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36822B1 - 칼라 화상형성장치 - Google Patents

칼라 화상형성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36822B1
KR100636822B1 KR1020050093492A KR20050093492A KR100636822B1 KR 100636822 B1 KR100636822 B1 KR 100636822B1 KR 1020050093492 A KR1020050093492 A KR 1020050093492A KR 20050093492 A KR20050093492 A KR 20050093492A KR 100636822 B1 KR100636822 B1 KR 1006368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mbers
power transmission
image forming
gear
forming apparat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934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수용
안병화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934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36822B1/ko
Priority to US11/352,991 priority patent/US7702258B2/en
Priority to CNB2006101415801A priority patent/CN100520617C/zh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368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368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75Details relating to xerographic drum, band or plate, e.g. replacing, testing
    • G03G15/757Drive mechanisms for photosensitive medium, e.g. gear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1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producing multicoloured copi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1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producing multicoloured copies
    • G03G15/0142Structure of complete machines
    • G03G15/0178Structure of complete machines using more than one reusable electrographic recording member, e.g. one for every monocolour image
    • G03G15/0194Structure of complete machines using more than one reusable electrographic recording member, e.g. one for every monocolour image primary transfer to the final recording medium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1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producing multicoloured copies
    • G03G15/0142Structure of complete machines
    • G03G15/0178Structure of complete machines using more than one reusable electrographic recording member, e.g. one for every monocolour image
    • G03G15/0189Structure of complete machines using more than one reusable electrographic recording member, e.g. one for every monocolour image primary transfer to an intermediate transfer belt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01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for producing multicoloured copies
    • G03G2215/0103Plural electrographic recording members
    • G03G2215/0119Linear arrangement adjacent plural transfer point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01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for producing multicoloured copies
    • G03G2215/0151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for producing multicoloured copies characterised by the technical problem
    • G03G2215/0158Colour registrat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photography Configuration And Component (AREA)
  • Color Electrophotography (AREA)

Abstract

탠덤 방식의 칼라 화상형성장치가 개시된다. 상기 칼라 화상형성장치는 하나의 구동원으로 구동되며 축기어를 구비한 복수의 감광체; 및 상기 복수의 감광체의 축기어와 결합되며 상기 구동원으로부터 발생되는 구동력을 상기 복수의 감광체 각각에 전달하기 위한 동력전달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동력전달부재들 사이에 적어도 하나의 칼라 레지스트레이션 보정유닛이 구비된다. 상기 칼라 화상형성장치에서는 상기 보정유닛에 의하여 각 감광체의 동기화(synchronization)가 가능하여 칼라 레지스트레이션(color registration)을 최소화할 수 있다.
칼라 화상형성장치, 탠덤, 감광체, 레지스트레이션, 동기화

Description

칼라 화상형성장치{Color Image Forming Apparatus}
도 1은 종래의 칼라 화상형성장치에 대한 개략 구성도,
도 2는 도 1의 복수의 감광체에 대한 사시도,
도 3은 도 1의 칼라 화상형성장치에서 감광체의 비동기화를 설명하기 위한 감광체의 작동상태도,
도 4는 도 3의 감광체의 비동기화에 따른 회전속도 주기에 대한 파형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칼라 화상형성장치의 일부 구성도,
도 6은 도 5의 칼라 레지스트레이션 보정유닛의 작동 상태도,
도 7은 도 5의 감광체의 동기화에 따른 회전속도 주기에 대한 파형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칼라 화상형성장치의 일부에 대한 사시도,
도 9는 도 8의 정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칼라 화상형성장치의 일부에 대한 정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Y, 10M, 10C, 10K: 화상형성유닛
11Y, 11M, 11C, 11K, 111Y, 111M, 111C, 111K: 감광체
12Y, 12M, 12C, 12K: 현상기
20Y, 20M, 20C, 20K, 120Y, 120M, 120C, 120K: 동력전달부재
21Y, 21M, 21C, 21K, 121Y, 121M, 121C, 121K: 감속기어부재
22Y, 22M, 22C, 22K, 122Y, 122M, 122C, 122K: 전달기어부재
200Y, 200M, 200C, 200K, 210Y, 210M, 210C, 210K: 칼라 레지스트레이션 보정유닛
201Y, 201M, 201C, 201K, 211M: 탄성부재
203Y, 203M, 203C, 203K, 213M: 캠부재
204Y, 204M, 204C, 204K, 124C, 214M: 아이들롤러기어
본 발명은 칼라 화상형성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각 감광체의 동기화(synchronization)에 의해 칼라 레지스트레이션(color registration)의 보정이 가능한 칼라 화상형성장치에 관한 것이다.
칼라 레이저빔 프린터, 칼라 복사기 등과 같은 칼라 화상형성장치는 각 색상별로 설치된 감광체 위로 광빔을 주사시켜서 각 색상별 화상을 형성하고, 기록용지 상에 직접 또는 전사벨트를 거쳐 칼라 화상을 형성하는 탠덤 방식(tandem)이 널리 알려져 있다. 도 1에 그러한 탠덤 방식의 화상형성장치가 도시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칼라 화상형성장치(1)는 복수의 감광체(11Y, 11M, 11C, 11K)와 현상기(12Y, 12M, 12C, 12K)로 구성된 복수의 화상형성유닛(10Y, 10M, 10C, 10K)과, 복수의 감광체(11Y, 11M, 11C, 11K)에 대향하여 배치된 전사유닛(30) 및 정착기(40)를 구비한다. 상기 화상형성유닛(10Y, 10M, 10C, 10K)에서는 복수의 감광체(11Y, 11M, 11C, 11K)가 화살표 방향으로 구동되면, 대전기(15Y, 15M, 15C, 15K)에 의해 감광체(11Y, 11M, 11C, 11K)의 표면이 대전되고, 미도시된 레이저 스캐닝 유닛으로부터 레이저 빔(L)이 주사되어 첫 번째 색상으로 현상할 화상의 정전잠상을 형성시킨다. 예컨대, 먼저 옐로우(Y) 색상을 현상한다면, 옐로우 색상의 현상롤러(13Y)가 감광체(11Y)에 형성된 정전잠상을 옐로우 색 토너로 현상하여 토너화상을 형성한다. 이렇게 현상된 옐로우 화상은 상기 전사유닛의 전사롤러(32Y)를 통하여 전사벨트(31)에 의해 이송되는 기록용지(S) 위에 전사된다. 이어서, 같은 방법으로 마젠타(M), 시안(C) 및 블랙(K) 색상의 화상을 현상 및 전사하여 최종적으로 원하는 컬라 화상을 기록용지(S) 위에 만든다. 기록용지(S) 위에 전사된 토너화상은 정착기(40)를 통과하면서 가열, 압착되어 기록용지(S)에 완전히 정착된다. 도면에서 미설명부호 "14Y"는 토너공급롤러, "33a", "33b" 및 "33c"는 종동롤러이고, "34"는 텐션롤러, 그리고 "35"는 전사벨트 클리닝 유닛이다.
이러한 칼라 화상형성장치(1)에서 복수의 감광체(11Y, 11M, 11C, 11K)에 각 색상별 토너화상을 정확하게 일치시켜 칼라 레지스트레이션(color registration)을 맞추는 것이 중요하다. 이를 위하여 통상의 화상형성장치는 복수의 감광체(11Y, 11M, 11C, 11K)를 하나의 구동원에 의해 작동시켜 초기부터 상기 복수의 감광체들을 동기화하도록 구성하였다. 도 2는 상기 칼라 화상형성장치에서 복수의 감광체에 대한 상세한 구조를 도시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원(50)으로부터 발생된 구동력은 복수의 동력전달부재(20Y, 20M, 20C, 20K) 및 아이들롤러기어(idle roller gear, 23M, 23C, 23K)를 통하여 복수의 감광체(11Y, 11M, 11C, 11K) 각각에 전달된다. 복수의 감광체(11Y, 11M, 11C, 11K)는 각각의 축을 기준으로 본체 지지프레임(도 5의 "F" 참조)에 장착된다. 복수의 동력전달부재(20Y, 20M, 20C, 20K)는 감속기어부재(21Y, 21M, 21C, 21K) 및 전달기어부재(22Y, 22M, 22C, 22K)로 구성된다. 제1동력전달부재(20K)의 제1감속기어부재(21K)는 구동원의 구동기어(51)와 맞물려 있고, 제1동력전달부재(20K)의 제1전달기어부재(22K)는 제1감광체(11K)의 축기어(16K)와 맞물려 회동한다. 따라서 구동원(50)이 구동하면, 제1동력전달부재(20K)를 통하여 구동력이 전달되며 제1감광체(11K)가 회동한다. 제2, 제3, 제4동력전달부재(20C, 20M, 20Y) 사이에는 제1, 제2, 제3아이들롤러기어(23K, 23C, 23M)가 설치된다. 구동원(50)의 구동력은 제2, 제3, 제4동력전달부재(20C, 20M, 20Y)를 거쳐 제2, 제3, 제4감광체(11C, 11M, 11Y)로 전달되어 제2, 제3, 제4감광체(11C, 11M, 11Y)가 동일방향으로 함께 회동한다.
한편, 하나의 구동원에 의해 복수의 감광체가 연동되는 칼라 화상형성장치(1)의 경우, 기록용지(S)의 이송속도가 일정하고, 초기 신호로부터 계산된 각 칼라에 대한 기록용지(S)의 선단 신호의 타이밍이 이론적으로 같다는 것을 전제로 설계된다. 도 3은 상기 칼라 화상형성장치에서의 감광체의 동작을 도시하고 있다. 도 3에는 설명의 편의상 두개의 감광체(11Y, 11M)만을 도시한다. 도면을 참조하면, 기 록용지(S)가 일단 제4감광체(11Y)로 진입한 후(도 3a), 제4동력전달부재(20Y)를 통하여 제4감광체(11Y)와 연동하는 제3감광체(11M)에 기록용지(S)가 진입되었을 때(도 3b), 제3감광체(11M)는 화살표 방향과 같이 제4감광체(11Y)와 동일한 위상을 가져야 한다. 그러나 화상형성장치의 여러 문제들에 의해 그 속도는 미세하게 변화하여 미스 레지스트레이션(mis-registration)이 발생된다. 이러한 문제들 중에서 가장 큰 것이 기어 흔들림 공차(runout)에 의한 선속도의 변화이다. 따라서 각 감광체에서 선속도의 차이에 의한 화상에서의 간격이 변화하게 된다. 이를 그래프로 표시하면 도 4와 같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감광체가 구동원으로부터 피동될 때 기어의 흔들림 공차에 의하여 미세한 선속도 변화를 갖게 된다. 이외에도 일정한 속도로 스캐닝하는 레이저 스캐닝 유닛과의 차이에 의해서도 기록용지 상에서 주기적인 변화로 나타난다. 이러한 변화는 물리적으로 완전히 제거하기 어려우며, 정밀도를 높일수록 높은 비용이 발생한다. 칼라 화상형성장치에서는 상기 감광체의 회전속도의 주기에 의한 도 4와 같은 칼라 미스-레지스트레이션 차이를 보정하여야 화상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개별적으로 모듈화 된 화상형성유닛들 각각에 구동원을 연결하여 복수의 감광체에 구동력을 전달하는 칼라 화상형성장치에서는, 각 색상별로 감광체 사이에 미스-레지스트레이션이 발생하더라도, 각 구동원의 위상을 간단한 프로그램 등을 통하여 상기 복수의 감광체들을 동기화함으로써 이를 방지할 수 있었다. 그러나 하나의 구동원에 의해 각각의 감광체가 서로 연동하는 칼라 화상형성장치에서는 칼라 미스 레지스트레이션이 발생하는 경우 그에 대한 대처가 용이하지 않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칼라 화상형성장치에서 각 색상별 칼라 레지스트레이션을 향상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복수의 감광체에 대한 선속도를 동기화가 가능하도록 하여, 이에 따라 칼라 미스 레지스트레이션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칼라 레지스트레이션보정유닛을 복수의 감광체 일부 또는 전부에 구비한 칼라 화상형성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 달성을 위한 본 발명의 칼라 화상형성장치는, 하나의 구동원으로 구동되며 축기어를 구비한 복수의 감광체; 및 상기 복수의 감광체의 축기어와 결합되며 상기 구동원으로부터 발생되는 구동력을 상기 복수의 감광체 각각에 전달하기 위한 동력전달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동력전달부재들 사이에 적어도 하나의 칼라 레지스트레이션 보정유닛이 구비된다.
본 발명에 따른 칼라 화상형성장치에서 상기 동력전달부재는, 바람직하게, 상기 구동원의 구동기어보다 큰 직경을 가지는 감속기어부재; 및 상기 감속기어부재와 동일한 축에 결합되며, 상기 복수의 감광체에 구동력을 전달하는 전달기어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칼라 레지스트레이션 보정유닛은 한쪽 끝단은 지지프레임에 고정되고 다른 끝단에는 아이들롤러기어가 설치되는 탄성부재; 및 상기 아이들롤러기어와 접촉되며, 상기 아이들롤러기어를 상기 감광체의 축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캠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칼라 화상형성장치에서, 상기 복수의 감광체와 대향하여 전사유닛이 추가로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전사유닛은 상기 복수의 감광체 각각에 대향하여 배치되는 복수의 전사롤러; 및 상기 복수의 전사롤러와 상기 복수의 감광체 사이를 통과하는 전사반송벨트;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전사유닛이 구비된 칼라 화상형성장치는 상기 복수의 감광체와 전사유닛 사이에 기록용지가 통과될 때, 상기 복수의 감광체의 표면에 형성된 토너화상이 직접 상기 기록용지 위에 전사된다.
또한 본 발명의 칼라 화상형성장치에서, 상기 전사유닛은 상기 복수의 감광체 각각에 대향하여 배치되는 복수의 중간전사롤러; 상기 복수의 중간전사롤러와 상기 복수의 감광체 사이를 통과하는 중간전사벨트; 및 상기 중간전사벨트로부터 토너화상을 기록용지에 전사하는 전사롤러;를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하나의 구동원은 그 구동기어가 하나의 동력전달부재와 맞물려 상기 복수의 감광체에 구동력을 전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칼라 화상형성장치는, 하나의 구동원으로 구동되며 축기어를 구비한 복수의 감광체; 및 상기 복수의 감광체의 축기어와 결합되어 상기 구동원으로부터 발생되는 구동력을 상기 복수의 감광체 각각에 전달하기 위한 동력전달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동력전달부재들 중 적어도 하나의 동력전달부재에 칼라 레지스트레이션 보정유닛이 구비된다.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칼라 화상형성장치에서, 상기 하나의 구동원은 그 구동기어가 두개의 이웃한 동력전달부재와 맞물려 상기 복수의 감광체에 구동력을 전달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칼라 화상형성장치에서, 상기 동력전달부재는 바람직하게, 상기 구동원의 구동기어보다 큰 직경을 가지는 감속기어부재; 및 감속기어부재와 동일한 축에 결합되며, 상기 복수의 감광체에 구동력을 전달하는 전달기어부재; 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칼라 화상형성장치에서, 상기 동력전달부재는 서로 이웃하지 않은 감속기어부재들이 서로 맞물리도록 상기 서로 이웃하지 않은 감속기어부재들 사이에 위치한 감속기어부재에는 아이들롤러기어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칼라 화상형성장치에서, 상기 이웃한 감속기어부재들은 서로 겹쳐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칼라 화상형성장치에서, 상기 칼라 레지스트레이션 보정유닛은 한쪽 끝단은 지지프레임에 고정되고 다른 끝단에는 아이들롤러기어가 설치되는 탄성부재; 및 상기 아이들롤러기어와 접촉되며, 상기 아이들롤러기어를 상기 감광체의 축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캠부재;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칼라 화상형성장치에서, 상기 아이들롤러기어는 상기 동력전달부재의 아이들롤러기어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칼라 화상형성장치는, 적어도 2개의 구동원으로 구동되며 축기어를 구비한 복수의 감광체; 및 상기 복수의 감광체의 축기어와 결합되며 상기 구동원으로부터 발생되는 구동력을 상기 복수의 감광체 각각에 전달 하기 위한 동력전달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동력전달부재들 사이에 적어도 하나의 칼라 레지스트레이션 보정유닛이 구비된다.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칼라 화상형성장치에서, 상기 적어도 2개의 구동원은 서로 동기화되어 동일한 속도로 구동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칼라 화상형성장치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칼라 화상형성장치는 복수의 감광체 및 현상기를 구비한 화상형성유닛을 이용하는 탠덤 방식의 칼라 화상형성장치이며, 상기 복수의 감광체 각각의 회전속도를 동기화하여 화상 품질의 중요한 요소인 칼라 레지스트레이션을 향상시키기 위한 장치이다. 통상의 탠덤형 칼라 화상형성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화상형성유닛(10Y, 10M, 10C, 10K)을 본체 프레임에 장착하여 색상별 화상을 중첩하여 칼라 인쇄를 수행한다. 이러한 복수의 화상형성유닛(10Y, 10M, 10C, 10K)은 소비자나 서비스 기사가 세트 내에 장착 가능하도록 카트리지 형태로 된 소모품일 수 있으며, 보통 하나의 구동원에 의하여 구동된다.
또한 칼라 화상형성장치에서, 복수의 감광체(10Y, 10M, 10C, 10K)와 대향하여 전사유닛(30)이 추가로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전사유닛(30)은 복수의 감광체(10Y, 10M, 10C, 10K) 각각에 대향하여 배치되는 복수의 전사롤러(32Y, 32M, 32C, 32K); 및 상기 복수의 전사롤러와 상기 복수의 감광체 사이를 통과하는 전사반송벨트(31)를 포함한다. 이러한 전사유닛이 구비된 칼라 화상형성장치는 복수의 감광체(10Y, 10M, 10C, 10K)와 전사유닛(30) 사이에 기록용지(S)가 통과될 때, 상기 복수 의 감광체의 표면에 형성된 토너화상이 직접 기록용지(S) 위에 전사된다.
다른 칼라 화상형성장치에서, 상기 전사유닛(30)과는 달리, 복수의 감광체(10Y, 10M, 10C, 10K) 각각에 대향하여 배치되는 복수의 중간전사롤러(도 1의 32Y, 32M, 32C, 32K에 해당); 상기 중간전사롤러와 상기 복수의 감광체 사이를 통과하는 중간전사벨트(도 1의 31에 해당); 및 상기 중간전사벨트로부터 토너화상을 기록용지에 전사하는 전사롤러(도 1의 35에 위치);를 포함하는 전사유닛일 수도 있다. 이러한 전사유닛이 구비된 다른 칼라 화상형성장치는 복수의 감광체(10Y, 10M, 10C, 10K)의 토너화상이 상기 중간전사벨트에 전사되고, 상기 중간전사벨트와 전사롤러 사이에 기록용지(S)가 통과될 때, 상기 전사롤러의 토너화상이 기록용지(S) 위에 전사된다. 이러한 구조는 통상의 탠덤형 화상형성장치와 동일하며 공지된 기술이다.
본 발명에 따른 칼라 화상형성장치는 상기 화상형성유닛 부근의 구성을 제외하고는, 종래의 칼라 화상형성장치의 구성과 동일하므로 설명의 편의상 본 명세서에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칼라 화상형성장치에 대한 일부 구성으로, 복수의 감광체의 측면에 칼라 레지스트레이션 보정유닛이 장착된 모습을 도시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칼라 화상형성장치는 복수의 감광체(111Y, 111M, 111C, 111K), 동력전달부재(120Y, 120M, 120C, 120K) 및 칼라 레지스트레이션 보정유닛(200)을 포함한다. 이들 구성요소들은 각 색상별, 즉 옐로우(Y),마젠타(M), 시안(C) 및 블랙(K)에 대응하여 설치되며, 모두 동일한 구조를 가진다. 여기에서는 편의상 옐로우(Y)를 기준으로 제1감광체(111Y), 제1동력전달부재(120Y) 및 칼라 레지스트레이션 보정유닛(200M)만을 설명한다.
상기 제1감광체(111Y)는 그 중심축에 축기어(116Y)가 마련되며, 축기어(116Y)는 제1동력전달부재(120Y)와 결합된다. 제1감광체(111Y)는 하나의 구동원(150)에 의하여 구동된다.
상기 제1동력전달부재(120Y)는 제1감속기어부재(121Y) 및 제1전달기어부재(122Y)를 포함한다. 상기 제1감속기어부재(121Y)는 구동원(150)의 구동기어(151)보다 큰 직경을 가지므로 구동원의 회전수를 감속하게 된다. 상기 제1전달기어부재(122Y)는 제1감속기어부재(121Y)와 동일한 축(123Y)에 결합되며, 제1감광체(111Y)에 구동력을 전달한다.
상기 칼라 레지스트레이션 보정유닛(200M)은 제1탄성부재(201M) 및 제1캠부재(203M)를 포함한다. 상기 제1탄성부재(201M)의 한쪽 끝단은 지지프레임(F)에 고정되고 다른 끝단은 제1아이들롤러기어(204M)가 설치된다. 상기 제1캠부재(203M)는 제1아이들롤러기어(204M)와 접촉되며, 제1캠부재(203M)의 회전에 따라 제1아이들롤러기어(204M)를 제1감광체(111Y)의 축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도면에서는 복수의 동력전달부재 중 제4동력전달부재(120K)의 제4감속기어부재(121K)와 구동원(150)의 구동기어(151)가 맞물려 있다. 이에 따라 구동원(150)으로부터 발생된 구동력이 제4동력전달부재(120K)를 통하여 복수의 감광체(111Y, 111M, 111C, 111K) 각각에 전달된다.
종래에는 칼라 화상형성유닛 각각에 구동원이 장착되어 화상형성유닛의 개별 적인 회전을 가능하게 하여 복수의 감광체를 동기화할 수 있었지만, 이러한 종래 방식보다도 하나의 구동원을 이용하는 경우 칼라의 미스 레지스트레이션의 양을 최소화 할 수 있다. 또한 구동원을 하나만 사용함으로써 원가적인 측면에서도 더 유리하다. 그러나 하나의 구동원을 사용하는 칼라 화상형성장치에서도 롤러나 기어의 흔들림 공차(runout)에 의해 인쇄를 할 경우 칼라의 미스 레지스트레이션이 발생된다. 본 발명의 칼라 화상형성장치는 상기 칼라 레지스트레이션 보정유닛을 장착함으로써, 이러한 칼라 미스 레지스트레이션을 충분히 보정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칼라 화상형성장치에서 상기 보정유닛에 의한 칼라 레지스트레이션 보정과정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6은 제1실시예에 따른 칼라 화상형성장치에서 상기 칼라 레지스트레이션 보정유닛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도면으로, 도 6a 및 도 6b는 상기 칼라 레지스트레이션 보정유닛의 작동 전후의 모습이다. 설명의 편의상 도 6에는 구동원(150)이 연결되는 제4감광체(111K)와, 제4감광체(111K)와 연동하는 제3감광체(111C)에 대한 칼라 레지스트레이션 보정과정만을 예시한다.
칼라 화상형성장치에서 복수의 감광체가 토너화상을 기록용지에 인쇄할 때 복수의 감광체 각각의 축기어의 흔들림 공차 등에 의한 미세한 속도 변화의 주기를 평가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상기 복수의 감광체 각각의 최대 회전속도나 최소 회전속도의 피크 위치를 모두 일치시킴으로써, 모든 색상이 동일 인쇄위치에 인쇄하도록 한다.
예컨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원(150)과 가까운 제4감광체(111K)는 구동원(150)에 의하여 회동 가능하고, 구동원(150)과 먼 제3감광체(111C)는 아이들기어(204)를 해제하여 정지시킬 수 있으므로, 블랙에 대응하는 제4감광체(111K)에 대한 주기의 피크 위치를 평가한 후에 시안에 대응하는 제3감광체(111C)에 피크점을 이동하여 칼라 레지스트레이션을 보정하는 경우, 제3감광체(111C)를 정지한 상태에서 제3감광체(111C)의 회전속도의 주기 즉, 위상에 대하여 제4감광체(111K)의 회전속도 주기를 맞춘다. 도 6a에서와 같이, 칼라 레지스트레이션 보정유닛(200K)의 캠부재(203K)가 회전하면, 탄성부재(201K)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아이들롤러기어(204K)는 우측으로 이동하여 제4동력전달부재(120K)의 감속기어부재(121K)로부터 제3동력전달부재(120C)의 감속기어부재(121C)는 분리된다. 이 상태에서 정해진 각도만큼 제4감광체(111K)를 회전한 후에 도 6b에서와 같이, 상기 캠부재(203K)를 반대로 회전시키면 아이들롤러기어(204K)가 제3, 제4감속기어부재(121C, 121K)를 다시 연결하여 상기 두 감속기어부재는 연동하게 된다.
이러한 원리로 두 감광체(111C, 111K)의 연동이 가능하다. 같은 방식으로 나머지 감광체(111Y, 111M)도 회전속도 주기가 일치하도록 연동시킬 수 있다. 도 7은 상기 두 감광체의 동기화에 따른 두 감광체의 회전속도 주기 변화를 도시한다.
도 7의 파형도에도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칼라 레지스트레이션 보정유닛에 의하여 상기 복수의 감광체를 동기화함으로써, 칼라 레지스트레이션이 향상됨을 알 수 있다.
다음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칼라 화상형성장치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칼라 화상형성장치의 일부에 대한 사시 도이고, 도 9는 그 정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칼라 화상형성장치는 복수의 감광체(111Y, 111M, 111C, 111K), 동력전달부재(120Y, 120M, 120C, 120K) 및 칼라 레지스트레이션 보정유닛(210M)을 포함한다. 이러한 제2실시예에 따른 칼라 화상형성장치는 하나의 구동원(150)에 의해 두 개의 감광체(111C, 111K)가 동시에 구동된다. 도면에서는 하나의 구동원(150)의 구동기어(151)에 두개의 이웃한 제3, 제4동력전달부재(120C, 120K) 각각의 감속기어부재(121C, 121K)가 맞물려 두 감광체(111C, 111K)에 구동력이 동시에 전달된다.
상기 복수의 감광체(111Y, 111M, 111C, 111K)는 제1실시예와 동일한 구조를 가진다.
상기 동력전달부재(120Y, 120M, 120C, 120K)들은 각각 감속기어부재(121Y, 121M, 121C, 121K) 및 전달기어부재(122Y, 122M, 122C, 122K)를 포함한다. 각 감속기어부재(121Y, 121M, 121C, 121K)는 구동원(150)의 구동기어(151)보다 큰 직경을 가지므로 구동원의 회전수를 감속하게 된다. 각 전달기어부재(122Y, 122M, 122C, 122K))는 각각 대응하는 감속기어부재들과 동일한 축에 결합된다. 동력전달부재(120Y, 120M, 120C, 120K)들 중 제2, 제3동력전달부재(120M, 120C)에는 아이들롤러기어(214M, 124C)가 장착된다. 따라서 동력전달부재(120Y, 120M, 120C, 120K)들 중 제1, 제3동력전달부재(120Y, 120M)는 아이들롤러기어(214M)에 의해 서로 연동되며, 제2, 제4동력전달부재(120M, 120K)는 아이들롤러기어(124C)에 의해 서로 연동된다. 이러한 구조를 가지는 감광체는, 이웃한 감속기어부재(121Y, 121M, 121C, 121K)들 이 서로 겹쳐서 배치될 수 있기 때문에 무엇보다도 세트 내 설치공간을 축소할 수 있다.
상기 동력전달부재들 중 적어도 하나의 동력전달부재에 칼라 레지스트레이션 보정유닛이 구비될 수 있다. 도면에서는 마젠타에 대응하는 동력전달부재(121M)에 칼라 레지스트레이션 보정유닛(210M)이 설치된 경우를 예시한다.
상기 칼라 레지스트레이션 보정유닛(210M)은 탄성부재(211M) 및 캠부재(213M)를 포함한다. 상기 탄성부재(211M)의 한쪽 끝단은 지지프레임(F)에 고정되고 다른 끝단은 아이들롤러기어(214M)가 설치된다. 캠부재(213M)는 아이들롤러기어(214M)와 접촉되며, 캠부재(213M)의 회전에 따라 아이들롤러기어(214M)를 제2감광체(111M)의 축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제2실시예에 따른 칼라 화상형성장치는 상기 칼라 레지스트레이션 보정유닛의 아이들롤러기어(214M)와 제2동력전달부재(121M)의 아이들롤러기어는 동일하다.
상기 칼라 레지스트레이션 보정유닛(210M)은 제3동력전달부재(120C)에도 설치될 수 있다. 이 경우 탄성부재는 반대측에 위치하여 아이들롤러기어(121C)를 이동시킨다.
이러한 구조를 가지는 칼라 화상형성장치는 제1실시예의 장치와 동일한 방식으로 칼라 레지스트레이션 보정유닛을 작동시켜 감광체의 동기화를 실현할 수 있으므로 여기에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본 발명의 칼라 화상형성장치는 상기 복수의 감광체를 구동하는 구동원이 반드시 하나의 구동원일 필요는 없다. 즉 적어도 2개 이상의 구동원이 장착되 어 적어도 2개 이상의 동력전달부재들이 연동하여 구동되는 칼라 화상형성장치에도 적용이 가능하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칼라 화상형성장치의 일부에 대한 정면도로서, 2개의 구동원(150a, 150b)에 의해 복수의 감광체가 연동하는 칼라 화상형성장치를 예시하고 있다. 이러한 칼라 화상형성장치는, 구동원이 2개인 것을 제외하고는, 도 5의 제1실시예에 따른 칼라 화상형성장치와 동일하므로 다른 구성에 대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3시예에 따른 칼라 화상형성장치는 복수의 감광체(111Y, 111M, 111C, 111K), 동력전달부재(120Y, 120M, 120C, 120K) 및 칼라 레지스트레이션 보정유닛(200M, 200K)을 포함하며, 2개의 구동원(150a, 150b)에 의해 두 개의 감광체(111Y, 111K)가 동시에 구동된다.
상기 구동원(150a, 150b) 각각의 구동기어(151a, 150b)에는 제1, 제4동력전달부재(120Y, 120K) 각각의 감속기어부재(121Y, 121K)가 맞물려 두 감광체(111Y, 111K)에 구동력이 동시에 전달된다. 물론 2개의 구동원(150a, 150b)은 서로 동기화되어 동일한 속도로 구동될 필요가 있다. 이러한 동기화는 종래의 알고리즘으로 간단히 해결될 수 있다.
제3시예에 따른 칼라 화상형성장치에서는 한 쌍의 동력전달부재 즉 120Y와 120M, 120C와 120K 사이에 칼라 레지스트레이션 보정유닛(200M, 200K)이 각각 설치될 것이다. 상기 제3실시예에 따른 칼라 화상형성장치의 경우 제1, 제2실시예에 따른 칼라 화상형성장치에 비하여 복수의 감광체에 대한 동기화가 다소 유리한 면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칼라 화상형성장치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구동원에 의해 각 감광체가 연동할 때 감광체의 축기어의 흔들림 공차에 따른 각 색상의 칼라 레지스트레이션 차이를 상기 보정유닛의 작동에 의하여 간단히 보정하여 칼라 화상의 품질을 높일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예가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19)

  1. 하나의 구동원으로 구동되며 축기어를 구비한 복수의 감광체; 및
    상기 복수의 감광체의 축기어와 결합되며 상기 구동원으로부터 발생되는 구동력을 상기 복수의 감광체 각각에 전달하기 위한 동력전달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동력전달부재들 사이에 적어도 하나의 칼라 레지스트레이션 보정유닛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 화상형성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전달부재는, 상기 구동원의 구동기어보다 큰 직경을 가지는 감속기어부재; 및 상기 감속기어부재와 동일한 축에 결합되며, 상기 복수의 감광체에 구동력을 전달하는 전달기어부재;를 포함하는 칼라 화상형성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칼라 레지스트레이션 보정유닛은 한쪽 끝단은 지지프레임에 고정되고 다른 끝단에 아이들 롤러 기어가 설치되는 탄성부재; 및 상기 아이들 롤러 기어와 접촉되며, 상기 아이들 롤러 기어를 상기 감광체의 축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캠부재;를 포함하는 칼라 화상형성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감광체와 대향하여 전사유닛이 추가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 화상형성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전사유닛은 상기 복수의 감광체 각각에 대향하여 배치되는 복수의 전사롤러; 및 상기 복수의 전사롤러와 상기 복수의 감광체 사이를 통과하는 전사반송벨트;를 포함하는 칼라 화상형성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감광체와 전사유닛 사이에 기록용지가 통과될 때, 상기 복수의 감광체의 표면에 형성된 토너화상이 직접 상기 기록용지 위에 전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 화상형성장치.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전사유닛은 상기 복수의 감광체 각각에 대향하여 배치되는 복수의 중간전사롤러; 상기 복수의 중간전사롤러와 상기 복수의 감광체 사이를 통과하는 중간전사벨트; 및 상기 중간전사벨트로부터 토너화상을 기록용지에 전사하는 전사롤러;를 포함하는 칼라 화상형성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의 구동원은 그 구동기어가 하나의 동력전달부재와 맞물려 상기 복수의 감광체에 구동력을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 화상형성장치.
  9. 하나의 구동원으로 구동되며 축기어를 구비한 복수의 감광체; 및
    상기 복수의 감광체의 축기어와 결합되어 상기 구동원으로부터 발생되는 구 동력을 상기 복수의 감광체 각각에 전달하기 위한 동력전달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동력전달부재들 중 적어도 하나의 동력전달부재에 칼라 레지스트레이션 보정유닛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 화상형성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의 구동원은 그 구동기어가 두개의 이웃한 동력전달부재와 맞물려 상기 복수의 감광체에 구동력을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 화상형성장치.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전달부재는 상기 구동원의 구동기어보다 큰 직경을 가지는 감속기어부재; 및 감속기어부재와 동일한 축에 결합되며, 상기 복수의 감광체에 구동력을 전달하는 전달기어부재;를 포함하는 칼라 화상형성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전달부재는 서로 이웃하지 않은 감속기어부재들이 서로 맞물리도록 상기 서로 이웃하지 않은 감속기어부재들 사이에 위치한 감속기어부재에는 아이들롤러기어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 화상형성장치.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이웃한 감속기어부재들은 서로 겹쳐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 화상형성장치.
  14.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칼라 레지스트레이션 보정유닛은 한쪽 끝단은 지지프 레임에 고정되고 다른 끝단에는 아이들롤러기어가 설치되는 탄성부재; 및 상기 아이들롤러기어와 접촉되며, 상기 아이들롤러기어를 상기 감광체의 축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캠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 화상형성장치.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아이들롤러기어는 상기 동력전달부재의 아이들롤러기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 화상형성장치.
  16. 적어도 2개의 구동원으로 구동되며 축기어를 구비한 복수의 감광체; 및
    상기 복수의 감광체의 축기어와 결합되며 상기 구동원으로부터 발생되는 구동력을 상기 복수의 감광체 각각에 전달하기 위한 동력전달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동력전달부재들 사이에 적어도 하나의 칼라 레지스트레이션 보정유닛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 화상형성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2개의 구동원은 서로 동기화되어 동일한 속도로 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 화상형성장치.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전달부재는, 상기 구동원 각각의 구동기어보다 큰 직경을 가지는 감속기어부재; 및 상기 감속기어부재와 동일한 축에 결합되며, 상기 복수의 감광체에 구동력을 전달하는 전달기어부재;를 포함하는 칼라 화상형성장치.
  19.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칼라 레지스트레이션 보정유닛은 한쪽 끝단은 지지프레임에 고정되고 다른 끝단에 아이들 롤러 기어가 설치되는 탄성부재; 및 상기 아이들 롤러 기어와 접촉되며, 상기 아이들 롤러 기어를 상기 감광체의 축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캠부재;를 포함하는 칼라 화상형성장치.
KR1020050093492A 2005-10-05 2005-10-05 칼라 화상형성장치 KR1006368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93492A KR100636822B1 (ko) 2005-10-05 2005-10-05 칼라 화상형성장치
US11/352,991 US7702258B2 (en) 2005-10-05 2006-02-14 Color image forming apparatus with color registration compensation unit
CNB2006101415801A CN100520617C (zh) 2005-10-05 2006-09-30 具有彩色重合补偿单元的彩色成像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93492A KR100636822B1 (ko) 2005-10-05 2005-10-05 칼라 화상형성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36822B1 true KR100636822B1 (ko) 2006-10-20

Family

ID=376215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93492A KR100636822B1 (ko) 2005-10-05 2005-10-05 칼라 화상형성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7702258B2 (ko)
KR (1) KR100636822B1 (ko)
CN (1) CN100520617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259366B2 (en) * 2006-07-28 2012-09-04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reading apparatus
JP4995636B2 (ja) * 2006-10-13 2012-08-08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形成装置
JP5003345B2 (ja) * 2007-08-17 2012-08-15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5035690B2 (ja) * 2008-04-09 2012-09-26 コニカミノルタビジネステクノロジーズ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KR101139245B1 (ko) * 2010-07-12 2012-05-14 삼성전자주식회사 화상형성장치용 구동장치와 이를 가지는 화상형성장치
JP7021587B2 (ja) * 2018-03-30 2022-02-17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WO2021086766A2 (en) 2019-11-01 2021-05-06 Corning Incorporated Prism-coupling systems and methods with improved intensity transition position detection and tilt compensatio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35984A (ja) 2001-07-23 2003-02-0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画像形成装置
JP2004326043A (ja) 2003-04-28 2004-11-18 Fuji Xerox Co Ltd 回転体の駆動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画像記録装置
JP2005114159A (ja) 2003-09-19 2005-04-28 Ricoh Co Ltd 画像形成装置
JP2005156779A (ja) 2003-11-25 2005-06-16 Canon Inc 画像形成装置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981295B2 (ja) 1991-01-30 1999-11-22 株式会社リコー 感光体駆動機構
US5386286A (en) * 1992-09-24 1995-01-31 Kabushiki Kaisha Toshiba Image forming apparatus
JPH10142939A (ja) * 1996-11-15 1998-05-29 Minolta Co Ltd 画像形成装置
KR19990015277A (ko) 1997-08-04 1999-03-05 윤종용 화상형성장치에서의 칼라 레지스트레이션 보정방법
JP2001154560A (ja) 1999-11-30 2001-06-08 Fuji Xerox Co Ltd 画像形成装置の駆動制御方法及びその駆動制御装置、並びに画像形成装置
US6556798B2 (en) * 2001-02-16 2003-04-29 Donald S. Rimai Method and apparatus for using a conformable member in a frictional drive
JP2003076217A (ja) 2001-08-31 2003-03-14 Ricoh Co Ltd カラー画像形成装置
JP2003295552A (ja) * 2002-04-03 2003-10-15 Brother Ind Ltd 画像形成装置
KR100580205B1 (ko) * 2004-11-12 2006-05-16 삼성전자주식회사 현상기 구동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화상형성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35984A (ja) 2001-07-23 2003-02-0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画像形成装置
JP2004326043A (ja) 2003-04-28 2004-11-18 Fuji Xerox Co Ltd 回転体の駆動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画像記録装置
JP2005114159A (ja) 2003-09-19 2005-04-28 Ricoh Co Ltd 画像形成装置
JP2005156779A (ja) 2003-11-25 2005-06-16 Canon Inc 画像形成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70077090A1 (en) 2007-04-05
US7702258B2 (en) 2010-04-20
CN1945452A (zh) 2007-04-11
CN100520617C (zh) 2009-07-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875380A (en) Image forming apparatus eliminating influence of fluctuation in speed of a conveying belt to correction of offset in color registration
KR100636822B1 (ko) 칼라 화상형성장치
JP5445328B2 (ja) 画像形成装置
US20030152402A1 (en) Driv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JP5870648B2 (ja) 同期駆動装置、及び、それを有する画像形成装置
US20080056741A1 (en) Image forming device and deviation correcting method
US7885577B2 (en) Rotation transmission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3694143B2 (ja) 電子写真装置
JP4654111B2 (ja) 回転体駆動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H10123786A (ja) カラー電子写真装置
JP2005055781A (ja) 画像形成装置
JP5163067B2 (ja) 画像形成装置
JP2003194181A (ja) 駆動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2000352898A (ja) 画像形成装置
JP4735543B2 (ja) 画像形成装置及び画像処理方法
JP2001272834A (ja) 画像形成装置
JPH04131875A (ja) 画像形成装置
JP2002311672A (ja) 画像形成装置
JP2000162845A (ja) タンデム型カラー画像形成装置
JP5483185B2 (ja) 画像形成装置
JP3259369B2 (ja) 回転体駆動装置
JP5032970B2 (ja) 画像形成装置
JP4820150B2 (ja) 回転速度検出装置
JP2007146988A (ja) 駆動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KR100568245B1 (ko) 화상형성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25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5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1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1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