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65441B1 -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을 이용한 표시장치 - Google Patents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을 이용한 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65441B1
KR100465441B1 KR10-2001-7005282A KR20017005282A KR100465441B1 KR 100465441 B1 KR100465441 B1 KR 100465441B1 KR 20017005282 A KR20017005282 A KR 20017005282A KR 100465441 B1 KR100465441 B1 KR 1004654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ssis
pdp
back cover
cabinet
circuit boa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70052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87381A (ko
Inventor
이리에쇼이치
고지마가즈노부
Original Assignee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100873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873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654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65441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66Transforming electric information into light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217/00Gas-filled discharge tubes
    • H01J2217/38Cold-cathode tubes
    • H01J2217/49Display panels, e.g. not making use of alternating curr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217/00Gas-filled discharge tubes
    • H01J2217/38Cold-cathode tubes
    • H01J2217/49Display panels, e.g. not making use of alternating current
    • H01J2217/492Detai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48/00Supports
    • Y10S248/917Video display screen suppor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을 이용한 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화상을 표시하는 표시 화면을 갖는 PDP(1)와 PDP(1)를 구동하는 회로가 배치된 회로기판(9)이 판형상의 새시(2)에 부착되고, 회로기판(9)은 새시(2)에 의해 PDP(1)에 대해 차폐되어 있고, PDP(1)가 복사하는 불필요 복사 노이즈를 받지 않는다. 표시장치는 또 각각이 도전성을 갖는 백커버(6) 및 캐비넷(7)을 갖고, 백커버(6) 및 캐비넷(7)은 새시(2)에 부착된 PDP(1) 및 회로기판(9)을 내부에 수용한다. 백커버(6) 및 캐비넷(7)은 각각 새시(2)와 서로 전기적으로 절연된다. 이에 의해 PDP(1) 및 회로기판(9)상의 회로로부터의 불필요한 복사 노이즈가 외부로 새지 않도록 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을 이용한 표시장치{DISPLAY DEVICE WITH PLASMA DISPLAY PANEL}
일반적으로, 상기 표시장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이하, PDP(Plasma Display Panel)이라고 함)을 구동하는 회로가 배치된 회로 기판을 구비한다. 그러나, PDP의 구동 회로는 전기신호를 디지털 처리하기 위해 전자파를 내기 쉽다. 또, PDP 자체도 전자파를 발생한다. 즉, PDP 및 그 구동회로는 불필요 복사 노이즈(이하, EMI(Electro-Magnetic Interference)이라고 함)의 발생원이 된다. 이때문에, 종래부터, EMI가 외부로 새지 않도록 실드 효과를 갖는 표시장치가 연구·개발되고 있다.
이와 같은 표시장치의 한 예로서, 일본 특개평9-172267호 공보에 개시된 것이 있다. 도 25의 (a)는 이 공보에 개시된 표시장치의 광주리체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또, 도 25의 (b)는 도 25의 (a)의 일점쇄선(A-A’)을 따르는 단면을 화살표(B) 방향에서 봤을 때의 단면도이다. 도 25의 (a) 및 (b)에 있어서, 테두리체(251)는 알루미늄으로 대표되는 도체로 구성되어 있으며, PDP와 그 구동회로를 내부에 수납한다. 또, 테두리체(251)에 있어서 표시장치의 뒤쪽에 상당하는 부분에는 플라스틱제 백커버(252)가 부착된다. 또, 테두리체(251)에 있어서 표시장치의 앞쪽에 상당하는 부분에는 플라스틱제 프론트커버(253)가 부착된다. 이에 의해 프론트 커버(253)의 내측의 대략 전역이 도체(테두리체(251))로 덮여져 광주리체는 실드 효과를 발휘한다.
그러나, 상기 광주리체가 실드 효과를 발휘한 경우, EMI가 상기 광주리체의 외부로 새어나가기 어려워질 뿐이고, 상기 PDP로부터 복사된 EMI는 구동회로측으로 들어가버린다. 그 결과, 구동회로에서의 신호처리가 불안정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 본 발명은 더 양호한 실드 효과에 의해 구동회로를 안정적으로 동작시키는 것이 가능한 표시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을 이용한 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 특정적으로는 불필요 복사 노이즈(noise)가 외부로 새는 것을 방지하는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표시장치의 전체 구성을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한 PDP(1)의 새시(2)로의 고정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도 1에 도시한 새시(2)의 좌측 상단 부분의 코너를 확대한 도면,
도 4는 도 1에 도시한 새시(2)의 내측을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각 회로기판(9)의 부착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은 임의의 한개의 회로기판(9)이 새시(2)에 부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위치 결정 유닛(10)의 구성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8은 도 7에 도시한 위치 결정 유닛(10)이 분해된 상태의 종단면도,
도 9는 조립된 상태의 위치 결정 유닛(10)의 종단면도 및 횡단면의 확대도,
도 10은 도 1의 블라켓(3b)의 정면도,
도 11은 도 1의 블라켓(3b)의 평면도,
도 12는 도 1의 블라켓(3b)의 측면도,
도 13은 도 1의 블라켓(3c)의 정면도,
도 14는 도 1의 블라켓(3c)의 평면도,
도 15는 도 1의 블라켓(3c)의 측면도,
도 16은 블라켓(3a∼3d)을 고정한 새시(2)를 가로로 봤을 때의 도면,
도 17은 도 1의 백 커버(6)의 정면도,
도 18은 백커버(6)의 새시(2)로의 부착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9는 백커버(6)와 새시(2)의 전기적인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0은 도 1의 선 C-C’을 따르는 단면을 화살표(D) 방향으로 봤을 때의 단면도,
도 21은 캐비넷(7)의 새시(2)로의 부착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2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따른 표시장치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 23은 도 22의 가스켓(11)의 단면을 설명하기 위한 확대도,
도 24는 도 22의 캐비넷(7)의 내측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및
도 25는 종래의 표시장치에서 채용되고 있는 광주리체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상기 과제는 이하의 각 국면에 의해 해결된다. 또, 각 국면은 하기와 같은 특유의 한정 사항을 갖고, 이에 의해 특유의 기술적 효과를 갖는다.
제 1 국면은 화면상에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장치에 있어서,
화면을 구성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DP)과,
PDP를 구동하는 회로가 배치된 회로기판과,
도전성 재료로 판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그 한쪽 면위에 PDP가 부착되고, 다른쪽 면위에 회로 기판이 부착되는 새시와,
도전성을 갖고 있고, 새시에 부착된 PDP 및 회로 기판을 수용하는 외장체를 구비하며,
새시는 회로기판을 실드하여 PDP로부터의 불필요 복사 노이즈가 상기 회로 기판상의 회로로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고,
외장체는 실드 효과를 발휘하여 내부에 수용된 PDP 및 회로 기판상의 회로로부터의 불필요 복사 노이즈가 외부로 새는 것을 방지하고, 또 새시와 외장체가 전기적으로 절연된다.
제 1 국면에 따른 표시장치는 새시가 회로를 실드하고, 또 외장체가 실드 효과를 발휘한다. 본 표시장치는 이와 같은 이중 실드 구조에 의해 우선, PDP로부터의 불필요 복사 노이즈가 회로 기판상의 회로로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여, PDP의 구동 회로를 안정적으로 동작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이중 실드 구조에 의해 상기 PDP 및 상기 회로로부터의 불필요 복사 노이즈가 외장체의 외부로 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 2 국면은 화면상에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장치에 있어서,
화면을 구성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이하, PDP(Plasma Display Panel)이라고 함)과,
PDP를 구동하는 회로가 기판상에 배치된 회로 기판과,
도전성 재료로 판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그 한쪽 면위에 PDP가 부착되고, 다른쪽 면위에 회로기판이 부착된 새시와,
도전성을 갖고 있으며 새시의 전면(前面)측을 커버하는 캐비넷과,
도전성을 갖고 있으며 새시의 배면(背面)측을 커버하는 백커버와,
절연성을 갖고 있으며 캐비넷 및 백 커버를 지지하기 위해 새시에 고정되는 블라켓을 구비하며,
캐비넷 및 백 커버는,
PDP 및 회로 기판이 고정된 새시를 커버할 때 블라켓에 지지되고, 전기적으로 도통하며, 또 새시와 전기적으로 절연되고, 이에 의해 실드 효과를 발휘하며,
새시는 회로와 전기적으로 절연되며, 이에 의해 회로 기판을 실드하여 PDP로부터의 불필요 복사 노이즈가 상기 회로로 들어가는 것을 방지한다.
제 2 국면에 따른 표시장치에서는 캐비넷 및 백 커버가 PDP 및 회로 기판상의 회로가 고정된 새시를 수용하고, 또 전기적으로 도통한다. 이에 의해, 캐비넷 및 백 커버는 실드 효과를 발휘한다. 또, 새시는 회로를 실드한다. 이와 같은 이중 실드 구조에 의해 본 표시장치는 우선, PDP로부터의 불필요 복사 노이즈가 회로 기판상의 회로를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여 PDP의 구동 회로를 안정적으로 동작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이중 실드 구조에 의해 상기 PDP 및 상기 회로로부터의 불필요 복사 노이즈가 캐비넷 및 백 커버의 외부로 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 3 국면은 제 2 국면에 종속되어 있으며, 표시장치는 PDP를 새시에 부착하기 위한 점착 시트를 더 구비하며,
점착 시트는 절연성을 갖는다.
제 3 국면에 의하면, PDP를 간단히 새시에 고정하고, 또 상기 PDP와 새시의 전기적인 절연을 실현할 수 있다.
제 4 국면은 제 2 국면에 종속되어 있고, 새시에는 제 1 보스가 일체적으로형성되어 있으며,
기판은 절연성을 갖고 있고, 상기 기판의 미리 정해진 위치에는 관통구멍이 형성되어 있으며,
회로기판은 관통구멍을 삽입 통과한 나사에 의해 제 1 보스에 고정되고, 이에 의해 기판상에 배치된 회로와 새시가 전기적으로 절연된다.
제 4 국면에 의하면, 제 1 보스가 새시와 일체적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회로 기판을 상기 새시에 부착하기 위한 구성을 준비할 필요가 없어진다. 이에 의해 표시장치의 부품점수를 줄이거나 상기 표시장치의 제조 공정을 단축할 수 있다.
제 5 국면은 제 2 국면에 종속되어 있고, 블라켓은 새시의 4코너에 1개씩 부착되며,
프론트 커버 및 백 커버는 각 코너에 부착된 4개의 블라켓에 의해 지지된다.
제 5 국면에 의하면 캐비넷 및 백 커버에 가해진 충격이 직접 새시에 전해지지 않고, 가해진 충격은 캐비넷 및 백 커버를 지지하는 4개의 블라켓에 의해 흡수된다. 이에 의해, 표시장치의 핵이 되는 부품인 PDP 및 회로 기판을 외부로부터의 충격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제 6 국면은 제 2 국면에 종속되어 있고, 표시장치는 새시가 부착되는 것에 의해 설치면에 대한 화면의 위치를 결정하는 베이스를 더 구비하며,
베이스는 도전성을 갖고 있고, 새시와 전기적으로 절연되고, 또 백커버와 전기적으로 도통한다.
제 6 국면에 의하면 베이스가 새시와 전기적으로 절연되고, 또 백커버와 전기적으로 도통하기 때문에 표시장치에서의 전파(영상신호)의 수신 감도가 향상된다.
제 7 국면은 제 2 국면에 종속되어 있고, 표시장치는 새시에 일체적으로 고정되어 있으며, 그 중심축이 연직 방향에 평행한 원통형상의 구멍이 평탄한 하단면(下端面)으로부터 형성되는 상부 위치 결정 유닛과,
구멍의 내벽 전면(全面) 및 하단면상에 형성되는 절연층과,
도전성을 갖고 있으며, 그 설치면에 대해 화면의 위치를 결정하기 위해 새시를 지지하는 베이스와,
로드 형상의 형태를 갖는 하부 위치 결정 유닛을 더 구비하며,
베이스는 그 중심축이 연직 방향에 평행한 관통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그 상단면(上端面)이 평탄하게 형성된 러그를 포함하며,
하부 위치 결정 유닛은 베이스의 관통 구멍 및 상부 위치 결정 유닛에 형성된 구멍을 삽입 통과하여 상기 베이스에 고정되고, 이에 의해 러그의 상단면이 상부 위치 결정 유닛의 하단면의 위치를 결정하고,
절연층은 상부 위치 결정 유닛과 베이스를 전기적으로 절연시킨다.
제 7 국면에 따른 구성에 의해 베이스를 새시와 전기적으로 절연시킬 수 있고, 또한 상기 베이스를 백 커버와 전기적으로 도통시킬 수 있다.
제 8 국면은 제 2 국면에 종속되어 있고, 표시장치는 제 1 관통구멍이 형성된 스페이서를 또한 구비하며,
스페이서는 절연성 재료로 이루어져 있고,
새시에는 제 2 보스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백커버의 소정 위치에는 제 2 관통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제 1 관통구멍 및 제 2 관통구멍을 삽입 통과한 나사가 제 2 보스에 고정되고, 이에 의해 백 커버는 전기적으로 절연되면서 새시에 부착된다.
제 8 국면에 의하면 제 2 보스가 새시에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회로 기판을 상기 새시에 부착하기 위한 구성을 준비할 필요가 없어진다. 이에 의해 표시장치의 부품점수를 줄이거나 상기 표시장치의 제조 공정을 단축할 수 있다.
또, 제 8 국면의 구성에 의해 백 커버는 전기적으로 절연되면서 새시에 부착된다.
제 9 국면은 제 5 국면에 종속되어 있고, 4개중, 새시의 상측에 부착되는 블라켓은 백 커버의 내측과 맞닿아 상기 백 커버를 지지한다.
제 9 국면에 의하면 블라켓은 새시에 부착된 백 커버를 지지하기 때문에 백 커버의 위치 오차가 생기기 어렵게 된다.
제 10 국면은 제 5 국면에 종속되어 있고, 새시의 상측에 고정되는 2개의 블라켓은 리브를 갖고 있으며, 나머지 2개는 나사구멍을 갖고 있고,
캐비넷은 그 상단 부분에 훅을, 또 그 하단부분에 관통구멍을 갖고 있으며,
캐비넷은 훅이 리브에 의해 걸려 고정되고, 관통구멍을 삽입 통과한 나사가 나사 구멍에 고정되는 것에 의해 4개의 블라켓에 의해 지지된다.
제 10 국면에 따른 구성에 의해 캐비넷은 전기적으로 절연되면서 새시에 부착된다.
제 11 국면은 제 2 국면에 종속되어 있고, 캐비넷 및 백 커버는 블라켓에 지지되었을 때 서로 접촉한다.
제 11 국면에 의하면 접촉이라는 간단한 방법으로 프론트 커버 및 백 커버를 전기적으로 도통시킬 수 있다.
제 12 국면은 제 2 국면에 종속되어 있고, PDP 및 회로 기판이 부착된 새시를 자립시키는 베이스를 더 구비하며,
캐비넷 및 백 커버는 각각 블라켓에 착탈 가능하다.
제 12 국면에 의하면 캐비넷 및 백커버는 독립적으로 블라켓에 착탈 가능하기 때문에 표시장치의 내부에 액세스할 때, 상기 프론트 커버 및 상기 백 커버중 어느 하나를 벗기면 좋다. 즉, 제 12 국면에 의하면 표시장치의 내부로의 액세스성이 향상된다.
제 13 국면은 제 2 국면에 종속되어 있고, 도전성을 갖는 탄성체를 더 구비하며,
캐비넷과 백커버는 블라켓에 지지시켰을 때 탄성체를 끼워 넣는다.
제 13 국면에 의하면, 탄성체는 캐비넷 및 백커버 사이에 개재하여 양쪽과 밀착한다. 또, 탄성체는 도전성을 갖기 때문에 캐비넷 및 백 커버를 양호하게 도통시킨다. 이에 의해 캐비넷 및 백 커버에 의한 실드 효과를 더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PDP를 이용한 표시장치의 전체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표시장치는 화면상에 영상을 표시하는 장치이다. 도 1에는 표시장치의 대략적인 구성 부품으로서, PDP(1)와 새시(2), 4개의 블라켓(3a∼3d), 베이스(4), 2개의 하부 위치 결정 유닛(5a, 5b), 백 커버(6), 캐비넷(7)이 도시되어 있다. 또, 도 1에는 다른 구성 부품도 도시되어 있지만, 그것들에 대해서는 필요한 부분에서 적절히 설명한다.
PDP(1)는 사선으로 둘러싸인 부분에 상당한다. PDP(1)는 이온화하는 가스에 의해 간막이된 2개의 평탄한 유리판안에 수용된 복수의 전극을 격자형상으로 배열한 것이다. 이와 같은 구성에 있어서, 선택된 전극에 에너지를 부여하는 것에 의해 가스가 이온화되어 소정 위치에서 빛이 나온다. 이상의 현상을 이용하여PDP(1)는 영상을 표시하는 화면을 구성한다. 여기서, 편의상, PDP(1)의 장변의 길이를 “a”로 하고, 단변의 길이를 “b”로 한다.
새시(2)는 도전성 재료의 다이캐스트제이다. 도전성 재료로서는 알루미늄이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표시장치를 경량화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 새시(2)는 도 2 등에 도시한 바와 같이, 대략 장방형 판형상의 외형을 갖는다. 새시(2)의 한쪽면측에는 평탄한 면(21)이 형성된다. 면(21)은 PDP(1)의 형상에 맞춰 형성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면(21)의 형상은 장방형으로 선택되어 있다. 여기서, 편의상 면(21)의 장변의 길이를 “a”로 하고, 단변의 길이를 “b”로 한다. 면(21)에는 PDP(1)가 부착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PDP(1)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양면 점착 시트(8)에 의해 면(21)에 부착된다. 여기서, 점착 시트(8)는 절연성 재료로 이루어지며, 또 그 양면은 점착성을 갖는다. 점착시트(8)에 의해 PDP(1)와 새시(2) 사이에는 절연층이 형성되기 때문에 PDP(1)는 새시(2)에 대해 전기적으로 절연된 상태에서 상기 새시(2)에 부착된다. 또, 새시(2)에는 면(21)의 주위를 둘러싸도록 상기 면(21)과 일체적으로 구성된 외부 테두리(22)가 형성되어 있다.
또, 다시 도 1을 참조한다. 새시(2)의 각 코너에는 나사구멍이 형성된 블라켓 고정부가 일체적으로 고착된다. 각 블라켓 고정부의 나사 구멍은 블라켓(3a∼3d)을 새시(2)에 고정하기 위해 이용된다. 여기서, 도 3은 도 1의 화살표(A) 방향(즉, 시청자의 시점)으로 봤을 때 새시(2)의 좌측 상부에 오는 코너의 주변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3에 도시한 코너에는 작은 설편형상의 블라켓고정부(23b∼25b)가 외부 테두리(22)로부터 돌출된다. 블라켓 고정부(23b∼25b)에는 블라켓(3b)을 나사로 고정하기 위한 나사 구멍이 형성된다. 마찬가지로 블라켓(3a)용 블라켓 고정부(23a∼25a)는 새시(2)의 우측 상부의 코너에 일체적으로 고착된다(도 1 참조). 새시(2)의 좌측 하부의 코너에는 블라켓(3c)용 블라켓 고정부(23c, 24c)가 일체적으로 고착되고, 그 우측 하부에는 블라켓(3d)용 블라켓 고정부(23d, 24d)가 일체적으로 고착된다(도 1 참조). 또, 블라켓고정부(23a∼25a), 블라켓 고정부(23c, 24c) 및 블라켓고정부(23d, 24d)에 대해서는 블라켓고정부(23b∼25b)와 비교하여 형성 위치가 상위할 뿐이기 때문에 상세한 도시 및 설명을 생략한다.
도 4는 도 1의 화살표(B) 방향으로 새시(2)를 봤을 때의 사시도이다. 바꿔말하면 도 4는 면(21)과 대향하는 면측(새시(2)의 내측)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에 있어서, 새시(2)의 내측에는 제 1 보스(26)와 제 2 보스(27a∼27d), 상부 위치 결정 유닛(28a, 28b) 및 프레임(29)이 배치되어 있다.
여기서, 주의를 요하는 것은 제 1 보스(26)와 제 2 보스(27a∼27d), 상부 위치 결정 유닛(28a, 28b), 프레임(29)이 새시(2)에 일체적으로 고착되어 있는 점이다. 이상과 같은 일체 성형에 의해 표시장치를 구성하기 위해 필요해지는 부품점수를 삭감할 수 있다. 이에 의해 표시장치의 제조공정이 간소화되고, 또 그 제조비용을 낮출 수 있다.
그리고, 제 1 보스(26)는 도 4에서는 1개밖에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회로 기판(9)의 관통구멍(93)(도 5 참조)의 갯수에 따라서 필요한 수만큼 형성되어 있다. 각 제 1 보스(26)에는 나사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또, 제 2 보스(27a∼27d)에는 백 커버(6)를 나사로 고정하기 위한 나사 구멍이 형성된다. 상부 위치 결정 유닛(28a, 28b)은 새시(2)의 하단의 좌측 및 우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후술하는 위치 결정 유닛(10)의 일부를 구성한다. 프레임(29)은 새시(2)의 보강을 목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 프레임(29)은 사다리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새시(2)의 내면상의 공간을 구획하고 있다. 이에 의해 몇개의 공간(α)이 새시(2)의 내측에 형성된다. 상술한 제 1 보스(26)는 공간(α)중에 배치된다.
계속해서, 도 5를 참조하여 도 2의 새시(2)로의 각 회로기판(9)의 부착 방법을 설명한다. 도 5에 있어서, 각 회로 기판(9)은 전형적으로는 PCB(Printed Circuit Board)와 같이 절연재료로 형성된 기판(91)상에 각종 회로소자 및 이를 접속하는 도선(이하, 회로소자 및 도선으로 정리하여 「회로(92)」라고 함)을 배치한 것이다. 회로(92)의 종류로는 PDP(1)에 영상을 표시하기 위한 디지털 신호 처리 회로가 전형적이다. 또, 각 기판(91)의 필요한 부분에는 관통구멍(93)이 형성된다. 나사(94)가 관통구멍(93)을 삽입 통과한 후에 제 1 보스(26)에 고정되는 것에 의해 각 회로 기판(9)은 새시(2)에 부착되고, 공간(α)에 배치되게 된다.
도 6은 임의의 한개의 회로기판(9)이 새시(2)에 부착되었을 때의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또, 도 6에는 편의상, 설명의 대상이 되는 1개의 회로기판(9)의 주변만을 도시하고 있다. 도 6에 있어서, 사선 부분(β)은 각 제 1 보스(26)(도 6에는 도시하지 않음)에 고정된 나사(94)의 주변을 도시하고 있다. 사선부분(β)에는 회로(92)를 구성하는 회로 소자 및 도선이 일체 배치되지 않는다. 이에 의해, 회로(92)는 절연성 재료의 기판(91)을 통하여 새시(2)에 고정되기 때문에 상기 회로(92)와 새시(2)를 전기적으로 절연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외에도 주의를 요하는 것은 상술한 바와 같이 각 회로기판(9)은 공간(α)중에 배치되기 때문에 각 회로기판(9)은 새시(2)로부터 비어져 나오지 않도록 부착되어 있는 점이다.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도 1의 화살표(A) 방향으로 새시(2)를 봤을 때 각 회로기판(9)은 새시(2)의 내측에 완전히 감춰진다. 이에 의해, 새시(2)는 PDP(1)에서 나오는 EMI로부터 회로(92)를 실드한다.
또, 도 6에 도시하지 않은 다른 회로기판(9)도 상술한 바와 같이 새시(2)에 부착된다. 즉, 새시(2)는 다른 회로기판(9)상의 회로(92)를 PDP(1)가 복사하는 EMI로부터 실드한다.
이상, 도 1∼도 6을 참조하여 PDP(1), 새시(2) 및 각 회로기판(9)의 배치에 대해 설명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각 회로(92)는 PDP(1)에 대해 전기적으로 절연된다(도 2 및 도 6 참조). 또, 새시(2)는 각 회로(92)를 실드한다(도 6 참조). 이에 의해 PDP(1)로부터 복사된 EMI가 각 회로기판(9)쪽으로 들어가기 어려워진다. 그 결과, 각 회로(92)는 상기 EMI의 영향을 거의 받지 않고 바르게 동작한다.
도 7은 위치 결정 유닛(10)의 전체 구성을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또, 도 8은 도 7에 도시한 선 E-E’을 따르는 단면을 화살표(F) 방향으로 봤을 때의 위치 결정 유닛(10)의 종단면도이다. 도 9의 (a)는 도 7 및 도 8의 위치 결정 유닛(10)을 조립했을 때의 종단면도이다. 도 9의 (b)는 도 9의 (a)에 도시한 선 G-G’을 따르는 단면을 화살표(H) 방향으로 봤을 때의 위치 결정 유닛(10)의 횡단면의 확대도이다. 여기서, 도 7∼도 9에는 이하의 설명의 편의를 위해 서로 직교하는 x축, y축 및 z축이 도시되어 있다. 여기서, y축은 연직방향과 평행한 축이다. 또, z-x평면은 수평면과 평행한 면이다.
이상의 도 7∼도 9를 참조하여 위치 결정 유닛(10)을 설명한다. 위치 결정 유닛(10)은 완성품으로서의 표시 장치(이하, 간단히 「완성품」이라고 함)의 설치면에 대해 PDP(1)가 수직이 되도록 상기 PDP(1)의 위치를 결정한다, 이때문에 위치 결정 유닛(10)은 도 7 및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 위치 결정 유닛(28a, 28b), 색(sacs)(101a, 101b), 적어도 2개의 띠형상 도전체(102a, 102b), 도전체 블록(103a, 103b), 베이스(4) 및 하부 위치 결정 유닛(5a, 5b)을 포함한다.
상부 위치 결정 유닛(28a)은 그 하단면이 z-x 평면에 평행한 반원통 형상의 블록으로 구성되어 있다. 각 블록에는 구멍(281a)이 형성된다. 구멍(281a)은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 중심축이 y축과 평행한 대략 원통 형상을 갖는다. 또, 구멍(281a)은 반원통형상의 블록의 하단면에 있어서 개구되어 있다. 또, 구멍(281a)의 상단 부분이 폐쇄되어 있다. 여기서, 상부 위치 결정 유닛(28b)은 상부 위치 결정 유닛(28a)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형상을 갖기 때문에 그 상세한 도시 및 설명을 생략한다. 이상의 상부 위치 결정 유닛(28a, 28b)은 구멍(281a, 281b)의 중심축이 새시(2)에 있어서 x축방향으로 평행한 변의 중심으로부터 같은 거리가 되도록 배치된다.
색(101a, 101b)은 소정의 두께를 갖는 시트형상의 절연재료를 봉지형상으로 형성함으로써 구성된다. 더 구체적으로는 색(101a, 101b)의 외형은 구멍(281a,281b)에 끼워넣는 원통형상을 갖는다. 색(101a, 101b)의 상단 부분은 폐쇄되어 있고, 그 하단 부분은 개구되어 있다. 또 색(101a, 101b)은 각각의 개구 부분에서 외측으로 넓혀져 있고, 이에 의해 z-x평면에 평행한 하단면이 형성된다. 색(101a, 101b)의 하단면은 상부 위치 결정 유닛(28a, 28b)의 하단면의 형상에 맞도록 형성된다.
띠형상 도전체(102a, 102b)는 도전성 재료로 이루어져 있으며, 그 장변의 길이는 구멍(281a, 281b)의 깊이 보다 크게 선택된다. 한편, 단변의 길이는 띠형상 도전체(102a, 102b)를 색(101a, 101b)의 구멍의 내부에 배치할 수 있을 정도로 선택된다.
도전체 블록(103a, 103b)은 대략 직방체로 형성된 도전성 재료로 구성된다. 도전체 블록(103a, 103b)에는 구멍(281a, 281b)의 직경과 실질적으로 같은 직경의 관통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베이스(4)는 판형상의 도전성 재료로 이루어지며, PDP(1)가 설치면에 대해 위치가 정해진 상태로 새시(2)를 지지한다. 또, 베이스(4)는 완성품을 지지하기 때문에 고밀도인 금속제인 것이 바람직하다. 베이스(4)의 하단면은 z-x 평면과 평행하게 형성되며, 완성품을 설치할 경우에는 설치 장소(예를 들면, 마루)와 접하는 부분이다. 또, 하단면에는 소정의 간격을 두고 움푹한 곳(41a, 41b)(도 8 참조)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움푹한 곳(41a, 41b)에는 나사 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또, 러그(42a, 42b)는 베이스(4)의 상면이고 또 움푹한 곳(41a, 41b)의 바로 위에 형성된다. 러그(42a, 42b)의 상단면은 z-x평면과 평행하게 형성된다.
또, 베이스(4)에는 움푹한 곳(41a, 42a)을 관통하는 원통형상의 관통구멍(43a)이 형성된다 마찬가지로 움푹한 곳(41b, 42b)을 관통하는 원통형상의 관통구멍(43b)이 형성된다. 여기서 주의를 요하는 것은 관통구멍(43a, 43b)의 중심축은 베이스(4)에 있어서 x축방향으로 평행한 변의 중심에서 실질적으로 같은 거리로 선택되고, 또 y축과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설계되는 점이다. 또, 관통구멍(43a, 43b)의 중심축간의 거리는 구멍(281a, 281b)의 중심축간의 거리와 실질적으로 같다. 또, 관통구멍(43a, 43b)의 내부직경은 색(101a, 101b)의 내부직경과 실질적으로 같다.
하부 위치 결정 유닛(5a)은 도전성 재료로 이루어져 있으며,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로드(51a)와 헤드(52a)를 포함한다. 로드(51a)는 색(101a)의 내부직경과 실질적으로 같은 외부직경을 갖는다. 또, 로드(51a)의 긴 방향의 길이는 위치 결정 유닛(10)을 조립했을 때 색(101a)의 바닥에 미칠 정도로 선택되어 있다. 헤드(52a)는 그 양단 근방에 관통구멍이 형성된 판형상의 부재이다. 로드(51a)의 한쪽 단에 헤드(52a)의 중앙 부분이 고착된다. 하부 위치 결정 유닛(5b)은 하부 위치 결정 유닛(5a)과 실질적으로 동일하기 때문에 그 설명을 생략한다.
계속해서, 이상의 구성을 갖는 위치 결정 유닛(10)의 조립방법을 도 7∼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우선, 로드(51a, 51b)가 관통구멍(43a, 43b)을 삽입 통과한다. 그리고, 나사(104a, 104b)가 헤드(51a, 51b)의 관통구멍을 삽입 통과한 후, 움푹한 곳(41a, 41b)에 형성된 나사 구멍에 고정된다. 이에 의해, 하부 위치 결정 유닛(5a, 5b)은 베이스(4)에 대해 고정된다. 이때, 로드(51a, 51b)의 일부분은 러그(42a, 42b)로부터 돌출된다. 러그(42a, 42b)로부터의 돌출 부분은 도전체 블록(103a, 103b)의 관통구멍을 삽입 통과한다.
그리고, 색(101a)의 구멍의 내벽에는 띠형상 도전체(102a)가 고정된다. 이때, 바람직하게는 띠형상 도전체(102a)의 한쪽 단은 구멍의 바닥면에 접하도록 고정된다. 그리고, 띠형상 도전체(102a)는 바닥면으로부터 개구 부분의 방향을 따르도록 내벽에 고정된다. 띠형상 도전체(102a)가 개구부분에서 접혀 구부려진 후, 그 다른쪽 단이 색(101a)의 하단면상에서 고정된다. 띠형상 도전체(102b)도 또한 띠형상 도전체(102a)와 마찬가지로 색(101b)에 고정된다. 색(101a, 101b)은 띠형상 도전체(102a, 102b)가 고정된 상태로 상부 위치 결정 유닛(28a)의 구멍(281a) 및 상부 위치 결정 유닛(28b)의 구멍(281b)에 끼워진다.
도전체블록(103a, 103b)으로부터 돌출된 로드(51a, 51b)는 색(101a, 101b)이 끼워진 구멍(281a, 281b)에 끼워진다. 그 후, 상세한 도시는 생략하고 있지만 상부 위치 결정 유닛(28a) 및 하부 위치 결정 유닛(5a)은 나사로 고정되며, 또 상부 위치 결정 유닛(28b) 및 하부 위치 결정 유닛(5b)은 나사로 고정된다. 그 결과, 새시(2)는 도전체 블록(103a, 103b)을 통해 러그(42a, 42b)의 상단면상에 정확히 위치가 결정된다. 이에 의해 PDP(1)의 화면이 설치면(즉, 베이스(4)의 하단면)에 수직으로 위치가 결정된다.
여기서 주의를 요하는 것은 상부 위치 결정 유닛(28a)의 하단면 위 및 그 구멍(281a)의 내벽에는 도 9의 (a) 및 도 9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색(101a)에 의해 절연층(우측 아래쪽으로 사선을 그은 부분 참조)이 형성된다. 또, 색(101a)에형성된 구멍의 내벽상에는 띠형상 도전체(102a)가 부착되어 있다. 또, 상부 위치 결정 유닛(28b)의 하단면위 및 그 구멍(281b)의 내벽에는 색(101b)에 의해 절연층이 형성된다. 또, 색(101b)에 형성된 구멍의 내벽위에는 띠형상 도전체(102b)가 부착되어 있다. 이때문에, 위치 결정 유닛(101)이 조립되었을 때, 베이스(4)는 하부 위치 결정 유닛(5a) 및 띠형상 도전체(102a)를 통해 도전체 블록(103a)과 전기적으로 도통한다. 또, 베이스(4)는 도전체 블록(103a)과 직접 접하는 것으로는 전기적으로 도통한다. 이와 동일하게 하여 베이스(4)는 도전체 블록(103b)과 도통한다. 그러나, 색(101a, 101b)에 의해 형성되는 절연층에 의해 베이스(4)와 알루미늄 새시(2)는 전기적으로 절연된다.
도 10은 블라켓(3b)의 정면도이다. 도 1과의 관계를 명확히 하면 도 10은 도 1의 화살표(B) 방향으로 블라켓(3b)만을 봤을 때의 도면이다. 또, 도 11은 블라켓(3b)의 평면도로서, 도 10의 화살표(I) 방향으로 블라켓(3b)을 봤을 때의 도면이다. 도 12는 블라켓(3b)의 측면도로서, 도 10의 화살표(J) 방향으로 블라켓(3b)을 봤을 때의 도면이다. 또, 이하의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10∼도 12에는 서로 직교하는 x축, y축 및 z축이 도시되어 있다. 여기서, y축은 연직방향과 평행한 축이다. 또, z-x 평면은 수평면과 평행한 면이다. 이하, 블라켓(3b)을 도 10∼도 1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0∼도 12에 있어서, 블라켓(3b)은 절연성 재료를 사출 성형하여 구성된다. 블라켓(3b)은 대략적으로 프레임(31b)과 새시 고정 부재(32b∼34b), 연결부재(35b), 천정판(36b) 및 리브(37b)를 구비한다. 프레임(31b)은 도 10∼도12에 있어서 도트로 둘러싸인 부분에 상당한다. 프레임(31b)은 실질적으로 90도의 각도를 이루도록 접속된 2개의 플레이트(311b, 312b)로 이루어져 있다. 도 10에서는 플레이트(311b)의 상면 및 하면이 z-x 평면과 평행해지도록, 또 그 중심축이 x축과 평행해지도록 도시되어 있다. 또, 플레이트(312b)의 우측면 및 좌측면이 y-z 평면과 평행해지도록, 또 그 중심축이 y축과 평행해지도록 도시되어 있다.
새시 고정 부재(32b∼34b)는 새시(2)의 좌측 상부에 위치하는 코너의 배면측에 블라켓(3b)을 고정하기 위한 부재이다. 이하, 새시 고정부재(32b∼34b)의 구체적인 구조의 일례를 설명한다. 새시 고정 부재(32b)는 설편 형상의 형태를 갖고 있으며, 플레이트(311b)의 한쪽 단(端)(도 10에서는 우측 단에 상당)에서 x-y 평면과 평행하게 돌출된다. 새시 고정부재(32b)에는 그 중심축이 z축과 평행한 관통구멍(321b)이 형성된다(도 12 참조). 또, 새시 고정 부재(33b)는 설편형상의 형태를 갖고 있으며, 플레이트(312b)의 한쪽 단(도 10에서는 하단에 상당)으로부터 x-y 평면과 평행하게 돌출된다. 새시 고정부재(33b)에는 그 중심축이 z축과 평행한 관통구멍(331b)이 형성된다(도 12 참조). 또, 새시 고정 부재(34b)는 설편형상의 형태를 갖고 있고, 플레이트(311b, 312b)의 다른쪽 단(도 10에서는 플레이트(311b)의 우측단 및 플레이트(312b)의 상단에 상당)으로부터 x-y 평면과 평행하게 돌출된다. 새시 고정 부재(34b)에는 그 중심축이 z축과 평행한 관통구멍(341b)이 형성된다(도 11 참조). 또, 각 새시 고정 부재(32b∼34b)의 내면은 x-y 평면에 평행한 1개의 면에 포함된다.
연결부재(35b)는 도 10 및 도 11에 있어서 우측 아래로 그은 사선으로 둘러싸인 부분에 상당한다. 연결부재(35b)는 프레임(311b)과 천정판(36b)을 연결하기 위한 대략 장방형의 판형상의 형태를 갖는 부재이다. 또, 연결부재(35b)는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새시 고정 부재(32b, 33b)에 끼워지도록 배치된다. 연결부재(35b)의 한쪽 단은 도 10∼도 12의 플레이트(311b)의 하단과 일체적으로 접속되고, 그 다른쪽단은 천정판(36b)의 한변과 일체적으로 접속된다. 여기서 주의를 요하는 것은 연결부재(35b)의 표면은 x-y평면과 교차하는 평면의 일부로서,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x-y평면과 소정의 각도(γ)를 구한다. 각도(γ)의 범위는 후술하는 백커버(6)의 관계로 규정된다.
천정판(36)은 도 10에 있어서 좌측 아래로 그은 사선으로 둘러싸인 부분에 상당한다. 천정판(36)은 도 10∼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연결부재(35b)의 하단과 일체적으로 접속된 부재이고, 대략 장방형의 판형상의 형태를 갖는 부재이다. 천정판(36)에는 여러가지 형상의 방열 구멍이 형성되어 있으며, 각 방열구멍은 새시(2)로부터 발생된 열을 놓친다.
또, 도 10∼도 12에 있어서, 플레이트(311b)의 상부면은 실질적으로 평탄하게 형성된다. 리브(37b)는 훅(713)(도 20 참조)을 걸기 위한 부재이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구체적인 한 구성예로서 리브(37b)는 플레이트(311b)의 상부면에는 x축 방향을 따라서 연장하도록, 또 y축 방향으로 돌출하도록 형성된다.
계속해서 블라켓(3b)의 새시(2)로의 부착 방법을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3개의 관통구멍(321b∼341b)에는 나사가 1개씩 삽입 통과한다. 삽입 통과한 각 나사는 블라켓 고정부(23b∼25b)에 형성된 각 나사구멍에 고정된다. 여기서, 각 새시 고정 부재(32b∼34b)의 내면은 블라켓(3b)이 새시(2)에 고정되었을 때, 블라켓 고정부(23b∼25b)와 맞닿는다. 또, 각 새시고정부재(32b∼34b)의 내면은 상술한 바와 같이 x-y 평면과 평탄한 면을 구성하기 때문에 블라켓(3b)은 새시(2)에 대해 흔들리지 않고 확실히 고정된다.
이상으로 블라켓(3b)의 설명을 마친다. 또, 블라켓(3a)은 실질적으로 블라켓(3b)과 좌우 대칭의 형상을 갖기 때문에 그 상세한 도시 및 설명을 생략한다. 여기서, 이하의 설명에서는 블라켓(3a)에 있어서 블라켓(3b)의 구성에 상당하는 것에는 동일 참조 부호를 붙인다. 단, 참조부호의 가장 우측의 알파벳에 대해서는 「b」가 아니라 「a」로 기재한다. 예를 들면 블라켓(3a)에 형성되는 리브는 리브(37a)라고 기재된다. 블라켓(3a)은 블라켓(3b)과 동일하게 새시(2)의 우측 상부에 위치하는 코너의 배면측에 부착된다.
도 13은 블라켓(3c)의 정면도이다. 도 1과의 관계를 명확히 하면 도 13은 도 1의 화살표(B) 방향으로 블라켓(3c)만을 봤을 때의 도면이다. 또, 도 14는 블라켓(3c)의 평면도로서, 도 13의 화살표(K)의 방향으로 블라켓(3c)을 봤을 때의 도면이다. 도 15는 블라켓(3c)의 측면도로서, 도 13의 화살표(L) 방향으로 블라켓(3c)을 봤을 때의 도면이다. 또, 이하의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13∼도 15에는 서로 직교하는 x축, y축 및 z축이 도시되어 있다. 여기서, y축은 연직방향과 평행한 축이다. 또, z-x 평면은 수평면과 평행한 면이다. 이하, 도 1의 블라켓(3c)을 도 13∼도 1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3∼도 15에 있어서, 블라켓(3c)은 절연성 재료를 사출성형하여 구성된다. 블라켓(3c)은 대략적으로 프레임(31c)과 새시 고정 부재(32c, 33c), 연결부재(34c), 천정판(35c), 캐비넷고정부재(36c)를 구비한다. 프레임(31c)은 도트가 붙여진 부분에 상당한다. 프레임(31c)은 대략 장방형의 판형상의 부재로서,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측면이 y-z 평면과 평행해지도록, 또 그 중심축이 y축과 평행해지도록 도시되어 있다.
새시 고정 부재(32c, 33c)는 블라켓(3c)을 새시(2)의 배면측의 하부 좌측에 부착하기 위한 부재이다. 이하, 새시 고정부재(32c, 33c)의 구체적인 구조의 일례를 설명한다. 새시 고정 부재(32c)는 설편형상의 형태를 갖고 있으며, 프레임(31c)의 한쪽 단(도 13에서는 상단에 상당)으로부터 x-y 평면에 평행하게 돌출된다. 또, 새시 고정부재(32c)에는 그 중심축이 z축과 평행한 관통구멍(321c)이 형성된다(도 14 참조). 또, 새시 고정부재(33c)는 돌기형상의 부재로서, 프레임(31c)의 다른쪽 단(도 13에서는 하단에 상당)으로부터 x-y 평면에 평행하게 돌출된다. 또, 새시 고정 부재(33c)에는 그 중심축이 z축과 평행한 관통구멍(331c)이 형성된다(도 13 참조). 여기서, 이상의 새시 고정부재(32c, 33c)의 내면은 블라켓(3c)이 흔들리지 않고 새시(2)에 고정 가능하게 같은 x-y평면내에 포함된다(도 15 참조).
연결부재(34c)는 우측 하부로 그은 사선으로 둘러싸인 부분에 상당한다. 연결부재(34c)는 프레임(31c)과 천정판(35c)을 일체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부재이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연결부재(34c)는 새시고정부재(32c, 33c)의 단부에서, 및 프레임(31c)의 일부에서 z축 방향으로 돌출된 기둥형상의 부재이다.
천정판(35c)은 좌측 하부로 그은 사선으로 커버된 부분에 상당한다. 본 실시형태에서 천정판(35c)은 연결부재(34c)의 상단과 일체적으로 접속된 판형상의 부재이다. 천정판(35c)은 몇개의 방열구멍이 형성되어 있으며, 각 방열구멍으로 새시(2)로부터 발생한 열이 나간다.
캐비넷고정부재(36c)는 캐비넷(7)을 블라켓(3c)에 부착하기 위한 부재이다. 구체적인 한 구성예로서 캐비넷 고정 부재(36c)는 천정판(35c)의 하단 부분에서 z축을 따라서 돌출된 막대기형상의 부재로 이루어진다. 막대기형상의 부재의 선단부분에는 나사구멍(361c)이 형성된다.
계속해서, 블라켓(3c)의 새시(2)로의 부착방법을 설명한다. 단, 이 부착방법은 블라켓(3b)의 경우와 마찬가지이기 때문에 특별한 도면을 참조하지 않고, 도 1 및 도 13∼도 1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관통구멍(321c, 331c)에는 나사가 1개씩 삽입 통과한다. 삽입 통과한 각 나사는 블라켓 고정부(23c, 24c)에 형성된 각 나사구멍에 고정된다. 여기서, 각 새시 고정부재(32c, 33c)의 내면은 블라켓(3c)이 새시(2)에 고정되었을 때, 블라켓 고정부(23c, 24c)와 맞닿는다. 또, 각 새시 고정 부재(32c, 33c)의 내면은 x-y 평면과 평탄한 면을 구성하기 때문에 블라켓(3c)은 새시(2)에 대해 흔들리지 않고 확실히 고정된다. 이상으로 블라켓(3c)의 설명을 마친다. 또, 블라켓(3d)은 블라켓(3c)과 대략 좌우대칭의 형상을 갖기 때문에 그 상세한 도시 및 설명을 생략한다. 여기서, 이하의 설명에서는 블라켓(3d)에 있어서 블라켓(3c)의 구성에 상당하는 것에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인다. 단, 참조부호의 가장 우측의 알파벳에 대해서는 「c」가 아니라 「d」로 한다. 예를 들면, 블라켓(3d)에 형성되는 천정판은 천정판(35d)이라고 기재된다. 블라켓(3d)은 블라켓(3c)과 동일하게 하여 새시(2)의 우측 하부(도 1 참조)에 위치하는 코너의 배면측에 부착된다.
도 16은 블라켓(3a∼3d)이 부착된 새시(2)를 가로로 봤을 때의 도면이다. 또, 이하의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16에는 서로 직교하는 x축, y축 및 z축이 도시되어 있다. 여기서, y축은 연직방향과 평행한 축이다. 또, z-x평면은 수평면과 평행한 면이다. 또, 새시(2)에는 PDP(1) 및 회로기판(9)이 새시(2)에 부착되어 있다고 한다. 도 16에 있어서, 블라켓(3a, 3b)이 새시(2)에 부착되면 플레이트(311a, 311b)는 외부 테두리(22)의 바로 위에 얹어 설치되도록 위치가 정해진다. 이때, 플레이트(311a, 311b)의 선단 부분은 새시(2)의 면(21)에 대해 돌출된다. 또, 리브(37a, 37b)는 새시(2)의 상단부에 대한 경사 윗쪽으로 x축과 평행한 직선을 형성하도록 위치가 정해진다. 또, 연결부재(35a, 35b)는 새시(2)의 배면측으로서, 외부 테두리(22)의 상단부에 대해 뒤쪽에 위치가 정해진다. 이때, 연결부재(35a, 35b)의 표면은 상술한 바와 같이, x-y 평면과 소정 각도(γ)를 각각 형성한다. 또, 연결부재(35a, 35b)의 표면은 동일 평면내에 포함되도록 위치가 정해진다.
또, 도 16에 있어서, 블라켓(3c, 3d)이 새시(2)에 부착되면 나사구멍(361c, 361d)은 각각의 중심축이 y축과 평행하게, 또 새시(2)의 바로 아래에 각각 위치가 정해진다.
계속해서, 도 1의 백커버(6)에 대해 도 17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7은백커버(6)의 정면도이다. 도 17은 도 1과의 관계에서는 도 1의 화살표(B) 방향으로 백커버(6)를 봤을 때의 도면이다. 도 17에 있어서, 백커버(6)는 도전성 재료로 이루어지며, PDP(1)가 부착된 새시(2)의 배면측을 커버한다(도 1 참조). 백커버(6)는 대략적으로는 프레임(61)과 4개의 연결부재(62a∼62d) 및 4개의 관통구멍(63a∼63d)이 형성된 천정판(64)을 포함한다. 프레임(61)은 도 17에 있어서, 도트로 커버된 부분에 상당하고, 대략 장방형 형상의 테두리체이다. 연결부재(62a∼62d)는 우측 하부로 그은 사선으로 둘러싸인 부분에 상당한다. 연결부재(62a∼62d)는 대략 장방형의 판형상의 형태를 갖고 있으며, 외부 테두리(61, 64)를 연결하기 위한 부재이다. 연결부재(62a∼62d)는 외부 테두리(61)의 각 변의 내측에서 경사 윗쪽으로 연장되어 있다. 천정판(64)은 좌측 하부로 그은 사선으로 둘러싸인 부분에 상당한다. 천정판(64)은 연결부재(62a∼62d)에 의해 형성되는 개구를 막도록 고착되는 판형상의 부재이다. 관통구멍(63a∼63d)은 제 2 보스(27a∼27d)의 형성 위치에 기초하여 천정판(64)의 적절한 위치에 형성된다.
여기서, 도 18은 백커버(6)의 새시(2)로의 부착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백커버(6)의 부착시, 절연재료로 이루어진 2개 1셋트의 스페이서(121a)가 준비된다. 도 18의 예에서는 각 스페이서(121a)는 원반형상의 형태를 갖고 있으며, 그 중앙 부분에는 관통구멍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한쪽의 스페이서(121a)는 천정판(64)의 표면측에 맞닿고, 다른쪽 스페이서(121a)는 천정판(64)의 내측에 맞닿는다. 더 구체적으로는 각 스페이서(121a)의 관통구멍과 관통구멍(63a)이 겹치도록 한쪽 및 다른쪽 스페이서(121a)의 위치가 맞쳐진다. 이 위치 맞춤에 의해 2개 1셋트의 스페이서(121a)의 관통구멍 및 관통구멍(63a)에는 나사(122a)를 안내하는 1개의 가이드 구멍이 형성된다. 이와 같은 가이드 구멍에는 나사(122a)이 삽입 통과한 후, 상기 나사(122a)는 제 2 보스(27a)의 나사 구멍에 고정된다. 이와 같은 순서에 의해 나사(122b∼122d)는 2개 1셋트의 스페이서(121b∼121d)를 통해 제 2 보스(27b∼27d)에 고정된다.
여기서, 도 19를 참조하여 백커버(6)와 새시(2)의 전기적인 관계에 대해 설명한다. 도 19는 백커버(6)가 새시(2)에 부착된 상태의 종단면을 도시하고 있다. 또, 이하의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19에는 서로 직교하는 x축, y축 및 z축이 도시되어 있다. 여기서, y축은 연직방향과 평행한 축이다. 또, z-x 평면은 수평면과 평행한 면이다. 또, 도 19에서는 지면 공간의 사정상, 백커버(6) 및 새시(2)의 도시를 일부 생략하고 있다.
도 19에 있어서, 제 2 보스(27a)와 관통구멍(63a)의 주위 부분의 사이에는 스페이서(121a)의 한쪽이 개재한다. 이때문에, 관통구멍(63a)의 주위는 제 2 보스(27a)와 직접 접촉하지 않는다. 또, 나사(122a)의 머리와 관통구멍(63a)의 주위 부분 사이에는 스페이서(121a)의 다른쪽이 개재하기 때문에 상기 관통구멍(63a)의 주위는 나사(122a)와 직접 접촉하지 않는다. 또, 2개 1셋트의 스페이서(121a)는 절연성 재료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관통구멍(63a)의 주위(도전체)는 제 2 보스(27a)(도전체)와 도통하지 않고, 또 나사(122a)을 통해서도 상기 제 2 보스(27a)와 도통하지 않는다. 다른 관통구멍(63b∼63d)의 주위도 제 2 보스(27b∼27d)와 도통하지 않고, 또 나사(122b∼122d)를 통해서도 상기 제 2 보스(27b∼27d)와 도통하지 않는다. 또, 백커버(6)는 이상 설명한 관통구멍(63a∼63d)이외의 부분에 있어서도 새시(2)와 접촉하지 않고 상기 새시(2)에 부착된다. 그 결과, 백커버(6)는 새시(2)에 대해서도 전기적으로 절연된다.
또, 도 19에는 연결부재(62b)의 단면이 도시되어 있다. 연결부재(62)의 내면은 x-y 평면에 교차하는 평면의 일부로서, x-y 평면과 소정 각도(γ)를 이룬다. 이 각도(γ)는 연결부재(35a, 35b)(점선 부분 참조)의 표면과 x-y 평면이 이루는 각도와 같다. 백커버(6)가 새시(2)에 대해 부착되었을 때, 연결부재(62)의 내면은 블라켓(3a)의 연결부재(35a)의 표면 및 블라켓(3b)의 연결부재(35b)의 표면과 서로 접촉한다. 이에 의해 연결부재(35a, 35b)의 표면으로부터는 연결부재(62)의 내면에 대해 상부 방향의 힘이 작용한다. 즉, 블라켓(3a, 3b)은 백커버(6)를 지지하면서, 또는 백커버(6)의 부착 위치를 정한다. 이와 같이, 백커버(6)는 나사 고정 뿐만 아니라 블라켓(3a, 3b)에 의해서도 지지되기 때문에 위치가 어긋나기 어려워진다.
또, 도 19에는 위치 결정 유닛(10)의 일부의 단면이 도시되어 있다. 백커버(6)가 새시(2)에 부착되면 외부 테두리(61)의 하변 부분이 도전체 블록(103a, 103b)과 맞닿는다. 이에 의해, 백커버(6)는 도전성 재료로 이루어진 베이스(4)와 도통한다. 단, 도 8 및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베이스(4)와 새시(2)는 색(101a, 101b)에 의해 절연되기 때문에 이 부분에 있어서도 백커버(6)는 새시(2)와는 확실히 절연된다.
계속해서, 도 1에 도시한 캐비넷(7)을 설명한다. 도 1에 있어서, 캐비넷(7)은 표시장치의 외관을 규정하기 위해 새시(2)의 전면(前面)측을 커버하도록 부착된다. 본 실시형태에서 캐비넷(7)은 프레임(71)과 필터(72)를 포함하고 있다. 프레임(71)은 절연성 재료로 이루어지며, 액자와 같은 형태를 갖는다. 더 구체적으로는 프레임(71)은 프론트 패널(711)과 4개의 측벽(712a∼712b)를 포함하고 있다. 프론트 패널(711)은 실질적으로 장방형 판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그 중앙부분에는 필터(72)를 부착하기 위한 개구가 형성되어 있다. 측벽(712a, 712c)은 서로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있으며, 프론트 패널(711)의 우변 및 좌변으로부터 화살표(A) 방향으로 돌출된다. 또, 측벽(712b, 712d)은 서로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있으며, 프론트 패널(711)의 상변 및 하변으로부터 화살표(A)방향으로 돌출된다. 또, 측벽(712a)의 상단 및 하단은 측벽(712b, 712d)의 우단과 접속된다. 또, 측벽(712c)의 상단 및 하단은 측벽(712b, 712d)의 좌단과 접속된다.
필터(72)는 PDP(1)가 표시하는 영상을 투과시킨다. 필터(72)는 대략 장방형의 판형상의 형태를 갖고 있으며, 유리로 대표되는 투명재료로 이루어져 있다. 이상의 필터(72)는 프론트패널(711)에 형성된 개구 부분에 부착된다. 이때, 필터(72)의 면과 프론트 패널(711)의 면은 평행한 면을 구성하도록 상기 필터(72)는 부착된다.
여기서, 도 20은 도 1에 도시한 선 C-C’를 따르는 단면을 화살표(D) 방향으로 봤을 때의 단면도이다. 도 20에 있어서 프론트 패널(711)의 상변과 접속되는 측벽(712b)에는 훅(713)이 형성되어 있다. 훅(713)은 측벽(712b)의 내측으로부터아래쪽으로, 프론트패널(711)에 대해 평행하게 돌출된 리브이다. 또, 프론트 패널(711)의 하변과 접속되는 측벽(712d)에는 점선 원내에 확대하여 도시한 바와 같이, 2개의 관통구멍(714a, 714b)이 형성된다. 이 관통구멍의 위치는 나사구멍(361c, 361d)의 위치에 관련된다.
계속해서, 캐비넷(7)의 부착방법을 도 2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우선, 도 21의 (a)는 블라켓(3a∼3d) 및 백커버(6)가 새시(2)에 부착된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21의 (a)의 상태에 있어서, 캐비넷(7)의 측벽(712b) 부분이 새시(2)에 고정된 블라켓(3a, 3b)에 위치된다. 이 때, 도 21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훅(713)이 리브(36a, 36b)에 걸려진다. 이 상태로 캐비넷(7)의 측벽(712d)의 내면측을 블라켓(3c)의 하면에 맞춘다. 이 때, 관통구멍(714a, 714b)의 위치는 나사구멍(361c, 361d)의 위치에 맞춰진다. 그리고, 도 21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나사(715a, 715b)는 관통구멍(714a, 714b)을 삽입 통과한 후에 나사구멍(361c, 361d)에 고정된다. 이와 같이 훅(713)은 리브(36a, 36b)에 의해 걸어 고정되고, 측벽(712d) 부분에서 캐비넷(7)이 나사로 고정된다. 이에 의해 캐비넷(7)은 4개의 블라켓(3a∼3d)에 의해 지지되면서 새시(2)의 전면 부분을 커버한다. 그 결과, 캐비넷(7)과 백커버(6)는 청구항의 외장체를 구성하여 새시(2)에 고정된 PDP(1) 및 회로 기판(9)을 내부에 수용한다.
여기서, 주의를 요하는 점은 2가지이다. 제 1 주의점으로는 캐비넷(7)은 블라켓 (3a∼3d)에 의해서만 지지되고, 새시(2)와는 접촉하지 않는 점이다. 즉, 캐비넷(7)은 블라켓(3a∼3d)을 통하여 새시(2)에 고정된다. 또, 블라켓(3d)이 절연성 재료로 구성되기 때문에 캐비넷(7)은 새시(2)에 대해 전기적으로 절연된 상태로 고정된다.
제 2 주의점으로는 캐비넷(7)의 외부 테두리는 블라켓(3a∼3d)을 통하여 새시(2)에 고정되었을 때, 백커버(6)의 외부 테두리와 접촉하는 점이다. 즉, 백커버(6) 및 캐비넷(7)은 서로 도전성 재료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서로 도통한다.
이상으로 명확해진 바와 같이 도전성 재료로 이루어진 백 커버(6) 및 캐비넷(7)은 서로 도통한 상태로, 또 새시(2)와 절연된 상태로 PDP(1) 및 회로(92)를 내부에 수용한다. 이에 의해, 백커버(6) 및 캐비넷(7)은 실드 효과를 발휘하여 PDP(1) 및 회로(92)로부터 복사된 EMI를 외부로 새지 않게 한다.
이상의 표시장치에 의하면 도 1∼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PDP(1) 및 각 회로(92)는 새시(2)에 대해 전기적으로 절연된다(도 2 및 도 6 참조). 그 결과, 각 회로(92)는 새시(2)에 의해 PDP(1)로부터 실드된다. 또, 백커버(6) 및 캐비넷(7)은 PDP(1) 및 회로(92)를 내부에 수용하여 실드 효과를 발휘한다. 이와 같이, 본 표시장치는 2중 실드 구조를 갖는다. 이와 같은 2중 실드에 의해 PDP 및 그 구동회로부터 복사되는 EMI를 상기 표시장치의 외부로 새지 않도록 하고, 또 각 회로(92)가 PDP(1)로부터의 EMI에 의해 오동작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 이상의 표시장치에 의하면 PDP(1)는 새시(2)의 면(21)에 대해 점착시트(8)에 의해 부착된다. 이에 의해 PDP(1)새시(2)의 절연을 유지하면서 상기 PDP(1)를 새시(2)에 고정할 수 있다.
또, 새시(2)에는 회로기판(9)을 부착하기 위한 제 1 보스(26) 및 백커버(6)를 부착하기 위한 제 2 보스(22)가 일체적으로 형성된다. 이때문에 회로기판(9) 및 백커버(6)의 부착이 간소화된다.
그러나, 완성품은 여러 장소에 설치되며, 외부로부터 송신되어 오는 영상신호를 수신하고, 수신신호를 재생하며, 또 하면상에 영상을 표시한다. 여기서, 주지된 바와 같이 영상신호(전파)를 수신할 때의 감도는 좋은 쪽이 바람직하다. 이상의 실시형태에서는 도전성 재료로 이루어진 베이스(4)는 새시(2)와 전기적으로 절연되고, 또 백커버(6)와는 전기적으로 도통하도록 구성된다. 이에 의해, 영상신호의 수신 감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 출원인은 실험에 의해 본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표시장치의 수신 감도와 새시(2)와 전기적으로 절연되고 또 백커버(6)는 전기적으로 도통하도록 구성되지 않은 표시장치의 수신 감도를 비교했다. 출원인은 이 실험 결과에 기초하여 베이스(4)를 새시(2)와 전기적으로 절연시키고, 또 상기 베이스(4)를 백커버(6)와 도통시키고 있다.
또, 블라켓(3a∼3d)은 대략 장방형 형상의 새시(2)의 각 코너에 배치된다. 백커버(6) 및 캐비넷(7)을 지지한다. 이 블라켓(3a, 3d)에 의해 백커버(6) 및 캐비넷(7)은 새시(2)와는 접촉하지 않는다. 이때문에, 비록 완성품의 백커버(6) 및 캐비넷(7)에 외부로부터 충격이 가해졌다고 해도 가해진 충격은 블라켓(3a∼3d)중 어느 하나에 의해 흡수된다. 이때문에, PDP(1) 및 회로 기판(9)과 같이 표시장치의 핵이 되는 부품을 보호할 수 있다.
또, 상기에서 명확해진 바와 같이, 베이스(4)는 PDP(1)가 부착된 새시(2)를 자립 가능하게 지지한다. 또, 백커버(6) 및 캐비넷(7)은 각각 블라켓(3a∼3d)에대해 부착된다. 그 결과, 완성품으로부터 백커버(6)만을 벗기거나 상기 완성품으로부터 캐비넷(7)만을 벗길 수 있다. 이에 의해, 예를 들면 필터(7)의 내측을 청소할 경우에는 캐비넷(7)만을 벗기면 되고, 또 회로기판(9)을 바꿀 경우에는 백커버(6)만을 벗기면 된다. 이와 같이 본 표시장치에 의하면 백커버(6) 및 캐비넷(7)의 양쪽을 벗기지 않아도 그 내부에 간단히 액세스할 수 있다.
그런데, 더 큰 실드 효과를 얻는데는 캐비넷(7)의 외부 테두리(측벽(712a∼712d)의 선단부분)와 백커버(7)의 외부 테두리(외부 테두리(61))를 틈 없이 접촉하는 것이 요구된다. 그러나, 제 1 실시형태에서는 서로 탄성이 작은 측벽(712a∼712d)과 외부 테두리(61)가 직접적으로 접촉하기 때문에 양자의 접촉 부분에 틈이 생길 우려가 있다. 만약 틈이 생기면 실드 효과를 약하게 한다. 따라서, 제 2 실시형태에서는 더 실드 효과를 높이는 것이 가능한 표시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22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따른 표시장치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22의 표시장치는 도 1의 표시장치와 비교하여 가스켓(11)을 더 구비한 점에서 상위하다. 또, 캐비넷(7)의 측벽(712a, 712d)의 구조가 약간 상위하다. 그이외에 다른 점은 없으므로 도 22에 있어서, 도 1∼도 18의 구성에 상당하는 것에는 동일 참조부호를 붙이기로 한다.
가스켓(11)은 도전성을 갖는 탄성체로 형성되는 대략 장방형의 테두리체이다. 도전성을 갖는 탄성체의 한 구성예로서는 도 2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무로 대표되는 탄성체(111)(우측 하부로 그은 사선 부분 참조)를 도전성 재료가 도금된천(112)(좌측 하부로 그은 사선 부분 참조)로 덮은 것이 있다.
또, 도 24는 캐비넷(7)의 내측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4에서는 지면의 공간 사정상, 캐비넷(7) 등의 일부의 도시를 생략하고 있다. 또, 도 24에는 이하의 설명의 편의를 위해 서로 직교하는 x축, y축 및 z축이 도시되어 있다. 여기서, y축은 연직방향과 평행한 축이다. 또, z-x 평면은 수평면과 평행한 면이다. 도 24에 있어서 측벽(712b, 712d)에는 스토퍼(716b, 716d)가 형성된다. 스토퍼(716b, 716d)는 측벽(712b, 712d)의 내면으로부터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돌출된 리브이다. 또, 스토퍼(716b, 716d)는 바람직하게는 측벽(712b, 712d)의 내면으로부터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돌출된 리브이다. 또, 스토퍼(716b, 716d)는 바람직하게는 측벽(712b, 712d)의 한쪽 단으로부터 다른쪽 단으로 x축과 평행하게 형성된다. 마찬가지로 측벽(712a, 712c)에도 스토퍼(716b)와 같은 리브가 형성된다. 이하, 측벽(712a, 712c)에 형성된 리브를 스토퍼(716a, 716c)라고 한다. 이상의 스토퍼(712a∼712d)에 의해 캐비넷(7)이 내측 전체 둘레에 걸쳐 링 형상의 리브가 형성된다.
가스켓(11)은 측벽(712a∼712d)과 스토퍼(716a∼716d)가 맞닿도록 캐비넷(7)의 내측 전체 둘레에 부착된다. 이때문에, 백커버(6) 및 캐비넷(7)이 새시(2)에 부착되면 측벽(712a∼712d)과 외부 테두리(61)는 가스켓(11)을 통하여 접촉하게 된다. 따라서, 가스켓(11)은 캐비넷(7)에 의해 백커버(6)에 눌려지고, 또 백커버(6)에 의해 캐비넷(7)에 눌려진다. 가스켓(11)은 탄성체이기 때문에 백커버(6) 및 캐비넷(7)과 밀착한다. 즉, 가스켓(11)과 백커버(6) 및 캐비넷(7) 사이에 비접촉의부분이 생기기 어렵게 된다. 또, 가스켓(11)은 도전성을 갖기 때문에 백커버(6)와 캐비넷(7)은 양호하게 전기적으로 도통한다.
이상과 같이, 제 2 실시형태에 따른 표시장치에 의하면 백커버(6)와 캐비넷(7) 사이에는 도전성이 있는 탄성체가 끼워진다. 이때문에, 백커버(6) 및 캐비넷(7)과 가스켓(11)의 접촉 부분에는 틈이 생기지 않고, 이에 의해 상기 백커버(6)와 캐비넷(7)에 의한 실드 효과를 높일 수 있다.
또, 이상의 실시형태에서 백커버(6)는 도전성 재료로 이루어졌다고 설명했다. 그러나, 수지제의 백커버(6)의 내측에 금속제 또는 알루미늄제의 박을 부착하는 것에 의해 백커버(6)에 도전성을 갖게 해도 좋다.
또, 표시장치는 벽걸이 가능하게 구성되어도 좋다.
본 발명은 화면상에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장치에 적용된 것으로서, 특히 백커버 및 캐비넷 등으로 이루어진 외장체에 PDP(Plasma Display Panel) 및 그 구동회로를 수용하여 불필요 복사 노이즈가 외부로 새어나가는 것을 방지하는 표시장치, 예를 들면 텔레비젼 수상기에 적용된다.

Claims (14)

  1. 화면상에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장치에 있어서,
    상기 화면을 구성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DP, Plasma Display Panel);
    상기 PDP를 구동하는 회로가 배치된 회로기판;
    도전성 재료로 판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그 한쪽 면위에 PDP가 부착되고, 다른쪽 면위에 상기 회로 기판이 부착된 새시; 및
    도전성을 갖고 있고, 상기 새시에 부착된 상기 PDP 및 상기 회로 기판을 수용하는 외장체를 구비하며,
    상기 새시는 상기 회로기판을 실드하여 상기 PDP로부터의 불필요 복사 노이즈가 해당 회로 기판상의 회로에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외장체는 실드 효과를 발휘하여 내부에 수용된 PDP 및 회로 기판상의 회로로부터의 불필요 복사 노이즈가 외부로 새어나가는 것을 방지하고, 또
    상기 새시와 상기 외장체는 전기적으로 절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면상에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장치.
  2. 화면상에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장치에 있어서,
    상기 화면을 구성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상기 PDP를 구동하는 회로가 기판상에 배치된 회로 기판;
    도전성 재료로 판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그 한쪽 면위에 상기 PDP가 부착되고, 다른쪽 면위에 상기 회로기판이 부착된 새시;
    도전성을 갖고 있으며, 상기 새시의 전면측을 커버하는 캐비넷;
    도전성을 갖고 있으며, 상기 새시의 배면측을 커버하는 백커버;
    절연성을 갖고 있으며, 상기 캐비넷 및 상기 백 커버를 지지하기 위해 상기 새시에 고정되는 블라켓을 구비하며,
    상기 캐비넷 및 상기 백 커버는,
    상기 PDP 및 상기 회로 기판이 고정된 상기 새시를 커버할 때, 상기 블라켓에 지지되고, 전기적으로 도통하고, 또 새시와 전기적으로 절연되며, 이에 의해 실드 효과를 발휘하고,
    상기 새시는 상기 회로와 전기적으로 절연되며, 이에 의해 상기 회로 기판을 실드하여 상기 PDP로부터의 불필요 복사 노이즈가 당해 회로에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면상에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절연성을 갖고 있으며, 상기 PDP를 상기 새시에 부착하기 위한 점착 시트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면상에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새시에는 제 1 보스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기판은 절연성을 갖고 있고, 해당 기판의 미리 정해진 위치에는 관통구멍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회로기판은 상기 관통구멍을 삽입 통과한 나사에 의해 상기 제 1 보스에 고정되고, 이에 의해 상기 기판상에 배치된 회로와 상기 새시가 전기적으로 절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면상에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장치.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블라켓은 상기 새시의 4코너에 1개씩 부착되고,
    상기 프론트 커버 및 상기 백 커버는 각 상기 코너에 부착된 4개의 블라켓에 의해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면상에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장치.
  6. 제 2 항에 있어서,
    도전성을 갖고 있으며, 상기 새시가 부착되는 것에 의해 설치면에 대한 상기 화면의 위치를 결정하는 베이스를 더 구비하며,
    상기 베이스는 상기 새시와 전기적으로 절연되고, 또 상기 백커버와 전기적으로 도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면상에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장치.
  7.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새시에 일체적으로 고정되어 있으며, 그 중심축이 연직 방향으로 평행한 원통형상의 구멍이 평탄한 하단면으로부터 형성되는 상부 위치 결정 유닛;
    상기 구멍의 내벽 전면 및 하단면상에 형성되는 절연층;
    도전성을 갖고 있으며, 그 설치면에 대해 상기 화면의 위치를 정하기 위해 상기 새시를 지지하는 베이스; 및
    로드 형상의 형태를 갖는 하부 위치 결정 유닛을 더 구비하며,
    상기 베이스는 그 중심축이 연직 방향으로 평행한 관통구멍이 형성되어 있으며, 그 상단면이 평탄하게 형성된 러그를 포함하며,
    상기 하부 위치 결정 유닛은 상기 베이스의 관통 구멍 및 상부 위치 결정 유닛에 형성된 구멍을 삽입 통과하여 당해 베이스에 고정되고, 이에 의해 상기 러그의 상단면이 상부 위치 결정 유닛의 하단면의 위치를 결정하고,
    상기 절연층은 상기 상부 위치 결정 유닛과 상기 베이스를 전기적으로 절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면상에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장치.
  8. 제 2 항에 있어서,
    절연성 재료로 이루어져 있으며, 제 1 관통구멍이 형성된 스페이서를 더 구비하며,
    상기 새시에는 제 2 보스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백커버의 소정 위치에는 제 2 관통구멍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 1 관통구멍 및 제 2 관통구멍을 삽입 통과한 나사가 제 2 보스에 고정되고, 이에 의해 상기 백 커버는 전기적으로 절연되고, 또 상기 새시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면상에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장치.
  9.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4개중, 상기 새시의 상측에 부착되는 블라켓은 상기 백 커버의 내측과 맞닿아 당해 백 커버를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면상에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장치.
  10.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새시의 상측에 고정되는 2개의 블라켓은 리브를 갖고 있으며, 나머지 2개는 나사구멍을 갖고 있고,
    상기 캐비넷은 그 상단 부분에 훅을, 또 그 하단부분에 관통구멍을 갖고 있으며,
    상기 캐비넷은 상기 훅이 상기 리브에 의해 걸려 고정되고, 상기 관통구멍을 삽입 통과한 나사가 상기 나사 구멍에 고정되는 것에 의해 상기 4개의 블라켓에 의해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면상에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장치.
  11.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캐비넷 및 상기 백 커버는 상기 블라켓에 지지되었을 때 서로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면상에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장치.
  12.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PDP 및 상기 회로 기판이 부착된 새시를 자립시키는 베이스를 더 구비하며,
    상기 캐비넷 및 상기 백 커버는 각각 상기 블라켓에 착탈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면상에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장치.
  13. 제 2 항에 있어서,
    도전성을 갖는 탄성체를 더 구비하며,
    상기 캐비넷과 상기 백커버는 상기 블라켓에 지지되었을 때 상기 탄성체를 끼워 넣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면상에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장치.
  14. 화면상에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장치에 있어서,
    상기 화면을 구성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DP)과,
    상기 PDP를 구동하는 회로가 배치된 회로기판과,
    도전성 재료로 형성되어 있고, 그 한쪽 면 위에 상기 PDP가 부착되고, 다른 쪽 면 위에 상기 회로기판이 부착된 새시와,
    상기 새시의 전면(前面)측을 덮고 도전성을 갖는 캐비넷과, 상기 새시의 후면측을 덮고 도전성을 갖는 백커버를 포함하며, 상기 새시에 부착된 상기 PDP 및 상기 회로기판을 수용하는 외장체와,
    상기 캐비넷과 상기 백커버를 지지하기 위해 상기 새시에 고정되고 절연성을 갖는 블라켓을 구비하고,
    상기 캐비넷과 상기 백커버는 서로 전기적으로 도통하고, 또한 각각이 상기 새시와 전기적으로 절연되며,
    상기 새시는 상기 회로기판에 배치된 회로와 전기적으로 절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면상에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장치.
KR10-2001-7005282A 1998-10-30 1999-10-29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을 이용한 표시장치 KR10046544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0-326042 1998-10-30
JP32604298 1998-10-3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87381A KR20010087381A (ko) 2001-09-15
KR100465441B1 true KR100465441B1 (ko) 2005-01-13

Family

ID=181834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7005282A KR100465441B1 (ko) 1998-10-30 1999-10-29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을 이용한 표시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2) US6560124B1 (ko)
EP (1) EP1174847B1 (ko)
KR (1) KR100465441B1 (ko)
CN (1) CN1142536C (ko)
DE (1) DE69941270D1 (ko)
TW (1) TW444503B (ko)
WO (1) WO200002688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0026888A1 (fr) * 1998-10-30 2000-05-11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Dispositif d'affichage a panneau a plasma
US6295730B1 (en) * 1999-09-02 2001-10-02 Micron Technology,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forming metal contacts on a substrate
KR100530398B1 (ko) * 2001-06-15 2005-11-22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KR100441526B1 (ko) * 2002-03-27 2004-07-23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KR100450219B1 (ko) * 2002-05-02 2004-09-24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KR20040008265A (ko) * 2002-07-06 2004-01-31 엘지전자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CN1260963C (zh) 2002-08-02 2006-06-21 索尼株式会社 平板类型的图象显示装置
KR100941230B1 (ko) * 2002-08-02 2010-02-10 소니 주식회사 평면형 화상 표시 장치
KR100529096B1 (ko) * 2003-04-01 2005-11-16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플라즈마 표시장치
JP4661028B2 (ja) * 2003-04-28 2011-03-30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装置
JP4315422B2 (ja) * 2003-07-02 2009-08-19 パイオニア株式会社 平面型表示装置
CN100442326C (zh) * 2003-08-29 2008-12-10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等离子显示设备
KR100529111B1 (ko) * 2003-09-08 2005-11-15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모듈 포장설비
KR100551029B1 (ko) * 2003-10-09 2006-02-13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용 섀시 베이스 및 이를 이용한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KR100570644B1 (ko) * 2003-10-16 2006-04-12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KR100589370B1 (ko) * 2003-11-26 2006-06-14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TWI233750B (en) * 2004-01-09 2005-06-01 Benq Corp Flat-panel display
KR20050075643A (ko) * 2004-01-17 2005-07-21 삼성코닝 주식회사 플라즈마 표시장치용 필터 조립체와, 이의 제조방법
JP2005260499A (ja) * 2004-03-10 2005-09-22 Toshiba Corp ディスプレイ装置
KR100542520B1 (ko) * 2004-03-24 2006-01-11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KR100553211B1 (ko) * 2004-05-24 2006-02-22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KR100612234B1 (ko) * 2004-05-28 2006-08-11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US6972963B1 (en) * 2004-07-02 2005-12-06 Chunghwa Picture Tubes Electronic apparatus having structure for protecting flexible printed circuit and chip thereon
KR100592291B1 (ko) * 2004-08-28 2006-06-22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KR20060027124A (ko) * 2004-09-22 2006-03-27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필터용 필름을 구비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모듈 및이를 구비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JP2006106618A (ja) * 2004-10-08 2006-04-20 Hitachi Ltd 表示装置
JP4117313B2 (ja) * 2004-10-11 2008-07-16 三星エスディアイ株式会社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装置
CN100365675C (zh) * 2004-10-20 2008-01-30 乐金电子(南京)等离子有限公司 等离子体显示面板的维持噪音屏蔽结构
KR100603386B1 (ko) * 2004-10-27 2006-07-20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인쇄 기판 조립체용 프레임 브래킷 및, 그것을 구비한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용
TWM265876U (en) * 2004-11-01 2005-05-21 Coretronic Corp Back cover assembly device for electric equipment
US20060109616A1 (en) * 2004-11-19 2006-05-25 Au Optronics Corporation Back support panel for flat panel display and method of producing same
KR100751321B1 (ko) * 2004-12-01 2007-08-22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샤시 베이스 조립체와, 이를 채용한 플라즈마 표시장치조립체
KR100670252B1 (ko) * 2004-12-17 2007-01-16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샤시 베이스 조립체와, 이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과, 이를적용한 플라즈마 표시장치 조립체
US20060138296A1 (en) * 2004-12-23 2006-06-29 Deluga Ronald E Display hold-down systems and methods
JP2006185565A (ja) * 2004-12-28 2006-07-13 Orion Denki Kk ディスク装置を備えた電子機器
KR100683751B1 (ko) * 2005-01-12 2007-02-20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KR100884529B1 (ko) * 2005-01-20 2009-02-18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KR100749463B1 (ko) * 2005-01-31 2007-08-14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KR100751324B1 (ko) * 2005-02-24 2007-08-22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샤시 베이스 조립체와, 이를 적용한 플라즈마 표시장치 조립체
KR100717784B1 (ko) * 2005-02-24 2007-05-11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JP4368859B2 (ja) 2005-02-25 2009-11-18 三星エスディアイ株式会社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装置
KR20060098004A (ko) * 2005-03-08 2006-09-18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EP1703195A1 (en) * 2005-03-18 2006-09-20 Market Link USA, Inc. Video monitor mount
JP3111670U (ja) * 2005-04-18 2005-07-28 船井電機株式会社 パネル表示テレビジョンおよびパネル表示装置
US20060233603A1 (en) * 2005-04-19 2006-10-19 Cadio Michel A Display device frame and bezel fastener, fastening system and fastening method
KR20060126317A (ko) * 2005-06-04 2006-12-07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플라즈마 표시 장치
US7411796B2 (en) * 2005-06-30 2008-08-12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apparatus having a display module that supports various functions
KR100646563B1 (ko) * 2005-07-04 2006-11-14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플라즈마 표시장치
JP4746931B2 (ja) 2005-07-22 2011-08-10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フラットディスプレイパネルモジュール及びフラットディスプレイ装置
JP2007034890A (ja) * 2005-07-29 2007-02-08 Toshiba Corp 電子機器
KR100696537B1 (ko) * 2005-10-05 2007-03-19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섀시 보스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100684805B1 (ko) * 2005-12-29 2007-02-22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US8020902B1 (en) 2006-01-13 2011-09-20 Flextronics Ap, Llc Integrated snap and handling feature
KR101175728B1 (ko) * 2006-01-20 2012-08-22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모듈의 전자파 차폐장치 및 그 제조방법
JP4786366B2 (ja) * 2006-02-20 2011-10-05 日立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株式会社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装置
TW200732579A (en) * 2006-02-27 2007-09-01 Benq Corp Supporting structure and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KR100768229B1 (ko) * 2006-05-02 2007-10-18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플라즈마 표시장치
KR20070107272A (ko) * 2006-05-02 2007-11-07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플라즈마 표시장치
TWM309320U (en) * 2006-07-14 2007-04-01 Fang-Yu Jang Frame structure
KR100837164B1 (ko) * 2006-08-10 2008-06-11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 표시 장치
JP2008070990A (ja) * 2006-09-12 2008-03-27 Fujitsu Ltd 電子機器およびその組み立て方法
KR100838879B1 (ko) * 2006-09-21 2008-06-16 엘지전자 주식회사 평판형 디스플레이 장치 및 평판형 디스플레이 장치용프레임
KR20080030851A (ko) * 2006-10-02 2008-04-07 삼성전자주식회사 개스킷 및 이를 갖는 표시장치
KR20080045898A (ko) * 2006-11-21 2008-05-26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장치
TWI342424B (en) * 2006-11-27 2011-05-21 Chimei Innolux Corp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KR100846949B1 (ko) * 2007-01-22 2008-07-17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플라즈마 표시 장치
JP2008216347A (ja) * 2007-02-28 2008-09-18 Sony Corp 表示装置
KR100829758B1 (ko) * 2007-03-09 2008-05-16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JP5259110B2 (ja) * 2007-03-27 2013-08-07 三菱電機株式会社 表示装置
CN101677682B (zh) * 2007-03-29 2012-08-22 弗莱克斯电子有限责任公司 具有夹具弹簧的装置保持架
KR100879300B1 (ko) * 2007-04-24 2009-01-19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JP4407722B2 (ja) * 2007-05-23 2010-02-03 ソニー株式会社 表示装置
KR20080105619A (ko) * 2007-05-31 2008-12-04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KR101335769B1 (ko) * 2007-06-04 2013-12-02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KR101335741B1 (ko) * 2007-06-04 2013-12-02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KR101012587B1 (ko) * 2007-06-04 2011-02-01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KR101361295B1 (ko) * 2007-06-04 2014-02-11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US20090034223A1 (en) * 2007-07-31 2009-02-05 Doczy Paul J Electronic device housing assembly
US20090086420A1 (en) * 2007-10-01 2009-04-02 General Dynamics Itronix Corporation Rugged conductive housing structure for portable computing device display
JP4393546B2 (ja) * 2007-11-14 2010-01-06 株式会社東芝 表示装置
KR100879302B1 (ko) * 2007-11-26 2009-01-19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KR101414961B1 (ko) * 2007-12-03 2014-07-04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JP5162222B2 (ja) * 2007-12-04 2013-03-13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電子機器のシールド構造
JP4888383B2 (ja) * 2007-12-28 2012-02-29 富士通株式会社 表示装置および電子機器
KR20090087308A (ko) * 2008-02-12 2009-08-17 삼성전자주식회사 컨트롤 보드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하는 표시 장치
US20090231238A1 (en) * 2008-03-17 2009-09-17 Panasonic Corporation Plasma display device
JP2009258440A (ja) * 2008-04-17 2009-11-05 Funai Electric Co Ltd 薄型表示装置
TWM347001U (en) 2008-07-16 2008-12-11 Amtran Technology Co Ltd Base
US7894188B2 (en) * 2008-10-02 2011-02-22 Verizon Patent and Licensing Inc. & Verizon Business Network Services Inc. Equipment chassis shield
CN101930259A (zh) * 2009-06-25 2010-12-29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显示器及电脑
KR20110003654A (ko) * 2009-07-06 2011-01-13 삼성전자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장치
KR101253565B1 (ko) * 2009-09-22 2013-04-11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JP5263113B2 (ja) * 2009-10-07 2013-08-14 富士通株式会社 電子機器
JP5218367B2 (ja) * 2009-10-07 2013-06-26 富士通株式会社 ケーブル配線構造および電子機器
JP2011081212A (ja) * 2009-10-07 2011-04-21 Fujitsu Ltd 電子機器
JP2011081213A (ja) * 2009-10-07 2011-04-21 Fujitsu Ltd 画像表示パネル、電子機器、および画像表示パネルの分解方法
KR20110055337A (ko) * 2009-11-18 2011-05-25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장치
US9268360B2 (en) * 2009-11-30 2016-02-23 Flextronics Ap, Llc Apparatus for and method of screwless assembly and adjustable damping structure for panel stress relief
JP4945668B2 (ja) * 2010-08-11 2012-06-06 株式会社東芝 表示装置および表示装置の製造方法
KR20120023888A (ko) * 2010-09-02 2012-03-14 삼성전자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제조 방법
KR20120050178A (ko) * 2010-11-10 2012-05-18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평판 표시 장치
KR20120072864A (ko) * 2010-12-24 2012-07-04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JP2012253094A (ja) * 2011-05-31 2012-12-20 Sony Corp 電子機器
JP2013011676A (ja) * 2011-06-28 2013-01-17 Sony Corp 表示装置
JP5447448B2 (ja) * 2011-08-01 2014-03-19 船井電機株式会社 表示装置キャビネット
KR101818972B1 (ko) * 2011-08-18 2018-01-1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KR101945948B1 (ko) * 2011-12-30 2019-02-12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US8714665B2 (en) * 2012-01-20 2014-05-06 Ciil Technologies Llc Enclosed television with improved enclosure sealing arrangement
US8861198B1 (en) 2012-03-27 2014-10-14 Amazon Technologies, Inc. Device frame having mechanically bonded metal and plastic
US8922983B1 (en) * 2012-03-27 2014-12-30 Amazon Technologies, Inc. Internal metal support structure for mobile device
JP5275491B1 (ja) * 2012-03-30 2013-08-28 株式会社東芝 表示装置
TWI487455B (zh) * 2012-04-02 2015-06-01 Wistron Corp 殼體結構及其固定件及具有該殼體結構的顯示裝置
TW201345359A (zh) * 2012-04-24 2013-11-01 Wistron Corp 電子裝置
TW201422100A (zh) * 2012-11-29 2014-06-01 Hon Hai Prec Ind Co Ltd 電子裝置及其殼體
TWI502824B (zh) * 2012-12-04 2015-10-01 Wistron Corp 卡合機構及其相關電子裝置
CN104080287B (zh) * 2013-03-29 2017-06-27 联想(北京)有限公司 电子设备
JP6236892B2 (ja) * 2013-06-07 2017-11-29 株式会社デンソー 表示装置
TWI584276B (zh) * 2013-09-18 2017-05-21 樺漢科技股份有限公司 接地件及設有該接地件的硬碟機固定裝置
TWI540951B (zh) * 2014-02-25 2016-07-01 群創光電股份有限公司 電子裝置
US9558781B1 (en) 2014-10-16 2017-01-31 Flextronics Ap, Llc Method for selecting individual discs from tightly spaced array of optical discs
EP3048475B1 (en) * 2015-01-22 2018-10-24 Canon Kabushiki Kaisha Display device
CN204652825U (zh) * 2015-06-15 2015-09-16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显示器边框结构、显示装置
KR20180026233A (ko) * 2016-09-02 2018-03-12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유닛 및 이를 갖춘 디스플레이 장치
CN207783372U (zh) * 2018-01-26 2018-08-28 佳能企业股份有限公司 电子装置及其止挡结构
CN109872627A (zh) * 2019-02-19 2019-06-11 青岛经济技术开发区海尔热水器有限公司 一种显示组件、显示结构及电器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515239A1 (de) 1985-04-26 1986-10-30 Aisin Seiki K.K., Kariya, Aichi Auslassventil
JPH0447743Y2 (ko) 1986-02-20 1992-11-11
JPH09172267A (ja) 1995-12-20 1997-06-30 Fujitsu General Ltd 表示装置の筐体構造
EP0910107A4 (en) * 1996-03-13 1999-08-18 Fujitsu General Ltd FILTER FOR PREVENTING ELECTROMAGNETIC WAVE LEAKS
JPH10143092A (ja) 1996-11-08 1998-05-29 Fujitsu General Ltd 平面表示装置
JPH10282896A (ja) 1997-04-07 1998-10-23 Mitsubishi Electric Corp 表示装置
JP3645396B2 (ja) 1997-04-10 2005-05-11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
WO2000026888A1 (fr) * 1998-10-30 2000-05-11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Dispositif d'affichage a panneau a plasma
US6310767B1 (en) * 1999-02-26 2001-10-30 Case Corporation Shield for a display unit
TW513850B (en) * 2000-04-03 2002-12-11 Shan Ken Oenki Kabushiki Kaish Electric power converting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30169573A1 (en) 2003-09-11
EP1174847A4 (en) 2007-01-10
CN1324474A (zh) 2001-11-28
CN1142536C (zh) 2004-03-17
US6560124B1 (en) 2003-05-06
TW444503B (en) 2001-07-01
WO2000026888A1 (fr) 2000-05-11
US6813159B2 (en) 2004-11-02
DE69941270D1 (de) 2009-09-24
EP1174847A1 (en) 2002-01-23
KR20010087381A (ko) 2001-09-15
EP1174847B1 (en) 2009-08-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65441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을 이용한 표시장치
US4853790A (en) Electromagnetic and electrostatic shielding for electronic equipment
US6473146B1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grounding device
US6542384B1 (en) Riser card local EMI shield for a computer chassis
JP2003174692A (ja) ディスプレイ装置
KR100823192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US6538903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ducing electromagnetic radiation from a computer enclosure
US20090086420A1 (en) Rugged conductive housing structure for portable computing device display
JP4342599B1 (ja) 表示装置
JP4435912B2 (ja)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を用いた表示装置
KR20090080009A (ko) 패널형 디스플레이장치
US20080259542A1 (en) Plasma display
KR100683753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JPH11242442A (ja)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装置
CN210722258U (zh) 一种显示设备
JP2000332479A (ja) 電子システムのemi/esd遮蔽アセンブリ
US6723915B2 (en) Emi-shielding riser card for a computer chassis
JP2006010967A (ja) 液晶表示装置
JP3404939B2 (ja) 電子モジュール搭載回路基板ユニット
JP2006235626A (ja) シャーシベース組立体と、それを適用したプラズマ表示装置の組立体
KR102678949B1 (ko) 고정용 표시 장치
KR100463728B1 (ko) 평판디스플레이장치의 영상판넬체결장치
KR100684718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JPH07231189A (ja) ラック装置
JPH11231793A (ja) 電光表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202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