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70009938B1 - 이중타격 및 음의 손실없이 반복동작에 응답하는 건작용기구를 갖는 직립 피아노 - Google Patents
이중타격 및 음의 손실없이 반복동작에 응답하는 건작용기구를 갖는 직립 피아노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970009938B1 KR970009938B1 KR1019930017066A KR930017066A KR970009938B1 KR 970009938 B1 KR970009938 B1 KR 970009938B1 KR 1019930017066 A KR1019930017066 A KR 1019930017066A KR 930017066 A KR930017066 A KR 930017066A KR 970009938 B1 KR970009938 B1 KR 97000993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tate
- jack
- assembly
- lever
- string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C—PIANOS, HARPSICHORDS, SPINETS OR SIMILAR STRINGED MUSICAL INSTRUMENTS WITH ONE OR MORE KEYBOARDS
- G10C3/00—Details or accessories
- G10C3/12—Keyboards; Keys
-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C—PIANOS, HARPSICHORDS, SPINETS OR SIMILAR STRINGED MUSICAL INSTRUMENTS WITH ONE OR MORE KEYBOARDS
- G10C3/00—Details or accessories
- G10C3/16—Actions
- G10C3/24—Repetition [tremolo] mechanism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제1도는 건이 휴지상태에 있는 본 발명에 따른 직립 피아노의 주요부의 측면도.
제2도는 제1도에 도시한 반복기구와 동반하는 건작용기구를 부분적으로 절단한 확대도.
제3도는 잭크가 벗트로 부터 탈출할때의 건작용 기구와 반복기구를 나타내는 측면도.
제4도는 건작용 기구가 백체크상태로 들어갈때의 직립 피아노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측면도.
제5도는 백체크 상태에서의 건작용기구의 반복기구의 확대측면도.
제6도는 건이 약하게 눌러진 후 정지상태의 건작용기구와 반복기구를 나타내는 측면도.
제7도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직립 피아노에 이용된 반복기구를 나타내는 측면도.
제8도는 본 발명에 따른 또다른 직립 피아노에 이용된 반복기구를 나타내는 측면도.
제9도는 본 발명에 따른 또다른 직립 피아노에 이용된 반복기구를 나타내는 측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건반 1a : 건(鍵)
1b : 평형레일 1c : 건판
1d : 캡스탄 버튼 2,11,21,31 : 건작용기구
2a : 휘픈/휘픈 뒤축조립체 2b : 휘픈플랜지
2c : 잭크플랜지 2d : 잭크
2e : 잭크스프링 2f : 댐퍼스푼
2g : 백체크 2h : 벗트플랜지
2i : 벗트 2j : 벗트스킨
2k : 벗트스프링 2m : 조정버튼
2n : 캐쳐 2o : 캐쳐스킨
2p : 플랜지 2r : 핀
2q : 반복레버 2s : 코드
2t : 스프링 2u : 조정나사
2v : 벗트천 2w : 로드부재
2x : 블록부재 2y : 조정나사
2z : 잭크천 3 : 햄머조립체
3a : 햄머생크 3b : 햄머헤드
4 : 현 5 : 댐퍼조립체
5a : 댐퍼레버 플랜지 5b : 댐퍼레버
5c : 댐퍼와이어 5d : 댐퍼헤드
5e : 댐퍼스프링 6 : 중심레일
7 : 조정레일 8,12,22,32 : 반복기구
12a,22a : 변형로드부재 12b : 선단부
12c : 보스부 22b,32a : 반복레버
22c : 조정나사 32b,32c : 반구형부
본 발명은 직립 피아노에 관한 것으로, 특히 직립 피아노에 이용되는 건작용기구에 관한 것이다.
전작용기구의 전형적인 예는 일본국 실용신안 출원 공개번호 제57-30791호에 제시되어 있으며, 이출원에 제시된 종래의 전작용기구는 트레몰로(tremolo)같은 빠른 손가락 놀림 또는 반복동작에 대한 응답특성을 개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런 조앨의 전작용기구는 건과 관련하여 또한 현을 타격하기 위한 햄머조립체와 관련하여 제공되며, 캡스탄 버튼을 건의 후방단부에서 직립되어 있다. 종래의 전작용기구는 고정 작용레일에 의하여 스윙할 수 있도록 지지되어 캡스탄 버튼에 의해 상방으로 가압되는 휘픈조립체와, 휘픈조립체에 스윙 가능하게 지지되는 젝크와, 휘픈조립체와 잭크의 발톱부 사이에 삽입되는 압축코일 스프링과, 고정 작용 레일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지지되고 햄머조립체와 연결되는 벗트와, 잭크의 해제를 한정하는 조정버튼과, 벗트로부터 후방으로 돌출하는 캐쳐와, 캐쳐의 반대측에 휘픈조립체로부터 돌출하는 백체크와, 벗트로 부터 후방으로 돌출하는 스프링와이어로 구성된다. 이 벗트는 벗트스프링에 의하여 관련 건으로 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가압된다.
건이 휴지상태에 있는 동안 압축코일스프링은 잭크가 벗트아래에서 초기상태에 머므르게 하며, 잭크의 발톱부는 조정버튼으로 부터 이격되어 있으며 백체크도 역시 캐쳐로 부터 이격되어 있다.
연주자가 건을 누를 때 캡스탄 버튼은 휘픈조립체를 상방으로 가압하며 휘픈조립체가 회전 구동된다. 잭크가 휘픈조립체에 스윙 가능하게 지지됨에 따라 잭크는 휘픈조립체의 회전으로 인해 벗트를 가압하며 벗트와 햄머조립체를 현쪽으로 회전하도록 구동시킨다. 그러나, 잭크의 발톱부가 조정버튼과 접촉할 때 잭크는 벗트로부터 해제되기 위하여 회전을 시작하여 벗트를 차게 된다. 그 결과, 햄머조립체는 현쪽으로 돌진하여 피아노 음을 발생시키도록 현을 타격한다.
햄머조립체는 현에서 반동하여 후방으로 회전된다. 벗트스프링은 햄머조립체의 회전을 도와준다. 캐쳐는 백체크에 근접 이동하며 스프링 와이어는 캐쳐가 백체크와 접촉하기 전에 백체크의 상부면과 접촉한다. 햄머조립체 백체크에 의해 저지당할때까지 후방으로 계속 회전함에 따라서 스프링이 변형되며 이 변형으로 벗트는 탄성력에 의해 현쪽으로 가압된다. 이 스프링과 백체크의 상부면과의 접촉 후에 개쳐는 백체크와 접촉한다. 그 결과, 건이 약간 들어올려지고 캐쳐가 백체크로부터 해제될때 벗트와 햄머조립체는 현쪽으로 약간 진행한다. 스프링와이어에 의해 생긴 탄성력은 벗트를 약간 들어 올리며 이렇게 들어 올려진 벗트는 잭크가 그 아래에서 쉽게 이동하게 한다. 이것은 건 작용기구가 다음의 건 누름에 대하여 응답할 준비를 하고 이 스프링와어어는 빠른 손가락 놀림에 대한 응답특성을 향상시킴을 의미한다.
그러나, 이렇게 구성된 종래의 전작용기구는 여러가지 문제점을 갖게 된다.
먼저, 연주자가 피아니시모 음을 발생시키기 위해 건을 약하게 누를때 햄머는 현으로 부터 약하게 반동한다. 그르므로, 벗트를 후방으로 회전시키는 토크가 벗트를 현쪽으로 가압하기 위해 스프링 와이어에 의해 생기는 토크를 이겨낼 수 없으므로 햄머조립체는 현을 다시 타격하기 위해 백체크와 캐쳐사이의 접촉없이 복귀하기 쉽게 된다.
다른 문제점은 음의 손실이다. 잭크가 벗트로 부터 해제되기 전에 스프링와이어는 백체크의 상부면과 접촉하여야 하므로 건이 약간 들어올려짐에 의해 캐쳐가 백체크로부터 해제될 때 잭크는 벗트아래서 복귀할 수 있다. 그리고 스프링와이어에 의해 생긴 탄성력은 건을 약간 들어 올리기 위해 벗트스프링의 탄성력보다 크게 되어야 한다고 생각된다. 연주자가 건을 천천히 누를때에 백체크는 휘픈조립체와 함께 상방으로 이동하며 잭크가 벗트로부터 해제된 후에 스프링와이어를 상방으로 가압하므로 스프링와이어는 벗트를 현쪽으로 가압한다. 이 경우에 스프링와이어의 탄성력은 벗트와 햄머조립체를 강제적으로 현쪽으로 회전시키고 햄머를 현에 대하여 가압한다. 현에서는 진동이 전혀 발생하지 않으므로 현에 대하여 가압된 햄머조립체에 의하여 예상음이 손실된다.
종래의 전작용기구의 또다른 문제점은 조정조작에서 생긴다. 조정에 있어서, 특히 정상적인 보통 피아노에 맞추어 조정버튼을 조정함에 있어서, 튜너가 서서히 건을 가압하는 동안 잭크는 소정 지점에서 벗트로부터 해제되며 그후 햄머가 약간 복귀한다. 햄머가 약간 복귀하는때에 튜너는 햄머헤드와 현 사이의 거리를 소정치로 조정한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이, 종래의 전작용기구에는 스프링와이어가 구비되며 스프링 와이어는 잭크의 해제후에 여전히 백체크와 접촉지지된다. 이것은 이 거리가 소정치로 조정되어야 할 때를 튜너가 판별할 수 없다는 것을 의미하는데 왜냐하면 잭크가 벗트로부터 해제된 후에 잭크가 아니고 스프링 와이어에 의해 현쪽으로 가압된 햄머가 약간 복귀할 수 없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현에 고착됨에 의한 음의 손실과 이중타격이 없으며, 쉽게 조정되는 직립피아노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벗트가 후방으로 회전하기 전에 조립체가 벗트로부터 탈출할 때 건이 천천히 눌러진다 하더라도 타격후에 햄머 조립체가 후방으로 약간 회전할 수 있도록 잭크의 탈출로 인한 반복레버의 회전에 의하여 반복레버의 선단부와 백체크사이에 갭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a)어떤 힘도 작용하지 않는 휴지상태와 종료상태 사이에서 스윙하는 적어도 하나의 건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건의 후방단부로부터 돌출하는 캡스탄 버튼을 갖는 건반과, b) 상기 적어도 하나의 건에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현과 c) 상기 적어도 하나의 현을 타격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햄머 조립체와, d)d-1) 고정구조에 의해 피봇상태로 지지되며, 휴지상태에 해당하는 제1초기 상태와 해당하는 제1종료상태 사이에서 제1중간상태를 사이에 두고 캡스탄 버튼에 의해 회전되는 휘픈조립체와, d-2) 휘픈조립체에 의하여 피봇상태로 지지되며, 휘픈조립체가 제1초기상태로 부터 제1중간상태로 스윙할 때 피봇동작없이 제2초기상태로 부터 제한상태로 이동하며, 휘픈조립체가 제1공간상태로부터 제1종료상태로 회전할때 휘픈조립체를 중심으로 제한상태로 부터 탈출상태를 거쳐 제2종료상태로 회전하는 잭크와, d-3) 고정구조에 의해 피봇상태로 지지되어 햄머조립체에 연결되며, 잭크에 의하여 제2초기상태에 해당하는 제3초기상태로부터 탈출상태에 해당하는 해제상태로 전방으로 회전되며, 적어도 하나의 햄머조립체를 적어도 하나의 현쪽으로 돌진시키기 위해 해제상태에서 잭크에 의해 차여지며, 제2중간상태를 통해 제3종료상태까지 후방으로 회전되도록 적어도 하나의 현에서 적어도 하나의 햄머조립체가 반동하게 하는 벗트와, d-4) 휘픈조립체로부터 돌출하는 백체크와, d-5)벗트로부터 후방으로 돌출하여 벗트가 제3종료상태에 도달할 때 백체크와 접촉하는 캐쳐를 가지고 적어도 하나의 햄머조립체를 구동시키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건과 연결된 건작용기구와, e)e-1)벗트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며, 적어도 하나의 햄머조립체가 후방으로 회전하기 전에 선단부와 백체크사이에 갭을 제공하기 위한 탈출로 잭크에 의해 회전되며, 그 후 벗트가 제2종료상태에 도달할때 선단부가 백체크와 접촉하는 반복레버와, e-2)반복레버로 부터 돌출하며, 잭크와 접촉하며, 탈출로 인한 잭크 회전에 의해 탈출 상태로부터 제2종료상태의 중간에서 반복레버를 백체크 위로 회전시키는 구동로드수단과 e-3)구동로드수단이 잭크와 접촉하도록 반복레버를 가압하는 탄성수단을 갖는 반복구동로 구성되는 직립피아노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직립 피아노의 특징과 잇점들은 첨부도면을 참고로 하는 이후의 설명으로 부터 보다 확실히 이해될 것이다.
제1구체예
도면중의 제1도면에서 본 발명을 구체화하는 직립피아노는 다수의 흑색 및 백색건(1a)를 갖는 건반(1)과, 건판(1c)에 장착되어 평형 핀에 대하여 흡색 및 백색건(1a)를 회동가능하게 지지하는 평형레일(1b)와 각 건의 후방단부로 부터 돌출하는 캡스탄 버튼(1d)로 구성된다. 음색이 건에 지정되면 연주자는 건(1a)의 하나를 눌러 직립 피아노로 하여금 그 음색을 갖는 음을 발생하도록 지시한다.
이 직립 피아노는 또한 각기 흑색 및 백색건(1a)의 하나와 관련된 다수의 건작용기구(2)와, 각기 건작용기구와 연결된 다수의 햄머조립체(3)과, 각기 건(1a)와 햄머조립체(3)과 관련하여 수직하게 뻗는 현(4)과, 각각 현과 관련된 다수의 댐퍼조립체(5)로 구성된다. 그러나, 제1도는 건(1a)중의 하나와, 그와 관련된 건작용기구(2), 햄머조립체(3), 현(4) 및 댐퍼조립체(5)만을 도시하며 이에 대하여 한 셋트의 건, 건작용기구, 햄머조립체, 현 및 댐퍼조립체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이후의 설명에서 시계방향, 반시계방향, 우측 및 좌측이라는 용어는 관련 도면이 도시된 종이상에 결정된다.
제2도에서 보다 잘 알수 있듯이, 건작용기구(2)는 캡스탄 버튼쌍(1d)에 접촉 고정된 휘픈/휘픈 뒤축조립체(2a)와, 중심레일(6)과 연결되어 휘픈/휘픈 뒤축조립체(2a)를 스윙 가능하게 지지하는 휘픈플랜지(2b)와, 휘픈플랜지(2b)의 우측에서 휘픈/휘픈 뒤축조립체(2a)에 고정된 잭크플랜지(2c)와, 잭크플랜지(2c)에 의하여 회전가능하게 지지된 잭크(2d)와, 잭크(2d)를 반시계방향으로 가압하는 잭크스프링(2e)와, 휘픈플랜지(2b)의 좌측에서 휘픈/휘픈 뒤축조립체(2a)로부터 돌출하는 댐퍼스푼(2f)와, 잭크플랜지(2c)의 우측에서 휘픈/휘픈 뒤축조립체(2a)로 부터 돌출하는 백체크(back check)(2g)로 구성된다. 백체크는 보통 피아노와 비슷하게 휘픈/휘픈 뒤축조립체(2a)로 부터 돌출하는 백체크와이어와, 백체크와이어의 상단부에 고정된 백체크 블록과, 백체크 블록에 접합된 백체크 펠트로 조립된다.
건작용기구(2)는 또한 중심레일(6)에 고정된 벗트플랜지(2h)와, 벗트플랜지(2h)에 의하여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벗트(2i)와 , 벗트(2i)의 우측부의 하측면에 접합된 벗트스킨(2j)와, 벗트(2i)을 시계방향으로 가압하는 벗트스프링(2k)와, 잭크(2d)의 발톱부에 대하여 반대측에 조정레일(7)로 부터 하방으로 돌출하는 조정버트(7)로 구성된다. 햄머조립체(3)은 벗트(2i)의 상단부로 부터 돌출하여 벗트(2i)와 함께 회전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잭크(2d)는 벗트스킨(2j)와 접촉지지되며 잭크(2d)의 발톱부는 조정버튼(2m)으로 부터 이격되어 있다. 조정버튼(2m)은 잭크(2d)의 발톱부가 접촉하는 가죽시이트를 갖는다.
제2도에 도시하지 않는 건(1a)가 눌려져 휘픈/휘픈 뒤축조립체(2a)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동안 잭크(2d)는 벗트(2i)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가압하며 잭크(2d)의 발톱부는 조정버튼(2m)과 근접하게 된다. 잭크(2d)의 발톱부가 조정버튼(m)과 접촉할 때 잭크(2d)는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기 시작하여 벗트스킨(2J)로 부터 탈출하므로 햄머조립체(3)이 현(4)쪽으로 돌진하게 된다.
건작용기구(2)는 또한 벗트(2i)의 우측면으로 부터 돌출하는 캐쳐(2n)과,캐쳐(2n)의 우측면에 접합되며 백체크(2g)의 반대측에 위치하는 캐쳐스킨(2o)로 구성된다. 건(1a)가 휴지상태에 있는 동안 캐쳐스킨(2o)은 백체크(2g)로부터 이격되어 있다. 그러나 햄머조립체(3)이 현(4)를 타격한 후에 햄머조립체는 현(4)에서 반동하여 벗트(2i)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벗트스프링(2k)는 벗트(2i)를 가압하고 캐쳐(2n)과 캐쳐스킨(2o)은 백체크(2g)쪽으로 이동된다. 캐쳐스킨(2o)이 백체크(2g)와 접촉하면 백체크(2g)는 벗트(2i)의 회전을 제한하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건작용기구(2)는 반복기구(8)과 동반하며, 이 반복기구(8)은 벗트(2i)에 고정된 플랜지(2p)와, 플랜지(2p)에 의해 지지된 핀(2r)에 대하여 회전할 수 있도록 플랜지(2p)의 상측면으로 부터 돌출하는 코드(2s)와 반복레버(2q)를 시계방향으로 가압하기 위해 코드(2s)와 반복레버(2q)사이에 결합된 스프링(2t)와, 벗트(2i)에 접합된 벗트 천(2v)의 반대측에 위치하며 플랜지(2p)의 좌측에서 반복레버(2q)속으로 나사 고정되는 조정나사(2u)와, 플랜지(2p)의 우측에서 반복레버(2q)에 형성된 구멍속에 꼭맞게 수용되는 로드부재(2w)와, 로드부재(2w)에 고정된 블록부재(2x)와, 블록부재(2x)속에 나사 고정되며, 잭크(2d)에 접합된 잭크천(2z)와 접촉지지되는 조정나사(2y)로 구성된다.
조정나사(2y)는 블록부재(2x)의 내외로 나사고정되어 잭크천(2z)과 블록부재(2x)사이의 거리를 변화시킨다. 다시말해서, 조정나사(2y)는 반복레버(2q)의 초기 각을 변화시킨다. 만일 조정나사(2y)가 상기 거리를 증대시킨다면 로드부재(2w)는 반복레버(2q)를 밀어 반복레버(2q)가 핀(2r)을 중심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한다. 한편, 조정나사(2y)가 블록부재(2x)속으로 나사 고정된다면 이 거리가 증가하며 반복레버(2q)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따라서, 조정나사(2y)는 반복레버(2q)의 초기 각 위치를 결정하므로 잭크(2d)가 완전히 탈출하였으나, 햄머조립체(3)이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기 전에 반복레버(2q)의 반구형부와 백체크(2g)의 상부면 사이의 거리를 조정한다. 다시말해서 건(1a)가 후술하는 바와 같이 서서히 눌러질때 잭크(2d)가 탈출한 후에 조정나사(2y)는 햄머조립체(3)의 후방 이동량을 결정하게 된다.
다시 제1도에서, 햄머조립체(3)은 벗트(2i)속에 끼워진 햄머생크(3a)와 햄머생크(3a)에 의하여 지지되는 햄머헤드(3b)로 구성된다. 건(1a)가 휴지상태에 있는 동안 햄머헤드(3b)는 현(4)로부터 이격되어 있다. 그러나, 건작용기구(2)가 건(1a)에 의하여 구동될 때 햄머헤드(3b)는 현(4)를 타격하게 된다.
현(4)는 보통 3개의 피아노선으로 구성되며 햄머헤드의 타격시 관련 건(1a)에 지정된 음색을 갖는 음을 발생하도록 진동된다.
댐퍼조립체(5)는 중심레일(6)에 고정된 댐퍼 레버플랜지(5a)와, 댐퍼 레버플랜지(5a)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댐퍼레버(5b)와, 댐퍼레버(5b)로 부터 돌출되는 댐퍼와이어(5c)와, 댐퍼와이어(5c)의 선단부에 고정된 댐퍼헤드(5d)로 구성되며, 댐퍼스프링(5e)는 댐퍼레버(5b)를 반시계방향으로 가압한다.
건(1a)가 휴지상태에 있는 동안 댐퍼스푼(2f)는 댐퍼레버(5b)의 하단부로 부터 이격되어 있으며 댐퍼헤드(5d)는 현(4)에 대하여 눌려진다. 그러나, 댐퍼스푼(2f)가 연주자에 의해 눌러진 건(1a)의하여 좌측으로 기울어진다면 댐퍼스푼은 소정 지점에서 댐퍼 레버(5b)의 하단부에 접촉한 후 댐퍼레버(5b)는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구동되어 댐퍼헤드(5d)를 현(4)로 부터 분리시킨다. 건(1a)가 해제된 후에는 댐퍼조립체(5)가 초기 상태로 복귀하며 댐퍼헤드(5d)를 현(4)의 진동을 흡수한다.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본 발명에 따른 직립 피아노에는 페달기구가 구비되며, 페달기구의 하나는 댐퍼헤드(5d)를 지체시키기 위해 댐퍼조립체(5)와 관련하여 제공된다.
앞으로 본 직립 피아노의 동작순서에 대하여 설명한다. 연주자가 건(1a)를 누른다고 가정하면 캡스탄 버튼 쌍(1d)가 상방으로 이동하여 휘픈/휘픈 뒤축조립체(2a)를 상방으로 가압하며 휘픈/휘픈 뒤축조립체(2a)는 휘픈플랜지(2b)를 중심으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구동된다. 이 반시계방향의 회전에서 잭크(2D)와 백체크(2G)는 휘픈/휘픈 뒤축조립체(2A)와 함께 초기상태로 부터 상방으로 이동하며, 댐퍼스푼(2f)는 좌측으로 기울어진다.
이렇게 좌측으로 기울어지는 댐퍼스푼(2f)는 소정 지점에서 댐퍼레버(5b)의 하든부와 접촉하여 댐퍼레버(5b)를 댐퍼플랜지(5a)를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며 댐퍼헤드(5d)는 현(4)로부터 분리된다. 그 결과, 현(4)는 자유 진동상태를 준비하게 된다.
잭크는 잭크발톱부가 조정버튼(2m)과 접촉할 때까지 벗트(2i)를 가압하여 벗트(2i)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잭크(2d)가 벗트(2i)를 상방으로 가압하는 동안 벗트 천(2v)는 조정나사(2u)로부터 이격된다.
그러나, 잭크(2d)의 발톱부가 조정버튼(2m)과 접촉할 때 잭크(2d)는 잭크스프링(2e)의 탄성력에 대항하여 잭크플랜지(2c)를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며 잭크스프링(2e)는 탄성적으로 변형된다. 잭크(2d)가 벗트(2i)로부터 최종적으로 탈출하면 벗트(2i)가 잭크(2d)에 의하여 차진다. 이렇게 차여진 벗트(2i)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구동되며 햄머조립체가 현(4)쪽으로 돌진한다. 햄머헤드(3b)가 현(4)를 타격하면 현(4)는 눌러진 건(1A)에 지정된 음색을 갖는 음을 발생하도록 진동한다.
한편, 스프링(2t)는 조정나사(2y)의 헤드가 잭크천(2z)과 접촉하도록 유지시킨다. 그러므로 벗트로부터 탈출한 잭크는 조정나사(2y)와 반복레버(2q)를 스프링(2u)의 탄성력에 대항하여 반시계 방향으로 백체크벨트와의 접촉없이 회전하도록 가압하여 반복레버(2q)는 제3도에 도시한 백체크 펠트위의 소정 위치에 도달한다. 백체크 펠트의 상부면과 반복레버(2q)의 반구형부사이에는 갭(G)가 생긴다.
연주자가 건(1a)를 부드럽게 누른다하더라도 햄머헤드(3b)는 현(4)상에서 반동하며 현(4)에 대하여 눌러지지 않는다. 다시말해서, 햄머헤드(3b)는 피아니시모 음으로 끝내지 않는다. 왜냐하면 햄머헤드(3b)가 현(4)를 타격한 후나 조정버튼(2m)의 조정에서 잭크(2d)가 탈출한 후에 햄머조립체(3)이 시계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기 때문이다.
햄머헤드(3b)가 현(4)상에서 반동하면 벗트스프링(2k)는 벗트(2i)를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가압하며, 캐쳐스킨(2o)과 백체크 벨트의 접촉전에 반복레버(2q)의 반구형부가 백체크(2g)의 백체크 펠트의 상부와 접촉한다. 벗트(2i)와 햄머조립체(3)은 백체크(2g)에 의하여 저지될 때까기 계속해서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며 반복레버(2q)는 핀(2r)을 중심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더욱 회전한다.
반복레버(2q)는 반구형부와 백체크 벨트의 상부의 접촉후에 캐쳐스킨(2o)은 백체크 펠트의 좌측 표면과 접촉하며 조정나사(2y)의 헤드는 잭크천(2z)으로 부터 분리된다. 건작용기구(2)는 제4도와 제5도에 도시한 바와 같은 중지상태에 들어가게 된다. 그러나, 캐쳐(2m)은 백체크 펠트상에서 크게 반동하지 않는데, 이는 반복레버(2q)의 반시계방향 회전에 의해 햄머반동이 흡수되기 때문이다. 스프링(2t)는 탄성력 형태의 관성력의 일부를 축적한다. 따라서, 햄머헤드(3b)는 현(4)를 다시 타격하지 않게 된다.
현(4)가 이중 타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는 캐쳐스킨(2o)과 백체크 펠트사이의 접촉 전에 건(1a)가 서서히 눌러진다해도 현(4)를 타격한 후에 햄머조립체(3)이 시계방향으로 소정 각도 만큼 회전하도록 적정치 만큼 갭(G)를 조정하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건작용기구가 중지상태에 들어갈때 조정나사(2u)의 헤드와 벗트천(2v)사이의 거리를 조정하는 것이 중요한데, 왜냐하면 이것은 연주특징, 예를들어 재타격 또는 반복의 방지특징을 결정하기 때문이다. 이 거리가 너무 짧을때는 현(4)로부터 반동하는 벗트에서의 충격이 흡수될 수 없다. 따라서, 햄머헤드(3b)는 현(4)를 재타격하기 쉽게 된다. 한편, 이 거리가 너무 길때는 충격이 완전히 흡수되지만 반시계방향으로의 반복레버(2q)의 회전범위가 너무커서 빠른 손가락 놀림에 대한 반응특성이 향상되지 않는다.
건작용기구(2)가 중지상태에 들어갈때 건(1a)는 이미 종료상태에 도달되어 있다. 만일 연주자가 건(1a)를 약간 들어 올린다면 휘픈/휘픈 뒤축조립체는 휘픈 플랜지(2b)를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약간 회전하게 되고, 따라서 백체크(2g)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그 결과, 백체크 펠트는 캐쳐스킨(2o)으로 부터 분리된다.
휘픈/휘픈 뒤축조립체(2d)의 시계방향 회전에 의해 캐쳐가 백체크로부터 해제되면 백체크 펠트를 계속해서 접촉하기 위하여 스프링(2t)의 탄성력에 의하여 반복레버(2q)가 핀(2p)를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며 반복레버(2q)의 회전에 대한 반작용에 의하여 플랜지(2p)와 스프링(2i)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조정나사(2y)의 헤드가 잭크천(2z)과 접촉할 때 반복레버(2q)와 벗트(2i)는 고정상태로 되는데, 이는 조정버튼(2m)이 잭크(2d)를 제한하기 때문이다.
연주자가 건(1a)를 더욱 들어 올리는 동안 휘픈/휘픈 뒤축조립체(2a)는 역시 휘픈 플랜지(2b)를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며 백체크(2g)도 역시 휘픈/휘픈 뒤축조립체와 함께 회전한다. 백체크 벨트의 이런 동작은 반복레버(2q)가 백체크 펠트에 대하여 후방으로 슬라이드 동작하는것에 상당하는데 왜냐하면 백체크(2g)의 회전은 수직성분 보다 수평성분에서 크기 때문이다. 반복레버(2q)가 반구형부에서 백체크 펠트와 접촉지지되면 슬라이딩 동작이 부드러워진다. 그러므로, 햄머조립체는 시계방향으로 거의 회전하지 않는다.
건(1a)가 종료상태로 부터 소정 거리만큼 들어 올려질 때 휘픈/휘픈 뒤축조립체(2a)의 시계방향 회전에 의하여 잭크(2d)의 발톱부가 조정버튼(2m)으로부터 이격된 후 잭크스프링(2c)가 완전히 팽창한다. 그후, 잭크(2d)는 잭크플랜지(2c)를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급속히 회동하여 벗트스킨(2j)아래로 복귀하는데, 왜냐하면 반복레버(2q)의 반구형부가 백체크펠트와 접촉지지되어 햄머조립체(3)과 벗트(2i)의 복귀가 자체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벗트(2i)가 제1도와 제2 도에 도시한 초기상태로 복귀하기 전에 잭크(2d)는 벗트스킨(2o)과 접촉하고 건작용기구(2)는 건이 종료상태로 부터 3mm이하로 들어올려질때 건의 누름에 응답할 준비에 들어간다. 이것은 이 건작용기구(2)가 빠른 반복 또는 빠른 손가락 놀림에 응답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연주자가 건(1a)를 약하게 누른다고 할때 건작용기구(2)는 건의 누름에 응답하며 햄머헤드가 전술한 바와 같이 현(4)를 타격한다. 그러나, 현에서의 반동에 의해 벗트에 작용되는 구동력이 작아서 햄머조립체(3)에서의 반작용은 스프링(2t)의 탄성력을 초과할 수 없다. 이 상황에서 반복레버(2q)가 백체크 펠트의 상측면과 접촉할 때 건작용기구는 중지 상태에 들어가며 캐쳐스킨(2o)은 백체크 펠트와 접촉하지 않는다. 캐쳐스킨(2o)은 약한 반작용 때문에 백체크에 의해 걸리지 않지만 햄머조립체는 현(4)를 다시 타격하지 않게 되는데, 왜냐하면 벗트 스프링(2k)가 벗트(2i)를 시계방향으로 가압하고 백체크 펠트가 충격을 흡수하며 반복레버(2q)가 벗트(2i)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지지되기 때문이다.
상기 설명에서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에 따른 건작용기구(2)는 빠르고 강한 반복에 응답하는데 이것은 건(1a)가 휴지상태에 도달하기 전에 잭크(2d)가 벗트스킨(2j)아래로 복귀하기 때문이다.
건작용기구(2)는 연주자가 건(1a)를 부드럽게 누른다해도 햄머헤드(3b)를 현(4)에 대하여 가압하지 않는데, 왜냐하면 잭크(2d)가 벗트(2i)로부터 벗어났으나, 햄머조립체(3)이 시계방향으로 돌기 전에 반복레버(2q)의 반구형부와 백체크 펠트사이에는 갭이 생기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벗트(2i)와 햄머조립체(3)은 잭크(2d)의 탈출 후에 갭때문에 소정 각도만큼 시계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건작용기구(2)는 연주자가 건(1a)를 약하게 누른다해도 햄머헤드(3b)가 현(4)를 두번 타격하지 못하게 하는데, 왜냐하면 벗트스프링(2k)는 벗트(2i)를 시계방향으로 가압하여 백체크 펠트가 충격을 흡수하고 반복레버(2q)가 벗트(2i)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지지되기 때문이다.
또한, 건작용기구(2)는 특히 조정버튼(2m)의 조정에서 쉽게 조정되는데, 이는 햄머조립체(3)이 시계방향으로 약간 이동하도록 백체크(2g)와의 접촉없이 탈출하기 때문에 반복레버(2q)가 잭크(2d)의 회전에 의해 백체크 펠트위로 가압되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잭크에 의해 현(4)에 도달하는 햄머조립체가 잭크(2d)의 탈출후의 갭(G)때문에 약간 복귀할 때 타이밍을 판별할 수 있으며, 이 타이밍에서 튜너는 햄머헤드(3b)과 현(4)사이의 거리를 조정할 수 있다.
제2구체예
도면의 제7도에서 건작용기구(11)은 반복기구(12)와 동반하며, 건작용기구(11)과 반복기구(12)는 본 발명을 구체화하는 직립 피아노의 일부를 형성한다. 제7도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관련된 건을 휴지상태에 있고 건작용기구(11)과 반복기구(12)는 각기 초기상태를 유지한다. 그러나, 제2구체예를 충족하는 직립 피아노는 단지 반복기구(12)의 구조에서만 제1구체예와 다르며 그외의 구성요소는 상세한 설명없이 제1구체예의 대응 요소를 나타내는 부호로 나타낸다.
반복기구(12)에서 로드부재(2w), 블록부재(2x) 및 조정나사(2y)는 변형로드부재(12a)로 대체된다. 그러나, 다른 구성부분들은 제1구체예와 비슷하며, 따라서 상세 설명없이 동일 부호로 나타낸다.
변형로드부재(12a)는 소정 부분에서 굽어지며, 선단부(12b)는 보스부(12c)에 대하여 각도(A)만큼 기울어진다. 조정에 있어서, 튜너는 각도(A)를 변화시키면 반복레버(2q)의 초기상태가 조정될 수 있다.
제2구체예를 충족하는 직립 피아노는 제1구체예의 모든 잇점을 얻는다.
제3구체예
도면중의 제8도에서, 건작용기구(21)은 반복기구(22)와 동반하며, 건작용기구(21)과 반복기구(22)는 본 발명을 구체화하는 직립 피아노의 일부를 형성한다. 제8도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관련된 것은 휴지상태에 있고 건작용기구(21)과 반복기구(22)는 각기 초기상태를 유지한다. 그러나, 제3구체예를 충족하는 직립 피아노는 반복기구(22)의 구조에서만 제1구체예와 다르며 그외의 구성요소는 상세한 설명없이 제1구체예의 대응 요소를 나타내는 동일부호로 나타낸다.
반복기구(22)에서 로드부재(2w), 블록부재(2x) 및 조정나사(2y)는 변형로드부재(22a)와 대체되며, 변형로드부재(22a)는 제2구체예의 변형로드 부재(12a)와 비슷하다. 또한, 반복레버(2q)는 반복레버(22b)로 대체되며 조정나사(22 c)는 반구형부 대신에 반복레버(22b)의 우측단부에 결합된다. 그러나, 다른 구성요소들은 제1구체예와 비숫하며 상세 설명없이 동일 부호로 나타낸다.
조정에 있어서, 조정나사(22c)는 우측단부의 내외로 나사결합되며, 잭크(2d)의 탈출 후에 조정나사(2c)의 헤드와 백체크 벨트사이의 갭은 로드(22a)의 변형없이 소정치만큼 조정된다.
본 제3구체예를 충족하는 직립 피아노는 제1구체예의 모든 잇점을 얻는다.
제4구체예
도면중의 제9도에서, 건작용기구(31)은 반복기구(32)와 동반하며, 건작용기구(31)과 반복기구(32)는 본 발명을 구체화하는 직립 피아노의 일부를 형성한다. 제9도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관련된 것은 휴지상태에 있고 건작용기구(31)과 반복기구(32)는 각기 초기상태를 유지한다. 본 제4구체예를 충족하는 직립 피아노는 반복기구(32)의 구조에서만 제1구체예와 다르며, 그외의 구성요소는 상세 설명없이 제1구체예의 대응 요소를 나타내는 동일 부호로 나타낸다.
반복기구(32)에 있어서, 반복레버(2q)는 반복레버(32a)로 대체되며, 반복레버(32a)의 양단부에 반구형부(32b)와 (32c)가 형성된다. 그러나, 다른 구성부분들의 2제1구체예와 비슷하며 상세 설명없이 동일부호로 나타낸다.
반구형부(32b)는 백체크 펠트상에서의 슬라이딩 동작을 부드럽게 만든다. 반복레버(32a)의 회전범위는 조정될 수 없지만 반구형부(32c)의 높이가 최적치로 결정된다. 그러므로 연주 특정상에 문제가 없다.
본 제4구체예를 충족하는 직립 피아노는 제2구체예의 모든 잇점을 얻는다.
지금까지 본 발명의 특정 구체예들이 도시되고 설명되었으나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로 부터 벗어남없이 여러가지 변형 및 수정이 이루어질 수 있다는 것을 알수 있을 것이다. 예를들어 스프링(2t)에 대하여 여러가지 형태의 스프링이 이용될 수 있으며, 각각의 조정나사(2u)와 (2y)는 볼트와 너트사이에 고정된 와셔로 대체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직립 피아노는 예를 들어 미합중국 특허 제4,913,026호에 제시된 자동 연주피아노의 일부를 형성할 수 있으며, 여기서 직립 피아노의 플레이백 작동모드를 통해 음악이 재생된다.
다른 직립 피아노예는 스피커 시스템 및 생크스토퍼와 결합된 전자톤 발생시스켐이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에 생크 스토퍼는 작동모드에 따라 햄머조립체의 궤도의 내외로 이동된다. 직립 피아노가 사일런트 모드를 유지하고 있는 동안 관련 건작용기구에 의해 구동된 햄머조립체는 현의 타격전에 생크 스토퍼와 접촉하며 톤 발생시스템은 현 대신에 음을 합성한다.
Claims (5)
- a)어떤 힘도 작용하지 않는 휴지상태와 종료상태 사이에서 스윙하는 적어도 하나의 건(1a)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건의 후방단부로부터 돌출하는 캡스탄 버튼(1d)을 갖는 건반(1)과, b)상기 적어도 하나의 건에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현(4)과, c)상기 적어도 하나의 현을 타격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햄머 조립체(3)와, d)d-1)고정구조(6/7)에 의해 피봇상태로 지지되며, 휴지상태에 해당하는 제1초기 상태와 끝상태에 해당하는 제1종료상태 사이에서 제1중간상태를 사이에 두고 캡스탄 버튼에 의해 회전되는 휘픈조립체(2a)와, d-2)휘픈조립체에 의하여 피봇상태로 지지되며, 휘픈조립체가 제1초기상태로 부터 제1중간상태로 스윙할 때 피봇동작없이 제2초기상태로 부터 제한상태로 이동하며, 휘픈조립체가 제1공간상태로부터 제1종료상태로 회전할때 휘픈조립체를 중심으로 제한상태로 부터 탈출상태를 거쳐 제2종료상태로 회전하는 잭크(2d)와, d-3)고정구조에 의해 피봇상태로 지지되어 햄머조립체에 연결되며, 잭크에 의하여 제2초기상태에 해당하는 제3초기상태로부터 탈출상태에 해당하는 해제상태로 전방으로 회전되며, 적어도 하나의 햄머조립체를 적어도 하나의 현쪽으로 돌진시키기 위해 해제상태에서 잭크에 의해 차여지며, 제2중간상태를 통해 제3종료상태까지 후방으로 회전되도록 적어도 하나의 현에서 적어도 하나의 햄머조립체가 반동하게 하는 벗트(2i)와, d-4)휘픈조립체로부터 돌출하는 백체크(2g)와, d-5)벗트로부터 후방으로 돌출하여 벗트가 제3종료상태에 도달할 때 백체크와 접촉하는 캐쳐(2n/2o)를 가지고 적어도 하나의 햄머조립체를 구동시키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건과 연결된 건작용기구(2;11;21;31)로 구성되는 직립 피아노에 있어서, e)e-1)벗트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며, 적어도 하나의 햄머조립체가 후방으로 회전하기 전에 선단부와 백체크사이에 갭을 제공하기 위한 탈출로 잭크에 의해 회전되며, 그 후 벗트가 제2중간상태에 도달할때 선단부가 백체크와 접촉하는 반복레버(2q;22b;32a)와, e-2)반복레버로 부터 돌출하며, 잭크와 접촉하며, 탈출로 인한 잭크 회전에 의해 탈출 상태로부터 제2종료상태의 중간에서 반복레버를 백체크 위로 회전시키는 구동로드수단(2w/2x2y;12b;22a)과, e-3)구동로드수단이 잭크와 접촉하도록 반복레버를 가압하는 탄성수단(2s/2t)을 갖는 반복구동(8;12;22;32)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립 피아노.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로드수단은 상기 반복레버로부터 돌출하는 로드부재(2w)와, 상기 로드부재의 선단부와 결합하여 상기 반복레버의 초기상태를 변화시키므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햄머조립체가 후방으로 회전하기 전에 상기 잭크가 상기 제2종료상태에 도달할 때 상기 반복레버의 선단부와 상기 백체크사이의 갭을 조정하는 조정수단(2x/2y)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립 피아노.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로드수단을 상기 반복레버로 부터 돌출하는 로드부재(2w)와, 상기 로드부재의 선단부에 고정된 블록부재(2x)와, 상기 블록부재의 내외로 나사결합되는 볼트부재(2y)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립 피아노.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로드수단을 상기 반복레버로 부터 돌출하는 변형로드부재(12a;22a)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립 피아노.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반복레버의 선단부에는 조정수단이 결합되므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햄머조립체가 후방으로 회전하기 전에 상기 잭크가 상기 제2종료상태에 도달할 때 상기 조정수단과 상기 백체크사이의 갭을 소정치로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립 피아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4255642A JPH0683326A (ja) | 1992-08-31 | 1992-08-31 | アップライトピアノのアクション |
JP92-255642 | 1992-08-31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940004522A KR940004522A (ko) | 1994-03-15 |
KR970009938B1 true KR970009938B1 (ko) | 1997-06-19 |
Family
ID=172815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19930017066A KR970009938B1 (ko) | 1992-08-31 | 1993-08-30 | 이중타격 및 음의 손실없이 반복동작에 응답하는 건작용기구를 갖는 직립 피아노 |
Country Status (5)
Country | Link |
---|---|
US (1) | US5353671A (ko) |
EP (1) | EP0585798B1 (ko) |
JP (1) | JPH0683326A (ko) |
KR (1) | KR970009938B1 (ko) |
DE (1) | DE69321910T2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637817B1 (ko) * | 2004-03-17 | 2006-10-25 | 야마하 가부시키가이샤 | 키이 내에 평형기가 맞물려 설치된 키이를 갖는 건반 악기및 키이에 평형기를 고정하는 방법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05109846A1 (en) * | 2004-05-03 | 2005-11-17 | Somatic Technologies, Inc. |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particularized audible alerts |
JP4989864B2 (ja) | 2005-03-11 | 2012-08-01 | 株式会社河合楽器製作所 | ピアノのアクション |
JP5073191B2 (ja) * | 2005-09-29 | 2012-11-14 | 株式会社河合楽器製作所 | アップライトピアノのバット |
JP5281734B2 (ja) * | 2006-02-09 | 2013-09-04 | 株式会社河合楽器製作所 | アップライトピアノのジャック動作規制装置 |
US7825312B2 (en) | 2008-02-27 | 2010-11-02 | Steinway Musical Instruments, Inc. | Pianos playable in acoustic and silent modes |
US8148620B2 (en) * | 2009-04-24 | 2012-04-03 | Steinway Musical Instruments, Inc. | Hammer stoppers and use thereof in pianos playable in acoustic and silent modes |
US8541673B2 (en) | 2009-04-24 | 2013-09-24 | Steinway Musical Instruments, Inc. | Hammer stoppers for pianos having acoustic and silent modes |
JP4489140B1 (ja) * | 2009-07-29 | 2010-06-23 | 有限会社藤井ピアノサービス | アップライトピアノのアクションの作動方法及びアップライトピアノのアクション |
JP5445959B2 (ja) * | 2010-03-25 | 2014-03-19 | ヤマハ株式会社 | アップライトピアノ型アクション |
US8735699B2 (en) * | 2012-01-19 | 2014-05-27 | Kirk Burgett | Main action rail for upright piano with front-accessible whippen flange screw |
US8937235B2 (en) | 2012-04-20 | 2015-01-20 | Christopher Richard Rawson | Professional upright piano action |
RU2521332C1 (ru) * | 2013-06-21 | 2014-06-27 | Александр Борисович ГАВРИЛИН | Механизм двойной репетиции пианино |
WO2015172219A1 (pt) * | 2015-04-13 | 2015-11-19 | Pacheco De Carvalho Júnior Djalma | Disposição construtiva introduzida em mecanismo para pianos verticais com ação gravitacional |
RU2019143443A (ru) * | 2019-12-19 | 2021-06-21 | Владислав Владимирович Волков | Клавишный механизм пианино |
RU198278U1 (ru) * | 2020-02-13 | 2020-06-29 | Игорь Николаевич Жмотов | Двухрепетиционный узел для механики пианино |
Family Cites Families (10)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5730791A (en) * | 1980-07-31 | 1982-02-19 | Nippon Oil Co Ltd | Fluid catalytic cracking of heavy petroleum oil containing distillation residue |
DE3428759A1 (de) * | 1983-08-06 | 1985-02-28 | Nippon Gakki Seizo K.K., Hamamatsu, Shizuoka | Verbesserte lagerbuchse fuer drehzapfen eines klavier-anschlagmechanismusses |
EP0229746B1 (fr) * | 1986-01-17 | 1993-05-05 | Fernand Kummer | Dispositif d'échappement pour piano droit et moyens de mise en oeuvre |
US4879939A (en) * | 1986-09-04 | 1989-11-14 | Wall Paul G | Action for upright piano |
US4860626A (en) * | 1986-09-09 | 1989-08-29 | Hajime Tanaka | Wippen heel mechanism for an upright piano |
DE3730100A1 (de) * | 1986-09-09 | 1988-03-24 | Tanaka Int | Betaetigungsmechanismus fuer ein wandklavier |
US4896577A (en) * | 1987-10-02 | 1990-01-30 | Trivelas Chris A | Action for upright piano |
US5042354A (en) * | 1987-10-02 | 1991-08-27 | Fandrich Design, Inc. | Action for upright piano |
DK166471B1 (da) * | 1989-11-17 | 1993-05-24 | Erik Ingvor Petersen | Anslagsmekanisme |
JPH04226497A (ja) * | 1990-06-26 | 1992-08-17 | Yamaha Corp | アップライトピアノの弱音装置 |
-
1992
- 1992-08-31 JP JP4255642A patent/JPH0683326A/ja active Pending
-
1993
- 1993-08-24 US US08/111,289 patent/US5353671A/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1993-08-25 DE DE69321910T patent/DE69321910T2/de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1993-08-25 EP EP93113583A patent/EP0585798B1/en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 1993-08-30 KR KR1019930017066A patent/KR970009938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637817B1 (ko) * | 2004-03-17 | 2006-10-25 | 야마하 가부시키가이샤 | 키이 내에 평형기가 맞물려 설치된 키이를 갖는 건반 악기및 키이에 평형기를 고정하는 방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DE69321910D1 (de) | 1998-12-10 |
JPH0683326A (ja) | 1994-03-25 |
DE69321910T2 (de) | 1999-06-17 |
EP0585798A3 (en) | 1995-03-15 |
US5353671A (en) | 1994-10-11 |
KR940004522A (ko) | 1994-03-15 |
EP0585798B1 (en) | 1998-11-04 |
EP0585798A2 (en) | 1994-03-0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970009938B1 (ko) | 이중타격 및 음의 손실없이 반복동작에 응답하는 건작용기구를 갖는 직립 피아노 | |
KR0185258B1 (ko) | 어코스틱 사운드 모드와 사일런트 모드 사이에서 이탈속도가 가변적인 잭을 가지는 건반악기 | |
JPH08123403A (ja) | 鍵盤楽器 | |
JP2656323B2 (ja) | アップライトピアノのアクション | |
JP3852355B2 (ja) | アップライト型鍵盤楽器 | |
US6369308B1 (en) | Percussion instrument pedal assembly | |
US8525007B2 (en) | Action of upright piano | |
US4953433A (en) | Action for grand piano | |
WO2000062277A1 (fr) | Instrument musical a clavier | |
JP3438741B2 (ja) | 鍵盤楽器 | |
JPH0719138B2 (ja) | 電子楽器の鍵盤装置 | |
JPS6243349Y2 (ko) | ||
US6130372A (en) | Striking mechanism for a string instrument | |
JP3654267B2 (ja) | 鍵盤楽器 | |
JPS6210790Y2 (ko) | ||
JPH0627934A (ja) | 鍵盤楽器 | |
JPH05323953A (ja) | アップライトピアノのアクション | |
JPH0675559A (ja) | 鍵盤楽器 | |
US2813447A (en) | Vibrator exciting action | |
JP3373684B2 (ja) | 電子楽器の鍵盤装置 | |
JPH05341773A (ja) | 鍵盤楽器 | |
JPH05341774A (ja) | 鍵盤楽器 | |
JPS5844494A (ja) | ドラムのビ−タ−装置 | |
JP2605473B2 (ja) | グランドピアノの弱音装置 | |
JPH0675560A (ja) | 鍵盤楽器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G160 |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