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67371B1 - 엘리베이터 통신장치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 통신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67371B1
KR100467371B1 KR10-2002-0023008A KR20020023008A KR100467371B1 KR 100467371 B1 KR100467371 B1 KR 100467371B1 KR 20020023008 A KR20020023008 A KR 20020023008A KR 100467371 B1 KR100467371 B1 KR 1004673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munication device
elevator
signal
wireless communication
c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230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83490A (ko
Inventor
나구라히로카즈
이나바히로미
호카리사다오
후지노아츠야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가이샤 히다치 세이사꾸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가이샤 히다치 세이사꾸쇼 filed Critical 가부시끼가이샤 히다치 세이사꾸쇼
Publication of KR200200834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834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673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67371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3/00Applications of devices for indicating or signalling operating conditions of elev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34Details, e.g. call counting devices, data transmission from car to control system, devices giving information to the control system
    • B66B1/46Adaptations of switches or switchgear
    • B66B1/467Adaptations of switches or switchgear characterised by their mounting pos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34Details, e.g. call counting devices, data transmission from car to control system, devices giving information to the control syste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34Details, e.g. call counting devices, data transmission from car to control system, devices giving information to the control system
    • B66B1/3415Control system configuration and the data transmission or communication within the control syste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3/00Applications of devices for indicating or signalling operating conditions of elevators
    • B66B3/02Position or depth indicators
    • B66B3/023Position or depth indicators characterised by their mounting posi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Indicating And Signalling Devices For Elevators (AREA)
  • Elevator Control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Abstract

운전패널과 단말간의 무선통신에 의하여 카내의 전기배선의 수가 감소한다. 또한 운전패널과 단말기가 비교적 근거리에서 서로 통신하기 때문에, 통신의 신뢰성 및 확실성이 향상된다.

Description

엘리베이터 통신장치{ELEVATOR COMMUNICATIONS APPARATUS}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통신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엘리베이터 카(car) 내부의 운전패널은 행선층등록버튼과 그 응답등(response light)이 마련된 제어입력기 및 카의 현재위치를 나타내기 위해서 카내의 상부에 설치된 표시기를 포함한다. 종래의 기술에서는, 제어입력기 및 표시기를 카의 벽에 형성된 구멍에 끼워 넣는다. 행선층등록버튼, 응답등 및 표시등의 수에 따라 많은 배선이 각 운전패널로부터 인출되어 있으며, 1 : 1로 카 상부의 기구상자에 접속된다.
도 3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제어입력기의 외부구조도로서, (a)는 정면도이며 (b)는 측면도이다. 도 3에서, 도면번호 24 내지 31은 행선층등록버튼 및 등록층응답등을 나타낸다. 도면번호 22는 도어열림요구버튼, 도면번호 23은 도어닫힘요구버튼, 도면번호 21은 관리자호출버튼, 도면번호 20은 스피커 및 마이크, 도면번호 33은 관리자용커버, 도면번호 34는 장식패널, 도면번호 36은 제어입력기본체, 도면번호 35는 카의 벽면, 도면번호 37은 배선을 나타낸다.
도 4는 종래의 기술에 따른 표시기를 나타내는 외부구조도로서, (a)는 정면도이고 (b)는 측면도이다. 도 4에서, 도면번호 51 내지 58은 위치표시등, 도면번 호 50 및 도면번호 59는 운전방향표시등을 나타낸다. 도면번호 60은 장식패널, 도면번호 61은 표시기본체, 도면번호 35는 카의 벽면, 그리고 도면번호 37은 배선을 나타낸다.
종래의 기술에 따르면, 제어입력기 및 표시기를 포함하는 운전패널본체는 장식패널을 제외하고 배선은 카내에서 직접 볼 수 없도록 카 벽내에 끼워진다.
이하, 도 2를 참조하여 종래의 기술에 따른 엘리베이터의 구성과 작동을 설명한다.
도 2에서, 도면번호 1은 엘리베이터 카를, 도면번호 2는 승강로 벽, 도면번호 3은 기구상자, 도면번호 5는 제어장치, 도면번호 4는 기구상자(3)와 제어장치(5) 사이를 접속하는 테일코드(tail code), 도면번호 6은 활차(sheave), 도면번호 7은 카내 조명등, 도면번호 8 및 9는 제어입력기를, 도면번호 10은 표시기, 도면번호 15는 제어입력기(8, 9)와 표시기(10)를 포함하는 운전패널과 기구상자(3) 사이를 접속하는 배선을 나타낸다.
승객이 제어입력기(8, 9)의 행선층등록버튼을 누르면, 배선(15)에 해당하는 케이블의 전압에 변화가 생긴다. 이 변화는 배선(15)에 접속된 기구상자내의 마이크로컴퓨터에 입력되어, 행선층등록버튼이 눌러졌음을 판단한다. 그러면, 테일코드(4)를 통하여 행선층등록신호가 제어장치(5)로 송신된다. 이 신호를 받은 제어장치(5)는 행선층등록내용에 따라 카를 작동시킨다. 또한, 기구상자는 눌러진 행선층등록버튼에 해당하는 등록층응답등에 접속된 배선에 전력을 공급하여, 등록층응답등을 점등시킨다.
상기에 설명한 바와 같이, 엘리베이터 카내의 운전패널과 기구상자간에는 배선을 통하여 신호가 교환된다.
일본국 특개소 제 60-102377호 및 제 63-282076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카와 기계실 사이의 배선에 대하여 무선통신을 이용함으로써 배선의 사용을 최소화하려는 노력은 이전에도 있었다. 또한, 무선(적외선)으로 카내의 운전패널과 엘리베이터 제어장치 사이의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기술은 일본국 특개평 제 06-92560호 에 개시되어 있다. 또한, 무선통신을 통하여 엘리베이터의 승객입구 표시기와 기계실간에 배선의 사용을 최소화하는 기술은 일본국 특개평 제 03-46979호에 개시되어 있다.
상기 서술된 종래의 기술에서, 운전패널과 기구상자 사이의 배선은 행선층 등록버튼, 등록층 응답등 및 카위치 표시등의 수와 1 : 1의 로 그에 대응하는 수만큼의 배선이 만들어진다. 엘리베이터가 설치된 빌딩의 층수가 많아질수록, 배선의 수도 그 비율로 증가되어야 하므로, 그 결과 더 많은 시간과 노동력이 배선작업에 소비된다. 게다가, 운전패널 밖으로 인출된 배선이 카내에서는 보이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는 운전패널을 카벽의 구멍에 끼워 넣어야 한다. 이것은 카벽에 구멍이 형성될 것을 요구한다. 그뿐 아니라, 어떤 이유로 운전패널의 설치위치가 변경되거나, 카의 내부를 개조할 될 경우, 상기 구멍을 메우거나 카벽 전체를 새로운 것으로 교체해야 한다. 지금까지 이것은 비용증가를 가져왔다.
본 발명의 목적은 카내에 사용되는 배선의 수를 최소화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 통신장치를 제공하여 상기의 문제점들을 해결하는 것이다.
이들 문제점을 해결하는 방법 중 하나는 운전패널과 엘리베이터 제어장치 사이를 접속함으로써 비교적 짧은 거리에서 엘리베이터 카내에 설치된 운전패널과 무선통신하는 단말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 방법은 카내의 운전패널과 단말기간의 무선통신을 가능케하여, 카에 사용되는 배선의 수를 줄인다. 또한, 운전패널과 단말기간에는 비교적 짧은 거리에서 통신이 행해진다. 이것은 잡음의 영향을 줄이고 통신의 신뢰성 또는 확실성을 향상시킨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로서 엘리베이터의 통신장치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엘리베이터의 구성도,
도 3은 종래기술에 따른 제어입력기의 외부구조도,
도 4는 종래기술에 따른 표시기의 외부구조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로서 제어입력기의 외부구조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로서 표시기의 외부구조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서 통신의 세부내용을 예시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서 통신방법을 도시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서 무선 단말기의 내부구조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서 제어입력기의 내부구조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서 표시기의 내부구조도,
도 12는 제어장치의 송신절차를 도시한 플로우차트,
도 13은 수신시의 처리절차를 도시한 처리도,
도 14는 행선층등록버튼을 눌렀을 때 마이크로컴퓨터내에서 수행되는 처리절차를 도시한 처리도,
도 15는 추가로 등록된 층신호의 포맷을 도시한 도면,
도 16은 타이머 인터럽트(interrupt) 시간에서 수행하게 될 처리절차를 도시한 처리도,
도 17은 표의 포맷을 도시한 도면,
도 18은 표의 포맷을 도시한 도면,
도 19는 타이머 인터럽트 번호 및 요구번호의 타이밍을 도시한 도면,
도 20은 제어입력기가 인터럽트될 때 수행하게 될 처리절차를 도시한 처리도,
도 21은 추가등록 완료신호의 포맷을 도시한 도면,
도 22는 등록층 소등신호(light-off)의 포맷을 도시한 도면,
도 23은 도어 열림/닫힘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절차를 도시한 도면,
도 24는 무선단말기가 인터럽트될 때 수행하게 될 처리도,
도 25는 무선단말기가 인터럽트될 때 수행하게 될 처리도,
도 26은 표시기 단말기가 인터럽트될 때 수행하게 될 처리도,
도 27은 카위치 신호의 포맷을 도시한 도면,
도 28은 운전패널용 배터리 관리를 도시한 처리도,
도 29는 운전패널에 의하여 발생된 조명제어신호의 포맷을 도시한 도면,
도 30은 운전패널의 반출경보시스템의 작동을 도시한 도면,
도 31은 본 발명에 따른 제2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32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서 무선단말기의 내부구조도,
도 3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서 고장검출 및 전환의 처리도,
도 34는 반송요구신호의 포맷을 도시한 도면,
도 35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실시예를 서술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제1실시예로서의 엘리베이터 통신장치를 도시한다. 도 1에서, 도면번호 11은 카(1)의 상부에 제공된 기구상자(3)의 내부에 설치된 무선단말기를 나타내며, 테일코드(4)를 통하여 엘리베이터 제어장치(5)에 연결된다. 도면번호 12는 각 운전패널과 무선단말기 내부의 무선통신장치에 접속된 안테나를 나타내며, 도면번호 13은 태양전지를 나타낸다. 그 밖의 번호들은 도 2에서 도시된 번호와 동일한 의미로 사용된다. 카(1)내에 위치한 무선단말기(11)의 위치는 필요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본 실시예는 카(1)내에 위치한 세 개의 운전패널(8, 9, 10)과 한 개의 무선단말기(11)를 포함하는 시스템이다. 이들 세 개의 운전패널 중에서 두 개(8, 9)는 제어입력기로서, 하나(10)는 표시기로서의 기능을 한다. 이하에서, 제어입력기(8)는 제어입력기 1로 불리워질 것이며, 제어입력기(9)는 제어입력기 2로 불리워질 것이다. 각 운전패널의 전원으로서, 카내의 조명등(7)에 의해서 발산되는 빛은 태양전지(13)에 의해서 전력으로 바뀌어 2차전지에 저장된다. 운전패널과 제어장치(5)간의 무선통신에 의하여 운전패널과 무선단말기(11)간에 신호가 교환된다. 무선단말기(11)와 제어장치(5)간의 통신은 테일코드(4)를 통하여 행해진다.
운전패널(8, 9, 10)은 각 운전패널에 내장된 무선통신장치 및 무선단말기 그 자체에 내장된 무선통신장치를 통하여 무선단말기(11)와 무선통신한다. 운전패널에서 무선단말기(11)로 송신된 신호는 무선단말기(11)를 통하여 무선으로 제어장치(5)에 송신된다. 즉, 무선단말기(11)를 거친 후 또는 무선단말기(11)에 의하여 어떤 신호처리 또는 데이터 처리 후에 테일코드를 통하여 무선단말기(11)로부터 신호가 송신된다. 이와 유사하게, 제어장치(5)로부터 송신된 신호도 또한 무선단말기(11)를 통하여 각 운전패널에 송신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각 운전패널과 무선단말기(11) 사이의 통신에 관련된 신호는 무선단말기(11)와 제어장치(5) 사이에서 교환된다. 즉, 무선단말기(11)를 통하여 운전패널과 제어장치(5)간에 통신이 행해진다.
운전패널(8, 9, 10)은 카내에 설치되고, 또한 무선단말기(11)도 같은 카내에 장착되기 때문에 각 운전패널과 무선단말기(11)는 서로 근접하게 위치된다. 그러므로, 각 운전패널과 무선단말기(11)간의 통신은 외부의 잡음에 의한 영향을 덜 받는다. 또한, 각 운전패널과 무선단말기(11)가 서로 근접하게 위치되기 때문에, 그것들 사이의 무선통신을 위하여는 소전력 무선송신과 같은 근거리 무선송신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통신장치의 주파수대가 322㎒ 이하이고, 무선통신장치부터 3m 떨어진 전기장의 강도는 500 ㎶/m 이하일 수 있다. 상기 무선통신장치의 주파수대를 322㎒ 내지 10㎓의 범위내로 하고, 무선통신장치부터 3m 떨어진 전기장의 강도는 35 ㎶/m 이하로 할 수 있다. 또는 무선통신장치의 주파수대는 10㎓ 내지 150㎓의 범위내로 하고, 무선통신장치부터 3m 떨어진 전기장의 강도를 500 ㎶/m 이하로 할 수 있다. 또는 무선통신의 안테나 전력을 10mW이하로 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제어입력기 및 표시기를 설명한다.
도 5는 본 실시예에서의 제어입력기를 나타낸 외부구조도로서, (a)는 정면도, (b)는 측면도이다. 도 5에서, 도면부호(70)은 태양전지, 도면부호(71)은 내장된 무선통신장치의 송/수신 안테나, 도면부호(72)는 입력기본체, 도면부호(35)는 카벽을 나타낸다. 그 밖의 번호들은 도 3의 번호와 같은 의미로 사용된다.
도 6은 본 실시예에서의 표시기를 나타낸 외부구조도로서, (a)는 정면도, (b)는 측면도이다. 도 6에서, 도면부호(80)은 태양전지, 도면부호(81)은 내장된 무선통신장치의 송/수신 안테나, 도면부호(82)는 표시기본체, 도면부호(35)는 카벽을 나타낸다. 그 밖의 번호들은 도 4에서와 같은 의미로 사용된다. 본 발명은 통신및 전력용 배선의 사용을 줄임으로써 즉, 운전패널로부터 인출되는 배선을 줄임으로써, 운전패널이 비매입(non-embeded)방식으로 카벽면에 장착될 수 있게 한다. 즉,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운전패널은 외관을 해치지 않고 카벽면에 장착될 수 있다. 또한 운전패널의 뒷면, 즉 카의 벽면을 향하는 면에 자석 또는 흡입컵을 설치함으로써, 운전패널을 카의 벽면에 착탈가능하게 장착할 수 있다.
이하, 도 7을 참조하여 각 운전패널, 무선단말기 및 제어장치간의 통신의 개요를 설명한다.
도 7에서, 도면번호 5는 제어장치를, 도면번호 8은 제어입력기 1을, 도면번호 9는 제어입력기 2를, 도면번호10 및 11은 무선단말기를 나타낸다.
도면번호 90는 무선단말기(11)로부터 제어장치(5)로의 신호를 나타낸다. 상기 신호는 추가로 등록된 층신호, 카조명 소등요구신호 및 음성신호를 포함한다. 다음에 기술되는 바와 같이, 추가로 등록된 층신호는 제어입력기의 행선층등록버튼을 눌렀을 때 발생되는 신호이다. 이러한 방식으로, 신호는 무선단말기(11)를 통하여 제어장치(5)로 송신된다. 음성신호는 관리자호출버튼을 눌렀을 때 관리자와 승객간에 교환되는 대화를 말한다.
도면번호 91은 제어장치(5)에서 무선단말기(11)로 송신된 신호를 나타낸다. 상기 신호는 추가등록완료신호, 등록층 소등신호, 카위치신호, 도어열림/닫힘신호, 카조명제어신호 및 음성신호를 포함한다. 상기 추가등록완료신호는 전술한 추가로 등록된 층신호가 제어장치(5)에 수신되었음을 무선단말기(11)에 알리는 데 사용된다. 상기 등록층 소등신호는 예를 들어, 카가 등록된 층에 도착했을 때 등록층 응답등의 소등을 지시하는 신호이다. 상기 카위치신호는 현재 카위치를 표시기에 알리기 위하여 무선단말기(11)를 통해서 표시기(10)에 송신되는 신호이다.
도면번호 92는 제어입력기 1에서 무선단말기(11)로 송신되는 신호를 나타내며, 추가로 등록된 층신호, 도어열림/닫힘 신호, 카조명 제어신호, 반송요구 응답신호 및 음성신호를 포함한다. 다음에 기술되는 바와 같이, 카조명 제어신호는 제어입력기 1의 2차전지의 잔류전력이 소정값 이하로 감소된 경우, 태양전지가 기전력을 발생시켜 2차전지를 충전할 수 있게 카내의 조명등을 점등하도록 무선단말기(11)에 요구하는 신호이다. 또한, 충전이 완료된 때에는 소등을 요구한다. 다음에 상세히 기술하는 바와 같이, 반송요구 응답신호는 무선단말기(11)로부터 제어입력기 1로 발신된 반송요구신호용 응답신호이다.
도면번호 93은 무선단말기(11)로부터 제어입력기 1로 송신된 신호를 나타낸다. 여기에는 추가등록완료신호, 등록층점등신호, 등록층소등신호, 경보제어신호, 반송요구신호 및 음성신호가 포함된다. 상기 등록층점등신호는 무선단말기(11)가 제어장치(5)로부터 추가등록완료신호를 수신했을 때, 추가로 등록된 층신호의 송신원 이외의 제어입력기에 새로 등록된 층을 알리는 신호이다. 상기 경보억제신호는 제어입력기에 내장된 경보 버저(buzzer)의 울림을 억제하는 신호이다. 제어입력기가 누군가에 의하여 카로부터 떼내어진 경우, 본 구성에 따라 제어입력기인 운전패널이 경보를 울린다. 정상적인 경우에는, 제어입력기가 경보억제신호를 수신하기 때문에 경보가 울리지는 않는다. 반송요구신호는 무선단말기(11)와 제어입력기 1간에 통신이 올바로 수행되는 지를 확인하기 위해서 발신된 신호이다. 이 신호를 수신한 제어입력기 1은 반송요구 응답신호원인 무선단말기(11)로 신호를 발신한다. 일정시간의 경과 후에도 반송요구 응답신호가 수신되지 않으면, 통신에러나 또는 무선단말기(11)에 내장된 무선통신장치의 고장이 생긴 경우일 수 있다.
도면번호 94는 무선단말기(11)로부터 제어입력기 2로 송신된 신호이다. 신호의 세부사항은 도면번호 93과 동일하다.
도면번호 95는 제어입력기 2로부터 무선단말기(11)로 송신된 신호이다. 신호의 세부사항은 도면번호 92와 동일하다.
본 발명에서 상기 기술된 신호 중, 신호(92~97)는 무선으로, 신호(90, 91)는 테일코드에 의한 유선통신으로 송신된다. 하지만, 테일코드에 의한 통신이 무선으로 수행될 수도 있다. 또한, 제어입력기 및 표시기의 수는 증가될 수 있다.
이하, 도 8을 참조하여 무선단말기, 제어입력기 1, 제어입력기 2 및 표시기에 의하여 수행되는 통신방법을 서술한다. 도 8에서, 도면번호 100는 무선단말기의 시간축을, 도면번호 101은 제어입력기 1의 시간축을, 도면번호 102는 제어입력기 2의 시간축을 도면번호 103은 표시기의 시간축을 나타낸다. 도면번호 104 내지 111은 음성데이터를 나타낸다. 도 8에서 위치는 상기 음성데이터의 송신원과 송신시각을 나타낸다. 폭은 송신에 필요한 시간을 나타낸다. 도면번호 120 내지 126은 비음성데이터를 나타낸다. 음성데이터의 경우와 유사하게, 위치는 데이터의 송신원과 송신시각을 나타낸다. 폭은 송신에 필요한 시간을 나타낸다. 음성데이터 및 비음성데이터의 행선지는 화살표가 지시하는 시간축상에 위치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각 무선통신장치는 송신과 수신간을 재빨리 전환함으로써 데이터를 교환한다. 또한 각 데이터는 행선지에 의하여 방향이 정해져 있어서, 그 자체에 어드레스된 신호 이외의 것은 무시될 수 있다. 송신시간에 관해서, 특히 음성데이터의 경우에 대화가 끊기게 되는 것을 막기 위하여, A/D 변환된 데이터가 작은 패킷으로 형성되어, 거의 일정한 시간간격으로 송신된다.
이하, 상술된 기능을 실현하기 위한 무선단말기, 제어입력기 및 표시기의 내부구성을 설명한다.
도 9는 무선단말기(11)의 내부구성도이다. 도 9에서, 파선내부의 영역은 무선단말기(11)를 도시한다. 도면번호 160은 무선통신장치, 도면번호 12는 안테나, 도면번호 150은 무선통신장치내의 송신기, 도면번호 151은 무선통신장치내의 수신기, 도면번호 152는 무선통신장치 전체의 제어용 제어장치를 나타낸다. 도면번호 153는 기기번호 설정스위치를 나타낸다. 이 스위치에 의해서 설정된 값은 데이터 송신을 위한 행선지를 나타낸다. 도면번호 155는 제어장치(5)로부터 테일코드를 통하여 송신된 아날로그신호를 디지털신호로 변환하며, 그 신호를 무선통신장치(160)에 입력하는 A/D 변환기이다. 도면번호 156는 D/A 변환기이다. 무선통신장치(160)로부터 송신된 디지털신호는 아날로그신호로 변환되어, 제어장치(5)에 송신된다. 도면번호 157은 도어모터구동기를, 158은 카내의 조명기를 나타낸다. 도면번호 154는 무선통신장치(160), 제어장치(5), 도어모터구동기(157) 및 조명기(158)에 접속된 마이크로컴퓨터로서 그것들과 통신 및 제어를 한다. 이 구성에서, 무선통신장치(160)가 데이터를 수신한 경우, 무선통신장치는 마이크로컴퓨터(154)에 IRQ2 인터럽트 요구를 송신한다. IRQ2를 수신하면, 마이크로컴퓨터(154)는 무선통신장치(160)로부터 데이터의 수신을 시작한다. 또한, 제어장치(5)가 무선단말기(11)에 데이터를 송신하는 경우에는, 마이크로컴퓨터(154)에 IRQ7 인터럽트를 송신한다.
IRQ7를 수신하면, 마이크로컴퓨터(154)는 제어장치로부터 데이터의 수신을 시작한다.
도 10은 제어입력기의 내부구성도이다. 도 10에서, 도면번호 13은 카조명에 반응하여 전력을 발생시키는 태양전지, 도면번호 181은 상기 전지(13)에 의하여 발생된 전력을 저장하는 2차전지, 180은 2차전지(181)의 전력이 태양전지(13)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류방지다이오드, 도면번호 182 및 183은 제2전지(181)의 전압을 분압하는 분압저항, 184는 분압저항(182, 183)에 의하여 분압된 전압을 VBAT로서 마이크로컴퓨터(154)로 입력되는 디지털신호로 전환하는 A/D 변환기를, 194는 무선통신장치(160)에 의하여 수신된 디지털음성신호를 아날로그신호로 변환하는 D/A 변환기, 그리고 도면번호 195는 D/A 변환기의 출력을 증폭시키고 스피커(200)를 구동하는 증폭기를 나타내며, 도면번호 197은 마이크로폰(201)으로부터의 출력신호를 증폭시키는 증폭기, 도면번호 196은 증폭기(197)의 아날로그신호를 디지털신호로 변환하고 무선통신장치(160)에 그 신호를 송신하는 A/D 변환기, 도면번호 198은 소정간격(예를 들어, 1초)으로 마이크로컴퓨터(154)가 인터럽트 신호 IRQ5를 송신하도록 요구하는 타이머회로, 도면번호 199는 마이크로컴퓨터(154)에 의해서 구동된 버저, 도면번호 185는 행선층등록버튼, 도면번호 186 및 190은 풀업(pull-up) 저항을 나타낸다. 도면번호 187은 NOT 회로, 도면번호 193은 AND 회로, 도면번호 191은 행선층응답등, 도면번호 192는 전류제한저항, 도면번호 188은 도어열림요구버튼, 도면번호 189는 도어닫힘요구버튼을 나타낸다. 그 밖의 코드 및 기능은 도 9에서와 동일하게 사용된다. 다음은 도 10의 회로동작을 간략히 설명한다. 행선층등록버튼(185) 중 어느 하나가 눌러진 경우, IRQ1 요구입력단자에 접속된 AND 회로(193)의 출력은 HIGH에서 LOW로 변경된다. 마이크로컴퓨터(154)는 IRQ1 요구입력단자가 HIGH부터 LOW로 변하는 때에, IRQ1 인터럽트를 수신하는 방식으로 미리 프로그램되어 있다. 또한, 마이크로컴퓨터는 IRQ1 인터럽트의 수신하면 NOT 회로(187)의 출력에 접속된 입력포트를 검출하는 방식으로 프로그램된다. 이는 행선층 등록버튼이 눌러질 때만 입력포트가 검출되게 한다. 입력포트용 스위치 및 행선층등록버튼(185)은 각각 NOT 회로를 통하여 1 : 1로 연결된다. 버튼을 눌렀을 때, 대응 입력포트의 비트는 "1"로 설정된다. 한편 출력포트의 경우에, 행선층응답등의 각 표시등이 전류제한 저항(192)을 통하여 1 : 1로 출력포트에 접속되고, 출력포트의 대응하는 비트가 "1"로 설정될 때 상기 표시등은 점등된다. 또한 도어열림요구버튼(188)을 누름으로써, 마이크로컴퓨터는 IRQ4 인터럽트 신호하나만을 송신하도록 요구된다. 따라서, IRQ4 인터럽트 신호하나만을 수신하면, 마이크로컴퓨터는 무선단말기에 도어열림신호를 송신하도록 프로그램되어 있다. 또한, 도어닫힘요구버튼도 이와 유사한 방식으로 구성된다. 이 처리는 도 23(a) 및 도 23(b)에 도시되어 있다. 이러한 마이크로컴퓨터(154)에는 다수의 인터럽트 요인이 존재한다. IRQ4를 최우선으로 설정함으로써 안전성이 보장되며 (다음에 기술될) 경보해제 키(key)가 입력될 수 있다.
도 11은 표시기의 내부구성을 도시한다. 도 11에서, 220은 카위치 표시기등을 나타내며, 그 밖의 코드 및 기능은 도 9 및 10에서와 동일한 의미로 사용된다. 이하, 도 10에 주어진 제어입력기에 장착된 경우를 참고로, 각 운전패널에 장착된 무선통신장치(160)의 제어장치(152)의 작동을 설명한다. 먼저, 송신의 경우를 설명한다. 그리고 나서, 수신의 경우를 설명한다. 도 12는 제어장치(152)의 송신절차를 보여주는 플로우차트이다. 우선 마이크로컴퓨터(154) 또는 A/D 변환기의 출력신호가 제어장치(152)에 입력되면, 안테나는 송신기 측으로 전환된다. 다음 단계 232에서, 데이터가 음성데이터인지 아닌지를 판단한다. 음성데이터이면, 시스템은 단계 233으로 진행되고, 데이터 종류가 음성데이터로서 패킷으로 형성된다. 다음,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주기로 송신된다. 단계 232에서의 판단에 따라 데이터가 음성데이터가 아닌 경우에는, 패킷으로 조립되고,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상적으로 송신된다. 송신완료 후, 안테나는 수신기 측으로 전환되고 시스템은 수신상태에서 다음명령을 기다린다.
이하, 도 13을 참조하여 수신시점에서의 처리를 설명한다. 수신기(151)가 신호를 수신하면 그 신호가 자신에게 어드레스되는 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단계 263에서 행선지를 체크한다. 그렇다면, 단계 261에서 패킷은 분해되고 데이터 종류를 체크한다. 단계 265에서는 상기 데이터가 음성데이터인지 아닌지를 판단한다. 만약 그렇다면, 그 정보는 D/A 변환기에 출력되고 이 때 처리는 완료된다. 단계 263에서의 판단에 따라 자신에게 어드레스되지 않았다면, 처리는 종료된다. 단계 265의 판단에 따라 데이터가 음성데이터가 아니면, IRQ2 요구신호가 마이크로컴퓨터(154)에 출력되고 상기 데이터는 마이크로컴퓨터(154)에 송신된다. 그러면 처리는 종료된다.
이하, 도 14를 참조하여 도 10의 제어입력기에 대하여 행선층등록버튼이 눌러진 경우에 마이크로컴퓨터 내부의 처리 단계를 기술한다. 행선층등록버튼(185) 중 어느 하나가 눌러지면, 상술된 바와 같이 IRQ1 인터럽트 요구신호가 발생된다. 인터럽트 요구 신호를 수신하면, 처리는 단계 291로 이행하며, 입력포트의 검출결과가 레지스터 R2에 저장된다. 이 경우, 레지스터(R2)내의 각 비트의 상태는 행선층등록버튼과 1 : 1의 관계를 갖는다. 대응하는 비트가 "1"이면, 버튼이 눌러졌음을 나타낸다. 단계 292에서, 현재의 점등상태가 레지스터 R1에 저장된다. 이는 출력포트의 상태를 유지하고 있는 레지스터의 내용이 상기 R1으로 송신될 때 실현될 수 있다. 단계 293에서, 레지스터 R1와 레지스터 R2간에 비트열의 논리 OR 연산이 실시되며, 그 결과는 레지스터(R3)에 저장된다.
그 결과로, 현재의 행선층등록정보에 부가하여 새로운 행선층등록정보가 레지스터 R3에 기록된다. 다음 단계 295에서는, R1의 내용이 R3의 내용과 상이한 지 아닌 지를 판단한다. 그들이 상이하다는 것은 미리 등록된 행선층등록버튼과는 다른 행선층등록버튼이 눌러졌다는 것을 의미한다. 단계 295에서의 판단에 따라 그들이 상이하지 않은 경우에는, 단계 302로 이행하고 처리는 종료된다. 단계 295에서 그들이 상이하다고 알려진 경우, 처리는 단계(296)로 이행하며 요구번호가 발행된다. 상기 요구번호는 0으로부터 255까지에서 모여진 8비트로 표현될 수 있다. 매 발행당 1이 더해진다. 255에 도달한 후에는, 0으로 되돌아간다. 상기 프로세스가 반복된다. 제어장치로부터의 추가등록완료신호가 없으면, 상기 요구번호는 (다음에 기술될) 단계(300)의 처리결과를 취소하는 데 사용된다. 그 다음, 단계 297에서, 레지스터 R3와 레지스터 R1간에 비트열의 논리 XOR (배타적 논리합) 연산이 수행되며, 그 결과는 레지스터 R2에 저장된다. 이 계산의 결과로, 새로운 행선등록층에 대응하는 비트만이 "1"되어 레지스터 R2에 남는다. 이미 등록된 층에 대응하는 비트는 "0"이 된다. 다음에 단계 298 에서, 레지스터 R2의 내용은 단계 296에 발행된 요구번호와 함께 도 17에 도시된 포맷의 표 1에 저장된다. 도 17에서, 예를들어 이 엘리베이터 시스템이 B1층부터 7층까지의 빌딩에 설치되어 있다고 가정할 때, 가장 오른쪽 위치의 비트가 지하 1층에 대응한다면 경우 표 1의 요구번호 0으로 추가로 등록된 층은 3층이 된다. 다음 단계 299에서, 요구번호는 변수 e_req에 저장된다. 이 조작은 가장 최근에 발행된 요구번호가 변수 e_req에 저장되게 한다. 다음 단계(300)에서 점등데이터는 레지스터 R3의 내용으로 갱신된다. 이는 행선층표시응답등이 현재의 행선층응답에 추가된 새로 눌러진 행선층 등록버튼에 대응하는 응답등에 의해서 갱신되게 한다. 다음 단계 301에서, 레지스터 R2의 내용은 요구번호와 함께 무선단말기로 송신된다. 이는 새롭게 발생한 등록층정보와 요구번호가 무선단말기에 송신되게 한다. 도 15는 이 경우에 송신될 추가로 등록된 층신호의 데이터 포맷을 도시한다. 도 15에서, 도면번호 350은 송신의 행선지(수신기), 351은 송신원(발신기)을 352는 데이터 종류(추가로 등록된 층), 353은 요구번호 및 354는 추가로 등록된 층 데이터를 나타낸다.
도 16은 도 10의 타이머 회로에 의해서 1초 주기로 발행된 IRQ5 인터럽트요구신호에 반응하여 기동되는 처리를 도시한다. 상기 도면은 1초 이상 경과 후에도 추가등록완료신호를 얻게 될 수 없는 경우에 추가로 등록된 층신호에 대한 행선층응답등을 소등하는 처리를 도시한다. IRQ5 인터럽트신호를 수신하면, 단계 381의 메모리로부터 타이머 인터럽트번호(t_num)가 판독된다. 상기 타이머 인터럽트 번호(t_num)는 0부터 3까지 2비트로 표현된다. 다음에 서술되는 바와 같이, IRQ5의각 인터럽트에 대하여 3 다음에는 다시 0이 된다. 이것은 이후에 반복된다. 타이머 인터럽트 번호는 단계 382, 384, 385에서 업데이트된다. 다음 단계 386에서, 상술된 변수 e_req로부터 최근에 업데이트된 요구번호가 인출되어 t_num와 함께 표 2의 L_req로 저장된다.
도 18은 표 2의 포맷을 도시한다. 단계 387 내지 단계 393에서, 현재의 타이머 인터럽트 번호(t_num)를 기초로, 표 2를 참조하여 2초전의 IRQ5 인터럽트 시에 최근에 업데이트된 요구번호 및 1초전의 IRQ5 인터럽트 시에 최근에 업데이트된 요구번호가 인출된다. 다음 단계 394에서, 표 1을 참조하여 단계 387 내지 단계 393에서 인출된 두 개의 요구번호 사이에 발생된 추가로 등록된 층 데이터의 비트열의 논리 OR 연산이 수행된다. 계산의 결과는 레지스터(R4)에 저장된다. 다음 단계 395에서, 레지스터 R4의 비트열의 논리 NOT 연산이 수행되며, 그 결과는 다시 레지스터(R4)에 저장된다. 다음 단계 396에서, 레지스터 R4의 내용과 현재의 점등내용간에 비트열의 논리 AND 연산이 수행되며, 그 결과는 표시기를 업데이트 하는 데 사용된다.
상기 서술된 단계(380)부터 단계(397)까지의 일련의 처리는 1 내지 2초전에 부가된 추가로 등록된 층에 대응하는 모든 행선층응답등을 소등한다. 하지만, 평상시에는 추가로 등록된 층에 대응하는 행선층응답등은 꺼지지 않는다. 이는 추가로 등록된 층신호에 반응하는 무선단말기(11)를 통하여 제어장치(5)로부터 도 21에도시된 포맷을 구비한 추가등록완료신호가 송신되기 때문이다. 상기 처리는 도 20을 참조하여 설명된다: 무선통신장치(160)가 신호를 수신한 경우, 마이크로컴퓨터(154)에 IRQ2 인터럽트 요구가 송신된다. IRQ2 인터럽트 신호를 수신하면, 무선통신장치로부터 그 신호가 획득되며, 그 내용은 단계 601에서 분석된다. 다음 단계 602에서, 상기 신호가 추가등록완료신호인지 아닌지를 판단한다. 추가등록완료신호인 경우, 단계 603에서 요구번호가 인출된다. 다음, 단계 604에서 인출된 요구번호에 대응하는, 표 1의 추가로 등록된 층 데이터에 대한 모든 비트는 소거되며, 그 처리는 종료된다. 이는 전술한 IRQ5 인터럽트에 의하여 구동된 일련의 처리에 의한 행선층응답등의 소등을 방지한다. 상기 신호가 단계 602의 판단에 따라 추가등록 완료신호가 아닌 경우, 처리는 단계 606으로 이행되며, 상기 신호가 등록층소등신호인지 아닌지를 판단한다. 상기 신호가 등록층 소등신호이면, 레지스터 R5에 소등층정보가 저장된다. 소등층정보는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은 포맷으로 소등될 행선층응답등에 대응하는 비트에 "1"이 할당되는 비트열 데이터이다. 다음 단계 608에서, 레지스터 R5의 비트열의 논리 NOT 연산이 수행되며, 그 결과는 다시 레지스터 R5에 저장된다. 다음 단계 609에서, 레지스터 R5의 내용 및 현재 점등내용간에 비트열의 논리 AND 연산이 수행되며, 그 결과는 표시기를 업데이트하는 데 사용된다. 그러면, 상기 처리는 종료된다. 단계 606의 판단에 따라 신호가 등록층소등신호가 아닌 경우, 처리는 단계 610로 이행한다. 여기에서는 상기 신호가 등록층점등신호인지 아닌지를 판단한다. 상기 신호가 등록층점등신호이면, 처리는 단계 611로 이행하며 점등층정보는 레지스터 R5에 저장된다. 다음 단계 612에서, 레지스터 R5의 내용과 현재의 점등내용간에 비트열의 논리 OR 연산이 실시되고 그 결과는 표시기를 업데이트 하는 데 사용된다. 그러면, 상기 처리는 종료된다. 상기 신호가 단계 610의 판단에 따라 등록층점등신호가 아니라면 처리는 종료된다.
이하, 도 19를 참조하여, 전술한 타이머 인터럽트 번호(t_num)와 추가로 등록된 신호의 발행에 수반하는 요구번호, 및 타이머 인터럽트마다 업데이트된 변수 L_req0 내지 L_req3의 상호 타이밍의 생성을 서술한다. 도 19는 시스템의 기동시부터의 상태를 도시한다. 모든 변수는 0으로 초기화되므로, 최초의 IRQ5 인터럽트가 발생하기 전에는 t_num, 요구번호, L_req0 내지 L_req은 모두 영(0)이다. 첫번째 IRQ5가 발생되었을 때, 타이머 인터럽트 번호는 "1"이 증가하여 그 결과로 t_num=1이 된다. 이 경우, L_req1은 업데이트된다. 바로 직전에 발행된 요구번호는 0이기 때문에, L_req1=0은 변경되지 않은 채로 남아있다. 두번째 IRQ5 인터럽트가 발생할 때, 그것은 업데이트되어 t_num=2로 갱신된다. 이 경우, L_req2는 업데이트된다. 하지만, 요구번호가 0 이후에는 아직 발행되지 않았으므로, 그 결과 L_req2=0이다. 세번째 IRQ5 인터럽트가 발생했을 때, 그것은 업데이트되어 t_num=3으로 갱신된다. 이 경우, 바로 직전에 발행된 요구번호는 1이므로, L_req3=1이 업데이트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1~2초전에 발생된 요구번호는 타이머 인터럽트 IRQ5와 동기로 L_req0 내지 L_req3을 업데이트함으로써 확인될 수 있다. 따라서, 1~2초전에 발생한 모든 추가로 등록된 층은 표 2를 참조하여 식별될 수 있다.
이상, 제어입력기 내부처리순서를 기술하였다. 도 24 및 25를 참조하여, 다음에는 도 9에 도시된 내부구성을 가진 무선단말기(11)의 마이크로컴퓨터 내에서의 처리를 서술한다. 무선통신장치(160)가 자신에게 어드레스된 신호를 수신하였을때, IRQ2 인터럽트 요구가 마이크로컴퓨터로 발행된다. 이 IRQ2 인터럽트를 수신하면,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신호가 추가로 등록된 층신호인지 아닌지를 단계 681에서 판정한다. 추가로 등록된 층신호이면, 수신된 데이터에 포함된 송신원의 기기번호, 요구번호 및, 추가로 등록된 층데이터가 단계 682의 제어장치(5)로 송신되며 처리는 종료된다. 한편 상기 신호가 단계(681)의 판단에 따라 추가로 등록된 층신호가 아닌 경우, 처리는 단계 684로 이행되어, 상기 신호가 도어열림/닫힘신호인지 아닌지를 판단한다. 여기서 이 판단에 따라 상기 신호가 도어열림/닫힘신호이면, 단계 685에서 상기 신호가 도어열림신호인지 아닌지를 판단한다. 이 판단에 따라 도어열림신호인 경우, 처리는 단계 686으로 이행한다. 도어가 열리고 처리는 종료된다. 단계 687의 판단에 따라 도어열림신호가 아닌 경우, 도어가 닫히고 처리는 종료된다. 상기 판단 단계 684에 따라 상기 신호가 도어열림/닫힘신호가 아닌 경우, 단계 688에서 상기 신호가 카조명제어신호인지 아닌지를 판단한다. 이 판단에 따라 그것이 카조명 제어신호이면, 단계 689에서 그것이 점등신호인지 아닌지를 판단한다. 이 판단에 따라 점등신호인 경우, 카조명점등처리가 수행되고 처리는 종료된다. 단계 689의 판단에 따라 점등신호가 아닌 경우, 단계 691에서 카조명 소등요구신호가 제어장치로 송신되고 처리는 종료된다. 단계 688의 판단에 따라 카조명 제어신호가 아닌 경우, 처리는 종료된다.
도 25를 참조하여, 무선단말기가 제어장치(5)로부터 신호를 수신할 때의 처리를 서술한다. IRQ7 인터럽트를 수신하면, 제어장치로부터 데이터가 획득되고, 단계 711에서 그것이 추가등록완료신호인지 아닌지를 판단한다. 추가등록요구원(발신원), 요구번호 및 추가로 등록된 층데이터가 이 때에 수신된 추가등록 완료신호에 부가된다. 여기서 이 판단에 따라 추가등록완료신호인 경우, 요구번호와 함께 추가등록완료신호가 단계 712의 추가등록요구원(발신원)에 송신된다. (그것을 수신한 요구원의 처리는 도 20을 참조로 이미 기술되었다.) 다음 단계 713에서 등록층점등신호는 요구원 이외의 제어입력기에 추가로 등록된 층데이터로서 송신되며, 처리는 종료된다. 이는 행선층등록버튼의 정보가 요구원 이외에도 제어입력기의 행선층응답등에 반영되게 한다. 단계 711의 상기 판단에 따라 추가로 등록된 층데이터가 아니면, 단계 715에서 그것이 등록층소등신호인지 아닌지를 판단한다. 등록층소등신호로 판단되면, 처리는 단계 716로 이행되며, 모든 제어입력기에 등록층소등신호가 송신되며 처리는 종료된다. 단계 715의 판단에 따라 등록층소등신호가 아니면, 처리는 단계 717로 이행되어, 카위치신호인지 아닌지를 판단한다. 이 판단에 따라 카위치신호인 경우, 표시기(10)에 카위치신호가 송신된다. 단계 717에서의 판단에 따라 카위치신호가 아니면 처리는 단계 719로 이행되어 그것이 도어열림/닫힘신호인지 아닌지를 판단한다. 여기서 도어열림/닫힘신호로 판단되면 단계 720에서 도어열림신호인지 아닌지를 판단한다. 이 판단에 따라 도어열림신호이면 단계 721에서 도어열림작동이 수행되며 처리는 종료된다. 단계 720의 판단에 따라 도어열림신호가 아니면 단계 722에서 도어닫힘작동이 수행되며 처리는 종료한다. 단계 719의 판단에 따라 도어열림/닫힘 신호가 아니면, 처리는 단계 723로 이행되어 그것이 카조명제어신호인지 아닌지를 판단한다. 이 판단에 따라 카조명제어신호이면, 단계 724에서 조명점등신호인지 아닌지를 판단한다. 조명점등신호이면 처리는 단계 725로 이행된다. 카조명점등처리가 수행되고 처리는 종료된다. 단계 724의 판단에 따른 조명점등신호가 아닌 경우, 처리는 단계 726으로 이행된다. 카조명소등처리가 수행되며 처리는 종료된다. 단계 723의 판단에 따라 카조명제어신호가 아닌경우 즉시 처리가 종료된다.
이상, 무선단말기(11)의 처리를 기술하였다. 이하, 도 26을 참조하여, 도 11에 도시된 내부구성을 가진 표시기의 컴퓨터내부의 처리를 설명한다. 무선통신장치(160)가 신호를 수신한 때, 마이크로컴퓨터(154)에 IRQ2 인터럽트 요구가 발생한다. IRQ2 인터럽트를 수신하면, 무선통신장치로부터 신호가 획득되며 단계 741에서 내용이 분석된다. 단계 742에서 그 신호가 카위치신호인지 아닌지를 판단한다. 이 판단에 따라 그것이 카위치신호인 경우, 처리는 단계 743으로 이행한다. 현재 표시기가 업데이트되어 수신된 카위치정보로 갱신되며, 처리는 종료된다. 도 27은 이 때에 수신된 카위치신호의 포맷을 도시한다. 신호가 단계 742의 판단에 따라 카위치신호가 아닌 경우, 처리는 즉시 종료된다.
다음에는, 도 28을 참조하여 각 운전패널에 장착된 2차전지의 잔류전력의 관리를 기술한다. 도 28에 도시된 전지관리는 평상시에 실행되거나, 2차전지의 용량에 따라 정기적 또는 비정기적으로 실행된다. 처리가 수행되면 2차전지의 단자의 전압을 나타내는 Vbat와 단계 771에서 전지의 잔류전력이 부족할 때의 전압값을 나타내는 Vbat_low를 비교한다. 여기서, 이전단계의 처리에서 Vbat 〉Vbat_low이 현재의 처리에서 Vbat〈 Vbat_low로 바뀌었다면, 전지의 잔류전력이 소정치이하로 감소된 것이다. 따라서 처리는 단계 772로 이행되고, 차조명점등 요구신호가 무선단말기로 송신된다. 다음 단계 773에서 등록층응답등이나 카위치표시등은 점멸모드로 전환되고 처리는 종료된다. 이러한 점멸작동은 2차전지의 소비를 줄인다. 단계 771에서 판단조건이 맞지 않는 경우, 처리는 단계 775로 이행된다. Vbat와 전지의 잔류전력이 충분한 때의 전압값을 나타내는 Vbat_high을 비교한다. 여기서, 이전단계의 처리에서 Vbat 〈 Vbat_high가 현재처리에서 Vbat 〉Vbat_high로 바뀌었다면, 전지는 충분히 충전된 것이다. 따라서 처리는 단계 776로 이행된다. 그렇지 않으면 처리는 종료된다. 단계 776에서 주단자로 카조명소등요구신호가 송신된다. 그러면 처리는 단계 777로 이행되며 등록층응답등 또는 카위치표시등의 점멸작동은 해제된다.
도 29는 이 처리에 의해서 무선단말기에 송신되는 카조명제어신호의 포맷을 도시한다.
다음에는, 도 30을 참조하여 제어입력기에 장착된 경보시스템의 구성을 기술한다. 도 30에서 (a)는 반출경보시스템의 주처리를 나타내며, (b)는 어떻게 경보해제가 처리되는 지를 보여준다. 본 경보시스템에서, 무선단말기로부터 소정주기(예를 들어, 2초)로 송신되는 경보억제신호가 수신되는 동안에는 버저가 울리지 않는다. 상기 신호가 10초이상 수신되지 않을 때, 버저가 울린다. 특정한 조합의 행선층 등록버튼을 누르면서 동시에 도어열림버튼을 누름으로써 경보가 해제될 수 있다. 이하, 상세하게 기술한다. 반출경보시스템이 기동되었을 때, 단계(801)에서 경보가 해제인지 아닌지를 판단한다. 판단에 따라 해제인 경우, 경보시스템의 작동은 종료된다. 단계 801의 판단에 따라 해제가 아닌 경우, 처리는 단계 803로이행되고 이전의 경보억제신호의 수신 후 10초이상 경과되었는지 아닌지를 판단한다. 10초이상이 경과되었다면, 처리는 단계 804로 이행되어 버저를 울리게 한다. 단계 803의 판단에 따라 10초이상이 경과되지 않았다면, 처리는 단계 801로 되돌아간다. 단계 804에서 버저가 울렸을 경우, 처리는 단계 805로 이행되고 상기 경보가 해제인지 아닌지를 판단한다. 이 판단에 따라 해제이면 처리는 단계 806로 이행한다. 버저는 멈추고 처리는 종료된다. 단계 805의 판단에 따라 경보가 해제가 아니면, 단계 805가 반복된다. 경보가 해제로 판단될 때까지 단계 806의 버저중단처리는 발생하지 않는다. 상기 서술된 바와 같이, 지정된 조합의 행선층등록버튼(경보 해제 키)을 누르면서 도어열림버튼을 누름으로써 경보는 해제될 수 있다. 이 경우, 행선-열림등록버튼이 눌러졌으므로 IRQ1 인터럽트가 수신된다. IRQ1보다는 IRQ4 인터럽트에 더 높은 우선순위가 주어지기 때문에 IRQ1은 중단되고 처리는 단계 807로 이행된다. 그러면, 단계 808에서 도어열림신호의 송신이 시작되지만 경보해제와는 무관하다.
다음 단계 809에서, 입력포트를 검출한 결과가 레지스터 R2에 저장되고 처리는 단계 810로 이행되며, 여기서 R2의 내용이 경보해제키와 일치하는 지 아닌 지를 판단한다. 일치하면, 단계 811에서 경보가 해제되며 처리는 종료된다. 단계 810에서 R2의 내용이 경보해제키와 일지하지 않으면, 처리는 즉시 종료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2차전지의 잔류전력이 소정치이하로 감소되는 경우, 운전패널의 무선통신장치는 카내의 조명등을 점등하는 무선신호를 송신한다. 상기 기능은 본 실시예뿐만 아니라, 무선통신장치와 운전패널에 전력을 공급하는 2차전지및 충전용 태양전지를 포함하며 상기 무선통신장치를 통하여 엘리베이터 제어장치와 통신하는 엘리베이터 통신장치에도 적용될 수 있다. 또한, 2차전지의 잔류전력이 소정치 이하로 감소되면 표시등 또는 운전패널의 응답등이 점멸한다. 상기 기능은 무선통신장치와 운전패널에 전력을 공급하는 2차전지 및 충전용 태양전지를 포함하며 이 무선통신장치를 통하여 엘리베이터 제어장치와 통신하는 엘리베이터 통신장치에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운전패널이 설치된 카내의 벽면으로부터 막 제거되려 할 때, 또는 제거된 후에 카의 외부로 반출될 때, 또는 실제로 카의 외부로 반출되었을 때 운전패널은 경보를 울린다. 이 기능은 본 실시예에서 뿐만 아니라, 무선통신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무선통신장치를 통하여 엘리베이터 제어장치와 통신하는 엘리베이터통신장치에도 적용될 수 있다.
도 31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를 도시하며, 여기에서 무선단말기내부의 무선통신장치는 중복형(redundant configuration)으로 설계된다. 도 31에서, 도면번호 841는 무선통신장치 A, 도면번호 842는 무선통신장치 B를 나타낸다. 다른 번호들은 도 1에서와 동일하게 사용된다. 무선통신장치 A와 무선통신장치 B는 동일한 기능을 가지며, 그 기능은 상술한 무선통신장치(160)의 기능과 동일하다. 평상시에는, 이들 무선통신장치 중 하나가 사용된다. 무선통신장치 A가 평상시에 사용되는 것이라고 가정한다.
도 32는 무선통신장치가 중복형으로 설계된 때의, 무선단말기의 내부구성을 도시한다. 도 32에서, 도면번호 196은 제어장치(5)로부터 송신된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바꾸는 A/D 변환기를 나타낸다. 그 기능은 도 9를 참조로 설명된A/D 변환기(155)의 기능과 동일하다. 도면번호 197는 무선통신장치로부터 송신된 디지털 음성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바꾸는 D/A 변환기를 나타낸다. 그 기능은 도 9를 참조로 설명된 D/A 변환기와 동일하다. 도면번호 843은 A/D 변환기(196)로부터 출력된 신호의 행선지를 따라 무선통신장치 A와 B 사이를 전환하는 스위치를 나타낸다. 도면번호 844는 D/A 변환기(197)로 입력될 음성데이터원에 따라 무선통신장치 A와 B 사이를 전환하는 스위치를 나타낸다. 이것은 도 9에는 보이지 않는 IRQ6 인터럽트 단자가 새로 추가된 것이다. 이것은 상술된 인터럽트 IRQ2와 동일한 기능을 호출하는 인터럽트 요구신호이다.
이하, 도 33을 참조하여, 무선통신장치가 중복형으로 설계된 때의 처리를 기술한다. 도 33에 도시된 것은 무선통신장치 A에서 고장을 정확히 검출하여 무선통신장치(B)로 선택하는 처리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고장검출 및 선택의 기능은 평상시 처리를 방해하지 않는 빈도로 정기적 또는 비정기적으로 수행된다. 단계 860에서 처리가 시작되면, 처리는 단계 861로 이행되고 무선통신장치 A로부터 반송요구신호가 표시기로 송신된다. 도 3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반송요구신호의 포맷은 수신기(900), 발신기(901), 데이타종류(902) 및 반송요구코드(903)로 구성된다. 상기 반송요구신호에서 수신기(행선지)가 표시기에 할당되고, 발신기(발신원)는 무선통신장치 A에 할당되며 반송요구코드에 소정번호가 할당되고 나면, 신호가 송신된다. 상기 신호를 수신하면, 운전패널은 반송요구응답신호에 반송요구코드를 할당하고 그것을 반송한다. 단계 862에서 1초동안 기다린 후, 단계 863에서 표시기로부터 어떤 반송신호가 있는지 없는지를 판단한다. 반송신호가 있으면, 처리는단계 864로 이행되고, 수신된 반송신호요구코드가 송신된 코드와 일치하는 지 아닌 지를 판단한다. 일치하면, 처리는 즉시 종료된다. 단계 863에서 표시기로부터 반송신호가 없거나 반송요구코드와 단계 864에서 송신된 코드가 일치하지 않으면, 처리는 단계 866로 이행되어 무선통신장치 A로부터 제어입력기 1에 반송요구신호가 송신된다. 그 후, 단계 867 내지 단계 869에서 표시기(2)에 행해진 동일한 처리가 반복된다. 반송신호가 있고 요구코드와 일치한다면, 무선통신장치 A는 고장난 것이 아니므로 처리는 종료된다. 반대로, 반송신호가 없거나 코드가 일치하지 않으면, 제어입력기 2로 동일한 반송요구신호가 송신된다(단계 870 내지 단계 873). 여기에서 여전히 반송신호가 없거나 코드가 일치하지 않으면 처리는 단계 876으로 이행된다.
단계 876에서, 무선통신장치 B로부터 반송신호요구신호가 표시기로 송신된다. 단계 877에서 1초동안 기다린 후에, 단계 878에서 표시기로부터 반송신호가 있는지 없는지를 판단한다. 반송신호가 있으면, 단계 879에서 요구코드와 일치하는지 아닌지를 판단한다. 일치하면, 처리는 단계 891로 이행한다. 그러면, 사용될 무선통신장치는 A로부터 B로 전환된다. 단계 878에서 표시기로부터 반송신호가 없거나 단계 879에서 요구코드와 일치하지 않으면, 처리는 단계 881로 이행된다. 무선통신장치 B로부터 반송신호 요구신호가 제어입력기 1로 송신된다. 1초 경과 후, 단계 883에서 반송신호가 있는지를 판단한다. 반송신호가 있으면, 단계 884에서 요구코드와 일치하는지 아닌지를 판단한다. 일치한다면, 단계 891로 이행되고, 사용될 무선통신장치는 A로부터 B로 전환된다. 단계 873에서 반송신호가 없거나, 단계 884에서 요구코드와 일치하지 않으면, 반송신호요구신호는 단계 885에서 무선통신장치 B로부터 제어입력기 2로 송신된다. 단계 886에서, 1초동안 기다린 후, 단계 887에서 반송신호가 있는지 없는지를 판단한다. 반송신호가 있으면, 단계 888에서 수신된 코드와 송신된 코드가 일지하는지 아닌지를 판단한다. 일치한다면, 처리는 단계 891로 이행되고 사용될 무선통신장치는 A로부터 B로 전환된다. 단계 887의 판단에 따라 제어입력기 2로부터 반송신호가 없는 경우, 처리는 단계 889로 이행되어 카내의 통신에러가 제어장치(5)에 통보되며, 처리는 종료된다. 무선통신장치가 단계 891에서 A로부터 B로 전환된 후, 단계 892에서 제어장치(5)에 무선통신장치 A의 고장이 통보된다. 다음 단계 893에서 도 32의 A/D 및 D/A 변환포트는 스위치(843, 844)를 사용하여 무선통신장치 B에 설정된다. 다음 단계 894에서, 무선단말기의 무선통신장치가 A로부터 B로 변경되었음이 모든 운전패널에 통보된다. 이 통보에 응답하여, 모든 운전패널은 무선통신장치 A로부터 무선통신장치 B로 주무선단말기의 행선지를 변경한다.
도 35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를 도시한다. 엘리베이터 카(1)는 3층 빌딩에 설치된 승강로(2000)를 통하여 수직방향으로 운행된다. 편의상, 상기 도면은 상기 카(1)가 1층과 3층에 근접하는 경우를 보여주고 있다. 본 실시예에서, 무선단말기(11)는 각 층의 승객입구(1000)쪽에 제공된다.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한 방법으로, 무선통신장치가 마련된 운전패널(8)이 카(1)의 내부에 설치된다. 또한, 무선단말기(11)와 엘리베이터 제어장치(5)는 무선으로 서로 통신한다. 카(1)가 승객입구에 가까이 위치하는 경우, 즉 무선단말기(11)중 하나가 운전패널(8)에 근접하는 경우, 무선단말기(11)와 운전패널(8)은 그들 각각에 내장되어 있는 무선통신장치를 통하여 서로 무선으로 통신한다.
운전패널(8)과 무선단말기(11)는 서로 근접하는 때에, 서로 통신한다. 운전패널(8)과 무선단말기(11)간의 통신은 외부잡음으로부터 영향을 덜 받는다. 또한 전술한 실시예와 유사하게, 소전력 무선송신으로서 근거리 무선송신이 양자간의 무선통신에 적용될 수 있다. 도 35는 3층 빌딩에 설치된 엘리베이터내의 통신장치를도시한 것이지만 거기에만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예는 임의의 층수의 빌딩에 설치된 엘리베이터에 모두 적용될 수 있다. 근거리 무선송신이 적용될 수만 있다면 즉, 운전패널(8)과 무선단말기(11)가 서로 근접했을 때 서로 통신한다면, 각 층의 승객입구마다 무선단말기(11)가 설치될 필요는 없다. 도 35는 단지 하나의 운전패널만을 보여준다. 하지만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운전패널(8, 9, 10)이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카내의 배선수를 줄일 수 있도록 한다. 운전패널과 단말기가 더 짧은 거리에서 서로 통신하기 때문에, 통신의 신뢰성이나 확실성이 향상된다.

Claims (13)

  1. 엘리베이터의 카내에 제공되며 무선통신장치를 포함하는 운전패널, 및
    상기 무선통신장치를 개재하여 근거리 무선으로 상기 운전패널과 통신하는 단말기를 포함하는 엘리베이터 통신장치에 있어서,
    상기 통신에 관계된 신호가 상기 엘리베이터의 제어장치와 상기 단말기 사이에서 교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통신장치.
  2. 엘리베이터의 카내에 제공되며 무선통신장치를 포함하는 운전패널, 및
    상기 무선통신장치를 개재하여 무선으로 상기 운전패널과 통신하기 위해서 상기 카내에 제공되는 단말기를 포함하는 엘리베이터 통신장치에 있어서,
    상기 통신에 관련된 신호가 상기 엘리베이터의 제어장치와 상기 단말기 사이에서 교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통신장치.
  3. 엘리베이터의 카내에 제공되며 무선통신장치를 포함하는 운전패널, 및
    상기 운전패널에 근접하면 상기 무선통신장치를 개재하여 근거리 무선으로 상기 운전패널과 통신하기 위하여 상기 카의 외부에 제공되는 단말기를 포함하는 엘리베이터 통신장치에 있어서,
    상기 통신에 관련된 신호는 상기 엘리베이터의 제어장치와 상기 단말기 사이에서 교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통신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는 상기 엘리베이터의 승객입구쪽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통신장치.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운전패널은 제어입력기 또는 표시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통신장치.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주파수대역과 전기장의 강도의 한 쌍은,
    상기 무선통신장치의 주파수대역이 322㎒ 이하이고, 상기 무선통신장치로부터 3미터 떨어진 전기장의 강도가 35㎶/m 이하이거나,
    상기 무선통신장치의 주파수대역이 322㎒ 내지 10㎓, 상기 무선통신장치로부터 3미터 떨어진 전기장의 강도가 35㎶/m 이하이거나,
    상기 무선통신장치의 주파수대역이 10㎓ 내지 150㎓, 상기 무선통신장치로 부터 3미터 떨어진 전기장의 강도가 500㎶/m 이하이고,
    상기 무선통신장치의 안테나 전력은 10㎽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통신장치.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운전패널은 외부로 반출되면 경보를 울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통신장치.
  8.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엘리베이터 통신장치는 상기 운전패널에 전력을 공급하는 2차전지 및 상기 2차전지를 충전하기 위한 태양전지를 더욱 포함하되,
    상기 2차전지의 잔류전력이 소정치이하로 감소되면, 상기 무선통신장치가 상기 카내의 조명등을 점등하기 위한 무선신호를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통신장치.
  9.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엘리베이터 통신장치는 상기 운전패널에 전력을 공급하는 2차전지를 더욱 포함하되,
    상기 2차전지의 잔류전력이 소정치 이하로 감소되면, 상기 운전패널의 표시등 또는 응답등이 점멸하는 것을 또한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통신장치.
  10. 엘리베이터의 카내에 제공되며 무선통신장치를 포함하는 운전패널, 및
    상기 무선통신장치를 개재하여 무선으로 상기 운전패널과 통신하는 단말기를 포함하는 엘리베이터 통신장치에 있어서,
    주파수대역과 전기장의 강도의 한쌍은,
    상기 무선통신장치의 주파수대역이 322㎒이하, 상기 무선통신장치로부터 3미터 떨어진 전기장의 강도가 500㎶/m이하이거나,
    상기 무선통신장치의 주파수대역이 322㎒ 내지 10㎓이고, 상기 무선통신장치로부터 3미터 떨어진 전기장의 강도가 35㎶/m이하이거나,
    상기 무선통신장치의 주파수대역이 10㎓ 내지 150㎓이하이고, 상기 무선통신장치로부터 3미터 떨어진 전기장의 강도가 500㎶/m이하이고,
    상기 무선통신장치의 안테나 전력은 10㎽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통신장치.
  11. 엘리베이터 카내에 제공되고 무선통신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엘리베이터의 제어장치와 통신하는 운전패널을 포함하는 엘리베이터 통신장치에 있어서,
    상기 운전패널이 외부로 반출되면 경보를 울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통신장치.
  12. 엘리베이터 카내에 제공되고 무선통신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엘리베이터의 제어장치와 통신하는 운전패널,
    상기 운전패널에 전력을 공급하는 2차전지, 및
    상기 2차전지를 충전하는 태양전지를 포함하는 엘리베이터 통신장치에 있어서,
    상기 2차전지의 잔류전력이 소정치이하로 감소되면, 상기 무선통신장치는 카내의 조명등을 점등하기 위한 무선신호를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통신장치.
  13. 엘리베이터 카내에 제공되고 무선통신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엘리베이터의 제어장치와 통신하는 운전패널, 및
    상기 운전패널에 전력을 공급하는 2차전지를 포함하는 엘리베이터 통신장치에 있어서,
    상기 2차전지의 잔류전력이 소정치 이하로 감소되면, 상기 운전패널의 표시등 또는 응답등이 점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통신장치.
KR10-2002-0023008A 2001-04-27 2002-04-26 엘리베이터 통신장치 KR10046737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1130579A JP4000788B2 (ja) 2001-04-27 2001-04-27 エレベータの通信装置
JPJP-P-2001-00130579 2001-04-2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83490A KR20020083490A (ko) 2002-11-02
KR100467371B1 true KR100467371B1 (ko) 2005-01-24

Family

ID=189789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23008A KR100467371B1 (ko) 2001-04-27 2002-04-26 엘리베이터 통신장치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6481531B1 (ko)
JP (1) JP4000788B2 (ko)
KR (1) KR100467371B1 (ko)
CN (1) CN1224565C (ko)
DE (1) DE10214192B4 (ko)
HK (1) HK1049822B (ko)
SG (1) SG104300A1 (ko)
TW (1) TWI239318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10359A (ko) 2018-03-20 2019-09-30 현대엘리베이터주식회사 라이파이 기반의 엘리베이터 통신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426981B2 (en) * 2002-10-15 2008-09-23 Otis Elevator Company Elevator wireless communication infrastructure using piconet modules
US7207142B2 (en) * 2002-12-04 2007-04-24 Wayne-Dalton Corp. System and related methods for signaling the position of a movable barrier and securing its position
JP4277003B2 (ja) * 2003-03-20 2009-06-10 オーチス エレベータ カンパニー ドアフレーム一体型無線エレベータ備品
DE10346421B4 (de) * 2003-10-07 2007-03-29 Hydrometer Gmbh Datenerfassungssystem
US7334665B2 (en) * 2004-03-02 2008-02-26 Thyssenkrupp Elevator Capital Corporation Interlock wiring communication system for elevators
JP5317500B2 (ja) * 2008-03-12 2013-10-16 東芝エレベータ株式会社 テールコードレス・エレベータシステム
CN103036018B (zh) * 2011-09-30 2017-09-19 深圳光启高等理工研究院 智能电梯
JP2013180857A (ja) * 2012-03-01 2013-09-12 Mitsubishi Electric Corp エレベータシステム
CN103311656A (zh) * 2012-03-15 2013-09-18 深圳光启创新技术有限公司 天线装置
CN104044966A (zh) * 2014-07-07 2014-09-17 江苏威尔曼科技股份有限公司 电梯感应式专用操控装置
CN107531452B (zh) * 2015-04-28 2020-11-24 奥的斯电梯公司 包括轿厢操作面板图形界面的电梯轿厢
US10787341B2 (en) 2015-07-01 2020-09-29 Otis Elevator Company Elevator control system and elevator system having inspection control station
AU2016222417B2 (en) 2015-09-01 2017-11-02 Otis Elevator Company Elevator wireless communication and power transfer system
EP3502028A1 (en) * 2017-12-22 2019-06-26 KONE Corporation Call device for elevator system
EP3608269A1 (en) * 2018-08-10 2020-02-12 Otis Elevator Company Elevator communications system
JP6897825B1 (ja) * 2020-03-12 2021-07-07 フジテック株式会社 エレベータシステム
JP7440001B2 (ja) 2021-12-10 2024-02-28 三菱電機ビル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エレベーターシステム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16871A (ja) * 1991-10-25 1993-05-14 Toshiba Erebeeta Technos Kk エレベータかごの情報表示装置
JPH0797152A (ja) * 1993-09-24 1995-04-11 Hitachi Ltd エレベーターのデータ伝送方式
JPH09227050A (ja) * 1996-02-23 1997-09-02 Hitachi Building Syst Co Ltd エレベータ非常電源装置用バッテリの残存容量測定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955616A (en) * 1961-08-16 1964-04-15 Ace Machinery Ltd Improved means for communicating between the cage of a lift and its tower or shaft
JPS60102377A (ja) 1983-11-04 1985-06-06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エレベ−タ−の信号伝送装置
JPS63282076A (ja) 1987-05-14 1988-11-18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タの制御装置
JPS6460586A (en) * 1987-08-26 1989-03-07 Mitsubishi Electric Corp Controller for elevator
JPH01256485A (ja) * 1988-04-06 1989-10-12 Toshiba Corp エレベータ
JPH0346979A (ja) 1989-07-12 1991-02-28 Hitachi Ltd エレベータの乗場インジケータ
JP3046979B2 (ja) 1990-02-08 2000-05-29 光洋精工株式会社 ラジアル磁気軸受の制御装置
JPH0692560A (ja) 1992-09-11 1994-04-05 Hitachi Ltd 張り付け型エレベータ操作盤
FI112068B (fi) * 1992-12-22 2003-10-31 Kone Corp Kauko-ohjainliityntä hissijärjestelmään
JPH06227766A (ja) * 1993-02-01 1994-08-16 Hitachi Ltd エレベーターの信号伝送方式
US5732795A (en) * 1996-04-10 1998-03-31 Otis Elevator Company Power and communication for elevator car without traveling cable
JP3755262B2 (ja) * 1997-11-14 2006-03-15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信号伝送装置
JP2001341952A (ja) * 2000-06-02 2001-12-11 Sharp Corp エレベータ情報伝送システムおよび情報伝送装置
JP3857508B2 (ja) * 2000-08-29 2006-12-13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エレベータ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16871A (ja) * 1991-10-25 1993-05-14 Toshiba Erebeeta Technos Kk エレベータかごの情報表示装置
JPH0797152A (ja) * 1993-09-24 1995-04-11 Hitachi Ltd エレベーターのデータ伝送方式
JPH09227050A (ja) * 1996-02-23 1997-09-02 Hitachi Building Syst Co Ltd エレベータ非常電源装置用バッテリの残存容量測定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10359A (ko) 2018-03-20 2019-09-30 현대엘리베이터주식회사 라이파이 기반의 엘리베이터 통신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SG104300A1 (en) 2004-06-21
TWI239318B (en) 2005-09-11
DE10214192A1 (de) 2002-11-14
DE10214192B4 (de) 2005-06-09
KR20020083490A (ko) 2002-11-02
US20020157903A1 (en) 2002-10-31
HK1049822A1 (en) 2003-05-30
CN1224565C (zh) 2005-10-26
CN1384039A (zh) 2002-12-11
US6481531B1 (en) 2002-11-19
JP4000788B2 (ja) 2007-10-31
HK1049822B (zh) 2006-01-13
JP2002321879A (ja) 2002-11-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67371B1 (ko) 엘리베이터 통신장치
US5010566A (en) Cordless telephone
EP1369837A2 (en) Surveillance system, method of remotely controlling sensor apparatus, and surveillance remote controller
US20090295550A1 (en) Elevator system with wireless hall call buttons
US20070229218A1 (en) Wireless Gate Control and Communication System
KR20070076717A (ko) 홈 오토메이션 시스템
JPH0662134A (ja) センサ電話機
WO2000034169A1 (en) Wireless elevator hall fixtures
JPH11265601A (ja) 通信機能付き非常灯装置
AU2003204696B2 (en) Door station apparatus with electric lock
JP3148266B2 (ja) 車両の遠隔操作装置
JPH06113031A (ja) 電話システム
CN113460819B (zh) 一种手机呼梯的实现方法
JP2001030896A (ja) 戸閉合図操作装置
JPH0453076Y2 (ko)
JP2557141B2 (ja) エレベーターの信号伝送装置
KR200296708Y1 (ko) 셔터 자동안전 감지장치
JPH03129075A (ja) 電気錠システム
JP2020117347A (ja) エレベータの装置
KR20030059679A (ko) 이동 단말기를 이용한 차량 경보 시스템 및 그 방법
JPH0912237A (ja) コードレス仮設ホールボタン
JP2010245650A (ja) コミュニケーションシステム
JPH04354230A (ja) コードレス電話装置
JPH07231364A (ja) 電話装置および監視制御システム
JP2000233889A (ja) 持ち上げ装置の無線操作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216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