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94883B1 - 자동차용 클러치 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클러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94883B1
KR100594883B1 KR1020007005557A KR20007005557A KR100594883B1 KR 100594883 B1 KR100594883 B1 KR 100594883B1 KR 1020007005557 A KR1020007005557 A KR 1020007005557A KR 20007005557 A KR20007005557 A KR 20007005557A KR 100594883 B1 KR100594883 B1 KR 1005948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utch device
automobiles
ring
abandoned
pay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70055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32338A (ko
Inventor
블라드미쉘
달비에앙드레
티리옹드브리엘쟈끄
Original Assignee
발레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FR9811991A external-priority patent/FR2783580B1/fr
Application filed by 발레오 filed Critical 발레오
Publication of KR200100323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323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948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948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13/00Friction clutches
    • F16D13/58Details
    • F16D13/75Features relating to adjustment, e.g. slack adjusters
    • F16D13/757Features relating to adjustment, e.g. slack adjusters the adjusting device being located on or inside the clutch cover, e.g. acting on the diaphragm or on the pressure plat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13/00Friction clutches
    • F16D13/58Details
    • F16D13/60Clutching elements
    • F16D13/64Clutch-plates; Clutch-lamella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13/00Friction clutches
    • F16D13/58Details
    • F16D13/70Pressure members, e.g. pressure plates, for clutch-plates or lamellae; Guiding arrangements for pressure members
    • F16D13/71Pressure members, e.g. pressure plates, for clutch-plates or lamellae; Guiding arrangements for pressure members in which the clutching pressure is produced by springs on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13/00Friction clutches
    • F16D13/58Details
    • F16D2013/581Securing means for transportation or shipp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13/00Friction clutches
    • F16D13/58Details
    • F16D13/70Pressure members, e.g. pressure plates, for clutch-plates or lamellae; Guiding arrangements for pressure members
    • F16D2013/706Pressure members, e.g. pressure plates, for clutch-plates or lamellae; Guiding arrangements for pressure members the axially movable pressure plate is supported by leaf springs

Abstract

본 발명은 커버와 일체형으로 무단 스크류(36)와 맞물리는 치형부(31)가 설치된 중간 부분(310)과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회전 연동된 램프(32) 링(330)을 갖는 마모 흡수 장치를 포함하는 클러치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자동차에 적용가능하다.

Description

자동차용 클러치 장치{CLUTCH MECHANISM PROVIDED WITH AN ENDLESS SCREW WEAR TAKE-UP DEVICE}
본 발명은 자동차용 마찰 클러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예를 들면 프랑스 특허 출원 공개 제 FR-A-2 242 892 호 및 FR-A-2 420 690 호에 개시된 클러치와 같은 단일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그러한 단일 조립체는 클러치 장치로 불리운다.
종래에 있어서, 마찰 클러치는 특히 비틀림 댐핑 플라이휠 또는 가요성 플라이휠을 형성하기 위해 2개의 부분인 것이 가능한 구동 플라이휠을 갖는다. 구동 플라이휠은 반동판을 갖는다.
구동 플라이휠은 자동차에 적용된 경우 구동 샤프트, 즉 내연 기관의 크랭크 샤프트와 같은 제 1 샤프트에 함께 회전하도록 고정된다.
반동판은 뒤쪽에 마찰면을 가지며 압력판에 함께 회전하도록 고정되며, 압력판은 반동판에 대해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하다.
이러한 압력판은 앞쪽에 반동판의 마찰면과 마주보는 마찰면을 갖는다.
마찰 디스크의 마찰 라이닝은 압력판과 반동판 사이에 개재되거나, 또는 보다 정확하게는 이들의 마찰면 사이에 개재되어, 마찰 트랙(tracks)을 형성한다.
이들 라이닝은 지지체에 고정되며, 클러치 해제 작동동안 도움을 주는 점진식(progressive) 마찰 디스크를 형성하도록 일반적으로 축방향으로 탄성적으로 변형가능하다. 이중인 것이 가능한 이러한 지지체는 차동차에의 적용과 관련하여 종동 샤프트와 같은 제 2 샤프트, 즉 이동 트랜스미션(movement transmission)(예를 들면, 기어 박스)의 입력 샤프트에 함께 회전하도록 고정되는 허브에 연결된다. 변형예로서, 지지체는 마찰 라이닝내에 매립된다. 모든 경우에 있어서, 마찰 디스크는 그의 외주연부에 2개의 마찰면을 가지며, 이 마찰면은 클러치의 작동 수명동안 마모된다.
마찰 라이닝이 압력판과 반동판 사이에 클램프되면(클러치가 맞물림), 구동 샤프트로부터 마찰 디스크를 통해 종동 샤프트로 토크가 전달된다. 마찰 라이닝이 상기 압력판과 반동판 사이에 클램프되어 있지 않으면(클러치가 해제됨), 종동 샤프트는 구동 샤프트에 의해 구동되지 않는다. 이를 위해, 축방향으로 작동하는 맞물림 부재가 제공되며, 압력판에 작용하도록, 보다 정확하게는 커버에 대해 축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동안 예를 들면 축방향 탄성 설형부(tongue)와의 연결 수단 또는 장부 구멍(mortise)과 장부(tenon) 형태의 연결 수단에 의해 커버에 함께 회전하도록 고정되는 압력판에 의해 지지되는 지지 수단에 작용하도록 커버를 지지하는 맞물림 부재의 필요한 작동으로서 대항하도록 설계된 해제 수단을 갖는 조립체를 형성하며; 압력판상의 반경방향 러그(장부를 형성함)는 커버내의 홈(장부 구멍을 형성함)내로 축방향으로 활주하도록 맞물린다.
이 커버는 착탈식으로 또는 비착탈식으로 반동판에 고정시키기 위해 그 외주연부에 고정 수단을 갖는다.
맞물림 부재는 적어도 하나의 접시 와셔와 해제 수단상에 작용하기 위한 해제 레버의 해제 수단을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맞물림 및 해제 수단은 다이어프램이라 불리우는 동일한 축방향 탄성 피스에 속한다. 자유 상태에서 절두원추형인 다이어프램은, 접시 와셔형이며 블라인드 슬롯에 의해 반경방향 핑거로 나뉘어진 중앙부에 의해 중앙쪽으로 반경방향으로 연장하는 주연부를 가지며, 블라인드 슬롯은 축방향으로 작용하는 맞물림 부재를 구성하는 접시 와셔의 내주연부에 확장된 오리피스를 형성하도록 확장된 바닥을 갖는 반면, 반경방향 핑거는 해제 레버를 형성하며 그에 따라 클러치 해제 수단을 형성한다.
프랑스 특허 출원 공개 제 FR-A-2 242 892 호 및 FR-A-2 420 690 호에 있어서, 압력판을 갖는 커버는 탄성 설형부 및 다이어프램을 구성하며, 클러치 장치로 불리우는 단일 조립체는 반동판에 부착된다. 물론 이러한 클러치 장치는 마찰 디스크 및 반동판과 함께 모듈을 구성할 수 있으며, 이 모듈은 차량 엔진의 크랭크 샤프트에, 또는 크랭크 샤프트에 고정된 플랭크에 일체식으로 부착되며, 그런 후 반동판은 바람직하게는 가요성인 플랜지에 고정된다.
발명의 요약
본 장치는 마찰 라이닝 및 압력판과 반동판의 마찰면상의 마모를 보상하여 클러치가 맞물렸을 때 및 마찰 클러치의 작동 수명동안 다이어프램이 실질적으로 일정한 위치를 갖도록 마모 흡수 장치(wear take-up device)로 불리우는 보상 장치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다이어프램은 클러치 맞물림 위치에서 압력판상에 실질적으로 일정한 하중을 미친다. 다이어프램 핑거의 내측 단부에 작용하는 클러치 해제 베어링의 이동(travel)은 해제 작동동안 실질적으로 일정하다.
이러한 마모 흡수 장치는 다이어프램의 지지 수단과 압력판 사이에서 또는 다이어프램과 커버 사이에서 작동하는 램프(ramps) 및 카운터-램프(counter-ramps)를 갖는다.
마찰 라이닝 상의 마모 상태에 민감한 트리거(trigger)는 마모가 발생한 경우 램프를 회전시켜 맞물림 부재(클램프된 라이닝)의 작동하에 클러치가 맞물릴 때 다이어프램이 항상 동일한 위치를 갖도록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트리거는 프랑스 특허 출원 공개 제 FR-A-2 753 503 호에 개시된 바와 같은 카트리지의 일부를 형성하는 래칫 휠 및 웜(worm) 장치를 구비한다.
보다 정확하게는, 탄성 부재에는 래칫 휠 및 비복귀 캐취(non-return catch)상에 치형부와 협력하는 제어 설형부가 제공된다.
마모가 발생한 경우, 제어 설형부는 액추에이터에 의해 조작되며, 이 경우 다이어프램의 부속물은 래칫 휠을 회전시키고 흡수 스프링을 포함하도록 결과적으로 팽창된다. 특히 스프링이 팽창할 때, 비복귀 캐취는 웜이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한다. 웜은 압력판에 고정된 카운터-램프와 협력하기 위한 램프가 구비된 링과 일체형인 한 세트의 치형부와 맞물린다.
따라서, 마모가 발생한 경우, 적절한 압력판과 램프를 갖는 링으로 이루어진 압력판의 두께는 증가되고, 상기 링은 맞물림 부재용 지지 수단을 구성하는 지지 돌출부를 지지한다.
따라서 링은 웜과 직접적으로 맞물린다.
이러한 구성은 만족할만 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응용은 탄성 부재를 간략화하기 위해 비복귀 캐취를 제거할 수 없을거라 생각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술한 형태의 맞물림 장치는 중간 피스에 대해 램프를 갖는 링의 축방향 운동을 허용하면서 램프를 갖는 링에 함께 회전하도록 연결된 중간 피스에 한세트의 치형부가 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으로 인해, 한 세트의 치형부가 중간 피스에 의해 램프를 갖는 링에 회전식으로 단독으로 연동되고 웜이 한세트의 치형부를 회전 구동시키지만, 그 반대로는 회전 구동시키지 않기 때문에 비복귀 캐취는 생략될 수 없으며, 이 연결은 비가역적 설계(irreversible design)이다. 한 세트의 치형부가 램프를 갖는 링에 축방향으로 연결되지 않고 따라서 맞물림 및 해제 작동동안 링에 의해 구동되지 않기 때문에, 웜과 한세트의 치형부 사이의 연결은 가역적이다. 중간 피스는 전반적으로 축방향으로 고정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와셔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르면, 래칫 휠 및 제어 설형부의 존재는 더이상 필수적이지 않다. 이것은 다이어프램상의 부속물이 프랑스 특허 출원 공개 제 FR-A-2 424 442 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드럼내의 리세스에 들어갈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연결부는 원주방향 장착 간극을 갖는 형상의 협력부이며 압력판을 커버에 회전가능하게 연결시키는 탄성 설형부는 와셔를 파지하도록 사용되며, 동일 세트의 설형부인 2개의 설형부 사이에서 중간 피스를 구성한다. 이를 달성하기 위해, 설형부는 중간 와셔를 파지하기 위한 돌출부를 갖는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돌출부는 단부에 형성되어 설형부를 커버에 고정시킨다. 따라서 중간 와셔는 축방향으로 고정되고 예를 들면 스켈럽(scallops)이 제공되며, 이 스켈럽내로 램프를 갖는 링상의 러그가 들어가며 따라서 형상의 협력에 의해 중간 와셔에 축방향 이동성을 가지고 함께 회전하도록 연결된다.
물론, 이 구조는 변형될 수 있는데, 와셔는 램프를 갖는 링내의 축방향 스켈럽내로 들어가는 반경방향 러그를 갖는다. 변형예로서, 예를 들면 웜에 접하는 흡수 스프링을 대신하는 적어도 하나의 코일 스프링에 의해 중간 피스는 램프를 갖는 링에 회전 불가능하게 탄성적으로 연동된다.
변형예로서, 한세트의 치형부를 갖는 중간 피스는, 제 1 설형부라 불리우고 압력판과 커버 사이에서 작동하는 형상의 제 2 의 축방향으로 탄성적으로 변형가능한 설형부에 의해 램프를 갖는 링에 함께 회전하도록 연결된다. 이러한 방법에서 램프를 갖는 링과 중간 피스 사이의 마찰은 없어지며, 접선 방향으로의 실시예에 있어서 제 2 설형부는 단부중 하나가 램프를 갖는 링에 연동되고 다른 단부는 한세트의 치형부를 지지하는 중간 피스에 연동된다.
제 2 설형부에 의해, 재료의 손실은 감소될 수 있으며, 램프를 갖는 링 및 중간 피스는 크로핑(cropping)에 의해 동일한 금속 블랭크(blank)로 제조될 수 있으며, 중간 피스는 램프를 갖는 링을 둘러싼다.
모든 경우에 있어서 제 2 축방향 탄성 설형부는 램프를 갖는 링과 중간 피스로 이루어지는 소조립체를 형성하며, 이 소조립체는 조작되고 이송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것은 최종 조립을 수월하게 한다.
또한, 이러한 제 2 설형부는, 초기 응력을 가함으로써 바람직하게 장착되며, 램프를 갖는 링이 지지 수단에 의해 다이어프램 또는 보다 정확하게는 외측 주연부와 접촉하는 것으로 인해 커버에 의해 지지되는 적어도 하나의 스톱(stop) 방향으로 중간 피스에 복귀 작용을 미친다. 따라서, 제 2 설형부의 초기 응력으로 인해, 소조립체는 램프를 갖는 링으로 이루어지며, 제 2 설형부와 중간 피스는 자유 상태에서 스톱과 다이어프램 사이의 클러치내에 장착될 때 갖는 것보다 큰 두께를 갖는다. 초기 응력은 바람직하게 선택되어 클러치가 해제될 때 전술된 소조립체는 다이어프램 및 스톱과 접촉한다. 제 2 실시예에 있어서 제 2 설형부는 초기 응력을 미치기 위해 아치형부로 된다. 제 2 설형부는 만곡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본 스톱은 제 1 설형부에 속하는 돌출부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스톱은 분할될 수 있거나 또는 연속체일 수 있다. 변형예에 있어서, 스톱은 강성 피스 사이에서 제 1 설형부를 파지하는 강성 피스에 의해 형성되며 커버는 외주연부에 반경방향 에지의 영역을 갖는다. 따라서, 제 1 설형부는 보호되며, 제 1 설형부는 형상의 협력에 의해 함께 회전하도록 스톱을 체결하도록 사용된다.
변형예에 의하면, 스톱은 커버에 의해 지지되는 웜을 포함하는 카트리지의 존재에 의해 필수로 만들어지는 클러치 장치용 균형 매스(masses)에 의해 형성된다.
이 카트리지는 이러한 목적을 위해 커버가 갖는 하우징내에 장착된다. 커버는 실제로 한개 이상의 하우징을 갖는다. 텅빈 하우징은 일 방향으로 축방향으로 체결하기 위한 스톱으로서 작동하는 균형 매스를 장착하기 위해 사용되며, 따라서 중간 피스는 램프를 갖는 링과 회전 연결하기 위한 제 2 설형부에 미치는 복귀 작용하에서 다이어프램과 접촉하는 램프를 갖는 링에 의해 다른 방향으로 축방향으로 고정되었기 때문에, 중간 피스는 파지될 필요가 없다.
제 2 설형부는 표준 형상의 설형부, 즉 제 1 설형부와 동일한 형태일 수 있다. 이러한 설형부로 인해, 중간 피스는 커버상의 스커트에 대해 중앙에 위치될 수 있어, 램프를 갖는 링을 중앙에 위치시키기 위해 압력판을 가공할 필요가 없으며, 더이상 중심설정 에지를 제공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램프를 갖는 링은 간단한게 된다.
중간 피스의 존재는 적어도 하나의 흡수 스프링을 램프를 갖는 링과 중간 피스 사이에 위치시킬 수 있도록 하며, 이는 웜을 지지하는 카트리지를 간단하게 한다.
중간 피스는 특히 설형부에 의해 램프를 갖는 링에 연결될 때 연소적인 링의 형상이 아닐 수 있다.
제 2 설형부는 다른 형상, 예를 들면 콘서티나(concertina)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제 2 설형부는 원주방향 작동을 가지며 따라서 흡수 스프링을 구성한다. 이렇게 하기 위해, 제 2 설형부는 콘서티나 형상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는 카트리지의 레벨에서 흡수 스프링을 제거할 수 있으며, 설형부는 램프를 갖는 링과 중간 피스 사이에 사전 응력이 가해진채 장착된다.
변형예로서, 제 2 설형부는 아크형 대신에 원래 편평하며, 제 1 설형부도 평편하며, 제 1 설형부의 복귀력은 증가되며, 이는 중간 피스가 램프를 갖는 링의 방향으로 강제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전술된 소조립체를 장착하기 전에 제 2 설형부를 보호하기 위해 커버상에 형성되는 제거가능한 후크 또는 링크(예를 들면 클립 형상임)는 중간 피스와 램프를 갖는 링 사이에서 작용한다. 변형예로서 후크는 나사, 볼트 등으로 대체될 수 있으며, 이들은 최종적으로 후크와 동일한 방법으로 제거된다. 모든 경우에 있어서, 중간 피스는 커버에 의해 지지되는 축방향 스톱에 대해 압축되며, 커버에서 압력판으로 향하는 축방향으로 중간 피스를 유지시킬 수 있도록 설계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흡수 스프링은 사전 응력하에 장착되어 흡수는 원칙적으로 재맞물림 동안 발생하며 한세트의 치형부와 나사 사이의 마모 및 상대적인 운동은 감소된다.
다른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상세한 설명에 비추어 나타난다.
도 1은 다이어프램, 접선 설형부, 램프 수단 및 마모 흡수 장치의 카트리지를 도시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클러치 장치를 국부적으로 절개한 정면도,
도 2는 도 1의 상부의 확대도,
도 3은 도 1의 A-A 선 단면도,
도 4는 도 1의 B-B 선 단면도,
도 5 및 도 6은 각기 도 1의 화살표(C, D) 방향으로 본 도면,
도 7은 도 1의 E-E 선 단면도,
도 8은 도 1의 화살표(F) 방향으로 본 도면,
도 9는 한세트의 설형부를 도시하기 위해 도 3의 바닥부의 확대도,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로서 도 3 및 도 4와 유사한 반부도,
도 12는 제 2 실시예에 대한 도 8의 유사도,
도 13은 도 10의 화살표(F') 방향으로 본 부분 도면,
도 14는 도 13의 화살표(G) 방향으로 본 부분 도면,
도 15 및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제 3 실시예로서 도 13 및 도 14와 유사한 도면,
도 17 및 도 18은 제 4 실시예로서 도 13 및 도 14와 유사한 도면,
도 19, 도 20 및 도 21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로서 도 10, 도 11 및 도 13과 유사한 도면,
도 22는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로서 부분적으로 절개한 도 1의 유사도,
도 23, 도 24 및 도 25는 각기 도 22의 A'-A' 선, B'-B' 선 및 C'-C' 선 단면도,
도 26은 도 22의 램프를 갖는 조절 링과 중간 피스로 이루어지는 조립체의 정면도,
도 27은 도 26의 27-27 선 단면도,
삭제
도 28은 도 4의 카트리지의 확대도,
도 29는 본 발명의 제 7 실시예로서 한세트의 램프를 갖는 링 및 치형부를 갖는 중간 피스와, 맞물림 부재용 지지 수단으로 이루어진 조립체를 나타내는 도면,
도 30은 도 29의 30-30 선 단면도,
도 31은 도 29의 화살표(31) 방향으로 본 도면,
도 32는 제 7 실시예에 대한 도 24의 유사도,
도 33, 도 34 및 도 36은 제 8 실시예로서 각기 도 35의 33-33 선, 34-34 선 및 36-36 선 단면도,
도 35는 제 8 실시예에 대한 하나의 제 1 설형부의 레벨에서의 부분도,
도 37은 도 35의 화살표(37) 방향으로 본 도면,
도 38은 제 9 실시예로서 부분적으로 절개한 부분 정면도,
도 39, 도 40 및 도 41은 각기 도 38의 39-39 선 및 40-40 선 단면도, 및 화살표(41) 방향으로 본 도면,
도 42는 제 10 실시예로서 도 2와 유사한 부분도,
도 43은 도 42의 제 2 설형부 및 중간 피스를 도시하는 도면,
도 44는 제 11 실시예로서 도 1과 유사한 부분도,
도 45 및 도 46은 각기 도 44의 45-45 선 및 46-46 선 단면도,
삭제
도 47은 도 46의 카트리지의 지지체를 도시하는 도면,
도 48은 제 12 실시예로서 도 47과 유사한 도면,
도 49는 도 47의 지지체를 나타내는 도면,
도 50은 도 48의 샤프트를 나타내는 도면,
도 51은 도 48의 래칫 휠 및 웜으로 이루어진 조립체의 사시도로서, 도면들에 있어서 공통 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나타냄,
도 52는 도 47의 카트리지의 사시도.
본 도면이 도시하는 것은 단일 조립체를 형성하는 클러치 장치를 나타내는 것으로, 단일 조립체는 일반적으로 구동 플라이휠에 속하는 반동판에 부착되며, 바람직하게는 클러치 장치가 갖는 반동판과 압력판 사이에 마찰 디스크를 삽입시키는 것과 함께 댐핑 플라이휠 또는 가요성 플라이휠을 형성하도록 나뉘어진다.
자동차에 적용하는 경우에, 구동 플라이휠은 내연 기관의 크랭크 샤프트(구동 샤프트를 형성함)에 함께 회전하도록 고정되는 반면, 마찰 디스크는 외주연부에 마찰 라이닝을 가지며, 예를 들면 리벳 이음에 의해 또는 고정 리벳을 갖지 않는 연결에 의해 지지체에 고정되며, 이중으로 되는 것이 가능하며, 점진 마찰 디스크를 형성하도록 축방향으로 탄성 변형가능하며 함께 회전하도록 고정된 허브(기어박스의 입력 샤프트이며, 종동 샤프트를 형성함)에 강성 또는 탄성적으로 연동된다. 변형예에 있어서, 지지체는 마찰 라이닝내의 외주연부에 매립된다. 마찰 디스크는 모든 경우에 있어서 2개의 마찰면과 적어도 하나의 라이닝을 가지며, 지지체는 축방향으로 탄성적이거나 또는 축방향으로 강성이다.
마찰 라이닝은 차량 엔진으로부터 기어박스의 입력 샤프트로 토크를 전달하기 위해 압력판과 반동판 사이에 해제가능하게 클램프된다. 이러한 것을 달성하기 위해, 축방향으로 작동하는 맞물림 부재가 제공되어 마찰 라이닝을 압력판의 정면의 마찰면(11) 또는 마찰 트랙과 반동판의 배면의 마찰면 또는 마찰 트랙 사이에 클램프하며, 이는 크랭크 샤프트에 고정된 가요성 디스크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맞물림 부재는 맞물림 부재의 작동에 의도적으로 반대 작용하는 해제 수단을 갖는 조립체를 형성하며, 맞물림 부재는 압력판(1)에 의해, 또는 보다 정확하게는 압력판(1)의 배면에 의해 지지되는 한편으로 커버(2)에 영향을 미치고 다른 한편으로 지지 수단(3)에 영향을 미친다.
해제 수단은 그의 내측 단부에 해제 레버를 가지며, 이는 수동으로, 기계적 또는 유압식으로, 또는 반자동 또는 자동으로 제어되는 클러치 해제 베어링을 작동시킨다. 따라서 베어링은 특히 구동 및 종동 샤프트의 회전 속도 및 기어를 바꾸고자 하는 운전자의 의도의 정보를 수신하는 컴퓨터에 의해 소정의 프로그램으로 제어되는 전기 모터를 갖는 액추에이터에 의해 조절될 수 있다. 액추에이터는 유압식으로 또는 수동식으로 클러치 해제 베어링에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클러치 해제 베어링은 동심 형상의 유압 리시버 부분을 형성할 수 있으며, 기어박스 입력 샤프트는 유압 리시버를 통과해 유압 전달 장치에 연결되고 액추에이터 또는 수동으로 조종된다.
본 도면에 있어서, 동일 부분에 속하는 맞물림 부재 및 해제 수단은 다이어프램(4)으로 불리운다.
본 다이어프램은 자유 상태에서 절두원추 형상이며 사인파형 특성 곡선(휘어짐의 함수로서 힘이 인가됨)을 갖는다. 따라서, 원점에서 시작하여, 특성 곡선은 최대치로 증가하고, 그 후 다시 증가시키기 위해 최소치로 감소한다. 클러치 맞물림 위치에서, 다이어프램은 최대치에 근접한 특성 곡선의 감소 부분인 위치를 갖는다.
동일한 특성 곡선이 접시형(Belleville) 와셔에 의해 얻어진다.
공식적으로, 다이어프램(4)은 맞물림 부재를 구성하는 접시 와셔(41)의 형태인 외주연부를 가짐을 알 수 있다. 이 주연부는 블라인드 슬롯(43)에 의해 반경방향 핑거(42)로 분할된 중앙부에 의해 중앙쪽으로 반경방향으로 연장된다.
핑거(42)는 해제 레버를 형성하는 반면, 슬롯(43)은 그 내주연부가 다이어프램(4)의 중앙 개구내로, 그리고 그 외주연부가 슬롯(43)의 블라인드 바닥을 형성하는 확장된 오리피스(44)내로 개방한다. 그러한 오리피스(44)는 사각형 형상이다.
이들 도면에 있어서, 클러치 장치는 일체식으로 한세트의 환형 부품, 즉 압력판(1), 커버(2) 및 다이어프램(4)을 가지며, 압력판과 반동판의 마찰면 사이의 마찰 라이닝을 클램프하기 위해 한편으로 커버(2)에 영향을 미치고 다른 한편으로 지지 수단(3)에 영향을 미친다.
주조가능한 재료로 제조되고, 본원에서는 반동판과 유사한 주철로 제조된 압력판(1)은 커버(2)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반면 축방향으로 탄성적으로 변형가능한 설형부(10)에 의해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하다. 제 1 설형부라 불리우는 설형부(10)는 접선방향으로 배향되고 리벳 이음에 의해 일 단부가 커버에, 그리고 다른 단부는 압력판(1)에, 보다 정확하게는 반경방향 외측으로 돌출한 압력판(1)의 러그(12)에 고정된다. 변형예로서, 설형부(10)는 반경방향으로 배향된다.
변형예에 있어서, 설형부를 형성하는 러그(12)는 커버(2)내에 장부 구멍을 형성하는 축방향 홈에 맞물린다.
삭제
설형부(10)는 압력판을 커버 방향으로 복귀시키는 수단을 구성하며, 다이어프램(4)은 압력판(1)을 커버에 대향된 방향으로 강제한다. 보다 정확하게는, 커버(2)는 한편으로 중앙 구멍을 가지며 횡방향으로 배향된 바닥(21)과 다른 한편으로 커버(2)를 반동판에 고정시키는 수단(22)을 갖는다. 설형부(10)는 압력판(1)을 바닥(21) 방향으로 강제한다.
도시된 도면에 있어서, 커버는 대략적으로 중공 접시 형상을 가지며 클러치 장치가 같은 축방향 대칭축(X-X)과 대향된 방향으로 반경방향으로 배향된 반경방향 단부 플랜지(22)를 갖는다. 플랜지(22)는 축방향으로 배향된 환형 스커트(23)에 의해 바닥(21)에 연결된다. 스커트(23)는 직경 방향으로 단차가 형성되고, 설형부(10)의 레벨에서 개방되며, 이는 압력판을 커버(2)의 바닥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복귀시킨다.
플랜지(22)는 고정 수단을 구성하며, 설형부(10)를 고정시키기 위해서, 그리고 반동판에 고정시키기 위해 축방향으로 편향된 영역(28, 27)으로 분할된다. 반동판에 고정시키기 위한 영역(27)은 반동판에 고정시키기 위한 부재의 통로용 구멍(나사)을 갖는다. 변형예에 있어서, 반동판은 크랭크 샤프트에 고정된 가요성 디스크에 고정될 수 있다. 커버(2)는 스커트(23)에 의해 가요성 디스크에 고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스커트(23)는 자유 단부 러그가 용접 또는 리벳 이음에 의해 가요성 디스크에 고정된다. 다이어프램(4)은 그의 접시 와셔(41)의 외주연부가 지지 수단(3)에 지지되는 반면, 접시 와셔(41)의 내주연부는 2개의 배향 지지체 사이에서 기울어지도록 장착되며, 제 2 지지체(25)는 고정 러그(26)에 의해 지지되고 제 1 지지체(24)는 바닥(21)에 의해 지지된다.
고정 러그(26)는 커버(2)의 바닥(21)의 내주연부로부터의 자르고 접음으로써 이루어지며, 압착된 시트 금속으로 제조된다.
러그(26)는 규칙적으로 원주방향으로 분포되고, 축방향으로 배향된다.
러그(26)는 다이어프램(4)의 확장된 오리피스(44)를 축방향으로 통과하며 다이어프램(4)을 지나 반경방향 외측으로, 즉 스프링 링(125)용 고정 엘보를 형성하기 위해 조립체의 축에 대향한 반경방향으로 접혀지고, 절두원추 형상이며, 외주연부에 제 2 지지체를 구성하는 둥근 에지(25)를 갖는 자유 단부를 구비한다. 제 1 지지체(24)는 커버(2)의 바닥(24)을 압착함으로써 형성된 환형 링 형태를 갖는다.
변형예로서, 링(24)은 커버(2)에 부착된다. 다이어프램의 접시 와셔(41)의 내주연부는 서로 대향된 지지체(24, 25) 사이에서 축방향으로 개재된다. 클러치 맞물림 위치에 있어서, 다이어프램(4)은 제 1 지지체(24) 및 압력판의 지지 수단(3)에 접한다.
클러치 해제 베어링(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다이어프램(4)의 핑거(42)의 내측 단부를 가압하여 작동시킴으로써, 다이어프램(4)이 경사지며, 그런 후 지지 수단(3)을 통해 압력판(1)에 미치는 하중을 제거하기 위해 제 2 지지체(25)를 지지하며; 설형부(10)는 마찰 라이닝을 해제하여 클러치를 해제하기 위해 커버(2)의 바닥(21) 방향으로 압력판을 복귀시킨다.
물론, 제 2 지지체는 불연속일 수 있지만, 전술된 프랑스 특허 출원 공개 제 FR-A-2 242 892 호에 따라 형성된 고정 러그(26)의 자유 단부가 형성된다.
고정 러그(26)는 횡방향으로 배향된 지지 러그(25)와 원주방향으로 교호적으로 된다.
이러한 스톱 러그는 절단 공정에 의해 커버의 바닥(21)을 갖는 단일 피스로 제조되고 커버(2)의 바닥(21)의 내주연부로 연장하며, 따라서 내측으로 톱니 형상을 갖는다.
보다 자세한 설명을 위해, 접혀지기 전의 고정 러그(26) 및 고정 러그(26)보다 원주방향으로 폭이 넓은 스톱 러그(5)를 도시하는 프랑스 특허 출원 공개 제 FR-A-2 242 892 호를 참조하기 바란다.
스톱 러그(5)는 2개의 연속되는 핑거(42)를 분리시키는 슬롯(43)을 덮는다.
물론, 이러한 모든 것은 커버의 크기에 의존한다. 따라서 스톱 러그(5)는 해제 레버를 형성하는 적어도 2개의 핑거(42)용 스톱을 형성한다. 이러한 스톱 러그(5)는 사다리꼴 형상을 갖는다. 스톱 러그(5)의 내경은 접힌 후 고정 러그(26)의 내경보다 작다. 러그(5, 26)는 환형 형상의 제 1 지지체(24) 아래로 반경방향으로 연장한다. 스캘럽(6)은 2개의 연속되는 스톱 러그(5)를 분리시킨다. 고정 러그(26)는 다이어프램(4)내의 확장된 오리피스(44)로 축방향으로 들어가도록 스캘럽(6)의 중간에 위치된다.
스톱 러그(5)의 내주연부는 확장된 오리피스(44) 아래로 반경방향으로 연장한다. 고정 러그(26)는 커버상의 다이어프램(4)의 장착을 경사 또는 피봇시키기 위한 고정 수단을 구성한다. 변형예에 있어서, 고정 러그는 생략될 수 있으며 커버는 프랑스 특허 출원 공개 제 FR-A-2 420 690 호에 개시된 바와 같은 스톱 러그만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있어서, 고정 러그는 빗 모양인 환형 피스를 장착하기 위한 구멍, 제 2 지지체를 형성하는 프로파일 헤드(profiled head)를 갖는 작은 칼럼 등을 갖는다. 모든 실시예에 있어서, 클램프와 같이, 프랑스 특허 출원 공개 제 FR-A-2 420 690 호(보다 상세한 설명을 위해 참조됨)에 개시된 2개의 지지 링 등을 지지하는 작은 칼럼이 예상될 수 있다. 따라서 설형부의 형태인 스톱 러그(5)는 고정 러그일 수 있다. 변형예로서, 고정 러그(26)의 단부는 축방향 부분만을 보유하도록 절단된다. 그런 후 러그(26)는 센터링 러그 및 스톱 러그(5), 전술한 방법의 고정 러그를 형성한다. 변형예로서, 커버는 스톱 러그를 갖지 않으며, 스톱 러그중 일부는 고정 러그를 형성한다.
변형예로서, 고정 러그(26)는 폴스 다이어프램(false diaphragm), 즉 중앙 부분이 다이어프램의 것과 유사하게 핑거로 나뉘어진 반면 환형 주연부는 탄성이 없거나 또는 작은 탄성을 갖는 피스를 지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와셔 형태의 환형 주연부에는 폴스 다이어프램 및 와셔 형태의 환형부의 외주연부에서 반경방향으로 개방되는 블라인드 반경방향 슬롯이 제공된다.
따라서 폴스 다이어프램의 와셔는 자유 상태에서 뿐만 아니라 폴스 다이어프램에서 대략 평평하다.
따라서 접시형 와셔는 그 외주연부가 커버상에 지지되고, 그 내주연부가 폴스 다이어프램의 주연부 와셔상에 지지된다. 그러한 예시적인 실시예는 독일 특허 출원 공개 제 DE-A-4 326 501 호에 개시되어 있으며, 보다 자세한 설명을 위해 이것을 참조하기 바란다.
물론, 본원의 관점에서, 폴스 다이어프램은 커버에 의해 지지되는 고정 링에 의해 커버상에서 경사 또는 피봇하도록 장착되는 다수의 개별 해제 레버로 교체될 수 있으며, 2개의 접시 와셔의 개재부는 맞물림 부재를 형성하도록 일렬로 장착됨을 알 수 있다.
모든 경우에 있어서, 커버(2)는 커버(2)상에서 피봇 또는 경사지도록 장착된 해제 레버(42)를 지지하며, 맞물림 부재는 독일 특허 출원 공개 제 DE-A-4 326 501 호에서와 같이 일렬로 장착된 2개의 접시 와셔를 포함하거나, 또는 1997년 9월 5일자로 출원번호 제 FR-A-2 753 458 호로 공개된 프랑스 특허 출원 공개 제 FR-A-9 711 058 호에 개시된 바와 같은 보조 와셔가 일렬로 장착된 다이어프램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프랑스 특허는 또한 본 발명의 도 1의 실시예의 형태의 래칫 휠, 웜 및 한세트의 치형부를 갖는 마모 흡수 장치를 개시한다.
스톱 러그(고정 러그를 형성하는 것이 가능함)를 갖는 커버가 제공된 다수의 클러치는 현재 제조되고 있다.
이러한 형태의 커버는 자동차 제조자 또는 차동차 수리 공장 작업자에게 이송 위치에 새로운 또는 수선된 클러치 장치를 공급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 스톱 러그와 해제 레버 사이에 심(shim)을 삽입하는데 사용되며, 해제 레버가 스톱 러그와 인접할 때 압력판은 보관 위치에 있을 때보다 커버(2)의 바닥(21)에 근접한다.
보다 정확하게는, 지지 피스(8)는 반경방향 외측으로 돌출하는 외주연 파지 러그(7)를 지지한다. 지지 피스(8)는 적어도 다수의 해제 레버(42)와 접촉하는 반면, 파지 러그(7)는 해제 레버(42)쪽을 향하는 스톱 러그(5)의 면과 접촉하여 파지 러그(7)와 지지 피스(8)는 베요닛 타입의 장착에 의해 해제 레버(42)와 스톱 러그(5) 사이에서 축방향으로 삽입된다.
도면에 있어서, 지지 피스(8)는 환형 형상을 가지며 지지 피스를 돌리기 위한 공구와 맞물리기 위한 수단(9)을 갖는다.
이러한 수단(9)은 구멍으로 이루어진다. 링(8)은 스톱 러그(5)의 반경방향 아래로, 그리고 다이어프램의 핑거(42)의 내주연의 반경방향 위로 연장하는 지지 피스를 형성하며, 상기 내주연에 가깝다.
다이어프램(4)의 모든 핑거가 접촉하는 동안 링은 폐쇄된다. 링(8)은 중앙이 개방된 원형판을 구성하도록 큰 높이를 갖는다
따라서 러그(8)는 각기 2개의 연속적인 스톱 러그(5)를 분리하는 스캘럽(6)내로 최초로 삽입된다. 링(8)의 중앙을 가압함으로써, 다이어프램(4)의 핑거가 이동된다. 그런 후 링(8)은 파지 러그(7)를 스톱 러그(5) 아래로 가져가기 위해 구멍(9)에 들어가는 공구에 의해 회전되며, 그 후 링(8)에 미치는 하중이 해제된다. 파지 러그(7)는 사다리꼴 형상의 스톱 러그(5)보다 원주방향으로 더 넓지 않다.
보다 정확하게는, 파지 러그(7)는 둥근 에지를 갖는 대략 사각형 형상을 갖는다. 높기 보다는 원주방향으로 긴 러그(5)의 원주방향 길이는 대략 스톱 러그(5)의 내주연부의 원주방향 길이와 동일하다. 러그(7)는 고정 러그(26)의 반경방향 아래로 연장된다. 변형예로서, 러그(7)는 다른 형상, 예를 들면 사다리꼴형, 삼각형, 반원 또는 사각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링(8)을 회전시키기 위한 공구는 구멍(9)에 맞물리는 스터드(studs)를 갖는 다.
물론, 링(8)은 개방될 수 있으며, 따라서 다이어프램의 모든 핑거(42)와 접촉하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경우, 원형 아치 형상이다.
파지 러그(7)의 개수는 적용에 따라 다르다. 스톱 러그당 하나의 파지 러그(7)가 제공된다. 물론, 파지 러그(7)의 개수는 스톱 러그(5)의 개수보다 작을 수 있다.
적어도 2개의 파지 러그가 직경방향으로 대향된 위치에 제공된다.
물론, 구멍(9)은 링(8)의 내주연부에 형성된 스캘럽 또는 러그로 교체될 수 있다.
모든 도면에 있어서, 커버 바닥(21)의 중앙부는 동일한 형상을 가지며 화살표는 제거동안 링(8)의 회전 방향을 나타냄을 알 수 있다.
링(8)은 러그(7)를 갖는 단일 피스이며 압착된 시트 금속으로 제조된다.
본 링은 핑거(22)와 접촉하게 되는 위치 및 다이어프램에 대향된 방향으로 회전되는 러그(7)의 외면에 낮은 마찰 계수를 갖는 피복재가 제공될 수 있다.
삭제
그러한 구성은 지지 피스(8)의 회전을 촉진시킨다.
물론, 링(8)은 다른 재료, 예를 들면 섬유가 보강된 또는 알루미늄계 복합재로 제조될 수 있다. 따라서 주조가능한 재료로 제조될 수 있다. 클러치 장치를 반동판에 장착한 후 또는 가요성 디스크가 반동판에 고정된 후 심은 전술된 공구에 의해 제거된다.
심으로 인해, 클러치 장치를 반동판에 고정하기 전에 커버(2)를 반동판에 고정시키기 위한 나사는 짧아질 수 있으며 설형부는 보호될 수 있다. 러그(7)를 갖는 지지 피스(8)는 클러치 장치를 반동판에 장착하기 위한 공구를 구성하며, 공구는 커버를 상기 반동판에 고정시킨 후에 제거된다. 반대의 경우가 가능하여 마찰 라이닝을 압력판(1)에서 제거하기 위한 제어 공구를 구성할 수 있다. 심은 이송 위치에서 마모 흡수 장치의 부품뿐만 아니라 설형부(10)를 제공할 수 있다.
보다 정확하게는, 도 1 내지 도 8에 있어서, 단일 피스 러그를 갖는 링(8)은 파손없이 마모 흡수 장치에 속하는 카트리지(30)를 장착할 수 있도록 하며, 마모 흡수 장치는 작동중에 주로 마찰 디스크의 마찰 라이닝의 마모를 보상할 수 있다. 카트리지(30)는 압력판(1)을 커버에 고정하기 전에 커버(2)상에 장착된다.
보다 정확하게는, 다이어프램(4)은 우선 전술된 방법으로 고정 러그(26)에 의해 커버(2)에 고정되며, 다이어프램(4)은 2개의 지지체(24, 25) 사이에서 경사지도록 장착된다. 다음에 러그(7)를 갖는 링(8)은 전술된 방법으로 다이어프램(4)의 핑거(42)의 내주연부와 스톱 러그(5) 사이에 장착된다. 그런 후 다이어프램은 클러치 장치가 커버(2)에 장착될 때 얻는 평면 위치에 대응하는 평면 위치를 얻는다.
이러한 위치에 있어서, 클러치는 맞물린다. 도 7은 반동판(100) 및 마찰 디스크(101), 보다 정확하게는 마찰 라이닝이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으며, 마찰 디스크는 클러치 장치의 축방향 크기를 감소시킬 수 있으며, 마모 흡수 장치는 클러치가 새로 맞물리는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에 다이어프램을 보유한다. 그 후, 카트리지(30)는 고정되고 사전 균형 작업(prebalancing operation)이 실행된다.
그런 후 램프 수단(32)을 지지하며 그에 따라 두께가 변하는 압력판(1)은 하기에 설명하는 바와 같이 근접된다.
다음으로, 압력판(1)은 커버(2)에 장착된다. 보다 정확하게는 압력판(1)은 설형부(10)가 설치되고, 설형부(10)의 나머지 단부는 커버(2)에 고정된다.
마지막으로, 균형 작업은 최종적으로 실행된다.
카트리지(30)는 압착에 의해 고정 플랜지(22)에서 커버(2)내의 두꺼운 부분으로 형성된 하우징(20)에 장착된다. 커버(2)의 외주연부에 형성된 하우징(20)은 하우징(20)의 레벨로 융기된 판의 스커트(23) 및 플랜지(22)에 영향을 미친다.
하우징(20)의 축방향 바닥은 커버의 바닥(21)에서 스커트(23)의 횡방향 영역(123)에 의해 형성된다. 창(121)은 바닥(21)과 평행한 영역(123)에 형성되는 반면, 바닥(21)에 대해 플랜지(22)의 방향으로 축방향으로 편향된다.
설형부(10)의 개수는 적용에 따라 다르다. 하나 위에 다른 하나가 놓이는 식으로 3세트의 설형부 뿐만 아니라 3개의 하우징(20)이 제공된다. 하우징(20) 및 설형부(10)는 원주방향으로 규칙적으로, 그리고 교대로 분포된다.
하우징(20)중 단 하나에만 창(121)이 제공된다. 즉 하나만이 카트리지(30)를 수납하는 역할을 한다. 각 세트의 설형부(10)는 하나의 위에 다른 하나가 위치되는 적어도 2개의 설형부(10)를 갖는다. 탄성적으로 축방향으로 변형가능한 3개의 설형부(10)가 설형부(10)의 세트마다 제공된다.
삭제
하기에 상술된 카트리지(30)는 불균형을 이룬다. 이러한 이유로 인해, 압력판(1)을 장착하기 전에, 하우징(20)의 구멍이 없는 축방향 바닥(123)에 장착된 사전 균형 리벳(201)에 의해 사전 균형이 실시된다. 3개의 리벳(201)이 하우징(20)마다 제공되며, 카세트(cassette)내의 하우징에 위치되지 않는다. 다른 사전 균형 리벳(201')이 카트리지(30)에 직경방향으로 대향되도록 제공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벳(201')은 한세트의 설형부(10)를 커버(10)에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압력판(1)은 리벳(201')의 레벨에 국부적으로 노치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모든 것은 스텝을 형성하기 위해 압력판이 카트리지(30)의 레벨에 눈금이 새겨지기 때문이다.
마지막으로, 클러치 장치를 균형잡기 위해서 균형 리벳(202)은 필요한 점에 위치된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플랜지(22)는 미리 균형 리벳(202)을 장착하기 위한 균형 구멍(47)을 갖는다. 이렇게 하기 위해, 다수의 구멍(47)이 리벳(202)을 배치하기 위해 제공되어야 한다.
또한 플랜지(22)는 한편으로 플랜지(22)를 반동판에 고정시키기 위한 (나사 또는 리벳과 같은) 부재의 통로용 고정 구멍(29)과, 다른 한편으로 커버에 의해 지지되는 센터링 스터드(148)(도 7)의 통로용 센터링 구멍(48)을 갖는다.
개구(129)는 커버(2)를 반동판에 고정시키기 위한 나사 헤드의 통로용 고정 구멍(29)의 레벨로 스커트(23)에 형성된다.
개구(129)는 비대칭 형상을 갖는다. 보다 정확하게는 고정 스크류 및 균형 리벳(202)의 헤드의 크기가 도 1에 점선으로 도시되어 있다. 고정 구멍(29) 및 균형 구멍(47)은 서로 인접해 있다. 한쌍의 구멍(29, 47)이 개구(129)마다 제공되어, 고정 나사의 헤드를 위한 레벨로 플랜지(22)의 지지면을 증가시킬 수 있다. 따라서 개구(129)는 원주방향으로 신장되며 구멍(29)의 레벨로 깊어지며; 각각의 구멍(29, 47)은 개구(129)의 원주방향 단부에 위치된다.
각각의 균형 리벳(202)은 고정 나사와 같이 개구(129)에 의해 형성된 플랜지(22)의 확장된 영역(122)의 레벨에 고정된다.
리벳(202)은 영역(122)을 지나 돌출하지 않는 반면, 고정 나사의 헤드는 영역(122)에 대해 돌출한다. 추가적인 개구(203)가 하우징(20) 위의 플랜지(22)에 제공된다.
따라서, 플랜지(22)는 반동판(100)과 접촉하기 위한 3개의 고정 영역(27)을 가지며,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약간 중공형이다. 이러한 영역(27)(도 5)은 영역(28)과 원주방향으로 교호하며, 리벳 이음에 의해 설형부(10)를 커버에 고정하기 위해 커버(2)의 바닥(21) 방향으로 영역(27)에 대해 축방향으로 편향된다. 따라서, 스커트(23)는 이러한 레벨로 개방되며, 이는 압력판(1)이 갖는 고정 러그(12)의 통로가 외주연부에서 반경방향으로 돌출하도록 한다. 캐노피(도 5)를 형성하기 위해, 커버(2)를 고정시키는 영역(27)은 영역(27)에 연속적으로 연결되는 설형부의 고정 영역(28)보다 더 길다.
영역(27)은 하우징(20)에 의해 중앙에 영향을 미치게되는 반면 이 점에서 더 좁다. 영역(27)의 각 단부는 확장된 영역(122)과 개구(129)에 위치된다.
따라서 구멍(29, 47)은 영역(122)뿐만 아니라 영역(122)의 단부에서 하우징(20)의 각 측면상에 위치된다.
이는 클러치 장치를 양호하게 균형잡을 수 있다. 이는 카트리지(30)용 리세스를 형성하기 위해 압력판에 노치가 형성되기 때문에 더욱더 그러하다(도 3). 카트리지(30)는 하우징(20)의 상면을 형성하는 스커트(23)내의 변형부와 접촉해 연장하는 중앙 웨브를 갖는 U자형 지지체(34)와 2개의 측방향 윙(wings)을 가지며, 윙은 웜(36)에 고정된 샤프트(35)의 통로용 구멍을 가지며, 래칫 휠(37)을 갖는 단일 피스는 지지체(34)의 2개 윙 사이에 개재된다. 나사(36)는 하나의 윙에 인접하는 반면, 헬리컬 흡수 스프링(38)은 래칫 휠과 다른 윙 사이에 개재된다.
샤프트(35)는 예를 들면 강제 끼워맞춤에 의해 나사(36) 및 휠(37)의 내측에 부착된다.
탄성 부재(39)는 지지 웨브 및 나사(36)의 내면, 및 지지체의 나머지 윙과 스프링(38) 사이에 접촉식으로 장착된다(도 8).
지지체(34)보다 얇고 금속재인 탄성 부재(39)는 래칫 휠(37)상의 치형부, 및 다이어프램의 접시 와셔(41)의 외측 부속물에 의해 형성된 액추에이터(410)와 결합하는 제어 설형부(390)를 지지하는 복귀부에 의해 연장되는 경사진 플랭크를 갖는다. 제어 설형부를 지지하는 복귀부는 샤프트(35)가 경사져 있기 때문에 비대칭 형상을 갖는다.
지지체(34)는 3개의 고정 러그(34')를 가지며, 고정 러그(34')는 각기 리벳 이음에 의해 플랜지(22), 영역(123) 및 커버에 고정된다.
웜(36)은 클러치 장치 및 클러치의 축방향 대칭축(X-X)과 대향된 방향으로 반경방향 외측으로 연장하는 한세트의 치형부(31)에 대해 접선방향으로 위치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한세트의 치형부(31)는 중간 피스(310)에 속하며, 와셔 형상이다.
중간 피스는 전반적으로 축방향으로 고정된다. 보다 정확하게는 각 세트의 제 1 설형부(10)는 적어도 2개의 설형부를 가지며 각각의 설형부는 대략 반경방향 외측으로 배향된 돌출부(10a)가 제공된다. 이러한 돌출부(10a)는 대략 환형 부채꼴 형상의 단부를 갖는다. 도 9에 자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와셔(310)는 2개의 돌출부(10a) 사이에 축방향으로 파지되어, 전반적으로 축방향으로 고정되는데 이는 반경방향으로 낮은 높이로 인해 돌출부(10a)가 축방향으로 약간 변형하기 때문이다.
돌출부(10a)는 단부에 위치되며 그에 의해 축방향의 탄성 설형부(10)는 커버에 고정된다.
설형부(10)는 커버에 고정되는 레벨에서 동일하지 않다. 각 세트의 제 1 설형부(10)의 중간 설형부는 돌출부가 없으며 종래의 설형부로 이루어진다. 나머지 2개의 단부 설형부 각각은 중간 와셔(310)의 관련된 측면과 인접하기 위해 국부적으로 변형된 돌출부(10a)를 가지며, 따라서 2개의 돌출부(10a) 사이에 소정의 클램핑이 개재되며, 그중 하나는 나머지보다 보다 깊고 오목하게 된다.
와셔(310)는 직접적으로 또는 간접적으로 본 발명에 따라 링(금속임)(330)에 함께 회전하도록 연결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링(330)은 압착된 시트 금속으로 제조되고 축방향으로 배향된 환형 플랜지(33)를 가지며, 환형 플랜지는 중간 와셔(310)와 결합하는 형상인 연결부(340, 350)에 의해 함께 회전하도록 연결된다. 이러한 연결부(340, 350)는 웜(36)을 갖는 치형부(31) 세트에 의해 맞물리는 와셔(310)에 대해 링(330)의 축방향 이동을 가능하게 한다.
형상의 협력에 의한 연결은 장부 구멍 및 장부 타입의 것이다. 와셔(310)는 내측을 향해 반경방향으로 개방된 반경방향 배향 노치(340)의 형태인 3개의 장부 구멍을 그 내주연부에 갖는다. 한세트의 치형부(31)가 공동에 의해 와셔(310)의 외주연부에 형성된다(도 2).
링(330)은 원주방향 장착 간극을 갖는 노치(340)를 통과하는 3개의 축방향으로 배향된 러그(350)를 갖는 빗(comb) 형상의 플랜지(33)를 갖는다.
따라서 중간 와셔(310)는 링(330)과 견고하게 맞물린다. 다른 형상의 맞물림 부재가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와셔는 플랜지(33)의 외주연부에 제공된 한세트의 치형부와 맞물리는 내주연부의 한세트의 치형부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각 세트의 치형부는 플루트(flutes)로 이루어질 수 있다.
링(330)은 전반적으로 U자형 단면을 가지며, 그의 외측 윙은 러그(350)를 갖는 플랜지(33)로 이루어지며, 그의 내측 윙은 축방향으로 돌출하는 스터드(13)의 내주연부에 의해 중심설정되고 압력판과 하나의 피스로 주조된다. 링(330)의 윙은 축방향으로 배향되며, 링의 횡방향 바닥은 지지 수단(3)과 램프를 지지한다.
보다 정확하게는, 링은 스터드(13)로 내주연부에 걸쳐, 압력판의 배면에 축방향으로 돌출된 스터드(13)로 분할된 보다 두꺼운 부분의 외주연부와 밀착한다. 플랜지(33)는 분리된 환형 돌출부에 연결된다. 그러한 돌출부는 다이어프램의 접시 와셔(41)의 외주연부용 지지 수단(3)을 구성한다.
돌출부(3) 반경방향 아래의 램프(32)는 카운터 램프를 형성하는 스터드(13)(바람직하게는 접시형임)의 횡방향 단부 표면과 협력된다. 따라서, 마모가 발생한 경우, 다이어프램은 스프링(38)을 준비하기 위해 재맞물림 작동동안 래칫 휠을 회전시키기 위해 제어 설형부(390)상의 외측 액추에이터(410)를 통해 작동하며, 연결부(340, 350)는 휠(37)의 반대 방향으로의 회전을 방지하고 따라서 나사(36)의 반대방향으로의 회전을 방지하며, 이는 한세트의 치형부(31)를 구동시킬 수 있지만 역으로는 구동시킬 수 없다. 스프링(38)이 충분히 당겨지면, 라이닝 및 마찰 디스크상의 마모를 보상하기 위해 압력판의 두께를 증가시켜 다이어프램이 동일한 위치를 가질 수 있도록 나사(36)는 스터드(13)와 접촉하는 램프(32)가 회전하도록 한세트의 치형부(31)를 회전시킬 수 있다.
보다 자세한 설명을 위해, 1995년 9월 17일자 프랑스 특허 출원 공개 제 FR-A-2 753 503 호를 참조하기 바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맞물림 및 해제 작동동안, 링(330)은 나사(36)의 작용하에 회전할 수 있는 와셔(310)에 대해 압력판과 함께 축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링(330)의 축방향 운동동안 나사(36)와 한세트의 치형부(31) 사이에서 어떠한 마찰도 발생하지 않는데, 이는 와셔(310)가 전반적으로 축방향으로 돌출부에 의해 커버에 대해 고정되어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는 마모 흡수 작동을 방해하지 않는다. 비복귀 캐취의 존재는 더 이상 필요하지 않다.
따라서 심(7, 8)은 카트리지(30), 또는 보다 정확하게는 탄성 부재(39) 및 제어 설형부에 손상을 가하는 것을 방지한다.
핑거(42)는 내측 단부(45)를 가지며, 영역(46)에 대해 축방향으로 편향되며, 핑거(42)는 접시 와셔(41)에 자리잡게 됨을 알 수 있다. 이 영역(46)은 와셔(41) 의 평면에 있으며 오리피스(44)를 포함한다. 경사부(146)에 의해 커버의 바닥(21)과 대향된 방향으로 축방향으로 편향된 내측 단부(45)에 연결된다.
링(8)은 그의 내주연부에 내측 단부(45)와 국부적으로 접촉하도록 커버의 바닥(21)에 대향된 방향으로 축방향으로 배향된 림(85)을 갖는다. 러그(7)는 링(8)의 평면에 놓인다.
따라서, 러그(7)는 스톱 러그(5)의 내면[핑거(42)쪽으로 배향됨]을 지지하며, 림(85)은 다이어프램의 내측 단부(45)의 외면과 접촉한다.
따라서 심(7, 8)은 커버 바닥(21)에 대해 축방향으로 돌출하지 않고, 압력판은 뒤에 형성되어, 클러치 장치는 축방향으로 조밀하다.
나사 결합에 의해 커버(2)를 반동판인 설형부(10)에 고정시킨 후, 링(8)의 내주연부는 해제하는 동안 압착되며, 심(7, 8)을 제거하기 위해 링은 도 1의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된다.
따라서 압력판(1)은 중공 링(330)을 지지하며, 참조부호(32, 33, 3)(램프 수단을 형성함)는 마찰 라이닝상의 마모를 보상하기 위해 마찰면(11)과 지지 수단(3) 사이의 가변 두께를 갖는다.
모든 경우에 있어서, 고정 러그(7)는 플랜지(81) 또는 림(85)에 의해 형성된 지지 피스(8)의 내주연부에 대해 축방향으로 편향된다.
물론, 링(8)은 고정 러그를 스톱 러그 아래로 가져가기 위해 공구에 의해 회전시키기 위한 파지 수단이 설치될 수 있다.
링(8)은 제어 버튼과 같이 다이어프램과 대향된 방향으로 돌출하는 바아가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수단(9)은 돌출부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반적으로, 고정 러그(7)의 원주방향 길이는 2개의 연속적인 스톱 러그(5) 사이의 원주방향 길이보다 작아 러그(7)는 베요닛 장착을 수행하기 위해 스캘럽(6)내로 삽입될 수 있다.
반동판을 자동차의 크랭크 샤프트에 고정시키기 위한 나사에 액세스할 수 있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공구의 통로용 해제 레버를 형성하는 2개의 연속적인 핑거(42) 사이에 개구가 제공될 수 있다. 본 경우에 있어서, 도 1 내지 도 8에서 구멍(9)은 예를 들면 판 또는 매스(mass)에 의해 크랭크 샤프트에 직접적으로 또는 간접적으로 고정되는 반동판을 제거하기 위한 상기 개구와 반대 방향에 있다.
상술된 바와 같이, 맞물림 부재는 일렬로 장착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접시 와셔를 가질 수 있으며, 해제 수단은 해재 수단과 비슷하지 않을 수 있다.
삭제
제 1 설형부(10)는 반경방향으로 배향될 수 있다.
모든 경우에 있어서, 제 1 설형부는 압력판을 커버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기 위한 수단을 구성하는 반면, 커버에 대해 압력판의 축방향 운동을 가능하게 한다.
반경방향 내측으로 배향된, 즉 축(X-X)쪽으로 배향된 스톱 러그는 고정 러그일 수 있으며; 그런 후 체결 러그(7)는 베요닛 장착동안 스톱 러그에 의해 지지되는 고정 수단 아래를 통과한다.
지지 피스의 내주연부에 대해 체결 러그의 축방향 편향은 베요닛식 장착을 촉진시키며, 체결 러그와 해제 레벨 사이의 간극을 형성한다. 또한, 이러한 것은 스프링 링(125), 또는 일반적으로 제 2 지지체(25)의 변형을 방지한다.
모든 경우에 있어서, 해제 레버(42)는 지지 수단(3)과 직접 인접하거나 또는 해제 레버에 의해 지지 수단(3)에 간접적으로 인접하는 맞물림 부재와 접촉한다. 해제 수단은 필요한 바와 같이 작용에 반대작용을 하기 위해 맞물림 부재상에 작용한다.
변형예로서, 맞물림 부재는 폴스 다이어프램 및 커버상에서 지지하는 다수의 코일 스프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물론, 체결 러그(7)는 예를 들면 리벳 이음, 용접 등에 의해 지지 피스에 고정적으로 부착될 수 있다.
변형예로서, 중간 피스와 링(330) 사이의 회전 연결은 일 단부가 링(330)에 연동되고 나머지 단부가 중간 피스에 연동된 접선방향 설형부(제 2 설형부라 불리움)에 의해 달성된다.
제 2 설형부는 중간 피스(바람직하게는 와셔의 형태임)에 대해 링의 축방향 운동을 가능하게 한다. 따라서 링(330)과 중간 피스 사이의 마찰은 제거된다.
물론, 중간 피스는 설형부(10)와 이격된 돌출부에 의해 축방향으로 고정될 수 있다. 이러한 피스는 커버 내측에 배치되는 동안 커버에 대해 축방향으로 고정된다.
이 피스는 압력판에 의해 중심설정된다.
모든 경우에 있어서, 구동 피스의 강한 파지가 방지되어 구동 피스가 회전할 수 있다. 압력판은 중간 피스를 중심설정함을 알 수 있다.
중간 피스내의 스캘럽은 폐쇄될 수 있다.
한세트의 치형부(31)는 중간 피스의 외주연부에 직접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도면에서 한세트의 치형부는 중간 피스의 외주연부에 형성된 사다리꼴형 스캘럽의 바닥에 형성된다.
모든 도면에 있어서, 커버(2) 및 클러치 장치는 고정 플랜지(22) 또는 스커트(23)에 의해 차량 엔진의 크랭크 샤프트에 고정된 구동 플라이휠에 고정되며, 상기 플라이휠은 반동판을 가지며, 어쩌면 비틀림 댐핑 플라이휠(이중 댐핑 플라이휠이라 불리움) 또는 가요성 플라이휠을 형성하도록 나뉘어진다.
본 발명에 따르면, 흡수 스프링(38)은 카트리지(30)에 속하지 않을 수 있으며 중간 피스는 램프를 갖는 링과 회전식으로 탄성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것은 흡수 스프링이 조절 링을 구성하는 램프(32)를 갖는 링(330)과 중간 피스(310) 사이에서 작동될 수 있어 클러치가 맞물릴 때 맞물림 부재(4)가 항상 동일한 위치를 얻을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도 10 내지 도 14의 실시예에 있어서, 흡수 스프링은 참조부호(380)로 도시되어 있으며, 코일 스프링 형상이며, 도 1 내지 도 10에 평평한 와셔 형상인 중간 피스(310)의 내주연부에 제공된 장부 구멍을 형성하는 노치(440)의 형상인 스캘럽의 측방향 에지(441)상의 하나의 원주방향 단부를 지지한다. 흡수 스프링(380)의 다른 단부는, 램프(32)를 갖는 링(330)으로부터 단일 피스로 나타나며 도 1 내지 도 9에서와 같이 램프(32)를 갖는 조절 링 및 지지 수단(3)을 구성하는 축방향으로 배향된 러그(450)의 측방향 에지(451)상에 지지한다. 스프링(380)은 노치(440)의 다른 측방향 에지와 접하는 러그(450)의 다른 측방향 에지상에서 작용한다.
에지(451, 441)는 삼각형 형태의 선단을 갖는다. 에지(451)는 에지(441)에 대향해 연장하여 흡수 스프링(380)이 단단히 유지되며, 에지(451, 441)의 선단은 스프링(380)을 단단히 유지하기 위해 스프링(380)내로 들어간다. 에지(441, 451)의 선단은 수직 평면으로 연장한다. 러그(450) 및 노치(440) 각각의 다른 측방향 에지는 직선형이며 따라서 러그(450)의 직선형 측방향 에지는 스프링(380)의 작동하에서 노치(440)의 직선형 측방향 에지와 접촉한다.
물론, 일 특성에 따르면, 축방향으로 배향된 러그(450)의 원주방향 폭(장부를 형성함)은 축방향으로 배향된 노치(440)의 원주방향 폭보다 작으며, 러그(450)내로 스프링(380)과 러그(450)가 장착된다.
도 1 내지 도 9의 실시예에서, 러그(450)의 높이는 노치(440)의 높이보다 낮다.
물론, 러그(450), 스프링(380) 및 노치(440)의 개수는 적용에 따라 다르다. 본 구성으로 인해, 래칫 휠이 래칫 휠(37)상의 치형부와 협력하는 제어 설형부(390)의 운동을 제한하기 위한 높은 스톱(참조되지 않음)을 갖는 지지체(34)의 하나의 윙에 인접하기 때문에 하우징(20)에 장착되는 카트리지(30)는 간략하게 된다. 따라서 카트리지(30)의 원주방향 부피는 감소되어 하우징(20)은 크기가 작아진다. 따라서 클러치 장치는 균형을 맞추기가 쉬워지며, 스프링(380), 러그(450) 및 노치(440)는 정돈된 방법으로 분포된다.
또한 비복귀 캐취가 제거되기 때문에 제어 설형부(390)는 간략화된다. 도 12에서 샤프트(35), 웜(36) 및 래칫 휠(37)은 단일 피스임을 알 수 있다. 1998년 2월 5일자로 출원된 프랑스 특허 출원 제 FR 98/01453 호(프랑스 특허 출원 공개 제 FR-A-2 774 441 호로 공개됨)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카트리지(30)는 베어링(참조되지 않음)에 의해 경사지며, 각 베어링은 경사진 중앙 구멍을 가지며, 지지체(34)상의 윙은 직선형임을 알 수 있다. 이 지지체는 2개의 리벳에 의해 커버에 단독으로 고정된다. 조립체(35, 36, 37)와 베어링과의 장착은 지지체(34)의 윙에 형성된 통과 구멍을 개방시키고, 전술된 조립체를 장착한 후 상기 구멍을 부분적으로 폐쇄시킴으로써, 전술된 프랑스 특허 출원 제 FR 98/01453 호(보다 자세한 설명을 위해 참조됨)의 도 3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어링과 접촉식으로 클램프함으로써 이루어 진다.
작동시(클러치 장치가 구동 플라이휠상에 장착됨), 마찰 라이닝이 마모되어 흡수 스프링 또는 스프링(380)을 준비하기 위해 래칫 휠, 웜 및 중간 피스(310)가 회전하도록 다이어프램은 탄성 부재(39)상에 작동하며, 클러치의 한번 또는 그 이상의 맞물림 또는 해제 작동동안 링(380)이 러그(450)상에 작동하도록 회전시킨다. 물론, 이러한 것은 스프링(380)이 마찰 현상을 극복하기에 충분히 준비될 때 및 다이어프램에 의해 링에 미치는 하중이 충분히 감소될 때 발생한다.
마찰은 러그(450) 및 노치(440)의 직선형 에지 사이에서 발생한다.
이러한 마찰을 감소시키기 위해서, 도 15 및 도 16에는 노치(440)에 의해 2개의 흡수 스프링(380, 381)을 장착하는 것이 제안되었다. 스프링(380, 381)은 도 10 내지 도 14에서 장부를 형성하고 러그(450)를 대체하는 축방향으로 배향된 러그(550)의 각 측면에 장착된다.
따라서 러그(550)는 램프를 갖는 조절 링(330)을 구비한 단일 피스이다. 본 경우에 있어서, 코일 스프링(380, 381)을 내부적으로 유지시키기 위해서 러그(550)의 2개의 측방향 에지(451) 및 노치(440)의 2개의 측방향 에지(441)는 점(point) 형상을 갖는다.
따라서 스프링(380, 381)은 사전 응력하에 일 스프링(380)에 대향해 장착되는 반면, 나머지는 간극을 나타냄이 없이 압축된다.
이러한 구성으로 인해, 중간 피스(310)에 대한 링(330)의 운동은 잡음없이, 그리고 스캘럽(440)의 측방향 에지를 갖는 러그(550)와 직접 접촉하는 일 없이 촉진된다. 또한, 비틀림 진동은 감쇠되며 마찰은 감소된다.
변형예인 도 17 및 도 18에 있어서, 스프링(380, 381)은 작동중 경사질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노치(440)는 도 16에서와 동일하다. 조절 링으로부터 돌출하는 러그(650)는 변형된다. 이러한 러그의 측방향 에지(551)는 사전 응력에 의해 장착되는 스프링(380, 381)을 내측으로 유지시키기 위해 점 형상을 갖는다.
에지(551)는 경사지며, 그리하여 러그(650)는 스프링(380, 381)을 유지시키기 위한 돌출점을 갖는 측방향 에지(551)를 갖는 사다리꼴 형상을 갖는다.
경사로 인해, 한편으로 중간 요소를 압력판(1) 및 돌출부(10a) 방향으로 강제하며, 다른 한편으로 링(330)을 다이어프램 방향으로 강제하는 축방향 구성 요소가 얻어진다.
이러한 것은 다이어프램(4)에 근접한 설형부(10)상의 돌출부(10a)를 생략하기 위한 장점을 갖게 된다.
중간 피스는 더이상 파지될 필요가 없으며, 축방향 유지는 중간 피스를 커버(2)의 바닥에 대향된 방향으로 및 링(330)을 다이어프램(4)과 접촉하도록 축방향으로 강제하는 스프링(380, 381)에 의해 달성된다.
이러한 조건하에서, 앞의 도면에서 돌출부(10a)는 스톱 피스(10b)(도 19 내지 도 21)로 교체될 수 있으며 스톱 피스(10b)는 강성이며 제 1 설형부(10)로부터 이격되어 있어서 단순하다.
스톱 피스(10b)는 제 1 설형부(10)를 커버(2)에 고정시키기 위한 동일 리벳에 의해 커버에 고정된다. 피스(10b)는 내주연부에서 환형 부채꼴 형상이다. 공지되어 있는 바와 같이, 링(330), 스프링(380) 및 중간 피스(310)로 이루어지는 소조립체의 두께는 소조립체가 스톱(10b)과 다이어프램 사이에 장착되어 링이 다이어프램과 항시 접촉할 때 감소된다.
도 15 내지 도 21에 있어서, 링(330)은 중간 피스에 대해 링의 축방향 운동을 가능하게 하는 스프링(380, 381)에 의한 탄성 연결부에 의해 링 또는 와셔 형태인 중간 피스(310)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된다.
변형 실시예로서, 이러한 연결부는 링(330)의 축방향 운동을 가능하게 하며 조정될 수 있고 이송될 수 있는 조립체를 형성하도록 하는 제 2 의 축방향 탄성 설형부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제 1 실시예에 있어서, 제 2 설형부(200)는 제 1 설형부(10)와 동일한 형상을 갖는다. 따라서 작은 크기의 클러치 장치의 표준 형상의 설형부가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설형부는 전반적으로 접선방향으로 배향되며 고정 부재에 의해 일 단부가 램프(32)를 갖는 조절 링(330)과 중간 피스에 고정된다.
일 특성에 따르면 램프를 갖는 링(330)과 중간 피스(310)는 동일한 금속 블랭크(blank)로 형성된다.
따라서, 압착된 금속 시트로 시작해, 금속 시트는 램프(32)를 갖는 링(330)을 형성할 수 있으며, 그런 후 중간 피스(310)가 절취되며, 따라서 중간 피스(310)는 재료의 손실없이 링(330)을 둘러싼다. 따라서 이러한 실시예는 간단하고 경제적이다.
중간 피스(310)를 커버에 대해 중심설정할 수 있다.
따라서 도 22 내지 도 28에 있어서 중간 피스(310)는 외주연부에 한세트의 치형부(31)에 의해 중단되는 축방향으로 배향된 환형 플랜지(311)가 제공된 링 또는 와셔 형상임을 알 수 있다. 러그로 분리될 수 있는 플랜지(311)는 외주연부에서 커버(2) 스커트(23)의 내주연부와 밀접하게 접촉하여 중간 피스(310)는 외주연부에서 커버(2)에 대해 중심설정된다.
설형부(200)는 리벳 이음에 의해 중간 피스(310)상의 브래킷(312) 및 링(330)에 고정되어, 링(330)용 센터링 표면을 형성하기 위해 압력판이 더이상 가공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압력판은 간단하게 된다. 이러한 것은 제 2 설형부(200)에 의해 축방향 탄성 및 접선방향으로 배향된 링이 링(220)을 둘러싸는 중간 피스(310)에 대해 중심설정되기 때문이다. 물론, 변형예에 있어서 제 2 설형부(200)는 만곡형일 수 있다(즉, 원호형임).
브래킷(312)은 링의 형태인 중간 피스(310)의 내주연부에 형성된다. 브래킷(312) 둘레에서 간극을 볼 수 있으며, 이것은 중간 피스의 최종 크로핑(cropping)에 의해 형성된다. 따라서 브래킷(312) 둘레에 간극을 형성하고 그에 따라 간섭을 방지하기 위해 링(330)은 외주연부에 절취부(313)를 가지며, 특히 설형부를 고정시키는 리벳을 갖는다.
분할된 지지 수단(3)에 의해, 지지 수단(3)상에 돌출부 형상의 2개의 환형 부채꼴 형상부 사이에 위치된 고정 리벳(314)의 헤드는 링(330)에 대해 축방향 돌출부내로 연장하지 않으며 따라서 다이어프램과 접촉하지 않는다.
도 22에 있어서 스톱을 형성하는 피스(10b)가 커버와 접촉하지 않지만 한세트의 설형부(10)를 커버의 에지(22)에 고정시키는 리벳의 헤드를 갖는 것을 제외하고는 강성 스톱 피스(10b)은 도 20에 도시된 것과 동일함을 알 수 있다.
2개의 도면에 있어서, 피스(10b)는 접힘부에 의해 슈(shoe) 형상인 중앙부에 연결되는 경사진 러그 형상, 즉 중간 피스(310)의 환형부와 접촉하는 환형 부채꼴 형상의 주변부를 갖는다. 따라서 주연부는 러그의 경사도에 따라 한세트의 제 1 설형부와 평행한 접힘부에 의해 중앙부에 대해 축방향으로 편향된다. 피스(10b)의 중앙부는 한세트의 설형부(10)없이 접힘부에 의해 연장하며, 피스(10b)는 설형부(10)에 의해 함께 회전하도록 로크된다(도 28).
제 2 설형부(200)는 압력판(1)에 대해 제 1 설형부(10)의 고정부의 대략 반경방향 아래의 중간 피스에 고정된다.
제 1 및 제 2 설형부(10)의 개수는 적용예에 따라 다르다. 제 2 설형부(200)는 제 1 설형부의 반경방향 아래에 위치되며, 피스(10b)의 중앙부에 대해 원주방향으로 교호한다. 따라서 2개의 하우징(20) 사이에는 한세트의 제 1 설형부(10)가 있으며 스톱(10b)의 중앙부의 반경방향 아래에는 한세트의 제 2 설형부(200)가 있다.
웜(36)과 한세트의 치형부(31) 사이에 접선방향 접촉을 하기 위해 나사축은 전술된 프랑스 특허 출원 제 FR 98/01453 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경사진다.
프랑스 특허 출원 제 FR 98/01453 호에 있어서, 나사가 한세트의 치형부(31)에 대해 접해(효율의 관점에서 바람직함)있지 않기 때문에 문제점이 제기되었다.
이를 달성하기 위해, 카트리지(30)의 지지체(34)는 돌출부(341)가 하우징(20)의 외형과 협력하도록 한다.
돌출부(341)는 나사(36)와 일치하여 U자형 단면을 갖는 지지체(34)의 중앙 웨브에 형성된다.
돌출부(341)는 전반적으로 U자형 단면을 갖는 하우징(20)의 축방향으로 배향된 선단의 내주연부와 협력한다. 물론, 구조체는 반대로 될 수 있으며, 돌출부는 선단에 형성되고, 하우징(20)의 중앙 웨브를 구성한다.
결과적으로, 도 1의 실시예와 비교하면, 도 2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 고정 러그(34")의 각 측면에 위치된 2개의 고정 러그(34", 34')는 정렬되지 않은 중앙부를 갖는다. 보다 정확하게는, 도 1의 일반적인 커버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 러그를 고정하는 리벳의 통로용 구멍을 사용하며, 돌출부(341)에 의해 카트리지(30)는 나사가 한세트의 치형부에 접하도록 경사진다. 변형예로서, 나사와 한세트의 치형부가 접선방향으로 접촉하도록 새로운 구멍이 형성된다.
지지체(34)는 러그(34, 34', 34")의 리벳 이음에 의해 커버에 고정된다. 물 론, 중간 피스(310)는 링(330)을 둘러싸지 않을 수 있으며(도 29 내지 도 32) 링(330)의 외주연부 반경방향 아래로 연장한다.
도 22 내지 도 2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링(330)을 피스(310)에 축방향 운동할 수 있게 회전 가능하게 연결시키기 위해 제 2 설형부(200)는 링(330)과 피스(310) 사이에서 작동한다.
설형부(200)는 리벳(315)에 의해 일단부가 피스(310)에 고정되고, 리벳(314)에 의해 다른 단부는 링(330)에 고정된다.
보다 정확하게는, 제 2 설형부(200)는 원호형인 만곡한 형상을 가지는 반면, 축방향으로 탄성이며, 리벳(314)에 의해 링(330)의 러그(331)에 고정된다.
러그(331)는 지지 수단(3)의 2개의 섹터 사이로 연장하는 반면, 그들에 대해 반경방향 외측으로 돌출한다.
도 22 내지 도 2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축방향 러그(331)는 지지 수단(3)에 대해 피스(310) 및 판(1)쪽으로 축방향으로 편향되어, 리벳(314)의 헤드는 다이어프램과 간섭하지 않는다.
피스(310)는 리벳(315)의 레벨로 국부적으로 오목하게 되어 상기 리벳(315)은 판(1)쪽으로 회전되는 피스(310)의 면에 대해 축방향 돌출부로 연장하지 않는다.
따라서 피스(310)는 리벳(315)의 고정부를 위해 링(330)의 방향으로 국부적으로 축방향으로 오목하게 된다.
모든 경우에 있어서, 피스(310)는 외주연부 및 내주연부중 하나로 연장하는 축방향으로 배향된 환형 플랜지 뿐만 아니라 한세트의 치형부(31)의 레벨로 스탭을 갖는다. 도 22 내지 도 28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311)는 커버의 스커트(23)에 대해 중심설정하기 위해 피스(310)의 외주연부로 연장한다.
도 29 내지 도 32에 있어서, 플랜지(321)는 피스(310)의 내주연부로 연장한다. 플랜지(311, 321)는 중간 피스를 강화시킨다.
도 29 내지 도 32에 있어서, 링(330)은 도 1 내지 도 9에서와 같이 내주연부에 환형 플랜지(333)를 갖는다. 플랜지(333)는 축방향으로 배향되며 외주연부를 통해 중앙 램프를 형성하는 스터드(13)를 지지하는 압력판의 두꺼운 부분의 내주연부와 협력한다.
도 22 내지 도 28에 있어서, 링(330)은 중간 피스상의 플랜지(311)에 의해 중심설정되기 때문에 그러한 플랜지를 갖지 않는다. 도 22 내지 도 32에 있어서, 중간 피스(310)는 압력판(1)의 방향으로 링(330)에 대해 축방향으로 편향된다.
물론, 스톱(10b)은 링을 형성하기 위해 서로 연결될 수 있으며 흡수 스프링은 제 2 설형부에 합체될 수 있다.
도 31 및 도 32의 관점에서, 링의 형태인 중간 피스(310)는 각기 2개의 연속적인 고정 리벳(315) 사이로 연장하는 리브(316)에 의해 원주방향으로 강화됨을 알 수 있다. 리벳(314)은 지지 수단(3)상의 2개의 연속적인 돌출부 사이에 위치되며, 다이어프램이 작동하게 되는 링을 강화하기 위해 램프(32)의 상부는 중간에 돌출부의 반경방향 아래에 위치되임을 알 수 있다.
클러치 장치의 축방향 체적을 감소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램프를 갖는 링(330)과 중간 피스(310)를 간략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압력판(1)의 축방향 부피를 감소시키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이를 달성하기 위해, 도 33 내지 도 37에 있어서, 다어어프램(4)은 그의 내주연부가 외주연부에 대해 압력판의 방향으로 축방향으로 편향되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다이어프램의 핑거(42)는 다이어프램의 접시 와셔(41)의 평면에 외주연부(42a)와 외주연부(42b)에 대해 압력판(1)의 방향으로 축방향으로 편향된 내주연부(42b)를 갖는다. 사인파형 연결부(43b)는 주연부(42a, 42b)를 서로 연결한다. 이러한 배열로 인해, 클러치를 해제하기 위해 클러치를 조정하는 동안 핑거의 내주연부(42b)가 압력판(1)에 들어가기 때문에 엔진과 기어박스 사이의 축방향 치수는 감소된다.
조절 링(330)은 외주연부 및 내주연부에 플랜지를 갖지 않기 때문에 간단하게 된다. 링(330)은 그의 중앙부에 다이어프램용 환형 돌출부의 형상인 지지 수단을 형성하도록 나뉘어진 점 형상을 갖는다.
링(330)은 제 2 설형부(200)에 의해 평평한 형상을 갖는 중간 피스(310)에 연결되며 따라서 형상을 단순하게 한다.
피스(310)의 축방향 보유 스톱은 커버의 영역(28)에 대해 제 1 설형부(10)의 단부의 반경방향 연장부(10c)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영역(28)의 측방향 에지는 설형부(10) 위로 연장하여 커버가 강화되는 브리지(20')에 의해 서로 연결된다.
연장부(10c)로 인해, 도 22 내지 도 32의 스톱 피스(10b)는 제거되며, 이는 부품의 개수 뿐만 아니라 클러치 장치의 축방향 부피를 감소시킬 수 있다.
축방향 부피를 더욱 줄이기 위해서, 압력판(1)은 그의 후면의 레벨에 노치(210)가 형성되며, 연장부(10c)는 간섭없이 노치(210)로 들어간다. 도 38 내지 도 41에 있어서, 카트리지(30)는 도 22 내지 도 28의 실시예에서와 같이 웜이 한세트의 치형부(31)와 접하도록 경사진다. 따라서 중앙 러그(34")의 각 측면에 배치된 고정 러그(34", 34')는 정렬되지 않은 중앙부를 갖는다. 램프(300)를 갖는 링과 중간 피스(310)는 강화 플랜지(321, 333)를 갖는 도 29의 형태의 구조를 갖는다. 도 38 내지 도 41의 실시예에 있어서, 제 2 설형부가 사용된다. 제 2 설형부(300)는 보조 기능을 갖는다. 보다 정확하게는 적어도 한세트의 제 2 설형부(300)는 원주방향으로 탄성적이다. 하나가 다른 것의 상부에 놓이는 2개 설형부의 본 세트(도 41)는 흡수 스프링을 대체하여 카트리지(30)는 스프링이 없기 때문에 간단하게 된다.
따라서 도 38에서 자세히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카트리지(30)는 부피가 작아, 특히 지지체가 재료를 덜 필요로 하기 때문에 더욱 경제적이다.
모든 세트의 설형부(300)는 원주방향으로 탄성적이며 물론 축방향으로 탄성적이다. 이러한 것을 달성하기 위해 제 2 설형부(300)는 주름형인 적어도 하나의 접힘부(fold)를 갖는다. 설형부(300)는 콘서티나(concertina)와 같이 접혀지며, 접힘부의 개수는 적용분야 및 원주방향 탄성 요구치에 따라 다르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설형부(300)는 다른 정도의 주름을 갖는다(도 38).
이러한 방법에 있어서, 부품의 개수는 카트리지(30)내의 흡수 스프링의 제거로 인해 감소된다. 또한 여러 세트의 제 2 설형부(300)가 제공되어 링(330)이 마모 흡수 작동중 적절한 방법으로 회전될 수 있기 때문에 재밍(jamming)의 위험성은 감소된다. 부품의 개수를 더욱 더 줄이기 위해서, 스톱 피스는 영역(28)에 고정시키기 위한 러그를 갖는 스톱 링(10d)을 형성하기 위해 서로 연결된다. 링(10d)은 중간 피스(310)용 지지체로서 작용하며 섹터(10d)를 대체한다.도 38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카트리지(30)용 지지체는 탄성 부재(39)의 이동을 제한하고, U자형 지지체(34)의 중앙 웨브 아래로 연장하는 2개의 높은 스톱을 갖는다. 높은 스톱은 지지체의 측방향 윙의 바닥부로 연장하는 90°접힘부에 의해 형성되며, 이러한 스톱은 커버의 바닥에 인접한다.
탄성 부재(39)는 지지체의 중앙 웨브 아래로 연장하는 반면 상기 웨브의 바닥면과 접촉한다.
앞의 도면에 있어서 중간 부분은 환형 형상을 가지지만, 중간 피스(310)는 제 2 탄성 설형부에 의해 램프를 갖는 링에 연결되는 치형부가 형성된 섹터(31)로 감소될 수 있다. 제 2 설형부(400) 및 치형부가 형성된 섹터(310)로 이루어진 조립체를 도 42 및 도 43에서 볼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은 만곡한 형상의 설형부(400)(환형 섹터의 형상임)에 의해 섹터(310)가 커버에 탄성적으로 연결되기 때문에 고속의 회전 속도로 웜(30)과 한세트의 치형부(31)가 맞물리는 것을 향상시킨다.
이러한 구성은 특히 매우 고속의 회전 속도에서 진동과 관련된 과도한 흡수를 제거하기 위해 매우 고속의 회전 속도로 마모 흡수를 차단할 수 있다. 이들 도면에 있어서 중간 피스는 제 2 설형부에 의해 탄성적으로 현수된다.
이전의 도면에 있어서, 단일 하우징(20)은 카트리지(30)를 장착하기 위해 사 용되었다.
도 44 내지 도 47에 있어서 다른 2개의 하우징은 중간 피스(310)용 축방향 스톱을 형성하는 피스(10f)를 장착하기 위해 사용된다. 피스(10f)는 중간 피스(310)를 중심설정하며,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중간 피스는 그 외주연부에 걸쳐 축방향으로 배향된 부분의 내주연부와 밀착하며 각각의 피스(10f)는 중간 피스를 축방향으로 보유하기 위한 후크 형상을 갖는다.
따라서 피스(10f)는 커버의 바닥에 대해 대향방향으로 배향된 중간 피스(310)의 면과 접촉하기 위해 내측으로 반경방향으로 배향된 반경방향 배향 스톱부를 갖는다.
따라서 스톱 피스(10f)는 각진 브래킷 형상이다. 각각의 피스(10f)는 피스(10f)의 축방향 부분의 자유 단부에 연결된 고정 러그를 갖는다. 고정 러그는 전반적으로 외측으로 반경방향으로 연장하며 적어도 하나의 리벳에 의해 하우징(20)의 바닥(123)에 고정되며, 고정 러그는 리벳이며, 균형 리벳(201')이다. 하우징(20)은 모두 동일하여 바닥(123)은 창이 제공된다. 또한 피스(10f)는 균형 매스를 형성한다. 지지체(34)의 측방향 윙 각각은 피스(10f)와 관련하여 중간 피스용 축방향 스톱으로 작용하기 위해 내측으로 반경방향으로 배향된 러그(10e)를 갖는다. 따라서 지지체(34)는 간단하고 경제적인 방법으로 추가적인 기능을 갖는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하우징은 중간 피스(310)를 유지하기 위해 축방향 스톱(10f, 10e)을 장착하도록 사용된다. 높은 스톱중 하나가 참조부호(10g)로 참조되었으며, 도 42의 지지체는 도 44 내지 도 47의 지지체와 동일하다.
모든 경우에 있어서 중간 피스는 중간 피스를 일 방향으로, 즉 커버(2)의 바닥에서 압력판(1)쪽으로 향하는 방향으로 축방향으로 보유하는 적어도 하나의 축방향 스톱(10a, 10b, 10d, 10f, 10e)과 마찰 접촉하며, 중간 피스(310)는 커버의 바닥쪽으로 회전되는 상기 스톱의 면과 접촉한다.
나머지 축방향으로 나머지 중간 피스는 연장부(10a)(도 9)에 의해 보유되거나, 또는 링(3) 및 제 2 설형부를 통한 다이어프램에 의해 보유된다.
모든 도면에 있어서 탄성 부재는 U자형 지지체(34)의 중앙 웨브의 반경방향 아래에 위치된다.
변형예로서, 탄성 부재(39)는 지지체(34) 위에 반경방향으로 위치되는 반면 지지체(34)의 중앙 웨브(134)의 상면과 접촉하며, 이는 탄성 부재(39)의 제어 설형부(390)를 연장시킬 수 있다. 반경방향 간극은 리벳 이음에 의해 지지체(34)의 중앙 웨브(134)에 고정된 부재(39)와 하우징(20) 사이에 존재한다.
보다 정확하게는 반경방향 간극은 카트리지(30)의 하우징(도 3 참조)의 상부를 형성하는 커버의 스커트의 변형부와, 부재(39)를 고정하기 위한 리벳(234) 사이에 존재하며, 부재(39)는 웨브(134)의 압출에 의해 제조되어 작은 높이(e)(도 48)로 부재(39)에 대해 돌출식으로 연장되어, 부피를 줄일 수 있다고 하는 것이 장점이다.
도 48에 있어서, 클러치가 맞물릴 때 거리(h)는 양호하게 제어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탄성 부재는 2점, 즉 중앙 러그(34')의 레벨 및 지지체(34)를 고정하는 레벨, 및 리벳(234)의 레벨에서 고정된다.
도 48 내지 도 51의 실시예에서, 샤프트(35)는 원통형 헤드(135), 헤드(135)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D)을 갖는 배럴(235), 및 배럴(235)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 단부 테일(end tail)(335)이 제공된다. 웜(36) 및 래칫 휠(37)로 이루어지는 조립체는 지지체(34)의 2개의 윙(334) 사이에서 축방향으로 연장하는 배럴(235)을 따라 활주하도록 장착된다. 흡수 스프링(38)은 배럴(235) 둘레에 장착되며 이러한 목적을 위해 관련된 윙(334)내의 구멍(336)을 통과하는 헤드(135)상을 지지한다. 샤프트(35)는 플랜지(334)의 내면상에 및 테일(355)의 단부를 통해 배럴(235)을 갖는 테일(335)의 연결부의 직경을 바꿈으로써 형성된 숄더를 통해 지지하는 테일(335)에 의해 다른 윙(334)상에 축방향으로 체결되며, 테일(335)이 상기 플랜지내에 형성된 개구(335)를 통과한 밀어넣어진다. 물론, 개구(337)의 직경은 개구(336)의 직경보다 작다.
흡수 스프링(38)은 나사(337)가 인접 윙(334)상에 접하도록 하기 위해 조절, 즉 사전 응력이 가해진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있어서, 휠(37)과 나사(36)로 이루어지는 조립체는 배럴(235) 및 스프링(38)상으로 활주되며 더 이상 인접 윙(334)을 지지하지 않아 상기 윙은 처리될 필요가 없다. 또한 탄성 부재(39)는 간단하게 되고 긴 길이를 갖는다. 흡수 스프링(38)의 사전 응력에 관한 자세한 설명을 위해, 1998년 12월 29일자로 출원된 프랑스 특허 출원 제 FR 98 16456 호에 참조가 이루어졌다. 사전 응력은 마모 흡수 작동중에만 나사(36)와 한세트의 치형부(31) 사이에 상대적인 운동을 갖도록 할 수 있으며, 이는 마모를 감소시킬 수 있다. 제어 설형부(39)가 래칫 휠(37)상의 치형부를 건너 뛸때, 래칫 휠(37) 및 웜(36)으로 이루어지는 조립체는 클러치를 해제 또는 재맞물림 작동중에만 회전하도록 한다. 이러한 상황에서 스프링(38)은 사전 응력이 가해진 상태하에 유지되고, 이는 스프링(38)이 전반적으로 압착되지 않도록 한다. 클러치를 해제하는 작동동안, 나사(36)는 스프링(38)으로 인해 회전될 수 없다.
물론 모든 조합이 가능하다.
도 42의 실시예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력판은 카트리지(30)의 레벨에서 평편한 리세스를 가지며, 일 세트의 치형부(31)는 중간 피스(310)내 리세스 또는 스캘럽의 바닥에 위치되어 일 세트의 치형부가 중간 피스의 외주연부의 반경방향 아래로 연장함을 알 수 있다. 이러한 모든 것이 설계되어 웜(36)이 확실한 방법으로 일 세트의 치형부(31)와 맞물리는 반면 횡방향 부피를 감소시킨다.
도 30에 있어서 중간 피스(310), 설형부(200), 및 램프(330)를 갖는 링으로 이루어진 소조립체가 클러치내에 장착되지 않았을 때 제 2 설형부(200)를 보호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링(330) 및 중간 피스(310)상에 제거가능한 클립(1000)을 장착시키는 것을 만족시킬 수 있다.
도 44에서 균형 피스(10f)는 3개의 리벳(201')에 의해 하우징(20)의 바닥(123)에 고정됨을 알 수 있다. 변형예에서 커버에 고정하기 위한 러그에 의해 외주연부에서 연장되는 링을 형성하기 위해 피스(10b)는 내주연부에서 서로 연결된다. 이러한 경우, 커버에 고정되는 설형부의 단부는 그들 영역인 링(10b)상의 러그와 커버 사이에 개재된다. 모든 조합이 가능하며, 따라서 도 9에서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10a)가 도 22의 형태인 강성 피스(10b)로 교체될 수 있다.
도 48 내지 도 51의 실시예에 있어서, 도 38의 돌출부(341)와 동일한 형태의 돌출부가 제공될 수 있다. 도 38 및 도 48 내지 도 51에 있어서, 러그(34")의 다른 측면에 지지체의 중앙 웨브상의 제 2 돌출부를 제공할 수 있다. 이 제 2 돌출부[도 52에서 참조부호(341')로 표시됨]는 돌출부(341)보다 낮을 수 있다. 따라서, 원심력이 작용할 때, 제 2 돌출부는 하우징(20) 상부의 내주연부와 접촉하게 된다. 돌출부(341, 341')는 프레싱(pressing)에 의해 얻어진다. 따라서 도 48 내지 도 52의 카트리지는 특히 경제적이다.
변형예로서, 도 40과 상이한 러그(34', 34")를 갖는 대신에, 하우징의 바닥(123)이 경사지도록 하여 웜이 래크를 형성하는 한세트의 치형부(31)에 접하도록 하는 반면, 도 8에서와 같은 러그를 갖는 카트리지(30)를 구비한다.
설형부(390)용 높은 스톱 또는 제어 스톱은 1998년 12월 29일자로 출원된 프랑스 특허 출원 제 FR 98 165 47 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커버(2)로부터 나올 수 있다.
제 2 설형부에 의해, 다이어프램과 스톱 사이에 사전 응력하에 장착된 소조립체는 램프를 갖는 링 및 중간 피스가 형성된다.
설형부의 사전 응력에 의해 소조립체가 다이어프램과 스톱 사이에 장착될 때 소조립체의 두께는 감소된다. 링은 항상 다이어프램상에 인접한다.

Claims (49)

  1. 중앙 구멍을 갖는 횡방향으로 배향된 바닥(21)이 제공된 커버(2)와, 적어도 하나의 마찰 라이닝이 제공되고 배면상에 지지 수단(3)을 지지하는 마찰 디스크(101)와 협동하기 위한 마찰판(11)을 정면에 구비한 압력판(1)과, 상기 커버(2)에 대해 상기 압력판(1)의 축방향 운동을 가능하게 하면서 상기 압력판(1)을 상기 커버(2)에 회전가능하게 연결시키는 연결 부재(10)와, 상기 지지 수단(3)상에서 작동하도록 상기 커버(2)상에 지지되는 맞물림 부재(41)와, 맞물림 부재상에서 작동하도록 커버(2)상에 피봇식으로 장착되는 해제 레버(42)와, 마찰 디스크(101)의 라이닝에서의 마모를 흡수하기 위한 장치를 구비하는 자동차용 클러치 장치로서; 상기 마모 흡수 장치는 상기 맞물림 부재(41)에 고정되고 상기 커버(2)에 의해 지지되는 웜(worm)(36)을 구동시키는 액추에이터(410)를 가지며, 상기 웜(36)은 상기 압력판(1)에 의해 지지되는 카운터-램프(13)와 협동하는 램프(32)를 갖는 링(330)과 관련된 한세트의 치형부(31)와 협력하는, 자동차용 클러치 장치에 있어서,
    상기 한세트의 치형부(31)는 상기 중간 피스(340)에 대해 램프(32)를 갖는 링(330)의 축방향 운동을 허용하는 연결부(340, 350)에 의해 램프(32)를 갖는 링(330)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중간 피스(310)에 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클러치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 피스(310)는 전체적으로 축방향으로 고정되도록 상기 커버(2)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클러치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스톱 피스(10a, 10b, 10c, 10e, 10f)가 커버(2)에 의해 지지되어, 상기 중간 피스(310)와 접촉하고 상기 커버(2)로부터 상기 압력판을 향해 진행하는 축방향으로 상기 중간 피스(310)를 축방향으로 유지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클러치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여러개의 스톱 피스(10a, 10b, 10c, 10e, 10f)가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클러치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스톱 피스(10a, 10b, 10c)는 내주연부에서 환형 섹터의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클러치 장치.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스톱 피스(10a, 10b, 10c, 10e)는 상기 커버에 고정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러그에 의해 각각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클러치 장치.
  7. 제 4 항 내지 제 6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2)의 외주연부에 두꺼운 부분으로서 형성된 하우징(20)내에 적어도 하나의 고정 피스(10e, 10f)가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클러치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스톱 피스(10f)는 균형(balancing) 피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클러치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균형 피스는 상기 중간 피스(310)용 스톱을 형성하는 반경방향으로 내측을 향하는 반경방향 배향 부분을 갖는 앵글 브래킷(angle bracket)의 형상이며, 상기 반경방향 부분은 축방향 배향 부분에 의해 연장되며 그것의 자유 단부에서 상기 고정 러그는 반경방향 외측으로 배향된 상기 커버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클러치 장치.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스톱 피스(10f)는 상기 웜(36)을 지지하는 지지체(34)에 속하며, 상기 지지체(34)는 2개의 측방 윙을 갖는 U자 형상을 가지며, 상기 중간 피스용 축방향 스톱을 형성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윙은 상기 반경방향으로 내측을 향하는 러그(10f)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클러치 장치.
  11. 청구항 11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 피스(310)는 상기 커버(2)에 고정되는 2개의 돌출부(10a) 사이에 축방향으로 파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클러치 장치.
  12. 청구항 12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10a)는 축방향 이동성을 갖도록 상기 압력판(1)을 상기 커버(2)에 회전가능하게 연결시키는 제 1 축방향 탄성 설형부(10)에 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클러치 장치.
  13. 청구항 13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설형부(10)는 접선방향으로 배향되는 한편, 그것의 제 1 단부가 상기 커버(2)에 고정되고, 상기 돌출부(10a)는 상기 설형부(10)의 제 1 단부를 연장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클러치 장치.
  14. 청구항 14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스톱 피스는 스톱 피스를 상기 커버에 고정시키기 위한 러그를 갖는 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클러치 장치.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램프(32)를 갖는 링(330)은 형상의 협동에 의해 상기 중간 피스(310)와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클러치 장치.
  16. 제 1 항에 있어서,
    램프(32)를 갖는 링(330) 및 중간 피스(310)중 하나의 요소는 램프(32)를 갖는 링(330) 및 중간 피스(310)중 다른 하나에 존재하는 스캘럽(340)내로 들어가는 러그(350)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클러치 장치.
  17. 청구항 17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링(330)은 상기 중간 피스에 존재하는 스캘럽(340)을 통과하는 축방향 배향된 러그(350)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클러치 장치.
  18. 청구항 18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러그(350)는 원주방향 장착 간극을 가지고 상기 스캘럽(340)을 통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클러치 장치.
  19. 청구항 19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러그(450, 550, 650)는 상기 스캘럽(440)의 원주방향 폭보다 작은 원주방향 폭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클러치 장치.
  20. 청구항 20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19 항에 있어서,
    흡수 스프링(380)은 그것의 일 단부에서 스캘럽(340)의 제 1 측면 에지(441)상에 지지되며, 그것의 다른 단부에서 램프(32)를 갖는 링(330)의 러그(450, 550, 650)의 제 1 측면 에지(551)상에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클러치 장치.
  21. 청구항 21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흡수 스프링(380)은 상기 스캘럽(440)의 제 2 측방향 에지와 접촉하는 러그(450)의 제 2 측방향 에지에 힘을 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클러치 장치.
  22. 청구항 22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2개의 흡수 스프링(380, 381)이 상기 러그(550, 650)의 각 측면에 장착되도록, 제 2 흡수 스프링(381)이 상기 러그(550, 650)의 제 2 측방향 에지와 상기 스캘럽(440)의 제 2 측방향 에지 사이에서 작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클러치 장치.
  23. 청구항 23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2개의 흡수 스프링(380, 381)은 사전 응력하에 대향하여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클러치 장치.
  24. 청구항 24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흡수 스프링(380, 381)은 경사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클러치 장치.
  25. 청구항 25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20 항에 있어서,
    러그(450, 550, 650) 및 스캘럽(440)의 각 제 1 측방향 에지는 코일 스프링의 형태인 흡수 스프링을 유지하기 위한 점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클러치 장치.
  26. 청구항 26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22 항에 있어서,
    러그(550, 650) 및 스캘럽(440)의 각 제 2 측방향 에지는 코일 스프링의 형태인 흡수 스프링을 유지하기 위한 점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클러치 장치.
  27. 청구항 27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웜(36)은 상기 커버(2)에 고정된 지지체(34)에 의해 지지되며, 상기 흡수 스프링(380, 381)은 상기 지지체(34)의 외측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클러치 장치.
  2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 피스는 환형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클러치 장치.
  2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램프(32)를 갖는 링(330)은 상기 링(330)의 축방향 운동을 가능하게 하는 적어도 하나의 축방향 탄성 제 2 설형부(200, 300)에 의해 상기 중간 피스(310)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클러치 장치.
  30. 청구항 30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28 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 피스(310)는 상기 조절 링(330)을 둘러싸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클러치 장치.
  31. 청구항 31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30 항에 있어서,
    상기 램프(32)를 갖는 링(300)과 상기 중간 피스(310)는 동일한 금속 블랭크(blank)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클러치 장치.
  32. 청구항 32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30 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 피스(310)는 축방향으로 배향된 환형 플랜지를 그 외주연부에 갖고, 상기 플랜지는 가능하면 분할되어 있어서, 상기 커버(2)에 속하는 대략 축방향 배향된 환형 스커트(23)의 내주연부와 중간 피스(310)를 밀착시키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클러치 장치.
  33. 청구항 33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30 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 피스(310)는 그 내주연부에 브래킷(312)을 가지며, 상기 링은 상기 브래킷(312) 둘레에 간극을 형성하기 위해 외주연부에 절취부(313)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클러치 장치.
  34. 청구항 34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33 항에 있어서,
    다수의 제 2 설형부(200)가 제공되며, 상기 브래킷(312)은 상기 제 2 설형부(200)를 고정시키는 작용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클러치 장치.
  35. 청구항 35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3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설형부(200)는 상기 지지 수단(3)상의 2개의 환형 섹터 사이의 램프를 갖는 링(300)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클러치 장치.
  36. 청구항 36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28 항에 있어서,
    상기 램프(32)를 갖는 링(330)은 그 외주연부 및 그 내주연부에 플랜지를 갖지 않으며, 중앙에 지지 수단을 형성하도록 나뉘어진 점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클러치 장치.
  37. 청구항 37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36 항에 있어서,
    다수의 제 2 설형부(200)가 제공되며, 상기 중간 피스(310)는 평편한 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클러치 장치.
  38. 청구항 38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28 항에 있어서,
    상기 램프(32)를 갖는 링(300)은 그 내주연부 및 그 외주연부중 하나에 상기 압력판과 협력하고 상기 링을 중심설정하기 위한 축방향으로 배향된 환형 플랜지(333)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클러치 장치.
  39. 청구항 39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38 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 피스(310)는 축방향으로 배향된 환형 플랜지(321)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클러치 장치.
  40. 청구항 40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29 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 피스는 제 2 설형부(300)에 의해 램프(32)를 갖는 링(300)에 연결되는 치형부 섹터에 감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클치 장치.
  41. 청구항 41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2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설형부(200, 300)는 만곡한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클러치 장치.
  42. 청구항 42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2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설형부(200, 300)는 접선방향으로 연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클러치 장치.
  43. 청구항 43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2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탄성 설형부(300)는 원주방향으로 탄성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클러치 장치.
  44. 청구항 44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4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설형부(300)는 적어도 하나의 접힘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클러치 장치.
  45. 청구항 45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44 항에 있어서,
    상기 접힘부는 주름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클러치 장치.
  46. 청구항 46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4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설형부(300)는 상이한 크기인 적어도 2개의 주름을 갖는 콘서티나(concertina)와 같이 접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클러치 장치.
  47. 청구항 47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29 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 피스와 상기 램프를 갖는 링을 상기 클러치 장치내에 장착하기 전에 상기 중간 피스(310)와 상기 램프(32)를 갖는 링(330) 사이의 축방향 분리를 제 한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제거가능한 클립(1000)이 상기 중간 피스(310)와 상기 램프(32)를 갖는 링(330) 사이에서 작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클러치 장치.
  48. 청구항 48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43 항에 있어서,
    무단 나사(36)는 상기 커버(2)의 외주연부에 고정된 지지체(34)에 장착되며, 제 2 설형부(300)는 램프(32)를 갖는 링(330)이 회전하도록 하는 흡수 스프링을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클러치 장치.
  4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한세트의 치형부(31)는 상기 중간 피스(310)의 외주연부에 형성된 리세스의 바닥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클러치 장치.
KR1020007005557A 1998-09-23 1999-09-23 자동차용 클러치 장치 KR10059488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98/11991 1998-09-23
FR9811991A FR2783580B1 (fr) 1998-09-23 1998-09-23 Mecanisme d'embrayage, notamment pour vehicule automobile
FR99/09974 1999-07-30
FR9909974A FR2784150B1 (fr) 1998-09-23 1999-07-30 Mecanisme d'embrayage, notamment pour vehicule automobile
PCT/FR1999/002257 WO2000017535A1 (fr) 1998-09-23 1999-09-23 Mecanisme d'embrayage muni d'un dispositif a rattrapage d'usure a vis sans fi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32338A KR20010032338A (ko) 2001-04-16
KR100594883B1 true KR100594883B1 (ko) 2006-07-03

Family

ID=262345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7005557A KR100594883B1 (ko) 1998-09-23 1999-09-23 자동차용 클러치 장치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6334521B1 (ko)
EP (1) EP1030978B1 (ko)
JP (1) JP4458677B2 (ko)
KR (1) KR100594883B1 (ko)
AU (1) AU5631799A (ko)
BR (1) BR9907291A (ko)
DE (1) DE19981977B4 (ko)
ES (1) ES2232167T3 (ko)
FR (1) FR2784150B1 (ko)
PL (1) PL198488B1 (ko)
WO (1) WO200001753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785954B1 (fr) * 1998-11-17 2001-01-19 Valeo Embrayage a friction, notamment pour vehicule automobile comportant un dispositif perfectionne de rattrapage d'usure
FR2787846B1 (fr) * 1998-12-29 2001-02-09 Valeo Embrayage a friction a dispositif de rattrapage d'usure des garnitures de friction, en particulier pour vehicule automobile
FR2787847B1 (fr) * 1998-12-29 2001-02-09 Valeo Embrayage a friction a dispositif de rattrapage d'usure des garnitures de friction, en particulier pour vehicule automobile
FR2791746B1 (fr) * 1999-03-29 2001-06-29 Valeo Embrayage a friction a dispositif de rattrapage d'usure des garnitures de friction, en particulier pour vehicule automobile
DE10049650A1 (de) * 2000-10-07 2002-04-11 Zf Sachs Ag Gehäuseanordnung für eine Druckplattenbaugruppe, Druckplattenbaugruppe für eine Reibungskupplung
DE10049651B4 (de) * 2000-10-07 2012-05-31 Zf Sachs Ag Druckplattenbaugruppe
DE10049652B4 (de) * 2000-10-07 2013-07-11 Zf Friedrichshafen Ag Druckplattenbaugruppe
FR2847625B1 (fr) 2002-11-25 2005-01-07 Valeo Embrayages Embrayages a friction a dispositif de rattrapage d'usure des garnitures de friction, en particulier pour vehicule automobile
FR2847626B1 (fr) 2002-11-25 2005-08-19 Valeo Embrayages Embrayages a friction comportant un dispositif de rattrapage d'usure des garnitures de friction, en particulier pour vehicule automobile
DE10330538A1 (de) * 2002-12-05 2004-06-24 Zf Sachs Ag Druckplattenbaugruppe für eine Reibungskupplung
FR2907862B1 (fr) * 2006-10-30 2008-12-19 Valeo Embrayages Embrayage pour vehicules automobiles a dispositif ameliore d'equilibrage de "cordon rampe"
KR100844355B1 (ko) * 2007-01-31 2008-07-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폴딩 시트의 리클라이닝 장치
FR2914554B1 (fr) * 2007-04-05 2009-07-17 Germitec Soc Par Actions Simpl Procede de suivi de l'uitilisation d'un appareil medical.
DE102009004718B4 (de) * 2008-01-28 2015-10-29 Schaeffler Technologies AG & Co. KG Kupplungsaggregat mit einer gegenüber einem Gehäuse zentrierten Tellerfeder
DE102009005743B4 (de) * 2008-02-13 2015-10-22 Schaeffler Technologies AG & Co. KG Reibungskupplung mit Nachstelleinrichtung
DE102010008439B4 (de) * 2009-03-09 2019-07-25 Schaeffler Technologies AG & Co. KG Reibungskupplung mit Transportsicherung
DE112010004088T5 (de) * 2009-10-20 2013-03-21 Schaeffler Technologies AG & Co. KG Kolbenblechverbindung mit Blindvernietung
JP2016537581A (ja) * 2013-11-13 2016-12-01 シェフラー テクノロジーズ アー・ゲー ウント コー. カー・ゲーSchaeffler Technologies AG & Co. KG 摩擦クラッチ
FR3038948B1 (fr) * 2015-07-17 2019-05-24 Valeo Embrayages Ensemble pour un mecanisme d'embrayage a friction a rattrapage d'usure
FR3074864B1 (fr) * 2017-12-11 2019-11-08 Valeo Embrayages Organe de rattrapage d'usure pour un mecanisme d'embrayage
PL437935A1 (pl) 2021-05-24 2022-11-28 Akademia Górniczo-Hutnicza im. Stanisława Staszica w Krakowie Podwójne sprzęgło cierne dla automatycznej przekładni pojazdu silnikowego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242892A5 (en) 1973-08-27 1975-03-28 Ferodo Sa Motor vehicle diaphragm clutch unit - locking projections engage outer ends of radial diaphragm openings
FR2420690A1 (fr) 1978-03-24 1979-10-19 Ferodo Sa Procede pour le reconditionnement d'un embrayage a diaphragme, et mecanisme d'embrayage propre a la mise en oeuvre d'un tel procede
US4228883A (en) 1978-04-27 1980-10-21 Borg-Warner Corporation Automatic wear adjuster for Belleville spring clutches
JP2564900Y2 (ja) * 1992-08-07 1998-03-11 株式会社エクセディ クラッチカバー組立体
FR2722852B1 (fr) * 1994-07-21 1996-09-06 Valeo Mecanisme d'embrayage a dispositif de rattrapage d'usure, notamment pour vehicule automobile
GB9518991D0 (en) * 1995-09-16 1995-11-15 Automotive Products Plc Automatically adjusting clutch
FR2739158B1 (fr) * 1995-09-21 1997-11-28 Valeo Embrayage a friction a dispositif de rattrapage de jeu, notamment pour vehicule automobile
FR2739159B1 (fr) * 1995-09-21 1997-11-28 Valeo Moyens a rampes pour dispositif de rattrapage de jeu destine a equiper un embrayage a friction, notamment pour vehicule automobile
FR2753758B1 (fr) * 1996-09-06 1999-04-02 Embrayage a friction a faible effort de debrayage
US5944157A (en) * 1996-09-17 1999-08-31 Valeo Friction clutch, in particular for a motor vehicle, including a wear compensating device
FR2753503B1 (fr) * 1996-09-17 1998-12-04 Valeo Embrayage a friction a dispositif de rattrapage d'usure, notamment pour vehicule automobile
FR2753506B1 (fr) * 1996-09-17 1998-12-04 Valeo Embrayage a friction, en particulier pour vehicule automobile, comportant un dispositif de rattrapage d'usure
FR2753504B1 (fr) * 1996-09-17 1998-12-04 Valeo Embrayage a friction a dispositif de rattrapage d'usure, en particulier pour vehicule automobile
FR2774441B1 (fr) 1998-02-05 2000-06-23 Valeo Mecanisme d'embrayage a friction, notamment pour vehicule automobile, comportant un dispositif de rattrapage d'usure
FR2787846B1 (fr) * 1998-12-29 2001-02-09 Valeo Embrayage a friction a dispositif de rattrapage d'usure des garnitures de friction, en particulier pour vehicule automobi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030978B1 (fr) 2004-11-10
KR20010032338A (ko) 2001-04-16
WO2000017535A1 (fr) 2000-03-30
US6334521B1 (en) 2002-01-01
FR2784150B1 (fr) 2001-01-19
EP1030978A1 (fr) 2000-08-30
PL198488B1 (pl) 2008-06-30
DE19981977T1 (de) 2000-10-12
ES2232167T3 (es) 2005-05-16
AU5631799A (en) 2000-04-10
PL340538A1 (en) 2001-02-12
FR2784150A1 (fr) 2000-04-07
BR9907291A (pt) 2000-10-03
DE19981977B4 (de) 2010-12-02
JP2002525520A (ja) 2002-08-13
JP4458677B2 (ja) 2010-04-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94883B1 (ko) 자동차용 클러치 장치
KR101032199B1 (ko) 마찰 클러치
KR100416360B1 (ko) 차량용마찰클러치를구비한간극조정용장치의램프수단
US4828083A (en) Friction clutch utilizing a progressive engagement action
KR100495561B1 (ko) 마모보상장치를구비한자동차용마찰클러치
JP2000500852A (ja) 特に自動車用の摩耗補償装置を備える摩擦クラッチ
JP2002520550A (ja) 特に自動車用の液圧結合装置
US5257687A (en) Friction clutch driven plates
US5706924A (en) Clutch including a wear take-up device, in particular, for motor vehicles
JPH0480254B2 (ko)
US5779017A (en) Friction clutch for a motor vehicle
AU623576B2 (en) Apparatus for adjusting hysteresis in a clutch
US5720373A (en) Friction clutch for a motor vehicle
JP4582913B2 (ja) クラッチカバーにダイヤフラムを取り付けるための装置
JP3458278B2 (ja) トーションダンパー
KR101032163B1 (ko) 마찰 클러치
JP2002501597A (ja) 平衡手段を備える摩耗調整装置付きクラッチ機構
US5007517A (en) Adjustable hysteresis damper
KR100217197B1 (ko) 진동 댐퍼닝 메카니즘, 감소된 축 두께, 진동 댐퍼닝 메카니즘내에 배치된 파형 스프링을 가지는 클러치 장치
JPH08506409A (ja) 特に自動車用の、締結スタッドを内蔵したクラッチモジュール
US4616741A (en) Clutch cover assembly
KR100633967B1 (ko) 마찰 클러치
US5682970A (en) Clutch module having a cover plate attached to the flywheel by means of a bayonet type fitting
US8186486B2 (en) Inertia brake
US6874608B2 (en) Clutch internal shield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2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25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6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5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