07-12 2021-09-01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鍵盤装置
CA3082258A1 (en) * 2017-11-14 2019-05-23 Penn Engineering & Manufacturing Corp. Press-in fastener with a wavy knurled shank
CN108091319A (zh) * 2018-01-15 2018-05-29 岳雷 一种弹拨式弦乐器恒温调频调速老化台及其老化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40002556A (ko) * 1982-04-15 1984-07-02 랜스 리건, 말코름 제이·스미스 악 기
KR940003152A (ko) * 1992-07-20 1994-02-21 토마스 알, 브라운 수정된 부호 절대값 디지탈-아날로그 변환기 및 그 작동방법
KR970009938B1 (ko) * 1992-08-31 1997-06-19 야마하 가부시키가이샤 이중타격 및 음의 손실없이 반복동작에 응답하는 건작용기구를 갖는 직립 피아노
KR20000023305A (ko) * 1998-09-21 2000-04-25 와타나베 세이로 건반장치 및 전자악기

Family Cites Families (4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117832A (en) * 1937-03-04 1938-05-17 George W Wellner Anchor bolt
US2393923A (en) * 1944-02-29 1946-01-29 Miller Edwin August Multiple anchoring means
DE1207065B (de) * 1960-05-14 1965-12-16 Artur Fischer Spreizduebel
US3478641A (en) * 1967-02-07 1969-11-18 Dohmeier Hans Otto Anchor or roof bolts and the like
DE1922903A1 (de) * 1968-08-29 1970-03-19 O M A S Die Grilli Sturba & Co Klaviatur
DE2328412C3 (de) * 1973-06-04 1975-11-27 Springfix-Befestigungstechnik Gmbh, 7335 Salach Befestigungselement
US4827609A (en) * 1987-06-16 1989-05-09 Mars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mounting components on a printed circuit board or similar mounting surface
SE469238B (sv) * 1990-03-05 1993-06-07 Lars Alf Fraendberg Expanderbar foerankringsanordning innefattande ett rullelement
US5142834A (en) * 1990-07-12 1992-09-01 Donnelly Corporation Vehicle trim assembly and fastener therefor
KR920002363A (ko) * 1990-07-31 1992-02-28 한태희 전자식 타자기의 페이지 설정방법
IT1254730B (it) * 1992-03-23 1995-10-10 Antonio Giovannetti Dispositivo di ancoraggio,per esempio per componenti di mobili e simili
US5585582A (en) * 1992-11-25 1996-12-17 Stanwood; David C. Methods for inertial balancing of piano key mechanisms
US5368427A (en) * 1993-02-08 1994-11-29 General Motors Corporation Quarter turn fastener
US5468109A (en) * 1993-02-11 1995-11-21 Franco Ferrari Quick removable fasteners in particular for furniture
US5591927A (en) * 1993-09-17 1997-01-07 Yamaha Corporation Keyboard musical instrument having key action mechanisms movable to and from strings
US6116836A (en) * 1994-07-26 2000-09-12 Composite Technologies Corporation Connector for composite insulated wall and method for making the wall
EP1150022A3 (fr) * 1996-11-12 2001-12-05 Elyce Innovation Système et procédé d'assemblage, et dispositifs pourvus de ce système
US6119993A (en) * 1996-12-18 2000-09-19 Youngblood; Gary S. Climbing anchors
US5704750A (en) 1997-01-16 1998-01-06 Ford Global Technologies, Inc. Multiple use screw with tapered threads
US5897401A (en) * 1997-07-01 1999-04-27 Solid State Stamping, Inc. Serrated starred pin
DE19756764A1 (de) * 1997-12-19 1999-06-24 Fischer Artur Werke Gmbh Steckdübel
US5897278A (en) * 1998-02-05 1999-04-27 Southco, Inc. Turn fastener
US6109578A (en) * 1998-08-10 2000-08-29 Guthrie; Karl Borehole-engaging apparatus
US6531651B2 (en) * 1999-11-11 2003-03-11 Kabushiki Kaisha Kawai Gakki Seisakusho Key for musical instrument
JP4375695B2 (ja) * 2000-07-21 2009-12-02 株式会社ニフコ 部品の取付装置
DE10049218C2 (de) * 2000-09-28 2003-01-02 Phoenix Contact Gmbh & Co Elektronikgehäusesystem
JP3077661U (ja) * 2000-11-13 2001-05-29 株式会社チップ・オン・メディア カード・アダプタ
US6575682B1 (en) * 2000-11-16 2003-06-10 Illinois Tool Works Inc. Quarter turn fastener
JP4576042B2 (ja) 2000-11-27 2010-11-04 株式会社河合楽器製作所 鍵盤
FR2821130B1 (fr) * 2001-02-16 2003-12-12 Peugeot Citroen Automobiles Sa Agrafe de fixation d'un element de carrosserie sur la structure d'un vehicule automobile
JP3849437B2 (ja) 2001-03-07 2006-11-22 ヤマハ株式会社 鍵盤楽器用鍵盤
US6676352B2 (en) * 2001-03-13 2004-01-13 Ju-Ching Chen-Chi Fasteners with improved retaining effect
US6568893B2 (en) * 2001-05-24 2003-05-27 Illinois Tool Works Inc. Double quarter turn fastener
JP3820936B2 (ja) * 2001-07-31 2006-09-13 ヤマハ株式会社 キーセンサ、キーセンサの被検出板および鍵盤楽器
US6540463B2 (en) * 2001-08-27 2003-04-01 Illinois Tool Works, Inc. Blind hole panel nut
JP2003084754A (ja) * 2001-09-07 2003-03-19 Kawai Musical Instr Mfg Co Ltd 鍵 盤
JP2003108113A (ja) 2001-09-27 2003-04-11 Kawai Musical Instr Mfg Co Ltd 鍵 盤
DE60224979T2 (de) * 2001-11-08 2009-01-29 Yamaha Corp., Hamamatsu Tastenmusikinstrument, welches tasten mit stabilen tastenausgleichsstücken reguliert hat
JP3775289B2 (ja) 2001-11-29 2006-05-17 ヤマハ株式会社 鍵盤楽器の鍵盤
JP3820963B2 (ja) 2001-11-08 2006-09-13 ヤマハ株式会社 鍵盤楽器の鍵盤
US7129404B2 (en) * 2001-11-08 2006-10-31 Yamaha Corporation Keyboard musical instrument having keys regulated with stable key balance pieces and process for fabricating keys
JP2003177740A (ja) * 2001-12-12 2003-06-27 Kawai Musical Instr Mfg Co Ltd 鍵盤錘
US6779232B2 (en) * 2002-02-28 2004-08-24 Alexis Cerul Protector sleeve for wires and pipes in wood frame construction
US6935527B1 (en) * 2002-03-22 2005-08-30 Richard E. Brock Locking filler cap
JP4013251B2 (ja) * 2003-02-21 2007-11-28 ヤマハ株式会社 自動演奏装置の取り付け用加工装置
JP2004294772A (ja) * 2003-03-27 2004-10-21 Yamaha Corp 自動演奏ピアノ
US20050002753A1 (en) * 2003-07-03 2005-01-06 Haas James R. Rotary fastener, fastenable material, fastener system, and storage system
JP2005266034A (ja) * 2004-03-17 2005-09-29 Yamaha Corp 鍵盤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40002556A (ko) * 1982-04-15 1984-07-02 랜스 리건, 말코름 제이·스미스 악 기
KR940003152A (ko) * 1992-07-20 1994-02-21 토마스 알, 브라운 수정된 부호 절대값 디지탈-아날로그 변환기 및 그 작동방법
KR970009938B1 (ko) * 1992-08-31 1997-06-19 야마하 가부시키가이샤 이중타격 및 음의 손실없이 반복동작에 응답하는 건작용기구를 갖는 직립 피아노
KR20000023305A (ko) * 1998-09-21 2000-04-25 와타나베 세이로 건반장치 및 전자악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670812B (zh) 2010-12-15
CN1670812A (zh) 2005-09-21
EP1585105A3 (en) 2017-09-06
TWI278828B (en) 2007-04-11
US20050204907A1 (en) 2005-09-22
US7807911B2 (en) 2010-10-05
TW200601262A (en) 2006-01-01
US20080121093A1 (en) 2008-05-29
EP1585105A2 (en) 2005-10-12
US7345235B2 (en) 2008-03-18
KR20060043666A (ko) 2006-05-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37817B1 (ko) 키이 내에 평형기가 맞물려 설치된 키이를 갖는 건반 악기및 키이에 평형기를 고정하는 방법
US20110259169A1 (en) Movable part firmly equipped with balance weight, musical instrument and method of assembling balance weight therein
DE3721597A1 (de) Elektronisches perkussionsinstrument
JP2002196748A (ja) 鍵盤楽器の鍵盤装置
CN100452170C (zh) 乐器的键
EP1324312B1 (en) Keyboard musical instrument having keys regulated with stable key balance pieces
US7129404B2 (en) Keyboard musical instrument having keys regulated with stable key balance pieces and process for fabricating keys
DE19716177C2 (de) Elektrophones Tasteninstrument
JPH11212543A (ja) 鍵盤楽器の鍵盤
CN2812198Y (zh) 键盘乐器
JP3170208B2 (ja) グランドピアノのダンパーレバー
DE112018004712T5 (de) Musikinstrument und Schwingungserzeuger
JP3704930B2 (ja) 鍵盤楽器の鍵盤
CN110232897B (zh) 用于钢琴的制音器
JP2006113526A (ja) 可動部材における重りの取付方法
JP2003177740A (ja) 鍵盤錘
JP4429679B2 (ja) 鍵盤楽器の鍵
JP4599879B2 (ja) 鍵盤
JP4484487B2 (ja) 鍵盤楽器の鍵
JPH067316B2 (ja) ピアノのアクション機構
JP2003122343A (ja) 鍵 盤
KR200293052Y1 (ko) 피아노 튜닝핀의 고정장치
JPS5853589Y2 (ja) ピアノのダンパ−機構
Nelson Design and dynamic simulation of a novel piano action mechanism
JP2003066948A (ja) 鍵 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J202 Request for trial for correction [limitat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CORRECTION REQUESTED 20070525

Effective date: 2008052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1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18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