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44867B1 - 전동격납식 도어미러 - Google Patents

전동격납식 도어미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44867B1
KR100544867B1 KR1020027000485A KR20027000485A KR100544867B1 KR 100544867 B1 KR100544867 B1 KR 100544867B1 KR 1020027000485 A KR1020027000485 A KR 1020027000485A KR 20027000485 A KR20027000485 A KR 20027000485A KR 100544867 B1 KR100544867 B1 KR 1005448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rizontal worm
motor
frame body
horizontal
bea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70004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62270A (ko
Inventor
야마우치가즈나리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무라카미 가이메이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무라카미 가이메이도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무라카미 가이메이도
Publication of KR200200622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622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448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448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02Rear-view mirror arrangements
    • B60R1/06Rear-view mirror arrangements mounted on vehicle exterior
    • B60R1/062Rear-view mirror arrangements mounted on vehicle exterior with remote control for adjusting pos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02Rear-view mirror arrangements
    • B60R1/06Rear-view mirror arrangements mounted on vehicle exterior
    • B60R1/062Rear-view mirror arrangements mounted on vehicle exterior with remote control for adjusting position
    • B60R1/07Rear-view mirror arrangements mounted on vehicle exterior with remote control for adjusting position by electrically powered actuators
    • B60R1/074Rear-view mirror arrangements mounted on vehicle exterior with remote control for adjusting position by electrically powered actuators for retracting the mirror arrangements to a non-use position alongside the vehic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ar-View Mirror Devices That Are Mounted On The Exterior Of The Vehicle (AREA)
  • Mounting Of Bearings Or Others (AREA)
  • Connection Of Motors, Electrical Generators, Mechanical Devices, And The Like (AREA)
  • Gear Transmission (AREA)
  • Sliding-Contact Bearings (AREA)
  • Support Of The Bearing (AREA)

Abstract

프레임본체와 모터부착부재의 조립분산의 영향을 거의 받기 어렵게하여 수평웜의 안정되고 매끄러운 회전이 얻어지도록 한 전동격납 미러를 제공한다.
아우터 플레이트(50)의 하면에 수평웜 축받이(76,78)을 설치한다. 수평웜 축받이(76,78)에는 절결부(86)가 형성되어 있다. 수평웜 축받이(76,78)의 축받이내 공간(84)에 수평웜(36)의 축부(36a,36b)를, 절결부(86)를 통해서, 수평웜 축받이(76,78)를 휘게 하여 끼워넣고, 수평웜(36)을 수평웜 축받이(76,78)로 축지지한다. 프레임본체(14)의 박스(28)내의 저면에 휨규제부(80,82)를 설치하고, 아우터 플레이트(50)를 프레임본체(14)에 부착한 상태에서, 휨규제부(80,82)가 수평웜 축받이(76,78)를 그 측방에서 끼워넣어서, 수평웜 축받이(76,78)의 휨을 규제한다.
차량, 샤프트, 프레임본체, 아우터 플레이트, 미러보디, 프레임, 감속기, 수평웜, 수직웜, 수평웜 축받이, 전동격납식 도어미러

Description

전동격납식 도어미러{ELECTRIC STORAGE TYPE DOOR MIRROR}
본 발명은, 차량의 전동격납식 도어미러에 관한 것이고, 감속기에 포함되는 수평웜의 안정되고 매끄러운 지지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차량의 전동격납식 도어미러는, 미러를 고정한 미러보디를 원격조작에 의한 전기구동으로 복귀위치(사용위치, 기립위치) 또는 격납위치에 택일적으로 위치결정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도 2는, 전동격납식 도어미러의 일반적인 구조(우측용)를 도시하는 분해사시도이다. 차량의 도어에는, 도어미러를 장착하기 위한 베이스부재(도시생략)가 부착되어 있다. 이 베이스부재의 차량외측으로 뻗어나온 수평부분에는, 샤프트(10)가 수직으로 세워 설치 고정되어 있다. 샤프트(10)의 하부 수평부분(10a)에는 와셔(12)가 고정장착되어 있다.
프레임본체(14)에는 미러보디(도시생략)가 장착되어 있다. 프레임본체(14)는, 그 하면에 플레이트 스토퍼(16)가 고정장착되어, 샤프트(10)에 대하여 축주위방향으로 회동자유로이 장착되어 있다. 프레임본체(14)(미러보디)가 모터구동으로 격납위치로부터 열려갈때, 소정의 복귀위치에서, 플레이트 스토퍼(16)는 그 하단부의 단부(16a,16a)가 샤프트(10)의 하부 수평부분(10a)의 상면에 형성된 사다리형상의 스토퍼(10b,10b)에 맞닿아서 맞물리고, 이것에 의해 프레임본체(14)는 이 복귀위치에서 정지한다.
프레임본체(14)가 모터구동으로 복귀위치로부터 닫혀갈때 또는 프레임본체(14)가 복귀위치에 있는 때에 미러보디에 차량전방측으로부터 차량후방측으로의 외력이 가해져서 닫혀가면, 소정의 격납위치에서, 플레이트 스토퍼(16)의 내주면의 돌출부(16b)가 샤프트(10)의 하부의 스토퍼(10c)의 일측면(10ca)에 맞닿아서 맞물리고, 이것에 의해 프레임본체(14)가 이 격납위치에서 정지한다.
또한, 프레임본체(14)가 복귀위치에 있을 때에, 미러보디에 차량후방측으로부터 차량전방측으로의 외력이 가해지면, 이 외력에 의해 플레이트 스토퍼(16)의 단부(16a,16a)가 샤프트(10)의 하부 수평부(10a)의 사다리형상의 스토퍼(10b,10b)를 타고 넘어서, 프레임본체(14)는 차량전방측으로 쓰러져간다. 이때, 소정위치에서 플레이트 스토퍼(16)의 내주면의 돌출부(16b)가 샤프트(10)의 하부의 스토퍼(10c)의 타측면(10cb)에 맞닿아서 맞물리고, 이것에 의해 프레임본체(14)가 그 위치에서 정지한다.
프레임본체(14)의 박스(28)내에는, 기어(18), 플레이트 클러치(20), 코일스프링(22), 와셔(24)가, 샤프트(10)에 차례로 끼워져서 수용된다. 샤프트(10)에 대하여, 기어(18)는 회전운동가능하고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지지되고, 플레이트 클러치(20)는 회전운동 불능이고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지지된다. 와셔(24)를 위로부터 눌러 내려 코일스프링(22)을 압축하고, 샤프트(10)의 상단부 근방에 형성된 홈(10d)에 플레이트(26)(고정구)를 삽입하여 장착함으로써, 상기 각 부품(10,12,14,16,18,20,22,24,26)이 일체화된다.
박스(28)내에는 샤프트(30)가 세워 설치 고정되고, 이 샤프트(30)에는 상하 2단으로 일체화된 기어(32) 및 웜휠(34)이 회전자유로이 지지된다. 박스(28)내에는 더욱 수평웜(36), 웜휠(38) 및 수직웜(40)의 2단 웜기어가 수용된다. 수평웜(36)은 그 축이 수평방향으로 배치되고, 박스(28)내의 서로 대향하는 벽면에 고정되는 플레이트 엔드(42,44)(금속판)에서 그 축방향의 양단부가 지지되어, 이 축방향의 이동이 저지된다. 수평웜(36)은 웜휠(34)과 맞물린다.
수평웜(36)에는, 웜휠(38)이 동축상에 고정된다. 수직웜(40)은 그 축이 수직방향으로 배치되고, 그 하단부에 볼스틸(46)이 끼워넣어지고, 박스(28)내 저부에 묻어 넣어지는 부시(48)에 이 볼스틸(46)로 축방향으로 지지된다. 수직웜(40)은 웜휠(38)과 맞물린다.
박스(28)의 상부 개구단에는 아우터 플레이트(50)(덮개)가 덮혀지고, 나사(60)로 고정된다. 프레임본체(14)와 아우터 플레이트(50)로 프레임(15)을 구성한다. 아우터 플레이트(50)의 상면에는 모터(52)가 나사(62)로 고정되어 장착된다. 모터(52)의 회전축(54)은 아우터 플레이트(50)의 구멍(56)으로부터 박스(28)내로 관통된다.
박스(28)내에서 모터(52)의 회전축(54)에는 와셔(58)가 관통되고, 이 회전축(54)의 선단부는 수직웜(40)의 상단부의 구멍에 끼워져서, 이 회전축(54)과 수직웜(40)이 상호 연결된다. 모터(52)의 케이싱의 측면에는, 이 모터(52)의 제어회로를 탑재한 플레이트 서키트 서브어셈블리(64)가 장착되어 있다. 아우터 플레이트(50)에는 시일 캡(66)이 덮여진다.
이상의 구성에 의하면, 모터(52)를 구동하면, 그 회전이 수직웜(40), 웜휠(38), 수평웜(36), 웜휠(34), 기어(32), 기어(18)로 전달된다. 통상시(외력이 가해져 있지않을 때)는, 기어(18)는, 회전불능의 플레이트 클러치(20)와, 서로 대향하는 단면끼리 형성된 요철이 맞물려 있으므로, 샤프트(10)의 축주위 방향의 회전이 저지된다.
따라서, 기어(32)가 기어(18)의 주위를 공전(公轉)하고, 이것에 의해 프레임본체(14)는 샤프트(10)의 축주위방향으로 회전운동한다. 격납위치에서 모터(52)를 구동하여 프레임본체(14)가 복귀위치에 도달하여 플레이트 스토퍼(16)의 단부(16a,16a)가 샤프트(10)의 스토퍼(10b,10b)에 맞물리면, 또는 복귀위치로부터 모터(52)를 구동하여 프레임본체(14)가 격납위치에 도달하여 플레이트 스토퍼(16)의 돌출부(16b)가 샤프트(10)의 스토퍼(10c)의 일측면(10ca)에 맞물리면, 모터(52)가 로크된다.
이 때 플레이트 서키트 서브어셈블리(64)의 제어회로가 모터(52)의 구동전류의 변화(과전류)를 검지하여 모터(52)의 로킹을 검출하고, 모터(52)의 구동을 정지시킨다(기어로크방식 정지제어). 또한, 복귀위치에 정지되어 있을 때에 미러보디에 차량 전방측으로부터 차량후방측으로의 외력이 가해지면, 코일스프링(22)의 가압력에 저항하여 기어(18)와 플레이트 클러치(20)의 맞물림이 풀리게 되고, 기어(18)는 샤프트(10)의 축주위 방향으로 회전운동가능하게 되고, 미러보디는 이 외력에 의해, 격납위치방향으로 닫혀가고, 이 외력이 풀린다.
또한, 복귀위치에 정지하고 있을 때에 미러보디에 차량후방측으로부터 차량전방측으로의 외력이 가해지면, 플레이트 스토퍼(16)의 단부(16a,16a)와 샤프트(10)의 사다리꼴형상 스토퍼((10b,10b)와의 걸어맞춤이 풀어짐과 동시에, 기어(18)와 플레이트 클러치(20)의 맞물림이 풀어져서, 기어(18)는 샤프트(10)의 축주위방향으로 회전운동가능하게 되고, 미러보디는 이 외력에 의해, 차량전방측으로 넘어질 수 있고, 이 외력이 풀린다.
수평웜(36)의 종래의 지지구조를 도 3에 도시한다. 박스(28)내의 저면에는 돌기부(68,70)가 형성되어 있다. 돌기부(68,70)에는 그 상단부로 개구하는 오목부(68a,70a)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아우터 플레이트(50)의 하면에는, 오목부(68a,70a)에 대향하는 위치에 볼록부(72,74)가 형성되어 있다.
수평웜(36)의 양측의 축부(36a,36b)를 오목부(68a,70a)에 수용하고, 아우터 플레이트(50)를 박스(28)의 상부 개구단을 덮어서 나사(60)(도 2)로 부착하면, 도 4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볼록부(72,74)가 오목부(68a,70a)에 끼워져서, 수평웜(36)의 축부(36a,36b)는 오목부(68a,70a)와 볼록부(72,74)의 하단면(72a,74a)으로 축지지된다.
상기 도 3, 도 4의 수평웜의 지지구조에 의하면, 수평웜(36)은 프레임본체(14)측의 오목부(68a,70a)와 아우터 플레이트(50)측의 볼록부(72,74)의 하단면(72a,74a)으로 축지지되므로, 프레임본체(14)와 아우터 플레이트(50)(모터부착부재)의 조립분산에 의해 수평웜(36)에 덜컹거림이나 압박이 생기고, 수평웜(36)의 안정되고 매끄러운 회전이 얻어지지 않는 일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의 기술에 있어서 문제점을 해결하고, 프레임본체와 모터부착부재의 조립 분산의 영향을 받기 어렵게 하고, 수평웜의 안정되고 매끄러운 회전이 얻어지도록 한 전동격납 미러를 제공하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은, 차량측에 형성된 샤프트에 프레임을 회전운동자유로이 지지하고, 이 프레임에 미러보디를 장착하여 구성하고, 이 프레임에 모터와 감속기를 부착하고, 이 모터의 구동력을 이 감속기를 통해서 상기 샤프트에 전달하여, 상기 프레임을 상기 샤프트의 축주위방향으로 회전운동시키고, 상기 미러보디를 복귀위치 또는 격납위치로 이동시키는 기구를 가지고, 상기 프레임은, 프레임본체와, 이 프레임본체에 부착되는 모터부착부재를 구비하고, 이 모터부착부재에는 상기 모터가 부착되고, 상기 이 감속기에는 수평웜이 포함되어 있는 전동격납식 도어미러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본체 또는 상기 모터부착부재의 한쪽에, 상기 수평웜의 축부의 외주면을 포위하여 지지하는 수평웜 축받이를 설치하고, 이 수평웜 축받이는, 그 둘레방향의 일부가 절단되어 그 축받이내 공간에 연통하는 절결부가 형성되고, 이 절결부의 폭은 상기 수평웜의 축부의 직경보다도 좁게 형성되고, 이 수평웜 축받이의 축받이내 공간에 상기 수평웜의 축부를, 상기 절결부를 통해서, 이 수평웜 축받이를 이 절결부가 열리는 방향으로 휘게 하여 끼워넣고, 이 수평웜을 이 수평웜 축받이로 축지지하고, 상기 프레임본체 또는 상기 모터부착부재의 다른 쪽에, 이 모터부착부재를 이 프레임본체에 부착한 상태로 상기 수평웜 축받이에 맞닿게 하여 이 수평웜 축받이의 상기 절결부가 열리는 방향의 휨을 규제하는 휨규제부를 설치하여 이루어지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수평웜 축받이의 축받이내 공간에 수평웜의 축부를, 절결부를 통해서, 수평웜 축받이를 절결부가 열리는 방향으로 휘게하여 끼워넣고, 수평웜을 수평웜 축받이로 축지지하므로, 수평웜을 프레임본체 또는 모터부착부재의 한쪽에서 축지지할 수 있고, 수평웜의 지지상태가 프레임본체와 모터부착부재의 조립분산의 영향을 받기 어렵다.
게다가, 프레임본체와 모터부착부재를 조립한 상태에서는, 프레임본체 또는 모터부착부재의 다른 쪽에 설치된 휨규제부가 수평웜 축받이에 맞닿아서, 수평웜의 작동중에, 그 기어반력에 의해 수평웜 축받이가 휘는것(절결부가 열리는)이 규제된다. 이것에 의해, 수평웜의 안정되고 매끄러운 회전을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예를들면, 상기 수평웜 축받이와 상기 휨규제부는, 상기 모터부착부재와 상기 프레임본체의 맞대기 방향으로 서로 대면하여 배치되고, 상기 모터부착부재를 상기 프레임본체의 부착위치에 맞대게 함으로써, 상기 휨규제부가 상기 수평웜 축받이에 맞닿아서 이 수평웜 축받이의 상기 절결부가 열리는 방향의 휨을 규제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절결부는, 상기 수평웜 축받이의, 상기 프레임본체 또는 모터부착부재의 다른 쪽과 대면하는 측에 형성되고, 상기 휨규제부는, 상기 수평웜 축받이를 그 양측에서 끼워넣어서 상기 절결부가 열리는 방향의 휨을 규제하는 것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평웜 축받이는 상기 휨규제부에 비하여 미끄럼운동성 및 내마 모성이 높은 재료로 만들어지고, 상기 휨규제부는 상기 수평웜 축받이에 비하여 강성이 높은 재료로 만들어지는 것으로 할 수 있다. 종래, 수평웜 축받이는 기어반력에 견디도록, 유리섬유를 포함하는 강고한 수지 등을 사용하여야 하고, 미끄럼운동성, 내마모성의 양립이 곤란하였는데, 이와같이 수평웜 축받이와 휨규제부를 별도의 재료로 구성함으로써, 강성과, 미끄럼운동성, 내마모성을 양립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수평웜 축받이는 상기 프레임본체 또는 상기 모터부착부재의 한쪽과 일체로 합성수지로 형성되고, 상기 휨규제부는 상기 프레임본체 또는 상기 모터부착부재의 다른 쪽과 일체로 합성수지로 형성된 것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평웜의 축받이내 공간의 축 직각단면형상이 원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절결부는 이 원형의 전둘레의 180도 미만의 범위에 형성된 것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모터부착부재는 상기 샤프트 및 상기 감속기를 수용하는 박스의 덮개를 구성하는 것이고, 상기 모터는 이 덮개의 외측에 부착되어 있고, 이 모터의 회전축이 이 덮개를 관통하여, 상기 박스내에 끼워져 있는 것으로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1을 도시하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2는, 전동격납식 도어미러의 전체의 구조를 도시하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수평웜의 종래의 지지구조를 도시하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프레임본체(14)에 아우터 플레이트(50)를 조립한 구조를, 수평웜(36)의 축방향에서 본 도면이다.
도 5는, 도 1의 수평웜 축받이(76,78)와 휨규제부(80,82), 수평웜(36)의 축방향에서 본 구조를 도시하는 분해도이다.
도 6은, 도 1의 프레임본체(14)에 아우터 플레이트(50)를 조립한 구조를, 수평웜(36)의 축방향에서 본 도면이다.
도 7은, 도 1의 프레임본체(14)에 아우터 플레이트(50)를 조립한 구조를, 수평웜(36)의 축에 직교하는 수평방향에서 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2를 도시하는 도면으로서, 수평웜 축받이(76,78)와 휨규제부(80,82)의, 수평웜(36)의 축방향에서 본 구조를 도시하는 분해도이다.
도 9는, 도 8의 프레임본체(14)에 아우터 플레이트(50)를 조립한 구조를, 수평웜(36)의 축방향에서 본 도면이다.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 위해서, 실시의 형태1,2에 대하여, 첨부의 도면에 따라 이것을 설명한다.
(발명의 실시의 형태1)
본 발명을 상기 도 2의 전동격납식 도어미러에 적용한 실시의 형태를 도 1에 도시한다. 도 2와 공통하는 부분에는 동일의 부호를 사용한다. 또한, 도 1은 주요부만 도시하고, 도시하지않은 부분은 도 2와 동일하게 구성된다. 프레임본체(14)와 아우터 플레이트(50)로 프레임(15)을 구성한다.
프레임본체(14)의 박스(28)내에는, 수평웜(36) 그외의 감속기가 수용된다. 수평웜(36)은 그 축이 수평방향으로 배치되고, 박스(28)내의 서로 대향하는 벽면에 고정되는 플레이트 엔드(42,44)(금속판)에서 양단부가 축방향으로 지지되어, 이 축방향의 이동이 저지된다. 수평웜(36)에는, 웜휠(38)이 동축상에 고정된다.
박스(28)의 상부 개구단에는 아우터 플레이트(50)(덮개)가 덮이고, 나사(60)로 고정된다. 아우터 플레이트(50)의 상면에는 모터(52)가 나사고정된다. 모터(52)의 회전축(54)은 아우터 플레이트(50)의 구멍에서 박스(28)내로 관통된다. 박스(28)내에서 모터(52)의 회전축(54)에는 수직웜(40)(도 2)이 장착되어 있다.
아우터 플레이트(50)의 하면에는 수평웜 축받이(76,78)가, 아우터 플레이트(50)와 일체(또는 별체)로, 높은 미끄럼운동성, 내마모성, 가요성을 가지는 합성수지(POM(폴리아세탈) 등}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박스(28)내의 저면에는, 수평웜 축받이(76,78)와 대향하는 위치에, 휨규제부(80,82)가, 박스(28)(프레임본체(14))와 일체(또는 별체)로, 고강성을 가지는 합성수지(유리섬유강화수지 그외의 강화수지등)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수평웜 축받이(76,78)와 휨규제부(80,82)의, 수평웜(36)의 축방향에서 본 구조를 도 5에 분해도로 도시한다. 수평웜 축받이(76,78)에는, 수평웜(36)의 축부(36a,36b)를 회전자유로이 수용하는 축받이내 공간(84)이 형성되어 있다. 축받이내 공간(84)의 내주면은 원형으로 형성되고, 그 내경(d1)은 수평웜(36)의 축부(36a,36b)를 덜컹거리지않고 그리고 압박없이 고정하도록, 이 축부(36a,36b)의 외경(d2)과 거의 동등하게(약간 크게) 형성되어 있다.
수평웜 축받이(76,78)의 하부(프레임본체(14)와 대면하는 측)에는 절결부(86)가 형성되어 있다. 절결부(86)의 각도범위(θ)는, 수직하방을 이 각도범위(θ)의 중심으로 하여, 축받이내 공간(84)의 내주면의 180도보다도 좁은 범위로 설정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절결부(86)의 폭(d3)은 수평웜(36)의 축부(36a,36b)의 외경(d2)보다도 좁게 형성되어 있다. 절결부(86)의 개구단에는 테이퍼면(88,90)이 형성되고, 수평웜(36)의 축부(36a,36b)를 절결부(86)를 통해서 축받이내 공간(84)에 용이하게 밀어넣을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휨규제부(80,82)는 각각 2개의 볼록부(92,94)로 구성되어 있다. 볼록부(92,94)사이의 내폭(d4)은 수평웜 축받이(76,78)의 외폭(d5)과 거의 동등하게 형성되어 있다. 볼록부(92,94)에서 끼워지는 공간(96)의 개구단에는 테이퍼면(98,100)이 형성되고, 이 공간(96)에 수평웜 축받이(76,78)를 용이하게 끼울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프레임본체(14)에 아우터 플레이트(50)를 조립한 구조를, 도 6에서 수평웜(36)의 축방향에서 본 상태로 도시하고, 도 7에 수평웜(36)의 축에 직교하는 수평방향에서 본 상태로 도시한다. 수평웜 축받이(76,78)의 축받이내 공간(84)에, 수평웜(36)의 축부(36a,36b)를, 절결부(86)를 통해서, 수평웜 축받이(76,78)를 절결부(86)가 열리는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휘면서 밀어넣고, 수평웜(36)을 수평웜 축받이(76,78)에 회전자유로이 장착하여 축지지한다.
축받이내 공간(84)의 내주면은, 상반분의 180도의 부분(84a)에서 연속하여 오버랩부분(84b,84c)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수평웜(36)을 수평웜 축받이(76,78)만으로, 낙하시키는 일없이 고정할 수 있다. 이상태에서, 아우터 플레이트(50)를 프 레임본체(14)의 소정위치(박스(28)의 개구단)에 상방에서 맞대게 한다. 이것에 의해, 수평웜 축받이(76,78)는 휨규제부(80,82)의 공간(96)에 끼워지고, 양측에서 볼록부(92,94)로 끼워넣어진다.
이것에 의해, 수평웜 축받이(76,78)의 휨은 휨규제부(80,82)로 규제되고, 수평웜(36)이 작동중에 그 기어반력에 의해 휨이 방지되고, 수평웜(36)의 안정되고 매끄러운 회전이 얻어진다.
아우터 플레이트(50)는 프레임본체(14)에 나사멈춤된다. 본 실시의 형태에 의하면, 수직웜(40), 웜휠(38), 수평웜(36)이 아우터 플레이트(50)측으로 집약되어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이들 기어(40,38,36)의 맞물림이, 프레임본체(14)와 아우터 플레이트(50)의 조립분산의 영향을 받지않고 완성된다.
(발명의 실시의 형태2)
실시의 형태1에서는, 아우터 플레이트(50)측에 수평웜 축받이(76,78)를 형성하고, 프레임본체(14)측에 휨규제부(80,82)를 형성하였는데, 역의 배치로 할 수 도 있다. 역의 배치로 한 실시의 형태를, 도 8에 수평웜(36)의 축방향에서 본 분해도로 도시한다. 또한, 조립한 구조를 도 9에 수평웜(36)의 축방향에서 본 상태로 도시한다.
또한, 도 8, 도 9는 주요부만을 도시하고, 도시하지않은 부분은 실시의 형태1과 동일하게 구성된다. 또한, 실시의 형태1과 공통하는 부분에는 동일의 부호를 사용한다. 프레임본체(14)와 아우터 플레이트(50)로 프레임(15)을 구성한다. 박스(28)내의 저면에는 수평웜 축받이(76,78)가, 박스(28)(프레임본체(14))와 일체(또는 별체)로, 높은 미끄럼운동성, 내마모성, 가요성을 가지는 합성수지(POM(폴리아세탈) 등)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아우터 플레이트(50)의 하면에는, 수평웜 축받이(76,78)와 대향하는 위치에, 휨규제부(80,82)가, 아우터 플레이트(50)와 일체(또는 별체)로, 고강성을 가지는 합성수지(유리섬유강화수지 그외의 강화수지 등)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수평웜 축받이(76,78), 휨규제부(80,82), 수평웜(36)의 축부(36a,36b)의 형상, 구조, 치수관계는, 상기 도 5에 대하여 설명한 것과 동일하다. 수평웜 축받이(76,78)의 축받이내의 공간(84)에, 수평웜(36)의 축부(36a,36b)를, 절결부(86)를 통해서, 수평웜 축받이(76,78)를 절결부(86)가 열리는 방향으로 휘게하면서 밀어넣고, 수평웜(36)을 수평웜 축받이(76,78)로 회전자유로이 장착하여 축지지한다. 이 상태에서, 아우터 플레이트(50)를 프레임본체(14)의 소정위치(박스(28)의 개구단)로 상방에서 맞대게 한다.
이것에 의해, 수평웜 축받이(76,78)는 휨규제부(80,82)의 공간(96)에 끼워넣어지고, 양측에서 볼록부(92,94)로 끼워진다. 이것에 의해, 수평웜 축받이(76,78)의 휨은 휨규제부(80,82)로 규제되고, 수평웜(36)의 안정되고 매끄러운 회전이 얻어진다. 아우터 플레이트(50)는 프레임 본체(14)에 나사멈춤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여, 프레임본체와 모터부착부재의 조립분산의 영향을 받기 어렵게 하여, 수평웜의 안정되고 매끄러운 회전이 얻어지도록 할 수 있으므로, 차량의 전동격납식 도어미러에서 감속기에 포함 되는 수평웜의 안정되고 매끄러운 동작을 가능하게 하는 지지구조로서 극히 유용하다.

Claims (7)

  1. 차량측에 형성된 샤프트에 프레임을 회전운동자유로이 지지하고, 이 프레임에 미러보디를 장착하여 구성되고, 이 프레임에 모터와 감속기를 부착하고, 이 모터의 구동력을 이 감속기를 통해서 상기 샤프트에 전달하여, 상기 프레임을 상기 샤프트의 축주위방향으로 회전운동시키고, 상기 미러보디를 복귀위치 또는 격납위치로 이동시키는 기구를 가지고, 상기 프레임은, 프레임본체와, 이 프레임본체에 부착되는 모터부착부재를 구비하고, 이 모터부착부재에는 상기 모터가 부착되고, 상기 이 감속기에는 수평웜이 포함되어 있는 전동격납식 도어미러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본체 또는 상기 모터부착부재의 한쪽에, 상기 수평웜의 축부의 외주면을 포위하여 지지하는 수평웜 축받이를 설치하고, 이 수평웜 축받이는, 그 둘레방향의 일부가 절단되어 그 축받이내 공간에 연통하는 절결부가 형성되고, 이 절결부의 폭은 상기 수평웜의 축부의 직경보다도 좁게 형성되고, 이 수평웜 축받이의 축받이내 공간에 상기 수평웜의 축부를, 상기 절결부를 통해서, 이 수평웜 축받이를 이 절결부가 열리는 방향으로 휘게하여 끼워넣고, 이 수평웜을 이 수평웜 축받이로 축지지하고,
    상기 프레임본체 또는 상기 모터부착부재의 다른 쪽에, 이 모터부착부재를 이 프레임본체에 부착한 상태로 상기 수평웜 축받이에 맞닿게 하여 이 수평웜 축받이의 상기 절결부가 열리는 방향의 휨을 규제하는 휨규제부를 설치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격납식 도어미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웜 축받이와 상기 휨규제부는, 상기 모터부착부재와 상기 프레임본체의 맞대기 방향으로 서로 대면하여 배치되고, 상기 모터부착부재를 상기 프레임본체의 부착위치에 맞대게 함으로써, 상기 휨규제부가 상기 수평웜 축받이에 맞닿아서 이 수평웜 축받이의 상기 절결부가 열리는 방향의 휨을 규제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격납식 도어미러.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절결부는, 상기 수평웜 축받이의, 상기 프레임본체 또는 모터부착부재의 다른 쪽과 대면하는 측에 형성되고, 상기 휨규제부는, 상기 수평웜 축받이를 그 양측에서 끼워서 상기 절결부가 열리는 방향의 휨을 규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격납식 도어미러.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웜 축받이는 상기 휨규제부에 비하여 미끄럼운동성 및 내마모성이 높은 재료로 만들어지고, 상기 휨규제부는 상기 수평웜 축받이에 비하여 강성이 높은 재료로 만들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격납식 도어미러.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웜 축받이는 상기 프레임본체 또는 상기 모터부착부재의 한쪽과 일체로 합성수지로 형성되고, 상기 휨규제부는 상기 프레임본체 또는 상기 모터부착부재의 다른 쪽과 일체로 합성수지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격납식 도어미러.
  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웜의 축받이내 공간의 축 직각단면형상이 원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절결부는 이 원형의 전체둘레의 180도 미만의 범위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격납식 도어미러.
  7.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부착부재는 상기 샤프트 및 상기 감속기를 수용하는 박스의 덮개를 구성하는 것이고, 상기 모터는 이 덮개의 외측에 부착되어 있고, 이 모터의 회전축이 이 덮개를 관통하여, 상기 박스내에 끼워넣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격납식 도어미러.
KR1020027000485A 2000-08-31 2001-08-23 전동격납식 도어미러 KR10054486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0262582A JP3872639B2 (ja) 2000-08-31 2000-08-31 電動格納式ドアミラー
JPJP-P-2000-00262582 2000-08-3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62270A KR20020062270A (ko) 2002-07-25
KR100544867B1 true KR100544867B1 (ko) 2006-01-24

Family

ID=187502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7000485A KR100544867B1 (ko) 2000-08-31 2001-08-23 전동격납식 도어미러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6679610B2 (ko)
EP (1) EP1264735B1 (ko)
JP (1) JP3872639B2 (ko)
KR (1) KR100544867B1 (ko)
CN (1) CN1147404C (ko)
AU (1) AU2001280142A1 (ko)
DE (1) DE60117564D1 (ko)
TW (1) TW522104B (ko)
WO (1) WO200201817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633299B2 (ja) * 2001-07-12 2011-02-16 株式会社村上開明堂 減速機及び該減速機を備える電動格納式ドアミラー
JP2004009806A (ja) * 2002-06-04 2004-01-15 Ichikoh Ind Ltd 車両用アウターミラー
JP4054252B2 (ja) 2002-12-04 2008-02-27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車両用ミラー装置及び車両用アウタミラー装置の格納機構
JP4122993B2 (ja) * 2003-02-04 2008-07-23 市光工業株式会社 電動格納式ドアミラー
TWI232187B (en) * 2003-06-28 2005-05-11 Chaw Khong Co Ltd Electrical operable pivoting back-mirror device
WO2005049376A1 (en) * 2003-11-24 2005-06-02 Schefenacker Vision Systems Australia Pty Ltd A power-folding vehicle mirror assembly
JP3988716B2 (ja) * 2003-12-01 2007-10-10 市光工業株式会社 車両用電動格納装置
JP4292983B2 (ja) 2003-12-24 2009-07-08 市光工業株式会社 モータ駆動装置及び電動格納式ドアミラー
JP2006076408A (ja) 2004-09-08 2006-03-23 Tokai Rika Co Ltd 車両用アウタミラー装置の格納機構
ATE491601T1 (de) * 2004-10-01 2011-01-15 Murakami Corp Einziehbarer türspiegel
US8003470B2 (en) 2005-09-13 2011-08-23 Infineon Technologies Ag Strained semiconductor device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JP4428340B2 (ja) * 2005-12-09 2010-03-10 市光工業株式会社 車両用ミラー装置
JP4525580B2 (ja) * 2005-12-09 2010-08-18 市光工業株式会社 車両用ミラー装置
DE102006021249B3 (de) * 2006-05-04 2007-10-25 Bühler Motor GmbH 1. Außenrückblickspiegel
US7966904B2 (en) * 2006-05-05 2011-06-28 Questek Manufacturing Corporation Low axial play drive system
DE102006026734B4 (de) * 2006-06-08 2008-09-04 Siemens Ag Gurtstrafferantrieb
JP2008087706A (ja) * 2006-10-04 2008-04-17 Ichikoh Ind Ltd 車両用アウトサイドミラー装置
JP2008087707A (ja) 2006-10-04 2008-04-17 Ichikoh Ind Ltd 車両用アウトサイドミラー装置
JP4807213B2 (ja) * 2006-10-04 2011-11-02 市光工業株式会社 車両用アウトサイドミラー装置
JP2008296719A (ja) * 2007-05-31 2008-12-11 Ichikoh Ind Ltd 車両用アウトサイドミラー装置
DE102007038735B4 (de) * 2007-08-16 2010-06-02 Brose Fahrzeugteile GmbH & Co. Kommanditgesellschaft, Würzburg Gurtstrafferantrieb für den Sicherheitsgurt eines Fahrzeugs
TW201040444A (en) * 2009-05-11 2010-11-16 Tyc Brother Ind Co Ltd Adjustment device of mirror
JP5501746B2 (ja) * 2009-12-11 2014-05-28 株式会社村上開明堂 ドアミラーおよびその組み付け方法
JP5488429B2 (ja) * 2010-11-26 2014-05-14 市光工業株式会社 車両用アウトサイドミラー装置
JP5921341B2 (ja) * 2012-06-04 2016-05-24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車両用ミラー装置
CN102729901B (zh) * 2012-06-28 2014-08-27 江苏飞拓车镜系统有限公司 一种汽车后视镜
JP2014076734A (ja) * 2012-10-10 2014-05-01 Tokai Rika Co Ltd 車両用ミラー装置
DE102013105478A1 (de) 2013-05-28 2014-12-04 Ejot Gmbh & Co. Kg Schneckenwelle
NL2011552C2 (nl) * 2013-10-03 2015-04-07 Mci Mirror Controls Int Nl Bv Spiegelverstelinrichting met spelingsonderdrukking.
JP6494371B2 (ja) * 2015-03-31 2019-04-03 株式会社村上開明堂 車両用電動格納式視認装置
JP6604733B2 (ja) 2015-03-31 2019-11-13 株式会社村上開明堂 車両用電動格納式視認装置
JP6788330B2 (ja) * 2015-05-19 2020-11-25 株式会社村上開明堂 車両用電動格納式視認装置におけるフレームと支持部材の固定構造
JP2018192892A (ja) * 2017-05-16 2018-12-06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車両用視認装置
DE102017123210A1 (de) * 2017-10-06 2019-04-11 Kiekert Ag Elektromotorischer Antrieb für kraftfahrzeugtechnische Anwendungen
NL2021341B1 (nl) * 2018-07-18 2020-02-13 Mci Mirror Controls Int Netherlands B V Actuator
JP6832393B2 (ja) * 2019-07-11 2021-02-24 株式会社村上開明堂 車両用電動格納式視認装置におけるフレームと支持部材の固定構造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48738A (ja) * 1984-01-12 1985-08-06 Ichikoh Ind Ltd ドアミラ−構造
US4919526A (en) * 1987-10-27 1990-04-24 Ichikoh Industries Ltd. Electrically swingable door mirror
US4981349A (en) * 1989-09-01 1991-01-01 Kabushiki Kaisha Matsuyama Seisakusho Rearview mirror assembly for automobiles including positioning means with a recess surface extending uniformly horizontally
US5369530A (en) * 1990-10-24 1994-11-29 Ichikoh Industries Ltd. Stay housable type motor driven mirror
JPH04136949U (ja) * 1991-06-17 1992-12-21 株式会社村上開明堂 可倒式ドアミラー
JP3151785B2 (ja) 1992-07-06 2001-04-03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光合分岐回路
JP2604693Y2 (ja) * 1992-09-16 2000-05-22 株式会社村上開明堂 電動格納式ドアミラー
JPH0627336U (ja) * 1992-09-21 1994-04-12 市光工業株式会社 電動格納式ドアーミラー
EP0644084B1 (en) * 1993-09-03 1998-05-20 Ichikoh Industries Limited Rearview mirror system for vehicles
JP3208994B2 (ja) * 1994-06-09 2001-09-17 市光工業株式会社 車両用後写鏡装置の駆動装置
JP3565618B2 (ja) * 1994-06-30 2004-09-15 株式会社石▼崎▲本店 電動ミラー
US5703732A (en) * 1995-01-17 1997-12-30 Lowell Engineering Corporation Exterior mirror with indexing and control pivoting
US5684646A (en) * 1995-01-17 1997-11-04 Lowell Engineering Corporation Exterior mirror with single pivot power fold
KR100198321B1 (ko) * 1995-09-22 1999-06-15 모치마루 마모루 차량용 후시경의 위치결정장치
DE69822701T2 (de) * 1997-05-29 2005-01-13 Schefenacker Vision Systems Australia Pty Ltd, Lonsdale Betätigungsmechanismus für einen Rückblickspiegel
DE19833514B4 (de) * 1997-07-30 2005-04-28 Buhler Motor Gmbh Antrieb zum Abklappen eines Kraftfahrzeugrückblickspiegels
JP2000085470A (ja) 1998-09-17 2000-03-28 Molten Corp 自動車用ドアミラー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264735A4 (en) 2004-12-01
EP1264735A1 (en) 2002-12-11
AU2001280142A1 (en) 2002-03-13
JP2002067805A (ja) 2002-03-08
US20020105740A1 (en) 2002-08-08
TW522104B (en) 2003-03-01
US6679610B2 (en) 2004-01-20
CN1147404C (zh) 2004-04-28
JP3872639B2 (ja) 2007-01-24
KR20020062270A (ko) 2002-07-25
WO2002018175A1 (fr) 2002-03-07
EP1264735B1 (en) 2006-03-01
DE60117564D1 (de) 2006-04-27
CN1383407A (zh) 2002-12-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44867B1 (ko) 전동격납식 도어미러
EP1908635B1 (en) Vehicle outside mirror device
EP2368762B1 (en) Vehicle outside mirror device
EP2543546B1 (en) Vehicle outside mirror device
EP2465728B1 (en) Vehicle Outside Mirror Device
JP4676301B2 (ja) 車両用ミラー装置
KR101837755B1 (ko) 차량용 아웃사이드 미러 장치
GB2286853A (en) Actuator unit for vehicle door locking device
KR20060126830A (ko) 편심 기어장치
KR100909016B1 (ko) 차량용 아웃사이드 미러 장치
JP2013075618A (ja) 車両用アウトサイドミラー装置
EP2377726B1 (en) Vehicle outside mirror device
JP4276756B2 (ja) 電動格納式ミラーの駆動装置
JP2001287593A (ja) 電動格納式ドアミラーのクラッチ構造
JP2019023050A (ja) 車両のステアリング装置
JP7172162B2 (ja) 車両用アウトサイドミラー装置の電動格納ユニット、車両用アウトサイドミラー装置
JP2561747Y2 (ja) ピニオンユニット
JP2883039B2 (ja) ローラ装置
JP2020041586A (ja) 減速機構、及び減速機付モータ
JP7404218B2 (ja) アクチュエータ及び車両ドア開閉用アクチュエータ
JP2010048352A (ja) クラッチ機構、クラッチ付減速機、および減速機付モータ
JP2503916Y2 (ja) アクチュエ―タ
JP2023117430A (ja) アクチュエータユニットおよび安全スイッチ
JP2016020144A (ja) 車両用アウトサイドミラー装置
JP2005178656A (ja) 電動ミラ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1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3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4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6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5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7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3

Year of fee payment: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