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28478B1 - 겔 전해질 배터리용 격리판_ - Google Patents

겔 전해질 배터리용 격리판_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28478B1
KR100628478B1 KR1019980055651A KR19980055651A KR100628478B1 KR 100628478 B1 KR100628478 B1 KR 100628478B1 KR 1019980055651 A KR1019980055651 A KR 1019980055651A KR 19980055651 A KR19980055651 A KR 19980055651A KR 100628478 B1 KR100628478 B1 KR 1006284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parator
battery
gel
coating
membra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556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66849A (ko
Inventor
로버트 엠. 스폿니쯔
씨. 글렌 웬슬리
Original Assignee
셀가드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21774966&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0628478(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셀가드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셀가드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199900668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668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284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28478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40Separators; Membranes; Diaphragms; Spacing elements inside cells
    • H01M50/409Separators, membranes or diaphragm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449Separators, membranes or diaphragm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having a layered struc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2Li-accumulators
    • H01M10/0525Rocking-chair batteries, i.e. batteries with lithium insertion or intercalation in both electrodes; Lithium-ion batter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40Separators; Membranes; Diaphragms; Spacing elements inside cells
    • H01M50/409Separators, membranes or diaphragm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411Organic materi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40Separators; Membranes; Diaphragms; Spacing elements inside cells
    • H01M50/409Separators, membranes or diaphragm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411Organic material
    • H01M50/414Synthetic resins, e.g. thermoplastics or thermosetting resins
    • H01M50/417Polyolefi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40Separators; Membranes; Diaphragms; Spacing elements inside cells
    • H01M50/409Separators, membranes or diaphragm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411Organic material
    • H01M50/414Synthetic resins, e.g. thermoplastics or thermosetting resins
    • H01M50/426Fluorocarbon polym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40Separators; Membranes; Diaphragms; Spacing elements inside cells
    • H01M50/489Separators, membranes, diaphragms or spacing elements inside th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properties, e.g. swelling degree, hydrophilicity or shut down propert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300/00Electrolytes
    • H01M2300/0085Immobilising or gelification of electrolyt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ell Separators (AREA)
  • Secondary Cells (AREA)
  • Primary Cells (AREA)

Abstract

겔 전해질 배터리용 배터리 격리판은 미세공 막; 및 그 위에 있는 부착성 코팅, 또는 그 위에 있는, 겔 형성 중합체 및 가소제로 이루어진 겔 형성 코팅을 포함한다.

Description

겔 전해질 배터리용 격리판
본 발명은 겔 전해질 배터리용 격리판에 관한 것이다.
경량 재충전식 배터리는 전기를 동력으로 하는 다수의 장치, 예를 들어 셀룰러 폰, 페이저, 컴퓨터, 및 동력 공구에 사용되고 있다. 하나의 보편적인 재충전식 배터리는 리튬 이온 배터리이다. 현재 시판되고 있는 리튬 이온 배터리는 액상 전해질을 사용한다. 이러한 전해질은 유기물질계이다. 그 결과, 리튬 이온 배터리는 전해질 누출을 방지하기 위하여 경질의 "캔"으로 밀봉시켜야 한다. 따라서, 경질 캔을 제거하고, 예를 들어 금속화 플라스틱 또는 호일 백 등과 같이 경량이면서도 가요성인 비-누출성(leak-tight) 패키징쪽으로의 추이가 요망되고 있다.
캔의 제거에 제시된 하나의 방법은 고체 전해질을 사용하는 것이다. 미국특허 제5.296.318호, 제5.437.692호, 제5.460.904호, 제5.639.573, 제5.681.357호, 및 제5.688.293호 참조. 고체 전해질류에는 두가지 유형, 즉 고체 전해질과 겔 전해질이 있다. 이들 두 유형 중에서는 전도성이 더 크다는 점에서 겔 전해질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겔 전해질은 예를 들어 제조시 양극과 음극의 격리와, 과충전 상태중 전극의 안전취급에 필수적인 셧다운 능력(shut down capability)의 제공에 필수적인 구조적 일체성의 제공이 용이하지 않기 때문에 불완전하다.
미국특허 제5.639.573호와 제5.681.357호 및 제5.688.293호에서는 흡수 또는 겔 형성 중합체와 함께 미세공막(또는 불활성 층)을 격리판 시스템으로 사용할 것을 제안하고 있다. 전해질이 격리판 시스템내로 주입된 후, 겔-형성 중합체는 경화되어 미세공막 주위에 겔화 전해질을 형성하고, 이에 따라 겔 전해질의 구조적 일체성이 미세공막의 봉입에 의해 증진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배터리의 제조에 있어서, 불활성 층으로부터 흡수 또는 겔 형성층의 표층박리나 분리가 발생되는 상황은 바람직하지 않다. 따라서, 겔 형성 중합체에 대한 미세공막의 부착성을 향상시키므로써 제조시 이들 두 성분의 표층박리나 분리를 감소시키는 신규 격리판이 요망되고 있다.
본 발명은 미세공 중합체 막과, 이러한 막 위에 표면 밀도가 0.3 mg/cm2 보다 작은 부착성 코팅이나 겔 형성 중합체 및 가소제로 이루어진 겔 형성 코팅을 포함하는, 겔 전해질 배터리에 특히 유용한 배터리 격리판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설명을 위해서 바람직한 형태를 도면에 도시하였지만, 본 발명은 도시된 정확한 배치 및 수단에 한정되지 않음을 인식해야 한다. 도1은 배터리의 단면 개략도이다. 도2 내지 도4는 코팅 특성의 그래프이다.
도면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부호가 부여되었으며, 도1에는 배터리(10)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배터리(10)는 양극(20)과, 음극(30)과, 이들 사이의 전해질/격리판 시스템(40)을 포함한다. 상기 전해질/격리판 시스템(40)은 미세공막(42)과, 겔 전해질(44)과, 이들 사이의 부착성 코팅(46)을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음극과 양극이 있는 배터리(10)는 널리 공지되어 있으며 이에 대해서는 본원에 참조인용된 문헌[D. Linden (Ed.), 배터리 핸드북, 2d. 맥그로우힐 인코포레이티드, 뉴욕, 뉴욕(1995)], 미국특허 제5.296.318호, 제5.437.692호, 제5.460.904호, 제5.639.573호, 제5.681.357호, 제5.688.293호, 일본 특허출원 제59-106556호(1984년 5월 28일 출원), 제61-265840호(1986년 11월 8일 출원)를 참조한다. 바람직하게는, 배터리는 리튬 이온 배터리이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겔 전해질을 갖춘 리튬 이온 배터리이다.
전해질/격리판 시스템(40)의 장점은 미세공막(42)과 전해질 겔(44) 사이에 부착성 코팅(46)을 포함한다는 점이다. 겔 형성 중합체(및/또는 겔 형성 중합체와 전해질의 조합)는 미세공막(42)으로부터 표층박리 또는 벗겨짐이 발생되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이들 간의 결합을 촉진시키기 위하여 겔 형성 중합체(및/또는 중합체와 전해질의 조합)의 인가에 앞서, 부착성 코팅(46)이 미세공막(42)의 표면에 적용된다.
미세공막(42)은 임의의 미세공막을 의미한다. 막(42)은 폴리올레핀 재질로 형성된다. 폴리올레핀으로는 폴리에틸렌(PE), 폴리프로필렌(PP), 및 폴리메틸펜텐(PMP)이 있으며,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막(42)은 건식 연신 공정[셀가드(CELGARD) 공정으로도 알려져 있슴] 또는 용매 공정(겔 압출 또는 상 분리 공정으로도 알려져 있슴)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상기 막(42)은 다음과 같은 특성을 지니고 있다: 300 sec/100cc 이하(양호하기로는 200 sec/100cc, 더욱 양호하기로는 150 sec/100cc)의 공기 투과성; 5 내지 500μ(양호하기로는 10 내지 100μ, 가장 양호하기로는 10 내지 50μ) 범위의 두께; 0.01 내지 10μ(양호하기로는 0.05 내지 5μ, 가장 양호하기로는 0.05, 내지 0.5μ) 범위의 세공 직경; 35% 내지 85% (양호하기로는 40 내지 80%)의 다공성. 상기 막(42)은 셧다운 격리판이 바람직하며, 이에 관한 내용은 예를 들어 본 발명에 참조인용된 미국특허 제4.650.730호, 제4.731.304호, 제5.281.491호, 제5.240.655호, 제5.565.281호, 제5.667.911호; 미국 특허출원 제08/839,664호(1997년 4월 15일 출원), 일본특허 제2642206호 및 일본 특허출원 제98395/1994(1994년 5월 12일 출원), 제7/56320호(1995년 3월 15일 출원), 영국 특허출원 제9604055.5호(1996년 2월 27일)를 참고한다. 상기 막(42)은 셀가드 엘엘시(미국 노스 캐롤라이나 샬롯 소재)와, 아사히 케미칼 인더스트리 코포레이션 리미티드(일본 도쿄 소재)와, 토넨 코포레이션(일본 도쿄 소재)과, 우베 인더스트리즈(일본 도쿄 소재), 닛토 덴코 가부시키 가이샤(일본 오사카 소재)에서 시판하고 있다.
겔 전해질(44)은 겔 형성 중합체와 전해질의 혼합물을 의미한다. 배터리 제조중에는, 전해질없이 겔 형성 중합체를 미세공막(42)에 인가하거나, 또는 겔 형성 중합체와 전해질의 혼합물을 막(42)에 인가한다. 겔 형성 중합체의 예로는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PVDF); 폴리우레탄; 폴리에틸렌옥사이드; 폴리아크릴로니트릴; 폴리메틸아크릴레이트; 폴리아크릴아미드; 폴리비닐아세테이트; 폴리비닐피롤리돈; 폴리테트라에틸렌 글리콜 디아크릴레이트; 이들의 공중합체, 및 이들의 배합물이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전해질은 배터리용에 적당한 어떠한 전해질도 사용될 수 있다.
부착성 코팅(46)은 막(42)의 표면에, 바람직하게는 막의 외측면과 세공의 내측면 모두에 인가되고; 막(42)과 겔 전해질(44)(또는 겔 형성 중합체) 사이에 삽입되며, 이온 전도성에 악영향을 미치지 않으며(예를 들어, 세공 봉쇄에 의해), 막 두께의 증가 또는 막의 가요성 감소를 실질적으로 초래하지 않으며, 막(42)과 겔 전해질(44)(또는 겔 형성 중합체) 사이의 접착력을 증가시키거나 그 표층박리를 감소시킨다. 본 발명의 이러한 특징에 있어서, 코팅(46)은 겔 형성 중합체 층(또는 겔 전해질)과 함께 사용되며, 이에 대한 대용품으로 사용되지 않는다.
코팅(46)은 활성성분과 용매의 희석용액 형태로 막(42)에 인가될 수 있다. 코팅(46)은 적당한 접착을 달성하기 위하여, 표면밀도가 0.3 mg/cm2 이하(양호하기로는 0.05 내지 0.3 mg/cm2,; 가장 양호하기로는 0.1 내지 0.25 mg/cm2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활성성분은 코팅의 표면 에너지(γc )가 막의 표면 에너지(γm ) 이하가 되도록 선택된다. 예를 들어, 전형적인 막 재료에는 폴리에틸렌(γPE: 약 35 내지 36) 및 폴리프로필렌(γPP: 약 29 내지 30)이 포함된다[참조: 에이.에프.엠. 바톤, 용해도 변수의 핸드북, 2d., 씨.알.씨 출판사, 1991년, 586페이지]. 활성성분으로는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PVDF), 폴리아크릴레이트, 및 폴리아크릴니트릴, 이들의 공중합체[예를 들어, PVDF 공중합체, 및 구체적으로는 PVDF : HFP(HFP: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 또는 헥사플루오로프로펜) 공중합체] 및 이들의 혼합물이 있고,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γPVDF는 약 32이고, γPVDF:HEP는 25 이하이다. 용매는 활성성분을 용해시킬 수 있도록 선택된다. 용매로는 유기용매, 예를 들면, 테트라하이드로퓨란, 메틸 에틸 케톤(MEK), 및 아세톤이 있으며,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희석 용액은 활성성분을 10 중량% 이하 함유할 수 있다. 도2 내지 도4는 용액내 % PVDF : HFP 공중합체의 함수로서, 표면밀도(mg/cm2)와, MacMullin 넘버(예를 들어, 미국특허 제4.464.238호 참조)와, 접착력(파운드/인치)을 도시하고 있다. 표시 "xDBP"는 활성성분에 대한 가소제(DBP)의 당량을 의미한다.
접착성 코팅을 지닌 격리판을 구비한 배터리의 제조공정은 활성성분과 용매의 혼합물로 미세공막을 코팅한 후, 격리판을 건조하는 단계와; 겔 형성 중합체로 격리판을 코팅하는 단계와; 음극과 코팅된 격리판과 양극을 적층시켜, 전해질이 없는 배터리를 형성하는 단계와; 배터리를 "백"(예를 들어, "캔"을 대체하는 비-누출성의 가요성 패키지)에 배치하는 단계와; 전해질을 백에 첨가하는 단계와; 배터리를 경화시켜 겔 전해질을 형성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며, 이러한 단계에 의해 활성 배터리가 형성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본 발명에 참조인용된 미국특허 제5.639.573호와 제5.681.357호 및 제5.688.293호에 개시되어 있는 흡수 또는 겔-형성층은 가소제를 봉입함으로써 개선된다. 가소제의 주요 기능은 조밀하게 코팅된(즉, 0.3 mg/cm2 이상) 흡수 또는 겔 형성층으로서 작용하는 것이다. 상기 가소제는 조밀하게 코팅된 층에서는 필수적인데, 그 이유는 미세공막에서는 층이 세공을 메우거나 세공의 직경을 감소시키려는 경향을 띄기 때문이다. 예시적인 가소제로서는 에스테르, 예를 들어, 디부틸 프탈레이트와 같은 프탈레이트계 에스테르가 있으며,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겔 형성 중합체와 가소제의 코팅을 갖는 격리판이 구비된 배터리의 제조공정은 중합체와 가소제의 용매화 혼합물로 미세공막을 코팅한 후, 격리판을 건조하는 단계와; 음극과 격리판과 양극을 적층시켜, 전해질이 없는 배터리를 형성하는 단계와; 가소제를 제거하는 단계와(예를 들어, 메탄올 등의 적절한 용매로 인한 추출에 의해); 배터리를 "백"에 배치하는 단계와; 전해질을 상기 백에 인가하는 단계를 포함하므로써, 활성 배터리를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양호한 실시예를 참조로 서술되었기에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기술분야의 숙련자라면 첨부된 청구범위로부터의 일탈없이 본 발명에 다양한 변형과 수정이 가해질 수 있음을 인식해야 한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취지 및 근본적인 속성에서 일탈함이 없이 기타 특정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를 표시하는 것로서 전술한 명세서 보다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를 참조하여야 한다.
도1은 배터리의 단면 개략도.
도2 내지 도4는 코팅 특성의 그래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배터리 40: 전해질/격리판 시스템
20: 양극 42: 미세공막
30: 음극 44: 겔 전해질
46: 코팅

Claims (21)

  1. 미세공 폴리올레핀 막과,
    상기 미세공 폴리올레핀 막 위에 표면밀도가 0.3 mg/cm2 보다 작은 부착성 코팅을 포함하며,
    상기 코팅은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 : 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 공중합체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격리판.
  2. 제1항에 있어서, 표면밀도의 범위는 0.05 내지 0.3 mg/cm2 미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격리판.
  3. 제1항에 있어서, 표면밀도의 범위는 0.1 내지 0.25 mg/cm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격리판.
  4. 제1항에 따른 격리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5. 제4항에 있어서, 리튬 이온 배터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6. 제1항에 있어서, 격리판은 셧다운 격리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격리판
  7. 미세공 폴리올레핀 막과,
    상기 미세공 폴리올레핀 막 위의 겔 형성 코팅을 포함하며,
    상기 코팅은 흡수 또는 겔 형성 중합체와 가소제로 구성되며, 상기 가소제는 에스테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격리판.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에스테르는 프탈레이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격리판.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프탈레이트는 디부틸 프탈레이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격리판.
  10. 제7항에 따른 격리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11. 제10항에 있어서, 리튬 이온 배터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12. 제9항에 있어서, 막은 셧다운 격리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격리판.
  13. 미세공 폴리올레핀 막과,
    상기 미세공 폴리올레핀 막 위의 겔 형성 코팅을 포함하며,
    상기 코팅은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 : 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 공중합체인 흡수 또는 겔 형성 중합체와 가소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격리판.
  14. 제13항에 따른 격리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15. 제14항에 있어서, 리튬 이온 배터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격리판은 셧다운 격리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17. 건식 연신 공정 또는 용매 공정에 의해 제조되며; 5μ 내지 500μ 범위의 두께와, 0.01μ 내지 10μ 범위의 세공 직경과, 35% 내지 85% 범위의 다공성을 갖는 미세공 폴리올레핀 막과,
    상기 막 위의 코팅을 포함하며,
    상기 코팅은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 : 헥사 플루오로프로필렌) 공중합체인 겔 형성 중합체와 가소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 배터리용 배터리 격리판.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격리판은 셧다운 격리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 배터리용 격리판.
  19. 건식 연신 공정 또는 용매 공정에 의해 제조되며; 5μ 내지 500μ 범위의 두께와, 0.01μ 내지 10μ 범위의 세공 직경과, 35% 내지 85% 범위의 다공성을 갖는 미세공 폴리올레핀 막과,
    상기 막 위의 코팅을 포함하며,
    상기 코팅은 겔 형성 중합체와 가소제로 구성되며, 상기 가소제는 에스테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 배터리용 배터리 격리판.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에스테르는 프탈레이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격리판.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프탈레이트는 디부틸프탈레이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격리판.
KR1019980055651A 1998-01-30 1998-12-17 겔 전해질 배터리용 격리판_ KR10062847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9/016,024 1998-01-30
US09/016,024 US6322923B1 (en) 1998-01-30 1998-01-30 Separator for gel electrolyte battery
US9/016,024 1998-01-3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66849A KR19990066849A (ko) 1999-08-16
KR100628478B1 true KR100628478B1 (ko) 2006-12-22

Family

ID=217749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55651A KR100628478B1 (ko) 1998-01-30 1998-12-17 겔 전해질 배터리용 격리판_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6322923B1 (ko)
EP (1) EP0933824A3 (ko)
JP (2) JP4891470B2 (ko)
KR (1) KR100628478B1 (ko)
CA (1) CA2254809A1 (ko)
TW (1) TW388134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743876B2 (en) * 1997-02-28 2004-06-01 Atofina Chemicals, Inc. Copolymers of vinylidene fluoride and hexafluoropropylene having reduced extractable content and improved solution clarity
JP4075259B2 (ja) * 1999-05-26 2008-04-16 ソニー株式会社 固体電解質二次電池
JP4952193B2 (ja) * 1999-05-26 2012-06-13 ソニー株式会社 リチウム二次電池
US6328770B1 (en) * 1999-11-23 2001-12-11 Valence Technology (Nevada), Inc. Method of making multi-layer electrochemical cell devices
US6337101B1 (en) * 1999-11-23 2002-01-08 Valence Technology (Nevada), Inc. Method of treating separator for use in electrochemical cell devices
US6579643B1 (en) * 1999-11-23 2003-06-17 Valence Technology, Inc. Separator having a plasticizer coating for use in electrochemical cell devices
CN1171349C (zh) * 1999-12-14 2004-10-13 三洋电机株式会社 锂蓄电池及具有该电池的电池装置
WO2001057940A2 (en) * 2000-02-04 2001-08-09 Amtek Research International Llc Freestanding microporous separator including a gel-forming polymer
US20020142214A1 (en) * 2000-02-04 2002-10-03 Pekala Richard W. Multi-layer electrode assembly including a gel-forming polymer and an adhesive resin material
US6413667B1 (en) * 2000-03-29 2002-07-02 Valence Technology (Nevada), Inc. Flat, bonded-electrode rechargeable electrochemical cell and method of making same
KR100409017B1 (ko) * 2000-06-23 2003-12-06 주식회사 엘지화학 다성분계 복합 분리막 및 그의 제조방법
JP3885100B2 (ja) * 2000-08-12 2007-02-21 エルジー・ケミカル・カンパニー・リミテッド 多成分系複合フィルム及びその製造方法
KR100399785B1 (ko) * 2001-04-07 2003-09-29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겔형 고분자 전해질을 포함하는 권취형 리튬 2차 전지용세퍼레이터 및 그 제조방법
US6881515B2 (en) * 2001-05-08 2005-04-19 Celgard Inc. Separator for polymer battery
US6835214B2 (en) * 2001-06-18 2004-12-28 Japan Storage Battery Co., Ltd. Process for the production of non-aqueous electrolyte battery
US20030014859A1 (en) * 2001-07-23 2003-01-23 Kejha Joseph B. Method of automated hybrid lithium-ion cells production and method of the cell assembly and construction
US20060159999A1 (en) * 2001-07-23 2006-07-20 Kejha Joseph B Method of automated prismatic electrochemical cells production and method of the cell assembly and construction
JP2003132951A (ja) * 2001-10-25 2003-05-09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リチウムポリマー二次電池の製造方法
US20050112462A1 (en) * 2003-11-21 2005-05-26 Marple Jack W. High discharge capacity lithium battery
US8007940B2 (en) * 2001-12-11 2011-08-30 Eveready Battery Company, Inc. High discharge capacity lithium battery
TW512554B (en) 2001-12-18 2002-12-01 Ind Tech Res Inst A method for adhesion of wound electrodes or electrode
KR100431966B1 (ko) * 2002-01-03 2004-05-22 김동원 겔화 가능한 다층구조의 세퍼레이터 및 이들을 이용한리튬이차전지
KR20030065074A (ko) * 2002-01-29 2003-08-06 주식회사 뉴턴에너지 전기화학셀 및 이의 제조방법
CN100346504C (zh) 2002-02-07 2007-10-31 Kvg技术股份有限公司 由吸收性网筛、电解质的过滤作用及吸收性网筛形成的具有凝胶电解质的铅蓄电池
US7008722B2 (en) * 2002-04-10 2006-03-07 Sui-Yang Huang Polymer-gel lithium ion battery
JP4014151B2 (ja) * 2002-09-30 2007-11-28 日立マクセル株式会社 リチウム二次電池
TWI242908B (en) * 2002-12-31 2005-11-01 Hon Hai Prec Ind Co Ltd A separator
KR100496641B1 (ko) * 2003-04-25 2005-06-20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이성 모폴로지를 가지는 리튬 이차전지용 복합 고분자전해질 및 그 제조 방법
US20040241550A1 (en) * 2003-05-28 2004-12-02 Wensley C. Glen Battery separator for lithium polymer battery
TWI283493B (en) 2003-05-30 2007-07-01 Lg Chemical Ltd Rechargeable lithium battery using separator partially coated with gel polymer
US8283071B2 (en) 2003-11-21 2012-10-09 Eveready Battery Company, Inc. High discharge capacity lithium battery
US20050233214A1 (en) * 2003-11-21 2005-10-20 Marple Jack W High discharge capacity lithium battery
US8124274B2 (en) * 2003-11-21 2012-02-28 Eveready Battery Company, Inc. High discharge capacity lithium battery
US20050287425A1 (en) * 2004-06-25 2005-12-29 Celgard Inc. Li/MnO2 battery separators with selective ion transport
JP4526352B2 (ja) 2004-11-08 2010-08-18 日東電工株式会社 電池用セパレータのための反応性ポリマー担持多孔質フィルムとそれを用いた電池の製造方法
KR100803189B1 (ko) * 2005-04-14 2008-02-14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전극, 그 제조 방법, 바인더 조성물 및 이들을 채용한 리튬전지
KR100790849B1 (ko) * 2006-01-27 2008-01-02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폴리우레탄 바인더, 이를 포함하는 전극 및 상기 전극을채용한 리튬 전지
KR100777971B1 (ko) 2006-12-11 2007-11-28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기능성 무기 첨가제를 포함하는 겔화 세퍼레이터 및 이를이용한 리튬이차전지
KR100914108B1 (ko) * 2007-05-03 2009-08-27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전극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하는 이차 전지
JP2008310981A (ja) * 2007-06-12 2008-12-25 Kagawa Industry Support Foundation リチウムイオンポリマー電池
KR20090050686A (ko) * 2007-11-16 2009-05-20 에스케이에너지 주식회사 물성이 뛰어나고 투과도 및 표면에너지가 높은 폴리에틸렌미세다공막
US20100255376A1 (en) 2009-03-19 2010-10-07 Carbon Micro Battery Corporation Gas phase deposition of battery separators
CN103947009B (zh) 2011-11-15 2016-03-09 帝人株式会社 非水系二次电池用隔膜及其制造方法以及非水系二次电池
KR101475791B1 (ko) 2012-03-09 2014-12-23 데이진 가부시키가이샤 비수계 이차전지용 세퍼레이터, 그 제조 방법 및 비수계 이차전지
KR101711982B1 (ko) 2012-03-22 2017-03-03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세퍼레이터 및 리튬 이차 전지
US9178198B2 (en) 2012-06-01 2015-11-03 Samsung Sdi Co., Ltd. Separator for rechargeable lithium battery and rechargeable lithium battery including the same
TW201351758A (zh) 2012-06-11 2013-12-16 Enerage Inc 電化學裝置隔離膜及其製備方法
KR101794264B1 (ko) 2012-07-31 2017-12-01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세퍼레이터, 이를 채용한 리튬전지 및 상기 세퍼레이터 제조방법
US9362546B1 (en) 2013-01-07 2016-06-07 Quantumscape Corporation Thin film lithium conducting powder material deposition from flux
CN105683127B (zh) 2013-10-07 2020-08-28 昆腾斯科普公司 用于锂二次电池的石榴石材料和制造和使用石榴石材料的方法
CN114163219A (zh) 2015-04-16 2022-03-11 昆腾斯科普电池公司 用于固体电解质制作的承烧板和用其制备致密固体电解质的方法
KR102496375B1 (ko) 2015-11-20 2023-02-06 삼성전자주식회사 리튬전지용 전극 복합분리막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한 리튬전지
US9966630B2 (en) 2016-01-27 2018-05-08 Quantumscape Corporation Annealed garnet electrolyte separators
US20170331092A1 (en) 2016-05-13 2017-11-16 Quantumscape Corporation Solid electrolyte separator bonding agent
EP3494613A4 (en) 2016-08-05 2020-03-11 QuantumScape Corporation TRANSPARENT AND TRANSPARENT SEPARATORS
EP3529839A1 (en) 2016-10-21 2019-08-28 QuantumScape Corporation Lithium-stuffed garnet electrolytes with a reduced surface defect density and methods of making and using the same
US10992010B2 (en) 2016-11-09 2021-04-27 Lg Chem, Ltd. Method for lamination of battery cell using solvent and chamber device for carrying out lamination
US10347937B2 (en) 2017-06-23 2019-07-09 Quantumscape Corporation Lithium-stuffed garnet electrolytes with secondary phase inclusions
EP3642899B1 (en) 2017-06-23 2024-02-21 QuantumScape Battery, Inc. Lithium-stuffed garnet electrolytes with secondary phase inclusions
US11600850B2 (en) 2017-11-06 2023-03-07 Quantumscape Battery, Inc. Lithium-stuffed garnet thin films and pellets having an oxyfluorinated and/or fluorinated surface and methods of making and using the thin films and pellets
US11817553B2 (en) * 2019-04-29 2023-11-14 The Johns Hopkins University Deep eutectic solvent-based gel polymer electrolytes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39573A (en) * 1995-08-24 1997-06-17 Motorola, Inc. Polymer gel electrolyte

Family Cites Families (3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861963A (en) * 1968-02-23 1975-01-21 Mc Donnell Douglas Corp Battery separator construction
US4650730A (en) 1985-05-16 1987-03-17 W. R. Grace & Co. Battery separator
JP2715309B2 (ja) 1988-09-20 1998-02-18 宇部興産株式会社 半固体高分子電解質膜およびそれを用いたリチウム電池
US5281491A (en) 1991-12-20 1994-01-25 W. R. Grace & Co. Battery separator
US5240655A (en) 1991-12-20 1993-08-31 W. R. Grace & Co.-Conn. Process of making a battery separator
JPH05190208A (ja) 1992-01-16 1993-07-30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リチウム二次電池
JPH0676808A (ja) * 1992-06-29 1994-03-18 Japan Gore Tex Inc 電池用隔膜及び電池
US5460904A (en) 1993-08-23 1995-10-24 Bell Communications Research, Inc. Electrolyte activatable lithium-ion rechargeable battery cell
US5418091A (en) * 1993-03-05 1995-05-23 Bell Communications Research, Inc. Polymeric electrolytic cell separator membrane
US5296318A (en) 1993-03-05 1994-03-22 Bell Communications Research, Inc. Rechargeable lithium intercalation battery with hybrid polymeric electrolyte
JP3497531B2 (ja) * 1993-08-19 2004-02-16 旭化成ケミカルズ株式会社 微多孔膜被覆体
JP3466734B2 (ja) 1993-10-05 2003-11-17 呉羽化学工業株式会社 フッ化ビニリデン系樹脂多孔質膜とその製造方法
JP3279091B2 (ja) 1993-10-07 2002-04-30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有機電解液リチウム二次電池およびそのセパレータの製造法
JP3011309B2 (ja) 1994-05-12 2000-02-21 宇部興産株式会社 電池用セパレ−タ及びその製法
US5437692A (en) 1994-11-02 1995-08-01 Dasgupta; Sankar Method for forming an electrode-electrolyte assembly
US5667911A (en) 1994-11-17 1997-09-16 Hoechst Celanese Corporation Methods of making cross-ply microporous membrane battery separator, and the battery separators made thereby
US5565281A (en) 1994-12-02 1996-10-15 Hoechst Celanese Corporation Shutdown, bilayer battery separator
TW342537B (en) 1995-03-03 1998-10-11 Atochem North America Elf Polymeric electrode, electrolyte, article of manufacture and composition
JPH08244152A (ja) 1995-03-15 1996-09-24 Nitto Denko Corp 多孔質フィルムおよびその製造法
JP3453005B2 (ja) 1995-06-02 2003-10-06 呉羽化学工業株式会社 積層多孔膜及びそれからなる非水溶媒型電池用セパレーター
JPH09255808A (ja) 1996-03-26 1997-09-30 Junkosha Co Ltd ポリフッ化ビニリデン多孔質体の製造方法
JPH09289040A (ja) 1996-04-22 1997-11-0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非水電解質二次電池の製造方法
JPH09293518A (ja) * 1996-04-26 1997-11-11 Asahi Chem Ind Co Ltd 薄膜状電解質および該電解質を用いた電池
JP3758739B2 (ja) * 1996-04-30 2006-03-22 株式会社ユアサコーポレーション アルカリ電池用セパレータ及びその製造方法
US5688293A (en) 1996-05-15 1997-11-18 Motorola, Inc. Method of making a gel electrolyte bonded rechargeable electrochemical cell
JP3747963B2 (ja) * 1996-06-24 2006-02-22 旭化成ケミカルズ株式会社 高耐熱性ポリエチレン微多孔膜
US5681357A (en) 1996-09-23 1997-10-28 Motorola, Inc. Gel electrolyte bonded rechargeable electrochemical cell and method of making same
JP3225871B2 (ja) 1996-12-26 2001-11-05 三菱電機株式会社 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の製造方法
JPH113717A (ja) * 1997-04-17 1999-01-06 Asahi Chem Ind Co Ltd ハイブリッド電解質および電池
JP4534265B2 (ja) * 1998-12-02 2010-09-01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非水電解質二次電池
JP4476379B2 (ja) * 1999-06-07 2010-06-09 株式会社東芝 非水電解質二次電池
JP2001052750A (ja) * 1999-08-03 2001-02-23 Toshiba Battery Co Ltd ポリマーリチウム二次電池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39573A (en) * 1995-08-24 1997-06-17 Motorola, Inc. Polymer gel electrolyt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5337768B2 (ja) 2013-11-06
EP0933824A3 (en) 2000-07-26
JP2010282976A (ja) 2010-12-16
EP0933824A2 (en) 1999-08-04
TW388134B (en) 2000-04-21
JP4891470B2 (ja) 2012-03-07
JPH11260341A (ja) 1999-09-24
KR19990066849A (ko) 1999-08-16
CA2254809A1 (en) 1999-07-30
US6322923B1 (en) 2001-11-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28478B1 (ko) 겔 전해질 배터리용 격리판_
KR100628606B1 (ko) 리튬 중합체 전지용 전지 격리판
US7087343B2 (en) High melt integrity battery separator for lithium ion batteries
TW543222B (en) Separator for polymer battery
KR101163053B1 (ko) 스택 타입 셀, 개선된 바이-셀, 이들을 이용한 이차 전지용 전극 조립체 및 그 제조 방법
US6328770B1 (en) Method of making multi-layer electrochemical cell devices
JP5882549B1 (ja) 非水系二次電池用セパレータ、その製造方法及び非水系二次電池
US6579643B1 (en) Separator having a plasticizer coating for use in electrochemical cell devices
KR101847679B1 (ko) 이차전지용 전극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이차전지
KR20020070439A (ko) 전기화학 전지 장치에 사용하기 위한 격리판의 처리 방법
JP4674031B2 (ja) 非水電解質二次電池
KR20180052108A (ko) 용매를 이용하여 전지셀을 라미네이션하는 방법 및 상기 라미네이션을 위한 챔버 장치
KR20020070438A (ko) 다층 전기화학 전지 장치
JP2000353497A (ja) シート型電池の製造方法
KR20200045343A (ko) 접착층이 구비된 폴리올레핀 분리막 및 그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30

Year of fee payment: 8

J204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8

Year of fee payment: 9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130830

Effective date: 20151130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3100002364;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130830

Effective date: 20151130

J121 Written withdrawal of request for trial
J122 Written withdrawal of action (patent cour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9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9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8

Year of fee payment: 13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