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68582B1 - 플래시 장치 - Google Patents

플래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68582B1
KR100568582B1 KR1020007001980A KR20007001980A KR100568582B1 KR 100568582 B1 KR100568582 B1 KR 100568582B1 KR 1020007001980 A KR1020007001980 A KR 1020007001980A KR 20007001980 A KR20007001980 A KR 20007001980A KR 100568582 B1 KR100568582 B1 KR 1005685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rging
flash
oscillation
transistor
main capaci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70019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23342A (ko
Inventor
마코토 이소자키
준이치 타카기
카즈미 코이케
미츠히로 모리야
케이지 우치야마
유키츠구 하타
Original Assignee
후지 샤신 필름 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2852497A external-priority patent/JP3903117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4386997A external-priority patent/JPH10153814A/ja
Application filed by 후지 샤신 필름 가부시기가이샤 filed Critical 후지 샤신 필름 가부시기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100233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233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685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685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1/00Circuit arrangements or apparatus for igniting or operating discharge lamps
    • H05B41/14Circuit arrangements
    • H05B41/30Circuit arrangements in which the lamp is fed by pulses, e.g. flash lamp
    • H05B41/32Circuit arrangements in which the lamp is fed by pulses, e.g. flash lamp for single flash operation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7/00Control of exposure by setting shutters, diaphragms or filters, separately or conjointly
    • G03B7/16Control of exposure by setting shutters, diaphragms or filters, separately or conjointly in accordance with both the intensity of the flash source and the distance of the flash source from the object, e.g. in accordance with the "guide number" of the flash bulb and the focusing of the camera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5/00Special procedures for taking photographs; Apparatus therefor
    • G03B15/02Illuminating scene
    • G03B15/03Combinations of cameras with lighting apparatus; Flash units
    • G03B15/05Combinations of cameras with electronic flash apparatus; Electronic flash unit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215/00Special procedures for taking photographs; Apparatus therefor
    • G03B2215/05Combinations of cameras with electronic flash units
    • G03B2215/0503Built-in uni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roboscope Apparatuses (AREA)
  • Discharge-Lamp Control Circuits And Pulse- Feed Circuits (AREA)

Abstract

플래시 장치의 플래시 회로에서, 발진 트랜스(23)의 2차 코일 중간점에 설치된 중간 출력 단자(23f)에 제너 다이오드(37)가 접속되어 있다. 발진 트랜스(23)와 발진 트랜지스터(22)로 발진 회로를 구성하고 있다. 중간 출력 단자(23f)의 전위는 메인 콘덴서(41)의 충전전압에 비례하여 변화한다. 메인 콘덴서(41)가 규정 충전전압에 도달하면, 제너 다이오드(37)에 제너 전류가 흘러, 정지용 트랜지스터(38)가 작동하고, 발진회로가 부작동이 된다. 플래시충전 스위치(51)가 켜지면, 충전표시부재(60)의 라이트 가이드부 선단이 렌즈부착 필름 유닛에서 돌출된다. 메인 콘덴서가 규정전압까지 충전되면, 발광소자가 점등하고 그 빛이 라이트 가이드부의 선단에서 방사된다.

Description

플래시 장치{FLASH UNIT}
본 발명은 플래시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사진필름을 수납하며, 간단한 촬영기구가 설치된 렌즈 부착 필름유닛에 적합한 플래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피사체 휘도가 낮고 인공조명이 없어서 노광량이 부족한 경우에는 플래시장치를 이용하여 셔터 개폐장치와 함께 피사체를 조명하는 일이 많다. 콤팩트카메라와 렌즈부착 필름유닛은 FNo.가 큰, 저비용의 렌즈를 사용하고 있으므로, 대개의 경우, 플래시장치가 내장되어 있다. 플래시 촬영을 할 때에는, 촬영에 앞서 메인 콘덴서를 규정 충전전압까지 미리 충전해 둘 필요가 있다. 이 때문에 종래의 플래시 장치는 플래시 충전스위치를 온상태로 조작하면 충전 개시하도록 되어 있다.
플래시 충전스위치가 1회 온 상태가 되면, 그 후에 플래시 충전스위치가 오프 상태로 되어도 메인 콘덴서 충전을 계속하여 행하는 플래시장치가 일본특개평 7-122389호 공보에 의해 알려져 있다. 이 플래시 장치는, 메인 콘덴서가 규정 충전전압에 도달하는 동안은 충전을 정지하게 되어 있다. 이러한 타입의 플래시장치를, 이하에서, 자동정지형 플래시장치라고 한다.
도 24에 자동정지형 플래시장치의 일례를 도시한다. 또한, 이 자동정지형 플래시장치의 회로구성은 일본 특개평7-122389호 공보에 기재한 플래시장치와 다소 다르지만, 기본적인 회로구성은 동일하다. 이 플래시장치에서는 플래시 충전스위치(200)가 켜지면, 발진 트랜지스터(201)가 작동을 개시하고, 발진 트랜스(202)의 정귀환작용에 의해 발진하여 1차 코일(202a)로 흐르는 1차쪽 전류(발진 트랜지스터(201)의 콜렉터 충전)를 증대시킨다. 이 1차쪽 전류 증대에 의해, 2차 코일(202b)에는 기전력이 발생하여 2차쪽 전류가 흘러서, 정류 다이오드(203)를 통해 메인 콘덴서(204)가 충전된다.
또, 발진용 트랜지스터(201)에 콜렉터전류가 흐르므로써 래치용 트랜지스터(205)가 켜진다. 이 다음에, 1차쪽 전류의 증가량이 작아져서, 2차코일(202b)에 역기전력이 발생하면, 발진 트랜스(202)에서 발진 트랜지스터(201)로의 귀환전류(발진용 트랜지스터(201)의 베이스 전류)가 감소하기 시작한다. 그러나, 온상태로 되어있는 래치용 트랜지스터(205)를 통해 전지(206)의 전압이 발진 트랜지스터(201)에 베이스 전압으로 부여되어 있으므로 발진 트랜지스터(201)는 완전한 오프상태로 되지 않는다. 이에 따라, 다시 1차쪽 전류가 흐르기 시작하여 발진용 트랜지스터(201)는 발진을 계속하고 메인 콘덴서(204)의 충전을 계속한다.
제너 다이오드(207)는 제너전류가 300V인 것이 사용되고 있고, 메인 콘덴서(201)가 300V의 규정 충전전압까지 충전되면, 제너전류를 흘리기 시작한다. 제너전류가 흐르면 정지용 트랜지스터(208)에 전류가 흘러서 정지용 트랜지스터(208)가 켜진다. 이에 따라 발진 트랜지스터(201)의 이미터 베이스간이 접속되므로, 발진 트랜지스터(201)가 완전히 꺼지고 이와 함께 래치용 트랜지스터(205)도 꺼지게 된다. 이렇게 해서, 메인 콘덴서(204)가 규정충전전압까지 충전되면 발진이 정지되어 메인 콘덴서(204)의 충전이 정지된다.
상기와 같은 자동정지형 플래시장치에서는, 메인 콘덴서의 충전전압을 제너 다이오드로 인가하여 메인 콘덴서가 규정 충전전압에 도달했을 때에, 제너 전류를 흘려서 정지용 트랜지스터를 작동시키도록 하고 있으므로, 규정충전전압에 맞추어 높은 제너전압, 예를 들면 300V의 제너 다이오드를 사용해야 한다. 그러나, 제너전압이 높은 제너 다이오드는 고가이므로, 플래시장치의 제조비용이 높아지는 문제가 있었다. 게다가 종래의 자동정지형 플래시장치는 충전의 자동계속_정지를 위해 상기와 같은 다양한 소자를 끼워 맞추기 위해 많은 스페이스를 필요로 한다.
한편, 렌즈부착 필름유닛에 플래시장치를 끼워맞추는 것은 주지의 사실이다. 렌즈부착 필름유닛에서는, 플래시장치도 낮은 비용으로 콤팩트하게 구성할 것이 요구되므로, 충전스위치는, 수동조작부재에 의해 플래시 회로 기판상에 형성된 복수 접점부에 금속 접편을 직접 접촉시켜서 플래시 회로를 닫음에 의해 의해 충전을 개시시키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조작부재로는, 누름단추식인 것과 슬라이드식인 것이 있어서 한 번 조작하면 금속 접편을 접점부에 직접 접촉시킨 상태로 유지할 수 있는 클릭 기구를 갖춘 것과 촬영자에 의해 조작되고 있는 동안만 금속 접편을 접점부에 직접 접촉시키는 타입의 것이 있다.
또, 렌즈부착 필름유닛의 플래시장치에서는, 플래시 충전완료를 촬영자에게 알리기위해 발광표시하는 발광소자가 넣어져 있다. 이 발광소자는 렌즈부착 필름유 닛의 배면에 형성된 표시개구에 대면하여 설치되어 있는 경우와 라이트 가이드를 통해 파인더내에서 확인할 수 있도록 배치되어 있는 경우도 있다.
상기 충전스위치 조작부재 중에서, 클릭 기구를 구비할 것은, 조작부재가 충전위치에 있는 한, 플래시장치가 충전동작을 반복하므로 촬영 종료후도 조작부재를 충전위치에 세트한 채로 두면 전지를 낭비하게 된다. 그 결과, 촬영가능한 필름의 촬영을 모두 마치기 전에 전지가 다 소진되고, 그 후는 플래시 촬영할 수 없게 되는 일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는 충전조작부재의 위치와 충전완료표시용 발광소자의 빛을 확인하고나서 촬영을 종료하면 방지할 수 있을 것이지만, 렌즈부착 필름유닛의 형태에 의해서는, 충전조작부재의 조작상태를 알기 어렵기도 하고, 발광소자의 발광상태가 렌즈부착 필름유닛의 바깥에서 간단하게 확인할 수 없는 것이 있어서 촬영자는 충전스위치를 끄는 것을 잊어버리는 일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소하기위해 행해진 것으로, 신뢰성과 안정성을 저하하지 않고 비용과 스페이스를 삭감한 자동정지형 플래시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더우기 본 발명은, 플래시 충전스위치 끄는 것을 잊어버림을 방지하는 데 유효하고 특히 렌즈부착 필름유닛에 적당한 플래시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발명의 요약
본 발명은, 플래시 충전스위치가 켜져 있으면 발진개시하는 발진회로를 구비하고, 이 발진회로는 발진트랜스를 가지며, 발진 트랜스는 전원에 접속된 1차코일 과 메인 콘덴서에 접속된 2차 코일을 가지고, 2차 코일은 1차 코일에 유도결합되어 있으며 발진회로의 발진중에 2차코일에 유도되는 고압의 전류로 메인 콘덴서를 규정충전전압에 도달할 때까지 충전하는 플래시장치에 있어서, 상기 2차코일 중간점에 설치되어 메인 콘덴서의 충전전압에 비례하여 전위가 변화하는 중간출력단자와 이 중간출력단자에 접속되어, 중간출력단자의 전위가 메인 콘덴서의 규정 충전전압에 상응하는 소정의 수치가 되었을 때에 제너전류를 흘려보내는 제너 다이오드, 메인 콘덴서가 규정 충전전압에 도달했을 때 이 제너전류로 작동하여 상기 발진회로의 발진동작을 정지시켜서 메인 콘덴서의 충전을 정지시키는 정지용 트랜지스터를 구비하고 있다.
본 발명인 플래시장치에 의하면, 낮은 제너전압의 값싼 제너 다이오드를 사용할 수 있어서, 플래시장치의 비용 상승을 억제할 수 있다.
또, 메인 콘덴서가 규정 충전전압에 도달했을 때에 흐르는 제너 전류로 정지용 콘덴서를 충전하고 그 후에 정지용 콘덴서로부터 방전전류를 저항을 주면서 두고 정지용 트랜지스터에 흘려서, 소정의 시간만큼 계속적으로 정지용 트랜지스터를 작동시키므로써 의해 메인 콘덴서의 충전을 확실히 정지시킬 수 있음과 동시에, 노이즈등으로 실수로 충전이 중단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중간출력단자에서 제너 다이오드 방향으로 흐르는 전류를 저지하는 정류 다이오드의 순방향전압의 온도계수와 제너 다이오드의 제너전압의 온도계수를 서로 역의 부호로써 제너 다이오드와 정류 다이오드가 서로 온도보상회로를 형성하게 하면, 메인 콘덴서를 환경온도의 영향을 받지않고 일정한 규정 충전전압에 충전할 수 있다.
더우기 본 발명은, 제 2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플래시회로와 이 플래시회로를 충전하기위한 플래시 충전스위치를 포함한 플래시 장치에 있어서, 상기 플래시충전스위치가 온상태로 조작되면 외부로 돌출하고, 플래시회로의 충전완료를 표시하는 표시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플래시회로 충전완료를 표시하는 표시수단이 플래시 충전스위치의 온조작으로 연동하여 외부로 돌출하므로, 충전 스위치가 온 위치에 있는지를 쉽게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충전할 필요가 없을 때에는 충전 스위치를 확실히 끌 수 있다. 이에 따라, 전지를 쓸데없이 소모하여 이후의 촬영에 플래시장치를 사용할 수 없게 되는 문제는 발생하지 않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도 1의 실시예에 의한 플래시장치를 내장한 렌즈부착 필름유닛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제 1실시예의 플래시장치의 회로도이다.
도 3A 및 도3B는 제 1실시예에 의한 플래시장치의 충전동작을 설명하는 파형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의 플래시장치를 내장한 렌즈부착 필름유닛의 사시도이다.
도 5는 제 2 실시예의 플래시장치의 회로도이다.
도 6는 제 2 실시예의 플래시장치의 충전동작을 설명하는 파형도이다.
도 7는 본 발명 제 3 실시예의 플래시장치를 내장한 렌즈부착 필름유닛의 플래시 불사용시의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는 플래시 사용상태에 있는 도 7의 렌즈부착 필름유닛의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7의 렌즈부착 필름유닛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10는 도 7의 렌즈부착 필름유닛의 전커버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11는 제3의 실시형태의 플래시장치의 회로도이다.
도 12는 제 3 실시예의 플래시장치의 충전완료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수단의 장착상태를 도시하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13는 도 12의 표시수단의 다른 측면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4는 도 12의 표시수단의 플래시 불사용시의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5는 도 12의 표시수단의 플래시사용시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6는 충전완료표시단계의 라이트 가이드부의 제 2의 실시예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7는 라이트 가이드부의 제 3의 실시예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8는 라이트 가이드부의 제 4의 실시예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9는 라이트 가이드부의 제 5의 실시예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0는 라이트 가이드부의 제 6 실시예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1는 라이트 가이드를 사용하지 않는 충전완료 표시수단인 플래시 불사용시의 상태를 도시하는 요부단면도이다.
도 22는 도 21의 충전완료 표시수단의 플래시 사용시 상태를 도시하는 요부단면도이다.
도 23는 플래시회로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회로도이다.
도 24는 종래의 플래시회로를 도시하는 회로도이다.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위해 첨부된 도면에 따라 이것을 설명한다.
도 1에서, 렌즈부착 필름유닛(10)(이하 필름유닛이라 한다.)은 한 개의 사진필름을 수납한 유닛본체(11)를 가진다. 유닛본체(11)에는 간단한 촬영기구와 플래시장치가 되어 있고, 외장지(12)에 싸여 있다. 촬영렌즈(13), 파인더 대물창(14), 필름수 카운터 창(15), 필름 감는 노브(16), 플래시 발광부(17), 셔터버튼(18), 충전조작부재 내지 충전버튼(19)등 필요한 부재는 외장지(12) 개구를 통해 외부에 노정되든지 외장지(12)의 외측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도시되지 않았지만, 파인더 접안창 근방에는 플래시발광이 가능해 진 것을 표시하기 위한 표시창이 형성되어 있다.
플래시 장치의 플래시회로를 도시하는 도 2에 있어서, 플래시충전 스위치(26)는 충전 버튼(19)을 누르고 있는 동안만 온 상태가 된다. 충전버튼(19)을 누르고, 플래시충전 스위치(26)를 한 번 켜면, 금방 누름을 멈추고, 플래시충전 스위치(26)를 꺼도, 플래시장치는 메인 콘덴서(41)를 규정충전전압까지 계속 충전하도록 되어 있다. 일단 메인 콘덴서(41)를 규정 충전전압까지 충전하면,플래시발 광할 때마다. 이 플래시발광 직후에 자동적으로 메인 콘덴서(41)가 재충전된다.
플래시 장치는 크게 승압부(20)와 충방전부(40)로 되어 있다. 승압부(20)는 전력공급원이 되는 기전력1.5V의 전지(21), NPN형발진 트랜지스터(22), 발진트랜스(23), PNP형 래치용 트랜지스터(24), 충전버튼(19), 재충전용콘덴서(27), 및 발진정지회로(35)로 구성되어 있다.
발진 트랜스(23)는 각각이 유도결합된 1차코일(31), 2차코일(32), 3차코일(33)로 구성되어 있다. 이 발진 트랜스(23)에서는 1차코일(31)의 각 단자가 제 1단자(23a)와 제 2단자(23b), 3차코일(33)의 한 쪽 단자가 제 3단자(23c), 3차코일(33)의 다른 쪽 단자가 2차코일(32)의 한 쪽 단자와 공유단자인 제 4단자(23d), 2차코일(32)의 다른 쪽 단자가 제 5단자(23e)로 되었다. 또, 2차코일(32)에는 중간출력단자(23f)가 설치되어 있다.
발진트랜스(23)는 제 1단자(23a)가 발진트랜지스터(22)콜렉터단자에 접속되고, 제 2단자(23b)가 전지(21)의 플러스 단자와 접속되어 있다. 제 3단자(23c)는 저항(34a), 플래시충전 스위치(26)를 삽입시키고 전지(21)의 플러스 단자에 접속되어 있고 제 4단자(23d)는 발진 트랜지스터(22)의 베이스 단자에 접속되어 있다. 또, 제 5단자(23e)는 충전전류정류용 다이오드(25)를 통해 충방전부(40)의 마이너스쪽(메인 콘덴서(41)의 마이너스 단자쪽)에 접속되어 있다. 충전전류정류용 다이오드(25)의 음극이 제 5단자(23e)에 접속되어 있다. 발진 트랜지스터(22)의 이미터단자는 전지(21)의 마이너스단자에 접속되어 접지되어 있다.
발진 트랜지스터(22)와 발진 트랜스(23)는 전지(21)의 저전압을 메인 콘덴서(41)를 충전하기 위한 고전압으로 변환하는 주지의 블로킹 발진회로를 구성하고 있다. 발진 트랜지스터(22)는 플래시충전 스위치(26)가 온 상태가 되면, 작동을 개시하고 1차코일(31)에 1차쪽전류(콜렉터전류)를 흘린다. 그리고, 발진 트랜지스터(22)는 발진 트랜스(23)로 부터의 정귀환작용에 의해 베이스 전류가 증대하는 것으로 콜렉터전류를 증대시켜 발진한다.
2차코일(32)에는 발진 트랜지스터(22)의 발진중에 1차코일(31)과 2차코일(32)의 권선비에 대응한 고전압, 예를 들면, 1000V정도의 기전력(교류전압)이 발생한다. 충전전류정류용 다이오드(25)는 이 기전력에 의해 제 5단자(23e)에서 제 4단자(23d)방향으로 흐르는 2차쪽 전류만을 충방전부(40)로 공급한다.
래치용 트랜지스터(24)는 플래시충전스위치(26)가 한 번 켜진 뒤에 꺼져도 발진 트랜지스터(22)의 베이스 단자에 바이어스 전압을 주므로써 발진 트랜지스터(22)의 발진을 계속하게 하는 것이다. 이 래치용 트랜지스터(24)는 이미터단자가 전지(21)의 플러스단자와 접속되어, 베이스단자가 저항(34b)을 삽입시키고 발진 트랜지스터(22)의 콜렉터단자와접속되어, 콜렉터단자가 저항(34a)과 3차코일(33)을 통해 발진 트랜지스터(22)의 베이스단자와 접속되어 있다.
이에 따라, 발진 트랜지스터(22)가 일단 작동을 개시하면, 이에 응답하여 래치용 트랜지스터(24)가 켜지고, 플래시충전 스위치(26)가 꺼져도 래치용 트랜지스터(24)로부터의 정귀환 작용으로 발진 트랜지스터(22)가 계속해서 발진할 수 있다. 또한, 이 래치용 트랜지스터(24)를 생략하는 것도 가능하다.
플래시충전 스위치(26)가 꺼진 상태이고, 3차코일(33)에 역기전력이 발생했 을 때에 3차코일(33)의 역기전력에 대해서 전류루프(전류 회피길)가 없으면 블로킹 발진회로의 발진작동이 불안정해 지거나, 충전시간이 길어지는 불편함이 발생한다. 이러한 불편함을 없애기 위해 루프용 다이오드(28)가 접속되어 있다. 루프용 다이오드(28)는 양극이 저항(34a)을 통해 3차코일(33)의 제 3단자에 접속되어 음극이 전지(21)의 플러스단자에 접속되어 3차코일(33)의 역기전력에 대한 전류루프를 형성하고 있다.
충방전부(40)는, 메인콘덴서(41), 플래시방전관(42), 트리거전극(42a), 네온관(43), 트리거콘덴서(44), 트리거트랜스(45), 트리거스위치(46)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메인콘덴서(41)는, 플래시 방전관(42)에 병렬접속됨과 동시에, 플러스단자는 전지(21)의 마이너스측에 접속되어 접지되고, 마이너스단자는 충전전류정류용 다이오드(25)의 양극에 접속되어 있다. 본 실시예의 플래시장치에서는 메인콘덴서(41)의 규정 충전전압이 300V로 설정되어 있고, 플래시 방전관(42)은, 300V의 전압이 인가되었을 때에 소정의 광량(光量)으로 발광하도록 설정되어 있다. 메인콘덴서(41)의 플라스단자는 전지(21)의 마이너스측에 접지되어 있으므로, 메인콘덴서(41)의 플러스단자 전위는 접지전위(GND)(=0V)로 보존되어 있으며, 메인콘덴서(41)의 마이너스단자의 전위는 충전에 의해 저하된다. 즉, 충전전압이란, 메인콘덴서(41)의 플러스단자와 마이너스단자간 전위차와 같은 절대치이다.
발진 정지회로(35)는 정류 다이오드(36), 제너 다이오드(37), PNP형의 정지용 트랜지스터(38), 콘덴서(39)를 주요 부품으로 구성되어 있다. 정류 다이오드(36)는 음극이 중간출력단자(23f)에 접속되어 양극이 저항(36a)을 삽입시 키고 제너 다이오드(37)의 양극에 접속되어 있다. 이 정류 다이오드(36)는, 중간출력단자(23f)에서 발생하는 교류전압을 정류하고, 부전압만을 끄집어 내기 위해 설치되어 있다. 또,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이 정류 다이오드(36)는 제너 다이오드(37)에 대한 온도 보상소자로서도 작용한다. 콘덴서(39)는 정류 다이오드(36)로 정류된 부전압을 평활화하고, 직류전압으로써 제너 다이오드(37)에 인가한다. 정지용 트랜지스터(38)는 베이스단자가 저항(37a)을 삽입시키고 제너 다이오드(37)의 캐소드(37)에 접속되어 이미터단자가 발진 트랜스(23)의 제 4 단자에 접속되어, 콜렉터단자가 접지되어 있다.
중간 출력단자(23f)의 전위(Va)는 블로킹발진회로의 발진동작에 의해 진폭하고, 또 그 전체적인 레벨이 메인 콘덴서(41)의 충전전압의 상승과 함께 비례적으로 변화한다. 메인 콘덴서(41)는 마이너스 방향으로 충전되기 때문에 중간출력단자의 전위(Va)는 충전전압의 상승과 함께 비례적으로 하강한다. 중간출력단자(23f)는 메인 콘덴서(41)가 규정충전전압에 달하여, 2차 코일(32)에 기전력이 발생했을 때에 그 전위(Va)와 제 4 단자(23d)의 전위(Vb)의 전위차 내지 전위「Vb-Va」가 소정의 전압(Von)이 되도록 2차 코일(32)에서의 위치가 결정되어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중간출력단자(23f)는 메인 콘덴서(41)가 규정 충전전압에 도달했을 때에 제너 다이오드(37)에 인가되는 직류전압의 제너 다이오드(37)의 제너 전압에 도달하도록 2차 코일(32)에서의 위치가 결정되어 있다.
전압(Von)은, 후술할 제너 다이오드(37)의 제너 전압(Vz)-예를 들면, 10V-에 정류 다이오드(36)등의 전압 강하분 등-예를 들어, 약 0.6V-을 가산한 전압치이다. 이 예에서는 전압(Von)이 10.6V가 되어 2차 코일(32)의 권선수에 대해 중간출력단자(23f)와 제 4 단자(23d)간의 사이에 권선수가 약 1/30이 되는 위치에 중간출력단자(23f)가 설치되어 있다. 그러나 예를 들어, 제너 다이오드(37)의 제너 전압(Vz)을 30V로 한 경우에는, 2차 코일(32)의 권선수에 대해 중간출력단자(23f)와 제 4 단자(23d) 사이의 권선수가 약 1/10이 되는 위치에 중간출력단자(23f)가 설치되어 전압(Von)이 30.6V가 된다.
제너 다이오드(37)에는 제 4 단자(23d)와 중간출력단자(23f)간의 교류전압, 즉 전위차「Vb-Va」를 정류 다이오드(36)와 콘덴서(39)로 정류_평활한 직류전압이 인가된다. 그러므로, 제너 다이오드(37)의 제너 전압(Vz)은 낮은 것도 괜찮고- 예를 들면, 10V로 좋으므로- 제너 다이오드(37)에는 싼 값의 제너 다이오드를 이용할 수 있다. 메인 콘덴서(41)가 300V의 규정 충전전압에 도달했을 때에, 전위차「Vb-Va」가 소정의 수치(Von)가 되어, 제너 전압(Vz)이 제너 다이오드(37)에 인가되므로, 제너 다이오드(37)는 충전전류와는 역방향의 제너전류를 흘린다.
정지용 트랜지스터(38)는 제너 다이오드(37)가 제너전류를 흘려보내고 있지 않는 경우에는 베이스전류가 흐르지 않으므로 꺼져 있지만, 제너 다이오드(37)가 제너전류를 흘리게 되는 경우, 즉 제너 다이오드(37)의 음극전위가 0V이하가 되었을 경우에는, 정지용 트랜지스터(38)의 이미터 베이스간에 동작전압 이상의 전압이 인가되기 때문에 켜진다. 정지용 트랜지스터(38)가 켜 졌을 경우에는 발진 트랜지스터(22)의 입력단자인 베이스단자와 이미터단자가 접속되어 등전위가 되고, 발진 트랜지스터(22)가 꺼지고, 이것에 동반하여 래치용 트랜지스터(24)가 꺼지게 된다.
중간출력단자(23f)로부터 제 4 단자(23d)까지의 코일부분과 1차 코일(31)의 권선비를 2차 코일과 1차 코일의 권선비에 비교해 현저하게 작으므로, 중간출력단자(23f)로부터 비교적 큰 전류를 끌어 낼 수 있다. 그러므로, 예를 들어 저온시(低溫時)의 전지(21) 전압이 저하되고 있는 경우라도, 정지용 트랜지스터(38)를 작동시키는 데에 충분히 큰 베이스 전류를 흘릴 수 있다. 이것에 의해 발진 트랜지스터(22)의 발진 자동정지를 확실히 할 수 있다.
그런데, 반도체소자는 주지와 같이 온도에 의해 특성이 변화하고, 제너 다이오드(37)에 관해서도, 그 온도에 의해 제너 전압(Vz)가 변화한다. 이 제너전압(Vz)의 변화는 기준온도 아래에서 설정되고 있는 규정 제너전압이 크기에 의해 변화가 다르고- 예를 들면, 규정 제너전압이 5~6V보다도 낮은 제너 다이오드에서는 온도계수가 부이고, 실제의 제너전압은 온도가 높아질수록 낮아진다. 역으로, 규정 제너전압이 5~6V보다도 높은 제너 다이오드에서는 온도계수가 정으로 되어 온도가 높아질수록 실제의 제너전압도 높아진다.
제너 다이오드(37)의 제너전압(Vz)도 환경온도 및 제너 다이오드(37)의 발열에 의한 온도변화에 의해 변동한다. 이 실시예에서는 제너전압(Vz)은 10V이므로, 제너 다이오드(37)의 온도계수는 정이다. 따라서, 온도보상을 하지않으면, 온도가 높아질수록 실제의 제너전압(Vz)이 높아지고, 전압「Vb-Va」이 소정의 값(Von)보다도 높아지고나서, 즉 메인콘덴서(41)가 규정 충전전압보다 높게 충전되고나서, 제너 다이오드(37)에 제너 전류가 흐르게 되어 버린다.
한편, 정류를 목적으로 사용되는 다이오드는 온도계수가 마이너스이다. 따라 서, 온도가 높아지는 만큼 정류 다이오드(36)에 의한 전압강하는 작아지고, 제너 다이오드(37)에 인가되는 전압은 높아진다. 여기에서, 정류 다이오드(36)의 마이너스의 온도계수로 제너 다이오드(37)의 플러스의 온도계수를 보상하는 것에 의해 전체의 온도계수를 거의 「0」으로 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온도변화에 관계없이 메인 콘덴서(41)가 규정 충전전압에 도달하면 제너전류가 흐르게 되어 있다.
승압부(20)에서 급전(給電)된 전류(2차측 전류)는, 메인 콘덴서(41)를 충전함과 동시에 트리거 콘덴서(44)를 충전한다. 네온관(43)은 메인 콘덴서(41)가 300V의 규정 충전전류까지 충전되었을 때에 점등한다. 이 네온관(43)으로부터의 빛은,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라이트 가이드 등을 삽입시켜서, 파인더 접안창 근처의 표시창에 도광(道光)된다. 촬영자는 이 네온관(43)의 점등으로 플래시가 발광할 준비를 완료한 것을 알 수 있다.
트리거 스위치(46)는 셔터가 완전히 열렸을 때에 켜 진다. 트리거 스위치(46)가 켜 지면 트리거 콘덴서(44)가 방전되고, 이 방전된 전류가 트리거 트랜스(45)의 1차 코일(45a)에 흐른다. 이것에 의해 2차 코일(45b)에 고전압, 예를 들면, 4KV의 트리거전압이 발생한다. 이 트리거 전압은 트리거 전극(42a)에 인가된다. 이 트리거전압의 인가에 의해 플래시 방전관(42)내의 Xe가스가 이온화하여 플래시 방전관(42)의 양전극간의 저항이 깨져, 메인 콘덴서(41)가 방전되어 플래시 방전관(42)이 발광한다.
승압부(20)의 재충전용 콘덴서(27)는 메인 콘덴서(41)와 같이, 2차 코일(32)에 흘리는 2차측 전류에 의해 방전된다. 이 재충전용 콘덴서(27)에 충전된 전하는 플래시 방전관(42)이 발광했을 때에 방전되어, 발진 트랜지스터(22)에 베이스 전류를 흘리고, 발진 트랜지스터(22)를 작동시킨다. 이것에 의해 메인 콘덴서(41)가 재방전된다.
다음으로, 상기 실시예의 작용에 관해 설명한다. 촬영자는 필름유닛(10)의 필름감는노브(16)를 회동조작하여, 사진필름의 감기를 함과 동시에 셔터 차지를 하여 촬영의 준비를 한다. 그리고, 플래시촬영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충전버튼(19)을 누르고, 플래시 충전스위치(26)를 켠다. 촬영자는 충전버튼(19)을 끝까지 누른 다음, 금방 누름을 해제해도 좋다.
플래시 충전스위치(26)가 켜지면, 저항(34a), 3차 코일(33)을 개입시켜서 발진 트랜지스터(22)의 베이스에 전지(21)로 부터 전류가 흘러 들어간다. 이것에 의해 발진 트랜지스터(22)가 작동을 개시하고, 베이스전류에 따른 콜렉터전류를 흘리게 된다. 이 콜렉터전류는 제 2 단자(23b)에서 1차 코일(31)을 통해 제 1 단자(23a)방향으로 흐르는 1차전류이다.
1차측 전류에 의해, 2차 코일(32)에 고전압의 기전력이 발생하고 제 5 단자(23e)에서 제 4 단자(23d) 방향으로 2차측전류가 흐른다. 이 2차측 전류는, 발진 트랜지스터(22)의 베이스로 흘러들어가므로, 발진 트랜지스터(22)의 베이스전류가 증가하고, 1차 코일(31)로부터의 콜렉터전류(1차측 전류)가 더욱 증가한다.
발진 트랜지스터(22)가 켜지면, 발진 트랜지스터(22)의 콜렉터전류가 래치용 트랜지스터(24)의 베이스에 흘러들어가서 래치용 트랜지스터(24)가 켜진다. 그러면 전지(21)의 전압이 저항(34a), 3차 코일(33)을 통해 발진 트랜지스터(22)의 베이스 에 인가되게 된다.
발진 트랜스(23)로부터의 정귀환 작용에 의해, 발진 트랜지스터(22)의 베이스전류와 콜렉터전류 즉 1차측 전류가 동시에 증대한다. 그러나, 발진 트랜지스터(22)가 포화상태에 가까와지면, 콜렉터전류의 증가가 근소해진다. 이것에 의해, 1차측 전류의 변화가 작아지고, 발진 트랜스(23)의 각 코일(31~33)에는 역 기전력이 발생한다. 이 역 기전력 때문에 2차 코일(32)에서 발진 트랜지스터(22)의 베이스로 흐르는 전류가 급격히 감소하고,콜렉터전류를 급격하게 감소시킨다.
그러나, 발진용 트랜지스터(22)는 래치용 트랜지스터(24)에서 베이스전압이 부여되고 있으므로 완전히 꺼지는 일 없이 발진 트랜스(23)의 역 기전력 정지후, 래치용 트랜지스터(24)로부터의 베이스전압에 의해 재차 콜렉터전류가 증가한다. 따라서, 1차측 전류가 다시 증가한다. 이렇게 해서 플래시 충전스위치(26)가 꺼져도, 발진 트랜지스터(22) 결국은 블로킹 발진회로의 발진동작이 계속되어진다.
발진 동작 중에 2차 코일(32)에서 발생한 고전압의 기전력에 의한 2차측 전류중 제 5 단자(23e)에서 제 4 단자(23d)방향으로 흐르는 2차측 전류는 충전전류정류용 다이오드(25)를 삽입시켜서 충방전부(40)에 급전되어, 메인 콘덴서(41)와 트리거 콘덴서(44)가 충전된다. 동시에 재충전용 콘덴서(27)도 2차측 전류에 의해 충전된다.
한편, 전지(21)의 마이너스단자의 그라운드전위를 기준(GND:전위0V)로 한 경에 제 4 단자(23d)의 전위(Vb)는, 도 3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충전개시직후(충전전 압≒0V)에 발진 트랜스(23)에 기전력이 발생하고 있는 기간에는 발진 트랜지스터(22)의 베이스 이미터간 전압분만 그라운드 전위보다 높고 일정하게 되어 있고, 역기전력이 발생하면 펄스상에 전위(Vb)가 강하한다.
또, 충전 개시직후의 중간출력단자(23f)의 전위(Va)는 기전력이 발생하고 잇는 기간에는 일정하고, 역기전력이 발생하면 펄스상으로 상승하지만, 모두 전위(Va)는 제 4 단자(23d)의 전위(Vb)보다도 높다. 그 때문에, 충전 개시직후의 전위차「Vb-Va」는 정류 다이오드(36)의 역방향전압이 되므로, 이 전위차에 의해 전류가 흐르는 일은 없다. 따라서, 제너 다이오드(37)에도 정지용 트랜지스터(38)의 베이스에도 전류가 흐르지 않으므로, 이 정지용 트랜지스터(38)는 켜지지 않는다.
메인 콘덴서(41)에의 충전이 진행되면, 메인 콘덴서(41)의 단자간 전압이 높아진다. 이 실시예에서는 메인 콘덴서(41)는 마이너스방향으로 충전되게 되어 있으므로 플러스단자의 전위는 0V인 채로 마이너스단자측의 전위가 강하한다. 그 결과, 2차 코일(32)의 부하가 커져서, 2차측 전류가 흐르기 어려워져서 2차 코일(32)의 기전력, 역기전력 전압이 저하되고, 또, 블로킹 발진회로의 발진주파수가 높아지다.
이것에 의해, 중간출력단자(23f)는 그 전위(Va)의 변화 주기가 짧아짐과 동시에 전체적으로 전위가 저하된다. 한편, 제 4 단자(23d)의 전위(Vb)는 전위(Va)와 똑같이 하여 그 변화의 주기가 짧아지지만, 충전 개시직후와 같은 레벨사이에서 변화한다. 이 때문에 기전력이 발생하고 있는 기간에서는 중간 출력단자(23f)의 전위(Va)가 제 4단자(23d)의 전위(Vb)보다도 낮아지므로, 제너 다이오드(37)에 역 방향전압이 걸리게 된다. 그러나, 메인 콘덴서(41)가 규정충전전압에 도달하기 전에서는 전위차「Vb-Va」가 전압(Von)보다도 작아지므로 제너 다이오드(37)에는 제너 전압(Vz)보다도 작은 역전압밖에 인가되지않는다. 따라서, 메인 콘덴서(41)가 규정 충전전압에 도달할 때까지는 제너 다이오드(37)에 제너전류가 흐르지 않으므로, 정지용 트랜지스터(38)는 켜지지않고, 발진 트랜지스터(22)의 발진동작이 계속된다.
그리고, 메인 콘덴서(41)가 규정 충전전압, 이 실시예에서는 300V에 도달하면, 도 3B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기전력이 발생하고 있는 기간에는, 전위차 내지전압「Vb-Va」가 소정의 수치(Von=10.6V)가 된다. 전위차「Vb-Va」가 10.6V로 되면 제너 다이오드(37)에는 정류 다이오드(36)를 통해 제너전압(Vz)이 인가되므로, 제너전류가 흐른다. 이 제너전류에 의해 제 4단자(23d)에서 정지용 트랜지스터(38)의 베이스에 전류가 흐르므로, 정지용 트랜지스터(38)가 된다. 전압「Vb-Va」는 블로킹 발진회로의 발진동작에 따라, 변동하지만 정류 다이오드(36)와 콘덴서(39)에 의해 제너 다이오드(37)에 인가되기 전에 정류_평활되기 때문에 정지용 트랜지스터(38)는 안정된 상태로 켜진다.
이렇게 해서 메인 콘덴서(41)가 규정 충전전압에 도달하여 정지용 트랜지스터(38)가 켜지면 발진 트랜지스터(22)의 베이스 이미터간이 정지용 트랜지스터(38)에 의해 접속되어 등전위가 되며, 발진 트랜지스터(22)가 꺼진다. 발진 트랜지스터(22)가 꺼지면 래치용 트랜지스터(24)의 베이스전류가 흐르지 않게 되므 로, 이 래치용 트랜지스터(23)도 꺼진다. 이것에 의해 발진 트랜지스터(22)의 발진이 계속되지 않게 되어, 메인 콘덴서(41)의 충전이 정지한다. 또, 메인 콘덴서(41)에의 충전이 정지한 시점에서 정지용 트랜지스터(38)도 꺼진다. 물론, 정지용 트랜지스터(38)가 꺼져도 발진 트랜지스터(22)가 다시 발진을 개시하는 일은 없다.
또, 메인 콘덴서(41)가 규정 충전전압까지 충전되면, 네온관(43)이 점등된다. 촬영자는 이 네온관(43)의 점등에 의해 플래시 발광준비가 된 것을 확인하고 이 확인후에 파인더로 구도를 결정하고나서 셔터버튼(18)을 누름조작하여 촬영을 한다.
셔터버튼(18)을 누르면 셔터가 작동하고, 셔터가 완전히 열린 순간에 트리거 스위치(46)가 켜진다. 트리거 스위치(46)가 켜지면 트리거 콘덴서(44)가 방전하고 이 방전에 의한 전류가 트리거 트랜스(45)의 1차 코일(45a)로 흘러, 2차 코일(45b)에 트리거전압이 발생한다. 이 트리거전압이 트리거전극(42a)을 통해 플래시방전관(42)에 인가된다. 이것에 의해 플래시방전관(42)의 양전극간에서 메인 콘덴서(41)의 전하가 방전되어, 플래시방전관(42)이 발광하고, 플래시 발광부(17)가 발광하여, 플래시촬영이 행해진다.
메인 콘덴서(41)는 제너 다이오드(37)와 정류 다이오드(36)의 상호 온도보상작용에 의해 충전전압에 편차를 발생시키는 일 없이 규정 충전전압으로 충전되어 있다. 따라서, 항상 거의 일정한 발광량의 플래시 빛으로 플래시촬영을 할 수 있다.
플래시방전관(42)이 발광하면, 재충전용 콘덴서(27)가 플래시방전관(42)을 통해 방전하여, 이 때의 방전전류가 발진 트랜지스터(22)의 베이스전류로 흐른다. 이것에 의해 발진 트랜지스터(22)가 작동한다. 이 발진 트랜지스터(22)의 작동에 의해 플래시 충전스위치(26)를 순간적으로 켰을 때와 동일하게 하여, 래치용 트랜지스터(24)가 켜져서 발진 트랜지스터(22)가 계속하여 발진하게 되며 메인 콘덴서(41)가 다시 충전된다.
다음으로, 다른 플래시장치의 예에 관해 설명한다. 또한 아래에서 설명하는 다른 구성에 관해서는 상기 실시예와 동일하게 하여 실질적으로 같은 기능을 가지는 부재에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붙여서,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 4에서 도시한 필름유닛(10)에는 온 위치와 오프 위치에서 변환가능한 슬라이드식 충전조작 부재(50)가 설치되어 있다. 이 충전조작 부재(50)를 온 위치로 하면, 메인 콘덴서(41)의 충전이 개시되어 메인 콘덴서(41)가 예를 들면, 300V의 규정 충전전압까지 충전된다. 또, 충전조작 부재(50)가 온 위치로 유지되어 있는 동안은, 메인 콘덴서(41)의 자연방전분을 보충하도록하여 계속적인 충전이 이루어진다. 더우기, 이 충전조작 부재(50)는 플래시발광이 필요한 지를 선택하는 조작 부재를 겸하고 있어서, 촬영시에 충전조작 부재(50)가 온 위치로 되어 있는 경우에 플래시발광이 행해져, 오프 위치로 되어 있는 경우에는 메인 콘덴서(41)가 충전되어 있어도 플래시발광이 이루어지지 않는다.
이 필름유닛(10)에 내장된 플래시장치를 제 5도에서 도시한다. 승압부(20)에는 플래시 충전스위치(51)가 설치되어 있고, 이 플래시 충전스위치(51)는 충전조작 부재(50)가 온 위치로 변환되어 있을 때에는 항상 온 상태로 되고, 충전 조작 부재(50)가 오프 상태위치로 전환되어 있을 때에는 항상 오프 상태로 된다. 상기 실시예와는 달리, 래치용 트랜지스터(24), 루프용 다이오드(28), 재충전 콘덴서(27) 및 평활 콘덴서(39)는 설치되어 있지않다. 발진 트랜지스터(22)는 플래시 충전스위치(51)가 온 상태가 되어 있을 때에, 베이스전류가 흘러서 발진하며, 이 때에 발진 트랜스(23)에서 발생하는 고전압으로 메인 콘덴서(41)가 충전된다. 즉 플래시 충전스위치(51)가 켜져 있을 때가 발진 트랜지스터(22)와 발진 트랜스(23)로 구성되는 블로킹 발진회로의 작동상태이다.
발진 트랜스(23)의 제 3단자(23c)와 제 4단자(24d) 사이에는 네온관을 대신하여 메인 콘덴서(41)의 충전이 완료된 것을 표시하기 위한 발광 다이오드(52)가 접속되어 있다. 발광 다이오드(52)의 양극이 제 4단자(23d)에 접속되어 있고, 이 발광 다이오드(52)는 메인 콘덴서(41)가 규정충전전압에 도달하면 밝게 발광한다. 또한, 이 발광 다이오드(52) 발광의 상세한 설명에 관해서는, 일본특개평 8-115796호 공보에 기재되어 있다.
발진 정지 회로(35)는, 상기 실시예와 동일하게 하여 2차 코일(32)의 중간 출력 단자(23f)에 직렬로 접속된 정류 다이오드(36)와 저항(36a), (37a), 제너 다이오드(37), 정지용 트랜지스터(38)를 포함하고 그 외에 정지용 콘덴서(53)를 가지고 있다. 이 회로에 있어서도, 정류 다이오드(36)와 제너 다이오드(37)는 상호 온도 보상 회로로 되어 있다.
이 플래시 장치에서는 메인 콘덴서(41) 충전시, 플래시 충전 스위치(51)가 항상 켜져 있으므로, 순간적으로 정지용 트랜지스터(38)를 켜도 발진 트랜지스터(22)의 작동이 정지되지 않는 일이 있다. 확실히 발진 트랜지스터(22)의 작동을 정지하기 위해, 제너 다이오드(37)의 음극과 발진 트랜스(23)의 제 4단자(23d) 사이에는 정지용 콘덴서(53)가 직접 접속되어 있다. 상기 실시예와 동일하게 메인 콘덴서(41)가 규정 충전 전압에 도달하면, 제너 다이오드(37)에 제너 전류가 흐른다. 이 제너 전류는 정지용 콘덴서(53)를 통해 제 4단자(23d)에서 중간출력단자(23f)를 향해 흐르기 때문에 정지용 콘덴서(53)가 제너 전류로 충전된다. 그리고, 정지용 콘덴서(53)는 저항을 개입시키지 않고 직접 제너 전류로 충전되므로, 그 충전은 단시간(이 예에서는 약 10m초)으로 완료된다.
제 6도에서 도시하듯이, 메인 콘덴서(41)의 충전 전압이 규정 충전전압에 도달한 직후에는, 제너 전류가 정지용 콘덴서(53)를 통해 흐르기 때문에 정지용 트랜지스터(38)의 베이스 이미터간 전압이 OV가 되어 정지용 트랜지스터(38)는 켜지지 않는다. 정지용 콘덴서(53)의 충전이 완료되면, 정지용 콘덴서(53)의 충전 전압이 정지용 트랜지스터(38) 베이스 이미터간 전압으로 걸려서, 정지용 콘덴서(53)-정지용 트랜지스터(38) 이미터 단자-베이스 단자-저항(37a)의 폐회로가 형성되어, 정지용 콘덴서(53)의 충전 전하가 방전된다. 이 방전 전류는 정지용 트랜지스터(38) 베이스에 흘러 들어가 정지용 트랜지스터(38)를 켜게 된다. 이것에 의해 전지(21)에서 플래시 충전 스위치(51)를 통해 발진 트랜지스터(22)의 베이스에 흘러 들어가고 있던 전류가 정지용 트랜지스터(38)의 이미터 콜렉터 회로로 흐르게 되므로, 발진 트랜지스터(22)가 정지하여 메인 콘덴서(41) 충전이 정지된다.
저항(37a)을 통해 정지용 콘덴서(53)를 방전하도록 해주는 것으로, 정지용 트랜지스터(38)에 비교적 긴 시간에 걸쳐 베이스 전류를 흘리도록 하고 있다. 베이스 전류가 흐르고 있는 동안은 정지용 트랜지스터(38)가 켜져 있다. 그 결과, 정지용 트랜지스터(38)가 켜진 시간이 발진 트랜지스터(22)의 발진을 정지하는 데에 충분한 길이가 된다. 정지용 트랜지스터(38)의 켜진 시간은 정지용 콘덴서(53) 정전 용량과 저항(37a)의 저항치에 의해 결정되는 시정수를 조절하는 것으로 설정할 수 있고, 이 예에서는 정전용량이 47㎌의 정지용 콘덴서(53)와 저항치가 10KΩ의 저항(37a)를 이용하였고 실측시간은 0.3초였다. 이것에 의해 플래시 충전 스위치(51)가 온 위치에 있어도, 발진 트랜지스터(22)는 적어도 0.3초간 발진정지한다.
정지용 콘덴서(53)의 방전이 진행되고, 그 충전 전압이 소정의 전압까지 저하하면, 정지용 트랜지스터(38)는 꺼지게 된다. 플래시 충전 스위치(51)가 온으로 되어 있으므로, 정지용 트랜지스터가(38)가 꺼지면 전지(21)에서 발진 트랜지스터(22)로의 베이스전류 공급이 재개되어 발진 트랜지스터(22)가 다시 발진을 개시한다. 그러나, 메인 콘덴서(41)는, 이미 규정 충전전압까지 충전되어 있으므로 이 발진의 재개 직후에 제너 다이오드(37)에 제너 전류가 흘러서 상기와 동일하게 하여 정지용 콘덴서(53)가 충전되고, 이 충전 후에 정지용 콘덴서(53) 방전에 의해 정지용 트랜지스터가 켜져서 발진 트랜지스터(22)가 정지하여 메인 콘덴서(41) 충전이 정지된다.
이후, 다시 정지용 트랜지스터(38)가 꺼지면, 상기와 동일하게하여, 발진 트랜지스터(22)의 발진과 정지, 즉 메인 콘덴서(41)의 충전과 충전정지가 플래시 충전 스위치(51)가 플래시 충전 스위치(51)이 켜져 있는 동안에 반복해서 행해해진 다. 이것에 의해, 메인 콘덴서(41)의 자연 방전분을 보충하게 하여 계속적으로 충전이 이루어져 메인 콘덴서(41)는 거의 일정한 충전전압으로 유지될 수 있다.
충방전부(40)에서는 트리거 콘덴서(44)의 한쪽과 트리거 트랜스(45)의 1차 코일(45a) 및 2차 코일(45b)의 공통 단자가 전지 플러스 단자에 접속됨과 동시에 트리거 콘덴서(44)는 직렬로 발광 선택 스위치(54)가 접속되어 있다. 발광 선택 스위치(54)는 플래시 충전 스위치(51)에 연동하여 온, 오프된다. 즉, 발광 선택 스위치(54)는 충전 조작부재(50)가 온 위치에 있을때에 켜지고, 충전 조작 부재(50)가 오프위치에 있을 때에 꺼진다.
이 발광 선택 스위치(54)에 의해, 발광 선택 스위치(54)가 온이 되어 있을때에는 동작 중의 승압부(20)에 의해 트리거 콘덴서(44)가 충전되고, 트리거 스위치(46)가 온이 되었을때에 트리거 콘덴서(44)가 방전되어 플래시 방전관(42)에 트리거 전압이 인가된다. 그리고, 발광선택 스위치(54)를 오프로 해둠으로써 메인 콘덴서(41)가 충전된 상태여도, 트리거 콘덴서(44)가 방전되는 일이 없으므로, 플래시 발광은 이루어지지 않는다.
메인 콘덴서(41)로의 충전이 진행되고, 그 충전 전압이 높아지면, 3차 코일(33)의 제 3단자(23c)의 전위가 서서히 낮아져서, 역 기전력이 발생하지 않는 기간에는 이 제 3단자(23c)의 전위가 제 4단자(23d)의 전위보다도 낮아져서 발광 다이오드(52)에 순방향 전압이 걸리게 된다. 이 실시예에서는 메인 콘덴서(41)의 충전 전압이 250V 이상이 되면, 발진 트랜스(23)에 역 기전력이 발생하고 있는 기간이외에 제 3단자(23C)와 제 4단자(23d)의 전위차가 커져서, 발광 다이오드(52) 점등을 눈으로 확인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메인콘덴서(41)의 충전전압이 규정 충전전압인 300V까지 충전되면, 제 3단자(23c)와 제 4단자(23d)의 전위차가 충분히 커져서, 발광 다이오드(52)가 소정의 광도로 밝게 발광한다.
또, 발광 다이오드(52)는, 계속 충전이 이루어짐에 따라서, 발광과 소등을 계속 행하여 점멸한다. 이 점멸간격은, 정지용 트랜지스터(38)의 온 시간 설정과 동시에 정지용 콘덴서(53) 정전 용량과 저항(37a)의 저항치에 의해 결정되는 시정수(時定數)를 조절하는 것으로 설정할 수 있다. 예를들면, 제너 전류를 직접 흘려서 정지용 트랜지스터(38)를 작동시키려고 한 플래시 장치에, 상기와 동일한 발광 다이오드(52)를 부가한 경우에는 환경온도, 메인 콘덴서(41)의 리크 전류의 편차, 제너 다이오드의 개체차에 의해, 발광 다이오드 점멸간격이 10배 이상으로 변화하는 일이 있다. 그러나, 이 플래시 장치에서는 10배 이상으로 변화하는 일이 있다. 그러나, 이 플래시 장치에서는 점멸간격을 일정하게 할 수 있다.
정지용 콘덴서(53)를 도 2의 플래시 회로의 제너 다이오드(37) 음극과 발진 트랜스(23)의 제 4단자(23d) 사이에 접속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렇게 하면, 메인 콘덴서(41)가 규정 충전전압 가까이까지 충전되었을때에 발생하는 전기적인 노이즈에 정지용 트랜지스터(38)가 영향받는 일이 없어진다. 또, 메인 콘덴서 충전을 확실히 정지시키는데에 필요한 정지용 트랜지스터의 온(on) 시간을 충분히 길게 할 수 있다.
상기 정지용 콘덴서를 이용한 발진정지 회로는 조작 버튼을 계속 누름으로써 충전을 지속시키도록 한 플래시 장치에도 유효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 상기 실 시예에서는, 마이너스 충전을 하는 플래시 장치에 관해 설명했지만, 플러스 충전을 하는 플래시 장치에도 본 발명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플러스 충전 플래시 장치의 경우에는 메인 콘덴서의 충전전압이 상승하면 2차 코일의 중간 출력 단자 전위가 상승하므로, 이 중간 출력 단자에 접속되는 정류 다이오드, 제너 다이오드의 접속 방향을 상기의 것과 역으로하여 이 제너 다이오드의 체너 전류로 정지용 트랜지스터를 온 상태로 하는 구성으로 할 필요가 있다.
그런데, 도 4의 실시예와 같이, 충전 스위치가 켜져 있는 한 플래시 장치가 충전 동작을 반복하는 타입의 플래시 장치에서는, 조작부재를 온 위치로 한 채 방치해 두면, 촬영 가능한 전 필름을 다 촬영하기도 전에 전지를 다 쓰게 되어, 그 후는 플래시 촬영을 할 수 없게 되는 일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는 충전 조작 부재의 위치와 충전 완료 표시광을 확인하고 나서 촬영을 종료하면 방지할 수 있겠지만, 충전 조작 부재의 조작 상태와 충전 완료 표시광을 알지 못하면, 촬영자는 충전 조작 부재를 오프 위치로 바꿔놓는 것을 잊어버릴 수 있다. 이러한 문제는 촬영자가 필름유닛에 익숙하지 않은 경우에 보다 많이 발생한다. 이하의 실시예는 프래시 충전 스위치 끄는 것을 방지하는데에 유효한 필름유닛에 관한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필름유닛(10)의 플래시 불사용시의 외관을 도시한 것이다. 필름유닛(10)의 전면에는 촬영 렌즈(13)와 파인더 대물창(14), 플래시 발광부(17), 충전조작 부재(56), 시야전환 노브(57)가 설치되고, 상면에는 셔터버튼(18), 필름매수 카운터 창(15), 도 8에 도시한 바와같이 충전 표시 부재(60)를 돌출시키기 위한 개구(61)가 설치되어 있다. 또, 필름유닛(10)의 배면쪽에는 도 9에 도시한 것 같이 필름 감는 노브(16), 파인더 접안창(14c)이 설치되어 있다.
충전 조작 부재(56)는, 도 7에 도시한 오프 위치와 도 8에 도시한 온 위치 사이에서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드가 자유롭게 움직이며, 내장 플래시 장치(70) 충전을 할때에는 상방의 온 위치로 슬라이드 조작하고 충전을 하지 않을 때에는 하방의 오프 위치로 슬라이드 조작한다. 또, 충전 조작 부재(56)가 온 위치로 세트되면 도 8에 도시한 것 같이, 개구(61)에서 충전 표시 부재(60)가 돌출된다. 이 충전 표시부재(60)는 플래시 장치(70)의 충전이 완료되면 발광한다. 시야 전환노브(57)는 촬영렌즈(13)의 하방에 설치되어 있고, 원호형의 슬롯(58)을 따라 슬라이드 가능하다.
도 9에 도시한 것 같이, 필름유닛(10)은 필름 카트리지(67)가 장진되는 본체부(68)와, 이 본체부(68)의 전면에 부착되는 노광 유닛(69)과 플래시 장치(70), 본체부(68) 전면쪽 및 배면쪽을 덮는 전커버(71) 및 후커버(72)로 구성되어 있고, 이것들은 조계합에 의해 조립된다.
본체부(68) 중앙부에는 노광실(74)이 설치되어 있고, 그 양쪽에는 카트리지 본체(66)와 롤상태로 감겨진 노광되지 않은 사진필름(65)을 각각 수납한 카트리지실(75)과 필름 롤실(76)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노광실(74)에는 노광개구(74a)가 형성되어 있고, 사진필름(65) 한장의 노광범위를 규정한다. 이 실시예에서는 필름 카트리지(67)는 IX240형이고, 필름 한장의 노광범위는 하이비전 사이즈(아스펙트비 1.8)가 된다.
카트리지실(75) 및 필름 롤실(76)의 배면은 후커버(72)에 의해, 저면은 후커 버(72)로 일체로 형성된 저개(78,79)에 의해 빛이 차단된다. 또 후커버(72)에는 노광개부(74a)의 후방에서 사진필름(65)의 배면을 지지하는 필름 지지면(72a)이 형성되어 있다.
카트리지실(75) 상부에는 필름 감는 노브(16)와 차광개폐쇄 기구(77)가 붙어 있다. 이들 필름 감는 노브(16)와 차광개 폐쇄기구(77)는 카트리지실(76)을 통해 카트리지 본체(66)의 스플(66b)과 차광재(66a)로 계합한다. 차광개 폐쇄기구(77)는 필름(65)을 감은 후의 카트리지 본체(66)를 필름유닛(10)에서 꺼낼 때에 차광개(66a)를 폐쇄한다.
노광유닛(69)은 블록형상의 베이스 부재(85)에 셔터차지기구, 셔터개폐기구, 필름감기 중지 기구, 필름 카운터 기구, 촬영렌즈(13), 파인더 광학계(111a,),(111b) (도 12 참조)가 붙은 것으로 노광실(74) 전면에 설치된다.
플래시 장치(70)는 접점부(87a),(87b),(87c)가 형성된 회로 기판(87), 플래시 발광부(17), 메인 콘덴서(41), 싱크로 스위치(46), 1쌍의 전지(21)용 전지접편(92a),(92b), 금속 접편(93)등의 플래시 회로를 형성하는 소자를 가진다. 금속 접편(93)이 필름롤실(76)의 전면에 설치되고, 충전 조작 부재(56)가 온 위치로 세트되면 접점부(87a,)(87b),(87c)에 접촉되어 플래시 회로에 메인 콘덴서(41)의 충전을 개시한다. 플래시 발광부(17)는 주로 플래시 방전(42)(도 11 참조)과 이 플래시 방전관(42)을 유지하는 유지부재(89), 플래시 방전관(42)의 빛을 확산하는 확산판(90)으로 되어 있으며, 회로기판(87)에 설치된다. 싱크로 스위치(46)는, 노광 유닛(69)의 셔터레리즈 기구의 레리즈 동작에 연동하여 켠다.
도 10에 도시한 것 같이, 전커버(71)는 전커버본체(95)와 이 전커버 본체(95)의 전면에 설치된 전면 패널(96)로 이루어진다. 전커버 본체(95)에는 전면 패널(96)에 형성된 개구(14a)와 실질적으로 동형상의 개구(14b)가 같은 위치에 형성되어 있고, 이들 개구(14a),(14b)가 파인더 대물창(14)을 구성하고 있다. 또, 전커버 본체(95)와 전면 패널(96) 사이에는 충전 조작 부재(56)와 시야 전환판(82)이 설치된다.
시야 전환판(82)은 중앙부분에 형성된 원형 개구(102)를 전커버 본체(95)의 전면에 형성된 렌즈경통(99) 외부에 끼워 넣으므로써 촬영렌즈(13)의 광축을 중심으로 회전동작이 자유롭게 설치된다. 이 시야 전환창(82)은, 토글 스프링(100)에 의해 시계방향이나 반시계방향으로 부세된다. 토글 스프링(100)은 한쪽 단부에 형성된 코일부(100a)가 전커버 본체(95)의 전면 핀(103)에 삽입되어 다른쪽 단부(100b)가 시야 전환판(82) 홈(104)에 삽입된다. 시야 전환판(82) 전면하부에는 보스(106)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이 보스(106)는 전면 패널(96)의 렌즈후드(97) 하방으로 형성된 원호형 슬릿(58)에 삽입된다. 보스(106)에는 전면 패널(96)의 전방으로부터 확인 시야전환노브(57)가 설치된다.
시야 전환판(82) 외주부분에는 파노라마 사이즈 시야창(12)(아스펙트비 3.0), 종래 사이즈 시야창(113)(아스펙트비 1.5)이 형성되고 이들 시야창(112) 및 (113) 사이에는 절결부(切結部)(114)가 형성되어 있다. 시야 전환 노브(57)를 조작하여 시야 전환판(82)을 회전시키므로써, 파노라마 사이즈 시야창(112), 종래 사이즈 시야창(113), 절결부(114) 중 하나가 파인더 대물창(14)에 삽입된다. 본 실 시예의 필름유닛(10)에서는 모든 필름이 아스펙트비 1.8인 하이비전 사이즈로 기록되게 되어 있고, 파인더 대물창(14)과 접안창(14c)은 본래 하이비전 시야를 제공하게 되어 있어서 파인더 대물창(14)에 시야전환판(82) 절결부(114)가 배치되어 있을때에 시야 범위가 하이비전 사이즈로 된다. 또, 종래 사이즈용 파인더 창(113)을 파인더 대물창(14)에 삽입하면, 시야범위가 종래 사이즈로 제한되어 파노라마 사이즈용 파인더창(112)을 파인더 대물창(14)에 삽입하면, 시야범위가 파노라마 사이즈로 제한된다.
또, 시야 전화판(82)의 개구(102) 외주에는 캠 슬롯(116)이 형성되어 있다. 이 캠 슬롯(116)에는 노광실(74)의 상방에 설치된 회동(回動)레버(83)의 한쪽 암부(117)에 형성된 핀(117a)이 삽입된다. 이것에 의해 회동레버(83)는 시야 전환노브(57)의 이동에 연동하여 회동한다. 구체적으로 도시하지는 않지만, 노광실(74) 하방의 차광판(81) 뒤에는 사진 필름(65)에 프린트 포맷 데이터를 투영하기 위한 2개의 투영용 개구, 이들 개구의 한쪽 또는 양쪽을 개방 차단하기 위한 데이터 전환판, 데이터 투영용 발광소자(136)(도 11 참조)의 빛을 가이드하여 투영용 개구로 인도하는 라이트 가이드가 들어가 있다. 데이터 투영용 발광소자(136)는 플래시 장치(70)에 부착되어 있고 셔터 개폐 장치 때마다 발광한다. 회동 레버(83)의 다른쪽 암부(118)가 데이터 전환판에 연결되어 있고, 이것에 의해 시야 전환판(82)의 회동에 연동하여 회동레버(83)가 회동하면 데이터 전환판이 이동되어, 투영개구의 양쪽 또는 한쪽이 개방 혹은 폐쇄된다. 그 결과, 파인더 시야에 따라 2개 이하의 도트가 프린트 포맷 데이터로써 사진필름(65)의 필름 노광 범위 밖에 투영된다. 이 프린트 포맷 데이터에 따라 하이비전 사이즈의 필름에서 파인더시야에 합치된 사이즈의 프린트, 예를들면 파노라마 사이즈의 프린트가 만들어진다.
도 11은 회로기판(87)에 형성되어 있는 플래시 회로를 도시한다. 플래시 회로는 상기 실시예와 동일한 자동충전 정지형이고, 크게 나누어 데이터 투영용 발광 소자(136)를 포함하는 투영 램프부(133), 승압부(20), 충방전부(40)로 이루어진다. 데이터 투영용 발광소자(136)는 플래시 방전관(42)과는 관계없이 싱크로 스위치(46)가 켜짐에 의해 항상 발광하게 되어 있다.
승압부(20)는 기본적으로는 상기 실시예와 동일하게 전지(21), 발진 트랜지스터(22), 발진 트랜스(23), 정류 다이오드(25), 정지 트랜지스터(38), 충전 완료 표시용 발광소자(141)로 구성되어 있다. 충방전부(40)도 기본적으로 상기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을 가지고, 메인 콘덴서(41), 플래시 방전관(42), 트리거 전극(42a), 트리거용 콘덴서(44), 트리거용 트랜스(45), 싱크로 스위치(46), 플래시 충전 스위치(51), 발광 선택 스위치(54)로 이루어진다. 메인 콘덴서(41)는, 그 양 단자가 플래시 방전관(42)에 병렬 접속됨과 동시에 마이너스 단자가 정류 다이오드(25)의 음극에 접속되어 있다.
발진 트랜지스터(22)와 발진트랜스(23)는 주지의 블로킹 발진회로를 구성하고 있고, 플래시 충전 스위치(51)가 켜지면 발진한다. 발진트랜스(23)의 2차 코일(32)에는 발진 트랜지스터(22) 발진 중에 1차 코일(31)과 2차 코일(32)의 권선비에 따른 고전압 교류전류가 유도된다. 이 2차측 전류는 정류 다이오드(25)를 통해 충방전부(40)에 제공된다.
정지용 트랜지스터(38)는 베이스 단자가 제너 다이오드(37)에 접속되지 않는다. 제너 다이오드(37)는 메인 콘덴서(41)가 규정 충전 전압까지 충전되었을때에, 제너 전류를 흘려보낸다. 제너 전류에 의해 정지용 트랜지스터(38)가 켜지고, 발진 트랜지스터(22)를 꺼지게 한다. 또, 메인 콘덴서(41)의 충전 전압이 규정 충전전압이 되면 표시용 발광소자(141)가 점등한다.
발광선택 스위치(54)는 트리거용 콘덴서(44), 트리거용 트랜스(45)의 1차 코일(45a), 및 싱크로 스위치(46)로 구성되는 방전회로를 개폐한다. 또, 발광선택 스위치(54)는 메인콘덴서(41), 및 트리거용 콘덴서(44)를 충전하는 회로에도 접속되어 있다. 따라서, 발광선택 스위치(54)가 꺼지면, 트리거용 콘덴서(44)의 방전이 금지되고, 또한 메인 콘덴서(41) 및 트리거용 콘덴서(44)의 충전도 금지된다. 더우기 플래시 충전 스위치(51), 발광 선택용 스위치(54), 마이너스측 단자가 공통단자로 되어 있다.
상기 플래시 회로는 플래시 충전 스위치(51)와 발광선택 스위치(54)가 켜져 있는 동안은 플래시 발광이 이루어진 후에 자동적으로 충전을 재개한다. 또, 메인 콘덴서(41)의 충전이 완료된 후에도, 플래시 충전 스위치(51)와 발광선택 스위치(54)가 켜져 있는 동안은 메인 콘덴서(41)의 전압이 규정 충전 전압을 밑돌면 자동적으로 블로킹 발진회로가 발진을 재개하므로, 메인 콘덴서(41)는 반복 충전되어 표시용 발광소자(141)도 점등을 계속한다.
충전 조작 부재(56)는 전커버(71)에서 노정되어 있는 버튼부(120), 전커버 본체(95)의 전면에 부착되는 기판부(121) 전커버 본체(95)에 형성된 상하 방향으로 긴 슬롯(122)에 삽입되어 충전 표시부재(60)에 일체로 형성된 핀(123)에 계합하는 계합부(124)로 이루어진다. 이것에 의해 충전 조작 부재(56)는 슬롯(122)을 따라 슬라이드가 자유롭다.
기판부(121)에는 상하 방향으로 긴 슬릿(126)이 형성되어 있고, 이 슬릿(126)에는 전커버본체(95)의 전면에 돌출되게 설치한 핀(127)이 삽입된다. 슬릿(126)의 내벽면에는 2개의 요부부(도시하지 않음)가 형성되어 있고, 충전 조작 부재(56)가 상방의 온 위치 또는 하방의 오프위치까지 슬라이드 이동하면, 핀(127)과 요부가 클릭 계합하여, 충전 조작 부재(56)를 온 위치 또는 오프 위치로 유지된다. 더우기, 슬릿(126)의 측방에 형성된 가는 슬릿(128)은 슬릿(126)에 탄성을 부여하기 위한 것이다.
버튼부(120)는 전커버 본체(95) 개구(88)의 전면에 배치되고 버튼부(120) 배면에는 돌기(도시하지 않음)가 설치되어 있다. 이 돌기는 버튼부(120)가 상방으로 슬라이드 이동되었을때에 개구(88)를 통해 플래시장치(70)의 금속 접편(93)을 억압한다. 그러면 금속접편(93)의 접편(93a),(93b),(93c)이 회로기판(87)상에 형성된 3개의 접점부(87a),(87b),(87c)에 각각 접촉되게 된다. 이들 접점부(87a~87c)와 금속접편(93)은 플래시 충전 스위치(51), 발광 선택 스위치(54)로 구성되고 있고, 플래시 장치(70)는 충전 조작 부재(56)가 상방의 온 위치에 세트되어 있는 동안, 연속하여 충전을 한다.
도 12에서 도 15에 도시한 바와같이, 충전 표시 부재(60)는, 투명한 플라스 틱으로 형성되어 있고, 통형 고정구(160)를 포함하는 고정부(161)과 표시용 발광소자(141)의 빛을 내면 반사에 의해 전도하는 라이트 가이드부(162)로 이루어진다. 충전 표시 부재(60)는, 노광유닛(69)의 베이스부재(85)에 일체로 설치된 파인더 렌즈(111a), (111b)를 유지하기 위한 렌즈 홀더부(163)에 설치된다. 렌즈 홀더부(163)에는 충전 표시 부재(60)의 고정구(160)에 삽입되는 가이드 핀(164)과 라이트 가이드부(162) 배면을 지지하는 지지레일(165)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가이드 핀(164)의 하부에는 고정부(161)를 유지하는 플랜지(166)가 일체로 설치되어 있다.
라이트 가이드부(162)는 충전 조작 부재(56)가 온 위치로 왔을때에 표시용 발광소자(141)에 대면하는 제 1반사면(168)과 이 제 1반사면(168)에서 반사면(169)으로 반사된 빛을 상방을 향해 반사하는 제 1반사면(168), 이 제 2반사면(169)으로 반사된 빛을 필름유닛(10) 밖으로 방사하여 충전완료를 알리는 광방사단(170)을 가진다. 라이트 가이드부(162)는 더우기 제 2반사면(169)으로 반사된 빛을 파인더 광학계의 광축내를 향해 반사하는 제 3반사면(171)을 가진다.
광 반사단(170)은 필름유닛(10) 전면측과 배면측에 빛을 반사하기 위해 서로 역방향으로 경사진 반사면(170a),(170b)으로 이루어지고, 촬영자와 피촬영자가 동시에 플래시 장치(70)의 충전 완료를 알 수 있게 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플래시 촬영 준비 된 것을 확인한 다음 촬영자는 촬영조작을 할 수 있고, 피촬영자는 포즈를 취할 수 있다. 파인더용 반사면(171)에 의해 촬영자는 파인더 접안창(14c)을 들여다 보는 상태에서 표시용 발광소자(141)의 빛을 확인 할 수 있으므로 구도 를 잡으면서 충전완료를 알 수 있다.
도 7에 도시한 필림 유닛(10)의 동작을 간단히 설명한다.
촬영자는 시야 전환 노브(57)를 슬라이드 조작하여 시야전환판(82)의 파노라마 사이즈용 시야창(112), 종래 사이즈용 시야창(113), 또는 절결(114) 중 하나를 파인더 대물창(14)에 배치하므로써, 시야범위를 파노라마 사이즈, 종래 사이즈, 하이비전 사이즈 중 하나로 전환하여 대응하는 프린트 포맷을 각 촬영필름에 대해 지정한다. 시야 전환판(82)에 연동하여 회동레버(83)가 회동하고 차광판(81) 배후의 데이터 전환판을 슬라이드시킨다. 이에 따라 파인더 시야에 맞는 수의 도트를 프린트 포맷 데이터로 사진필름(65)에 투영시키도록 한다.
플래시 촬영을 하는 경우에는, 충전 조작 부재(56)를 하방의 오프 위치에서 상방의 온 위치를 향해 슬라이드 조작한다. 충전 조작부재(56)가 오프 위치인 경우는, 충전 표시부재(60)는 도 7 및 도 14에 도시한 바와같이 필름유닛(10)내에 수납되어 있다. 충전 조작 부재(56)를 온 위치를 향해 슬라이드 조작하면 계합부(124)가 충전 표시부재(60)의 핀(123)과 계합한 상태로 슬롯(122)내를 상방으로 이동한다. 이것에 의해 충전표시부재(60)는 가이드 핀(164)과 지지레일(165)을 따라 상방으로 이동하고, 도 8 및 도 15에 도시한 바와같이 광방사단(170)이 개구(61)에서 필름유닛(10) 밖으로 돌출한다. 동시에 제 1반사면(168)이 표시용 발광소자(141)에 대면한다.
충전 조작 부재(56)가 온 위치에 오면, 충전 조작 부재(56)의 기판부(121) 슬릿(126)내 요부와 전커버 본체(95)의 핀(127)이 클릭 계합한다. 또, 충전 조작 부재(56)의 버튼부(120) 배면에 형성된 돌기가 전커버 본체(95) 개구(88)를 통해 플래시 장치(70)의 금속접편(93)을 억압한다. 이에 따라 금속접편(93)의 접편(93a)~(93c)이 회로기판(87), 접점부(87a)~(87c)에 접촉하여 플래시 충전 스위치(51)와 발광선택 스위치(54)가 켜진다. 그 결과 발진 트랜지스터(22)와 발진 트랜스(23)로 구성된 블로킹 발진 회로가 발진 동작을 개시한다.
발진 동작 중에 2차 코일(32)을 흐르는 고전압 전류는 정류 다이오드(25)를 삽입하여 충방전부(40)에 급전되어 메인 콘덴서(41)와 트리거용 콘덴서(44)에 충전된다. 메인 콘덴서(41)의 전압이 규정 충전 전압에 도달하면 제너 다이오드(37)에는 제너 전류가 흐르고, 정지 트랜지스터(38)가 켜지며 충전을 정지시킨다.
메인 콘덴서(41)가 규정 충전전압까지 충전되면 표시용 발광소자(14)가 점등된다. 이 표시용 발광소자(141)에서 방사된 빛은 라이트 가이드부(162)내를 광방사단(170)을 향해 유도되고, 반사면(170a), (170b)에 반사되어 필름유닛(10) 전면측과 배면측을 향해서 동시에 방사된다. 이에 의해 촬영자와 피촬영자가 동시에 플래시 장치(70)의 충전완료를 알 수 있다. 또, 표시용 발광소자(141)의 빛은 제 2반사면(169)과 제 3반사면(171)을 개입시켜 파인더 광학계(111a), (111b)에도 입사하므로 촬영자는 구도를 잡으면서 충전 완료를 확인할 수 있다
촬영자가 셔터 버튼(18)을 누르면 노광유닛(19)의 셔터기구가 개폐동작을 하고 이것에 연동하여 싱크로스위치(46)가 켜진다. 이에 따라 플래시 방전관(42)이 발광선택 스위치(54)를 통해 방전하여 플래시 발광부(17)에서 피사체를 향해 플래시 빛이 조사된다. 피사체를 반사한 빛은 촬영렌즈(13)를 통해 사진필름(65)에 투 사되어 필름이 촬영된다. 또, 싱크로 스위치(46)가 켜짐과 동시에 데이터 투영용 발광소자(136)가 일정시간 점등하여 프린트 포맷 데이터가 사진필름(65)의 필름 여백에 투영된다.
플래시를 사용하지 않고 촬영할 경우에는, 충전 조작 부재(56)를 오프 위치로하여 셔터 버튼(18)을 누른다. 이것에 연동하여 싱크로 스위치(46)가 켜지면, 플래시 장치(70)는 발광하지 않고, 데이터 투영용 발광소자(136)만 일정시간 점등하여 그 시점에서 선택된 시야 사이즈에 따른 프린트 포맷 데이터가 사진 필름(65)에 투영된다.
촬영 후에 충전 조작부재(56)를 온 위치로 세트해두면, 플래시 장치(70)는 자동적으로 다음 촬영을 위한 충전을 개시한다. 충전 조작 부재(56)가 온위치로 유지되어 플래시 충전 스위치(51)와 발광선택 스위치(54)가 켜져 있는 동안은 메인 콘덴서(41)로의 충전이 완료되어도 블로킹 발진 회로 동작이 계속되므로, 표시용 발광소자(141)는 점등을 계속한다. 따라서, 충전조작 부재(56)가 온위치에 있는지를 쉽게 확인 할 수 있으므로 충전할 필요가 없을때에는 충전 조작 부재(56)를 확실하게 오프위치로 리셋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7의 필름유닛(10)에서는 전지(21)를 쓸데없이 소모하여 이후의 촬영에 플래시 장치(70)를 사용할 수 없게 되는 문제는 발생하지 않게 된다.
또한, 상기 실시예의 충전 표시 부재(60)는 광방사단(170)의 반사면(170a),(170b)을 라이트 가이드부(162) 상단에 형성한 요부내에 설치했지만, 도 16에 도시한 바와같이 라이트 가이드부(162) 상부에 직접 반사면(170a),(170b) 을 설치해도 좋다.
또, 도 17에 도시한 바와같이, 충전 표시부재(60)에는 상단을 향해 서서히 가늘어지는 광방사부(180)와 도 18에 도시한 바와같이, 상단을 향해 서서히 가늘어지고 주위에 파형 돌출부(181)를 설치한 광방사부(182)와 도 19에 도시한 바와같이 선단에 요부(183)를 형성한 광방사부(184)를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도 20에 도시한 바와같이 중앙원주부(186)와 이 원주부(186)의 주위에 방사상으로 설치한 절결(187)과 리브(188)로 이루어진 광방사부(189)를 충전 표시 부재(60)로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 광방사부 형상은 도시한 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촬영자와 피촬영자가 동시에 표시용 발광소자(141)의 빛을 확인할 수 있도록 빛이 방사되는 것이라면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덧붙여, 상기 실시예에서는 충전 표시 부재(60)를 무색 투명한 플라스틱, 예를들면, 폴리스틸렌을 이용하여 성형했지만, 반투명, 파랑과 빨강, 녹색등 색깔이 포함된 투명한 플라스틱과 유리를 이용하여 성형해도 좋다. 또, 충전 표시 부재(60)를 무색 투명 혹은 반투명한 재질로 성형하여 표시용 발광소자(141)가 색깔있는 빛을 발광하도록 해도 좋다. 더우기, 광확산제를 혼입하여 반투명하게 된 플라스틱을 이용하여 충전 표시 부재(60)를 성형할 수도 있다. 또, 충전 표시 부재(60)와 충전 조작 부재(56)를 일체로 성형해도 된다.
상기 각 실시예에서는, 충전 완료 표시 수단을 플래시 장치(70)의 회로기판(87)에 고정된 표시용 발광소자(141)와 표시용 발광소자(141)의 빛을 유도하는 라이트 가이드부(162)를 가지는 충전 표시 부재(60)로 구성하여 충전 표시 부 재(60)를 충전 조작 부재(56)와 함께 슬라이드 이동하여 필름유닛(10) 밖으로 돌출시키도록 했지만, 이것을 대신하여 도 21에 도시한 바와같이 충전완료 표시수단을 표시용 발광소자(141)과 표시용 발광소자(141)를 유지하는 유지부재(190)로 구성해도 좋다. 유지부재(190)는 투명한 플라스틱으로 형성되어 있고, 충전 조작 부재(56)에 연결되어 충전 조작 부재(56)를 상방의 온 위치로 슬라이드 조작하는 것으로, 도 22에 도시한 바와같이 유지부재(190) 상방 커버부(190a)가 필름유닛(10) 밖으로 돌출한다.
또한, 상기 실시예와 같은 부재에 관해서는 같은 참조부호를 이용하여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표시용 발광 소자(141)의 단자(141a)는 플래시 회로 기판(87)에 탄성을 가지고 직접 접속되어 있고, 유지부재(190)가 충전 조작 부재(56)와 함께 상방으로 이동하면, 단자(141a)는 플래시 회로기판(87)상에 형성된 도통면(192)에 접촉한다. 충전 완료되면, 이 도통면(192)에 전류가 흘러, 표시용 발광소자(141)가 발광한다. 그 빛이 유지부재(190) 상부 커버부(190a)를 투과하여 사방으로 방사되므로, 촬영자뿐 아니라 피촬영자도 충전이 완료된 것을 알 수 있다.
도 21의 실시예에 의하면, 충전완료를 표시하는 빛의 강도를 라이트 가이드를 개입시켜 방사한 경우 보다도 강하게 할 수 있으므로, 멀리에서도 충전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또, 표시용 발광 소자(141)의 단자(141a)와 도통면(192)을 플래시 회로의 전원 스위치로 이용할 수도 있다.
또, 유지부재(190)의 이동에 의해 회로기판(87)의 도통면(192)에 접촉되는 단자(141a)를 이용하는 대신에, 표시용 발광소자(141)를 유연한 배선 코드를 통해 회로기판(87)의 플래시 회로에 접속해도 좋다. 이때 배선 코드는 표시용 발광소자(141)가 유지부재(190)와 함께 이동할 수 있을 정도의 길이를 가지게 한다.
상기 어떤 충전 완료 표시 수단도 구조가 간단하고, 낮은 비용으로 채용할 수 있다.
도 23은 도 5의 플래시 회로 개량 예를 도시한다. 이 회로에서는 충전 스위치와 플래시 발광선택 스위치의 양기능을 함께 가진 스위치부가 한장의 탄성을 가지는 도전성 금속접편(195)과 플래시 회로 기판에 설치된 제 1내지 제 3접점(196a),(196b),(196c)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도전성 금속접편(195)은 두개로 나뉘어진 자유판(195a),(195b), 고정단(195c)을 가지고, 고정단(195c)이 제 3접점(196c)에 납땜되어 있다. 자유단(195a),(195b)은 부하가 걸리지 않는 한 플래시 회로 기판에서 분리되어 있고, 충전 조작 부재(50)가 온 위치에 슬라이드되면 도전성 금속 접편(195)이 충전 조작 부재(50)에 의해 눌려져서 자유단(195a),(195b)이 제 1 및 제 2접점(196a),(196b)에 접촉한다. 이것에 의해, 충전 스위치와 플래시 발광선택 스위치의 양기능을 함께 가진 스위치부가 온 상태로 유지된다.
또는 이 예에서는 금속접편(195)의 자유단을 제 1접점(196a) 및 제 2접점(196b)과 접촉시켜서 확실히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위해 2개로 나눈 형상으로 하고 있지만, 전기적으로는 제 1 내지 제 3접점(196a)~(196c)이 금속 접점(196)에 의해 접속되면 되므로 금속접편(195)의 자유단을 2개로 나누지 않아도 좋다. 또, 금속접편(195)을 고정해 두는 접점은 제 1내지 제 3접점(196a)~(196c) 중 어느 쪽도 좋다. 더우기, 오프 상태에서는 금속접편(195)이 모든 접점에서 분리된 상태로 되어 온 상태로 모든 접점에 접촉하는 구조로 해도 좋지만, 이 실시예와 같이 한개의 접점에 고정해두면 접촉불량이 될 가능성을 낮게 할 수 있다.
도 23의 플래시회로를 도 7에 도시하는 필름 유닛에 응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도 11에 도시하는 투영램프부(133)와 같은 데이터 투영용 회로를 부가한다. 혹은 데이터 투영기능을 가지지 않는 필름 유닛의 플래시 장치로서, 도 23의 플래시 회로와 도 10에 도시한 충전 조작 부재(56), 충전 표지 부재(60)을 조합해도 좋다. 이것에 의해 충전 조작 부재(56)를 온 위치에 슬라이드하면 금속접편(195)이 접점(196a)~(196c)을 접속함과 동시에 충전 표시 부재(60)가 충전 조작 부재(56)와 함께 슬라이드 이동하여 필름유닛(10) 밖으로 돌출되어 표시용 발광소자(52)의 빛이 충전 표시 부재(60)를 통해 방사되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필름이 미리 수납된 필름유닛의 플래시 장치로 이용되는 것외에 필름 교환 가능한 콤팩트 카메라 플래시 장치로, 또는 카메라 보디에 착탈이 자유로운 외부부착 플래시 장치로서도 이용할 수 있다.

Claims (19)

  1. 플래시 충전 스위치가 켜지면 발진 개시하는 발진회로를 구비하고, 이 발진 회로는 발진 트랜스를 가지며, 이 발진 트랜스는 전원에 접속된 1차 코일과 메인 콘덴서에 접속된 2차 코일을 가지며, 2차 코일은 1차 코일에 유도결합되어 있어, 발진회로의 발진 중에 2차 코일에 유도되는 고전압 전류로 메인 콘덴서를 규정 충전전압에 도달할 때까지 충전하는 플래시 장치에 있어서,
    상기 2차 코일의 중간점에 설치되어, 메인 콘덴서의 충전전압에 비례하여 전위가 변화하는 중간 출력단자와,
    상기 중간 출력단자에 접속되어, 상기 중간 출력단자의 전위가 메인 콘덴서의 규정 충전전압에 상응하는 소정의 수치가 되었을 때에 제너 전류를 흘리는 제너 다이오드와,
    상기 메인 콘덴서가 상기 규정충전전압에 도달했을 때에 제너 전류로 작동하고, 상기 발진 회로의 발진동작을 정지시켜서 상기 메인 콘덴서의 충전을 정지하는 정지용 트랜지스터,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래시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발진 회로는 발진 트랜지스터를 포함하고 있고, 상기 발진 트랜지스터의 작동을 상기 정지용 트랜지스터로 정지시키는 것에 의해 상기 발진회로의 발진이 정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래시 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1차 코일은 한쪽 단부가 상기 전원의 플러스 단자에 접속되고 다른 쪽 단부가 상기 발진 트랜지스터의 콜렉터-이미터 회로를 통해 상기 전원의 마이너스 단자에 접속되며, 상기 2차 코일은 한쪽 단부가 메인 콘덴서에 접속되고 다른 쪽 단부가 상기 발진 트랜지스터의 베이스에 접속되며,
    상기 발진 트랜스는 상기 1차 코일 및 상기 2차 코일에 유도결합된 3차 코일을 더 구비하고, 상기 3차 코일은 상기 전원에 대해 상기 1차 코일과 병렬로 접속됨과 동시에, 한쪽 단부가 상기 플래시 충전 스위치를 통해 상기 전원의 플러스단자에 접속되고 다른 쪽 단부가 상기 발진 트랜지스터의 베이스에 접속되며,
    상기 정지용 트랜지스터는, 베이스가 상기 제너 다이오드의 음극에 접속되고 이미터와 콜렉터가 상기 발진 트랜지스터의 베이스와 이미터에 각각 접속되어 있고,
    메인 콘덴서가 규정 충전전압에 도달했을 때에 상기 제너 다이오드에 가해지는 상기 중간 출력단자와 상기 발진 트랜지스터의 베이스 간 전위차에 의해 제너 전류가 흐르고, 상기 정지용 트랜지스터가 제너 전류에 의해 작동했을 때에 상기 발진 트랜지스터의 베이스는 상기 정지용 트랜지스터를 통해 상기 발진 트랜지스터의 이미터와 접속되어, 상기 발진 회로가 작동정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래시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출력단자와 상기 제너 다이오드 사이에, 상기 제 너 다이오드의 제너 전류가 흐르는 방향으로 전류를 흘리는 정류 다이오드를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래시 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너 다이오드의 제너 전압 온도 계수와 상기 정류 다이오드의 순방향 전압의 온도 계수가 서로 반대 부호를 가져, 상기 제너 다이오드와 상기 정류 다이오드가 서로 온도 보상회로를 형성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래시 장치.
  6. 발진 트랜스를 가진 발진 회로를 구비하고, 상기 발진 트랜스는 전원에 접속된 1차 코일과 메인 콘덴서에 접속된 2차 코일을 가지며, 상기 2차 코일은 상기 1차 코일에 유도 결합되어 있어, 발진 회로의 발진 중에 상기 2차 코일에 유도되는 고전압 전류로 메인 콘덴서를 충전하는 플래시 장치에 있어서,
    상기 2차 코일의 중간점에 설치되어, 메인 콘덴서의 충전전압에 비례하여 전위가 변화하는 중간 출력단자와,
    상기 중간 출력단자에 접속되어, 상기 중간 출력단자의 전위가 메인 콘데서의 규정 충전전압에 상응하는 수치가 되었을 때에 제너 전류를 흘리는 제너 다이오드와,
    상기 제너 전류로 충전되는 정지용 콘덴서와,
    상기 정지용 콘덴서에 저항을 통해 접속된 정지용 트랜지스터를 구비하여,
    상기 정지용 트랜지스터는 상기 정지용 콘덴서의 방전전류가 상기 저항을 통 해 상기 정지용 트랜지스터에 가해지고 있는 동안에 작동하므로써, 상기 발진 회로를 작동정지시키는 데에 충분한 소정의 시간동안 작동하여 메인 콘덴서의 충전을 정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래시 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발진 회로는 메인 콘덴서를 충전하는 작동상태와 메인 콘덴서에 충전을 하지않는 부작동상태의 어느 한 쪽의 상태에 선택적으로 전환가능하게 되어 있고, 작동상태로 되어 있는 경우에는, 상기 정지용 콘덴서의 방전 후에 상기 메인 콘덴서의 충전을 재개하여, 상기 메인 콘덴서가 규정 충전전압에 도달한 후에는, 단속적으로 충전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래시 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발진 회로는, 발진 트랜지스터를 포함하고 있고, 상기 발진 트랜지스터의 작동을 상기 정지용 트랜지스터로 정지시키는 것에 의해 상기 발진 회로의 작동이 정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래시 장치.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1차 코일은, 한쪽 단부는 상기 전원의 플러스단자에 접속되고 다른 쪽 단부는 상기 발진 트랜지스터의 콜렉터-이미터 회로를 통해 상기 전원의 마이너스단자에 접속되고,
    상기 2차 코일은, 한쪽 단부가 메인 콘덴서에 접속되고, 다른 쪽 단부가 상기 발진 트랜지스터의 베이스에 접속되며,
    상기 발진 트랜스는, 상기 1차 코일 및 상기 2차 코일에 유도결합된 3차 코 일을 더 구비하고,
    상기 3차 코일은, 상기 전원에 대해 상기 1차 코일과 병렬로 접속됨과 동시에, 한쪽 단부는 플래시 충전스위치를 통해 상기 전원의 플러스단자에 접속되고 다른 쪽 단부는 상기 발진 트랜지스터의 베이스에 접속되며,
    상기 정지용 트랜지스터는 베이스가 상기 저항을 통해 상기 제너 다이오드의 음극에 접속되며, 이미터와 콜렉터가 상기 발진 트랜지스터의 베이스와 이미터에 각각 접속되고,
    상기 정지용 콘덴서는, 한쪽 단부가 상기 발진 트랜지스터의 베이스에 접속되고 다른 쪽 단부가 상기 제너 다이오드의 음극에 접속되어 상기 저항을 통해 상기 정지용 트랜지스터의 베이스에 접속되며,
    상기 메인 콘덴서가 규정 충전전압에 도달했을 때에 상기 제너 다이오드에 가해지는 상기 중간 출력단자와 상기 발진 트랜지스터의 베이스간의 전위차에 의해 제너 전류가 흐르며, 상기 정지용 콘덴서에서 상기 저항을 통해 방전되는 전류에 의해 정지용 트랜지스터가 작동하고 있는 사이에는 상기 발진 트랜지스터의 베이스는 상기 정지용 트랜지스터를 통해 상기 발진 트랜지스터의 이미터와 접속되어, 상기 발진 회로의 작동을 정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래시 장치.
  10.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 출력단자와 상기 제너 다이오드 사이에, 상기 제너 다이오드의 제너 전류가 흐르는 방향으로 전류를 흘리는 정류 다이오드를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래시 장치.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제너 다이오드와 상기 정류 다이오드는, 상기 제너 다이오드의 제너 전압의 온도계수와 상기 정류 다이오드의 순방향 전압의 온도계수가 반대 부호를 가져, 상기 제너 다이오드와 상기 정류 다이오드가 서로 온도 보상회로를 형성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느 플래시 장치.
  12. 플래시 회로 및 플래시 회로를 충전하기 위한 플래시 충전스위치를 포함하는 플래시 장치에 있어서,
    상기 플래시 장치는 플래시 충전스위치가 온 조작되면 외부로 돌출되며 플래시 회로 충전완료를 표시하는 표시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표시수단은 플래시 회로에 연결되며 플래시 회로가 충전완료하면 발광하는 발광소자 및 발광소자로부터의 빛을 유도하는 라이트 가이드로 구성되고, 상기 라이트 가이드의 선단부가 플래시 충전스위치의 온 조작에 연동하여 외부로 돌출하며,
    상기 라이트 가이드는 발광소자로부터의 빛을 파인더 내로 유도하기 위한 반사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래시 장치.
  13. 제 12항에 있어서, 촬영렌즈를 포함하는 촬영기구를 구비하고, 제조시에 사진 필름이 미리 수납될 렌즈부착 필름유닛에 넣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래시 장치.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수단은, 렌즈부착 필름유닛의 상면에서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래시 장치.
  15. 삭제
  16.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라이트 가이드의 선단에는 발광소자로부터의 빛을 방사하는 광방사부가 구비되고, 광방사부는 촬영자와 피촬영자가 충전완료를 인지할 수 있도록 빛을 방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래시 장치.
  17. 제12항 또는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플래시 충전스위치를 켜는 온 위치와 끄는 오프 위치 사이에서 슬라이딩 가능한 충전조작부재를 포함하여, 상기 라이트 가이드는 충전조작부재와 연동하여 충전조작부재가 온 위치에 슬라이드 이동되면 라이트 가이드의 선단이 외부에 돌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래시 장치.
  18.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수단은, 상기 플래시 회로에 접속되어 있고 충전완료하면 발광하는 발광소자로부터 이루어져, 상기 발광소자가, 상기 플래시 충전스위치의 온 조작에 연동하여 외부에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래시 장치.
  19.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플래시 충전스위치를 켜는 온 위치와 끄는 오프 위치 사이에서 슬라이딩 가능한 충전조작부재 및 발광소자를 유지하는 유지부재를 포함하며, 유지부재는 해당 충전조작부재에 연동하여 슬라이드 이동하며, 충전조작부재가 온 위치에 세팅되면 발광소자가 외부로 돌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래시 장치.
KR1020007001980A 1997-08-25 1998-08-21 플래시 장치 KR10056858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228524 1997-08-25
JP22852497A JP3903117B2 (ja) 1997-08-25 1997-08-25 レンズ付きフイルムユニット
JP24386997A JPH10153814A (ja) 1996-09-30 1997-09-09 ストロボ回路
JP9/243869 1997-09-09
PCT/JP1998/003701 WO1999010772A1 (fr) 1997-08-25 1998-08-21 Flash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23342A KR20010023342A (ko) 2001-03-26
KR100568582B1 true KR100568582B1 (ko) 2006-04-07

Family

ID=265283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7001980A KR100568582B1 (ko) 1997-08-25 1998-08-21 플래시 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2) US6345156B1 (ko)
EP (1) EP1008899B1 (ko)
KR (1) KR100568582B1 (ko)
CN (1) CN1268226A (ko)
DE (1) DE69836637T2 (ko)
TW (1) TW457395B (ko)
WO (1) WO199901077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364070B (en) 1997-12-17 1999-07-11 Fuji Photo Film Kk Lens-fitted photo film unit and flash device
JP3947306B2 (ja) * 1998-05-26 2007-07-18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ストロボ装置
JP2004045863A (ja) * 2002-07-12 2004-02-12 Olympus Corp カメラのためのストロボ装置
JP2004354914A (ja) * 2003-05-30 2004-12-16 Fuji Photo Film Co Ltd ストロボ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レンズ付きフイルムユニット
US7181133B2 (en) 2004-04-01 2007-02-20 Foster Assets Corporation Camera with film chamber for selective loading of film roll or cartridge and method of selective loading
TW200740089A (en) * 2006-03-07 2007-10-16 Rohm Co Ltd Capacitor charging apparatus
US7456585B2 (en) * 2006-05-11 2008-11-25 Simplexgrinnell Lp Optical element driving circuit
JP2008261896A (ja) * 2007-04-10 2008-10-30 Sony Corp 撮像装置、ストロボ装置、および充電制御方法
US8411467B2 (en) * 2007-12-12 2013-04-02 Txl Group, Inc. Ultra-low voltage boost circuit
US20090196589A1 (en) * 2008-02-01 2009-08-06 Foster Assets Corporation Camera with double cassette film system
US7994729B2 (en) * 2008-07-21 2011-08-09 Simplexgrinnell Lp Optical element driving circuit
US8125344B2 (en) 2008-10-13 2012-02-28 Apple Inc. Portable computer battery indicator
TWI407840B (zh) * 2009-06-17 2013-09-01 Hon Hai Prec Ind Co Ltd 即時時鐘驅動電路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81638U (ko) * 1985-10-24 1986-05-30
JPH0392631U (ko) * 1990-01-10 1991-09-20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41641U (ko) * 1977-08-30 1979-03-20
JPS54149840U (ko) * 1978-04-10 1979-10-18
JPS5540462A (en) * 1978-09-14 1980-03-21 Olympus Optical Co Ltd Strobe provided with on-off display device of power source switch
JPS5633632A (en) * 1979-08-29 1981-04-04 Canon Inc Information display device of strobe built-in single-lens reflex camera
JPS5666922U (ko) * 1979-10-30 1981-06-04
JPS56159321U (ko) * 1980-04-28 1981-11-27
JPS5797523A (en) * 1980-12-10 1982-06-17 Fuji Koeki Kk Flash device
JPS59178626U (ja) * 1983-05-17 1984-11-29 不二交易株式会社 閃光放電発光器における充電停止装置
JPS6041933U (ja) * 1983-08-29 1985-03-25 コニカ株式会社 ストロボ内蔵カメラ
JPS6044399U (ja) * 1983-09-02 1985-03-28 不二交易株式会社 閃光放電発光器における充電停止回路
JPS6175000U (ko) * 1984-10-22 1986-05-21
JPH0635040A (ja) * 1992-07-13 1994-02-10 Fuji Photo Optical Co Ltd ストロボ内蔵カメラのストロボ充電表示部構造
JP3452954B2 (ja) 1993-10-27 2003-10-06 富士写真フイルム株式会社 ストロボ回路
JP3432017B2 (ja) 1994-10-17 2003-07-28 富士写真フイルム株式会社 ストロボ回路
US5950025A (en) 1996-07-12 1999-09-07 Fuji Photo Film Co., Ltd. Print format selection device for camera
US5966552A (en) 1996-09-20 1999-10-12 Fuji Photo Film Co., Ltd. Flash circuit
JPH10153814A (ja) * 1996-09-30 1998-06-09 Fuji Photo Film Co Ltd ストロボ回路
US5892993A (en) * 1997-02-19 1999-04-06 Fuji Photo Film Co., Ltd. Lens-fitted photo film unit
JP3947306B2 (ja) * 1998-05-26 2007-07-18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ストロボ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81638U (ko) * 1985-10-24 1986-05-30
JPH0392631U (ko) * 1990-01-10 1991-09-20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008899A4 (en) 2003-08-13
US6345156B1 (en) 2002-02-05
DE69836637D1 (de) 2007-01-25
US6404990B2 (en) 2002-06-11
EP1008899A1 (en) 2000-06-14
CN1268226A (zh) 2000-09-27
KR20010023342A (ko) 2001-03-26
US20020018652A1 (en) 2002-02-14
WO1999010772A1 (fr) 1999-03-04
EP1008899B1 (en) 2006-12-13
DE69836637T2 (de) 2007-10-25
TW457395B (en) 2001-10-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68582B1 (ko) 플래시 장치
US5875357A (en) Lens-fitted photo film unit and electronic flash device for use therewith
US6314238B1 (en) Lens-fitted photo film unit and flash device
US6839510B2 (en) Lens-fitted photo film unit, flash device, and lens-fitted photo film system
US6339679B1 (en) Single use camera with built-in electronic flash
US6317566B1 (en) Electronic flash device for photographic camera
JPH11242270A (ja) フィルム一体型カメラ
US6636700B2 (en) Flash device, lens-fitted photo film unit, camera, light measuring device, and method of producing lens-fitted photo film unit
JP3903117B2 (ja) レンズ付きフイルムユニット
US6381414B2 (en) Oscillation circuit and strobe device employing the oscillation circuit
US5768641A (en) Camera with character mark display device
JP3710269B2 (ja) レンズ付きフイルムユニット
JPH0253038A (ja) ストロボ内蔵カメラ及び該カメラに装着される外付けストロボ装置
JPH10104800A (ja) レンズ付きフィルムユニット
JPH1097033A (ja) レンズ付きフィルムユニット
JP2003295263A (ja) ストロボ装置
JPH11183975A (ja) ストロボ装置
JPH1195292A (ja) ストロボ回路
JPH1184485A (ja) ストロボ内蔵レンズ付きフィルムユニット
JPH0954361A (ja) ストロボ装置
JP2001215557A (ja) レンズ付きフィルムユニット
JP2535884Z (ko)
JP2003330072A (ja) カメラ
JPH10239741A (ja) カメラ用ストロボ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326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