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90816B1 - 합성섬유용 처리제 및 합성섬유의 처리방법 - Google Patents

합성섬유용 처리제 및 합성섬유의 처리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90816B1
KR100590816B1 KR1020000006466A KR20000006466A KR100590816B1 KR 100590816 B1 KR100590816 B1 KR 100590816B1 KR 1020000006466 A KR1020000006466 A KR 1020000006466A KR 20000006466 A KR20000006466 A KR 20000006466A KR 100590816 B1 KR100590816 B1 KR 1005908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synthetic fibers
group
carbon atoms
polyeth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064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49208A (ko
Inventor
사쿠라바시게히코
나가야마사히로
나가이유키코
키무라후미히코
Original Assignee
다케모토 유시 가부시키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케모토 유시 가부시키 가이샤 filed Critical 다케모토 유시 가부시키 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100492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492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908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90816B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5/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 D06M15/19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with synthetic macromolecular compounds
    • D06M15/37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5/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 D06M15/19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with synthetic macromolecular compounds
    • D06M15/37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D06M15/53Polyether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1/00Detergent compositions based essentially on surface-active compounds; Use of these compounds as a detergent
    • C11D1/38Cationic compounds
    • C11D1/645Mixtures of compounds all of which are cationic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3/00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of detergent compositions covered in group C11D1/00
    • C11D3/0005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characterised by their effect
    • C11D3/001Softening compositions
    • C11D3/0015Softening compositions liquid
    • DTEXTILES; PAPER
    • D02YARNS;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WARPING OR BEAMING
    • D02GCRIMPING OR CURLING FIBRES, FILAMENTS, THREADS, OR YARNS; YARNS OR THREADS
    • D02G1/00Producing crimped or curled fibres, filaments, yarns, or threads, giving them latent characteristics
    • D02G1/02Producing crimped or curled fibres, filaments, yarns, or threads, giving them latent characteristics by twisting, fixing the twist and backtwisting, i.e. by imparting false twist
    • DTEXTILES; PAPER
    • D02YARNS;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WARPING OR BEAMING
    • D02GCRIMPING OR CURLING FIBRES, FILAMENTS, THREADS, OR YARNS; YARNS OR THREADS
    • D02G1/00Producing crimped or curled fibres, filaments, yarns, or threads, giving them latent characteristics
    • D02G1/20Combinations of two or more of the above-mentioned operations or devices; After-treatments for fixing crimp or curl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3/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non-macromolecular organic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 D06M13/02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non-macromolecular organic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with hydrocarb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3/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non-macromolecular organic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 D06M13/1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non-macromolecular organic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with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D06M13/224Esters of carboxylic acids; Esters of carbonic acid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3/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non-macromolecular organic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 D06M13/1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non-macromolecular organic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with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D06M13/224Esters of carboxylic acids; Esters of carbonic acid
    • D06M13/2243Mono-, di-, or triglycerid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3/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non-macromolecular organic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 D06M13/322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non-macromolecular organic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with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 D06M13/325Amines
    • D06M13/342Amino-carboxylic acids; Betaines; Aminosulfonic acids; Sulfo-betain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7/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of other substances with subsequent freeing of the treated goods from the treating medium, e.g. swelling, e.g. polyolefin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1/00Detergent compositions based essentially on surface-active compounds; Use of these compounds as a detergent
    • C11D1/38Cationic compounds
    • C11D1/46Esters of carboxylic acids with amino alcohols; Esters of amino carboxylic acids with alcohol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1/00Detergent compositions based essentially on surface-active compounds; Use of these compounds as a detergent
    • C11D1/38Cationic compounds
    • C11D1/62Quaternary ammonium compound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2200/00Functionality of the treatment composition and/or properties imparted to the textile material
    • D06M2200/40Reduced friction resistance, lubricant properties; Sizing composi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Treatments For Attaching Organic Compounds To Fibrous Goods (AREA)
  • Lubricants (AREA)
  • Chemical Or Physical Treatment Of Fibers (AREA)
  • Preliminary Treatment Of Fibers (AREA)
  • Treatment Of Fiber Materials (AREA)

Abstract

합성섬유용 처리제로서 윤활제와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와 특정의 베타인형 또는 알라닌형의 양성 계면활성제를 각각 소정 비율로 함유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이용하여, 고속하의 가연 가공에 있어서도 주행 사조에 이상한 장력변동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며, 따라서 염색 반점이 발생되지 않는 실 품질의 가연 가공사를 얻을 수 있는 합성섬유용 처리제 및 합성섬유의 처리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합성섬유용 처리제 및 합성섬유의 처리방법{Finishing agent for synthetic fibers and method of finishing synthetic fibers}
본 발명은 합성섬유용 처리제 및 합성섬유의 처리방법에 관한 것이다.
근년, 합성섬유의 가연 가공속도는 한층 더 빠르게 진행되고 있다. 최근에는 비접촉식 히터를 장비한 가연가공기를 이용하여, 1OOOm/분 이상의 속도로 연신과 동시에 가연 가공하는 것도 행하여지고 있다. 이와 같이 실의 속도가 빨라지면, 그 가연 가공시에 주행 사조(絲條)와 가이드류와의 마찰, 주행 사조에 발생하는 정전기, 히터에 고착된 슬러지에 대한 주행 사조의 찰과(擦過)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주행 사조에 이상한 장력변동이 발생하게 된다. 주행 사조에 이상한 장력변동이 발생하면, 얻어지는 가연 가공사는 섬도(纖度) 반점이나 결정도 반점을 갖는 것이 되고, 이에 기인하여 염색 반점을 발생시키는 것이 된다. 본 발명은 고속하의 가연 가공에서도 주행 사조에 이상한 장력변동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며, 따라서 염색 반점이 발생되지 않는 우수한 실(絲) 품질의 가연 가공사를 얻을 수 있는 합성섬유용 처리제 및 합성섬유의 처리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 고속하의 가연 가공에서도 실 품질이 양호한 가연 가공사를 얻을 수 있는 합성섬유용 처리제로서, 1) 폴리에테르 화합물을 주성분으로 하는 것(일본국 특개소 49-31996호, 특개소 50-155795호, 특개소 50-155796호, 특개평 4-34088호, 특개평 8-325949호, 미국특허 4044541호), 2) 폴리에테르 화합물에 폴리에테르 변성 실리콘 또는 불소화합물을 병용한 것(일본국 특개소 60-181368호, 특공평 6-21380호, 미국특허 4561987호), 3) 폴리에테르 화합물에 유기카복시산음이온과 탄소수 5이하의 알킬기 또는 알케닐기를 갖는 제4급 암모늄양이온과의 유기염을 병용한 것(일본국 특개평 9-111659호) 등이 제안되어 있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종래의 합성섬유용 처리제에는 근년의 고속하의 가연 가공에 있어서, 특히 최근 행하여지고 있는 것과 같은 비접촉식 히터를 장비한 가연 가공기를 이용하여 1000m/분 이상의 속도로 연신와 동시에 가연 가공하는 경우, 주행 사조에 이상한 장력변동이 발생하는 것을 충분히 방지할 수 없고, 그 결과로서 얻어지는 가연 가공사가 염색 반점이 발생되는 것과 같은 실의 질이 낮아진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종래의 합성섬유용 처리제로서는 고속하의 가연 가공에 있어서, 주행 사조에 이상한 장력변동이 발생되는 것을 충분히 방지할 수 없고, 그 결과로서 얻어지는 가연 가공사가 실의 품질이 떨어진다는 점이다.
따라서, 본 발명자들은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연구한 결과, 고속하의 가연 가공에 이용되는 합성섬유용의 처리제로서, 윤활제와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와 특정의 양성 계면활성제를 각각 소정비율로 함유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정확하게 적합하다는 것, 또한 이러한 합성섬유용 처리제를 방사한 합성섬유에 대해서 소정비율이 되도록 부착시킨 후, 연신과 동시에 가연 가공하는 경우에 있어서 특히 효과의 발현이 높다는 것을 밝혀내었다.
즉 본 발명은 윤활제를 65∼94중량%,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를 5∼20중량% 및 양성 계면활성제를 0.1∼5중량%의 비율로 함유하며, 상기 양성 계면활성제는 하기 화학식 1로 나타내어지는 베타인형 양성 계면활성제 및 하기화학식 2로 나타내어지는 알라닌형 양성 계면활성제로부터 선택되는 1개 또는 2개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섬유용 처리제에 관한 것이다.
[화학식 1]
Figure 112000002498771-pat00001
[화학식 2]
Figure 112000002498771-pat00002
상기 식 1 및 2에 있어서,
R1 : 탄소수 8∼22의 알카노일기 또는 탄소수 8∼22의 알케노일기
R2 : 수소 또는 메틸기
R3, R4 : 탄소수 1∼4의 알킬기
R5 : 탄소수 8∼22의 알킬기 또는 탄소수 8∼22의 알케닐기
R6∼R9 : 탄소수 1∼4의 알킬기
Y : N 또는 P
n : 2 또는 3.
또한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합성섬유용 처리제를 방사한 합성섬유에 대해서 0.1∼3중량%이 되도록 부착시킨 후, 연신과 동시에 가연 가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섬유의 처리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합성섬유용 처리제에 이용되는 윤활제로서는 1) 폴리에테르 화합물, 2) 지방족 에스테르 화합물, 3) 방향족 에스테르 화합물, 4) (폴리)에테르에스테르 화합물, 5) 광물유 등을 들 수 있다.
전술한 폴리에테르 화합물로서는, 분자중에 폴리옥시알킬렌기를 갖는 폴리에테르모노올, 폴리에테르디올, 폴리에테르트리올 등을 들 수 있지만, 그 중에서도 탄소수1∼18의 1∼3가의 히드록시 화합물에 탄소수 2∼4의 알킬렌옥시드를 블록상 또는 랜덤상으로 부가한 폴리에테르 화합물이 바람직하고, 특히 이러한 폴리에테르 화합물의 혼합물로서, 수평균 분자량 1000∼2000의 폴리에테르 화합물 10∼40중량%, 수평균 분자량 2100∼3000의 폴리에테르 화합물 40∼60중량% 및 수평균 분자량 3100∼7000의 폴리에테르 화합물 10∼30중량%의 비율로 이루어지는 혼합물이 보다 바람직하다.
전술한 지방족 에스테르 화합물로서는, 1) 부틸스테아레이트, 옥틸스테아레이트, 올레일라우레이트, 올레일올레에이트, 이소펜타코사닐이소스테아레이트 등의 지방족 1가 알코올과 지방족 모노카복시산과의 에스테르, 2) 1,6-헥산디올디데카노에이트, 트리메틸올프로판모노올레에이트모노라우레이트 등의 지방족 다가 알코올과 지방족 모노카복시산과의 에스테르, 3) 디라우릴아디페이트, 디올레일아제레이트 등의 지방족 1가 알코올과 지방족 다가 카복시산과의 에스테르 등을 들 수 있지만, 그 중에서도 지방족 1가 알코올과 지방족 모노카복시산과의 에스테르, 지방족 다가 알코올과 지방족 모노카복시산과의 에스테르이고, 총탄소수 15∼50의 에스테르가 바람직하다.
전술한 방향족 에스테르 화합물로서는, 1) 벤질스테아레이트, 벤질라우레이트 등의 방향족 알코올과 지방족 모노카복시산과의 에스테르, 2) 디이소스테아릴이소프탈레이트, 트리옥틸트리멜리테이트 등의 지방족 1가 알코올과 방향족 카복시산과의 에스테르 등을 들 수 있지만, 그 중에서도 지방족 1가 알코올과 방향족 카복시산과의 에스테르이고, 총탄소수 15∼50의에스테르가 바람직하다.
전술한 (폴리)에테르에스테르 화합물은, 결과적으로 이상 설명한 지방족 에스테르 화합물 또는 방향족 에스테르 화합물에 (폴리)에테르부를 도입한 구조를 갖는 것이다. 이러한 (폴리)에테르에스테르 화합물로서는, 탄소수 4∼26의 1∼3가의 지방족 알코올에 탄소수 2∼4의 알킬렌옥시드를 부가한 (폴리)에테르 화합물과, 탄소수 4∼26의 지방족 카복시산을 에스테르화한 분자중에 1∼3개의 에스테르기를 갖는 (폴리)에테르에스테르 화합물, 2) 1∼3가의 방향족 알코올에 탄소수 2∼4의 알킬렌옥시드를 부가한 (폴리)에테르 화합물과, 탄소수 4∼26의 지방족 카복시산을 에스테르화한, 분자중에 1∼3개의 에스테르기를 갖는 (폴리)에테르에스테르 화합물, 3) 탄소수 4∼26의 지방족 알코올에 탄소수 2∼4의 알킬렌옥시드를 부가한 (폴리)에테르 화합물과, 방향족 카복시산을 에스테르화한 분자중에 1∼3개의 에스테르기를 갖는 (폴리)에테르에스테르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전술한 광물유로서는 각종 점도를 갖는 광물유를 사용할 수 있지만, 그 중에서도 3O℃에서의 점도가 1×1O-6∼1×1O-2㎡/s 이고, 또한 파라핀성분 비율이 60중량% 이상의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바람직한 광물유로서는 유동 파라핀오일을 유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이상의 설명에서도, 윤활제로서 폴리에테르 화합물 또는 폴리에테르 화합물과 (폴리)에테르에스테르 화합물과의 혼합물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합성섬유용 처리제에 이용되는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로서는, l) 폴리옥시알킬렌알킬에테르, 폴리옥시알킬렌알킬페닐에테르, 폴리옥시알킬렌알킬에스테르, 폴리옥시알킬렌피마자유, 폴리옥시알킬렌알킬아미노에테르 등의 분자중에 폴리옥시알키렌기를 갖는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2) 솔비탄모노라우레이트, 솔비탄트리올레에이트, 글리세린모노라우레이트, 디글리세린디라우레이트 등의 다가 알코올부분 에스테르형의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3) 3∼6가의 알코올과 지방산과의 부분 에스테르에 알킬렌옥시드를 부가한 것, 알킬렌옥시드를 부가한 3∼6가의 알코올과 지방산과의 부분 에스테르 또는 완전 에스테르, 3∼6가의 알코올과 히드록시지방산과의 에스테르에 알킬렌옥시드를 부가한 것 등의 폴리옥시알킬렌 다가 알코올지방산 에스테르형의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등을 들 수 있다. 이 중에서도 분자중에 옥시에틸렌기의 반복수 3∼15의 폴리옥시알킬렌기 및 탄소수 8∼18의 알킬기를 갖는 폴리옥시알킬렌알킬에테르가 바람직하고, 분자중에 옥시에틸렌기의 반복수 4∼14의 폴리옥시알킬렌기 및 탄소수 10∼16의 알킬기를 갖는 폴리옥시알킬렌알킬에테르가 보다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합성섬유용 처리제에 이용되는 양성 계면활성제는, 화학식 1로 나타내어지는 베타인형 양성 계면활성제 및 화학식 2로 나타내어지는 알라닌형 양성 계면활성제로부터 선택되는 1개 또는 2개 이상이다. 화학식 1로 나타내어지는 베타인형 양성 계면활성제에 있어서, R1은 1) 옥타노일기, 노나노일기, 데카노일기, 헥사데카노일기, 옥타데카노일기, 노나데카노일기, 이코사노일기, 헤니코사노일기, 도코사노일기 등의 탄소수 8∼22의 알카노일기, 2) 헥사데세노일기, 이코세노일기, 옥타데세노일기 등의 탄소수 8∼22의 알케노일기이지만, 그 중에서도 탄소수 12∼18의 알카노일기가 바람직하다. R2는 수소 또는 메틸기이지만, 수소가 바람직하다. R3 및 R4는 메틸기, 에틸기, 프로필기, 부틸기 등의 탄소수 1∼4의 알킬기이지만, 그 중에서도 메틸기가 바람직하다. n은 2 또는 3이다.
또한 화학식 2로 나타내어지는 알라닌형 양성 계면활성제에 있어서, R5는 1) 옥틸기, 노닐기, 데실기, 헥사데실기, 옥타데실기, 노나데실기, 이코실기, 헤니코 실기, 도코실기 등의 탄소수 8∼22의 알킬기, 2) 헥사데세닐기, 이코세닐기, 옥타데세닐기 등의 탄소수 8∼22의 알케닐기이지만, 그 중에서도 탄소수 12∼18의 알킬기가 바람직하다.
화학식 2로 나타내어지는 알라닌형 양성 계면활성제에 있어서, Y+를 포함하는 양이온기는 1) Y가 P인 경우의 제4급 포스포늄양이온기, 2) Y가 N인 경우의 제4급 암모늄양이온기이다. 제4급 포스포늄양이온기로서는, 테트라메틸포스포늄, 트리에틸메틸포스포늄, 트리프로필에틸포스포늄, 트리부틸메틸포스포늄, 테트라부틸포스포늄 등의 화학식 2중의 R6∼R9가 모두 탄소수 l∼4의 알킬기인 경우의 제4급 포스포늄양이온기를 들 수 있지만, 그 중에서도 테트라메틸포스포늄양이온기가 바람직하다. 제4급 암모늄양이온기로서는, 테트라메틸암모늄, 트리에틸메틸암모늄, 트리프로필에틸암모늄, 트리부틸메틸암모늄, 테트라부틸암모늄 등의 화학식 2중의 R6∼R9가 모두 탄소수 1∼4의 알킬기인 경우의 제4급 암모늄양이온기를 들 수 있다.
이상 설명한 화학식 1로 나타내어지는 베타인형 양성 계면활성제 그 자체는 공지의 합성방법, 예를 들어 미국특허 제2082275호 공보에 기재되어 있는 합성방법으로 얻을 수 있다. 또한 화학식 2로 나타내어지는 알라닌형 양성 계면활성제 그 자체도 공지의 합성방법, 예를 들어 미국특허 제2213979호 공보에 기재되어 있는 합성방법으로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합성섬유용 처리제는,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윤활제,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및 양성 계면활성제를 함유하는 것으로, 합성섬유용 처리제중에 상기 윤활제를 65∼94중량%, 상기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를 5∼20중량% 및 상기 양성 계면활성제를 0.1∼5중량%의 비율로 함유하는 것이지만, 상기 양성 계면활성제를 0.5∼1.5중량%의 비율로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합성섬유용 처리제중의 이들 3성분의 합계량은 90중량% 이상의 비율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95중량% 이상의 비율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합성섬유용 처리제는 추가로 항산화제를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항산화제로서는 트리에틸렌글리콜-비스[3-(3-t-부틸-5-메틸-4-히드록시페닐)프로피오네이트, 1,6-헥산디올-비스[3,5-디-t-부틸-4-히드록시페닐)프로피오네이트, 2,4-비스-(n-옥틸티오)-6-(4-히드록시-3,5-디-t-부틸아닐리노)-1,3,5-트리아진, 펜타에리트리틸테트라키스[3-(3,5-디-t-부틸-4-히드록시페닐)프로피오네이트], 2,2-티오디에틸렌비스[3-(3,5-디-t-부틸-4-히드록시페닐)프로피오네이트], 옥타데실-3-(3,5-디-t-부틸-4-히드록시페닐)프로피오네이트, 2,2-티오비스(4-메틸-6-t-부틸페놀, 3,5-디-t-부틸-4-히드록시벤질포스포네이트-디에틸에스테르, 1,3,5-트리스(4-t-부틸-3-히드록시-2,6-디메틸)이소시아누르산, 트리스(3,5-디-t-부틸-4-히드록시벤질)이소시아누레이트 등을 들 수 있지만, 그 중에서도 l,3,5-트리스(4-t-부틸-3-히드록시-2,6-디메틸)이소시아누르산, 트리스(3,5-디-t-부틸-4-히드록시벤질)이소시아누레이트가 바람직하다. 이러한 항산화제의 합성섬유용 처리제중의 함유비율은 0.1∼3중량%로 한다.
본 발명의 합성섬유용 처리제는, 또한 폴리에테르 변성 실리콘을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폴리에테르 변성 실리콘으로서는, 주쇄로서 평균 분자량 1500∼3000의 폴리디메틸실옥산쇄 및 측쇄로서 평균 분자량 700∼5000의 폴리옥시알킬렌쇄를 갖는 폴리에테르 변성 실리콘을 들 수 있지만, 그 중에서도 주쇄로서 평균 분자량 2000∼2500의 폴리디메틸실옥산쇄 및 측쇄로서 평균 분자량 1500∼3000의 폴리옥시알킬렌쇄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폴리에테르 변성 실리콘의 합성섬유용 처리제중의 함유비율은 0.1∼2.5중량%로 한다.
본 발명의 합성섬유용 처리제는 또한 지방족 2염기산염 및 지방족 인산에스테르염으로부터 선택되는 1개 또는 2개 이상을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지방족 2염기산염으로서는 탄소수 8∼22의 알킬기를 갖는 지방족 2염기산염, 탄소수 8∼22의 알케닐기를 갖는 지방족 2염기산염 등을 들 수 있고, 또한 지방족 인산 에스테르염으로서는 탄소수 8∼22의 알킬기를 갖는 지방족 인산 에스테르염, 탄소수 8∼22의 알케닐기를 갖는 지방족 인산 에스테르염 등을 들 수 있지만, 그 중에서도 탄소수 12∼18의 알케닐기를 갖는 지방족 2염기산 알칼리금속염, 탄소수 12∼18의 알케닐기를 갖는 지방족 2염기산 유기아민염, 탄소수 12∼18의 알케닐기를 갖는 지방족 인산에스테르 알칼리금속염, 탄소수 12∼18의 알케닐기를 갖는 지방족 인산에스테르 유기아민염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지방족 2염기산염 및/또는 지방족 인산에스테르염의 합성섬유용 처리제중의 함유비율은 O.1∼1중량%로 한다.
본 발명의 합성섬유용 처리제를 합성섬유에 부착시킬 때의 형태로서는 니트, 유기용제 용액, 수성액 등 공지의 형태를 적용할 수 있고, 합성섬유에 본 발명의 합성섬유용 처리제를 부착시키는 공정으로서는 방사공정, 방사와 연신을 동시에 행 하는 공정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본발명의 합성섬유용 처리제를 합성섬유에 부착시키는 방법으로서는 롤러급유법, 계량펌프를 이용한 가이드급유법, 침지급유법, 스프레이급유법 등 공지의 급유방법을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합성섬유용 처리제는 이것을 수성액으로 하고, 상기 수성액을 방사한 합성섬유에 대해서 합성섬유용 처리제로서 0.1∼3중량%가 되도록 부착시킨 후, 부착시킨 합성섬유를 고속하에서 연신과 동시에 가연 가공하는 경우에 있어서 효과의 발현이 높고, 특히 비접촉식 히터를 장비한 가연 가공기를 이용하여 고속하에서 연신과 동시에 가연 가공하는 경우에 있어서 효과의 발현이 보다 높다. 상기한 바와 같은 고속하의 가연 가공에 있어서도, 주행 사조에 이상한 장력변동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함으로서 염색 반점이 발생되지 않는 우수한 실 품질의 가연 가공사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합성섬유 처리제를 적용하는 합성섬유로서는 폴리에스테르계 섬유, 폴리아미드계 섬유, 폴리아크릴계 섬유, 폴리올레핀계 섬유, 폴리우레탄계 섬유 등을 들 수 있지만, 폴리에스테르계 섬유 또는 폴리아미드계 섬유에 적용하는 경우에 본 발명의 효과의 발현이 높다.
본 발명의 합성섬유용 처리제의 실시형태로서는, 다음 1)∼7)을 들 수 있다.
1) 하기의 윤활제(L-1)를 75중량%, 하기의 윤활제(L-3)를 10중량%, 하기의 비이온성 계면활성제(D-1)를 10중량%, 하기의 양성 계면활성제(AD-1)를 0.5중량%, 하기의 항산화제(A-1)를 0.5중량%, 하기의 폴리에테르 변성 실리콘(S-1)을 1중량%, 라우릴호박산칼륨염(LA-1)을 0.5중량%, 라우릴인산에스테르디에탄올아민염(LP-1)을 O.5중량% 및 에틸렌글리콜을 2중량%의 비율로 함유하여 이루어지는 합성섬유용 처리제.
윤활제(L-1) : 메틸알코올에 에틸렌옥시드와 프로필렌옥시드를 블록상으로 부가한 수평균 분자량 1500의 폴리에테르모노올/메틸알코올에 에틸렌옥시드와 프로필렌옥시드를 블록상으로 부가한 수평균 분자량 2300의 폴리에테르모노올/글리세린에 에틸렌옥시드와 프로필렌옥시드를 블록상으로 부가한 수평균 분자량 5000의 폴리에테르트리올=19/58/23(중량비)의 혼합물
윤활제(L-3) : 옥틸옥시폴리에톡시(에톡시단위의 반복수 6)에틸데카네이트
비이온성 계면활성제(D-1) : 옥시에틸렌단위의 반복수 5의 폴리옥시에틸렌기 및 탄소수 13의 알킬기를 갖는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옥시에틸렌단위의 반복수 10의 폴리옥시에틸렌기 및 탄소수 14의 알킬기를 갖는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50/50(중량비)의 혼합물
양성 계면활성제(AD-1) : 화학식 1중의 R1이 스테아로일기, R2가 수소, R3 및 R4가 메틸기, n이 3인 경우의 베타인형 양성 계면활성제
항산화제(A-1) : 1,3,5-트리스(4-t-부틸-3-히드록시-2,6-디메틸)이소시아누르산
폴리에테르 변성 실리콘(S-1) : 주쇄로서 평균 분자량 2500의 폴리디메틸실옥산쇄 및 측쇄로서 평균 분자량 1500의 폴리옥시에틸렌쇄를 갖는 폴리에테르 변성 실시콘
2) 하기의 윤활제(L-2)를 75중량%, 하기의 윤활제(L-4)를 15중량%, 하기의 비이온성 계면활성제(D-2)를 7중량%, 하기의 양성 계면활성제(AD-2)를 1중량%, 전술한 항산화제(A-1)를 0.5중량%, 전술한 폴리에테르 변성 실리콘(S-1)을 1중량% 및 도데세닐호박산나트륨염(LA-2)을 0.5중량%의 비율로 함유하여 이루어지는 합성섬유용 처리제.
윤활제(L-2) : 메틸알코올에 에틸렌옥시드와 프로필렌옥시드를 램덤상으로 부가한 수평균 분자량 1500의 폴리에테르모노올/메틸알코올에 에틸렌옥시드와 프로필렌옥시드를 랜덤상으로 부가한 수평균 분자량 2300의 폴리에테르모노올/글리세린에 에틸렌옥시드와 프로필렌옥시드를 랜덤상으로 부가한 수평균 분자량 5000의 폴리에테르트리올=35/47/18(중량비)의 혼합물
윤활제(L-4) : 디라우릴폴리에톡시(에톡시단위의 반복수 3)에틸아디페이트
비이온성 계면활성제(D-2) : 옥시에틸렌단위의 반복수 5의 폴리옥시에틸렌기 및 탄소수 13의 알킬기를 갖는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옥시에틸렌단위의 반복수 10의 폴리옥시에틸렌기 및 탄소수 14의 알킬기를 갖는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70/30(중량비)의 혼합물
양성 계면활성제(AD-2) : 화학식 1중의 R1이 팔미토일기, R2가 수소, R3 및 R4가 메틸기, n이 3인 경우의 베타인형 양성 계면활성제
3) 전술한 윤활제(L-1)를 65중량%, 전술한 윤활제(L-4)를 15중량%, 전술한 비이온성 계면활성제(D-1)를 15중량%, 하기의 양성 계면활성제(AM-1)를 1중량%, 전 술한 항산화제(A-1)를 0.5중량%, 하기의 폴리에테르 변성 실리콘(S-2)를 1중량%, 라우릴인산에스테르디에탄올아민염(LP-1)을 O.5중량% 및 디에틸렌글리콜을 2중량%의 비율로 함유하여 이루어지는 합성섬유용 처리제.
양성 계면활성제(AM-1) : 화학식 2중의 R5가 스테아릴기, Y가 P, R6∼R9가 메틸기인 경우의 알라닌형 양성 계면활성제
폴리에테르 변성 실리콘(S-2) : 주쇄로서 평균 분자량 2000의 폴리디메틸실옥산쇄 및 측쇄로서 평균 분자량 3000의 폴리옥시에틸렌쇄를 갖는 폴리에테르 변성 실리콘
4) 전술한 윤활제(L-2)를 70중량%, 전술한 윤활제(L-3)를 10중량%, 전술한 비이온성 계면활성제(D-1)를 14.5중량%, 하기의 양성 계면활성제(AD-3)를 1중량%, 전술한 항산화제(A-1)를 0.5중량%, 전술한 폴리에테르 변성 실리콘(S-1)을 1중량%, 라우릴호박산칼륨염(LA-1)을 0.5중량%, 라우릴인산에스테르디에탄올아민염(LP-1)을 0.5중량% 및 에틸렌글리콜을 2중량%의 비율로 함유하여 이루어지는 합성섬유용 처리제.
양성 계면활성제(AD-3) : 화학식 1중의 R1이 라우로일기, R2가 수소, R3 및 R4가 메틸기, n이 3인 경우의 베타인형 양성 계면활성제
5) 전술한 윤활제(L-1)를 80중량%, 전술한 비이온성 계면활성제(D-1)를 17중량%, 하기의 양성 계면활성제(AM-2)를 1중량%, 전술한 항산화제(A-1)를 0.5중량%, 전술한 폴리에테르 변성 실리콘(S-1)을 1중량% 및 도데세닐호박산나트륨염(LA-2)을 0.5중량%의 비율로 함유하여 이루어지는 합성섬유용 처리제.
양성 계면활성제(AM-2) : 화학식 2중의 R5가 라우릴기, Y가 P, R6∼R9가 부틸기인 경우의 알라닌형 양성 계면활성제
6) 전술한 윤활제(L-2)를 75중량%, 전술한 비이온성 계면활성제(D-2)를 19.5중량%, 하기의 양성 계면활성제(AM-4)를 1.5중량%, 전술한 항산화제(A-1)를 0.5중량%, 전술한 폴리에테르 변성 실리콘(S-2)를 1중량%, 라우릴인산에스테르디에탄올아민염(LP-1)을 0.5중량% 및 디에틸렌글리콜을 2중량%의 비율로 함유하여 이루어지는 합성섬유용 처리제.
양성 계면활성제(AM-4) : 화학식 2중의 R5가 스테아릴기, Y가 N, R6∼R9가 메틸기인 경우의 알라닌형 양성 계면활성제
7) 전술한 윤활제(L-1)를 85중량%, 전술한 비이온성 계면활성제(D-2)를 9중량%,하기의 양성 계면활성제(AM-5)를 1.5중량%, 전술한 항산화제(A-1)를 0.5중량%, 전술한 폴리에테르 변성 실리콘(S-1)을 1중량%, 라우릴호박산칼륨염(LA-1)을 0.5중량%, 라우릴인산에스테르디에탄올아민염(LP-l)을 O.5중량% 및 에틸렌글리콜을 2중량%의 비율로 함유하여 이루어지는 합성섬유용 처리제.
양성 계면활성제(AM-5) :화학식 2중의 R5가 라우릴기, Y가 N, R6∼R9가 에틸기인 경우의 알라닌형 양성 계면활성제
또한 본 발명의 합성섬유의 처리방법의 실시형태로서는, 다음 8)을 들 수 있다.
8) 전기 1)∼7)중에서 어느 하나의 합성섬유용 처리제를 수성액으로 하고, 이 수성액을 방사한 폴리에스테르계 섬유에 대해서 합성섬유용 처리제로서 0.5중량%가 되도록 부착시킨 후, 부착시킨 합성섬유를 비접착식의 숏 히터를 장비한 가연 가공기를 이용하여 실의 속도 1000m/분으로 연신과 동시에 가연 가공하는 방법.
이하, 본 발명의 구성 및 효과를 보다 구체적으로 하기 위해 실시예 등을 들지만, 본 발명이 이들의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그리고, 이하의 실시예 등에 있어서 부는 중량부를, %은 중량%를 의미한다.
실시예
시험구분 1 (합성섬유용 처리제의 조제)
실시예 1
하기의 윤활제(L-1) 75 중량부, 하기의 윤활제(L-3) 10 중량부, 하기의 비이온성 계면활성제(D-1) 10 중량부, 하기의 양성 계면활성제(AD-1) 0.5 중량부, 하기의 항산화제(A-1) 0.5 중량부, 하기의 폴리에테르 변성 실리콘(S-1) 1 중량부, 라우릴호박산칼륨염(LA-1) 0.5 중량부, 라우릴인산에스테르디에탄올아민염(LP-1) 0.5 중량부 및 에틸렌글리콜 2 중량부를 균일 혼합하여 합성섬유용 처리제(실시예 1)를 조제하였다.
윤활제(L-1) : 메틸알코올에 에틸렌옥시드와 프로필렌옥시드를 블록상으로 부가한 수평균 분자량 1500의 폴리에테르모노올/메틸알코올에 에틸렌옥시드와 프로필렌옥시드를 블록상으로 부가한 수평균 분자량 2300의 폴리에테르모노올/글리세린 에 에틸렌옥시드와 프로필렌옥시드를 블록상으로 부가한 수평균 분자량 5000의 폴리에테르트리올=19/58/23(중량비)의 혼합물
윤활제(L-3) :옥틸옥시폴리에톡시(에톡시단위가 반복수 6)에틸데카네이트
비이온성 계면활성제(D-1) : 옥시에틸렌단위의 반복수 5의 폴리옥시에틸렌기 및 탄소수 13의 알킬기를 갖는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옥시에틸렌단위의 반복수 10의 폴리옥시에틸렌기 및 탄소수 14의 알킬기를 갖는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50/50(중량비)의 혼합물
양성 계면활성제(AD-1) :화학식 1중의 R1이 스테아로일기, R2가 수소, R3 및 R4가 메틸기, n이 3인 경우의 베타인형 양성 계면활성제
항산화제(A-1) : 1,3,5-트리스(4-t-부틸-3-히드록시-2,6-디메틸)이소시아누르산
폴리에테르 변성 실리콘(S-1) : 주쇄로서 평균 분자량 2500의 폴리디메틸실옥산쇄 및 측쇄로서 평균 분자량 1500의 폴리옥시에틸렌쇄를 갖는 폴리에테르 변성 실리콘
·실시예 2∼14 및 비교예 1∼12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실시예 2∼14 및 비교예 1∼12의 각 합성섬유용 처리제를 조제하였다. 실시예 1도 포함하여 각 예의 합성섬유용 처리제의 조제에 이용한 양성 계면활성제의 내용을 표 1과 표 2에 정리하여 나타내었고, 또한 각 예에서 조제한 합성섬유용 처리제의 내용을 표 3에 정리하여 나타내었다.
표 1
종류 R1 R2 R3 R4 n
AD-1 AD-2 AD-3 AD-4 스테아로일기 팔미토일기 라우로일기 올레오일기 수소 수소 수소 메틸기 메틸기 메틸기 메틸기 메틸기 메틸기 메틸기 메틸기 메틸기 3 3 3 2
ad-1 ad-2 헥사노일기 라우릴기 수소 메틸기 메틸기 메틸기 메틸기 메틸기 3 3
표 2
종류 R5 Y R6 R7 R8 R9
AM-1 AM-2 AM-3 AM-4 AM-5 AM-6 스테아릴기 라우릴기 올레일기 스테아릴기 라우릴기 올레일기 P P P N N N 메틸기 부틸기 부틸기 메틸기 에틸기 에틸기 메틸기 부틸기 부틸기 메틸기 에틸기 에틸기 메틸기 부틸기 부틸기 메틸기 에틸기 에틸기 메틸기 부틸기 부틸기 메틸기 에틸기 에틸기
am-1 am-2 헥실기 헥실기 P N 메틸기 메틸기 메틸기 메틸기 메틸기 메틸기 메틸기 메틸기
시험구분 2 (합성섬유에의 합성섬유용 처리제의 부착, 가연 가공 및 평가)
·합성섬유에의 합성섬유용 처리제의 부착
시험구분 1에서 조제한 각 합성섬유용 처리제와 희석수를 균일 혼합하여 10% 수성액으로 하였다. 고유점도 0.64, 산화티타늄 함유량 0.2%의 폴리에틸렌텔레프탈레이트칩을 상법에 의해 건조시킨 후, 압출성형기를 이용하여 295℃에서 방사하여, 방사구금으로부터 토출시켜 냉각고화시킨 후의 주행 사조에, 조제한 10% 수성액을 계량펌프를 이용하여 가이드급유법으로 합성섬유용 처리제로서의 부착량이 표 3 기재의 부착량이 되도록 부착시킨 후, 가이드로 집속시켜 기계적인 연신을 수반하지 않고, 4000m/분의 속도로 권취하여 13 텍스 36 필라멘트의 부분 연신사를 10㎏ 권괴(捲塊:케이크, wound cake)로서 복수개 얻었다.
·고온 숏 히터식 가연기에 의한 가연 가공
상기에서 얻은 케이크를 고온 숏 히터식 가연기(테이진제기사 제조의 HTS-1500)에 이용하여 가공속도; 1000m/분, 연신배율; 1.685, 시연(施撚)방식; 9㎜두께 폴리우레탄디스크 마찰방식, 가연측 히터; 길이 1m, 입구부 온도 420℃, 출구부 온도 330℃, 해연(解撚)측 히터; 없음, 목표 연수(撚數); 3300T/m의 조건으로 가연 가공를 행하였다.
·이상 장력변동의 평가
상기의 고온 숏 히터식 가연기의 시연부의 직후에 장력변동측정기(템코사 제조의 온라인텐서)를 설치하여 주행 사조의 장력변동을 기록하였다. 전술한 10㎏ 권괴로서 얻은 부분 연신사 1톤당의 장력변동의 평균치를 구하고, 이 평균치에 대한 이상 장력변동의 회수로 하기의 기준에 의해 이상 장력변동을 평가하였다. 결과를 표 3에 정리하여 나타내었다.
평가 기준
AAA : 평균치의 ±10%를 초과하는 이상 장력변동이 없다.
AA : 평균치의 ±10%∼±30%에 상당하는 이상 장력변동이 1∼2회 있다.
A : 평균치의 ±10%∼±30%에 상당하는 이상 장력변동이 3∼4회 있다.
B : 평균치의 ±10%∼±30%에 상당하는 이상 장력변동이 5회 이상 있다.
C : 평균치의 ±30%를 초과하는 이상 장력변동이 있다.
·염색 반점의 평가
상기의 장력변동을 측정한 가연 가공사를 이용하여 통편기(筒編機)로 지름 70㎜, 길이 1.2㎜의 편지(編地)를 작성하였다. 작성한 편지를 분산염료(일본화약사 제조의 카야론폴리에스테르블루EBL-E)를 이용하여 고압염색법에 의해 염색하였다. 염색한 편지를 상법에 따라서 수세, 환원세정 및 건조시킨 후, 지름 70㎜, 길이 1㎜의 철제통에 장착하여 편지 표면의 농염 부분의 점수를 육안으로 세어서 이하의 기준으로 염색 반점을 평가하였다. 결과를 표 3에 정리하여 나타내었다.
평가 기준
AAA : 농염 부분이 없다.
AA : 농염 부분이 1∼2점 있다.
A : 농염 부분이 3∼6점 있다.
B : 농염 부분이 7∼12점 있다.
C : 농염 부분이 13점 이상 있다.
표 3
Figure 112004055501969-pat00008
삭제
표 3에 있어서,
비율 : 합성섬유용 처리제중에 차지하는 %
부착량 : 합성섬유에 대한 합성섬유용 처리제로서의 부착 %
L-1 : 메틸알코올에 에틸렌옥시드와 프로필렌옥시드를 블록상으로 부가한 수 평균 분자량 1500의 폴리에테르모노올/메틸알코올에 에틸렌옥시드와 프로필렌옥시드를 블록상으로 부가한 수평균 분자량 2300의 폴리에테르모노올/글리세린에 에틸렌옥시드와 프로필렌옥시드를 블록상으로 부가한 수평균 분자량 5000의 폴리에테르트리올=19/58/23(중량비)의 혼합물
L-2 : 메틸알코올에 에틸렌옥시드와 프로필렌옥시드를 랜덤상으로 부가한 수평균 분자량 1500의 폴리에테르모노올/메틸알코올에 에틸렌옥시드와 프로필렌옥시드를 랜덤상으로 부가한 수평균 분자량 2300의 폴리에테르모노올/글리세린에 에틸렌옥시드와 프로필렌옥시드를 랜덤상으로 부가한 수평균 분자량 5000의 폴리에테르트리올=35/47/l8(중량비)의 혼합물
L-3 : 옥틸옥시폴리에톡시(에톡시단위의 반복수 6)에틸데카네이트
L-4 : 디라우릴폴리에톡시(에톡시단위의 반복수 3)에틸아디페이트
L-5 : 옥틸이소스테아레이트
L-6 : 30℃에서의 점도가 2×1O-5㎡/s의 유동 파라핀오일
D-1 : 옥시에틸렌단위의 반복수 5의 폴리옥시에틸렌기 및 탄소수 13의 알킬기를 갖는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옥시에틸렌단위의 반복수 10의 폴리옥시에틸렌기 및 탄소수 14의 알킬기를 갖는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50/50(중량비)의 혼합물
D-2 : 옥시에틸렌단위의 반복수 5의 폴리옥시에틸렌기 및 탄소수 13의 알킬기를 갖는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옥시에틸렌단위의 반복수 10의 폴리옥시에틸렌기 및 탄소수 14의 알킬기를 갖는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70/30(중량비)의 혼 합물
D-3 : 옥시에틸렌단위의 반복수 7의 폴리옥시에틸렌기 및 탄소수 12의 알킬기를 갖는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옥시에틸렌단위의 반복수 12의 폴리옥시에틸렌기 및 탄소수 18의 분기 알킬기를 갖는 폴리옥시에틸렌분기알킬에테르=50/50(중량비)의 혼합물
AD-1∼AD-4 및 ad-1, ad-2 : 표 1에 기재된 베타인형 양성 계면활성제
AM-1∼AM-6 및 am-1, am-2 : 표 2에 기재된 알라닌형 양성 계면활성제
MX-1 : A-1/S-1/LA-1/LP-1/AU-1=0.5/1/0.5/0.5/2(중량비)의 혼합물
MX-2 : A-1/S-1/LA-2=0.5/1/0.5(중량비)의 혼합물
MX-3 : A-1/S-2/LP-1/AU-2=0.5/1/0.5/2(중량비)의 혼합물
MX-4 : A-1/S-1=0.5/0.5(중량비)의 혼합물
A-1 : 1,3,5-트리스(4-t-부틸-3-히드록시-2,6-디메틸)이소시아누르산
A-2 : 트리스(3,5-디-t-부틸-4-히드록시벤질)이소시아누레이트
S-1 : 주쇄로서 평균 분자량 2500의 폴리디메틸실옥산쇄 및 측쇄로서 평균 분자량 1500의 폴리옥시에틸렌쇄를 갖는 폴리에테르 변성 실리콘
S-2 : 주쇄로서 평균 분자량 2000의 폴리디메틸실옥산쇄 및 측쇄로서 평균 분자량 3000의 폴리옥시에틸렌쇄를 갖는 폴리에테르 변성 실리콘
LA-1 : 라우릴호박산칼륨염
LA-2 : 도데세닐호박산나트륨염
LP-1 : 라우릴인산에스테르디에탄올아민염
LP-2 : 이소스테아릴인산에스테르디부틸에탄올아민염
AU-1 : 에틸렌글리콜
AU-2 : 디에틸렌글리콜
aa-1 : 유산테트라 에틸암모늄 염
이미 명확해진 바와 같이, 이상 설명한 본 발명에는 고속하의 가연 가공에 있어서도, 특히 비접촉식 히터를 장비한 가연 가공기를 이용하여 고속하에서 연신과 동시에 가연 가공하는 경우에 있어서도, 주행 사조에 이상한 장력변동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함으로서 염색 반점이 발생되지 않는 우수한 실 품질의 가연 가공사를 얻을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Claims (16)

  1. 윤활제를 65∼94중량%,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를 5∼20중량% 및 양성 계면활성제를 0.1∼5중량%의 비율로 함유하며, 상기 양성 계면활성제는 하기 화학식 1로 나타내어지는 베타인형 양성 계면활성제 및 하기 화학식 2로 나타내어지는 알라닌형 양성 계면활성제로부터 선택되는 1개 또는 2개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섬유용 처리제.
    [화학식 1]
    Figure 112000002498771-pat00003
    [화학식 2 ]
    Figure 112000002498771-pat00004
    상기 화학식 1 및 2에서,
    R1 : 탄소수 8∼22의 알카노일기 또는 탄소수 8∼22의 알케노일기
    R2 : 수소 또는 메틸기
    R3, R4 : 탄소수 1∼4의 알킬기
    R5 : 탄소수 8∼22의 알킬기 또는 탄소수 8∼22의 알케닐기
    R6∼R9 : 탄소수 1∼4의 알킬기
    Y : N 또는 P
    n : 2 또는 3.
  2. 제 1 항에 있어서, 베타인형 양성 계면활성제가 화학식 1중의 R1이 탄소수 12∼18의 알카노일기, R2가 수소, R3 및 R4가 메틸기인 경우이고, 또한 알라닌형 양성 계면활성제가 화학식 2중의 R5가 탄소수 12∼18의 알킬기인 경우인 합성섬유용 처리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윤활제가 폴리에테르 화합물 또는 폴리에테르 화합물과 (폴리)에테르에스테르 화합물과의 혼합물이고, 또한 상기 폴리에테르 화합물이 수평균 분자량 1000∼2000의 폴리에테르 화합물 10∼40중량%, 수평균 분자량 2100∼3000의 폴리에테르 화합물 40∼60중량% 및 수평균 분자량 3100∼7000의 폴리에테르 화합물 10∼30중량%의 비율로 이루어지는 혼합물인 합성섬유용 처리제.
  4. 제 2 항에 있어서, 윤활제가, 폴리에테르 화합물 또는 폴리에테르 화합물과 (폴리)에테르에스테르 화합물과의 혼합물이고, 또한 상기 폴리에테르 화합물이 수 평균 분자량 1000∼2000의 폴리에테르 화합물 10∼40중량%, 수평균 분자량 2100∼3000의 폴리에테르 화합물 40∼60중량% 및 수평균 분자량 3100∼7000의 폴리에테르 화합물 10∼30중량%의 비율로 이루어지는 혼합물인 합성섬유용 처리제.
  5. 제 3 항에 있어서, 비이온성 계면활성제가 분자중에 옥시에틸렌기의 반복수 3∼15의 폴리옥시에틸렌기 및 탄소수 8∼18의 알킬기를 갖는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인 합성섬유용 처리제.
  6. 제 4 항에 있어서, 비이온성 계면활성제가 분자중에 옥시에틸렌기의 반복수 3∼15의 폴리옥시에틸렌기 및 탄소수 8∼18의 알킬기를 갖는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인 합성섬유용 처리제.
  7. 제 5 항에 있어서, 추가로 항산화제를 0.1∼3중량%, 폴리에테르 변성 실리콘을 0.1∼2.5중량%, 지방족 2염기산염 및 지방족 인산에스테르염으로부터 선택되는 1개 또는 2개 이상을 0.1∼1중량%의 비율로 함유하는 합성섬유용 처리제.
  8. 제 6 항에 있어서, 추가로 항산화제를 0.1∼3중량%, 폴리에테르 변성 실리콘을 0.1∼2.5중량%, 지방족 2염기산염 및 지방족 인산에스테르염으로부터 선택되는 1개 또는 2개 이상을 0.1∼1중량%의 비율로 함유하는 합성섬유용 처리제.
  9. 윤활제를 65∼94중량%,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를 5∼20중량% 및 하기의 양성 계면활성제를 0.1∼5중량%의 비율로 함유하여 이루어지는 합성섬유용 처리제를, 방사한 합성섬유에 대해서 0.1∼3중량%가 되도록 부착시킨 후, 연신과 동시에 가연 가공하며, 상기 양성 계면활성제는 하기 화학식 1로 나타내어지는 베타인형 양성 계면활성제 및 하기 화학식 2로 나타내어지는 알라닌형 양성 계면활성제로부터 선택되는 1개 또는 2개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섬유의 처리방법.
    [화학식 1]
    Figure 112000002498771-pat00005
    [화학식 2]
    Figure 112000002498771-pat00006
    상기화학식 1 및 2에서,
    R1 : 탄소수 8∼22의 알카노일기 또는 탄소수 8∼22의 알케노일기
    R2 : 수소 또는 메틸기
    R3, R4 : 탄소수 1∼4의 알킬기
    R5 : 탄소수 8∼22의 알킬기 또는 탄소수 8∼22의 알케닐기
    R6∼R9 : 탄소수 1∼4의 알킬기
    Y : N 또는 P
    n : 2 또는 3.
  10. 제 9 항에 있어서, 베타인형 양성 계면활성제가 화학식 1중의 R1이 탄소수 12∼18의 알카노일기, R2가 수소, R3 및 R4가 메틸기인 경우이고, 또한 알라닌형 양성 계면활성제가 화학식 2중의 R5가 탄소수 12∼18의 알킬기인 경우인 합성섬유용 처리제를 방사한 합성섬유에 부착시키는 합성섬유의 처리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윤활제가 폴리에테르 화합물 또는 폴리에테르 화합물과 (폴리)에테르에스테르 화합물과의 혼합물이고, 또한 상기 폴리에테르 화합물이 수평균 분자량 1000∼2000의 폴리에테르 화합물 10∼40중량%, 수평균 분자량 2100∼3000의 폴리에테르 화합물 40∼60중량% 및 수평균 분자량 3100∼7000의 폴리에테르 화합물 10∼30중량%의 비율로 이루어지는 혼합물인 합성섬유용 처리제를 방사한 합성섬유에 부착시키는 합성섬유의 처리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비이온성 계면활성제가 분자중에 옥시에틸렌기의 반복수 3∼15의 폴리옥시에틸렌기 및 탄소수 8∼18의 알킬기를 갖는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인 합성섬유용 처리제를 방사한 합성섬유에 부착시키는 합성섬유의 처리방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추가로 항산화제를 0.1∼3중량%, 폴리에테르 변성 실리콘을 0.1∼2.5중량%, 지방족 2염기산염 및 지방족 인산에스테르염으로부터 선택되는 1개 또는 2개 이상을 0.1∼1중량%의 비율로 함유하는 합성섬유용 처리제를 방사한 합성섬유에 부착시키는 합성섬유의 처리방법.
  14. 제 9 항에 있어서, 비접촉식 히터를 장비한 가연가공기를 이용하여 연신과 동시에 가연 가공하는 합성섬유의 처리방법.
  15. 제 12 항에 있어서, 비접촉식 히터를 장비한 가연가공기를 이용하여 연신과 동시에 가연 가공하는 합성섬유의 처리방법.
  16. 제 13 항에 있어서, 비접촉식 히터를 장비한 가연가공기를 이용하여 연신과 동시에 가연 가공하는 합성섬유의 처리방법.
KR1020000006466A 1999-11-24 2000-02-11 합성섬유용 처리제 및 합성섬유의 처리방법 KR10059081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33222799A JP4052771B2 (ja) 1999-11-24 1999-11-24 合成繊維用処理剤及び合成繊維の処理方法
JP332227/1999 1999-11-2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49208A KR20010049208A (ko) 2001-06-15
KR100590816B1 true KR100590816B1 (ko) 2006-06-19

Family

ID=182526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06466A KR100590816B1 (ko) 1999-11-24 2000-02-11 합성섬유용 처리제 및 합성섬유의 처리방법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2) US6432144B1 (ko)
EP (1) EP1103651B1 (ko)
JP (1) JP4052771B2 (ko)
KR (1) KR100590816B1 (ko)
AT (1) ATE287467T1 (ko)
DE (1) DE60017532T2 (ko)
ES (1) ES2234531T3 (ko)
TW (1) TW593834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725464B2 (ja) * 2001-10-31 2005-12-14 竹本油脂株式会社 生分解性合成繊維フィラメント用油剤及び生分解性合成繊維フィラメントの処理方法
JP4090036B2 (ja) * 2003-03-26 2008-05-28 竹本油脂株式会社 合成繊維処理剤及び合成繊維の処理方法
TWI358481B (en) 2004-06-03 2012-02-21 Takemoto Oil & Fat Co Ltd Processing agents and methods for synthetic fibers
JP4691396B2 (ja) * 2004-06-03 2011-06-01 竹本油脂株式会社 合成繊維用処理剤及び合成繊維の処理方法
JP4456532B2 (ja) * 2004-08-03 2010-04-28 竹本油脂株式会社 合成繊維用処理剤及び合成繊維の処理方法
JP4691415B2 (ja) * 2004-11-02 2011-06-01 竹本油脂株式会社 合成繊維用処理剤及び合成繊維の処理方法
US8604122B2 (en) * 2006-12-20 2013-12-10 Rohm And Haas Company Curable aqueous compositions
JP5369253B1 (ja) * 2012-05-11 2013-12-18 松本油脂製薬株式会社 ポリエステル系繊維用のオリゴマー除去剤及びその利用
JP5213291B1 (ja) * 2012-09-28 2013-06-19 竹本油脂株式会社 合成繊維用処理剤、合成繊維用処理剤水性液、合成繊維の処理方法及び合成繊維
JP6362862B2 (ja) * 2013-12-27 2018-07-25 ミヨシ油脂株式会社 洗浄剤用液状増粘剤とそれを用いた洗浄剤組成物
GB201413355D0 (en) 2014-07-28 2014-09-10 Innospec Ltd Compositons and methods
JP6895194B1 (ja) * 2020-12-01 2021-06-30 竹本油脂株式会社 仮撚加工機用ヒーター塗布剤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81368A (ja) * 1984-02-28 1985-09-17 東洋紡績株式会社 仮撚加工用紡糸油剤
JPS6359483A (ja) * 1987-01-23 1988-03-15 帝人株式会社 高速延伸摩擦仮撚加工用原糸及び該原糸の仮撚方法
JP2669559B2 (ja) * 1989-09-07 1997-10-29 花王株式会社 アクリル繊維用紡績油剤
JP2989303B2 (ja) * 1991-04-03 1999-12-13 株式会社成和化成 繊維処理剤
JPH05287676A (ja) * 1992-04-08 1993-11-02 Toray Ind Inc 繊維製品の帯電防止方法
GB2270919B (en) * 1992-09-26 1996-04-24 Sandoz Ltd Aqueous wax and silicone dispersions,their production and use
JP2992419B2 (ja) * 1992-12-22 1999-12-20 花王株式会社 柔軟仕上剤
JPH06322610A (ja) * 1993-05-14 1994-11-22 Toray Ind Inc ポリオレフィン系繊維の製造方法
JPH07216733A (ja) * 1994-02-02 1995-08-15 Sanyo Chem Ind Ltd 繊維用紡糸油剤
JP3086153B2 (ja) * 1995-05-29 2000-09-11 帝人株式会社 合成繊維の延伸仮撚方法
JP3406741B2 (ja) * 1995-08-03 2003-05-12 カネボウ株式会社 皮膚洗浄剤組成物
JPH09151391A (ja) * 1995-11-29 1997-06-10 Ajinomoto Co Inc 洗浄剤組成物
JP3649419B2 (ja) * 1996-08-27 2005-05-18 竹本油脂株式会社 熱処理工程に供する合成繊維フィラメント糸条用の潤滑剤及び合成繊維フィラメント糸条の処理方法
JPH10331030A (ja) * 1997-06-03 1998-12-15 Unitika Ltd ポリエステル繊維及びその製造方法
JPH11181691A (ja) * 1997-12-17 1999-07-06 Hakuto Co Ltd 抄紙用フェルトの洗浄方法
JP3907313B2 (ja) * 1998-04-27 2007-04-18 竹本油脂株式会社 仮撚工程に供する合成繊維用の処理剤及び合成繊維の処理方法
US6143038A (en) * 1998-04-27 2000-11-07 Takemoto Yushi Kabushiki Kaisha Agents for and methods of processing synthetic fibers
JPH11350349A (ja) * 1998-06-10 1999-12-21 Kao Corp 柔軟仕上げ剤組成物
GB9901688D0 (en) * 1999-01-26 1999-03-17 Unilever Plc Detergent compositions
GB9913551D0 (en) * 1999-06-10 1999-08-11 Unilever Plc Cleaning composition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TE287467T1 (de) 2005-02-15
KR20010049208A (ko) 2001-06-15
EP1103651A1 (en) 2001-05-30
US6730130B2 (en) 2004-05-04
DE60017532T2 (de) 2006-01-12
ES2234531T3 (es) 2005-07-01
DE60017532D1 (de) 2005-02-24
JP4052771B2 (ja) 2008-02-27
US20020133884A1 (en) 2002-09-26
JP2001146684A (ja) 2001-05-29
US6432144B1 (en) 2002-08-13
EP1103651B1 (en) 2005-01-19
TW593834B (en) 2004-06-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90816B1 (ko) 합성섬유용 처리제 및 합성섬유의 처리방법
KR101189514B1 (ko) 합성 섬유용 처리제 및 합성 섬유의 처리 방법
KR101157465B1 (ko) 합성 섬유용 처리제 및 합성 섬유의 처리 방법
WO2014024647A1 (ja) 合成繊維用処理剤及びその利用
WO2019176892A1 (ja) 合成繊維用処理剤の希釈液及び合成繊維の製造方法
JP6321860B1 (ja) 合成繊維用処理剤、合成繊維及び合成繊維の処理方法
EP0077406B1 (en) Lubricant for treating synthetic fibers
US4297407A (en) Finish composition for the spinning of highly crimped cellulose fibers using a composition cont. fatty acid ester, organic phosphoric acid ester, fatty acid ethylene oxide cond. prod. and fatty acid salt
WO2015068671A1 (ja) 合成繊維用処理剤及びその利用
JP3904514B2 (ja) 合成繊維用処理剤及び合成繊維の処理方法
US3888775A (en) Oil composition for synthetic staple fibers
CN106103836B (zh) 合成纤维处理剂及其用途
US6426141B1 (en) High-speed false-twist texturing process
JP3488563B2 (ja) 合成繊維処理剤およびこれを付与する合成繊維の製造法
JP2022186351A (ja) 合成繊維用処理剤及び合成繊維
JP2001040579A (ja) ポリアミド系合成繊維用処理剤
JP2664372B2 (ja) ポリアミド系合成繊維用油剤
JPH0127195B2 (ko)
JP2012107366A (ja) 合成繊維の摩擦仮撚り用処理剤及びその用途
JPH076134B2 (ja) 高速摩擦仮撚に適した油剤
JP2901815B2 (ja) ポリエステルシボ織物の製造方法
ES2201744T3 (es) Procedimiento para el texturizado de torsion falsa de alta velocidad.
JPS5843510B2 (ja) 熱可塑性合成樹維用油剤組成物
JPS6247992B2 (ko)
JPH0127196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2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0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0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3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10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23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