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32392B1 - 조명 기기용 셔터 모듈 - Google Patents

조명 기기용 셔터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32392B1
KR102432392B1 KR1020220028791A KR20220028791A KR102432392B1 KR 102432392 B1 KR102432392 B1 KR 102432392B1 KR 1020220028791 A KR1020220028791 A KR 1020220028791A KR 20220028791 A KR20220028791 A KR 20220028791A KR 102432392 B1 KR102432392 B1 KR 1024323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utter
receiving body
cover
module
adjust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287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성만
김민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레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레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레젠
Priority to KR10202200287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3239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323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323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9/00Exposure-making shutters; Diaphragms
    • G03B9/08Shutters
    • G03B9/36Sliding rigid plat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55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with provision for heating or cooling, e.g. in aircraft
    • H04N5/2256
    • H04N5/2353
    • H04N5/2354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Arrangement Of Elements, Cooling, Sealing, Or The Like Of Lighting Devices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명 기기용 셔터 모듈에 관한 것이다. 조명 기기용 셔터 모듈은 내부에 수용 공간이 형성된 수용 몸체(11); 수용 몸체(11)의 위쪽 면으로 노출되는 유도 커버(14); 수용 몸체(11)의 외부 면에 결합되는 조절 핸들(15); 조절 핸들(15)의 조절에 따라 유도 커버(14)로부터 이미지 형성 광의 유입 영역이 조절되도록 하는 셔터(21); 유도 커버(14)를 통하여 유입되는 광을 감지하여 감지 이미지를 형성하는 이미지 생성 모듈(22); 및 이미지 생성 모듈(22)의 작동 상태를 표시하는 작동 표시 소자(16)를 포함하고, 수용 몸체(11)는 조명 수단에 결합된다.

Description

조명 기기용 셔터 모듈{A Shutter Module for a Lighting Device}
본 발명은 조명 기기용 셔터 모듈에 관한 것이고, 구체적으로 감지 기능을 가진 조명 기기에 부착되어 감지 영역의 조절이 가능하도록 하는 조명 기기용 셔터 모듈에 관한 것이다.
조명 기기는 설치 위치에 따라 다양한 기능을 가질 수 있고, 예를 들어 경관등 기기, 가로등 기기, 보안등 기기 또는 터널등 기기와 같은 조명 기기는 자동 조도 조절 기능을 가지거나, 감지 기능을 가질 수 있다. 조명 기기가 감지 카메라의 기능을 가지는 경우 감지 카메라가 조명 기기에 결합될 수 있고, 사용 환경에 따라 감지 영역이 적절하게 조절될 필요가 있다. 감지 영역의 조절은 감지 카메라의 촬영 영역으로부터 감지가 요구되는 영역과 요구되지 않는 영역을 구분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은 감지 영역은 하드웨어에 의하거나, 소프트웨어에 의하여 조절될 수 있고, 하드웨어에 의한 조절은 예를 들어 셔터를 형성하는 방법을 포함할 수 있다. 셔터는 정해진 시간 동안 광이 렌즈로 유입되는 시간을 조절하는 수단을 의미하거나, 정해진 범위를 범위를 벗어나는 입사 광을 제한하도록 작동할 수 있다. 특허등록번호 10-0846045는 팬/틸트 기능과 셔터 기능이 동시에 구비된 감지카메라 장치에 대하여 개시한다. 또한 특허공개번호 10-2015-0136746은 실용신안공개번호 20-2010-0000116은 감지카메라의 렌즈보호용 셔터동작 및 카메라모듈의 상하 각 운동으로 넓은 지역을 관찰할 수 있도록 셔터와 틸트 기능을 단일모터로 구현한 감지카메라에 대하여 개시한다. 가로등 또는 보안등의 경우 설치 환경에 따라 감지 영역이 변할 수 있고, 각각의 설치 환경에 적합하도록 감지 영역이 조절될 수 있도록 하는 수단이 만들어질 필요가 있다. 그러나 선행기술은 이와 같은 기술에 대하여 개시하지 않는다.
본 발명은 선행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아래와 같은 목적을 가진다.
선행기술1: 특허등록번호 10-0846045(이스턴마스텍 주식회사, 2008.07.11. 공고) 팬 또는 틸트 기능과 셔터 기능이 동시에 구비된 감지카메라 장치 선행기술2: 실용신안공개번호 20-2010-0000116(이해창, 2010.01.06. 공개) 셔터와 틸트 기능을 단일모터로 구현한 감지카메라
본 발명의 목적은 다양한 환경에 설치되는 감지 기능을 가진 조명 기기에 결합되는 감지 카메라의 감지 영역의 설정이 가능한 조명 기기용 셔터 모듈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조명 기기용 셔터 모듈은 내부에 수용 공간이 형성된 수용 몸체; 수용 몸체의 위쪽 면으로 노출되는 유도 커버; 수용 몸체의 외부 면에 결합되는 조절 핸들; 조절 핸들의 조절에 따라 유도 커버로부터 이미지 형성 광의 유입 영역이 조절되도록 하는 셔터; 유도 커버를 통하여 유입되는 광을 감지하여 감지 이미지를 형성하는 이미지 생성 모듈; 및 이미지 생성 모듈의 작동 상태를 표시하는 작동 표시 소자를 포함하고, 수용 몸체는 조명 수단에 결합된다.
본 발명의 다른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조절 핸들의 조절에 따른 셔터의 조절 위치를 표시하는 위치 스케일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수용 몸체는 바닥 덮개에 의하여 밀폐 구조가 되고, 바닥 덮개의 안쪽 면에 형성되는 열 방출 수단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유도 커버의 측면에 형성되는 하나의 고정 판에 조절 스케일이 형성되고, 셔터는 한쪽 끝 부분에 조절 스케일을 따라 피치 단위로 이동 가능한 단위 이동 팁이 형성된 조절 이동 블록이 형성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셔터는 폭을 가지면서 곡면 형상으로 연장되는 차단 판; 차단 판의 양쪽 끝 부분으로부터 연장되는 한 쌍의 조절 암; 및 한 쌍의 조절 암에 각각 결합되는 한 쌍의 체결 블록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조명 기기용 셔터 모듈은 감지 기능을 가진 카메라 모듈의 일부로 조명 기기에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셔터 모듈은 서로 다른 환경에 설치되는 조명 기기에 설치되어 감지 환경에 적합하도록 감지 영역이 설정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셔터 모듈은 경관등, 가로등, 보안등 또는 터널등과 같은 조명 기기에 설치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 1 및 2는 본 발명에 따른 조명 기기용 셔터 모듈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셔터 모듈을 형성하는 각각의 구성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셔터 모듈에 적용되는 셔터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셔터 모듈이 적용되는 조명 기기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셔터 모듈이 조명 기기에 배치되는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셔터 모듈에 적용 가능한 소프트웨어 형태의 블라인드 처리 모듈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아래에서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이 되지만 실시 예는 본 발명의 명확한 이해를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아래의 설명에서 서로 다른 도면에서 동일한 도면 부호를 가지는 구성요소는 유사한 기능을 가지므로 발명의 이해를 위하여 필요하지 않는다면 반복하여 설명이 되지 않으며 공지의 구성요소는 간략하게 설명이 되거나 생략이 되지만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제외되는 것으로 이해되지 않아야 한다.
도 1 및 2는 본 발명에 따른 조명 기기용 셔터 모듈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조명 기기용 셔터 모듈은 내부에 수용 공간이 형성된 수용 몸체(11); 수용 몸체(11)의 위쪽 면으로 노출되는 유도 커버(14); 수용 몸체(11)의 외부 면에 결합되는 조절 핸들(15); 조절 핸들(15)의 조절에 따라 유도 커버(14)로부터 이미지 형성 광의 유입 영역이 조절되도록 하는 셔터(21); 유도 커버(14)를 통하여 유입되는 광을 감지하여 감지 이미지를 형성하는 이미지 생성 모듈(22); 및 이미지 생성 모듈(22)의 작동 상태를 표시하는 작동 표시 소자(16)를 포함하고, 수용 몸체(11)는 조명 수단에 결합된다.
수용 몸체(11)는 전체적으로 육면체 박스 형상이 될 수 있고, 수용 몸체(11)의 위쪽 면에 유입 덮개(12)가 형성될 수 있고, 수용 몸체(11)의 아래쪽 면에 바닥 덮개(13)가 결합될 수 있다. 수용 몸체(11)의 내부에 예를 들어 감지 카메라와 같은 이미지 또는 영상 획득 수단이 배치될 수 있다. 영상 획득 수단에 의하여 획득된 이미지로부터 감지 영역의 객체가 판별될 수 있고, 이에 의하여 조명 기기의 조도가 조절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셔터 모듈은 지능형 조명 기기의 일부를 형성할 수 있다. 유입 덮개(12)는 수용 몸체(11)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고, 유입 덮개(12)의 중앙 부분에 형성된 노출 홀을 통하여 전체적으로 반구 형상이 되는 유도 커버(14)가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유도 커버(14)를 통하여 외부 광이 수용 몸체(11)의 내부로 유입되어 감지 카메라에 의하여 감지되어 감지 이미지가 획득될 수 있다. 유도 커버(14)의 투명 소재로 만들어지면서 외부 광을 수용 몸체의 내부로 유입시킬 수 있는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수용 몸체(11)의 한쪽 면에 조절 핸들(15)이 결합될 수 있고, 조절 핸들(15)에 의하여 수용 몸체(11)의 내부에 배치되는 셔터(21)의 위치가 조절될 수 있다. 조절 핸들(15)은 손으로 회전시킬 수 있는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고, 수용 몸체(11)의 외부로 노출되는 핸들 부분과 핸들 부분과 일체로 형성되면서 체결 홀(17)을 통하여 수용 몸체(11)의 내부로 삽입되는 작동 부분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셔터(21)의 위치는 조절 핸들(15)에 의하여 수동으로 조절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셔터(21)의 위치는 모터와 같은 구동 수단에 의하여 자동으로 조절될 수 있다. 다만 특정 환경에 설치된 조명 기기에서 감지 영역은 미리 설정이 되고, 이에 따라 셔터(21)의 위치가 미리 결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결정된 셔터(21)의 위치가 다시 변경될 필요성이 크지 않다는 점을 고려하면 바람직하게 셔터(21)의 위치는 수동으로 조절될 수 있다. 셔터 모듈의 작동 상태를 표시하기 의하여 유입 덮개(12)의 한쪽 면에 예를 들어 LED 소자와 같은 작동 표시 소자(16)가 배치될 수 있고, 작동 표시 소자(16)는 외부로 광을 방출할 수 있는 형태로 다양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셔터(21)가 밀폐된 구조를 가지는 수용 몸체(11)의 내부에 위치하므로 외부에서 셔터(21)의 위치가 확인될 수 있도록 하는 수단이 형성될 필요가 있다. 예를 들여 조절 핸들(15)이 결합된 수용 몸체(11)의 한쪽 측면에 위치 스케일(18)이 형성될 수 있다. 조절 핸들(15)은 체결 홀(17)을 중심으로 회전되는 구조가 될 수 있고, 조절 핸들(15)의 회전에 의하여 셔터(21)가 회전되면서 감지 영역이 설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서 조절 핸들(15)의 회전 각도에 의하여 셔터(21)의 위치가 결정될 수 있고, 위치 스케일(18)은 조절 핸들(15)의 회전 방향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위치 스케일(18)은 조절 핸들(15)이 회전되는 원을 따라 원형으로 눈금이 만들어지는 구조가 될 수 있고, 조절 핸들(15)의 정해진 부분의 위치 스케일(18)의 상대적인 위치에 의하여 셔터(21)의 위치가 확인될 수 있다. 수용 몸체(19)의 내부에 배치되는 다양한 소자 또는 부품에 대한 전력 공급 또는 신호 전송을 위한 케이블의 유입을 위한 유입 홀(19)이 수용 몸체(11)의 측면 또는 다른 적절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셔터(21)는 수용 몸체(11)의 내부에 배치되면서 셔터(21)의 차단 부분의 유도 커버(14)의 일부와 겹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셔터(21)는 유도 커버(14)로 유입되는 광의 일부를 차단하여 이미지 생성 모듈(22)에 의하여 감지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한다. 조절 핸들(15)의 조절에 따라 셔터(21)의 위치가 조절되어 유도 커버(14)로 유입되는 광이 차단되는 부분이 조절될 수 있다. 그리고 이에 따라 이미지 생성 모듈(22)에 의하여 감지 이미지가 획득되는 감지 영역이 조절될 수 있다. 이미지 생성 모듈(22)은 유도 커버(14)를 통하여 유입된 광을 정해진 방향으로 유도하는 광학 렌즈; 광학 렌즈에 의하여 유도된 광을 감지하는 감지 센서; 감지 센서에서 감지된 광을 처리하여 이미지로 생성하는 전자 부품; 또는 인쇄회로기판과 같은 전자기판을 포함할 수 있다. 이미지 생성 모듈(22)은 유도 커버(14)를 통하여 유입된 광으로부터 감지 영역의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는 다양한 카메라 모듈 또는 이와 유사한 이미지 또는 영상 생성 장치가 될 수 있고 이에 의하여 본 발명은 제한되지 않는다. 이미지 생성 모듈(22)은 전력 공급에 의하여 작동될 수 있고, 이에 의하여 작동 과정에서 열을 발생시킬 수 있다. 그리고 이미지 생성 모듈(22)은 밀폐된 구조를 가지는 수용 몸체(11)의 내부에 배치되므로 발생된 열로 인하여 다양한 형태의 고장 또는 오작동이 발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르면, 바닥 덮개(13)의 안쪽 면에 열 방출 수단(23)이 배치될 수 있고, 열 방출 수단(23)은 열 패드(thermal pad)가 될 수 있다. 열 패드는 예를 들어 열 전도율이 큰 다양한 소재로 만들어진 양면 테이프 구조가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기판에서 발생되는 열이 열전도 부재에 의하여 열 방출 수단(23)으로 전달될 수 있고, 열 방출 수단(23)은 전도된 열을 바닥 덮개(13)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다. 열 방출 수단(23)과 접촉되는 바닥 덮개의 적어도 일부는 열전도율이 높은 소재로 만들어질 수 있고, 이에 의하여 밀폐 구조를 가지는 수용 몸체(11)의 내부의 열이 신속하게 외부로 방출될 수 있다. 셔터 모듈의 작동에 따라 수용 몸체(11)의 내부에서 발생되는 열은 다양한 방법으로 외부로 방출될 수 있고 이에 의하여 본 발명은 제한되지 않는다.
조절 핸들(15)은 셔터(21)의 한쪽 끝 부분에 결합될 수 있고, 조절 핸들(15)에 회전에 의하여 셔터(21)가 회전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셔터(21)의 회전 각도를 조절하는 조절 스케일(24)이 예를 들어 이미지 생성 모듈(22)의 프레임과 같은 내부 배치 프레임에 형성될 수 있다. 조절 핸들(15)을 회전시키면 셔터(21)의 끝 부분에 형성된 예를 들어 접촉 팁과 같은 조절 팁이 조절 스케일(24)을 따라 톱니 맞물림 방식으로 맞물리면서 회전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셔터(21)가 정해진 각도로 회전될 수 있다. 이에 대하여 아래에서 구체적으로 설명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셔터 모듈을 형성하는 각각의 구성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수용 몸체(11)는 네 개의 측면 벽; 및 중앙 부분에 노출 홀(121)이 형성된 유입 덮개(12)를 포함한다. 수용 몸체(11)의 하나의 측면 벽에 조절 핸들(15)이 셔터(21)와 결합되도록 하는 체결 홀(17a); 및 배선의 유입을 위한 유입 홀(19)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유입 덮개(12)에 작동 표시 소자가 노출되도록 하는 소자 홀(16a)이 형성될 수 있다. 수용 몸체(11)의 아래쪽 면에 바닥 덮개(13)가 결합될 수 있고, 바닥 덮개(13)의 안쪽 면에 적어도 하나의 방열 패드(133a, 133b)가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사각 판 형상의 되는 바닥 덮개(13)의 하나의 테두리의 안쪽 부분에 선형으로 연장되면서 아래쪽으로 볼록한 고정 홈(131)이 형성될 수 있다. 노출 홀(121)을 통하여 유도 커버(14)가 수용 몸체(11)의 위쪽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고, 유도 커버(14)의 전체적으로 반구형 또는 볼록 렌즈 형상이 되면서 광이 투과될 수 있는 다양한 소재로 만들어질 수 있다. 반구형 또는 볼록 렌즈 형상의 아래쪽 둘레 면을 따라 실린더 형상이 연장될 수 있고, 실린더 형상의 아래쪽 테두리의 바깥쪽으로 연장 평면(142)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연장 평면(142)에 대하여 수직이 되는 방향으로 고정 판(141) 및 고정 탭(143)이 연장될 수 있다. 고정 탭(143)은 유도 커버(14)를 수용 몸체(11)의 내부에 안정적으로 고정되도록 하는 기능을 가질 수 있고, 하나 이상의 고정 탭(143)이 형성될 수 있다. 고정 판(141)은 서로 마주보도록 한 쌍의 형성될 수 있고, 유도 커버(14)를 고정시키는 기능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고정 판(141)은 셔터(21)의 회전 각도가 조절되도록 하는 기능을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하나의 고정 판(141)에 조절 스케일(24)이 형성될 수 있고, 조절 스케일(24)은 예를 들어 원주 일부 형상으로 연장되는 다수 개의 산과 골이 반복되는 다수 개의 걸림 돌기 구조가 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조절 스케일(24)을 따라 셔터(21)의 한쪽 부분에 형성된 이동 팁이 이동되면서 유도 커버(14)에 대한 셔터(21)의 상대적인 위치가 조절될 수 있다. 조절 핸들(15)은 전체적으로 사각 판 형상이 되는 조절 부분(151); 및 조절 부분(151)으로부터 돌출된 체결 탭(152)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체결 탭(152)이 체결 홀(17a)을 통하여 수용 몸체(11)의 내부로 삽입되어 셔터(21)의 한쪽 끝 부분에 형성된 회전 체결 블록(213)에 결합될 수 있다. 셔터(21)는 유도 커버(14)의 아래쪽 부분에 위치하는 차단 판(211); 및 차단 판(211)의 양쪽 끝 부분으로부터 연장되는 한 쌍의 조절 암; 및 각각의 조절 암의 끝 부분에 형성된 유도 체결 블록(212)과 회전 체결 블록(213)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회전 체결 블록(213)에 형성된 이동 팁이 조절 스케일(24)에 접촉될 수 있고, 체결 탭(152)이 회전 체결 블록(213)에 결합될 수 있다. 차단 판(211)은 띠 형상으로 위쪽으로 볼록한 곡면 형상이 될 수 있고, 예를 들어 유도 커버(14)의 볼록한 형상에 대응되면서 유도 커버(14)의 일부와 겹쳐질 수 있는 띠 형상이 될 수 있다. 차단 판(211)은 유도 커버(14)와 이미지 생성 모듈(22)의 사이에 위치하여 유도 커버(14)를 통과한 광의 일부가 이미지 생성 모듈(22)로 유도되는 것을 차단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기능을 가지는 차단 판(211)의 아래쪽에 이미지 생성 모듈(22)이 배치될 수 있다. 이미지 생성 모듈(22)은 렌즈, 유도 관 또는 광 센서를 포함하는 감지 모듈(221); 감지 모듈(221)에 의하여 생성된 이미지를 분석하고 처리하여 처리 모듈(222); 및 감지 모듈(221) 또는 처리 모듈(222)을 바닥 면으로부터 분리시키면서 발생된 열을 방출시키는 방열 부재(223)를 포함한다. 감지 모듈(221)과 처리 모듈(222)은 예를 들어 인쇄회로기판과 같은 전자기판 구조를 가질 수 있고, 방열 부재(223)은 전자기판으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는 선형 부재 구조가 될 수 있다. 네 개의 방열 부재(223)에 의하여 전자기판이 분리되면서 발생되는 열이 아래쪽에 형성된 열 방출 수단(24)으로 전달되거나, 분리 블록 또는 흡수 블록으로 전달될 수 있다. 분리 블록 또는 흡수 블록은 사각 판 형상이 될 수 있고, 흡수 블록에 네 개의 방열 부재(223)의 끝 부분이 결합될 수 있고, 흡수 블록과 전자기판 사이에 분리 블록이 배치될 수 있다. 네 개의 방열 부재(223)는 분리 블록을 관통하도록 연장될 수 있고, 분리 블록은 열을 흡수하면서 전자기판의 변형을 방지하는 기능을 가질 수 있다. 흡수 기판의 아래쪽 면에 사각 패드 형상의 방열 테이프가 부착될 수 있고, 방열 패드(133a, 133)와 면 접착이 될 수 있다. 또한 흡수 블록의 아래쪽에 열 패드와 같은 열 방출 수단(23)과 접착되는 방열 테이프가 부착될 수 있다. 분리 블록으로부터 고정 블록(224)이 아래쪽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고, 고정 블록(224)은 아래쪽 부분은 고정 홈(131)에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이에 의하여 이미지 생성 모듈(22)이 정해진 위치에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이미지 생성 모듈은 다양한 구조로 만들어질 수 있고 제시된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셔터 모듈에 적용되는 셔터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셔터(21)는 폭을 가지면서 곡면 형상으로 연장되는 차단 판(2110; 차단 판(211)의 양쪽 끝 부분으로부터 연장되는 한 쌍의 조절 암(214a, 214b); 및 한 쌍의 조절 암(214a, 214b)에 각각 결합되는 체결 블록(212, 213)으로 이루어진다. 차단 판(211)은 중간 부분이 상대적으로 넓은 폭은 가지면서 양쪽 방향으로 점차로 폭이 좁아지는 볼록한 띠 형상이 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차단 판(211)의 양쪽 끝 부분으로부터 L 형상의 조절 암(214a, 214b)이 연장될 수 있고, 조절 암(214a, 214b)의 수직 연장 부분의 끝 부분에 각각 유도 체결 블록(212) 및 회전 체결 블록(213)이 결합될 수 있다. 유도 체결 블록(212)은 드럼 또는 도르래 형상이 될 수 있고, 회전 체결 블록(213)은 드럼 또는 도르래 형상의 유도 드럼(41); 유도 드럼(41)의 한쪽 면으로부터 위쪽 방향으로 연장되는 위치 조절 판(42); 유도 조절 판(42)의 바깥쪽 면에 결합 돌기(43) 및 결합 홀(44)이 형성될 수 있다. 결합 홀(44)에 위에서 설명된 조절 핸들의 체결 탭(152)이 결합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체결 탭(152)의 두께 면에 삽입 홈이 형성되어 결합 돌기(43)가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유도 조절 판(42)의 위쪽 끝 부분의 안쪽 면에 이동 팁(45)이 형성되어 위에서 설명된 조절 스케일(24)에 맞물릴 수 있다. 체결 블록(212, 213)은 유도 커버(14)에 서로 마주보도록 형성된 한 쌍의 고정 판(141)에 각각 형성된 회전 유도 홀에 각각 결합될 수 있다. 셔터(21)는 다양한 구조로 만들어져 유도 커버로 유입되는 광의 일부를 차단하면서 조절 핸드의 회전에 의하여 회전될 수 있고 제시된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셔터 모듈이 적용되는 조명 기기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조명 기기는 제1 조명 몸체(51); 제1 조명 몸체(51)와 결합되어 내부에 수용 공간을 형성하는 제2 조명 몸체(52); 제2 조명 몸체(52)에 형성된 발광 부분(53a, 53b); 발광 부분(53a, 53b)과 분리되어 형성되는 감지 블록(54); 및 조명 기기가 지주 또는 폴(pole)과 같은 고정 수단에 결합되도록 하는 고정 체결 블록(55)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2 조명 몸체(51, 52)에 의하여 형성되는 수용 공간에 LED 모듈이 배치되어 발광 부분(53a, 53b)을 통하여 광이 방출되도록 할 수 있다. 감지 블록(54)의 내부에 셔터 모듈이 배치될 수 있고, 셔터 모듈의 유입 컵(14)가 감지 블록(54)을 통하여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감지 블록(54)은 조명 기기의 앞쪽 부분에 형성될 수 있고, 발광 부분(53a, 53b)에 의하여 형성되는 평면에 대하여 전체적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감지 블록(54)은 발광 평면에 대하여 경사지도록 형성되면서 유입 커버(14)가 노출되는 감지 유도 면(541); 감지 유도 면(541)의 양쪽에 형성되어 제1 몸체(51)와 연결되는 경사 측면(542); 감지 유도 면(541)의 앞쪽 및 뒤쪽에 형성된 제1, 2 연결 면(543, 544)을 포함할 수 있다. 감지 유도 면(541)이 발광 평면에 대하여 바깥쪽을 향하도록 경사지도록 형성되어 넓은 영역의 이미지가 획득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를 가지는 감지 블록(54)의 내부에 셔터 모듈이 설치되어 감지 영역에 대한 감지 이미지가 획득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셔터 모듈이 조명 기기에 배치되는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제1 조명 몸체(51)의 외부 면에 LED 모듈의 작동에 따라 발생되는 방열 모듈(56)이 설치될 수 있다. 수용 몸체(11)는 발광 표면에 대하여 경사지면서 감지 유도 면에 대하여 평행하도록 감지 블록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도 6의 (나)에 도시된 것처럼, 조절 핸들(15)을 조절하여 유입 커버(14)와 이미지 생성 모듈(22)의 사이에 위치하는 셔터의 위치가 조절될 수 있다. 셔터의 위치는 조명 기기의 설치 위치에 따라 형성되는 감지 영역의 위치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셔터 모듈은 조명 기기의 설정에 따라 작동될 수 있고, 조명 기기는 스마트 조명 기기가 될 수 있고, 예를 들어 LED 조명이 되면서 보안등, 가로등, 경관등, 터널등 또는 이와 유사한 조명등이 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셔터 모듈은 조명 기기에 설치되어 하드웨어 방식 또는 물리적인 방식으로 이미지 생성 모듈(22)에 의하여 획득되는 이미지 획득 영역을 조절하는 기능을 가진다. 이와 같은 하드웨어 방식에 소프트웨어 방식이 추가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셔터 모듈에 적용 가능한 소프트웨어 형태의 블라인드 처리 모듈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에 의한 획득된 이미지에 대한 블라인드 처리 방법은 감지 이미지가 획득되는 단계(P71); 획득된 이미지로부터 감지 영역과 주변 영역이 구분되는 단계(P72); 주변 영역이 감지 영역으로부터 분리되는 단계(P73); 분리된 주변 영역이 음영 처리가 되는 단계(P74); 및 주변 영역이 음영 처리가 된 상태의 음영 처리 이미지로부터 객체 식별이 되는 단계(P75)를 포함한다.
셔터 모듈에 의하여 감지 영역이 조절되는 경우라도 할지라도 조절 이미지는 감지 대상이 되는 영역과 감지 대상이 되지 않는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조절 이미지는 감지 영역이 되는 보행로와 보행로의 주변 환경을 포함할 수 있고, 셔터 모듈에 의하여 획득된 조절 이미지에 사람이 식별되면 조명 기기가 작동되어 디밍 또는 조도가 조절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식별 대상이 되는 객체의 판단 과정에서 주변 환경이 제외될 수 있고, 주변 환경에 대하여 블라인드 처리가 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조절 이미지로부터 감지 영역으로부터 감지 대상이 아닌 주변 영역이 분리될 수 있다(P73). 주변 영역의 분리는 예를 들어 주변 영역과 감지 영역의 경계선을 형성하는 방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주변 영역이 분리되면(P73), 주변 영역은 검은 색으로 음영 처리가 될 수 있다(P74). 이에 의하여 주변 영역의 감지 대상이 되는 사람과 같은 객체가 있는지 여부에 대한 판단 대상 영역으로부터 제외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음영 처리가 되어 판단 영역이 축소된 음영 처리 이미지로부터 사람과 같은 객체가 있는지 여부가 판단될 수 있다(P75). 그리고 판단 결과에 따라 조명 기기의 작동이 조절될 수 있다. 다양한 방법으로 감지 대상이 되지 않는 영역에 대한 블라인드 처리가 될 수 있고 이에 의하여 본 발명은 제한되지 않는다.
위에서 본 발명은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이 되었지만 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 발명을 만들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변형 및 수정 발명에 의하여 제한되지 않으며 다만 아래에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하여 제한된다.
11: 수용 몸체 12: 유입 덮개
13: 바닥 덮개 14: 유도 커버
15: 조절 핸들 16: 작동 표시 소자
18: 위치 스케일 21: 셔터
42: 조절 이동 블록 45: 이동 팁
141: 고정 판 211: 차단 판
212, 213: 체결 블록 214a, 214b: 조절 암

Claims (4)

  1. 가로등에 설치되는 조명 기기용 셔터 모듈에 있어서,
    내부에 수용 공간이 형성된 수용 몸체(11);
    수용 몸체(11)의 위쪽 면으로 노출되는 유도 커버(14);
    수용 몸체(11)의 외부 면에 결합되는 조절 핸들(15);
    조절 핸들(15)의 조절에 따라 유도 커버(14)로부터 이미지 형성 광의 유입 영역이 조절되도록 하는 셔터(21);
    유도 커버(14)를 통하여 유입되는 광을 감지하여 감지 이미지를 형성하는 이미지 생성 모듈(22); 및
    이미지 생성 모듈(22)의 작동 상태를 표시하는 작동 표시 소자(16)를 포함하고,
    수용 몸체(11)는 조명 수단에 결합되고,
    수용 몸체(11)는 바닥 덮개(13)에 의하여 밀폐 구조가 되고, 바닥 덮개(13)의 안쪽 면에 형성되는 열 방출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로등에 설치되는 조명 기기용 셔터 모듈.
  2. 보안등에 설치되는 조명 기기용 셔터 모듈에 있어서,
    내부에 수용 공간이 형성된 수용 몸체(11);
    수용 몸체(11)의 위쪽 면으로 노출되는 유도 커버(14);
    수용 몸체(11)의 외부 면에 결합되는 조절 핸들(15);
    조절 핸들(15)의 조절에 따라 유도 커버(14)로부터 이미지 형성 광의 유입 영역이 조절되도록 하는 셔터(21);
    유도 커버(14)를 통하여 유입되는 광을 감지하여 감지 이미지를 형성하는 이미지 생성 모듈(22); 및
    이미지 생성 모듈(22)의 작동 상태를 표시하는 작동 표시 소자(16)를 포함하고,
    수용 몸체(11)는 조명 수단에 결합되고,
    수용 몸체(11)는 바닥 덮개(13)에 의하여 밀폐 구조가 되고, 바닥 덮개(13)의 안쪽 면에 형성되는 열 방출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등에 설치되는 조명 기기용 셔터 모듈.
  3. 경관등에 설치되는 조명 기기용 셔터 모듈에 있어서,
    내부에 수용 공간이 형성된 수용 몸체(11);
    수용 몸체(11)의 위쪽 면으로 노출되는 유도 커버(14);
    수용 몸체(11)의 외부 면에 결합되는 조절 핸들(15);
    조절 핸들(15)의 조절에 따라 유도 커버(14)로부터 이미지 형성 광의 유입 영역이 조절되도록 하는 셔터(21);
    유도 커버(14)를 통하여 유입되는 광을 감지하여 감지 이미지를 형성하는 이미지 생성 모듈(22); 및
    이미지 생성 모듈(22)의 작동 상태를 표시하는 작동 표시 소자(16)를 포함하고,
    수용 몸체(11)는 조명 수단에 결합되고,
    수용 몸체(11)는 바닥 덮개(13)에 의하여 밀폐 구조가 되고, 바닥 덮개(13)의 안쪽 면에 형성되는 열 방출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관등에 설치되는 조명 기기용 셔터 모듈.
  4. 터널등에 설치되는 조명 기기용 셔터 모듈에 있어서,
    내부에 수용 공간이 형성된 수용 몸체(11);
    수용 몸체(11)의 위쪽 면으로 노출되는 유도 커버(14);
    수용 몸체(11)의 외부 면에 결합되는 조절 핸들(15);
    조절 핸들(15)의 조절에 따라 유도 커버(14)로부터 이미지 형성 광의 유입 영역이 조절되도록 하는 셔터(21);
    유도 커버(14)를 통하여 유입되는 광을 감지하여 감지 이미지를 형성하는 이미지 생성 모듈(22); 및
    이미지 생성 모듈(22)의 작동 상태를 표시하는 작동 표시 소자(16)를 포함하고,
    수용 몸체(11)는 조명 수단에 결합되고,
    수용 몸체(11)는 바닥 덮개(13)에 의하여 밀폐 구조가 되고, 바닥 덮개(13)의 안쪽 면에 형성되는 열 방출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널등에 설치되는 조명 기기용 셔터 모듈.
KR1020220028791A 2021-12-20 2022-03-07 조명 기기용 셔터 모듈 KR1024323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28791A KR102432392B1 (ko) 2021-12-20 2022-03-07 조명 기기용 셔터 모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82996A KR102389930B1 (ko) 2021-12-20 2021-12-20 조명 기기용 셔터 모듈
KR1020220028791A KR102432392B1 (ko) 2021-12-20 2022-03-07 조명 기기용 셔터 모듈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82996A Division KR102389930B1 (ko) 2021-12-20 2021-12-20 조명 기기용 셔터 모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32392B1 true KR102432392B1 (ko) 2022-08-12

Family

ID=81452265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82996A KR102389930B1 (ko) 2021-12-20 2021-12-20 조명 기기용 셔터 모듈
KR1020220028791A KR102432392B1 (ko) 2021-12-20 2022-03-07 조명 기기용 셔터 모듈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82996A KR102389930B1 (ko) 2021-12-20 2021-12-20 조명 기기용 셔터 모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389930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91938B1 (ko) * 1996-07-12 2006-10-24 후지 샤신 필름 가부시기가이샤 카메라용 프린트 포맷 선택장치
KR100846045B1 (ko) 2007-01-26 2008-07-11 이스턴 마스텍 주식회사 팬 또는 틸트 기능과 셔터 기능이 동시에 구비된감시카메라 장치
KR20100000116U (ko) 2008-06-26 2010-01-06 이해창 셔터와 틸트 기능을 단일모터로 구현한 감시카메라
KR101136675B1 (ko) * 2011-05-23 2012-04-13 엘이오테크 주식회사 감시카메라가 구비된 엘이디 보안등 장치
KR102092511B1 (ko) * 2019-09-03 2020-03-23 주식회사 레젠 스마트시티 구축을 위한 디텍터 및 이를 포함하는 스마트폴
KR102088711B1 (ko) * 2019-09-03 2020-05-29 주식회사 레젠 감시장치를 포함하는 지능형 등기구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91938B1 (ko) * 1996-07-12 2006-10-24 후지 샤신 필름 가부시기가이샤 카메라용 프린트 포맷 선택장치
KR100846045B1 (ko) 2007-01-26 2008-07-11 이스턴 마스텍 주식회사 팬 또는 틸트 기능과 셔터 기능이 동시에 구비된감시카메라 장치
KR20100000116U (ko) 2008-06-26 2010-01-06 이해창 셔터와 틸트 기능을 단일모터로 구현한 감시카메라
KR101136675B1 (ko) * 2011-05-23 2012-04-13 엘이오테크 주식회사 감시카메라가 구비된 엘이디 보안등 장치
KR102092511B1 (ko) * 2019-09-03 2020-03-23 주식회사 레젠 스마트시티 구축을 위한 디텍터 및 이를 포함하는 스마트폴
KR102088711B1 (ko) * 2019-09-03 2020-05-29 주식회사 레젠 감시장치를 포함하는 지능형 등기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89930B1 (ko) 2022-04-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467376B1 (en) Infrared sensing lighting device
EP2594846A1 (en) Lighting device
KR100847088B1 (ko) 스피드 돔 감시카메라
TWI669526B (zh) Sensor control device, sensor system and load control system
KR100736446B1 (ko) 돔형 감시카메라
TWI627434B (zh) Sensor control device, sensor system and load control system
KR20090022056A (ko) 감시카메라
KR102432392B1 (ko) 조명 기기용 셔터 모듈
US10323964B2 (en) Motion detection device having detachable sensor
KR102126870B1 (ko) 감시 카메라
KR101380232B1 (ko) 감시 카메라에 적용 가능한 투광기
KR20200114164A (ko) 카메라 모듈형 센서 장치 및 카메라 모듈
JP2016162608A (ja) 防犯用照明装置
WO2018098888A1 (zh) 热释电红外传感装置和电器
JP3951477B2 (ja) 照明器具
TWI788369B (zh) 警報裝置
JP6016575B2 (ja) Led照明装置
JP2003141654A (ja) 光電式煙感知器
KR20170136217A (ko) 주/야간 모드 조절버튼을 가지는 원형 센서등
KR101441611B1 (ko) 감지각 조절이 가능한 센서등
JP3988408B2 (ja) ナイトライト
KR100789759B1 (ko) 카메라장치
KR101897510B1 (ko) 확산조명 구조를 포함하는 로터리 스위치
WO2017211433A1 (en) System and method for detecting a change on a moving surface
TWI717200B (zh) 攝像機及調光模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