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86474B1 - 열안정성과 가공성이 우수한 고무변성 스티렌계 난연 수지조성물 - Google Patents

열안정성과 가공성이 우수한 고무변성 스티렌계 난연 수지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86474B1
KR100786474B1 KR1020050112988A KR20050112988A KR100786474B1 KR 100786474 B1 KR100786474 B1 KR 100786474B1 KR 1020050112988 A KR1020050112988 A KR 1020050112988A KR 20050112988 A KR20050112988 A KR 20050112988A KR 100786474 B1 KR100786474 B1 KR 1007864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ubber
weight
modified styrene
parts
flame retarda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129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54893A (ko
Inventor
정대산
황용연
이승호
최종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KR10200501129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86474B1/ko
Publication of KR200700548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548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864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86474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49Phosphorus-containing compounds
    • C08K5/51Phosphorus bound to oxygen
    • C08K5/52Phosphorus bound to oxygen only
    • C08K5/521Esters of phosphoric acids, e.g. of H3PO4
    • C08K5/523Esters of phosphoric acids, e.g. of H3PO4 with hydroxyaryl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12/00Homopolymers and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n aromatic carbocyclic ring
    • C08F12/02Monomers containing only on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
    • C08F12/04Monomers containing only on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 containing one ring
    • C08F12/06Hydrocarbons
    • C08F12/08Styr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8Oxygen-contain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 C08K3/20Oxides; Hydroxides
    • C08K3/22Oxides; Hydroxides of metals
    • C08K3/2279Oxides; Hydroxides of metals of antimony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4Oxy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10Esters; Ether-esters
    • C08K5/101Esters; Ether-esters of monocarboxylic acids
    • C08K5/105Esters; Ether-esters of monocarboxylic acids with pheno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4Oxy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1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in the ring
    • C08K5/151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in the ring having one oxygen atom in the ring
    • C08K5/1515Three-membered r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5/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n aromatic carbocyclic ring;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5/0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hydrocarbons
    • C08L25/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styrene
    • C08L25/06Polystyr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5/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n aromatic carbocyclic ring;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5/0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hydrocarbons
    • C08L25/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styrene
    • C08L25/08Copolymers of styrene
    • C08L25/10Copolymers of styrene with conjugated die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1/00Properties
    • C08L2201/02Flame or fire retardant/resistant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666/00Composition of polymers characterized by a further compound in the blend, be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natural resins, waxes or and bituminous materials,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inorganic substances or characterized by their function in the composition
    • C08L2666/66Substances characterised by their function in the composition
    • C08L2666/84Flame-proofing or flame-retarding additives

Abstract

본 발명은 고무변성 스티렌계 난연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고무변성 스티렌계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테트라브로모비스페놀-에이-비스(2,3-디브로모프로필에테르), 브로미네이티드 에폭시 올리고머, 및 인산 에스테르 화합물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난연제 0.3 내지 21 중량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무변성 스티렌계 난연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열이나 빛에 의한 변색 및 기계적 물성의 저하가 없으며, 열안정성과 가공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동시에 다양한 성형조건 하에서도 외관상 불량이 없어 여러 분야에 적용할 수 있는 고무변성 스티렌계 난연 수지 조성물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고무변성 스티렌계 난연 수지, 테트라브로모비스페놀-에이-비스(2,3-디브로모프로필에테르), 브로미네이티드 에폭시 올리고머, 인산 에스테르 화합물, 열안정성, 가공성, 유동성, 난연성

Description

열안정성과 가공성이 우수한 고무변성 스티렌계 난연 수지 조성물{FLAME RETARDANT RUBBER-MODIFIED STYRENE RESIN COMPOSITION WITH GOOD THERMAL STABILITY AND PROCESSABILITY}
본 발명은 고무변성 스티렌계 난연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기계적 물성의 저하가 없으며, 열안정성과 가공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동시에 다양한 성형조건 하에서도 외관상 불량이 없어 여러 분야에 적용이 용이한 고무변성 스티렌계 난연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스티렌계 수지는 기계적 성질, 전기적 성질, 및 성형가공성이 매우 우수하여 여러 분야에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스티렌계 수지는 불에 잘 타는 특성을 갖고 있어, 전기부품이나 자동차 부품, 사무용 기기에 사용하기 위해서는 난연성을 향상시킬 필요가 있다. 또한 성형품의 형태가 매우 복잡해짐에 따라 사출성형 시 분해가스에 의한 가스 실버(gas silver)나 흑줄(black streak) 등의 외관 불량이 발생하기 쉬우므로 다양한 성형조건 하에서도 외관상의 불량이 없이 성형이 가능하도록 우수한 열안정성도 요구된다.
착화 시에 적하성을 나타내며 자기 소화되는 난연성을 요구하는 예로는 Underwriters Laboratories Inc.의 UL-94 수직시험 V-2가 있다. 이에 적합한 기술로 독일 특허 2150700호에서는 테트라브로모비스페놀-에이-비스(2,3-디브로모프로필에테르)의 사용을 개시하고 있으나, 성형사이클 시간을 단축하여 생산성을 높이고자 고온의 핫 러너를 사용하는 성형 시스템에서는 열안정성이 부족한 문제점이 있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5-140389호에서는 테트라브로모비스페놀-에이-비스(2,3-디브로모프로필에테르)의 열안정제를 첨가하여 열안정성을 개량하는 방법을 개시하고 있으나, 충분한 개량까지 이르지 못하고 비용이 많이 드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테트라브로모비스페놀-에이-비스(2,3-디브로모프로필에테르)와 기타 난연제를 병용하는 방법으로 일본공개특허공보 평4-239548호에는 브롬 함유 유기 인 화합물을 병용하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는데, 열안정성이 충분히 개량되었다고는 할 수 없으며, 역시 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일본공개특허공보 평4-292646호에는 브롬 함유 에폭시 중합체와의 병용하는 방법이 개시되고 있는데, 여전히 난연제의 첨가량이 많아서 수지의 내열성이나 내충격성이 저하되는 등의 물성 저하를 유발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일본공개특허공보 평8-208939호에는 폴리할로겐화디페닐알칸과 유기 폴리실록산을 병용함으로써 내열성, 내충격성 열안정성의 균형이 우수한 스티렌계 수지 조성물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폴리할로겐화디페닐알칸은 수지 중으로의 분산에 문제가 있어 유기 폴리실록산을 첨가하더라도 안정된 물성을 얻을 수 없거나 유 동성을 악화시키는 경우가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 2004-0015534호는 테트라브로모비스페놀-에이-비스(2,3-디브로모프로필에테르)와 브로미네이티드 에폭시 올리고머, 칼슘스테아레이트를 사용하여 열안정성과 내후성을 향상시키는 방법에 대하여 개시하고 있으나 대형의 제품을 성형하기에는 가공성이 부족한 단점이 있다.
따라서, 대형화되고 복잡해지는 성형품의 최근 동향을 반영하기 위하여 기계적인 물성의 저하 없이, 열안정성과 가공성이 우수한 스티렌계 난연 수지에 대한 연구가 더욱 필요한 실정이다.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본 발명은 기계적 물성의 저하가 없으며, 열안정성과 내후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동시에 다양한 성형조건 하에서도 외관상 불량이 없어 여러 분야에 적용이 용이하며, 대형의 제품을 성형할 수 있는 고무변성 스티렌계 난연 수지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 및 기타 목적들은 하기 설명되는 본 발명에 의하여 모두 달성될 수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고무변성 스티렌계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ⅰ) 테트라브로모비스페놀-에이-비스(2,3-디브로모프로필에테르)
ⅱ) 브로미네이티드 에폭시 올리고머, 및
ⅲ) 인산 에스테르 화합물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난연제 0.3 내지 21 중량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고무변성 스티렌계 난연 수지 조성물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자들은 열이나 빛에 의한 변색과 기계적 물성 저하 없으며, 열안정성과 내후성이 우수하여 다양한 분야에 적용할 수 있는 고무변성 스티렌계 난연 수지에 대하여 연구하던 중, 할로겐계 난연제로 테트라브로모비스페놀-에이-비스(2,3-디브로모프로필에테르)와 브로미네이티드 에폭시 올리고머, 인산 에스테르 화합물을 사용한 결과, 열안정성과 가공성이 현저히 향상됨을 확인하고, 이를 토대로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본 발명의 고무변성 스티렌계 난연 수지 조성물은 고무변성 스티렌계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테트라브로모비스페놀-에이-비스(2,3-디브로모프로필에테르), 브로미네이티드 에폭시 올리고머, 및 인산 에스테르 화합물을 포함하는 난연제 0.3 내지 21 중량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고무변성 스티렌계 수지는 비닐계 방향족 단량체로 이루어진 매트리스 상에 고무상 중합체가 입자 형태로 분산되어 이루어진 중합체이다.
상기 고무변성 스티렌계 수지에 사용되는 비닐계 방향족 단량체로는 스티렌계 화합물이 주로 사용되며, 스티렌계 화합물과 공중합 가능한 화합물을 스티렌계 화합물과 공중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스티렌계 화합물로는 스티렌 외에 파라메틸스티렌, 2,4-디메틸스티렌, 또는 에틸스티렌 등과 같은 핵알킬치환스티렌, 또는 알파메틸스티렌 또는 알파메틸파라메틸스티렌 등과 같은 알파알킬치환스티렌을 단독 또는 2종 이상 병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스티렌계 화합물과 공중합 가능한 화합물로는 메틸 메타아크릴레이트 또는 에틸 메타아크릴레이트 등과 같은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 류, 아크릴로니트릴 또는 메타아크릴로니트릴 등과 같은 불포화 니트릴 화합물, 또는 무수 말레인산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고무변성 스티렌계 수지에 사용되는 고무상 중합체는 폴리부타디엔, 아크릴레이트 또는 메타아크릴레이트를 함유한 고무상 중합체,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 공중합체, 스티렌-부타디엔 공중합체, 폴리이소프렌, 부타디엔-이소프렌 공중합체, 또는 천연 고무 등을 사용할 수 있다. 특히 폴리부타디엔, 또는 스티렌-부타디엔 공중합체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폴리부타디엔을 사용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 가능한 폴리부타디엔으로는 로우시스 폴리부타디엔 또는 하이시스 폴리부타디엔을 사용할 수 있으며, 이들의 혼합물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고무상 중합체는 고무변성 스티렌계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3 내지 30 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4 내지 15 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이다. 상기 고무상 중합체가 3 중량부 미만일 경우에는 내충격성이 부족하며, 30 중량부를 초과할 경우에는 열안정성이 저하되거나, 용융 유동성의 저하, 겔의 발생, 착색 등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고무상 중합체는 고무상 입자의 평균입경이 0.5 내지 6 ㎛인 것이 바람직하며, 고무상 중합체의 유리전이온도(Tg)는 -10 ℃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유리전이온도가 -10 ℃를 초과할 경우에는 내충격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고무변성 스티렌계 수지의 중합은 괴상중합법, 현탁중합법, 유화중합법 등이 모두 이용될 수 있으며, 특히 괴상중합법이 가장 일반적으로 이용되고 있다. 괴상중합 시 고무상 중합체를 비닐계 방향족 단량체에 용해 시킨 후 교반시키며 중합개시제를 첨가하여 중합한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난연제는 테트라브로모비스페놀-에이-비스(2,3-디브로모프로필에테르) 0.1 내지 7 중량부, 브로미네이티드 에폭시 올리고머 0.1 내지 7 중량부, 및 인산 에스테르 화합물 0.1 내지 7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테트라브로모비스페놀-에이-비스(2,3-디브로모프로필에테르)는 고무변성 스티렌계 수지에 난연성을 부여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된다.
[화학식 1]
Figure 112005067963055-pat00001
상기 테트라브로모비스페놀-에이-비스(2,3-디브로모프로필에테르)는 고무변 성 스티렌계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0.1 내지 7 중량부로 포함되며, 바람직하게는 1 내지 5 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이다. 상기 함량이 0.1 중량부 미만일 경우에는 난연 효과가 부족하며, 7 중량부를 초과할 경우에는 기계적 강도 및 열안정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브로미네이티드 에폭시 올리고머는 고무변성 스티렌계 수지에 난연성과 열안정성을 부여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된다.
[화학식 2]
Figure 112005067963055-pat00002
상기 화학식 2에서,
n은 0 내지 10의 정수이다.
상기 브로미네이티드 에폭시 올리고머는 고무변성 스티렌계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0.1 내지 7 중량부로 포함되며,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5 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이다. 상기 함량이 0.1 중량부 미만일 경우에는 난연효과 및 열안정성 향상 효과가 부족하며, 7 중량부를 초과할 경우에는 기계적 강도를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인산 에스테르 화합물은 고무변성 스티렌계 수지에 난연성을 부여하고 가공성을 증대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할로겐이 치환되지 않은 트리메틸포스페 이트, 트리에틸포스페이트, 트리부틸포스페이트, 트리옥틸포스페이트 등의 트리알킬포스페이트; 트리페닐포스페이트, 트리크레실포스페이트, 트리자이레일포스페이트, 크레실디페닐포스페이트 등의 트리아릴포스페이트; 옥틸디페닐포스페이트와 같은 트리알킬-아릴포스페이트; 및 하기 화학식 3에 표시된 구조를 갖는 방향족 디포스페이트는 등을 사용할 수 있다. 트리아릴포스페이트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트리페닐포스페이트, 트리(4-메틸페닐)포스페이트, 트리(2,6-디메틸페닐)포스페이트를 사용하는 것이다.
[화학식 3]
Figure 112005067963055-pat00003
상기 화학식 3에서 Ar1 ~ Ar4는 페닐기 또는 C1 ~ C4 알킬기가 1 ~ 3 개 치환된 아릴기, R은 페닐 또는 비스페놀 에이이고, n은 중합도이다.
상기 인산 에스테르 화합물은 고무변성 스티렌계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0.1 내지 7 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함량이 0.1 중량부 미만일 경우에는 난연 효과와 가공성 증대 효과가 적으며, 7 중량부를 초과할 경우에는 기계적인 강도를 크게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고무변성 스티렌계 난연 수지 조성물은 난연제로 사용되는 할로겐계 화합물과 상승작용을 일으켜 난연성을 더욱 부여하는 역할을 하는 난연조제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난연조제로는 삼산화안티몬 또는 오산화안티몬 등을 단독 또는 2종 이상 병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난연조제는 고무변성 스티렌계 난연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0.01 내지 5 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함량이 0.01 중량부 미만일 경우에는 할로겐계 화합물과의 상승작용이 미미하고, 5 중량부를 초과할 경우에는 기계적인 강도를 크게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시하나,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 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실시예 1
고무변성 스티렌계 수지 제조
부타디엔 고무 8 중량부, 스티렌 77 중량부, 에틸벤젠 15 중량부로 이루어진 단량체 용액을 제조한 후, 여기에 중합개시제로 1,1-비스(t-부틸 퍼옥시)-3,3,5-트리메틸 시클로헥산 0.02 중량부를 첨가하였다. 상기 혼합용액을 4 개의 교반식 반응기가 직렬로 연결된 연속 중합 장치에 도입하여 연속적으로 그라프트 공중합하였다. 이때 중합장치의 입구 온도는 125 ℃, 출구 온도는 140 ℃였다. 최종 공중합 혼합용액은 탈휘발조로 보내져 230 ℃, 20 torr의 조건에서 미반응 단량체와 용제를 제거하고, 이를 펠렛화하여 최종적으로 고무를 8 중량% 함유하는 고무변성 스티렌 수지(HIPS)를 수득하였다.
고무변성 스티렌계 난연 수지 제조
상기 제조한 고무를 8 중량% 함유하는 고무변성 스티렌 수지(HIPS) 100 중량부에 대하여 난연제로 테트라브로모비스페놀-에이-비스(2,3-디브로모프로필에테르) 2 중량부, 브로미네이티드 에폭시 올리고머 2 중량부, 트리페닐포스페이트 2 중량부, 및 난연조제로 삼산화안티몬 1 중량부를 첨가하였다. 상기 혼합물을 헨셀 믹서로 균일하게 혼합한 후, 이축 압출기를 사용하여 펠렛으로 제조하고 다시 사출하여 시편을 제작하였다.
실시예 2
상기 실시예 1에서 난연제로 테트라브로모비스페놀-에이-비스(2,3-디브로모프로필에테르) 2 중량부, 브로미네이티드 에폭시 올리고머 1 중량부, 트리페닐포스페이트 3 중량부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비교예 1
상기 실시예 1에서 난연제로 트리페닐포스페이트를 사용하지 않고 테트라브로모비스페놀-에이-비스(2,3-디브로모프로필에테르) 4 중량부, 브로미네이티드 에폭시 올리고머 2 중량부를 사용하고, 난연조제로 삼산화안티몬 1.5 중량부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비교예 2
상기 실시예 1에서 난연제로 브로미네이티드 에폭시 올리고머를 사용하지 않고 테트라브로모비스페놀-에이-비스(2,3-디브로모프로필에테르) 4 중량부, 트리페닐포스페이트 2 중량부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 하였다.
비교예 3
상기 실시예 1에서 난연제로 테트라브로모비스페놀-에이-비스(2,3-디브로모프로필에테르) 0.05 중량부, 브로미네이티드 에폭시 올리고머 7 중량부, 트리페닐포스페이트 2 중량부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한 고무변성 스티렌계 난연 수지 조성물의 열안정성, 가공성, 및 난연성을 하기의 방법으로 측정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ㄱ) 열안정성 - Melt Indexer의 250 ℃ 실린더 내에서 30 분간 체류시킨 후, 증류수를 담은 비이커에 받아 냉각시켜 백색 정도를 육안으로 판정하였다. 판정 기준으로 ◎는 매우 우수함을, ○은 우수함을, △은 보통임을 나타낸다.
ㄴ) 가공성 - ASTM D1238의 방법으로 Melt Indexer의 200 ℃ 실린더 내에서 5 분간 체류시킨 후, 5 kg의 하중으로 유동성을 측정하였다.
ㄷ) 난연성 - UL-94에 의거하여 ASTM D3801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구분 실시예 비교예
1 2 1 2 3
열안정성
가공성(g/10min) 13 15 9 13 15
난연성 V-2 V-2 V-2 V-2 NR*
NR* : No Rating
상기 표 3을 통하여, 본 발명의 테트라브로모비스페놀-에이-비스(2,3-디브로모프로필에테르), 브로미네이티드 에폭시 올리고머, 및 트리페닐포스페이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난연제를 사용하여 제조한 실시예 1 내지 2의 고무변성 스티렌계 난연 수지 조성물은 난연제인 인산 에스테르 화합물을 사용하지 않고 제조하여 열안정성이 우수한 반면 가공성이 부족한 비교예 1의 고무변성 스티렌계 난연 수지 조성물, 브로미네이티드 에폭시 올리고머를 사용하지 않고 제조하여 가공성은 13으로 높은 수준이나 열안정성이 현저히 저하된 비교예 2의 고무변성 스티렌계 난연 수지 조성물과 비교하여 열안정성, 가공성 및 난연성이 매우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본 발명의 난연제를 사용하되, 테트라브로모비스페놀-에이-비스(2,3-디브로모프로필에테르)의 함량을 크게 감소하여 제조한 비교예 3의 고무변성 스티렌계 난연 수지 조성물은 열안정성과 가공성은 우수하나 등급을 부여하기 어려울 정도로 난연성이 부족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상기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고무변성 스티렌계 난연 수지 조성물은 기계적 물성의 저하가 없으며, 열안정성과 내후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동시에 다양한 성형조건 하에서도 외관상 불량이 없어 여러 분야에 적용이 용이하고, 대형의 제품을 성형할 수 있으며, 열이나 빛에 의한 변색이 없어 특히, 밝은색의 사무용 기기에 적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기재된 구체예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범주 및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도 당연한 것이다.

Claims (7)

  1. 고무변성 스티렌계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ⅰ) 테트라브로모비스페놀-에이-비스(2,3-디브로모프로필에테르) 0.1 내지 7 중량부,
    ⅱ) 브로미네이티드 에폭시 올리고머 0.1 내지 7 중량부, 및
    ⅲ) 인산 에스테르 화합물 0.1 내지 7 중량부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난연제 0.3 내지 21 중량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무변성 스티렌계 난연 수지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무변성 스티렌계 수지는 상기 고무변성 스티렌계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3 내지 30 중량부의 고무상 중합체 및 나머지 함량의 비닐계 방향족 단량체를 중합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무변성 스티렌계 난연 수지 조성물.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고무상 중합체는 평균입경이 0.5 내지 6 ㎛이고, 유리전이온도(Tg)가 -10 ℃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무변성 스티렌계 난연 수지 조성물.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ⅱ)의 브로미네이티드 에폭시 올리고머는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화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무변성 스티렌계 난연 수지 조성물.
    [화학식 2]
    Figure 112007059010758-pat00004
    상기 화학식 2에서,
    n은 0 내지 10의 정수이다.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ⅲ)의 인산 에스테르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무변성 스티렌계 난연 수지 조성물.
    [화학식 3]
    Figure 112007059010758-pat00005
    상기 화학식 3에서 Ar1 ~ Ar4는 페닐기 또는 C1 ~ C4 알킬기가 1 ~ 3 개 치환된 아릴기, R은 페닐 또는 비스페놀 에이이고, n은 중합도이다.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무변성 스티렌계 난연 수지 조성물은 삼산화안티몬 및 오산화안티몬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1종 이상 선택되는 난연조제 0.01 내지 5 중량부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무변성 스티렌계 난연 수지 조성물.
KR1020050112988A 2005-11-24 2005-11-24 열안정성과 가공성이 우수한 고무변성 스티렌계 난연 수지조성물 KR1007864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12988A KR100786474B1 (ko) 2005-11-24 2005-11-24 열안정성과 가공성이 우수한 고무변성 스티렌계 난연 수지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12988A KR100786474B1 (ko) 2005-11-24 2005-11-24 열안정성과 가공성이 우수한 고무변성 스티렌계 난연 수지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54893A KR20070054893A (ko) 2007-05-30
KR100786474B1 true KR100786474B1 (ko) 2007-12-17

Family

ID=382764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12988A KR100786474B1 (ko) 2005-11-24 2005-11-24 열안정성과 가공성이 우수한 고무변성 스티렌계 난연 수지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8647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337484A (zh) * 2016-12-14 2019-10-15 溴化合物有限公司 不含锑阻燃性环氧树脂组合物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30032375A1 (en) * 2011-01-13 2013-02-07 Icl-Ip America Inc. Brominated epoxy flame retardant plasticizer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59876A (ko) * 2002-12-30 2004-07-06 제일모직주식회사 난연성 스티렌계 수지 조성물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59876A (ko) * 2002-12-30 2004-07-06 제일모직주식회사 난연성 스티렌계 수지 조성물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337484A (zh) * 2016-12-14 2019-10-15 溴化合物有限公司 不含锑阻燃性环氧树脂组合物
US11560448B2 (en) 2016-12-14 2023-01-24 Bromine Compounds Ltd. Antimony free flame-retarded epoxy composition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54893A (ko) 2007-05-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201714B1 (en) Flame retardant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KR100332853B1 (ko) 내스트레스 크랙성 및 내충격성이 우수한 인계 방염 열가소성수지 조성물
US6716900B2 (en) Flameproof styrene containing graft resin compositions substantially free of phenolic resins and containing styrene/acrylonitrile resin compatabilizer
JP2001040204A (ja) 難燃性を有する熱可塑性樹脂組成物
KR0150766B1 (ko) 난연성을 갖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DE69921461T2 (de) Flammgeschützte, thermoplastische Harzzusammensetzung
KR100463171B1 (ko) 고무변성 스티렌 수지 조성물
KR100786474B1 (ko) 열안정성과 가공성이 우수한 고무변성 스티렌계 난연 수지조성물
JP4674254B2 (ja) ゴム変性スチレン系難燃樹脂組成物
GB2330583A (en) Flame-retardant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s
KR100331377B1 (ko) 난연성을 갖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0360986B1 (ko) 난연성을 갖는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조성물
KR0150763B1 (ko) 난연성을 갖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KR100936359B1 (ko) 내열성과 휨 강도가 우수한 고무변성 스티렌계 난연 수지조성물
KR0148398B1 (ko) 난연성을 갖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KR101486630B1 (ko) 고무변성 스티렌계 수지용 난연제를 이용한 투명 난연 수지 조성물
KR100344894B1 (ko) 난연성을 갖는 폴리카보네이트계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KR100590718B1 (ko) 열안정성과 내후성이 우수한 고무변성 스티렌 수지 조성물및 그 제조방법
KR100211180B1 (ko) 난연성을 갖는 열가소성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조성물
KR100472024B1 (ko) 난연성 스티렌계 수지 조성물
KR100524582B1 (ko) 난연성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KR20080027583A (ko) 신율이 우수한 초내후성 내열 난연수지 조성물
JPH10147679A (ja) 難燃性スチレン系樹脂組成物
KR0165587B1 (ko) 난연성을 갖는 열가소성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조성물
KR20020054946A (ko) 난연성 스티렌계 수지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00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11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