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91938B1 - 카메라용 프린트 포맷 선택장치 - Google Patents

카메라용 프린트 포맷 선택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91938B1
KR100591938B1 KR1019970032375A KR19970032375A KR100591938B1 KR 100591938 B1 KR100591938 B1 KR 100591938B1 KR 1019970032375 A KR1019970032375 A KR 1019970032375A KR 19970032375 A KR19970032375 A KR 19970032375A KR 100591938 B1 KR100591938 B1 KR 1005919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ew
field
print format
plate
siz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323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80010588A (ko
Inventor
케이지 우치야마
미쯔히로 모리야
Original Assignee
후지 샤신 필름 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18377596A external-priority patent/JP3670402B2/ja
Application filed by 후지 샤신 필름 가부시기가이샤 filed Critical 후지 샤신 필름 가부시기가이샤
Publication of KR9800105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800105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919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919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3/00Viewfinders; Focusing aids for cameras; Means for focusing for cameras; Autofocus systems for cameras
    • G03B13/02Viewfinders
    • G03B13/10Viewfinders adjusting viewfinders field
    • G03B13/12Viewfinders adjusting viewfinders field to compensate for change of camera lens or size of pictur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2Bodi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24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with means for separately producing marks on the film, e.g. title, time of exposur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206/00Systems for exchange of information between different pieces of apparatus, e.g. for exchanging trimming information, for photo finishing
    • G03B2206/004Systems for exchange of information between different pieces of apparatus, e.g. for exchanging trimming information, for photo finishing using markings on the photographic material, e.g. to indicate pseudo-panoramic exposur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2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217/24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with means for separately producing marks on the film
    • G03B2217/242Details of the marking device
    • G03B2217/243Optical devic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219/00Cameras
    • G03B2219/02Still-picture cameras
    • G03B2219/04Roll-film cameras
    • G03B2219/045Roll-film cameras adapted for unloading the film in the processing laboratory, e.g. disposable, reusable or recyclable cameras

Abstract

본 발명은 카메라 또는 렌즈장착 사진 필름 유니트에 장전된 필름스트립의 각 사진프레임에 다른 프린트 포맷들 중 하나를 선택하기 위한 프린트 포맷 선택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여기에서 화인더의 원 시야 범위는 카메라 노출 창에 의해 한정된 사진프레임과 일치한다. 회전가능한 시야 변환판은 선택된 프린트 포맷에 따라 원 시야 범위를 제한하도록 제공된다. 시야 변환판은 원 시야 범위로 부터 다른 아스펙트 비의 두 개의 시야 창으로 형성된다. 시야 창의 중심은 시야 변환판의 회전축과 동축이고 화인더의 광축을 가로질러 연장하는 원상에 있다.

Description

카메라용 프린트 포맷 선택장치
본 발명은 사진 프레임이 하나의 필름 스트립내에서 다른 포맷으로 인쇄되도록 지정될 수 있고 화인더의 시야 범위가 지정된 인쇄 포맷에 따라 변환되는 카메라 및 렌즈 장착 사진 필름 유니트용 프린트 포맷 선택장치에 관한 것이다.
사진필름 카트리지가 미리 장전된 콤팩트 형태의 카메라 및 렌즈장착 사진 필름 유니트(이하 "필름 유니트"라 함)는 사용자가 선호하는 스냅카메라로서 보다 대중화되고 있다. 스냅촬영에 재미를 더하기 위해 아스펙트 비가 약 1.5인 ISO 135 표준사이즈 또는 35㎜ 필름, 길이가 ISO 135 사이즈의 약 배이고 따라서 아스펙트 비가 약 3.0인 파노라마 사이즈(P사이즈) 및 아스펙트 비가 하이비전 TV 스크린에 근사한, 즉 약 1.8인 하이비전 사이즈(H사이즈)를 포함하는 다른 포맷의 사진프린트를 만들기 위한 프린트 시스템이 제공되었다. 일반적으로, P사이즈 사진프린트는 약 89㎜ × 127㎜, H사이즈 사진프린트는 약 89㎜ × 158㎜ 및 ISO 135 사이즈는 약 89㎜ × 127㎜ 이다.
필름 스트립으로 부터 다른 포맷의 사진프린트를 제공하기 위한 하나의 방법으로는 지정된 프린트 포맷에 따라 각 프레임 마다 필름스트립상에 노출범위를 제한하여 다른 아스펙트 비의 노출프레임으로 부터 사진프린트를 만들기 위해 광 차폐 마스크 또는 블레이드를 사용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 총 사이즈 프레임이 24㎜ × 36㎜인 통상적인 ISO 135 또는 35㎜ 필름에 있어서는 총 사이즈 프레임 노출범위의 상, 하부가 13㎜ × 36㎜의 P사이즈 노출프레임 또는 20㎜ × 36㎜의 H사이즈 노출프레임을 형성하기 위해 마스킹된다.
또한, 모든 사진프레임을 같은 크기로 기록하면서 동시에 각 프레임 마다 인쇄 포맷을 지정하기 위한 데이타를 기록하는 것도 본 기술분야에서 알려져 있다. 이러한 방법에 있어서는 프린트가 지정된 프린트 포맷의 아스펙트 비와 일치하는 각 프레임의 프린팅 범위를 제한하므로서 같은 사이즈의 사진프레임으로 부터 지정된 프린트 포맷으로 이루어진다. 각 사진프레임과 동시에 기록된 프린트 포맷 데이타로서는 사진프레임의 한 여백상의 사진 필름에 도트 패턴을 기록하는 것이 본 기술분야에서 알려져 있다. JPA 8-160523 호는 사진 필름상에 도트 패턴을 사진술로 기록하기 위해 입사광을 사용하는 필름 유니트를 기술하고 있다.
최근에는 소위 IX 240 타입 또는 APS(진보된 사진시스템(Advanced Photo System)) 타입이라 불리는 새로운 형태의 사진 필름 카트리지가 시장에 선을 보였다. 예를들면, JPA 6-301157 호에 기술된 바와같이 IX 240 사진 필름 카트리지는 내부에 필름스트립의 선단부를 함유하는데 그 스풀을 비 권취방향으로 회전시키므로서 그것을 외부로 보낼 수 있다. IX 240 사진 필름 카트리지에 내장된 필름스트립의 표준프레임 노출 범위는 16.7㎜ × 30.2㎜ 이다.
IX 240 표준프레임의 아스펙트 비는 약 1.8, 즉 H사이즈이기 때문에 H사이즈 사진프린트는 표준프레임으로 부터 만들어진다. 이 경우에 ISO 135 표준 사진프린트와 동등한 C 사이즈 사진프린트가 표준프레임 노출범위의 좌우부분을 제한하거나 표준 사진프레임의 프린팅 범위를 16.7㎜ × 23.4㎜로 제한하므로서 이루어진다. 한편, P사이즈 사진프린트는 표준프레임 노출범위의 상하부분을 제한하거나 표준 사진프레임의 프린팅 범위를 9.5㎜ × 30.2㎜로 제한하므로서 이루어진다.
노출과 동시에 필름스트립내의 각 사진프레임마다 다른 프린트 포맷을 지정하기 위해 상기한 기능을 갖는 많은 카메라 및 필름 유니트들은 또한 지정된 프린트 포맷 또는 프린팅 범위와 일치하도록 시야 범위를 변환시키기 위한 기능을 가져서 촬영자가 지정된 프린트 포맷의 개별적인 사진프린트에 포함되도록 촬영장면을 계획할 수 있도록 한다.
세가지 다른 사이즈들 가운데 시야범위를 변환시키는 방법에 있어서는 두 개의 다른 시야 창을 갖는 화인더 마스크판 또는 시야 변환판이 두 개의 다른 시야창중 어떤 것으로 원 시야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원 시야 범위로 이동된다. 예를 들면, 35㎜ 카메라에서의 원 시야 범위는 ISO 표준 사진프린트에 포함될 장면을 보여주는 반면에 두 개의 다른 시야 창은 각각 P사이즈 프린트 포맷과 H사이즈 프린트 포맷과 일치한다. 표준 사진프린트가 지정되는 동안 화인더 마스크판은 시야 범위로 부터 후퇴되어야 한다. 따라서, 화인더 마스크판이 시야 범위로 부터 후퇴되도록 하기 위해 후퇴영역을 갖는 카메라 또는 필름 유니트를 제공하는 것이 필요하다.
화인더는 대부분 촬영렌즈 위에 배치되기 때문에 후퇴영역이 화인더의 수평측에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도 2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으로 신장된 화인더 마스크판에 나란히 두 개의 다른 시야 창을 배치하는 것이 통상적이다. 도 28의 예는 IX 240 타입 사진필름 카트리지용 카메라에 관한 것이고 따라서, 원 화인더 시야 창(89)은 H사이즈이며 화인더 마스크판은 P사이즈 및 C 사이즈 시야 창(92, 93)를 갖는다. 이 경우에 원 시야 범위에 C 사이즈 시야 창(93)을 삽입하는동안 H사이즈 화인더 시야 창(89)으로 부터 P사이즈 시야 창(92)을 후퇴시키기 위한 후퇴 공간(95)이 시야 창(89)의 한 수평면상에 필요하고 시야 창(89)으로 부터 화인더 마스크판(90)을 후퇴시키기 위한 후퇴 공간도 다른 수평면상에 필요하다.
H사이즈 시야 창(89)이 수평방향으로 길이 "A"를 갖는 경우에 공간(95, 96)은 수평방향으로 각각 최소한 길이 "A" 및 길이 "2×A"를 가져야 한다. 결론적으로, 화인더 마스크판(90)에 H사이즈 시야 창의 네겹의 슬라이딩 공간을 제공하는 것이 필요하다. 따라서, 수평으로 신장된 화인더 마스크판은 그들을 콤팩트하게 만드는 것을 어렵게 하기 때문에 필름 유니트 및 콤팩트 카메라에는 바람직하지 않다.
상기를 고려할 때 본 발명의 기본목적은 카메라에 콤팩트하게 도입될 수 있는 카메라용의 프린트 포맷 선택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취급하기 쉽고 작동시에 안정한 카메라용 프린트 포맷 선택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용 프린트 포맷 선택장치는 카메라의 노출 창에 상당하는 제 1 사이즈로 프린트될 사진프레임을 지정하기 위한 제 1 프린트 포맷 위치, 제 1 사이즈와 다른 제 2 사이즈로 프린트될 사진프레임을 지정하기 위한 제 2 프린트 포맷 위치 및 제 1 및 제 2 사이즈와 다른 제 3 사이즈로 프린트될 사진프레임을 지정하기 위한 제 3 프린트 포맷 위치 사이를 슬라이드 가능한 수동 조작 부재 ; 및 수동 조작 부재와 협조하여 축둘레를 회전가능하고, 중심이 시야 변환판의 회전축과 동축이며 화인더의 광축을 가로질러 연장하는 원상에 배치된 최소한 두 개의 다른 시야 창을 갖는 시야 변환판으로 이루어진다.
두 개의 시야 창중 하나 또는 다른 것은 수동 조작 부재가 제 2 또는 제 3 프린트 포맷 위치에 셋팅될 때 카메라 화인더의 원 시야 범위에 위치되어 각각 제 2 또는 제 3 사이즈와 일치하도록 원 시야 범위를 제한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시야 변환판의 회전축은 촬영렌즈의 광축상에 배치되고 시야 변환판은 회전중심과 동축인 둥근 구멍을 갖는다. 둥근 구멍은 촬영렌즈의 원주형 렌즈 통에 장착되어 시야 변환판이 촬영렌즈의 광축둘레를 회전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또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시야 변환판의 회전축은 촬영렌즈 아래에 배치되고 시야 변환판은 회전축과 동축이며 촬영렌즈의 광로를 가로질러 연장하는 원을 따라 있는 호형의 절개부를 가져서 시야 변환판이 촬영렌즈의 광로를 방해하지 않고 회전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상기한 그리고 다른 목적 및 잇점들은 본 발명을 제한하는 것이 아니라 설명을 위해 제공된 첨부도면과 관련하여 볼 때 하기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으로 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여기에서 같은 참고번호는 같거나 상응하는 부분을 나타낸다.
도 1에서, 필름 유니트(2)는 사진필름 카세트를 포함하고 간단한 촬영 메커니즘을 갖는 메인 본체 유니트(3)와 이 메인 본체 유니트(3)의 전방에 부착된 전방판(4)으로 구성된다. 메인 본체 유니트(3)는 화인더 대물렌즈(10), 셔터 버튼(11), 및 플래시창(12)이 설치된다. 전방판(4)은 일체로 형성된 플래시 충전 버튼(14)을 갖고, 직사각형창(15), 둥근창(16) 및 안내슬롯(17)을 갖는다. 직사각형창(15)은 화인더 대물렌즈(10)를 외부로 노출시키기 위한 대물렌즈창이다. 둥근창(16)은 촬영렌즈(taking lens)(18)를 유지시키는 둥근렌즈 후드(19)를 외부로 노출시키기 위한 것이다. 안내 슬롯(17)은 둥근창(16) 둘레로 호를 이루고 프린트 포맷 노브(20)를 슬롯(17)을 따르는 3위치 중 하나에 안내하고, 이중 한 단자위치(P)가 프린트 포맷으로 파노라마 사이즈를 선택하며, 다른 단자 위치(H)는 하이버전 사이즈를 선택하고, 중간위치(C)는 시네마 사이즈를 선택한다.
메인 본체 유니트의 전방측면에 렌즈 후드(19), 스토퍼돌기(22,23)들, 피봇 핀(24), 하이비전 시야 창(27) 및 기타 요소들이 형성된다. 하이비전 시야 창(27)은 직사각형창(15)과 정렬되고, 대물렌즈(10)는 하이비전 시야(27) 후방에 장착된다. 하이비전 시야 창(27)과 직사각형창(15)은 실질적으로 동일 사이즈이고, 하이비전 사이즈(H사이즈) 프린트와 대략 동일한 아스펙트 비를 가지며, 그래서 사진사는 프린트 포맷 노브(20)가 H위치로 설정될 때, H사이즈의 사진영역을 구성할 수 있다. 메인 본체 유니트(3)는 H사이즈 프린트와 대략 동일 애스펙트비를 갖는 도시되지 않은 노출구멍을 갖고, 그래서 모든 이미지 프레임은 사진필름에 H사이즈로 기록된다.
플래시 충전스위치의 접촉판(28), 시야 변환판(29) 및 토글 스프링(40)은 메인 유니트 본체(3)의 정면 측면에 장착된다. 시야 변환판(29)은 노브(20), 둥근 구멍(31), 일체로 형성된 파노라마 시야 창(33) 및 시네마 시야 창(34)을 갖는다. 파노라마 시야 창(33)은 파노라마 사이즈(P사이즈) 프린트의 아스펙트 비와 대략 동일한 아스펙트 비를 갖고, 시네마 시야 창(34)는 시네마 사이즈(C사이즈) 프린트의 아스펙트 비와 대략 동일한 아스펙트 비를 갖는다.
시야 변환판(29)의 둥근 구멍(31)은 시야 변환판(29)이 촬영렌즈(18)의 광축 둘레로 회전될 정도로 렌즈후드(19)에 장착된다. 파노라마 시야 창(33)과 시네마 시야 창(34)은 둥근구멍(31) 둘레에 배치된다. 시야 창(33,34)들의 중심(33a,34a)은 광축(18a)과 공축이고 화인더(10)의 광축(10a)을 가로질러 연장되는 원에 있다. 물론, 하이비전 시야 창(27)은 화인더(10)의 광축(10a)과 중심이 같다. 노브(20)를 P위치로 슬라이드 이동시키면, 시야 변환판(20)은 파노라마 시야 창(33)를 하이 비전 시야 창(27) 정면 우측으로 삽입시키도록 회전된다. 노브(20)를 C위치로 슬라이드 이동시키면 시네마 시야 창(34)은 하이비전 시야 창(27)의 정면 우측으로 삽입된다.
시야 변환판(29)이 어느 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하기 위한 여유 오목부(36,37)는 메인 본체 유니트(3)의 전방표면(3a)에 있는 렌즈후드(19)둘레에 제공된다. 노브(20)가 P위치에 놓일 때 시네마 시야 창(34)은 도 3에 도시된 바와같이 여유 오목부(37)로 후퇴된다. 노브(20)가 C위치에 놓일 때 파노라마 시야 창(33)은 도 4에 도시된 바와같이 여유 오목부(36)로 후퇴된다. 노브(20)가 H위치에 있을 때 파노라마와 시네마 시야 창(33,34)은 도 5에 도시된 바와같이 여유 오목부(36)로 후퇴된다. 스토퍼 돌기(23,24)들은 시야 변환판(29)의 회전을 H위치로부터 P위치까지의 범위로 한정하도록 렌즈후드(19)의 대향 수평측면에 형성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같이, 여유 오목부(37)는 하이비전 시야 창(27)의 수평방향 길이(A)의 약 2/3길이가 필요하다. 이와달리 도 5에 도시된 바와같이, 여유 오목부(36)는 수평방향 길이(A)의 약 3/2길이가 필요하다. 따라서 이들 안전오목부(36,37)의 총길이는 약 19a/6에 불과하고, 이는 도 28에 도시된 바와같은 종래의 수평 슬라이드 시야구역에 필요한 것보다 현저하게 더욱 작다.
토글스프링(40)의 일단부(40a)는 전방측면으로부터 시야 변환판(29)의 작은 구멍(39)으로 삽입되고, 타단부는 메인 본체 유니트(3)의 핀(24)에 유지된다. 토글스프링(40)은 노브(20)가 C위치를 지나서 P위치를 향해 이동된 후 스토퍼 돌기(23)를 향해 강제로 회전되게 하고, 노브(20)가 C위치를 지나서 H위치를 향해 이동된 후 시야 변환판(29)을 스토퍼 돌기(22)를 향해 강제로 회전되게 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같이, 클릭 래치 장치(42)는 노브(20)를 C위치에 래치시키도록 안내슬롯(17)에 형성된다.
도 6은 프린트 포맷 데이타를 사진으로 사진필름에 기록하도록 시야 변환판(29)과 협력하는 프린트 포맷 데이타 기록장치를 보여준다. 프린트 포맷 데이타 기록장치는 마스크판(50), LED(52,53), 데이타 스위칭 블레이드(54), 와 제 1 및 제 2 스위칭 레버(57,58)로 구성된다.
마스크판(50)은 두 개의 직사각형 창(50a,50b)을 갖고 이들 창은 필름 유니트의 노출위치에 놓인 프레임의 하측 마진 전방에 배치된다. LED(52,53)는 직사각형 창(50a,50b)을 향하도록 배치된다. 데이타 스위칭 블레이드(54)는 두 개의 직사각형 창(54a,54b)를 갖는다. 제 1스위칭 레버(57)는 촬영렌즈의 광축에 평행하게 연장되는 슬리이브 축(57b) 둘레로 피봇되고, 제 2스위칭 레버(58)는 필름 유니트의 수평방향으로 슬라이드가 가능하다. 제 1스위칭 레버(58)는 슬리이브 축(57b)의 일단부에 암(57c )을 갖는다. 이 암(57c )은 슬리이브 축(57b)의 방사상 방향으로 연장되고, 말단부에 핀(57d)을 갖는다. 핀(57d)은 광축(18a)의 방향으로 연장되고 시야 변환판(29)의 호를 이룬 안내슬롯(69)으로 돌출된다. 시야 변환판(29)이 회전될 때 핀(57d)은 안내슬롯(69)을 따라 슬라이드되고, 이에의해 제 1스위칭 레버(57)가 회전된다. 제 2암(57e)은 슬리이브(57d)의 타단부에 형성되고, 제 2암(57e)의 말단부에 형성된 핀(57f)은 제 2스위칭 레버(58)의 슬롯(58a)에 결합된다. 슬롯(58a)으로부터 제 2스위칭 레버(58)의 반대단부가 데이타 스위칭 블레이드(54)에 결합될 때, 데이타 스위칭 블레이드(54)는 시야 변환판(29)이 노브(20)에 의해 회전될 때 제 1스위칭 레버(57)의 회전과 함께 제 2스위칭 레버(58)와 슬라이드된다.
상기 구조를 갖는 필름 유니트는 다음과 같이 작동된다.
P사이즈 프린트가 선택될 때 노브(20)는 P위치로 설정되고, 여기에서 파노라마 시야 창(33)은 하이비전 시야 창(27)의 전방에 있고 시네마 시야 창(34)은 도 3에 도시된 바와같이 여유 오목부(37)로 후퇴되며, 그래서 시야구역은 파노라마 시야 창(33)에 의해 한정된다. 또한 토글스프링(40)은 시야 변환판(29)을 스토퍼 돌기(23)와 강제로 접촉시켜서 시야 변환판(29)의 예측되지 않은 회전을 방지한다.
P위치를 향한 시야 변화판(29)의 시계방향 회전에 따라 핀(57d)은 안내슬롯(69)의 일단부(69b)와 접촉되고, 그래서 제 1스위치레버(57)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시야 변환판(29)이 P위치의 노브(20)로 정지될 때 데이타 스위칭 블레이드(54)는 단지 한 직사각형 창(50b)을 폐쇄시키는 위치로 이동된다. LED(52,53)는 빛을 노출에 따라 동기식으로 사진필름에 방출한다. 특히 LED(52,53)는 필름 유니트(2)의 도시되지 않은 플래시 회로에 연결되어서 도시되지 않은 동기화 스위치가 눌려지는 셔터버튼(11)에 응답하여 턴온될 때 발생되는 트리거신호에 의해 LED(52,53)가 작동된다. 그러므로, 노브(20)가 P위치에 설정될 때 LED(52)로부터의 빛이 도 7a에 도시된 바와같이 사진이 찍힌 화상 프레임(65)의 여백에 하나의 직사각형 도트(dot)(74)를 기록하도록 창(50a)을 통해 전해진다.
C사이즈 프린트를 선택할 때, 노브(20)는 C위치로 설정되고, 여기에서 노브(20)는 클릭장치(click device)(4)에 의해 래치되어 시야 변환판(29)의 비예상된 회전을 방지한다. 이 위치에서 도 4에 도시된 바와같이, 파노라마 시야 창(33)은 하이비전 시야 창(27)으로부터 여유 오목부(36)로 후퇴되고 시네마 시야 창(34)은 하이비전 시야 창(27) 전방으로 이동한다. 이에의해 시야(view field)는 시네마 시야 창(34)으로 한정된다.
시야 변환판(29)의 반시계방향 회전에 따라 제 1스위칭 레버(57)의 핀(57d)은 안내슬롯(69)의 중간부분으로 이동되고, 제 1스위칭 레버(57)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시야 변환판(29)이 C위치의 노브(20)로 정지될 때, 데이타 스위칭 블레이드(54)는 개구(54a,54b)가 직사각형 개구(50a,50b)의 전방 우측에 있는 위치로 이동한다. 따라서, LED(52,53)가 노출에 동기적으로 빛을 사진필름에 방출할 때 LED(52,53)로부터의 광 빔은 도 7b에 도시된 바와같이 사진으로 찍힌 픽쳐 프레임(65)의 여백에 두 개의 직사각형 도트(74)를 형성하도록 개구(50a,50b)를 통해 전파된다. 따라서, 두 개의 직사각형 도트(74)는 C사이즈 프린트 포맷 데이타 역할을 한다.
H사이즈 프린트를 선택할 때 노브(20)는 H위치로 설정되고, 여기에서 시야 변환판(29)은 도 5에 도시된 바와같이 하이비전 시야 창(27)으로부터 여유 오목부(37)로 후퇴되고, 그래서 시야는 하이비전 시야 창(27)으로 한정된다. 또한 토글스프링(40)은 시야 변환판(29)이 비예상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시야 변환판(29)을 강제로 스토퍼 돌기(22)에 접촉시킨다.
H위치를 향한 시야 변환판(29)의 반시계방향 회전에 따라, 핀(57d)은 안내슬롯(69)의 일단부(69a)와 접촉되고, 제 1스위칭 레버(57)는 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시야 변환판(29)이 H위치의 노브(20)로 정지될 때 데이타 스위칭 블레이드(54)는 직사각형 개구(50a,50b)를 폐쇄시키는 위치로 이동한다. 그러므로 노브(20)가 H위치로 설정될 때 LED(52,53)가 노출에 동기적으로 빛을 사진필름으로 방출시킬지라도 개구(50a,50b)가 폐쇄되기 때문에 도 7c 에 도시된 바와같이 사진으로 찍힌 픽쳐 프레임(65)의 여백에 도트가 전혀 기록되지 않는다.
이와같은 방식으로 노출된 사진필름을 프린트할 때 사진필름은 각 픽쳐 프레임의 여백에 기록된 도트(74) 수 및 존재를 검출하도록 사진필름을 스캔하는 스캐너를 갖는 자동 사진프린터에서 현상되고 조정된다. 픽쳐 프레임(65)이 여백에 어느 도트(74)를 갖지 않는 경우 H사이즈 픽쳐 프레임(65)에 대응되는 H사이즈 마스크가 자동으로 설정되어 실질적으로 픽쳐 프레임(65)의 전체 구역으로 H사이즈 프린트를 만든다. 픽쳐 프레임(65)이 여백에 두 개의 도트(74)를 갖는 경우, C사이즈 마스크는 도 7b에 가상선으로 의미된 바와같이 픽쳐 프레임(65)의 좌우측 부분을 마스크하도록 사용되어 픽쳐 프레임(65)의 나머지 구역으로 C사이즈 프린트를 만든다. 단지 하나의 도트(74)로 구성되는 P사이즈 프린트 포맷 데이타가 검출될 때 P사이즈 마스크는 픽쳐 프레임(65)의 나머지 구역으로 P사이즈 프린트를 만들도록 도 7a에 가상선으로 의미된 바와같이 픽쳐 프레임(65)의 상하측 부분을 마스크하는데 사용된다.
도 8은 시야 변환판(80)의 또다른 실시예를 보여준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토글스프링(82), 시야 변환판(80)의 노브(83)와 안내슬롯(85)의 중간위치에 예컨데 C사이즈 프린트를 선택하기 위한 위치에 노브(83)를 래치시키기 위한 클릭장치(84)는 클릭장치(84)가 토글스프링(82)으로부터 회전중심을 가로질러 배치되고 노브(82)는 토글스프링(82)에 의해 클릭장치(84)와 강제로 결합되게 될 정도로 배치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필름 유니트를 보여준다. 촬영렌즈(101) 둘레의 메인본체 유니트(100) 전방 측면에 시야 변환판(107)을 장착하기 위한 원통형 림(102)이 형성된다. 토클스프링(108)과 하이비전 시야 창(104)을 장착하기 위한 핀(103)이 또한 메인본체 유니트(100)의 전방표면(100a)에 형성된다. 전방판(109)은 스냅결합(snap-in engagement)에 의해 전방표면에 부착되어 전방표면(100a)에 장착된 토글스프링(108)과 시야 변환판(107)을 커버한다.
시야 변환판은 파노라마 시야 창(110), 시네마 시야 창(111), 둥근구멍(114), 노브(115), 및 토글스프링(108)용 작은구멍(116)으로 형성된다. 둥근구멍(114)은 원통형 림(102)에 조립된다. 림(102)이 촬영렌즈(101)의 광축(101a)과 동축이므로 시야 변환판은 광축(101a) 둘레로 회전가능하다. 하이비전 시야 창(104)의 중심(110,111)들은 광축(101a)과 동축인 원에 배치된다. 전방판(109)은 안내슬롯(120)과 노브(115) 및 촬영렌즈(101)를 외부에 각각 노출시키기 위한 둥근구멍(121)을 갖는다. 노브(115)는 P사이즈 프린트 포맷, C 사이즈 프린트 포맷과 H사이즈 프린트 포맷을 각각 선택하기 위해 3개의 사전 결정된 P위치, C위치, 및 H위치 중 하나로 설정되도록 안내슬롯(120)을 따라 슬라이드된다.
노브(115)를 P위치로 슬라이드시키면 시야 변환판(107)은 파노라마 시야 창(110)을 하이비전 시야 창(104)의 전방 우측으로 삽입시키도록 회전한다. 노브(115)를 C위치로 슬라이드시키면 시네마 시야 창(111)은 하이비전 시야 창(104)의 전방 우측으로 삽입된다.
토글스프링(108)의 일단부(108a)는 후측면으로부터 구멍(116)으로 삽입된다. 타단부는 핀(103)에 유지된다. 토글스프링(108)은 이와달리 노브(115)의 P위치와 H위치에 대응하는 두 단자 위치중 어느 것을 향해 시야 변환판을 강제로 향하게 한다. 즉, 노브(115)가 시계방향으로 C위치를 지나서 이동된 후 시야 변환판은 노브(115)가 P위치로 갈 때까지 토글스프링(108)의 힘에 의해 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이와달리 노브(115)가 반시계방향으로 이 위치를 지나서 이동한 후 시야 변환판은 노브(115)가 H위치로 갈 때까지 토글스프링(108)의 힘에 의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토글스프링(108)의 단부(108a)는 시야 변환판에서 전방으로 돌출되고, 전방판(109)은 시야 변환판이 회전되는 동안 홈(125)을 따라 이동가능하도록 토글스프링(108)의 단부(108a) 경로를 따라 내측면에 호를 이룬 홈(125)을 이룬다. 도 10에 상세히 도시된 바와같이, 홈(125)은 노브(115)가 C위치로 이동될 때 토글스프링(108)의 단부(108a)가 스프링 힘에 의해 노치(125a)에 걸릴 정도로 광축(101a)을 향해 오목하게 들어간 노치(125a)를 갖는다. 이와같은 방식으로 시야 변환판은 시네마 시야 창(111)을 하이비전 시야 창(104)의 전방에 안정되게 위치시킬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 4실시예에 따른 필름 유니트(201)를 보여준다. 필름 유니트(201)는 사진 필름 카세트를 포함하고 간단한 사진 메커니즘을 갖는 메인 본체 유니트(202)와, 메인 본체 유니트(202)의 중간부분 둘레로 감싸이는 포장지(wrapping)(203)로 구성된다. 메인 본체 유니트(202)는 셔터 버튼(206), 프레임 카운터 창(207), 화인더(208), 촬영렌즈(209), 및 플래시 창(211)이 설치된다. 이외에 노브(212)는 수평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도록 메인 본체 유니트(201)의 하측 전방 부분에 설치된다. 213으로 표시된 것은 필름 권취 휠(213)이다. 포장지(203)는 메인 본체 유니트(202)에 부착되고 촬영렌즈(209), 화인더(208), 프레임 카운터 창(207), 노브(212)등을 외부로 노출시키기 위한 절단면을 갖는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같이, 노브(212)는 장벽판(215)의 하측 전방부분에 일체로 형성되고 촬영렌즈(209)와 화인더(208)를 개방 또는 폐쇄시키도록 장벽판(215)을 이동시키게 작동된다. 노브(212)를 외부로 노출시키기 위한 슬롯(220a)은 전방 커버(220)를 통하게 형성된다. 장벽판(215)의 하측 후방부분에 상호연결로드(252)가 고정되고 이의 자유단부는 장벽판(215)을 데이타 스위칭 블레이드(235)와 상호연결시키도록 데이타 스위칭 블레이드(235)와 결합한다. 또한 노브(212)는 하이비전 사이즈(H사이즈), 파노라마 사이즈(P사이즈)와 시네마 사이즈(C사이즈) 중 각 픽쳐 프레임에 프린트 포맷을 선택하도록 작동된다. 노브(212)를 H위치, P위치 또는 C위치에 위치시킴으로써 H사이즈, P사이즈 또는 C사이즈가 프린트 포맷으로 선택되고, 화인더(208)의 시야는 이후 상세히 기술되는 바와같이 선택된 프린트 포맷으로 조정된다.
메인 본체 유니트(202)는 사진필름 카트리지(216)를 포함하는 기본부분(217) 기본부분(217)의 전방에 부착되는 노출 조립체(218)와 플래시 조립체(219), 기본부분(217)의 전방을 커버하는 전방커버(220), 및 기본부분(217)의 후방을 커버하는 후방커버(221)로 구성된다. 이들 구성부품들은 스냅결합으로 메인 본체 유니트(202)에 조립된다.
기본부분(217)은 이의 중간부분에 노출구멍(228) 노출구멍(228)의 반대측면에 있는 카트리지 챔버(231)와 필름 로울 챔버(232)를 갖는 일체부분이다. 노출구멍(228)은 모든 픽쳐 프레임을 하이비전 사이즈로 찍히도록 치수가 만들어진다. 카트리지 챔버(231)는 카트리지 쉘(222)을 유지하고 필름 로울 챔버(232)는 필름 스트립(223)을 로울(223a) 형태로 유지한다.
필름 스트립(223)은 필름 로울 챔버(232)로부터 노출구멍(228) 후방에 형성된 필름 통로를 통해 카트리지 쉘(222)로 진행된다. 한쌍의 데이타 개구(233a)(233b)는 많아야 두 개의 직사각형 도트를 필름스트립(223)상의 프린트 포맷 데이타로서 사진으로 기록하도록 사용되는 노출구멍(228) 하측에 형성된다. 투명한 플라스틱 광가이드(236)의 일단부(236b)는 데이타 개구(233a,233b)를 향하도록 배치된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같이, 광 가이드(236)의 타단부(236a)는 플래시 창(211) 후방의 플래시 방전관(246)을 향하고, 그래서 플래시 방전관(246)의 후방측으로부터 방사된 빛은 내부 반사에 의해 광 가이드(236)를 통해 전도되고 데이타 개구(233a,233b)를 향해 돌출된다. 데이타 스위칭 블레이드(235)는 기본부분(217)의 전방측에 있는 데이타 개구(233a,233b) 하측에 형성된 핀(234) 둘레로 피봇되도록 장착된다. 데이타 스위칭 블레이드(235)는 상호연결 로드(252)에 의해 광 가이드(236)와 데이타 개구(233a,233b) 사이의 간극 안으로 그리고 밖으로 회전된다. 노출 조립체(218)는 프레임수 카운터 디스크(239), 필름 진행 메커니즘, 및 셔터 메커니즘을 포함한다. 또한 촬영렌즈(209)는 노출조립체(218)의 기본부분(240) 전방측면에 형성된 렌즈홀더(241)에 유지된다. 시야 변환판(242)을 회전가능한 방식으로 유지하기 위한 피봇(243)은 렌즈홀더(241) 하측에 형성된다. 렌즈홀더(241) 상측에 화인더(208)는 노출조립체(218)로 결합된다.
플래시 조립체(219)는 접촉판(245a), 인쇄회로기판(PCB)(248)에 인쇄된 한쌍의 접촉 칩(245b,245c)으로 구성되는 충전스위치(245)를 갖는다. 접촉판(245a)은 접촉베이스(245d)를 통해 기본부분(217)에 장착된다. 또한 플래시 조립체(219)는 메인 커패시터(247), 및 이 메인 커패시터(247)를 충전하기 위한 전지(239)를 갖는다. 플래시 조립체(219)는 충전스위치(245)가 턴오프될지라도 충전스위치(245)가 일단 턴온되면 노출에 따라 동기적으로 플래시를 터트릴 준비가 되도록 설계된다.
도 14의 회로다이아그램으로 도시된 바와같이, 플래시 조립체(219)는 부스터회로(270)와 방전회로(280)를 갖는다. 부스터회로(270)에서 전지(247)의 양극은 제어 트랜지스터(272)의 에미터와 발진변압기(273) 1차 코일(273a)의 제 2단자에 연결되고, 충전스위치(245)와 저항기(274)를 통해 발진변압기(273) 제 3코일(273b)의 제 3단자에 연결된다. 제어트랜지스터(272)의 컬렉터는 저항기(274)를 통해 제 3코일(273b)의 제 3단자에 연결된다. 제 3코일(273b)과 제 2코일(273c)의 공통 단자인 제 4단자는 발진 트랜지스터(276)의 베이스에 연결된다. 제어트랜지스터(272)의 베이스는 발진 트랜지스터(276)의 컬렉터에 연결되고 저항기(275)를 통해 제 1차 코일(273a)의 제 1단자에 연결된다.
발진 트랜지스터(276)의 에미터는 전지(249)의 음극과 방전회로(280)의 양극 측에 연결된다. 일단 충전스위치(245)가 턴온되면 발진변압기(276)는 발진변압기(27)로 부터의 양귀환(positive feedback) 때문에 발진하기 시작한다. 충전스위치(245)가 턴오프된 후 바이어스 전압은 발진 트랜지스터(276)의 베이스에 작용하는데 이는 저항기(274)와 제 3차 코일(273b)을 통해 제어트랜지스터 (272)의 컬렉터로부터 양귀환되기 때문이며, 그래서 발진저항기(276)는 계속 발진한다.
제 2차 코일(273)의 제 5단자는 다이오드(277)의 음극에 연결되고 이의 양극은 방전회로(280)의 음극측에 연결된다. 발진 트랜지스터(276)가 발진되는 동안 고압은 제 1차 코일(273a)대 제 2차 코일(273c)의 권선비에 따라 제 2차코일(273c)을 가로질러 발생된다. 다이오드(277) 때문에 제 2차코일(273c)의 제 5단자로부터 제 4단자 방향으로 흐르는 전류만 방전회로(280)에 공급된다.
방전회로(280)는 메인 커패시터(247), 트리거 커패시터(282), 동기화 스위치(265), 트리거 변압기(284), 트리거 전극(285), 플래시 방전관(246), 네온램프(287)등으로 구성된다. 부스터회로(270)로부터의 전류는 메인 커패시터(247)와 트리거 커패시터(282)에서 충전된다. 네온램프(287)는 저항기(288,289)를 통해 메인 커패시터(247)에 병렬로 각각 연결된다. 메인 커패시터(247)가 표준 충전 전압인 300볼트로 충전될 때 네온램프(287)는 간헐적으로 빛을 발하기 시작한다. 네온램프(287)의 빛은 후방커버(221)를 관통하여 형성된 표시구멍을 통해 볼 수 있다.
동기화 스위치(265)는 셔터 블레이드가 개방될 때 턴온된다. 그다음 트리거 커패시터(282)는 트리거 변압기(284)의 제 1차 코일(284a)로 전류를 방전한다. 그 결과 고압트리거신호는 트리거 변압기(284)의 제 2차 코일(284b)에 연결되는 트리거 전극(285)에 인가된다. 트리거 전극(285)의 고전압이 저항을 차단시키도록 플래시 방전관(246)의 크세논가스(Xenon gas)를 이온화시키기 때문에, 그래서 메인 커패시터(247)는 플래시 방전관(246)이 플래시되도록 방전한다.
제너 다이오드(290)의 양극은 메인 커패시터(247)의 음극단자에 연결되고, 제너 다이오드(290)의 음극은 저항기(291)를 통해 비발진 트랜지스터(292)의 베이스에 연결된다. 비발진 트랜지스터(292)의 에미터는 발진 변압기(273)의 제 4단자와 발진 저항기(276)의 베이스에 연결된다. 비발진 트랜지스터(292)의 컬렉터는 전지(249)의 음극과 방전회로(280)의 양극측에 연결된다.
제너 다이오드(290)는 300볼트의 제너 전압을 갖고, 그래서 제너 다이오드(290)는 메인 커패시터(247)가 300볼트의 규정 충전전압까지 충전될 때 즉, 메인 커패시터(247)의 음극단자 전압이 300볼트에 도달될 때 음극으로부터 양극까지 제너 전류를 전도시킨다. 제너 전류는 발진 트랜지스터(276)의 베이스로부터 전류를 차단하도록 비발진 트랜지스터(292)를 활성화시킨다. 이와같은 방식으로, 발진 트랜지스터(276)가 턴오프되고, 따라서 제어 트랜지스터(272)가 턴오프되며, 부스터회로(70)를 비활성화시킨다.
그러나 메인 커패시터(247) 플래시 방전관(246)을 통해 전류를 방전하고, 재활성 펄스가 발진 트랜지스터(276)의 작동전압보다 더 큰 최대전압, 예컨데 이 경우 0.7V로 발생된다. 재활성 펄스는 정류 다이오드(277)와 제 2차 코일(273C)을 통해 발진 트랜지스터(276)의 베이스에 작용된다. 이에의해 발진 트랜지스터(276) 베이스의 전압 레벨(potential level) 접지로서 에미터로부터 전압차를 제공하도록 상승된다. 즉 베이스전압이 발진 트랜지스터(276)에 작용되고, 그래서 베이스전류는 발진 트랜지스터(276)를 활성화시키도록 흐른다.
발진 트랜지스터(276)가 활성화될 때 제어 트랜지스터(272) 재작동된다. 이와같은 방식으로 메인 커패시터(247)는 방전후 즉시 충전되기 시작하고, 표준충전 전압까지 충전된다. 따라서 플래시 조립체(219)는 충전스위치(245)가 턴온되면 메인 커패시터(247)의 충전이 자연 방전 때문에 한계레벨(threshold level)이하로 떨어질지라도 언제나 플래시될 수 있다. 이후 상세히 기술되는 바와같이, 충전스위치(245)는 촬영렌즈(209)와 화인더(208)를 개방시키도록 이동되는 장벽판(215)에 의해 턴온된다.
피봇(243) 둘레로 피봇되는 시야 변환판(242)은 아스펙트 비가 1.5인 시네마 시야 창(242a), 아스펙트 비가 3.0인 파노라마 시야 창(242b), 및 촬영렌즈(209)를 전방으로 노출시키기 위한 호상 절단면(arced cutout)(242c)을 갖는다. 시야 창(242a,242b)들의 중심은 피봇(242)과 동축이고 화인더(208)의 광축(208b)을 가로질러 연장되는 원에 배치된다. 장벽판(215)은 시야 변환판(242)과 전방커버(220)사이에서 슬라이드가능하게 장착된다. 시야 변환판(242)은 전방 측면에 있는 캠 종동핀(242d)을 갖고, 이에의해 시야 변환판(242)은 장벽판(215)과 상호연결된다.
화인더(208)는 본래 H사이즈 노출구멍(228)에 대응되는 시야를 갖는다. 즉 도 18에 도시된 바와같이, 시야 변환판(242)이 화인더(208)의 대물렌즈(208a) 전방에 삽입되지 않는 경우, 시야는 H사이즈로 설정된다. 도 16에 도시된 바와같이, 시네마 시야 창(242a)이 대물렌즈(208a) 전방 우측에 위치되는 경우 시야는 C사이즈 아스펙트 비로 제한된다. 도 17에 도시된 바와같이, 파노라마 시야 창(242b)이 대물렌즈(208a) 전방 우측에 위치되는 경우 시야는 P사이즈 아스펙트 비로 제한된다.
장벽판(215)은 상측 화인더 장벽부분(215a), 하측렌즈 장벽부분(215b) 및 이들 두 장벽부분(215a,215b) 사이에 형성된 L형 캠슬롯(215c)을 갖는다. 장벽판(215)이 도 15에 도시된 폐쇄위치에 있을 때, 상측 화인더 장벽부분(215a)은 대물렌즈(208a) 전방을 커버하고, 하측 렌즈 장벽부분(215b)은 촬영렌즈(209)의 전방을 커버한다. 시야 변환판(242)의 캠 종동핀(242d)은 L형 캠슬롯(215c)에 결합된다.
장벽판(215)은 또한 하측부분에서 도면의 우측으로 연장되는 충전시작 암(215d)을 갖는다. 충전시작 암(215d)은 도 19a에 도시된 바와같이, 자유단부의 후방측에 미는 보스(pushing boss)(250)를 갖는다. 미는 보스(250)는 충전스위치(245)를 턴온시키도록 접촉판(245a)을 접촉칩(245b,245c)으로 밀고, 한편 장벽판(215)은 화인더(208)와 촬영렌즈(209)를 개방시키도록 슬라이드된다.
장벽판(215)이 도 15 및 도 19a에 도시된 바와같이 폐쇄위치에 있는 경우, 충전 시작 암(215d)의 미는 보스(250)는 미는 보스(250)가 기본부분(217)과 전방커버(220) 사이의 베이스부분(245d)에서 물리는(집히는) 접촉판(245a)을 밀지 않는 위치에 있다. 노브(212)를 폐쇄위치에서 C위치로 이동시키는 도중에 미는 보스(250)는 도 19에 가상선으로 도시된 바와같이 접촉판(245a)을 접촉칩(245b,245c)으로 밀고, 미는 보스(250)는 도 19b의 실선으로 도시된 바와같이 접촉판(245d)에서 분리된다. 충전스위치(245)가 이 C위치에서 턴오프될지라도 플래시 조립체(219)는 상기에 설명된 바와같이 계속 충전한다.
장벽판(215)은 상측 화인더 장벽부분(215a)에서 카트리지 챔버(231)를 향해 즉 도면의 좌측으로 연장되는 셔터 버튼 록 암(215e)을 더욱 갖는다. 셔터 버튼 록 암(215e)은 자유단부의 후방측에 핀(253)을 갖고, 이 핀(253)은 셔터 버튼 록 부재(254)의 L형 캠 홈(254a)에 결합된다. 셔터 버튼 록 부재(254)는 도면 좌측 단부의 록부분(254b), 바닥돌기(254c), 이 바닥돌기(254c)의 반대측면에 있는 탄성돌기(254d)를 갖는다. 바닥돌기(254c)는 셔터 버튼(206) 반대측에 있는 전방커버(220)에 형성된 캠 홈(220b)을 따라 안내된다.
도 15에 도시된 바와같이, 장벽판(215)은 장벽판(215)의 스토퍼(256)에 의해 정지되는 폐쇄위치를 향해 스프링(255)에 의해 강제로 유지되고, 화인더 장벽부분(215a)과 렌즈장벽부분(215b)은 화인더(208)와 촬영렌즈(209)를 외부와 차단시킨다. 장벽판(215)의 폐쇄위치에서, 셔터 버튼 록 암(215e) 자유단부의 핀(253)은 셔터 버튼 록 부재(254)의 L형 캠 홈(254a) 바닥단부에 있다. 이 위치에서, 셔터 버튼 록 부재(254)는 록 부분(254b)이 셔터 버튼(206)의 자유단부 바로 밑에 있는 록 위치에 있고, 탄성돌기(254d)는 셔터버튼(206)의 베이스부분에 의해 눌려지며, 그래서 셔터버튼(206)은 더욱 눌려지지 않을 수 있다. 이후, 셔터 버튼 록 부재(254)의 이 위치는 잠금위치(locked position)로 불릴 것이다.
시야 변환판(242)은 도면에서 시계방향으로 회전되도록 스프링(257)에 의해 강제로 힘을 받으나, 시계방향의 회전은 스토퍼(258)에 의해 제한된다. 시야 변환판(242)이 스토퍼(258)로 정지되는 경우 이후 변환판의 초기 위치라 불리며, 시네마 시야 창(242a)은 도 16에 도시된 바와같이 화인더(208)의 대물렌즈(208a) 전방 우측에 있다.
렌즈 장벽부분(215b)은 바닥 변부에 클릭 노치(215f,215g)를 갖는다. 클릭 노치(215f,215g)는 전방커버(220)의 내측에 형성된 클로(claw)와 결합가능하다. 노브(212)를 좌측으로 슬라이드시킴으로써 장벽판(215)은 화인더(208)와 촬영렌즈(209)를 개방시키는 방향으로 이동한다. 노브(212)가 C위치에 도달될 때, 클릭 노치(215f)는 도 16에 도시된 바와같이 클로(259)와 결합된다. 이 노브(212) 및 이에 따라 장벽 판(215)이 폐쇄위치에서 C위치로 이동되는 동안 시야 변환판(242)의 핀(242d)은 L형 캠 슬롯(215c)의 수평부분을 따라 상대적으로 이동되고, 그래서 시야 변환판(242)은 초기 위치에 머물며 화인더(208)의 시야는 시네마 시야 창(242a)에 의해 C사이즈로 제한된다.
동시에 충전스위치(245)가 도 19b에 도시된 바와같이 일단 턴온되고, 그래서 플래시 조립체(219)는 충전시작된다. 또한 핀(253)은 도 16에 도시된 바와같이, 바닥돌기(254c)가 캠 홈(220b)의 바닥에 형성된 오목부(220c)에 잡힐때까지 록부재(254)를 좌측으로 민다. 그다음 셔터 버튼 록 부재(254)는 조금 아래로 이동되고, 그래서 핀(253)은 L형 캠홈(254a)의 모서리까지 상대적으로 이동되며, 탄성돌기(254d)는 본래위치로 되돌아간다. 이와달리 셔터 버튼 록 부재(254)의 좌측단부는 전방커버(220)의 내벽부분(220d)과 접촉되고, 록부분(254b)은 셔터 버튼(206)에서 제거되며, 셔터버튼이 눌려지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후, 셔터 버튼 록부재(254)의 이 위치는 잠금해제 위치(unloched position)로 불릴 것이다.
노브(212)를 C위치에서 더욱 좌측으로 슬라이드시키면 핀(242d)은 L형 캠 슬롯(215c)의 수직변부에 의해 밀려지며, 그래서 시야 변환판(242)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된다. 스프링(257) 힘 때문에 핀(242d)은 이와같은 반시계방향 회전동안에 캠 슬롯(215C)의 수직 변부와 접촉이 유지된다. 노브(212)가 P위치에 도달될 때, 제 2노치(215g)는 도 17에 도시된 바와같이 클로(259)에 결합된다. 이 위치에서 파노라마 시야 창(242b)은 대물렌즈(208a) 전방 우측에 있고, 시야를 P사이즈로 제한한다. 한편 핀(253)은 L형 캠 홈(254a)의 수평부분을 따라 이동되고, 그래서 셔터 버튼 록 부재(254)는 잠금해제 위치에 머무른다.
노브(212)를 P위치에서 좌측으로 이동시키면 시야 변환판(242)은 핀(242d)이 캠 슬롯(215c)의 수직변부에 의해 밀려질 때 반시계방향으로 더욱 회전된다. 노브(212)가 H위치에 도달될 때 제 1클릭 노치(215f)는 클로(259)의 좌측에 형성된 제 2클로(260)에 걸린다. 이 위치에서 시야 변환판(242)은 대물렌즈(208a)의 전방에서 후퇴되고, 그래서 시야는 본래의 H사이즈로 설정된다. 핀(53)은 캠 홈(254a)의 좌측 단자에 도달하도록 캠 홈(254a)의 수평부분을 따라 이동한다.
클릭 노치(215f) 또는 클릭 노치(215g)와 클로(259) 사이의 결합이 스프링(255) 힘보다 더욱 약하고 그래서 사진사는 장벽판(215)을 복귀위치에서 폐쇄위치로 유지시키도록 우측 손가락으로 노브(212)를 유지시켜야 한다. 이에의해 사진사의 우측 손가락은 사진찍는 동안 특히 H사이즈가 선택될 때 촬영렌즈(209)의 사진 시야에서 멀리 유지된다. 손가락이 촬영렌즈를 덜 접촉할 것 같기 때문에 이와같은 구조는 또한 촬영렌즈(209)를 깨끗이 유지하는데 바람직하다. 렌즈 장벽부분(215b)에 의한 보호이외에 필름 유니트(201)의 촬영렌즈(209)는 재사용가능한 상태로 더욱 유지될 것이다. 이는 필름 유니트(201) 재사용에 유리하다.
노브(212)가 장벽판(215)의 폐쇄위치에 대응되는 우측 단부위치에 있을 때 또한 상호연결 로드(252)는 도면의 우측 단부위치 즉, 필름 로울 챔버(232)에 가장 가까운 위치에 있다. 상호 연결 로드(252)의 자유단부가 데이타 스위칭 블레이드(235)의 슬롯(235a)에 삽입되기 때문에 또한 데이타 스위칭 블레이드(235)는 도 20a에 도시된 바와같이 우측으로 완전히 회전된다. 이 위치에서 데이타 개구(233a, 233b)는 데이타 스위칭 블레이드(235)에 의해 폐쇄되지 않는다. 그러나 폐쇄위치에서 셔터버튼(206)은 셔터 버튼 록 부재(254)로 잠금되고, 충전스위치(245)는 도 19a에 도시된 바와같이 오프상태에 있다. 그러므로 개구(233a,233b)를 통해 어느 도트도 기록되지 않는다.
노브(212)가 우측 단부위치에서 C위치로 슬라이드될 때, 데이타 스위칭 블레이드(235)는 도 20b에 도시된 바와같이 상호연결 로드(252)의 이동을 따라 소정 각을 통해 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또한 이 위치에서 양 데이타 개구(233a,233b)는 여전히 개방된다. 셔터버튼이 풀려지고 플래시 조립체(219)가 이 위치에서 충전되기 때문에 두 도트는 도 7b에 도시된 것과 동일 방식으로 셔터버튼(206)의 한 오목부에 응답하는 노출을 동시에 갖는 H사이즈 픽쳐프레임의 여백에 C사이즈를 지정하는 프린트 포맷 데이타로서 기록된다.
노브(212)가 P위치에 위치될 때, 데이타 스위칭 블레이드(235)는 도 20c에 도시된 바와같이 데이타 개구(233a,233b)들 중 하나를 폐쇄시키는 위치로 회전한다. 셔터버튼(206)이 이 위치에서 눌릴 때 단지 하나의 도트가 도 7a에 도시된 것과 동일 방식으로 H사이즈 픽쳐프레임의 여백에 P사이즈를 지정하는 프린트 포맷 데이타로 기록된다. 노브(212)가 H위치에 위치될 때, 데이타 스위칭 블레이드(235)는 양 데이타 개구(233a,233b)를 폐쇄한다. 따라서, 도 7c 에 도시된 것과 동일 방식으로, P사이즈가 노브(212)로 선택된 동안 사진이 찍혀지는 H사이즈 픽쳐프레임의 여백에 어느 도트도 기록되지 않는다.
상기에 기술된 구조를 갖는 필름 유니트(201)는 다음과 같이 작동한다.
먼저 필름 진행 휠(213)은 필름스트립(223) 프레임을 노출구멍(228) 후방에 위치시키도록 회전된다. 그 다음 노브(212)는 장벽판(215)을 개방시키도록 이동되고 세 개의 프린트 포맷중 하나를 선택하도록 세위치 C,P 및 H중 하나에 설정된다. 시야가 노브(212)의 위치에 따라 변화될 때 클릭 노치(215g) 또는 클릭 노치(215f)는 각 위치 C,P 또는 H에서 클로(259) 또는 클로(260)에 걸리고, 사진사는 화인더(208)를 통해 프레임하는 동안 노브(212) 위치를 확인할 수 있다. 노브(212)가 장벽판(215)을 개방시키도록 이동될 때 충전시작 암(215d)의 미는 보스(250)는 충전스위치(245)를 턴온시키도록 접촉판(245a)을 민다. 일단 충전스위치(245)가 턴온되면 플래시 조립체(219)는 메인 커패시터(247)를 표준 전압으로 충전시키고, 플래시 방전관(246)이 매번 플래시 된 후 충전을 반복한다. 그러므로 플래시 조립체(219)는 일단 장벽판(215)이 개방된 후 자동으로 플래시될 준비가 된다.
예컨데 사진사가 P사이즈 시야로 프레이밍(framing) 후 셔터버튼을 누를 때 플래시 조립체(219)의 동기화 스위치(265)는 노출조립체(218)의 셔터 메커니즘으로 폐쇄되고, 그래서 플래시 방전관(246)이 플래시된다. 플래시 방전관(246)으로부터의 빛은 주로 플래시 창(211)을 통해 사진 대상을 향해 투사되나 어느정도는 광 가이드(236)의 일단부(236a)에서 타단부(236b)로 전달되고 데이타 개구(233a,233b)를 향해 투사된다. 그러나, 데이타 개구(233a)는 P사이즈 위치에서 데이타 스위칭 블레이드(235)에 의해 폐쇄되기때문에 광은 단지 한 도트를 H사이즈 픽쳐프레임 옆의 P사이즈 프린트 포맷 데이타로 기록하도록 제 2개구(233b)만을 통해 전해진다.
사진 촬영을 정지시킬 때 사진사는 노브(212)를 해제시키고, 그래서 장벽판(215)은 스프링(255)의 힘을 받아 폐쇄위치로 복귀되며 시야 변환판(242)은 스프링(257)의 힘을 받아 초기위치로 복귀된다. 그 결과 화인더(208)와 촬영렌즈(209)는 화인더 장벽부분(215a)과 렌즈 장벽부분(215b)에 의해 폐쇄된다. 동시에 셔터 버튼 록 부재(254)는 셔텨 버튼 록 암(215e)의 핀(253) 이동을 통해 우측으로 이동되고, 록 부분(254b)이 셔터버튼(206) 바로 아래에 삽입되는 록 위치로 복귀된다. 이와같은 방식으로 셔터버튼(206)은 눌려지는 것이 가능하지 않고 따라서 플래시 방전관(246)은 플래시되는 것이 방지되며, 그래서 장벽판(215)이 폐쇄되는 한 어느 도트도 우연히 기록되지 않을 것이다.
사진촬영을 다시 시작하기 위해 사진사는 노브(212)를 슬라이드시킴으로써 장벽판(215)을 개방시키고, 상기와 동일 작동으로 반복된다. 충전스위치(245)가 동시에 다시 턴온될 때 플래시 조립체(219)는 노출과 동시에 플래시를 허용하고 프린트 포맷 데이타를 기록하도록 자동 충전된다. 플래시 조립체(219)는 각각의 플래시에서 발생된 재활성 펄스에 응답하여 충전을 반복하기 때문에 장벽판(215)을 폐쇄시키지 않고 필름스트립(223)을 프레임단위(frame by frame)로 권취하는 동안 연속으로 사진을 찍는 것이 가능하다.
필름스트립(223)의 노출을 끝낸후 필름 유니트(201)는 인화완성자(photofinisher)에게 보내지고 노출된 필름스트립(233)은 제 1실시예에 대해 기술된 것과 동일 방식으로 기록된 프린트 포맷 데이타에 따라 현상되어 인화된다.
도 21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필름 유니트(300)를 보여준다. 필름 유니트(300)는 셔터버튼(206), 프레임 카운터 창(207), 화인더(208), 촬영렌즈(209), 플래시 창(211) 및 필름 권취 휠(213)이 설치된다. 이외에 충전스위치 작동장치(304)는 플래시 창(211) 하측에 배치되고 노브(305)는 촬영렌즈(209) 둘레의 호형 슬롯(350)(도 23 참조)을 따라 슬라이드가능하도록 촬영렌즈(209) 하측에 설치된다. 프레임 카운터 창(207)의 일측상에 충전상태 표시기(308)용 표시창(309)이 형성된다.
도 22에 도시된 바와같이, 필름 유니트(300)는 사진 필름 카트리지(216)를 포함하는 기본부분(313), 이 기본부분(313)의 전방에 부착된 노출조립체(314)와 플래시조립체(315), 기본부분(313)의 전방을 커버하는 전방커버(316), 및 기본부분(313)의 후방을 커버하는 후방커버(317)로 구성된다. 이들 부품(313 - 317)의 기본적인 구조는 상기 실시예의 동일 이름들을 갖는 것들과 동등하다. 따라서 다음의 설명은 제 5실시예에 중요한 이들 요소에만 관한 것이다.
충전스위치 작동장치(304)는 수직방향으로 슬라이드가능하고 플래시 사진촬영을 위해 상측 위치로 이동된다. 그다음 충전상태표시기(308)는 도 21의 가상선으로 의미되는 바와같이 표시창(309)을 통해 튀어오른다. 충전상태표시기(308)는 플래시조립체(315)가 충전을 완료할 때 빛나기 시작한다. 249로 표시된 것은 플래시조립체(315)를 충전하기 위한 전지이다.
도 23에 도시된 바와같이, 전방커버(316)는 커버 메인 본체(319)와 전방패널(320)로 구성된다. 커버 메인 본체(319)는 화인더(208)의 대물렌즈(208a) 전방에 배치된 화인더 창(318)을 갖고, 전방패널(320)은 화인더 창(318)과 형상 및 크기가 동일하며 화인더 창(318)과 정렬되게 배치된 대물렌즈 창(302)을 갖는다. 충전스위치 작동장치(304)는 전방패널(320)과 커버 메인 본체(319)를 통하여 형성된 개구(321) 전방의 커버 메인 본체(319) 사이에 설치된다. 시야 변환판(323)은 촬영렌즈(209)의 광축(209a) 둘레로 회전가능하도록 원통형 렌즈통(322)에 조립된다. 토글스프링(324)은 시야 변환판(323)과 커버 메인 본체(319) 사이에 현수된다.
충전스위치 작동장치(304)는 외부에 노출된 버튼 부재(326), 커버 메인 본체(319)의 전방에 장착된 베이스판(327), 및 커버 메인 본체(319)를 통하여 형성된 수직 슬롯(328)에 삽입되고 충전상태표시기(308)의 전방측면에 형성된 핀(329)과 결합되는 결합부분(330)을 갖는다. 따라서 충전스위치 작동장치(304)는 수직 슬롯(328)을 따라 슬라이드 가능하다.
베이스판(327)은 수직 슬롯(332)을 갖고 이는 커버 메인 본체(319)의 전방에 형성되는 핀(333)을 수용한다. 수직 슬롯(332)은 노치를 갖고, 그래서 핀(333)은 충전스위치 작동장치(304)가 상하로 슬라이드되는 동안 노치와 맞붙는다.
버튼 부재(326)는 개구(321)의 전방에 배치되고 후방 측면에 도시되지 않은 보스를 갖는다. 버튼 부재(326)가 상측위치로 이동될 때 보스는 플래시조립체(315)의 인쇄회로기판(248)에 형성된 한쌍의 인쇄 접촉칩(245b,245c)으로 접촉판(245a)을 밀어 플래시조립체(35)가 충전을 시작하게 한다.
충전상태표시기(308)는 투명 플라스틱 재료로 형성되고 장착 슬리이브(339)를 통해 노출조립체에 부착된다. 핀(329)은 장착 슬리이브(339)의 전방표면에 형성된다. 충전상태표시기(308)는 또한 광 가이드 부분(340)을 갖는다. 충전스위치 작동장치(304)의 상측위치에서 광 가이드 부분(340)은 플랫조립체(315)의 표시램프 요소를 향하고, 이 표시램프 요소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인쇄회로기판(248)의 후방 측면에 장착되어 충전완료를 표시하는 빛을 방출한다. 표시램프 요소로부터의 빛은 광 가이드 부분(340)을 통해 전달되고 개구(309)로부터 튀어나오는 광 가이드 부분(340)의 상측단부를 통해 필름 유니트(300)의 외부로 투사된다.
시야 변환판(323)은 커버 메인 본체(319)와 전방패널(320)을 형성하는데 사용된 동일 플라스틱 재료로 형성된다. 시야 변환판(323)은 렌즈통(322)에 조립될 때 촬영렌즈(209)의 광축(209a)과 동축인 둥근 구멍(342)과 토글스프링(324)의 일단부(324a)를 삽입하기 위한 작은 구멍(346)을 갖는다. 토글스프링(324)의 반대 코일단부(324b)는 커버 메인 본체(319)에 형성되는 핀(344)에 조립된다.
보스(348)는 시야 변환판(323)의 하측 전방부분에 일체로 형성된다. 보스(348)는 전방 패널(320)에서 전방으로 돌출되는 링형 렌즈후드(349) 아래에 형성된 호형 슬롯(350)에 삽입된다. 보스(348)보다 더 큰 노브(305)는 전방에서 보스(348)로 부착된다. 노브(305)를 시야 변환판(323)에서 이와같은 방식으로 분리시키는 것은 노브(305)의 양호한 조작특성을 유지하는 한편 슬롯(350)을 더욱 좁게 만드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더 좁은 슬롯(350)은 필름 유니트(300)의 내부를 대기의 빛으로부터 보존시키는데 바람직하다.
시야 변환판(323)은 P사이즈 프린트 포맷에 대응하는 파노라마 시야 창(354)과 C사이즈 프린트 포맷에 대응하는 시네마 시야 창(355)과, 이들 창(354,355) 사이에 배치된 절단면(356)을 주변부분에 갖는다. 시야 창(354,355)의 중심은 촬영렌즈(209)의 광축(209a)과 동축이고 화인더(208)의 광축(208a)을 가로질러 연장되는 원에 배치된다. 시야 변환판(323)을 회전시키도록 노브(305)를 작동시킴으로써, 파노라마 시야 창(354), 시네마 시야 창(355)과 절단면(356)중 하나는 화인더(208)의 대물렌즈(208a) 전방에 즉, 대물렌즈 창(302)과 화인더 창(318) 사이에 위치된다.
또한 이 필름 유니트(300)에서, 모든 픽쳐프레임은 H사이즈로 기록되고, 그래서 대물렌즈 창(302)과 화인더 창(318)은 H사이즈 사진 시야에 대응하는 하이비전 시야를 제공하도록 설계된다. 시야 변환판(323)의 절단면(356)은 도 21과 도 24에 도시된 바와같이 대물렌즈 창(302)과 화인더 창(318) 사이에 놓일 때 하이비전 시야에서 간섭이 일어나지 않는 치수로 만들어진다. 필름 유니트(300)는 절단면(356)이 대물렌즈 창(302)과 화인더 창(318) 사이에 위치되는 상태로 초기에 설정되고, 그래서 화인더(208)는 하이비전 시야를 초기에 제공한다.
시네마 시야 창(355)이 대물렌즈 창(302)과 화인더 창(318) 사이에 삽입될 때 화인더(208)의 시야는 도 25에 도시된 바와같이 C사이즈로 제한된다. 파노라마 시야 창(354)이 대물렌즈 창(302)과 화인더 창(318) 사이에 삽입될 때 화인더(208)의 시야는 도 26에 도시된 바와같이 P사이즈로 제한된다. 토글스프링(324)은 H사이즈, C사이즈 및 P사이즈 시야를 제공하는 상기 세 개의 회전위치 각각에서 시야 변환판(323)을 정지시키기에 적합하다. 절단면(356)은 시야 변환판(323)의 창(354, 355)들 사이에 배치되고, 노브(305)의 보다 적은 회전이동은 노브의 H사이즈 선택위치가 도 1 및 도 11의 실시예와 같이 세 사이즈의 중간이 아닌 경우와 비교하여 H사이즈에서 기타 사이즈중 어느사이즈로 시야를 변화시키는데 필요하다.
캠 슬롯(358)은 파노라마 시야 창(354)에서 시네마 시야 창(355)으로 둥근구멍(342) 둘레의 주변범위에 형성된다. 캠 슬롯(358)은 많은 굴곡을 갖고, 그래서 둥근구멍(342)의 중심으로부터 즉 촬영렌즈(209)의 광축(209a)으로부터 캠 슬롯(358)의 거리는 변화된다. 도 23과 도 27에 도시된 바와같이 캠 슬롯(358)은 회전레버(360)의 암(361) 팁(tip)에 형성된 핀(363)을 수용한다.
회전레버(360)는 기본부부분(313)의 노출챔버(365) 상방에 형성된 축(366)에서 회전가능하도록 장착된다. 회전레버(360)의 암(361)은 노출챔버(365)에서 전방으로 돌출되고, 그래서 암(361)의 스윙을 가능하게 하는 공간이 도 22에 도시된 바와같이 노출조립체(314)로 결합된 화인더(208) 아래에 형성된다. 슬릿(368)은 도 23에 도시된 바와같이 화인더 창(318)의 바닥측면에 형성되고, 그래서 핀(363)은 슬릿(368)을 통해 시야 변환판(323)의 캠 슬롯(358)으로 삽입된다. 이와같은 방식에서 회전레버(360)는 시야 변환판(323)이 회전될 때 회전한다.
회전레버(360)는 도면에서 노출챔버(365)의 우측면을 따라 연장되는 제 2암(362)을 갖고 팁에 핀(370)을 갖는다. 핀(370)은 슬라이드 레버(371)의 일단부에 있는 포크(372)와 결합된다. 슬라이드 레버(371)는 수평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도록 노출챔버(365) 하측에 장착된다. 따라서 슬라이드레버(371)는 회전레버(360)의 회전으로 회전된다.
도 27에 도시된 바와같이, 한쌍의 데이타 개구(374, 375)는 필름스트립(223)에 프린트 포맷 데이타로서 많아야 두 도트를 사진으로 기록하기 위해 노출챔버(365) 하측에 형성된다. 데이타 개구(374, 375A)의 전방에 얇은 불투명 플라스틱 필름과 같은 것으로 제조된 데이타 스위칭 블레이드(377)가 장착된다. 슬라이드레버(371)의 후방측면에 형성된 핀(380)은 데이타 스위칭 블레이드(377)의 구멍(379)에 조립되고, 그래서 데이타 스위칭 블레이드(377)는 슬라이드레버(371)를 따라 수평으로 슬라이드된다. 데이타 스위칭 블레이드(377)는 데이타 개구(374)를 결정된 슬라이딩 위치에서 열기 위한 개구(378)를 갖는다.
투명 플라스틱 광 가이드(382)는 데이타 스위칭 블레이드(377)의 전방에 배치되고 이의 일단부는 데이타 개구(374, 375)를 향한다. 광 가이드(382)의 타단부는 광 방출요소(384), 예컨데 LED 를 향하고 이는 플래시 조립체(315)의 인쇄회로기판(248) 후방측면에 장착된다. 광 차폐판(383)은 광가이드(328)와 데이타 개구(374,375)를 필름유니트(300)의 기타 내측부분으로부터 차폐시키도록 광 가이드(328)의 전방에 배치된다. 광차폐판(383)은 또한 광 방출요소(384)를 수용하기 위해 원통형 부분(385)을 갖는다. 이 원통형 부분(385)은 또한 광 방출요소(384)로 부터 필름 유니트(300)의 기타 내측부분으로 광 누설을 방지한다. 광 방출요소(384)는 플래시 조립체(315)의 회로에 연결되어서 광 방출요소(384)는 플래시조립체(315)의 충전여부에 관계없이 플래시조립체(315)의 동기화 스위치(265)가 셔터버튼(206)의 누름시에 전환될 때 발생되는 트리거신호에 의해 광을 방출하도록 활성화된다. 방출요소(384)로부터의 광은 광 가이드(385)를 통해 전달되고 데이타 개구(374,375)를 향해 돌출된다.
슬라이드레버(371)는 광 차폐판(383)의 전방에 배치된다. 코일스프링(388)은 도면의 우측으로 슬라이드레버(371)를 경사시키도록 슬라이드레버(371)의 핀(389)과 광 차폐판(383) 사이에 현수된다. 이와같은 방식에서, 회전레버(360)의 핀(363)은 도 24 - 도 26에 도시된 바와같이 시야 변환판(323)의 캠 슬롯(358) 내향 캠 표면(358a)과 접촉이 유지되고, 이는 데이타 스위칭 블레이드(377)에 전달될 시야 변환판(323)의 회전이동을 보장한다.
노브(305)가 도 24에 도시된 바와같이 H사이즈위치에 놓일 때 데이타 스위칭 블레이드(377)는 양 데이타 개구(374,375)를 폐쇄시키고, 그래서 도 7c 에 도시된 것과 동일방식으로 사진찍은 픽쳐프레임의 여백에 아무 도트도 기록되지 않는다. 노브(305)가 도 25에 도시된 바와같은 C사이즈 위치에 놓일 때 데이타 스위칭 블레이드(377)는 데이타 개구(375)에서 후퇴되고, 데이타 스위칭 블레이드(377)의 개구(378)는 데이타 개구(374)의 전방에 놓이며, 그래서 두 개의 도트는 도 7b에 도시된 것과 동일방식으로 사진찍힌 픽쳐프레임의 여백에 기록된다. 노브(305)가 도 26에 도시된 바와같은 P사이즈위치에 놓일 때 데이타 스위칭 블레이드(377)는 데이타 개구(375)에서 멀리 이동되고, 데이타 스위칭 블레이드(377)의 개구(378)는 데이타 개구를 폐쇄시키도록 데이타 개구(374)에서 후퇴되며, 그래서 단지 한 도트가 도 7a에 도시된 것과 동일방식으로 사진찍힌 픽쳐프레임의 여백에 있는 데이타 개구(375)를 통해 기록된다.
시야 변환판(323)과 이에 따라 노브(305)가 토글스프링(324)에 의해 3개의 스위칭 위치중 하나에 유지될지라도 노브(305)가 해제될 때 시야 변환판(323)을 H사이즈 위치로 강제로 복귀되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시야 변환판(323)운 전방커버(316) 후방에 장착된다.
본 발명은 IX 240형 사진필름 카트리지를 포함하는 필름 유니트에 대해 기술됐고, 본 발명은 물론 ISO 135형 사진필름 카트리지를 포함하는 필름 유니트 및 또한 콤팩트카메라에 적용가능하다. 즉 이용가능한 프린트 포맷의 수 및 형식은 상기 세 사이즈에 제한되지 않는다. 어느 경우에서나 필름 유니트 또는 카메라의 원 노출구멍에 대응하는 화인더 원 또는 마스크되지 않는 시야를 만드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트수와 프린트 포맷 사이의 상호관계는 상기 실시예에 제한되지 않는다.
데이타 개구들이 프린트 포맷 데이타로서 직사각형 도트를 기록하도록 직사각형일지라도 데이타 개구들 및 이에따른 도트들은 둥근형태 또는 기타 형태일 수도 있다. 상기 실시예에 사용된 광 가이드들이 직사각형 단면일지라도 광 가이드는 각각 둥근단면을 갖는 유연한 플라스틱 섬유일 수도 있다. 플래시 조립체는 상기 실시예에 제한되지 않을 수도 있다. 예컨데 플래시조립체는 충전스위치가 턴온되는 동안 메인 커패시터만 충전시키는 형식일 수도 있다. 이러한 형식을 도 11에 도시된 실시예에 적용하기 위해 접촉판(245a)과 충전시작 암(215d)은 장벽판(215)이 개방되는 한 충전시작 암(215d)이 충전스위치(245)를 유지하기 위해 접촉판(245a)을 계속 밀도록 연장되야 한다.
상기 실시예에서, 데이타 스위칭 블레이드는 픽쳐 프레임당 많아야 두 개의 도트를 프린트 포맷 데이타로서 사진필름에 기록하기 위해 한 쌍의 광 방출요소, 또는 플래시 방전관으로부터 광을 전도시키는 광 가이드와 조합으로 또는 단일 광 방출요소로부터 광을 전도하는 광 가이드에 사용된다. 그러나 시야 변환판과 협력하는 프린트 포맷 선택 노브에 의해 적어도 두 광 방출 요소를 제공하고 이들중 활성화되는 것들의 수를 변화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데이타 포맷 데이타를 기록하는 대신에 선택된 프린트 포맷에 따라 픽쳐프레임 자체의 크기를 변화시키기 위해 구멍 마스크 장치를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고, 적당한 방식으로 구멍 마스크 장치를 본 발명의 시야 변환판 및/또는 장벽판에 상호연결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시야 변환판은 대물렌즈와 화인더의 접안렌즈사이의 화인더 광축에 수직인 평명에서 회전가능하게 장착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에 제한되지 않으나 이와달리 변경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상술된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프린트 포맷 선택장치를 갖는 필름 유니트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제 1 실시예에 따른 프린트 포맷 선택장치의 시야 변환판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파노라마 위치에서 제 1 실시예에 따른 프린트 포맷 선택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4는 시네마 위치에서 제 1 실시예에 따른 프린트 포맷 선택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5는 하이비전 위치에서 제 1 실시예에 따른 프린트 포맷 선택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6은 제 1 실시예에 따른 프린트 포맷 선택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7a, 7b 및 7c 도는 프린트 포맷 데이타의 예로서 도트 패턴을 도시한 설명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시야 변환판의 정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프린트 포맷 선택장치를 갖는 필름 유니트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시야 변환판의 정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프린트 포맷 선택장치를 갖는 필름 유니트의 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11에 도시된 필름 유니트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3은 도 11에 도시된 필름 유니트의 단면도이다.
도 14는 도 11에 도시된 필름 유니트에 설치된, 플래시 장치의 회로도이다.
도 15는 폐쇄위치에서 제 4 실시예에 따른 프린트 포맷 선택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16은 시네마 위치에서 제 4 실시예에 따른 프린트 포맷 선택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17은 파노라마 위치에서 제 4 실시예에 따른 프린트 포맷 선택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18은 하이비전 위치에서 제 4 실시예에 따른 프린트 포맷 선택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19a 및 19b는 필름 유니트 플래시 장치의 충전스위치와 장벽판의 관계를 도시한, 도 11에 도시된 필름 유니트의 단편적인 단면도이다.
도 20a, 20b, 20c 및 20d는 제 4 실시예의 프린트 포맷 선택장치의 데이타 스위칭 블레이드의 작동을 도시한 설명도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프린트 포맷 선택장치를 구비한 필름 유니트의 사시도이다.
도 22는 도 21에 도시된 필름 유니트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23은 제 5 실시예의 프린트 포맷 선택장치의 시야 변환판을 도시한, 도 21에 도시된 필름 유니트의 전방커버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24는 하이비전 위치에서 제 5 실시예에 따른 프린트 포맷 선택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25는 시네마 위치에서 제 5 실시예에 따른 프린트 포맷 선택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26은 파노라마 위치에서 제 5 실시예에 따른 프린트 포맷 선택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27은 제 5 실시예에 따른 프린트 포맷 선택장치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28은 통상적인 시야 변환판을 도시한 정면도이다.

Claims (19)

  1. 파인더의 원 시야 범위가 카메라의 노출 개구에 의해 한정되는 사진프레임과 일치하는 파인더를 가진 카메라용 프린트 포맷 선택장치에 있어서, 상기 프린트 포맷 선택장치는,
    노출 개구와 일치하는 제1 사이즈로 프린트될 사진프레임을 지정하기 위한 제1 프린트 포맷 위치, 제1 사이즈와 다른 제2 사이즈로 프린트될 사진프레임을 지정하기 위한 제2 프린트 포맷 위치, 그리고 제1 및 제2 사이즈와 다른 제3 사이즈로 프린트될 사진프레임을 지정하기 위한 제3 프린트 포맷 위치들 사이로 슬라이드 가능한 수동조작부재; 및
    수동조작부재와 협조하여 축 둘레로 회전 가능하며, 두 개 이상의 서로 다른 시야 창들을 가지는 시야 변환판;을 포함하며,
    상기 시야 변환판의 회전축이 촬영렌즈의 광축 상에 있고,
    상기 시야 창들의 중심이, 시야 변환판의 회전축과 동축이며 파인더의 광축을 가로질러 연장하는 원 상에 배치되며,
    상기 시야 창들 중 하나는 수동조작부재가 제2 프린트 포맷 위치에 셋팅될 때 원 시야 범위에 위치되어 제2 사이즈에 일치되게 원 시야 범위를 제한하고, 다른 것은 수동조작부재가 제3 프린트 포맷 위치에 셋팅될 때 원 시야 범위에 위치되어 제3 사이즈에 일치되게 원 시야 범위를 제한하는, 프린트 포맷 선택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시야 변환판은 그 회전축과 동축상에 둥근 구멍을 가지며, 베이스 표면상에 형성된 촬영렌즈의 원통형 렌즈 상에 장착되어 베이스 표면 및 카메라의 전방벽 사이의 평면으로 회전 가능한 프린트 포맷 선택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프린트 포맷 선택장치는, 시야변환부재가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베이스표면과 시야 변환판 사이에 걸려있는 토글스프링을 더 포함하며, 상기 토글스프링은 시야 변환판이 주어진 중간위치에서 두 개의 말단 위치 중 어느 한쪽으로 회전하도록 하는 프린트 포맷 선택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토글스프링의 일단이 시야 변환판을 통하여 홈으로 삽입되고, 상기 홈은 시야 변환판이 주어진 중간 위치에 위치될 때 토글스프링의 일단이 결합되는 결합부를 가져서 시야 변환판이 주어진 중간 위치에 정지하도록 하는 프린트 포맷 선택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주어진 중간 위치는 제1 프린트 포맷 위치이고, 시야 변환판은 제1 프린트 포맷 위치에 위치될 때 파인더의 원 시야 범위에 위치되는 절개부를 갖는데 이 절개부는 제1 프린트 포맷 위치에 원 시야 범위를 제한하지 않는 크기인 프린트 포맷 선택장치.
  6. 제3항에 있어서, 수동조작부재는 시야 변환판과 일체로 형성되어 카메라의 전방벽을 통하여 형성된 호형의 슬롯을 통하여 카메라의 외부로 노출되며, 호형의 슬롯은 수동 조작 부재가 주어진 중간위치에 시야 변환판을 정지시키도록 클릭 결합되는 클릭메커니즘을 갖는 프린트 포맷 선택장치.
  7. 제3항에 있어서, 수동조작부재가 카메라의 전방벽을 통하여 형성된 슬롯을 통하여 시야 변환판의 전방부분에 고정된 노브인 프린트 포맷 선택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사진프레임마다 사진프레임 외곽에 제공된 사진필름의 데이타 기록영역 상에 프린트 포맷 데이터를 사진으로 기록하기 위한 데이타 기록 수단을 더 포함하며, 상기 데이터 기록 수단이 셔터 해제조작과 동시에 노출 개구 뒤에 위치된 사진프레임의 데이터 기록영역을 향하여 광을 투사하는 광원을 갖는 프린트 포맷 선택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데이터 기록 수단의 광원이 최소한 카메라의 플래시 회로에 연결되고 플래시 회로의 동기화 스위치가 셔터 해제 조작에 의해 켜졌을 때 발생되는 트리거 신호에 의해 활성화되는 발광 다이오드를 포함하는 프린트 포맷 선택장치.
  10. 파인더의 원 시야 범위가 카메라의 노출 개구에 의해 한정되는 촬영 범위와 일치하는 파인더를 갖는 카메라용 프린트 포맷 선택장치에 있어서, 상기 프린트 포맷 선택장치는,
    최소한 노출 개구와 일치하는 제1 사이즈로 프린트될 사진프레임을 지정하기 위한 제1 프린트 포맷 위치와 제1 사이즈와 다른 제2 사이즈로 프린트될 사진프레임을 지정하기 위한 제2 프린트 포맷 위치로 슬라이드 가능한 수동조작부재;
    수동조작부재와 협조하여 축 둘레로 회전 가능하며, 하나 이상의 서로 다른 시야 창을 가지는 시야 변환판; 및
    각 사진프레임마다 사진프레임의 외곽에 제공된 사진필름의 데이터 기록영역에 프린트 포맷 데이터를 사진으로 기록하기 위한 데이터 기록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시야 변환판의 회전축이 촬영렌즈의 아래에 배치되며, 시야 변환판이 회전축과 동축이고 촬영렌즈의 광로를 가로질러 연장하는 원을 다라서 호형 절개부를 가져서, 상기 시야 변환판이 촬영렌즈의 광로를 방해하지 않고 회전하고,
    상기 시야 창들의 중심이, 시야 변환판의 회전축과 동축이며 파인더의 광축을 가로질러 연장하는 원 상에 배치되며,
    상기 시야 창은 수동조작부재가 제2 프린트 포맷 위치에 세팅될 때 원 시야 범위에 위치되어 제2 사이즈와 일치되게 원 시야 범위를 제한하고,
    상기 데이터 기록 수단은 셔터 해제조작과 동시에 노출 개구 뒤에 위치된 사진프레임의 데이터 영역을 향하여 광을 투사하는 광원을 가지는, 데이터 기록 수단을 포함하는 프린트 포맷 선택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카메라가 내장된 플래시 장치를 가지며, 데이터 기록장치가 광원으로 플래시 장치의 플래시 방전판을 사용하고, 플래시 장치는 충전스위치를 켜면 각각의 셔터해제 조작 후에 자동적으로 충전되는 프린트 포맷 선택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카메라 외부로부터 또는 외부로 촬영렌즈를 폐쇄 또는 개방하도록 촬영렌즈 전방 내외로 슬라이드 가능한 장벽판을 더 포함하며, 상기 장벽판은 수동조작부재에 의해 이동되어 수동조작부재를 시야 변환판에 상호 연결하는 프린트 포맷 선택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데이터 기록장치는,
    노출 개구 뒤에 위치한 사진프레임의 데이터 기록영역을 향하여 광원으로부터의 광을 전달하기 위한 최소한 하나의 광 가이드;
    데이터 기록영역 상의 프린트 포맷 데이터로서 다수의 도트 기록을 허용하는 광원과 데이타 기록영역 사이에 배치된 다수의 창; 및
    광원과 창들 사이의 평면에서 이동 가능하도록 장벽판과 상호 연결되어 수동조작부재의 위치에 따라 도트 수를 변화시키기 위해 창으로부터 또는 창으로 광원으로부터의 광을 차단 또는 통과시키도록 하는 데이타 스위칭 블레이드;
    를 더 포함하는 프린트 포맷 선택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플래시 장치의 충전스위치가 촬영렌즈를 개방하기 위한 방향으로 슬라이드 되는 동안 장벽판에 의해 온 되는 프린트 포맷 선택장치.
  15. 제13항에 있어서, 장벽판은 촬영렌즈가 폐쇄되었을 때 파인더의 전방을 폐쇄하는 위치를 포함하는 프린트 포맷 선택장치.
  16. 제13항에 있어서, 장벽판과 협조하여, 촬영렌즈가 폐쇄되는 동안 셔터 해제 조작을 차단하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하는 프린트 포맷 선택장치.
  17. 제13항에 있어서, 장벽판은, 촬영렌즈를 폐쇄하는 방향으로의 스프링 힘에 의해 경사되어 수동조작부재가 스프링 힘에 대항하여 제1 및 제2 프린트 포맷 위치중 하나로 이동되도록 하고, 수동조작부재가 해제될 때 폐쇄 위치로 복귀되도록 하는 프린트 포맷 선택장치:
  18. 제1 사이즈로 프린트될 사진프레임을 지정하기 위한 제1 프린트 포맷 위치, 제1 사이즈와 다른 제2 사이즈로 프린트될 사진프레임을 지정하기 위한 제2 프린트 포맷 위치, 및 제1 및 제2 사이즈와 다른 제3 사이즈로 프린트될 사진 프레임을 지정하기 위한 제3 프린트 포맷 위치들 사이로 슬라이드 가능한 수동조작부재;
    축 둘레로 회전 가능하며, 두 개 이상의 서로 다른 시야 창들을 가지는 시야 변환판;
    각 사진프레임마다 사진프레임의 외곽에 제공된 사진필름의 데이터 기록영역에 다수의 도트를 프린트 포맷 데이타로서 사진으로 기록하기 위한 데이터 기록수단; 및
    시야 변환판과 데이터 스위칭 블레이드를 상호연결하는 캠 메커니즘;을 포함하며,
    상기 시야 변환판의 회전축이 촬영렌즈의 아래에 배치되며, 시야 변환판이 회전축과 동축이고 촬영렌즈의 광로를 가로질러 연장하는 원을 따라서 호형 절개부를 가져서, 상기 시야 변환판이 촬영렌즈의 광로를 방해하지 않고 회전하고,
    상기 시야 창들의 중심이, 시야 변환판의 회전축과 동축이며 원 시야 범위가 제1 사이즈와 일치하는 파인더의 광축을 가로질러 연장하는 원 상에 배치되며,
    상기 시야 창들 중 하나는 수동조작부재가 제2 프린트 포맷 위치에 세팅될 때 원 시야 범위에 위치되어 제2 사이즈에 일치되게 원 시야 범위를 제한하고, 다른 것은 수동조작부재가 제3 프린트 포맷위치에 세팅될 때 원 시야 범위에 위치되어 제3 사이즈에 일치되게 원 시야 범위를 제한하고,
    상기 데이터 기록수단은, 셔터 해제 조작과 동시에 노출개구 뒤에 위치된 사진프레임의 데이터 영역을 향하여 광을 투사하는 광원 및 광원과 창들 사이의 평면에서 이동 가능하며 수동조작부재에 의해 선택된 프린트 포맷 위치에 따라 도트 수를 변화시키기 위해 창으로부터 또는 창으로 광원으로부터의 광을 차단 또는 통과시키도록 하는 데이터 스위칭 블레이드를 가지는,
    카메라용 프린트 포맷 선택장치.
  19. 제18항에 있어서, 데이터 기록수단의 광원은 카메라의 플래시 회로에 연결되어 플래시 회로의 동기 스위치가 셔터 해제 조작에 의해 온 되었을 때 발생되는 트리거 신호에 의해 활성화되는 최소한 하나의 발광 다이오드를 포함하는 프린트 포맷 선택장치.
KR1019970032375A 1996-07-12 1997-07-11 카메라용 프린트 포맷 선택장치 KR10059193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8-183775 1996-07-12
JP18377596A JP3670402B2 (ja) 1996-07-12 1996-07-12 ファインダー装置
JP18618996 1996-07-16
JP8-186189 1996-07-1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80010588A KR980010588A (ko) 1998-04-30
KR100591938B1 true KR100591938B1 (ko) 2006-10-24

Family

ID=265020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32375A KR100591938B1 (ko) 1996-07-12 1997-07-11 카메라용 프린트 포맷 선택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5950025A (ko)
EP (1) EP0818707B1 (ko)
KR (1) KR100591938B1 (ko)
CN (1) CN1173223C (ko)
DE (1) DE69723161T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89930B1 (ko) * 2021-12-20 2022-04-22 주식회사 레젠 조명 기기용 셔터 모듈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92993A (en) * 1997-02-19 1999-04-06 Fuji Photo Film Co., Ltd. Lens-fitted photo film unit
KR100568582B1 (ko) 1997-08-25 2006-04-07 후지 샤신 필름 가부시기가이샤 플래시 장치
US6151452A (en) * 1999-04-14 2000-11-21 Concord Camera Corp. Camera, such as an APS camera, having a single-piece, rotatable viewfinder and light-pipe mask for format selection
US6587643B2 (en) * 2000-09-11 2003-07-01 Fuji Photo Film Co., Ltd. Lens-fitted photo film unit and photofinishing method
US6584281B2 (en) 2000-09-22 2003-06-24 Fuji Photo Film Co., Ltd. Lens-fitted photo film unit and method of producing photographic print
US6714728B2 (en) * 2002-05-16 2004-03-30 Fuji Photo Film Co., Ltd. Photographic mode selectable camera
US20070160363A1 (en) * 2005-08-05 2007-07-12 Richard Corton Framing feature for imaging mechanisms and systems
CN102647547B (zh) * 2011-02-17 2014-12-31 佳能企业股份有限公司 影像感测机构和影像撷取装置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187246A (en) * 1937-12-10 1940-01-16 Zeiss Ikon Ag Photographic camera
JPH0341705A (ja) * 1989-05-01 1991-02-22 General Electric Co <Ge> 超伝導磁石内でクエンチを伝搬する装置
JPH07128710A (ja) * 1993-10-29 1995-05-19 Fuji Photo Film Co Ltd 視野範囲切替え装置
JPH0882847A (ja) * 1994-09-13 1996-03-26 Konica Corp レンズ付フィルムユニット
JPH08160523A (ja) * 1994-12-08 1996-06-21 Fuji Photo Film Co Ltd 撮影データ写し込み装置
JPH08201879A (ja) * 1995-01-20 1996-08-09 Olympus Optical Co Ltd カメラ
KR100976388B1 (ko) * 2009-10-06 2010-08-18 유승진 기판 이송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552940A (en) * 1947-05-30 1951-05-15 Pignons S A Ballaigues Viewing device for photographic apparatus and cinematographic cameras
DE976388C (de) * 1954-04-06 1963-08-01 Leitz Ernst Gmbh Photographische Kamera mit auswechselbaren Objektiven
US3118014A (en) * 1956-01-19 1964-01-14 Agfa Ag View finder with adjustable framing plates for cameras with interchangeable objectives
US4973997A (en) * 1990-01-16 1990-11-27 Eastman Kodak Company Tele/pan applied to lowest cost camera uses passive optical encoding
US5059994A (en) * 1990-10-23 1991-10-22 Eastman Kodak Company Two magnification three mask viewfinder
EP0730193B1 (en) * 1992-09-21 2000-12-06 Nikon Corporation Data imprinting device for a camera
JP3408834B2 (ja) * 1993-03-17 2003-05-19 富士写真フイルム株式会社 写真フイルムパトローネ
JPH06301157A (ja) * 1993-04-15 1994-10-28 Fuji Photo Film Co Ltd 写真フイルムパトローネ
US5784658A (en) * 1995-03-09 1998-07-21 Fuji Photo Film Co., Ltd. Optical data recording device of camera and lens-fitted photographic film unit
US5619737A (en) * 1996-02-07 1997-04-08 Eastman Kodak Company Encodement-on-film recording apparatus utilizes flash components in a camera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187246A (en) * 1937-12-10 1940-01-16 Zeiss Ikon Ag Photographic camera
JPH0341705A (ja) * 1989-05-01 1991-02-22 General Electric Co <Ge> 超伝導磁石内でクエンチを伝搬する装置
JPH07128710A (ja) * 1993-10-29 1995-05-19 Fuji Photo Film Co Ltd 視野範囲切替え装置
JPH0882847A (ja) * 1994-09-13 1996-03-26 Konica Corp レンズ付フィルムユニット
JPH08160523A (ja) * 1994-12-08 1996-06-21 Fuji Photo Film Co Ltd 撮影データ写し込み装置
JPH08201879A (ja) * 1995-01-20 1996-08-09 Olympus Optical Co Ltd カメラ
KR100976388B1 (ko) * 2009-10-06 2010-08-18 유승진 기판 이송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89930B1 (ko) * 2021-12-20 2022-04-22 주식회사 레젠 조명 기기용 셔터 모듈
KR102432392B1 (ko) * 2021-12-20 2022-08-12 주식회사 레젠 조명 기기용 셔터 모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69723161T2 (de) 2004-06-03
DE69723161D1 (de) 2003-08-07
EP0818707B1 (en) 2003-07-02
EP0818707A1 (en) 1998-01-14
CN1173223C (zh) 2004-10-27
CN1170883A (zh) 1998-01-21
KR980010588A (ko) 1998-04-30
US5950025A (en) 1999-09-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140381A (en) Multiple format photograhic camera
US5784658A (en) Optical data recording device of camera and lens-fitted photographic film unit
KR100591938B1 (ko) 카메라용 프린트 포맷 선택장치
EP0860736B1 (en) Lens-fitted photo film unit
US6154609A (en) Lens-fitted photographic film unit
US6704498B2 (en) Camera for forming simultaneous images covering different areas of the same subject
US5913084A (en) One-time-use camera with shutter, flash, and optical film encodement synchronization
JP4018051B2 (ja) カメラ
US5983026A (en) One-time-use camera with variable format film encoder
JP3903117B2 (ja) レンズ付きフイルムユニット
US20040247309A1 (en) Optical data recording device and lens-fitted photo film unit with optical data recording device
US5974265A (en) Different variable format one-time-use camera with common film encodement device
JPH08160523A (ja) 撮影データ写し込み装置
JP3710269B2 (ja) レンズ付きフイルムユニット
JPH1083021A (ja) レンズ付きフイルムユニット
KR100488320B1 (ko) 렌즈가 장착된 사진 필름 유니트
US5933666A (en) Camera with variable format viewfinder
US6035129A (en) Optical film encoder for camera
EP0624819A1 (en) Single-use camera with indicator lamp visible via light pipe
JP3911112B2 (ja) データ写し込み装置
JP3670402B2 (ja) ファインダー装置
JPH08211480A (ja) レンズ付きフイルムユニット
JPH09281577A (ja) カメラ
JPH11142913A (ja) レンズ付きフイルムユニット
JPH07120884A (ja) レンズ付きフイルムユニッ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