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23775B1 - 현상제 공급 장치용 재생 방법 - Google Patents

현상제 공급 장치용 재생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23775B1
KR100523775B1 KR10-2003-0067250A KR20030067250A KR100523775B1 KR 100523775 B1 KR100523775 B1 KR 100523775B1 KR 20030067250 A KR20030067250 A KR 20030067250A KR 100523775 B1 KR100523775 B1 KR 1005237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ner
developer
supply container
image forming
toner supp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672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28552A (ko
Inventor
누마가미아쯔시
마쯔다겐지
후지따아끼요시
Original Assignee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400285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285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237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23775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94Reconditioning of the developer unit, i.e. reusing or recycling parts of the unit, e.g. resealing of the unit before refilling with tone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00987Remanufacturing, i.e. reusing or recycling parts of the image forming apparatu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08Details of powder developing device not concerning the development directly
    • G03G2215/0802Arrangements for agitating or circulating developer material
    • G03G2215/0816Agitator type
    • G03G2215/0827Aug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Dry Development In Electrophotography (AREA)
  • Electrophotography Configuration And Component (AREA)
  • Cleaning In Electrography (AREA)

Abstract

전자 사진 감광 부재 상에 형성된 정전 잠상을 현상하는 현상 수단에 현상제를 공급하고,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 가능하며 현상제를 수용하는 현상제 수용부, 현상 수단에 현상제를 공급하는 현상제 공급 포트 그리고 현상제 수용부로부터 현상제 공급 포트로 현상제를 이송하는 이송 부재를 포함하는 현상제 공급 유닛용 재생 방법에 있어서, 현상제 공급 포트를 통해 현상제를 주입하는 주입 단계와; 현상제 공급 포트로부터 현상제 수용부로 현상제를 이송하는 방향으로 이송 부재를 구동시키는 구동 단계를 포함하고, 그에 의해 현상제는 현상제 수용부에 현상제를 충전하도록 현상제 공급 포트로부터 이송된다.

Description

현상제 공급 장치용 재생 방법{REMANUFACTURING METHOD FOR DEVELOPER SUPPLYING DEVICE}
본 발명은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의 화상 조립체 내에 제거 가능하게 장착 가능한 현상제 공급 유닛을 재생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여기에서,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는 전자 사진 화상 형성 방법의 사용으로써 기록 매체 상에 화상을 형성하는 장치를 의미한다. 이는 예컨대 다양한 형태의 전자 사진 복사기, 전자 사진 프린터(레이저 비임 프린터, LED 프린터 등), 팩시밀리기, 워드 프로세서 등을 포함한다.
현상제 공급 유닛은 현상 수단에 현상제를 공급하는 데 사용되고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 내에 제거 가능하게 장착 가능한 유닛을 의미한다.
토너는 전자 사진 복사기, 프린터 등의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를 위한 현상제로서 오랫동안 사용되었다. 이는 토너 저장부 및 토너 출구부를 갖는 토너 공급 용기(현상제 공급 장치) 내에 보유된다. 사용자는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 내로 장착함으로써 토너 공급 용기를 사용한다.
토너 공급 용기 내의 토너의 양이 소비로 인해 임계 수준까지 감소된 때, 이러한 토너 공급 용기는 재생된 토너 공급 용기 즉 토너가 재충전된 이미 사용된 토너 공급 용기 또는 신품 토너 공급 용기로 교체되어, 토너 공급 작업을 단순화시킬 수 있다.
또한, 전자 사진 광전도성 부재 그리고 대전 수단, 현상 수단, 세척 수단 등 중에서 단일 또는 복수의 가공 수단이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 내에 제거 가능하게 장착 가능한 카트리지 내에 일체로 배치된 프로세스 카트리지 시스템이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의 분야에서 오랫동안 채용되고 있다.
프로세스 카트리지 시스템은 사용자 자신이 서비스맨에 의존하지 않고 화상 형성 장치의 유지 및 보수를 수행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여, 화상 형성 장치의 작업성을 상당히 증가시킨다. 이와 같이, 프로세스 카트리지 시스템은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의 분야에서 널리 사용되었다.
나아가, 필요에 따라 개별적으로 교체될 수 있도록 서로로부터 독립적으로 프로세스 카트리지 및 토너 공급 용기를 제조하는 것이 통상의 관례이다.
토너 공급 용기를 위한 여러 개의 설계가 존재한다. 널리 알려진 토너 공급 용기 설계 중 하나에 따르면, 토너 공급 용기에는 토너 공급 용기가 예컨대 현상 수단 또는 토너 버퍼에 연결되게 하는 연결부 그리고 토너 출구를 덮는 가동 커버를 갖는 토너 출구가 제공된다. 이와 같이, 토너 공급 용기가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 내로 삽입됨에 따라, 커버는 토너 출구를 노출시키도록 이동되어, 토너가 현상 수단, 토너 버퍼 등으로 공급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전술된 토너 공급 용기의 충전에 대해, 토너 공급 용기에는 전술된 토너 출구와 상이한 토너 입구도 제공된다. 이와 같이, 토너는 토너 입구를 통해 토너 공급 용기 내로 충전된다. 토너 공급 용기의 충전 후, 토너 입구는 토너가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토너 캡으로 폐쇄된다.
근년에 들어, 환경 문제가 강조되어, 재생에 대한 필요성을 증가시켰다. 이러한 종류의 사회 분위기에서, 이미 사용된 토너 공급 용기를 재사용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게 되었다.
그러므로, 이미 사용된 토너 공급 용기, 이미 사용된 프로세스 카트리지 등을 재생하는 다양한 방법이 제안되었다(일본 특허 출원 공개 제9-081013호, 제2000-147878호, 제2001-125460호, 제2001-125466호, 제2001-125467호, 제2001-125469호, 제2002-189399호 등).
본 발명의 제1 목적은 현상제 공급 유닛에 토너를 재충전함으로써 현상제 공급 유닛을 재생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간단하고 신뢰성 있는 현상제 공급 유닛 재생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현상제 공급 유닛을 손상시키지 않고 현상제 공급 유닛에 토너를 재충전함으로써 현상제 공급 유닛을 재생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현상제 공급 유닛 재생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현상제 공급 유닛으로부터 구성 요소를 제거하지 않고 현상제 공급 유닛에 토너를 재충전함으로써 현상제 공급 유닛을 재생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현상제 공급 유닛 재생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단시간에 현상제 공급 유닛에 토너를 재충전함으로써 현상제 공급 유닛을 재생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현상제 공급 유닛 재생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전자 사진 광전도성 부재 상에 형성된 정전 잠상을 현상하는 현상 수단을 공급하도록 되어 있고,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 내에 제거 가능하게 장착 가능하며, 현상제를 저장하는 현상제 저장부, 현상 수단에 현상제를 공급하는 현상제 출구 그리고 현상제 저장부로부터 현상제 출구로 현상제를 운반하는 운반 수단을 포함하는 현상제 공급 유닛을 제조하고; 토너가 현상제 출구 내로 공급되는 토너 공급 공정 그리고 운반 수단이 현상제 출구로부터 현상제 저장부로 공급된 토너를 운반하는 방향으로 구동되며, 현상제 출구로부터 현상제 저장부로 현상제를 운반함으로써 현상제 공급 유닛에 현상제를 충전하는 구동 공정을 포함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이들 및 다른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 도면과 연계하여 취해진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의 다음의 설명을 고려하면 더욱 명확해질 것이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다음의 설명에서, 실시예에서의 치수, 재료 및 형상 그리고 그 위치 관계 등은 특히 지적되지 않으면 본 발명의 범주를 제한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말아야 한다.
도1 내지 도1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의 전자 사진 컬러 화상 형성 장치를 설명하기로 한다. 실시예의 다음의 설명에서, 길이 방향은 전자 사진 광전도성 드럼[이하, 광전도성 드럼(2)]의 축선에 평행한 방향을 의미한다. 나아가, 카트리지가 전자 사진 그래픽 화상 형성 장치 내로 삽입되는 방향을 기준으로, 카트리지 삽입 방향의 하류측은 후방측이라고 불리고, 카트리지가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의 외부로 인출되는 방향의 하류측 즉 카트리지 삽입 방향의 상류측은 전방측이라고 불린다. 카트리지의 상부 및 저부측은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 내에 적절하게 위치된 카트리지의 상부 및 저부측을 의미한다.
[화상 형성 장치의 일반적인 구조의 설명]
우선, 도1을 참조하여, 일반적인 전자 사진 컬러 화상 형성 장치의 일반적인 구조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1은 컬러 레이저 비임 프린터(이하, 간단히 화상 형성 장치로서 불릴 수도 있음) 즉 전자 사진 컬러 화상 형성 장치의 일 형태의 일반적인 구조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본 실시예의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100)의 화상 형성부는 4개의 프로세스 카트리지(1)(각각 황색, 마젠타색, 시안색 및 흑색 성분에 대응하는 1Y, 1M, 1C 및 1K)를 채용한다. 화상 형성부는 평행하게 배치되고 수평 방향으로 정렬된 4개의 노출 수단(레이저 비임 광학 주사 시스템)(51)(51Y, 51M, 51C, 51K)도 갖는다. 4개의 노출 수단은 각각 4개의 프로세스 카트리지(1)와 대략 수직으로 정렬된 프로세스 카트리지(1)(1Y, 1M, 1C, 1K)의 위에 위치된다.
전술된 화상 형성부의 아래에는 주 조립체 내로 기록 매체(52)를 이송하는 이송 수단과, 광전도성 드럼(2) 상에 형성된 현상제 화상이 전사되는 중간 전사 벨트(54a) 그리고 중간 전사 벨트(54a) 상에서 기록 매체(52) 상으로 전사 벨트(54a) 상에 현상제 화상을 전사하는 제2 전사 롤러(54d)를 갖는 중간 전사 유닛(54)이 배치된다.
화상 형성 장치에는 기록 매체(52) 상으로 전사된 토너 화상을 정착시키는 정착 수단(56) 그리고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의 외부로 기록 매체(52)를 배출하여 축적시키는 배출 롤러(3h, 3j)도 제공된다.
기록 매체(52)는 예컨대 1매의 기록지, OHP 시트, 직물 등이다.
본 실시예의 화상 형성 장치(100)는 무세척기 장치이다. 이와 같이, 전사 잔여 토너 즉 전사 후 광전도성 드럼(2) 상에 남아 있는 토너는 현상 수단에 의해 안내된다. 그러므로, 프로세스 카트리지(1)에는 전사 잔여 토너의 회수 및 저장을 위한 전용 세척기가 제공되지 않는다.
다음에, 논리적인 순서로 상세하게 화상 형성 장치(100)의 다양한 부분의 구조를 설명하기로 한다.
[이송부]
이송부는 화상 형성부로 기록 매체(52)를 운반하는 부분이다. 이는 기본적으로 복수개의 기록 매체(52)를 보유하는 이송 카세트(53a)와; 이송 롤러(53b)와; 2매 이상한 기록 매체(52)가 동시에 이송되는 것을 방지하는 쌍의 지연 롤러(53c)와; 안내부(53d)와; 한 쌍의 레지스트레이션 롤러(53g)를 포함한다.
기록 매체(52)는 안내부(53d)에 의해 안내되면서 운반 롤러(53e, 53f)에 의해 레지스트레이션 롤러(53g)로 운반된다.
이송 롤러(53b)는 화상 형성부와 동기로 회전 구동되어, 이송 카세트(53a)의 외부로 실질적으로 1매씩 기록 매체(52)를 취하여 장치의 주 조립체 내로 이송한다.
기록 매체(52)가 장치의 주 조립체 내로 이송됨에 따라, 이들은 동시에 이송되는 것이 지연 롤러(53c)에 의해 방지된다. 그러면, 기록 매체(52)는 운반 안내부(53d)에 의해 안내되면서 운반 롤러(53e, 53f)에 의해 레지스트레이션 롤러(53g)로 운반된다.
화상 형성 작업 중, 레지스트레이션 롤러(53g)는 후속 전사 공정 중 기록 매체(52)와 토너 화상을 정렬시키기 위해 대기 상태로 기록 매체(52)를 유지시키도록 정지 상태로 유지되고 중간 전사 벨트(54a)를 향해 기록 매체(52)를 운반하도록 회전되는 순서를 반복한다.
기록 매체(52)의 해제 직후에, 레지스트레이션 롤러(53g)의 회전은 중지되고, 레지스트레이션 롤러(53g)는 재차 정지 상태로 유지된다. 다음에, 다음의 기록 매체(52)는 2개의 레지스트레이션 롤러(53g)들 사이의 닙부와 충돌되어, 그에 의해 경사지지 않는다.
[프로세스 카트리지]
프로세스 카트리지는 대전 수단 및 현상 수단 또는 세척 수단이 전자 사진 광전도성 드럼을 따라 일체로 배치되고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 내에 제거 가능하게 장착 가능한 카트리지 또는 대전 수단, 현상 수단 및 세척 수단 중 적어도 하나의 수단이 전자 사진 광전도성 드럼을 따라 일체로 배치되고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 내에 제거 가능하게 장착 가능한 카트리지를 의미한다. 이는 최소의 현상 장치가 전자 사진 광전도성 드럼을 따라 일체로 배치되고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 내에 제거 가능하게 장착 가능한 카트리지도 의미한다. 본 실시예에서, 화상 형성 장치(100)는 후술된 바와 같이 무세척기 형태이다. 이와 같이, 이러한 화상 형성 장치를 위한 프로세스 카트리지(1Y, 1M, 1C, 1K)는 대전 수단 및 현상 수단이 전자 사진 광전도성 드럼을 따라 일체로 배치되고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100)의 주 조립체 내에 제거 가능하게 장착 가능한 카트리지이다.
각각의 프로세스 카트리지(1Y, 1M, 1C, 1K)에서, 대전 수단 및 현상 수단은 광전도성 드럼(2)의 주연면의 주위에 일체로 배치된다. 이들 프로세스 카트리지(1)는 화상 형성 장치(100)로부터 용이하게 제거될 수 있고, 광전도성 드럼(2)의 수명이 종료될 때 교체되어야 한다.
프로세스 카트리지(1)의 수명이 그 종료에 도달되었는 지를 결정하는 방법에 대해, 광전도성 드럼(2)의 회전은 계산되고, 회전의 누적수가 소정치를 초과할 때, 사용자는 프로세스 카트리지(1)의 수명이 그 종료에 도달되었다고 경고를 받는다.
본 실시예의 광전도성 드럼(2)은 그 고유 극성이 음인 유기 광전도성 부재이다. 이는 대략 30 ㎜의 직경을 갖는 기부재(2h)로서의 중공 알루미늄 실린더, 기부재(2h)의 주연면 상에 코팅된 일반 광전도성 물질의 층 그리고 광전도층 상에 코팅된 최외곽층으로서의 전하 주입층을 포함한다. 이는 본 실시예에서 대략 117 ㎜/초인 소정 공정 속도로 회전 구동된다.
전하 주입층은 결합체로서의 절연 수지 그리고 결합제 내에 분산된 전기 전도성 물질 예컨대 SnO2의 미세 입자의 혼합물의 코팅층이다.
도4를 참조하면, 광전도성 드럼(2)에는 광전도성 드럼(2)의 길이 방향의 관점에서 광전도성 드럼(2)의 기부 드럼(2h)의 후방 단부(도4의 우측 단부)에 견고하게 부착된 드럼 플랜지(2b) 그리고 광전도성 드럼(2)이 구동되지 않는 기부 드럼(2h)의 전방 단부(도4의 좌측 단부)에 견고하게 부착된 드럼 플랜지(2d)가 제공된다. 광전도성 드럼(2)에는 또한 드럼 플랜지(2b, 2d)의 중심을 관통하는 드럼 샤프트(2a)가 제공된다. 드럼 샤프트(2a)는 플랜지(2d) 즉 광전도성 드럼(2)이 구동되지 않는 측면 상의 플랜지[이하, 비구동 플랜지(2d)]와 함께 회전되도록 플랜지(2d)에 연결된다. 기부 드럼(2h), 드럼 샤프트(2a), 드럼 플랜지(2b) 및 비구동 플랜지(2d)는 함께 회전된다. 바꿔 말하면, 광전도성 드럼(2)은 드럼 샤프트(2a)의 축에 대해 회전된다.
드럼 샤프트(2a)의 전방 단부는 프로세스 카트리지(1)의 프레임(1a)에 견고하게 고정된 케이스(2c)에 견고하게 고정되는 베어링(2e)에 의해 회전 지지된다.
[대전 수단]
도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대전 수단은 접촉 형태의 대전 방법 중 하나를 채용한다. 이는 대전 부재로서 대전 롤러(3a)를 채용한다. 대전 롤러(3a)는 그 금속 코어(3b)의 길이 방향 단부에서 한 쌍의 베어링(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이는 한 쌍의 압축 스프링(3d)에 의해 광전도성 드럼을 향해 가압되도록 유지되고; 이는 소정 크기의 접촉 압력이 광전도성 드럼(2)과 대전 롤러(3a) 사이에서 유지되도록 광전도성 드럼(2)의 주연면과 접촉되도록 유지된다. 이는 광전도성 드럼(2)의 회전에 의해 회전된다.
대전 롤러(3a)를 세척하는 세척 부재(3c)가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예의 대전 롤러 세척 부재(3c)는 대전 롤러(3a)에 평행하게 대전 롤러(3a)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요성 세척 필름(3e)을 갖는다. 세척 필름(3e)은 대전 롤러(3a)의 길이 방향으로 소정 거리로 왕복 이동되는 지지 부재(3f)에 그 긴 모서리 중 하나에 의해 견고하게 고정된다. 세척 필름(3e)은 그 긴 자유 모서리부가 대전 롤러(3a)의 주연면에 대해 접촉 닙부를 형성하도록 배치된다. 이와 같이, 지지 부재(3f)가 외부 구동 수단에 의해 왕복 이동됨에 따라, 대전 롤러(3a)의 주연면은 세척 필름(3e)에 의해 마찰된다. 결과적으로, 대전 롤러(3a)의 주연면에 부착된 오염물(토너의 미세한 입자, 외부 첨가물 등)은 제거된다.
부수적으로, 본 실시예의 화상 형성 장치(100)는 무세척기 형태이다. 다음에, 무세척기 시스템을 설명하기로 한다.
[무세척기 시스템]
도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화상 형성 장치(100)의 무세척기 시스템의 개요를 설명하기로 한다. 전사 잔여 토너 즉 전술된 토너 화상 전사 후 광전도성 드럼(2) 상에 남아 있는 토너는 대전부(a) 및 노출부(b)를 통해 광전도성 드럼(2) 상의 잠상이 현상 수단에 의해 현상되는 것과 동시에 전사 잔여 토너가 현상 수단에 의해 회수되는(광전도성 드럼이 세척되는) 현상부(c) 내로의 광전도성 드럼(2)의 후속 회전에 의해 추가로 운반된다.
광전도성 드럼(2)의 주연면 상의 전사 잔여 토너는 노출부(b)를 지나 이동되므로, 광전도성 드럼(2)의 주연면은 그 상의 전사 잔여 토너를 통해 노출된다. 그러나, 전사 잔여 토너는 양이 매우 작아, 노출 공정에 상당한 영향을 주지 않는다.
부수적으로, 극성의 관점에서, 전사 잔여 토너는 정상적으로 대전된 토너 입자와 반대로 대전된 토너 입자(반대 토너 입자)의 혼합물이고, 대전량의 관점에서, 이는 완전히 대전된 토너 입자와 불충분하게 대전된 토너 입자의 혼합물이다. 이들 반대로 대전된 토너 입자 및 불충분하게 대전된 토너 입자는 대전 롤러(3a)에 부착되기 쉬워, 그에 의해 허용 가능한 수준을 넘어 즉 광전도성 드럼(2)이 불충분하게 대전될 정도로 심각하게 충분히 대전 롤러(3a)를 오염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광전도성 드럼(2)의 주연면 상의 잠상이 현상 장치에 의해 현상되는 것과 동시에 광전도성 드럼(2)의 주연면 상의 전사 잔여 토너가 현상 장치에 의해 만족스럽게 제거되는 것을 보증하기 위해, 현상부(c)로 운반될 광전도성 드럼(2)의 주연면 상의 전사 잔여 토너의 극성이 양이고, 전사 잔여 토너의 전기 대전의 양이 현상 장치에 의해 광전도성 드럼(2) 상의 정전 잠상을 현상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수치에 동일할 것이 필요하다. 반대로 대전된 토너 입자 그리고 불충분하게 대전된 토너 입자는 현상 수단에 의해 광전도성 드럼(2)의 주연면으로부터 제거될 수 없으므로, 회수될 수 없어, 불량 품질의 화상의 형성을 유발시킨다.
근년에 들어, 사용자 요구는 다양화되었다. 다양화된 사용자 요구 중 하나는 높은 인쇄비를 갖는 화상 즉 연속의 긴 인쇄 작업을 필요로 하여 상당량의 전사 잔여 토너를 한번에 발생시켜 전술된 문제점을 악화시키는 사진 화상을 인쇄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본 실시예에서, 광전도성 드럼(2) 상의 전사 잔여 토너 입자를 균등하게 분배하는 전사 잔여 토너 분배 수단(3g)(잔여 현상제 화상을 삭제하는 수단)은 광전도성 드럼(2)의 회전 방향의 관점에서 전사부(d)의 하류측 상에 배치된다. 나아가, 모든 전사 잔여 토너 입자가 정상적으로 대전되게 즉 음으로 대전되게 하기 위해, 음 극성으로 반대로 대전된 토너 입자를 대전시키는 토너 대전 제어 수단(3h)은 광전도성 드럼(2)의 회전 방향의 관점에서 전사 잔여 토너 분배 수단(3g)의 하류측과 대전부(a)의 상류측 사이에 배치된다.
전사 잔여 토너 분배 수단(3g)의 구비로써, 광전도성 드럼(2) 상에 어떤 패턴으로 남아 있는 전사 잔여 토너 입자는 전사부(d)로부터 토너 대전 제어 수단(3h)으로 운반되고, 광전도성 드럼(2)의 주연면을 가로질러 균등하게 분배되므로, 그 양이 상당하다고 하더라도 광전도성 드럼(2)의 주연면에 부착된 패턴을 잃는다. 그러므로, 토너 입자가 토너 대전 제어 수단(3h)의 어떤 부분 상에 집중되는 문제점은 제거되어, 그에 의해 모든 전사 잔여 토너 입자의 극성이 정상화되도록 반대로 대전된 잔여 토너 입자가 토너 대전 제어 수단(3h)에 의해 정상적으로 대전되는 것을 보장한다. 그러므로, 대전 롤러(3a)로의 전사 잔여 토너의 부착은 효과적으로 방지되고, 전사 잔여 토너 입자가 광전도성 드럼(2) 상에 남아 있는 패턴을 반영한 고스트 화상의 형성도 방지된다.
본 실시예의 전사 잔여 토너 분배 수단(3g) 및 토너 대전 제어 수단(3h)은 적절한 정도의 전기 전도성을 갖는 브러시의 형태이고, 광전도성 드럼(2)과 접촉되도록 위치되며, 그 브러시는 광전도성 드럼(2)의 주연면과 접촉된다.
이들 수단(3g, 3h)은 도시되지 않은 구동력원에 의해 광전도성 드럼(2)의 길이 방향으로 (왕복) 이동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구조 배열의 구비로써, 전사 잔여 토너 분배 수단(3g) 및 토너 대전 제어 수단(3h)은 동일한 범위의 광전도성 드럼(2)의 주연면과 접촉되지 않는다. 그러므로, 광전도성 드럼(2)의 주연면의 소정 부분이 토너 대전 제어 수단(3h)의 동일한 부분에 의해 항상 접촉되는 것이 발생되지 않는다. 이와 같이, 토너 대전 제어 수단(3h)을 가로지른 전기 저항의 불규칙성이 토너 대전 제어 수단(3h)의 일부분을 대전 성능이 초과되게 하더라도, 과도하게 대전된 전사 잔여 토너 입자가 광전도성 드럼(2)의 주연면의 어떤 영역에 부착되는 문제점 및/또는 불충분하게 대전된 전사 잔여 토너 입자가 대전 롤러(3a)의 주연면의 어떤 영역에 부착되는 문제점은 방지되거나 완화된다.
[노출 수단]
본 실시예에서, 전술된 광전도성 드럼(2)은 레이저 노출 수단에 의해 노출된다. 구체적으로, 화상 형성 신호가 화상 형성 장치(100)로부터 노출 수단으로 보내짐에 따라, 레이저광의 비임(L)은 광전도성 드럼(2)의 주연면의 균일하게 대전된 부분을 주사하는 방식으로 광전도성 드럼(2) 상으로 화상 형성 신호가 조절되면서 노출 수단으로부터 투사되어, 광전도성 드럼(2)의 주연면의 균일하게 대전된 부분 상의 다수의 지점을 선택적으로 노출시킨다. 결과적으로, 화상 형성 정보에 따른 정전 잠상이 감광 드럼(2)의 주연면 상에 형성된다.
도1을 참조하면, 레이저 노출 수단은 솔리드 레이저 요소(도시되지 않음), 다각형 미러(51a), 집속 렌즈(51b), 반사 미러(51c) 등을 포함한다.
작동에서, 솔리드 레이저 요소는 입력된 화상 형성 신호에 응답하여 광학 신호 발생 장치(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온 및 오프된다. 솔리드 레이저 요소로부터 조사된 레이저광의 비임(L)은 광의 실질적으로 평행한 비임으로 콜리메이터 렌즈 시스템(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변환되고, 높은 주연 속도로 회전되는 다각형 미러(51a) 상으로 투사된다. 결과적으로, 광의 평행한 비임은 주사 방식으로 진동된다. 다음에, 이는 집속 렌즈(51b) 및 반사 미러(51c)에 의해 추가로 투사되어, 광전도성 드럼(2)의 주연면 상에 광의 진동 스팟을 형성한다.
이와 같이, 광의 스팟이 진동됨에 따라, 감광 드럼(2)의 주연면은 제1 주사 방향으로 노출되고, 광전도성 드럼(2)이 회전됨에 따라, 이는 제2 주사 방향으로 노출된다. 결과적으로, 광전도성 드럼(2)의 주연면 상의 다수의 지점은 노출된 지점 및 노출되지 않은 지점의 분포가 화상 형성 신호 순서를 반영하는 방식으로 노출되거나 노출되지 않은 상태로 유지된다. 바꿔 말하면, 감소된 전위 수준을 갖는 지점(노출된 지점) 그리고 정상 전위 수준을 갖는 지점(노출되지 않은 지점)이 형성되어, 이들 사이의 명암 대비는 화상 형성 정보에 따라 정전 잠상을 발생시킨다.
[현상 장치]
현상 장치(4)는 2성분 현상제를 사용하는 접촉 형태의 현상 장치(2성분 자성 브러시 형태의 현상 장치)이다. 도2를 참조하면, 현상 장치(4)는 현상제 담지 부재로서의 현상 슬리브(4a) 그리고 현상 슬리브(4a)의 중공부 내에 배치된 자성 롤러(4b)를 포함한다. 현상 슬리브(4a)는 그 주연면 상에 캐리어 및 토너의 혼합물인 현상제의 층을 보유한다. 이러한 현상 슬리브(4a)는 실제의 현상 수단이다. 현상 장치(4)는 현상 슬리브(4a)로부터 소정 거리로 현상 슬리브(4a)의 주연면의 인접부 내에 배치된 조절 블레이드(4c)도 포함한다. 현상 슬리브(4a)가 화살표에 의해 지시된 방향으로 회전됨에 따라, 얇은 층의 현상제가 현상 슬리브의 외주면 상에 형성된다.
부수적으로, 본 실시예의 현상 장치(4)는 2성분 자성 브러시 형태의 현상 장치이다. 그러나, 현상 장치(4)는 반드시 2성분 자성 브러시 형태일 필요는 없다.
도4를 참조하면, 현상 슬리브(4a)에는 저널부(4a1) 즉 현상 슬리브(4a)의 현상제 운반부보다 직경이 작은 현상 슬리브(4a)의 길이 방향 단부의 주위에 회전 가능하게 각각 끼워진 한 쌍의 링 형상의 스페이서(4k)가 제공된다. 스페이서(4k)의 구비로써, 현상 작업 중, 단지 현상 슬리브(4a)의 주연면 상에 형성된 현상제층이 광전도성 드럼(2)에 접촉되도록 소정 간극이 현상 슬리브(4a)와 광전도성 드럼(2) 사이에서 유지된다. 도2를 참조하면, 현상 슬리브(4a)는 현상부(c)에서 현상 슬리브(4a)의 주연면이 광전도성 드럼(2)의 주연면의 이동 방향에 반대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소정 주연 속도로 화살표에 의해 지시된 시계 반대 방향으로 회전 구동된다.
본 실시예의 토너는 고유 극성이 음이고 평균 입자 직경이 6 ㎛인 토너이다. 본 실시예의 자성 캐리어는 포화 자화도가 205 emu/㎤이고, 평균 입자 직경이 35 ㎛이다. 현상제 내의 토너와 캐리어의 중량비는 6:94이다. 그러나, 현상제 선택은 토너 및 자성 캐리어의 혼합물로 제한될 필요가 없다. 예컨대, 자성 토너가 사용될 수 있다.
도2를 참조하면, 현상제가 순환되는 현상제 저장부(4h)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구획벽(4d)에 의해 분할된 2개의 챔버를 갖는다. 현상제 저장부(4h)는 각각 구획벽(4d)의 양측 상에 배치된 교반 나사(4eA, 4eB)를 갖는다.
도4를 참조하면, 토너가 현상제 공급 용기(현상제 공급 장치)로부터 현상제 공급부(4h)로 공급됨에 따라, 토너는 교반 나사(4eB)의 후방 단부(도4의 우측 단부) 상으로 낙하되고, 교반되면서 길이 방향의 관점에서 장치의 전방(도4의 좌측 단부)으로 운반된다. 다음에, 이는 현상제 저장부(4h)의 전방벽과 구획벽(4d) 사이의 간극을 통해 이동되고, 교반 나사(4eA)에 의해 길이 방향의 관점에서 현상제 저장부(4h)의 후방(도4의 우측 방향)으로 운반된다. 다음에, 이는 현상제 저장부(4h)의 후방벽과 구획벽(4d) 사이의 간극을 통해 이동된다. 바꿔 말하면, 현상제는 현상제 저장부(4h) 내의 나사(4eB, 4eA)에 의해 반복적으로 순환된다.
이 때, 도2를 참조하면, 2성분 자성 브러시 현상 방법 및 현상제 순환 시스템을 채용한 현상 장치(4)의 사용으로써 가시 화상으로 광전도성 드럼(2) 상에 형성된 정전 잠상을 현상하는 현상 공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현상 슬리브(4a)가 회전됨에 따라, 현상제 저장부(4h) 내의 현상제는 자성 롤러(4b)의 픽업 폴에 의해 현상 슬리브(4a)의 주연면에 픽업되어 보유되고, 추가로 운반된다.
현상 슬리브(4a)의 주연면에 보유된 후 운반되면서, 현상제의 본체는 현상 슬리브(4a)의 주연면에 직각으로 배치된 현상 블레이드(4c)에 의해 두께가 조절된다. 결과적으로, 얇은 층의 현상제가 현상 슬리브(4a)의 주연면 상에 형성된다.
얇은 층의 현상제가 자성 롤러(4b)의 현상 폴에 위치가 대응하는 현상부(4c)에 도달됨에 따라, 현상제층은 자력에 의해 상부까지 형성된다. 이와 같이, 광전도성 드럼(2)의 주연면 상의 정전 잠상은 현상제층의 상부에서 토너에 의해 가시 화상으로 현상된다. 부수적으로, 본 실시예에서, 정전 잠상은 역으로 현상된다.
현상부(c)에서 운반되어 통과된 후, 현상 슬리브(4a)의 주연면 상의 얇은 층의 현상제는 현상 슬리브(4a)의 후속 연속 회전에 의해 현상제 저장부(4h) 내로 진입되도록 형성된다. 현상제 저장부(4h)에서, 현상제층은 운반 폴의 척력 자기장에 의해 현상 슬리브(4a)의 주연면으로부터 분리되어 현상제 저장부(4h) 내로 낙하되도록 형성된다. 바꿔 말하면, 이는 현상제 저장부(4h)로 복귀된다.
현상 슬리브(4a)로, DC 전압 및 AC 전압의 조합이 도시되지 않은 전원으로부터 인가된다. 본 실시예에서, -500 V의 DC 전압 그리고 주파수가 2,000 ㎐이고 최대 대 최대 전압이 1,500 V인 AC 전압의 조합이 단지 광전도성 드럼(2)의 주연면의 노출된 지점을 현상하도록 인가된다.
일반적으로, 2성분 현상 방법에서, AC 전압의 인가는 현상 효율을 증가시켜, 높은 품질의 화상을 형성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반면에, AC 전압의 인가는 흐린 화상의 형성을 초래하기 쉽다. 그러므로, 흐린 화상의 형성을 방지하기 위해 현상 슬리브(4a)로 인가되는 DC 전압의 전위 수준과 광전도성 드럼(2)의 주연면의 전위 수준 사이의 어떤 크기의 전위 수준의 차이를 형성하는 것이 통상의 관례이다. 구체적으로, 광전도성 드럼(2)의 주연면의 노출된 지점의 전위 수준과 광전도성 드럼(2)의 주연면의 노출되지 않은 지점의 전위 수준 사이에 있는 전위 수준을 갖는 바이어스 전압(AC 전압)이 인가된다.
토너가 정전 잠상의 현상에 의해 소비됨에 따라, 현상제의 토너 함량은 감소된다. 본 실시예에서, 토너 함량을 검출하는 센서(4g)가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상제 교반 나사(4cB)의 주연면의 인접부 내에 배치된다. 현상제의 토너 함량이 소정 수준의 아래로 감소된 것으로 센서(4g)에 의해 검출됨에 따라, 현상 장치(4)의 현상제 저장부(4h)에 토너 공급 용기(5)로부터의 토너를 공급하는 명령이 소정 수준으로 현상 장치 내의 현상제의 토너 함량을 유지시키는 토너 공급 작업을 개시하도록 내려진다.
[토너 공급 용기]
토너 공급 용기(5Y, 5M, 5C, 5K)는 각각 프로세스 카트리지(1Y, 1M, 1C, 1K)의 위에 평행하게 배치되고, 장치(100)의 전방측으로부터 화상 형성 장치(100) 내로 장착된다.
도2를 참조하면, 토너 공급 용기(5)는 토너 또는 토너 및 자성 캐리어의 혼합물이 저장된 토너 저장부(현상제 저장부)로서의 프레임(5g)을 갖는다. 토너 공급 용기(5) 내에, 교반 샤프트(5c)에 견고하게 고정된 교반판(5d) 그리고 나사(5a)(운반 부재)가 배치된다. 토너 공급 용기(5)의 저부벽에는 토너가 프로세스 카트리지 내로 배출되는 현상제 해제 구멍을 갖는 토너 출구(5f)가 제공된다.
도5를 참조하면, 나사(5a) 및 교반 샤프트(5c)는 그 길이 방향 단부에 의해 베어링(5d)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나사(5a)에는 나사(5a)의 후방 단부(도5의 우측 단부)에 부착된 구동 결합부(암형 결합부)(5e)가 제공되고, 교반 샤프트(5a)에는 후방 단부(도5의 우측 단부)에 부착된 구동 결합부(암형 결합부)(5e)가 제공된다. 구동 결합부(암형 결합부)(5e)는 각각 화상 형성 장치(100)의 구동 결합부(수형 결합부)(62d)를 통해 전달된 구동력을 수용하여, 그에 의해 회전 구동된다.
나사(5a)는 토너 출구(5f)의 일측 그리고 타측 상에 위치되고 반대 방향으로 꼬인 2편의 나선형 리브를 포함한다. 나사(5a)는 구동 결합부(62b)의 회전에 의해 소정 방향으로 회전된다.
결과적으로, 토너는 토너 출구(5f)를 향해 운반되고, 프로세스 카트리지(1) 내로 토너 출구(5f)의 제1 토너 해제 구멍을 통해 자유롭게 낙하된다. 즉, 프로세스 카트리지(1)에는 토너가 공급된다.
현상제 전달 부재(5b)의 회전 반경의 관점에서 교반판(5b)의 각각의 부분의 주연 모서리 즉 최외곽 모서리는 교반 샤프트(5c)에 대해 소정 각도로 형성된다. 이와 같이, 교반판(5b)의 각각의 부분이 토너 공급 용기(5)의 내부면에 대해 마찰됨에 따라, 그 주연 모서리부는 그 기부에 대해 어떤 각도로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교반판(5b)의 각각의 부분의 주연 모서리부는 나선형으로 꼬인다. 이와 같이, 교반 샤프트(5c)가 회전됨에 따라, 토너 공급 용기(5) 내의 토너는 교반판(5b)의 나선형으로 꼬인 모서리부와 접촉되어, 교반 샤프트(5c)의 길이 방향으로 운반된다.
본 실시예의 토너 공급 용기는 2성분 현상 방법을 채용한 프로세스 카트리지 또는 현상 카트리지뿐만 아니라 단성분 현상 방법을 채용한 프로세스 카트리지 또는 현상 카트리지에도 토너를 공급할 수 있다. 나아가, 토너 공급 용기 내에 저장될 분말은 토너에 제한될 필요가 없다. 예컨대, 이는 물론 소위 현상제 측 토너 및 자성 캐리어의 혼합물일 수 있다.
그 후방 단부의 아래로부터의 토너 공급 용기(5)의 사시도인 도6을 참조하면, 토너 공급 용기(5)에는 각각 토너 공급 용기(5)의 토너 저장부로서의 프레임(5g)의 길이 방향 측벽 상에 있고 토너 공급 용기(5)가 화상 형성 장치(100) 내로 삽입될 때 안내부로서 기능을 하는 한 쌍의 안내부(5g1)가 제공된다.
안내부(5g1)는 단면이 직사각형이고, 토너 공급 용기(5)의 대응하는 길이 방향 측벽 상에 길이 방향으로 직선형으로 연장된다. 토너 공급 용기의 수직 방향에 대해, 안내부(5g1)의 저부면은 평탄하다. 토너 공급 용기(5)가 화상 형성 장치(100) 내로 장착될 때, 토너 공급 용기(5)는 화상 형성 장치(100)의 한 쌍의 안내 레일(61) 상에 놓이고, 토너 공급 용기(5)의 각각의 안내부의 저부면은 화상 형성 장치(100)의 대응하는 안내 레일(61)의 상부면과 접촉되어, 그에 의해 수직 방향의 관점에서 화상 형성 장치(100)에 대해 토너 공급 용기(5)를 정확하게 위치시킨다(도2 참조).
토너 공급 용기(5)에는 토너 공급 용기(5)의 저부에 위치된 토너 출구(5f)의 개구를 덮는 토너 출구 커버(5f1)가 제공된다. 토너 출구 커버(5f1)는 토너 공급 용기(5)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다.
도8의 (a)를 참조하면, 화상 형성 장치(100) 내로의 토너 공급 용기(5)의 삽입 전, 토너 출구 커버(5f1)는 토너 출구(5f)의 개구를 덮는 제1 위치에 있다. 이러한 위치에서, 토너 출구 커버(5f1)의 단부(5f1a')는 레일(5h')의 우측 단부와 접촉되어, 토너 출구 커버(5f1)가 우측 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한다.
토너 공급 용기(5)가 화상 형성 장치(100) 내로 삽입됨에 따라, 화상 형성 장치(100)의 안내 레일(61)은 토너 공급 용기(5)의 안내부(5g)가 안내 레일(61) 상에서 활주되는 방식으로 토너 공급 용기(5)를 지지한다. 토너 공급 용기(5)의 이러한 삽입 중, 토너 공급 용기의 삽입 방향의 관점에서 토너 출구 커버(5f1)의 전단부는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상 형성 장치(100)의 돌출부(68)와 접촉된다.
도8의 (b)를 참조하면, 토너 공급 용기(5)가 토너 출구 커버(5f1)와 돌출부(68) 사이의 접촉 지점으로부터 추가로 삽입됨에 따라, 토너 출구 커버(5f1)는 토너 공급 용기(5)의 다른 부분이 추가로 삽입된다고 하더라도 돌출부(68)에 의해 정지 상태로 유지된다. 바꿔 말하면, 토너 출구 커버(5f1)는 인장 코일 스프링(67)을 인장시키면서 토너 공급 용기(5)에 대해 토너 공급 용기의 삽입 방향의 관점에서 후방으로 이동된다.
다음에, 도8의 (c)를 참조하면, 토너 공급 용기(5)의 주 조립체에 대해 토너 출구 커버(5f1)의 위치의 관점에서, 토너 출구 커버(5f1)는 토너 공급 용기(5)가 프로세스 카트리지(1)에 연결되게 하는 보유 부재(5f2)를 노출시키는 제2 위치로 활주될 때까지 레일(5h, 5h')을 따라 활주된다.
다음에, 토너 공급 용기(5)가 화상 형성 장치(100) 내로 삽입되는 토너 공급 용기(5)의 상태를 순차적으로 도시하도록 토너 공급 용기(5)의 길이 방향에 직각 방향으로부터의 토너 공급 용기(5)의 측면도인 도8의 (a) 내지 도8의 (c)를 참조하여 토너 출구 커버(5f1)의 이러한 이동을 설명하기로 한다. 삽입은 도8의 (a)에 도시된 토너 공급 용기(5)의 상태로부터 도8의 (c)의 상태로 진행된다.
전술된 바와 같이, 화상 형성 장치(100)의 돌출부(68)와 접촉된 후, 토너 출구 커버(5f1)는 실질적으로 수평 방향 즉 토너 공급 용기의 삽입 방향에 실질적으로 평행한 방향으로 토너 공급 용기(5)에 대해 각각 레일(5h, 5h')의 제1 부분(5h1, 5h1')을 따라 이동된다. 다음에, 이는 각각 레일(5h, 5h')의 제2 부분(5h2, 5h2')을 따라 이동되어, 그에 의해 상향 방향 즉 현상 수단을 갖는 프로세스 카트리지(1)로부터 떨어져 이동되는 방향으로 이동된다. 결과적으로, 보유 부재(5f2)는 노출된다.
실제로, 화상 형성 장치(100) 내로의 토너 공급 용기(5)의 삽입 중, 토너 출구 커버(5f1)는 대략 수평 방향으로 이동되지 않는다. 사실상, 이는 레일(5h, 5h')의 제2 부분(5h2, 5h2')에 의해 안내됨으로써 간단하게 상향으로 후퇴된다.
토너 출구 커버(5f1)에는 토너 출구 커버(5f1)의 각각의 측벽 상에 있는 2개의 래칭부(5f1a, 5f1a')가 제공되고, 이들 사이의 거리는 각각 토너 공급 용기(5)의 각각의 측벽의 레일(5h, 5h')의 2개의 제2 부분(5h2, 5h2')들 사이의 거리와 동일하다. 이와 같이, 토너 출구 커버(5f1)는 제1 위치에 있을 때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자세로 제2 위치로 상향으로 후퇴된다.
전술된 구조 배열의 구비로써, 토너 공급 용기(5)가 화상 형성 장치(100) 내로 삽입됨에 따라, 토너 출구 커버(5f1)는 현상 수단으로서의 프로세스 카트리지(1)로부터 떨어져 이동되는 방향[도8의 (a) 내지 도8의 (c)의 상향]으로 후퇴된다. 그러므로, 토너 공급 용기(5)가 화상 형성 장치(100) 내로 삽입됨에 따라 토너 출구 커버(5f1)가 후퇴되는 위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1)의 위치 설정에 어떠한 영향도 주지 않아, 효율적인 공간 활용에 기여한다.
부수적으로, 본 실시예에서, 프로세스 카트리지(1) 및 토너 공급 용기(5)는 임의로 화상 형성 장치(100) 내로 장착되거나 그로부터 해제될 수 있다. 바꿔 말하면, 토너 공급 용기(5)가 프로세스 카트리지(1)의 장착 전에 화상 형성 장치(100) 내에 있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경우에, 제1 위치로부터의 토너 출구 커버(5f1)의 간단한 수평 후퇴가 토너 출구 커버(5f1)를 프로세스 카트리지(1)의 토너 입구(1b)와 접촉되게 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프로세스 카트리지측 상의 구조 변형에 의해 이러한 문제점을 방지하기 위해, 프로세스 카트리지(1)는 토너 입구(1b)가 후퇴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야 한다. 이러한 구조 배열은 토너 입구(1b)를 구조가 극히 복잡하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비교로서, 본 실시예의 구조 배열은 토너 공급 용기(5)의 토너 출구 커버(5f1)가 프로세스 카트리지(1)로부터 떨어져 이동되는 방향으로 후퇴되게 하여, 전술된 문제점을 해결한다.
토너 공급 용기(5)가 화상 형성 장치(100)로부터 제거될 때, 이는 장착될 때 경험했던 단계를 역으로 따라 제1 위치로 도시되지 않은 인장 코일 스프링의 탄성에 의해 후방으로 이동된다.
나아가, 토너 공급 용기(5)에는 토너 공급 용기(5)가 화상 형성 장치(100) 내로 장착될 때 토너 출구 셔터(5f3)가 폐쇄 위치로부터 개방 위치로 이동되기 전에 토너 출구 커버(5f1)가 제2 위치(개방 위치)로 이동되고 토너 공급 용기(5)가 화상 형성 장치(100)로부터 제거될 때 토너 출구 셔터(5f3)가 개방 위치로부터 폐쇄 위치로 이동된 후 토너 출구 커버(5f1)가 개방 위치로부터 폐쇄 위치로 이동되도록 배치된 토너 출구 셔터(5f3)가 제공된다.
다음에, 토너 공급 용기(5)의 토너 누설을 방지하는 구조 배열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2 및 도5를 참조하면, 토너 공급 용기(5)에는 토너 공급 용기(5)의 프레임(5g)의 저부벽에 부착되고 토너 공급 용기(5) 내의 토너가 프로세스 카트리지(1) 내로 배출되는 토너 출구(5f)가 제공된다. 토너 공급 용기(5)의 프레임(5g)의 저부벽에는 토너 출구(5f)의 중심에 있는 토너 출구(5f)의 제1 구멍(5f5)으로서의 구멍이 제공된다.
토너 출구(5f)는 제1 구멍(5f5)의 상부 모서리를 둘러싸는 방식으로 토너 공급 용기(5)의 프레임(5g)의 저부벽에 결합된 밀봉 부재(5f6)를 갖는다.
본 실시예에서, 토너 출구(5f)는 토너 공급 용기(5)의 길이 방향 단부에 근접하게 위치되고, 그 측면 상에서 즉 토너 공급 용기의 삽입 방향의 관점에서 후방측(도5의 우측) 상에서 구동력이 토너 공급 용기(5)로 전달된다.
이 때, 도14를 참조하여, 제1 구멍(5f5)의 인접부의 구조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14는 토너 공급 용기(5)의 길이 방향에 수직하고 토너 출구(5f)의 제1 구멍(5f5)의 축을 포함하는 평면에서의 토너 공급 용기(5)의 수직 단면도이다. 관통 구멍인 제1 구멍(5f5)은 나사(5a)의 바로 아래에 있고, 제1 밀봉 부재(5f6)는 토너 공급 용기(5)의 프레임(5g)의 저부벽에 부착되어, 제1 구멍(5f5)의 저부 모서리를 둘러싼다.
제1 밀봉 부재(5f6)는 토너 공급 용기(5)와 토너 출구(5f) 사이의 계면으로부터 토너가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제공된다. 이는 소정 크기의 두께를 갖는 탄성 부재이고 제1 구멍(5f5)과 단면 및 크기가 동일한 구멍을 갖는다. 이는 그 상부면에 의해 제1 구멍(5f5)의 저부 모서리에 부착됨으로써 토너 공급 용기(5)에 보유된다. 본 실시예의 제1 밀봉 부재(5f6)를 위한 재료는 발포성 우레탄이다. 그러나, 이는 발포성 우레탄에 제한될 필요가 없고, 임의의 탄성 재료일 수 있다.
제1 밀봉 부재(5f6)의 저부측 상에는 밀봉판(5f7)이 있다. 구체적으로, 밀봉판(5f7)은 그 상부면에 의해 제1 밀봉 부재(5f6)의 저부면에 부착되어, 그에 의해 제1 밀봉 부재(5f6)에 보유된다. 이와 같이, 밀봉판(5f7)은 제1 밀봉 부재(5f6)가 압축되거나 감압됨에 따라 수직으로 또는 경사지게 이동될 수 있다. 밀봉판(5f7)에는 구멍 즉 관통 구멍이고 제1 구멍(5f5)과 정렬된 토너 출구(5f)의 제3 구멍(5f7a)이 제공된다. 이와 같이, 토너 공급 용기(5) 내의 토너는 순서대로 제1 구멍(5f5), 제1 밀봉 부재(5f6)의 구멍 그리고 밀봉판(5f7)의 제3 구멍(5f7a)을 통해 낙하된다.
토너 공급 용기(5)에는 제1 구멍(5f5)을 밀봉하거나 해제하는 토너 출구 셔터(5f3)도 제공된다. 토너 출구 셔터(5f3)는 토너 공급 용기(5)의 프레임(5g)의 저부벽에 부착된다. 나아가, 토너 공급 용기(5)에는 토너 출구 셔터(5f3)가 낙하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 그리고 프로세스 카트리지(1)의 토너 입구(1b)와 토너 공급 용기(5)의 토너 출구(5f)를 연결하는 기능을 갖고 토너 공급 용기(5)의 저부에 부착된 보유 부재(5f2)가 제공된다.
도14를 참조하면, 토너 출구 셔터(5f3)는 밀봉판(5f7)의 아래에 있고, 제2 밀봉 부재(5f8)는 토너 출구 셔터(5f3)와 밀봉판(5f7) 사이에 개재된다.
제2 밀봉 부재(5f8)는 토너 출구 셔터(5f3)의 구멍[토너 출구의 제2 구멍(5f3b)]과 밀봉판(5f7)의 구멍(토너 출구의 제3 구멍) 사이의 접합부로부터 토너가 누설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는 제2 구멍(5f3b)과 정렬된 구멍을 갖는 탄성 부재이다. 이는 그 저부면에 의해 토너 출구 셔터(5f3)에 견고하게 부착된다. 그러나, 제2 밀봉 부재(5f8)의 상부면은 밀봉판(5f7)의 저부면에 견고하게 부착되지 않아, 제2 밀봉 부재(5f8)가 밀봉판(5f7)의 저부면 상에서 활주되게 한다. 제2 밀봉 부재(5f8)를 위한 재료로서, 밀봉판(5f7)에 대해 마찰이 낮은 탄성 물질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발포성 우레탄, 일편의 발포성 우레탄 그리고 발포성 우레탄의 표면에 부착된 낮은 마찰의 시트의 조합이 사용될 수 있다.
도9는 토너 출구 커버(5f1) 및 토너 출구 셔터(5f3)가 개방 위치에 있는 토너 공급 용기(5)의 저부 후방 단부측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면에서, 토너 공급 용기의 삽입 방향의 관점에서 토너 공급 용기(5)의 후단측으로부터의 토너 출구 커버(5f1)의 우측 절반부는 토너 출구 및 그 인접부의 구조를 용이하게 이해하게 하기 위해 제거되었다. 도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토너 출구 셔터(5f3)에는 중심 구멍(5f3a)이 제공되고, 그 축선에 대해 토너 출구 셔터(5f3)가 회전된다. 토너 출구 셔터(5f3)에는 중심 구멍(5f3a)의 축선에 대해 대칭으로 위치 설정된 2개의 구멍[토너 출구의 제2 구멍(5f3b)] 및 토너 출구 셔터(5f3b)의 회전 위상에 관점에서 인접하는 제2 구멍(5f3b)으로부터 45도 떨어진 4개의 슬롯이 제공되고, 프로세스 카트리지(1)의 돌출부는 토너 출구 셔터(5f3)를 회전시키도록 끼워진다.
다음에, 도15를 참조하여, 보유 부재(5f2)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15는 토너 공급 용기(5)로부터 제거된 보유 부재(5f2)의 사시도이다. 보유 부재(5f2)에는 토너 출구 셔터(5f3)가 핀(5f2a)에 대해 회전되도록 보유 부재(5f2)가 토너 출구 셔터(5f3)를 회전 지지하는 핀(5f2a), 토너가 공급되는 관통 구멍(토너 출구의 제4 구멍)(5f2b) 그리고 보유 부재(5f2)의 길이 방향으로 실질적으로 직선형으로 연장된 긴 구멍(5f2c)이 제공된다.
핀(5f2a)은 보유 부재(5f2)의 저부벽(5f2h)에 직각이다. 핀(5f2a)이 토너 출구 셔터(5f3)의 중심 구멍(5f3a) 내로 끼워지도록 토너 출구 셔터(5f3)가 보유 부재(5f2) 내에 위치되기 때문에, 토너 출구 셔터(5f3)는 보유 부재(5f2)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보유 부재(5f2)에는 보유 부재(5f2)의 4개의 코너부로부터 상향으로 돌출된 4개의 후크(5f2d)가 제공된다. 도14를 참조하면, 보유 부재(5f2)의 4개의 후크(5f2d)가 각각 저부벽(5i)의 4개의 구멍(5i1)과 정렬된 상태로 보유 부재(5f2)가 토너 공급 용기(5)의 프레임(5g)의 저부벽(5i) 상으로 가압됨에 따라, 4개의 후크(5f2d)는 대응하는 구멍(5i1) 내로 끼워지고, 각각의 후크(5f2d)의 클로(5f2e)는 저부벽(5i) 상으로 래칭되어, 보유 부재(5f2)가 토너 공급 용기(5)의 저부벽(5i)으로부터 현수된 것처럼 토너 공급 용기(5)에 보유 부재(5f2)를 보유한다.
각각의 후크(5f2d)의 스템부(5f2f)는 토너 공급 용기(5)에 보유 부재(5f2)를 부착시키는 데 필요한 정확한 길이보다 약간 길게 제조된다. 그러므로, 각각의 후크(5f2d)의 클로(5f2e)는 제1 밀봉 부재(5f6)의 탄성에 의해 저부벽(5i) 상에서 하향으로 가압되도록 유지되어, 그에 의해 보유 부재(5f2)가 저부벽(5i)으로부터 현수된 것처럼 보유 부재(5f2)를 보유한다. 나아가, 각각의 후크(5f2d)는 수평 방향의 관점에서 후크(5f2d)와 구멍(5i1)의 벽 사이의 간극의 존재로써 대응하는 구멍(5i1) 내에 끼워져, 보유 부재(5f2)가 저부벽(5i)에 대해 좌측, 우측 또는 경사지게 이동되게 한다.
바꿔 말하면, 보유 부재(5f2)는 보유 부재(5f2)가 프레임(5g)에 대해 위로 그리고 아래로 또는 경사지게 이동되게 하도록 소량의 간극의 존재로써 토너 공급 용기(5)의 저부벽(5i)에 보유된다(도14 참조). 보유 부재(5f2)의 이러한 경사는 화살표에 의해 지시된 좌측 및 우측 방향으로 제한되지 않고, 보유 부재(5f2b)는 후방 또는 전방으로도 경사질 수 있다.
여기에서, 보유 부재(5f2), 토너 출구 셔터(5f3) 그리고 밀봉판(5f7)은 프레임(5g)에 대해 위로 그리고 아래로, 좌측이나 우측 또는 경사지게 함께 이동될 수 있다는 것을 주목하여야 한다.
토너 출구 커버(5f1)는 토너 출구 셔터(5f3)가 프로세스 카트리지(1)에 대해 토너 공급 용기의 삽입 방향의 관점에서 후단측을 향해 이동되어 상향으로 후퇴될 수 있도록 토너 공급 용기(5)의 레일(5h, 5h')에 의해 토너 공급 용기(5)에 보유되어 보유 부재(5f2)를 덮는다.
화상 형성 장치(100) 내로의 토너 공급 용기(5)의 장착 전, 토너 출구 셔터(5f3)의 구멍[제2 구멍(5f3b)]은 토너 출구의 제1 구멍(5f5)으로부터 회전 위상이 90˚ 벗어난 제1 위치에 있다. 그러므로, 제1 구멍(5f5)은 토너 출구 셔터(5f3)에 의해 차단된다.
보유 부재(5f2)에는 토너 출구 커버(5f1)가 인장 스프링(67)으로부터의 압력 하에 유지되는 상태로 인장 스프링(67)(도6 참조)에 의해 보유 부재(5f2)를 덮는 제1 위치에서 토너 출구 커버(5f1)가 유지되도록 보유 부재(5f2)에 인장 스프링(67)의 일단부를 고정하는 또 다른 후크(5f2g)가 제공된다.
다음에, 토너 공급 용기(5)가 화상 형성 장치(100) 내로 삽입되거나 그로부터 인출될 때 일어나는 순서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8의 (a) 내지 도8의 (c)를 참조하여 전술된 바와 같이, 화상 형성 장치 (100)에는 토너 공급 용기의 삽입 경로 내에서 돌출되는 돌출부(68)가 제공된다. 이와 같이, 토너 공급 용기(5)가 화상 형성 장치(100) 내로 삽입될 때, 토너 출구 커버(5f1)의 전단부는 이러한 돌출부(68)와 접촉된다. 다음에, 토너 공급 용기(5)가 인장 코일 스프링(67)의 탄성에 대해 깊게 삽입됨에 따라, 토너 출구 커버(5f1)는 토너 공급 용기(5)의 레일(5h, 5h')을 따라 토너 공급 용기(5)의 주 조립체에 대해 후방으로 이동된 것처럼 보이는 상태로 돌출부(68)에 의해 정지 상태로 유지된다. 다음에, 토너 공급 용기(5)가 더욱 깊게 삽입됨에 따라, 토너 출구 커버(5f1)는 레일(5h, 5h')에 의해 안내됨으로써 상향으로 후퇴된다.
도10은 상부 전방측으로부터의 본 실시예의 프로세스 카트리지(1)의 사시도이다. 토너가 토너 공급 용기(5)로부터 프로세스 카트리지(1) 내로 공급되는 토너 입구(1b)에는 토너 진입 구멍(1b1)이 제공된다.
토너 진입 구멍(1b1)은 토너 공급 용기(5)로부터의 토너가 자유롭게 낙하되는 통로로서의 관통 구멍이다. 토너 입구(1b)에는 프로세스 카트리지(1)의 토너 진입 구멍(1b1)과 토너 공급 용기(5)의 토너 출구(5f)의 구멍 사이의 접합부로부터 토너가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는 밀봉 부재(1e3)가 제공된다. 밀봉 부재(1e3)는 탄성 재료로 형성되고, 토너 진입 구멍(1b1)과 형상 및 크기가 동일한 구멍을 갖는다.
프로세스 카트리지(1)에는 토너 공급 용기(5)의 토너 출구 셔터(5f3)를 회전시키는 한 쌍의 안내 핀(1e4)도 제공된다. 한 쌍의 안내 핀(1e4)은 프로세스 카트리지(1)의 길이 방향에 평행하게 정렬된 밀봉 부재(1e3)의 모서리의 다음에 위치된다.
토너 진입 구멍(1b1)은 대략 평행사변형의 관통 구멍이고, 이들의 2쌍의 대향 모서리 중 하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1)의 길이 방향에 평행하다. 전술된 밀봉 부재(1e3)는 토너 진입 구멍(1b1)을 둘러싸는 방식으로 배치된다.
밀봉 부재(1e3)는 토너 공급 용기(5)의 보유 부재(5f2)와 프로세스 카트리지(1)의 토너 입구(1b) 사이의 밀봉된 계면(접합부)을 유지시킨다. 밀봉 부재(1e3)는 탄성을 갖는 것이 바람직할 뿐만 아니라, 토너를 닦아내는 데 매우 효과적이고 마찰이 낮은 것도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예컨대 정전 플랜팅에 의해 제조된 테플론(등록 상표명) 펠트, 테플론 파일 등의 펠트 또는 파일, 발포성 우레탄 등이 밀봉 부재(1e3)를 위한 재료로서 사용될 수 있다.
도11의 (a) 내지 도11의 (f)는 토너 출구 셔터(5f3)의 이동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11의 (a) 내지 도11의 (c)는 토너 공급 용기(5)가 이미 존재하는 화상 형성 장치(100) 내로 프로세스 카트리지(1)가 삽입될 때 발생되는 토너 출구 셔터(5f3)의 이동을 도시하고 있다. 도11의 (d) 내지 도11의 (f)는 프로세스 카트리지(1)가 이미 존재하는 화상 형성 장치(100) 내로 토너 공급 용기(5)가 삽입될 때 발생되는 토너 출구 셔터(5f3)의 이동을 도시하고 있다.
도11의 (d) 내지 도11의 (f)를 참조하면, 프로세스 카트리지(1)가 이미 존재하는 화상 형성 장치(100) 내로 토너 공급 용기(5)가 삽입될 때, 안내 핀(1e4)은 이동되지 않는다.
토너 공급 용기(5)가 화살표에 의해 지시된 방향으로 삽입됨에 따라, 화상 형성 장치(100)의 전방측 상의 프로세스 카트리지(1)의 안내 핀(1e4)은 토너 출구 셔터(5f3)의 슬롯(5f3c) 내로 끼워진다[도11의 (c) 참조]. 이러한 상태에서, 제1 구멍(5f5)은 제2 구멍(5f3b)이 회전 방향의 관점에서 90˚ 만큼 제1 구멍(5f5)으로부터 떨어져 있기 때문에 토너 출구 셔터(5f3)에 의해 폐쇄된 상태로 유지된다.
토너 공급 용기(5)가 깊게 삽입됨에 따라, 토너 출구 셔터(5f3)는 화살표 β에 의해 지시된 방향으로 토너 출구 셔터(5f3)의 중심 구멍(5f3a)의 축선에 대해 회전되기 시작하고[도11의 (e) 참조], 토너 공급 용기(5)가 완전히 삽입될 때까지 계속 회전된다. 결국, 토너 출구 셔터(5f3)는 제1 구멍(5f5) 즉 토너 공급 용기(5)의 프레임(5g)의 저부벽(5i)의 구멍이 제2 구멍(5f3b) 즉 토너 출구 셔터(5f3)의 구멍과 정렬되는 도11의 (f)에 도시된 위치로 회전되어, 토너가 배출되게 한다.
다음에, 도11의 (a) 내지 도11의 (c)를 참조하면, 토너 공급 용기(5)가 이미 존재하는 화상 형성 장치(100) 내로 프로세스 카트리지(1)가 삽입될 때, 토너 출구 셔터(5f3)는 화상 형성 장치(100)에 대해 그 위치가 변화되지 않고 회전된다.
프로세스 카트리지(1)가 화살표에 의해 지시된 방향으로 삽입됨에 따라, 화상 형성 장치(100)의 후방측 상의 안내 핀(1e4)은 토너 출구 셔터(5f3)의 슬롯(5f3c) 내로 끼워진다[도11의 (a) 참조]. 이러한 상태에서, 제1 구멍(5f5)은 제2 구멍(5f3b)이 회전 방향의 관점에서 90˚ 만큼 제1 구멍(5f5)으로부터 떨어져 있기 때문에 토너 출구 셔터(5f3)에 의해 폐쇄된 상태로 유지된다.
프로세스 카트리지(1)가 깊게 삽입됨에 따라, 토너 출구 셔터(5f3)는 화살표 α에 의해 지시된 방향으로 토너 출구 셔터(5f3)의 중심 구멍(5f3a)의 축선에 대해 회전되기 시작하고[도11의 (b) 참조], 프로세스 카트리지(1)가 완전히 삽입될 때까지 계속 회전된다. 결국, 토너 출구 셔터(5f3)는 제1 구멍(5f5) 즉 토너 공급 용기(5)의 프레임(5g)의 저부벽(5i)의 구멍이 제2 구멍(5f3b) 즉 토너 출구 셔터(5f3)의 구멍과 정렬되는 도11의 (c)에 도시된 위치로 회전되어, 토너가 배출되게 한다.
부수적으로, 토너 출구 셔터(5f3)가 도11의 (c) 및 도11의 (f)에 도시된 상태에 있을 때, 제1 구멍(5f5) 즉 토너 공급 용기(5)의 프레임(5g)의 저부벽의 구멍은 물론 프로세스 카트리지(1)의 토너 진입 구멍(1b1)과 정렬된다.
전술된 바와 같이, 보유 부재(5f2)는 저부벽(5i)에 대해 위로, 아래로 또는 약간 경사지게 약간 이동될 수 있도록 토너 공급 용기(5)의 프레임(5g)의 저부벽(5i)에 부착된다. 그러므로, 토너 공급 용기(5) 또는 프로세스 카트리지(1)가 화상 형성 장치(100) 내로 삽입됨에 따라, 보유 부재(5f2)는 프로세스 카트리지(1)의 밀봉 부재(1e3)의 형상에 순응하여(도10 참조), 그에 의해 밀봉 부재(1e3)와 기밀식으로 접촉된 상태로 유지된다. 그러므로, 토너는 토너 공급 용기(5) 또는 프로세스 카트리지(1)가 화상 형성 장치(100) 내로 삽입될 때 용기로부터 분산되지 않는다.
토너 출구 셔터(5f3)만 토너 출구(5f)로부터 토너가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되면, 토너 누설을 완전히 방지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즉, 제2 구멍(5f3b) 즉 토너 출구 셔터(5f3)의 구멍의 내부 표면에 부착된 토너가 누설되는 것을 완전히 방지하는 것은 실질적으로 불가능하다. 반면에, 토너 출구 커버(5f1)가 토너 누설을 방지하도록 구성되면, 사용자가 개방 위치로 토너 출구 커버(5f1)를 우연히 이동시킬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토너가 누설될 수도 있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서, 토너 출구 셔터(5f3) 및 토너 출구 커버(5f1)에는 모두 전술된 바와 같이 토너 누설 방지 구조가 제공된다. 바꿔 말하면, 토너 누설 방지 수단은 이중으로 되어 있어, 토너가 누설되지 않는 것을 보증한다. 즉, 제2 구멍(5f3b)의 내부면에 부착된 토너는 누설되는 것이 토너 출구 커버(5f1)에 의해 방지된다. 나아가, 토너 출구 셔터(5f3)를 회전 구동시키는 토너 출구 셔터(5f3)의 슬롯(5f3c)은 토너 출구 커버(5f1)로 덮여진 상태로 유지되어, 토너 출구(5f)가 우연히 노출될 가능성을 제거시킨다.
도12는 토너 출구 셔터(5f3) 및 토너 출구 커버(5f1)가 폐쇄된 상태의 용기(5)의 후방 저부 단부로부터의 본 실시예의 신품 토너 공급 용기(5)의 후방 단부의 확대 사시도이고, 도13은 토너 출구 셔터(5f3) 및 토너 출구 커버(5f1)가 개방된 상태의 본 실시예의 신품 토너 공급 용기(5)의 후방 단부의 확대 사시도이다. 이들 도면에서, 토너 공급 용기의 삽입 방향의 관점에서 토너 공급 용기(5)의 후단부로부터의 토너 출구 커버(5f1), 보유 부재(5f2) 및 토너 출구 셔터(5f3)의 우측 절반부는 그 구조를 용이하게 이해하게 하기 위해 제거되었다.
도12를 참조하면, 토너 공급 용기(5)가 신품일 때, 토너 출구 커버(5f1) 및 토너 출구 셔터(5f3)는 폐쇄되고, 제1 구멍(5f5) 즉 토너 공급 용기(5)의 프레임(5g)의 저부벽(5i)의 구멍은 밀봉 부재(5f6)에 부착된 밀봉판(5f7)으로 덮인 밀봉 부재(5f6)에 의해 둘러싸인다.
밀봉 부재(5f7)의 구멍 즉 제3 구멍(5f7a)은 가용성 및 박리 가능한 테이프(5f4)로써 밀봉된다.
테이프(5f4)는 밀봉판(5f7)과 밀봉 부재(5f8) 사이에 위치된다(도14 참조). 이는 테이프(5f4)는 일단부(5f4a)에 의해 토너 공급 용기(5)의 프레임(5g)의 저부벽(5i)에 고정되고; 제3 구멍(5f7a)을 덮을 정도로 충분하게 토너 공급 용기(5)의 후방 단부를 향해 연장되며; 제3 구멍(5f7a)의 모서리에 박리 가능하게 부착되거나 용접되어, 그에 의해 제3 구멍(5f7a)을 밀봉하고; 절첩선(5f4b)에서 후방으로 절첩되며; 제3 구멍(5f7a)을 밀봉하는 테이프(5f4)의 부분에 걸쳐 후방으로 이중으로 절첩되고; 타단부(5f4c)에 의해 토너 출구 커버(5f1)에 고정되는 방식으로 토너 공급 용기(5)에 부착된다.
전술된 바와 같이, 토너 공급 용기(5)가 화상 형성 장치(100) 내로 삽입됨에 따라, 토너 출구 커버(5f1)는 토너 출구(5f)를 노출시키는 방향으로 레일(5h, 5h')을 따라 토너 공급 용기(5)에 대해 이동된다. 이와 같이, 테이프(5f4)는 절첩선(5f4)으로부터 시작하여 저부벽(5i)으로부터 박리되어, 제3 구멍(5f7a)을 노출시킨다. 부수적으로, 테이프(5f4)가 박리되면, 이는 토너 출구 커버(5f1)가 폐쇄 위치로 복귀된다고 하더라도 밀봉판(5f7)과 밀봉 부재(5f8) 사이의 계면 내로 복귀되지 않는다.
전술된 구조 배열의 채용으로써, 제3 구멍(5f7a)은 토너 공급 용기(5)가 분배 네트웍을 통해 사용자에 의해 얻어진 후 사용자 또는 서비스맨에 의해 화상 형성 장치(100) 내로 삽입될 때까지 토너 공급 용기(5)의 제조의 완료로부터 테이프(5f4)로써 밀봉된 상태로 유지된다. 그러므로, 토너는 토너 공급 용기(5)에 충격 또는 과도한 진동이 적용된다고 하더라도 누설되지 않는다.
이러한 구조 배열에서, 테이프(5f4)는 화상 형성 장치(100) 내로의 토너 공급 용기(5)의 삽입에 의해 자동적으로 박리된다. 그러므로, 테이프(5f4)의 채용은 토너 공급 용기(5)의 조작성에 악영향을 주지 않는다. 나아가, 토너 출구 커버(5f1)의 이동은 레일(5h, 5h')에 의해 조절된다. 그러므로, 토너 출구 커버(5f1)가 토너 공급 용기(5)에 대해 이동됨에 따라 테이프(5f4)가 예측되지 않은 방향으로 인출되는 문제점은 발생되지 않는다. 그러므로, 테이프(5f4)의 인접부 내의 토너 공급 용기(5)의 부분은 예측되지 않은 방향으로의 테이프(5f4)의 인출에 의해 손상되는 문제점 및/또는 테이프(5f4)를 박리하는 데 필요한 힘이 예측되지 않은 방향으로의 테이프(5f4)의 인출로 인해 증가되는 문제점은 발생되지 않는다.
토너 공급 용기(5)의 제조 중, 토너는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토너 공급 용기(5)의 토너 진입 구멍(5k)을 통해 토너 공급 용기(5) 내로 공급된다. 토너 공급 용기(5)로의 토너의 충전 후, 토너 진입 구멍(5k)은 충전된 토너가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토너 진입 캡(80)으로 폐쇄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토너 공급 용기(5)에는 토너 진입 캡(80)을 덮는 방식으로 토너 공급 용기(5)에 부착된 핸들(81)이 제공된다. 그러므로, 사용자는 핸들(81)의 파지부(81a)에 의해 토너 공급 용기(5)를 취급하여야 한다.
[전사 수단]
도1의 전사 수단으로서의 중간 전사 유닛(54)은 광전도성 드럼(2)으로부터 중간 전사 유닛(54) 상으로 층으로 순차적으로 전사된 복수개의 토너 화상을 기록 매체(52) 상으로 한번에 전사(2차 전사)하는 유닛이다.
중간 전사 유닛(54)에는 또 다른 화살표에 의해 지시된 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는 광전도성 드럼(2)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주연 속도로서 화살표에 의해 지시된 방향으로 이동되는 중간 전사 벨트(54a)가 제공된다. 중간 전사 벨트(54a)는 대략 970 ㎜의 원주 길이를 갖는 순환 벨트이고, 3개의 롤러 즉 구동기 롤러(54b), 벨트 지지 전사 롤러(54g) 및 종동기 롤러(54c)의 주위에 현수된다.
중간 전사 벨트(54a)의 루프 내에서, 전사 대전 롤러(54fY, 54fM, 54fC, 54fK)는 전사 대전 롤러(54fY, 54fM, 54fC, 54fK)와 대응하는 광전도성 드럼(2) 사이의 중간 전사 벨트(54a)의 존재로써 대응하는 광전도성 드럼(2)에 대향하여 회전 가능하게 배치된다. 각각의 전사 대전 롤러는 대응하는 광전도성 드럼(2)의 중심을 향해 가압되도록 유지된다.
전사 대전 롤러(54fY, 54fM, 54fC, 54fK)에는 도시되지 않은 고전압원에 의해 전력이 공급되고, 중간 전사 벨트(54a)의 외향면 상으로 광전도성 드럼(2) 상에 토너 화상을 순차적으로 전사(1차 전사)하기 위해 중간 전사 벨트(54a)의 루프의 내향측으로부터 토너와 반대인 극성으로 중간 전사 벨트(54a)를 대전시킨다.
전사 중, 전사 부재로서의 제2 전사 롤러(54d)는 제2 전사 롤러(54d)와 벨트 지지 전사 롤러(54g) 사이의 중간 전사 벨트(54a)의 존재로써 벨트 지지 전사 롤러(54g)에 대향하여 중간 전사 벨트(54a) 상에 가압되도록 유지된다. 제2 전사 롤러(54d)는 도1에서 수직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고, 회전 가능하다. 소정 개수의 화상이 다색 화상을 완성시키도록 중간 전사 벨트(54a) 상으로 층으로 순차적으로 전사될 때까지, 제2 전사 롤러(54d)는 중간 전사 벨트(54a) 상의 화상을 혼란시키지 않게 하기 위해 중간 전사 벨트(54a)로부터 떨어져 유지된다.
중간 전사 벨트(54a) 및 제2 전사 롤러(54d)는 개별적으로 구동된다. 기록 매체(52)가 제2 전사부 내로 진입됨에 따라, 소정 바이어스가 제2 전사 롤러(54d)에 인가된다. 결과적으로, 중간 전사 벨트(54a) 상의 토너 화상은 기록 매체(52) 상으로 전사(2차 전사)된다.
전사 공정 중, 기록 매체(52)는 다음의 공정을 수행하는 정착 장치(56)로 제2 전사 롤러(54d)와 중간 전사 벨트(54a) 사이에 개재된 상태로 소정 속도로 도1의 좌측 방향으로 운반된다.
화상 형성 장치(100)에는 중간 전사 벨트(54a)의 표면과 접촉되어 위치되거나 그로부터 떨어져 이동될 수 있고 기록 매체가 전사 공정 중 운반되는 방향의 관점에서 중간 전사 벨트(54a)의 하류 단부의 인접부 내의 소정 위치에 있는 세척 유닛(55)이 제공된다. 세척 유닛(55)은 2차 전사 잔여 토너 즉 2차 전사 후 중간 전사 벨트(54a) 상에 남아 있는 토너를 제거한다.
도1을 재참조하면, 세척 유닛(55) 내에서, 2차 전사 잔여 토너를 제거하는 세척 블레이드(55a)가 배치된다. 세척 유닛(55)은 도시되지 않은 피벗축에 대해 피벗될 수 있도록 화상 형성 장치(100)의 주 조립체에 부착된다. 세척 블레이드(55a)는 세척 블레이드(55a)의 세척날이 중간 전사 벨트(54a)의 이동 방향의 관점에서 세척 블레이드(55a)의 기부에 대해 상류측 상에 있도록 경사진 중간 전사 벨트(54a) 상에 가압되도록 유지된다. 세척 유닛(55) 내로 유입된 후, 2차 전사 잔여 토너는 제거된 토너 빈(도시되지 않음)으로 나사(55b)에 의해 운반되어 그 내에 저장된다.
중간 전사 벨트(54a)의 재료로서, 폴리이미드 수지가 사용 가능하다. 그러나, 중간 전사 벨트(54a)를 위한 재료는 폴리이미드 수지로 제한될 필요가 없다. 예컨대,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폴리비닐리덴 플루라이드 수지, 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 수지,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 수지 등의 플라스틱 그리고 폴리에테르 설포네이트 수지 또는 불화 또는 규화 고무가 바람직한 결과로써 사용될 수 있다.
[정착부]
전술된 바와 같이, 현상 수단에 의해 광전도성 드럼(2) 상에 형성된 토너 화상은 중간 전사 벨트(54a)에 의해 기록 매체(52) 상으로 전사된다. 정착 장치(56)는 정착되지 않은 토너 화상 즉 기록 매체(52) 상으로 방금 전사된 화상을 열적으로 정착시킨다.
또한, 도1을 참조하면, 정착 장치(56)에는 기록 매체(52)에 열을 인가하는 정착 롤러(56a) 그리고 정착 롤러(56a)에 대해 기록 매체(52)를 가압하는 가압 롤러(56b)가 제공된다. 이들 롤러(56a, 56b)는 모두 중공이다. 각각의 롤러는 그 중공에 가열기(도시 생략)를 내장한다. 이들은 회전 구동됨에 따라 기록 매체(52)를 함께 운반한다.
바꿔 말하면, 토너 화상을 담지하고 있는 기록 매체(52)는 정착 롤러(56a) 및 가압 롤러(56b)에 의해 운반되는 중에, 열 및 압력이 롤러에 의해 기록 매체(52) 및 토너 화상에 인가된다. 결과적으로, 토너 화상은 기록 매체(52)에 정착된다.
정착 후, 기록 매체(52)는 화상 형성 장치(100)의 상부 상의 분배 트레이(57) 내로 2쌍의 배출 롤러(53h, 53j)에 의해 화상 형성 장치(100)의 주 조립체의 외부로 배출되어, 그 내에 축적된다.
[프로세스 카트리지 및 토너 공급 용기의 장착]
다음에, 도2 내지 도5를 참조하여, 화상 형성 장치(100) 내로 프로세스 카트리지(1) 및 토너 공급 용기(5)를 장착하는 절차를 설명하기로 한다. 화상 형성 장치(100)의 개략 외부 사시도인 도3을 참조하면, 화상 형성 장치(100)에는 화상 형성 장치(100)의 전방 패널 내에 위치되어 자유롭게 개방되거나 폐쇄될 수 있는 도어(전방 도어)(58)가 제공된다. 작업자가 전방으로 도어(58)를 개방함에 따라, 프로세스 카트리지(1Y 내지 1K) 및 토너 공급 용기(5Y 내지 5K)가 삽입되는 개구는 노출된다.
프로세스 카트리지(1)가 삽입되는 개구에는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드럼 샤프트 위치 설정판(59)이 제공된다. 이와 같이, 프로세스 카트리지(1)를 삽입하거나 제거할 때, 이러한 드럼 샤프트 위치 설정판(59)은 개방되고 폐쇄되어야 한다. 도2를 참조하면, 화상 형성 장치(100)에서, 프로세스 카트리지(1)를 장착할 때 프로세스 카트리지(1)를 안내하는 4쌍의 안내 레일(60) 그리고 토너 공급 용기(5)를 장착할 때 토너 공급 용기(5)를 안내하는 4쌍의 안내 레일(61)이 제공된다.
프로세스 카트리지(1) 및 토너 공급 용기(5)가 화상 형성 장치(100) 내로 장착되는 방향은 광전도성 드럼(2)의 축선에 평행하고, 안내 레일(60, 61)이 연장되는 방향이다. 프로세스 카트리지(1) 및 토너 공급 용기(5)는 화상 형성 장치(100)의 전방측으로부터 화상 형성 장치(100) 내로 삽입되고, 안내 레일(60, 61)을 따라 화상 형성 장치(100) 내로 깊게 활주된다.
도4를 참조하면, 프로세스 카트리지(1)가 화상 형성 장치(100)의 가장 깊은 단부에 도달됨에 따라, 화상 형성 장치(100)의 드럼 위치 설정 샤프트(66)는 드럼 플랜지(2b)의 중심 구멍(2f) 내로 진입된다. 결과적으로, 광전도성 드럼(2)의 후방 단부의 회전축은 화상 형성 장치(100)에 대해 정확하게 위치된다.
동시에, 드럼 플랜지(2b)의 구동력 전달부(2g)는 화상 형성 장치(100)의 구동 결합부(암형)(62a)와 결합되어, 광전도성 드럼(2)이 회전 구동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본 실시예의 구동력 전달부(2g)는 꼬인 삼각형 컬럼의 형태이다. 이와 같이, 구동력이 화상 형성 장치(100)로부터 구동력 전달부(2g)로 전달됨에 따라, 구동력 전달부(2g)는 광전도성 드럼(2)으로 구동력을 전달할 뿐만 아니라, 화상 형성 장치(100)의 후방 단부를 향해 광전도성 드럼(2)을 인출하는 힘을 발생시킨다.
또한, 도4를 참조하면, 화상 형성 장치(100)의 후방벽(65)에는 각각 프로세스 카트리지(1)를 정확하게 위치 설정하는 4개의 카트리지 지지 핀(63)이 제공된다. 각각의 카트리지 지지부(63)는 삽입된 프로세스 카트리지(1)의 프레임(1a) 내로 진입되어, 그에 의해 프로세스 카트리지(1)의 프레임(1a)은 화상 형성 장치(100)에 대해 그 위치가 정확하게 고정된다.
도4를 재참조하면, 화상 형성 장치(100)의 전방측(도4의 좌측) 상에, 회전 개방되거나 폐쇄되고 프로세스 카트리지(1)의 지지 케이스(2c)가 견고하게 결합되는 드럼 샤프트 위치 설정판(59)은 배치된다. 전술된 프로세스 카트리지 삽입 순서를 통해, 광전도성 드럼(2) 및 프로세스 카트리지(1)는 화상 형성 장치(100)에 대해 정확하게 위치된다.
비교로서, 도5를 참조하면, 토너 공급 용기(5)가 가장 깊은 단부로 삽입됨에 따라, 이는 지지 핀(64)에 의한 프로세스 카트리지(1)에서와 같이 화상 형성 장치(100)의 후방벽(65)으로부터 돌출된 지지 핀(64)에 의해 견고하게 보유된다. 동시에, 구동력 수용 결합부(암형)(5e)는 구동력 전달 결합부(수형)(62b)와 결합되어, 나사(5a) 및 교반 샤프트(5c)를 회전 구동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화상 형성 장치(100)로부터 프로세스 카트리지(1) 또는 토너 공급 용기(5)를 인출하는 데 필요한 것은 반대로 전술된 절차를 수행하는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 프로세스 카트리지(1) 및 토너 공급 용기(5)는 임의의 순서로 화상 형성 장치(100) 내로 장착되거나 그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
바꿔 말하면, 화상 형성 장치(100) 내로 프로세스 카트리지(1)를 장착한 후 화상 형성 장치(100) 내로 토너 공급 용기(5)를 장착하거나, 화상 형성 장치(100) 내로 토너 공급 용기(5)를 장착한 후 화상 형성 장치(100) 내로 프로세스 카트리지(1)를 장착하는 것이 가능하다.
나아가, 화상 형성 장치(100)로부터 프로세스 카트리지(1)를 인출한 후 화상 형성 장치(100)로부터 토너 공급 용기(5)를 인출하거나, 화상 형성 장치(100)로부터 토너 공급 용기(5)를 인출한 후 화상 형성 장치(100)로부터 프로세스 카트리지(1)를 인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토너 공급 용기에 토너를 재충전하는 방법]
도16은 이미 사용된 토너 공급 용기(5)에 토너를 재충전하는 방법 바꿔 말하면 토너를 재충전함으로써 이미 사용된 토너 공급 용기(5)를 재생하는 방법을 도시하고 있다.
우선, 토너 출구 커버(5f1)는 활주되도록 되어 있다. 다음에, 토너 공급 용기(5)의 토너 출구 셔터(5f3)는 토너가 배출되는 토너 출구(5f)의 개구를 노출시키도록 회전된다(토너 출구 노출 공정).
다음에, 토너 공급 용기(5)는 그 토너 출구(5f)가 상향으로 대면하도록 고정된다. 그러면, 토너는 도16의 화살표 A에 의해 지시된 바와 같은 제1 구멍(5f5)으로 토너를 안내하는 부재로서의 토너 재충전 지그(200)를 삽입함으로써 토너 출구(5f)를 통해 토너 공급 용기(5) 내로 충전된다(충전 공정).
토너의 충전 중, 토너 공급 용기(5) 내의 토너 운반 부재로서의 나사(5a)는 충전된 토너가 화살표 B, C 및 D에 의해 지시된 바와 같이 토너 공급 용기(5) 내로 깊게 보내지도록 나사(5a)가 현상 장치(4)로 토너를 운반하도록 회전되는 방향에 반대 방향으로 회전된다(구동 공정). 바꿔 말하면, 나사(5a)는 토너 출구(5f)로부터 토너 저장부(5j)로 토너를 운반하도록 구동된다. 토너는 우선 나사(5)의 축 방향에 평행한 화살표 C에 의해 지시된 방향으로 다음에 화살표 D에 의해 지시된 방향으로 운반된다.
부수적으로, 충전 공정 또는 구동 공정 중 어느 공정이 먼저 시작되는 지는 중요하지 않다. 바꿔 말하면, 구동력은 구멍(5f5)을 통한 토너 공급 용기(5) 내로의 토너의 공급 후 나사(5)로 전달될 수 있거나, 토너는 나사(5a)로 구동력을 전달하도록 시작 후 구멍(5f5)을 통해 토너 공급 용기(5) 내로 공급될 수 있다. 나아가, 나사(5a)로의 구동력의 전달은 구멍(5f5) 내로의 토너의 공급이 시작되는 것과 동시에 시작될 수 있다.
나사(5a)는 구동력 수용 결합부(5e)로 구동력을 전달함으로써 구동된다. 나사(5a)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2개의 방법 즉 도17에 도시된 구동력 발생 장치(510)를 채용한 방법 그리고 도18에 도시된 회전력 전달 부재(520)를 채용한 수동 방법이 있다.
나사(5)에 구동력을 제공하도록 구동력 발생 장치(510)를 채용한 방법에서, 구동력 발생 장치(510)의 결합부(510a)는 도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력 수용 결합부(5e)와 연결되고, 구동력은 나사(5a)가 화살표 C에 의해 지시된 방향으로 토너를 운반하도록 구동력 발생 장치(510)로부터 구동력 수용 결합부(5e)로 전달된다. 바꿔 말하면, 구동력 수용 결합부(5e)는 토너가 프로세스 카트리지(1)로 공급될 때 회전되는 방향에 반대 방향으로 회전된다.
회전력 전달 부재(520)를 채용한 수동 방법에서, 회전력 전달 부재(520)의 결합부(520s)는 도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력 수용 결합부(5e)에 연결되고, 회전력 전달 부재(520)는 나사(5a)가 화살표 C에 의해 지시된 방향으로 토너를 운반하도록 결합부(5e)로 구동력을 전달하도록 노브(10b)에 의해 수동으로 회전된다.
전술된 바와 같이, 토너 공급 용기(5)에는 토너 공급 용기(5)가 사용 중일 때 토너가 배출되는 방향에 반대 방향으로 토너 출구(5f)를 통해 토너를 공급함으로써 간단하게 토너가 충전될 수 있다. 그러므로, 토너 공급 용기(5)는 간단하게 재생될 수 있다.
또한, 전술된 바와 같이, 토너 공급 용기(5)의 토너 출구(5f)에는 토너 출구(5f)를 덮는 가동 토너 출구 커버(5f1)가 제공된다. 그러므로, 토너 공급 용기(5)에는 이러한 토너 출구 커버(5f1)를 개방시킴으로써 토너가 충전될 수 있고, 재충전된 토너는 재충전 후 토너 출구 커버(5f1)를 폐쇄시킴으로써 누설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토너 출구 폐쇄 공정). 이와 같이, 토너 공급 용기(5)는 상당한 회수로 재충전될 수 있다.
부수적으로, 토너 캡(80)이 토너 충전 구멍(5k)을 통해 토너 공급 용기(5)에 토너를 재충전하도록 제거되는 토너 공급 용기 재충전 방법에서, 토너 캡(80)이 제거될 때 손상될 가능성이 있다. 분명히, 손상된 토너 캡(80)은 재사용 불가능하다. 비교로서, 본 실시예에서, 토너 캡(80)은 토너 공급 용기(5)에 토너를 재충전할 때 제거되지 않는다. 그러므로, 토너 캡(80)이 재사용되는 것이 보증된다. 바꿔 말하면, 토너 공급 용기(5)의 전체가 그 구성 요소에 어떠한 손상도 없이 재사용될 수 있다.
전술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 토너 공급 용기(5)는 사용 중일 때 토너가 유동하는 방향에 반대 방향으로 토너 출구를 통해 토너를 공급함으로써 간단하게 토너가 재충전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러므로, 실질적으로 토너 공급 용기(5)의 전체가 재사용될 수 있다. 또한, 구성 요소 제거가 불필요하여, 구성 요소 손상을 제거시키므로, 모든 구성 요소가 재사용될 수 있다. 바꿔 말하면, 본 발명에 따른 토너 공급 용기(5)는 그 재생을 위해 전체적으로 재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여기에 개시된 구조를 참조하여 설명되었지만, 기재된 세부 사항에 제한되지 말아야 하고, 본원은 개선을 위한 목적 또는 다음의 첨부된 청구의 범위의 범주 내에서 변형예 또는 변화예를 포함하도록 해석되어야 한다.
전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현상제 공급 유닛에 토너를 재충전함으로써 현상제 공급 유닛을 재생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간단하고 신뢰성 있는 현상제 공급 유닛 재생 방법이 제공된다.
도1은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의 전자 사진 컬러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의 수직 단면도.
도2는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의 프로세스 카트리지 및 토너 공급 용기의 수직 단면도.
도3은 전방 도어가 개방된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의 화상 형성 장치의 사시도.
도4는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의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길이 방향 수평 단면도.
도5는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의 토너 공급 용기 및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길이 방향 수직 단면도.
도6은 토너 출구 커버가 폐쇄된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의 토너 공급 용기의 사시도.
도7은 장치의 주 조립체 내로 삽입되는 토너 공급 용기의 사시도.
도8의 (a) 내지 도8의 (c)는 토너 출구 커버의 이동을 도시하기 위해, 토너 공급 용기의 길이 방향에 직각 방향으로부터 보여진,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의 토너 공급 용기의 측면도.
도9는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의 토너 공급 용기의 토너 출구부 및 그 인접부의 확대 사시도.
도10은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의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사시도.
도11의 (a) 내지 도11의 (f)는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의 토너 공급 용기의 토너 출구 셔터의 이동을 도시하는 개략도.
도12는 토너 출구 커버가 폐쇄된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의 토너 공급 용기의 토너 출구부의 확대 사시도.
도13은 토너 출구 커버가 개방된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의 토너 공급 용기의 토너 출구부의 확대 사시도.
도14는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의 토너 공급 용기의 토너 출구부 및 그 인접부의 수직 단면도.
도15는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의 토너 공급 용기의 셔터 보유 부재의 사시도.
도16은 토너 출구를 통해 토너 공급 용기에 토너를 충전하는 방법을 도시하기 위한, 토너 공급 용기의 길이 방향에 평행한,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의 토너 공급 용기의 수직 단면도.
도17은 구동력 발생 장치의 사용으로써 토너 출구를 통해 토너 공급 용기에 토너를 충전하는 방법을 도시하기 위한, 토너 공급 용기의 길이 방향에 평행한,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의 토너 공급 용기의 수직 단면도.
도18은 수동으로 회전되는 회전력 전달 부재의 사용으로써 토너 출구를 통해 토너 공급 용기에 토너를 충전하는 방법을 도시하기 위한, 토너 공급 용기의 길이 방향에 평행한,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의 토너 공급 용기의 수직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프로세스 카트리지
2: 광전도성 드럼
3a, 3b, 3c, 3d, 3e, 3f, 3g, 3h: 대전 수단
4: 현상 장치
5: 토너 공급 용기
51a, 51b, 51c: 노출 수단
52: 기록 매체
53a, 53b, 53c, 53d, 53g: 이송부
54: 중간 전사 유닛
56: 정착 장치
100: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

Claims (11)

  1. 전자 사진 감광 부재 상에 형성된 정전 잠상을 현상하는 현상 수단에 현상제를 공급하고,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 가능하며 현상제를 수용하는 현상제 수용부, 현상 수단에 현상제를 공급하는 현상제 공급 포트 및 현상제 수용부로부터 현상제 공급 포트로 현상제를 이송하는 이송 부재를 포함하는 현상제 공급 유닛용 재생 방법이며,
    현상제 공급 포트를 통해 현상제를 주입하는 주입 단계와;
    현상제 공급 포트로부터 현상제 수용부로 현상제를 이송하는 방향으로 이송 부재를 구동시키는 구동 단계를 포함하고,
    그에 의해 현상제는 현상제 수용부에 현상제를 충전하도록 현상제 공급 포트로부터 이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입 단계 및 구동 단계는 동시에 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입 단계는 구동 단계가 시작된 후 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입 단계에서, 현상제는 현상제 공급 포트가 실질적으로 대면하는 현상제 공급 유닛의 방향으로 현상제 공급 포트로 주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 부재는 현상제가 현상제 수용부로부터 현상제 공급 포트로 이송되어야 할 때 이송 부재의 축 방향으로 현상제를 이동시키도록 소정 회전 방향으로 회전하고, 상기 구동 단계에서, 이송 부재는 소정 회전 방향에 반대인 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현상제 공급 유닛은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에 장착될 때 이송 부재로 구동력을 전달하도록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 내에 제공된 주 조립체 결합부와 결합하는 결합부를 갖고, 상기 구동 단계에서, 회전 구동력은 결합부로부터 이송 부재로 전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단계는 구동력 발생 장치로부터 이송 부재로 회전 구동력을 공급하도록 회전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력 발생 장치를 결합부와 연결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단계는 결합부를 회전 구동 전달 부재와 연결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 회전 구동 전달 부재는 이송 부재를 구동시키도록 수동으로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현상제 공급 유닛은 현상제 공급 포트를 개방시키는 개방 위치와 현상제 공급 포트를 폐쇄시키는 폐쇄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한 공급 포트 커버를 포함하고, 공급 포트 커버는 장치의 주 조립체와 결합되며 현상제 공급 유닛이 장치의 주 조립체에 장착될 때 폐쇄 위치로부터 개방 위치로 이동되며,
    공급 포트 커버를 개방 위치로 이동시키는 공급 포트 개방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주입 단계 후 개방 위치로부터 폐쇄 위치로 공급 포트 커버를 이동시키는 공급 포트 폐쇄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입 단계는 현상제 공급 포트를 통해 안내 부재를 삽입하는 안내 부재 삽입 단계를 포함하고, 현상제는 안내 부재를 통해 주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2003-0067250A 2002-09-30 2003-09-29 현상제 공급 장치용 재생 방법 KR10052377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2-00285469 2002-09-30
JP2002285469 2002-09-30
JPJP-P-2003-00334758 2003-09-26
JP2003334758A JP4040561B2 (ja) 2002-09-30 2003-09-26 現像剤再充填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28552A KR20040028552A (ko) 2004-04-03
KR100523775B1 true KR100523775B1 (ko) 2005-10-26

Family

ID=319806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67250A KR100523775B1 (ko) 2002-09-30 2003-09-29 현상제 공급 장치용 재생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6980755B2 (ko)
EP (1) EP1403736B1 (ko)
JP (1) JP4040561B2 (ko)
KR (1) KR100523775B1 (ko)
CN (1) CN1307490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22035A (ja) * 2004-01-09 2005-08-18 Canon Inc 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3885062B2 (ja) * 2004-03-30 2007-02-21 キヤノン株式会社 電子写真感光体ドラム、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およ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US7158749B2 (en) * 2004-04-26 2007-01-02 Canon Kabushiki Kaisha Cleaning device, process cartridge, cleaning member and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JP3840232B2 (ja) * 2004-05-06 2006-11-01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US7822370B2 (en) * 2006-01-13 2010-10-26 Himes William D Toner cartridge
KR100738948B1 (ko) 2006-02-20 2007-07-18 주식회사 에이아이티 토너 리필장치
JP4565667B2 (ja) 2008-09-29 2010-10-20 キヤノン株式会社 カラー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4384251B1 (ja) * 2009-03-11 2009-12-16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カートリッジ、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5482138B2 (ja) * 2009-11-19 2014-04-23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トナー収容容器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5541685B2 (ja) * 2010-02-12 2014-07-09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WO2012133726A1 (en) * 2011-03-31 2012-10-04 Ricoh Company, Ltd. Powder material container and image forming apparatus provided therewith, and powder material replenishing method
JP5771797B2 (ja) 2011-11-29 2015-09-02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装置、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6584062B2 (ja) * 2014-10-27 2019-10-02 キヤノン株式会社 再生産方法
JP6410564B2 (ja) 2014-10-27 2018-10-24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剤収納ユニットの再生産方法
JP6418896B2 (ja) 2014-10-27 2018-11-07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剤収納ユニットの再生産方法
JP1536824S (ko) * 2015-05-27 2015-11-02
JP1536825S (ko) * 2015-05-27 2015-11-02
JP6590534B2 (ja) 2015-05-29 2019-10-16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6598572B2 (ja) * 2015-08-12 2019-10-30 株式会社東芝 現像剤供給容器

Family Cites Families (3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6213A (en) * 1870-08-09 Improved liquid for raising paste or dough
US141788A (en) * 1873-08-12 Improvement in signs
JP3200141B2 (ja) 1991-04-08 2001-08-20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に着脱自在な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US5283616A (en) 1991-12-19 1994-02-01 Canon Kabushiki Kaisha Developing device having bearing for supporting a developing roller
US5585895A (en) 1991-12-19 1996-12-17 Canon Kabushiki Kaisha Developing device and process cartridge with it
EP0586041B1 (en) 1992-09-04 1997-03-19 Canon Kabushiki Kaisha Electrophotographic process cartridg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with such process cartridge
US5966566A (en) 1993-03-24 1999-10-12 Canon Kabushiki Kaisha Recycle method for process cartridg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3236124B2 (ja) 1993-04-28 2001-12-10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のトナーテープ取り付け方法
JP3320144B2 (ja) 1993-04-28 2002-09-03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及び画像形成システム
JP3347549B2 (ja) 1995-09-12 2002-11-20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の再生方法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JP3372747B2 (ja) 1996-02-09 2003-02-04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装置
JP3382465B2 (ja) 1996-07-04 2003-03-04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3397590B2 (ja) 1996-07-04 2003-04-14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の組立方法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US6246848B1 (en) 1996-09-11 2001-06-12 Canon Kabushiki Kaisha Toner Container cap, toner container, and process cartridge
JPH10171233A (ja) 1996-10-07 1998-06-26 Canon Inc 現像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3545919B2 (ja) * 1996-10-22 2004-07-21 株式会社リコー トナー補給容器、画像形成装置、及びトナー補給容器を構成する部品のリサイクル使用方法
JP3352370B2 (ja) 1996-11-14 2002-12-03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3327801B2 (ja) 1996-12-25 2002-09-24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の組み立て方法及びトナー容器の組み立て方法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3437424B2 (ja) 1997-10-27 2003-08-18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装置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H11143226A (ja) 1997-11-11 1999-05-28 Canon Inc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現像装置
JP3604919B2 (ja) 1998-08-31 2004-12-22 キヤノン株式会社 カラー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及び現像カートリッジ
JP3847985B2 (ja) 1998-11-04 2006-11-22 キヤノン株式会社 トナー補給容器の再生方法
JP2000194248A (ja) 1998-12-28 2000-07-14 Canon Inc プロセスカ―トリッジ及び帯電ユニット及び現像ユニット
JP2000284557A (ja) 1999-03-29 2000-10-13 Canon Inc 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US6470163B1 (en) * 1999-10-27 2002-10-22 Canon Kabushiki Kaisha Developer stirring member, assembly method and recycling method for the same
JP3103548B1 (ja) 1999-10-29 2000-10-30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の再生産方法
JP3126966B1 (ja) 1999-10-29 2001-01-22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の再生産方法
JP3126967B1 (ja) 1999-10-29 2001-01-22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の再生産方法
JP3126968B1 (ja) 1999-10-29 2001-01-22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の再生産方法
JP3478797B2 (ja) 1999-12-28 2003-12-15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4250294B2 (ja) 2000-02-16 2009-04-08 キヤノン株式会社 カラー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JP4573972B2 (ja) 2000-09-01 2010-11-04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剤補給容器およ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US6564029B2 (en) 2000-09-01 2003-05-13 Canon Kabushiki Kaisha Cartridge having developer supply opening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able therewith
JP3513488B2 (ja) 2000-12-20 2004-03-31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の再生産方法
EP1220050B1 (en) * 2000-12-25 2010-01-20 Ricoh Company, Ltd. Toner replenish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ing the same
JP4672893B2 (ja) 2001-03-30 2011-04-20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剤補給容器、及び画像形成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28552A (ko) 2004-04-03
EP1403736A1 (en) 2004-03-31
JP2004145312A (ja) 2004-05-20
US6980755B2 (en) 2005-12-27
US20040126131A1 (en) 2004-07-01
EP1403736B1 (en) 2013-05-15
CN1497385A (zh) 2004-05-19
CN1307490C (zh) 2007-03-28
JP4040561B2 (ja) 2008-0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23775B1 (ko) 현상제 공급 장치용 재생 방법
KR100434643B1 (ko) 화상 형성 장치 및 화상 형성 장치 내에 제거 가능하게장착할 수 있는 현상제 공급 용기
EP1184741B1 (en) Cartridge having developer supply opening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able therewith
JP4047135B2 (ja) トナー補給容器の再生産方法
US7174122B2 (en) Developer supply container and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KR0156752B1 (ko) 토너 용기의 개구 재밀봉 방법 및 밀봉 부재와 프로세스 카트리지 재생 방법
US7558515B2 (en) Powder container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4672893B2 (ja) 現像剤補給容器、及び画像形成装置
JP2004151563A (ja)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の再生産方法
JP3861428B2 (ja) トナー収納容器及びトナー補給装置
EP0736817B1 (en) Toner container and process cartridge
KR20000063032A (ko) 현상제 재충전 용기, 카트리지 및 화상 형성 장치
JP2004126018A (ja) 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3572500B2 (ja) 現像剤補給装置及び現像剤カートリッジ
JP2006030241A (ja) 画像形成装置
JP4585670B2 (ja) 現像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これを用いた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2002296884A (ja) 現像剤搬送部材、現像剤補給容器及び画像形成装置
JP2002072652A (ja) 現像剤補給容器
JP2011158509A (ja) トナー補給装置
JPH096110A (ja) 現像剤カートリッジ、現像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2003084518A (ja) プロセス手段移動機構及び帯電装置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2004126019A (ja) シール部材及びシール部材を備えたカートリッジ
JP2004117726A (ja) 支持部材、帯電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H1138741A (ja) 画像形成装置
JP2004077820A (ja) 現像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92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4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