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63171B1 - 고무변성 스티렌 수지 조성물 - Google Patents

고무변성 스티렌 수지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63171B1
KR100463171B1 KR10-2002-0047817A KR20020047817A KR100463171B1 KR 100463171 B1 KR100463171 B1 KR 100463171B1 KR 20020047817 A KR20020047817 A KR 20020047817A KR 100463171 B1 KR100463171 B1 KR 1004631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ubber
weight
parts
modified styrene
flame retarda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478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15534A (ko
Inventor
정대산
황용연
나수연
최종국
이찬홍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to KR10-2002-00478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63171B1/ko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CA002465056A priority patent/CA2465056C/en
Priority to EP03736364A priority patent/EP1529079B1/en
Priority to PCT/KR2003/001348 priority patent/WO2004015008A1/en
Priority to JP2004527414A priority patent/JP4078350B2/ja
Priority to AT03736364T priority patent/ATE391152T1/de
Priority to AU2003237071A priority patent/AU2003237071A1/en
Priority to DE60320109T priority patent/DE60320109T2/de
Priority to CNB038014890A priority patent/CN1246382C/zh
Priority to US10/494,215 priority patent/US6946516B2/en
Publication of KR200400155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155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631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63171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5/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n aromatic carbocyclic ring;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5/0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hydrocarbons
    • C08L25/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styrene
    • C08L25/08Copolymers of styrene
    • C08L25/10Copolymers of styrene with conjugated die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4Oxy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09Carboxylic acids; Metal salts thereof; Anhydrides thereof
    • C08K5/098Metal salts of carboxylic aci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79/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polymerising monomers on to polymers of monomers having two or more carbon-to-carbon double bonds as defined in group C08F36/00
    • C08F279/02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polymerising monomers on to polymers of monomers having two or more carbon-to-carbon double bonds as defined in group C08F36/00 on to polymers of conjugated die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2Halogenated hydrocarb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4Oxy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06Ethers; Acetals; Ketals; Ortho-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51/00Compositions of graft polymers in which the grafted component i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51/04Compositions of graft polymers in which the grafted component i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grafted on to rubbe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Graft Or Block Polym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열안정성 및 내후성이 우수한 고무변성 스티렌계 난연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특히 고무변성 스티렌계 수지와 난연제로 테트라브로모비스페놀-에이-비스(2,3-디브로모프로필에테르), 헥사브로모시클로도데칸,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1 종 이상 선택되는 화합물, 및 브로미네이티드 에폭시 올리고머, 활제로 칼슘 스테아레이트를 포함하는 고무변성 스티렌계 난연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고무변성 스티렌계 난연 수지 조성물은 열이나 빛에 의한 변색, 및 기계적 물성 저하가 없으며, 열안정성과 내후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동시에 다양한 성형조건 하에서도 외관상 불량이 없어 여러 분야에 적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고무변성 스티렌 수지 조성물 {RUBBER-MODIFIED STYRENE RESIN COMPOSITION}
본 발명은 열안정성 및 내후성이 우수한 고무변성 스티렌계 난연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열이나 빛에 의한 변색, 및 기계적 물성 저하가 없으며, 열안정성과 내후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동시에 다양한 성형조건 하에서도 외관상 불량이 없어 여러 분야에 적용이 용이한 고무변성 스티렌계 난연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스티렌계 수지는 기계적 성질, 전기적 성질, 및 성형가공성이 매우 우수하여 여러 분야에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스티렌계 수지는 불에 잘 타는 특성을 갖고 있어, 전기부품이나 자동차 부품으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난연성과 내후성을 향상시킬 필요가 있다.
스티렌계 수지에 난연성을 부여하는 방법으로는 난연제와 난연조제를 적용하는 방법이 있는데, 주로 할로겐계 난연제와 삼산화안티몬 난연조제를 첨가한다. 그러나 난연 수지를 만들기 위하여 할로겐계 난연제를 사용할 경우, 열이나 빛에 의해 난연제로부터 할로겐화수소가 분리되면서 카르보닐 작용기나 공액이중결합의 형성, 가교화, 분자결합 절단 등과 같은 현상이 발생하여 변색과 기계적 물성 저하를 수반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므로 이를 극복하고자 광안정제, UV 흡수제, 산화방지제 등의 안정제가 같이 첨가된다.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 1998-044225호는 고무변성 수지의 열안정성과 내후변색성을 위하여 데카브로모디페닐 에테르 이외의 할로겐 화합물과 이산화티타늄을 사용하는 방법에 대하여 개시하고 있으나, 일부 난연제의 경우 열안정성과 내후성 향상에 한계가 있어 사무용 기기에 적용하기에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성형품의 형태가 매우 복잡해짐에 따라 사출성형시 분해가스에 의한 가스 실버(gas silver)나 흑줄(black streak) 등의 외관 불량이 발생하기 쉬우므로 다양한 성형조건 하에서도 외관상의 불량이 없이 성형이 가능하도록 우수한 열안정성도 요구된다.
따라서, 열이나 빛에 의한 변색, 및 기계적 물성 저하 없으며, 열안정성과 내후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여러 분야에 적용이 용이한 고무변성 스티렌계 난연 수지에 대한 연구가 더욱 필요한 실정이다.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본 발명은 열이나 빛에 의한 변색, 및 기계적 물성 저하가 없으며, 열안정성과 내후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동시에 다양한 성형조건 하에서도 외관상 불량이 없어 여러 분야에 적용이 용이한 고무변성 스티렌계 난연 수지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고무변성 스티렌계 난연 수지 조성물에 있어서,
a) 고무변성 스티렌계 수지 100 중량부;
b)ⅰ) 테트라브로모비스페놀-에이-비스(2,3-디브로모프로필에테르),
및 헥사브로모시클로도데칸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1 종
이상 선택되는 화합물 0.1 내지 10 중량부; 및
ⅱ) 브로미네이티드 에폭시 올리고머 0.1 내지 10 중량부
를 포함하는 난연제 0.2 내지 20 중량부; 및
c) 칼슘 스테아레이트 0.1 내지 3 중량부
를 포함하는 고무변성 스티렌계 난연 수지 조성물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자들은 열이나 빛에 의한 변색과 기계적 물성 저하 없으며, 열안정성과 내후성이 우수하여 다양한 분야에 적용할 수 있는 고무변성 스티렌계 난연 수지에 대하여 연구하던 중, 할로겐계 난연제로 테트라브로모비스페놀-에이-비스(2,3-디브로모프로필에테르), 및 헥사브로모시클로도데칸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1 종 이상 선택되는 화합물, 및 브로미네이티드 에폭시 올리고머를 사용하고, 활제로 칼슘 스테아레이트를 사용한 결과, 열안정성과 내후성이 현저히 향상됨을 확인하고, 이를 토대로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본 발명의 고무변성 스티렌계 난연 수지 조성물은 고무변성 스티렌계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테트라브로모비스페놀-에이-비스(2,3-디브로모프로필에테르) 및 헥사브로모시클로도데칸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1 종 이상 선택되는 화합물0.1 내지 10 중량부, 및 브로미네이티드 에폭시 올리고머 0.1 내지 10 중량부를 포함하는 난연제 0.2 내지 20 중량부, 및 활제로 칼슘 스테아레이트 0.1 내지 3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고무변성 스티렌계 수지는 비닐계 방향족 단량체로 이루어진 매트리스상에 고무상 중합체가 입자 형태로 분산되어 이루어진 중합체이다.
상기 고무변성 스티렌계 수지에 사용되는 비닐계 방향족 단량체로는 스티렌계 화합물이 주로 사용되며, 스티렌계 화합물과 공중합 가능한 화합물을 스티렌계 화합물과 공중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스티렌계 화합물로는 스티렌 외에 파라메틸스티렌, 2,4-디메틸스티렌, 또는 에틸스티렌 등과 같은 핵알킬치환스티렌, 또는 알파메틸스티렌 또는 알파메틸파라메틸스티렌 등과 같은 알파알킬치환스티렌을 사용할 수 있고, 2 종 이상 병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스티렌계 화합물과 공중합 가능한 화합물로는 메틸 메타아크릴레이트 또는 에틸 메타아크릴레이트 등과 같은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 류, 아크릴로니트릴 또는 메타아크릴로니트릴 등과 같은 불포화 니트릴 화합물, 또는 무수 말레인산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고무변성 스티렌계 수지에 사용되는 고무상 중합체는 폴리부타디엔, 아크릴레이트 또는 메타아크릴레이트를 함유한 고무상 중합체,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 공중합체, 스티렌-부타디엔 공중합체, 폴리이소프렌, 부타디엔-이소프렌 공중합체, 또는 천연 고무 등을 사용할 수 있다. 특히 폴리부타디엔, 또는 스티렌-부타디엔 공중합체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폴리부타디엔을 사용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 가능한 폴리부타디엔으로는 로우시스 폴리부타디엔 또는 하이시스 폴리부타디엔이 사용 가능하며 두 가지의 혼합물이라도 가능하다.
상기 고무상 중합체는 고무변성 스티렌계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3~30 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4~15 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이다. 상기 고무상 중합체가 3 중량부 미만일 경우에는 내충격성이 부족하며, 30 중량부를 초과할 경우에는 열안정성이 저하되거나, 용융 유동성의 저하, 겔의 발생, 착색 등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고무상 입자의 입경은 0.5~6 ㎛가 바람직하며, 여기서 사용되는 고무상 중합체의 유리전이온도(Tg)는 -10 ℃ 이하가 바람직하다. 만약 유리전이온도가 -10 ℃를 초과할 경우에는 내충격성이 저하된다.
상기 고무변성 스티렌계 수지의 중합은 괴상중합법, 현탁중합법, 유화중합법 등이 모두 이용될 수 있으며, 특히 괴상중합법이 가장 일반적으로 이용되고 있다. 괴상중합시 고무상 중합체를 비닐계 방향족 단량체에 용해 시킨 후 교반시키며 중합개시제를 첨가하여 중합한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상기 난연제인 테트라브로모비스페놀-에이-비스(2,3-디브로모프로필에테르)는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고, 상기 헥사브로모시클로도데칸은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며, 고무변성 스티렌계 수지에 난연성을 부여하는 역할을 한다.
[화학식 1]
[화학식 2]
상기 테트라브로모비스페놀-에이-비스(2,3-디브로모프로필에테르), 및 헥사브로모시클로도데칸은 고무변성 스티렌계 난연 수지 조성물에 단독으로 사용할 수도 있으며, 혼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테트라브로모비스페놀-에이-비스(2,3-디브로모프로필에테르) 및 헥사브로모시클로도데칸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1 종 이상 선택되는 화합물은 고무변성 스티렌계 난연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0.1 내지 10 중량부로 포함되며, 바람직하게는 1 내지 8 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이다. 상기 함량이 0.1 중량부 미만일 경우에는 난연효과가 부족하며, 10 중량부를 초과할 경우에는 기계적 강도 및 열안정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상기 난연제인 브로미네이티드 에폭시 올리고머는 하기 화학식 3으로 표시되며, 고무변성 스티렌계 난연 수지에 난연성과 열안정성을 부여하는 역할을 한다.
[화학식 3]
상기 화학식 3의 식에서,
n은 0 내지 10의 정수이다.
상기 브로미네이티드 에폭시 올리고머는 고무변성 스티렌계 난연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0.1 내지 10 중량부로 포함되며,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8 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이다. 상기 함량이 0.1 중량부 미만일 경우에는 난연효과 및 열안정성 향상 효과가 부족하며, 10 중량부를 초과할 경우에는 기계적 강도를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상기 활제인 칼슘 스테아레이트는 하기 화학식 4로 표시된다.
[화학식 4]
상기 칼슘 스테아레이트는 고무변성 스티렌계 난연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0.1 내지 3 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함량이 0.1 중량부 미만일 경우에는 열안정성 향상 효과가 적으며, 3 중량부를 초과할 경우에는 기계적인강도를 크게 저하시킬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고무변성 스티렌계 난연 수지 조성물은 난연조제로 삼산화안티몬, 및 오산화안티몬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1 종 이상 선택되는 화합물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난연조제는 난연제로 사용되는 할로겐계 화합물과 상승작용을 일으켜 난연성을 더욱 부여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난연조제는 고무변성 스티렌계 난연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0.01 내지 15 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함량이 0.01 중량부 미만일 경우에는 할로겐계 화합물과의 상승작용이 미미하다는 문제점이 있고, 15 중량부를 초과할 경우에는 기계적인 강도를 크게 저하시킬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고무변성 스티렌계 난연 수지 조성물은 내후성 향상을 위하여 UV 안정제, 이산화티타늄 등의 기타 첨가제를 더욱 사용할 수 있다.
상기 UV 안정제는 2-(2-히드록시-5-메틸페닐)벤조트리아졸, 2-(3,5-디-t-부틸-2-히드록시페닐)-5-클로로벤조트리아졸, 또는 비스(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디닐)세바케이트 등을 단독 또는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UV 안정제는 고무변성 스티렌계 난연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0.05 내지 1 중량부로 사용될 수 있으며, 그 함량이 0.05 중량부 미만일 경우에는 내후성 향상을 기대하기 어렵고, 1 중량부를 초과할 경우에는 투입량 대비 내후성 향상 효과가 크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을 수 있다.
상기 이산화티타늄은 수지의 변색을 은폐시키는 효과가 있으며, 고무변성 스티렌계 난연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0.1 내지 6 중량부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함량이 0.1 중량부 미만일 경우에는 수지변색 은폐 효과가 매우 약하고, 6 중량부를 초과할 경우에는 기계적 물성을 저하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고무변성 스티렌계 난연 수지 조성물은 열이나 빛에 의한 변색, 및 기계적 물성 저하가 없을 뿐만 아니라, 열안정성과 내후성이 우수한 효과가 있다. 또한 다양한 성형조건 하에서도 외관상 불량이 없어 여러 분야에 적용할 수 있으며, 특히 밝은색의 사무용 기기에 적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시하나,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실시예 1
(고무변성 스티렌계 수지 제조)
부타디엔 고무 8 중량부, 스티렌 77 중량부, 에틸벤젠 15 중량부로 이루어진 모노머 용액을 제조한 후, 여기에 중합개시제로 1,1-비스(t-부틸 퍼옥시)-3,3,5-트리메틸 시클로헥산 0.02 중량부를 첨가하였다. 상기 혼합용액을 4 개의 교반식 반응기가 직렬로 연결된 연속 중합 장치에 도입하여 연속적으로 그라프트 공중합하였다. 이때 중합장치의 입구 온도는 125 ℃, 출구 온도는 140 ℃였다. 최종 공중합 혼합용액은 탈휘발조로 보내져 230 ℃, 20 torr의 조건에서 미반응 단량체와 용제를 제거하고, 이를 펠렛화하여 최종적으로 고무를 8 중량% 함유하는 고무변성 스티렌 수지(HIPS)를 수득하였다.
(고무변성 스티렌계 난연 수지 제조)
상기 제조한 고무를 8 중량% 함유하는 고무변성 스티렌 수지(HIPS) 100 중량부에 대하여 난연제로 테트라브로모비스페놀-에이-비스(2,3-디브로모프로필에테르) 4 중량부, 및 브로미네이티드 에폭시 올리고머 2 중량부, 난연조제로 삼산화안티몬 1.5 중량부, 및 활제로 칼슘 스테아레이트 0.5 중량부, 산화방지제 0.1 중량부, 이산화티타늄 3 중량부, UV안정제 0.5 중량부를 첨가하였다. 상기 혼합물을 헨셀 믹서로 균일하게 혼합한 후, 이축 압출기를 사용하여 펠렛으로 제조하고 다시 사출하여 시편을 제작하였다.
실시예 2~3, 및 비교예 1~5
상기 실시예 1에서 하기 표 1의 성분과 조성비로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여 고무변성 스티렌계 난연 수지를 제조하였다.
구분 실시예 비교예
1 2 3 1 2 3 4 5
고무변성 스티렌계 수지(HIPS)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테트라브로모비스페놀-에이-비스(2,3-디브로모프로필에테르) 4 - 2 6 - 4 - 2
헥사브로모시클로도데칸 - 4 2 - 6 - 4 2
브로미네이티드 에폭시 올리고머 2 2 2 - - 2 2 2
삼산화안티몬 1.5 1.5 1.5 1.5 1.5 1.5 1.5 1.5
칼슘 스테아레이트 0.5 0.5 0.5 0.5 0.5 - - -
아연스테아레이트 - - - - - 0.5 0.5 0.5
이산화티타늄 3 3 3 3 3 3 3 3
UV안정제 0.5 0.5 0.5 0.5 0.5 0.5 0.5 0.5
상기 실시예 1 내지 3, 및 비교예 1 내지 5에서 제조한 고무변성 스티렌계난연 수지의 열안정성, 내후성, 및 난연성을 하기의 방법으로 측정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
ㄱ) 열안정성 - Melt Indexer의 250 ℃ 실린더 내에서 30 분간 체류시킨 후, 중류수를 담은 비이커에 받아 냉각시켜 백색 정도를 육안으로 판정하였다. 판정 기준은 하기 표 2와 같다.
매우 우수
우수
보통
ㄴ) 내후성 - ASTM D4459에 따라 측정하였으며, 그 조건은 하기 표 3와 같다.
강도 0.3 W/㎡
광원 Xenon arc
온도 55 ± 2 ℃
상대습도 55 ± 5 %
경과시간 300 시간
ㄷ) 난연성 - UL-94에 의거하여 ASTM D3801에 따라 측정하였다.
구분 실시예 비교예
1 2 3 1 2 3 4 5
열안정성
내후성 (△E) 2.2 2.4 2.4 3.2 3.3 2.8 3.0 2.9
난연성 V-2 V-2 V-2 V-2 V-2 V-2 V-2 V-2
상기 표 4를 통하여, 본 발명에 따라 난연제인 테트라브로모비스페놀-에이-비스(2,3-디브로모프로필에테르), 헥사브로모시클로도데칸, 브로미네이티드 에폭시 올리고머를 사용하고, 활제로 칼슘 스테아레이트를 사용한 실시예 1 내지 3의 고무변성 스티렌계 난연 수지는 비교예 1 내지 5의 수지와 비교하여 열안정성, 내후성, 및 난연성이 매우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난연제인 브로미네이티드 에폭시 올리고머를 사용하지 않은 비교예 1 및 2의 수지는 열안정성과 내후성이 현저히 저하되었으며, 활제인 칼슘 스테아레이트를 대신하여 아연 스테아레이트를 사용한 비교예 3 내지 5의 수지는 내후성이 매우 낮음을 알 수 있었다.
본 발명의 고무변성 스티렌계 난연 수지 조성물은 열이나 빛에 의한 변색, 및 기계적 물성 저하가 없을 뿐만 아니라, 열안정성과 내후성이 우수한 효과가 있다. 또한 다양한 성형조건 하에서도 외관상 불량이 없어 여러 분야에 적용할 수 있으며, 특히 밝은색의 사무용 기기에 적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7)

  1. 고무변성 스티렌계 난연 수지 조성물에 있어서,
    a) 고무변성 스티렌계 수지 100 중량부;
    b)ⅰ) 테트라브로모비스페놀-에이-비스(2,3-디브로모프로필에테르),
    및 헥사브로모시클로도데칸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1 종
    이상 선택되는 화합물 0.1 내지 10 중량부; 및
    ⅱ) 브로미네이티드 에폭시 올리고머 0.1 내지 10 중량부
    를 포함하는 난연제 0.2 내지 20 중량부; 및
    c) 활제로 칼슘 스테아레이트 0.1 내지 3 중량부
    를 포함하는 고무변성 스티렌계 난연 수지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a)의 고무변성 스티렌계 수지가 고무상 중합체, 및 비닐계 방향족 단량체를 중합하여 제조되는 고무변성 스티렌계 난연 수지 조성물.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고무상 중합체는 평균입경이 0.5~6 ㎛이고, 유리전이온도(Tg)가 최대 -10 ℃인 고무변성 스티렌계 난연 수지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b)ⅱ)의 난연제인 브로미네이티드 에폭시 올리고머가 하기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고무변성 스티렌계 난연 수지 조성물:
    [화학식 3]
    상기 화학식 3의 식에서,
    n은 0 내지 10의 정수이다.
  5. 제1항에 있어서,
    d) 난연조제로 삼산화안티몬, 및 오산화안티몬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1 종 이상 선택되는 화합물 0.01 내지 15 중량부를 추가로 포함하는 고무변성 스티렌계 난연 수지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e) 2-(2-히드록시-5-메틸페닐)벤조트리아졸, 2-(3,5-디-t-부틸-2-히드록시페닐)-5-클로로벤조트리아졸, 및 비스(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디닐)세바케이트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1 종 이상 선택되는 UV 안정제 0.05 내지 1 중량부를 추가로 포함하는 고무변성 스티렌계 난연 수지 조성물.
  7. 제1항에 있어서,
    f) 이산화티타늄 0.1 내지 6 중량부를 추가로 포함하는 고무변성 스티렌계 난연 수지 조성물.
KR10-2002-0047817A 2002-08-13 2002-08-13 고무변성 스티렌 수지 조성물 KR1004631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0)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47817A KR100463171B1 (ko) 2002-08-13 2002-08-13 고무변성 스티렌 수지 조성물
EP03736364A EP1529079B1 (en) 2002-08-13 2003-07-07 Rubber-modified styrene resin composition
PCT/KR2003/001348 WO2004015008A1 (en) 2002-08-13 2003-07-07 Rubber-modified styrene resin composition
JP2004527414A JP4078350B2 (ja) 2002-08-13 2003-07-07 ゴム変性スチレン系樹脂組成物
CA002465056A CA2465056C (en) 2002-08-13 2003-07-07 Rubber-modified styrene resin composition
AT03736364T ATE391152T1 (de) 2002-08-13 2003-07-07 Kautschukmodifizierte styrolharzzusammensetzung
AU2003237071A AU2003237071A1 (en) 2002-08-13 2003-07-07 Rubber-modified styrene resin composition
DE60320109T DE60320109T2 (de) 2002-08-13 2003-07-07 Kautschukmodifizierte styrolharzzusammensetzung
CNB038014890A CN1246382C (zh) 2002-08-13 2003-07-07 橡胶改性苯乙烯树脂组合物
US10/494,215 US6946516B2 (en) 2002-08-13 2003-07-07 Rubber-modified styrene resin composi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47817A KR100463171B1 (ko) 2002-08-13 2002-08-13 고무변성 스티렌 수지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15534A KR20040015534A (ko) 2004-02-19
KR100463171B1 true KR100463171B1 (ko) 2004-12-23

Family

ID=317131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47817A KR100463171B1 (ko) 2002-08-13 2002-08-13 고무변성 스티렌 수지 조성물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6946516B2 (ko)
EP (1) EP1529079B1 (ko)
JP (1) JP4078350B2 (ko)
KR (1) KR100463171B1 (ko)
CN (1) CN1246382C (ko)
AT (1) ATE391152T1 (ko)
AU (1) AU2003237071A1 (ko)
CA (1) CA2465056C (ko)
DE (1) DE60320109T2 (ko)
WO (1) WO200401500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943847B2 (en) 2002-04-17 2018-04-17 Cytonome/St, Llc Microfluidic system including a bubble valve for regulating fluid flow through a microchannel
US9260693B2 (en) 2004-12-03 2016-02-16 Cytonome/St, Llc Actuation of parallel microfluidic arrays
KR100600809B1 (ko) * 2004-12-28 2006-07-18 제일모직주식회사 난연성 스티렌계 수지 조성물
KR100787349B1 (ko) 2005-05-31 2007-12-18 주식회사 엘지화학 고무변성 스티렌계 난연 수지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KR100613631B1 (ko) * 2005-08-30 2006-08-17 박진우 인공피혁용 액상 난연제
KR100816981B1 (ko) * 2006-06-29 2008-03-26 주식회사 엘지화학 고무변성 스티렌계 난연 수지 조성물
US9276664B2 (en) 2007-04-30 2016-03-01 Dish Network Corporation Mobile interactive satellite services
US8457682B2 (en) 2008-03-04 2013-06-04 Dbsd Satellite Services G.P. Method and system for integrated satellite assistance services
CN102575050A (zh) * 2009-08-10 2012-07-11 联合碳化化学及塑料技术有限责任公司 包含泡沸阻燃剂和非基于磷的阻燃协同剂的热塑性弹性体组合物
EP2354168A1 (en) 2010-02-03 2011-08-10 Total Petrochemicals Research Feluy Styrene based compositions made with a minor part of metal free recycled styrene polymer
EP2354181A1 (en) 2010-02-03 2011-08-10 Total Petrochemicals Research Feluy Flame resistant styrene based compositions comprising antimony pentoxide
KR101431903B1 (ko) * 2012-09-04 2014-08-27 주식회사 엘지화학 스티렌계 수지용 난연제 및 난연 조성물
ITMI20121808A1 (it) 2012-10-24 2014-04-25 Versalis Spa Composizioni polimeriche concentrate di polimeri e/o copolimeri vinilaromatici
CN110317421B (zh) * 2019-07-15 2021-09-03 莱法特防火材料河北有限公司 一种防火密封材料及其制备方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00001773A (ko) * 1988-07-08 1990-02-27 허신구 자외선 안정성이 우수한 난연성 스티렌계 수지 조성물
KR970021194A (ko) * 1995-10-25 1997-05-28 유현식 유동성과 내충격성이 우수한 스티렌계 난연수지 조성물
JPH09241470A (ja) * 1996-03-07 1997-09-16 Idemitsu Petrochem Co Ltd 芳香族ビニル難燃性樹脂組成物
KR19980044225A (ko) * 1996-12-06 1998-09-05 유현식 열안정성과 내후성이 우수한 난연성 스티렌계 수지 조성물
KR19980051328A (ko) * 1996-12-23 1998-09-15 유현식 내충격성이 우수한 난연성을 갖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63606A (en) * 1989-09-06 1990-10-16 Ethyl Corporation Thermally stabilized styrenic polymer-based thermoplastic formulations
JPH05156074A (ja) * 1991-12-06 1993-06-22 Dainippon Ink & Chem Inc 難燃性熱可塑性樹脂組成物
JPH07113033A (ja) * 1993-10-19 1995-05-02 Asahi Chem Ind Co Ltd ハロゲン化エポキシ系難燃剤を含有するスチレン系樹脂組成物の製造方法
JPH083398A (ja) * 1994-06-21 1996-01-09 Idemitsu Petrochem Co Ltd 難燃性樹脂組成物
JPH1087952A (ja) * 1996-09-13 1998-04-07 Asahi Chem Ind Co Ltd 難燃性樹脂組成物
JPH1135786A (ja) * 1997-07-14 1999-02-09 Mitsubishi Chem Corp 耐光性に優れた難燃性スチレン系樹脂組成物
JPH11246775A (ja) * 1998-02-27 1999-09-14 Idemitsu Petrochem Co Ltd 耐光性樹脂組成物及び電気・電子機器製品用ハウ ジング
EP1092748A1 (en) * 1999-10-15 2001-04-18 Albemarle Corporation Stabilized flame retardant additives and their use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00001773A (ko) * 1988-07-08 1990-02-27 허신구 자외선 안정성이 우수한 난연성 스티렌계 수지 조성물
KR970021194A (ko) * 1995-10-25 1997-05-28 유현식 유동성과 내충격성이 우수한 스티렌계 난연수지 조성물
JPH09241470A (ja) * 1996-03-07 1997-09-16 Idemitsu Petrochem Co Ltd 芳香族ビニル難燃性樹脂組成物
KR19980044225A (ko) * 1996-12-06 1998-09-05 유현식 열안정성과 내후성이 우수한 난연성 스티렌계 수지 조성물
KR19980051328A (ko) * 1996-12-23 1998-09-15 유현식 내충격성이 우수한 난연성을 갖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60320109T2 (de) 2009-05-14
JP2005521786A (ja) 2005-07-21
EP1529079B1 (en) 2008-04-02
AU2003237071A1 (en) 2004-02-25
US6946516B2 (en) 2005-09-20
US20050020737A1 (en) 2005-01-27
CA2465056A1 (en) 2004-02-19
DE60320109D1 (de) 2008-05-15
ATE391152T1 (de) 2008-04-15
KR20040015534A (ko) 2004-02-19
EP1529079A1 (en) 2005-05-11
CA2465056C (en) 2009-09-15
CN1246382C (zh) 2006-03-22
CN1585801A (zh) 2005-02-23
WO2004015008A1 (en) 2004-02-19
JP4078350B2 (ja) 2008-04-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63171B1 (ko) 고무변성 스티렌 수지 조성물
KR100329983B1 (ko) 난연성을 갖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KR100590718B1 (ko) 열안정성과 내후성이 우수한 고무변성 스티렌 수지 조성물및 그 제조방법
KR100187550B1 (ko) 충격강도와 가공성이 우수한 스티렌계 난연수지 조성물
KR100786474B1 (ko) 열안정성과 가공성이 우수한 고무변성 스티렌계 난연 수지조성물
KR100442923B1 (ko) 내열성 및 내후성이 우수한 고무변성 스티렌계 난연 수지조성물
KR100506858B1 (ko) 내후성이 우수한 난연성 열가소성 수지조성물
KR100787349B1 (ko) 고무변성 스티렌계 난연 수지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EP0272114B1 (en) Mold products of an elastomeric composition containing styrenic resin
KR100657734B1 (ko) 고무변성 스티렌계 난연 수지 조성물
JP2901721B2 (ja) 難燃性スチレン系樹脂組成物
JPH05279549A (ja) 難燃性熱可塑性樹脂組成物
KR0182357B1 (ko) 내충격성과 가공성이 우수한 스티렌계 난연수지 조성물
KR0155055B1 (ko) 유동성과 난연성이 우수한 스티렌계 난연수지 조성물
KR100373212B1 (ko) 내충격성이 우수한 난연성 스티렌계 수지 조성물
KR100515590B1 (ko) 난연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계 공중합체 수지조성물
KR100513980B1 (ko) 난연성 스티렌계 수지 조성물
KR20030040736A (ko) 내충격성, 및 강성이 우수한 스티렌계 난연 수지 조성물,및 이를 포함하는 스티렌계 난연 수지
KR100508147B1 (ko) 난연성과 내후성이 우수한 스티렌계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KR20090066624A (ko) 내스크래치성이 향상된 열가소성 난연수지 조성물
KR20100062494A (ko) 성형외관이 우수한 고무변성 스티렌계 난연 수지 조성물
KR100727232B1 (ko) 고무변성 스티렌계 난연 수지 조성물
JP3524992B2 (ja) 耐光性の優れた難燃性樹脂組成物
JPH083412A (ja) 難燃性スチレン系樹脂組成物
KR810001052B1 (ko) 난연성 수지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1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1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17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23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8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19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16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16

Year of fee payment: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