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24944B1 - 고속의 기입 및 독출동작을 가능하게 하는 입출력 구조를갖는 반도체 메모리장치 - Google Patents

고속의 기입 및 독출동작을 가능하게 하는 입출력 구조를갖는 반도체 메모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24944B1
KR100524944B1 KR10-2003-0008207A KR20030008207A KR100524944B1 KR 100524944 B1 KR100524944 B1 KR 100524944B1 KR 20030008207 A KR20030008207 A KR 20030008207A KR 100524944 B1 KR100524944 B1 KR 1005249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odd
input
numbered
respon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082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72224A (ko
Inventor
이희춘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082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24944B1/ko
Priority to US10/773,464 priority patent/US6909665B2/en
Publication of KR200400722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722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249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24944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7/00Arrangements for writing information into, or reading information out from, a digital store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7/00Arrangements for writing information into, or reading information out from, a digital store
    • G11C7/22Read-write [R-W] timing or clocking circuits; Read-write [R-W] control signal generators or management 
    • G11C7/222Clock generating, synchronizing or distributing circuits within memory device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11/00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 G11C11/21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 G11C11/34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 G11C11/40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using transistors
    • G11C11/401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using transistors forming cells needing refreshing or charge regeneration, i.e. dynamic cells
    • G11C11/4063Auxiliary circuits, e.g. for addressing, decoding, driving, writing, sensing or timing
    • G11C11/407Auxiliary circuits, e.g. for addressing, decoding, driving, writing, sensing or timing for memory cells of the field-effect type
    • G11C11/409Read-write [R-W] circuits 
    • G11C11/4093Input/output [I/O] data interface arrangements, e.g. data buffer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7/00Arrangements for writing information into, or reading information out from, a digital store
    • G11C7/10Input/output [I/O] data interface arrangements, e.g. I/O data control circuits, I/O data buffer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7/00Arrangements for writing information into, or reading information out from, a digital store
    • G11C7/10Input/output [I/O] data interface arrangements, e.g. I/O data control circuits, I/O data buffers
    • G11C7/1015Read-write modes for single port memories, i.e. having either a random port or a serial port
    • G11C7/1042Read-write modes for single port memories, i.e. having either a random port or a serial port using interleaving techniques, i.e. read-write of one part of the memory while preparing another part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7/00Arrangements for writing information into, or reading information out from, a digital store
    • G11C7/10Input/output [I/O] data interface arrangements, e.g. I/O data control circuits, I/O data buffers
    • G11C7/1048Data bus control circuits, e.g. precharging, presetting, equalis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7/00Arrangements for writing information into, or reading information out from, a digital store
    • G11C7/22Read-write [R-W] timing or clocking circuits; Read-write [R-W] control signal generators or management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8/00Arrangements for selecting an address in a digital store
    • G11C8/10Decoders

Abstract

고속의 기입 및 독출동작을 가능하게 하는 입출력 구조를 갖는 반도체 메모리장치가 개시된다. 주파수 분주기가 외부클럭을 2분주하여 짝수 데이터 페치용 클럭 및 이와 위상이 반대인 홀수 데이터 페치용 클럭을 발생한다. 칼럼선택라인 인에이블 제어회로는 상기 짝수 데이터 페치용 클럭에 응답하여 짝수번째 칼럼선택라인 인에이블 신호들을 발생하고 상기 홀수 데이터 페치용 클럭에 응답하여 홀수번째 칼럼선택라인 인에이블 신호들을 발생한다. 스위칭 회로는 상기 짝수번째 칼럼선택라인 인에이블 신호들에 응답하여 비트라인 쌍을 짝수번째 입출력라인 쌍으로 연결하고 상기 홀수번째 칼럼선택라인 인에이블 신호들에 응답하여 상기 비트라인 쌍을 홀수번째 입출력라인 쌍으로 연결한다. 입출력라인 감지증폭 회로는 상기 짝수 데이터 페치용 클럭에 응답하여 상기 짝수번째 입출력라인 쌍의 데이터를 감지증폭하여 데이터 라인 쌍으로 출력하고 상기 홀수 데이터 페치용 클럭에 응답하여 상기 홀수번째 입출력라인 쌍의 데이터를 감지증폭하여 상기 데이터 라인 쌍으로 출력한다.

Description

고속의 기입 및 독출동작을 가능하게 하는 입출력 구조를 갖는 반도체 메모리장치{Semiconductor memory device having input output architecture capable of increasing write and read operation speed}
본 발명은 반도체 메모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고속의 기입 및 독출동작을 가능하게 하는 입출력 구조에 관한 것이다.
반도체 메모리장치 특히 디램에서는 고속의 기입 및 독출동작을 구현하기 위해 데이터의 입출력 속도를 향상시키는 것이 필요하다. 그런데 디램의 경우 데이터 입출력 구조가 프리페치(Prefetch) 형태로 구성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프리페치 형태에서는, 독출동작시에는 디램의 메모리 코아(Core)에서 멀티 비트(Multi-bit)의 데이터가 동시에 저속 병렬로 독출되고 외부로 출력시에는 고속 직렬로 출력되며, 기입동작시에는 외부에서 고속 직렬로 데이터가 입력되어 메모리 코아에 저속 병렬로 기입된다.
그런데 이러한 동작 방식에서는 동작속도를 더 높이기 위해서는 병렬 액세스해야하는 프리페치 셀의 개수를 증가시켜야 하는데, 이로 인하여 잡음이 증가하거나 또는 랜덤(Random)한 칼럼선택에 제약이 되어 특정한 동작에서는 오히려 효율을 감소시키는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입출력 구조를 갖는 반도체 메모리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반도체 메모리장치에서의 독출동작 타이밍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종래기술에서는 칼럼 어드레스 디코더(11)가 메모리장치의 외부에서 입력되는 칼럼 어드레스(ADD)를 디코드하여 그 결과를 칼럼선택라인 인에이블 제어회로(12)에 제공한다. 칼럼선택라인 인에이블 제어회로(12)는 상기 디코드된 결과를 받아 클럭(CLK)에 응답하여 칼럼선택라인 인에이블 신호들(CSLi,CSLj,..., CSLk)을 발생한다.
스위칭 회로(13)는 칼럼선택라인 인에이블 신호들(CSLi,CSLj,..., CSLk)에 응답하여 메모리셀 어레이(10) 내의 메모리셀들(MCi,MCj,..,MCk)에 연결된 비트라인 쌍(BLi,BLj,..,BLk)을 선택적으로 입출력라인 쌍(IO)으로 연결한다.
입출력라인 감지증폭 회로(IOSA)(14A)는 독출동작시 클럭(CLK)에 응답하여 입출력라인 쌍(IO)의 데이터를 감지증폭하여 데이터 라인 쌍(DIO)으로 출력하고 데이터 라인 쌍(DIO)의 데이터는 입출력 버퍼(16)를 통해 입출력핀(DQ)으로 출력된다. 프리차지 회로(15)는 클럭(CLK)의 하강에지에 응답하여 입출력라인 쌍(IO)을 프리차지시킨다.
기입동작시에는 라이트 드라이버(DRV)(14B)가 입출력 버퍼(16)를 통해 입력된 데이터 라인 쌍(DIO)의 데이터를 받아 클럭(CLK)에 응답하여 입출력라인 쌍(IO)으로 전달한다. 입출력라인 쌍(IO)의 데이터는 스위칭 회로(13)를 통해 메모리셀들(MCi,MCj,..,MCk)에 기입된다.
한편 여기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고속 입출력 동작을 위해 여러 비트의 데이터를 동시에 병렬로 독출한 후 이 병렬 데이터를 직렬로 변환하는 레지스터를 입출력 버퍼(16) 부분에 구비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종래기술에 따른 입출력 구조를 갖는 반도체 메모리장치에서는 독출동작시 다음 독출동작 이전까지 입출력라인 쌍에 대한 등화 및 프리차지가 이루어져야 하므로 실제로 입출력라인 쌍에 대한 디벨럽(Develop) 및 프리차지는 클럭(CLK)의 1주기 내에 이루어져야 한다. 그런데, 반도체 메모리장치의 고집적화 경향에 따라 입출력라인 쌍(IO)의 부하는 점점 더 증가하고 또한 반도체 메모리장치의 입출력 동작을 고속화함에 따라 클럭(CLK)의 1주기 내에 입출력라인 쌍에 대한 디벨럽(Develop) 및 프리차지를 하는 것이 점점 더 어려워지고 있다. 즉 상기 종래기술에 따른 입출력 구조를 갖는 반도체 메모리장치에서는 기입 및 독출동작 속도를 향상시키는 데 제한이 있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고속의 기입 및 독출동작을 가능하게 하는 입출력 구조를 갖는 반도체 메모리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반도체 메모리장치는, 주파수 분주기, 칼럼선택라인 인에이블 제어회로, 스위칭 회로, 입출력라인 감지증폭 회로, 칼럼 어드레스 디코더, 라이트 드라이버, 제1프리차지 회로, 및 제2프리차지 회로를 구비한다.
상기 주파수 분주기는 외부클럭을 2분주하여 짝수 데이터 페치용 클럭 및 이와 위상이 반대인 홀수 데이터 페치용 클럭을 발생한다.
상기 칼럼선택라인 인에이블 제어회로는 상기 짝수 데이터 페치용 클럭에 응답하여 짝수번째 칼럼선택라인 인에이블 신호들을 발생하고 상기 홀수 데이터 페치용 클럭에 응답하여 홀수번째 칼럼선택라인 인에이블 신호들을 발생한다.
상기 스위칭 회로는 상기 짝수번째 칼럼선택라인 인에이블 신호들에 응답하여 비트라인 쌍을 짝수번째 입출력라인 쌍으로 연결하고 상기 홀수번째 칼럼선택라인 인에이블 신호들에 응답하여 상기 비트라인 쌍을 홀수번째 입출력라인 쌍으로 연결한다.
상기 입출력라인 감지증폭 회로는 상기 짝수 데이터 페치용 클럭에 응답하여 상기 짝수번째 입출력라인 쌍의 데이터를 감지증폭하여 데이터 라인 쌍으로 출력하고 상기 홀수 데이터 페치용 클럭에 응답하여 상기 홀수번째 입출력라인 쌍의 데이터를 감지증폭하여 상기 데이터 라인 쌍으로 출력한다.
상기 칼럼 어드레스 디코더는 상기 반도체 메모리장치의 외부에서 입력되는 칼럼 어드레스를 디코드하여 그 결과를 상기 칼럼선택라인 인에이블 제어회로에 제공한다.
상기 라이트 드라이버는 상기 짝수 데이터 페치용 클럭에 응답하여 상기 데이터 라인 쌍의 짝수 데이터를 받아 상기 짝수번째 입출력라인 쌍으로 전달하고 상기 홀수 데이터 페치용 클럭에 응답하여 상기 데이터 라인 쌍의 홀수 데이터를 받아 상기 홀수번째 입출력라인 쌍으로 전달한다.
상기 제1프리차지 회로는 상기 짝수 데이터 페치용 클럭에 응답하여 상기 짝수번째 입출력라인 쌍을 프리차지시키고 상기 제2프리차지 회로는 상기 홀수 데이터 페치용 클럭에 응답하여 상기 홀수번째 입출력라인 쌍을 프리차지시킨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 상의 잇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입출력 구조를 갖는 반도체 메모리장치를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반도체 메모리장치에서의 독출동작 타이밍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반도체 메모리장치는, 메모리셀들(MCi,MCj,..,MCk)을 포함하는 메모리셀 어레이(30), 주파수 분주기(31), 칼럼 어드레스 디코더(32), 칼럼선택라인 인에이블 제어회로(33), 스위칭 회로(34), 입출력라인 감지증폭 회로 및 라이트 드라이버(35), 제1 및 제2프리차지 회로(36,37), 및 입출력 버퍼(38)를 구비한다.
주파수 분주기(31)는 외부에서 인가되는 클럭(CLK)을 2분주하여 짝수 데이터 페치용 클럭(CLK(E)) 및 이와 위상이 반대인 홀수 데이터 페치용 클럭(CLK(O))을 발생한다. 칼럼 어드레스 디코더(32)는 반도체 메모리장치의 외부에서 입력되는 칼럼 어드레스(ADD)를 디코드하여 그 결과를 칼럼선택라인 인에이블 제어회로(33)에 제공한다.
칼럼선택라인 인에이블 제어회로(33)는 상기 디코드된 결과를 받아, 짝수 데이터 페치용 클럭(CLK(E))에 응답하여 짝수번째 칼럼선택라인 인에이블 신호들(CSLi(E),CSLj(E),..., CSLk(E))을 발생하고 홀수 데이터 페치용 클럭(CLK(O))에 응답하여 홀수번째 칼럼선택라인 인에이블 신호들(CSLi(O),CSLj(O),..., CSLk(O))을 발생한다.
스위칭 회로(34)는 짝수번째 칼럼선택라인 인에이블 신호들(CSLi(E),CSLj(E),..., CSLk(E))에 응답하여, 메모리셀들(MCi,MCj,..,MCk)에 연결된 비트라인 쌍(BLi,BLj,..,BLk)을 짝수번째 입출력라인 쌍(IO(E))으로 연결하고 홀수번째 칼럼선택라인 인에이블 신호들(CSLi(O),CSLj(O),..., CSLk(O))에 응답하여 상기 비트라인 쌍(BLi,BLj,..,BLk)을 홀수번째 입출력라인 쌍(IO(O))으로 연결한다.
스위칭 회로(34)는 스위치 트랜지스터들(Mi(E),Mj(E),..., Mk(E)) 및 스위치 트랜지스터들(Mi(O),Mj(O),..., Mk(O))를 구비한다. 스위치 트랜지스터들(Mi(E),Mj(E),..., Mk(E))은 짝수번째 칼럼선택라인 인에이블 신호들(CSLi(E),CSLj(E),..., CSLk(E))에 응답하여 비트라인 쌍(BLi,BLj,..,BLk)을 짝수번째 입출력라인 쌍(IO(E))으로 연결한다. 스위치 트랜지스터들(Mi(O),Mj(O),..., Mk(O))은 홀수번째 칼럼선택라인 인에이블 신호들(CSLi(O),CSLj(O),..., CSLk(O))에 응답하여 상기 비트라인 쌍(BLi,BLj,..,BLk)을 홀수번째 입출력라인 쌍(IO(O))으로 연결한다.
제1프리차지 회로(36)는 프리차지 트랜지스터(361) 및 프리차지 제어회로(362)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짝수 데이터 페치용 클럭(CLK(E))에 응답하여 짝수번째 입출력라인 쌍(IO(E))을 프리차지시킨다. 제2프리차지 회로(37)는 프리차지 트랜지스터(371) 및 프리차지 제어회로(372)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홀수 데이터 페치용 클럭(CLK(O))에 응답하여 홀수번째 입출력라인 쌍(IO(O))을 프리차지시킨다.
입출력라인 감지증폭 회로 및 라이트 드라이버(35)는 짝수 데이터용 입출력라인 감지증폭 회로(IOSA(E))(351A), 짝수 데이터용 라이트 드라이버(DRV(E))(351B), 홀수 데이터용 입출력라인 감지증폭 회로(IOSA(O))(352A), 및 홀수 데이터용 라이트 드라이버(DRV(O))(352B)를 구비한다.
독출동작시 짝수 데이터용 입출력라인 감지증폭 회로(351A)는 짝수 데이터 페치용 클럭(CLK(E))에 응답하여 짝수번째 입출력라인 쌍(IO(E))의 데이터를 감지증폭하여 데이터 라인 쌍(DIO)으로 출력한다. 홀수 데이터용 입출력라인 감지증폭 회로(352A)는 홀수 데이터 페치용 클럭(CLK(O))에 응답하여 홀수번째 입출력라인 쌍(IO(O))의 데이터를 감지증폭하여 데이터 라인 쌍(DIO)으로 출력한다. 데이터 라인 쌍(DIO)의 데이터는 입출력 버퍼(38)를 통해 입출력핀(DQ)으로 출력된다.
기입동작시 짝수 데이터용 라이트 드라이버(351B)는 짝수 데이터 페치용 클럭(CLK(E))에 응답하여 데이터 라인 쌍(DIO)의 짝수 데이터를 받아 짝수번째 입출력라인 쌍(IO(E))으로 전달한다. 홀수 데이터용 라이트 드라이버(352B)는 홀수 데이터 페치용 클럭(CLK(O))에 응답하여 데이터 라인 쌍(DIO)의 홀수 데이터를 받아 홀수번째 입출력라인 쌍(IO(O))으로 전달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반도체 메모리장치에서는, 외부클럭(CLK)을 2분주하여 주기가 2배인 짝수 데이터 페치용 클럭(CLK(E)) 및 홀수 데이터 페치용 클럭(CLK(O))이 발생되고 또한 이 두 개의 클럭들(CLK(E),CLK(O))에 대응하는 두 개의 입출력라인 쌍들(IO(E),IO(O))이 구비됨으로써 선택적인 동작(Alternative operation)에 의해 데이터 전송속도가 증가된다.
좀더 설명하면 종래기술과는 달리 본 발명에 따른 반도체 메모리장치에서는 짝수번째 입출력라인 쌍(IO(E))에 대한 디벨럽(Develop) 및 프리차지가 완료되지 않은 상태에서 또 다른 칼럼 어드레스를 받아 들이더라도 동작이 가능하다.
즉, 짝수번째 입출력라인 쌍(IO(E))에 대한 디벨럽 후 프리차지가 진행되는 동안에 또 다른 칼럼 어드레스가 입력되면, 홀수 데이터 페치용 클럭(CLK(O))에 응답하여 홀수번째 칼럼선택라인 인에이블 신호들(CSLi(O),CSLj(O),..., CSLk(O))중 하나가 인에이블된다. 이에 따라 스위치 트랜지스터들(Mi(O),Mj(O),..., Mk(O))중 하나가 턴온되고 비트라인 쌍들(BLi,BLj,..,BLk)중 하나가 홀수번째 입출력라인 쌍(IO(O))으로 연결되어 홀수번째 입출력라인 쌍(IO(O))에 대한 디벨럽이 동시에 수행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반도체 메모리장치에서는 기입 및 독출동작 속도가 빨라진다. 또한 상기 선택적인 동작(Alternative operation)에 의해 잡음 분산 효과를 기대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잡음에 기인하는 속도 열화(speed degradation)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 실시예들이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반도체 메모리장치에서는 기입 및 독출동작 속도가 빨라진다. 또한 상기 선택적인 동작(Alternative operation)에 의해 잡음 분산 효과를 기대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잡음에 기인하는 속도 열화(speed degradation)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인용되는 도면을 보다 충분히 이해하기 위하여 각 도면의 간단한 설명이 제공된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입출력 구조를 갖는 반도체 메모리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반도체 메모리장치에서의 독출동작 타이밍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입출력 구조를 갖는 반도체 메모리장치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반도체 메모리장치에서의 독출동작 타이밍도이다.

Claims (4)

  1. 외부클럭에 동기되어 데이터를 리드 및 독출하는 반도체 메모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외부클럭을 2분주하여 짝수 데이터 페치용 클럭 및 이와 위상이 반대인 홀수 데이터 페치용 클럭을 발생하는 주파수 분주기(31);
    상기 짝수 데이터 페치용 클럭에 응답하여 짝수번째 칼럼선택라인 인에이블 신호들을 발생하고 상기 홀수 데이터 페치용 클럭에 응답하여 홀수번째 칼럼선택라인 인에이블 신호들을 발생하는 칼럼선택라인 인에이블 제어회로(33);
    상기 짝수번째 칼럼선택라인 인에이블 신호들에 응답하여 비트라인 쌍을 짝수번째 입출력라인 쌍으로 연결하고 상기 홀수번째 칼럼선택라인 인에이블 신호들에 응답하여 상기 비트라인 쌍을 홀수번째 입출력라인 쌍으로 연결하는 스위칭 회로(34); 및
    상기 짝수 데이터 페치용 클럭에 응답하여 상기 짝수번째 입출력라인 쌍의 데이터를 감지증폭하여 데이터 라인 쌍으로 출력하고 상기 홀수 데이터 페치용 클럭에 응답하여 상기 홀수번째 입출력라인 쌍의 데이터를 감지증폭하여 상기 데이터 라인 쌍으로 출력하는 입출력라인 감지증폭 회로(351a,352a)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반도체 메모리장치의 외부에서 입력되는 칼럼 어드레스를 디코드하여 그 결과를 상기 칼럼선택라인 인에이블 제어회로에 제공하는 칼럼 어드레스 디코더(32)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짝수 데이터 페치용 클럭에 응답하여 상기 데이터 라인 쌍의 짝수 데이터를 받아 상기 짝수번째 입출력라인 쌍으로 전달하고 상기 홀수 데이터 페치용 클럭에 응답하여 상기 데이터 라인 쌍의 홀수 데이터를 받아 상기 홀수번째 입출력라인 쌍으로 전달하는 라이트 드라이버(351b,352b)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짝수 데이터 페치용 클럭에 응답하여 상기 짝수번째 입출력라인 쌍을 프리차지시키는 제1프리차지 회로(36); 및
    상기 홀수 데이터 페치용 클럭에 응답하여 상기 홀수번째 입출력라인 쌍을 프리차지시키는 제2프리차지 회로(37)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장치.
KR10-2003-0008207A 2003-02-10 2003-02-10 고속의 기입 및 독출동작을 가능하게 하는 입출력 구조를갖는 반도체 메모리장치 KR1005249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08207A KR100524944B1 (ko) 2003-02-10 2003-02-10 고속의 기입 및 독출동작을 가능하게 하는 입출력 구조를갖는 반도체 메모리장치
US10/773,464 US6909665B2 (en) 2003-02-10 2004-02-09 Semiconductor memory device having high-speed input/output architectur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08207A KR100524944B1 (ko) 2003-02-10 2003-02-10 고속의 기입 및 독출동작을 가능하게 하는 입출력 구조를갖는 반도체 메모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72224A KR20040072224A (ko) 2004-08-18
KR100524944B1 true KR100524944B1 (ko) 2005-10-31

Family

ID=334115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08207A KR100524944B1 (ko) 2003-02-10 2003-02-10 고속의 기입 및 독출동작을 가능하게 하는 입출력 구조를갖는 반도체 메모리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6909665B2 (ko)
KR (1) KR10052494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01871B1 (ko) * 2011-01-31 2012-11-15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반도체 장치 및 반도체 시스템
CN108346444A (zh) * 2017-01-23 2018-07-31 爱思开海力士有限公司 半导体器件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975549B1 (en) * 2004-06-08 2005-12-13 Macronix International Co., Ltd. Low power dissipating sense amplifier
KR100656464B1 (ko) 2005-12-28 2006-12-11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반도체 메모리의 출력 인에이블 신호 생성장치 및 방법
US7430151B2 (en) * 2006-03-29 2008-09-30 Freescale Semiconductor, Inc. Memory with clocked sense amplifier
US7668029B2 (en) * 2006-08-11 2010-02-23 Freescale Semiconductor, Inc Memory having sense time of variable duration
US9583171B2 (en) * 2015-03-11 2017-02-28 Qualcomm Incorporated Write driver circuits for resistive random access memory (RAM) arrays
US11024373B2 (en) 2019-09-12 2021-06-01 Hefei Reliance Memory Limited Voltage-mode bit line precharge for random-access memory cells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37532A (en) * 1986-06-30 1993-08-17 Kabushiki Kaisha Toshiba Serially-accessed type memory device for providing an interleaved data read operation
JP3185568B2 (ja) * 1994-11-22 2001-07-11 日本電気株式会社 半導体記憶装置
KR100214262B1 (ko) * 1995-10-25 1999-08-02 김영환 메모리 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01871B1 (ko) * 2011-01-31 2012-11-15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반도체 장치 및 반도체 시스템
US8687458B2 (en) 2011-01-31 2014-04-01 SK Hynix Inc. Semiconductor apparatus for reducing cross talk and semiconductor system using the same
CN108346444A (zh) * 2017-01-23 2018-07-31 爱思开海力士有限公司 半导体器件
CN108346444B (zh) * 2017-01-23 2021-09-14 爱思开海力士有限公司 半导体器件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40223354A1 (en) 2004-11-11
KR20040072224A (ko) 2004-08-18
US6909665B2 (en) 2005-06-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95370B2 (en) Fast cycle RAM having improved data write operation
KR100306966B1 (ko) 동기형버스트반도체메모리장치
KR100254071B1 (ko) 동기형 반도체 기억 장치
US8036046B2 (en) Data output circuit and method
US20080225606A1 (en) Data output circuit and method in ddr synchronous semiconductor device
KR100253564B1 (ko) 고속 동작용 싱크로노스 디램
US20050265086A1 (en) Semiconductor storage device
KR100368368B1 (ko) 동기형 반도체 기억 장치
US6490206B2 (en) High-speed synchronous semiconductor memory having multi-stage pipeline structure and operating method
US6708255B2 (en) Variable input/output control device in synchronous semiconductor device
KR100524944B1 (ko) 고속의 기입 및 독출동작을 가능하게 하는 입출력 구조를갖는 반도체 메모리장치
US6785187B2 (en) Semiconductor device having integrated memory and logic
US7586798B2 (en) Write circuit of memory device
JPH09180435A (ja) 半導体記憶装置
US7961526B2 (en) Power saving sensing scheme for solid state memory
KR100759780B1 (ko) 반도체 메모리 장치 및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데이터 입출력 방법
KR100576505B1 (ko) N비트 프리페치 방식을 갖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및그것의 데이터 전송 방법
KR20080107559A (ko) 반도체 메모리 장치
JPH07326189A (ja) 半導体記憶装置
JP2007328907A (ja) 同期型バースト半導体メモリ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30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