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02623B1 - 덩어리 고무의 절단장치 - Google Patents

덩어리 고무의 절단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02623B1
KR100602623B1 KR1020040039360A KR20040039360A KR100602623B1 KR 100602623 B1 KR100602623 B1 KR 100602623B1 KR 1020040039360 A KR1020040039360 A KR 1020040039360A KR 20040039360 A KR20040039360 A KR 20040039360A KR 100602623 B1 KR100602623 B1 KR 1006026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rntable
rear direction
horizontal rotation
rotation direction
b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393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114140A (ko
Inventor
윤종진
Original Assignee
윤종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진 filed Critical 윤종진
Priority to KR10200400393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02623B1/ko
Publication of KR200501141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141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026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026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3/00Cutting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f the cut made; Apparatus therefor
    • B26D3/003Cutting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f the cut made; Apparatus therefor specially adapted for cutting rubb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1/00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 B26D1/01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 B26D1/04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having a linearly-movable cutting memb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7/00Details of apparatu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7/01Means for holding or positioning work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rushing And Pulverization Proces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덩어리 고무 절단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판상의 상틀과 하틀 및 상기 상틀과 하틀을 연결하는 수직틀을 가지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상부측에서 승강하는 절단칼; 상기 절단칼의 승강동작을 안내하는 승강안내수단; 상기 절단칼을 승강구동하는 승강구동수단; 상기 절단칼의 하부에 설치되어 절단하고자 하는 덩어리 고무가 올려놓아지는 턴테이블; 상기 턴테이블을 전후방향으로 안내하는 전후방향안내수단; 상기 턴테이블을 수평회전방향으로 안내하는 수평회전방향안내수단; 상기 턴테이블을 전후방향으로 이송하는 전후방향구동수단; 상기 턴테이블을 수평회전방향으로 구동하는 수평회전방향구동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수평회전방향안내수단은 상기 전후방향안내수단 상에 설치되는 링형지지대와, 상기 링형지지대의 상면에 배치되어 상기 턴테이블을 지지하는 스러스트 볼베어링을 포함하여 구성함으로써 작업자가 덩어리 고무를 일일이 들어서 그 위치를 바꿔주지 않고서도 원하는 크기, 형상 및 무게로 절단할 수 있게 되며, 안전사고의 위험을 배제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Description

덩어리 고무의 절단장치{LUMP RUBBER CUTTING APPARATUS}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덩어리 고무 절단장치의 종단 정면도,
도 2는 도 1의 Ⅱ-Ⅱ선 단면도,
도 3은 도 1의 부분 확대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프레임 200 : 절단칼
300 : 승강안내수단 310 : 승강안내레일
320 : 승강안내편
400 : 선형 액츄에이터 500 : 턴테이블
600 : 전후방향안내수단 610 : 전후방향안내레일
620 : 베드 621 : 롤러
700 : 수평회전방향안내수단 710 : 링형지지대
720 : 스러스트 볼베어링
800 : 전후방향구동수단 810 : 스크루
820 : 너트 830 : 전후방향구동모터
840 : 전후방향구동력 전동기구
900 : 수평회전방향구동수단 910 : 구동기어
920 : 종동기어 930 : 수평회전방향구동모터
940 : 수평회전구동력 전동기구
본 발명은 덩어리 고무를 절단하는 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무정형의 비교적 큰 덩어리 고무를 절단하는 데 능률적으로 절단하여 생산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한 덩어리 고무 절단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고무 절단기는 그 용도가 천연고무 또는 합성고무의 절단에 적합하게 설계되어 있어 통상 신고무의 크기가 70cm × 70cm × 70cm(가로 × 세로 × 높이)이하인 것으로 대체로 6면체인 것을 절단하는 데 사용되고 있다.
또한 종래 덩어리 고무(무정형의 둥글고 납작한 고무류로서 무늬점도가 ML1+4, 100℃에서 150이하의 미가황 고무) 절단장치로서는 절단칼을 수직으로 승강시키는 상하작동방식과, 원통체의 원주상에 복수개(통상 8개)의 칼날을 방사상으로 고정한 베일 커터(bale cutter)를 사용하는 횡치식-8도-수평작동방식이 사용되고 있다.
통상적으로 무정형 덩어리 고무는 그 크기가 가로 및 세로가 1m 이상이며 그 높이가 30cm이상인 것으로, 그 무게는 200kg이상이 되는 것을 20kg이하의 원하는 크기와 형태로 절단하여야 한다.
그러나 상기 수직식-1도-수직작동방식 고무 절단기는 하나의 칼날이 수직방향으로 승강하면서 절단하는 것인 바, 어느 한 쪽방향으로 평행한 절단은 가능하지만 필요한 각도와 길이로 절단하기 위해서는 덩어리 고무의 위치를 바꿔가면서 수차례 절단하여야 하므로 덩어리 고무의 중량을 감안하여 볼 때 그 취급 및 절단 작업이 어렵고, 점도가 비교적 낮은 것이어서 절단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베일 커터를 사용한 횡치식-8도-수평작동방식 고무 절단기는 원통체의 원주상에 8개의 칼날을 방사상으로 고정한 것으로서, 1회의 전ㆍ후진 작동에서 8조각으로 절단되지만 요구하는 크기와 형태 및 각도로 절단하기 위해서는 이 또한 덩어리 고무의 위치를 바꿔가면서 수차례 절단하여야 하므로 수직식-1도-상하작동방식 고무 절단기와 마찬가지의 문제점이 있다.
더구나 이들 종래의 고무 절단기는 칼날의 하부에서 작업자가 덩어리 고무를 원하는 절단 위치로 이동시켜야 하기 때문에 안전사고의 위험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덩어리 고무의 위치를 작업자가 바꾸지 않고서도 원하는 크기, 형태, 무게로 절단할 수 있도록 한 덩어리 고무 절단방법 및 그 장치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덩어리 고무의 점도와 무관하게 원활한 절단이 이루 어질 수 있도록 한 덩어리 고무 절단방법 및 그 장치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판상의 상틀과 하틀 및 상기 상틀과 하틀을 연결하는 수직틀을 가지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상부측에서 승강하는 절단칼; 상기 절단칼의 승강동작을 안내하는 승강안내수단; 상기 절단칼을 승강구동하는 승강구동수단; 상기 절단칼의 하부에 설치되어 절단하고자 하는 덩어리 고무가 올려놓아지는 턴테이블; 상기 턴테이블을 전후방향으로 안내하는 전후방향안내수단; 상기 턴테이블을 수평회전방향으로 안내하는 수평회전방향안내수단; 상기 턴테이블을 전후방향으로 이송하는 전후방향구동수단; 상기 턴테이블을 수평회전방향으로 구동하는 수평회전방향구동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수평회전방향안내수단은 상기 전후방향안내수단 상에 설치되는 링형지지대와, 상기 링형지지대의 상면에 배치되어 상기 턴테이블을 지지하는 스러스트 볼베어링을 포함하는 덩어리 고무 절단장치가 제공된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덩어리 고무 절단방법 및 그 장치를 첨부 도면에 도시한 실시례에 따라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덩어리 고무 절단장치를 보인 정면도이고, 도 2는 도 Ⅱ-Ⅱ선 단면도이며, 도 3은 도 1의 부분 확대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덩어리 고무 절단장치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프레임(100)과; 상기 프레임(100)의 상부측에서 승강하는 절단칼(200)과; 상기 절단칼(200)의 승강동작을 안내하는 승강안내수단(300)과; 상기 절단칼(200)을 승강구동하는 승강구동수단(400)과; 상기 절단칼(200)의 하부에 설치되는 턴테이블(500)과; 상기 턴테이블(500)을 전후방향으로 안내하는 전후방향안내수단(600)과; 상기 턴테이블(500)을 수평회전방향으로 안내하는 수평회전방향안내수단(700)과; 상기 턴테이블(500)을 전후방향으로 이송하는 전후방향구동수단(800) 및; 상기 턴테이블(500)을 수평회전방향으로 이송하는 수평회전방향구동수단(900)으로 구성된다.
상기 프레임(100)은 H빔 또는 I빔 등으로 형성된 상틀(110)과, 장방형 판체로 형성된 하틀(120) 및 이들 상틀(110)과 하틀(120)의 전후방향 중간부의 양측 가장자리를 연결하는 좌우 한 개씩의 기둥으로 된 수직틀(130)에 의해 직방체로 구성된다.
상기 프레임(100)의 전,후면은 완전히 개방된 상태로 구성되며, 좌,우측면은 수직틀(130)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에서 개방된 상태로 형성된다.
상기 수직틀(130)은 도시례와 같이 상틀(110)과 하틀(120)의 전후방향 중간부를 연결하는 좌우 한 개씩의 기둥으로 구성할 수 있으나, 기계적 안전성을 고려하여 상틀(110)과 하틀(120)의 네모서리 부분을 연결하는 좌우 두쌍의 기둥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 수직틀(130)을 구성하는 소재로서는 ㄷ자형강, 앵글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절단칼(200)은 몸체부(210)와, 이 몸체부(210)의 하단에 형성된 칼날부(220)로 구성된다.
상기 승강안내수단(300)은 상기 수직틀(130)의 내측면에 상하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승강안내홈(310)과, 상기 칼날(222)의 양측에 구비되어 상기 승강안내홈(310)에 안내되는 승강안내편(320)으로 구성된다.
상기 승강안내홈(310)은 상기 수직틀(130)이 4개의 기둥으로 구성되었을 경우에는 수직틀(130)과는 별도로 상틀(110)과 하틀(120)의 전후방향 중간부를 연결하는 수직부재를 설치하고 이 수직부재의 내측면에 설치할 수도 있다.
상기 승강안내레일(310)에는 상기 승강안내편(320)이 삽입, 안내되는 안내홈(311)이 상하방향으로 형성된다.
상기 승강구동수단(400)은 상기 상틀(110)의 중앙부에 고정되는 선형 액츄에이터(410)와, 이 선형 액츄에이터(410)의 로드(420)의 하단에 상기 칼날(200)의 상단 중앙부를 연결 고정하는 칼날연결구(430)로 구성된다.
상기 선형 액츄에이터(410)로서는 내부에 피스톤(도시하지 않음)이 설치되고 이 피스톤에 상기 로드(420)가 결합되는 통상적인 유압실린더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상틀(110)에 마운트(440)를 통하여 탑재된다.
상기 선형 액츄에이터(410)로서 유압실린더를 사용하였을 경우에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유압실린더의 상단과 하단에 각각 유압라인(451,452)을 연결하고, 이 유압라인(451,452)을 유압기(453)에 연결한다. 상기 유압기(453)는 유압펌프와 오일탱크 및 작동밸브 등을 포함하는 통상적인 유압장치를 사용하는 것이므로 여기서는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선형 액츄에이터(410)는 작업자의 스위치(도시하지 않음) 조작에 의하여 정역 방향으로 작동하게 되며, 절단칼(200)의 칼날부(220)가 절단완료 위치에 도달하였을 때 이를 감지하는 절단위치감지용 리미트 스위치(도시하지 않음)의 감 지신호에 의해 하강동작이 정지되고 상승동작이 이루어지게 되고, 절단칼(200)이 상승완료하였을 때 이를 감지하는 상승위치감지용 리미트 스위치(도시하지 않음)의 감지신호에 의해 상승동작이 정지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여기서 스위치와 각 리미트 스위치들은 통상적인 직선왕복구동장치에서는 관용적으로 사용하는 기술이므로 여기서는 구체적인 도시 및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턴테이블(500)은 원판형 판체로 구성되어 절단하고자 하는 덩어리 고무를 받혀주는 것이다.
상기 전후방향안내수단(600)은 상기 하틀(120)의 상면에 전후방향으로 길게 설치되는 3개의 전후방향안내레일(610)과, 상기 전후방향안내레일(610) 상에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턴테이블(500)과 수평회전방향안내수단(700) 및 수평회전방향구동수단(900)이 장착되는 베드(620)로 구성된다.
상기 3개의 전후방향안내레일(610)은 도시례와 같이 환봉을 사용하거나 철도레일과 같은 부재를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하틀(120) 상면에 직접 설치될 수도 있으나, 기계적 안정성을 고려하여 하틀(120)의 상면에 받침판(611)을 부착하고 이 받침판(611)의 상면에 전후방향안내레일(610)을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전후방향안내레일(610)은 좌우 한 쌍만 설치하여도 무방하나 절단과정에서 가해지는 절단하중을 견딜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중간부에 하나 더 설치하여 3개의 전후방향안내레일(610)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베드(620)는 장방형 판체로 구성되며, 그 하부에는 상기 전후방향안내레일(610) 위에 구름접촉하는 복수개의 롤러(621)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각 롤러(621)는 베드(620)의 하면에 돌출 설치된 한 쌍의 지지편(622) 사이에서 축핀(623)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수평회전방향안내수단(700)은 상기 베드(620) 상에 설치되는 링형지지대(710)와, 상기 링형지지대(710)의 상면에 링형으로 배치되어 상기 턴테이블(500)을 지지하는 스러스트 볼베어링(720)으로 구성된다.
상기 링형지지대(710)는 전체를 링형으로 형성할 수도 있으나 도시례와 같이 상기 베드(620) 위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복수개(예컨대 4개 내지 8개; 도면 도 1 및 도 3에서는 2개만 보임)의 지지각(711)과, 이 지지각(711)의 상단에 부착되는 링형부재(712)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스러스트 볼베어링(720)은 턴테이블(500)의 하면에 돌출 형성된 링형돌기(510)의 저면에 대략 반원형 단면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링형 볼안내홈(511)과, 상기 링형부재(712)의 상면에 대략 반원형 단면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링형 볼안내홈(713)에 수용 안내된다.
상기 전후방향구동수단(800)은 상기 하틀(120)의 상면에 전후방향으로 길게 배치되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스크루(810)와, 상기 베드(620)의 하면에 고정되어 상기 스크루(810)에 나사결합되는 너트(820)와, 상기 하틀(120)의 상면에 설치되는 정역회전형 전후방향구동모터(830)와, 상기 전후방향구동모터(830)의 회전력을 상기 스크루(810)에 전달하는 전후방향구동력 전동기구(840)로 구성된다.
상기 전후방향구동력 전동기구(840)는 상기 전후방향구동모터(830)의 축(831)에 고정된 구동풀리(841)와, 상기 스크루(810)의 일단에 설치된 종동풀리(842) 및, 이들 구동풀리(841)와 종동풀리(842)를 연결하는 전동벨트(843)로 구성된다.
상기 수평회전방향구동수단(900)은 상기 베드(620)의 상면 일측에 설치되는 구동기어(910)와, 상기 베드(620)의 상면 중앙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됨과 아울러 상기 턴테이블(500)의 하면에 고정 결합되는 종동기어(920)와, 상기 베드(620)의 상면에 설치되는 수평회전방향구동모터(930)와, 상기 수평회전방향구동모터(930)의 회전력을 상기 구동기어(910)에 전달하는 수평회전구동력 전동기구(940)로 구성된다.
상기 종동기어(920)의 저면 중심부에는 지지축(921)이 구비되고, 상기 베드(620)의 상면 중앙부에는 상기 지지축(921)이 지지되는 축받이(624)가 구비된다.
상기 수평회전방향구동모터(930)는 일방향으로만 회전하는 모터를 사용할 수도 있으나, 정역회전이 가능한 모터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평회전구동력 전동기구(940)는 상기 구동기어(910)가 출력축(941a)에 고정된 감속기(941)와, 상기 수평회전방향구동모터(930)의 축(931)에 고정된 구동풀리(942), 상기 감속기(941)의 입력축(941b)에 고정되는 종동풀리(943)와, 상기 구동풀리(942)와 종동풀리(943)를 연결하는 전동벨트(944)로 구성된다.
이하,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한 덩어리 고무 절단장치를 이 용하여 덩어리 고무를 절단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승강구동수단(400)과 전후방향구동수단(700) 및 수평회전방향구동수단(800)을 정지시킨 상태에서 턴테이블(500) 위에 절단하고자 하는 덩어리 고무를 올려놓는다.
이 상태에서 승강구동수단(400)의 유압기(453)에 있는 작동밸브를 조작하여 선형 액츄에이터(410)를 정방향으로 작동시키면 로드(420)가 하강하게 되고, 이에 따라 로드(420)의 하단에 칼날연결구(430)를 통해 연결되어 있는 절단칼(200)이 하강하게 되어 그 칼날부(220)가 턴테이블(500) 위에 올려놓은 덩어리 고무를 절단하게 된다.
절단칼(200)이 덩어리 고무를 완전히 절단하는 위치까지 하강하게 되면,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하강위치 감지용 리미트 스위치가 이를 감지하게 되고, 이 감지신호에 따라 선형 액츄에이터(410)가 역방향으로 작동되어 로드(420)가 상승하게 되고, 이에 따라 절단칼(200)이 상승하게 되며, 절단칼(200)이 완전히 상승하게 되면 상승위치 감지용 리미트 스위치가 이를 감지하게 되고, 이에 따라 선형 액츄에이터(410)의 상승동작이 정지되어 1회 절단동작이 완료된다.
1회 절단동작이 완료되면, 전후방구동수단(800) 또는 수평회전방향구동수단(900)에 의하여 턴테이블(500)을 전후방향 또는 수평회전방향으로 이송시켜 턴테이블(500) 상에 올려놓은 덩어리 고무의 원하는 절단위치가 절단칼(200)의 직하방에 위치하도록 한 다음, 상술한 바와 같은 절단동작을 수행함으로써 전번 절단동작시 절단위치와는 다른 위치에서 절단동작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러한 절단동작을 반복해서 수행함으로써 덩어리 고무를 원하는 크기와 형태 및 무게로 절단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전후방향구동수단(800)에 의한 턴테이블(500)의 전후방향 이송동작을 설명하면, 전후방향구동수단(800)의 전후방향구동모터(830)를 정방향으로 가동시키면, 이 전후방향구동모터(830)의 구동력이 상기 전후방향구동력 전동기구(840)를 통하여 상기 스크루(810)에 전달되어 스크루(810)가 정회전하게 되고, 이에 따라 스크루(810)에 나사결합된 너트(820)가 고정된 베드(620)가 정방향(예컨대 전방에서 후방으로 전진하는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고, 이 베드(620)의 상부에 설치된 턴테이블(500)이 정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며, 반대로 전후방향구동모터(830)를 역방향으로 가동시키면 상술한 동작과 반대방향의 동작에 의해 베드(620)가 역방향(예컨대 후방에서 전방으로 후진하는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고, 이 베드(620)의 상부에 설치된 턴테이블(500)이 역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 턴테이블(500)이 전진 또는 후진 동작을 수행하는 과정에서는 전후방향안내수단(600)을 구성하는 베드(620)의 하면에 롤러(621)가 하틀(120)의 상면에 설치된 전후방향안내레일(610) 상에서 구름접촉하게 되므로 베드(620)와 턴테이블(500)의 전후방향 이송동작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 수평회전방향구동수단(900)에 의한 턴테이블(500)의 수평회전 이송동작을 설명하면, 수평회전방향구동수단(900)의 수평회전방향구동모터(930)를 정방향(예컨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이 수평회전방향구동모터(930)의 구동력이 수평회전구동력 전동기구(940)를 통하여 상기 감속기(941)로 전달되고, 이 감속기(941)에서 그 회전속도가 감속된 후 그 출력축(941b)에 고정된 구동기어(910)가 회전하게 되고, 이 구동기어(910)에 맞물려 있는 종동기어(920)가 역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며, 이 종동기어(920)가 고정 결합되어 있는 턴테이블(500)이 역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반대로 수평회전방향구동모터(930)를 역방향(예컨대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술한 동작과 반대방향의 동작에 의해 턴테이블(500)이 정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턴테이블(500)이 수평회전 동작하는 과정에서는 턴테이블(500)이 수평회전방향안내수단(700)을 구성하는 스러스트 볼베어링(720)에 의하여 링형지지대(710) 상에 지지되어 있으므로 턴테이블(500)의 수평회전 동작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덩어리 고무 절단장치에 의하면 작업자가 일일이 덩어리 고무의 위치를 변경시키지 않고 절단칼의 절단동작과 전후방향구동수단에 의한 전후방향 이송동작 및 수평회전방향구동수단에 의한 수평회전방향 이송동작을 적절히 조합하는 것에 의하여 덩어리 고무를 그 점도와 무관하게 원하는 크기와 형태 및 무게로 절단할 수 있으므로 그 작업이 매우 간편하고 안전하게 되며, 생산성이 크게 향상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10)

  1. 판상의 상틀과 하틀 및 상기 상틀과 하틀을 연결하는 수직틀을 가지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상부측에서 승강하는 절단칼;
    상기 절단칼의 승강동작을 안내하는 승강안내수단;
    상기 절단칼을 승강구동하는 승강구동수단;
    상기 절단칼의 하부에 설치되어 절단하고자 하는 덩어리 고무가 올려놓아지는 턴테이블;
    상기 턴테이블을 전후방향으로 안내하는 전후방향안내수단;
    상기 턴테이블을 수평회전방향으로 안내하는 수평회전방향안내수단;
    상기 턴테이블을 전후방향으로 이송하는 전후방향구동수단;
    상기 턴테이블을 수평회전방향으로 구동하는 수평회전방향구동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수평회전방향안내수단은 상기 전후방향안내수단 상에 설치되는 링형지지대와, 상기 링형지지대의 상면에 배치되어 상기 턴테이블을 지지하는 스러스트 볼베어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덩어리 고무 절단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후방향안내수단은,
    상기 하틀의 상면에 전후방향으로 길게 배치되는 복수개의 전후방향안내레일과;
    상기 전후방향안내레일 상에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턴테이블과 수평회전방향안내수단 및 수평회전방향구동수단이 장착되는 베드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덩어리 고무 절단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후방향안내레일은,
    상기 하틀의 좌우방향 양측에 배치됨과 아울러 좌우방향 중앙에 추가 배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덩어리 고무 절단장치.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베드의 하면에는 상기 전후방향안내레일의 상면에 구름접촉하는 롤러가 회전 가능하게 지지됨을 특징으로 하는 덩어리 고무 절단장치.
  5. 삭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링형지지대는,
    상기 베드 위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복수개의 지지각과;
    이 지지각의 상단에 부착되는 링형부재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덩어리 고무 절단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턴테이블의 하면에는 링형돌기가 형성되고, 이 링형돌기의 하면과 상기 링형부재의 상면에는 각각 상기 스러스트 볼베어링이 삽입 안내되는 대략 반원형 단면의 볼안내홈이 각각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덩어리 고무 절단장치.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후방향구동수단은,
    상기 하틀에 전후방향으로 길게 배치되는 스크루와;
    상기 베드의 하면에 고정되어 상기 스크루와 나사결합되는 너트와;
    상기 하틀의 상면에 설치되는 정역회전형 전후방향구동모터와;
    상기 전후방향구동모터의 회전력을 상기 스크루에 전달하는 전후방향구동력 전동기구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덩어리 고무 절단장치.
  9.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회전방향구동수단은,
    상기 베드의 상면 일측에 설치되는 구동기어와;
    상기 베드의 상면 중앙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됨과 아울러 상기 턴테이블의 하면에 고정 결합되는 종동기어와;
    상기 베드의 상면에 설치되는 수평회전방향구동모터와;
    상기 수평회전방향구동모터의 회전력을 상기 구동기어에 전달하는 수평회전구동력 전동기구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덩어리 고무 절단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종동기어의 저면 중심부에는 지지축이 구비되고, 상기 베드의 상면 중앙부에는 상기 지지축을 지지하는 축받이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덩어리 고무 절단장치.
KR1020040039360A 2004-05-31 2004-05-31 덩어리 고무의 절단장치 KR1006026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39360A KR100602623B1 (ko) 2004-05-31 2004-05-31 덩어리 고무의 절단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39360A KR100602623B1 (ko) 2004-05-31 2004-05-31 덩어리 고무의 절단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14140A KR20050114140A (ko) 2005-12-05
KR100602623B1 true KR100602623B1 (ko) 2006-07-19

Family

ID=372885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39360A KR100602623B1 (ko) 2004-05-31 2004-05-31 덩어리 고무의 절단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0262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30574B1 (ko) * 2017-03-08 2018-02-20 유희갑 자동차부품용 드릴링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2391B1 (ko) * 2006-02-14 2007-07-24 조순임 부직포 싸이드 커팅기
KR101349919B1 (ko) * 2012-09-05 2014-01-14 주식회사 포스코 신터 스크린 바이브레이터 인출입 장치
KR101552915B1 (ko) * 2014-01-24 2015-09-15 김형년 수평 유지 기능을 갖는 롤원단 포장지 컷팅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9037A (ja) 1982-07-08 1984-01-18 Nobuyuki Hayashi ゴムインゴツト裁断機
JP2000190279A (ja) 1998-12-21 2000-07-11 Morita Yuatsuki Seisakusho:Kk ゴムベールの切断装置
KR20000067512A (ko) * 1999-04-29 2000-11-25 조충환 블록고무 절단장치
KR20020041774A (ko) * 2000-11-28 2002-06-03 카키모토 마사카주 커팅장치
KR20030095233A (ko) * 2002-06-11 2003-12-18 미쓰보시 다이야몬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스크라이브 방법 및 스크라이브 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9037A (ja) 1982-07-08 1984-01-18 Nobuyuki Hayashi ゴムインゴツト裁断機
JP2000190279A (ja) 1998-12-21 2000-07-11 Morita Yuatsuki Seisakusho:Kk ゴムベールの切断装置
KR20000067512A (ko) * 1999-04-29 2000-11-25 조충환 블록고무 절단장치
KR20020041774A (ko) * 2000-11-28 2002-06-03 카키모토 마사카주 커팅장치
KR20030095233A (ko) * 2002-06-11 2003-12-18 미쓰보시 다이야몬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스크라이브 방법 및 스크라이브 장치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1020030095233 *
59009037 *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30574B1 (ko) * 2017-03-08 2018-02-20 유희갑 자동차부품용 드릴링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14140A (ko) 2005-1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368479A (en) Rolling bolster mechanism for a press
CN102528939B (zh) 全自动纵横多切头组合切边机
CN102717442B (zh) 数控石材多片连续切割流水线
CN209191015U (zh) 一种石膏板切断装置
CN202878503U (zh) 一种龙门式石材切割机
CN105216038A (zh) 一种电机驱动式海绵圆形切割装置
KR100602623B1 (ko) 덩어리 고무의 절단장치
CN101817208A (zh) 纵横向切石装置
CN101987502A (zh) 塑料型材挤出辅机定型台
CN214772652U (zh) 一种木板切割设备
CN206937439U (zh) 全自动食品切块机
JP2588847B2 (ja) 石材曲面切断機
CN202448242U (zh) 全自动纵横多切头组合切边机
CN209665497U (zh) 软芯板双向随意停进快速切割机构
CN208543562U (zh) 一种断木机
CN212179303U (zh) 一种冷链物自产冰块装置
CN210705078U (zh) 一种保温板切断工作台
CN113079844A (zh) 一种应用于园林绿化管理的灌木植物修剪装置
CN103395089B (zh) 一种卫生纸卷切割机
CN207326049U (zh) 护栏切割装置
CN107186899A (zh) 一种可任意角度切割的石材切边装置
CN206937671U (zh) 一种可任意角度切割的石材切边装置
CN209061992U (zh) 一种具有扶持板料及调节板料位置功能的设备
CN205086034U (zh) 一种电机驱动式海绵圆形切割装置
CN202763892U (zh) 手摇剪切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1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1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1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