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68245B1 - 화상형성장치 - Google Patents

화상형성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68245B1
KR100568245B1 KR1020030042892A KR20030042892A KR100568245B1 KR 100568245 B1 KR100568245 B1 KR 100568245B1 KR 1020030042892 A KR1020030042892 A KR 1020030042892A KR 20030042892 A KR20030042892 A KR 20030042892A KR 100568245 B1 KR100568245 B1 KR 1005682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hotosensitive drum
driving
drive
forming apparatus
image form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428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01289A (ko
Inventor
강일권
이효진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428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68245B1/ko
Publication of KR200500012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012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682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682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642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the different parts of the apparatus
    • G03G21/1647Mechanical connection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9/00Delivering or advancing articles from machines; Advancing articles to or into piles
    • B65H29/20Delivering or advancing articles from machines; Advancing articles to or into piles by contact with rotating friction members, e.g. rollers, brushes, or cylind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photography Configuration And Component (AREA)
  • Color Electrophotograph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구동유닛이 구비됨으로써 복수의 감광드럼을 간편하고 효율적으로 구동시킬 수 있도록 한 화상형성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복수의 감광드럼으로 구동력을 전달하는 구동유닛을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구동유닛(60)은 구동모터(62)와; 복수의 감광드럼(50) 각각에 결합되어, 감광드럼(50)을 구동시키는 감광드럼기어(64)와; 감광드럼기어(64) 각각에 연결되어, 감광드럼기어(64)에 구동력을 전달하는 구동력전달부재(66)와; 구동모터(62) 및 구동력전달부재(66)에 연결 설치되어, 구동모터(62)의 회전력에 의해 구동력전달부재(66) 각각을 동시에 구동시키는 타이밍벨트(timing belt)(68)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에 따라, 구동모터에서 감광드럼까지의 구동경로상에서 발생되는 회전편차 및 각종 오차 등을 최소화할 수 있어, 보다 안정된 칼라표시 성능을 확보할 수 있다.
구동모터, 감광드럼, 감광드럼기어, 구동력전달부재, 타이밍벨트, 회전편차

Description

화상형성장치 {IMAGE FORMING APPARATUS}
도 1은 종래 화상형성장치의 감광드럼 구동유닛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2는 종래 화상형성장치의 감광드럼 구동유닛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개략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감광드럼 구동유닛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감광드럼 구동유닛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0 : 구동롤러 30 : 가이드롤러
40 : 감광벨트 50 : 감광드럼
60 : 구동유닛 62 : 구동모터
64 : 감광드럼기어 66 : 구동력전달부재
66a : 벨트풀리부 66b : 기어부
68 : 타이밍벨트 70 : 아이들롤러
본 발명은 화상형성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구동유닛이 구비됨으로써 복수의 감광드럼을 간편하고 효율적으로 구동시킬 수 있도록 한 화상형성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상형성장치는 감광드럼 및 감광벨트와 같은 감광매체에 정전잠상(ELI:Electrostatic Latent Image)을 형성시키고 소정의 색상을 가진 토너로 정전잠상(ELI)을 현상한 후, 기록용지에 전사시켜 원하는 화상을 얻는 장치를 일컫는 말이다.
이러한 화상형성장치는 복사기 또는 프린터 등을 비롯한 여러 기기에 다양하게 적용된다.
종래의 화상형성장치는 기록용지를 정전 흡착시킨 상태로 이송시키면서 복수의 감광드럼에 의한 전사동작이 이루어지도록 구동롤러 및 가이드롤러를 통해 감광벨트를 연속적으로 회전시키는 구조를 지니고 있으며, 복수의 감광드럼은 구동유닛을 통해 동시에 구동된다. 이러한 구동유닛 대부분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모터(2)와; 구동모터(2)와 연결되어, 구동모터(2)의 회전력에 의해 구동 되는 전달기어(4)와; 전달기어(4)와 연결되어, 감광드럼(8)을 구동시키는 감광드럼기어(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구조의 화상형성장치에서는 기록용지가 복수의 현상유닛을 차례대로 지나면서 한 번에 전사가 이루어지는 인쇄방식의 특성상, 각 칼라에 해당하는 감광드럼(8) 표면의 선속도가 모두 일치하지 않으면 각 칼라별 화상이 원래의 칼라 데이터와 정확히 일치하지 않고 조금씩 어긋나는 현상이 발생된다. 따라서, 구동모터(2)의 회전력을 다수의 기어열(4a,4b,4c)로 배치된 전달기어(4)를 통해 감광드럼기어(6)로 전달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화상형성장치는 구동모터(2)에서 발생된 회전력을 감광드럼기어(6)에 전달하는 전달기어(4)가 다수의 기어열(4a,4b,4c)로 배치되어, 각 기어들 간의 회전편차 및 기어 피치원의 흔들림 등에 의한 각종 오차가 빈번히 발생되고 있다. 따라서, 최종단인 각 색상별 감광드럼(8) 표면 상호간 선속도의 미세한 차이를 관리·보정하는 작업이 별도로 요구될 뿐 아니라 그에 따른 작업과정이 상당히 복잡하여 최상의 화상품질을 확보하는 데 어려움이 많다.
또한, 각 칼라별 화상의 위치 관리에 따른 경제적 비용도 무시할 수 없는 수준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 구동유닛으로 인한 회전편차 및 각종 오차를 최소화하여 안정된 화상품질을 구현할 수 있는 화상형성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은, 복수의 감광드럼으로 구동력을 전달하는 구동유닛을 포함하는 컬러전자사진방식의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상기 구동유닛은, 구동모터와; 상기 복수의 감광드럼 각각에 결합되어, 상기 감광드럼을 구동시키는 감광드럼기어와; 소정의 벨트풀리부와, 상기 벨트풀리부와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감광드럼기어 각각에 맞물려 회전되는 기어부를 포함하는 구동력전달부재와; 상기 구동모터 및 상기 구동력전달부재의 벨트풀리부 각각에 연결되어,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력에 의해 상기 구동력전달부재 각각을 동시에 구동시킴으로써 상기 각 감광드럼기어가 서로 동일한 회전특성을 갖도록 하는 타이밍벨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컬러전자사진방식의 화상형성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삭제
상기 구동력전달부재 사이에 각각 설치되는 타이밍벨트용 아이들롤러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는 구동롤러(20) 및 가이드롤러(30)에 연결 설치되어, 일정 궤도를 연속적으로 주행하는 감광벨트(40)와; 감광벨트(40)에 접촉된 상태로 회전하여 기록하고자 하는 원래의 화상정보에 따라 감광됨으로써 현상된 이미지를 감광벨트(40)에 전사시키는 복수의 감광드럼(50)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현상된 이미지가 감광드럼(50)으로부터 감광벨트(40)에 전달되면 급지된 기록용지(62)가 감광벨트(40)에 접촉하여 통과할 때 압착롤러(64)에 의해 압착되면서 감광벨트(40)에 전사된 이미지가 기록용지(62)에 옮겨져 인쇄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구동롤러(20)는 구동원을 통해 감광벨트(40)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감광벨트(40)와의 결합시 일정의 마찰력이 요구되므로 그 표면은 러버(rubber)를 비롯하여 상대적으로 마찰력이 큰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이드롤러(30)는 직접적으로 구동되지는 않고 구동롤러(20)에 의해 구동되는 감광벨트(40)를 안내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그 표면은 스틸(steel)과 같은 마찰력이 작은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현상유닛(66)은 감광드럼(50) 각각에 형성된 이미지패턴에 토너를 부착시켜 현상함으로써 옐로우(Y), 마젠타(M), 시안(C), 블랙(Bk) 등의 컬러조합에 의해 본래의 화상정보대로 이미지를 재현시킨다.
그리고 감광드럼(50)을 노광시키기 위한 레이저스캐닝유닛(LSU)(68)은 코로나(67)에 의해 충전된 감광드럼(50)에 레이저 빔을 방사하여 감광드럼(50)으로 이미지 영역을 선택적으로 방전시킴으로써 본래의 화상정보에 대응되는 이미지패턴을 형성시키기 위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감광드럼 구동유닛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감광드럼 구동유닛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감광드럼(50)을 구동하는 구동유닛(60)은 구동모터(62)와; 복수의 감광드럼(50) 각각에 결합되어, 감광드럼(50)을 구동시키는 감광드럼기어(64)와; 감광드럼기어(64) 각각에 연결되어, 감광드럼기어(64)에 구동력을 전달하는 구동력전달부재(66)와; 구동모터(62) 및 구동력전달부재(64)에 연결되어, 구동모터(62)의 회전력에 의해 구동력전달부재(66) 각각을 동시에 구동시키는 타이밍벨트(timing belt)(68)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구동모터(62)는 타이밍벨트(68)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원 역할을 수행하며, 그 하부에는 벨트풀리(63)가 설치되어 구동모터(62)의 회전력을 타이밍벨트(68)에 전달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필요에 따라 구동모터(62) 대신 타이밍벨트(68)에 회전력을 제공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여러 구동수단을 선택적으로 적용할 수 있다.
감광드럼기어(64)는 회전에 의해 감광드럼(50)을 연동시킬 수 있도록 감광드럼(50)의 하부에 압입 결합된다.
구동력전달부재(66)는 타이밍벨트(68)가 결합되는 벨트풀리부(66a)와; 벨트풀리부(66a)와 일체로 형성되어 감광드럼기어(64)와 맞물려 회전되는 기어부(66b) 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타이밍벨트(68)는 기존 다수의 기어열 기능을 대신하기 위한 것으로, 구동모터(62)의 회전력을 각각의 구동력전달부재(66)에 동일하게 전달할 수 있도록 설치된다.
그리고 구동력전달부재(66) 사이에 타이밍벨트용 아이들롤러(idle roller)를 선택적으로 추가 설치하여, 타이밍벨트(68)의 구동력을 보다 정확하고 용이하게 전달할 수 있다.
한편, 구동력전달부재(66) 및 감광드럼기어(64)의 설치개수 및 그 배치상태는 적절하게 변경 가능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화상형성장치의 감광드럼 구동유닛의 조립구조 및 동작상태를 살펴보면 하기와 같다.
먼저, 하나의 구동모터(62)에서 전달되는 회전력을 통해 복수의 감광드럼(50) 회전상태를 상호간 일치시키기 위해서 각각의 감광드럼기어(64) 및 구동력전달부재(66)의 부품정밀도 및 편차상태를 사전에 측정하고 각각의 영점위치를 일치시킨 후 조립을 진행하게 된다. 즉, 감광드럼기어(64)의 형상적 특성을 고려하여 일정 지점을 기준으로 각 기어를 조립하게 되면 타이밍벨트(68)의 회전시 각 기어들이 갖는 회전 특성이 일정 위치를 기준으로 모두 동일하게 되어, 각 기어들간의 회전 특성에 의한 상호간 편차를 최소화할 수 있다.
따라서, 각 색상별 화상의 표시에 매우 유리한 조건을 가질 수 있게 됨으로 써 화상품질의 불량요소를 최소화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조건 하에서 구동모터(62)가 구동되면, 그 회전력에 의해이 타이밍벨트(68)가 회전됨과 동시에 구동력전달부재(66) 및 감광드럼기어(64)가 회전되어 최종적으로 감광드럼을 회전시키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타이밍벨트를 이용한 구동유닛을 사용함으로써 구동모터에서 감광드럼까지의 구동경로상에서 발생되는 회전편차 및 각종 오차 등을 최소화할 수 있어, 보다 안정된 칼라표시 성능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기존에 비해 구동유닛의 구성부품이 줄어들 뿐 아니라 화상품질 확보에 사용되는 비용을 절감할 수 있어, 경제적인 측면에서도 유리하다.

Claims (3)

  1. 삭제
  2. 복수의 감광드럼으로 구동력을 전달하는 구동유닛을 포함하는 컬러전자사진방식의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상기 구동유닛은,
    구동모터와;
    상기 복수의 감광드럼 각각에 결합되어, 상기 감광드럼을 구동시키는 감광드럼기어와;
    소정의 벨트풀리부와, 상기 벨트풀리부와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감광드럼기어 각각에 맞물려 회전되는 기어부를 포함하는 구동력전달부재와;
    상기 구동모터 및 상기 구동력전달부재의 벨트풀리부 각각에 연결되어,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력에 의해 상기 구동력전달부재 각각을 동시에 구동시킴으로써 상기 각 감광드럼기어가 서로 동일한 회전특성을 갖도록 하는 타이밍벨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컬러전자사진방식의 화상형성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력전달부재 사이에 각각 설치되는 타이밍벨트용 아이들롤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프린터.
KR1020030042892A 2003-06-28 2003-06-28 화상형성장치 KR1005682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42892A KR100568245B1 (ko) 2003-06-28 2003-06-28 화상형성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42892A KR100568245B1 (ko) 2003-06-28 2003-06-28 화상형성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01289A KR20050001289A (ko) 2005-01-06
KR100568245B1 true KR100568245B1 (ko) 2006-04-05

Family

ID=372171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42892A KR100568245B1 (ko) 2003-06-28 2003-06-28 화상형성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6824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2015B1 (ko) * 2007-03-24 2013-11-25 삼성전자주식회사 컬러화상형성장치
JP4879297B2 (ja) * 2009-06-15 2012-02-22 シャープ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及び駆動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01289A (ko) 2005-0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95014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US5528343A (en) Driving cartridge for an image forming apparatus
US4935778A (en)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with fly wheel
US20030108366A1 (en) Image forming apparatus
KR100636822B1 (ko) 칼라 화상형성장치
JP5130507B2 (ja) 回転伝達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KR100568245B1 (ko) 화상형성장치
JP2005157169A (ja) 画像形成装置及びプロセスユニット
JP2009014984A (ja) 画像形成装置
JP4628727B2 (ja)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2009122480A (ja) 画像形成装置
JP4830752B2 (ja) 駆動装置
KR100534671B1 (ko) 화상형성장치
JP4564797B2 (ja) 画像形成装置
JP2609128B2 (ja) 画像形成装置
JP3307105B2 (ja) カラー画像形成装置
JP2821771B2 (ja) カラー画像形成装置
JP4958418B2 (ja) 画像形成装置
JP2001296774A (ja) 光伝導体ドラムのベルト駆動システム
JP2007171606A (ja) 画像形成装置
JP2000231231A (ja) 画像形成装置
JP4000443B2 (ja) ロータリー現像ユニット及びカラー画像形成装置
JP2952497B2 (ja) カラー画像形成装置
JP2002040739A (ja) 画像形成装置
JP3020102B2 (ja) カラー画像形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