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32471B1 - 입출력 데이터 위스 조절이 가능한 메모리 장치 및 그위스 조절 방법 - Google Patents

입출력 데이터 위스 조절이 가능한 메모리 장치 및 그위스 조절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32471B1
KR100532471B1 KR10-2003-0066944A KR20030066944A KR100532471B1 KR 100532471 B1 KR100532471 B1 KR 100532471B1 KR 20030066944 A KR20030066944 A KR 20030066944A KR 100532471 B1 KR100532471 B1 KR 1005324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input
output
response
memory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669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30782A (ko
Inventor
손한구
손해정
김세진
정우섭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669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32471B1/ko
Priority to US10/732,868 priority patent/US7480776B2/en
Priority to DE102004024634A priority patent/DE102004024634B4/de
Priority to CNA2004100478503A priority patent/CN1601449A/zh
Priority to GB0412565A priority patent/GB2406418B/en
Priority to JP2004216055A priority patent/JP5042448B2/ja
Publication of KR200500307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307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324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32471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2/00Accessing, addressing or allocating within memory systems or architecture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7/00Arrangements for writing information into, or reading information out from, a digital store
    • G11C7/10Input/output [I/O] data interface arrangements, e.g. I/O data control circuits, I/O data buffers
    • G11C7/1051Data output circuits, e.g. read-out amplifiers, data output buffers, data output registers, data output level conversion circuits
    • G11C7/1057Data output buffers, e.g. comprising level conversion circuits, circuits for adapting loa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2/00Accessing, addressing or allocating within memory systems or architectures
    • G06F12/02Addressing or allocation; Relocation
    • G06F12/04Addressing variable-length words or parts of word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7/00Arrangements for writing information into, or reading information out from, a digital store
    • G11C7/10Input/output [I/O] data interface arrangements, e.g. I/O data control circuits, I/O data buffer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7/00Arrangements for writing information into, or reading information out from, a digital store
    • G11C7/10Input/output [I/O] data interface arrangements, e.g. I/O data control circuits, I/O data buffers
    • G11C7/1051Data output circuits, e.g. read-out amplifiers, data output buffers, data output registers, data output level conversion circuit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7/00Arrangements for writing information into, or reading information out from, a digital store
    • G11C7/10Input/output [I/O] data interface arrangements, e.g. I/O data control circuits, I/O data buffers
    • G11C7/1078Data input circuits, e.g. write amplifiers, data input buffers, data input registers, data input level conversion circuit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7/00Arrangements for writing information into, or reading information out from, a digital store
    • G11C7/10Input/output [I/O] data interface arrangements, e.g. I/O data control circuits, I/O data buffers
    • G11C7/1078Data input circuits, e.g. write amplifiers, data input buffers, data input registers, data input level conversion circuits
    • G11C7/1084Data input buffers, e.g. comprising level conversion circuits, circuits for adapting loa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ram (AREA)
  • Static Random-Access Memory (AREA)

Abstract

입출력 데이터 위스 조절이 가능한 메모리 장치 및 그 위스 조절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메모리 장치는 독출 명령, 기입 명령 또는 액티브 명령과 함께 입력되는 어드레스 신호들의 조합에 의해 제어 신호를 발생한다.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선택적으로 인에이블되는 데이터 출력 버퍼들을 통해 메모리 장치의 코어 블락에서 제공되는 데이터를 선택적으로 데이터 출력 패드로 출력하고, 제어 신호들에 응답하여 선택적으로 인에이블되는 데이터 입력 버퍼를 통해 메모리 장치의 입출력 데이터 패드로부터 제공되는 데이터를 선택적으로 메모리 장치의 입력 데이터 신호로 수신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시스템에서 요구하는 데이터 크기에 따라 메모리 장치의 입출력 데이터 위스를 조절하여 메모리 사용 효율을 높이고 메모리 장치의 소비 전력을 줄인다.

Description

입출력 데이터 위스 조절이 가능한 메모리 장치 및 그 위스 조절 방법{IO bandwidth controllable memory device and the control method of IO bandwidth}
본 발명은 반도체 메모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입출력 데이터 위스 조절이 가능한 메모리 장치 및 그 위스 조절 방법에 관한 것이다.
고속 모바일 제품에 사용되는 DRAM이 그 구성상 포인트-투-포인트인 경우 입출력 위스(width)가 큰 것이 요구된다. 특히 동영상 데이터를 처리하는 경우에는 ×16 또는×32 등의 넓은 위스를 갖는 DRAM을 필요로 한다. 고속 모바일 시스템 응용 또는 펌웨어에 있어서, 이를 구동하는 언어로 "C" 언어가 주로 사용된다. "C" 언어는 각 변수당 비트 오퍼레이션(bit operation)이 가능하다. 이들 시스템 또는 펌웨어와 연결되는 DRAM은 그 입출력 위스(width)가 고정되어 있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예컨대, 시스템 또는 펌웨어에서 필요로하는 입출력 위스가 4개인 경우에 DRAM에서 제공되는 입출력 위스는 16개, 32개 등인 경우가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DRAM의 블락 다이어그램 일부분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이를 참조하면, DRAM(100)은 어드레스 신호들(A0~A8, A9~A11)과 명령(COMMAND)을 수신하는 입력 버퍼들(110, 140, 150), 칼럼 디코더(130), 로우 디코더(120), 메모리 셀 어레이(160), 센스 앰프(170), 데이터 출력 버퍼들(180), 그리고 데이터 입력 버퍼들(190)을 포함한다.
제1 입력 버퍼들(110)은 A0 내지 A8 어드레스 신호들을 수신하여 칼럼 디코더(130)와 로우 디코더(120)로 제공한다. 제2 입력 버퍼들(120)은 A9 내지 A11 어드레스 신호들을 수신하여 로우 디코더(120)로 제공한다. 칼럼 디코더(130)는 A0 내지 A8 어드레스 신호들을 디코딩하여 메모리 셀 어레이(160) 내 소정의 비트라인을 선택하는 칼럼 선택 신호(CSL)를 발생한다. 로우 디코더(120)는 A0 내지 A8 어드레스 신호들과 A9 내지 A11 어드레스 신호들을 디코딩하여 메모리 셀 어레이(160) 내 소정의 워드라인(WL)을 인에이블시킨다.
데이터 출력 버퍼들(180)은 메모리 셀 어레이(160)로부터 제공되는 메모리 셀 데이터들(DATA_OUT<0:7>)을 독출 명령(READ)에 응답하여 데이터 출력 패드들(DOUT0~DOUT7)로 출력한다. 데이터 입력 버퍼들(190)은 데이터 입력 패드들(DIN0~DIN7)을 통해 해당 데이터 입력 버퍼들(191, 192, …, 198)로 입력되는 데이터 입력 신호들(DATA_IN<0:7>)을 기입 명령(WRITE)에 응답하여 메모리 셀 어레이(160)로 전달한다.
DRAM(100)의 독출 동작은 도 2에, 그리고 기입 동작은 도 3에 도시되어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클럭 신호(CLK)에 동기되어 입력되는 독출 명령(READ)과 칼럼 어드레스 신호들(ADDR<0:8>)에 응답하여 카스 레이턴시 4에 해당하는 클럭킹 후, 8개의 데이터 출력 패드들(DOUT0~DOUT7)로 데이터들(Q0~Q7)이 출력된다. 도 3을 참조하면, 클럭 신호(CLK)에 동기되어 입력되는 기입 명령(WRITE)과 칼럼 어드레스 신호들(ADDR<0:8>)에 응답하여 데이터 입력 패드들(DIN0~DIN7)로 8개의 입력 데이터들(D0~D7)이 입력된다.
이러한 DRAM(100)을 4개의 입출력 데이터를 필요로하는 시스템에 사용하게 되면, 4개의 입출력 데이터 인터페이싱을 위해 4개의 데이터 출력 버퍼들(예컨대, 181~184)과 4개의 데이터 입력 버퍼들(예컨대, 191~194)을 구동하면 되는 데, 필요로하지 않는 4개의 데이터 출력 버퍼들(예컨대, 185~188)과 4개의 데이터 입력 버퍼들(예컨대, 195~198)도 구동된다. 이에 따라, 잉여의 데이터 출력 버퍼들(185~188)과 데이터 입력 버퍼들(195~198)의 구동으로 DRAM(100)의 전력 소모가 커짐으로 인해 시스템의 전력 소모가 커지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따라서, 시스템에서 필요로하는 입출력 갯수에 따라 유연하게 그 입출력 위스를 조절할 수 있는 메모리 장치의 존재가 요구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입출력 데이터 위스 조절이 가능한 메모리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메모리 장치의 입출력 데이터 위스 조절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면에 따른 출력 데이터 위스 조절이 가능한 메모리 장치는 독출 명령에 응답하여 소정의 어드레스들을 수신하여 디코딩하는 디코더; 독출 명령 및 디코더의 출력에 응답하여 출력 제어 신호들을 발생하는 데이터 출력 버퍼 제어부; 및 출력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메모리 장치의 코어 블락에서 제공되는 데이터들을 선택적으로 데이터 출력 패드들로 출력하는 데이터 출력 버퍼들을 포함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다른 면에 따른 입력 데이터 위스 조절이 가능한 메모리 장치는 기입 명령에 응답하여 소정의 어드레스들을 수신하여 디코딩하는 디코더; 기입 명령 및 디코더의 출력에 응답하여 입력 제어 신호들을 발생하는 데이터 입력 버퍼 제어부; 및 입력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메모리 장치의 데이터 입력 패드로부터 제공되는 데이터를 선택적으로 메모리 장치의 입력 데이터 신호로 수신하는 데이터 입력 버퍼들을 포함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더욱 다른 면에 따른 입출력 데이터 위스 조절이 가능한 메모리 장치는 독출 명령 또는 기입 명령에 응답하여 소정의 어드레스들을 수신하여 디코딩하는 디코더; 독출 명령 및 디코더의 출력에 응답하여 입력 제어 신호들을 발생하는 데이터 입력 버퍼 제어부; 기입 명령 및 디코더의 출력에 응답하여 출력 제어 신호들을 발생하는 데이터 출력 버퍼 제어부; 입력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메모리 장치의 데이터 입출력 패드로부터 제공되는 데이터를 선택적으로 메모리 장치의 입력 데이터 신호로 수신하는 데이터 입력 버퍼들; 출력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메모리 장치의 코어 블락에서 제공되는 데이터를 선택적으로 데이터 입출력 패드로 출력하는 데이터 출력 버퍼들을 포함한다.
상기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메모리 장치의 출력 데이터 위스 조절 방법에 있어서, 클럭 신호에 동기되어 독출 명령 및 어드레스들을 수신하는 단계; 독출 명령 및 칼럼 어드레스로 사용되지 않는 어드레스들에 응답하여 출력 제어 신호들을 발생하는 단계; 및 출력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선택적으로 인에이블되는 데이터 출력 버퍼들을 통해 메모리 장치의 코어 블락에서 제공되는 데이터를 데이터 출력 패드로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메모리 장치의 입력 데이터 위스 조절 방법에 있어서, 클럭 신호에 동기되어 기입 명령 및 어드레스들을 수신하는 단계; 기입 명령 및 칼럼 어드레스로 사용되지 않는 어드레스들에 응답하여 입력 제어 신호들을 발생하는 단계; 및 입력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선택적으로 인에이블되는 데이터 입력 버퍼들을 통해 데이터 입력 패드로 입력되는 데이터들을 입력 데이터 신호로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예에 따른 메모리 장치의 입출력 데이터 위스 조절 방법에 있어서, 클럭 신호에 동기되는 어드레스들과 함께 독출 명령 또는 기입 명령을 수신하는 단계; 독출 명령에 응답하여 칼럼 어드레스로 사용되지 않는 어드레스들에 응답하여 입력 제어 신호들을 발생하는 단계; 기입 명령에 응답하여 칼럼 어드레스로 사용되지 않는 어드레스들에 응답하여 출력 제어 신호를 발생하는 단계; 입력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선택적으로 인에이블되는 데이터 입력 버퍼들을 통해 데이터 입력 패드로 입력되는 데이터들을 입력 데이터 신호로 수신하는 단계; 및 출력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선택적으로 인에이블되는 데이터 출력 버퍼들을 통해 메모리 장치의 코어 블락에서 제공되는 데이터를 데이터 출력 패드로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다른 예에 따른 메모리 장치의 입출력 데이터 위스 조절 방법에 있어서, 클럭 신호에 동기되어 액티브 명령 및 어드레스들을 수신하는 단계; 액티브 명령 및 어드레스들에 응답하여 제어 신호들을 발생하는 단계;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선택적으로 인에이블되는 데이터 입력 버퍼들을 통해 입력 데이터 패드로 입력되는 데이터들을 데이터 입력 신호로 수신하는 단계; 및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선택적으로 인에이블되는 데이터 출력 버퍼들을 통해 메모리 장치의 코어 블락에서 제공되는 데이터를 출력 데이터 패드로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또다른 예에 따른 메모리 장치의 입출력 데이터 위스 조절 방법에 있어서, 입출력 데이터 위스를 조절하는 제어 신호들을 모드 레지스터에 저장하는 단계; 제어 신호들에 응답하여 선택적으로 인에이블되는 데이터 입력 버퍼를 통해 메모리 장치의 데이터 입출력 패드로부터 제공되는 데이터를 선택적으로 메모리 장치의 입력 데이터 신호로 수신하는 단계; 및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선택적으로 인에이블되는 데이터 출력 버퍼를 통해 메모리 장치의 코어 블락에서 제공되는 데이터를 선택적으로 데이터 입출력 패드로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시스템에서 요구하는 데이터 크기에 따라 메모리 장치의 입출력 데이터 위스를 조절하여 메모리 사용 효율을 높이고 메모리 장치의 소비 전력을 줄인다. 또한. 메모리 장치의 기존 DQM 핀 없이도 입출력 데이터 갯수룰 조절할 수 있어서, 메모리 장치의 핀 수를 줄이는 잇점이 있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를 설명하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메모리 장치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이를 참조하면, 메모리 장치(400)는 입력 버퍼들(110, 140, 150), 칼럼 디코더(130), 로우 디코더(120), 메모리 셀 어레이(160), 센스 앰프(170), 디코더(410), 데이터 출력 버퍼 제어부(420), 데이터 입력 버퍼 제어부(430), 데이터 출력 버퍼들(480), 그리고 데이터 입력 버퍼들(490)을 포함한다. 앞서 도 1의 메모리 장치(100)에서 설명한 동일한 참조부호의 입력 버퍼들(110, 140, 150), 칼럼 디코더(130), 로우 디코더(120), 메모리 셀 어레이(160), 그리고 센스 앰프(170)는 설명의 중복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된다.
디코더(410)는 제3 입력 버퍼(150)를 통해 입력되는 독출 명령(READ)과 기입 명령(WRITE)에 응답하여 제2 입력 버퍼(140)를 통해 입력되는 A9 내지 A10 어드레스 신호를 디코딩하여 디코딩 신호들(WCON<0:3>)을 출력한다. 디코딩 신호들(WCON<0:3>)은 데이터 입력 버퍼 제어부(430)와 데이터 출력 버퍼 제어부(420)로 제공된다.
데이터 출력 버퍼 제어부(420)는 독출 명령(READ)와 디코더(430)에서 제공되는 디코딩 신호들(WCON<0:3>)에 응답하여 출력 제어 신호들(COUT<0:3>)을 발생한다. 출력 제어 신호들(COUT<0:3>)은 데이터 출력 버퍼들(480)로 제공되는 메모리 셀 데이터들(DATA_OUT<0:7>)을 선택적으로 데이터 출력 패드들(DOUT0~DOUT7)로 출력한다.
데이터 입력 버퍼 제어부(430)는 기입 명령(WRITE)과 디코더(430)에서 제공되는 디코딩 신호들(WCON<0:3>)에 응답하여 입력 제어 신호들(CIN<0:3>)을 발생한다. 입력 제어 신호들(CIN<0:3>)은 데이터 입력 패드들(DIN0~DIN7)로 입력되는 데이터들을 선택적으로 입력 데이터 신호들(DATA_IN<0:7>)로 입력한다.
도 5는 도 4의 메모리 장치(400)의 독출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으로, 데이터 출력 위스 ×8의 제1 구간, 데이터 출력 위스 ×6의 제2 구간, 그리고 데이터 출력 위스 ×2의 제3 구간으로 나뉘어져 설명된다. 메모리 장치(400)의 동작은 카스 레이턴시 4로 동작한다고 설정한다.
데이터 출력 위스 ×8의 제1 구간을 살펴보면, C1 클럭에 동기되는 독출 명령(READ)과 칼럼 어드레스 신호(CA)와 함께 입력되는 로직 하이레벨(H)의 ADDR<9> 및 ADDR<10> 어드레스 신호에 응답하여 제1 디코딩 신호(WCON<0>)는 로직 하이레벨(H)로 발생되고 제2 내지 제4 디코딩 신호들(WCON<1:3>)은 로직 로우레벨(L)로 발생된다. 로직 하이레벨의 제1 디코딩 신호(WCON<0>)에 응답하여 제1 내지 제4 출력 제어 신호(COUT<0:3>)는 로직 하이레벨로 발생된다. 로직 하이레벨의 제1 내지 제4 출력 제어 신호(COUT<0:3>)에 응답하여 C3 클럭에서 8개의 데이터 출력 패드들(DOUT0~DOUT7)로 메모리 셀 데이터들(Q0~Q7)이 출력된다.
데이터 출력 위스 ×6의 제2 구간을 살펴보면, C5 클럭에 동기되는 독출 명령(READ)과 칼럼 어드레스 신호(CA)와 함께 입력되는 로직 하이레벨(H)의 ADDR<9> 어드레스 신호와 로직 로우레벨의 ADDR<10> 어드레스 신호에 응답하여 제2 디코딩 신호(WCON<1>)는 로직 하이레벨(H)로 발생되고 제1, 제3 및 제4 디코딩 신호들(WCON<0>, WCON<2), WCON<3>)은 로직 로우레벨(L)로 발생된다. 로직 하이레벨의 제2 디코딩 신호(WCON<1>)에 응답하여 제1 출력 제어 신호(COUT<0>)는 로직 로우레벨로, 그리고 제2 내지 제4 출력 제어 신호(COUT<1:3>)는 로직 하이레벨로 발생된다. 로직 하이레벨의 제2 내지 제4 출력 제어 신호(COUT<1:3>)에 의해 C7 클럭에서 6개의 데이터 출력 패드들(DOUT0~DOUT5)로 메모리 셀 데이터들(Q0~Q5)이 출력된다.
데이터 출력 위스 ×2의 제3 구간을 살펴보면, C9 클럭에 동기되는 독출 명령(READ)과 칼럼 어드레스 신호(CA)와 함께 입력되는 로직 로우레벨(L)의 ADDR<9> 및 ADDR<10> 어드레스 신호에 응답하여 제4 디코딩 신호(WCON<3>)는 로직 하이레벨(H)로 발생되고 제1 내지 제3 디코딩 신호들(WCON<0:2>)은 로직 로우레벨(L)로 발생된다. 로직 하이레벨의 제4 디코딩 신호(WCON<3>)에 응답하여 제4 출력 제어 신호(COUT<3>)는 로직 하이레벨로, 그리고 제1 내지 제3 출력 제어 신호(COUT<0:2>)는 로직 로우레벨로 발생된다. 로직 하이레벨의 제4 출력 제어 신호(COUT<3>)에 의해 C11 클럭에서 2개의 데이터 출력 패드들(DOUT0~DOUT1)로 메모리 셀 데이터들(Q0~Q1)이 출력된다.
도 6 도 4의 메모리 장치(400)의 기입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으로, 데이터 입력 위스 ×8의 제1 구간, 데이터 입력 위스 ×6의 제2 구간, 그리고 데이터 입력 위스 ×2의 제3 구간으로 나뉘어져 설명된다.
데이터 입력 위스 ×8의 제1 구간을 살펴보면, C1 클럭에 동기되는 기입 명령(WRITE)과 칼럼 어드레스 신호(CA), 그리고 로직 하이레벨(H)의 ADDR<9> 및 ADDR<10> 어드레스 신호와 함께 데이터 입력 패드들(DIN0~DIN7)로 입력 데이터들(D0~D7)이 입력된다. 로직 하이레벨(H)의 ADDR<9> 및 ADDR<10> 어드레스 신호에 응답하여 제1 디코딩 신호(WCON<0>)는 로직 하이레벨(H)로 발생되고 제2 내지 제4 디코딩 신호들(WCON<1:3>)은 로직 로우레벨(L)로 발생된다. 로직 하이레벨의 제1 디코딩 신호(WCON<0>)에 응답하여 제1 내지 제4 입력 제어 신호(CIN<0:3>)는 로직 하이레벨로 발생된다. 로직 하이레벨의 제1 내지 제4 입력 제어 신호(CIN<0:3>)에 응답하여 C3 클럭에서 데이터 입력 패드들(DIN0~DIN7)로 입력된 데이터들(D0~D7)이 8개의 입력 데이터 신호들(DATA_IN0~DATA_IN7)로 입력된다.
데이터 입력 위스 ×6의 제2 구간을 살펴보면, C5 클럭에 동기되는 기입 명령(WRITE)과 칼럼 어드레스 신호(CA), 그리고 로직 하이레벨(H)의 ADDR<9> 어드레스 신호 및 로직 로우레벨의 ADDR<10> 어드레스 신호와 함께 데이터 입력 패드들(DIN0~DIN7)로 입력 데이터들(D0~D7)이 입력된다. 로직 하이레벨(H)의 ADDR<9> 어드레스 신호와 로직 로우레벨의 ADDR<10> 어드레스 신호에 응답하여 제2 디코딩 신호(WCON<1>)는 로직 하이레벨(H)로 발생되고 제1, 제3 및 제4 디코딩 신호들(WCON<0>, WCON<2), WCON<3>)은 로직 로우레벨(L)로 발생된다. 로직 하이레벨의 제2 디코딩 신호(WCON<1>)에 응답하여 제1 출력 제어 신호(COUT<0>)는 로직 로우레벨로, 그리고 제2 내지 제4 출력 제어 신호(COUT<1:3>)는 로직 하이레벨로 발생된다. 로직 하이레벨의 제2 내지 제4 입력 제어 신호(CIN<1:3>)에 응답하여 C7 클럭에서 데이터 입력 패드들(DIN0~DIN7)로 입력된 데이터들(D0~D7) 중 6개만이 선택되어 입력 데이터 신호들(DATA_IN0~DATA_IN5)로 입력된다.
데이터 입력 위스 ×2의 제3 구간을 살펴보면, C9 클럭에 동기되는 기입 명령(WRITE)과 칼럼 어드레스 신호(CA), 그리고 로직 로우레벨(L)의 ADDR<9> 및 로직 로우레벨의 ADDR<10> 어드레스 신호와 함께 데이터 입력 패드들(DIN0~DIN7)로 입력 데이터들(D0~D7)이 입력된다. 로직 로우레벨(L)의 ADDR<9> 및 ADDR<10> 어드레스 신호에 응답하여 제4 디코딩 신호(WCON<3>)는 로직 하이레벨(H)로 발생되고 제1 내지 제3 디코딩 신호들(WCON<0:2>)은 로직 로우레벨(L)로 발생된다. 로직 하이레벨의 제4 디코딩 신호(WCON<3>)에 응답하여 제4 출력 제어 신호(COUT<3>)는 로직 하이레벨로, 그리고 제1 내지 제3 출력 제어 신호(COUT<0:2>)는 로직 로우레벨로 발생된다. 로직 하이레벨의 제4 출력 제어 신호(COUT<3>)에 의해 C11 클럭에서 데이터 입력 패드들(DIN0~DIN7)로 입력된 데이터들(D0~D7) 중 2개만이 선택되어 입력 데이터 신호들(DATA_IN0~DATA_IN1)로 입력된다.
도 7은 도 4의 메모리 장치(400) 내 디코더(410)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이를 참조하면, 디코더(410)는 오아 게이트(760), 스위치(750), 그리고 다수개의 낸드 게이트들(710, 720, 730, 740)을 포함한다. 스위치(750)는 독출 명령(READ) 또는 기입 명령(WRITE)을 입력하는 오아 게이트(760)의 출력에 응답하여 AD<9> 어드레스 신호와 AD<10> 어드레스 신호를 낸드 게이트들(710, 720, 730, 740)로 전달한다. 낸드 게이트들(710, 720, 730, 740)은 AD<9>, AD<10> 어드레스 신호들의 로직 레벨에 따라 제1 내지 제4 디코딩 신호들(WCON<0:3>)을 출력한다.
디코더(410)는 하나의 디코딩 신호(WCON<0:3>)만을 로직 하이레벨로 발생하는 데, 앞서 설명한 도 5 및 도 6의 동작 타이밍도와 연계하여 살펴보면, 로직 하이레벨(H)의 AD<9> 및 AD<10> 어드레스 신호에 응답하여 제1 디코딩 신호(WCON<0>)가 로직 하이레벨(H)로, 로직 하이레벨(H)의 AD<9> 어드레스 신호와 로직 로우레벨의 AD<10> 어드레스 신호에 응답하여 제2 디코딩 신호(WCON<1>)가 로직 하이레벨(H)로 발생되고, 그리고 로직 로우레벨(L)의 AD<9> 및 AD<10> 어드레스 신호에 응답하여 제4 디코딩 신호(WCON<3>)가 로직 하이레벨(H)로 발생된다.
도 8은 도 4의 메모리 장치(400) 내 데이터 출력 버퍼 제어부(420)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이를 참조하면, 데이터 출력 버퍼 제어부(420)는 제1 내지 제4 스위치들(810, 820, 830, 840)과 제1 내지 제3 노아 게이트들(815, 825, 835)을 포함한다. 제1 스위치(810)는 제1 디코딩 신호(WCON<0>)를 독츨 명령(READ)에 응답하여 제1 출력 제어 신호(COUT<0>)로 전달한다. 제2 스위치(820)는 제1 및 제2 디코딩 신호(WCON<0>, WCON<1>)를 입력하는 제1 노아 게이트(815)의 출력을 독출 명령(READ)에 응답하여 제2 출력 제어 신호(COUT<1>)로 전달한다. 제3 스위치(830)는 제1 내지 제3 디코딩 신호(WCON<0>, WCON<1>, WCON<2>)를 입력하는 제2 노아 게이트(825)의 출력을 독출 명령(READ)에 응답하여 제3 출력 제어 신호(COUT<2>)로 전달한다. 제4 스위치(840)는 제1 내지 제4 디코딩 신호(WCON<0>, WCON<1>, WCON<2>, WCON<3>)를 입력하는 제3 노아 게이트(835)의 출력을 독출 명령(READ)에 응답하여 제4 출력 제어 신호(COUT<3>)로 전달한다.
데이터 출력 버퍼 제어부(420)의 동작을 앞서 설명한 도 5 및 도 6의 동작 타이밍도와 연계하여 살펴보면, 로직 하이레벨의 제1 디코딩 신호(WCON<0>)에 응답하여 제1 내지 제4 출력 제어 신호들(COUT<0:3>)이 로직 하이레벨로 발생되고, 로직 하이레벨의 제2 디코딩 신호(WCON<1>)에 응답하여 제2 내지 제4 출력 제어 신호들(COUT<1:3>)이 로직 하이레벨로 발생되고, 그리고 로직 하이레벨의 제4 디코딩 신호(WCON<3>)에 응답하여 제4 출력 제어 신호(COUT<3>)가 로직 하이레벨로 발생된다.
도 9는 도 4의 메모리 장치(400) 내 데이터 입력 버퍼 제어부(430)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이를 참조하면, 데이터 입력 버퍼 제어부(430)는 앞서 설명한 도 8의 데이터 출력 버퍼 제어부(420)의 구성 및 동작과 거의 동일하다. 다만, 스위치들(910, 920, 930, 940)이 기입 명령(WRITE)에 응답하여 제1 내지 제4 입력 제어 신호들(CIN<0:3>)을 발생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설명의 중복을 피하기 위하여, 데이터 입력 버퍼 제어부(420)의 구체적인 구성 및 동작 설명이 생략된다.
도 10a 및 도 10b는 도 4의 메모리 장치(400) 내 데이터 출력 버퍼들(481~488)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제1 데이터 출력 버퍼(481)는 메모리 셀 어레이(160, 도 4)로부터 제공되는 제1 출력 데이터(DATA_OUT<0>)를 제4 출력 제어 신호(COUT<3>)에 응답하여 제1 데이터 출력 패드(DOUT0)로 출력한다. 제2 데이터 출력 버퍼(482)는 메모리 셀 어레이(160, 도 4)로부터 제공되는 제2 출력 데이터(DATA_OUT<1>)를 제4 출력 제어 신호(COUT<3>)에 응답하여 제2 데이터 출력 패드(DOUT1)로 출력한다. 제3 및 제4 데이터 출력 버퍼들(483, 484)은 제3 출력 제어 신호(COUT<2>)에 응답하여 메모리 셀 어레이(160, 도 4)로부터 제공되는 제3 및 제4 출력 데이터들(DATA_OUT<2>, DATA_OUT<3>) 각각을 제3 및 제4 데이터 출력 패드들(DOUT2, DOUT3)로 출력한다. 제5 및 제6 데이터 출력 버퍼들(485, 486)은 제2 출력 제어 신호(COUT<1>)에 응답하여 메모리 셀 어레이(160, 도 4)로부터 제공되는 제5 및 제6 출력 데이터들(DATA_OUT<4>, DATA_OUT<5>) 각각을 제5 및 제6 데이터 출력 패드들(DOUT4, DOUT5)로 출력한다. 제7 및 제8 데이터 출력 버퍼들(487, 488)은 제1 출력 제어 신호(COUT<0>)에 응답하여 메모리 셀 어레이(160, 도 4)로부터 제공되는 제7 및 제8 출력 데이터들(DATA_OUT<6>, DATA_OUT<7>) 각각을 제7 및 제8 데이터 출력 패드들(DOUT2, DOUT3)로 출력한다.
대표적으로, 제1 데이터 출력 버퍼(481)를 살펴보면, 제4 출력 제어 신호(COUT<3>)의 로직 하이레벨에 응답하여 제1 출력 데이터(DATA_OUT<0>)의 로직 레벨에 따라 제1 데이터 출력 패드(DOUT0)로 출력된다. 예컨대, 제1 출력 데이터(DATA_OUT<0>)가 로직 로우레벨이면, 낸드 게이트(481-1) 출력은 로직 하이레벨로, 그리고 노아 게이트(481-2) 출력은 로직 하이레벨로 발생된다. 로직 하이레벨의 노아 게이트(481-2) 출력에 응답하여 엔모스 트랜지스터(481-4)가 턴온되어 제1 데이터 출력 패드(DOUT0)는 로직 로직 로우레벨로 출력된다. 제1 출력 데이터(DATA_OUT<0>)가 로직 하이레벨이면, 낸드 게이트(481-1) 출력과 노아 게이트(481-2) 출력은 로직 로우레벨로 발생된다. 로직 로우레벨의 낸드 게이트(481-1) 출력에 응답하여 제1 데이터 출력 패드(DOUT0)는 로직 하이레벨로 출력된다.
도 11은 도 4의 메모리 장치(400) 내 데이터 입력 버퍼들(491~498)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제1 데이터 입력 버퍼(491)는 제4 입력 제어 신호(CIN<3>)에 응답하여 제1 데이터 입력 패드(DIN0)로 입력되는 데이터를 제1 입력 데이터 신호(DATA_IN<0>)로 전달한다. 제2 데이터 입력 버퍼(492)는 제4 입력 제어 신호(CIN<3>)에 응답하여 제2 데이터 입력 패드(DIN1)로 입력되는 데이터를 제2 입력 데이터 신호(DATA_IN<1>)로 전달한다. 제3 및 제4 데이터 입력 버퍼들(493, 494)는 제3 입력 제어 신호(CIN<2>)에 응답하여 제3 및 제4 데이터 입력 패드들(DIN2, DIN3)로 각각 입력되는 데이터들을 제3 및 제4 입력 데이터 신호(DATA_IN<2>, DATA_IN<3>)로 전달한다. 제5 및 제6 데이터 입력 버퍼들(495, 496)는 제2 입력 제어 신호(CIN<1>)에 응답하여 제5 및 제6 데이터 입력 패드들(DIN4, DIN5)로 각각 입력되는 데이터들을 제5 및 제6 입력 데이터 신호(DATA_IN<4>, DATA_IN<5>)로 전달한다. 제7 및 제8 데이터 입력 버퍼들(497, 498)는 제1 입력 제어 신호(CIN<0>)에 응답하여 제7 및 제8 데이터 입력 패드들(DIN6, DIN7)로 각각 입력되는 데이터들을 제7 및 제8 입력 데이터 신호(DATA_IN<6>, DATA_IN<7>)로 전달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입력 버퍼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다수개의 데이터 입력 버퍼들 중 대표적으로 제1 데이터 입력 버퍼(491-1)만이 도시되어 있다. 제1 데이터 입력 버퍼(491-1)는 차동 증폭기 유형으로, 제4 입력 제어 신호(CIN<3>)에 응답하여 제3 엔모스 트랜지스터(MN3)가 턴온되어 제1 데이터 입력 버퍼(491-1)가 인에이블된다. 제1 데이터 입력 패드(DIN0)로 입력되는 데이터는 기준 전압(REF)과 비교되어 그 로직 레벨로 제1 입력 데이터 신호(DATA_IN<0>)를 발생한다.
제1 데이터 입력 패드(DIN0)로 입력되는 데이터가 기준 전압(REF) 보다 낮은 로직 로우레벨이면, 제2 엔모스 트랜지스터(MN2)가 턴오프되어 제1 입력 데이터 신호(DATA_IN<0>)는 로직 로우레벨로 발생된다. 제1 데이터 입력 패드(DIN0)로 입력되는 데이터가 기준 전압(REF) 보다 높은 로직 하이레벨이면, 제2 엔모스 트랜지스터(MN2)가 턴온되어 제1 입력 데이터 신호(DATA_IN<0>)는 로직 하이레벨로 발생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메모리 장치(400)에 의하면,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A9 및 A10 어드레스 신호에 의해 입출력 데이터 위스 조정이 가능하며, 요구되는 데이터 위스에 맞추어 데이터 입력 버퍼들(491~498) 또는 데이터 출력 버퍼들(481~488)을 구동하기 때문에, 메모리 장치(400)의 소비 전력을 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독출 명령(READ)과 함께 인가되는 A9 및 A10 어드레스 신호에 의해 출력 데이터 위스가 조절되고 기입 명령(WRITE)과 함께 인가되는 A9 및 A10 어드레스에 의해 입력 데이터 위스가 조절되는 예에 대하여 기술하였다. 이로부터 독출 명령(READD) 또는 기입 명령(WRITE) 이외에 액티브 명령(ACTIVE)에 의해 입출력 데이터 위스를 조절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본 발명에서는 AD9 및 AD10 어드레스에 의해 입출력 데이터 위스를 조절하는 것으로 설명되고 있으나, AD9 및 AD10 어드레스는 메모리 장치의 어드레스들(AD0~AD10) 중 로우 어드레스 신호 및 칼럼 어드레스 신호로 공통으로 사용되지 않는 어드레스를 의미한다. 즉, AD9 및 AD10 어드레스는 로우 어드레스 신호로 사용되고 칼럼 어드레스 신호로 사용되지 않는 신호이다. 그러므로, AD9 및 AD10 어드레스는 독출 명령(READ) 또는 기입 명령(WRITE) 시 인가되는 칼럼 어드레스(AD0~AD8)과 함께 메모리 장치(200, 400)로 인가되어 출력 또는 입력 데이터 위스 조절에 사용된다
이와는 달리, 출력 또는 입력 데이터 위스 조절을 위하여, 본 실시예들서의 A9 및 A10 어드레스들에 해당하며 제1 내지 제4 입력 또는 출력 제어 신호들(CIN<0:3>, COUT<0:3>)을 발생하기 위한 신호들이 모드 레지스터에 저장되어, 모드 레지스터로부터 데이터 출력 버퍼 제어부(420, 도 4) 또는 데이터 입력 버퍼 제어부(430, 도 4)로 제공될 수도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들에서는 A9 및 A10 어드레스들이 독출 명령 또는 기입 명령과 함께 인가되는 예들에 대하여 기술하고 있으나, 메모리 장치(200, 400)의 칼럼 선택 신호 발생 시점에 맞추어 인가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등록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상술한 본 발명에 의하면, 시스템에서 요구하는 데이터 크기에 따라 메모리 장치의 출력 데이터 위스, 입력 데이터 위스, 그리고 입출력 데이터 위스를 조절하여 메모리 사용 효율을 높이고, 메모리 장치의 소비 전력을 줄인다. 또한. 메모리 장치의 기존 DQM 핀 없이도 입출력 데이터 갯수룰 조절할 수 있어서, 메모리 장치의 핀 수를 줄이는 잇점이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DRAM의 블락 다이어그램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DRAM의 독출 동작 타이밍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DRAM의 기입 동작 타이밍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메모리 장치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4의 메모리 장치의 독출 동작 타이밍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4의 메모리 장치의 기입 동작 타이밍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코더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출력 버퍼 제어부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입력 버퍼 제어부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0a 및 도 10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출력 버퍼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입력 버퍼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동 증폭기 유형의 데이터 입력 버퍼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Claims (17)

  1. 출력 데이터 위스 조절이 가능한 메모리 장치에 있어서,
    독출 명령에 응답하여 소정의 어드레스들을 수신하여 디코딩하는 디코더;
    상기 독출 명령 및 상기 디코더의 출력에 응답하여 출력 제어 신호들을 발생하는 데이터 출력 버퍼 제어부; 및
    상기 출력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메모리 장치의 코어 블락에서 제공되는 데이터들을 선택적으로 데이터 출력 패드들로 출력하는 데이터 출력 버퍼들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리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 장치의 어드레스들은
    상기 메모리 장치의 로우 어드레스로는 사용되지만 칼럼 어드레스로는 사용되지 않는 어드레스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리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코더는
    상기 독출 명령에 응답하여 상기 어드레스들을 전달하는 스위치; 및
    상기 스위치로부터 전달된 어드레스들을 디코딩하여 상기 디코딩 신호들을 발생하는 로직부들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리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출력 버퍼 제어부는
    상기 디코딩 신호들을 선택적으로 오아링시키는 로직부들; 및
    상기 독출 명령에 응답하여 상기 로직부들의 출력들을 상기 출력 제어 신호들로 출력하는 스위치들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리 장치.
  5. 입력 데이터 위스 조절이 가능한 메모리 장치에 있어서,
    기입 명령에 응답하여 소정의 어드레스들을 수신하여 디코딩하는 디코더;
    상기 기입 명령 및 상기 디코더의 출력에 응답하여 입력 제어 신호들을 발생하는 데이터 입력 버퍼 제어부; 및
    상기 입력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메모리 장치의 데이터 입력 패드로부터 제공되는 데이터를 선택적으로 상기 메모리 장치의 입력 데이터 신호로 수신하는 데이터 입력 버퍼들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리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 장치의 어드레스들은
    상기 메모리 장치의 로우 어드레스로는 사용되지만 칼럼 어드레스로는 사용되지 않는 어드레스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리 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디코더는
    상기 기입 명령에 응답하여 상기 어드레스들을 전달하는 스위치; 및
    상기 스위치로부터 전달된 어드레스들을 디코딩하여 상기 디코딩 신호들을 발생하는 로직부들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리 장치.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입력 버퍼 제어부는
    상기 디코딩 신호들을 선택적으로 오아링시키는 로직부들; 및
    상기 기입 명령에 응답하여 상기 로직부들의 출력들을 상기 입력 제어 신호들로 출력하는 스위치들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리 장치.
  9. 입출력 데이터 위스 조절이 가능한 메모리 장치에 있어서,
    독출 명령 또는 기입 명령에 응답하여 소정의 어드레스들을 수신하여 디코딩하는 디코더;
    상기 독출 명령 및 상기 디코더의 출력에 응답하여 입력 제어 신호들을 발생하는 데이터 입력 버퍼 제어부;
    상기 기입 명령 및 상기 디코더의 출력에 응답하여 출력 제어 신호들을 발생하는 데이터 출력 버퍼 제어부;
    상기 입력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메모리 장치의 데이터 입출력 패드로부터 제공되는 데이터를 선택적으로 상기 메모리 장치의 입력 데이터 신호로 수신하는 데이터 입력 버퍼들;
    상기 출력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메모리 장치의 코어 블락에서 제공되는 데이터를 선택적으로 상기 데이터 입출력 패드로 출력하는 데이터 출력 버퍼들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리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디코더는
    상기 독출 명령 또는 상기 기입 명령에 응답하여 상기 어드레스들을 전달하는 스위치; 및
    상기 스위치로부터 전달된 어드레스들을 디코딩하여 상기 디코딩 신호들을 발생하는 로직부들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리 장치.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출력 버퍼 제어부는
    상기 디코딩 신호들을 선택적으로 오아링시키는 로직부들; 및
    상기 독출 명령에 응답하여 상기 로직부들의 출력들을 상기 출력 제어 신호들로 출력하는 스위치들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리 장치.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입력 버퍼 제어부는
    상기 디코딩 신호들을 선택적으로 오아링시키는 로직부들; 및
    상기 기입 명령에 응답하여 상기 로직부들의 출력들을 상기 입력 제어 신호들로 출력하는 스위치들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리 장치.
  13. 메모리 장치의 출력 데이터 위스 조절 방법에 있어서,
    클럭 신호에 동기되어 독출 명령 및 어드레스들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독출 명령 및 칼럼 어드레스로 사용되지 않는 상기 어드레스들에 응답하여 출력 제어 신호들을 발생하는 단계; 및
    상기 출력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선택적으로 인에이블되는 데이터 출력 버퍼들을 통해 상기 메모리 장치의 코어 블락에서 제공되는 데이터를 데이터 출력 패드로 출력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리 장치의 출력 데이터 위스 조절 방법.
  14. 메모리 장치의 입력 데이터 위스 조절 방법에 있어서,
    클럭 신호에 동기되어 기입 명령 및 어드레스들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기입 명령 및 칼럼 어드레스로 사용되지 않는 상기 어드레스들에 응답하여 입력 제어 신호들을 발생하는 단계; 및
    상기 입력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선택적으로 인에이블되는 데이터 입력 버퍼들을 통해 데이터 입력 패드로 입력되는 데이터들을 입력 데이터 신호로 수신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리 장치의 입력 데이터 위스 조절 방법.
  15. 메모리 장치의 입출력 데이터 위스 조절 방법에 있어서,
    클럭 신호에 동기되는 어드레스들과 함께 독출 명령 또는 기입 명령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독출 명령에 응답하여 칼럼 어드레스로 사용되지 않는 상기 어드레스들에 응답하여 입력 제어 신호들을 발생하는 단계;
    상기 기입 명령에 응답하여 상기 칼럼 어드레스로 사용되지 않는 상기 어드레스들에 응답하여 출력 제어 신호를 발생하는 단계;
    상기 입력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선택적으로 인에이블되는 데이터 입력 버퍼들을 통해 데이터 입력 패드로 입력되는 데이터들을 입력 데이터 신호로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출력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선택적으로 인에이블되는 데이터 출력 버퍼들을 통해 상기 메모리 장치의 코어 블락에서 제공되는 데이터를 데이터 출력 패드로 출력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리 장치의 입출력 데이터 위스 조절 방법.
  16. 메모리 장치의 입출력 데이터 위스 조절 방법에 있어서,
    클럭 신호에 동기되어 액티브 명령 및 어드레스들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액티브 명령 및 상기 어드레스들에 응답하여 제어 신호들을 발생하는 단계;
    상기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선택적으로 인에이블되는 데이터 입력 버퍼들을 통해 입력 데이터 패드로 입력되는 데이터들을 데이터 입력 신호로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선택적으로 인에이블되는 데이터 출력 버퍼들을 통해 상기 메모리 장치의 코어 블락에서 제공되는 데이터를 출력 데이터 패드로 출력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리 장치의 입출력 데이터 위스 조절 방법.
  17. 메모리 장치의 입출력 데이터 위스 조절 방법에 있어서,
    상기 입출력 데이터 위스를 조절하는 제어 신호들을 모드 레지스터에 저장하는 단계;
    상기 제어 신호들에 응답하여 선택적으로 인에이블되는 데이터 입력 버퍼를 통해 상기 메모리 장치의 데이터 입출력 패드로부터 제공되는 데이터를 선택적으로 상기 메모리 장치의 입력 데이터 신호로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선택적으로 인에이블되는 데이터 출력 버퍼를 통해 상기 메모리 장치의 코어 블락에서 제공되는 데이터를 선택적으로 상기 데이터 입출력 패드로 출력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리 장치의 입출력 데이터 위스 조절 방법.
KR10-2003-0066944A 2003-09-26 2003-09-26 입출력 데이터 위스 조절이 가능한 메모리 장치 및 그위스 조절 방법 KR1005324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66944A KR100532471B1 (ko) 2003-09-26 2003-09-26 입출력 데이터 위스 조절이 가능한 메모리 장치 및 그위스 조절 방법
US10/732,868 US7480776B2 (en) 2003-09-26 2003-12-10 Circuits and methods for providing variable data I/O width for semiconductor memory devices
DE102004024634A DE102004024634B4 (de) 2003-09-26 2004-05-12 Integrierter Schaltungsbaustein und Speichersystem mit Datenpuffer sowie zugehöriges Steuerverfahren
CNA2004100478503A CN1601449A (zh) 2003-09-26 2004-05-31 提供可变数据输入输出宽度的电路与方法
GB0412565A GB2406418B (en) 2003-09-26 2004-06-04 Circuits and methods for providing variable data I/O width for semiconductor memory devices
JP2004216055A JP5042448B2 (ja) 2003-09-26 2004-07-23 半導体メモリ装置、集積回路装置及びメモリシステ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66944A KR100532471B1 (ko) 2003-09-26 2003-09-26 입출력 데이터 위스 조절이 가능한 메모리 장치 및 그위스 조절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30782A KR20050030782A (ko) 2005-03-31
KR100532471B1 true KR100532471B1 (ko) 2005-12-01

Family

ID=343741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66944A KR100532471B1 (ko) 2003-09-26 2003-09-26 입출력 데이터 위스 조절이 가능한 메모리 장치 및 그위스 조절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7480776B2 (ko)
JP (1) JP5042448B2 (ko)
KR (1) KR100532471B1 (ko)
CN (1) CN1601449A (ko)
DE (1) DE102004024634B4 (ko)
GB (1) GB2406418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284200B2 (ja) * 2004-01-28 2009-06-24 株式会社東芝 不揮発性半導体記憶システム
EP1726016B8 (en) * 2004-03-15 2018-10-31 InterDigital Madison Patent Holdings Technique for efficient video re-sampling
FR2889328B1 (fr) * 2005-07-26 2007-09-28 Atmel Nantes Sa Sa Dispositif d'interfacage unidirectionnel de type fifo entre un bloc maitre et un bloc esclave, bloc maitre et bloc esclave correspondants
DE102005054941A1 (de) * 2005-11-17 2007-05-31 Gelita Ag Nervenleitschiene
US8122202B2 (en) * 2007-02-16 2012-02-21 Peter Gillingham Reduced pin count interface
US8531898B2 (en) * 2010-04-02 2013-09-10 Samsung Electronics Co., Ltd. On-die termination circuit, data output buffer and semiconductor memory device
KR20120098094A (ko) * 2011-02-28 2012-09-05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반도체 메모리 장치
US9262174B2 (en) * 2012-04-05 2016-02-16 Nvidia Corporation Dynamic bank mode addressing for memory access
KR102464801B1 (ko) 2015-04-14 2022-11-07 삼성전자주식회사 반도체 장치의 동작 방법 및 반도체 시스템
US11803328B2 (en) * 2019-02-12 2023-10-31 Rambus Inc. Memory with variable access granularity
US20210103533A1 (en) * 2019-10-04 2021-04-08 Etron Technology, Inc. Memory system and memory chip
CN114527953B (zh) * 2022-04-24 2022-07-08 深圳云豹智能有限公司 存储器数据处理系统、方法、装置、计算机设备和介质

Family Cites Families (3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200287A (ja) 1984-03-24 1985-10-09 株式会社東芝 記憶装置
JPS61992A (ja) 1984-06-14 1986-01-0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半導体メモリ
US5923591A (en) * 1985-09-24 1999-07-13 Hitachi, Ltd. Memory circuit
JPH079976B2 (ja) * 1985-04-10 1995-02-01 日本電気株式会社 半導体メモリ
US4783730A (en) * 1986-09-19 1988-11-08 Datapoint Corporation Input/output control technique utilizing multilevel memory structure for processor and I/O communication
JP2712124B2 (ja) * 1987-05-27 1998-02-10 株式会社日立製作所 半導体集積回路装置
JP3005250B2 (ja) * 1989-06-30 2000-01-31 テキサス インスツルメンツ インコーポレイテツド バスモニター集積回路
JP2603145B2 (ja) * 1990-03-09 1997-04-23 三菱電機株式会社 半導体集積回路装置
JPH04177697A (ja) * 1990-11-13 1992-06-24 Nec Corp 半導体メモリ
JP3072786B2 (ja) * 1991-06-04 2000-08-07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データ処理装置
JPH0512883A (ja) * 1991-07-05 1993-01-22 Nippon Steel Corp シーケンシヤルメモリ
US5828907A (en) * 1992-06-30 1998-10-27 Discovision Associates Token-based adaptive video processing arrangement
US5408628A (en) 1992-07-07 1995-04-18 Odetics, Inc. Solid state recorder with flexible width data bus utilizing lock mapping and error correction and detection circuits
JPH06150643A (ja) * 1992-10-30 1994-05-31 Matsushita Electron Corp 半導体記憶装置
US5504875A (en) * 1993-03-17 1996-04-02 Intel Corporation Nonvolatile memory with a programmable output of selectable width and a method for controlling the nonvolatile memory to switch between different output widths
JPH06290582A (ja) * 1993-04-02 1994-10-18 Nec Corp 半導体記憶装置
JP3608804B2 (ja) * 1993-05-14 2005-01-12 株式会社ソニー・コンピュータエンタテインメント バス制御装置
US5699544A (en) * 1993-06-24 1997-12-16 Discovision Associates Method and apparatus for using a fixed width word for addressing variable width data
JP3360902B2 (ja) * 1993-12-22 2003-01-07 株式会社東芝 半導体記憶装置
JPH07226079A (ja) * 1994-02-14 1995-08-2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半導体メモリ装置
US5673396A (en) * 1994-12-16 1997-09-30 Motorola, Inc. Adjustable depth/width FIFO buffer for variable width data transfers
US6119213A (en) * 1995-06-07 2000-09-12 Discovision Associates Method for addressing data having variable data width using a fixed number of bits for address and width defining fields
JPH0934827A (ja) * 1995-07-14 1997-02-07 Canon Inc メモリ制御装置
US5715197A (en) * 1996-07-29 1998-02-03 Xilinx, Inc. Multiport RAM with programmable data port configuration
JPH1145568A (ja) * 1997-07-24 1999-02-16 Oki Electric Ind Co Ltd 半導体記憶装置
US6404770B1 (en) * 1997-12-02 2002-06-11 Yamaha Corporation Data communication interface with adjustable-size buffer
JPH11272546A (ja) * 1998-03-23 1999-10-08 Nec Corp 可変長レジスタ装置
JP3954208B2 (ja) * 1998-08-19 2007-08-08 富士通株式会社 半導体記憶装置
JP4424770B2 (ja) * 1998-12-25 2010-03-03 株式会社ルネサステクノロジ 半導体記憶装置
US6363008B1 (en) * 2000-02-17 2002-03-26 Multi Level Memory Technology Multi-bit-cell non-volatile memory with maximized data capacity
KR100713064B1 (ko) 2000-10-26 2007-05-02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반도체 메모리의 데이터폭 제어장치
JP4034959B2 (ja) * 2001-11-14 2008-01-16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半導体記憶装置
US6970013B1 (en) * 2002-03-01 2005-11-29 Xilinx, Inc Variable data width converter
JP4225749B2 (ja) * 2002-08-07 2009-02-18 株式会社ルネサステクノロジ 半導体記憶装置
KR100527529B1 (ko) 2002-12-13 2005-11-09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입출력 대역폭을 조절할 수 있는 메모리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30782A (ko) 2005-03-31
US7480776B2 (en) 2009-01-20
GB2406418A (en) 2005-03-30
US20050071582A1 (en) 2005-03-31
GB2406418B (en) 2005-12-21
CN1601449A (zh) 2005-03-30
JP2005108400A (ja) 2005-04-21
GB0412565D0 (en) 2004-07-07
DE102004024634A1 (de) 2005-05-19
DE102004024634B4 (de) 2010-01-14
JP5042448B2 (ja) 2012-10-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80320B2 (en) Multi-port memory device
JP2004152474A (ja) 高速データアクセスのための半導体メモリ装置及びその駆動方法
KR100532471B1 (ko) 입출력 데이터 위스 조절이 가능한 메모리 장치 및 그위스 조절 방법
KR100465602B1 (ko) 글로벌 입출력(gio) 라인에 리피터를 구비하는 반도체메모리 장치
US7596049B2 (en) Semiconductor memory device with a plurality of bank groups each having a plurality of banks sharing a global line group
KR19980075585A (ko) 동기식 반도체 메모리장치의 칼럼 선택라인 제어회로 및 제어방법
KR100753099B1 (ko) 반도체 메모리 장치
JP2005322376A (ja) マルチポートメモリ素子
KR100537199B1 (ko) 동기식 메모리 소자
JP2010272168A (ja) 半導体装置
KR20010010042A (ko) 반도체 메모리 장치 및 이 장치의 라이트 데이터 마스킹 방법
US7123520B2 (en) Buffer circuit and memory system for selectively outputting data strobe signal according to number of data bits
US7046575B2 (en) Bus connection circuit for read operation of multi-port memory device
KR100524944B1 (ko) 고속의 기입 및 독출동작을 가능하게 하는 입출력 구조를갖는 반도체 메모리장치
US7345930B2 (en) Write circuit of memory device
JPH11203896A (ja) 同時カラム選択ライン活性化回路を具備する半導体メモリ装置及びカラム選択ライン制御方法
JP3953681B2 (ja) カラムデコーダ
KR100368117B1 (ko) 레이트 선택 동기 파이프라인 타입 반도체 메모리장치에서의 데이터 코히런시 유지방법 및 그에 따른데이터 코히런시 유지회로
JP2005322370A (ja) グローバルデータバス接続回路を備えるマルチポートメモリ素子
KR0172427B1 (ko)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확장된 데이타 출력을 갖는 쿼드 카스 모드 제어회로
KR100295663B1 (ko) 반도체메모리장치
KR100558478B1 (ko) 반도체 메모리 장치 및 이 장치의 데이터 라이트 및 리드방법
JP2004199849A (ja) 入/出力の帯域幅を調節可能なメモリ装置
KR100324013B1 (ko) 반도체소자의데이타전송방법및그장치
KR0169787B1 (ko) 캐쉬드 동적 메모리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3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3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3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30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31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