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85824B1 - 커팅장치 - Google Patents

커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85824B1
KR100585824B1 KR1020010074566A KR20010074566A KR100585824B1 KR 100585824 B1 KR100585824 B1 KR 100585824B1 KR 1020010074566 A KR1020010074566 A KR 1020010074566A KR 20010074566 A KR20010074566 A KR 20010074566A KR 100585824 B1 KR100585824 B1 KR 1005858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tting
blade
cutting blade
index table
longitudinal dir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745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41774A (ko
Inventor
야소다히사시
와카바야시노리유키
츠치다타카시
Original Assignee
유에이치티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0361561A external-priority patent/JP4418939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0361562A external-priority patent/JP4418940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1327796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3136470A/ja
Application filed by 유에이치티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유에이치티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200417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417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858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858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3/0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 H05K3/0011Working of insulating substrates or insulating layers
    • H05K3/0044Mechanical working of the substrate, e.g. drilling or punching
    • H05K3/0052Depaneling, i.e. dividing a panel into circuit boards; Working of the edges of circuit boar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3/00Cutting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f the cut made; Apparatus therefor
    • B26D3/12Slitting marginal portions of the work, i.e. forming cuts, without removal of material, at an angle, e.g. a right angle, to the edge of the wor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3/00Cutting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f the cut made; Apparatus therefor
    • B26D3/08Making a superficial cut in the surface of the work without removal of material, e.g. scoring, incising
    • B26D3/085On sheet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5/00Arrangements for operating and controlling machines or device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5/08Means for actuating the cutting member to effect the cu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5/00Arrangements for operating and controlling machines or device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5/08Means for actuating the cutting member to effect the cut
    • B26D5/12Fluid-pressure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5/00Arrangements for operating and controlling machines or device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5/08Means for actuating the cutting member to effect the cut
    • B26D5/16Cam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7/00Details of apparatu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7/01Means for holding or positioning work
    • B26D7/015Means for holding or positioning work for sheet material or piles of she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7/00Details of apparatu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7/20Cutting be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7/00Details of apparatu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7/22Safety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cutting mach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7/00Details of apparatu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7/26Means for mounting or adjusting the cutting member; Means for adjusting the stroke of the cutting memb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7/00Details of apparatu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7/26Means for mounting or adjusting the cutting member; Means for adjusting the stroke of the cutting member
    • B26D7/2628Means for 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cutting memb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7/00Details of apparatu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2007/0012Details, accessories or auxiliary or special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6D2007/0043Details, accessories or auxiliary or special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the cutting machine comprising a linear mot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7/00Details of apparatu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2007/0012Details, accessories or auxiliary or special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6D2007/0056Rotating a pile of sheets in the plane of the she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F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F1/00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Apparatus therefor
    • B26F1/38Cutting-out; Stamping-out
    • B26F2001/3886Cutting-out; Stamping-out shearing by reciprocating a straight blade, e.g. nibbling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3/00
    • H05K2203/02Details related to mechanical or acoustic processing, e.g. drilling, punching, cutting, using ultrasound
    • H05K2203/0228Cutting, sawing, milling or shear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50Convertible metal working machin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83/00Cutting
    • Y10T83/081With randomly actuated stopping means
    • Y10T83/088Responsive to tool detector or work-feed-means detector
    • Y10T83/089Responsive to tool characteristic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83/00Cutting
    • Y10T83/141With means to monitor and control operation [e.g., self-regulating means]
    • Y10T83/148Including means to correct the sensed oper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83/00Cutting
    • Y10T83/647With means to convey work relative to tool station
    • Y10T83/6667Work carrier rotates about axis fixed relative to tool st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83/00Cutting
    • Y10T83/869Means to drive or to guide tool
    • Y10T83/8821With simple rectilinear reciprocating motion only
    • Y10T83/8841Tool driver movable relative to tool support
    • Y10T83/8847Screw actuated tool suppor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83/00Cutting
    • Y10T83/869Means to drive or to guide tool
    • Y10T83/8821With simple rectilinear reciprocating motion only
    • Y10T83/8867With means to adjust tool position on tool hold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ntrol Of Cutting Processes (AREA)
  • Finish Polishing, Edge Sharpening, And Grinding By Specific Grinding Devices (AREA)
  • Details Of Cutt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절단날의 날끝과 공작물의 적재면(테이블이나 인덱스테이블의 표면)과의 사이를 평행하게 하여 공작물의 성질에 따른 절단이나 하프컷을 행할 수 있는 커팅장치에 관한 것으로, 칼럼(A2)에 절단날(B)을 보유하는 지지체(A3)를 동 절단날(B)의 칼날의 길이방향의 경동각도를 제어이동 가능하게 설치하고, 상기 지지체(A3)에 설치한 제어이동 가능한 구동원(M1)으로 절단날(B)의 지지체(A3)에 대한 상하이동을 제어하여, 인덱스테이블(T) 표면과 날끝을 평행관계로 하여 절단 또는 하프컷 한다. 서보모터, 에어실린더, 리니어모터, 유압서보모터, 캠 등의 각각 달리하는 구동원과, 그 구동원으로 상하로 움직이는 절단날(B)을 구비하여 각각 유닛화 하고, 커팅장치(A)의 칼럼(A2)에 선택적으로 교환가능하게 부착한다.

Description

커팅장치{CUTTING APPARATUS}
도 1은 제1발명의 정면도,
도 2는 동 커팅장치의 측면 단면도,
도 3은 제2발명을 나타내고, 서보모터 또는 유압서보모터를 구동원으로 하는 절단날 유닛을, 커팅장치의 칼럼으로부터 분리한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 단면도,
도 4는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동 측면 단면도,
도 5는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동 정면도,
도 6은 제3발명을 나타내고, 구동원으로서 리니어모터를 사용하는 절단날 유닛을 보유하는 커팅장치의 측면 단면도,
도 7은 제4발명을 나타내고, 구동원으로서 에어실린더를 사용하는 절단날 유닛을 보유하는 커팅장치의 측면 단면도,
도 8은 제5발명을 나타내고, 구동원으로서 캠을 사용하는 절단날 유닛을 보유하는 커팅장치의 측면 단면도,
도 9는 제6발명을 나타내고, 인덱스테이블과, 그 인덱스테이블의 표면에 탑재된 센싱부와, 절단날을 하단에 보유하는 커터럼 관계를 나타내는 요부의 사시도,
도 10은 동 제6발명에 있어서, 칼날의 길이방향(X축선방향)의 일단측과 타단측을 센싱부로 검출하여 절단날의 날끝과 인덱스테이블의 표면과의 상대적인 평행도에 대한 날끝의 보정량(오차각도), 즉 절단날의 경동각도 테이터를 얻고 있는 상태를 정면도로 개략적으로 나타내고, 또 인덱스테이블과 절단날의 날끝과의 평행오차를 실제보다도 과장하여 나타낸 도면,
도 11은 동 제6발명에 있어서, 절단날을 소정량만큼 Y축선방향으로 이동시켜서 원점위치(상사점)에서 동 절단날을 하강시켜서 센싱부로 검출하여 원점위치(상사점)로부터의 구동량의 각 데이터를 소정피치만큼 Y축선방향으로 이동시킨 후, 원점위치(상사점)에서 하강시켜서 공작물을 하프컷 또는 절단할 때의 절단날 하강량의 파라미터로서 얻고 있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10과 마찬가지로 인덱스테이블과 절단날의 날끝과의 평행오차를 실제보다 과장하여 나타내고 있는 도면,
도 12는 제7발명을 나타내고, 사용되는 지그의 사시도,
도 13은 동 측면도로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
도 14는 제8발명을 나타내고, 칼날의 길이방향(X축선방향)의 일단측과 타단측을 지그로 검출하여 절단날의 날끝과 인덱스테이블의 표면과의 상대적인 평행도에 대한 날끝의 보정량(오차각도), 즉 절단날의 경동각도 데이터를 얻고 있는 상태를 정면도로 개략적으로 나타내고, 또 인덱스테이블과 절단날의 날끝과의 평행오차를 실제보다 과장하여 나타낸 도면,
도 15는 동 제8발명에 있어서, 절단날을 소정량만큼 Y축선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원점위치(상사점)에서 동 절단날을 하강시켜서 인덱스테이블에 절단날의 날끝 전체길이를 선접촉시켜서 그 때의 원점위치(상사점)로부터의 구동원의 회전량의 각 데이터를 소정피치만큼 Y축선방향으로 이동시킨 후, 원점위치(상사점)로부터 하강시켜서 공작물을 하프컷 또는 절단할 때의 절단날 하강량의 파라미터로서 얻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로 개략적으로 나타내고, 상기 도 10과 마찬가지로 인덱스테이블과 절단날의 날끝의 평행오차를 실제보다 과장되게 나타내고 있는 도면,
도 16은 제9발명을 나타내고, 경동각도 데이터를 입수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로, 인덱스테이블과 절단날의 날끝과의 평행도의 오차를 실제보다 과장하여 나타내고 있는 도면,
도 17은 동 제9발명에 있어서, 절단날을 소정량만큼 Y축선방향으로 이동시켜서, 원점위치(상사점)에서 동 절단날을 하강시켜서 인덱스테이블에 절단날의 날끝 전체길이를 선접촉시켜서 그 때의 원점위치(상사점)로부터의 구동원의 회전량의 각 데이터를 소정피치만큼 Y축선방향으로 이동할 때마다, 원점위치(상사점)에서 하강시켜서 공작물을 하프컷 또는 절단할 때의 절단날 하강량의 파라미터로서 얻고 있는 상태를 측면도로 개략적으로 나타내고, 상기 도 10과 마찬가지로 인덱스테이블과 절단날의 날끝과의 평행오차를 실제보다 과장하여 나타내고 있는 도면이다.
본 발명은 세라믹 수퍼케이지, 세라믹 그린시트의 적층기판, 세라믹 이외의 필름재, 세라믹 콘덴서, 플렉시블기판, 플라스틱판 등의 공작물을 절단 또는 하프컷 하는데 바람직한 커팅장치에 관한 것이다.
커팅장치에는 여러 가지가 있지만, 절단날을 공통하여 구비하고, 예를 들면 커팅장치 또는 공작물을 탑재하는 테이블을 이동시키면서 절단 또는 하프컷 하거나 커팅장치 자체를 정량송출하면서 인덱스테이블에 탑재된 공작물을 절단하거나 하프컷 하는 것이다.
인덱스테이블의 경우에는, 90° 회전시킬 때에 커팅장치 자체를 정량송출하면서 절단 또는 하프컷 하는 것이다.
소결전의 세라믹 그린시트의 적층기판 등을, 바둑판 눈금형상 등으로 하프컷 할 때에는, 절단날을 상하방향으로 제어이동하는 구동원을 구비하여 소정량만큼 이동하는 제어가능한 칼럼(column)과, 공작물을 표면에 탑재하는 인덱스테이블로 이루어지고, 칼럼을 소정피치만큼 전후방향으로 이동시킬 때마다 서보모터로 이루어지는 구동원을 구동하여 인덱스테이블의 표면에 탑재한 공작물을 둘레가장자리부를 남기고 띠형상으로 하프컷 한 후, 그 인덱스테이블을 90° 회전시켜서 마찬가지로 칼럼을 소정피치만큼 전후방향으로 이동시킬 때마다 구동원을 구동시켜서 인덱스테이블의 표면상의 공작물을 마찬가지로 하프컷 하고, 그것을 공작물의 표리 양면에서 행하며, 소성 후에 쪼개어 직사각형상의 팁을 얻도록 되어 있다. 둘레가장자리부를 남기고 하프컷 하는 이유는, 그 둘레가장자리부에 커트용 마크가 실시되고, 그 마크가 소결로 얻어지는 제품(직사각형상의 팁)에 잔존하기 때문이다.
또한, 소결전의 세라믹 그린시트 등의 적층기판 등을, 바둑판 눈금형상 등을 절단하는 경우에는 상기 공정을 공작물의 표면측에서만 행한다.
그런데, 절단하거나 하프컷 되는 공작물에는 다양한 종류가 있고, 예를 들면 세라믹패키지, 세라믹 그린시트의 적층기판, 세라믹 이외의 필름재, 세라믹 콘덴서, 플렉시블기판, 플라스틱판, 제품 팁부 등이 있고, 게다가 절단이나 하프컷할 때에 절단날의 날끝과 테이블의 표면의 관계에는 평행도가 요구된다. 통상, 인덱스테이블의 표면은 편류의 경사평면으로 되어 있다.
그 평행도가 나오지 않으면 완전한 절단을 행할 수 없게 되거나, 절단날이 테이블에 충돌하여 날에 이가 빠지는 것을 발생하거나, 예를 들면 표면측, 이면측으로부터의 하프컷의 깊이가 한결같지 않게 된다.
특히, 하프컷의 깊이가 한결같지 않게 되면, 예를 들면 소성전의 세라믹 그린시트 등의 적층기판 등에서는 소성하여 쪼개었을 때에 균열이나, 부서짐, 층박리 등이 발생하는, 소오필터 등의 오목부를 표면측에 보유하는 적층기판에 있어서는, 층 상호간에 접합면적이 적은 오목부에 근접하는 위치에서 하프컷 되면, 쪼갤 때에 발생하는 분산력으로 오목부의 둘레벽 부분에 균열이 발생하기 쉽고, 층박리가 현저화되는 문제도 발생한다.
종래, 평행도를 내는 방법으로서, 인덱스테이블의 다이로의 부착부재로서 잭볼트를 사용하고, 그 잭볼트로 인덱스테이블을 서서히 들어올리고, 절단날의 날끝과 편류의 경사평면으로 되어 있는 테이블 표면과의 복수의 포인트를 마이크로미터로 계측하면서 평행도를 나타내도록 하고 있기 때문에, 인덱스테이블의 다이로의 조립작업이 매우 번잡화 되고, 조립시간도 늘어나 버린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 사정에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으로 하는 바는, 절단날의 날끝과 테이블의 표면과의 평행도를 이루고 있지 않아도 절단실행시에 평행도를 이루어 공작물을 절단이나 하프컷 하는 커팅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다른 목적으로 하는 바는, 공작물의 성질에 따른 절단이나 하프컷을 행할 수 있는 커팅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강구된 기술적 수단은, 칼럼에 절단날을 보유하는 지지체를 구비하여 설치하고, 상기 지지체는 절단날의 칼날의 길이방향의 경동각도를 제어이동 가능하게 구성되고, 상기 지지체에 설치된 구동원으로 절단날을 지지체에 대하여 상하로 움직이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팅장치이다.
여기서, 상기 절단날의 칼날의 길이방향이라는 것은, (L)방향이다(도 2, 도 5, 도 9, 도 10, 도 14, 도 16 참조). (L)방향을 X축선방향이라 칭하고, (L)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을 Y축선방향이라 칭한다.
편류의 경사평면으로 되어 있는 테이블 표면(테이블 표면이나 인덱스테이블 표면)에 대하여 직각으로 되도록 지지체를, 절단날의 칼날의 길이방향으로 경사시킨다. 그것에 의해서, 공작물을 탑재하는 테이블 표면과 날끝을 평행관계로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 테이블 표면과 절단날의 날끝의 평행도에 고정밀도가 요구되는 경우에는, 절단날을 테이블 표면에 선접촉하도록 하강시키고, 그 상태를 촬상하여 촬상데이터를 화상처리장치에서 2값화 또는 다값화 하고, 그 데이터를 기본으로 하여 미 조정량을 산출하고, 지지체에 있어서의 절단날의 칼날의 길이방향의 경동각도를 제어이동 가능하게 하는 수단을 제어한다.
또, 청구항 1에 있어서, 절단날과 그것을 지지하는 지지체와 그 지지체에 설치된 구동원을 유닛화 하여 구동원의 종류를 달리하는 복수종의 절단날 유닛을 구성하고, 상기 절단날 유닛을 교환가능하게 칼럼에 설치하며, 그 절단날 유닛 각각은 절단날의 칼날의 길이방향의 경동각도를 제어이동 가능하게 구성하여도 좋은 것이다.
상기 구동원은 서보모터, 유압모터, 리니어모터, 에어실린더, 캠에서 선택된 하나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청구항 2~5, 18은, 공작물의 성질에 따른 절단이나 하프컷을 행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그리고, 구동원으로 하는 에어실린더의 플랜저에 커터 지지부(커터럼)를 연결하여 상하이동 가능하게 한 경우에는, 등속절단에 적합하고, 또 비용적으로 유리하다.
또, 구동원으로 하는 서보모터에 직결하는 나사봉에 볼나사로 커터 지지부(커터럼)를 상하이동 가능하게 한 경우는, 하사점의 제어를 행할 수 있고, 고부하의 절단도 가능하며, 구동원으로 하는 서보모터의 구동력을 증압유압회로를 통하여 커터 지지부(커터럼)를 상하이동 가능하게 한 경우에는, 하사점의 제어를 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서보모터 보다도 더욱 고부하의 절단이 가능하며, 아울러 공작물의 하프컷에 적합하다.
또 구동원으로 하는 리니어모터로 커터 지지부(커터럼)를 상하이동 가능하게 한 경우, 절단력은 약하지만 고속절단이 가능하고, 또 하사점의 조정 및 절단 스피드의 조정도 고정밀도로 행할 수 있고, 절단면도 미려하다.
또, 모터의 구동력으로 회전하는 캠으로 커터 지지부(커터럼)를 상하이동 가능하게 한 경우는, 고속·등속에서의 반복운동에 적합하고, 서보모터를 구동원으로 하는 경우 보다도 저부하이기는 하지만 비용적으로 유리하다.
이상을 특징으로 보유하고 있다.
이 특징을 이용하여 에어실린더, 서보모터, 유압서보모터, 캠을 절단날 상하이동용의 구동원으로 하는 각 절단날 유닛은, 각종 공작물의 절단이나 하프컷에 선택사용된다.
상기 에어실린더는, 커터 지지부의 상하의 왕복량(상하이동 양)을 일정하게 하기 때문에, 하프컷 하는 경우에는 절단날의 왕복운동을 다른 구동으로 할 필요가 있고, 그 점을 고려하면 팁 등의 부품절단이나 외주절단 등, 거친 절단에 바람직하다. 또 서보모터는 커터 지지부의 상사점, 하사점 각각의 위치를 컨트롤 할 수 있기 때문에, 하프컷량을 임의로 설정할 수 있고, 세라믹패키지, 제품 팁부의 하프컷에 바람직하다.
그리고, 유압서보모터는 서보모터 보다도 고부하가 가능하기 때문에, 두꺼운 세라믹 이외의 필름(플라스틱제)이나 세라믹 그린시트의 적층기판 등의 하프컷에 바람직하다.
또한, 리니어모터는 저속이면 절단면에 피함이 발생하는 저점성의 공작물 절 단이나 하프컷에 바람직하다.
또, 캠에 있어서는 커터 지지부의 상하의 왕복량(상하이동 양)을 일정하게 하기 때문에 하프컷량을 컨트롤 할 수 없지만, 팁 등의 부품 절단이나 외주 절단 등의 절단에 바람직하다.
그리고, 청구항 1항 기재의 커팅장치로 공작물을 절단하는 인덱스테이블 표면에, 하강하는 절단날의 칼날의 길이방향으로 이동가능하고 또한 칼날의 길이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의 동 인덱스테이블 표면에 대하여 평행한 형상으로 되는 센싱부를 탑재하고, 상기 인덱스테이블, 센싱부, 절단날의 구동원, 지지체의 경동각도를 제어이동 가능하게 하는 수단 각각을 제어부에 연계하고, 상기 제어부는, 인덱스테이블의 90° 회전 전, 90° 회전 후 모두 인덱스테이블 표면에 탑재되는 상기 센싱부에서 원점위치(상사점)에서 하강하는 절단날의 칼날의 길이방향의 날끝의 복수점을 검출하고 칼날의 길이방향의 절단날의 경동각도 데이터를 연산처리하여 기억하고, 절단날을 칼날의 길이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소정량 이동시킨 후 원점위치(상사점)에서 하강시켜서 그 날끝을 상기 센싱부에서 검출하여 그 절단날의 구동원의 구동량으로부터 절단날을 소정피치만큼 이동시킬 때마다 하프컷 또는 절단하는 절단날의 하강량 데이터의 파라미터를 연산처리하여 기억하도록 하여도 좋은 것이다.
여기서, 상기 절단날, 절단날의 구동원, 절단날의 경동각도를 제어할 수 있는 수단, 센싱부, 인덱스테이블 각각은 제어부에 연계하여 풀클로즈드 회로를 구성하는 것이다.
상기 센싱부는, 절단날의 칼날의 길이방향으로 평행하게 이동가능하고 또한 칼날의 길이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탑재되는 블록체이거나, 후술하는 접촉체(청구항8)나 광센서(청구항10)이며, 접촉체의 경우에는 칼날의 길이방향으로 직선으로 제어이동 가능하고 또한 칼날의 길이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의 인덱스테이블 표면과 평행한 꼭대기부를 보유하고, 센싱부가 광센서인 경우에는 윗쪽 개방형의 칼날의 길이방향으로 직선으로 제어이동 가능한 이동체 내에 설치하여, 그 이동체를 절단날의 칼날의 길이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의 이동을 방해하지 않는 소정의 폭치수의 내부공간을 보유하는 형상으로 형성한다.
이 기술적 수단에 의하면, 센싱부를 90° 회전전, 90° 회전후 모두 인덱스테이블에 탑재하고, 절단날을 원점위치(상사점)에서 하강시키고, 그 센싱부(블록체, 접촉체, 광센서)를 칼날의 길이방향으로 이동시켜 절단날을 원점위치(상사점)로부터 하강시키면, 날끝의 어떤 위치라도 검출가능하게 된다(블록체, 접촉체는 날끝의 접촉에 의해서, 또한 광센서의 경우에는 날끝 하단에서 차단되는 광량에 의해서). 그 때문에, 예컨대 칼날의 길이방향의 일단측을 센싱부에서 검출하고, 그 데이터를 풀클로즈드 회로의 중추로 되는 제어부에 송신(출력)하고, 계속해서 그 센싱부를 날끝의 예컨대 칼날의 길이방향의 타단측과 대응하도록 이동시켜 그 타단측을 검출하고, 그 데이터를 제어부에 마찬가지로 송신(출력)하여, 이 양 데이터에 의해서 그 절단날의 날끝과 인덱스테이블의 표면과의 상대적인 평행도에 대한 날끝의 보정량(오차각도), 즉 절단날의 경동각도 데이터가 얻어진다. 한편, 상기하는 검출위치는 날끝에 있어서의 칼날의 길이방향의 양단일 필요는 없고, 소망의 2점으로 충분하다. 그 때에는, 절단날의 칼날의 길이방향의 길이의 설정에 의한 삼각함수로 절단날의 경동각도 데이터를 얻으면 좋은 것이다.
다음에, 그 절단날을 소정량만큼 전후방향(Y축선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동시에 원점위치(상사점)로부터 동 절단날을 하강시켜 블록체, 접촉체, 광센서로 검출하여 그 구동원의 구동량으로부터 소정피치만큼 이동시킬 때마다 원점위치(상사점)로부터 하강시켜 공작물을 하프컷 또는 절단할 때의 절단날 하강량의 파라미터로서 연산처리하여 제어부에 기억한다.
제어부는, 그 파라미터로부터 소정피치만큼 이동할 때에 원점위치(상사점)로부터 하강하여 공작물을 하프컷 또는 절단을 실행할 때의 절단날의 하강량 데이터를 연산처리한다.
상기 경동각도 데이터와 하강량 데이터가 90° 회전전, 90° 회전후의 인덱스테이블에 탑재되는 공작물을 하프컷 또는 절단할 때의 실행데이터로서 사용된다.
또한, 이 청구항 6에 있어서, …칼날의 길이방향과 직교하는 방향(Y축선방향)의 인덱스테이블 표면에 대하여 평행상으로 되는 …이라는 것은, 상기 접촉체와 같이, 칼날의 길이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의 인덱스테이블 표면과 평행한 꼭대기부를 보유하고 있거나, 광센서와 같이 윗쪽 개방형의 칼날의 길이방향으로 직선 제어이동 가능한 이동체 내에 설치하여, 그 이동체를, 절단날의 칼날의 길이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의 이동을 방해하지 않는 원하는 폭치수의 내부공간을 보유하는 형상으로 형성하여 센싱부를 구성하는 것만을 가리키는 것이 아니라, 상기 블록체를 사용하는 경우와 같이 동 블록부재를 칼날의 길이방향 뿐만 아니라, 칼날의 길이방향 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소정량 평행하게 이동시키는 경우도 가리키는 것이다.
또한, 청구항 1항 기재의 커팅장치로 공작물을 절단하는 인덱스테이블 표면에, 하강하는 절단날의 칼날의 길이방향으로 이동가능한 센싱부를 탑재하고, 상기 인덱스테이블, 센싱부, 절단날의 구동원, 지지체의 경동각도를 제어이동 가능하게 하는 수단 각각을 제어부에 연계하고, 상기 제어부는, 인덱스테이블의 90° 회전전, 90° 회전후 모두 인덱스테이블 표면에 탑재되는 센싱부에서 원점위치(상사점)로부터 하강하는 절단날의 칼날의 길이방향의 날끝의 복수점을 검출하여 칼날의 길이방향의 절단날의 경동각도 데이터를 연산처리하고, 그 경동각도 데이터로 경사시킨 절단날을 칼날의 길이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소정량 이동시켜 원점위치(상사점)에서 하강시켜 그 날끝을 인덱스테이블에 선접촉하는 그 구동원의 구동량으로부터 절단날을 소정피치만큼 이동시킬 때마다 하프컷 또는 절단하는 절단날의 하강량 데이터의 파라미터를 연산처리하고 기억한다.
이 청구항 7에 있어서도, 상기 절단날, 그 구동원, 절단날의 경동각도를 제어할 수 있게 하는 수단, 센싱부, 인덱스테이블 각각은 제어부에 연계하여 풀클로즈드 회로를 구성하고 있다.
이 경우의 센싱부로서 칼날의 길이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상기 블록체, 접촉체(청구항 9), 광센서의 외에, 칼날의 길이방향으로 이동하여 날끝에 접촉하여 변위량을 검출하는 프로브(probe)를 사용할 수 있다.
이상의 기술적 수단에 의하면, 인덱스테이블 90° 회전전, 90° 회전후의 상기 경동각도 데이터는 센싱부(블록체, 접촉체, 광센서, 프로브 등)로 검출되어, 소 정피치만큼 이동시킬 때마다 원점위치(상사점)로부터 하강시켜 공작물을 하프컷 또는 절단할 때의 절단날 하강량의 파라미터는, 센싱부를 인덱스테이블로부터 분리한 후, 상기 경동각도 데이터로써 인덱스테이블에 대하여 절단날의 그 날끝을 평행하게 하고나서 동 절단날을 소정량만큼 전진 또는 후진시키고 날끝 전체를 인덱스테이블의 표면에 선접촉하도록 하강되었을 때의 그 구동원의 구동량을 연산처리하여 입수된다. 제어부는, 그 파라미터로써 소정피치만큼 이동할 때에 원점위치(상사점)로부터 하강하여 공작물을 하프컷 또는 절단을 실행할 때의 절단날의 하강량 데이터를 연산처리한다.
상기 경동각도 데이터와 하강량 데이터가 90° 회전전, 90° 회전후의 인덱스테이블에 탑재되는 공작물을 하프컷 또는 절단을 실행할 때의 실행데이터로서 사용된다.
그리고, 인덱스테이블에는, 90° 회전시키기 전과 90° 회전시킨 후의 각각의 위치에 상기 센싱부를 탑재하는 위치결정수단을 착탈가능하게 보유하면 더욱 바람직하다.
즉, 90° 회전전의 인덱스테이블이나 90° 회전후의 인덱스테이블의 표면상에 센싱부가 정밀도 좋게 위치결정되고, 하프컷이나 절단시에는 그 위치결정수단을 분리할 수 있어 절단의 장해가 되지 않는다.
또한, 청구항 1항 기재의 커팅장치로 공작물을 절단하는 인덱스테이블과, 절단날의 구동원, 지지체의 경동각도를 제어이동 가능하게 하는 수단 각각을 제어부에 연계하고, 제어부는 인덱스테이블의 90° 회전전, 90° 회전후 모두 상기 절단 날을 칼날의 길이방향 한쪽, 다른쪽에 각각 동일 각도로 경사시킨 상태로 원점위치(상사점)에서 절단날을 하강시켜 동 절단날에 있어서의 일단측의 날끝과 타단측의 날끝을 각각 인덱스테이블의 표면에 접촉시키고, 양 원점위치(상사점)로부터의 절단날의 하강량을 구동원의 구동량으로부터 인덱스테이블의 표면에 대한 칼날의 길이방향의 절단날의 경동각도 데이터를 연산처리하고, 그 경동각도 데이터로 경사시킨 절단날을 칼날의 길이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소정량 이동시켜 원점위치(상사점)에서 하강시키고, 그 날끝을 인덱스테이블에 선접촉하는 그 구동원의 구동량으로부터 절단날을 소정피치만큼 이동시킬 때마다 하프컷 또는 절단하는 절단날의 하강량 데이터의 파라미터를 연산처리하고 기억하도록 하여도 좋은 것이다.
이 청구항에 있어서도, 절단날, 절단날의 구동원, 절단날의 경동각도를 제어가능하게 하는 수단, 인덱스테이블 각각은 제어부에 연계하여 풀클로즈드 회로를 구성하는 것이다.
이상의 기술적 수단에 의하면, 칼날의 길이방향 양 방향으로 동일각도 경사시켜서 원점위치(상사점)에서 절단날을 각각 하강시키고, 양 원점위치(상사점)에서의 하강량을 구동원의 구동량으로 제어부가 연산처리하며, 이것에 의하여 경동각도 데이터를 얻고 기억할 수 있다.
그리고, 그 경동각도 데이터로써 절단날을 소정량만큼 전후방향으로 이동시켜 마찬가지로 원점위치(상사점)에서 하강시켜 날끝을 선접촉시키고, 원점위치(상사점)에서 하강시켜 공작물을 하프컷 또는 절단할 때의 절단날의 하강량의 파라미터로서 동 제어부에 기억한다. 제어부는, 그 파라미터로써 소정피치만큼 이동할 때 에 원점위치(상사점)에서 하강하여 공작물을 절단 또는 하프컷 할 때의 절단날의 하강량 데이터로서 연산처리한다.
상기 경동각도 데이터와 하강량 데이터가 90° 회전전의 인덱스테이블에 탑재되는 공작물을 하프컷 또는 절단을 실행할 때의 실행데이터로서 사용된다.
그리고, 인덱스테이블 90° 회전후도 마찬가지로 하여, 그 때의 경동각도 데이터와 하강량 데이터가 인덱스테이블을 90° 회전시킨 후의 실행데이터로서 사용되는 것에 관해서는 상기하는 청구항과 마찬가지다.
그리고, 센싱부는, 공작물을 하프컷 또는 절단을 실행하는 작업도중의 절단날의 날끝의 칼날의 이빠짐이나 마모를 검출하는 수단으로서 이용되고, 제어부에는 그 칼날의 이빠짐이나 마모가 허용범위 이상으로 도달했을 때, 작업자에게 전달하는 전달수단이 연계되어 있으면 절단날의 교환시기를 재촉하는 데에 있어서 대단히 바람직한 것으로 된다.
다음에, 본 발명을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는, 칼럼에 절단날을 보유하는 지지체를 설비하고, 상기 지지체를 절단날의 칼날의 길이방향의 경동각도를 제어이동 가능하게 구성하며, 그 지지체에 설치한 구동원으로 절단날을 지지체에 대하여 상하로 움직이게 하는 제1발명의 커팅장치, 도 3∼도 5는, 절단날과 그것을 지지하는 지지체와 그 지지체에 설치된 구동원을 유닛화 하여 구동원의 종류를 달리하는 복수종의 절단날 유닛을 구성하고, 그 절단날 유닛을 교환가능하게 칼럼에 설치하고, 그 절단날 유닛 각각의, 절단날의 칼날의 길이방향의 경동각도를 제어이동 가능하게 구성한 제2발명의 커팅 장치를, 도 6, 도 7, 도 8은, 동 제3발명, 제4발명, 제5발명의 커팅장치, 도 9∼도 11은, 센싱부를 사용하는 제6발명의 커팅장치, 도 12 및 도 13은, 다른 센싱부를 사용하는 제7발명의 커팅장치를, 도 14 및 도 15는, 더욱 다른 센싱부를 사용하는 제8발명의 커팅장치, 도 16 및 도 17은 제9발명의 센싱부를 사용하지 않는 커팅장치를 각각 나타내고 있다.
우선,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제1발명의 커팅장치를 설명하면, 부호 A가 그 커팅장치, T는 인덱스테이블이다.
커팅장치(A)는, 도 1,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대(機臺;A1) 상면에 설치된 서보모터를 구동원(M)으로 하는 볼나사기구(100)로 칼럼(A2)을 전후방향, 즉 인덱스테이블(T)에 접근이간하는 방향으로 제어이동 가능하게 설치하고, 상기 칼럼(A2)에 칼럼(A2)의 이동방향인 전후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경동각도 제어가능하게 하여 지지체(A3)를 설치하여, 그 지지체(A3)에 커터기구(A4)를 상하이동 가능하게 설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인덱스테이블(T)은, 동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커터기구(A4)의 전방의 기대(A1) 상면 부분에 설치하여 이루어지고, 표면의 가공면에는 공작물(도시하지 않음)을 가고정하기 위한 진공구멍(도시하지 않음)이 산재된 형상으로 개공되어 있다.
칼럼(A2)은, 양 평행판부(A2-1, A2-1)를 약 직각삼각형상으로 하는 평면에서 보아 コ형상을 이루고, 평행판부(A2-1, A2-1)의 앞판부(A2-2)가 상기 지지체(A3)의 지지면으로 되어 있다.
지지체(A3)는, 도시하는 바와 같이 측면에서 보아 대략 L형상으로 이루어지고, 그 세로판부(A3-1)를 상기 칼럼(A2)의 앞판부(A2-2)에 면접촉시킨 상태에서 절단날(B)의 칼날의 길이방향(X축선방향)의 경동각도를 제어이동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상기하는 경동각도를 제어이동 가능하게 하는 수단(1)은, 상기 지지체(A3)의 세로판부(A3-1) 중앙부 하단측의 부분과 칼럼(A2)의 앞판부(A2-2)에 걸쳐 삽입통과된 회전용 중심축(11)과, 그 회전용 중심축(11)의 바로 위 위치에 설치된 브레이크기구(21)와, 동 세로판부(A3-1)에 경동력을 부여하는 경사력 부여기구(31)로 구성되어 있다.
브레이크기구(21)는, 상기하는 경동상태를 유지하는 역할을 보유하여, 지지체(A3)의 세로판부(A3-1) 및 앞판부(A2-2)에 구멍을 뚫은 여유구(clearance hole;21a)를 삽입통과하는 파지용 피스톤(세로판부(A3-1)의 표면에 접촉하는 두부(21b-1)와 여유구(21a)를 삽입통과하는 축부(21b-2)를 구비한 것)(21b)의 축부(21b-2)를 필요시에 칼럼(A2)측으로 후퇴시켜서 두부(21b-1)에서 지지체(A3)를 칼럼(A2)의 앞판부(A2-2)에 압압고정하는 유압브레이크를 이용하고 있다.
이 브레이크기구(21)는, 전자브레이크 등이라도 상관없는 것이다.
상기 경사력 부여기구(31)는, 상기 지지체(A3)의 세로판부(A3-1)의 일측 가장자리를 누르는 캠(서보모터를 구동원으로 한다)(31a)과, 동 세로판부(A3-1)의 타측 가장자리에 접근하는 상기 앞판부(A2-2) 부분에 설치된 완충스프링(31b)으로 구성되어 있고, 캠(31a)의 회전량에 의해서 회전용 중심축(11)을 중심으로 하여 완충스프링(31b)에 저항하여 지지체(A3)가 절단날(B)의 칼날의 길이방향과는 직교하는 방향(X축선방향)으로 경동하도록 되어 있다.
이 지지체(A3)의 경동량은, 상기 여유구(21a)의 구멍 내면이 파지용 피스톤(21b)의 축부(21b-2)에 부딪치는 범위에서 경동가능하다.
또한, 상기 캠(31a) 대신에, 압전소자 또는 볼나사기구를 사용하는 것도 자유롭다.
이러한 지지체(A3)의 그 세로판부(A3-1) 표면에 가이드레일(A4-1, A4-1)을 평행하게 세로로 설치하고, 하부에 절단날(B)을 착탈가능하게 보유하는 커터홀더(A4-2)를 설치한 커터럼(A4-3)을, 그 가이드레일(A4-1, A4-1)에 상하방향으로 상하로 움직일 수 있게 결합하고, 지지체(A3)의 상단을 구성하는 수평판부(A3-2)에 설치한 서보모터를 구동원(M1)으로 하는 볼나사기구(100)로 그 커터럼(A4-3)을 상하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게 하여 커터기구(A4)를 구성하고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제1발명의 커팅장치(A)는, 서보모터를 구동원으로 하는 커터기구(A4)를 구비한 지지체(A3)가 절단날(B)의 칼날의 길이방향(X축선방향)의 경사각도를 제어이동 가능하게 하고 칼럼(A2)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된다.
그것에 의하여 인덱스테이블(T)과 절단날(B)의 날끝을 평행관계로 하여, 공작물의 절단, 하프컷에 대응할 수 있다.
또한, 부호 D는 제어부이다.
다음에, 도 3∼도 5에 나타내는 제2발명의 커팅장치, 도 6, 도 7, 도 8에 나타내는 동 제3발명, 제4발명, 제5발명의 커팅장치를 뒤에 설명하면, 이들 발명은 상기하는 절단날(B)을 보유하는 지지체(A3)를 절단날(B)의 구동원마다 유닛화 하여, 칼럼(A2)에 교환가능하게 부착한 것이다.
절단날 유닛(5)은,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구동원(BM1)으로서 서보모터를 지지하는 지지체(A3)와, 그 지지체(A3)에 상하이동 가능하게 설비된 커터기구(A4)를 구비하고, 상기하는 도 1 및 도 2의 제1발명과 같이 커팅장치(A)의 칼럼(A2)에 착탈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지지체(A3)는, 역형상의 L형상을 띠며, 상기하는 도 1 및 도 2의 제1발명과 같이 수평판부(A3-2)에는 상기 구동원(BM1), 즉 서보모터가 설치되어 있다.
그 지지체(A3)는, 상기하는 제1발명과 같이 그 세로판부(A3-1) 표면에 가이드레일(A4-1, A4-1)을 평행하게 세로로 설치하고, 하부에 절단날(B)을 착탈가능하게 보유하는 커터홀더(A4-2)를 설치한 커터럼(A4-3)을, 그 가이드레일(A4-1, A4-1)에 상하이동 가능하게 결합하고, 상기 서보모터(BM1)에 연결한 나사막대를 그 커터럼(A4-3)에 설치한 볼나사에 끼워맞춤으로써 커터럼(A4-3)를 상하로 움직일 수 있게 하여, 그것에 의하여 커터기구(A4)를 구성하고 있다.
커팅장치(A)는, 상기하는 제1발명과 같이 기대(A1) 상면에 설치된 서보모터를 구동원(M)으로 하는 볼나사기구(100)로 칼럼(A3)를 전후방향(Y축선방향)으로 제어이동 가능하게 설치하여 구성되고, 그 칼럼(A2)은, 양 평행판부(A2-1, A2-1)를 약 직각삼각형상으로 하는 평면에서 보아 コ형상을 보이고 있다.
상기하는 칼날의 길이방향(X축선방향)의 경사각도를 제어이동 가능하게 하는 수단 1은, 도 3∼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지지체(A3)의 세로판부(A3-1)와 칼럼(A2)의 앞판부(A2-2)의 사이에 개재되는 중판(2)과, 그 중판(2)의 하부측과 상기 앞판부(A2-2)에 걸쳐 삽입통과된 회전용 중심축(11)과, 그 회전용 중심축(11)의 바로 위 위치에 설치된 브레이크기구(21)와, 상기 중판(2)에 경사력을 부여하는 경사력 부여기구(31)로 구성되고, 지지체(A3)는 상기 중판(2)에 나사(200)(볼트)고정에 의해서 착탈가능하게 되어 있다.
브레이크기구(21)는, 상기 경사상태를 유지하는 역할을 보유하여, 중판(2) 및 앞판부(A2-2)에 구멍을 뚫은 여유구(21a)를 삽입통과하는 파지용 피스톤(중판(2)의 표면에 접촉하는 두부(21b-1)와 여유구(21a)를 삽입통과하는 축부(21b-2)를 구비한 것)(21b)의 축부(21b-2)를 필요시에 칼럼(A2)측에 후퇴시켜 두부(21b-1)로 중판(2)을 칼럼(A2)의 앞판부(A2-2)에 압압고정하는 유압브레이크를 이용하고 있다. 이 브레이크기구(21)는, 상기하는 제1발명과 같이 전자브레이크 등이라도 상관없는 것이다.
상기 지지체(A3)는, 그 세로판부(A3-1)에 있어서의 상기 브레이크기구(21)의 파지용 피스톤(21b)이 대응하는 부분에 파지용 피스톤(21b)의 두부(21b-1)를 수용하는 수용구멍(3)을 형성함과 아울러, 상기 회전용 중심축(11)이 대응하는 부분에 중판(2)으로부터 돌출된 보스(12)를 끼워맞추는 끼워맞춤구멍(4)를 형성하여, 수용구멍(3)에 파지용 피스톤(21b)의 두부(21b-1)를 수용하고, 또한 끼워맞춤구멍(4)에 보스(12)를 끼워맞추도록 칼럼(A2) 전방에서 중판(2)의 표면에 접촉시킨 상태로 나사(200)(볼트)고정되어 있다.
상기 경사력 부여기구(31)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중판(2)의 일측 가장자리를 누르는 캠(서보모터를 구동원으로 한다)(31a)과, 동 중판(2)의 타측 가장자리에 접근하는 완충스프링(31b)으로 상기 제1발명과 같이 구성되어, 각각 칼럼(A3)의 앞판부(A2-2)의 좌우에 설치되고 있고, 캠(31a)의 회전량에 의해서 회전용 중심축(11)을 중심으로 하여 완충스프링(31b)에 저항하여 중판(2)을 눌러 그 중판(2)과 함께 나사(200)(볼트)고정된 절단날 유닛(5)이 상기 여유구(21a)의 구멍 내면이 파지용 피스톤(21b)의 축부(21b-2)에 부딪치는 범위내에서 X축선방향(절단날의 칼날의 길이방향)으로 경사되도록 되어 있다. 물론, 상기하는 제1발명과 같이 캠 대신에, 압전소자 또는 볼나사를 사용하는 것도 자유롭다.
상기 브레이크기구(21)는, 경사력 부여기구(31)의 캠(31a)의 회전량으로 X축선방향(절단날의 칼날의 길이방향)의 날끝의 경사각도를 인덱스테이블(T)과 평행하게 한 상태로 제어한 후, 작동시켜 지지체(A3)를 착탈가능하게 부착한 중판(2)과 함께 절단날 유닛(5)의 그 제어경사각도를 유지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제2발명의 커팅장치(A)는, 서보모터를 구동원(BM1)으로 하는 커터기구(A4)를 구비한 절단날 유닛(5)이 절단날(B)의 칼날의 길이방향(X축선방향)의 경사각도를 제어이동 가능하게 하고 칼럼(A2)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된다.
그것에 의하여 인덱스테이블(T)과 절단날(B)의 날끝을 평행관계로 하여, 공작물의 절단, 하프컷에 대응할 수 있다.
다음에, 도 6에 나타내는 제3발명을 설명하면, 이 제3발명은, 구동원(BM2)으로서 리니어모터로 하는 절단날 유닛(5)을 사용한 커팅장치(A)를 나타내고 있다.
절단날 유닛(5)은, 역방향 L형상을 보이는 커터럼(A4-3)의 세로판부(A4a-3) 이면에 결합부(15, 15)를 설치하는 동시에, 그 세로판부(A4a-3)의 배후에 배치되어 동 세로판부(A4a-3)와 평행한 안내판(25)에 한 쌍의 가이드레일(25a, 25a)을 평행하게 돌출하고, 그 결합부(15, 15)를 가이드레일(25a, 25a)에 상하로 움직일 수 있게 결합시키고, 세로판부(A4a-3) 이면의 결합부(15, 15) 사이에 리니어모터(BM2)의 한쪽을 구성하는 코일(6)을, 그 코일(6)에 정대향하여 가이드레일(25a, 25a) 사이의 안내판(25)의 표면에 자석(7)을 간격을 두고 세로로 설치하고, 그 안내판(25)을 상기 도3∼도 5에 나타내는 제2발명의 중판(2)에 착탈가능하게 나사(200)(볼트)고정시키고 있다.
중판(2)은, 상기 도3∼도 5에 나타내는 제2발명과 같이 하부측을 상기 칼럼(A2)의 앞판부(A2-2)에 삽입통과된 회전용 중심축(11)으로 축지지되어 있다.
또한, 회전용 중심축(11)의 바로 위 위치에 설치된 브레이크기구(21)와, 상기 중판(2)에 경사력을 부여하는 경사력 부여기구(31)로 상기하는 칼날의 길이방향(X축선방향)의 경사각도를 제어이동 가능하게 하는 수단(1)을 구성하고 있는 것은 상기하는 도 3∼도 5에 나타내는 제2발명과 같기 때문에, 동일부호를 붙여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지만, 이 발명에서는, 중판(2)에 있어서 브레이크기구(21)의 파지용 피스톤(21b)이 대응하는 부분에 동 파지용 피스톤(21b)의 두부(21b-1)를 수용하는 수용오목부(8)를 안내판(25) 이면과의 사이에 틈새를 보유하여 요설하고 있고, 경사력 부여기구(31)의 캠(31a)의 회전량으로 X축선방향(절단날의 칼날의 길이방향)의 절단날(B)의 날끝이 인덱스테이블(T)과 평행하여 지도록 절단날 유닛(5)을 경사시킨 상태에서, 작동하는 브레이크기구(21)로 중판(2)을 칼럼(A2)의 앞판부(A2-2)에 압압고정함으로써, 절단날(B)의 날끝을 인덱스테이블(T)의 가공면과 평행상태로 제어경사각도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도 7에 나타내는 제4발명을 설명하면, 이 제4발명은, 에어실린더를 구동원(BM3)으로 한 절단날 유닛(5)을 사용하는 커팅장치(A)를 나타내고 있다.
이 절단날을 유닛(5)은, 상기하는 도 3∼도 5에 나타내는 제2발명의 커터럼(A4-3)를 에어실린더(BM3)로 상하로 움직일 수 있게 한 예이며, 커터럼(A4-3)에 에어실린더(BM3)의 플런저(BM3-1)를 연결하는 연결부(A4-4)를 돌출설치하여, 지지체(A3)의 수평판부(A3-2) 선단에, 절단날(B)이 하사점을 소정으로 설정하도록 그 연결부(A4-4)가 충합(衝合)하는 스토퍼부(S1)를 하단에 보유하는 스토퍼체(S)를 늘어뜨려 설치한 구성으로 되어 있고, 다른 구체적 구성은 상기하는 제4발명과 같기 때문에 동일부호를 붙여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지만, 상기하는 절단날의 칼날의 길이방향(X축선방향)의 경사각도를 제어이동 가능하게 하는 수단 1을 보유하는 것과 같다.
또한, 도 8에 나타내는 제5발명을 설명하면, 이 제5발명은, 캠을 구동원(BM4)으로 한 절단날 유닛(5)을 사용하는 커팅장치(A)를 나타내고 있다.
절단날 유닛(5)은, 도 3∼도 5에 나타내는 제2발명에 대하여 지지체(A3)의 수평판부(A3-2)의 하면에 서보모터(M)를 설치하고, 그 서보모터(M)로 구동회전되는 캠(BM4)으로 커터럼(A4-3)으로부터 돌출설치된 압동부(A4-5)를 동 수평판부(A3-2)에 걸쳐 개재한 인장스프링(300)에 저항하여 압동함으로써 커터럼(A4-3)를 상하이동시키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다른 구체적 구성은 동 도 3∼도 5에 나타내는 제2 발명과 같기 때문에 동일부호를 붙여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지만, 상기하는 절단날의 칼날의 길이방향(X축선방향)의 경사각도를 제어이동 가능하게 하는 수단 1을 보유하는 것과 같다.
또한, 유압서보모터를 구동원으로 하는 절단날 유닛을 사용한 커팅장치의 발명에 관해서는, 도시하지 않고 있지만, 서보모터에 증압유압회로를 싱크로시켜, 증압유압회로의 출력으로 커터럼이 상하로 움직이도록 구성하는 점을 제외하고 도 3∼도 5에 나타내는 제2발명과 동일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상기하는 도 3∼도 5, 도 6, 도 7, 도 8의 제2발명, 제3발명, 제4발명, 제5발명에 나타내는 각 절단날 유닛(5)은, 커팅장치(5)에 있어서의 중판(2)에 나사(200)(볼트)고정되어 있고, 서로 교환가능하다.
다음에 도 9∼도 11에 나타내는 제6발명을 설명하면, 이 제6발명은, 센싱부(9)를 이용하여 인덱스테이블(T)과, 절단날(B)의 평행도를 내는 커팅장치(A)를 나타내고 있다.
이 제6발명의 각 도면은, 커팅장치 전체를 나타내지 않고, 절단날(B)과 인덱스테이블(T)의 관계만을 나타내고 있다.
센싱부(9)는, 절단날(B)의 칼날의 길이방향으로 이동가능하고 또한 칼날의 길이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의 인덱스테이블(T) 표면에 대하여 평행상으로 되는 꼭대기부를 보유하는 접촉체이며, 지그(19)에 설치되어 있다.
지그(19)는, 하면이 인덱스테이블(T)의 표면에 면접촉하고 또한 그 하면에 대하여 상면을 평행면으로 하는 종단면 직사각형으로 하는 장척상의 지지대(19a)의 상면 일단측에 서보모터(M)를 설치하는 동시에, 타단측에 그 서보모터(M)를 구동원으로 하는 볼나사기구(100)로 그 지지대(19a) 상을 그 길이방향으로 적재대(19b)를 직선상으로 제어이동 가능하게 설치하여 구성되고, 적재대(19b)의 상면에 그 센싱부(9)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하는 적재대(19b)의 제어이동되는 직선이동 거리는, 바람직하게는 절단날(B)의 칼날의 길이보다도 긴 거리가 최선이지만, 칼날의 길이보다도 짧은 것이더라도 상관없는 것이다.
상기 센싱부(9)는, 이 제6발명에서는 도시하는 바와 같이 지지대(19a)의 횡폭 치수를 보유하는 종단면으로 볼때 대략 포탄형상을 띠며 이루어지고, 그 꼭대기부는, 그 길이방향 전체길이에 걸쳐 지지대(19a)의 상면과 평행, 바꾸어 말하면 편류의 경사평면으로 이루어지는 인덱스테이블(T) 표면과 평행하게 되어 있다.
부호 10는, 상기하는 지지대(19a)의 측면에 접촉하여 동 지지대(19a)를 절단날(B)의 칼날의 길이방향으로 위치결정하는 복수개의 위치결정수단(위치결정핀)이며, 90° 회전시키기 전, 90° 회전시킨 후의 인덱스테이블(T)의 표면에 절단날(B)의 칼날의 길이방향을 향하여 탑재되는 지그(19)를 위치결정하여 불필요시에는 착탈 가능하게 되어 있다. 부호 10a는 그 착탈구멍이다.
상기하는 절단날(B), 그 상하이동용의 구동원(서보모터, 유압서보모터, 리니어모터 등의 전기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구동원)(M1, BM1, BM2), 브레이크기구(유압회로)(21), 절단날의 경동각도를 제어가능하게 하는 수단(1)의 캠(31a)의 구동원(M), 접촉체(9)를 포함하는 지그(19), 인덱스테이블(T) 각각은 제어부(D)에 전기적으로 연계되어 풀클로즈드 회로를 구성하고 있다.
제어부(D)는, 인덱스테이블(T)의 90° 회전전, 90° 회전후 모두 인덱스테이블(T) 표면에 탑재되는 센싱부(접촉체)(9)에서 원점위치(상사점)에서 하강하는 절단날(B)의 칼날의 길이방향의 날끝의 복수점을 검출하여 칼날의 길이방향의 절단날의 경동각도 데이터를 연산처리하는 연산부, 그 절단날(B)을 칼날의 길이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소정량 이동시킨 후 원점위치(상사점)에서 하강시켜 그 날끝을 동 센싱부(접촉체)(9)로 검출하고 그 구동원(서보모터, 유압서보모터, 리니어모터 등의 전기적으로 제어가능한 구동원)(M1, BM1, BM2)의 구동량으로부터 절단날(B)을 소정피치만큼 이동시킬 때마다 하프컷 또는 절단하는 절단날의 하강량 데이터의 파라미터를 연산처리하는 연산부와, 상기 경동각도 데이터, 파라미터를 기억하는 기억부를 보유하고 있다.
상기 파라미터는, 절단날(B)을 칼날의 길이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소정량 이동시킨 후, 원점위치(상사점)에서 동 절단날(B)을 하강시켜 그 날끝을 센싱부(접촉체)(9)에서 검출했을 때의 구동원(서보모터, 유압서보모터, 리니어모터 등의 전기적으로 제어가능한 구동원)(M1, BM1, BM2)의 구동량으로부터 얻어지는 인덱스테이블(T) 표면의 구배율(소정 이동거리와 하사점까지의 하강량에 의한 구배의 비율)이다.
예컨대 절단날(B)을 정점으로부터 5cm이동시켜, 원점위치(상사점)에서 동 절단날(B)을 하강시켜 센싱부(접촉체)(9)에서 검출했을 때의 원점위치(상사점)에서의 하강량이 10.1cm로 하고, 정점(절단날을 이동시키기 전)에서 원점위치(상사점)로부 터 하강하는 절단날(B)이 센싱부(접촉체)(9)에서 검출된 원점위치(상사점)로부터의 하강량을 10cm라고 하면, 0.1cm/5cm가 그 구배율이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제6발명의 커팅장치(A)에서 절단날(B)과 인덱스테이블(T)의 평행도를 내는 순서를 설명하면,
우선, 상기하는 위치결정수단(위치결정핀)(10)에 지지대(19a)의 측면을 접촉시켜 위치결정하고 인덱스테이블(T)의 표면에 지그(19)를 탑재한다.
지그(19)는 위치결정수단(10)의 위치결정 기능으로 절단날(B)의 칼날의 길이방향(X축선방향)과 평행하게 되고, 절단날(B)을 지그(19) 바로 위로 이동시켰을 때, 그 센싱부(접촉체)(9)는 절단날(B)의 칼날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Y축선방향)으로 향하게 평면에서 보는 형태로 된다.
그리고, 센싱부(접촉체)(9)를 예컨대 칼날의 길이방향의 일단측 바로 아래에 위치하도록 이동시키고 그 상태로 절단날(B)을 원점위치(상사점)에서 하강시켜 날끝을 센싱부(접촉체)(9)의 꼭대기부에 접촉시켜, 원점위치(상사점)로부터의 센싱부(접촉체)(9)에 접촉하기까지의 구동원(M1, BM1, BM2)의 구동량을 검출하여 그 데이터를 제어부(D)에 송신(출력)하고, 계속해서 칼날의 길이방향의 타단측과 대응하도록 제어이동시킨 센싱부(접촉체)(9)의 꼭대기부에 원점위치(상사점)에서 하강하는 날끝을 접촉시키고, 그 하강량을 검출하여 마찬가지로 구동원(M1, BM1, BM2)의 구동량의 데이터를 제어부(D)에 송신(출력)한다(도 11참조).
제어부(D)는, 상기 양 데이터로써 절단날(B)의 날끝과 인덱스테이블(T)의 상대적인 평행도에 대한 보정량(오차각도)을 연산처리(제1의 경동각도 데이터)하여, RAM에 기억한다.
다음에, 그 절단날(B)을 칼날의 길이방향과 직교하는 방향, 즉 Y축선방향으로 소정량만큼 이동시켜, 원점위치(상사점)로부터 그 절단날(B)을 하강시켜 센싱부(접촉체)(9)의 꼭대기부에 접촉시키고 원점위치(상사점)로부터의 하강량(구동원(M1, BM1, BM2)의 구동량)을 제어부(D)에 송신(출력)한다(도 11참조).
제어부(D)는, 그 데이터로부터 파라미터(구배율)를 연산처리하는 동시에 그 파라미터(구배율)를 기초로 하여 소정피치만큼 Y축선방향으로 이동시킬 때마다 공작물(도시하지 않음)을 하프컷 또는 절단하는 하강량 데이터(제1의 하강량 데이터)를 연산하여, 이것도 RAM에 기억한다.
상기 공정을, 인덱스테이블(T)을 90° 회전시켰을 때에도 마찬가지로 하여 제2의 경동각도 데이터, 제2의 하강량 데이터를 제어부(RAM)에 기억한다.
하프컷 실행시나 절단 실행시에는, 제어부(D)가 제1의 경동각도 데이터를 바탕으로 상기 캠(31a)을 제어하여 절단날(B)의 날끝을 인덱스테이블(T)의 표면에 대하여 평행하게 되도록 상기 지지체(A3)나 절단날 유닛(5)을 칼날의 길이방향(X축선방향)으로 경사시킨 후, 브레이크기구(21)를 제어하여 그 경동각도를 유지한다.
그리고, 제어부(D)가 지지체(A3)나 절단날 유닛(5)을 소정피치만큼 Y축선방향으로 이동할 때에 상기 제1의 하강량 데이터에 센싱부(접촉체)(9) 꼭대기부에서 인덱스테이블(T)에 탑재되는 공작물(도시하지 않음)의 하프컷 위치까지의 높이데이터를 가산하여 절단날(B)을 원점위치(상사점)로부터 하강시켜 공작물을 하프컷 한다. 물론 하프컷이 아니라 절단인 경우에는, 동 하강량 데이터에 센싱부(접촉체)(9) 꼭대기부에서 인덱스테이블(T)의 표면까지의 높이데이터를 가산하여 실행된다.
90° 회전시킨 후의 하프컷 실행시, 절단 실행시는, 상기하는 제2의 하강량 데이터에 센싱부(접촉체)(9) 꼭대기부에서 인덱스테이블(T)의 표면에 탑재되는 공작물의 하프컷 위치까지의 높이데이터를 가산하여 하프컷이 실행되고, 하프컷이 아니라 절단인 경우에는, 동 제2의 하강량 데이터에 접촉체 꼭대기부에서 인덱스테이블(T)까지의 높이데이터를 가산하여 실행된다.
하프컷에서는, 공작물(도시하지 않음)을 뒤집어서 상기와 같이 반복된다.
다음에 도 12및 도 13에 나타내는 제7발명을 설명하면, 이 제7발명은, 상기 센싱부(9)를 절단날(B)의 날끝의 위치를 검출하는 광센서로 한 것이다.
이 제7발명으로서는 센싱부(9)및 지그(19)를 도시하고 있다.
이 센싱부(광센서)(9)는, 윗쪽 개방형(상향 コ형상)을 보이는 이동체(29)내에 설치되고, 그 이동체(29)는, 날끝의 칼날의 길이방향과 직교하는 방향(Y축선방향)으로의 이동을 방해하지 않는 소정 폭치수의 내부공간(29a)을 보유하고, 그 이동체(29)가 상기 적재대(19b) 대신에 서보모터를 구동원(M)으로 하는 볼나사기구(100)로 지지대(19a) 상면상을 직선적으로 제어이동 가능하게 하여 지그(19)를 구성하고 있다.
센싱부(광센서)(9)는, 이동체(29)의 내부공간(29a)의 일내측면을 따르도록 배치되고, 동 이동체(29)의 내부공간(29a) 타내측면에 그 센싱부(광센서)(9)와 상대하여 발광소자(9a)를 설치하고, 절단날(B)의 날끝으로 차단되지 않는 광량을 검출하여 제어부(D)에 송신(출력)하게 되어 있다.
그리고, 내부공간(29a)의 폭치수가, 절단날(B)을 소정량만큼 Y축선방향으로 이동시켜, 원점위치(상사점)로부터 하강시킬 때에 그 때마다 원점위치(상사점)로부터의 하강량을 제어부(D)에 송신(출력)할 때의 절단날(B)의 이동용 공간으로서 사용된다.
이 제7발명에 있어서 커팅장치(A)로 절단날(B)과 인덱스테이블(T)의 평행도를 내는 순서를 설명하면, 상기하는 제6발명이 센싱부(9)인 접촉체로의 접촉으로 검출하는데 대하여 광량의 변화로 검출하는 이외는 같기 때문에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도 14 및 도 15에 나타내는 제8발명을 설명하면, 이 제8발명은, 직접 인덱스테이블(T)에 탑재하는 블록체를 센싱부(9)로서 사용하여 절단날(B)과 인덱스테이블(T)의 평행도를 내는 것이다.
이 제8발명도 절단날과 인덱스테이블의 관계만을 도시하고 있다.
본 발명에서는, 저면을 인덱스테이블(T)의 표면과의 시트면으로 하는 센싱부(블록체)(9)를, 상기 제6발명이나 제7발명과 같이 90° 회전시키기 전, 90° 회전시킨 후 각각의 상태에서 절단날(B)의 날끝부 양단부에 위치할 수 있도록 인덱스테이블(T)의 표면에 복수개의 위치결정수단(위치결정핀)(10)으로 위치변경 가능하게 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센싱부(블록체)(9)를, 칼날의 길이방향(X축선방향)의 일단측에 위치시킨 상태로 원점위치(상사점)에서 절단날(B)을 하강시키고, 그 날끝을 센싱부(블록체)(9)의 꼭대기부에 접촉시켜, 원점위치(상사점)로부터 날끝이 센싱부(블록체)(9)에 접촉하는 그 구동원(M1, BM1, BM2)의 구동량의 데이터를 제어부(D)에 송신(출력)하고, 계속해서 칼날의 길이방향(X축선방향)의 타단측과 대응하도록 위치시킨 상태로 원점위치(상사점)에서 하강시켜 마찬가지로 센싱부(블록체)(9)의 꼭대기부에 접촉시켜 마찬가지로 구동원(M1, BM1, BM2)의 구동량의 데이터를 제어부(D)에 송신(출력)한다(도 14).
제어부(D)는, 상기하는 제7발명과 같이 상기 양 데이터로써 절단날(B)의 날끝과 인덱스테이블(2)의 상대적인 평행도에 대한 보정량(오차각도)을 연산처리(인덱스테이블(T)을 90° 회전시키기 전의 제1의 경동각도 데이터, 동 90° 회전시킨 후의 제2의 경동각도 데이터)하고 RAM에 기억한다.
그리고, 센싱부(블록체)(9)를 분리함과 동시에 복수개의 위치결정수단(위치결정핀)(10)을 빼어 내고, 상기 제1의 경동각도 데이터, 제2의 경동각도 데이터로써 경사된 절단날(B)을 소정량만큼 Y축선방향으로 이동시켜 인덱스테이블(T)의 표면에 선접촉하도록 하강시키고 원점위치(상사점)에서 하사점(인덱스테이블(T)의 표면에 면접촉한다)까지의 절단날(B)의 하강량을 상기 구동원(M1, BM1, BM2)의 구동량으로 연산하고 상기와 같이 파라미터를 연산처리하여 RAM에 기억한다(도 15).
제어부(D)는, 절단날의 제1의 하강량 데이터, 제2의 하강량 데이터를 각각 연산처리한다.
하프컷 실행시나 절단 실행시(인덱스테이블(T)을 90° 회전시키기 전에서의 실행시)에는, 제어부(D)가 제1의 경동각도 데이터를 바탕으로 상기 캠(31a)을 제어하여 절단날(B)의 날끝을 인덱스테이블(T)의 표면에 대하여 평행하게 되도록 상기 지지체(A3)나 절단날 유닛(5)을 칼날의 길이방향(X축선방향)으로 경사시킨 후, 브레이크기구(21)를 제어하여 그 경동각도를 유지한다.
그리고, 동 제어부(D)가, 지지체(A3)나 절단날 유닛(5)을 소정피치만큼 Y축선방향으로 이동할 때에 상기 제1의 하강량 데이터로부터 인덱스테이블(T)에 탑재되는 공작물(도시하지 않음)에 하프컷 위치를 마이너스하여 절단날을 하강시켜 공작물을 하프컷 한다. 물론 하프컷이 아니라 절단인 경우에는, 상기 하강량 데이터로써 행하여진다.
90° 회전시킨 후의 하프컷 실행시, 절단 실행시에는, 제2의 경동각도 데이터, 제2의 하강량 데이터로써 마찬가지로 행한다.
다음에 센싱부(9)를 사용하지 않고, 상기하는 제1, 제2의 경동각도 데이터, 제1, 제2의 하강량 데이터를 입수하는 제9발명을 도 16 및 도 17에 따라서 설명하면,
이 경우에는, 도 1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절단날(B)을 칼날의 길이방향(X축선방향) 양 방향으로 동일각도(예컨대 5도(실선 및 2점쇄선 참조))로 경사시킨 상태로 원점위치(상사점)에서 절단날(B)의 날끝 양단부를 인덱스테이블(T)의 표면에 접촉시키고, 양 원점위치(상사점)로부터의 하강량을 구동원(M1, BM1, BM2)의 회전량으로 제어부(D)가 연산처리하고, 이것에 의하여 경동각도 데이터를 얻는다.
그리고, 그 경동각도 데이터로써 절단날(B)을 경사시키고 나서 절단날(B)을 보유하는 칼럼(A2)을 소정량만큼 Y축선방향으로 이동시킬 때마다 마찬가지로 원점위치(상사점)(상사점 위치)에서 절단날(B)을 하강시켜 절단날(B)의 날끝을 선접촉 시키고, 원점위치(상사점)로부터 하강시켜 공작물을 하프컷 또는 절단할 때의 절단날(B)의 하강량의 파라미터(구배율)로서 동 제어부에 기억한다(도 17참조).
제어부(D)는, 그 파라미터를 기초로 하여 소정피치만큼 Y축선방향으로 이동할 때에 원점위치(상사점)로부터 하강하여 공작물을 절단 또는 하프컷 할 때의 절단날의 하강량 데이터로서 연산처리한다.
인덱스테이블(T)에서는, 90° 회전전, 90° 회전후 모두 경동각도 데이터, 하강량 데이터를 각각 얻는다.
하프컷 실행시나 절단 실행시는, 상기 제6발명, 제7발명, 제8발명과 같기 때문에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상기 도9∼도 11에 나타내는 제6발명, 도 12 및 도 13에 나타내는 제7발명, 도 14 및 도 15에 나타내는 제8발명의 센싱부(9)로서 절단날(B)의 날끝에 접촉하여 변위량을 검출하는 프로브를 사용하여도 좋은 것이다.
본 발명의 경우에는, 상기 적재대에 그 센싱부인 프로브를 직선제어이동 가능하게 설치하고, 상기 제6발명, 제7발명, 제8발명과 같은 방법으로 경동각도 데이터 및 하강량 데이터를 얻는 것이다.
또한, 상기하는, 제6발명, 제7발명, 제8발명에서 사용하는 센싱부(9) 및 상기하는 프로브(센싱부)는, 공작물(특히 전극서킷을 보유하는 세라믹 그린시트 등의 적층기판)을 하프컷 또는 절단작업 도중의 절단날(B)의 날끝의 무디어짐을 검출하는 수단으로서 이용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상기 위치결정수단(10)으로 센싱부(9)를 절단날의 칼날의 길이 방향(X축선방향)에 위치결정하고, 센싱부(9)를 칼날의 길이방향(X축선방향)에 소정량만큼 직선적으로 이동시키면서 원점위치(상사점)로부터 하강시키면서 그 날끝을 전제길이에 걸쳐 검출하고, 그 때, 제어부(D)의 RAM에 기억되어 있는 기준데이터와 구동원(M1, BM1, BM2)의 구동량의 변화데이터를 비교하여 사용 불가능까지 절단날(B)이 무디어지거나 마모되어 있는지 어떤지를 판단하는 판단회로를 제어부(D)에 내장하고, 그것으로 판단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물론, 제어부(D)에는 전달수단(E)이 연계되고, 허용범위 이상까지 칼이 무디어지거나 마모되어 있는 경우에는, 얻어지는 제품의 수율을 고려하여, 그 전달수단(E)으로 작업자에게 전달하도록 하고 있다.
전달의 방법은, 경고음, 램프, 부저 등, 시각, 청각에 호소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전달에 의해서, 절단날(B)의 교환을 재촉하여, 정밀도가 좋은 하프컷, 절단을 행할 수 있게 된다.
이 칼날의 이빠짐(마모를 포함한다)의 점검은 정기적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이상과 같이, 칼럼에 절단날을 보유하는 지지체를 설비하고, 상기 지지체는 절단날의 칼날의 길이방향의 경동각도를 제어이동 가능하게 구성되며, 상기 지지체에 설치한 구동원으로 절단날을 지지체에 대하여 상하로 움직이도록 하였기 때문에, 절단날의 날끝과 공작물의 적재면(테이블의 표면)과의 사이를 평행하게 하여 절단할 수 있는 편리한 커팅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청구항2∼5, 18과 같이 서보모터, 에어실린더, 리니어모터, 유압서보모터, 캠 등의 각각 달리하는 구동원과, 그 구동원의 구동력을 받아 상하로 움직이는 절단날을 구비하여 각각 유닛화 하고, 칼럼에 선택적으로 교환가능하게 부착하는 것이기 때문에, 각 구동원의 특성을 유효하게 이용하여, 저점성, 고점성, 고경도, 저경도, 약취성 등의 공작물을 절단하거나, 하프컷 할 수 있다.
따라서, 고정밀도의 절단이 필요하지 않은 공작물 절단, 고경도의 공작물 절단이나 하프컷, 저점성 공작물 절단이나 하프컷, 고점성 공작물 절단이나 하프컷 등을 포함하는 공작물의 모든 사정에 알맞은 거친 절단, 고정밀도의 절단, 고정밀도의 하프컷을 행할 때에, 커팅장치로 선택하여 교환하고, 그것을 실행할 수 있는 편리한 커팅장치를 제공할 수 있고, 칼날이 무디어지거나 절단불량, 또 층박리, 크랙 등을 발생시키지 않게 된다.
특히 구동원을 서보모터, 유압서보모터, 리니어모터의 경우에는, 절단날을 소정피치만큼 보내어 움직이면서 공작물을 소정피치마다 컷할 때, 그 적재면의 경사로 커트시에 서서히 변위하는 절삭깊이에 일치하도록 하사점의 위치로 제어할 수 있어, 고정밀도가 요구되는 절단이나 하프컷에 특히 바람직하다.
게다가, 청구항6,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센싱부를 병용하면, 보다 고정밀도로써 인덱스테이블과 절단날의 평행도를 내어, 공작물을 하프컷 하거나, 절단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예컨대 잭볼트로 인덱스테이블을 서서히 들어올려 절단날의 날끝과 테이블 표면과의 복수의 포인트를 마이크로미터로 계측하면서, 평행도를 내는 바와 같은 성가시고 번잡한 작업도 필요없게 된다.
그리고, 청구항8∼11과 같이, 센싱부가 칼날의 길이방향으로 직선제어 이동할 수 있고 또한 칼날의 길이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을 향하는 인덱스테이블의 표면과 평행한 꼭대기부를 보유하는 접촉체를 갖추고 있거나, 절단날의 날끝의 위치를 검출하는 광센서를 구비하고, 상기 광센서가 직선적으로 제어이동 가능하게 보유하는 윗쪽 개방형의 이동체 내에 설치되고, 그 이동체가 절단날의 칼날의 길이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의 이동을 방해하지 않는 소정 폭치수의 내부공간을 보유하는 구성으로 함으로써, 인덱스테이블의 90° 회전마다 칼날의 길이방향에 따라서 직선 제어이동하도록 그 센싱부를 위치결정하는 인위적 작업만으로 공작물을 하프컷 할 때나 완전히 절단할 때의 실행데이터가 입수되어, 작업성이 현저히 향상된다.
또한, 청구항13, 14에서는, 그 센싱부가 정규인 위치에 위치결정할 수 있고, 절단시의 방해로 되지 않는다.
또한, 청구항15에서는, 센싱부를 사용하지 않고, 절단날의 날끝과 공작물의 적재면(인덱스테이블의 표면)과의 사이를 평행하게 하여 정밀도 좋게 절단할 수 있다.
또한, 청구항 16, 17에서는 그 센싱부를, 공작물을 하프컷 또는 절단하는 그 작업도중의 절단날의 날끝의 칼무디어짐을 검출하는 수단으로서 이용하여, 제어부가 칼이 무디어지거나 마모를 판단했을 때에 작업자에게 전달수단을 개재하여 전달하도록 함으로써, 절단날의 교환을 재촉할 수 있어 편리하다.

Claims (18)

  1. 절단날(B)을 보유하는 지지체(A3)가 회전가능하게 상기 지지체(A3)의 일단이 칼럼(A2)에 설치되고, 상기 지지체(A3)에는 상기 지지체의 일단과 상기 칼럼(A2)에 삽입통과된 회전용 중심축(11)을 기준으로 상기 지지체(A3)의 타단이 일정각도 범위 내에서 이동하여 상기 절단날(B)의 칼날의 길이방향의 경동각도를 제어이동할 수 있게 경동각도를 제어이동 가능하게 하는 수단(1)이 연결되며, 상기 지지체(A3)에 설치한 구동원(M1;BM1;BM2;BM3;BM4)으로 절단날(B)을 지지체(A3)에 대하여 상하로 움직이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팅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절단날(B)과 그것을 지지하는 지지체(A3)와 그 지지체에 설치된 구동원(M1;BM1;BM2;BM3;BM4)을 유닛화하여 구동원의 종류를 달리하는 복수종의 절단날 유닛(5)을 구성하고, 상기 절단날 유닛(5)을 교환가능하게 칼럼(A2)에 설치하며, 그 절단날 유닛(5) 각각은 절단날(B)의 칼날의 길이방향의 경동각도를 제어이동할 수 있게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팅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원은 서보모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팅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원은 유압서보모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팅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원은 리니어모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팅장치.
  6. 제1항에 기재된 커팅장치로 공작물을 절단하는 인덱스테이블(T) 표면에, 하강하는 절단날(B)의 칼날의 길이방향으로 이동가능하고 또한 칼날의 길이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의 상기 인덱스 테이블(T) 표면에 대하여 평행하게 되는 센싱부(9)를 탑재하고, 상기 인덱스테이블(T), 센싱부(9), 절단날(B)의 구동원(M1;BM1;BM2;BM3;BM4), 지지체(A3)의 경동각도를 제어이동 가능하게 하는 수단(1) 각각을 제어부(D)에 연계하고,
    상기 제어부(D)는 인덱스 테이블(T)의 90° 회전전, 90° 회전후 모두 인덱스테이블 표면에 탑재되는 상기 센싱부(9)에서 원점위치(상사점)로부터 하강하는 절단날(B)의 칼날의 길이방향 날끝의 복수점을 검출하여 칼날의 길이방향의 절단날 경동각도 데이터를 연산처리하여 기억하고, 절단날(B)을 칼날의 길이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소정량 이동시킨 후 원점위치(상사점)로부터 하강시켜 그 날끝을 상기 센싱부(9)에서 검출하고, 그 절단날(B)의 구동원의 구동량으로부터 절단날(B)을 소정피치만큼 이동시킬 때마다 하프컷 또는 절단하는 절단날(B)의 하강량 데이터의 파라미터를 연산처리해서 기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팅장치.
  7. 제1항에 기재된 커팅장치로 공작물을 절단하는 인덱스테이블(T) 표면에, 하강하는 절단날(B)의 칼날의 길이방향으로 이동가능한 센싱부(9)를 탑재하고, 상기 인덱스테이블(T), 센싱부(9), 절단날(B)의 구동원(M1;BM1;BM2;BM3;BM4), 지지체(A3)의 경동각도를 제어이동 가능하게 하는 수단(1) 각각을 제어부(D)에 연계하고,
    상기 제어부(D)는, 인덱스테이블(T)의 90° 회전전, 90° 회전후 모두 인덱스테이블(T) 표면에 탑재되는 상기 센싱부(9)에서 원점위치(상사점)로부터 하강하는 절단날(B)의 칼날의 길이방향 날끝의 복수점을 검출하여 칼날의 길이방향의 절단날 경동각도 데이터를 연산처리하고, 그 경동각도 데이터로 경사시킨 절단날(B)을 칼날의 길이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소정량 이동시키고 원점위치(상사점)로부터 하강시켜서 그 날끝을 인덱스테이블(T)에 선접촉하는 그 구동원의 구동량으로부터 절단날(B)을 소정피치만큼 이동시킬 때마다 하프컷 또는 절단하는 절단날(B)의 하강량 데이터의 파라미터를 연산처리하고 기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팅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센싱부(9)는 칼날의 길이방향으로 직선제어 이동할 수 있고 또한 칼날의 길이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을 향하는 인덱스테이블(T) 표면과 평행한 꼭대기부를 보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팅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센싱부(9)는 칼날의 길이방향으로 직선제어 이동할 수 있고 또한 칼날의 길이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을 향하는 인덱스테이블(T) 표면과 평행한 꼭대기부를 보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팅장치.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센싱부(9)는 절단날(B)의 날끝의 위치를 검출하는 광센서이고, 상기 광센서는 절단날(B)의 칼날의 길이방향으로 제어이동 가능하게 보유하는 윗쪽 개방형의 이동체 내에 설치되고, 그 이동체는 절단날(B)의 칼날의 길이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의 이동을 방해하지 않는 소정 폭치수의 내부공간을 보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팅장치.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센싱부(9)는 절단날(B)의 날끝의 위치를 검출하는 광센서이고, 상기 광센서는 절단날(B)의 칼날의 길이방향으로 제어이동 가능하게 보유하는 윗쪽 개방형의 이동체 내에 설치되고, 그 이동체는 절단날(B)의 칼날의 길이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의 이동을 방해하지 않는 소정 폭치수의 내부공간을 보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팅장치.
  12.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센싱부(9)는 절단날(B)의 날끝에 접촉하여 변위량을 검출하는, 칼날의 길이방향으로 직선제어 이동할 수 있는 프로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팅장치.
  13.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인덱스테이블(T)은, 90° 회전전과 90° 회전후의 각각에서 상기 센싱부(9)를 탑재하는 위치결정수단(10)을 착탈 가능하게 보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팅장치.
  14.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인덱스테이블(T)은, 90° 회전전과 90° 회전후의 각각에서 상기 센싱부(9)를 탑재하는 위치결정수단(10)을 착탈 가능하게 보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팅장치.
  15. 제1항에 기재된 커팅장치로 공작물을 절단하는 인덱스테이블(T)과, 제1항에 기재된 구동원(M1;BM1;BM2;BM3;BM4) 및 지지체(A3)의 경동각도를 제어이동 가능하게 하는 수단(1) 각각을 제어부(D)에 연계하고,
    제어부(D)는, 인덱스테이블(T)의 90° 회전전, 90° 회전후 모두 상기 절단날(B)을 칼날의 길이방향 한쪽, 다른쪽에 각각 동일 각도로 경사시킨 상태로 원점위치(상사점)로부터 절단날(B)을 하강시켜 상기 절단날(B)에 있어서의 일단측의 날끝과 타단측의 날끝을 각각 인덱스테이블(T)의 표면에 접촉시키고, 양 원점위치(상사점)로부터의 절단날(B)의 하강량을 구동원의 구동량으로부터 인덱스테이블(T)의 표면에 대한 칼날의 길이방향의 절단날 경동각도 데이터를 연산처리하고, 그 경동각도 데이터로 경사시킨 절단날(B)을 칼날의 길이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소정량 이동시켜 원점위치(상사점)로부터 하강시켜서 그 날끝을 인덱스테이블(T)에 선접촉하는 그 구동원의 구동량으로부터 절단날(B)을 소정피치만큼 이동시킬 때마다 하프컷 또는 절단하는 절단날(B)의 하강량 데이터의 파라미터를 연산처리해서 기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팅장치.
  16.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센싱부(9)는 공작물을 하프컷 또는 절단하는 작업도중의 절단날 날끝의 무디어짐을 검출하는 수단으로서 이용되고, 그 칼날의 무디어짐이 허용범위를 초과하였을 때에, 작업자에게 전달하는 전달수단이 연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팅장치.
  17.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센싱부(9)는 공작물을 하프컷 또는 절단하는 작업도중의 절단날 날끝의 무디어짐을 검출하는 수단으로서 이용되고, 그 칼날의 무디어짐이 허용범위를 초과하였을 때에, 작업자에게 전달하는 전달수단이 연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팅장치.
  1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원은 유압서보모터, 리니어모터, 에어실린더, 캠으로부터 선택된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팅장치.
KR1020010074566A 2000-11-28 2001-11-28 커팅장치 KR10058582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0-00361561 2000-11-28
JP2000361561A JP4418939B2 (ja) 2000-11-28 2000-11-28 カッティング装置における切断実行用データの入手方法及びカッティング装置
JPJP-P-2000-00361562 2000-11-28
JP2000361562A JP4418940B2 (ja) 2000-11-28 2000-11-28 カッティング装置
JPJP-P-2001-00327796 2001-10-25
JP2001327796A JP2003136470A (ja) 2001-10-25 2001-10-25 切断刃ユニット及びそのユニットを使用したカッティング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41774A KR20020041774A (ko) 2002-06-03
KR100585824B1 true KR100585824B1 (ko) 2006-06-02

Family

ID=273452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74566A KR100585824B1 (ko) 2000-11-28 2001-11-28 커팅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6892616B2 (ko)
KR (1) KR100585824B1 (ko)
CN (1) CN1267255C (ko)
TW (1) TW509614B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3282B1 (ko) * 2011-09-29 2014-03-11 김용이 침구용 매트의 외피 자동재단 장치
KR101430539B1 (ko) * 2010-04-27 2014-08-18 애드웰즈 코퍼레이션 초음파 진동 절단장치
KR101615581B1 (ko) 2015-01-13 2016-05-13 (주) 에스엘테크 미세제어 보호필름 커팅장치
KR20160089155A (ko) * 2015-01-19 2016-07-27 최병일 절단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707920B2 (en) * 2003-12-31 2010-05-04 Sd3, Llc Table saws with safety systems
KR100414890B1 (ko) * 2001-05-10 2004-01-13 삼성전자주식회사 웨이퍼 절삭 장치
JP2004090031A (ja) * 2002-08-30 2004-03-25 Uht Corp 加工装置用の駆動装置及びその駆動装置を利用した加工装置
JP4227851B2 (ja) * 2003-06-30 2009-02-18 タカタ株式会社 エアバッグカバーの製造方法
KR100602623B1 (ko) * 2004-05-31 2006-07-19 윤종진 덩어리 고무의 절단장치
US20060201994A1 (en) * 2005-03-11 2006-09-14 Chun-Heng Lin Bonding mechanism for a heat conduction tube and heat dissipation plate
JP3835479B1 (ja) * 2005-05-23 2006-10-18 株式会社村田製作所 セラミックグリーンブロックのカット装置およびカット方法
JP2007008133A (ja) * 2005-07-04 2007-01-18 Roland Dg Corp 打刻機
CN1951585B (zh) * 2005-10-17 2011-08-31 李达 一种ic卡循环复新方法及其复新设备
US7798042B2 (en) * 2006-05-08 2010-09-21 Gerber Scientific International, Inc. Reciprocated knife having an integral tangent axis orientation drive
US20080134851A1 (en) * 2006-12-08 2008-06-12 Roach William A Cutting apparatus with a cutting tip sensor
DE102007030246A1 (de) * 2007-06-29 2009-01-08 Robert Bosch Gmbh Handwerkzeugmaschine
US8132802B2 (en) * 2007-10-23 2012-03-13 Gii Acquisition, Llc Apparatus for quickly retaining and releasing parts to be optically measured
DE102008011772A1 (de) * 2008-02-28 2009-09-03 Bernd Hansen Trennvorrichtung
US8251052B2 (en) * 2009-03-02 2012-08-28 Vast Enterprises, Llc Brick cutting apparatuses and methods
CN101892503B (zh) * 2009-05-22 2012-05-30 苏骞 分切割薄膜的刀具及用于调节该刀具的固定装置
AT507655B1 (de) * 2009-06-12 2010-07-15 Walter Ing Degelsegger Vorrichtung für das warmhalten, portionieren und ausgeben eines lebensmittels
DE202010004242U1 (de) * 2010-03-26 2010-09-09 Geiss Ag Vorrichtung zum Schneiden, Werkzeugmaschine
KR101796957B1 (ko) * 2011-01-21 2017-11-13 주식회사 탑 엔지니어링 글래스 패널의 브레이킹 장치
EP2502716B1 (de) * 2011-03-21 2013-11-06 TRUMPF Werkzeugmaschinen GmbH + Co. KG Werkzeug für eine Blechbearbeitungsmaschine und Verfahren zum Trennen einer Folie
CN102765102A (zh) * 2011-05-04 2012-11-07 上海浔兴拉链制造有限公司 一种塑钢开口切断机
CN102416500B (zh) * 2011-11-15 2015-05-20 深圳市顺昱自动化设备有限公司 一种切刀装置
US20130205867A1 (en) * 2012-02-10 2013-08-15 Quaser Machine Tools, Inc. Automatic rectifying system for machine tools
US9533427B1 (en) * 2013-04-10 2017-01-03 Tmi Holdco, Inc. Corrugated sample cutter
KR101481091B1 (ko) * 2013-05-20 2015-01-14 이용우 전동식 자동 천공기
CN103264404B (zh) * 2013-05-22 2014-12-03 广州珠江恺撒堡钢琴有限公司 一种钢琴弦槌自动切割机及切割弦槌的方法
DE102013009251A1 (de) * 2013-06-03 2014-12-04 Günter Bröker Vorrichtung zur schneidenden Bearbeitung von Material und Schneideinheit mit oszillierendem Schneidmesser und veränderlichem Schnittneigungswinkel
CN103302688B (zh) * 2013-06-07 2015-01-07 北京工商大学 一种往复式切片机
US20150378126A1 (en) * 2013-06-12 2015-12-31 Ripley Tools, Llc Mid-span buffer shaving tool
CN103465294B (zh) * 2013-09-12 2016-06-08 深圳市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切割装置
CN103737653B (zh) * 2013-12-21 2015-12-02 广州向盟机械有限公司 一种圆角机刀具传动装置
JP2015193069A (ja) * 2014-03-27 2015-11-05 三星ダイヤモンド工業株式会社 加工ヘッド及び溝加工装置
JP6650663B2 (ja) * 2014-03-28 2020-02-19 三星ダイヤモンド工業株式会社 樹脂シートの分断方法及び分断装置
CN104526728A (zh) * 2014-11-12 2015-04-22 玮锋电子材料(昆山)有限公司 一种自动裁切装置
CN104858921A (zh) * 2015-06-22 2015-08-26 南通迅达橡塑制造有限公司 一种橡胶块切片设备
CN105216029B (zh) * 2015-11-02 2017-04-12 成都鲁晨新材料科技有限公司 一种切割机
CN105364957B (zh) * 2015-11-24 2017-11-28 南京新侨鑫环保科技有限公司 贝壳钮扣外缘切削机构
CN105611741B (zh) * 2015-12-31 2018-03-30 苏州恩欧西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电路板刮刀系统
CN105563542A (zh) * 2016-03-03 2016-05-11 江苏中科国能光伏科技有限公司 一种太阳能电池组件电极绝缘分路条开口设备
CN105904494A (zh) * 2016-04-22 2016-08-31 黄斌 塑料薄板切割装置
FR3053615B1 (fr) * 2016-07-08 2018-07-27 Precise France Ensemble pour usinage d'une surface, comprenant un effecteur, destine a etre monte sur un bras de robot, et au moins un element d'appui de l'effecteur sur la surface et/ou sur l'outillage avec liaison rotule entre eux
JP7029709B2 (ja) * 2016-08-10 2022-03-04 甲南設計工業株式会社 樹脂シート切断機
CN106737915B (zh) * 2016-12-16 2018-08-17 湖南神舟中药饮片有限公司 一种医疗用中药材双向切割装置
CN115213976A (zh) 2017-07-28 2022-10-21 克里卡特股份有限公司 工具、控制该工具的机器和包括该工具的机器
CN107685356B (zh) * 2017-08-31 2024-02-09 苏州华兴欧立通自动化科技有限公司 一种针形胶塞组装切割机
CN108927831A (zh) * 2018-07-28 2018-12-04 泾县汇鼎锋建筑装饰工程有限公司 一种特殊场合柱料截断加工专用装置
CN108789662A (zh) * 2018-07-28 2018-11-13 泾县瑞旺农业科技服务有限公司 一种原木加工用单刀自动换向两端截断装置
CN109079870A (zh) * 2018-07-28 2018-12-25 泾县狸宣文化用品有限公司 一种高效低成本单刀双端裁截设备
CN109129611A (zh) * 2018-07-28 2019-01-04 合肥烨泰科技有限公司 一种采用同步相向技术的用于柱料双端裁截的单刀设备
CN109352883B (zh) * 2018-11-12 2023-08-22 安徽康柰尔自动化设备有限公司 一种空调过滤网毛边切边设备
KR102202410B1 (ko) * 2019-01-28 2021-01-13 (주)우성티오티 초음파 커팅기의 완충기구
JP7157674B2 (ja) * 2019-01-30 2022-10-20 株式会社ディスコ ブレード交換ユニット
CN110228104B (zh) * 2019-03-29 2021-04-30 西安爱邦电磁技术有限责任公司 一种菱形防雷金属网成型设备、制备方法及菱形防雷金属网
CN109927083A (zh) * 2019-03-29 2019-06-25 安徽信盟装备股份有限公司 一种内胆板料分切机
IT201900010557A1 (it) * 2019-07-01 2021-01-01 Astes4 Sa Sistema di taglio, apparecchiatura di sorting regolabile e relativo metodo
CN110919747B (zh) * 2019-12-30 2022-04-29 温州市昕宏箱包有限公司 一种用于拉杆箱生产的板材切割装置
CN111885836A (zh) * 2020-08-06 2020-11-03 杭州夏尔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线路板生产加工用切割设备
JP7100386B2 (ja) * 2020-10-28 2022-07-13 日高精機株式会社 カットオフ装置及び熱交換器用フィンの製造装置
CN113942061A (zh) * 2021-10-13 2022-01-18 国网福建省电力有限公司厦门供电公司 一种变压器密封圈快速精准切割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10000466U (ko) * 1989-06-17 1991-01-22 주식회사 정 화 세라믹 기판의 자동절단기
KR930002363Y1 (ko) * 1985-05-27 1993-05-06 소니 가부시끼가이샤 카메라 일체형 vtr
JPH05237793A (ja) * 1992-02-28 1993-09-17 Tsuchiya Mfg Co Ltd 樹脂管状成形品における袋ばりの切断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41405A (en) * 1980-07-21 1985-09-17 Park Tool Company Hydraulic stone shaping machine
US4603609A (en) * 1983-10-21 1986-08-05 Disco Abrasive Systems, Ltd. Apparatus for cutting a sheet-like member applied to a surface of a semiconductor wafer
DE3431550A1 (de) * 1984-08-28 1986-03-20 Alois 8551 Waischenfeld Berner Holzzerkleinerungsmaschine
US4656904A (en) * 1985-09-04 1987-04-14 Lamb-Weston, Inc. Food product cutter apparatus
US4738018A (en) * 1985-11-12 1988-04-19 Ebrahim Ebrahimian Combined bending and cutting machine for metal sheet and plate
US5079981A (en) * 1988-11-14 1992-01-14 D&K Custom Machine Design, Inc. Cutter mechanism
EP0423386B1 (en) * 1989-10-17 1993-07-28 Tomi Machinery Manfuacturing Co., Ltd. Synthetic resin film, method of uniforming the film thickness upon molding of such film and apparatus therefor
US5269739A (en) * 1991-06-06 1993-12-14 Amada Engineering & Service Co., Inc. Tool changing apparatus for a turret punch press
US5521707A (en) * 1991-08-21 1996-05-28 Apeiron, Inc. Laser scanning method and apparatus for rapid precision measurement of thread form
US5931073A (en) * 1995-08-28 1999-08-03 Hoyer-Ellefsen; Sigurd Bevel angle control on translatory saw apparatus
TW327599B (en) * 1996-07-11 1998-03-01 Nippon Tobacco Sangyo Kk Apparatus for slicing a compression-formed article of sheet-like material and a slicing knife therefor
US6070509A (en) * 1997-09-18 2000-06-06 Colbourne Corporation Method for ultrasonic cutting of food products
US6324953B1 (en) * 1998-06-11 2001-12-04 Hong Soon Park Device for forming cutting blade for prints
US6418823B1 (en) * 1999-05-26 2002-07-16 Tairob Industrial Technology Ltd. Processing center for three dimensional cutting of food products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30002363Y1 (ko) * 1985-05-27 1993-05-06 소니 가부시끼가이샤 카메라 일체형 vtr
KR910000466U (ko) * 1989-06-17 1991-01-22 주식회사 정 화 세라믹 기판의 자동절단기
JPH05237793A (ja) * 1992-02-28 1993-09-17 Tsuchiya Mfg Co Ltd 樹脂管状成形品における袋ばりの切断装置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0539B1 (ko) * 2010-04-27 2014-08-18 애드웰즈 코퍼레이션 초음파 진동 절단장치
KR101373282B1 (ko) * 2011-09-29 2014-03-11 김용이 침구용 매트의 외피 자동재단 장치
KR101615581B1 (ko) 2015-01-13 2016-05-13 (주) 에스엘테크 미세제어 보호필름 커팅장치
KR20160089155A (ko) * 2015-01-19 2016-07-27 최병일 절단 장치
KR101649104B1 (ko) * 2015-01-19 2016-08-19 최병일 절단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509614B (en) 2002-11-11
US20020069736A1 (en) 2002-06-13
CN1358613A (zh) 2002-07-17
CN1267255C (zh) 2006-08-02
KR20020041774A (ko) 2002-06-03
US6892616B2 (en) 2005-05-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85824B1 (ko) 커팅장치
KR102475955B1 (ko) 다관절 아암 로봇에 부착된 보링 공구를 사용하여 고정식으로 장착된 공작물의 표면에 보어홀을 도입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KR101209826B1 (ko) 정밀부품 면삭가공을 위한 밀링머신용 지그
JP2011016218A (ja) 切断装置
US20200405442A1 (en) Dental Milling Machine Method
CN113263633A (zh) 刻划头及刻划装置
CN108406146B (zh) 一种激光加工二维码自动化生产线用机械手
JP4418939B2 (ja) カッティング装置における切断実行用データの入手方法及びカッティング装置
ES2818077T3 (es) Procesamiento de piezas de trabajo con troqueles cuyo nivel se compensa con un elemento de compensación
JP2012166292A (ja) 多軸ボール盤における各刃具の軸方向位置揃え方法、多軸ボール盤における各刃具の軸方向位置揃え部材、及び多軸ボール盤における各刃具の軸方向位置揃え装置
US20050208877A1 (en) Apparatus for machining workpieces, in particular workpieces provided with cutting teeth
CN110803494A (zh) 工件校正系统
CN102152141B (zh) 夹具
CN211028635U (zh) 一种双工位气动打标机用工装夹具
WO2017082219A1 (ja) 線形摩擦接合装置
CN111751234A (zh) 硬度检测装置
CN110000936B (zh) 分断装置
CN101474753A (zh) 柱塞镗孔定位装置
CN108622637B (zh) 定位结构
KR20140118846A (ko) 홈 가공 툴 및, 이것을 이용한 홈 가공 장치
CN212761735U (zh) 一种快速刻标的打标工装
CN110757178A (zh) 工件校正系统
JP5685659B1 (ja) 両頭加工機におけるワーク搬出入装置
CN214602504U (zh) 一种多自由度连续镭雕治具
CN111014674B (zh) 一种微线齿轮的增材制造装置及线齿轮激光微烧结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415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