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187550B1 - 충격강도와 가공성이 우수한 스티렌계 난연수지 조성물 - Google Patents

충격강도와 가공성이 우수한 스티렌계 난연수지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187550B1
KR100187550B1 KR1019950047047A KR19950047047A KR100187550B1 KR 100187550 B1 KR100187550 B1 KR 100187550B1 KR 1019950047047 A KR1019950047047 A KR 1019950047047A KR 19950047047 A KR19950047047 A KR 19950047047A KR 100187550 B1 KR100187550 B1 KR 1001875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arts
resin
flame retardant
styre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470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42779A (ko
Inventor
이규철
도재구
정종훈
Original Assignee
원대연
제일모직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원대연, 제일모직주식회사 filed Critical 원대연
Priority to KR10199500470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187550B1/ko
Publication of KR9700427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427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1875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187550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5/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n aromatic carbocyclic ring;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5/0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hydrocarbons
    • C08L25/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styrene
    • C08L25/06Polystyr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8Oxygen-contain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 C08K3/20Oxides; Hydroxides
    • C08K3/22Oxides; Hydroxides of metals
    • C08K3/2279Oxides; Hydroxides of metals of antimony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2Halogenated hydrocarbons
    • C08K5/03Halogenated hydrocarbons aromatic, e.g. C6H5-CH2-Cl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3/00Compositions of epoxy resin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epoxy resi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9/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njugated diene hydrocarbons
    • C08L9/06Copolymers with styr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1/00Properties
    • C08L2201/02Flame or fire retardant/resistan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충격강도가 매우 우수하고 작업조건에 따른 물성편차가 발생하지 않으며 가공성이 우수한 스티렌계 난연수지 조성물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은 (A) 내충격성 폴리스티렌 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B) 주난연제인 브롬화 에폭시수지 0.5 내지 30중량부(C) 유기 보조난연제인 데카브로모 디페닐에탄 1내지 20중량부(D) 무기 보조난연제인 삼산화안티몬 1내지 10중량부(E) 충격보강재로 부타디엔 고무 30 - 60중량부에 스티렌 70 - 40중량부를 그라프트 공중합시킨 수지 1내지 10중량부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충격강도와 가공성이 우수한 스티렌계 난연수지 조성물
본 발명은 스티렌계 난연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로는 내충격성 스티렌계 수지(HIPS)에 브롬화 에폭시수지를 주난연제로. 데카브로모디페닐에탄을 유기 보조난연제로, 삼산화안티몬을 무기 보조난연제로 사용하고 부타디엔에 스티렌을 그라프팅한 수지를 첨가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특히 충격강도와 가공성이 매우 우수한 열가소성 스티렌계 난연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스티렌계 플라스틱(Plastic)은 가공성과 기계적강도가 우수하여 주로 전기·전자제품의 외장재로 사용되고 있는데, 미국,유럽 등의 국가에서는 전자제품의 화재에 대한 안정성을 높이기 위해 난연성을 지닌 수지만을 사용하도록 법제화 되어있다.
플라스틱은 그 자체로 불(Flame)에 대한 저항성(Resistance)이 없어, 외부의 점화인자(Ignition Source)에 의해 불꽃이 점화되면 수지자체가 연소를 도와주는 에너지(Energy)로 작용하여 지속적으로 불을 확산시키게 된다. 이러한 특성을 지닌 플라스틱에 난연성을 부여하는 방법으로는 난연제와 보조난연제를 첨가하는 첨가형 난연화법과, 중합시 난연성 원자를 함유한 특수한 단량체(Monomer)를 사용하여 수지를 제조하는 중합형 난연화법을 들 수 있다. 이들 중 중합형 난연화법은 실험(Pilot Scale)단계에서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나, 높은 비용과 난연성 달성의 어려움으로 인해 상업화된 제품은 아직 출시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대부분의 상품화된 난연수지는 컴파운딩(Compounding)시 비활성원소인 할로겐 또는 인 등을 함유한 난연제를 첨가하는 첨가형 난연화법에 의해 제조되고 있다.
스티렌계 수지에 난연성을 부여하기 위해 난연제를 첨가하는 첨가형 난연화법은 주로 할로겐 함유 유기화합물과 안티몬 함유 무기화합물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성분을 수지에 첨가시켜 제조하게 된다. 할로겐 함유 유기화합물은 주로 브롬 또는 염소화합물로서 스티렌계 수지에 이를 첨가시 난연성은 매우 우수해지는 반면에, 수지 자체의 충격강도, 자외선안정성, 내열성, 가공성 등의 전반적인 물성에 있어서 심각한 저하를 일으키게 된다.
따라서, 난연수지를 제조하는데 있어서는 수지의 물성저하를 최소화시키면서 우수한 난연성을 부여하는 기술이 매우 중요하다.
최근들어 난연수지의 주용도인 TV 등의 가전기기 등이 정차 대형화됨에 따라, 성형성과 작업성이 우수한 고유동성 난연수지가 필요하게 되었다. 수지의 유동성을 증가시키기 위해서는 흐름성이 우수한 난연제를 사용해야 하는데, 스티렌계 수지에 있어서는 주로 녹는점(Melting Point)이 낮은 용융형 난연제를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용융형 난연제는 충진형(Filler)난연제에 비해 난연성이 우수하지 못하므로 미국 UL(Underwriters Laboratories) 규격에 맞는 난연도를 나타내기 위해서는 과량첨가가 불가피하게 되고 이러한 과량 첨가는 이에 따른 심각한 내충격성의 저하를 발생시키게 되므로 좋지 않다.
상기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주로 충격보강재인 스티렌-부타디엔 블록 공중합체(SBR Block Copolymer)를 과량사용하게 되는데 이 경우 충격보강재는 사출성형시 열안정성이 나쁘기 때문에 플로우마크(Flow mark), 실버스트리크(Silver streak) 등의 성형불량을 일으키는 원인으로 작용하여 성형품의 외관에 좋지 않은 영향을 미치는 문제점을 가지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성형성과 난연성이 우수한 스티렌계 난연수지 조성물에 특정한 충격보강재를 첨가하여 충격 강도 및 가공성이 우수한 스티렌계 난연수지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예의 연구한 결과, 부타디엔 고무의 입경과 함량을 변화하며 스티렌을 그라프트 공중합하여 유화중합방법으로 스티렌-부타디엔 그라프트 수지를 제조하고, 이를 난연수지 조성물에 적용한 결과 내충격성이 매우 우수해지고 가공성과 난연성이 우수해질 뿐만 아니라 가공조건에 따라 물성변화를 발생하지 않음을 알게 되어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즉, 본 발명의 스티렌계 난연수지 조성물은 (A) 내충격성 폴리스티렌 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B) 주난연제인 브롬화 에폭시수지 0.5 내지 30 중량부 (C) 유기 보조난연제인 데카브로모 디페닐에탄 1 내지 20 중량부 (D) 무기 보조난연제인 삼산화안티몬 1 내지 10 중량부 (E) 충격보강재로서 부타디엔 고무 30-60 중량부에 스티렌 70-40 중량부를 그라프트 공중합시킨 수지 1 내지 10 중량부로 구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의 내충격성 폴리스티렌 수지 (A)는 괴상중합, 현탁중합, 유화중합 또는 이들의 혼합방법을 사용하여 제조될 수 있으며, 이러한 중합방법들 중 괴상중합방법을 예로들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부타디엔형 고무류, 이소프렌형 고무류, 부타디엔과 스티렌의 공중합체류 또는 알킬아크릴레이트 고무류 등에서 선택된 고무 3-30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5-15 중량부에 대하여 방향족 모노알케닐 단량체, 아크릴산 또는 메타크릴산의 알킬에스테르 단량체 중에서 선택된 1종 또는 1종 이상의 단량체를 70-97중량부, 바람직하게는 85-95중량부 투입하고 벤조일 퍼옥사이드, t-부틸 하이드로 퍼옥사이드. 아세틸 퍼옥사이드, 큐멘하이드로 퍼옥사이드에서 선택된 1개 이상의 개시제를 이용하여 괴상중합시켜서 상기 폴리스티렌 수지를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주난연제 (B)로는 테트라브로모비스페놀 A 또는 테트라브로모비스페놀 A의 디글리시딜 에테르 중합체인 브롬화에폭시수지 등이 사용되는데, 특히 테트라브로모비스페놀 A의 디글리시딜 에테르 중합체인 브롬화 에폭시 수지는 분자량이 500-3000, 바람직하기로는 700-2500범위에서 다음의 일반식 (I) 또는 (II)로 표시되는 물질이다.
상기 일반식에서, n은 0이상의 정수이며, R1(X=1내지 5의 정수임)이다.
만일 분자량이 500 미만일때는 조성물의 열변형온도가 저하되며, 3000을 초과할 때에는 충격강도 및 유동성의 저하가 발생한다. 이러한 주난연제는 본 발명의 기본수지 (A) 100중량부에 대하여 0.5 - 30중량부 사용하는 것이 좋다. 만약 30 중량부를 초과하여 과량 사용하는 경우에는 수지조성물의 충격강도와 가공성 및 열변형온도 저하로 인해 물성상의 균형을 이룰 수 없게 된다.
본 발명에서 난연성을 증대시키기 위해 사용한 유기 보조난연제(C)는 브롬계 난연제로서 난연효과가 우수한 데카브로모디페닐에탄이 사용되는데, 이 난연제는 본 발명의 기본수지 (A) 100 중량부에 대하여 1 내지 20 중량부 바람직하기로는 2 내지 10 중량부 사용하는 것이 좋다. 여기서, 보조난연제(C)를 1 중량부 미만으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동일한 난연도를 얻기위해 주난연제 (B)의 함량을 과량 사용해야 하기 때문에 충격강도 및 내열도의 저하가 나타나고, 20 중량부를 초과하여 과량 사용하는 경우에도 수지조성물의 가공성 및 충격 강도 저하로 인해 물성상의 균형을 해치게 되므로 좋지 않다.
삼산화안티몬(D)는 본 발명의 기본수지 (A)성분 100 중량부에 대하여 1-10중량부, 바람직하게는 2-7중량부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여기서, 삼산화안티몬(D)를 1 중량부 미만으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충분한 난연효과를 얻을 수 없으며, 반면에 10 중량부를 초과하여 과량 사용하게 되면 수지 조성물의 충격강도가 심하게 저하되므로 바람직하지 못하다.
본 발명에서 충격보강재(E)로 사용하는 그라프트 수지는 부타디엔 고무 30-60중량부에 스티렌을 70-30중량부 그라프트 공중합시킨 수지이다. 이 그라프트 수지의 그라프트율은 40% 이상이며 이 수지의 아세톤에 용해되지 않는 부분이 50중량% 이상인 수지이다.
상기 스티렌-부타디엔 그라프트수지에 사용되는 부타디엔 고무입경은 0.1㎛-0.8㎛이어야 하며 그 함량은 스티렌-부타디엔 그라프트 수지 전체에 대하여 30-60중량부인 것이 적합하다. 만일 고무 입경이 0.1㎛보다 작고 함량이 30 중량부보다 적은 고무를 사용하게 되면 수지조성물의 충격강도 보강효과에 효과적이지 못하게 되고 고무의 보강효과가 생기지 않게 된다. 또한 고무 입경이 0.8㎛를 초과하는 고무를 사용하게 되면 내충격성 폴리스티렌 수지의 파괴거동상 고무보강효과가 없게 되므로, 스티렌-부타디엔 그라프트고무의 적정고무입경은 0.1㎛-0.8㎛인 것이 적합하다. 상기 스티렌-부타디엔 그라프트 공중합체의 중합방법은 중합특성상 부타디엔 고무의 함량이 높은 수준이기 때문에 유화중합방법이 적합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스티렌계 난연수지 조성물은 내충격성 폴리스티렌 수지에 주난연제로 브롬화에폭시수지를, 유기 보조난연제로 데카브로모디페닐에탄을 적용하고 무기 보조 난연제로 삼산화안티몬을, 충격보강재로 부타디엔-스티렌 그라프트 수지를 적용하여 이루어지며, 또한 이 혼합물에 용도에 따라 필요한 무기물 첨가제, 열안정제, 산화방지제, 광안정제, 안료 및 또는 염료를 첨가할 수 있으며, 이들 혼합물들을 첨가 후 통상의 혼합기에서 혼합하고, 이 혼합물을 압출기를 통하여 펠릿형태의 수지조성물로 제조한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 및 비교예를 통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으며, 이들 실시예 들이 본 발명의 보호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먼저 실시예 등에서 사용한 물질의 제조 및 사양은 다음과 같다.
(A) 내충격성 폴리스티렌 수지 : 제일모직(주) 제품인 HR-1360 GRADE를 사용하였다.
(B) 주난연제 : 일본도또사의 TB-60(브롬화에폭시수지)을 사용하였다.
(C) 유기 보조난연제 : 미국 ALBEMARE사의 SAYTEX-8010(데카브로모 디페닐에탄)을 사용하였다.
(D) 삼산화안티몬 : 제일화학의 X-20 제품을 사용하였다.
(E) 충격보강재 (본 발명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수지 조성은 (E1) 이다.)
(E1) 스티렌-부타디엔 그라프트 공중합체 수지
단량체 전체에 대하여 부타디엔 함량이 50중량부가 되도록 0.3㎛의 입경을 갖는 부타디엔 고무 라텍스를 투입하고 탈이온수 150 중량부와 로진비누(rosin soap) 0.9 중량부. 큐멘하이드로퍼옥사이드 0.3중량부와 머캅탄계 연쇄이동제 0.2 중량부, 포도당 0.3 중량부를 부가하고 내부온도를 70℃로 유지하였다. 여기에 스티렌 50중량부를 3시간동안 적하하여 산화 환원개시에 의해 중합을 진행하여 스티렌-부타디엔 그라프트 공중합체 라텍스를 제조하였다. 이를 1.5% 황산마그네슘 수용액에서 응고시키고 건조하여 분말상태의 스티렌-부타디엔 그라프트 공중합체 수지를 제조하였다.
(E2) 스티렌-부타디엔 블럭공중합체 : 일본 Asahi사의 420P를 사용하였다.
[실시예 1-3 및 비교예 1-6]
실시예 1-3에서는 충격보강재로서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스티렌-부타디엔 그라프트 공중합체 수지를 사용하였고, 비교예 1-3에서는 충격보강재로서 스티렌-부타디엔 블럭공중합체를 사용하였으며, 비교예 4-6에서는 충격보강재로는 스티렌-부타디엔 그라프트 공중합체 수지를 사용하였으나, 대신 보조난연제인 데카브로모디페닐에탄을 사용하지 않았다.
사용된 각 성분의 조성은 다음 표 1과 같으며, 사용된 수지들은 헨셀(Henschel) 믹서로 균일하게 혼합한 후, 이축 압출기로 압출하여 펠릿상으로 만들었다. 상기와 같이 얻어진 시편을 사출성형하여 시편을 제조하였으며, 충격강도, 유동성지수, 난연성평가, 외관평가를 실시하여 그 결과를 다음 표 2에 나타내었다.

Claims (1)

  1. 내충격성 폴리스티렌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브롬화에폭시수지 0.5 내지 30중량부, 데카브로모 디페닐에탄 1내지 20중량부, 삼산화안티몬 1내지 10중량부가 함유된 수지조성물에 있어서, 충격보강재로 부타디엔고무 30-60중량부에 스티렌을 70-40중량부 그라프트 공중합시킨 것으로서 그라프트율이 40%이상이며, 이 수지의 아세톤에 용해되지 않는 부분이 50중량% 이상인 스티렌-부타디엔 그라프트 공중합체 수지 1 내지 10중량부가 첨가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티렌계 난연수지조성물.
KR1019950047047A 1995-12-06 1995-12-06 충격강도와 가공성이 우수한 스티렌계 난연수지 조성물 KR1001875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47047A KR100187550B1 (ko) 1995-12-06 1995-12-06 충격강도와 가공성이 우수한 스티렌계 난연수지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47047A KR100187550B1 (ko) 1995-12-06 1995-12-06 충격강도와 가공성이 우수한 스티렌계 난연수지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42779A KR970042779A (ko) 1997-07-26
KR100187550B1 true KR100187550B1 (ko) 1999-06-01

Family

ID=194380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47047A KR100187550B1 (ko) 1995-12-06 1995-12-06 충격강도와 가공성이 우수한 스티렌계 난연수지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187550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5932B1 (ko) * 2002-12-02 2005-03-10 제일모직주식회사 내충격성 및 내열성이 우수한 난연성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KR100680481B1 (ko) * 2005-10-05 2007-02-08 제일모직주식회사 내충격성 및 내열도가 우수한 난연성 스티렌계 수지 조성물
KR101137579B1 (ko) 2008-06-10 2012-04-19 주식회사 엘지화학 난연성이 우수한 고충격성 스티렌계 수지 조성물
KR101153075B1 (ko) 2006-10-12 2012-06-04 주식회사 엘지화학 사출성형시 계량안정성 및 내충격성을 갖는 고무변성 스티렌계 난연수지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94467B1 (ko) * 2005-01-24 2007-03-12 주식회사 엘지화학 내충격성이 우수한 스티렌계 수지 조성물
KR100719212B1 (ko) * 2005-12-29 2007-05-16 제일모직주식회사 내충격성 및 내열도가 우수한 난연성 스티렌계 수지 조성물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5932B1 (ko) * 2002-12-02 2005-03-10 제일모직주식회사 내충격성 및 내열성이 우수한 난연성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KR100680481B1 (ko) * 2005-10-05 2007-02-08 제일모직주식회사 내충격성 및 내열도가 우수한 난연성 스티렌계 수지 조성물
KR101153075B1 (ko) 2006-10-12 2012-06-04 주식회사 엘지화학 사출성형시 계량안정성 및 내충격성을 갖는 고무변성 스티렌계 난연수지 조성물
KR101137579B1 (ko) 2008-06-10 2012-04-19 주식회사 엘지화학 난연성이 우수한 고충격성 스티렌계 수지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42779A (ko) 1997-07-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63171B1 (ko) 고무변성 스티렌 수지 조성물
US4150066A (en) Flame-retarding resin composition
KR100187550B1 (ko) 충격강도와 가공성이 우수한 스티렌계 난연수지 조성물
KR0182357B1 (ko) 내충격성과 가공성이 우수한 스티렌계 난연수지 조성물
KR0155055B1 (ko) 유동성과 난연성이 우수한 스티렌계 난연수지 조성물
KR100221923B1 (ko) 내후성과 충격강도가 우수한 난연성 스티렌계 수지 조성물
EP0272114B1 (en) Mold products of an elastomeric composition containing styrenic resin
KR100513980B1 (ko) 난연성 스티렌계 수지 조성물
KR100506858B1 (ko) 내후성이 우수한 난연성 열가소성 수지조성물
KR101137579B1 (ko) 난연성이 우수한 고충격성 스티렌계 수지 조성물
KR100396403B1 (ko) 난연성 스티렌계 수지조성물
KR100602849B1 (ko) 난연성 스티렌계 수지 조성물
KR100372804B1 (ko) 스티렌계난연성수지조성물
KR20050049786A (ko) 난연성 스티렌계 수지 조성물
KR100373212B1 (ko) 내충격성이 우수한 난연성 스티렌계 수지 조성물
KR100550261B1 (ko) 난연성 스티렌계 수지 조성물
KR0181386B1 (ko) 열안정성과 내후성이 우수한 난연성 스티렌계 수지 조성물
KR100376050B1 (ko) 내충격성, 열안정성, 및 외관특성이 우수한 스티렌계난연성 수지 조성물
KR100449360B1 (ko) 열안정성이 우수한 난연성 스티렌계 수지조성물
KR100600809B1 (ko) 난연성 스티렌계 수지 조성물
KR810001052B1 (ko) 난연성 수지조성물
KR20030087492A (ko) 난연성 스티렌계 수지 조성물
KR100778008B1 (ko) 난연성 스티렌계 수지 조성물
KR20040042354A (ko) 난연성 스티렌계 수지 조성물
KR20040071437A (ko) 난연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계 공중합체 수지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03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17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23

Year of fee payment: 17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