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88320B1 - 렌즈가 장착된 사진 필름 유니트 - Google Patents

렌즈가 장착된 사진 필름 유니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88320B1
KR100488320B1 KR10-1998-0005045A KR19980005045A KR100488320B1 KR 100488320 B1 KR100488320 B1 KR 100488320B1 KR 19980005045 A KR19980005045 A KR 19980005045A KR 100488320 B1 KR100488320 B1 KR 1004883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posure
film
data recording
lens
l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050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71484A (ko
Inventor
미쯔히로 모리야
Original Assignee
후지 샤신 필름 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지 샤신 필름 가부시기가이샤 filed Critical 후지 샤신 필름 가부시기가이샤
Publication of KR199800714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714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883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88320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9/00Cameras
    • G03B19/02Still-picture cameras
    • G03B19/04Roll-film camera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219/00Cameras
    • G03B2219/02Still-picture cameras
    • G03B2219/04Roll-film cameras
    • G03B2219/045Roll-film cameras adapted for unloading the film in the processing laboratory, e.g. disposable, reusable or recyclable camera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ructure And Mechanism Of Cameras (AREA)

Abstract

렌즈가 장착된 사진필름유니트는 필름롤챔버, 카트리지 챔버, 및 필름롤챔버와 필름용기챔버 사이에 제공된 노출프레임부재를 갖는다. 노출프레임부재는 각각의 노광 프레임이 필름스트립상에 같은 사이즈로 기록되도록 각각의 사진들을 통과하는 노출 어퍼츄어를 갖는다. 노출프레임부재는 노출어퍼츄어 뒤에서 전방으로 오목하게 되는 필름스트립을 지지하도록 필름스트립의 세로방향을 따라 후방으로 볼록하고, 노출 어퍼츄어의 한 가장자리에 전방으로 오목한 벽부를 갖는다. 데이타기록홀은 전방으로 오목한 벽부를 통과하도록 형성되고, 데이타기록램프는 노광 프레임의 한 가장자리에 필름스트립에 다수의 도트를 사진촬영으로 기록하도록 각각의 노출시 데이타기록홀을 향해 광을 투사한다. 데이타 스위칭 블레이드는 데이타기록홀의 정면에서 전방으로 오목한 벽부에 설치된다. 각각의 노광 프레임에 다른 인화형식 중 하나를 선택하도록 작동되는 작동부재와 협력하여, 데이타 스위칭 블레이드는 데이타기록홀을 커버하거나 커버하지 않으므로서, 작동부재에 의해 선택된 인화형식에 따른 각각의 노광 프레임에 기록된 도트의 수를 변화시킨다.

Description

렌즈가 장착된 사진필름유니트
본 발명은 렌즈가 장착된 사진필름유니트에 관한 것으로서, 노광 프레임은 각각의 노광 프레임과 관련하여 광학적으로 기록하는 인화형식 데이타에 의해 필름스트립내에 다른 형식으로 인화되도록 표시될 수 있다.
사진 필름 카트리지가 각각 미리 하중을 받는, 렌즈가 장착된 사진필름유니트는, 이하 필름 유니트라 칭함, 사용자에게 스냅 카메라로 더 친숙하게 알려져 있다. 필름 유니트는 노출되지 않은 사진 필름스트립 롤과 필름 용기 또는 카트리지 셸 각각을 고정하기 위한 카트리지 챔버 및 필름롤챔버를 갖는다. 노출 프레임은 카트리지 챔버와 필름롤챔버 사이에 형성된다. 필름스트립은 노출 프레임에 의해 한정된 노출 어퍼츄어를 통해 노출되고, 각각 노출후에 카트리지 셸의 한 프레임에 권취된다.
값이 싸고 촛점이 고정된 광시스템이 필름유니트의 촬영렌즈로 사용되기 때문에, 필름스트립은 영상면의 곡률을 보정하기 위해서 노출프레임의 뒤에서 전방으로 오목하게 되도록 지지된다. 그러므로, 노출 프레임은 필름스트립의 세로방향을 따라 후방으로 볼록하게 되도록 형성된다.
휴대를 위해, 필름 유니트는 될 수 있는 대로 콤팩트하게 되도록 요구된다. 최근 추세는 본체가 카트리지 챔버를 제외한 카트리지 셸의 외부직경보다 더 얇게 되도록 하고 있다.
최근에, IX 240 타입 또는 APS(Advanced Photo System) 타입으로 일컬어지는 새로운 타입의 필름 카트리지를 포함하는 필름 유니트가 시장에서 팔리고 있다. IX 240 사진 필름 카트리지는 풀림방향으로 스풀을 회전시키므로서 외부로 그것을 전진시키고 그 안에 필름스트립의 유도자를 포함할 수 있다. IX 240 사진 필름 카트리지에 포함된 필름스트립의 표준 프레임 노출 범위는 16.7㎜×30.2㎜이다.
스냅 사진에 오락을 추가하기 위해, 인화 시스템은 종횡비가 대략 1.5인 종래의 ISO 135 표준 사이즈(C 사이즈), 대략 3.0의 종횡비를 갖도록 세로가 ISO 135 사이즈의 두 배가 되는 가늘고 긴 파노라마 사이즈(P 사이즈), 그리고 종횡비가 대략 고시각 TV스크린의 종횡비 즉 1.8이 되는 고시각 사이즈(H 사이즈)를 포함여 각기 다른 형식을 만들도록 제공된다. H 사이즈 사진은 대략 89㎜×158㎜이고, C 사이즈 사진은 대략 89㎜×127㎜이다.
노출에 일치하는 각각의 프레임에 인화형식을 표시하기 위해 인화형식 데이타를 기록하고 같은 사이즈로 모든 노광 프레임을 기록하는 것은 이 분야에 알려져 있다. 이런 방법에 따른 사진은 표시된 인화형식에 대응되는 각 프레임의 인화 범위를 한정하므로서 같은 사이즈의 노광 프레임에 표시된 인화형식으로 이루어진다.
IX 240 표준 프레임의 종횡비는 대략 1.8이고 즉 H 사이즈이고, H 사이즈 사진은 표준 프레임으로 이루어진다. 이런 경우 C 사이즈 사진은 IX 240 표준 노광 프레임의 우측 및 좌측 부분을 한정하므로서 이루어진다. 반면, P 사이즈 사진은 IX 240 표준 노광 프레임의 상부 및 하부를 한정하므로서 이루어진다.
필름 유니트에 있어서, 인화형식 데이타는 노광 프레임의 한 가장자리에 사진필름에 한 도트 패턴으로 광학적으로 기록된다. 도트 패턴을 기록하기 위해, 다수의 구멍이 노출 프레임의 벽부를 통과하도록 형성되고, 데이타 스위칭 블레이드는 몇 개의 구멍을 커버하거나 커버하지 않기 위해 이동할 수 있도록 벽부의 정면에 설치된다.
노출 프레임 벽부의 정면에서 이동할 수 있게 되는 판을 설치하는 것은 필름 유니트의 두께를 증가시킬 수 있다. 추가로, 데이타 스위칭 블레이드는 도트 패턴의 자동식별을 위해 충분히 분명하게 기록되는 도트 패턴으로 필름면을 충분히 차단할 수 있다.
상술한 것을 고려하여, 본 발명의 기본 목적은 인화형식 선택장치가 콤팩트하게 합체되는 필름 유니트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충분히 예민하게 도트 패턴을 광학적으로 기록할 수 있도록 인화형식선택장치를 갖는 필름 유니트를 제공하는데 있다.
노출되지 않은 사진 필름스트립 롤을 고정하는 필름챔버, 필름스트립이 노출후 권취되는 필름 용기를 고정하는 카트리지 챔버, 필름롤챔버와 필름용기챔버 사이에 제공된 노출프레임부재, 필름스트립에 같은 사이즈로 기록되도록 각각의 노광 프레임을 통과하는 노출 어퍼츄어를 갖는 노출프레임부재, 노출 어퍼츄어의 뒤에서 전방으로 오목하게 되는 필름스트립을 지지하도록 필름스트립의 세로방향을 따라 후방으로 볼록하게 되는 노출 프레임을 갖는 렌즈가 장착된 사진필름유니트에서 상기 목적으로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각각의 노광 프레임에 인화형식이 다른 것 중 하나를 선택하도록 작동된 작동부재를 갖는 필름 유니트 ; 노출 어퍼츄어의 한 가장자리에 형성된 노출프레임부재에서 전방으로 오목한 벽부 ; 노출프레임부재에서 전방으로 오목한 벽부를 통과하도록 형성된 데이타기록홀 ; 노광프레임의 한 가장자리에서 필름스트립의 데이타기록홀을 통과하는 다수의 도트를 촬영으로 기록하기 위한 광원장치 ; 데이타기록홀의 정면에서 전방으로 오목한 벽부에 설치되고, 작동 부재와 협력하여 이동할 수 있고, 작동 부재에 의해 선택된 인화형식에 따른 각 노광 프레임에 기록된 도트의 수를 변화시키는 데이타기록홀을 커버하거나 커버하지 않는 데이타 스위칭 블레이드를 제공한다.
데이타 스위칭 블레이드는 노출프레임부재에서 전방으로 오목한 벽부에 설치되므로, 데이타 스위칭 블레이드는 노출프레임부재의 볼록한 배면에 편리하고 용이하게 제공될 수 있고, 어떤 특정 공간을 요구함없이 본체에 조립될 수 있다.
데이타기록홀은 노출프레임부재에서 전방으로 오목한 벽부를 통과하도록 형성되고, 데이타 스위칭 블레이드는 전방으로 오목한 벽부에 설치되기 때문에 데이타 스위칭 블레이드에서 필름면까지의 거리가 종래보다 더 짧게 되어 필름스트립에 기록된 도트의 선명도(sharpness)가 향상된다.
본 발명의 상술한 목적과 다른 목적 및 특징은 첨부한 도면과 연관하여 읽을 때 바람직한 실시예의 아래 상세한 설명에서 나타나게 될 것이고 주어진 도면 방식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않고, 도면 전체를 통해 같은 요소에 같은 도면번호를 사용하였다.
도 1에 있어서,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필름 유니트(2)는 단순한 사진 메카니즘을 가지며 사진필름 카세트를 포함하는 본체(3)와, 본체(3)의 중간부분을 감싸는 덮개(4)로 구성된다. 본체(3)에는 셔터버튼(6), 프레임 카운터창(7), 뷰파인더 대물창(8), 촬영렌즈(9), 플래쉬 충전버튼(10) 그리고 플래쉬창(11)이 제공된다. 추가로, 노브(12)는 슬롯(14)을 따라 이동될 수 있도록 본체(3)의 정면부에 제공된다. 필름감기휠은 13으로 표시된다. 덮개(4)는 본체(3)에 접착되고, 촬영렌즈(9), 뷰파인더 대물창(8), 프레임 카운터창(7), 노브(12) 등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절단부를 갖는다.
노브(12)는 인화형식을 선택하기 위해 수동으로 작동된다. 슬롯(14)을 따라 덮개(4)에 인쇄된 "C", "P" 및 "H" 문자는 각각 C 사이즈 사진, P 사이즈 사진 및 H 사이즈 사진을 선택하기 위한 3개의 스위칭 위치를 표시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같이, 본체(3)는 사진필름 카트리지를 포함하는 기부(16)와, 기부(16)의 정면에 부착되는 노출 조립체(17) 및 플래쉬 조립체(18)와, 기부(16)의 정면을 커버하는 프론트 커버(19)와, 기부(16)의 배면을 커버하는 리어 커버(20)로 구성된다.
기부(16)는 노출되지 않은 필름스트립 롤(25)을 고정하는 필름롤챔버(26)와, 스풀(27a)을 가진 카트리지 셸(27)을 고정하는 카트리지 챔버(28)를 갖는다. 노출 어퍼츄어(29)과 노출 챔버(33)를 갖는 노출프레임부재(30)는 필름롤챔버(26)와 카트리지 챔버(38) 사이에 형성된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필름스트립(25)은 IX 240 타입으로, 노출 어퍼츄어(29)가 H 사이즈로 프레임노출범위를 한정한다. 필름감기휠(13)이 스풀(27a)과 맞물리고, 필름스트립(25)의 일단이 스풀(27a)에 장착되므로서, 필름스트립(25)은 필름감기휠(13)을 통해 스풀(27a)을 회전시키므로서 각각 노출된 후 카트리지셸(27)의 한 프레임에 감기게 된다.
노출프레임부재(30)의 배면은, 도 2에서 점선으로 도시된 바와같이, 필름스트립(25)의 세로방향을 따라 볼록하다. 전방으로 오목한 필름지지면(40)은 노출프레임부재(30)와 마주보는 영역에서 리어 커버(20)에 일체적으로 형성된다. 이것에 의해, 필름 표면은 노출 어퍼츄어(29) 뒤에서 전방으로 오목하게 되도록 지지된다. 이것은 영상면의 곡률을 보정하기 위한 것이다.
한 쌍의 데이타 기록홀(31,32)은 노출챔버(33) 하부의 벽부(65)에서 노출 프레임 부재(30)를 통과하도록 형성된다. 노출 프레임부재(30)의 오목한 배면을 보상하기 위해, 벽부(65)가 필름스트립(25)의 세로방향을 따라 전방으로 오목하게 된다. 데이타 기록홀(31,32)은 촬영렌즈(9)와 노출 어퍼츄어(29)를 통해 기록되므로 노광 프레임(picture frame) 하부의 필름스트립(25)에 도트패턴 형태로 인화형식 데이타를 광학적으로 기록하는데 사용된다.
노출 조립체(17)에 있어서, 셔터 메카니즘, 필름을 한 프레임씩 전진시키는 메카니즘 및 노출을 위해 필요한 다른 베이스부(34)에 설치된다. 촬영렌즈(9)는 베이스부(34)의 정면에 설치되는 렌즈홀더(35)에 고정된다. 시야전환판(37)을 위한 피봇(35a)은 렌즈 홀더(35)에 일체적으로 형성된다. 대물렌즈(38)를 포함하는 뷰파인더 광학 시스템은 또한 베이스 부분(34)에 설치된다. 노출 조립체(17)는 노출챔버(33)의 정면에 설치된다.
프론트 커버(19)에는 플래쉬 충전버튼(10), 슬롯(14), 뷰파인더 대물창(8) 및 다른 필요한 개구부 또는 절단부가 일체적으로 형성된다. 프론트 커버(19)는 기부(16)의 정면에 부착되어 플래쉬 조립체(18)와 노출 조립체를 커버한다. 리어 커버(20)는 후방에서 필름롤챔버(26)와 카트리지 챔버(28)를 덮고, 리어 커버(20)에 일체적으로 형성된 하부 뚜껑(41,42)은 챔버(26,28)의 후부를 덮어, 필름스트립(25)과 카트리지 셸(27)이 방수식으로 본체(3)에 포함된다.
플래쉬 조립체(18) 한 쌍의 인쇄접촉칩(43a) 및 다른 인쇄회로요소를 갖는 인쇄회로기판(43), 광방사부(44), 메인 커패시터(45), 배터리 홀더(47), 충전표시램프(48), 동기 스위치(49), 플래쉬 회로를 구성하는 다른 요소로 구성된다. 배터리(46)는 배터리 홀더(47)에 의해 고정되어 노출 챔버(33) 하부에 수용된다.
금속접촉판(50)은 플래쉬충전버튼(10) 뒤에 배치되어, 플래쉬충전버튼(10)이 눌려질 때 접촉판(50)이 접촉칩(4a)에 접촉하도록 이동된다. 이것에 의해, 플래쉬 회로는 메인 커패시터(45)를 충전을 시작하도록 차단된다. 메인 커패시터(45)가 소정의 수준으로 충전될 때, 충전표시램프(48)가 깜박이기 시작한다. 셔터버튼(6)이 눌려질 때 도시되지 않은 셔터 블레이드가 노출되도록 회전하여 동기 스위치(49)가 턴온되고, 광방사부(44)가 섬광을 발하게 된다.
더욱이, 인화형식 데이타를 기록하는데 사용하는 데이타기록램프(51)가 인쇄회로기판(43)에 설치되어 데이타기록램프(50)는 동기스위치(49)가 턴온되는 각 시간에 광을 방사한다.
피봇(35a) 둘레로 피봇회전하는 시야전환판(37)은 1.5의 종횡비를 갖는 시네마 전망창(53)과, 3.0의 종횡비를 갖는 파노라마 전망창(52)과, 정면으로 촬영렌즈(9)를 노출시키기 위한 아치형의 절단부(54)를 갖는다. 전망창(52,54)의 중심은 피봇(35a)과 동축인 원에 배치되고, 뷰파인더 대물창(8)의 중심을 가로질러 연장된다.
노브(12)는 시야전환판(37)에 일체적으로 형성되고, 본체(3)의 외부로 슬롯(14)을 통과하여 돌출된다. 처음에 뷰파인더 대물창(8)은 H 사이즈 노출어퍼츄어(29)에 대응하는 시계를 갖는다. 즉, 시야전환판(37)이 도 3A에 도시된 것처럼 뷰파인더(8)의 대물렌즈(38) 정면에 끼워지지 않은 곳에서 시계는 H 사이즈로 설정된다. 시네마 전망창(52)이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물렌즈(38)의 정면에 바로 앞에 놓여지는 곳에서 시계가 C 사이즈 종횡비로 한정된다.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노라마 전망창(52)이 대물렌즈(38)의 정면에 바로앞에 놓여지는 곳에서 시계가 P 사이즈 종횡비로 한정된다.
시야전환판(37)은 도면에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스프링(58)에 의해 조작되지만, 반시계방향 회전은 스톱퍼(59)에 의해 제한된다. 시야전환판(37)이 스톱퍼(59)에 의해 정지되면, 시야전환판(37)은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뷰파인더(8)의 대물렌즈(38) 정면에 놓이지 않게 된다. 클릭(14a,14b)은 각각 C 사이즈 위치와 P 사이즈 위치에 노브(12)를 정지시키기 위해 슬롯(14)에 형성된다.
광가이드(62)는 노출 챔버(33)의 하부에 설치된다. 광가이드(62)의 일단(62a)은 데이타기록램프(51)를 향하므로서, 광은 데이타기록램프(51)에서 타단(62b)으로 통과하고, 데이타기록홀(31,32)로 향하도록 투사된다. 광가이드(62)는 단부(62a, 62b)를 제외하고 광차단부재(64)로 커버되어, 광가이드(62)는 프론트 커버(19)에 셔터버튼(6)을 형성하는 절단부에서 또는 슬롯(14)에서 들어갈 수 있는 외부 광이 차단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데이타기록램프(51)를 향하는 광가이드(62)는 데이타기록램프(51)의 정면 단부를 수용하기 위해 오목부(66)를 갖는다. 몰트플레인(상표명;Moltplane)으로 이루어진 링같은 광차단부재(65)는 인쇄회로기판(43)에 제공되어 데이타기록램프(51)의 둘레를 커버한다. 광차단부재(65)는 광가이드(62)내로 외부광이 들어가는 것 뿐만 아니라 데이타기록램프(51)의 누광을 방지한다.
광차단부재(64)는 데이타기록홀(31,32)을 감싸도록 노출프레임부재(30)의 벽부(65)를 향해 연장된다. 이것에 의해, 외부광이 데이타기록홀(31,32)로 들어가는 것이 방지된다. 외부광의 영향을 배제하기 위해서, 셔터 블레이드의 개방 및 차단 작동에 협력하여 데이타기록홀(31,32)을 개방하고 차단하기 위해 도어부재를 제공할 수 있다.
도 5A 내지 도 5C에 도시된 바와같이, 개구부(63a)를 가진 데이타스위칭블레이드(63)는 데이타기록홀(31,32)과 광가이드(62)의 단부(62b) 사이에서 이동될 수 있도록 설치된다. 데이타스위칭블레이드(63)는 불투명하고 유연한 시트물질, 즉 고탄성 소마블랙(상표명;somablack)으로 이루어진다. 데이타스위칭블레이드(63)와 상호연결로드(57)는 데이타스위칭장치를 구성한다. 데이타기록홀(31,32), 데이타기록램프(51), 광가이드(62) 및 데이타스위칭장치는 인화형식데이타기록장치를 구성한다.
데이타스위칭블레이드(63)는 상호연결로드(57)를 통해 시야전환판(37)에 커플링된다. 상호연결로드(57)의 일단부에 형성된 핀부재(57a)는 도 3A 내지 도 3C에 도시된 바와같이 시야전환판(37)의 커플링 단부(37a)와 맞물린다. 시야전환판(37)은 피봇(35a)을 축으로 하여 회전하고, 데이타스위칭블레이드(63)는 노출챔버(33) 하부에서 전방으로 오목한 벽부(65)를 따라 필름스트립(25)의 세로방향으로 이동한다.
노브(12)가 H사이즈 스위칭 위치로 설정될 때, 데이타스위칭블레이드(63)가 데이타기록홀(31,32) 사이에 위치되는 개구부(63a) 위치로 이동하여 데이타기록홀(31,32)이 도 5A에 도시된 바와같이 데이타스위칭블레이드(63)에 의해 차단된다. 광이 광가이드(62)에서 투사될 때, 두 도트(71)는 도 6B에 도시된 바와같이 노광 프레임의 한 가장자리에 필름스트립에 기록된다.
노브(12)가 P사이즈 스위칭 위치로 설정될 때, 데이타스위칭블레이드(63)는 데이타기록홀(31)의 정면에서 수축되어, 데이타스위칭블레이드(63)의 개구부(63a)가 또한 도 5C에 도시된 바와같이 데이타기록홀(32)의 정면에서 수축된다. 따라서, 광이 광가이드(63)에서 투사될 때, 오직 하나의 도트가 도 6C에 도시된 바와같이 필름스트립(25)에 기록된다.
데이타스위칭블레이드(63)가 노출프레임부재(30)의 전방으로 오목한 벽부(65)에서 이동될 수 있도록 설치되므로서, 데이타스위칭블레이드는 노출프레임부재(30)의 볼록한 배면에 편리하게 제공될 수 있고, 데이타스위칭장치는 어느 특정공간을 요구함없이 본체에 조립될 수 있다. 추가로, 광가이드(62)와 배터리(46)가 노출챔버(33) 하부에 배치되기 때문에, 위의 구조를 갖는 인화형식선택장치는 두께가 최소 증가한 본체(3)에 결합될 수 있다.
위의 구조를 갖는 필름 유니트(2)는 다음과 같이 작동한다.
먼저, 필름감기휠(13)은 노출어퍼츄어(29) 뒤의 노출 위치에서 필름스트립(25)의 초기 프레임 노출 범위로 설정하도록 회전된다. 그 후, 노브(12)는 H사이즈, C사이즈 및 P사이즈 스위칭 위치 중 한 곳에 설정된다.
노브(12)가 H사이즈 스위칭 위치로 설정될 때, 시야전환판(37)이 뷰파인더 대물렌즈(38)의 정면에서 수축되어, 뷰파인더 대물렌즈(38)는 H사이즈 시계를 제공한다. 반면, 데이타스위칭블레이드(63)의 개구부(63a)는 데이타기록홀(31,32) 사이에 위치된다. 사진사가 H사이즈 시계를 통해 촬영영역을 조정하면서 셔터버튼(6)을 누를 때, 셔터블레이드는 소정의 시간동안 필름스트립(25)이 노출되도록 개방한다. 셔터블레이드와 협력하여 동기 스위치(49)가 턴온되고, 이로인하여 데이타기록램프(51)가 광을 방사한다.
램프(51)에서 방사된 광은 광가이드(62)의 단부(62a)에서 단부(62b)로 통과되고, 데이타기록홀(31,32)을 향해 투사된다. 이들 홀(31,32)이 데이타스위칭블레이드(63)에 의해 차단되기 때문에, 도 6A에 도시된 바와같이 필름스트립(25)에 기록되지 않는다. 그러므로, 어떠한 도트도 인화형식 데이타를 나타내도록 H사이즈 사진에 인화형식 데이타를 표시되지 않는다. 만약 플래쉬 충전 스위치(10)가 이 때 눌려진다면, 광방사부(44)는 또한 턴온되는 동기 스위치(49)에 응답하여 섬광을 발한다.
노브(12)가 C사이즈 스위칭 위치로 설정될 때, 시야전환판(37)이 시계방향으로 더 회전하여, 파노라마 전망창(52)이 뷰파인더 대물렌즈(38)의 정면에 삽입되어, P사이즈 시계를 제공한다. 시야전환판(37)을 협력하여, 데이타 스위칭 블레이드(63)가 도 5C에 도시된 위치로 이동하면, 하나의 도트(71)가 도 6C에 도시된 바와같이 데이타기록홀(31)을 통해 필름스트립(25)에 기록되고, 동시에 셔터버튼(6)이 눌려진다. 그러므로, 하나의 도트(71)가 인화형식 데이타를 나타내도록 P사이즈 사진에 표시된다.
이용할 수 있는 노광 프레임 전체가 노출된 후, 필름 유니트(2)는 사진 마무리공정으로 진행되고, 여기서 전진된 후 필름스트립(25)은 자동인화기에 놓이게 된다. 자동 인화기에는 노광 프레임의 가장자리에 인화형식 데이타를 스캐닝하기 위한 센서등이 제공된다. 만약 센서가 하나의 노광 프레임에서 두 도트(71)를 감지한다면, 노광 프레임은 C사이즈로 인화된다. 만약 센서가 다른 노광 프레임에서 하나의 도트(71)를 감지한다면, 노광 프레임은 P사이즈로 인화된다. 만약 도트가 감지되지 않는다면, 노광 프레임은 H사이즈로 인화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필름 유니트(80)를 나타낸다. 필름 유니트(80)에는 셔터버튼(6), 프레임 카운터창(7), 뷰파인더(8), 촬영렌즈(9), 플래쉬창(11), 필름감기휠(13)이 제공된다. 추가로, 충전스위치 작동장치(84)는 플래쉬창(11) 하부에 위치되고, 노브(85)는 촬영렌즈(9) 둘레에 아치형 슬롯(130;도 9참조)을 따라 이동될 수 있도록 촬영렌즈(9) 하부에 제공된다. 프레임 카운터창(7)의 일측에 충전상태 표시기(88)용 표시창(89)이 형성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같이, 필름 유니트(80)는 기부(93)와 노출 조립체(94)와 기부(93)의 정면에 부착되는 플래쉬 조립체(95)로 구성된다. 기부(93)는 제 1 실시예와 같은 방식으로 사진스트립롤(25)과 필름용기(27)를 포함한다. 프론트 커버(96)는 기부(93)의 정면을 커버하고, 리어커버(97) 기부(93)의 배면을 커버한다. 이들 부품(93 내지 97)의 기본구조는 위의 실시예에서 같은 이름을 갖는 것들과 같은 것이다. 따라서, 아래 설명은 제 2실시예에 필수 요소들만이 관련될 것이다.
충전스위치작동장치(84)는 수직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고, 플래쉬 사진촬영을 위해 상부 위치로 이동된다. 그 후 충전상태표시기(88)는 도 7에서 일점쇄선으로 나타낸 바와같이 표시창(89)을 통해 위로 튀어나온다. 충전상태표시기(88)는 플래쉬 조립체(95)가 충전을 완료할 때 불이 켜진다.
도 9에 도시된 바와같이, 프론트 커버(96)는 커버본체(99)와 프론트 패널(100)로 구성된다. 커버본체(99)는 뷰파인더(8)의 대물렌즈(38) 정면에 배치되는 파인더창(101)을 갖고, 프론트 패널(100)은 파인더창(101)과 일렬로 배치되고, 파인더창(101)과 형상 및 사이즈가 같은 대물창(82)을 갖는다. 충전스위치작동장치(84)는 커버본체(99)를 통해 형성된 개구부(102)의 정면에 커버본체(99)와 프론트 패널(100) 사이에 설치된다. 시야전환판(104)은 촬영렌즈(9)의 광축둘레로 회전될 수 있도록 원통형 렌즈통(103)에 장착된다. 토글 스프링(105)은 커버본체(99)와 시야전환판(104) 사이에 현가된다.
충전스위치작동장치(84)는 외부로 노출되는 버튼부재(106)와, 커버본체(99)의 정면에 설치되는 베이스판(107)과, 커버본체(99)를 관통 형성된 수직 슬롯(108)에 끼워지는 맞물림부(110)로 구성되고, 충전상태표시기(88)의 정면쪽에 형성된 핀(109)과 맞물린다. 충전스위치작동장치(84)는 수직슬롯(108)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베이스판(107)은 커버본체(99)의 정면에 형성되는 핀(113)이 끼워지는 수직슬롯(112)을 갖는다. 수직슬롯(112)은 노치를 가지고 있어, 충전스위치작동장치(84)가 상하로 슬라이딩하는 동안 핀(113)이 노치를 클릭한다.
버튼부재(106)는 개구부(102)의 정면에 배치되고, 개구부의 배면쪽으로 도시하지 않은 보스를 가진다. 버튼부재(106)가 상부위치로 이동될 때, 보스는 플래쉬 조립체(95)의 인쇄회로기판(43)에 형성된 한 쌍의 인쇄접촉칩(43a) 위로 접촉판(50)을 민다. 이것에 의해 플래쉬 조립체(95)는 충전스위치작동장치(84)가 상부 위치에 설정되므로서 오랫동안 충전이 유지된다.
충전상태표시기(88)는 투명한 플라스틱 물질로 형성되고, 마운팅 슬리브(119)를 통해 노출 조립체(94)에 부착된다. 핀(109)은 마운팅 슬리브(119)이 정면에 형성된다. 충전상태표시기(88)는 광가이드부(120)를 더 갖는다. 충전스위치작동장치(84)의 상부위치에서, 광가이드부(120)는 플래쉬 조립체(95)의 표시램프요소를 향하고,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인쇄회로기판(95)의 배면 측부에 설치되고, 충전의 완료를 표시하기 위해서 광을 방사한다. 표시램프요소로부터 방사된 광은 광가이드부(120)로 통과되고, 표시창(89)에서 튀어올라가는 광가이드부(120)의 상단부를 통해 필름 유니트(80) 외부로 투사된다.
시야전환판(104)은 프론트 패널(100)과 커버본체(99)를 형성하기 위해 사용되는 플라스틱 소재와 같은 것으로 형성된다. 시야전환판(104)은 렌즈통(103)에 장착될 때 촬영렌즈(9)의 광축(9a)과 동축인 둥근홀(122)과, 토글 스프링(105)의 일단부(125)를 끼우기 위한 작은구멍(126)을 포함한다. 토글 스프링(105)의 코일 타단부(123)는 커버본체(99)에 형성되는 핀(124)에 장착된다.
보스(128)는 시야전환판(104)의 정면하부에 일체적으로 형성된다. 보스(128)는 프론트 패널(100)에서 전방으로 돌출한 링과 같은 렌즈후드(129) 하부에 형성되는 원호형상의 슬롯(130)에 끼워진다. 보스(128) 보다 더 큰 노브(85)가 보스(128)의 정면에 부착된다. 시야전환판(104)에서 노브(85)를 분리하는 이런 방식에서 슬롯(130)은 노브(85)의 양호한 핸들링 특성을 유지하도록 점점 좁아진다. 점점 좁아지는 슬롯(130)은 대기광으로부터 필름 유니트(30)의 내부를 차단하는데 바람직하다.
시야전환판(104)은 그 주변부에 C사이즈 인화형식에 대응하는 시네마 전망창(135)과 P사이즈 인화형식에 대응하는 파노라마 전망창(134)을 갖고, 이들 전망창(134,135) 사이에 배치된 절단부(136)를 갖는다. 시야전환판(104)을 회전시키는 노브(85)의 작동에 의해, 파노라마 전망창(134), 시네마 전망창(135) 및 절단부(136) 중 하나가 뷰파인더(8)의 대물렌즈(38) 정면에, 즉 대물창(82)과 파인더창(101) 사이에 위치된다.
또한 필름 유니트(80)에 있어서, 모든 노광 프레임이 H사이즈로 기록되어 있어 접안창(91)과 대물창(82)으로 이루어진 파인더창(101)이 H사이즈 촬영영역에 대응하는 H 사이즈 시계를 제공하도록 설계된다. 시야전환판(104)의 절단부(136)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같이 H 사이즈 시계가 대물창(82)과 파인더창(101) 사이에 놓여질 때 H 사이즈 시계가 간섭되지 않도록 치수를 만든다. 필름 유니트(80)는 최초에 절단부(136)가 대물창(82)과 파인더창(101) 사이에 놓이는 곳에 놓이도록 설정되어 뷰파인더(8)는 최초로 H 사이즈 시계를 제공한다.
시네마 전망창(135)이 대물창(82)과 파인더창(101) 사이에 끼워질 때, 뷰파인더(8)의 시계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같이 C 사이즈로 한정된다. 파노라마 전망창(134)이 대물창(82)과 파인더창(101) 사이에 끼워질 때, 뷰파인더(8)의 시계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같이 P 사이즈로 한정된다.
토글 스프링(105)은 C사이즈 및 P사이즈 시계를 제공하는 서로 마주보는 터미널 위치 중 한 곳에 시야전환판(104)을 정지시키는데 적합하다. 절단부(136)가 시야전환판(104)에서 전망창(134,135) 사이에 위치되므로서, 노브(85)의 적은 회전운동으로도 두 사이즈 중 어느 하나로 H사이즈로부터 시계를 변환시키는데 충분하다.
캠슬롯(138)은 파노라마 전망창(134)에서 시네마 전망창(135)으로 둥근홀(122) 주위의 주변영역에 형성된다. 캠슬롯(138)은 많은 비틀림힘을 갖고 있어, 둥근홀(122)의 중심으로부터 캠슬롯(138)까지의 거리, 즉 촬영렌즈(9)의 광축으로부터 캠슬롯(138)의 거리가 변화한다. 도 9 내지 도 12에 도시된 바와같이, 캠슬롯(138)은 회전레버(140)의 아암(141) 경사부에 형성되는 핀(143)을 수용한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같이, 회전레버(140)는 기부(93)의 중간에 위치되는 노출프레임부재(144)의 정면상부에 형성되는 축(146) 위로 회전할 수 있도록 설치된다. 회전레버(140)의 아암(141)은 노출챔버(145)에서 전방으로 돌출되고, 아암(141)을 회전시키기 위한 공간은 도 8에 도시된 것과 같이, 노출 어셈블리(94) 내로 합체되는 뷰파인더(8)의 렌즈 프레임(147) 하부에 형성된다. 슬릿(148)은 도 9에 도시된 바와같이 파인더창(101)의 하면쪽에 형성되어, 핀(143)이 슬릿(148)을 통해 시야전환판(104)의 캠슬롯(138)에 끼워진다. 이런 방식으로, 회전레버(140)가 회전하므로서 시야전환판(104)이 회전한다.
회전레버(140)는 도면에서 노출챔버(145)의 우측을 따라 연장되는 제 2아암과, 그 경사부에 핀(150)을 갖는다. 핀(150)은 슬라이드 레버(151) 일단부의 포크(152)와 맞물린다. 슬라이드 레버(151)는 수평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노출챔버(145) 하부에 설치된다. 따라서, 슬라이드 레버(150)는 회전레버(140)의 회전으로 이동한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같이, 노출프레임부재(144)는 필름 유니트(80)의 수평방향, 즉 필름스트립의 세로방향을 따라 후방으로 볼록하게 되도록 형성되어, 필름스트립(25)이 노출어퍼츄어(145a) 뒤에서 전방으로 오목하게 되도록 지지된다. 그러므로, 노출챔버(145) 하부에 전방으로 오목한 벽부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전방으로 오목한 벽부(149)는 편평면(149a)을 갖고, 편평면을 통과하는 한 쌍의 데이타기록홀(154,155)은 필름스트립(25)에 인화형식데이타로서 대개 두 도트를 사진으로 기록하기 위해 형성된다. 불투명한 플라스틱 필름등으로 이루어진 데이타스위칭블레이드(157)는 배터리(46) 뒤에 편평면(149a)의 정면에서 수평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설치된다. 슬라이드 레버(151)의 배면쪽에 형성된 핀(160)은 데이타스위칭블레이드(157)의 홀(159)에 장착되어, 데이타스위칭블레이드(157)가 슬라이드 레버(151)와 함께 수평으로 이동한다. 데이타스위칭블레이드(157)는 결정된 슬라이딩 위치에서 데이타기록홀(154)을 노출시키기 위한 개구부(158)를 갖는다.
투명한 플라스틱 광가이드(162)는 데이타기록홀(154,155)을 향하는 일단을 갖고, 데이타스위칭블레이드(157)의 정면에 배치된다. 광가이드(162)의 타단은 데이타기록램프 또는 광방사요소(164) 즉 LED로 향하고, 이 LED는 플래쉬 조립체(95)의 인쇄회로기판(43)의 배면에 설치된다. 광방사요소(164)는 플래쉬 조립체(95)의 충전여부에 관계없이 플래쉬 조립체(95)의 동기 스위치(49)가 셔터버튼(6)을 눌러서 회전될 때 발생되는 작동신호에 의해 광을 방사할 정도로 활성화 되도록 플래쉬 조립체(95)의 회로에 연결된다. 광방사요소(164)로부터 방사된 광은 광가이드(165)를 통과하고, 데이타기록홀(154,155)을 향해 투사된다.
광차단판(163)은 필름 유니트(80)의 내부로 들어갈 수 있는 외부광이 데이타기록홀(154,155)과 광가이드(162)로 들어가는 것을 차단하도록 광가이드(162)의 정면에 배치된다. 광차단판(163)은 또한 광방사요소(164)를 수용하기 위해 원통형 부분(165)을 갖는다. 몰트플레인과 같은 도시되지 않은 광차단부재는 차광식 광방사요소(164)와 원통형 부분(165) 사이의 연결을 위해서, 광방사요소(164)의 정면단부 둘레에 제공된다. 이것에 의해, 원통형 부분(165)은 광방사요소(164)에서 필름 유니트(80)의 다른 내부로 광의 누출을 방지하고, 외부광이 데이타기록홀(154,155)에 도달하는 것을 방지한다.
슬라이드 레버(151)는 광차단판(163)의 정면에 배치된다. 코일 스프링(168)은 슬라이드 레버(151)의 핀(169)과 광차단판(163) 사이에 현가되어, 도면에서 우측으로 슬라이드 레버(151)를 바이어싱한다. 이런 방식으로, 회전레버(140)의 핀(143)은 도 10 내지 도 12에 도시된 바와같이 시야전환판(104)의 캠슬롯(138)의 내부로 향하는 캠표면(138a)과 접촉한 상태가 유지되고, 데이타스위칭블레이드(157)로 이동되는 시야전환판(104)의 회전이동을 보장한다. 클릭노치(138b)는 캠슬롯(138)의 중간부분에서 내부로 향하는 캠면(138a)에 형성된다.
노브(85)가 H사이즈 위치에 놓여질 때, 핀(143)은 도 10에 도시된 바와같이 H 사이즈 위치에서 시야전환판(104)이 정지하도록 클릭 노치(138b)에서 클릭하는 반면, 데이타스위칭블레이드(157)가 데이타기록홀(154,155) 모두를 차단하여 어떠한 도트도 도 6A에 도시된 것과 같이 촬영된 노광 프레임의 가장자리에 기록되지 않는다.
노브(85)가 C사이즈 위치에 놓여질 때, 시야전환판(104)은 도면에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토글 스프링(105)에 의해 강제되어 캠슬롯(138)의 한 터미널(138c)이 회전레버(140)의 핀(143)과 접촉하게 된다. 이 위치에서, 데이타스위칭블레이드(157)는 데이타 기록홀(155)로부터 수축되고, 데이타스위칭블레이드(157)의 개구부(158)가 도 11에 도시된 바와같이 데이타기록홀(154)의 정면에 위치되어, 두 도트가 도 6B에 도시된 바와같은 방식으로 촬영된 노광 프레임의 가장자리에 기록된다.
노브(85)가 P사이즈 위치에 위치될 때, 시야전환판(104)은 도면에서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토글 스프링(105)에 의해 강제되어, 도 12에 도시된 바와같이 캠슬롯(138)의 다른 터미널(138d)이 핀(143)과 접촉하게 된다. 이 위치에서, 데이타스위칭블레이드(157)는 데이타기록홀(155)로부터 이탈되고, 데이타스위칭블레이드(157)의 개구부(154)가 데이타기록홀을 차단하도록 데이타기록홀(155)로부터 수축되어, 오직 하나의 도트가 도 6C에 도시된 바와같은 방식으로 촬영된 노광 프레임의 가장자리에 데이타기록홀(155)을 통해 기록된다.
상술한 바와같이, 회전레버(140), 슬라이드레버(151), 데이타스위칭블레이드(157), 데이타 기록홀(154,155), 광가이드(162) 및 광방사요소(164)는 인화형식 데이타 기록장치를 구성하고, 인화형식 데이타기록장치, 시야전환판(104) 및 노브(85)는 인화형식선택장치를 구성한다. 인화형식 데이타기록장치는 배터리(46)와 노출프레임부재(144) 사이에 그리고 노출부재(145) 둘레에 배치되고, 인화형식 선택장치는 필름 유니트(80)의 본체에 매우 콤팩트하게 합체된다. 데이타스위칭블레이드(157)가 노출프레임부재(144)의 전방으로 오목한 벽부(149)에 배치되므로, 데이타스위칭블레이드(157)에서 필름면까지의 거리는 종래보다 더 짧게되어, 필름스트립(25)에 기록되는 도트의 선면도가 개선된다. 추가로, 데이타스위칭블레이드(157)의 필요한 이동량이 종래보다 더 짧게된다.
데이타 스위칭 블레이드가 위의 실시예에서 단수의 개구부를 가졌지만, 개구부가 없거나, 또는 2개의 개구부를 가진 데이타스위칭블레이드를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은 IX240타입 사진필름 카트리지를 포함하는 필름 유니트에 대하여 기술하였고, 물론 본 발명은 ISO135타입 사진필름 카트리지 및 콤팩트 카메라를 포함하는 필름 유니트에 적용할 수 있다.
이용할 수 있는 인화형식 타입과 수가 위의 3사이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 중 한 경우에 있어서, 카메라 또는 필름 유니트의 오리지널 노출 어퍼츄어에 대응하는 뷰파인더의 오리지널 또는 마스크가 없는 시계를 만드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또한 도트의 수와 인화형식 사이의 보정이 위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데이타 기록홀의 형상과 이에 따른 도트는 직사각형 이외의 다른 것 즉 원형 또는 사각형이 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변형 및 모방이 첨부한 청구의 범위에 상세하게 설명된 것처럼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남 없이 실시 가능할 것이다.
데이타기록홀은 노출프레임부재에서 전방으로 오목한 벽부를 통과하도록 형성되기 때문에, 데이타 스위칭 블레이드는 전방으로 오목한 벽부에 설치되고 데이타 스위칭 블레이드에서 필름면까지의 거리가 종래보다 더 짧게 되어 필름스트립에 기록된 도트의 선명도가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인화형식선택장치를 가진 필름 유니트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인화형식선택장치를 가진 필름 유니트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3은 각각 고시각 위치에서, 시네마 위치에서 그리고 파노라마 위치에서 제 1 실시예의 인화형식 선택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
도 4는 제 1 실시예의 인화형식 선택장치에 사용된 광가이드의 설명도.
도 5A, 도 5B 및 도 5C는 제 1 실시예의 인화형식 선택장치의 데이타 스위칭 블레이드의 작동을 도시한 설명도.
도 6A, 도 6B 및 도 6C는 인화형식 데이타의 예로서 도트 패턴을 도시한 설명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인화형식 선택장치를 갖는 필름 유니트의 사시도.
도 8은 도 7에 도시된 필름 유니트의 분해 사시도.
도 9는 제 2 실시예의 인화형식 선택장치의 시야전환판을 도시한, 도 7에 도시된 필름 유니트의 프론트 커버의 분해 사시도.
도 10은 고시각 위치에서 제 2 실시예의 인화형식 선택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
도 11은 시네마 위치에서 제 2 실시예의 인화형식 선택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
도 12는 파노라마 위치에서 제 2 실시예의 인화형식 선택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
도 13은 제 2 실시예의 인화형식 선택장치의 분해 사시도.

Claims (9)

  1. 노출되지 않은 사진 필름스트립 롤을 고정하는 필름롤챔버, 필름스트립이 노출된 후 감겨지는 필름용기를 고정하는 카트리지챔버, 필름롤챔버와 필름용기챔버 사이에 제공된 필름프레임부재, 각 노광 프레임이 필름스트립에 같은 사이즈로 기록되도록 하는 노출 어퍼츄어를 갖는 노출프레임부재, 노출 어퍼츄어 뒤에서 전방으로 오목하게 되는 필름스트립을 지지하도록 필름스트립의 세로방향을 따라 후방으로 볼록한 노출프레임부재를 갖는 렌즈가 장착된 사진필름유니트에 있어서,
    각각의 노광 프레임에 다른 인화형식 중 하나를 선택하도록 작동되는 작동 부재 ;
    노출 어퍼츄어의 한 가장자리에 형성된 노출프레임부재에서 전방으로 오목한 벽부 ;
    노출프레임부재에서 전방으로 오목한 벽부를 통과하도록 형성된 데이타기록홀 ;
    데이타기록홀을 통해 다수의 도트를 촬영으로 기록하기 위한 광원 장치 ;
    데이타 기록홀의 정면에서 전방으로 오목한 벽부에 설치되고, 작동부재와 협력하여 이동할 수 있고, 작동 부재에 의해 선택된 인화형식에 따른 각 노광 프레임에 기록된 도트 수를 변화시키는 데이타 기록홀을 커버하거나 커버하지 않는 데이타스위칭블레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가 장착된 사진필름유니트.
  2. 제 1항에 있어서, 데이타스위칭블레이드는 적어도 하나의 개구부를 갖고 데이타 기록홀에 관련된 개구부의 위치를 변화시키도록 전방으로 오목한 벽부에서 이동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가 장착된 사진필름유니트.
  3. 제 2항에 있어서, 데이타스위칭블레이드는 불투명하고 유연한 시트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가 장착된 사진필름유니트.
  4. 제 1항에 있어서, 전방으로 오목한 벽부는 노출 어퍼츄어의 하부 가장자리에 제공되고, 데이타 기록홀은 필름스트립의 세로방향을 따라 배열되는 반면, 데이타스위칭블레이드는 필름스트립의 세로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가 장착된 사진필름유니트.
  5. 제 4항에 있어서, 플래쉬 장치와 플래쉬 장치를 충전하기 위한 배터리를 더 포함하고, 배터리는 촬영렌즈에서 필름스트립으로 광을 통과시키는 노출 어퍼츄어의 정면에 제공되는 노출 챔버 하부의 데이타스위칭블레이드 정면에 놓여지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가 장착된 사진필름유니트.
  6. 제 5항에 있어서, 데이타스위칭블레이드와 작동부재 사이의 상호연결장치, 필름 유니트의 정면 부분에 배치되는 시야전환판, 시야전환판이 작동부재에 의해 선택된 인화형식에 따른 시계사이즈를 변화시키는 작동부재에 의해 회전되도록 시야전환판에 제공되는 작동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가 장착된 사진필름유니트.
  7. 제 6항에 있어서, 시야전환판은 촬영렌즈의 광축 둘레로 회전할 수 있고 상기 촬영렌즈의 범위에서 형성된 캠슬롯을 갖고, 상호연결 장치는 노출 어퍼츄어 위의 촬영렌즈 광축으로 평행하게 연장되는 축 둘레로 회전할 수 있는 회전 레버, 데이타 스위칭 장치와 함께 이동하는 노출챔버 하부에 설치되는 이동레버, 시야전환판의 캠슬롯에 맞물리고 노출챔버 위에서 전방으로 연장되는 하나의 아암 또는 두 개의 아암을 갖는 회전레버, 이동레버와 커플링되고 노출 챔버의 일측을 따라 하부로 연장되는 다른 아암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가 장착된 사진필름유니트.
  8. 제 5항에 있어서, 광원장치는 플래쉬 장치의 인쇄회로기판에 설치된 광방사요소, 데이타스위칭블레이드의 정면에 노출 어퍼츄어의 측부 가장자리를 따라 광방사요소에서 연장되는 광가이드, 데이타 기록홀을 향해 광가이드에서 투사된 광을 차단하거나 통과시키는 데이타스위칭블레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가 장착된 사진필름유니트.
  9. 제 8항에 있어서, 차광형식으로 광 가이드를 커버하는 광차단부재를 더 포함하고, 광차단부재는 광방사요소의 광이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고 광가이드의 일단에서 광차단 부재로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가 장착된 사진필름유니트.
KR10-1998-0005045A 1997-02-19 1998-02-18 렌즈가 장착된 사진 필름 유니트 KR10048832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3516897 1997-02-19
JP9-35168 1997-02-1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71484A KR19980071484A (ko) 1998-10-26
KR100488320B1 true KR100488320B1 (ko) 2005-07-07

Family

ID=124343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05045A KR100488320B1 (ko) 1997-02-19 1998-02-18 렌즈가 장착된 사진 필름 유니트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0488320B1 (ko)
DE (1) DE69807368T2 (ko)
HK (1) HK1015470A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298233A (ja) * 1987-05-29 1988-12-06 Canon Inc トリミング情報記録機能付きのカメラ
JPH06102577A (ja) * 1992-09-21 1994-04-15 Nikon Corp データ写し込み機能付きカメラ
JPH07134368A (ja) * 1993-11-09 1995-05-23 Fuji Photo Film Co Ltd レンズ付きフイルムユニット
JPH07239829A (ja) * 1994-02-26 1995-09-12 Toshiba Corp 情報管理装置及び情報管理方法
JPH08160523A (ja) * 1994-12-08 1996-06-21 Fuji Photo Film Co Ltd 撮影データ写し込み装置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298233A (ja) * 1987-05-29 1988-12-06 Canon Inc トリミング情報記録機能付きのカメラ
JPH06102577A (ja) * 1992-09-21 1994-04-15 Nikon Corp データ写し込み機能付きカメラ
JPH07134368A (ja) * 1993-11-09 1995-05-23 Fuji Photo Film Co Ltd レンズ付きフイルムユニット
JPH07239829A (ja) * 1994-02-26 1995-09-12 Toshiba Corp 情報管理装置及び情報管理方法
JPH08160523A (ja) * 1994-12-08 1996-06-21 Fuji Photo Film Co Ltd 撮影データ写し込み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71484A (ko) 1998-10-26
HK1015470A1 (en) 1999-10-15
DE69807368D1 (de) 2002-10-02
DE69807368T2 (de) 2002-12-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650304A (en) Pseudo format camera and special film cartridge
JP3218684B2 (ja) データ写し込み装置付カメラ
KR100591938B1 (ko) 카메라용 프린트 포맷 선택장치
US4114169A (en) Camera with data-recording structure
EP0860736B1 (en) Lens-fitted photo film unit
KR100488320B1 (ko) 렌즈가 장착된 사진 필름 유니트
US6154609A (en) Lens-fitted photographic film unit
US5659826A (en) Lens-fitted photographic film unit with picture frame size changing device
US5713046A (en) Lens-fitted photographic film unit
JP3778408B2 (ja) レンズ付きフィルムユニット
JP3165303B2 (ja) カメラの露光画面切替え装置
JP3059616B2 (ja) レンズ付きフイルムユニット
JP2660065B2 (ja) カメラ
JP3215761B2 (ja) レンズ付きフイルムユニット
JP3121186B2 (ja) 露光画面切替え装置
US20040247309A1 (en) Optical data recording device and lens-fitted photo film unit with optical data recording device
JPH10293356A (ja) レンズ付きフイルムユニット
JPH1184507A (ja) データ写し込み装置
EP1052537A1 (en) Finder system in photographing apparatus
JP2000162746A (ja) レンズ付きフイルムユニット
JP2000137283A (ja) レンズ付きフイルムユニット
JP2002372737A (ja) ファインダ装置
JPH1031249A (ja) ファインダー装置及びトグルバネ機構
JPH1184596A (ja) レンズ付きフイルムユニット
JPH07120884A (ja) レンズ付きフイルムユニッ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425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